용어코드 개념코드 영문명 한글명 UMLS 버전 KCD ICD9CM LOINC EDI CCC ICNP 참조분류(추가) 건강관리패턴 간호요소 과정 축 값목록 한자 영문정의 한글정의 H00000912 H00072820 AFI 양수지수 [3.0] Means "모체 복부를 배꼽과 흑선을 중심으로 4등분 한 후에, 각기 등분한 부분에서 가장 큰 양수의 수직선을 확인하고 측정하여 각 등분의 길이를 합친숫자임. 양수량을 측정하는 방법." H00002052 H00002052 Abdomen 배 C0000726 [3.0] 10000023 1F.01.01 Location 신체 부분 H00002068 H00002052 Abdomen 복부 C0000726 [3.0] 10000023 1F.01.01 Location 신체 부분 H00002900 H00002915 Abdominal binder 복대 C0179303 [3.0] 2C.9.0001 Means "복부수술 후에 이용하는 것과 임신5개월 이후의 임산부가 이용하는 것의 2종류가 있다. 후자의 경우는 (1) 임산부 복부의 보온, (2) 자궁 및 태아의 정상위치를 유지하며, (3) 복벽이 이완 되는 것을 예방한다. (4) 외부의 자극에서 태아를 지킨다, (5) 임산부의 동작을 경쾌하게 하거나, (6) 모친으로서의 자각을 일으키는 등의 목적에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0002941 H00002941 Abdominal cavity 배안 C0230168 [3.0] 10000010 Location 체강 H00002957 H00002941 Abdominal cavity 복강 C0230169 [3.0] 10000010 Location 체강 H00002962 H00002962 Abdominal circumference 배 둘레 C1300813 [3.0] 1A.9.0020 Focus "the circumference of the abdomen, usually measured at the umbilicus.[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003430 H00003445 Abdominal muscle 복근 C0000739 [3.0] Location "복부에 있는 근육, 몸을 전후좌우로 굽히고 돌리는 것 외에 호흡 운동의 일부 작용을 맡고 있으며, 배뇨, 배변, 분만 때 배의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함." H00003445 H00003445 Abdominal muscle 배근육 C0000739 [3.0] Location "복부에 있는 근육, 몸을 전후좌우로 굽히고 돌리는 것 외에 호흡 운동의 일부 작용을 맡고 있으며, 배뇨, 배변, 분만 때 배의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함." H00003506 H00003511 Abdominal pain 배앓이 C0000737 [3.0] 10043948|10043953 Focus|DC "복부영역에서 느끼는 통증의 총칭으로 내장통(内臟痛),체성통(體性痛),관련통(關聯痛)의 3형으로 나뉘어진다. 1)내장자체에 의거한 통증(내장통)은 장기 평활근의 신전, 자극등에 의해 주로 자율신경에 의해 느끼며, 국한되지 않고 일정 부위의 둔한 통증이며 체위변환등에 의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2)벽측복막, 장간막에 의거한 통증(체성통)은 그들의 염증, 기계적 자극 등에 의해 뇌척수신경을 매개로 전달되며 비교적 국한성으로 찌르는 듯한 예리한 통증으로 움직임에 의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3)관련통은 복강장기의 병변에 의해 내장지각반사에 의거해서 일정 부위의 피부에 느껴지는 통증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들 통증이 복잡하게 조합되어서 복통으로 느껴진다.[간호학대사전]" H00003511 H00003511 Abdominal pain 복통 C0000737 [3.0] 10043948|10043953 Focus|DC "복부영역에서 느끼는 통증의 총칭으로 내장통(内臟痛),체성통(體性痛),관련통(關聯痛)의 3형으로 나뉘어진다. 1)내장자체에 의거한 통증(내장통)은 장기 평활근의 신전, 자극등에 의해 주로 자율신경에 의해 느끼며, 국한되지 않고 일정 부위의 둔한 통증이며 체위변환등에 의해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 2)벽측복막, 장간막에 의거한 통증(체성통)은 그들의 염증, 기계적 자극 등에 의해 뇌척수신경을 매개로 전달되며 비교적 국한성으로 찌르는 듯한 예리한 통증으로 움직임에 의해 심해지는 경우가 많다. 3)관련통은 복강장기의 병변에 의해 내장지각반사에 의거해서 일정 부위의 피부에 느껴지는 통증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들 통증이 복잡하게 조합되어서 복통으로 느껴진다.[간호학대사전]" H00003893 H00419853 Abdominal wall 복벽 C0836916 [3.0] Location "복강 앞쪽의 벽, 피부, 근육, 복막 따위로 이루어져 있음." H00003907 H00419853 Abdominal wall 배벽 C0836916 [3.0] Location "복강 앞쪽의 벽, 피부, 근육, 복막 따위로 이루어져 있음." H00003912 H00003928 Abdominal wall defect 복벽 결손 C0238577 [3.0] Focus "Abdominal wall defects are birth (congenital) defects that allow the stomach or intestines to protrude.[Gale Encyclopedia of Medicine. Copyright 2008 The Gale Group, Inc. All rights reserved.]" H00003928 H00003928 Abdominal wall defect 배벽결손 C0238577 [3.0] Focus "Abdominal wall defects are birth (congenital) defects that allow the stomach or intestines to protrude.[Gale Encyclopedia of Medicine. Copyright 2008 The Gale Group, Inc. All rights reserved.]" H00004545 H00004545 Ability 능력 C0085732 [3.0] 10000034 Focus 상태 H00005028 H00005028 Abnormal behavior 이상 행동 C0233514 [3.0] Focus "적응을 못하거나 정상적 기준에서 벗어난 행동. 부적응 행동, 이상심리라고도 함." H00009264 H00009264 Abortion 낙태 C0392535 [3.0] 10000262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임신을 중절 또는 종료하고 태아를 방출하는 것. H00009270 H01066470 Abortion 유산 C0000786 [3.0] O03 10000262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임신을 중절 또는 종료하고 태아를 방출하는 것. H00010142 H00010176 Abscess 고름집 C0000833 [3.0] L02.90 1A.9.0021 Focus 조직의 붕괴에 의하여 생긴 고름이 강내(腔內)에 국소적으로 고인것 H00010161 H00010176 Abscess 농양 C0000833 [3.0] L02.90 1A.9.0021 Focus 조직의 붕괴에 의하여 생긴 고름이 강내(腔內)에 국소적으로 고인것 H00012753 H00012753 Absorption 흡수 C0000854 [3.0] 10000291 1A.01.01.01.05.05 Focus 신체 과정: 음식과 영양소가 소화관을 통해 신체로 들어가는 것. H00012879 H01828588 Abstinence 금단 C3843422 [3.0] 1A.9.0023 Focus "음식물, 자극물, 성욕의 남용 또는 방종을 금지하는 것." H00013043 H00013043 Abuse 남용 C0013146 [3.0] 10018992 Focus 손상된 행위: 건강에 해로울 수 있고 중독될 수 있는 치료적 효과없이 화학적으로 활성되는 물질의 오용 H00013058 H00013043 Abuse 학대 C0562381 [3.0] 10045566 1A.01.01.02.02.02.01.11.03 Focus "공격적 행동: 신체적 혹은 정서적인 모욕, 폭력 혹은 학대하는 행위." H00014318 H00014318 Access 접근 C0444454 [3.0] 10000340 Focus 상태: 무엇인가에 대한 입장 혹은 사용할 수 있는 능력. H00015581 H00015581 Accident prevention 사고예방 C0000918 [3.0] 1A.9.0024 Focus 질병으로 인한 사망의 저하와 동시에 사고로 인한 사망의 중요성이 인식되게 되었다. 사고의 방지에도 일반 질병과 같은 역학적(疫學的)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28383 H00028383 Acholic stool 무담즙변 C2675627 [3.0] Focus 대변 H00029961 H00029961 Acne 여드름 C0702166 [3.0] L70 10029553 1A.01.01.01.10.01.06 Focus 손상된 피부: 피부샘 또는 모낭의 염증에 기인하는 피부 발진. H00035249 H00035249 Active exercise 능동운동 C0419117 [3.0] 1A.9.0026 Focus "환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중력의 영향아래서(이를테면 사지의 무게와 같은 중력을 이겨내고), 또는 중력의 영향을 제거한 조건하에서 행하는 수의운동이다. 지(肢)의 정맥계, 림프계의 순환을 개선하고 부종을 제거하거나 관절가동역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근력증강훈련은 근력3(fair) 정도의 가까스로 항중력운동이 가능한 근에는 효과적이다. 그밖의 경우에는 반쯤 밖에서 도와 주는 개조자조운동 active assistive exercise, 요법사의 도수나 추 등을 부하한 저항자조운동 active resistive exercise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것을 포함해서 넓은 뜻의 자조운동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35533 H00035533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활동활동 C0001288 [3.0] O43.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personal activities to maintain oneself H00035548 H00035548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일상활동장애 C0184556 [3.0] O38.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ability to maintain oneself H00035552 H00035552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deteriorated 일상활동장애 악화됨 [3.0] O38.1.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567 H00035567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improved 일상활동장애 개선됨 [3.0] O38.1.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571 H00035571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stabilized 일상활동장애 안정됨 [3.0] O38.1.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611 H00035611 Activity 활동 C0026607 [3.0] Focus 1) 몸을 움직여 행동함. "2) 동물이나 식물이 생명 현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행동이나 작용을 활발히 함. 또는 그런 일.[표준국어대사전]""" H00035625 H00035625 Activity alteration 활동장애 C0184517 [3.0] A01.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energy used by the body H00035630 H00035630 Activity alteration deteriorated 활동장애 악화됨 [3.0] A01.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644 H00035644 Activity alteration improved 활동장애 개선됨 [3.0] A01.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659 H00035659 Activity alteration stabilized 활동장애 안정됨 [3.0] A01.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663 H00035663 Activity care 활동간호 C0150123 [3.0] A01.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vities performed to carry out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daily activities H00035678 H00035678 Activity component 활동요소 C0184491 [3.0] A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use of energy in carrying out musculoskeletal and bodily actions. H00035697 H00035697 Activity intolerance 활동지속성장애 C0231367 [3.0] A01.1 10000408|10000431 1A.01.01.02.01.01.09.02.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Incapability to carry out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daily activities 생리적 또는 심리적으로 일상활동을 수행할 수 없음 H00035702 H00035702 Activity intolerance deteriorated 활동지속성장애 악화됨 [3.0] A01.1.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717 H00035717 Activity intolerance improved 활동지속성장애 개선됨 [3.0] A01.1.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721 H00035721 Activity intolerance risk 활동지속성장애 위험성 C0150009 [3.0] A01.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an incapacity to carry out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daily activities H00035736 H00035736 Activity intolerance risk deteriorated 활동지속성장애 위험성 악화됨 [3.0] A01.2.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741 H00035741 Activity intolerance risk improved 활동지속성장애 위험성 개선됨 [3.0] A01.2.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755 H00035755 Activity intolerance risk stabilized 활동지속성장애 위험성 안정됨 [3.0] A01.2.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760 H00035760 Activity intolerance stabilized 활동지속성장애 안정됨 [3.0] A01.1.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5885 H00035885 Acupoint 경혈 C0001302 [3.0] Location 經穴 "경락을 따라서 일정한 원리에 의해 분포되어 있는 작은 구멍에 해당하는 곳으로, 몸 밖의 기운과 열락 및 각 장부의 기운이 서로 통하는 자리이며 침구치료의 시술점인 동시에 질병이 발생했을 때, 압통, 과민반응, 경혈부위의 피부색의 변화, 전기저항의 감소 등의 변화 등을 통해 질병의 존재를 알려주는 반응점인 것이다." H00035905 H00035905 Acupuncture 침술 C0394664 [3.0] Means 鍼術 "금속제의 침으로 인체의 일정한 혈자리를 찔러, 각종의 수기법을 침을 통해 운용하여 영위기혈(營衛氣血)을 조정하는 것" H00036248 H00036248 Acute pain control 급성통증조절 C1171175 [3.0] Q47.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physical suffering, hurting, or distress" H00036252 H00036252 Acute pain deteriorated 급성통증 악화됨 [3.0] Q63.1.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6267 H00036267 Acute pain improved 급성통증 개선됨 [3.0] Q63.1.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6271 H00036271 Acute pain stabilized 급성통증 안정됨 [3.0] Q63.1.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37271 H00037271 Acute confusion 급성 혼돈 C1285577 [3.0] 10000449 DC H00039896 H00039896 Acute pain 급성 통증 C0184567 [3.0] R52.0 Q63.1 1000045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Severe pain of limited duration H00042307 H00042268 Adaptation 적응 C0392673 [3.0] 10001741 1A.01.01.02.01.01.08 Focus 대처: 새로운 상황을 관리하려는 것. H00046597 H00046597 Adjustment impairment 적응장애 C0150010 [3.0] E1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Inadequate adjustment to condition or change in health status H00046602 H00046602 Adjustment impairment deteriorated 적응장애 악화됨 [3.0] E12.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46617 H00046617 Adjustment impairment improved 적응장애 개선됨 [3.0] E12.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46621 H00046621 Adjustment impairment stabilized 적응장애 안정됨 [3.0] E12.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47225 H00047225 Admission 입원 C0184666 [3.0] 1000184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0047428 H00047428 Adolescence 청소년기 C0001578 [3.0] 10001858 2B.02.01.01.01.01.01.01.07 Time 발달 시기 H00047451 H00047451 Adolescent 청소년 C0205653 [3.0] 10001862 Client 개인 H00048277 H00048277 Adrenal gland 부신 C1621895 [3.0] Location 콩팥위에 존재하는 피라밋모양의 구조물. 겉질과 속질로 되어 있으며 호르몬의 분비가 주역할. H00048281 H00048277 Adrenal gland 콩팥위샘 C0001625 [3.0] Location 콩팥위에 존재하는 피라밋모양의 구조물. 겉질과 속질로 되어 있으며 호르몬의 분비가 주역할. H00049073 H00049073 Adult day center 주간보호센터 C0184591 [3.0] G17.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direct the provision of a day program for adults in a specific location H00049889 H00049889 Adulthood 성인기 C0700597 [3.0] 10001891 Time 발달 시기 H00050233 H00502291 Adverse drug reaction 약물부작용 C0041755 [3.0] T88.7 10023916 1A.9.0030 Focus 약물에 대한 반응 H00050489 H00050489 Aeration 환기 C2215609 [3.0] Focus 1) 폐에서 혈액에 의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2) 공기에 조직이나 체액을 노출시키거나 " 산소와 이산화탄소 같은 다른 가스를 인위적으로 충전시키는 과정[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050493 H00050489 Aeration 통기 C2215609 [3.0] Focus 1) 폐에서 혈액에 의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2) 공기에 조직이나 체액을 노출시키거나 " 산소와 이산화탄소 같은 다른 가스를 인위적으로 충전시키는 과정[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051117 H00051117 Aerosol 분무제 C0001712 [3.0] 10001940 2C.01.14.13 Means 물질 H00052598 H00052598 Afterpains 후진통 [3.0] 1A.9.0032 Focus "1) 출산후 자궁이 임신전 상태로 되돌아 가기위해 수축할 때 느껴지는 동통으로 산후 2일정도 지속된다. 2) 태반 만출뒤에도 계속해서 나타나게 되는 자궁수축. 자궁으로 부터의 출혈방지, 자궁퇴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0053790 H00053790 Aggressive behavior 공격적 행동 C0001807 [3.0] 10002026 Focus "손상된 행동: 언어적, 신체적 혹은 상징적으로 표현되는 강제적이고 자기독단적인 행동 또는 태도." H00053862 H00053862 Aging 노화 C0001811 [3.0] 10036287 1A.01.01.01.16.02 Focus 신체 과정 H00053916 H00053916 Agitation 초조 C0085631 [3.0] 10002035|10025705 1A.01.01.01.12.03.01.01 Focus|DC "활동과잉: 목적없는 정신 운동 흥분상태, 안절부절한 행동, 왔다 갔다함, 불안, 두려움 또는 정신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경성 긴장의 표출." H00054100 H00054100 Agnosia 실인증 C0001816 [3.0] R48.1 10002042 1A.01.01.02.01.01.02.02.03 Focus "왜곡된 사고 과정: 청각, 시각, 후각, 미각, 혹은 촉각과 관련된 뇌의 손상으로 인해 친숙한 물체나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의 전체 혹은 부분 손실." H00054616 H00054616 Air 공기 C0001861 [3.0] 10002061 1A.02.01.01.02 Focus 개체: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지구를 감싸고 있는 보이지 않는 가스 물질. H00055451 H00055451 Airway clearance impairment 비효율적 기도청결 C0150011 [3.0] L26.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진단(간호진단) Inability to clear secretions/obstructions in airway H00055465 H00055465 Airway clearance impairment deteriorated 비효율적 기도청결 악화됨 [3.0] L26.1.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55470 H00055470 Airway clearance impairment improved 비효율적 기도청결 개선됨 [3.0] L26.1.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55484 H00055484 Airway clearance impairment stabilized 비효율적 기도청결 안정됨 [3.0] L26.1.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56541 H00056541 Albumin 알부민 C0001924 [3.0] 2C.9.0006 Means "분자량 69, 000, 침강 계수 4.6S, 생성률 120~260mg/kg/일(日), 반감기 17~23일이며 혈장단백 중 가장 많은 50~60%를 차지한다. 혈장삼투압(血壓滲透壓)의 80%를 차지하고 또 비특이적(非特異的)인 결합능력이 강하며 호르몬(estrogen, androsterone, progesteron, thyroxin, adrenalin 등), 대사산물(bilirubin, uric acid 등), 약제(penicillin, saicylate, digitoxin, 색소 등) 운반체로서 작용한다. 간 세포에서만 합성되며, 2개의 codominant gene에 지배된다. 생합선이상(生合性異常)으로서 무(無)알부민혈증(analbu-minemia)과 2봉성(峰性) 알부민증(bisalbuminemia)이 있으며, 후자는 혈중 농도는 정상이지만 전기영동(電氣泳動)에서 2개의 피크(Aln, Alsl또는 Aln, Alra)가 있다. 정상치 : 3.5~4.5g/dl, 변동 계수 : 3.4%, 저치(低值) : 신장염, 범발성급성간장애(汎發性急性肝障碍), 간경변, 단백섭취부족, 단백누출성위장증(蛋白漏出性胃腸症).[간호학대사전]" H00057425 H00057425 Alchohol abuse 알코올남용 C0085762 [3.0] N58.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Excessive use of distilled liquors 주류의 과도한 사용 H00057430 H00057430 Alchohol abuse deteriorated 알코올남용 악화됨 [3.0] N58.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57444 H00057444 Alchohol abuse improved 알코올남용 개선됨 [3.0] N58.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57459 H00057459 Alchohol abuse stabilized 알코올남용 안정됨 [3.0] N58.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57478 H02418222 Alcohol abuse 알코올 남용 C0085762 [3.0] F10.1 10002137|10022234 Focus|DC 약물 남용: 알코올의 잘못된 사용. H00057482 H00057482 Alcohol abuse control 알콜남용통제 C1171178 [3.0] N4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void, minimize, or control the use of distilled liquors" H00057632 H02900670 Alcohol dependence 알코올의존 C0001973 [3.0] F10.2 10041375|10041347 Focus|DC 부정적 의존 H00059181 H00059196 Alexia 실독증 C0002018 [3.0] 10002159 1A.01.01.01.12.04.01.01.02 Focus 인상적 언어상실증: 쓰여진 단어를 이해하지 못함. H00059679 H00059679 Alignment 정렬 C1706765 [3.0] Focus 1) 한 줄을 따르는 사물이나 점의 집합 배열. "2) 골절된 뼈의 치유나 치아 교정 같이 적정한 해부학적 위치에 신체 구조를 배치하거나 유지하는 것.[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061211 H00061211 Allergic reaction care 알레르기반응조절 C1171179 [3.0] I26.0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reduce symptoms or precautions to reduce allergies H00061799 H00061799 Allergic reaction 알레르기반응 C1527304 [3.0] 10045862 Focus H00062089 H00062089 Allergy 알레르기 [3.0] 10041119|10029697 1A.9.0010 Focus|DC 손상된 면역계 과정: 외부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 H00062504 H00062504 Allodynia 이질통증 C0458247 [3.0] 10038870|10039934 Focus|DC 통증 H00069193 H00069193 Ambivalence 양가감정 C0233495 [3.0] 10002205 Focus 감정: 같은 대상에 대해 모순되고 반대적인 느낌을 경험하는 상태. H00069251 H00069251 Amblyopia 약시 C0002418 [3.0] Focus "약시란 기질적(器質的) 변화가 없거나 있어도 거기에 따라서 설명이 안되는 시력의 저하를 말한다. 그 시력판정기준은 0.04~0.3까지이고 세계 전인구의 0.66%에 약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성인으로서는 망막황반부 중심의 발육억제설과 기능 억제설이 있는데 아직 불확실한 점이 많다. 진단상으로는 안위(眼位)의 이상(사시, 선천성 안근마비), 안검하수, 선천성 백내장 등의 중간 투광체의 혼탁, 굴절이상 등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된다.[간호학대사전]" H00069396 H00054972 Ambu bag 앰부주머니 C0221812 [3.0] 2C.9.0007 Means "호흡정지시에 사용되는 구급소생백. 구급임상용으로 사용되는 비교적 간단한 기구를 지닌 인공호흡요법기구이고 백에 E2-valve, Ruben valve 등을 부속시킨 것 등, 여러가지의 것이 있다. 백에 O2 flow를 접속시켜 고농도산소흡입도 가능하다.[간호학대사전]" H00069416 H00069416 Ambulance 구급차 C0002422 [3.0] 10002214 2F.02.05 Means 탈것 H00069435 H00069435 Ambulation 보행 C0080331 [3.0] 10020886 1A.01.01.02.02.01.01.08.09.02.S.001 Focus "움직임: 다리를 한걸음씩 움직임으로써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이동하는 것, 몸의 체중을 견디는 능력과 느린, 빠른, 보통의 다양한 속도로 위층, 아래층, 오르막길, 내리막 길을 효율적으로 걸음을 걷는 능력." H00069440 H00069440 Ambulation therapy 보행요법 C0150218 [3.0] A03.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mote walking H00070204 H00070257 Amenorrhea 무월경 C0002453 [3.0] N91.2 Focus 無月經 "월경이 있어야 할 때 나타나지 않는 일. 성상(性狀)에 따라 분류.생리적인 것으로는 사춘기 전의 소녀 무월경, 폐경기 이후의 노년 무월경, 그리고 임신 무월경, 산욕(産褥) 무월경, 수유 무월경이 포함되고, 병적 무월경으로는 자궁성 ·난소성 ·뇌하수체성 ·과여포호르몬성 ·전신 기인성(全身基因性) 등이 있다. " H00072144 H00072178 Amnesia 기억상실 C0002622 [3.0] R41.3 10002233 1A.01.01.02.01.01.04.03 Focus 손상된 기억: 대뇌 손상이나 정서적인 위기와 연관된 기억의 손상. H00072699 H00072699 Amniorrhexis 양막파열 C0948106 [3.0] 1A.9.0504 Focus "태아는 양막 안에 있는 양수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게 되는데, 양막이 파수되는 경우 양수가 새어 나오게 된다. 대개 진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활발한 분만 과정 중에 일어나고, 진통 없이 양막 파수가 먼저 되는 경우를 조기 양막 파수라고 한다. 무색 투명하거나 약간 혼탁한 액체의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양막 파수를 의심한다. 진단은 경부로부터 양수가 흐르는 것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과 이외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나이트라진(nitrazine)검사이다. 나이트라진 검사는 알칼리성 양수의 존재를 나이트라진 종이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노란색의 검사 종이가 질분비물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수가 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072820 H00072820 Amniotic fluid index 양수지수 C0552315 [3.0] Means "모체 복부를 배꼽과 흑선을 중심으로 4등분 한 후에, 각기 등분한 부분에서 가장 큰 양수의 수직선을 확인하고 측정하여 각 등분의 길이를 합친숫자임. 양수량을 측정하는 방법." H00075286 H00075306 Amputation 자름 C0002688 [3.0] 10002246 2C.02.03.04 Means 수술 H00075306 H00075306 Amputation 절단 C0002688 [3.0] 10002246 2C.02.03.04 Means 수술 H00075590 H00075590 Amputation stump 잘린끝 C0002690 [3.0] 1A.01.01.01.12.01.04.S.001 Focus 신체 움직임의 한 형태 : 변형되고 줄어든 신체 말단부(사지); 신체부분의 외과적 절단으로 인한 움직임의 감소 H00075605 H00075590 Amputation stump 절단단 C0002690 [3.0] 1A.01.01.01.12.01.04.S.001 Focus 신체 움직임의 한 형태 : 변형되고 줄어든 신체 말단부(사지); 신체부분의 외과적 절단으로 인한 움직임의 감소 H00077767 H00077786 Anal fistula 치루 C0205929 [3.0] K60.3 Focus 痔漏 항문주위에 고름이 나오는 것 H00077786 H00077786 Anal fistula 항문루 C0205929 [3.0] K60.3 2G.9.0001 Location 항문 가까이에 있는 피부 표면에 누공을 조성한 것으로 직장에 연결된 경우와 연결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H00078057 H00078061 Anal sphincter 항문괄약근 C0002760 [3.0] 10002280 1F.01.03 Location 위장관계 구성요소 H00078061 H00078061 Anal sphincter 항문조임근 C0002760 [3.0] 10002280 1F.01.03 Location 위장관계 구성요소 H00078211 H00078211 Analgesic 진통제 C0002771 [3.0] 10002279 2C.01.14.03 Means 약품 H00078858 H00078824 Anaphylactic shock 아나필락시스쇼크 C0002792 [3.0] T78.2 10002308 1A.01.01.01.02.02.02.01.01 Focus "쇼크: 음식물, 약물, 화학약품, 혹은 다른 물질에서 검출된 항원에 대한 과민성 또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일어나는 급격한 순환 기능부전." H00081996 H02772600 Anemia 빈혈 C0002871 [3.0] D50-D64 Focus 단위부피의 혈액속에 적혈구의 양이 적은 경우. H00083772 H00083772 Anger 분노 C0002957 [3.0] 10002320|10045578 1A.01.01.02.01.01.05.24 Focus|DC 부정적 감정: 내적 혹은 외적인 자극에 대한 정신적 혹은 신체적 반응으로부터 치솟는 불쾌감부터 격노에 이르는 감정. H00088108 H00088108 Animal 동물 C0003062 [3.0] 10002331 1A.02.01.02.01 Focus 생물: 감각 능력과 수의적 운동 능력을 지닌 생명체. H00089651 H00089651 Ankle joint 발목 관절 C0003087 [3.0] 10002354 Location 관절 H00092231 H00092231 Anorectic 식욕억제제 C0003123 [3.0] Means "살빼는 약의 하나이다. 중추성과 말초성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중추흥분성의 아드레날린 작용제(암페타민, 메타암페타민등)가 중추성으로 말초성의 것으로서 소화관 기능을 저하시키는 약물(아트로핀, 스코폴라민 등), 혈당을 상승해 위운동을 억제하는 글루카곤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2279 H00092283 Anorexia 입맛없음 C0003123 [3.0] R63.0 1A.9.0035 Focus "음식물에 대한 욕구의 부족, 상실." H00092283 H00092283 Anorexia 식욕부진 C0003123 [3.0] R63.0 1A.9.0035 Focus "음식물에 대한 욕구의 부족, 상실." H00092356 H00092356 Anorexigenic 식욕억제제 [3.0] Means "살빼는 약의 하나이다. 중추성과 말초성의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중추흥분성의 아드레날린 작용제(암페타민, 메타암페타민등)가 중추성으로 말초성의 것으로서 소화관 기능을 저하시키는 약물(아트로핀, 스코폴라민 등), 혈당을 상승해 위운동을 억제하는 글루카곤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3094 H00093094 Antacid 제산제 C0003138 [3.0] Means "위산을 중화, 흡착하는 약물. 물에 녹는 탄산수소나트륨(흡수되어 알칼로시스를 일으키는 일이 있다), 불용성으로 겔상으로 사용하는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합성규산알루미늄,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흡착, 완하, 점막피복작용을 갖는 것이 많다)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3100 H00093114 Antagonism 길항작용 C0680242 [3.0] Focus 拮抗作用 "1) 한약을 사용할 때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배합하면 약 상호간에 영향을 주게 되며 약리작용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어떤 약물은 그 약성과 특성이 약해지는 경우를 말한다." "2) 상반되는 2가지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그 효과를 서로 상쇄시키는 작용[두산백과]""" H00093114 H00093114 Antagonism 대항작용 C0680242 [3.0] Focus 對抗作用 "1) 한약을 사용할 때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배합하면 약 상호간에 영향을 주게 되며 약리작용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어떤 약물은 그 약성과 특성이 약해지는 경우를 말한다." "2) 상반되는 2가지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그 효과를 서로 상쇄시키는 작용[두산백과]""" H00093129 H00093133 Antagonist 길항제 C0231491 [3.0] 2C.9.0011 Means 독약중화용 치료약물 H00093616 H00093616 Antepartum care 분만전간호 C0033052 [3.0] 1A.9.0036 Focus 산전관리. H00093621 H00093616 Antepartum care 산전간호 C0033052 [3.0] 1A.9.0036 Focus 산전관리. H00096951 H00096951 Antiasthmatic agent 항천식제 C0282556 [3.0] Means "기관지천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이고 세포막의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스를 부활화(賦活化)하는 교감신경자극제(β2-자극제), 항포스모디에스터 레이스 작용이 있는 크산틴계약제 등의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α-차단제, 비만세포의 막을 안정화시켜 발작을 예방하는 크로모글리케이트나트름(인탈), 금제제, 히스타글로빈, 감감작용법에 사용하는 약제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7048 H00097048 Antibiotic 항생제 C0003232 [3.0] 10002383 2C.01.14.05 Means 약품 H00097742 H00097742 Anticancer drug 항암제 [3.0] 2C.9.0034 Means "암뿐만 아니라, 악성종양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화학적 성질에 의하여 세포독으로서 작용하는 것에 알킬화제(나이트로젠마스타드, 트리에티렌메라닝 등), 대사길항제(퓨린대사길항제, 필리미진대사길항제, 엽산대사길항제, 글타민대사길항제), 식물알칼로이드(빈알칼로이드, 코르히틴 등), 항생물질(잘코마이신, 마이트마이신C, 아크티노마이신D, 다우노마이신, 블레오마이신, 다그티노마이신, 네오칼티노스타틴 등), 기타(아스파라기나제, OK-432, 레티닌 등)이 있고, 대부분은 종양세포의 핵산(核酸), 누크레오티도대사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다. 기타, 종양세포의 증식인자를 억제하는 것(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이나 항종양면역촉진제가 있다. 후자는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고 현재 악성종양의 예방요법과 함께 연구중인 약물이다.[간호학대사전]" H00097853 H00097853 Anticholinergic 항콜린약 C0242896 [3.0] Means "부교감신경절후섬유종말에서 아세틸 콜린과 경합적으로 길항하는 이른바 항 무스카린 작용을 지닌 약물이다. 아트로핀, 스코 폴라민이 산동, 진경, 파킨슨병치료에 사용되는데, 이같은 광범위한 작용이 부작용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아트로핀 대용약으로서 호마트로핀, 트로피카마이드가 산동약, 메산테린, 플로판테린이 진경약, 트리핵시페니딜이 파킨슨병 치료약으로 사용되듯이 보다 장기 특이성이 있는 것을 사용하게 되었다.[간호학대사전]" H00097872 H00097853 Anticholinergic 항콜린제 C0242896 [3.0] Means "부교감신경절후섬유종말에서 아세틸 콜린과 경합적으로 길항하는 이른바 항 무스카린 작용을 지닌 약물이다. 아트로핀, 스코 폴라민이 산동, 진경, 파킨슨병치료에 사용되는데, 이같은 광범위한 작용이 부작용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아트로핀 대용약으로서 호마트로핀, 트로피카마이드가 산동약, 메산테린, 플로판테린이 진경약, 트리핵시페니딜이 파킨슨병 치료약으로 사용되듯이 보다 장기 특이성이 있는 것을 사용하게 되었다.[간호학대사전]" H00097926 H00097926 Anticipatory grieving 예기비통 C0150035 [3.0] E53.1 1A.9.0037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Feeling great sorrow before the event or loss 사건 또는 상실 전의 큰 비애감 H00097931 H00097931 Anticipatory grieving deteriorated 예기비통 악화됨 [3.0] E53.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97945 H00097945 Anticipatory grieving improved 예기비통 개선됨 [3.0] E53.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97950 H00097950 Anticipatory grieving stabilized 예기비통 안정됨 [3.0] E53.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098013 H00098032 Anticoagulant 항응고제 C0003280 [3.0] 2C.9.0010 Means "in vivo, in vitro에서 혈액의 응고를 억제,지연,저지하는 물질" H00098124 H00098139 Anticonvulsant 항경련제 C0003286 [3.0] Means "다양한 형태의 간질에서 일어나는 발작의 정도를 완화하거나 발작을 방지하는 약물. 항전간제, 항간질제라고도 함." H00098216 H02881737 Antidepressant 항우울제 C0003289 [3.0] Y11 Means "정신부활약이라고도 하고 억울적인 감정을 억제해 결과적으로 억울상태에서 평상의 감정상태로 끌어 올리는 작용이 있는 감정억제약과 억울적인 감정에 대해서 정신기능에 적극적으로 흥분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부활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감정흥분약 및 정신흥분약으로 분류되는 각성아민(안페타민, 메탄페타민)이 있다. 감정억제약은 구조상, 삼환계(三環系) 항우울제로도 불리고 이미프라민, 데스메털이미프라민, 크로미프라민의 종류, 아미트리프틸린, 노르트리프틸린의 종류 및 독세핀, 오피프라몰, 디메타크린, 프로트리 프틸린 등이 있다. 감정흥분약은 모노아민 옥시 데이스라는 공통의 작용을 지니고 있는 약물이고 사프라딘, 이프로나이아지드, 니알라마이드, 이소카르복사자이드, 트라닐시프로민 등이 있는데 간장애를 일으키기 쉽다. 적용으로서는 각종 우울병의 억울기분, 억제를 제거하고 기분을 높여 불안, 불온을 제거 진정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다.[간호학대사전]" H00098288 H00098292 Antidiarrheal 지사제 C0003292 [3.0] Means 장 자체에 작용하여 장의 이상항진에 의해 설사를 치료하는 데 쓰이는 약제. H00098292 H00098292 Antidiarrheal 설사약 C0003292 [3.0] Means 장 자체에 작용하여 장의 이상항진에 의해 설사를 치료하는 데 쓰이는 약제. H00098384 H00098384 Antidiuretic 항이뇨제 C0596110 [3.0] Means 요의 배설을 억제하는 약제.[농촌진흥청] H00098438 H01722653 Antidote 해독제 C0003295 [3.0] Means 독약중화용 치료약물 H00098572 H00098572 Antiemetic 구토약 C0003297 [3.0] 2C.9.0009 Means "중추성과 말초성의 두 개가 있다. 중추성제토약은 중추신경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바비튜산유도체, 브롬화합물 등의 최면약, 스코포라민 등의 항콜린작용약, 지멘히드리나트 등의 항히스타민제, 클로르프로마진 등의 정온제 등이 있다. 말초성제토제에는 물에 녹기 어려운 아미노안식향산에틸 등의 국소마취제에 의한 위점막마취(胃粘膜痲醉)로 반사성구토억제, 아트로핀 등의 콜린작용약에 의한 위의 운동억제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8591 H00098572 Antiemetic 항구토제 C0003297 [3.0] 2C.9.0009 Means "중추성과 말초성의 두 개가 있다. 중추성제토약은 중추신경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바비튜산유도체, 브롬화합물 등의 최면약, 스코포라민 등의 항콜린작용약, 지멘히드리나트 등의 항히스타민제, 클로르프로마진 등의 정온제 등이 있다. 말초성제토제에는 물에 녹기 어려운 아미노안식향산에틸 등의 국소마취제에 의한 위점막마취(胃粘膜痲醉)로 반사성구토억제, 아트로핀 등의 콜린작용약에 의한 위의 운동억제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8891 H00098891 Antifungal agent 항진균제 C0003308 [3.0] Means "진균의 기생부위에 따라서 표재성과 심재성 진균증으로 나뉘어진다. 전자에 대해서 국소와 전신작용이 후자에 대해서 전신작용이 이루어지는 약물이고 국소에는 일반소비약이, 전신작용에는 항진균성화학요법약이 사용된다. 소독약에는 요드, 수은, 황, 은, 지방족, 방향조, 운데실린산, 나프톨, 톨나프테이트, 키노린, 색소등의 각종제제가 있다. 항생물질엔 니스타틴, 암포테리신, 글리세오플빈, 트리코마이신, 볼레오스라이신, 피마리신, 나라마이신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8930 H00098930 Antigalactic 젖분비억제제 [3.0] Means 유즙의 분비를 감소 또는 멈추게 하는 약제. H00099606 H00099606 Antihistamine 항히스타민제 C0003360 [3.0] Means "생체에 널리 존재하며 알레르기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외에 여러 가지 생리작용을 하는 생체내 아민, 히스타민에 대해 길항작용을 나타내는 약제. 현재 히스타민작용은 2종류로 분류하는데 각종 평활근(기관지, 자궁, 장 등)을 수축시키는 등의 작용을H1라고하고, 위산분비를 항진하는 작용을H2작용이라 하며, 각 작용에길항하는 약제가 알려져 있다. H1 차단약제는 역사도 길어 많은 것이 알려져 있지만 화학구조상으로 분류하면, 에탄올 아민류(디펜히드라민), 알킬류 아민류(클로로페닐아민), 에틸렌디아민류(트리페레나민 등), 피페라딘류(메크리딘 등), 페노티아딘(프로메타딘 등), 기타로 되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099789 H00099793 Antihypertensive drug 항고혈압제 C0003364 [3.0] Means "원인을 알수 있는 고혈압증에 대해서 원인제거를 하는 외과적 처치나 항 아드레날린 작동약, 항 알도스테론으로 치료를 하는데, 원인을 모르는 본태성 고혈압증에 대해서는 대중적으로 항고혈압제를 사용한다. 작용기전은 직접이건 간접이건 말초 혈관 확장과 심박출량 저하에 있다. 강압이뇨약으로서 사이아자이드 화합물(클로로 사이아자이드, 하이드로클로론 사이아자이드, 프로세마니드 등)이 있고 자율신경 계약으로서 레세르핀, 구아네시딘, a메틸도파, 클로니딘, 자율신경절차단 약(헥사 메소늄, 펜트리늄, 메카밀라민 등), 프로프라노롤이 반사성기성에 의한 베라트룸 알칼로이드, 직접 혈관평활근에 작용해서 혈관확장을 나타내는 하이드라진, 중추성으로 작용하는 트란킬라이자, 멥타메이트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은 작용기전을 몇개 합쳐서 지니고있으며 항고혈압 효과도 일종의 약물로는 기대되는 것이 적다. 장기투여의 경우도 많으므로 주의한다.[간호학대사전]" H00099793 H00099793 Antihypertensive drug 고혈압약 C0003364 [3.0] Means "원인을 알수 있는 고혈압증에 대해서 원인제거를 하는 외과적 처치나 항 아드레날린 작동약, 항 알도스테론으로 치료를 하는데, 원인을 모르는 본태성 고혈압증에 대해서는 대중적으로 항고혈압제를 사용한다. 작용기전은 직접이건 간접이건 말초 혈관 확장과 심박출량 저하에 있다. 강압이뇨약으로서 사이아자이드 화합물(클로로 사이아자이드, 하이드로클로론 사이아자이드, 프로세마니드 등)이 있고 자율신경 계약으로서 레세르핀, 구아네시딘, a메틸도파, 클로니딘, 자율신경절차단 약(헥사 메소늄, 펜트리늄, 메카밀라민 등), 프로프라노롤이 반사성기성에 의한 베라트룸 알칼로이드, 직접 혈관평활근에 작용해서 혈관확장을 나타내는 하이드라진, 중추성으로 작용하는 트란킬라이자, 멥타메이트 등이 있다. 이들 약물은 작용기전을 몇개 합쳐서 지니고있으며 항고혈압 효과도 일종의 약물로는 기대되는 것이 적다. 장기투여의 경우도 많으므로 주의한다.[간호학대사전]" H00099871 H00099871 Antiinflammatory agent 항염증제 C0003209 [3.0] Means "국소에 작용하여 염증을 치료하고 방지하는 약.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을 말한다. 조직을 긴축-치밀하게 하여 장액과 점액의 분비를 줄이고, 표면에 있는 작은 혈관에 빈혈을 일으켜 충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염증적 병변을 제거하여 모든 증세를 없앤다. 대부분의 수렴제-완화제-진양제가 이에 속한다. 중요한 성분으로는 알루미늄-비스무트-아연-납화합물(병반-페르마톨-아연화-연당 등) 등이 있다. 작용에 따라 항염증진통제와 항염증효소제로 나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099885 H00099871 Antiinflammatory agent 소염제 C0003209 [3.0] Means "국소에 작용하여 염증을 치료하고 방지하는 약.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을 말한다. 조직을 긴축-치밀하게 하여 장액과 점액의 분비를 줄이고, 표면에 있는 작은 혈관에 빈혈을 일으켜 충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염증적 병변을 제거하여 모든 증세를 없앤다. 대부분의 수렴제-완화제-진양제가 이에 속한다. 중요한 성분으로는 알루미늄-비스무트-아연-납화합물(병반-페르마톨-아연화-연당 등) 등이 있다. 작용에 따라 항염증진통제와 항염증효소제로 나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099890 H00099871 Antiinflammatory agent 염증약 C0003209 [3.0] Means "국소에 작용하여 염증을 치료하고 방지하는 약.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 조직을 긴축-치밀하게 하여 장액과 점액의 분비를 줄이고, 표면에 있는 작은 혈관에 빈혈을 일으켜 충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염증적 병변을 제거하여 모든 증세를 없앰." H00100042 H00100060 Antimicrobial 항미생물제 C1136254 [3.0] Means "세균성질병의 치료에 쓰이는 약제로서 먹이거나 주사 또는 약욕등과 같은 방법으로 병원을 죽이거나 발육을 저지하고, 항생물질, 약제, 설파제 및 nitrofuran제는 주로 먹이거나 주사에 사용함.[농촌진흥청]" H00100060 H00100060 Antimicrobial 항균제 C1136254 [3.0] Means 생물의 생장을 억제하는데 사용되는 제제.[농촌진흥청] H00101130 H00101161 Antipyretic 해열제 C0003419 [3.0] 10037253 2C.9.0012 Means 약품 H00101904 H00101921 Antithrombotic 혈전약 [3.0] Means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 주로 동맥 혈전성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디피리다몰ㆍ아스피린ㆍ티클로피딘(ticlopidine) 따위가 있다.[표준국어대사전]" H00101921 H00101921 Antithrombotic 항혈전제 [3.0] Means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 주로 동맥 혈전성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디피리다몰ㆍ아스피린ㆍ티클로피딘(ticlopidine) 따위가 있다.[표준국어대사전]" H00102132 H00102132 Antituberculosis drug 항결핵제 [3.0] 2C.9.0013 Means "ectious disease Any drug?eg, isoniazid, rifampin, ethambutol, streptomycin, pyrazinamide, ethionamide, para-aminosalicylic acid, kanamycin, cycloserine, capreomycin, ciprofloxacin, amikacin, used to manage TB; multidrug-resistant isolates of M tuberculosis are most often resistant to isoniazid and rifampin.[McGraw-Hill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Medicine. ⓒ 2002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H00102150 H00097742 Antitumor agent 항암제 C0003392 [3.0] 2C.9.0034 Means "암뿐만 아니라, 악성종양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화학적 성질에 의하여 세포독으로서 작용하는 것에 알킬화제(나이트로젠마스타드, 트리에티렌메라닝 등), 대사길항제(퓨린대사길항제, 필리미진대사길항제, 엽산대사길항제, 글타민대사길항제), 식물알칼로이드(빈알칼로이드, 코르히틴 등), 항생물질(잘코마이신, 마이트마이신C, 아크티노마이신D, 다우노마이신, 블레오마이신, 다그티노마이신, 네오칼티노스타틴 등), 기타(아스파라기나제, OK-432, 레티닌 등)이 있고, 대부분은 종양세포의 핵산(核酸), 누크레오티도대사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다. 기타, 종양세포의 증식인자를 억제하는 것(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이나 항종양면역촉진제가 있다. 후자는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고 현재 악성종양의 예방요법과 함께 연구중인 약물이다.[간호학대사전]" H00102163 H00102181 Antitussive 진해제 C0003449 [3.0] Means "기침을 진정시키는 약물. 기침은 기도내이물이나 분비물에 의한 기계적 및 화학적 자극에 의하는 경우와 기도점막의 건조, 염증, 궤양 등의 자극에 따라 기침의 발생을 일으키기 쉬운 경우의 둘이 있다. 이에 따라, 치료의 방법이 달라진다. 원인의 제거가 가장 기본으로 외과적수단, 거담제, 항염증약, 실내의 가습, 정온제 등도 효과가 있다. 대증적으로서의 진해제에는 중추성의 것 (코데인, 모르핀 등의 마약성진해제, 노르카핀, 텍스트로메트로판, 치페피진, 크로펠라스친, 옥솔라민, 알베타펜탄, 아로크라미드 이소아미닐, 에프라지논, 옥셀라진, 크로프치놀, 지메몰판, 피코페리다민(피코펠린) 등의 비마약성진해제와 말초 성의 것(벤조나테이트)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02566 H00102566 Anuria 무뇨 C0003460 [3.0] 1A.9.0038 Focus "1) 신장에 의한 오줌의 분비, 배설이 완전히 억제된 것. 2) 신장으로부터 소변생성이 하루에 200cc 미만인 상태로 이 증상이 지속되면 노폐물질이 체내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사망하게 된다. 신장내의 정상 소변생성은 매 시간 60~120cc이다. 소변내의 이물질은 검사에 의하여 발견되는데, 소변에 혈액이 섞이면 소변이 암갈색으로 변하고, 탁한 흰색의 소변은 농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소변내에 알부민이 있는 경우에도 탁한 색이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0102583 H00102583 Anus 항문 C0003461 [3.0] 10002417 1F.01.05 Location 신체 개구부 H00102647 H00102695 Anxiety 불안 C0003467 [3.0] F41.1 P40.0 10002429|10000477 1A.01.01.02.01.01.05.07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Feeling of distress or apprehension whose source is unknown 원인이 무엇인지 모르는 고통이나 염려 H00102678 H00102678 Anxiety deteriorated 불안 악화됨 [3.0] P40.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02681 H00102681 Anxiety improved 불안 개선됨 [3.0] P40.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02701 H00102701 Anxiety stabilized 불안 안정됨 [3.0] P40.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04849 H00104852 Apathy 무관심 C0085632 [3.0] Focus "무관심, 또는 어떤 자극에 대한 감정의 변화가 없는, 기분의 변화가 더딘 상태." H00104852 H00104852 Apathy 무감동 C0085632 [3.0] Focus "무관심, 또는 어떤 자극에 대한 감정의 변화가 없는, 기분의 변화가 더딘 상태." H00104964 H00104981 Apex 끝 C0687061 [3.0] Location 안건이나 문서 따위를 덧붙임. H00104978 H00104981 Apex 꼭지 C0687061 [3.0] Location 안건이나 문서 따위를 덧붙임. H00105077 H00105077 Apgar score 아프가점수 C0003533 [3.0] 2C.9.0014 Means "아프가지수. 신생아상태의 수적 표현으로서, 보통 생후 6초의 시점에서 결정하며, 심박수(心搏數), 호흡노력, 근육긴장도, 반사감응성 및 피부색평가의 취득총점을 말한다." H00105094 H00467614 Aphagia 연하 불능 C0221470 [3.0] R13 1A.9.0039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0105100 H00467614 Aphagia 못삼킴증 C0221470 [3.0] R13 1A.9.0039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0105113 H00467614 Aphagia 연하불능증 C0221470 [3.0] R13 1A.9.0039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0105131 H00467614 Aphagopraxia 삼킴곤란 [3.0] R13 1A.9.0547.S.001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0105260 H00105260 Aphasia 언어상실증 C0003537 [3.0] 10002438 1A.01.01.01.12.04.01 Focus 손상된 인지: 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언어기능의 결여나 장애. H00105273 H00105260 Aphasia 실어증 C0003537 [3.0] 10002438 1A.01.01.01.12.04.01 Focus 손상된 인지: 말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언어기능의 결여나 장애. H00105676 H02486350 Aphthous ulcer 아프타 궤양 C0038363 [3.0] K12.0 Focus 혀 표면에 작은 궤양이 생기거나 맛을 느끼는 설유두가 염증으로 붉게 솟아오르는 증상[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07770 H00107770 Apparent death 가사 C1963759 [3.0] Focus "외견상으로는 숨도 안 쉬고 심장도 멈춰 죽은 것 같이 보이나, 실제로는 살아 있어 살아날 가능성이 있는 상태. [두산백과]" H00107783 H00107770 Apparent death 겉보기사망 C1963759 [3.0] Focus "외견상으로는 숨도 안 쉬고 심장도 멈춰 죽은 것 같이 보이나, 실제로는 살아 있어 살아날 가능성이 있는 상태. [두산백과]" H00108304 H01801803 Appendix 막창자꼬리 C0003617 [3.0] Location 소장과 대장이 이어지는 곳으로 이것의 돌기는 특별한 기능이 없는 해부학적 구조임. H00108318 H01801803 Appendix 충수 C0003617 [3.0] Location 소장과 대장이 이어지는 곳으로 이것의 돌기는 특별한 기능이 없는 해부학적 구조임. H00108397 H00108402 Appetite 입맛 C0003618 [3.0] 10002455 1A.01.01.01.13.04 Focus 상태: 영양소나 특정 종류의 음식에 대한 신체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갈망. H00108402 H00108402 Appetite 식욕 C0003618 [3.0] 10002455 1A.01.01.01.13.04 Focus 상태: 영양소나 특정 종류의 음식에 대한 신체 요구를 충족시키려는 갈망. H00111605 H00111605 Areola 젖꽃판 C0222608 [3.0] 10002493 Location 신체 부분 H00111619 H00111605 Areola 유륜 C0222608 [3.0] 10002493 Location 신체 부분 H00112450 H01777207 Arm 팔 C1140618 [3.0] 10002504 1F.01.07 Location 신체 부분 H00112477 H01777207 Arm 상지 C1140618 [3.0] 10002504 1F.01.07 Location 신체 부분 H00112513 H00112513 Arm board 팔고정대 C0179137 [3.0] Means "상지판, 상지부목 ,팔받침대, 팔부목." H00112589 H00112589 Arm sling 팔걸이 C0183347 [3.0] 2C.9.0015 Means "An arm sling is a device intended for medical purposes to immobilize the arm, by means of a fabric band suspended from around the neck.[SPN/PT]" H00113144 H00113189 Arrhythmia 부정맥 C0003811 [3.0] I49.9 10002536 1A.01.01.01.02.01.02 Focus "손상된 심장 과정: 심방, 심실 근육 수축 리듬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 H00113855 H00123962 Artefact 인공물 C0085089 [3.0] 10002591 2B.02.01.02 Means 개체 H00113984 H00113984 Arterial catheter care 동맥관간호 C1827892 [3.0] F79.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use of an arterial infusion site H00114908 H00114908 Arteriosclerosis 동맥경화증 C0003850 [3.0] I70 Focus 動脈硬化症 "동맥벽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 변형, 경화된 상태를 말한다. 동맥은 부위, 장기에 따라 다양하며 이에 따라 발생 하는 동맥경화도 꽤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1) 죽상경화(粥狀硬化), 아테롬경화 atherosclerosis(대동맥에서 중등도의 동맥에 일어난다) (2) 세동맥경화arteriolasclerosis(신(賢) 등의 세동맥에 일어나며 고혈압과 밀접하게 관련한다) (3) 멘케벨 그형중막경화 medial sclerosis Monckeberg(사지에 일어나며 석회화가 강하다)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보통 동맥경화라고 하면 죽상경화만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죽상경화에 의한 질환으로는 동맥의 폐색성변화에 의하는 것이 많다. 병인으로서는 역학적 연구에서 연령외에 고혈압, 고지혈증, 끽연, 비만, 당뇨병 등으로 보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15332 H00115296 Arteriovenous fistula 동정맥루 C0003855 [3.0] Q27.3 1A.9.0042 Focus 동맥과 정맥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통로. 손상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선천적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H00115718 H00115718 Artery 동맥 C0003842 [3.0] 10002562 1F.01.08 Location 혈관 H00123962 H00123962 Artifact 인공물 [3.0] 10002591 2B.02.01.02 Means 개체 H00123993 H02748136 Artificial abortion 인공 유산 C0392535 [3.0] P96.4 1A.9.0043 Focus 목적을 가지고 시행하는 유산. H00124058 H00124058 Artificial arm 인공팔 C0182432 [3.0] Means "상지(上肢)의 절단지에 장착하는 것이고 장식의수, 능동의수, 작업의수의 3종류가 있다. 장식의수는 외관을 본래의 손의 모양과 흡사하게 한 것으로 움직임은 없다. 능동의수는 손의 관절부위에서의 내전ㆍ외전운동이나 엄지와 다른 4손가락의 대립운동을, 어깨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끈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행하는 것이다. 작업의수는 외관보다는 능률을 위주로 한 것이고 후크(갈고리모양)형의 손끝으로 물건을 집고 유지 및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동의수나 가스의수 등 동력에 의한 의수의 개발도 진전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24061 H00124058 Artificial arm 인공상지 C0182432 [3.0] Means "상지(上肢)의 절단지에 장착하는 것이고 장식의수, 능동의수, 작업의수의 3종류가 있다. 장식의수는 외관을 본래의 손의 모양과 흡사하게 한 것으로 움직임은 없다. 능동의수는 손의 관절부위에서의 내전ㆍ외전운동이나 엄지와 다른 4손가락의 대립운동을, 어깨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끈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행하는 것이다. 작업의수는 외관보다는 능률을 위주로 한 것이고 후크(갈고리모양)형의 손끝으로 물건을 집고 유지 및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동의수나 가스의수 등 동력에 의한 의수의 개발도 진전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24223 H00124223 Artificial feeding 인공영양 C0085841 [3.0] 1A.9.0044 Focus "모유를 줄 수 없을 때, 모유 이외의 영양식품으로 유아를 기르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모유에 가까운 조성을 지닌 특수조정분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생후 3개월까지는 우유병, 젖꼭지 등, 기구의 소독을 엄중하게 하여야 한다. 수유량은 유아의 식욕에 따라 정하며 순조로운 체중증가가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신생아 감염에 대한 저항성 등의 관점에서 안이하게 모유영양을 포기하고 인공영양으로 전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간호학대사전]" H00124420 H00124075 Artificial joint 인공관절 C0481488 [3.0] Means 오늘날 사용중인 인공관절은 J. Charnley이 개발한 지름 22mm 금속골두대 고밀도폴리에틸렌소켓의 인공고관절이 최초의 것이다. 그 뒤 골시멘트를 사용하지 않는 시멘트레스인공관절도 사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24464 H01408762 Artificial leg 의족 C0524491 [3.0] Means "외상, 종양, 중증 감염증, 기형등으로 사지를 절단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절단한 다리의 결손부에 장착해서 그 기능을 보충하는 것[간호학대사전]" H00124478 H01408762 Artificial leg 인공다리 C0524491 [3.0] Means "외상, 종양, 중증 감염증, 기형등으로 사지를 절단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절단한 다리의 결손부에 장착해서 그 기능을 보충하는 것[간호학대사전]" H00124786 H00124786 Artificial tears 인공눈물 C3853661 [3.0] Means "자연눈물을 대체하기 위한 액체화합물의 혼합물. 즉, 건조한 눈이나 각막염. 결막염 환자의 눈에 떨어뜨려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중합체로 된 약물. " H00125632 H00125632 Ascites 복수 C0003962 [3.0] R18 10041946 1A.01.01.01.07.03.02 Focus "체액 정체: 복부팽만, 부종 및 소변량 감소를 동반한 복강내 수분의 축적상태." H00128031 H00128031 Asphyxia 질식 C0004044 [3.0] R09.0 10019064 1A.01.01.01.01.04.03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폐로 공기 유입의 방해, 호흡의 중단 및 가사." H00128631 H00128631 Aspiration 흡인 C2712334 [3.0] 10002656|10027177 1A.01.01.01.01.04.04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이물질이나 위 내용물의 하부기도 혹은 폐로의 흡입. H00128760 H00128760 Aspiration risk 기도흡인 위험성 C0150012 [3.0] N33.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material into trachea-bronchial passages H00128773 H00128773 Aspiration risk deteriorated 기도흡인 위험성 악화됨 [3.0] N33.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28787 H00128787 Aspiration risk improved 기도흡인 위험성 개선됨 [3.0] N33.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28791 H00128791 Aspiration risk stabilized 기도흡인 위험성 안정됨 [3.0] N33.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159 H00133159 Asse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생활 활동 사정 C0582381 [3.0] O43.1.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162 H00133162 Assess activity care 활동간호 사정 C1160856 [3.0] A01.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176 H00133176 Assess acute pain control 급성통증조절 사정 C1443469 [3.0] Q47.1.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180 H00133180 Assess adult day center 주간보호센터 사정 C1161269 [3.0] G17.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193 H00133193 Assess alcohol abuse control 알콜남용통제 사정 C1443464 [3.0] N40.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09 H00133209 Assess allergic reaction care 알레르기반응조절 사정 [3.0] I26.0.1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12 H00133212 Assess ambulation therapy 보행요법 사정 C1269741 [3.0] A03.1.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26 H00133226 Assess arterial catheter care 동맥관간호 사정 [3.0] F79.3.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30 H00133230 Assess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사용간호 사정 C1160961 [3.0] A03.2.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43 H00133243 Assess bedbound care 침상간호 사정 C1161156 [3.0] A61.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57 H00133257 Assess behavior care 행동간호 사정 C1160858 [3.0] D10.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61 H00133261 Assess bereavement support 사별지지 사정 C1160953 [3.0] E14.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274 H00133274 Assess bill of rights 환자권리 사정 [3.0] G19.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88 H00133288 Assess bladder care 방광간호 사정 C1161197 [3.0] T58.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291 H00133291 Assess bladder instillation 방광점적 사정 C1161199 [3.0] T58.1.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07 H00133307 Assess bladder ostomy care 방광루간호 사정 [3.0] T83.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11 H00133311 Assess bladder ostomy irrigation 방광루세척 사정 [3.0] T83.1.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24 H00133324 Assess bladder training 방광훈련 사정 C1161200 [3.0] T58.2.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38 H00133338 Assess blood pressure 혈압 사정 C1161105 [3.0] K33.1.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41 H00133341 Assess blood specimen care 혈액검사간호 사정 C1272443 [3.0] K32.1.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55 H00133355 Assess bowel care 장간호 사정 C2733648 [3.0] B06.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69 H00133369 Assess bowel ostomy care 장루간호 사정 [3.0] B07.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72 H00133372 Assess bowel ostomy irrigation 장루세척 사정 [3.0] B07.1.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86 H00133386 Assess bowel training 배변훈련 사정 C1160990 [3.0] B06.1.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390 H00133390 Assess breastfeeding support 모유수유지지 사정 C1639143 [3.0] J66.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05 H00133405 Assess breathing exercises 호흡운동 사정 C1161119 [3.0] L36.1.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19 H00133419 Assess burn care 화상간호 사정 [3.0] R81.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22 H00133422 Assess cardiac care 심장간호 사정 C1161000 [3.0] C08.0.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36 H00133436 Assess cardiac rehabilitation 심장재활 사정 C1160962 [3.0] C08.1.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40 H00133440 Assess cast care 석고붕대간호 사정 C1160959 [3.0] A02.1.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53 H00133453 Assess cataract care 백내장간호 사정 C1161179 [3.0] Q50.1.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67 H00133467 Assess chemotherapy care 항암요법간호 사정 C1161036 [3.0] H22.0.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71 H00133471 Assess chest physiotherapy 흉부물리요법 사정 C1161120 [3.0] L36.2.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84 H00133484 Assess chronic pain control 만성통증조절 사정 C1443471 [3.0] Q47.2.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498 H00133498 Assess circulatory care 순환계간호 사정 C1443486 [3.0] S70.0.1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03 H00133503 Assess clinical measurements 임상측정 사정 C1444325 [3.0] K31.4.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17 H00133517 Assess comfort care 안위간호 사정 C1161171 [3.0] Q48.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21 H00133521 Assess communication care 의사소통간호 사정 C1444353 [3.0] M38.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34 H00133534 Assess community special services 지역사회서비스프로그램 사정 C1272400 [3.0] G17.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548 H00133548 Assess compliance care 이행증진간호 사정 C1161275 [3.0] G18.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551 H00133551 Assess compliance with diet 식사이행 사정 C1444254 [3.0] G18.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65 H00133565 Assess compliance with fluid volume 수분섭취이행 사정 C1444257 [3.0] G18.2.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79 H00133579 Assess compliance with medical regimen 의사지시이행 사정 C1444260 [3.0] G18.3.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82 H00133582 Assess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 투약이행 사정 C1444263 [3.0] G18.4.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596 H00133596 Assess compliance with safety precaution 안전주의이행 사정 [3.0] G18.5.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601 H00133601 Assess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 치료지시이행 사정 C1444269 [3.0] G18.6.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615 H00133615 Assess contraception care 피임간호 사정 C1443483 [3.0] U74.3.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629 H00133629 Assess coping support 대처기전지지 사정 C1160864 [3.0] E12.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632 H00133632 Assess counseling service 상담서비스 사정 C1160862 [3.0] E12.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646 H00133646 Assess crisis therapy 위기간호 사정 C1443430 [3.0] E12.3.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650 H00133650 Assess delivery care 분만간호 사정 C1443521 [3.0] U75.3.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663 H00133663 Assessing denture care 의치간호 사정하기 C1161187 [3.0] R53.1.1 10045108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IC H00133677 H00133677 Assess diabetic care 당뇨간호 사정 C1161063 [3.0] I27.0.1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681 H00133681 Assess dialysis care 투석간호 사정 C2733649 [3.0] T59.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694 H00133694 Assess diarrhea care 설사간호 사정 C1443403 [3.0] B06.4.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00 H00133700 Assess disimpaction 매복변제거 사정 C1160955 [3.0] B06.2.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13 H00133713 Assess diversional care 전환간호 사정 [3.0] A77.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27 H00133727 Assess drainage tube care 배액튜브간호 사정 C1161191 [3.0] R55.1.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31 H00133731 Assess dressing change 드레싱교환 사정 C1161192 [3.0] R55.2.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44 H00133744 Assess drug abuse control 약물남용통제 사정 C1443461 [3.0] N40.3.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58 H00133758 Assess dying/death measures 임종과정지원 사정 C1272485 [3.0] E14.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61 H00133761 Assess ear care 귀간호 사정 C1161174 [3.0] Q49.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75 H00133775 Assess edema control 부종조절 사정 C1161185 [3.0] S69.0.1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89 H00133789 Assess emergency care 응급간호 사정 C1161140 [3.0] N41.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792 H00133792 Assessing emotional support 정서적지지 사정하기 C1161004 [3.0] E13.0.1 10030589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IC H00133808 H00133808 Assess enema 관장 사정 [3.0] B06.3.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11 H00133811 Assess energy conservation 에너지보존 사정 C1160957 [3.0] A01.2.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25 H00133825 Assess enteral feeding 위장관영양 사정 C1443438 [3.0] J29.5.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39 H00133839 Assess enteral tube care 위장관간호 사정 C1272424 [3.0] J28.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42 H00133842 Assess enteral tube insertion 위장관삽입 사정 C1272427 [3.0] J28.1.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56 H00133856 Assess enteral tube irrigation 위장관세척 사정 C1272430 [3.0] J28.2.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60 H00133860 Assessing environmental safety 환경안전주의 사정하기 C0558003 [3.0] N42.1.1 1003975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IC H00133873 H00133873 Assess equipment safety 장비안전주의 사정 C1161146 [3.0] N42.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87 H00133887 Assess eye care 눈간호 사정 C1161178 [3.0] Q50.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891 H00133891 Assess family process analysis 가족과정분석 사정 C1443446 [3.0] M39.3.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06 H00133906 Assess feeding technique 영양공급기법 사정 [3.0] J29.2.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10 H00133910 Assess fertility care 수정간호 사정 C1443477 [3.0] U74.1.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23 H00133923 Assess fluid therapy 수액요법 사정 [3.0] F15.0.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937 H00133937 Assess foot care 발간호 사정 C1161195 [3.0] S56.0.1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41 H00133941 Assess fracture care 골절간호 사정 C2733647 [3.0] A02.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3954 H00133954 Assess funeral arrangements 장례준비 사정 C1161057 [3.0] E14.3.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68 H00133968 Assess gastric care 위간호 사정 C1443406 [3.0] B62.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71 H00133971 Assess growth and development care 성장발달간호 사정 [3.0] U76.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85 H00133985 Assess health aide service 간호보조서비스 사정 [3.0] G21.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3999 H00133999 Assess health history 건강력 사정 [3.0] K31.1.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05 H00134005 Assess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 사정 C1161232 [3.0] K31.2.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19 H00134019 Assess hearing aid care 보청기간호 사정 C1161175 [3.0] Q49.1.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22 H00134022 Assess hemodialysis care 혈액투석간호 사정 [3.0] T59.1.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36 H00134036 Assess hemodynamic care 혈류역학간호 사정 [3.0] F79.0.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40 H00134040 Assess home situation analysis 가정상태분석 사정 [3.0] M39.1.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53 H00134053 Assess hospice 호스피스 사정 [3.0] G17.2.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67 H00134067 Assess hydration control 체액균형조절 사정 C1272394 [3.0] F15.1.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071 H00134071 Assess immobilizer care 부동간호 사정 C1160967 [3.0] A02.2.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84 H00134084 Assess immunologic care 면역학적간호 사정 [3.0] I65.0.1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098 H00134098 Assess incision care 절개부위간호 사정 C1161194 [3.0] R55.3.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03 H00134103 Assess individual safety 개별안전주의 사정 C1161149 [3.0] N42.3.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17 H00134117 Assess infection control 감염통제 사정 C1161080 [3.0] K30.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21 H00134121 Assess infertility care 불임간호 사정 C1443480 [3.0] U74.2.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34 H00134134 Assess inhalation therapy 흡입치료 사정 C1161122 [3.0] L36.3.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48 H00134148 Assess injection administration 주사 사정 C1161038 [3.0] H23.0.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51 H00134151 Asses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도구적일상활동활동 사정 C1161154 [3.0] O43.2.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65 H00134165 Assess intake 섭취 사정 [3.0] F15.3.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179 H00134179 Assess interpersonal dynamics analysis 대인관계분석 사정 [3.0] M39.2.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82 H00134182 Assess intravenous care 정맥내주입간호 사정 C1161017 [3.0] F79.1.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196 H00134196 Assess labor care 분만간호 사정 C1443524 [3.0] U75.2.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01 H00134201 Assess meals on wheels 식사배달서비스 사정 [3.0] G17.3.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15 H00134215 Assess medical regimen orders 의사지시 사정 C1444284 [3.0] G20.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229 H00134229 Assess medication actions 투약행위 사정 C1443533 [3.0] H24.1.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32 H00134232 Assess medication care 투약간호 사정 C1443529 [3.0] H24.0.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46 H00134246 Assess medication prefill preparation 연속투약준비 사정 C1161046 [3.0] H24.2.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50 H00134250 Assessing medication side effect 투약부작용 사정하기 C1161049 [3.0] H24.3.1 10039087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IC H00134263 H00134263 Assess medication treatment 투약치료 사정 C1161044 [3.0] H23.4.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77 H00134277 Assess memory loss care 기억상실간호 사정 C1443429 [3.0] D64.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81 H00134281 Assess mental health history 정신건강력 사정 [3.0] P45.1.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294 H00134294 Assess mental health promotion 정신건강증진 사정 C1444365 [3.0] P45.2.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00 H00134300 Assess mental health screening 정신건강선별검사 사정 C1444368 [3.0] P45.3.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13 H00134313 Assess mental health treatment 정신건강치료 사정 C1444371 [3.0] P45.4.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27 H00134327 Assess mental healthcare 정신건강간호 사정 [3.0] P45.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31 H00134331 Assess mobility therapy 이동요법 사정 C1269739 [3.0] A03.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44 H00134344 Assess mouth care 구강간호 사정 C1161186 [3.0] R53.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58 H00134358 Assess musculoskeletal care 재활간호 사정 C1443400 [3.0] A05.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61 H00134361 Assess nausea care 오심간호 사정 C1443409 [3.0] B62.1.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75 H00134375 Assess neurological system care 신경계간호 사정 [3.0] D78.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89 H00134389 Assess nurse specialist service 전문간호서비스 사정 C1444293 [3.0] G21.3.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392 H00134392 Assess nursing care coordination 치료조정간호활동 사정 [3.0] G19.2.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08 H00134408 Assess nursing contact 간호사접촉 사정 C1444273 [3.0] G19.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411 H00134411 Assess nursing status report 간호상태보고 사정 C1444278 [3.0] G19.3.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25 H00134425 Assess nutrition care 영양간호 사정 C1444311 [3.0] J29.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39 H00134439 Assess occupational therapist service 직업치료서비스 사정 C1444296 [3.0] G21.4.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42 H00134442 Assess output 배설 사정 [3.0] F15.4.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456 H00134456 Assess oxygen therapy care 산소요법 사정 C1161117 [3.0] L35.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60 H00134460 Assess pacemaker care 심박조율기간호 사정 C1444239 [3.0] C09.0.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73 H00134473 Assess pain control 통증조절 사정 C1161170 [3.0] Q47.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87 H00134487 Assess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영양 사정 C1443439 [3.0] J29.6.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491 H00134491 Assess perinatal care 주산기간호 사정 C1443516 [3.0] U75.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06 H00134506 Assess perineal care 회음부간호 사정 C1444388 [3.0] S57.0.1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10 H00134510 Assess perioperative injury care 수술주기손상간호 사정 [3.0] N80.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23 H00134523 Assess peritoneal dialysis care 복막투석간호 사정 [3.0] T59.2.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37 H00134537 Assess personal care 개인간호 사정 C1161151 [3.0] O43.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41 H00134541 Assess physical examination 신체검진 사정 C1444322 [3.0] K31.3.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54 H00134554 Assess physical healthcare 신체건강간호 사정 [3.0] K31.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68 H00134568 Assess physical therapist service 물리치료서비스 사정 C1444299 [3.0] G21.5.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571 H00134571 Assess physician contact 의사접촉 사정 C1444281 [3.0] G20.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585 H00134585 Assess physician status report 의사의환자상태보고 사정 C1444287 [3.0] G20.2.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599 H00134599 Assess positioning therapy 체위간호 사정 C1444359 [3.0] A61.1.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04 H00134604 Assess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 사정 C1443527 [3.0] U75.4.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18 H00134618 Assess pregnancy care 임신간호 사정 [3.0] U75.1.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21 H00134621 Assess pressure ulcer care 욕창간호 사정 C1161180 [3.0] R51.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35 H00134635 Assess pressure ulcer stage 1 care 욕창간호1단계 사정 C1161181 [3.0] R51.1.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49 H00134649 Assess pressure ulcer stage 2 care 욕창간호2단계 사정 C1161182 [3.0] R51.2.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52 H00134652 Assess pressure ulcer stage 3 care 욕창간호3단계 사정 C1161183 [3.0] R51.3.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66 H00134666 Assess pressure ulcer stage 4 care 욕창간호4단계 사정 C1161184 [3.0] R51.4.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70 H00134670 Assess professional/ancillary service 전문/보조서비스 사정 [3.0] G21.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83 H00134683 Assess psychosocial care 심리사회적간호 사정 C1455743 [3.0] M39.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697 H00134697 Assess pulmonary care 호흡기계간호 사정 C1444344 [3.0] L36.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02 H00134702 Assess pulse 맥박 사정 C0034107 [3.0] K33.3.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16 H00134716 Assess radiation therapy care 방사선치료간호 사정 C1444308 [3.0] H25.0.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20 H00134720 Assess range of motion 근관절범위운동 사정 C1444228 [3.0] A05.1.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33 H00134733 Assess reality orientation 현실감지남력 사정 C1160860 [3.0] D11.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47 H00134747 Assess regular diet 보통식사 사정 C1444314 [3.0] J29.3.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51 H00134751 Assess rehabilitation exercise 재활운동 사정 C1444231 [3.0] A05.2.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64 H00134764 Assess renal care 신장간호 사정 C1443495 [3.0] T73.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78 H00134778 Assess reproductive care 재생산간호 사정 C1443474 [3.0] U74.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81 H00134781 Assess respiration 호흡 사정 C1272359 [3.0] K33.4.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795 H00134795 Assess respiratory therapist service 호흡치료서비스 사정 [3.0] G21.7.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01 H00134801 Assess safety precautions 안전주의 사정 C1272367 [3.0] N42.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14 H00134814 Assess sexual behavior analysis 성행위분석 사정 C1443449 [3.0] M39.4.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28 H00134828 Assess skin breakdown control 피부손상조절 사정 C1444385 [3.0] R54.1.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31 H00134831 Assess skin care 피부간호 사정 C1444383 [3.0] R54.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45 H00134845 Assess sleep pattern control 수면양상조절 사정 C1444222 [3.0] A04.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59 H00134859 Assess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망분석 사정 C1443452 [3.0] M39.5.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62 H00134862 Assess social worker service 사회복지서비스 사정 [3.0] G21.2.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76 H00134876 Assess special diet 치료식 사정 C1161078 [3.0] J29.4.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80 H00134880 Assess specimen care 검체간호 사정 C1272440 [3.0] K32.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893 H00134893 Assess speech therapist service 언어치료서비스 사정 C1444302 [3.0] G21.6.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909 H00134909 Assess spiritual comfort 영적안위 사정 C1444246 [3.0] E13.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912 H00134912 Assess sputum specimen care 가래검사간호 사정 C1443442 [3.0] K32.5.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926 H00134926 Assess stool specimen care 대변검사간호 사정 C1272446 [3.0] K32.2.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930 H00134930 Assess stress control 스트레스조절 사정 C1444244 [3.0] E12.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943 H00134943 Assess substance abuse control 물질남용통제 사정 C1443455 [3.0] N40.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957 H00134957 Assess temperature 체온 사정 C1444331 [3.0] K32.2.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961 H00134961 Assess terminal care 임종간호 사정 C1161006 [3.0] E14.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34974 H00134974 Assess tobacco abuse control 담배남용통제 사정 [3.0] N40.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988 H00134988 Assess tracheostomy care 기관절개술간호 사정 C1444350 [3.0] L37.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4991 H00134991 Assess transfer care 이동간호 사정 C1444219 [3.0] A03.3.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08 H00135008 Assess universal precautions 일반적주의 사정 C1444319 [3.0] K30.1.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11 H00135011 Assess urinary catheter care 도뇨관간호 사정 C1444390 [3.0] T60.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25 H00135025 Assess urinary catheter insertion 도뇨관삽입 사정 C1444393 [3.0] T60.1.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39 H00135039 Assess urinary catheter irrigation 도뇨관세척 사정 C1444396 [3.0] T60.2.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42 H00135042 Assess urinary incontinence care 요실금간호 사정 C1443492 [3.0] T72.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56 H00135056 Assess urine specimen care 소변검사간호 사정 C1272449 [3.0] K32.3.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60 H00135060 Assess vascular system care 혈관계간호 사정 [3.0] S82.0.1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73 H00135073 Assess venous catheter care 정맥관간호 사정 C1444249 [3.0] F79.2.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87 H00135087 Assess ventilator care 인공호흡기간호 사정 C1444347 [3.0] L36.4.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091 H00135091 Assess violence control 폭력조절 사정 C1444374 [3.0] N68.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106 H00135106 Assess vision care 시력간호 사정 C1443417 [3.0] Q50.2.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110 H00135110 Assess vital signs 활력징후 사정 C2739812 [3.0] K33.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123 H00135123 Assess wandering control 배회간호 사정 C1443424 [3.0] D63.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137 H00135137 Assess wax removal 귀이지제거 사정 C1444380 [3.0] Q49.2.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141 H00135141 Assess weight control 체중조절 사정 C1444339 [3.0] J67.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154 H00135154 Assess wound care 상처간호 사정 C1161209 [3.0] R55.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0135168 H00135168 Assessment 평가 C0220825 [3.0] 1A.9.0045 Focus 사정함 H00135171 H00135168 Assessment 사정 C0220825 [3.0] 1A.9.0045 Focus 사정함 H00135266 H00135266 Assist device 보조기구 [3.0] 1A.9.0014 Focus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35364 H00135364 Assister 보조기 [3.0] 1A.9.0014 Focus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35381 H02207577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사용간호 C0556538 [3.0] A03.2 10002878|10039158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Means|IC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use of products to aid in caring for oneself H00135561 H00135561 Association disturbance 연상장애 [3.0] 1A.9.0047 Focus 손상된 인지 H00136319 H00136319 Astigmatism 난시 C0004106 [3.0] H52.2 Focus 亂視 물체가 일그러지든가 형태가 이상하게 보이는 것 H00137048 H00137034 Asystole 심장무수축 C0018790 [3.0] 1A.9.0083 Focus 심장 박동의 정지 또는 결여. Beau's syndrome으로도 불림. H00137146 H00137311 Ataxia 실조 C0004134 [3.0] R27.0 1A.9.0048 Focus "1) 근육상호협조의 결여, 또는 근육기능의 불규칙. 2) 근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에 관여하는 근군(筋群)의 상호협조가 유지되지 않고 원활한 운동에 장애를 받고 있는 상태. 주요 유형으로 아래의 4형이 있다. (1) 척수성실조증 : 척수에서의 심부지각로(주로 후색)의 장애에 기인한다. 시각에 의한 대상이 가능하고 폐안에 의해 증강한다(Romberg 징후양성). 척수로(脊髓癆), 프리드라이히 실조증, 아급성 연합성 척수변성증 등에서 볼 수 있다. (2) 소뇌성(小腦性) 실조증 : 소뇌의 장애에 의해 병소측에 출현하는 것으로 운동시에 뚜렷해진다(만취보행, 전완회내ㆍ회외운동의 장애). 폐안에 따른 증강은 없다. 소뇌변성증등. (3) 대뇌성 실조증 : 대뇌피질에서 소뇌에 이르는 연합섬유의 장애에 따른 것. 소뇌성실조와 비슷한데, 병소와 반대쪽에 출현한다. 주로 전두엽의 혈관성장애, 종양등. (4) 미로성 실조증 : 전정미로기관의 장애에 기인한다. 체간의 실조가 주이고 편측성이면서 병소측으로 쓰러지기 쉽다. 신경이(神經耳) 과학적검사, 전정기능검사에 의해 진단된다.[간호학대사전]" H00137150 H00137311 Ataxia 조화운동불능 C0004134 [3.0] R27.0 1A.9.0048 Focus "1) 근육상호협조의 결여, 또는 근육기능의 불규칙. 2) 근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에 관여하는 근군(筋群)의 상호협조가 유지되지 않고 원활한 운동에 장애를 받고 있는 상태. 주요 유형으로 아래의 4형이 있다. (1) 척수성실조증 : 척수에서의 심부지각로(주로 후색)의 장애에 기인한다. 시각에 의한 대상이 가능하고 폐안에 의해 증강한다(Romberg 징후양성). 척수로(脊髓癆), 프리드라이히 실조증, 아급성 연합성 척수변성증 등에서 볼 수 있다. (2) 소뇌성(小腦性) 실조증 : 소뇌의 장애에 의해 병소측에 출현하는 것으로 운동시에 뚜렷해진다(만취보행, 전완회내ㆍ회외운동의 장애). 폐안에 따른 증강은 없다. 소뇌변성증등. (3) 대뇌성 실조증 : 대뇌피질에서 소뇌에 이르는 연합섬유의 장애에 따른 것. 소뇌성실조와 비슷한데, 병소와 반대쪽에 출현한다. 주로 전두엽의 혈관성장애, 종양등. (4) 미로성 실조증 : 전정미로기관의 장애에 기인한다. 체간의 실조가 주이고 편측성이면서 병소측으로 쓰러지기 쉽다. 신경이(神經耳) 과학적검사, 전정기능검사에 의해 진단된다.[간호학대사전]" H00137163 H00137311 Ataxia 운동실조 C0004134 [3.0] R27.0 1A.9.0048 Focus "1) 근육상호협조의 결여, 또는 근육기능의 불규칙. 2) 근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에 관여하는 근군(筋群)의 상호협조가 유지되지 않고 원활한 운동에 장애를 받고 있는 상태. 주요 유형으로 아래의 4형이 있다. (1) 척수성실조증 : 척수에서의 심부지각로(주로 후색)의 장애에 기인한다. 시각에 의한 대상이 가능하고 폐안에 의해 증강한다(Romberg 징후양성). 척수로(脊髓癆), 프리드라이히 실조증, 아급성 연합성 척수변성증 등에서 볼 수 있다. (2) 소뇌성(小腦性) 실조증 : 소뇌의 장애에 의해 병소측에 출현하는 것으로 운동시에 뚜렷해진다(만취보행, 전완회내ㆍ회외운동의 장애). 폐안에 따른 증강은 없다. 소뇌변성증등. (3) 대뇌성 실조증 : 대뇌피질에서 소뇌에 이르는 연합섬유의 장애에 따른 것. 소뇌성실조와 비슷한데, 병소와 반대쪽에 출현한다. 주로 전두엽의 혈관성장애, 종양등. (4) 미로성 실조증 : 전정미로기관의 장애에 기인한다. 체간의 실조가 주이고 편측성이면서 병소측으로 쓰러지기 쉽다. 신경이(神經耳) 과학적검사, 전정기능검사에 의해 진단된다.[간호학대사전]" H00137194 H00137311 Ataxia 조화운동못함증 C0004134 [3.0] R27.0 1A.9.0048 Focus "1) 근육상호협조의 결여, 또는 근육기능의 불규칙. 2) 근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동에 관여하는 근군(筋群)의 상호협조가 유지되지 않고 원활한 운동에 장애를 받고 있는 상태. 주요 유형으로 아래의 4형이 있다. (1) 척수성실조증 : 척수에서의 심부지각로(주로 후색)의 장애에 기인한다. 시각에 의한 대상이 가능하고 폐안에 의해 증강한다(Romberg 징후양성). 척수로(脊髓癆), 프리드라이히 실조증, 아급성 연합성 척수변성증 등에서 볼 수 있다. (2) 소뇌성(小腦性) 실조증 : 소뇌의 장애에 의해 병소측에 출현하는 것으로 운동시에 뚜렷해진다(만취보행, 전완회내ㆍ회외운동의 장애). 폐안에 따른 증강은 없다. 소뇌변성증등. (3) 대뇌성 실조증 : 대뇌피질에서 소뇌에 이르는 연합섬유의 장애에 따른 것. 소뇌성실조와 비슷한데, 병소와 반대쪽에 출현한다. 주로 전두엽의 혈관성장애, 종양등. (4) 미로성 실조증 : 전정미로기관의 장애에 기인한다. 체간의 실조가 주이고 편측성이면서 병소측으로 쓰러지기 쉽다. 신경이(神經耳) 과학적검사, 전정기능검사에 의해 진단된다.[간호학대사전]" H00139920 H00139920 Atrial fibrillation 심방세동 C0004238 [3.0] 1A.9.0049 Focus "심방에서 발생되는 몹시 빠르고 불규칙한 이소성 자극에 의하여 심방의 근섬유가 대단히 빠른 빈도로 제각기 수축하게 되며, 빠르고 불규칙한 리듬때문에 심방 표면이 떨리게 되는 상태의 부정맥." H00139933 H00139920 Atrial fibrillation 심방잔떨림 C0004238 [3.0] 1A.9.0049 Focus "심방에서 발생되는 몹시 빠르고 불규칙한 이소성 자극에 의하여 심방의 근섬유가 대단히 빠른 빈도로 제각기 수축하게 되며, 빠르고 불규칙한 리듬때문에 심방 표면이 떨리게 되는 상태의 부정맥." H00139964 H00139978 Atrial flutter 심방된떨림 C0004239 [3.0] Focus 심방이 1분간에 250∼350의 빈도로 규칙적으로 수축하는 상태. H00139978 H00139978 Atrial flutter 심방조동 C0004239 [3.0] Focus 심방이 1분간에 250∼350의 빈도로 규칙적으로 수축하는 상태. H00140495 H00140545 Atrioventricular block 방실 차단 C0004245 [3.0] I44.3 Focus 정상적으로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가 방실결절을 통한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실로 내려가는 과정에 이상이 있는 경우. H00141355 H00141355 Atrophy 위축 C0333641 [3.0] Focus "기관이나 조직의 기능, 부피, 수가 감소하는 상태로서 세포의 기능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 H00141681 H00141681 Attachment 애착 C0237497 [3.0] 10002897 Focus 행동: 애정 넘치는 유대관계. H00141758 H00141758 Attack 발작 C0014544 [3.0] Focus 질병의 급격한 발작 또는 재발. H00141873 H00141873 Attention 주의력 C0004268 [3.0] 10002924 Focus 집중: 목적있는 정보의 수용과 처리과정. H00141891 H00141873 Attention 집중력 C0004268 [3.0] 10002924 Focus 집중: 목적있는 정보의 수용과 처리과정. H00142232 H00142232 Attitude 태도 C0004271 [3.0] 10002930 Focus 심리적 과정: 정신적 모델과 견해. H00142358 H00142358 Attribute 속성 C0449234 [3.0] 1A.9.0050 Focus 특성(特性) H00143401 H00143401 Auditory alteration 청각장애 C0260662 [3.0] Q44.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diminished ability to hear H00143414 H00143414 Auditory alteration deteriorated 청각장애 악화됨 [3.0] Q44.1.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43428 H00143428 Auditory alteration improved 청각장애 개선됨 [3.0] Q44.1.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43431 H00143431 Auditory alteration stabilized 청각장애 안정됨 [3.0] Q44.1.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44398 H00144398 Aura 조짐 C0236018 [3.0] 1A.9.0192 Focus "전조(前兆)라고도 한다. 간질발작의 직전 수초에서 1분간정도에 볼 수 있는 증상이고 뇌가 있는 부분의 자극 또는 기능탈락의 증상이다. (1) 자율계전조(嘔氣, 복통, 두통, 현기증 등), (2) 감각성전조(視, 聴、嗅覺등의 이상 감각), (3) 운동성전조(手ㆍ足ㆍ口周部의 근수축), (4) 정신성전조(데자뷰=旣視感 불안, 익스터시 등) 등이 있다. 소발작군에서는 전조를 수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간호학대사전]" H00144952 H00140545 Auriculoventricular block 방실차단 [3.0] I44.3 Focus 정상적으로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가 방실결절을 통한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실로 내려가는 과정에 이상이 있는 경우. H00145213 H00145213 Autism 자폐증 C0004352 [3.0] F84.0-F84.1 Focus 1) 외계와의 접촉에 등을 돌리고 자기안에 틀어 박하는 비현실적 심성[간호학대사전] 2) 신체적 사회적 언어적으로 상호작용에서 이해 능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신경발달의 장애[두산백과] 3) 사회 기술 언어 의사 소통 발달 등에 있어서 지연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기능을 보이는 발달 장애. 자폐증은 3세 이전부터 언어 표현-이해 어머니와의 애착 행동 사람들과의 놀이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3세 이후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의 현저한 부족 상동증(반복행동) 놀이행동의 심한 위축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함께 나타나는 발달 상의 장애이며 " 전반적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45227 H00145244 Autistic disorder 자폐병 C0004352 [3.0] F84.0 Focus 1) 외계와의 접촉에 등을 돌리고 자기안에 틀어 박하는 비현실적 심성[간호학대사전] 2) 신체적 사회적 언어적으로 상호작용에서 이해 능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신경발달의 장애[두산백과] 3) 사회 기술 언어 의사 소통 발달 등에 있어서 지연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기능을 보이는 발달 장애. 자폐증은 3세 이전부터 언어 표현-이해 어머니와의 애착 행동 사람들과의 놀이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3세 이후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의 현저한 부족 상동증(반복행동) 놀이행동의 심한 위축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함께 나타나는 발달 상의 장애이며 " 전반적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45231 H00145244 Autistic disorder 자폐장애 C0004352 [3.0] F84.0 Focus 1) 외계와의 접촉에 등을 돌리고 자기안에 틀어 박하는 비현실적 심성[간호학대사전] 2) 신체적 사회적 언어적으로 상호작용에서 이해 능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신경발달의 장애[두산백과] 3) 사회 기술 언어 의사 소통 발달 등에 있어서 지연되거나 또는 비정상적인 기능을 보이는 발달 장애. 자폐증은 3세 이전부터 언어 표현-이해 어머니와의 애착 행동 사람들과의 놀이에 대한 관심이 저조해지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3세 이후에는 또래에 대한 관심의 현저한 부족 상동증(반복행동) 놀이행동의 심한 위축 인지 발달의 저하 등이 함께 나타나는 발달 상의 장애이며 " 전반적 발달장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45924 H00145924 Autoimmunity 자가면역 C0004368 [3.0] Focus 자신의 조직 성분에 대하여 면역을 일으키거나 과민성인 상태. 외부에서 들어온 세균이나 이물질에 대항하는 면역세포가 주인세포를 공격하는 것. H00146331 H00146331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외부형자동세동제거기 C0180309 [3.0] Means 심장근육에 전기파동을 보내서 심장박동이 정상으로 돌아가도록 설계된 도구. H00146511 H00146511 Autonomic dysreflexia 자율반사장애 C0238015 [3.0] K25.1 10003049|10000496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Life-threatening inhibited sympathetic response to noxious stimuli in a person with a spinal cord injury at or above T7 H00146524 H00146524 Autonomic dysreflexia deteriorated 자율반사장애 악화됨 [3.0] K25.1.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46538 H00146538 Autonomic dysreflexia improved 자율반사장애 개선됨 [3.0] K25.1.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46541 H00146541 Autonomic dysreflexia stabilized 자율반사장애 안정됨 [3.0] K25.1.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46846 H00146846 Autonomy 자율성 C0085862 [3.0] 10003054 Focus "환자권리: 자신을 스스로 관리, 통제하고 주도하는 상태." H00148144 H00148144 Aversion therapy 혐오요법 C0004415 [3.0] 94.33 Means "행동요법의 하나. 오페란트요법은 보수-행동유지의 방법인데, 이 요법은 벌-행동소멸의 반대의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에게 부적응 대상인 물품이나 그 슬라이드 등을 제시하거나 이미지로서 떠올리게 하고 그때 동시에 혐오자극으로서 전류를 흘리거나 한다. 비후에 불안이 있을 때에는 증후이동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고 강박적 습관이 있는 환자에 대한 적응은 어려운 것 등의 결점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49120 H00149133 Avoidance 회피 C0870186 [3.0] 1A.9.0051 Focus "불안, 위험, 공포,.동통 등에서 회피하려고 행하는 의식적, 무의식적인 방어반응." H00149312 H00149312 Awareness 인식 C0004448 [3.0] 10003083 Focus 인지 H00149746 H00149746 Axilla 겨드랑 C0004454 [3.0] T22 10003096 Location 신체 부분 H00153096 H00153096 Babinski reflex 바빈스키 반사 C0034935 [3.0] Focus "발바닥의 바깥쪽을 바늘이나 해머자루 등으로, 발꿈치에서 발가락쪽 방향으로 문지르면 엄지발가락이 등쪽으로 굽고 다른 발가락은 부채살처럼 펼쳐지는 현상(funning sign)." H00153115 H00153115 Baby 아기 C0021270 [3.0] 10010060 2B.02.01.01.01.01.01.01.03 Focus 개인 H00153701 H00153701 Back 등 C0004600 [3.0] 10003106 1F.02.01 Location 신체 부분 H00153924 H00153924 Backache 요통 C0004604 [3.0] Focus 허리가 아픈 증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 H00157777 H00157777 Balance 평형 C0014653 [3.0] 10003110 1B.9.0036 Focus "상태: 움직이기, 서기, 앉아있기 혹은 누워있기 위한 신체의 견고함과 근육, 뼈 및 관절의 협동작용." H00157781 H00157777 Balance 균형 C0014653 [3.0] 10003110 1B.9.0036 Focus "상태: 움직이기, 서기, 앉아있기 혹은 누워있기 위한 신체의 견고함과 근육, 뼈 및 관절의 협동작용." H00158539 H00158539 Ballooning 풍선확장 C0004704 [3.0] Action 수행함 H00158833 H00158833 Bandage 붕대 C0004726 [3.0] 10003123 2C.01.02 Means 상처 드레싱 H00160417 H00160417 Barium enema 바륨관장 C0203075 [3.0] Means "대장질환 확진에 가장 유용한 것으로 저농도의 바륨을 800~1, 000㎖ 주입하여 충만상을 촬영한다. 그 후 바륨을 배출시킨 후 촬영을 하고 이어서 공기를 주입하여 잔존바륨이 벽에 부착하고 있는 상황하에 신전상황(伸展狀況), 점막의 상태 등을 확진코자 하는 법이다. 고농도 바륨을 그대로 사용하여 장내벽과 미세구조를 진단하는 법이 현재 널리 행하여 지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60918 H00160921 Barrier 장벽 C1706912 [3.0] Means "장벽, 방해물, 장애물, 차폐물, 울타리, 간벽, 관문." H00160921 H00160921 Barrier 방벽 C1706912 [3.0] Means "장벽, 방해물, 장애물, 차폐물, 울타리, 간벽, 관문." H00164131 H00164131 Bath 목욕 C0150141 [3.0] 1A.9.0052 Focus 치료 또는 청결을 목적으로 신체에 전도성 또는대류성매질(對流性媒質)을 적용하는 것. H00164175 H00164175 Bathing/hygiene deficit 목욕/개인위생결핍 C0231370 [3.0] O35.0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진단(간호진단) Impaired ability to cleanse oneself H00164189 H00164189 Bathing/hygiene deficit deteriorated 목욕/개인위생결핍 악화됨 [3.0] O35.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64192 H00164192 Bathing/Hygiene deficit improved 목욕/개인위생결핍 개선됨 [3.0] O35.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64208 H00164208 Bathing/Hygiene deficit stabilized 목욕/개인위생결핍 안정됨 [3.0] O35.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65066 H00165049 Bed 침대 C0004916 [3.0] 10003168 Means 지지기구 H00165120 H00165120 Bedbound care 침상간호 C0184642 [3.0] A61.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an individual confined to bed H00165214 H00165214 Bedsore 욕창 C0011127 [3.0] L89 10015612 1A.01.01.01.10.03.05.03.S.006 Focus "궤양: 조직 압박과 부적절한 관류로 인해 피부 혹은 내부구조에 생긴 손상, 염증 또는 궤양" H00165330 H00165330 Behavior 행동 C0004927 [3.0] 10003217 2B.9.0004 Focus 계획된 과정: 행동. H00165343 H00165343 Behavior care 행동간호 C0184584 [3.0] D10.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observable responses to internal and external stimuli H00165651 H00564434 Belching 트림 C0014724 [3.0] R14 10012584 1A.01.01.01.05.05.01 Focus 트림 H00165763 H00165763 Bell’s palsy 벨마비 C0376175 [3.0] G51.0 Focus 벨頸椎 "안면신경마비중 반수이상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이것을 일반적으로 벨 마비라고 한다. 정확하게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있다. (1) 돌연 발증하는 편측성 마비. (2) 다른 뇌신경증상이나 중이염 등의 원인이되는 질환이 인정되지 않는다. (3) 귓바퀴, 외이도에 수포형성이 없을 것. 증례의 80~90%는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완전히 회복한다.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치료법은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복용이 주이나,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안면신경 감하수술(減荷手術)이 행하여진다.[간호학대사전]" H00171687 H00171687 Bereavement support 사별지지 C0184586 [3.0] E14.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comfort to the family/friends of the person who died H00174055 H00174055 Betadine 베타딘 C0699524 [3.0] 2C.9.0021 Means pobidone-iodine 제제의 상품명. H00176954 H00176663 Bile juice 담즙 C0005388 [3.0] Focus 간에서 생성되는 분비물로 십이지장에서 지방이 소화되도록 함. H00176968 H00176663 Bile juice 쓸개즙 C0005388 [3.0] Focus 간에서 생성되는 분비물로 십이지장에서 지방이 소화되도록 함. H00177814 H00177814 Bilirubin 빌리루빈 C0005437 [3.0] 10041443 Focus 신체 구성물질 H00178445 H00178445 Bill of rights 환자권리 C0150703 [3.0] G19.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Statements related to entitlements during an episode of illness H00181164 H00181164 Biopsy 생검 C0005558 [3.0] Means 살아 있는 생물의 조직을 진단이나 병의 변화를 알기위해서 체취하는 것. H00184341 H00184341 Birth certificate 출생증명서 C0005600 [3.0] Means 사람의 출생을 증명하는 문서.[표준국어대사전] H00184390 H01280495 Birth history 출산력 C0005603 [3.0] 1A.9.0060 Focus 생존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는 것에 관계된 여자의 상태. H00184405 H01280495 Birth history 분만력 C0005603 [3.0] 1A.9.0060 Focus 생존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는 것에 관계된 여자의 상태. H00184744 H00184744 Birth rate 출생률 C0005608 [3.0] 10003272 Focus 비율: 추출된 인구와 특정 지역에서의 상대 출생 비율. H00187126 H01783824 Bladder 방광 C0005682 [3.0] 10020360 1F.19.04 Location 요관계 구성요소 H00187143 H00187143 Bladder care 방광간호 C0184657 [3.0] T58.0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urinary drainage problems H00187188 H00187188 Bladder instillation 방광점적 C0021917 [3.0] T58.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our liquid through a catheter into the bladder H00187224 H00187224 Bladder ostomy care 방광루간호 C3251810 [3.0] T83.0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maintain the artificial opening to remove urine H00187238 H00187238 Bladder ostomy irrigation 방광루세척 C3251811 [3.0] T83.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flush or wash out the artificial opening to remove urine H00187739 H00187739 Bladder training 방광훈련 C0150474 [3.0] T58.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instruction on the care of urinary drainage H00187806 H00187806 Bladder washing 방광세척 [3.0] 2C.9.0025 Means "방광을 액체(증류수, 생리식염액, 약액)로 세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방광출혈 등으로 방광 탐포나이드가 일어났을 때에 이것을 제거할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경우와, 방광질환을 위해 약액을 주입해서 세정하고 치료하려는 경우가 있다. 약액으로서는 0.1% 바놀액, 3000배의 질산은 액 등이 있다. 이 방법은 경요도적으로 도관를 삽입해서 액체를 주입하는데 이 경우 챠네방광세정기가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0188079 H00188079 Blanket 담요 C0179330 [3.0] 10003293 2C.01.08.02 Means 침상린넨 H00189202 H00189202 Bleeding 출혈 C0019080 [3.0] 10003303 1A.01.01.01.02.02.03 Focus "손상된 혈관 과정: 혈관 손상 혹은 응고인자의 부족과 관련된, 외부 혹은 내부의 혈액 손실." H00189216 H00189216 Bleeding risk 출혈 위험성 C3251812 [3.0] C06.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loss of blood volume H00189220 H00189220 Bleeding risk deteriorated 출혈 위험성 악화됨 [3.0] C06.2.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89233 H00189233 Bleeding risk improved 출혈 위험성 개선됨 [3.0] C06.2.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89247 H00189247 Bleeding risk stabilized 출혈 위험성 안정됨 [3.0] C06.2.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89251 H00189251 Bleeding tendency 출혈 경향 C1458140 [3.0] 1A.9.0061 Focus "혈관내를 흐르고 있는 혈액이 혈관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저지하거나 혈과벽의 손상으로 유출되었던 혈액이라도 바로 굳어서 더 이상의 출혈을 방지하는 과정을 지혈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혈소판, 응고계, 혈관계가 종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지혈 메커니즘에 장애가 오면 전신적으로 출혈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데 사소한 손상에도 출혈이 되는 것이 그 현상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189380 H00189251 Bleeding tendency 출혈소인 C1458140 [3.0] 1A.9.0061 Focus "혈관내를 흐르고 있는 혈액이 혈관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저지하거나 혈과벽의 손상으로 유출되었던 혈액이라도 바로 굳어서 더 이상의 출혈을 방지하는 과정을 지혈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혈소판, 응고계, 혈관계가 종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지혈 메커니즘에 장애가 오면 전신적으로 출혈하기 쉬운 상태가 되는데 사소한 손상에도 출혈이 되는 것이 그 현상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190329 H00190350 Blindness 실명 C0456909 [3.0] Focus "보는 능력의 결여 또는 상실, 시각 기관의 장애 또는 어느 부분의 병변에 의하여 시각 자극의 인지가 결여된 상태." H00190346 H00190350 Blindness 맹 C0456909 [3.0] Focus "보는 능력의 결여 또는 상실, 시각 기관의 장애 또는 어느 부분의 병변에 의하여 시각 자극의 인지가 결여된 상태." H00190350 H00190350 Blindness 시각상실 C0456909 [3.0] Focus "보는 능력의 결여 또는 상실, 시각 기관의 장애 또는 어느 부분의 병변에 의하여 시각 자극의 인지가 결여된 상태." H00190492 H01875863 Blister 물집 C0005758 [3.0] 1A.9.0062 Focus "1) 피부의 표피내 또는 표피하에 형성되는 단백질성분을 갖는 적은양의 액체저류(貯留)를 말한다. 소수포, 대수포로 구별되며, 또한 부위에 의하여 표피 내수포, 표피하수포 등으로 부른다. 그의 성인은 단일은 아니고, 바이러스감염, 화학적 또는 물리적자극 등의 다종(多種)의 것이 원인으로 될 수 있다. 세포간부족이나 세포내부종이 융합하여 생기는 것이다. 많은 피부질환이 수포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 수포관찰이 진단의 보조로 된다. [간호학대사전] 2) 수포란 소수포(vesicle)보다 큰 1cm이상의 물집을 말한다. 피부의 세포 사이에나 세포 안에 단백질 성분을 갖는 묽은 액체가 고여 발생하며, 주로 그 표면이 반구 모양으로 솟아오른 상태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그 표면이 팽팽하거나 흐물흐물하게 된다. 얇고 가벼운 손상에도 쉽게 터져서 삼출물과 함께 벽이 그대로 존재하기도 하며, 물집이 터져 건조되면 얇은 딱지를 형성하기도 한다. 물집이 표피 밑에 깊게 존재하면 팽팽하며 궤양과 흉터를 남길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90508 H01875863 Blister 수포 C0005758 [3.0] 1A.9.0062 Focus "1) 피부의 표피내 또는 표피하에 형성되는 단백질성분을 갖는 적은양의 액체저류(貯留)를 말한다. 소수포, 대수포로 구별되며, 또한 부위에 의하여 표피 내수포, 표피하수포 등으로 부른다. 그의 성인은 단일은 아니고, 바이러스감염, 화학적 또는 물리적자극 등의 다종(多種)의 것이 원인으로 될 수 있다. 세포간부족이나 세포내부종이 융합하여 생기는 것이다. 많은 피부질환이 수포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 수포관찰이 진단의 보조로 된다. [간호학대사전] 2) 수포란 소수포(vesicle)보다 큰 1cm이상의 물집을 말한다. 피부의 세포 사이에나 세포 안에 단백질 성분을 갖는 묽은 액체가 고여 발생하며, 주로 그 표면이 반구 모양으로 솟아오른 상태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그 표면이 팽팽하거나 흐물흐물하게 된다. 얇고 가벼운 손상에도 쉽게 터져서 삼출물과 함께 벽이 그대로 존재하기도 하며, 물집이 터져 건조되면 얇은 딱지를 형성하기도 한다. 물집이 표피 밑에 깊게 존재하면 팽팽하며 궤양과 흉터를 남길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90749 H00190749 Blocking of thought 사고두절 [3.0] 1A.9.0565 Focus "사고형식의 장애의 일종으로, 분열증에서 많이(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생각의 흐름이 돌연히 일시 잘라져 버리고, 순간적으로 사고의 공백이 생기는 것. 말하고 있던 환자가 갑작이 잠잠해 버리고 조금 있다가 다시 또 얘기를 계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때 환자는 생각이 뽑혀졌다(사고탈취)고 느끼는 일이 있다. 사고두절은 의식장애(간질의 결신등)라 방심과는 구별된다.[간호학대사전]" H00190766 H00190770 Blood 피 C0005767 [3.0] 10003319 2C.01.14.11 Focus 신체 구성물질 H00190770 H00190770 Blood 혈액 C0005767 [3.0] 10003319 2C.01.14.11 Focus 신체 구성물질 H00190820 H00190820 Blood pressure alteration deteriorated 혈압변화 악화됨 [3.0] C06.1.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0833 H00190833 Blood pressure alteration improved 혈압변화 개선됨 [3.0] C06.1.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0847 H00190847 Blood pressure alteration stabilized 혈압변화 안정됨 [3.0] C06.1.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0851 H00190851 Blood specimen care 혈액검사간호 C1171180 [3.0] K32.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llect and/or examine a sample of blood H00191111 H00191142 Blood clot 혈괴 C0302148 [3.0] 1A.9.0063 Focus 혈액을 체외로 끄집어내면 응고한다. 이 혈괴(血塊)로 말한다. 섬유소의 속에 혈구성분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된다.[간호학대사전] H00191139 H00191142 Blood clot 피떡 C0302148 [3.0] 1A.9.0063 Focus 혈액을 체외로 끄집어내면 응고한다. 이 혈괴(血塊)로 말한다. 섬유소의 속에 혈구성분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된다.[간호학대사전] H00191142 H00191142 Blood clot 피덩이 C0302148 [3.0] 1A.9.0063 Focus 혈액을 체외로 끄집어내면 응고한다. 이 혈괴(血塊)로 말한다. 섬유소의 속에 혈구성분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된다.[간호학대사전] H00191495 H00191495 Blood flow 혈류 C0232338 [3.0] Focus 피의 흐름. H00191593 H00191593 Blood glucose 혈당 C0005804 [3.0] 10030832 1A.9.0064 Focus 신체 구성물질 H00191867 H00191867 Blood pressure 혈압 C0005823 [3.0] K33.1 10003335 1A.01.01.01.02.02.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measure the diastolic and systolic pressure of the blood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의 측정활동 H00191871 H00191871 Blood pressure alteration 혈압변화 C1268766 [3.0] C06.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systolic or diastolic pressure H00192193 H00192193 Blood stained sputum 혈액착색가래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192288 H00192288 Blood sugar test 혈당검사 C0392201 [3.0] 2C.9.0026 Focus A quantitative measurement for assessing the amount of glucose present in a blood sample.[NCI/PT] H00192307 H00192307 Blood test 혈액검사 C0018941 [3.0] Means "혈액검사에는 혈액세포수의 산정이나 혈액 상 검사를 하는 형태학적 검사, 출혈시간, 응고시간, 응고인자를 측정하는 응고검사, 혈중의 효소, 무기물, 유기물, 교질반응(膠質反應) 등을 측정하는 생화학검사, 혈액가스, 적혈구 수명측정을 행하는 생리기능검사, 혈액배양이나 원충, 기생충을 조사하는 미생물학적 검사, 혈액형이나 면역항체의 검사를 하는 혈청학적 검사등이 있고 혈액검사는 임상검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192311 H00192842 Blood tinged sputum 혈액흔적가래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192338 H00192338 Blood transfusion reaction 수혈반응 C0274435 [3.0] 1A.9.0574 Focus 수혈하였을 때에 환자에게 일어나는 반응. 알레르기 반응과 용혈 반응이 있다. H00192355 H00192355 Blood type 혈액형 C1383165 [3.0] 1A.9.0069 Focus A | B | AB | O 대립유전자(allegic genes)의 조절하에 한 개 혹은 그 이상의 세포항원 구조형에 때라 제정한 적혈구의 동종이형 혹은 표현형. H00192467 H00192467 Blood vessel 혈관 C0005847 [3.0] 10003374 Location 심혈관계 구성요소 H00192713 H00192713 Bloodletting 사혈 C0005857 [3.0] Means 瀉血 삼릉침 또는 피부침 등을 이용하여 신체상의 얕은 부위의 혈관을 찔러 소량의 혈액을 방출시키는 방법 H00192825 H00192842 Bloody sputum 혈액 가래 C0019079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192839 H00192842 Bloody sputum 피가래 C0019079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192842 H00192842 Bloody sputum 혈성가래 C0019079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193764 H00193764 Blurred vision 흐려보임 C0344232 [3.0] 1A.9.0072 Focus 흐린 시력. 흐려 보임. H00193781 H00193764 Blurred vision 흐린 시력 C0344232 [3.0] 1A.9.0072 Focus 흐린 시력. 흐려 보임. H00193831 H00651343 Blushing 홍조 C0005874 [3.0] R23.2 10009151 1A.9.0230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호르몬 변화나 폐경시작과 관련된 신체 윗부분의 갑작스런 열감각, 갑작스런 혈관확장, 땀과 발한." H00193926 H00193926 Body image disturbance 신체상장애 C0558116 [3.0] P43.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Imbalance in the perception of the way one's body looks H00193930 H00193930 Body image disturbance deteriorated 신체상장애 악화됨 [3.0] P43.1.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3943 H00193943 Body image disturbance improved 신체상장애 개선됨 [3.0] P43.1.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3957 H00193957 Body image disturbance stabilized 신체상장애 안정됨 [3.0] P43.1.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3961 H00193961 Body nutrition deficit 영양결핍 C0231353 [3.0] J24.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Less than adequate intake or absorption of food or nutrients H00193974 H00193974 Body nutrition deficit deteriorated 영양결핍 악화됨 [3.0] J24.1.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3988 H00193988 Body nutrition deficit improved 영양결핍 개선됨 [3.0] J24.1.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3991 H00193991 Body nutrition deficit risk 영양결핍 위험성 C0184549 [3.0] J24.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less than adequate intake or absorption of food or nutrients H00194008 H00194008 Body nutrition deficit risk deteriorated 영양결핍 위험성 악화됨 [3.0] J24.2.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011 H00194011 Body nutrition deficit risk improved 영양결핍 위험성 개선됨 [3.0] J24.2.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025 H00194025 Body nutrition deficit risk stabilized 영양결핍 위험성 안정됨 [3.0] J24.2.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039 H00194039 Body nutrition deficit stabilized 영양결핍 안정됨 [3.0] J24.1.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042 H00194042 Body nutrition excess 영양과다 C2364333 [3.0] J24.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More than adequate intake or absorption of food or nutrients H00194056 H00194056 Body nutrition excess deteriorated 영양과다 악화됨 [3.0] J24.3.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060 H00194060 Body nutrition excess improved 영양과다 개선됨 [3.0] J24.3.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073 H00194073 Body nutrition excess risk 영양과다 위험성 C1998739 [3.0] J24.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more than adequate intake or absorption of food or nutrients H00194087 H00194087 Body nutrition excess risk deteriorated 영양과다 위험성 악화됨 [3.0] J24.4.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091 H00194091 Body nutrition excess risk improved 영양과다 위험성 개선됨 [3.0] J24.4.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106 H00194106 Body nutrition excess risk stabilized 영양과다 위험성 안정됨 [3.0] J24.4.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110 H00194110 Body nutrition excess stabilized 영양과다 안정됨 [3.0] J24.3.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194185 H00194185 Body cavity 체강 C0333343 [3.0] 10003390 Location 신체 구조 H00194320 H00194320 Body image 신체상 C0005891 [3.0] 10003405 1A.01.01.02.01.02.03 Focus "자아상: 자기 자신의 신체, 신체의 일부, 외형적 모습에 대한 정신적 이미지" H00194445 H00194445 Body position 체위 C1262869 [3.0] 10003433 1A.01.01.01.12.02.02 Location 상태 H00194493 H00194493 Body temperature 체온 c0005903 [3.0] 10003507 1A.01.01.01.03 Focus 온도: 신체대사와 관련된 신체내부의 열. H00195062 H00195062 Bone 뼈 C0262950 [3.0] 10003553 Location 근골격계 구성요소 H00195577 H00662825 Bone fracture 골절 C0016658 [3.0] T14.2 10008210 1A.01.01.01.12.01.03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뼈의 외상성 상해, 뼈조직의 연속성 파괴와 관련된 신체 기관 일부분 움직임의 결여, 골절의 심각도는 뼈부위와 뼈구조, 골절의 성질과 관련됨." H00197877 H00197877 Bone marrow 골수 C0005976 [3.0] Location "골의 내부에 있는 연한 조직으로 태아때부터 평생을 통하여 조혈기능을 담당하는데, 적색골수와 황색골수로 구분함." H00197944 H00197944 Bone marrow examination 골수 검사 C0005957 [3.0] Means "대개는 뒤엉덩뼈 능선(posterior iliac crest)에서 골수 검사를 시행한다. 골수 흡인과 생검(살아 있는 생물의 조직을 진단이나 병의 변화를 알기 위해서 채취하는 것)을 시행하여 골수의 세포 충실성을 평가하고 골수 내 세포의 형태학적, 수적 이상을 평가하며 비조혈세포의 침습 등을 평가하는 검사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198111 H00198111 Bone pain 뼈 통증 C0151825 [3.0] 10003569 1A.01.01.01.13.01.03.01 Focus 근골격계 통증: 뼈의 골막에서 생기는 다양한 강도의 불편감. H00202841 H00202841 Boundary 경계 [3.0] Location 어떠한 기준에 의하여 분간되는 한계. H00203972 H00203972 Bowel care 장간호 C0150155 [3.0] B06.0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nd restore the functioning of the bowel H00203986 H00203986 Bowel elimination alteration 배변장애 C1998633 [3.0] B03.0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H00203990 H00203990 Bowel elimination alteration deteriorated 배변장애 악화됨 [3.0] B03.0.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4006 H00204006 Bowel elimination alteration improved 배변장애 개선됨 [3.0] B03.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4010 H00204010 Bowel elimination alteration stabilized 배변장애 안정됨 [3.0] B03.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4023 H00204023 Bowel incontinence 변실금 C0015732 [3.0] B03.1 10027702|10027718 1A.01.01.01.09.01.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Involuntary defecation 불수의적 배변 H00204037 H00204037 Bowel incontinence deteriorated 변실금 악화됨 [3.0] B03.1.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4041 H00204041 Bowel incontinence improved 변실금 개선됨 [3.0] B03.1.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4054 H00204054 Bowel incontinence stabilized 변실금 안정됨 [3.0] B03.1.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4085 H00204085 Bowel ostomy care 장루간호 C3251801 [3.0] B07.0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maintain the artificial opening that removes bowel waste products H00204099 H00204099 Bowel ostomy irrigation 장루세척 C3251802 [3.0] B07.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flush or wash out the artificial opening that removes bowel waste products H00204152 H00204152 Bowel movement 장운동 C0011135 [3.0] 10005628 Focus "위장관계 과정: 장을 통해 변을 이동, 배출하는 것." H00204166 H00204152 Bowel movement 창자운동 C0011135 [3.0] 10005628 Focus "위장관계 과정: 장을 통해 변을 이동, 배출하는 것." H00204170 H00437571 Bowel movement 배변 C0011135 [3.0] 10005628 Focus "위장관계 과정: 장을 통해 변을 이동, 배출하는 것." H00204202 H00204202 Bowel sound 창자소리 C232693 [3.0] 1A.9.0075 Focus "Any sound caused by contractions of the large intestine as it propels stool forward.[Segen's Medical Dictionary. ⓒ 2012 Farlex, Inc. All rights reserved.]" H00204216 H00204202 Bowel sound 장음 C232693 [3.0] 1A.9.0075 Focus "Any sound caused by contractions of the large intestine as it propels stool forward.[Segen's Medical Dictionary. ⓒ 2012 Farlex, Inc. All rights reserved.]" H00204220 H01713740 Bowel training 배변훈련 C0150156 [3.0] B06.1 10033142 2C.9.0027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instruction on bowel elimination conditions 장의 배뇨 상항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는 활동 H00204233 H00204233 Bowel/gastric component 위장관요소 C1171151 [3.0] B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gastrointestinal system. H00204430 H00204430 Brachial artery 위팔동맥 C0006087 [3.0] Location "액와동맥으로 부터 계속적으로 하행하고 내측 상완이두근 구를 도는 동맥을 상완동맥이라고 한다. 정중신경과 함께 달려 하행함에 따라서 주관절 전방으로 돌고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으로 갈라진다. 상완심동맥, 상척측(上尺側) 측부동맥(側副動脈), 하척측 측부동맥 등의 가지(枝)를 내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04443 H00204430 Brachial artery 상완동맥 C0006087 [3.0] Location "액와동맥으로 부터 계속적으로 하행하고 내측 상완이두근 구를 도는 동맥을 상완동맥이라고 한다. 정중신경과 함께 달려 하행함에 따라서 주관절 전방으로 돌고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으로 갈라진다. 상완심동맥, 상척측(上尺側) 측부동맥(側副動脈), 하척측 측부동맥 등의 가지(枝)를 내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05107 H00205186 Bradycardia 느린 맥 C0428977 [3.0] R00.1 10003613|10027274 1A.9.0076 Focus|DC "부정맥: 성인에서 분당 60회 이하의 느린 심박, 맥박." H00205111 H00205186 Bradycardia 서맥 C0428977 [3.0] R00.1 10003613|10027274 1A.9.0076 Focus|DC "부정맥: 성인에서 분당 60회 이하의 느린 심박, 맥박." H00205317 H00205317 Bradypnea 호흡완만 C0231837 [3.0] 1A.9.0077 Focus "1)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완만한 것. 2) 호흡수가 보통보다도 감소한 상태를 완서호흡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12회/분이하, 완서호흡은 요독증이나 당뇨병에 의한 혼수, 약물중독(아편등) 급성알콜 중독, 뇌질환(뇌종양 등)에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의 깊이가 느는 수가 많은데 때로는 얕아지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05321 H00205317 Bradypnea 느린 호흡 C0231837 [3.0] 1A.9.0077 Focus "1)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완만한 것. 2) 호흡수가 보통보다도 감소한 상태를 완서호흡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12회/분이하, 완서호흡은 요독증이나 당뇨병에 의한 혼수, 약물중독(아편등) 급성알콜 중독, 뇌질환(뇌종양 등)에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의 깊이가 느는 수가 많은데 때로는 얕아지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05365 H00205186 Bradyrhythmia 서맥 C0428977 [3.0] R00.1 10003613 1A.9.0076 Focus "부정맥: 성인에서 분당 60회 이하의 느린 심박, 맥박." H00205432 H00205432 Brain 뇌 C0006104 [3.0] 10003621 1F.02.06 Location 신경계 구성요소 H00207813 H00207813 Breast 유방 C0006141 [3.0] 10003650 1F.02.07 Location 신체 부분 H00207827 H00207813 Breast 가슴 C0006141 [3.0] 10003650 1F.02.07 Location 신체 부분 H00207831 H00207813 Breast 젖 C0006141 [3.0] 10003650 1F.02.07 Location 신체 부분 H00207942 H00207942 Breast feeding impairment 모유수유장애 C0233388 [3.0] J55.0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Diminished ability to nourish infant at the breast H00207956 H00207956 Breast feeding impairment deteriorated 모유수유장애 악화됨 [3.0] J55.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7960 H00207960 Breast feeding impairment improved 모유수유장애 개선됨 [3.0] J55.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7973 H00207973 Breast feeding impairment stabilized 모유수유장애 안정됨 [3.0] J55.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8234 H00208221 Breast engorgement 유방 울혈 C0085688 [3.0] 10003632|10029728 1A.01.01.01.10.04.01.01 Focus|DC "울혈 이상: 출산 후 모유 축적을 동반한 유방 팽창, 유방 통증, 유방의 묵직함" H00208350 H01078795 Breast milk 모유 C0026140 [3.0] Focus "사람의 모친에서 분비되는 젖. 성분적으로는 초유와 성숙유(영구유)로 나뉘어진다. 유아에 있어서 모유에 맞먹는 영양물은 없다. 그 이유로서 모유의 조성이 유아의 생리기능에 적합하며, 소화되기 쉬운 점, 모친의 가슴에 언제나 준비되어 있어 안전한 점, 모체의 면역물질이 유아에게 이행하는 점, 유아의 장내세균총에서 비피더스균이 번식하기 쉬운 조건이 되어서 다른 유해균의 번식이 억제되기 쉬운 점, 나아가서 수유를 통해서 모아간의 피부접촉(스킨십)이 애정을 구하는 역할도 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08427 H01015456 Breast pain 유방 통증 C0024902 [3.0] 10046611 Focus H00208542 H00208542 Breast tenderness 유방 압통 C0262397 [3.0] 10046676 DC H00208654 H00208654 Breastfeeding support 모유수유지지 C1171181 [3.0] J66.0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nourishment of an infant at the breast H00208797 H00208797 Breath sound 숨소리 C0035234 [3.0] 1A.9.0498 Focus "1) 호흡로의 모든 부위에서 청진시 들리는 음. 2) 흡ㆍ호기시에 흉부에서 청취되는 음이고 일반적으로 청진기를 사용해서 듣는다. 정상인 경우, 흡기시에는 호기시에 청취되지 않는 폐포 호흡음과, 호기시에도 들리고 굵은 기도상에서 들리는 기관지 호흡음이 있다. 이상음으로서는 연속성나음(건성나음)과 단속성 나음(습성나음)이 있고 전자는 고음성, 저음성으로, 후자는 거칠은(대ㆍ중 수포음), 중위(소수포음), 가는(베르크로자음)으로 나뉘어진다. 또 염증으로 폐경화가 있는 경우 페포 호흡음은 소실하고 기관지 호흡음이 청취된다. 그밖에 흉막 마찰음이 청취된다.[간호학대사전]" H00208851 H00208851 Breathing exercises 호흡운동 C0006155 [3.0] L36.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therapy on respiratory or lung exertion H00208864 H00208864 Breathing pattern impairment 비효율적 호흡양상 C1999000 [3.0] L26.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진단(간호진단) Inadequate inhalation or exhalation H00208878 H00208878 Breathing pattern impairment deteriorated 비효율적 호흡양상 악화됨 [3.0] L26.2.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8881 H00208881 Breathing pattern impairment improved 비효율적 호흡양상 개선됨 [3.0] L26.2.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8895 H00208895 Breathing pattern impairment stabilized 비효율적 호흡양상 안정됨 [3.0] L26.2.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09223 H00209075 Breech presentation 둔위 C0006157 [3.0] Location 둔부가 선진하는 것. 둔부가 단독으로 선진하는 단둔위와 발뒤꿈치가 둔부에 접하고 있는 복둔위가 있다. 복둔위에는 전복둔위(두 발꿈치가 둔부에 접해서 선진)와 부전복둔위(한쪽 발뒤꿈치만 둔부에 접해서 선진).[간호학대사전] H00209241 H00209075 Breech presentation 볼기태위 C0006157 [3.0] Location 둔부가 선진하는 것. 둔부가 단독으로 선진하는 단둔위와 발뒤꿈치가 둔부에 접하고 있는 복둔위가 있다. 복둔위에는 전복둔위(두 발꿈치가 둔부에 접해서 선진)와 부전복둔위(한쪽 발뒤꿈치만 둔부에 접해서 선진).[간호학대사전] H00209397 H00209397 Bridge 다리 [3.0] 10003697 1A.02.02.01.01.02 Location "건축물: 강, 계곡, 철도 등을 가로지르는 도로, 길, 철길 등을 지탱하고 있는 구조물." H00212721 H00212721 Bronchodilator 기관지확장제 C0006280 [3.0] Means 기도 내강을 확장 시키는 약제. H00213500 H00213500 Bronchus 기관지 C1235659 [3.0] 10003700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0213656 H00213656 Brow presentation 전두위 C0233276 [3.0] Location "반굴위(反屈位) 의 일종. 이마가 앞으로 나아가고 모체의 전방으로 회전한다. 분만의 진행과 함께 반굴의 정도를 강화해 전액태위로 이행하는 것이 많다. 빈도는 0.02~0.04%, 분만기전은 전두봉합(前頭縫合)이 골반입구의 횡선에 일치해서 진입하고 이마가 앞으로 나아간다. 제2회전에서 이마가 앞쪽으로 후정(後頂)은 뒷쪽으로 회전한다. 제3회전에서는 비근부(鼻根部)가 치골하연(恥骨下緣)으로 지지되어 아기머리는 강한 굴위(屈位)를 취하고 이마, 전정, 후정이 회음을 빠져나오고 이어서 아기 머리는 뒷쪽으로 신전해 코, 입, 이부(頣部)가 치골궁하(恥骨弓下)를 지나 아기머리의 만출은 끝난다. 아기가 작은 경우에는 자연분만이 가능한데, 산도통과는 대사경주위(大斜徑周圍)이기 때문에 분만은 두드러지게 지연되고 방치하면 산모나 아기가 모두 예후가 불량하다.[간호학대사전]" H00213660 H00213656 Brow presentation 이마태위 C0233276 [3.0] Location "반굴위(反屈位) 의 일종. 이마가 앞으로 나아가고 모체의 전방으로 회전한다. 분만의 진행과 함께 반굴의 정도를 강화해 전액태위로 이행하는 것이 많다. 빈도는 0.02~0.04%, 분만기전은 전두봉합(前頭縫合)이 골반입구의 횡선에 일치해서 진입하고 이마가 앞으로 나아간다. 제2회전에서 이마가 앞쪽으로 후정(後頂)은 뒷쪽으로 회전한다. 제3회전에서는 비근부(鼻根部)가 치골하연(恥骨下緣)으로 지지되어 아기머리는 강한 굴위(屈位)를 취하고 이마, 전정, 후정이 회음을 빠져나오고 이어서 아기 머리는 뒷쪽으로 신전해 코, 입, 이부(頣部)가 치골궁하(恥骨弓下)를 지나 아기머리의 만출은 끝난다. 아기가 작은 경우에는 자연분만이 가능한데, 산도통과는 대사경주위(大斜徑周圍)이기 때문에 분만은 두드러지게 지연되고 방치하면 산모나 아기가 모두 예후가 불량하다.[간호학대사전]" H00215490 H00215519 Bruise 멍 C0009938 [3.0] T14.0 10005161 1A.01.01.01.10.03.06.02.02 Focus 외상성 상처: 피부와 그 아래 조직들의 멍. H00215621 H00215648 Bruit 잡음 C0006318 [3.0] 1A.9.0079 Focus "잡음(雜音), 청진기로 청취되는 잡음으로서, 특히 비정상적인 이상한 잡음을 말함." H00215648 H00215648 Bruit 쉿소리 C0006318 [3.0] 1A.9.0079 Focus "잡음(雜音), 청진기로 청취되는 잡음으로서, 특히 비정상적인 이상한 잡음을 말함." H00215696 H00215696 Brush 솔 C0179445 [3.0] 10003728 2C.01.07.01 Means 몸치장 기구 H00219103 H00221608 Burn 화상 C0006434 [3.0] T20-T31 10003763 1A.01.01.01.10.03.06.02.05 Focus "외상성 상처: 열, 화학, 전기, 또는 방사능 물질에 의한 신체표면 안팎의 조직의 파괴와 손상, 세포내에서의 단백질 응고, 대사율 증가, 근육과 지방조직에 보존되어 있던 영양소의 파괴, 단백질과 질소의 손실, 심한 통증, 불쾌감과 스트레스, 생명을 위협하는 쇼크의 위험, 조직 괴사, 상처감염, 경축, 상처의 강직화와 두꺼워짐을 동반한 위축성 반흔형성; 1도, 2도, 3도 화상." H00219117 H00219117 Burn care 화상간호 C1276417 [3.0] R81.0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burned areas of the body H00221500 H00221513 Burning sensation 작열감 C0085624 [3.0] Focus 불에 타는 듯한 느낌. H00221513 H00221513 Burning sensation 화끈감 C0085624 [3.0] Focus 불에 타는 듯한 느낌. H00223794 H00223800 Buttock 궁둥이 C0006497 [3.0] 10003792 1F.02.09 Location 신체 부분 H00223813 H00223800 Buttock 볼기 C0006497 [3.0] 10003792 1F.02.09 Location 신체 부분 H00225741 H00380765 CAPD 지속외래복막투석 C0031140 [3.0] Means 새롭게 개발된 복막투석법이고 종래의 방법과 달리 1일 4회 2ℓ의 투석액을 교환해서 25시간 연속해 복막을 이용해 투석하는 방법이다. 특별한 기기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정에서 액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사회복귀에도 편리하다. 또 혈액 투석에 비해서 중분자량의 요독증성물질이 잘 제거되는 이점도 있다. CAPD 실시에 있어서 복막염의 합병에 주의를 요하는 것은 종래의 복막투석과 같다.[간호학대사전] H00227117 H00277551 CSF 뇌척수액 C0007806 [3.0] 1A.9.0089 Focus "1) 제4뇌실, 지주막하강(蜘蛛膜下腔) 및 척수중심관에 있는 액체로서 맥락총(脈絡叢)과 뇌실질에 의하여 생성되고, 뇌실을 경유하여 지주막하강으로 순환하여 정맥계에 흡수된다. 2) 뇌척수액은 무색투명한 물같은 액체이며, 주로 측뇌실(側腦室)의 맥락총에서 생성된다. 측뇌실(側腦室) → 실간공(室間孔, Monro) → 제3뇌실(腦室) → 중뇌수도(中腦水道, Sylvius관管) → 제4뇌실→ 측공(側孔, Luschka)과 정중공(正中礼, Magendie) → 지주막하강의 경로를 거쳐 뇌표면 및 척수부(脊髓部) 지주막 하강을 채운다. 흡수는 지주막과립(蜘蛛膜顆粒)을 주로 해서 혈관주위강(血管周圍腔)에서 이뤄지며 정맥계로 유입된다. 즉 뇌실내에서 생성된 뇌척수액은 중추신경계의 병태(病態)를 가리키는 정보를 주지만 그 채취부위에 따라서 성상(性狀)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기억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간호학대사전] 3) 거미막밑공간과 뇌실을 채우고 있으면서 뇌와 척수를 쌓고 있는 맑은 액체를 뇌척수액이라 한다. 거미막밑공간이란 3개의 층(밖에서 부터 경질막, 거미막, 유막)으로 이루어진 뇌막 중에서 2번째 층에 해당하는 거미막의 아래의 공간으로 가장 밑에 있는 뇌막인 유막의 위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뇌실이란 뇌속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그 속에는 뇌실액으로 채워져 있다. 뇌와 척수는 고체이고 이것들을 둘러쌓는 뇌척수액은 액체이므로 뇌, 척수는 뇌척수액속에 떠있는 결과가 된다. 이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데 유용하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231309 H00272933 CVP 중심정맥압 C0428640 [3.0] 1A.9.0087.S.001 Focus "중심정맥압이란 심(心)도관을 대정맥내로 넣어서 직접 측정하여 얻어지는 간부정맥압을 말하며 약 4.6mmHg에 상당한다. 중심정맥압은 음압호흡이나 쇼크의 경우에 저하하며, 양압호흡(陽壓呼吸), 전혈류량증가(全血流量增加), 심부전(心不全)으로 상승한다.[간호학대사전]" H00231567 H00231567 Cachexia 카켁시아 C0006625 [3.0] R64 10003802 1A.01.01.01.04.02.05.01 Focus "영양실조: 대개 전반적인 불건강 혹은 암이나 결핵같은 질병과 연관된 마르고, 근육소모, 기운없고 쇠약한 상태." H00231571 H00231567 Cachexia 종말증 C0006625 [3.0] R64 10003802 1A.01.01.01.04.02.05.01 Focus "영양실조: 대개 전반적인 불건강 혹은 암이나 결핵같은 질병과 연관된 마르고, 근육소모, 기운없고 쇠약한 상태." H00231584 H00231567 Cachexia 악액질 C0006625 [3.0] R64 10003802 1A.01.01.01.04.02.05.01 Focus "영양실조: 대개 전반적인 불건강 혹은 암이나 결핵같은 질병과 연관된 마르고, 근육소모, 기운없고 쇠약한 상태." H00236154 H00236154 Calf 장딴지 C0230445 [3.0] Location 무릎과 발목 사이의 뒤쪽 근육 부분. H00236834 H00236834 Calorie 칼로리 C1879985 [3.0] 1A.9.0080 Focus "체내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사람은 이 열량을 이용하여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고 음식의 소화를 비롯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열량의 단위는 cal(칼로리)를 사용하고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을 3대 열량영양소라 한다.[두산백과]" H00236848 H00236834 Calorie 열량 C1879985 [3.0] 1A.9.0080 Focus "체내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양을 말한다. 사람은 이 열량을 이용하여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고 음식의 소화를 비롯한 운동을 할 수 있다. 열량의 단위는 cal(칼로리)를 사용하고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을 3대 열량영양소라 한다.[두산백과]" H00238602 H00238602 Cancer pain 암 통증 C0596240 [3.0] 10003841 1A.01.01.01.13.01.01 Focus "통증: 신체에 암세포의 침습적 전이와 관련되어 다양한 강도의 급만성 동통 감각; 항암치료를 포함한 암치료의 결과로 발생하거나 암으로 인한 상처 통증; 암통증은 보통 불면, 안절부절, 우울, 고통, 고독, 절망 및 무력감을 동반하는 심한 감각으로 묵직하거나, 괴로울 정도로 아프거나, 쑤시거나, 소름끼칠 정도로 아프거나 혹은 참을 수 없는 통증감각으로 보고됨." H00240721 H00240718 Cannula 삽입관 C0520453 [3.0] 10003856 Means 튜브 H00241383 H00241370 Capillary 모세혈관 C0006901 [3.0] 10003860 1F.03.02 Location 혈관 H00242856 H00242856 Caput succedaneum 산류 C0270090 [3.0] 1A.9.0081 Focus "1) 산류(産流), 분만중에 태아 두피내 및 피하에 발생하는 부종. 2) 분만 때에 아두(兒頭)의 선진부는 산도에 의해 압박을 받는 일은 적으나 산도와의 접촉부분에 있어서는 주위의 산도벽으로부터 강하게 긴박(緊縛)되어 피하정맥의 환류가 방해된다. 또 접촉부분을 경계로 해서 그 선전부와 상부에서는 아두의 받는 압력의 차가 생겨, 선진부는 외기압인데 상부에서는 전자궁내압을 받는다. 따라서 압박이 적은 선진부에는 강한 울혈이 생기며, 모세혈관은 확장해서 혈장은 혈관외로 삼출하고, 선진부의 피부 및 피하조직내에 모여서 점성의 부드러운 종류(腫瘤)를 형성한다 이것을 산류(產瘤)라 한다. 산류는 항상 최선진부를 중심으로 다만 1개가 생길뿐, 피부와 골막의 사이에 되어 두개골의 위에서 가동성이 있으며, 주위와의 경계는 분명치 않고, 봉합이나 천문(泉門)과는 관계없이 생긴다. 따라서 후두위에서는 소천문 부근에서 전재두정골(前在頭頂骨)의 후부를 중심으로 생기고, 제1후두위에서는 우측두정골의 후상우(後上偶)에 된다. 산류는 순환장애로 인해 생기므로 사태(死胎)에 발생하는 일은 없다.[간호학대사전] 3) 분만시 좁은 산도(産道)를 태아가 통과할 때 태아의 몸의 선진부가 압박되어 그 일부에 생기는 울체성 부종(鬱滯性浮腫). 산류는 보통 자색으로 흔히 많은 점상출혈을 수반한다. 두위분만(頭位分娩)이 많으므로 두정부에 생기는 수가 가장 많다. 안면위(顔面位)나 둔위(臀位)에서는 안면 ·대음순 ·음낭 ·대퇴 등에 생기는 경우가 있다. 분만 직후에 현저하나 2~3일 이내에 자연히 소멸된다.[두산백과]" H00242860 H00242856 Caput succedaneum 출산머리부종 C0270090 [3.0] 1A.9.0081 Focus "1) 산류(産流), 분만중에 태아 두피내 및 피하에 발생하는 부종. 2) 분만 때에 아두(兒頭)의 선진부는 산도에 의해 압박을 받는 일은 적으나 산도와의 접촉부분에 있어서는 주위의 산도벽으로부터 강하게 긴박(緊縛)되어 피하정맥의 환류가 방해된다. 또 접촉부분을 경계로 해서 그 선전부와 상부에서는 아두의 받는 압력의 차가 생겨, 선진부는 외기압인데 상부에서는 전자궁내압을 받는다. 따라서 압박이 적은 선진부에는 강한 울혈이 생기며, 모세혈관은 확장해서 혈장은 혈관외로 삼출하고, 선진부의 피부 및 피하조직내에 모여서 점성의 부드러운 종류(腫瘤)를 형성한다 이것을 산류(產瘤)라 한다. 산류는 항상 최선진부를 중심으로 다만 1개가 생길뿐, 피부와 골막의 사이에 되어 두개골의 위에서 가동성이 있으며, 주위와의 경계는 분명치 않고, 봉합이나 천문(泉門)과는 관계없이 생긴다. 따라서 후두위에서는 소천문 부근에서 전재두정골(前在頭頂骨)의 후부를 중심으로 생기고, 제1후두위에서는 우측두정골의 후상우(後上偶)에 된다. 산류는 순환장애로 인해 생기므로 사태(死胎)에 발생하는 일은 없다.[간호학대사전] 3) 분만시 좁은 산도(産道)를 태아가 통과할 때 태아의 몸의 선진부가 압박되어 그 일부에 생기는 울체성 부종(鬱滯性浮腫). 산류는 보통 자색으로 흔히 많은 점상출혈을 수반한다. 두위분만(頭位分娩)이 많으므로 두정부에 생기는 수가 가장 많다. 안면위(顔面位)나 둔위(臀位)에서는 안면 ·대음순 ·음낭 ·대퇴 등에 생기는 경우가 있다. 분만 직후에 현저하나 2~3일 이내에 자연히 소멸된다.[두산백과]" H00244137 H00244137 Carbon dioxide narcosis 이산화탄소혼수 C0221340 [3.0] 1A.9.0082 Focus "1)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조절되지 않아 오는 의식장애. 2) 이산화탄소 혼수란 혈중 이산화탄소가 서서히 높은 수준에 까지 올라간 후 오랫동안 유지되면 호흡중추가 증가된 이산화탄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혈중 이산화탄소압이 상승하여 호흡이 정지되는 현상을 말한다.[두산백과]" H00245340 H00245340 Carbuncle 큰종기 C0007078 [3.0] Focus "피부와 피하조직의 괴사성 염증으로 부스럼(furuncle)이 집단으로 구성된 것. 화농균이 옮아서 생기는 혹. 목-등-엉덩이-입술 등에 생김. 부기나 통증이 심하고, 발열이나 전신 증세도 심함. 처음에는 크게 붓다가 벌집과 같이 다수의 고름물집이 생기며, 나중에는 고름물집에서 고름이 나옴. 신체의 저항력이 약해졌을 때 생기기 쉬우며, 당뇨병 환자에서 자주 발생하는데 이 경우에는 특히 중증으로 됨." H00247622 H00247622 Cardiac care 심장간호 C0150158 [3.0] C08.0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changes in the heart or blood vessels H00247640 H00247640 Cardiac output alteration 심박출량장애 C2364334 [3.0] C05.0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pumping action of the heart H00247653 H00247653 Cardiac output alteration deteriorated 심박출량장애 악화됨 [3.0] C05.0.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47667 H00247667 Cardiac output alteration improved 심박출량장애 개선됨 [3.0] C05.0.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47671 H00247671 Cardiac output alteration stabilized 심박출량장애 안정됨 [3.0] C05.0.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47734 H00247734 Cardiac arrest 심장정지 C0018790 [3.0] I46 1A.9.0083 Focus "1) 심실수축의 정지를 의미하며 동맥압의 소실을 수반하는 심장기능 정지. 2) 심실이 수축을 정지하고, 보충수축으로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심정지(心停止)와 심실세동(心室細動)을 합쳐서 심박정지 cardiac arrest라고 한다. 원인은 자격전도계에 병변(病變)이 있는 경우가 많고, 급성심근경쇄, 만성의 심근의 퇴행성변성이 광범하게 자격전도계에 미치고 있을 때에 일어난다. 심정지 3~5초로 의식소실, 10초로 경련을 일으키고, 뇌세포는 3~5분으로 불가역적인 상해를 받음으로 체외식마사지, 인공호흡을 즉시 개시하여 소생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48074 H00248074 Cardiac component 심장요소 C0184493 [3.0] C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heart and blood vessels. H00248415 H00248415 Cardiac index 심장박출계수 C0428776 [3.0] 1A.9.0084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0248429 H00248415 Cardiac index 심장박출지수 C0428776 [3.0] 1A.9.0084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0248558 H00248660 Cardiac murmur 심잡음 C0018808 [3.0] R01.1 Focus 생리적 또는 병적인 청진음으로서 특히 심장 또는 혈관에 기인한 짧은 주기성의 소리. H00248933 H00248933 Cardiac rehabilitation 심장재활 C0700431 [3.0] C08.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restore cardiac health H00248964 H00248964 Cardiac resuscitation 심장소생술 C2981152 [3.0] 10044066 Action H00249189 H00249192 Cardiac stimulant 강심제 C0007209 [3.0] Means "순환계 가운데 특히 심장에 작용해서 그 기능을 촉진하는 약물을 말한다. 이전에는 연수(延髓)의 호흡ㆍ혈관운동중추자극약, 관상혈관확장약, 교감신경자극제 등도 강심제에 포함되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심장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는 디지털리스이고 이들 약물은 식물성분 및 두꺼비의 피부선분비액중의 성분에서 발견되었는데, 화학구조상 스테로이드이므로 강심제를 강심스테로이드라고도 한다. 식물에서는 참깨의 잎, 협죽도(夾竹桃), 복수초, 은방울꽃, 해총, 만년청에 합유된다.[간호학대사전]" H00249192 H00249192 Cardiac stimulant 심장자극제 C0007209 [3.0] Means "순환계 가운데 특히 심장에 작용해서 그 기능을 촉진하는 약물을 말한다. 이전에는 연수(延髓)의 호흡ㆍ혈관운동중추자극약, 관상혈관확장약, 교감신경자극제 등도 강심제에 포함되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심장에 직접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는 디지털리스이고 이들 약물은 식물성분 및 두꺼비의 피부선분비액중의 성분에서 발견되었는데, 화학구조상 스테로이드이므로 강심제를 강심스테로이드라고도 한다. 식물에서는 참깨의 잎, 협죽도(夾竹桃), 복수초, 은방울꽃, 해총, 만년청에 합유된다.[간호학대사전]" H00250792 H00250792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심폐소생술 C0007203 [3.0] 10042962|10043019 Action|IC "심장이 정지했을 경우나, 물에 빠졌을 때와 같이 심장과 폐의 기능이 중지되었을 경우에 인공적으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하여 주는방법." H00251121 H00251121 Cardiovascular alteration 심장혈관장애 C0184522 [3.0] C06.0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heart or blood vessels H00251134 H00251134 Cardiovascular alteration deteriorated 심장혈관장애 악화됨 [3.0] C06.0.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51148 H00251148 Cardiovascular alteration improved 심장혈관장애 개선됨 [3.0] C06.0.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51151 H00251151 Cardiovascular alteration stabilized 심장혈관장애 안정됨 [3.0] C06.0.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51491 H00251487 Cardiovascular system 심혈관계 C0007226 [3.0] 10003936 1F.03.01 Focus 신체 체계 H00251510 H00251523 Cardioversion 심장율동전환 C0013778 [3.0] Means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하고 정상에서 벗어날 경우(이를 부정맥이라 한다)에 전기적 충격을 가해서 심장을 정상적인 박동을 하게 만드는 것을 심율동전환이라고 한다. 이것은 부정맥의 가장 확실한 치료법으로 외부심장율동전환(external cardioversion)과 내부심장율동전환(internal cardioversion)으로 나눈다. 외부심율동전환의 경우는 12cm의 지름을 가진 두 개의 판으로 가슴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부정맥을 치료하는 것이고, 내부심율동전환은 심장의 내부에 전극을 심고 그 전극을 통해서 전기적 자극을 가해서 부정맥을 치료하는 것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 H00251635 H00251604 Care 간호 C1947933 [3.0] 1A.9.0380.S.001 Focus 케어(care)란 슬픔(sorrow)과 어원이 같고 정서적 요소를 포함한 말이며 사랑이 필요로 하고 바라고 있는 것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상냥함과 동정어린 손길을 뻗어 거기에 응답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말이 간호에 결부되면 간호활동의 중심적 내용을 나타내는 간호행위가 된다. 즉 환자에게 안락함을 주고 욕구를 만족시켜 주기 위해 개별적ㆍ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V. Henderson은 간호케어의 기본이 되는 것으로 14항목을 들어 호흡ㆍ음식ㆍ배설ㆍ운동과 자세의 유지ㆍ수면과 휴식ㆍ적절한 의복착용ㆍ체온유지ㆍ사고방지ㆍ의사소통ㆍ신앙ㆍ사업ㆍ오락ㆍ학습에 대한 자립을 환자에게 확보하기 위한 체력ㆍ의지ㆍ지식의 결여부분을 보충하는 것이라 하고 또 DE. Johnson은 스트레스(stress)나 긴장을 적게하는 환경을 갖추고 환자의 심신의 평형상태를 유지 하기위해 일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51716 H00251716 Caregiver role strain 돌봄제공자역할갈등 C1998980 [3.0] M27.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Excessive tension of one who gives physical or emotional care and support to another person or patient H00251720 H00251720 Caregiver role strain deteriorated 돌봄제공자역할갈등 악화됨 [3.0] M27.4.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51733 H00251733 Caregiver role strain improved 돌봄제공자역할갈등 개선됨 [3.0] M27.4.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51747 H00251747 Caregiver role strain stabilized 돌봄제공자역할갈등 안정됨 [3.0] M27.4.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52091 H00446705 Carious tooth 썩은니 [3.0] K02.9 1A.9.0137 Focus 치아경조직의 괴사. 병인은 Miller의 화학세균설이 일반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품잔사(세균의 발효작용) → 유산 → 치질탈회(齒質脫灰) → 연화(단백분해효소를 지닌 세균)→ 붕괴라는 과정을 거친다. 우식은 80% 이상이 걸리고 있으며 국민병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임상적으로는 4도로분류한다. 우식1도(C1) 에나멜질에 국한한다. 우식2도(C2) 상아질까지 달하고 있다. 우식3도(C3) 치수까지 진행하고 있다. 우식4도(C 4) 치관이 붕괴하고 잔근상태(殘筋狀態)[간호학대사전] H00252221 H00252221 Carminative enema 가스배출관장 [3.0] Means "장이 가스로 팽만했을 때에 가스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행하는 관장이다. 50% 글리세린액이나 온탕을 사용해서 굳어진 변을 연화시키거나 온도나 화학적 물질에 의한 자극으로 결장의 수축을 일으키게 하거나 해서 가스를 촉진한다. 일반적으로 소화기계의 수술뒤나 복막염의 환자에게 실시된다. 관장후에는 가스의 유무, 복부팽만완화의 정도 등을 관찰하고 그 효과를 확인한다. 시행상의 주의는 최하관장(催下灌腸)에 준한다.[간호학대사전]" H00253353 H00253340 Carotid artery 경동맥 C0007272 [3.0] Location 대동맥에서 갈려 나와 목을 지나 머리나 얼굴로 피를 보내는 동맥. H00254356 H00254356 Carrier 보균자 C0007294 [3.0] Focus 증상없이 체내에 병원미생물이 존재하여 감염전파자의 역할을 하는 개체. H00255474 H00255474 Cast 석고붕대 C0179686 [3.0] 10004039 2C.01.02.06 Means 고정 기구 H00255488 H00255488 Cast care 석고붕대간호 C0184573 [3.0] A02.1 1004347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 rigid dressing H00256382 H00256382 Cataract 백내장 C0086543 [3.0] 10004041 2B.02.02.01.05.05 Focus 손상된 신체 과정 H00256429 H00256429 Cataract care 백내장간호 C0184650 [3.0] Q50.1 10046010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cataract conditions H00257001 H00257001 Catatonia 긴장증 C0007398 [3.0] 10004056 1A.01.01.01.12.03.01.02.02 Focus 활동저하: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질환과 관련하여 사지의 근육강직을 동반하는 부동 혹은 지나친 충동적 행동을 나타내는 뚜렷한 운동 부전 H00257502 H00257502 Cathartic 설사제 C0007422 [3.0] 2C.9.0031 Means 연동운동의 자극 또는 장 내용물의 부피증가 등에 의하여 설사를 일으키게 하는 약물. H00257581 H00257595 Catheter 도관 C0085590 [3.0] 10004087 2C.01.04 Means 튜브 H00257595 H00257595 Catheter 카테터 C0085590 [3.0] 10004087 2C.01.04 Means 튜브 H00257680 H00257680 Catheterization 카테터삽입 C0007430 [3.0] 2C.9.0032 Means use or insertion of catheter for therapeutic purposes[CHV/SY] H00257693 H00257680 Catheterization 도관삽입 C0007430 [3.0] 2C.9.0032 Means use or insertion of catheter for therapeutic purposes[CHV/SY] H00258892 H00258892 Cause 원인 [3.0] 1A.9.0086 Focus 상태를 가져다 주는 것. 결과를 초래케 하는 것. H00260123 H00260137 Cavity 강 C0333343 [3.0] 1F.03.03 Location "시체나 기관 내의 속이 빈 장소, 공간 또는 잠재성 공간. 정상적인 것과 병적인 것이 있다." H00260137 H00260137 Cavity 공간 C0333343 [3.0] 1F.03.03.S.001 Location "시체나 기관 내의 속이 빈 장소, 공간 또는 잠재성 공간. 정상적인 것과 병적인 것이 있다." H00272513 H00272527 Central nervous system 중추신경계 C3714787 [3.0] Location 동물의 신경계에서 가장 많은 부위를 차지하는 부분으로 뇌와 척수를 포함한다. 말초신경계와 함께 동물의 행동을 제어함. H00272920 H00272920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 정맥 카테터 C1145640 [3.0] 10004115 2C.9.0033 Means 정맥 캐뉼러 H00272933 H00272933 Central venous pressure 중심정맥 압 C0428640 [3.0] 1A.9.0087 Focus "중심정맥압이란 심(心)도관을 대정맥내로 넣어서 직접 측정하여 얻어지는 간부정맥압을 말하며 약 4.6mmHg에 상당한다. 중심정맥압은 음압호흡이나 쇼크의 경우에 저하하며, 양압호흡(陽壓呼吸), 전혈류량증가(全血流量增加), 심부전(心不全)으로 상승한다.[간호학대사전]" H00274195 H00274195 Cephalic presentation 머리태위 C2979973 [3.0] 1A.9.0088 Location "1) 두위(頭位). 분만중 후두, 전액(前額) 및 안면 등을 포함하여 태아의 두부가 선진하고 있는 태위. 2) 태위(胎位)의 하나. 태위란 태아의 종축(縱軸)과 자궁의 종축과의 관계를 말하나, 태아의 종축이 자궁의 종축에 일치하는 것을 종위(縱位)라고 하며, 종위중 아두(児頭)가 자궁의 아래에 있는 것을 두위(頭位)라고 한다(또한, 어린아이의 골반단이 아래에 있는 것을 골반위 breech presentation, Beckenendlage라고 한다). 임신말기에는 95%가 두위이며 이를 정상 태위라고 생각한다.[간호학대사전]" H00274201 H00274195 Cephalic presentation 선진두부 C2979973 [3.0] 1A.9.0088 Location "1) 두위(頭位). 분만중 후두, 전액(前額) 및 안면 등을 포함하여 태아의 두부가 선진하고 있는 태위. 2) 태위(胎位)의 하나. 태위란 태아의 종축(縱軸)과 자궁의 종축과의 관계를 말하나, 태아의 종축이 자궁의 종축에 일치하는 것을 종위(縱位)라고 하며, 종위중 아두(児頭)가 자궁의 아래에 있는 것을 두위(頭位)라고 한다(또한, 어린아이의 골반단이 아래에 있는 것을 골반위 breech presentation, Beckenendlage라고 한다). 임신말기에는 95%가 두위이며 이를 정상 태위라고 생각한다.[간호학대사전]" H00274214 H00274228 Cephalic vein 요골측피부정맥 C0226802 [3.0] Location 팔의 바깥쪽을 따라 올라와 겨드랑이 정맥에 들어가는 얕은 정맥. H00274228 H00274228 Cephalic vein 노쪽피부정맥 C0226802 [3.0] Location 팔의 바깥쪽을 따라 올라와 겨드랑이 정맥에 들어가는 얕은 정맥. H00275766 H00275766 Cerebral alteration 대뇌장애 C0184524 [3.0] D07.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mental processes H00275770 H00275770 Cerebral alteration deteriorated 대뇌장애 악화됨 [3.0] D07.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75783 H00275783 Cerebral alteration improved 대뇌장애 개선됨 [3.0] D07.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75797 H00275797 Cerebral alteration stabilized 대뇌장애 안정됨 [3.0] D07.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276481 H00276501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 C0007785 [3.0] I63.9 Focus 腦硬塞 뇌의 혈관이 막히고 그 앞의 뇌조직이 괴사(壞死)한 상태. 뇌연화증(腦軟化症)이라고도 한다. 뇌혈전증(腦血栓症)과 뇌색전증(腦塞栓症)이 있다. H00276501 H00276501 Cerebral infarction 뇌경색증 C0007785 [3.0] I63 Focus 腦硬塞證 뇌의 혈관이 막히고 그 앞의 뇌조직이 괴사(壞死)한 상태. 뇌연화증(腦軟化症)이라고도 한다. 뇌혈전증(腦血栓症)과 뇌색전증(腦塞栓症)이 있다. H00277162 H00277162 Cerebral stroke 뇌졸중 C0038454 [3.0] Focus 腦卒中 "뇌혈류 이상에 의해, 뇌에 혈류 공급이 부족하여 유발되는 갑작스런 이상으로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뇌혈관병과 뇌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출혈성뇌혈관병으로 크게 구분된다. 허혈뇌혈관병은 뇌혈관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표적인 원인으로서는 뇌혈관동맥경화증(cerebral arteriosclerosis: 혈관에 지방질이 많이 쌓여서 발생. 대개 혈중콜레스테롤 농도와 연관이 깊다)과 뇌색전증(cerebral embolism: 혈액내에 이물질이 떠돌아 다니다 혈관을 막아서 발생)이 있으며 특히 뇌색전증의 경우는 심장병동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277551 H00277551 Cerebrospinal fluid 뇌척수액 C0007806 [3.0] 1A.9.0089 Focus "1) 제4뇌실, 지주막하강(蜘蛛膜下腔) 및 척수중심관에 있는 액체로서 맥락총(脈絡叢)과 뇌실질에 의하여 생성되고, 뇌실을 경유하여 지주막하강으로 순환하여 정맥계에 흡수된다. 2) 뇌척수액은 무색투명한 물같은 액체이며, 주로 측뇌실(側腦室)의 맥락총에서 생성된다. 측뇌실(側腦室) → 실간공(室間孔, Monro) → 제3뇌실(腦室) → 중뇌수도(中腦水道, Sylvius관管) → 제4뇌실→ 측공(側孔, Luschka)과 정중공(正中礼, Magendie) → 지주막하강의 경로를 거쳐 뇌표면 및 척수부(脊髓部) 지주막 하강을 채운다. 흡수는 지주막과립(蜘蛛膜顆粒)을 주로 해서 혈관주위강(血管周圍腔)에서 이뤄지며 정맥계로 유입된다. 즉 뇌실내에서 생성된 뇌척수액은 중추신경계의 병태(病態)를 가리키는 정보를 주지만 그 채취부위에 따라서 성상(性狀)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기억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간호학대사전] 3) 거미막밑공간과 뇌실을 채우고 있으면서 뇌와 척수를 쌓고 있는 맑은 액체를 뇌척수액이라 한다. 거미막밑공간이란 3개의 층(밖에서 부터 경질막, 거미막, 유막)으로 이루어진 뇌막 중에서 2번째 층에 해당하는 거미막의 아래의 공간으로 가장 밑에 있는 뇌막인 유막의 위에 존재하는 공간이다. 뇌실이란 뇌속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그 속에는 뇌실액으로 채워져 있다. 뇌와 척수는 고체이고 이것들을 둘러쌓는 뇌척수액은 액체이므로 뇌, 척수는 뇌척수액속에 떠있는 결과가 된다. 이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뇌와 척수를 보호하는데 유용하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277758 H00277775 Cerebrovascular accident 뇌혈관 사고 C0038454 [3.0] I64 Focus 腦血管事故 "뇌혈류 이상에 의해, 뇌에 혈류 공급이 부족하여 유발되는 갑작스런 이상으로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뇌혈관병과 뇌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출혈성뇌혈관병으로 크게 구분된다. 허혈뇌혈관병은 뇌혈관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표적인 원인으로서는 뇌혈관동맥경화증(cerebral arteriosclerosis: 혈관에 지방질이 많이 쌓여서 발생. 대개 혈중콜레스테롤 농도와 연관이 깊다)과 뇌색전증(cerebral embolism: 혈액내에 이물질이 떠돌아 다니다 혈관을 막아서 발생)이 있으며 특히 뇌색전증의 경우는 심장병동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278036 H00278036 Cerebrum 대뇌 C0242202 [3.0] Location "좌우 두 개의 반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등한 정신 활동을 담당하는 중추." H00278232 H01820959 Cerumen 귀지 C0740486 [3.0] H61.2 10006501 2B.02.01.01.01.01.01.02.02.09 Focus 분비물 H00279669 H00279669 Cervical vertebra 목뼈 C0728985 [3.0] Location 목 등뼈 H00279672 H00279669 Cervical vertebra 경추 C0728985 [3.0] Location 頸椎 목 등뼈 H00280348 H01786791 Cervix 자궁목 C0007874 [3.0] Location 자궁의 목은 자궁이 질과 연결된 부위로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위. H00280365 H01786791 Cervix 자궁경부 C0007874 [3.0] Location 자궁의 목은 자궁이 질과 연결된 부위로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위. H00280494 H00280481 Cesarean section 제왕절개술 C0007876 [3.0] 10004143 2C.02.03.05 Means 수술 H00281323 H00281323 Change 변화 C0392747 [3.0] 1B.05 Judgment "사물의 성질, 모양, 상태 따위가 바뀌어 달라짐." H00281676 H00281662 Characteristic 특징 C1521970 [3.0] 10004170 Focus 현상 H00281726 H00281726 Charcoal 숯 C0007955 [3.0] Means "목재를 공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가열하거나, 또는 공기를 아주 적게 하여 가열하였을 때 생기는 고체 생성물." H00282794 H00282800 Chemical 화학약품 C0220806 [3.0] 1A.9.0093 Focus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데 쓰는 고체나 액체상의 물질.[간호학대사전] H00282800 H00282800 Chemical 화학물질 C0220806 [3.0] 1A.9.0093 Focus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데 쓰는 고체나 액체상의 물질.[간호학대사전] H00283011 H00283011 Chemical injury 화학적손상 C0441713 [3.0] 10004191 Focus 손상 H00284139 H00284139 Chemotherapy 화학요법 C3665472 [3.0] 10004209|10044583 2C.02.05.02 Means|IC 요법 H00284142 H00284142 Chemotherapy care 항암요법간호 C0184613 [3.0] H22.0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nd monitor antineoplastic agents H00284478 H01695203 Chest 가슴 C0817096 [3.0] 10004213 1F.03.04 Location 신체 부분 H00284481 H01695203 Chest 흉부 C0817096 [3.0] 10004213 1F.03.04 Location 신체 부분 H00284898 H00284898 Chest physiotherapy 흉부물리요법 C0199467 [3.0] L36.2 10046023|10046477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계획(간호중재) Means|IC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exercises to provide postural drainage of lungs H00285047 H00285047 Chest circumference 가슴둘레 C0424683 [3.0] 10036803 1A.9.0094 Focus 신체적 영역 H00285176 H00285257 Chest pain 흉통 C0008031 [3.0] R07.4 1A.9.0095 Focus "1) 심장질환의 가장 흔한 증상, 그러나 흉통이 있다고 해서 항상 심장질환이 있는 것은 아니며 폐질환이나 위장질환이 있을 때도 나타날 수 있음.심장질환에서의 흉통은 대부분의 경우 고나상순환부전으로 인한 심근의 산소결핍때문에 발생되고 신체의 일부가 손상을 받고 있거나 병들어 가는 사실을 경고해 주는 일련의 방어기전이다. 2) 흉부에 느끼는 통증이고 자발통인 것도 있는가 하면 운동등으로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흉부에 통증이 생기는 장기내지 조직으로는 흉벽(근육과 골격), 흉막, 심장, 대혈관, 기관 및 식도가 있다. 폐는 무통성이고 폐질환으로 통증이 생기는 것은 인접조직 가운데서도 흉막이 침범되었기 때문이다. 흉통을 호소한 경우에는 통증의 지속, 통증의 성질, 시간적 경과, 악화인자에 대해서 묻고 어떤 원인에 의한 것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85180 H00285257 Chest pain 가슴 통증 C0008031 [3.0] R07.4 1A.9.0095 Focus "1) 심장질환의 가장 흔한 증상, 그러나 흉통이 있다고 해서 항상 심장질환이 있는 것은 아니며 폐질환이나 위장질환이 있을 때도 나타날 수 있음.심장질환에서의 흉통은 대부분의 경우 고나상순환부전으로 인한 심근의 산소결핍때문에 발생되고 신체의 일부가 손상을 받고 있거나 병들어 가는 사실을 경고해 주는 일련의 방어기전이다. 2) 흉부에 느끼는 통증이고 자발통인 것도 있는가 하면 운동등으로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흉부에 통증이 생기는 장기내지 조직으로는 흉벽(근육과 골격), 흉막, 심장, 대혈관, 기관 및 식도가 있다. 폐는 무통성이고 폐질환으로 통증이 생기는 것은 인접조직 가운데서도 흉막이 침범되었기 때문이다. 흉통을 호소한 경우에는 통증의 지속, 통증의 성질, 시간적 경과, 악화인자에 대해서 묻고 어떤 원인에 의한 것인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285372 H00285372 Chest tube 가슴관 C0008034 [3.0] 10004232 2C.01.03.01 Means 튜브 H00285467 H00285467 Chewing 씹기 C0024888 [3.0] 10004250 1A.01.01.01.05.03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행위: 치아로 으깨고 혀를 움직여서 입안의 음식을 기계적으로 분쇄하는 것. H00285758 H00285758 Chief complaint 주요호소증상 C0277786 [3.0] 1A.9.0098 Focus "환자의 호소 가운데서 가장 주요한 호소를 말한다. 환자의 마음속에 가장 먼저 있는 것이므로 대개의 경우 통증, 기능이상, 상태의 변화, 환자가 행한 관찰의 어느 한곳에 속한다. 고혈압의 정밀검사 등, 내원의 목적은 주소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주소에 대해서 환자로 하여금 가능한 한 상세하게 말하게 하고 문진을 진행시켜 현재 질환의 윤곽이 잡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0285910 H00285923 Child 아동 C0008059 [3.0] 10004266 Client 개인 H00285923 H00285923 Child 어린이 C0008059 [3.0] 10004266 Client 개인 H00285937 H00285923 Child 소아 C0008059 [3.0] 10004266 Client 개인 H00286053 H00286067 Child abuse 아동학대 C0008060 [3.0] 1A.01.01.02.02.02.01.11.03.01 Focus "학대: 어린이를 폭행, 공격 또는 학대하는 행동; 가족내에서 학대, 불법적이거나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과 관련됨." H00286067 H00286067 Child abuse 어린이학대 C0008060 [3.0] 1A.01.01.02.02.02.01.11.03.01 Focus "학대: 어린이를 폭행, 공격 또는 학대하는 행동; 가족내에서 학대, 불법적이거나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과 관련됨." H00286408 H00286392 Childbirth 출생 C1148523 [3.0] 10004307 1A.01.01.01.15.03.0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새 사람을 세상에 나오게 하는 아이의 출생. H00286411 H00286411 Childhood 아동기 C0231335 [3.0] 10004348 Time 발달 시기 H00286635 H00286635 Chill 오한 C0085593 [3.0] 10018045 1A.9.0099 Focus 체온조절: 마취의 부작용이나 발열중 오한 시기에 항온조절점 아래로 체온이 하강하면서 느끼는 차가운 감각으로 인한 근육 수축과 연축의 불수의적 떨림. H00286781 H00286781 Chin 턱 C0008114 [3.0] 10004382 1F.03.06 Location 신체 부분 H00286930 H00286930 Chiropractic 지압요법 C0008138 [3.0] 2B.9.0001 Focus 엄지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몸 표면의 일정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생체의 변조(變調)를 교정하거나 건강의 증진 또는 질병의 치료를 도모하는 수기요법(手技療法).[두산백과] H00298894 H00298913 Chorea 무도병 C0008489 [3.0] G25.5 Focus 舞蹈病 "주로 사지의 세밀한 불규칙한 불수의 운동이 다양하게 반복되는 것으로 얼굴을 찡그리거나 혀의 움직임을 동반한다. 얼굴-손-발-혀 따위가 뜻대로 되지 않고 저절로 심하게 움직여, 마치 춤을 추는 듯한 모습이 되는 신경병. 소무도병-헌팅턴무도병-노인성 무도병 따위가 있는데, 걸리는 연령층과 원인이 다르다. 류마티스열이 있을 때나 바닥핵의 병터가 있을 때 나타난다. 동작이 의도적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어떤 충동이나 외부자극에 반응하여 의지와는 전연 무관하게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류마티스에 관련하여 일어나는 피라밋외로계 병의 하나로, 그 보행이 마치 춤을 추는 것 같아서 붙은 이름이다. 여성, 특히 소녀에게 많은 시데남무도병(소무도병)은 고치기 쉬우나 중년에 시작되는 유전성인 것은 정신장애가 따르고 진행성이어서 치유가 어렵다. 무릎관절의 앞쪽에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조그만 뼈, 흔히 밖에서도 손으로 촉지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302530 H00302530 Chronic low self-esteem disturbance 만성자존감저하 C0150072 [3.0] P43.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Persistent negative evaluation of oneself H00302543 H00302543 Chronic low self-esteem disturbance deteriorated 만성자존감저하 악화됨 [3.0] P43.3.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02557 H00302557 Chronic low self-esteem disturbance improved 만성자존감저하 개선됨 [3.0] P43.3.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02561 H00302561 Chronic low self-esteem disturbance stabilized 만성자존감저하 안정됨 [3.0] P43.3.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02638 H00302638 Chronic pain control 만성통증조절 C1171182 [3.0] Q47.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physical suffering, hurting, or distress that continues longer than expected" H00302641 H00302641 Chronic pain deteriorated 만성통증 악화됨 [3.0] Q63.2.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02655 H00302655 Chronic pain improved 만성통증 개선됨 [3.0] Q63.2.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02669 H00302669 Chronic pain stabilized 만성통증 안정됨 [3.0] Q63.2.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05698 H00305698 Chronic pain 만성 통증 C0150055 [3.0] R52.2 Q63.2 10000546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Pain that persists over time H00307208 H00307208 Chvostek sign 크보스테크 징후 C0234180 [3.0] Focus 안면신경이 나오는 부위를 가볍게 두드리면 안면근육이 수축하고 입술과 이마가 움직이는 증상. H00308178 H00308178 Cicatrix 반흔 C2004491 [3.0] L90.5 10017500 1A.9.0449 Focus "신체조직: 피부가 파괴되고 치유되는 과정과 관련된 수축되고, 단단한 무혈관성의 창백한 신체 표면의 조직." H00308617 H00308617 Ciliary injection 섬모충혈 C0271108 [3.0] 1A.9.0101 Focus "1) 단순한 결막충혈 외에 안구 전반부 조직 내에 염증이 일어난 경우는 모양충혈(毛樣充血)이라 하며, 각막 주위가 강하게 적자색이 된다. 이것은 중증인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두산백과] " 2) peripheral hyperemia of the anterior ciliary vessels which produces a deep red or rose color of the corneal stroma and must be distinguished from hyperemia of the conjunctival vessels. May spread to the perilimbic corneal tissue. Called also ciliary flush.[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 2007 Elsevier " Inc. All rights reserved]""" H00309928 H00309928 Circulation 순환 [3.0] Focus 주기적으로 자꾸 되풀이하여 돎. 또는 그런 과정.[표준국어대사전] H00309962 H00309962 Circulatory care 순환계간호 C0885924 [3.0] S70.0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circulation of the blood(blood vessels) H00310218 H00310218 Circumcision 포경수술 C0008819 [3.0] 64 10035175 Time 시술 H00310690 H00310690 Circumstantiality 우원증 C0233649 [3.0] 1A.9.0145 Focus "사고의 형식적 장애의 일종으로 사고의 최종목표에는 도달하는데, 도중에서 지엽말단에 얽매어 요점이나 본질의 통찰이 부족하고 멀리 돌고 말아 목표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점착기질, 간질성격, 정신지체, 치매, 뇌기질질환 등 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312051 H00312079 Clamp 꽉집게 C0175721 [3.0] Means 물건을 압박하거나 죌 수 있는 도구의 하나. H00312065 H00312079 Clamp 물개 C0175721 [3.0] Means 물건을 압박하거나 죌 수 있는 도구의 하나. H00312079 H00312079 Clamp 클램프 C0175721 [3.0] Means 물건을 압박하거나 죌 수 있는 도구의 하나. H00313684 H00313684 Clavicle 빗장뼈 C0008913 [3.0] Location 가슴의 위쪽에서 양쪽 어깨에 걸쳐 수평으로 나 있는 뼈. H00313698 H00313684 Clavicle 쇄골 C0008913 [3.0] Location 가슴의 위쪽에서 양쪽 어깨에 걸쳐 수평으로 나 있는 뼈. H00314298 H00314298 Clean intermittent catheterization 청결간헐도뇨 C2936294 [3.0] Focus 방광내의 소변을 배출하기 위해 요도에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도뇨관을 삽입하여 도뇨를 시행하는 기술. H00314852 H00314852 Cleft lip 구순열 C0008924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315032 H00315032 Cleft palate 구개열 C0008925 [3.0] Q35 1A.9.0104 Focus "선천적 기형의 하나이고 태생기에 양구개의 융합이 불완전하게 된 것. 그 정도에 따라서 완전구개열, 불완전구개열, 연구개열이 있고 점막의 파열이 없는 것을 점막하 구개열이라고 한다. 원인으로서는 유전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데 태생초기의 여러가지 인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포유력부전으로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개비성(開鼻聲)과 함께 언어장애가 문제가 된다. 치아나 교합의 이상, 중이(中耳)의 감염을 가져오기 쉽다. 수술은 비강과 구강의 격벽을 만드는 것, 비인강(鼻咽腔) 폐쇄기능을 양호하게 해서 언어장애를 예방ㆍ개선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술뒤 언어훈련을 필요로 하는데 언어치료의 면에서 수술의 시기는 2세전후가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0315046 H00315032 Cleft palate 입천장갈림증 C0008925 [3.0] Q35.9 1A.9.0104 Focus "선천적 기형의 하나이고 태생기에 양구개의 융합이 불완전하게 된 것. 그 정도에 따라서 완전구개열, 불완전구개열, 연구개열이 있고 점막의 파열이 없는 것을 점막하 구개열이라고 한다. 원인으로서는 유전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데 태생초기의 여러가지 인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포유력부전으로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개비성(開鼻聲)과 함께 언어장애가 문제가 된다. 치아나 교합의 이상, 중이(中耳)의 감염을 가져오기 쉽다. 수술은 비강과 구강의 격벽을 만드는 것, 비인강(鼻咽腔) 폐쇄기능을 양호하게 해서 언어장애를 예방ㆍ개선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술뒤 언어훈련을 필요로 하는데 언어치료의 면에서 수술의 시기는 2세전후가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0316018 H00316018 Clinical measurements 임상측정 C0947289 [3.0] K31.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duct procedures to evaluate somatic events H00316181 H00316181 Clinical laboratory 임상검사실 [3.0] 2F.9.0020 Location "보통, 임상검사실이라고 하는데, 전후 임상검사 기사, 위생검사기사 등이 행하고 있던 각종 임상검사를 행하며, 병원조직으로서 중앙화되었다. 또한 의사가 스스로 행하는 검사(예를 들면 안저(眼底)검사, 전정(前庭) 기능검사 등)에 대해서는 각각의 검사명을 쓴 검사실로 호칭한다. 임상검사실(과)에는 많은 경우 부(과)장에 의사를 두고, 기사장에 임상검사기사를 두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316648 H00316648 Clitoris 음핵 C0008984 [3.0] 10004471 1F.03.07 Location 여성생식기계 H00329509 H00329509 Cloudy urine 혼탁 뇨 C0278034 [3.0] 1A.9.0107 Focus "1) 정상적 요라도 알칼리성일 때나 채취한 요를 방치해 두면 염류가 석출해서 혼탁해진다. 인산염, 탄산염에 의한 혼탁은 초산을 가하면 소실하고 수산염은 염산, 요산염은 가온으로 투명해 진다. 병적인 요의 혼탁은 혈액, 농, 세균, 점액, 대변, 점액, 림프액 등의 혼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병적인 요혼탁은 산의 첨가나 가온으로도 투명해지지 않는다. 혼탁의 원인 감별은 요침사의 경검(鏡檢)에 따른다. 림프액에 의한 혼탁(유미뇨)은 유백색을 나타내고 알콜, 에테르를 섞어서 흔들면 투명해 진다.[간호학대사전] 2) 정상뇨는 담황색 또 황갈색으로투명하지만, 장시간 방치하거나 또는 어떤 질환으로 탁한 오줌. 혈뇨, 농뇨, 염류뇨, 세균뇨 등 몇 가지 종류가 있다. 혈뇨는 적혈구가 요에 혼입한 것으로 요에 적혈구의 양에 따라 경요도적 전립선절제수술 등에 나타나는 육안적 혈뇨와 현미경적으로 적혈구를 인정하는 현미경적 혈뇨로 구분한다. 또한 자각증상의 유무에 따라 동통 등의 자각 증상을 수반하는 증후성혈뇨와 전혀 자각증상이 없는 무증후성 혈뇨로 나눈다. 무증후성 혈뇨는 초기의 요로악성종양의 경우에 많이 나타난다. 농뇨는 요에 백혈구가 혼입한 것으로 요로와 전립선에 염증이 있는것을 뜻한다. 농과 같이 혈액이 혼입한 혈농뇨는 급성방광염,급성신우신염, 급성전립선염 등에 가끔 나타난다. 염류뇨는 요의 pH나 온도변화, 요에 용해되어 있는 염류의 증가로 요의인산염, 요산염, 탄산염, 옥살염 등이 석출되어 혼탁된 것이다.염류뇨 그 자체는 질환과는 관계없다. 세균뇨는 요에 다수의세균이 나타나는 것으로 요로 감염증 시에 나타난다.[생명과학대사전]" H00334593 H00334501 Coccyx 꼬리뼈 C0009194 [3.0] Location 여러 개의 미추(꽁무니뼈)개 골결합하여 이루어진 뼈. 꼬리가 없는 동물의 경우에는 이것은 보통 흔적기관으로 남아있음. H00335209 H00335209 Code 코드 C0805701 [3.0] 2B.9.0009 Focus 부호(符號). 사람의 행동을 제어하는 일련의 규칙.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H00335212 H00335209 Code 부호 C0805701 [3.0] 2B.9.0009 Focus 부호(符號). 사람의 행동을 제어하는 일련의 규칙. 정보를 전달하는 시스템. H00336019 H00336019 Cognition 인지 C0009240 [3.0] 10004485 1A.01.01.02.01.01.02 Focus "심리적 과정: 지각, 사고, 추론 및 기억의 모든 면을 포함하는 지적과정." H00336084 H00336084 Cognitive component 인지요소 C0184494 [3.0] D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cognitive, mental, cerebral, and neurological processes." H00336117 H00336117 Cognitive disorder 인지장애 C0009241 [3.0] Focus "자신과 환경을 인지하고, 관계하고, 생각하는 지속적인 양상으로서 광범위하고 중요한 사회적(가정 포함) 및 개인적 상황에서 심각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양상이 경직되고 매우 부적응적이며 사회적 또는 직업적 상황에서 본인에게 장애를 미치게 하거나, 주관적인 괴로움을 본인과 타인인 현저하게 느끼게 할 때임." H00336246 H00336246 Cognitive skill 인지기술 [3.0] Focus "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 지각, 기억, 상상, 개념, 판단, 추리를 포함하여 무엇을 파악할 수 있는 능력." H00336702 H00336702 Coitus 성교 C0009253 [3.0] 10017965 1A.01.01.02.02.02.04.01 Focus 수행함: 일반적으로 이성의 두 사람이 하는 성적 활동; 상호 흥분과 오르가즘을 위한 성적 결합. H00337297 H00337302 Cold sweat 식은땀 C0232431 [3.0] Focus 몸이 쇠약하여 덥지 아니하여도 병적으로 나는 땀 또는 정신의 긴장으로 나는 땀. H00337302 H00337302 Cold sweating 식은땀 [3.0] Focus 몸이 쇠약하여 덥지 아니하여도 병적으로 나는 땀 또는 정신의 긴장으로 나는 땀. H00337543 H00337561 Colic 산통 C0232488 [3.0] R10.42 10004535 1A.01.01.01.13.01.04.01 Focus "내장통증: 장, 요관, 또는 담관과 같이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장기의 평활근 경련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강도의 불편감." H00337561 H00337561 Colic 급통증 C0232488 [3.0] R10.42 10004535 1A.01.01.01.13.01.04.01 Focus "내장통증: 장, 요관, 또는 담관과 같이 내부 공간이 비어 있는 장기의 평활근 경련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강도의 불편감." H00338448 H00338448 Collagen disease 콜라겐병 C0009326 [3.0] 1A.9.0161 Focus "교원병의 명칭은 병리해부학적으로 공통적인 병변을 나타내는 질환군에 부여한 병명은 아니다. 클렘페러 Klemperer, 그밖의 미국 의학자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혈관결합조직에 계통적으로 널리 나타나는 병변을 지닌 급성 및 만성질환을 일괄해서 일컫는 개념적인 병명이다. 피브리노이드변성이 혈관 주위 교원섬유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이 붙여졌다. 교원병에 포함되고 있는 것에는 에리테마토데스, 범발성 강피증, 피부근염, 류마티스열, 결절성 동맥주위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악성신경화증 등, 자기면역질환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질환이 포함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340455 H00340455 Collyrium 점안제 [3.0] Means "눈병의 진단, 예방.치료에 쓰이는 약제. 누에 떨어뜨리는 액체인 점안액과, 안연고가 있음.." H00341881 H00341881 Color 색 C0009393 [3.0] 1B.9.0076 Judgment 망막수용체의 흥분에 충분한 빛의 파장(대체로 37~76mm) 범위로 들어오는 광선중 특정의 입사광선을 흡수하고 다른 것을 반사하는 것에 의해서 생기는 물질 또는 표면의 한 성질 H00342819 H00661075 Colostrum 첫젖 C0009413 [3.0] Focus 1) 산욕 제3일 무렵까지 분비되는 물처럼 투명~담황색 반투명이고 약간 점조(粘稠)한 유즙. 보통 4~5일로 백색 불투명의 성숙유로 이행한다. 초유는 보통 우유에 비해 단백질 염류가 풍부하고 영양가도 보통 우유의 2~3배가 된다. 또 지방구(脂肪球)틑 탐식한 백혈구(초유구)를 포함한다. 이 풍부하게 함유된 염분은 변통을 촉진하고 또 초유중의 분비형 IgA를 주로한 면역글로불린은 신생아의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수 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2) 출산 전후 수일간 분비되는 엷은 황색의 젖같은 액체. 20% 이하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고 면역글로불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모체의 혈액 항체를 대표하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343467 H00343467 Colporrhagia 질출혈 [3.0] 1A.9.0591 Focus "월경 외에 질을 통해 혈액이 유출되는 비정상적인 상태. 자궁이나 자궁경부의 기형, 복부 임신, 내분비 이상, 하나 또는 2개의 난소나 나팔관의 이상, 질의 기형으로 인해 초래된다. 질출혈 양의 정도는 heavy vaginal bleeding(보통 월경량보다 많은 경우), moderate vaginal bleeding(정상 월경량 정도), light vaginal bleeding(월경량보다 적은)으로 표현한다. Vaginal staining은 생리대가 거의 필요하지 않은 정도로 출혈이 있는 경우이며 vaginal spotting은 몇 방울의 혈액이 나온 경우, bloody show는 진통 초기나 진통중, 특히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린 분만1기에 경부의 모세혈관협착으로 나타나는 질출혈을 의미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343873 H00343937 Coma 혼수 C0009421 [3.0] R40.2 10004629 1A.01.01.01.13.18.04 Focus 손상된 의식: 통증반응이 없는 것을 포함한 신체적 반응이 없는 깊은 무의식 상태. H00344845 H00344845 Comfort alteration 안위변화 C0184566 [3.0] Q45.0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sensation that is distressing H00344859 H00344859 Comfort alteration deteriorated 안위장애 악화됨 [3.0] Q45.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4862 H00344862 Comfort alteration improved 안위장애 개선됨 [3.0] Q45.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4876 H00344876 Comfort alteration stabilized 안위장애 안정됨 [3.0] Q45.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4880 H00344880 Comfort care 안위간호 C0150521 [3.0] Q48.0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hance or improve well-being H00345480 H00039361 Common cold 감기 C0009443 [3.0] J00 1A.9.0581.S.002 Focus "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ㆍ기관ㆍ기관지ㆍ폐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상기도와 하기도로 나눈다. 상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를 포함하는데 임상적으로는 기관부근까지를 상기도로 넣는 수도 있다. 이 부위의 감염증을 총칭해서 상기도 감염이라고 한다. 감기증후군이라고 하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다. 이밖에 세균성 급성 편도선염등, 호흡기 감염 가운데서 가장 흔한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0346322 H00346322 Communication 의사소통 C0009452 [3.0] 10004705 1A.01.01.02.02.02.05 Focus 상호작용 행동: 기술적인 지원을 받아 동기적 혹은 비종기적인 방법으로 언어 혹은 비언어적 행동이나 대면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는 것 H00346336 H00346336 Communication care 의사소통간호 C2958365 [3.0] M38.0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xchange verbal/nonverbal and/or translation of information H00346340 H00346340 Communication impairment 의사소통장애 C0009460 [3.0] M28.0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Diminished ability to exchange thoughts, opinions, or information" H00346353 H00346353 Communication impairment deteriorated 의사소통장애 악화됨 [3.0] M28.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6367 H00346367 Communication impairment improved 의사소통장애 개선됨 [3.0] M28.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6371 H00346371 Communication impairment stabilized 의사소통장애 안정됨 [3.0] M28.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6417 H00346417 Community 지역사회 C0009462 [3.0] 10004733 1A.01.02.02 Client "집단: 지리적 위치, 주변 상황의 공유, 혹은 공통 관심을 공유하면서 연결된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사회 단위 혹은 집합적 단체로서의 인간 집단." H00346421 H00346421 Community 집단 C0009462 [3.0] 10004733 1A.01.02.02 Client "집단: 지리적 위치, 주변 상황의 공유, 혹은 공통 관심을 공유하면서 연결된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사회 단위 혹은 집합적 단체로서의 인간 집단." H00346434 H00346434 Community 지역 C0009462 [3.0] 10004733 1A.01.02.02 Client "집단: 지리적 위치, 주변 상황의 공유, 혹은 공통 관심을 공유하면서 연결된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사회 단위 혹은 집합적 단체로서의 인간 집단." H00346465 H00346465 Community coping impairment 지역사회대처장애 C0221550 [3.0] E52.0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Inadequate community response to problems or difficulties H00346479 H00346479 Community coping impairment deteriorated 지역사회대처장애 악화됨 [3.0] E52.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6482 H00346482 Community coping impairment improved 지역사회대처장애 개선됨 [3.0] E52.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6496 H00346496 Community coping impairment stabilized 지역사회대처장애 안정됨 [3.0] E52.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46594 H00346594 Community special services 지역사회서비스프로그램 C1171185 [3.0] G17.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formation about special community services H00346708 H00346708 Community development 지역사회개발 C0009465 [3.0] 10004751 Focus 개발: 지역사회가 달성한 계획된 성장. H00346787 H00346773 Community health center 보건소 C0009469 [3.0] 10004779 Location 보건의료시설 H00347129 H00347129 Community resource 지역사회자원 [3.0] Means 한 지역의 일정한 범위 안에서 지연에 따라 저절로 이루어진 생활공동체에서 얻을 수 있는 물자나 인재. H00348068 H00348023 Competency 수행능력 C0086035 [3.0] 10000075 Focus 능력 H00348202 H00348202 Complaint 호소증상 C0277786 [3.0] Focus 1) 마음에 들지 아니하여 못마땅하게 여김. 또는 못마땅한 것을 말이나 행동으로 드러냄. 2) 마음이 편하지 아니함. "3) 병으로 몸이 불편함. [표준국어대사전]""" H00351261 H00351261 Compliance care 이행증진간호 C0150523 [3.0] G18.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adherence to care regimen H00351288 H00351288 Compliance with diet 식사이행 C1272406 [3.0] G18.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adherence to diet/food intake H00351291 H00351291 Compliance with fluid volume 수분섭취이행 C1272407 [3.0] G18.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adherence to therapeutic intake of liquids H00351307 H00351307 Compliance with medical regimen 의사지시이행 C0870870 [3.0] G18.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adherence to physician's/provider's treatment plan H00351311 H00351311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 투약이행 C1171183 [3.0] G18.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adherence to prescribed course of medicinal substances H00351324 H00351324 Compliance with safety precaution 안전주의이행 C1272410 [3.0] G18.5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adherence with measures to protect self or others from injury, danger, or loss" H00351338 H00351338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 치료지시이행 C1171184 [3.0] G18.6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adherence with plan of care H00351405 H00351405 Complication 합병증 C0009566 [3.0] 10025459 2B.02.02.01.06 Focus 현상 H00352196 H00352196 Compound presentation 복합태위 C0426178 [3.0] Location "prolapse of a limb of the fetus alongside the head in a cephalic presentation or of one or both arms in a breech presentation.[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0352439 H00352439 Compression bandage 압박붕대 C0677875 [3.0] 10030976 Means 붕대 H00352957 H00352957 Compression therapy 압박요법 C0565514 [3.0] 10030982|10035147 Means|IC 요법 H00353087 H00353087 Compulsive idea 강박관념 [3.0] 10013540 1A.01.01.02.01.01.02.01.01.05 Focus "몰두: 강박적인 행동과 관련된 논리나 이성으로 제거할 수 없는 마음속에 계속 무의식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지속적인 생각이나 사고, 불합리한 행동을 암시하는 생각, 사고의 반복, 하찮은 사고와 부적절한 세부사항, 현실에 기초하지 않은 터무니없는 사고" H00353480 H00353480 Concentration 집중 C0086045 [3.0] 10004910 1A.01.01.02.01.01.02.01.01.04.01 Focus 인지: 지식의 저장과 인출을 처리하는 초점화된 주의집중과 정신적 활동 H00354143 H00354143 Concrete thinking 구체적 사고 C0233641 [3.0] 10004923 1A.01.01.02.01.01.02.01.01.02 Focus "인지: 일반화하거나 추상성을 다룰 수는 없지만 사실을 정렬하고, 정리하고 분류하는 능력을 가지면서, 사고가 점차 논리적이고 일관성있게 됨; 문제해결이 지각된 것에 근거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짐, 일반적인 종류가 아니라 구체적인 종류의 사례에 단어를 적용하며 단어의 의미를 문자그대로 유지함; 약 7-11세 아이들의 인지적 사고 과정의 발달 단계." H00355678 H00355681 Conduction defect 전도장애 C0264886 [3.0] I45.9 1A.9.0116 Focus "Abnormality in rhythm of heartbeat, including rate, regularity, and/or sequence of activation abnormalities[SNOMEDCT_US/PT]" H00356717 H00356717 Conflict 갈등 C0009671 [3.0] 1B.08 Judgment 간호현상 : 상반되거나 다른 정신적 힘들의 작용. H00356877 H02769131 Confusion 혼란 C0009676 [3.0] R41.0 10004947|10023633 1A.01.01.02.01.01.04.02 Focus|DC "왜곡된 사고: 사람, 시간 또는 장소에 대한 방향감을 상실한 기억 손상." H00356881 H02769131 Confusion 착란 C0009676 [3.0] R41.0 10004947|10023633 1A.01.01.02.01.01.04.02 Focus|DC "왜곡된 사고: 사람, 시간 또는 장소에 대한 방향감을 상실한 기억 손상." H00356894 H02769131 Confusion 혼돈 C0009676 [3.0] R41.0 D07.1 10004947|10023633 1A.01.01.02.01.01.04.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State of being disoriented(mixed up) 혼란 상태 H00356900 H02769131 Confusion 혼동 C0009676 [3.0] R41.0 10004947|10023633 1A.01.01.02.01.01.04.02 Focus|DC "왜곡된 사고: 사람, 시간 또는 장소에 대한 방향감을 상실한 기억 손상." H00356913 H00356913 Confusion deteriorated 혼돈 악화됨 [3.0] D07.1.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56927 H00356927 Confusion improved 혼돈 개선됨 [3.0] D07.1.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56931 H00356931 Confusion stabilized 혼돈 안정됨 [3.0] D07.1.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64006 H00364006 Congestion 울혈 C0700148 [3.0] 10004952 1A.9.0292.S.001 Focus 손상된 상태: 혈액 혹은 다른 체액이 신체의 특정 부위에 과도하게 축적된 것. H00365219 H00365219 Conjunctiva 결막 C0009758 [3.0] 10004968 1F.03.08 Location 감각계 구성요소 H00365222 H00365219 Conjunctiva 이음막 C0009758 [3.0] 10004968 1F.03.08 Location 감각계 구성요소 H00365446 H02445901 Conjunctival hemorrhage 결막출혈 C0009760 [3.0] H11.3 Focus 외부에 노출 되는 안구 앞쪽 부위와 눈꺼풀의 안쪽 면을 덮고 있는 얇고 투명한 점막의 출혈. H00366144 H00366144 Connective tissue disease 결합조직병 C0009782 [3.0] 1A.9.0161 Focus "교원병의 병변이 교원섬유의 이상에만 국한된 질환이 아니고 전신의 결합조직에 널리 미치고 있는 점에서 결합조직질환으로 부른다. 교원병과 같은 뜻이다. 결합조직의 구성성분인 섬유아 세포, 조직구등의 세포성분과 함께 교원섬유 및 무정형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세포간 물질성분의 증가ㆍ변성을 볼수 있고 특히 세포간 물질의 변화는 유섬유소변성 fibrinoid degeneration 으로서 중요시되는 소견이다.[간호학대사전]" H00366516 H00366516 Consciousness 의식 C0234421 [3.0] 10004975 1A.01.01.01.13.18 Focus 상태: 경계하고 깨어 있으며 외부환경에 민감한 정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감각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인상(impression)에 대한 정신 반응 H00366659 H00366659 Consent 동의 C1511481 [3.0] 10004981 Focus 상태 H00366743 H00366743 Conservative treatment 보존치료 [3.0] Focus "treatment that designed to avoid radical medical therapeutic measures or operative procedures.[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0366838 H00366838 Consolidation 경화 C0702116 [3.0] Judgment 폐렴 등에 의한 분비물로 폐 내 공간이 가득 채워져 딱딱해지는 과정이나 상태. H00367066 H00367066 Constipation 변비 C0009806 [3.0] K59.0 B03.6 10004999|10000567 1A.01.01.01.09.01.0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Difficult passage of hard, dry feces" 굳고 건조한 변의 배설이 어려움 H00367070 H00367070 Constipation deteriorated 변비 악화됨 [3.0] B03.6.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67083 H00367083 Constipation improved 변비 개선됨 [3.0] B03.6.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67097 H00367097 Constipation stabilized 변비 안정됨 [3.0] B03.6.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67540 H00367540 Consultant 상담자 C0009817 [3.0] 1A.9.0120 Focus 개인 수행 역할 H00367567 H00367571 Consultation 자문 C0009818 [3.0] 1A.9.0119 Focus "어떤 일을 좀 더 효율적이고 바르게 처리하려고 그 방면의 전문가나,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기구에 의견을 물음.[표준국어대사전]" H00367571 H00367571 Consultation 상담 C0009818 [3.0] 1A.9.0119 Focus 문제를 해결하거나 궁금증을 풀기 위하여 서로 의논함.[표준국어대사전] H00367665 H00367665 Consumption 소비 C0009830 [3.0] 1A.9.0122 Focus 1) 체력의 소모. 전에는 폐결핵에 대하여 사용되었다. 2) a. A progressive wasting of body tissue b. Pulmonary tuberculosis. No longer in scientific use.[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 Fourth Edition copyright ⓒ2000 by Houghton Mifflin Company. Updated in 2009.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0367679 H00367665 Consumption 소모 C0009830 [3.0] 1A.9.0122 Focus 1) 체력의 소모. 전에는 폐결핵에 대하여 사용되었다. 2) a. A progressive wasting of body tissue b. Pulmonary tuberculosis. No longer in scientific use.[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 Fourth Edition copyright ⓒ2000 by Houghton Mifflin Company. Updated in 2009.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0367732 H00367732 Consumptive disease 허로 [3.0] R53 Focus 虛勞 "허손로상(虛損勞傷), 로겁(勞怯), 허손(虛損)이라고도 하며, 장부와 기혈이 허해서 생긴 여러 가지 징후를 의미함" H00367939 H00367939 Contact lens 콘택트렌즈 C0009836 [3.0] 10005040 2C.01.07.11 Means 보조기구 H00380507 H00380507 Contamination 오염 C2349974 [3.0] 10025369 1B.09 Focus 환경 과정 H00380721 H00380721 Continuity 연속성 C0595960 [3.0] 10005064 Focus 상태 H00381253 H00098105 Contraception 피임 C0700589 [3.0] 1A.9.0123 Focus 수태나 임신의 방지. H00381267 H00381267 Contraception care 피임간호 C1171186 [3.0] U74.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event conception of an offspring/child H00381271 H00381271 Contraception risk 피임 위험성 C1171157 [3.0] U59.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 preventing the conception of an offspring/child H00381284 H00381284 Contraception risk deteriorated 피임 위험성 악화됨 [3.0] U59.3.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81298 H00381298 Contraception risk improved 피임 위험성 개선됨 [3.0] U59.3.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81303 H00381303 Contraception risk stabilized 피임 위험성 안정됨 [3.0] U59.3.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381401 H00381401 Contraceptive pill 먹는피임제 [3.0] Means 피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제. H00381415 H00381415 Contraceptive pill 피임제 [3.0] Means 피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제. H00381575 H00381575 Contraction 수축 C1140999 [3.0] Focus "근육수축과 관련하여 단축과 긴장이 생긴 것을 뜻함. 즉, 생체구조나 생활물질이 특정한 방향으로 능동적인 단축을 보이는 현상 또는 작용." H00381611 H00381799 Contracture 오그라듦 C0009917 [3.0] M62.4 Focus "1) 생활전위를 수반하지 않고 전파도 하지 않는 길게 지속되는 가역적인 근육수축을 말한다. 주로 막의 지속적 탈분극으로 인해 발생된다. 아세틸콜린, 카페인 등의 약물로 일으킬 수가 있다. " 2) 반복되지 않는 자극에 의하여 근육이 지속적으로 오그라든 상태 각종 알칼로이드나 마취약 따위에 의한 마취약 구축 산에 의한 산 구축 " 염기에 의한 염기 구축 따위가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 H00381625 H00381799 Contracture 구축 C0009917 [3.0] M62.4 Focus "1) 생활전위를 수반하지 않고 전파도 하지 않는 길게 지속되는 가역적인 근육수축을 말한다. 주로 막의 지속적 탈분극으로 인해 발생된다. 아세틸콜린, 카페인 등의 약물로 일으킬 수가 있다. " 2) 반복되지 않는 자극에 의하여 근육이 지속적으로 오그라든 상태 각종 알칼로이드나 마취약 따위에 의한 마취약 구축 산에 의한 산 구축 " 염기에 의한 염기 구축 따위가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 H00382144 H00382287 Contrast agent 조영제 C0009924 [3.0] Means "인체의 각 장기내(臓器内) 또는 주위에, 그들의 장기와 X-선감약도가 다른 것을 주입하면, 주입된 물질의 X-선상에서 장기의 윤곽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물질을 조영제라고 한다. 주위보다 X-선의 감약도가 훨씬 적은 것을 음성조영제라고 한다.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주된 조영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상바륨(소화관), 2) 옥소제 ; (1) 담낭(테레팩, 비로프틴, 빌리그라핀), (2)기관지(지오노질, 하이트라스트), (3) 자궁난관(엔드글라핀, 잘픽스), (4)미에로그라피(마이오질, 판트펙), (5)배설성 요로 촬영 및 혈관촬영(우로그라핀, 안기오그라핀, 콘라키신L 및 H, 콘레이), 3) 공기 등이다. 약품은 상품명.[간호학대사전]" H00382287 H00382287 Contrast media 조영제 C0009924 [3.0] Means "인체의 각 장기내(臓器内) 또는 주위에, 그들의 장기와 X-선감약도가 다른 것을 주입하면, 주입된 물질의 X-선상에서 장기의 윤곽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물질을 조영제라고 한다. 주위보다 X-선의 감약도가 훨씬 적은 것을 음성조영제라고 한다.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주된 조영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상바륨(소화관), 2) 옥소제 ; (1) 담낭(테레팩, 비로프틴, 빌리그라핀), (2)기관지(지오노질, 하이트라스트), (3) 자궁난관(엔드글라핀, 잘픽스), (4)미에로그라피(마이오질, 판트펙), (5)배설성 요로 촬영 및 혈관촬영(우로그라핀, 안기오그라핀, 콘라키신L 및 H, 콘레이), 3) 공기 등이다. 약품은 상품명.[간호학대사전]" H00382291 H00382287 Contrast medium 조영제 C0009924 [3.0] Means "인체의 각 장기내(臓器内) 또는 주위에, 그들의 장기와 X-선감약도가 다른 것을 주입하면, 주입된 물질의 X-선상에서 장기의 윤곽을 볼 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는 물질을 조영제라고 한다. 주위보다 X-선의 감약도가 훨씬 적은 것을 음성조영제라고 한다. 현재에 사용되고 있는 주된 조영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상바륨(소화관), 2) 옥소제 ; (1) 담낭(테레팩, 비로프틴, 빌리그라핀), (2)기관지(지오노질, 하이트라스트), (3) 자궁난관(엔드글라핀, 잘픽스), (4)미에로그라피(마이오질, 판트펙), (5)배설성 요로 촬영 및 혈관촬영(우로그라핀, 안기오그라핀, 콘라키신L 및 H, 콘레이), 3) 공기 등이다. 약품은 상품명.[간호학대사전]" H00383018 H00215519 Contusion 타박상 C0009938 [3.0] T14.0 10005161 1A.01.01.01.10.03.06.02.02 Focus 외상성 상처: 피부와 그 아래 조직들의 멍. H00384864 H00384864 Convulsion 경련 C0036572 [3.0] 10046505 1A.01.01.01.12.01.01.05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발작적이고 불수의적인 근육들의 수축. H00384878 H00384864 Convulsion 발작 C0036572 [3.0] 10046505 1A.01.01.01.12.01.01.05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발작적이고 불수의적인 근육들의 수축. H00385156 H00385156 Cooling blanket 냉각담요 C2064694 [3.0] Means 열냉 기구 H00385237 H00385237 Coordination 조정 [3.0] 1A.9.0125 Focus "1) 관련기관이나 부분의 조화로운 기능이나 협조, 특히 일정하게 적응된 반응을 하는 특정의 근육군에 협동작업을 시키는 뇌의 운동총합기구를 가리킨다. 2) a. The act of coordinating." b. The state of being coordinate; harmonious adjustment or interaction. "c. Harmonious functioning of muscles or groups of muscles in the execution of movements.""" H00385241 H00385241 Coordination 협조 C0700114 [3.0] 1A.9.0125 Focus "1) 관련기관이나 부분의 조화로운 기능이나 협조, 특히 일정하게 적응된 반응을 하는 특정의 근육군에 협동작업을 시키는 뇌의 운동총합기구를 가리킨다. 2) a. The act of coordinating." b. The state of being coordinate; harmonious adjustment or interaction. "c. Harmonious functioning of muscles or groups of muscles in the execution of movements.""" H00385254 H00385241 Coordination 협동 C0700114 [3.0] 1A.9.0125 Focus "1) 관련기관이나 부분의 조화로운 기능이나 협조, 특히 일정하게 적응된 반응을 하는 특정의 근육군에 협동작업을 시키는 뇌의 운동총합기구를 가리킨다. 2) a. The act of coordinating." b. The state of being coordinate; harmonious adjustment or interaction. "c. Harmonious functioning of muscles or groups of muscles in the execution of movements.""" H00385335 H00385335 Coping 대처 C0009967 [3.0] 10005208 1A.01.01.02.01.01.08.01 Focus 태도: 스트레스 관리와 통제감으로 심리적 안위를 증가시키는 것. H00385352 H00385352 Coping support 대처기전지지 C0150181 [3.0] E1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stain a person dealing with responsibilities, problems, or difficulties" H00385366 H00385366 Coping component 대처요소 C0184495 [3.0] E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ability to deal with responsibilities, problems, or difficulties." H00386789 H00386789 Cord blood 탯줄혈액 C0162371 [3.0] Focus 태반과 탯줄에 있는 혈액.[두산백과] H00386792 H00386789 Cord blood 제대혈 C0162371 [3.0] Focus 태반과 탯줄에 있는 혈액.[두산백과] H00387344 H00387344 Cornea 각막 C0010031 [3.0] 10005212 1F.03.09 Location 감각계 구성요소 H00387747 H00387747 Corneal reflex 각막반사 C0520451 [3.0] Focus 각막을 자극하면 눈을 재빨리 닫는 반사 현상으로 자동적으로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반사는 삼차신경에 의해 뇌에 전달되고 안면신경을 통하여 눈꺼풀로 내려온다.[간호학대사전] H00388803 H00388803 Coronary artery 관상동맥 C0205042 [3.0] Location 심장을 둘러싼 동맥.심장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으로 3개의 큰 분지로 이루어져 있음. H00388817 H00388803 Coronary artery 심장동맥 C0205042 [3.0] Location 심장을 둘러싼 동맥.심장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으로 3개의 큰 분지로 이루어져 있음. H00390239 H00390239 Correction 교정 C1947976 [3.0] Focus 바로잡아 고침. H00393108 H00393108 Corset 코르셋 C0453883 [3.0] 2C.9.0106 Means "본래 코르셋은 여성의 허리를 아름답게 하기 위한 미용상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를 바꾸어서 의료목적으로 사용되는 체간용 장구를 널리 호칭한다. 요배근(腰背筋)을 도와서 척추의 안정이나 지지 또는 자세변형의 교정에도 사용된다. 보통 독일에서는 모든 체간장구를 코르셋으로 부르고 이것을 연성코르셋, 경성코르셋, 금속테두리 코르셋, 교정코르셋 등으로 나누고 있는데 영ㆍ미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성코르셋만을 코르셋이라하고 그밖의 것은 백브레이스(back brace)로서 구별해 코르셋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간호학대사전]" H00393934 H00393934 Corticosteroid 코르티코스테로이드 C3536709 [3.0] Means "코티코스테로이드 또는 코티코이드는 부신피질호르몬 및 유사물질의 총칭이고 생체에 있는 당질스테로이드에는 코르티솔, 코티스테론, 광질코티코이드에는 알도스테론이 있는데 유사한 작용을 지닌 여러가지의 스테로이제가 제품화되고 있다. 항알러지작용 및 면역억제작용을 기대해서 혈액질환, 교원병, 알러지, 쇼크, 간염, 신질환, 감염증, 신경질환, 호흡기질환, 피부질환, 안질환 등, 응용범위가 넓은데, 종종 장기에 사용되므로 쿠싱성증상(비만), 부신위축 등의 부작용에 주의를 요한다. 에디슨병의 치료에는 광질 코티코이드의 염류작용도 기대해서 사용된다. 그밖에 급성신부전, 만성관절류마티즘에도 사용한다. 이와같은 코티코이드의 염류작용을 기대하는 경우의 부작용으로서는 나트륨 및 물의 정체로 인해 부종, 혈압상승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397161 H01511995 Costa 갈비뼈 C0035561 [3.0] 10017223 1F.16.02 Location 뼈 H00397174 H01511995 Costa 늑골 C0035561 [3.0] 10017223 1F.16.02 Location 뼈 H00398391 H00398391 Cough 기침 C0010200 [3.0] R05 10005249 1A.01.01.01.01.04.02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기도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폐로부터의 갑작스런 공기의 배출. H00398410 H00102181 Cough medicine 기침약 [3.0] Means "기침을 진정시키는 약물. 기침은 기도내이물이나 분비물에 의한 기계적 및 화학적 자극에 의하는 경우와 기도점막의 건조, 염증, 궤양 등의 자극에 따라 기침의 발생을 일으키기 쉬운 경우의 둘이 있다. 이에 따라, 치료의 방법이 달라진다. 원인의 제거가 가장 기본으로 외과적수단, 거담제, 항염증약, 실내의 가습, 정온제 등도 효과가 있다. 대증적으로서의 진해제에는 중추성의 것 (코데인, 모르핀 등의 마약성진해제, 노르카핀, 텍스트로메트로판, 치페피진, 크로펠라스친, 옥솔라민, 알베타펜탄, 아로크라미드 이소아미닐, 에프라지논, 옥셀라진, 크로프치놀, 지메몰판, 피코페리다민(피코펠린) 등의 비마약성진해제와 말초 성의 것(벤조나테이트)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398633 H00398633 Counseling service 상담서비스 C0542296 [3.0] E12.0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struction to help another H00399380 H00399380 Couple 부부 C0010222 [3.0] 10021611 2B.02.01.01.01.01.01.01.25 Client 가족 H00403431 H02766036 Crackle 수포음 C0034642 [3.0] R09.88 Focus "호흡의 부잡음. 청진으로 들리는 이상한 호흡음. 어떤 병적 상태를 나타냄. 기도내의 액체의 유무에 의해 각기 습성(moist)과 건성(dry)으로, 발생부위에 따라 기관지성(bronchial), 공동성(cavernous), 후두성(laryngeal), 흉막성(pleural), 기관성(tracheal), 폐포성(vesicular), 염발성(crepitant)으로 분류됨. 대개의 경우 염증의 존재를 의미함." H00403445 H02766036 Crackle 거품소리 C0034642 [3.0] R09.88 Focus "호흡의 부잡음. 청진으로 들리는 이상한 호흡음. 어떤 병적 상태를 나타냄. 기도내의 액체의 유무에 의해 각기 습성(moist)과 건성(dry)으로, 발생부위에 따라 기관지성(bronchial), 공동성(cavernous), 후두성(laryngeal), 흉막성(pleural), 기관성(tracheal), 폐포성(vesicular), 염발성(crepitant)으로 분류됨. 대개의 경우 염증의 존재를 의미함." H00403476 H00403476 Cradle 요람 [3.0] 2C.9.0042 Means "1.이피가(離被架).환자를 따뜻하게 하거나 냉각하기 위하여, 또는 상처가 침대의 이불과 접촉되지 않게 보호하기 위하여 침대에 누운 환자의 신체위에 얹는 틀 혹은 장치.2. 요람(搖籃)" H00403480 H02506121 Cradle cap 유아지방관 C0263233 [3.0] L21.1 10031070 1A.01.01.01.10.01.07 Focus 손상된 피부: 보통 유아의 머리 낙설 부위 H00403512 H01089349 Cramp 경련 C0026821 [3.0] R25.2 1A.9.0126 Focus "넓은 뜻으로는 불수의적으로 일어나는 근 수축이고 연축이라고도 한다. 급격하게 발생해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운동이 생기는 간대성 연축 copnic spasm과 지속적으로 수축한 상태를 가져오는 긴장성 연축 tonic spasm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대표로서는 안검경련증 bleph arospasm, 안면연축 facial spasm을 들 수 있다. 딸국질은 횡격막이 짧은 연축에 따른 것이다. 후자의 대표적인 것은 파상증, 저칼슘혈증이나 알칼리증에 볼 수 있는 강축증 tetany이고 수축근의 종류에 따라서 아관긴급(牙關緊急), 후궁반장(後弓反張) carpopedal spasm 등이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403526 H00403526 Cramp 통증성근육경련 C0026821 [3.0] 1A.9.0126 Focus "넓은 뜻으로는 불수의적으로 일어나는 근 수축이고 연축이라고도 한다. 급격하게 발생해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운동이 생기는 간대성 연축 copnic spasm과 지속적으로 수축한 상태를 가져오는 긴장성 연축 tonic spasm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대표로서는 안검경련증 bleph arospasm, 안면연축 facial spasm을 들 수 있다. 딸국질은 횡격막이 짧은 연축에 따른 것이다. 후자의 대표적인 것은 파상증, 저칼슘혈증이나 알칼리증에 볼 수 있는 강축증 tetany이고 수축근의 종류에 따라서 아관긴급(牙關緊急), 후궁반장(後弓反張) carpopedal spasm 등이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403530 H01089349 Cramp 근육경련 C0026821 [3.0] 1A.9.0126 Focus "넓은 뜻으로는 불수의적으로 일어나는 근 수축이고 연축이라고도 한다. 급격하게 발생해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운동이 생기는 간대성 연축 copnic spasm과 지속적으로 수축한 상태를 가져오는 긴장성 연축 tonic spasm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대표로서는 안검경련증 bleph arospasm, 안면연축 facial spasm을 들 수 있다. 딸국질은 횡격막이 짧은 연축에 따른 것이다. 후자의 대표적인 것은 파상증, 저칼슘혈증이나 알칼리증에 볼 수 있는 강축증 tetany이고 수축근의 종류에 따라서 아관긴급(牙關緊急), 후궁반장(後弓反張) carpopedal spasm 등이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403817 H00403821 Cranial cavity 머리안 C0230041 [3.0] 10005323 1F.03.03.03 Location 체강 H00403821 H00403821 Cranial cavity 두개강 C0230041 [3.0] 10005323 1F.03.03.03 Location 체강 H00405570 H00405570 Cream 크림 C1378128 [3.0] 10005352 2C.01.09.01 Means 물질 H00408680 H00408680 Crisis 위기 C0231224 [3.0] 10005381 1A.01.01.02.01.01.08.01.03 Focus "손상된 상태: 비효율적인 의사소통, 문제해결의 어려움, 및 자원을 인식할 수 없거나 접근할 수 없는 것과 관련된 일시적인 긴장." H00408712 H00408712 Crisis therapy 위기간호 C0010332 [3.0] E12.3 10005399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sustain a person dealing with a condition, event, or radical change in status" H00409584 H00409584 Cross infection 교차감염 C0010356 [3.0] 10005404 Focus 감염 H00412174 H00412174 Crutch 목발 C0010397 [3.0] 2C.9.0044 Means 양쪽 겨드랑이에 짚는 지팡이. H00416680 H00416680 Culture 문화 C0010453 [3.0] 10005458 1A.02.02.04.02 Focus "심리사회적 구조: 한 집단의 신념, 가치, 전통 그리고 행위규범." H00416709 H00416709 Culture 배양 C2242979 [3.0] 10005458 2C.9.0045 Focus "1) 미생물 또는 생체조직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특수한 배지에서 번식시키는 것. 2) 미생물을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조작을 배양한다. cultivation라고 한다. 또한 배양된 것도 단순히 배양 culture이라고 한다. 배양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산소, 배지의 pH, 온도등이 있다. 산소는 호기성균인지 염기성균인지에 따라 다르다. 배지의 pH는 대부분의 세균에 적합한 중성~약알카리성이나, 콜레라균은 알칼리성, 진균류(곰팡이, 효모 등)는 산성에서 잘 배양된다. 또한 온도는 일반세균은 37°C이나, 진균류는 27~30°C가 배양에 적합하다.[간호학대사전]" H00421129 H00421129 Cutting 절단 C1283248 [3.0] 10005491 2A.03.10 Action "수행 활동: 어떤 것을 짧게 하거나, 제거하거나, 또는 나누는 것" H00421678 H00421678 Cyanosis 청색증 C0010520 [3.0] R23.0 Focus 일반적으로 혈액에 산소가 부족해서 피부가 푸르게 변하는 병리현상. H00430099 H00470395 D&C 자궁소파술 C0012358 [3.0] Means "자궁이란 태아가 수태되어서 분만전까지 발육하고 성장하는 공간이다. 자궁속에 병변이 있어 임신이 계속될 수 없거나 아니면 다른 이유로 임신되어 있는 태아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긁어내기 위하여는 우선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목을 확장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급속히 확장을 시도하는 법과 서서히 확장을 시도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자궁목을 급속히 확장할 때는 헤가르 목관확장기(Hegar's dilatator)를 사용한다. 이것은 작은 금속막대로 작은 크기부터 큰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가 있어서 우선 작은 막대로 시작하여 점점 큰 크기의 막대를 자궁목에 넣어서 자궁목을 확장시킨다. 서서히 확장시킬 때는 Laminaria tent를 목관에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Laminaria tent란 해초로 만든 작은 막대로 수분을 흡수하면 점점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자궁의 목에 넣으면 이것이 수분을 흡수하여 늘어나므로 천천히 자궁의 목이 늘어난다. 자궁목이 충분히 늘어나면 그 속으로 끝이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넣어서 자궁속의 병변이나 임신된 태아를 긁어내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큐렛이라고 한다. 초기 임신중절 즉 유산과 같은 임신과 관련된 경우뿐만 아니라, 비임신 자궁의 자궁내막조직의 채취 및 제거를 위해서도 행해지는 수기이다. 이는 원칙적으로 마취하에 실시되는 것으로 자궁목관을 확장하고 기구로 자궁 내용물을 제거하고 큐렛으로 자궁내벽을 깨끗이 한다. 자궁천공이나 자궁목의 파열 등의 위험이 따르며, 수술후 감염 또는 출혈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알기쉬운 의하용어풀이집]" H00430295 H00459100 DM 당뇨병 C0011849 [3.0] E10-E14 10005876 2B.02.02.01.05.08.01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0430507 H00490754 DNR 소생술포기 C0582114 [3.0] Focus "대개 주치의 등 자격 있는 의사가 보고하고 서명한 환자에 대한 기록 노트로, 심폐부전이 발생했을 때 소생술을 시도하지 않도록 병원의 직원들을 교육한다. 이런 지침은 대부분 환자가 죽음이 임박하고 피할 수 없는 심각한 질병 상태일 때만 주어진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430569 H00437331 DTR 심부 건 반사 C0489815 [3.0] 1A.9.0133.S.001 Focus "a brisk contraction of a muscle in response to a sudden stretch induced by a sharp tap by a finger or rubber hammer on the tendon of insertion of the muscle. Absence of the reflex may be caused by damage to the muscle, peripheral nerve, nerve roots, or spinal cord at that level. A hyperactive reflex may indicate disease of the pyramidal tract above the level of the reflex arc being tested. Generalized hyperactivity of DTRs may be caused by hyperthyroidism. Kinds of DTRs include Achilles tendon reflex, biceps reflex, brachioradialis reflex, patellar reflex, and triceps reflex. Also called myostatic reflex, tendon reflex. "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0431920 H00431920 Data collection 자료수집 C0010995 [3.0] 2C.9.0049 Means "연구, 조사 등의 바탕이 되는 재료를 모으는 것.[농업용어사전]" H00432936 H00432953 Death 사망 C1306577 [3.0] R99 10005560 1A.9.0130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0432984 H00432984 Death certificate 사망진단서 C0011066 [3.0] Means "인간의 사망에 관한 의학적 증명이고 사회에서의 권리주체로서의 인간의 종말을 법률적으로 증명하는 문서. 다른 한편. 공중위생상 중요한 사인통계의 기초자료가 된다. 사망신고에 첨부해야만 하고(호적법), 사망신고와 동일용지에 인쇄되어 있다. 또 의사에게는 사망진단서의 작성의무가 부과되고 있다(의사법). 일반적으로는 의사가 진료중에 환자가 사망한 경우에는 사망진단서를 의사가 직접 진료하지 않은 사람의 상체를 검안 한 경우에는 사체 검안서를 작성한다. 이 진단서의 양식은 정해져 있고 주요 기재사항은 성명, 연령, 성별, 발병년월일, 사망년월일 시분, 사망장소 및 그 종별, 사망의 종류, 사망의 원인, 외인사의 추가 사항 및 생후 7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의 추가 사항이다.[간호학대사전]" H00433178 H01078060 Death rate 사망률 C0205848 [3.0] 10005573 1A.01.02.02.02.04.02 Focus 비율: 선택된 인구집단과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사망의 상대적 비율. H00435805 H00435805 Decisional conflict 의사결정갈등 C0231394 [3.0] E12.2 10005587|10000579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Struggle related to determining a course of action 활동과정의 결정과 관련된 어려움 H00435819 H00435819 Decisional conflict deteriorated 의사결정갈등 악화됨 [3.0] E12.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35822 H00435822 Decisional conflict improved 의사결정갈등 개선됨 [3.0] E12.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435836 H00435836 Decisional conflict stabilized 의사결정갈등 안정됨 [3.0] E12.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36016 H00436016 Decompression 감압 C1829459 [3.0] Focus 압력이 줄거나 압력을 줄임.[표준국어대사전] H00436731 H00165214 Decubitus 욕창 C0011127 [3.0] L89 10015612 1A.01.01.01.10.03.05.03.S.002 Focus "궤양: 조직 압박과 부적절한 관류로 인해 피부 혹은 내부구조에 생긴 손상, 염증 또는 궤양" H00437331 H00437331 Deep tendon reflex 깊은힘줄반사 C0489815 [3.0] 1A.9.0133 Focus "a brisk contraction of a muscle in response to a sudden stretch induced by a sharp tap by a finger or rubber hammer on the tendon of insertion of the muscle. Absence of the reflex may be caused by damage to the muscle, peripheral nerve, nerve roots, or spinal cord at that level. A hyperactive reflex may indicate disease of the pyramidal tract above the level of the reflex arc being tested. Generalized hyperactivity of DTRs may be caused by hyperthyroidism. Kinds of DTRs include Achilles tendon reflex, biceps reflex, brachioradialis reflex, patellar reflex, and triceps reflex. Also called myostatic reflex, tendon reflex. "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0437425 H00437425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증 C0149871 [3.0] 10027495 Focus 손상된 혈관 과정 H00437571 H00437571 Defecation 배변 C0011135 [3.0] 10005628 Focus "위장관계 과정: 장을 통해 변을 이동, 배출하는 것." H00437862 H00437862 Defensive coping 방어적대처 C0150022 [3.0] E1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Self-protective strategies to guard against threats to self 스스로를 위협으로부터 지키려는 자기 보호적 전략 H00437876 H00437876 Defensive coping deteriorated 방어적대처 악화됨 [3.0] E12.3.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37880 H00437880 Defensive coping improved 방어적대처 개선됨 [3.0] E12.3.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437893 H00437893 Defensive coping stabilized 방어적대처 안정됨 [3.0] E12.3.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38011 H00525189 Defibrillation 세동제거 C0013778 [3.0] 1A.9.0135 Focus "심실세동 또는 심방세동을 정상조율로 되돌리는 수단을 말한다. 약제(키니딘등)에 의한 방법과 전기적으로 직류 또는 교류자극(카운터쇼크)으로 행하는 방법이 있다. 심실세동에 있어서는 그 긴급성으로 전기적 세동이 유일한 방법이 된다. 심방세동에도 최근에는 전기적 세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되돌아온 동조율(同調律)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 약제의 투여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0438025 H00525189 Defibrillation 잔떨림제거 C0013778 [3.0] 1A.9.0135 Focus "심실세동 또는 심방세동을 정상조율로 되돌리는 수단을 말한다. 약제(키니딘등)에 의한 방법과 전기적으로 직류 또는 교류자극(카운터쇼크)으로 행하는 방법이 있다. 심실세동에 있어서는 그 긴급성으로 전기적 세동이 유일한 방법이 된다. 심방세동에도 최근에는 전기적 세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되돌아온 동조율(同調律)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 약제의 투여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0438039 H00525189 Defibrillation 제세동 C0013778 [3.0] 99.62 1A.9.0135 Focus "심실세동 또는 심방세동을 정상조율로 되돌리는 수단을 말한다. 약제(키니딘등)에 의한 방법과 전기적으로 직류 또는 교류자극(카운터쇼크)으로 행하는 방법이 있다. 심실세동에 있어서는 그 긴급성으로 전기적 세동이 유일한 방법이 된다. 심방세동에도 최근에는 전기적 세동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되돌아온 동조율(同調律)을 계속 유지시키기 위해 약제의 투여가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0438123 H00438123 Deficiency 결핍 C0011155 [3.0] 1B.12 Judgment "간호현상 : 양, 질, 정도에 있어서 부적절함, 결함이 있음(모자람), 불충분함, 불완전함." H00438722 H00438882 Deformation 변형 [3.0] 1A.9.0033 Focus "체간이나 사지의 형태이상을 넓은 의미에서 변형이라고 하는데, 선천성인 경우를 기형이라고 하며, 협의의 변형은 후천성의 형태 이상이다. 원인은 다양하다. 하나의 변형이 있으면 대사성에 다른 변형이 나타나는 경우가 적다. 발육중에는 특히 그 경향이 강하다.[간호학대사전]" H00438882 H00438882 Deformity 변형 C0302142 [3.0] 1A.9.0033 Focus "체간이나 사지의 형태이상을 넓은 의미에서 변형이라고 하는데, 선천성인 경우를 기형이라고 하며, 협의의 변형은 후천성의 형태 이상이다. 원인은 다양하다. 하나의 변형이 있으면 대사성에 다른 변형이 나타나는 경우가 적다. 발육중에는 특히 그 경향이 강하다.[간호학대사전]" H00440435 H00440435 Degree 정도 C0441889 [3.0] 10005663 1B.9.0078 Judgment 매우 높은 정도 | 조금 높은 정도 | 보통 정도 | 조금 낮은 정도 | 매우 낮은 정도 상태 H00440551 H00440564 Dehiscenced wound 열개창 [3.0] 1A.9.0611 Focus "수술창(手術創)의 열개로서 부분적, 표재적(表在的)인 경우와 완전히 전부가 열개되는 경우가 있다." H00440564 H00440564 Dehiscenced wound 벌어진상처 [3.0] 1A.9.0611 Focus "수술창(手術創)의 열개로서 부분적, 표재적(表在的)인 경우와 완전히 전부가 열개되는 경우가 있다." H00440628 H00440628 Dehydration 탈수 C0011175 [3.0] E86.0 10041876|10041882 1A.01.01.01.07.02 Focus|DC 체액불균형: 체약량의 감소 또는 체액의 손실 H00441309 H00441280 Dejection 낙담 [3.0] 10005784 1A.9.0140 Focus "부정적 감정: 집중력 감소, 식욕상실 및 불면증을 동반하는 비애부터 침울까지의 감정들." H00441486 H00441486 Delay 지연 C0205421 [3.0] 1B.9.0029 Judgment 간호현상: 시간을 늦추거나 또는 시간이 늦추어지는 것 H00442508 H00442475 Delirium 섬망 C0011206 [3.0] 10005692|10022091 2B.02.02.01.05.04 Focus|DC 왜곡된 사고 과정 H00442766 H00442766 Delivery 분만 C0011209 [3.0] O80-O84 10004311 1A.01.01.01.15.03.02.S.0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자궁경부가 확장되기 시작하면서부터 태반 분만까지 분만 동안 발생하는 주산기 신체 과정 H00442770 H00442770 Delivery care 분만간호 C1171257 [3.0] U75.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explusion of an offspring/child at birth H00442783 H00442783 Delivery risk 분만 위험성 C1171158 [3.0] U6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 during the period supporting the expulsion of an offspring/child H00442797 H00442797 Delivery risk deteriorated 분만 위험성 악화됨 [3.0] U60.3.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42802 H00442802 Delivery risk improved 분만 위험성 개선됨 [3.0] U60.3.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42816 H00442816 Delivery risk stabilized 분만 위험성 안정됨 [3.0] U60.3.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42931 H00442931 Delivery room 분만실 C0011212 [3.0] Location "병원에서, 아이를 낳을 때에 쓰는 방." H00443335 H00443349 Deltoid muscle 삼각근 C0224234 [3.0] Location 三角筋 "어깻죽지에 있는 근으로 쇄골(鎖骨)의 바깥부와 견갑골의 배측면에 있는 견갑극(肩甲棘)과 견봉(肩峰)에서 일어나 바깥쪽으로 뻗어서 상완골 중앙의 외연(外緣 ;삼각근(粗面)에 붙었다. 액와신경(腋窩神經)(C5.6)으로 지배되어 상지의 전방, 후방 및 측방으로 들어올리는 주동작근의 하나다.[간호학대사전]" H00443420 H00443420 Delusion 망상 C0011253 [3.0] 10005709 Focus "손상된 신념: 이성, 논쟁, 설득 혹은 자신의 감각적 증거에 의해 수정될 수 없는 그릇된 현실감." H00443965 H01771273 Dementia 치매 C0497327 [3.0] F03 10031091 Focus 왜곡된 사고 H00444601 H00444601 Demonstration 시범 [3.0] 1B.13 Judgment 간호현상 : 공공연하게 관찰가능한 행동을 보여주는 것. H00445795 H00445795 Denial 부정 C0011317 [3.0] E12.4 10005721|10000624 1A.01.01.02.01.01.08.01.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Attempt to reduce anxiety by refusal to accept thoughts, feelings, or facts" "생각, 느낌, 사실 수용을 거부함으로써 불안을 감소시키려는 시도" H00445814 H00445814 Denial deteriorated 부정 악화됨 [3.0] E12.4.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45828 H00445828 Denial improved 부정 개선됨 [3.0] E12.4.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45831 H00445831 Denial stabilized 부정 안정됨 [3.0] E12.4.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46705 H00446705 Dental caries 치아우식 C0011334 [3.0] K02 1A.9.0137 Focus 치아경조직의 괴사. 병인은 Miller의 화학세균설이 일반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품잔사(세균의 발효작용) → 유산 → 치질탈회(齒質脫灰) → 연화(단백분해효소를 지닌 세균)→ 붕괴라는 과정을 거친다. 우식은 80% 이상이 걸리고 있으며 국민병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임상적으로는 4도로분류한다. 우식1도(C1) 에나멜질에 국한한다. 우식2도(C2) 상아질까지 달하고 있다. 우식3도(C3) 치수까지 진행하고 있다. 우식4도(C 4) 치관이 붕괴하고 잔근상태(殘筋狀態)[간호학대사전] H00448325 H00448325 Dentition 치열 C0011443 [3.0] 10005745 1A.9.0138 Focus 신체 과정 H00448339 H00448325 Dentition 생치 C0011443 [3.0] 10005745 1A.9.0138 Focus 신체 과정 H00448714 H00448714 Denture 틀니 C0011394 [3.0] 10005750 2C.01.07.04 Means 인공기구 H00448728 H00448714 Denture 의치 C0011394 [3.0] 10005750 2C.01.07.04 Means 인공기구 H00448731 H00448731 Denture care 의치간호 C0204759 [3.0] R53.1 10045098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use of artificial teeth H00449801 H00449801 Dependence 의존 C0439857 [3.0] 10026671 1B.14 Judgment 상태 H00450296 H00450279 Depilatory 제모제 C0304647 [3.0] Means "크림이나 액체 형탤 성분은 대개 유화발륨,유화스트론치움 등의 유화물과 치오글리콜산이며 겨드랑이나 다리등의 털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약." H00450315 H00450315 Depletion 고갈 C0333668 [3.0] 1B.15 Judgment "간호현상 :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소모, 없어짐." H00451210 H00451210 Deprivation 박탈 C0871712 [3.0] 1B.16 Judgment 간호현상 : 가치있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떤 것이 없어지거나 그것의 접근이 불가능 한 것. H00453300 H00453300 Dermatosis 피부병 C0037274 [3.0] 1A.9.0165 Focus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의 총칭.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의 그것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변화가 피부에 한정된 것에는 반점-점 등이 있고, 전신에 미치는 것에는 아교질병, 비타민결핍성 피부병, 내분비장애성 피부병 등이 포함된다. 다만 피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에 대하여 전신으로 간주하는 경우, 변화가 피부에만 한정되는 것은 적고, 대부부분의 피부병은 혈액의 변화나 간기능장애 등의 전신현상을 수반한다. 세균-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인 질병에는 수두-농가진-매독 등이 있고, 각각 전염하지만, 습진-반점-종양 또는 아교질병 등은 전염하지 않는다. 피부병의 내인으로는 위장장애-간병-콩팥병-물질대사장애-혈액질환-내장종양-내분비장애 등을 들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453961 H00453961 Descensus uteri 자궁내림 C0042140 [3.0] Focus 子宮~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 자궁이 아래로 내려가는 질환.[두산백과] H00453991 H00453988 Descent 하강 C0680043 [3.0] Judgment 높은 곳에서 아래로 향하여 내려옴. H00454302 H00454302 Designation 명칭 C0600091 [3.0] 1A.9.0142 Focus 사람이나 사물 따위를 부르는 이름.[표준국어대사전] H00454882 H00454932 Desquamation 비늘벗음 C0237849 [3.0] R23.4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0454915 H00454932 Desquamation 상피탈락 C0237849 [3.0] R23.4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0454929 H00454932 Desquamation 표피탈락 C0237849 [3.0] R23.4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0456096 H00456082 Detection 발견 C1511790 [3.0] Focus "미처 찾아내지 못하였거나 아직 알려지지 아니한 사물이나 현상, 사실 따위를 찾아냄.[표준국어대사전]" H00457295 H00457328 Developmental disability 발달장애 C0008073 [3.0] F89 Focus "1) 개인의 행동발달이 현저하게 저해 또는 저지되어 있는 것. 운동, 언어, 감정, 인격의 여러가지 영역에서 나타나며, 개인의 정신의학적, 심리학적, 행동학적인 문제로서, 잠재적 또는 현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2) 신체 및 정신이 해당하는 나이에 맞게 발달하지 않은 상태.[두산백과] 3) 선천적으로 또는 발육 과정 중 생긴 대뇌 손상으로 인해 지능 및 운동 발달 장애 언어 발달 장애 시각 청각 등의 특수 감각 기능 장애 " 기타 학습장애 등이 발생한 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457314 H00457328 Developmental disorder 발달 장애 C0008073 [3.0] F89 Focus "1) 개인의 행동발달이 현저하게 저해 또는 저지되어 있는 것. 운동, 언어, 감정, 인격의 여러가지 영역에서 나타나며, 개인의 정신의학적, 심리학적, 행동학적인 문제로서, 잠재적 또는 현재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2) 신체 및 정신이 해당하는 나이에 맞게 발달하지 않은 상태.[두산백과] 3) 선천적으로 또는 발육 과정 중 생긴 대뇌 손상으로 인해 지능 및 운동 발달 장애 언어 발달 장애 시각 청각 등의 특수 감각 기능 장애 " 기타 학습장애 등이 발생한 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457927 H00457931 Device 기구 C0699733 [3.0] 10005869 2C.01.11 Means 인공물 H00459081 H00459100 Diabetes 당뇨 C0011849 [3.0] E10-E14 10005876 2B.02.02.01.05.08.01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0459564 H00459564 Diabetes insipidus 요붕증 C0011848 [3.0] E23.2 1A.9.0146 Focus "하수체후엽계(下垂體後葉系)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대사성 질환으로, 항이뇨호르몬의 생산 및 방출량의 부족을 초래하며, 신장 세뇨관의 물 재흡수부전(再吸收不全)을 야기한다. 그 결과 다량의 저비중(底比重)의 요배설과 심한 갈증이 생긴다. 때로 이상한 식욕, 체력감퇴와 더불어 수척해진다. 후천적, 유전적 특발성의 것이 있다." H00459601 H00459100 Diabetes mellitus 당뇨 C0011849 [3.0] E10-E14 10005876 2B.02.02.01.05.08.01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0459726 H00459726 Diabetic care 당뇨간호 C0150544 [3.0] I27.0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control of diabetic conditions H00460419 H00460419 Diagnosis 진단 C0011900 [3.0] Focus 진찰하여 병의 상태를 판단함. H00462834 H00462834 Dialysis 투석 C0011945 [3.0] 10005905 Means 반투막을 사이에 두고 용액이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여 양쪽의 농도가 같아지는 것. 인공 반투막을 사용하는 방법인 혈액투석과 체내 반투막인 복막을 이용하는 복막투석이 있음. H00462848 H00462848 Dialysis care 투석간호 C1161201 [3.0] T59.0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removal of waste products from the body H00462901 H00462901 Dialyzer 투석기 C0180409 [3.0] 2C.9.0051 Means 효과적인 투석을 위한 기구. H00463241 H00463241 Diaper 기저귀 C0180416 [3.0] 10005914 2C.01.06.09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0463255 H00463286 Diaper rash 기저귀 발진 C0011974 [3.0] L22 10005922 1A.01.01.01.10.01.03.01 Focus 발진: 기저귀 접촉 피부에 국한되어 생기는 홍반의 피부발진. H00463403 H00463417 Diaphoresis 발한 C0700590 [3.0] 10014431 Focus "분비 과정: 체온 조절과 배설의 기전으로서 피부의 습한 표면과 호흡기계에서 수분의 증발로 인한 손실, 분비샘으로부터의 땀의 배출." H00463417 H00463417 Diaphoresis 땀남 C0700590 [3.0] 10014431 Focus "분비 과정: 체온 조절과 배설의 기전으로서 피부의 습한 표면과 호흡기계에서 수분의 증발로 인한 손실, 분비샘으로부터의 땀의 배출." H00463496 H00463465 Diaphragm 횡격막 C0011980 [3.0] Location 흉강과 복강을 나누는 근육성의 막.가로막. H00464021 H00464021 Diarrhea 설사 C0011991 [3.0] B03.3 1000593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Abnormal frequency and fluidity of faces 비정상적으로 배변이 묽고 잦음 H00464048 H00464048 Diarrhea care 설사간호 C1171188 [3.0] B06.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abnormal frequency and fluidity of feces H00464051 H00464051 Diarrhea deteriorated 설사 악화됨 [3.0] B03.3.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64065 H00464065 Diarrhea improved 설사 개선됨 [3.0] B03.3.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64096 H00464096 Diarrhea stabilized 설사 안정됨 [3.0] B03.3.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64194 H00464021 Diarrhoea 설사 C0011991 [3.0] 10005933|10000630 Focus|DC "손상된 배변: 묽고 액체의 형태가 없는 변의 배출; 장음증가와 함께 배변 횟수 증가, 배변시 복통과 긴박성을 동반함" H00466771 H00466771 Diet education 식사교육 C0204932 [3.0] 1A.9.0150 Focus 교육서비스 H00466920 H00466920 Dietary formula 식단 [3.0] Focus "일정한 기간 동안 먹을 음식의 종류와 순서를 계획하여 짠 표. 메뉴, 식단표." H00467256 H00467256 Dietotherapy 식사요법 [3.0] 10005951 2C.9.0053 Focus 요법 H00468991 H00468991 Digestant 소화제 C0012237 [3.0] Means "적게 분비된 소화액을 보충하거나 분비를 촉진하며, 소화기의 운동이나 흡수 작용을 회복시키기 위한 약을 통틀어 이르는 말" H00469329 H00469329 Digital compression 지압 [3.0] 2B.9.0001 Focus 엄지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몸 표면의 일정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생체의 변조(變調)를 교정하거나 건강의 증진 또는 질병의 치료를 도모하는 수기요법(手技療法).[두산백과] H00469431 H00469329 Digital impression 손가락자국 [3.0] Focus 지압을 할 때 손가락으로 누른 자리가 옴폭 들어간 곳.[표준국어대사전] H00469489 H01455341 Digital rectal examination 직장손가락검사 C1384593 [3.0] Focus 손가락을 이용해서 항문 및 직장 안쪽을 확인하는 검사. H00469560 H00469560 Digitalis 디기탈리스 C0012252 [3.0] Means "현삼(玄参)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으로 잎성분에서 얻어지는 배당체(配糖體)에는 예로부터 강심작용이 발견되어, 강심배당체라 한다. 원식물에는 2종류가 있으나, 배당체로서는 디지톡신, 기톡신을 공통으로 기타린, 디곡신을 별도로 함유한다. 디지탈리스의 약리작용은 주로 다음 3가지다.①심근의 수축성을 높인다. 이 작용은 정상시에는 나타나기 어렵고 울혈성심부전에 빠진 심장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때, 2차적으로 이뇨작용이 나타나고 심부전에 의한 부종이 제거된다. ② 주로 미주신경(迷走神經)반사를 중개로 하는 간접작용과 직접작용에 따라, 심박수를 감소시킨다. ③ 자극전달계에 작용해서 전도를 억제한다. 소화관에서의 흡수는 빠르나 분해가 늦고 만성심부전의 치료 때 행해지는 유지량의 추가투여로 축적효과가 나타나, 심실성세동(心室性細動)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는 일이 있다. 이처럼 안전역이 상당히 좁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 밖에 식욕부진, 오심(惡心), 구토와 많은 신경증상이 부작용으로서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0470530 H00470530 Dilation 확장 C0012356 [3.0] Means 넓혀서 크게함. H00471810 H00471810 Dimple 보조개 C0332471 [3.0] 1A.9.0151 Focus "1) A natural indentation, usually circular and of small area, in the chin, cheek, or sacral region. " 2) A depression of similar appearance to a dimple resulting from trauma or the contraction of scar tissue. 3) To cause dimples.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0471823 H00471823 Dimple 오목 C0332471 [3.0] 1A.9.0151 Focus "1) A natural indentation, usually circular and of small area, in the chin, cheek, or sacral region. " 2) A depression of similar appearance to a dimple resulting from trauma or the contraction of scar tissue. 3) To cause dimples.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0473443 H00473443 Diplopia 복시 C0012569 [3.0] H53.2 1A.9.0072.S.001 Focus "복시라는 것은 단일 물체에서 2개의 상을 인식하는 것으로 건강한 눈의 중심와(中心窩)로 보고 있는 목표의 명료한 상인 진상(眞像)과 편위(偏位)한 마비안의 중심와외로 투영한 목표의 멍한 가상(假像)이 있으며, 가상은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출현하며, 양자간 거리는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운동시키면 증대한다. 내전근(内轉筋)마비에서는 교차성, 외전근마비에서는 동측성(同側性)으로 가상(假像)이 나타나며, 수직근과 사근(斜筋) 마비에서는 그 근에 의해 본래 회선이 일어나야할 방향으로 경사진다.[간호학대사전]" H00473457 H00473443 Diplopia 겹보임 C0012569 [3.0] H53.2 1A.9.0152 Focus "복시라는 것은 단일 물체에서 2개의 상을 인식하는 것으로 건강한 눈의 중심와(中心窩)로 보고 있는 목표의 명료한 상인 진상(眞像)과 편위(偏位)한 마비안의 중심와외로 투영한 목표의 멍한 가상(假像)이 있으며, 가상은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출현하며, 양자간 거리는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운동시키면 증대한다. 내전근(内轉筋)마비에서는 교차성, 외전근마비에서는 동측성(同側性)으로 가상(假像)이 나타나며, 수직근과 사근(斜筋) 마비에서는 그 근에 의해 본래 회선이 일어나야할 방향으로 경사진다.[간호학대사전]" H00474706 H00474706 Disability 장애 C0231170 [3.0] 10005980 1B.19 Focus 과정 역할: 신체적 혹은 정신적 건강 혹은 능력의 감소 혹은 부재. H00474710 H00474710 Disability 곤란 C0231170 [3.0] 10005980 1B.19.S.001 Focus 과정 역할: 신체적 혹은 정신적 건강 혹은 능력의 감소 혹은 부재. H00474768 H00474768 Disabled family coping 가족대처불능 C0150028 [3.0] E1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Inability of family to function optimally H00474771 H00474771 Disabled family coping deteriorated 가족대처불능 악화됨 [3.0] E11.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74785 H00474785 Disabled family coping improved 가족대처불능 개선됨 [3.0] E11.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74799 H00474799 Disabled family coping stabilized 가족대처불능 안정됨 [3.0] E11.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75310 H00475310 Discharge 분비물 C0012621 [3.0] 10017635 1A.9.0153 Focus 신체 물질 H00475337 H00475337 Discharge 퇴원 C0030685 [3.0] 10006000 1A.9.001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0476231 H00476231 Discoloration 변색 C0332572 [3.0] Focus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자극 등에 의하여 어느 물체가 갖는 고유의 빛깔이 변하거나 퇴색되어지는 것." H00476280 H00476280 Discomfort 불쾌 C0234215 [3.0] 10023835|10023066 1A.9.0018 Focus|DC 손상된 상태 H00476925 H00476889 Disease management 질병관리 C0376636 [3.0] 1A.9.0158 Focus "질병을 예방하고 발생한 환자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가해서 심신의 기능장애를 최소한으로 머물게 하면서 치료로 이끌어 사회 생활에 복귀시키고, 회복자에게는 필요한 간호와 관찰을 통하여 재발의 예방과 조기발견을 행하는 등,이러한 모든 것을 총칭해서 질병관리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0478092 H00478092 Disimpaction 매복변제거 C0184581 [3.0] B06.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manually remove feces H00478514 H00478545 Dislocation 이탈 C0012691 [3.0] Focus "관절을 구성하는 뼈마디-연골-인대 등의 조직이 정상적인 생리적 위치,관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정상범위를 벗어난 이상상태를 말함." H00478528 H00478545 Dislocation 전위 C0012691 [3.0] Focus "관절을 구성하는 뼈마디-연골-인대 등의 조직이 정상적인 생리적 위치,관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정상범위를 벗어난 이상상태를 말함." H00478531 H02820430 Dislocation 탈구 C0012691 [3.0] T14.2 Focus "관절을 구성하는 뼈마디-연골-인대 등의 조직이 정상적인 생리적 위치,관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정상범위를 벗어난 이상상태를 말함." H00478545 H00478545 Dislocation 어긋남 C0012691 [3.0] Focus "관절을 구성하는 뼈마디-연골-인대 등의 조직이 정상적인 생리적 위치,관계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하여 정상범위를 벗어난 이상상태를 말함." H00480115 H00480115 Disorder 장애 C0012634 [3.0] 10005980 1B.20 Focus 과정 역할: 신체적 혹은 정신적 건강 혹은 능력의 감소 혹은 부재. H00483337 H02769128 Disorientation 지남력장애 C0233407 [3.0] R41.0 10001235 Focus "시간, 장소, 환경 따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능력이 없는 일. 의식 장애, 낮은 지능 따위가 원인임." H00483967 H00483967 Disruption 붕괴 C0332453 [3.0] 1B.22 Judgment 간호현상: 흐름이나 연속성의 중단. H00484262 H02468155 Dissection of aorta 대동맥 박리 C0340643 [3.0] I71.0 Location "사람 몸의 대동맥은 내막, 중막, 외막의 3층이 모여서 마치 한 개의 막처럼 구성되어 있는데,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혈관내막의 파열이 일어나면 심장수축기에 뿜어 나가는 혈류가 내막과 중막을 찢으면서 대동맥을 박리시키는데 이를 대동맥 박리증이라고 함." H00485851 H00485851 Distention 팽창 [3.0] Focus 속이 가득 차서 부풀어 팽팽해진 상태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0485864 H00485864 Distention 팽만 C3714614 [3.0] Focus 1) 부풀어서 부피가 커짐. 2) 수량이 본디의 상태보다 늘어나거나 범위 세력 따위가 본디의 상태보다 커지거나 크게 발전함. "[표준국어대사전]""" H00486013 H00486013 Distortion 왜곡 C2919017 [3.0] 1B.23 Judgment "간호현상: 모양이나 형태가 비뚤어진, 불분명한, 잘못 표현되어진 어떤 것으로 바뀌는 것." H00486173 H00486173 Distress 고통 C0231303 [3.0] 10006118 1A.01.01.02.01.01.05.15 Focus "부정적 감정: 강렬하고 심각한 통증, 비애와 고통의 감정." H00486321 H00486321 Disturbance 교란 C2699787 [3.0] 1B.24 Judgment 간호현상 : 어떤 것이 완전히 파괴되거나 교란되거나 순서없이 되는 것. H00486609 H00486609 Disuse 불용 [3.0] 10006139 Focus 활동저하: 활동부족. H00486612 H00486612 Disuse syndrome 비사용증후군 C0184554 [3.0] N33.2 10023097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Group of symptoms related to effects of immobility H00486626 H00486626 Disuse syndrome deteriorated 비사용증후군 악화됨 [3.0] N33.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86630 H00486630 Disuse syndrome improved 비사용증후군 개선됨 [3.0] N33.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86643 H00486643 Disuse syndrome stabilized 비사용증후군 안정됨 [3.0] N33.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86805 H00486805 Diuretic 이뇨제 C0012798 [3.0] 2C.9.0055 Means 요분비를 촉진하는 물질. H00487369 H00487369 Diversional activity deficit 여가활동부족 C0150025 [3.0] A01.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terest or engagement in leisure activities H00487372 H00487372 Diversional activity deficit deteriorated 여가활동부족 악화됨 [3.0] A01.3.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87386 H00487386 Diversional activity deficit improved 여가활동부족 개선됨 [3.0] A01.3.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87390 H00487390 Diversional activity deficit stabilized 여가활동부족 안정됨 [3.0] A01.3.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87405 H00487405 Diversional care 전환간호 C3251800 [3.0] A77.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interest in leisure activities or play H00490656 H00490691 Dizziness 현기증 C0012833 [3.0] 10006160|10045584 1A.01.01.01.13.07 Focus|DC "손상된 지각: 혼돈, 오심, 허약감과 동반되어 서 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서 정상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힘든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 H00490754 H00490754 Do not resuscitate 소생술포기 C0582114 [3.0] Focus "대개 주치의 등 자격 있는 의사가 보고하고 서명한 환자에 대한 기록 노트로, 심폐부전이 발생했을 때 소생술을 시도하지 않도록 병원의 직원들을 교육한다. 이런 지침은 대부분 환자가 죽음이 임박하고 피할 수 없는 심각한 질병 상태일 때만 주어진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490883 H01337005 Doctor 의사 C0031831 [3.0] Means 의술과 약으로 병을 치료·진찰하는 것을 직업으로 삼는 사람. 국가시험에 합격하여 보건 복지부 장관의 면허를 취득하여야 함. H00494027 H00494027 Dorsum manus 손등 C0230372 [3.0] Location 손의 바깥쪽. 곧 손바닥의 반대편. H00494061 H00494075 Dosage 투여량 C0178602 [3.0] 1A.9.0169 Means "투여량(投與量)의 크기, 빈도, 수의 결정 및 조정." H00494075 H00494075 Dosage 용량 C0178602 [3.0] 1A.9.0169 Means "투여량(投與量)의 크기, 빈도, 수의 결정 및 조정." H00494108 H00494075 Dose 투여량 C0178602 [3.0] 1A.9.0169 Means 약제를 한 번 또는 하루에 사용하거나 복용하는 분량. H00494125 H00494075 Dose 용량 C0178602 [3.0] 1A.9.0169 Means 약제를 한 번 또는 하루에 사용하거나 복용하는 분량. H00495101 H00473443 Double vision 복시 C0012569 [3.0] H53.2 1A.9.0152 Focus "복시라는 것은 단일 물체에서 2개의 상을 인식하는 것으로 건강한 눈의 중심와(中心窩)로 보고 있는 목표의 명료한 상인 진상(眞像)과 편위(偏位)한 마비안의 중심와외로 투영한 목표의 멍한 가상(假像)이 있으며, 가상은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출현하며, 양자간 거리는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운동시키면 증대한다. 내전근(内轉筋)마비에서는 교차성, 외전근마비에서는 동측성(同側性)으로 가상(假像)이 나타나며, 수직근과 사근(斜筋) 마비에서는 그 근에 의해 본래 회선이 일어나야할 방향으로 경사진다.[간호학대사전]" H00495114 H00473443 Double vision 겹보임 C0012569 [3.0] H53.2 1A.9.0152 Focus "복시라는 것은 단일 물체에서 2개의 상을 인식하는 것으로 건강한 눈의 중심와(中心窩)로 보고 있는 목표의 명료한 상인 진상(眞像)과 편위(偏位)한 마비안의 중심와외로 투영한 목표의 멍한 가상(假像)이 있으며, 가상은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출현하며, 양자간 거리는 마비근의 작용방향으로 운동시키면 증대한다. 내전근(内轉筋)마비에서는 교차성, 외전근마비에서는 동측성(同側性)으로 가상(假像)이 나타나며, 수직근과 사근(斜筋) 마비에서는 그 근에 의해 본래 회선이 일어나야할 방향으로 경사진다.[간호학대사전]" H00496182 H00496182 Drainage tube care 배액튜브간호 C2957717 [3.0] R55.1 100461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wound drainage from body tubes H00496778 H00496781 Dressing 드레싱 C0278286 [3.0] 10021227 2C.01.02.01 Means 덮는 기구 H00496781 H00496781 Dressing 상처치료 C0278286 [3.0] 10021227 1A.9.0173 Means 덮는 기구 H00496795 H00496795 Dressing change 드레싱교환 C0085671 [3.0] R55.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remove and replace a new bandage on a wound H00496828 H00496828 Dressing/grooming deficit 몸단장결핍 C1998993 [3.0] O36.0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진단(간호진단) Inability to clothe and groom oneself H00496831 H00496831 Dressing/grooming deficit deteriorated 몸단장결핍 악화됨 [3.0] O36.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96845 H00496845 Dressing/grooming deficit improved 몸단장결핍 개선됨 [3.0] O36.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96859 H00496859 Dressing/grooming deficit stabilized 몸단장결핍 안정됨 [3.0] O36.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496943 H00496943 Dried milk 분유 C0452721 [3.0] 2C.9.0017 Means "인공영양아를 위하여 조제된 분유로, 성분조성을 될 수 있으면 모유에 비슷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전분유에 당질, 비타민, 미네랄 기타를 첨가하고 있어, 통상 인공영양아에 주는 경우에는 약 15%로 되도록 녹이면 된다.[간호학대사전]" H00497848 H00497865 Drip 점적주입 [3.0] 10006295 Focus "대수술전후 의식이상시, 설사, 구토, 출혈, 열상 등으로 탈수가 현저한 경우나 경구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약제를 장시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대량의 수분, 영양분(당질, 단백질), 전해질, 비타민류 및 혈액 등의 필요한 것을 보급 또는 주입하는 방법이다. 현재, 멸균된 점적(点滴)세트가 시판되고 있고, 주사침을 연결하여 정맥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사용한다. 탈수, 영양상태의 출혈의 정도, 수액의 종류, 심폐의 상태 등에 의하여 점적속도 및 주입량을 가감한다. 피하주사에 비하여 대량의 액체를 준비할 수 있는 점, 일정속도로 확실한 량을 주입할 수 있는 것, 필요에 의하여 수시로 수액성분을 변경하고, 또는 중지할 수 있는 등 장점도 크지만, 급속히 또는 대량으로 주입하게 되면 폐수종, 심부전 등의 위험이 있고, 또 공기가 정맥내로 들어가 뇌의 공기전색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등, 시행중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0497865 H00497865 Drip 방울주입 [3.0] 10006295 Focus "대수술전후 의식이상시, 설사, 구토, 출혈, 열상 등으로 탈수가 현저한 경우나 경구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약제를 장시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대량의 수분, 영양분(당질, 단백질), 전해질, 비타민류 및 혈액 등의 필요한 것을 보급 또는 주입하는 방법이다. 현재, 멸균된 점적(点滴)세트가 시판되고 있고, 주사침을 연결하여 정맥에 삽입하여 고정시켜 사용한다. 탈수, 영양상태의 출혈의 정도, 수액의 종류, 심폐의 상태 등에 의하여 점적속도 및 주입량을 가감한다. 피하주사에 비하여 대량의 액체를 준비할 수 있는 점, 일정속도로 확실한 량을 주입할 수 있는 것, 필요에 의하여 수시로 수액성분을 변경하고, 또는 중지할 수 있는 등 장점도 크지만, 급속히 또는 대량으로 주입하게 되면 폐수종, 심부전 등의 위험이 있고, 또 공기가 정맥내로 들어가 뇌의 공기전색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등, 시행중에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0501741 H00501769 Drowsiness 졸음 C0013144 [3.0] R40.0 10018512 1A.01.01.01.13.18.02 Focus 손상된 의식: 병적인 수면과 비정상적인 졸리움. H00501790 H00501790 Drug 약 C1254351 [3.0] 10006314 2C.9.0057 Means 물질 H00501805 H00501790 Drug 약물 C1254351 [3.0] 10006314 2C.9.0057 Means 물질 H00501840 H00501840 Drug abuse deteriorated 약물남용 악화됨 [3.0] N58.3.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1853 H00501853 Drug abuse improved 약물남용 개선됨 [3.0] N58.3.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1867 H00501867 Drug abuse stabilized 약물남용 안정됨 [3.0] N58.3.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1871 H00501871 Drug abuse control 약물남용통제 C1171189 [3.0] N4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void, minimize, or control the use of any habit-forming medication" H00501921 H00501921 Drug abuse 약물남용 C0013146 [3.0] N58.3 10006346|10022425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Excessive use of habit-forming medications 습관성 약물의 과다한 사용 H00502020 H00502020 Drug dependence 약물의존 C1510472 [3.0] 10041811|10041381 Focus|DC 부정적 의존 H00502114 H00502114 Drug interaction 약물상호작용 C0687133 [3.0] Focus "2종류 이상의 약물을 적용하는 경우, 그 주된 목적은 주어진 약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약효의 증강이나 부작용의 경감에 있다. 약물을 병용한 경우가 각각 단독으로 이용한 경우보다도 효과가 클 때를 협력이라고 한다(프로카인과 아드레날린). 이에 대해서 두개의 약물이 서로 작용을 상쇄하는 경우를 길항이라고 한다(모르핀과 나롤편). 이와 같은 약의 길항작용은 약물중독의 처치에 불가결한 것이 많다. 또한 한 약물의 흡수, 생체분포 생체내 변화, 배설이 다른 약물에 의해서 변화하는 상호작용도 있다. 이들은 다제(多劑)병용이 행하여지고 있는 현재에는 특히 주의를 요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0503585 H01757711 Drum 고막 C0041445 [3.0] Location 소리를 전달하는 외이도 끝에 위치하는 타원형의 얇은 막. H00503991 H00503991 Dry cough 마른기침 C0850149 [3.0] Focus 객담 배출을 동반하지 않는 기침. H00504431 H00504445 Dry weight 투석목표체중 C1439839 [3.0] Focus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체액과다 등의 증상이 없는 안정된 상태의 이상적인 체중. 투석과 투석 사이에는 체중증가가 3%를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일반적으로 2.0~2.5kg 이내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세브란스병원]" H00504509 H00504509 Dryness 건조 C1512080 [3.0] Focus 1) 말라서 습기가 없음. 2) 물기나 습기가 말라서 없어짐. 또는 물기나 습기를 말려서 없앰. 3) 분위기 정신 표현 환경 따위가 여유나 윤기 없이 딱딱함.[표준국어대사전] "4)The lack of natural or normal moisture.[NCI]""" H00505336 H00505336 Dullness 둔탁음 C0541911 [3.0] Focus "1) 대단히 단단한 물체를 때렸을 때 들리는, 공명음이 없는 특유한 소리. " 2)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타진법에 있어서 신체의 어떤 부분을 구타하여 진동을 일으켜 진동음을 통하여 귀에 이르게 하는 소리의 세기 또는 대소(大小)는 진동하는 원추부의 공기함유량에 비례한다. 구타에 의하여 생기는 소리는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으로 나누어 진다. 전자는 공기함유량이 많은 폐와 같은 장기를 구타할 때에 들리며 후자는 전혀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 대퇴부 등을 구타할 때에 들린다. 탁음에는 대퇴부와 같은 절대적 탁음과 청음과 탁음과의 중간에 해당하는 비교적탁음 등이 있다. 이 탁음에 의하여 심장 간장이나 비장의 크기 " 위치를 알고 또한 폐의 질환(특히 흉수저류) 등을 진단한다.[간호학대사전]""" H00506441 H00506454 Duodenum 십이지장 C0013303 [3.0] Location 소장의 일부로 위의 유문에서 공장에 이르는 말굽 모양의 부위. H00506454 H00506454 Duodenum 샘 창자 C0013303 [3.0] Location 소장의 일부로 위의 유문에서 공장에 이르는 말굽 모양의 부위. H00506941 H00506941 Duration 지속시간 C0449238 [3.0] 10006379 1D.9.0001 Time 상태: 어떤 것이 발생하는 기간. H00507054 H00507054 Dust 먼지 C0013330 [3.0] 10006398 Focus "물질: 공기중이나 표면에 있고, 바람과 물체의 움직임에 의해 쉽게 옮겨지는, 작고, 가볍고, 보이거나 혹은 보이지 않는 입자." H00507944 H00507944 Dying process 임종과정 C0184532 [3.0] E10.0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Physical and behavioral responses associated with death H00507958 H00507958 Dying process deteriorated 임종과정 악화됨 [3.0] E10.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7961 H00507961 Dying process improved 임종과정 개선됨 [3.0] E10.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7975 H00507975 Dying process stabilized 임종과정 안정됨 [3.0] E10.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7992 H00507992 Dying/Death Measures 임종과정지원 C0039548 [3.0] E14.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dying process H00508642 H00508642 Dysarthria 조음장애 C0013362 [3.0] 1A.9.0178 Focus "1)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근육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데서 오는 불완전 구어(構語) 2) 대뇌피질의 언어중추나 그 상호연락섬유에는 이상이 없고 말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운동경로나 기관의 장애로 생기는 언어장애를 말한다. 상위운동뉴론(양측성 장애로 생기고 가성구마비로 부른다), 하위운동뉴론(구마비에서 혀의 위축을 볼 수 있다), 추체외로계(파킨슨병 등), 소뇌계(폭발성의 발음이나 단철성 언어를 나타낸다), 근육(중증근무력증 등), 구개(구개열 등) 등의 장애가 원인이고 입술, 혀, 연구개, 인ㆍ후두 등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0508656 H00508642 Dysarthria 구음장애 C0013362 [3.0] 1A.9.0178 Focus "1)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근육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데서 오는 불완전 구어(構語) 2) 대뇌피질의 언어중추나 그 상호연락섬유에는 이상이 없고 말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운동경로나 기관의 장애로 생기는 언어장애를 말한다. 상위운동뉴론(양측성 장애로 생기고 가성구마비로 부른다), 하위운동뉴론(구마비에서 혀의 위축을 볼 수 있다), 추체외로계(파킨슨병 등), 소뇌계(폭발성의 발음이나 단철성 언어를 나타낸다), 근육(중증근무력증 등), 구개(구개열 등) 등의 장애가 원인이고 입술, 혀, 연구개, 인ㆍ후두 등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0508835 H00508835 Dyschezia 배변곤란 C0237326 [3.0] 10012652 Focus 배변 H00508849 H00508835 Dyschezia 배변장애 C0237326 [3.0] 10012652 Focus 배변 H00509158 H00509161 Dysentery 이질 C0013369 [3.0] A09.0 Focus 痢疾 "창자 특히, 큰창자의 염증을 주병터로 하는 병으로 아랫배의 통증, 뒤무직, 피나 점액이 섞인 대변, 그리고 자주 대변을 보는 것 등이 특징적 증상으로 나타난다. 원인으로는 세균, 화학물질, 기생충, 원충 등의 여러 가지가 있을 수가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09323 H00509323 Dysfunction 기능 장애 C3887504 [3.0] 1B.25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정상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 H00509341 H00509323 Dysfunctional 기능장애 [3.0] 1B.25.01 Judgment 기능장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정상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확언. H00509368 H00509368 Dysfunctional grieving 비정상적비통 C0150036 [3.0] E53.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Prolonged feeling of great sorrow H00509371 H00509371 Dysfunctional grieving deteriorated 비정상적비통 악화됨 [3.0] E53.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9385 H00509385 Dysfunctional grieving improved 비정상적비통 개선됨 [3.0] E53.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09399 H00509399 Dysfunctional grieving stabilized 비정상적비통 안정됨 [3.0] E53.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10095 H00510145 Dysmenorrhea 월경통 C0013390 [3.0] N94.6 10011953 1A.01.01.01.13.01.04.02 Focus "내장통증: 자궁근육의 경련으로 인한 통증 감각, 통증 감각은 보통 강한 수축, 두근거림 그리고 배와 허리 아래의 끊임없는 감각으로 보고됨." H00510534 H00510521 Dyspareunia 성교통증 C1384606 [3.0] N94.1 10006435 1A.01.01.01.13.01.04.04 Focus "내장통증: 강제 성교, 불완전한 성적 흥분상태, 출산 또는 여성 성기 손상으로 인한 성기 및 주위조직 궤양, 질병으로 인한 성기 손상이 있는 경우 성교시 발생하는 통증" H00510551 H00825339 Dyspepsia 소화불량 C0013395 [3.0] K30 10006442 1A.01.01.01.13.06 Focus "손상된 위장관계 과정: 식후에 상복부 불편감, 복부 포만감과 복통, 오심, 식욕 상실." H00510629 H00467614 Dysphagia 연하곤란 C0011168 [3.0] R13 1A.9.0547.S.001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0511022 H00511019 Dyspnea 호흡곤란 C0013404 [3.0] R06.0 10006461 1A.01.01.01.01.02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순환혈액내 불충분한 산소, 불편감과 불안과 관련되어 있는, 폐 안팎으로의 힘든 공기의 움직임, 짧은호흡" H00511040 H00591026 Dyspnea on exertion 운동 호흡곤란 C0231807 [3.0] Focus "dyspnea provoked by physical effort or exertion.[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0511117 H00511019 Dyspnoea 호흡곤란 C0013404 [3.0] R06.0 10029433 DC H00511250 H00511250 Dysrhythmia 리듬장애 C0003811 [3.0] 10002536 1A.01.01.01.02.01.02.S.001 Focus "손상된 심장 과정: 심방, 심실 근육 수축 리듬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 H00511263 H00511250 Dysrhythmia 율동장애 C0003811 [3.0] 10002536 1A.01.01.01.02.01.02.S.001 Focus "손상된 심장 과정: 심방, 심실 근육 수축 리듬이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것." H00511831 H00511859 Dysuria 배뇨곤란 C0013428 [3.0] R30.0 1A.9.0601 Focus "배뇨가 정상으로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요의를 촉진해서 배뇨자세를 취해도 배뇨가 되지 않는 경우(천연성 배뇨(遷延性排尿)와 일단 배뇨가 시작되도 그것이 종료할 때까지 정상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보통 이 두가지는 같이 나타나는데 따로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원인은 방광경부의 기질적 장애(대부분은 협착)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방광경부경화증, 선천성요도변형성 등에서 온다. 치료는 원인질환에 의한다.[간호학대사전]" H00511845 H00511859 Dysuria 배뇨장애 C0013428 [3.0] R30.0 1A.9.0601 Focus "배뇨가 정상으로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요의를 촉진해서 배뇨자세를 취해도 배뇨가 되지 않는 경우(천연성 배뇨(遷延性排尿)와 일단 배뇨가 시작되도 그것이 종료할 때까지 정상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보통 이 두가지는 같이 나타나는데 따로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원인은 방광경부의 기질적 장애(대부분은 협착)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방광경부경화증, 선천성요도변형성 등에서 온다. 치료는 원인질환에 의한다.[간호학대사전]" H00512171 H00525886 ECG 심전도 C0013798 [3.0] Focus "심근(心筋)의 활동(탈분극<脫分極>, 재분극<再分極>에 의해 생기는 전위변화(電位變化)를 체표면(體表面)에 둔 도자(導子)로 유도, 증폭하여, 기록한 것. 심방근의 탈분극(脫分極)에 의해 P파(波), 재분극(再分極)에 의해 Ta파(波)가, 심실근의 탈분극에 의해 QRS파(波), 재분극에 의해 T파(波)가 기록된다. T파의 직후에 나타나는 작고 완만한 흔들림을 U파라고 한다. 각 파(波)의 출현빈도(出血頻度), 규칙성에서 심장조율(心臓調律)의 이상의 유무와 종류를, 또 파고(波高), 파형(波形)에서 심근(心筋)의 기질적(器質的), 기능적변화(機能的變化)의 유무, 정도를 알수가 있다." [유도법] (1) 표준지유도(標準肢誘導)(쌍극지유도<雙極肢誘導>) : 사지(四肢)에 도자(導子)를 두고 오른쪽발의 도자(導子)를 어드로 하여 왼손-오른손(제 I 유도) 왼발-오른손(제 II 유도) 왼발-왼손(제 III 유도)사이의 전위차를 기록한다. (2) 단극지유도(單極肢誘導) : 왼쪽손 오른쪽손 왼쪽발의 전극상(電極上) 5KΩ이상의 저항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킨것(Wilson의 결합전극<結合電極>을 불관전극(不關電極)으로 하여 관전극(關電極)을 왼손 오른손 왼발에 두는 것을 aVR aVu aVF유도(誘導)라고 한다. 이 Wilson의 결합전극 가운데 관전극의 부분을 빼내어 불관전극으로 한 것은 aVR aVu (3) 단극흉부유도(單極胸部誘導) : 그림처럼 흉벽면에 관전극을 두고 불관전극(不關電極)(Wilson의 결합전극<結合電極>)과의 전위차를 기록하는 것. (4) 식도유도(食道誘導) : 식도 내에 삽입한 도자(導子)에서 유도하는 것으로서 P파(波)가 크게 기록되므로 부정맥(不靜脈)의 해석에 적합하다. 표준12유도는 이 가운데 I II III aVR aVC aVF V " ~V6의 12유도(誘導)를 가리킨다.[간호학대사전]""" H00512218 H00526276 ECT 전기경련요법 C0013806 [3.0] 10036111 Means 요법 H00512221 H00512221 EDC 분만 예정일 C2825543 [3.0] 1A.9.0195.S.001 Focus "기초체온(BBT)에 의한 배란일+266일이 가장 정확한 분만예정일이나, 기초체온을 측정하지 않는 임산부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의 첫날부터 세어서 280일째를 분만예정일로 한다. 월경주기가 28일이 아닌 자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에서 계산한 예정일에 그 부인의 평균 월경주기에서 28일 뺀 일수를 더한 날을 분만예정일로 하면 보다 정확하게 된다. 그외에 태동을 느낀날이나 초음파로 계측한 태아머리 대횡경(大橫經) 등이 참고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0512347 H00525886 EKG 심전도 C0013798 [3.0] Focus "심근(心筋)의 활동(탈분극<脫分極>, 재분극<再分極>에 의해 생기는 전위변화(電位變化)를 체표면(體表面)에 둔 도자(導子)로 유도, 증폭하여, 기록한 것. 심방근의 탈분극(脫分極)에 의해 P파(波), 재분극(再分極)에 의해 Ta파(波)가, 심실근의 탈분극에 의해 QRS파(波), 재분극에 의해 T파(波)가 기록된다. T파의 직후에 나타나는 작고 완만한 흔들림을 U파라고 한다. 각 파(波)의 출현빈도(出血頻度), 규칙성에서 심장조율(心臓調律)의 이상의 유무와 종류를, 또 파고(波高), 파형(波形)에서 심근(心筋)의 기질적(器質的), 기능적변화(機能的變化)의 유무, 정도를 알수가 있다." [유도법] (1) 표준지유도(標準肢誘導)(쌍극지유도<雙極肢誘導>) : 사지(四肢)에 도자(導子)를 두고 오른쪽발의 도자(導子)를 어드로 하여 왼손-오른손(제 I 유도) 왼발-오른손(제 II 유도) 왼발-왼손(제 III 유도)사이의 전위차를 기록한다. (2) 단극지유도(單極肢誘導) : 왼쪽손 오른쪽손 왼쪽발의 전극상(電極上) 5KΩ이상의 저항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킨것(Wilson의 결합전극<結合電極>을 불관전극(不關電極)으로 하여 관전극(關電極)을 왼손 오른손 왼발에 두는 것을 aVR aVu aVF유도(誘導)라고 한다. 이 Wilson의 결합전극 가운데 관전극의 부분을 빼내어 불관전극으로 한 것은 aVR aVu (3) 단극흉부유도(單極胸部誘導) : 그림처럼 흉벽면에 관전극을 두고 불관전극(不關電極)(Wilson의 결합전극<結合電極>)과의 전위차를 기록하는 것. (4) 식도유도(食道誘導) : 식도 내에 삽입한 도자(導子)에서 유도하는 것으로서 P파(波)가 크게 기록되므로 부정맥(不靜脈)의 해석에 적합하다. 표준12유도는 이 가운데 I II III aVR aVC aVF V " ~V6의 12유도(誘導)를 가리킨다.[간호학대사전]""" H00512641 H00512641 Ear 귀 C0013443 [3.0] 10006488 1F.04.01 Location 감각계 구성요소 H00512655 H00512655 Ear care 귀간호 C0150192 [3.0] Q49.0 1004503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ear problems H00513028 H01207640 Ear pain 귀통증 C0013456 [3.0] H92.0 2B.9.0127 Focus "귀에 일어나는 통증. 바깥귀성-가운데귀성-구인두 이관성의 것이 있다. 바깥귀성 통증의 주원인은 귀종기에 의한 것으로서, 귀의 입구가 빨갛게 부어서 몹시 아프고, 귓바퀴를 건드리면 통증이 한층 심해진다. 그러나 곪아터져서 고름이 나오면 통증이 한결 덜하게 된다. 가운데귀성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병은 급성중이염으로서, 발열-귀울림-난청이 일어나고, 귀가 막힌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고막이 천공되어 고름이 나오거나 천공되지 않아도 염증이 가시면 통증이 차차 없어진다. 귀인두관성의 동통은 저인두관염에 의한 것으로서 귀 속이 욱신거리면서 아프지만 고막이나 청력에는 이상이 없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13211 H01207640 Earache 귀앓이 C0013456 [3.0] H92.0 2B.9.0127 Focus "귀에 일어나는 통증. 바깥귀성-가운데귀성-구인두 이관성의 것이 있다. 바깥귀성 통증의 주원인은 귀종기에 의한 것으로서, 귀의 입구가 빨갛게 부어서 몹시 아프고, 귓바퀴를 건드리면 통증이 한층 심해진다. 그러나 곪아터져서 고름이 나오면 통증이 한결 덜하게 된다. 가운데귀성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병은 급성중이염으로서, 발열-귀울림-난청이 일어나고, 귀가 막힌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고막이 천공되어 고름이 나오거나 천공되지 않아도 염증이 가시면 통증이 차차 없어진다. 귀인두관성의 동통은 저인두관염에 의한 것으로서 귀 속이 욱신거리면서 아프지만 고막이나 청력에는 이상이 없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13290 H00513290 Early ambulation 조기보행 C0013457 [3.0] Focus 빨리 일어서서 움직이는 활동. 운동처럼 과격한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 천천히 걷는 등의 간단한 무리가 가지 않는 활동. H00513692 H00513692 Earplug 귀마개 C1135964 [3.0] 2C.9.0060 Means 시끄러운 소리가 들리지 않도록 하거나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귀를 막는 물건.[표준국어대사전] H00513773 H01820959 Earwax 귀지 C0740486 [3.0] H61.2 10006501 2B.02.01.01.01.01.01.02.02.09 Focus 분비물 H00514437 H00514423 Eating 먹기 C0013470 [3.0] 10006517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행위 H00515010 H00515006 Ecchymosis 반상출혈 C0013491 [3.0] 1A.9.0180 Focus "1) 작은 출혈반(出血班)으로서 점상출혈(點狀出血)보다 크다. 피하와 점막에 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청색 또는 자색의 반점이 생긴다. 2) 출혈의 확산 크기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점상출혈이라고 하는 것보다도 크며, 피부, 점막의 직경 0.3cm이상의 출혈에 대해서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0515023 H00515006 Ecchymosis 얼룩 출혈 C0013491 [3.0] 1A.9.0180 Focus "1) 작은 출혈반(出血班)으로서 점상출혈(點狀出血)보다 크다. 피하와 점막에 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청색 또는 자색의 반점이 생긴다. 2) 출혈의 확산 크기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점상출혈이라고 하는 것보다도 크며, 피부, 점막의 직경 0.3cm이상의 출혈에 대해서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0515037 H00515006 Ecchymosis 출혈반 C0013491 [3.0] 1A.9.0180 Focus "1) 작은 출혈반(出血班)으로서 점상출혈(點狀出血)보다 크다. 피하와 점막에 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청색 또는 자색의 반점이 생긴다. 2) 출혈의 확산 크기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점상출혈이라고 하는 것보다도 크며, 피부, 점막의 직경 0.3cm이상의 출혈에 대해서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0518052 H00518052 Eclampsia 자간 C0013537 [3.0] O15 Focus "임신기간이나 분만전후의 여성에서 일어나는 전신의 경련 발작과 의식 불명을 일으키는 병으로서 뇌조직의 병터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이다. 임신 중독증 가운데 가장 중증인 형태로 사망률이 높다. 고도의 단백뇨, 부종, 고혈압증상이 있는 고령의 초산부에게 많다. 전자간증에서는 용혈, 간효소 증가, 혈소판 감소 등의 증후가 나타난다. 과다반사반응과 발작이 나타나면 자간증이라 부른다. 분만자간이 가장 많고, 계절적으로는 겨울에 많다. 갑자기 일어나지만, 대개는 발작에 앞서 전조가 나타난다. 즉, 부종-단백뇨-고혈압의 세 증후와 체중의 이상증가가 주가 되고, 뇌-눈-위장의 세 증후군을 수반한다. 간호로서는, 발작 중에 혀를 깨무는 수가 있으므로 젓가락 같은 것에 거즈를 감아 입에 물리고 침을 닦아내며, 혀를 당겨내어 호흡을 편하게 해준다. 환자의 신변에 위험한 기구를 두지 말고, 머리를 차게 해주며, 조용하고 어두운 방에 눕히고 곧 의사에게 연락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19329 H00519329 Ectopic pregnancy 자궁외임신 C0032987 [3.0] O00 Focus 수정된 난자가 자궁 공간 이외의 부위에 착상하여 발육하는 비정상적 임신. H00519332 H00519329 Ectopic pregnancy 딴곳임신 C0032987 [3.0] O00.9 Focus 수정된 난자가 자궁 공간 이외의 부위에 착상하여 발육하는 비정상적 임신. H00519816 H00519816 Eczema 습진 C0013595 [3.0] 10031172 1A.01.01.01.10.01.05 Focus "손상된 피부: 붉고, 가려운 피부와 수포, 부종이 있는 피부발진." H00520008 H00519993 Edema 부종 C0013604 [3.0] 10041951 Focus "체액 정체: 서있는 상태에서의 하지 말초 조직 부종, 앙와위 상태에서의 요부 조직 부종, 호흡양상의 변화나 비정상적 호흡음, 짧은 호흡을 동반한 중심부 부종, 체액 정체, 조직내 체액 축적 과잉 상태." H00520011 H00520011 Edema control 부종조절 C0150561 [3.0] S69.0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excess fluid in tissue H00520740 H00520740 Education 교육 C0013622 [3.0] 1A.9.0182 Focus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표준국어대사전] H00522275 H00522275 Effusion 삼출물 C0013687 [3.0] 1A.9.0183 Focus "1) 액체가 부분 또는 조직으로 일탈(逸脫) 2) 염증이 생긴 국소에 혈관에서 액체 및 세포성분이 밖으로 나와 병소에 모이는 것을 삼출이라 하고 그때, 액체성분은 단백질의 함량이 크고 혈장에 가까운 액체성분이 그대로 나온다. 이와 같은 액체를 말한다. 여출액(爐出液)에 비해서 세포성분이 풍부하며 비중 1.018 이상으로서 단백함 유량 4% 이상, 또 피브리노겐을 함유하는 액(液)으로서 염증 반응의 결과로 생긴다. Rivaita반응양성, Runneberg반응 양성이 된다.[간호학대사전] 3) 염증이 생겼을 때 핏줄이나 미세한 구멍에서 조직이나 체강 속으로 스며 나오는 세포 성분과 액체 성분. 진물이나 고름 따위가 있다. 흉막염이 있을 때 흉막강속에 물이 고이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22289 H00522275 Effusion 삼출액 C0013687 [3.0] 1A.9.0183 Focus "1) 액체가 부분 또는 조직으로 일탈(逸脫) 2) 염증이 생긴 국소에 혈관에서 액체 및 세포성분이 밖으로 나와 병소에 모이는 것을 삼출이라 하고 그때, 액체성분은 단백질의 함량이 크고 혈장에 가까운 액체성분이 그대로 나온다. 이와 같은 액체를 말한다. 여출액(爐出液)에 비해서 세포성분이 풍부하며 비중 1.018 이상으로서 단백함 유량 4% 이상, 또 피브리노겐을 함유하는 액(液)으로서 염증 반응의 결과로 생긴다. Rivaita반응양성, Runneberg반응 양성이 된다.[간호학대사전] 3) 염증이 생겼을 때 핏줄이나 미세한 구멍에서 조직이나 체강 속으로 스며 나오는 세포 성분과 액체 성분. 진물이나 고름 따위가 있다. 흉막염이 있을 때 흉막강속에 물이 고이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23863 H00523863 Elastic bandage 탄력붕대 C0336591 [3.0] 2C.9.0061 Means "붕대의 일종이다. 붕대의 재료로서 고무 또는 스폰지 등의 탄성물질이 사용되어서 만들어진 것이다. 하지정맥류, 관절의 수종ㆍ혈종 등의 발생예방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524043 H00524043 Elastic stocking 탄력 스타킹 C0013761 [3.0] 93.59 10006586 2C.01.02.05 Means 기구 H00524088 H00524088 Elasticity 탄력성 C1547021 [3.0] Focus "물체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부피와 모양이 바뀌었다가, 그 힘을 제거하면 본디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 변형의 종류에 따라 체적 탄성과 형상 탄성으로 나눈다.[표준국어대사전]" H00524091 H00524091 Elasticity 탄성 C0013764 [3.0] Focus "물체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부피와 모양이 바뀌었다가, 그 힘을 제거하면 본디의 모양으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 변형의 종류에 따라 체적 탄성과 형상 탄성으로 나눈다.[표준국어대사전]" H00525886 H00525886 Electrocardiogram 심전도 C0013798 [3.0] 89.52 Focus "심근(心筋)의 활동(탈분극<脫分極>, 재분극<再分極>에 의해 생기는 전위변화(電位變化)를 체표면(體表面)에 둔 도자(導子)로 유도, 증폭하여, 기록한 것. 심방근의 탈분극(脫分極)에 의해 P파(波), 재분극(再分極)에 의해 Ta파(波)가, 심실근의 탈분극에 의해 QRS파(波), 재분극에 의해 T파(波)가 기록된다. T파의 직후에 나타나는 작고 완만한 흔들림을 U파라고 한다. 각 파(波)의 출현빈도(出血頻度), 규칙성에서 심장조율(心臓調律)의 이상의 유무와 종류를, 또 파고(波高), 파형(波形)에서 심근(心筋)의 기질적(器質的), 기능적변화(機能的變化)의 유무, 정도를 알수가 있다." [유도법] (1) 표준지유도(標準肢誘導)(쌍극지유도<雙極肢誘導>) : 사지(四肢)에 도자(導子)를 두고 오른쪽발의 도자(導子)를 어드로 하여 왼손-오른손(제 I 유도) 왼발-오른손(제 II 유도) 왼발-왼손(제 III 유도)사이의 전위차를 기록한다. (2) 단극지유도(單極肢誘導) : 왼쪽손 오른쪽손 왼쪽발의 전극상(電極上) 5KΩ이상의 저항을 사이에 두고 결합시킨것(Wilson의 결합전극<結合電極>을 불관전극(不關電極)으로 하여 관전극(關電極)을 왼손 오른손 왼발에 두는 것을 aVR aVu aVF유도(誘導)라고 한다. 이 Wilson의 결합전극 가운데 관전극의 부분을 빼내어 불관전극으로 한 것은 aVR aVu (3) 단극흉부유도(單極胸部誘導) : 그림처럼 흉벽면에 관전극을 두고 불관전극(不關電極)(Wilson의 결합전극<結合電極>)과의 전위차를 기록하는 것. (4) 식도유도(食道誘導) : 식도 내에 삽입한 도자(導子)에서 유도하는 것으로서 P파(波)가 크게 기록되므로 부정맥(不靜脈)의 해석에 적합하다. 표준12유도는 이 가운데 I II III aVR aVC aVF V " ~V6의 12유도(誘導)를 가리킨다.[간호학대사전]""" H00526276 H00526276 Electroconvulsive therapy 전기경련요법 C0013806 [3.0] 94.27 10036111 Means 요법 H00526973 H00526973 Electrolyte 전해질 C0013832 [3.0] Focus "1) 물, 그밖의 용매(溶媒)에 용해하여 용액이 이온전도(電導)를 하는 물질을 말한다. 전해질은 용액 중에 있어서의 전리(電離)의 대소에 따라서 강전해질(强電解質)과 약전해질(弱電解質), 산성 및 알칼리성 양쪽의 성질을 지닌 양성전해질(兩性電解質), 단백과 같은 고분자전해질(高分子電解質)이 있으며, 각각 이화학적(理化學的)ㆍ전기화학적(電氣化學的)ㆍ열화학적성질(熱化學的性質)이 다르다.[간호학대사전]" 2) 나트륨 칼륨 등과 같이 용액 속에서 이온으로 변화되어 전하를 갖고 " 그 용액이 전기전도성을 나타내게 하는 물질.[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26987 H00526987 Electrolyte imbalance deteriorated 전해질불균형 악화됨 [3.0] F62.0.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26991 H00526991 Electrolyte imbalance improved 전해질불균형 개선됨 [3.0] F62.0.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27007 H00527007 Electrolyte imbalance stabilized 전해질불균형 안정됨 [3.0] F62.0.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27038 H00527041 Electrolyte imbalance 전해질 불균형 C0342579 [3.0] E87.8 F62.0 10031186|1003354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Higher or lower body electrolyte levels 체내 전해질 수준이 높거나 낮음 H00528545 H00528545 Elevation 융기 C0702240 [3.0] 1A.9.0185 Focus 체위 변경함의 한 형태: 신체 전체나 신체의 한 부위를 올리는 것. H00528738 H00528738 Elimination 배출 C0221102 [3.0] 10006720 1A.01.01.01.09 Focus 신체 과정: 신체 노폐물을 이동하고 배출하는 것. H00529078 H00529078 Emaciation 수척 C0013911 [3.0] 10006749 1A.01.01.01.04.02.04 Focus "저체중: 영양부족, 기아, 과도한 식사요법 또는 운동, 혹은 질병으로 인해 지나치게 야윈 상태." H00529081 H00529078 Emaciation 쇠약 C0013911 [3.0] 10006749 1A.01.01.01.04.02.04 Focus "저체중: 영양부족, 기아, 과도한 식사요법 또는 운동, 혹은 질병으로 인해 지나치게 야윈 상태." H00531216 H00531216 Embolus 색전 C1704212 [3.0] 2B.9.0018 Focus 다른 혈관으로부터 혈액에 의해서 운반되는 혈병(血餠) 또는 마개를 말하며 더 작은 혈관에 들어가면 혈관을 막아 순환이 폐쇄된다. H00531894 H00531894 Emergency care 응급간호 C1527398 [3.0] N41.0 2B.9.0019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a sudden or unexpected occurrence 갑작스럽고 예측하지 못한 문제를 관리하기 위한 활동 H00532531 H00532544 Emotion 정서 C0013987 [3.0] 10006765 1A.01.01.02.01.01.05 Focus "심리적 과정: 즐겁거나 고통스러운, 표현되거나 표현되지 않는, 스트레스 혹은 질병으로 증가될수 있는 의식적 혹은 잠재의식 적인 감정." H00532544 H00532544 Emotion 감정 C0013987 [3.0] 10006765 1A.01.01.02.01.01.05.S.001 Focus "심리적 과정: 즐겁거나 고통스러운, 표현되거나 표현되지 않는, 스트레스 혹은 질병으로 증가될수 있는 의식적 혹은 잠재의식 적인 감정." H00532558 H00532558 Emotional support 정서적지지 C0600015 [3.0] E13.0 100270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Actions performed to maintain a positive affective state 긍정적인 정서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수행하는 활동 H00533077 H00533077 Employment status 고용 상태 C0242271 [3.0] 10031210 Focus 상태 H00534133 H00534133 Encephalitis 뇌염 C0014038 [3.0] Focus 腦炎 "뇌의 염증이 생겨서 발생되는 질환을 말하지만, 이와 유사한 증상을 나타" "내는 질환도 포함 된다. 바이러스성 뇌염과 출혈성 뇌염으로 크게 나눈다.""" H00535217 H00535217 Encopresis 대변실금 C0014089 [3.0] 10027725 1A.01.01.01.09.01.02 Focus "변실금: 수의적 부적절한 변의 이동과 배출, 기질적 결함이나 질병에 기인하지 않은 변실금." H00535221 H00535265 Encopresis 유분증 C0014089 [3.0] F98.1 10027725 1A.01.01.01.09.01.02 Focus "변실금: 수의적 부적절한 변의 이동과 배출, 기질적 결함이나 질병에 기인하지 않은 변실금." H00540981 H00540981 Endocrine alteration 내분비장애 C2364126 [3.0] I22.0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internal secretions or hormones H00540995 H00540995 Endocrine alteration deteriorated 내분비장애 악화됨 [3.0] I22.0.3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41001 H00541001 Endocrine alteration improved 내분비장애 개선됨 [3.0] I22.0.1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41015 H00541015 Endocrine alteration stabilized 내분비장애 안정됨 [3.0] I22.0.2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목표(기대결과) H00541144 H00541158 Endocrine system 내분비계 C0014136 [3.0] 10025041 1A.9.0187 Focus 신체 체계 H00542330 H00542330 Endometrium 자궁속막 C0014180 [3.0] Location 자궁의 내벽을 이루는 층. H00542343 H00542330 Endometrium 자궁내막 C0014180 [3.0] Location 자궁의 내벽을 이루는 층. H00546537 H00546537 Enema 관장 C0993595 [3.0] B06.3 10006881 2B.9.002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Means Actions performed to give fluid rectally 항문으로 수액을 주입하는 활동 H00546585 H00546585 Energy 에너지 C1442080 [3.0] 10006899 1A.01.01.02.01.01.09 Focus 재료: 사용가능한 힘의 원천. H00546599 H00546599 Energy conservation 에너지보존 C1621943 [3.0] A01.2 10006909 1A.01.01.02.01.01.09.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aken to preserve energy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0548207 H00548207 Enteral feeding 위장관영양 C0086225 [3.0] J29.5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nourishment through a gastrointestinal route H00548211 H00548211 Enteral tube care 위장관간호 C0400386 [3.0] J28.0 10044679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use of an enteral drainage tube H00548224 H00548224 Enteral tube insertion 위장관삽입 C0021931 [3.0] J28.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lacement of an enteral drainage tube H00548238 H00548238 Enteral tube irrigation 위장관세척 C1171192 [3.0] J28.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flush or wash out an enteral tube H00548871 H00548871 Enterocele 탈장 C0205792 [3.0] K46|K46.0|K46.1 1A.9.0189 Focus 장을 포함하는 탈장 H00550259 H01274214 Enteroplegia 창자마비 C0030446 [3.0] K56.0 1A.9.0190 Focus "Obstruction of the bowel due to paralysis of the bowel wall, usually as a result of localized or generalized peritonitis or shock.[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0550262 H01274214 Enteroplegia 장마비 C0030446 [3.0] K56.0 1A.9.0190 Focus "Obstruction of the bowel due to paralysis of the bowel wall, usually as a result of localized or generalized peritonitis or shock.[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0551914 H00551959 Enuresis 유뇨증 C0014394 [3.0] R32 10026824 1A.01.01.01.09.02.01.05 Focus 요실금: 자는 동안 일어나는 불수적인 배뇨. H00551928 H00551959 Enuresis 야뇨증 C0014394 [3.0] R32 10026824 1A.01.01.01.09.02.01.05 Focus 요실금: 자는 동안 일어나는 불수적인 배뇨. H00552075 H00552075 Environmental safety 환경안전주의 C0184640 [3.0] N42.1 10031247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Precautions recommended to prevent or reduce environmental injury H00552108 H00552108 Environmental assessment 환경평가 C0558004 [3.0] 1A.9.0191 Focus 사정 H00552304 H00552304 Envy 선망 C0870504 [3.0] 10007013 1A.01.01.02.01.01.05.22 Focus "부정적 감정: 다른 사람, 그룹, 혹은 공동체가 더 나은 운을 가진것으로 인해 불만스럽거나 분개하는 감정." H00554781 H00554795 Epidemic parotitis 유행귀밑샘염 C0026780 [3.0] B26|G05.1 Focus "주로 소아에서 일어나고, 그 결과로 지속성 면역을 주는 전염성의 paramyxovirus 병. 흡기에 의해서 감염되는데, 가장 농후한 바이러스감염은 침샘내에 생기며, 특히 턱밑샘이나 혀밑샘보다도 귀밑샘이 더욱 심하다. 잠복기는 18~22일이다. 감염은 약 75%의 증례에서 증상을 나타낸다. 이들 중 귀밑샘염은 70%에서, 수막염은 10~15%(이들 중 반수에서 무증상성 수액세포 증가증이 동반된다)에서 일어난다. 부고환고환염이 사춘기 후의 남성에서 생기지만 그 후에 불임증을 속발하는 일은 드물다. 그 외의 증상은 보다 드물게 나타나는데 이자염, 관절염, 심근염, 난소염, 갑상샘염 및 젖샘염 등이 있다. 발열과 환부의 유통성 염증은 최초의 2일간에 가장 현저하고 다음 4~5일이 지나면 서서히 가라앉는다. 동시에 한 부위 이상을 침습하는 수도 있으며 가끔 속발적으로 침습되고 질환의 전 경과는 2~3주에 이른다. 부수되는 영속성의 신경학적 손상을 동반하는 수막뇌염은 드물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55283 H00555283 Epidermis 표피 C0014520 [3.0] Location 상피의 가장 바깥층을 이루는 세포층. H00556286 H00556451 Epigastralgia 상복부통증 C0232493 [3.0] R10.12 Focus 1) 검상돌기와 배꼽사이의 통증. 2) 심와부에 생기는 통증이고 원인으로서는 위ㆍ십이지장 궤양 위염 등 심와부 부근으로부터의 내장통과 간ㆍ췌ㆍ담낭질환 충수염 협심증 심근경색 등 타장기의 자극이 심와부통으로서 느끼게 되는 관련통이 있다. 심와부통으로서 중요한 것으로는 위ㆍ십이지장 궤양 위암 담석증 급성췌염 췌암 요로결석 심근경색 등이 있는데 " 척수로의 유발증에서도 심와부통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556451 H00556451 Epigastric pain 명치통증 C0232493 [3.0] R10.12 Focus 1) 검상돌기와 배꼽사이의 통증. 2) 심와부에 생기는 통증이고 원인으로서는 위ㆍ십이지장 궤양 위염 등 심와부 부근으로부터의 내장통과 간ㆍ췌ㆍ담낭질환 충수염 협심증 심근경색 등 타장기의 자극이 심와부통으로서 느끼게 되는 관련통이 있다. 심와부통으로서 중요한 것으로는 위ㆍ십이지장 궤양 위암 담석증 급성췌염 췌암 요로결석 심근경색 등이 있는데 " 척수로의 유발증에서도 심와부통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556581 H00556529 Epigastrium 상복부 C0230185 [3.0] Location 복부를 9등분 했을 경우 가장 가운데 부분. 좌우 계륵부(季肋部)를 합쳐서 상복부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영양학사전] H00556594 H00556529 Epigastrium 명치부위 C0230185 [3.0] Location 복부를 9등분 했을 경우 가장 가운데 부분. 좌우 계륵부(季肋部)를 합쳐서 상복부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영양학사전] H00557955 H00557955 Epinephrine 에피네프린 C0014563 [3.0] 1A.9.0193 Focus "내장신경자극에 의해서 부신수질로부터 분비되는 호르몬. 크롬친화성 과립내에 축적되고 주로 저혈당에 반응하여 방출된다. 이것은 교감신경계의 강력한 자극물질이며, 강한 혈관긴장성 물질로서 혈압을 상승시키고 심근을 자극하며, 심박수를 증가시키고 심박량을 증대시킨다. " H00559611 H00559639 Episiotomy 회음 절개 C0014586 [3.0] 73.6 2C.9.0064 Focus 분만을 위하여 외음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 H00559951 H00559951 Epistaxis 코피 C0014591 [3.0] R04.0 10046726|10046735 Focus|DC "비강, 부비강에서의 출혈로, 전비공 혹은 후비공에서 인두, 구강 쪽으로 돌아 입에서 유출시킨다. 출혈부위의 90%는 키젤바하 부위이다. 급성비염, 비중격만곡증, 악성종양 등의 질환이나 외상으로 비출혈을 보인다. (1) 혈액질환(백혈병, 자반병) (2) 순환기장애(고혈압, 요독증)이 있다. 부인과적인 질환으로는 대상성 출혈이 있다. 치료는 안정, 지혈제투여, 탐폰을 콧 속에 삽입하는 것이 있다. 지혈이 곤란한 경우는, 베로크 탐폰을 이용한다.[간호학대사전]" H00563123 H00563123 Equipment safety 장비안전주의 C0014680 [3.0] N4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Precautions recommended to prevent or reduce equipment injury H00564434 H00564434 Eructation 트림 C0014724 [3.0] R14 10012584 1A.01.01.01.05.05.01 Focus 트림 H00564448 H02767447 Eruption 발진 C0015230 [3.0] R21 10016388 1A.01.01.01.10.01.03.S.002 Focus "손상된 개체의 집합: 색이 변하고 튀어나온 홍반, 국소부종, 두드러기, 소수포, 소양감을 동반하는 피부발진." H00564465 H00564465 Eruption 이돋이 C1533692 [3.0] Focus "1) 치근의 형성이 진행함에 따라서 치관이 구강내에 나타나는 것을 맹출이라고 한다. 그 때의 밀어올리는 힘을 맹출력이라고 한다. 한번 맹출한 이가 생애기능하는 것을 일생치성(一生歯性), 다시나는 것을 다생치성(多生齒性)이라고 한다. 포유류는 이생치성이다. 출생후 약 6개월경부터 3년이내에 생기는 이를 유치라고 하며, 약 6세이후 유치대신에 맹출하는 이 및 대구치를 영구치라고 한다. 이의 맹출은 생리적 현상으로 지장이 없는 것이 보통이나 때로 유치맹출시의 생치열, 영구치에서는 지치난생증(智齒難生症)등의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2) 맹출. 골내에서 발육성장 도중의 치아가 일정 시기에 이르러 잇몸을 열고 구강 내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치아는 치근이 미완성인 상태로 맹출을 개시하며 " 대개 1~2년 후에 치근은 근첨까지 완성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대사전]""" H00564675 H00564675 Erythema 홍반 C0041834 [3.0] Focus "1) 홍반은 여러 가지 외적, 내적인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피부 반응 중 하나로서, 피부가 붉게 변하는 것과 혈관의 확장으로 피가 많이 고이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작은 혈관들에 혈류가 많아지거나 그 주변 조직의 변화로 인하여 작은 혈관들이 우리 눈에 보이는 정도가 되는 것이다. 보통 홍반 부분을 누르면 일시적으로 붉게 보이는 증상이 없어지고 손을 떼면 바로 병변 부분이 붉은 색으로 돌아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 울혈-염증-상피박리 등의 원인으로 피부나 점막에 오는 여러 자기 모양의 적색 반점. 피부가 국한성으로 홍색을 띠는 일. 유리판으로 압박하면 퇴색하여 보이고, 유리를 떼면 색이 다시 살아난다. 대부분 염증성으로 홍역이나 성홍열에서 볼 수 있는 진피 상층의 모세혈관의 확장-충혈에 의한 것과, 단순성 혈관종에서 볼 수 있는 혈관의 신생에 의한 것이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565521 H00565521 Erythrocyte 적혈구 C0014792 [3.0] Means 1) 혈액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로 산소운반을 위하여 특화된 혈구.[두산백과] 4) 붉은색 납작한 원반 모양의 혈액세포로 혈관을 통해 전신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569973 H00569973 Esophagus 식도 C0014876 [3.0] Location 소화기관 중의 소화관의 일부.인두(咽頭)와 위(胃) 사이의 관상부를 말함. H00574491 H00574491 Etiology 병인 C0015127 [3.0] Focus 病因 "병의 원인인 것. 어떤 질환에는 어떤 병원이 대응하는가 때로는 단일이며 때로는 복합이다. 많은 경우, 여러종의 원인이 중복되 병의 성립에 관여한다. 이것을 주요인main cause과 부요인accessory cause로 구별하고, 발병의 계기가 되는 것을 특히 수인이라 말한다. 병의 원인이 체외에서부터 작용하는 경우에는 외인 external cause, 체내에 있는 원인인 것을 내인 internal cause라 한다.[간호학대사전]" H00575111 H00575124 Euphoria 이상황홀감 C0235146 [3.0] 10007050 1A.01.01.02.01.01.05.05 Focus "감정: 현실에 근거하지 않고 상황에 부적절한 과장된 신체적 정서적 안녕감과 관련된 고양된 감정, 즐검움, 낙관주의." H00575691 H00575691 Eutocia 정상분만 C0233081 [3.0] 1A.9.0196 Focus "임신 만37주로부터 만 41(만 42주미만)의 분만,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를 만삭아라고 한다. 1979년부터 WHO의 권고에 의거하여 임신기간은 정상월경제1일부터 계산하여, 만의 일수 또는 주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산은 23주까지, 조산은 24~36주, 과산(過期產)은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이라고 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0577571 H02767447 Exanthem 피진 C0015230 [3.0] R21 10007260 1A.01.01.01.10.01.03.S.003 Focus "발진: 알러지나 감염성 질환으로 인해 홍반, 온기, 소양증과 쓰림이 나타나는 피부 발진." H00577617 H02767447 Exanthema 피진 C0015230 [3.0] R21 10007260 1A.01.01.01.10.01.03.S.004 Focus "발진: 알러지나 감염성 질환으로 인해 홍반, 온기, 소양증과 쓰림이 나타나는 피부 발진." H00578654 H00578654 Exchange 교환 C0678640 [3.0] 1A.9.0198 Focus 어떤 한가지를 다른 것으로 바꾸는 것. H00589991 H00589991 Excitation 들뜸 C0549255 [3.0] 1A.9.0199 Focus 외계의 조건변화를 일반적으로 자극이라고 하는데 특히 생체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것과 같은 변화만을 자극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생체는 자극에 대해서 반응하고 생체에 독특한 활동을 나타낸다. 이것을 흥분이라고 한다. 생체에 자극이 가해지고 이에 대해서 흥분을 일으키려면 자극에 일정한 강도가 요구된다. 흥분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자극가운데 최소의 것의 강도를 역치(閾値)라고 한다. 역치가 낮은 세포는 흥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통상 역치의 역수를 가지고 흥분성의 양적 지표로 한다.[간호학대사전] H00590152 H00589991 Excitement 흥분 C0233571 [3.0] 1A.9.0199 Focus 외계의 조건변화를 일반적으로 자극이라고 하는데 특히 생체의 기능을 활발하게 하는 것과 같은 변화만을 자극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생체는 자극에 대해서 반응하고 생체에 독특한 활동을 나타낸다. 이것을 흥분이라고 한다. 생체에 자극이 가해지고 이에 대해서 흥분을 일으키려면 자극에 일정한 강도가 요구된다. 흥분을 일으키게 할 수 있는 자극가운데 최소의 것의 강도를 역치(閾値)라고 한다. 역치가 낮은 세포는 흥분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통상 역치의 역수를 가지고 흥분성의 양적 지표로 한다.[간호학대사전] H00590359 H00590362 Excoriation 줄까짐 C0015256 [3.0] 10007287 1A.01.01.01.10.03.06.02.01 Focus "외상성 상처: 딱지가 생기기 전까지 통증, 출혈, 쓰린 특징이 있는 피부와 진피의 찰과상." H00590362 H00590362 Excoriation 긁은 상처 C0015256 [3.0] 10007287 1A.01.01.01.10.03.06.02.01 Focus "외상성 상처: 딱지가 생기기 전까지 통증, 출혈, 쓰린 특징이 있는 피부와 진피의 찰과상." H00590376 H00590362 Excoriation 찰과상 C0015256 [3.0] 10007287 1A.01.01.01.10.03.06.02.01 Focus "외상성 상처: 딱지가 생기기 전까지 통증, 출혈, 쓰린 특징이 있는 피부와 진피의 찰과상." H00590457 H00590457 Excretion 배설 C0221102 [3.0] 10006720 1A.01.01.01.09 Focus 신체 과정: 신체 노폐물을 이동하고 배출하는 것. H00590765 H00590765 Exercise 운동 C0015259 [3.0] 10007315 1A.01.01.02.02.01.01.08.01.S.001 Focus "활동: 신체의 건강, 기동성과 체력을 위해서 근골격계와 심폐계를 물리적이고 자의적으로 움직여 주는것." H00591026 H00591026 Exertional dyspnea 운동성호흡곤란 C0231807 [3.0] Focus "dyspnea provoked by physical effort or exertion.[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0591396 H00591401 Exhaustion 소진 C0392674 [3.0] 10007327 1A.01.01.01.11.02.02 Focus "피로: 격렬한 신체적 활동 혹은 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강인함 혹은 지구력의 과도한 상실, 기진맥진한 느낌과 과민성의 증가 상태." H00591401 H00591401 Exhaustion 탈진 C0392674 [3.0] 10007327 1A.01.01.01.11.02.02 Focus "피로: 격렬한 신체적 활동 혹은 심한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강인함 혹은 지구력의 과도한 상실, 기진맥진한 느낌과 과민성의 증가 상태." H00592323 H00592310 Exophthalmos 안구돌출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0593228 H00593228 Expectation 기대 C0679138 [3.0] 10023679 Focus 신념 H00593231 H00593231 Expected date of delivery 분만예정일 [3.0] 1A.9.0195 Focus "기초체온(BBT)에 의한 배란일+266일이 가장 정확한 분만예정일이나, 기초체온을 측정하지 않는 임산부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의 첫날부터 세어서 280일째를 분만예정일로 한다. 월경주기가 28일이 아닌 자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에서 계산한 예정일에 그 부인의 평균 월경주기에서 28일 뺀 일수를 더한 날을 분만예정일로 하면 보다 정확하게 된다. 그외에 태동을 느낀날이나 초음파로 계측한 태아머리 대횡경(大橫經) 등이 참고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0593312 H00593309 Expectoration 담객출 C0038056 [3.0] 10007362 1A.01.01.01.01.04.01 Focus "기도청결: 기침이나 침뱉기로 기관, 기관지 및 폐로부터의 점액, 가래 또는 액체의 배출." H00593567 H00593571 Expiratory pressure 호기압 [3.0] Focus 숨을 내쉴 때의 압력. H00593571 H00593571 Expiratory pressure 날숨압 [3.0] Focus 숨을 내쉴 때의 압력. H00603971 H00603971 Expression 표현 C0031437 [3.0] 1A.9.0204 Focus (의견이나 감정 따위를) 드러내어 나타냄 H00603999 H00603999 Expressive aphasia 표현언어상실증 C0917814 [3.0] 10007406 1A.01.01.01.12.04.01.02 Focus "언어상실증: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구두로 혹은 글쓰기로 단어를 만들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상태, 반드시 말과 언어의 이해 문제를 동반하지는 않음." H00604005 H00603999 Expressive aphasia 표현실어증 C0917814 [3.0] 10007406 1A.01.01.01.12.04.01.02 Focus "언어상실증: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구두로 혹은 글쓰기로 단어를 만들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상태, 반드시 말과 언어의 이해 문제를 동반하지는 않음." H00604541 H00604585 Extension 신전 C0522009 [3.0] Focus "굴곡한 사지를 펴는 것, 사지를 곧은 상태로 당기는 것." H00604585 H00604585 Extension 폄 C0522009 [3.0] Focus "굴곡한 사지를 펴는 것, 사지를 곧은 상태로 당기는 것." H00605266 H00605218 External auditory canal 바깥귀길 C0013444 [3.0] Location 귀의 입구에서 고막에 이르는 관. H00605270 H00605218 External auditory canal 외이도 C0013444 [3.0] Location 귀의 입구에서 고막에 이르는 관. H00606112 H00606112 External pacemaker 체외박동조율기 C0810585 [3.0] Means 1) 심장벽을 통한 흥분 발사에 의해 전기적으로 심박동을 자극하는 데 쓰이는 장치. 심각한 심부정맥의 응급처치에 이용된다. 2) 흥분 발사 장치는 가슴 밖에 있고 " 전선에 의해 심장과 연결되어 있는 심박동조정기.[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609500 H00609527 Extravasation 혈관외유출 C0015376 [3.0] 1A.9.0205 Focus "혈관으로부터 조직내로, 예컨대 혈액의 배출 또는 누출." H00609513 H00609513 Extravasation 유출 C0015376 [3.0] 1A.9.0205 Focus "a passage or escape into the tissues, usually of blood, serum, or lymph.[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609527 H00609527 Extravasation 혈관바깥유출 C0015376 [3.0] 1A.9.0205 Focus "혈관으로부터 조직내로, 예컨대 혈액의 배출 또는 누출." H00609902 H00609920 Extremity 사지 C0015385 [3.0] 1F.04.03 Location 팔 또는 다리 H00609920 H00609920 Extremity 팔다리 C0015385 [3.0] 1F.04.03 Location 팔 또는 다리 H00610559 H00610562 Extubation 발관 C0553891 [3.0] Focus 산소공급이나 기타의 이유로 기관지에 삽입된 관을 스스로 제거하는 것. H00610562 H00610562 Extubation 관제거 C0553891 [3.0] Focus 산소공급이나 기타의 이유로 기관지에 삽입된 관을 스스로 제거하는 것. H00610867 H00610867 Exumbilication 배꼽돌출 C1306503 [3.0] 1A.9.0389 Focus "흑인, 여아, 미숙아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개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나서 1세경 없어진다. 아기가 울 때나 기침할 때, 힘쓸 때 탈장 부위가 튀어나오지만, 다시 섬유 제륜 속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탈장 부위 안으로 장망이나 소장이 밀려들어갈 수 있으나 장감돈은 드물다. 배꼽 헤르니아는 크기가 5~6cm로 큰 것도 대개 5~6세경 저절로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과적 수술은 장감돈이 되거나 1~2세경에도 계속 커질 때 시행하며, 테이프로 붙여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두산백과]" H00610917 H00610917 Eye 눈 C0015392 [3.0] 10007452 1F.04.04 Location 감각계 구성요소 H00610948 H00610948 Eye care 눈간호 C0885957 [3.0] Q50.0 10031281|10031275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IC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eye problems 눈의 문제를 관리하는 활동 H00611355 H00611355 Eye patch 안대 C0776981 [3.0] 10007475 Means 덮는 기구 H00611503 H00610917 Eyeball 눈알 C0015392 [3.0] 2F.9.0009 Location 안구 H00611517 H00610917 Eyeball 안구 C0015392 [3.0] 2F.9.0009 Location 안구 H00611565 H00611565 Eyebrow 눈썹 C0015420 [3.0] Location 눈꺼풀 위쪽의 눈구멍뼈 바깥쪽 바로 위에 활 모양으로 자란 털. H00611615 H00308411 Eyelash 속눈썹 C0015422 [3.0] Location 아래위의 눈꺼풀 가장자리에 나 있는 길이 10mm정도의 경모로 지각이 매우 예민하여 먼지 등의 이물에 접하면 곧 아래 위의 눈꺼풀을 닫어서 눈을 보호함. H00611632 H01265966 Eyelid 안검 C0015426 [3.0] 10007468 1F.04.05 Location 신체 부분 H00611646 H01265966 Eyelid 눈꺼풀 C0015426 [3.0] 10007468 1F.04.05 Location 신체 부분 H00612179 H00674566 FFP 신선 냉동 혈장 C0016709 [3.0] Means "플라스틱의 2중백 등에 채혈한 혈액을 6시간 이내에 고속원침하고 상청의 혈장을 분리백에 옮겨 -40℃ 냉동고에 넣어서 동결시킨 것으로 1년간 사용할 수 있다. 4℃ 보존에서는 곧 소모하는 혈장응고 제Ⅴ, 제Ⅷ인자 등이 반정도 보존되는 것에 특색이 있다. 사용시에는 39℃ 실온에서 해동수주(輸注)한다. 원래는 출혈경향이 있는 쇼크, 응고장애 등에 적응이 되는데 혈장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공급에 대해서 사용되고 그 사용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경향으로 공급증가가 요망된다.[간호학대사전]" H00612585 H00612599 Face 안면 C0015450 [3.0] 10007481 1F.05.01 Location 신체 부분 H00612599 H00612599 Face 얼굴 C0015450 [3.0] 10007481 1F.05.01 Location 신체 부분 H00612801 H00612814 Face presentation 안위 C0233269 [3.0] Location "안면 특히 이부(頤部)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고 반굴위(反屈位) 중 가장 고도, 전분만의 0.1~0.3%의 빈도이다. 분만초기에는 대부분 전정(前頂) 또는 이마가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제1회선에서 반굴의 정도가 늘고 이부가 선진해 안위가 된다. 제1안위의 경우, 이마는 모체의 우측에 있고 제2회선에 이부는 전방으로 회선한다. 안면선은 제2사경(斜徑)을 거쳐 종경에 일치한다. 구각(口角)이 최초로 배림(排臨)하고 이부가 나타난뒤, 설골(舌骨) 또는 갑상연골이 치골결합하연에 지지되어 제3회선을 하고 코, 눈, 이마, 전정, 후정의 순으로 회음(會陰)을 통과한다. 견갑횡경은 제1사위(斜位)를 지나서 골반출구에 이르고 종경에 일치하면 안면도 제4회선을 해서 모체의 우측으로 향한다. 골반을 통과할 때의 아두주위는 기관두정주위이다. 조기파수(早期破水), 미약한 진통을 일으키기 쉽고 분만은 지연된다. 필요에 따라서 겸자분만(鉗子分晚), 제왕절개를 한다.[간호학대사전]" H00612814 H00612814 Face presentation 얼굴 태위 C0233269 [3.0] Location "안면 특히 이부(頤部)가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고 반굴위(反屈位) 중 가장 고도, 전분만의 0.1~0.3%의 빈도이다. 분만초기에는 대부분 전정(前頂) 또는 이마가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제1회선에서 반굴의 정도가 늘고 이부가 선진해 안위가 된다. 제1안위의 경우, 이마는 모체의 우측에 있고 제2회선에 이부는 전방으로 회선한다. 안면선은 제2사경(斜徑)을 거쳐 종경에 일치한다. 구각(口角)이 최초로 배림(排臨)하고 이부가 나타난뒤, 설골(舌骨) 또는 갑상연골이 치골결합하연에 지지되어 제3회선을 하고 코, 눈, 이마, 전정, 후정의 순으로 회음(會陰)을 통과한다. 견갑횡경은 제1사위(斜位)를 지나서 골반출구에 이르고 종경에 일치하면 안면도 제4회선을 해서 모체의 우측으로 향한다. 골반을 통과할 때의 아두주위는 기관두정주위이다. 조기파수(早期破水), 미약한 진통을 일으키기 쉽고 분만은 지연된다. 필요에 따라서 겸자분만(鉗子分晚), 제왕절개를 한다.[간호학대사전]" H00613462 H00613462 Facial nerve 얼굴신경 C0015462 [3.0] Location 뇌에서 나오는 12쌍의 말초신경계 중 제5뇌신경에 해당하는 신경으로 운동성인 섬유로 이루어지고 사람의 경우는 안면의 표정을 짓는 근운동을 주로 관장하는데 이 안면신경의 장애로 생기는 안면신경마비는 흔히 볼 수 있음. H00613476 H00613462 Facial nerve 안면신경 C0015462 [3.0] Location 뇌에서 나오는 12쌍의 말초신경계 중 제5뇌신경에 해당하는 신경으로 운동성인 섬유로 이루어지고 사람의 경우는 안면의 표정을 짓는 근운동을 주로 관장하는데 이 안면신경의 장애로 생기는 안면신경마비는 흔히 볼 수 있음. H00613611 H00613611 Facial palsy 안면마비 C0015469 [3.0] G51.0 Focus 顔面頸椎 "안면신경마비중 반수이상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이것을 일반적으로 벨 마비라고 한다. 정확하게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있다. (1) 돌연 발증하는 편측성 마비. (2) 다른 뇌신경증상이나 중이염 등의 원인이되는 질환이 인정되지 않는다. (3) 귓바퀴, 외이도에 수포형성이 없을 것. 증례의 80~90%는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완전히 회복한다.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치료법은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복용이 주이나,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안면신경 감하수술(減荷手術)이 행하여진다.[간호학대사전]" H00613740 H00613740 Facial spasm 얼굴 연축 C0278151 [3.0] Focus "1) 제7뇌신경인 얼굴신경의 지배근육에 국한된 한쪽성의 불수의 수축이며, 눈꺼풀로부터 점차 눈확 하부, 볼부분 입 모서리부분으로 퍼진다. 경련은 간대성으로 발작성 발현을 하며 피로나 정신적 긴장에 따라 증강된다. 50대 이후에 여성에게 많다. 중증인 경우에는 눈을 뜨기가 곤란하다. 원인은 명백하지 않은 것이 많지만 말초성 얼굴신경 손상의 치유 후, 또는 얼굴신경 기시부의 혈관(앞소뇌동맥, 뒤밑소뇌동맥, 척추동맥 등)에 의한 압박 등이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안면의 근이 순간적인 간대성(間代性)의 연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뇌질환 귀질환 치성질환 히스테리 간질 oral dyskinesia 등의 원인외에 비통 극도로 놀랐을 때 등에서도 볼 수 있다. 대부분 편측성으로 발현한다. 처치는 원인제거와 대증적인 진정제 " 진경제 등의 투여외에 신경절제수술도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H00615275 H00615275 Failure to thrive 성장지연 C0015544 [3.0] G17.1 10022898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Inability to grow and develop normally H00615289 H00615289 Failure to thrive deteriorated 성장지연 악화됨 [3.0] G17.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15292 H00615292 Failure to thrive improved 성장지연 개선됨 [3.0] G17.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615308 H00615308 Failure to thrive stabilized 성장지연 안정됨 [3.0] G17.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15373 H00615391 Faint 실신 C0039070 [3.0] R55|R55.8 10007508 Focus 손상된 의식: 신체적 허약감과 함께 갑작스런 의식의 소실. H00615387 H00615391 Faint 기절 C0039070 [3.0] R55|R55.8 10007508 Focus 손상된 의식: 신체적 허약감과 함께 갑작스런 의식의 소실. H00615969 H00615969 Fall risk 낙상 위험성 C1268740 [3.0] N33.6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conditions that result in falls H00615972 H00615972 Fall risk deteriorated 낙상 위험성 악화됨 [3.0] N33.6.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15986 H00615986 Fall risk improved 낙상 위험성 개선됨 [3.0] N33.6.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15990 H00615990 Fall risk stabilized 낙상 위험성 안정됨 [3.0] N33.6.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1530 H00621530 False labor 거짓진통 C0085598 [3.0] 10007549 1A.01.01.01.13.01.07.03 Focus 분만통: 분만통으로 보이나 강도나 지속시간이 증가되지 않고 자궁경부를 확장시키지 않는 임신과 관련된 하복부의 불편감. H00621784 H00621784 False positive 거짓양성 C0205557 [3.0] Judgment 의양성 반응. H00621798 H00621784 False positive 가양성 C0205557 [3.0] Judgment 의양성 반응. H00622613 H00622613 Family 가족 C0015576 [3.0] 10007554 1A.9.0210 Client "집단: 혈연, 친족, 정서적 혹은 법적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 사회단위 또는 공동체로서의 인간집단, 그 자체를 하나의 단위로 보거나 혹은 구성원의 합보다 더 큰 집단으로 여겨짐." H00622661 H00622661 Family process alteration 가족과정장애 C0231414 [3.0] M29.0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usual functioning of a related group H00622675 H00622675 Family process alteration deteriorated 가족과정장애 악화됨 [3.0] M29.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2689 H00622689 Family process alteration improved 가족과정장애 개선됨 [3.0] M29.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2692 H00622692 Family process alteration stabilized 가족과정장애 안정됨 [3.0] M29.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2708 H00622708 Family process analysis 가족과정분석 C1171193 [3.0] M39.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change and/or modification of a related group H00622837 H00622837 Family crisis 가족위기 [3.0] 10007577 Focus "위기: 가족의 정상적인 기능에서의 변화와, 문제해결, 의사소통, 변화인지, 내외적 자원의 인식과 이용에 어려움을 유발하는 가족의 정신적, 사회적, 혹은 경제적 안정의 불균형." H00622935 H00622935 Family history 가족력 C0241889 [3.0] 1A.9.0217 Focus "양친, 조부모, 형제자매, 남편, 아내, 아이들, 그 밖의 혈연자에 대해서 질환의 유무, 원인 등을 기재한 것. 특히 유전적 또는 체질적 부하가 있는 질환에 대해서 문진하고 진단의 자료로 도움이 되게 한다.[간호학대사전]" H00623891 H00623891 Family planning 가족계획 C0009861 [3.0] 10007622 1A.01.02.01.01.02 Focus "가족 과정: 관습, 법 그리고 가족의 이상적인 그리고 수용가능한 아이와 성인의 수, 혹은 성에 대한 가치를 고려하여 가족에서 자녀수와 터울을 조절하는 행동 과정" H00623911 H00623911 Family planning service 가족 계획 서비스 C0009861 [3.0] 10007633 Means 서비스 H00624149 H00624149 Family support 가족 지지 C0150232 [3.0] 10023680 Focus 현상 H00624166 H00624166 Family therapy 가족치료 C0015618 [3.0] 94.42 10007667 2C.02.05.16 Means 요법 H00624216 H00624202 Famine 기근 C0015619 [3.0] 10007679 1A.02.02.03.01.03 Focus 자연재해: 특정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급성 혹은 만성적 식량 부족. H00624251 H00624251 Famliy coping impairment 가족대처장애 C0150027 [3.0] E11.0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Inadequate family response to problems or difficulties H00624264 H00624264 Famliy coping impairment deteriorated 가족대처장애 악화됨 [3.0] E11.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4278 H00624278 Famliy coping impairment improved 가족대처장애 개선됨 [3.0] E11.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4281 H00624281 Famliy coping impairment stabilized 가족대처장애 안정됨 [3.0] E11.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4426 H00790319 Far sightedness 원시 C0020490 [3.0] H52.0 Focus 遠視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고 가까이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것 H00625321 H00625321 Fastidium 혐오 [3.0] Focus 싫어하고 미워함. H00625401 H00625401 Fasting blood sugar 공복혈당 C1261430 [3.0] 1A.9.0219 Focus "혈액속에 포함되어 있는 포도당. 뇌와 적혈구의 에너지원이 되고, 그 양은 운동, 식사 따위에 의하여 달라진다. 건강인의 아침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는 60~100mg/dL이지만 기타의 당질 즉 과당, 갈락토스, 5탄당은 미량이며 일반적으로 혈당일 하면 혈중포도당을 의미한다. 혈당은 생체의 에너지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다. 그 농도는 창자관으로부터의 흡수, 간에 있어서의 당신생과 글리코겐의 합성-분해, 말초조직의 당이용, 콩팥으로부터의 배설 등 여러 인자에의해 좌우되며 그 조절에는 자율신경과 각종 호르몬이 밀접하게 관계한다. 특히 혈당저하작용에는 인슐린이, 그리고 혈당상승작용에는 에피네프린, 글루카곤, 성장호르몬, 부신겉질호르몬, 부신겉질자극호르몬, 갑상샘 호르몬이 관계가 있으며 그것들의 대항 및 협조 작용에 의해 혈당치가 조절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625981 H01706878 Fatigue 피로 C0015672 [3.0] R53 A01.4 10007717|10000695 1A.01.01.01.11.02.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Exhaustion that interferes with physical and mental activities 신체적 및 정신적 활동을 방해하는 소모 H00626001 H00626001 Fatigue deteriorated 피로 악화됨 [3.0] A01.4.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6015 H00626015 Fatigue improved 피로 개선됨 [3.0] A01.4.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6029 H00626029 Fatigue stabilized 피로 안정됨 [3.0] A01.4.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6709 H00626709 Fatty stool 지방변 C0038238 [3.0] Focus 흡수 장애에 의해 지방이 섞여 나온 변. H00626905 H00626919 Fear 두려움 C0015726 [3.0] P41.0 10007738|10000704 1A.01.01.02.01.01.05.08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Feeling of dread or distress whose cause can be identified 원인을 알 수 있는 고통 또는 끔찍한 느낌 H00626919 H00626919 Fear 공포 C0015726 [3.0] 10007738|10000703 1A.01.01.02.01.01.05.08 Focus|DC "부정적 감정: 알려진 혹은 알려지지 않은 원인으로 인해 위협 받거나, 위험해 처하거나 또는 괴로운 느낌, 때때로 생리적인 투쟁 혹은 도망 반응을 동반함." H00626922 H00626922 Fear deteriorated 두려움 악화됨 [3.0] P41.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6936 H00626936 Fear improved 두려움 개선됨 [3.0] P41.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6940 H00626940 Fear stabilized 두려움 안정됨 [3.0] P41.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6998 H00626998 Fearful throbbing 정충 [3.0] R00.2 Focus 怔忡 "심장순환계의 적응에 의해 심박출량(心搏出量)과 심박수(心搏數)가 증가하게 되어 심장활동의 증가와 심계항진을 느끼게 되고, 빈맥(頻脈)과 맥압 증가가 나타나며, 가벼운 운동에도 피로나 호흡곤란과 같은 산소결핍의 징후가 나타나게 되는 병증. [표준한의학용어집]" H00627021 H00101161 Febricide 해열제 [3.0] 10037253 2C.9.0012 Means 약품 H00627147 H00635201 Febrile disease 열병 C0015967 [3.0] R50.9 Focus 熱病 모든 외감(外感)으로 발생하는 열성병(熱性病). H00627262 H02494826 Fecal impaction 매복변 C0015734 [3.0] B03.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Feces wedged in intestines H00627276 H00627276 Fecal impaction deteriorated 매복변 악화됨 [3.0] B03.4.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7280 H00627280 Fecal impaction improved 매복변 개선됨 [3.0] B03.4.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7293 H00627293 Fecal impaction stabilized 매복변 안정됨 [3.0] B03.4.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7553 H00627553 Feces 대변 C0015733 [3.0] 10007764 2B.02.01.01.01.01.01.02.02.04.S.001 Focus 신체 구성물질 H00627715 H00627696 Feeding 영양공급 C2987508 [3.0] 10007786 2A.03.05 Action 수행 활동: 누군가에게 음식 혹은 음료를 제공하는 것. H00627732 H00627732 Feeding deficit 음식섭취결핍 C1998994 [3.0] O37.0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진단(간호진단) Impaired ability to feed oneself H00627746 H00627746 Feeding deficit deteriorated 음식섭취결핍 악화됨 [3.0] O37.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7750 H00627750 Feeding deficit improved 음식섭취결핍 개선됨 [3.0] O37.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7763 H00627763 Feeding deficit stabilized 음식섭취결핍 안정됨 [3.0] O37.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27777 H00627777 Feeding technique 영양공급기법 C0184624 [3.0] J29.2 10007819 2C.02.06.2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Means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special measures to provide nourishment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특별한 방법을 제공하는 활동 H00628090 H00628090 Feeling 느낌 C0013987 [3.0] Focus 몸의 감각이나 마음으로 깨달아 아는 기운이나 감정.[표준국어대사전] H00628945 H00628945 Female 여성 C0015780 [3.0] 1A.9.0223 Focus 여자.여성 H00629836 H00629836 Femoral artery 넙다리동맥 C0015801 [3.0] Location 장골동맥의 연장선으로 다리에 동맥혈을 공급하는 혈관. H00629840 H00629836 Femoral artery 대퇴동맥 C0015801 [3.0] Location 장골동맥의 연장선으로 다리에 동맥혈을 공급하는 혈관. H00630367 H00630367 Femur 넙다리뼈 C0015811 [3.0] Location 고관절부터 무릎까지의 부분의 긴 뼈. H00630371 H00630367 Femur 대퇴골 C0015811 [3.0] Location 고관절부터 무릎까지의 부분의 긴 뼈. H00630384 H00630367 Femur 넓적다리뼈 C0015811 [3.0] Location 고관절부터 무릎까지의 부분의 긴 뼈. H00632393 H00632393 Fertility 생식능력 C0015895 [3.0] 10007888 1A.01.01.01.15.01 Focus 능력: 살아있는 태아를 임신하고 생존력있는 아이를 분만할 수 있는 능력. H00632409 H00632409 Fertility care 수정간호 C1171194 [3.0] U74.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increase the chance of conception of an offspring/child H00632412 H00632412 Fertility risk 가임 위험성 C1171159 [3.0] U59.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conception to develop to develop an offspring/child H00632426 H00632426 Fertility risk deteriorated 가임 위험성 악화됨 [3.0] U59.1.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32430 H00632430 Fertility risk improved 가임 위험성 개선됨 [3.0] U59.1.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32443 H00632443 Fertility risk stabilized 가임 위험성 안정됨 [3.0] U59.1.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32684 H00632684 Fetal distress 태아 절박가사 C0015930 [3.0] 1A.9.0224 Focus "1) 분만전 또는 분만중에 태아의 빈맥이 유발되고, 활동력이 감소되며, 후기감퇴나 다양한 감퇴 증상들이 반복되는 것. 2)태아-태반계에 있어서의 호흡순환부전을 주징으로 하는 증후군. 원인은 다양하다. 모체의 저산소증, 빈혈, 저혈압 등의 모체인자, 임신중독증, 태반조기박리, 태반기능부전 등의 태반인자, 제대(臍帶)의 압박, 하수, 탈출 등의 제대인자는 태아의 저산소증 hypoxia, 산성증 acidosis과 pH 7.20 이하를 가져온다. 이 상태에서는 태아기준심박수는 165/분 이상 또는 120/분 이하를, 또한 심박도는 W형서맥, 만발성서맥 등의 특징있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것이 협의의 태아가사 fetal distress이나, 보통상태에서는 이와같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어떤 부하(負荷) 또는 검사에 의하여 출현하는 것을 잠재태아가사 latent fetal distress라고 하며, 광의의 태아가사 fetal distress에 포함시킨다.[간호학대사전]" H00633124 H00633124 Fetal head 태아머리 C0231117 [3.0] Location 태아의 머리. H00633155 H00633155 Fetal heart rate 태아심박수 C0018811 [3.0] Focus "옛부터 청진에 의하여 태아심박동을 포착하여 왔으나, 최근 ME의 진보에 의하여, 태아심박을 심음(心音), 초음파도풀러, 심전신호로서 연속적으로 포착하여, 태아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한다. 태아심박동수와 진통곡선 동시기록에는 분만감시 장치가 사용되며, 태아가사나 잠재태아가사의 진단에 유용하다.[간호학대사전]" H00633271 H00633271 Fetal hypoxia 태아저산소증 C0349489 [3.0] Focus "분만전 또는 분만중에 태아의 빈맥이 유발되고, 활동력이 감소되며, 후기감퇴나 다양한 감퇴 증상들이 반복되는 것." H00633396 H00633401 Fetal movement 태동 C0015946 [3.0] Focus "자궁내에서 태아가 사지(四肢)를 움직이거나, 태위(胎位)ㆍ태향(胎向)을 바꾸는 동작을 총칭한다. 자궁벽을 치거나 하기 때문에, 그의 움직임을 모체가 감지하는 것을 태동자각이라고 하며, 초산부에서는 임신 20주, 경산부에서는 18주경에 태동을 처음으로 지각하나 개인차가 많다. 최근 초음파를 이용하면, 임신 8주경부터 태아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633401 H00633401 Fetal movement 태아운동 C0015946 [3.0] Focus "자궁내에서 태아가 사지(四肢)를 움직이거나, 태위(胎位)ㆍ태향(胎向)을 바꾸는 동작을 총칭한다. 자궁벽을 치거나 하기 때문에, 그의 움직임을 모체가 감지하는 것을 태동자각이라고 하며, 초산부에서는 임신 20주, 경산부에서는 18주경에 태동을 처음으로 지각하나 개인차가 많다. 최근 초음파를 이용하면, 임신 8주경부터 태아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633500 H00633500 Fetal position 태위 C1286298 [3.0] Location "모체두미방향의 종축(縱軸)(또는 자궁의 종축)과 태아축과의 상호관계를 말하며, 양축이 평행하는 경우를 종위(縱位) longitudinal presenta­tion, Langslage, 직교하는 경우를 횡위(横位) transverse pre­sentation. Queriarge 또는 견갑위 shoulaer presentation, Schluterlage, 양축이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것을 사위 oblique pre­sentation, schraglage라고 한다. 종위에는 아두(兒頭)가 모체미방(母體尾方)에 있는 것을 두위(頭位) 태아골반이 모체미방에 있는 것을 골반위라고 하며, 가장 빈도가 많은 두위가 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자궁내에 있어서 태아의 위치가 정해지는 것은, 임신중기 이후이며, 따라서 실제로 태아의 위차이상이 문제로 되는 것은 임신중기 이후이다. 분만시에는 약 95%가 두위로 만출(晚出) 된다.[간호학대사전]" H00634032 H00634032 Fetus 태아 C0015965 [3.0] 10007900 Client 대상자 H00635035 H00635201 Fever 열 C0015967 [3.0] R50.9 10007916|10041539 1A.01.01.01.03.02 Focus|DC "손상된 체온조절: 체온의 비정상적인 상승, 항온조절점의 변화로 인한 호흡수의 증가, 대사활동의 증가, 펄떡 뛰는 빈맥 혹은 약한 맥박, 두통 혹은 혼돈; 갑작스런 열의 상승은 몸의 떨림, 부들부들 떨림, 오한, 창백, 그리고 건조한 피부를 동반; 고열 혹은 열의 급하강은 따뜻한 홍조의 피부와 발한을 동반" H00635066 H00635066 Fever of unknown origin 원인불명열 C0015970 [3.0] Focus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상태로 몸에서 나는 열. 세균 감염이나 악성 종양, 교원병 따위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음. " H00638937 H00638941 Fibula 비골 C0016068 [3.0] Location 경골과 병행하고 있는 하퇴골의 하나로 하퇴의 바깥쪽에 있으며 경골보다 훨씬 가늘고 얇아서 체중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발목관절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줌. 종아리뼈. H00638941 H00638941 Fibula 종아리뼈 C0016068 [3.0] Location 경골과 병행하고 있는 하퇴골의 하나로 하퇴의 바깥쪽에 있으며 경골보다 훨씬 가늘고 얇아서 체중을 지지하지는 않지만 발목관절을 강화하는데 도움을 줌. 종아리뼈. H00640197 H00640202 Filter 필터 C0180860 [3.0] Means 여과용 기기 및 장치의 총칭. H00640202 H00640202 Filter 거르개 C0180860 [3.0] Means 여과용 기기 및 장치의 총칭. H00640216 H00640202 Filter 여과기 C0180860 [3.0] Means 여과용 기기 및 장치의 총칭. H00640944 H00640944 Finger 손가락 C0016129 [3.0] 10007937 1F.05.03 Location 신체 부분 H00642192 H00642208 Fissure 열 C0332469 [3.0] 10007963 1A.01.01.01.10.03.03 Focus "상처: 피부의 탄력성과 신전성이 감소되며, 피부조직이 보이는 붉은 균열을 동반하는 신체표면조직의 균열, 갈라짐 혹은 분리." H00642385 H00642404 Fistula 루 C0016169 [3.0] 1A.9.0228 Focus "1) 보통 두개의 내장 사이에 또는 내장에서 신체표면으로 통해 있는 비정상적인 통로, 보통 그것이 연결하는 기관 또는 부분에 따라 불리고 있다. 2) 심부기관이 피부나 점막 또는 다른 기관과 통해있는 상태를 루(공)이라고 하며, 체표 면과 통해있는 것을 외루 external fistula라고 하고 내기관 또는 강(腔)의 통로을 내루(内瘻) internal라고 한다. 누공(瘻孔)에서 분비물, 배출물질이 나온다. 또한 누공이 교통하는 기관에 의하며 누공(瘻孔)에서 분비물, 배출물질이 나온다. 또한 누공이 통하는 기관에 의해서 위루, 장루, 방광루 등으로 부르며, 분비물의 성상에 따라 유즙루, 타액루 등이라고도 한다. 식도암 등으로 음식물 섭취가 경구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 피부표면에서 인공적으로 관을 넣어 인공위루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642399 H00642404 Fistula 누공 C0016169 [3.0] 1A.9.0228 Focus "1) 보통 두개의 내장 사이에 또는 내장에서 신체표면으로 통해 있는 비정상적인 통로, 보통 그것이 연결하는 기관 또는 부분에 따라 불리고 있다. 2) 심부기관이 피부나 점막 또는 다른 기관과 통해있는 상태를 루(공)이라고 하며, 체표 면과 통해있는 것을 외루 external fistula라고 하고 내기관 또는 강(腔)의 통로을 내루(内瘻) internal라고 한다. 누공(瘻孔)에서 분비물, 배출물질이 나온다. 또한 누공이 교통하는 기관에 의하며 누공(瘻孔)에서 분비물, 배출물질이 나온다. 또한 누공이 통하는 기관에 의해서 위루, 장루, 방광루 등으로 부르며, 분비물의 성상에 따라 유즙루, 타액루 등이라고도 한다. 식도암 등으로 음식물 섭취가 경구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 피부표면에서 인공적으로 관을 넣어 인공위루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642404 H00642404 Fistula 샛길 C0016169 [3.0] 1A.9.0228 Focus "1) 보통 두개의 내장 사이에 또는 내장에서 신체표면으로 통해 있는 비정상적인 통로, 보통 그것이 연결하는 기관 또는 부분에 따라 불리고 있다. 2) 심부기관이 피부나 점막 또는 다른 기관과 통해있는 상태를 루(공)이라고 하며, 체표 면과 통해있는 것을 외루 external fistula라고 하고 내기관 또는 강(腔)의 통로을 내루(内瘻) internal라고 한다. 누공(瘻孔)에서 분비물, 배출물질이 나온다. 또한 누공이 교통하는 기관에 의하며 누공(瘻孔)에서 분비물, 배출물질이 나온다. 또한 누공이 통하는 기관에 의해서 위루, 장루, 방광루 등으로 부르며, 분비물의 성상에 따라 유즙루, 타액루 등이라고도 한다. 식도암 등으로 음식물 섭취가 경구적으로 불가능한 경우에 피부표면에서 인공적으로 관을 넣어 인공위루를 만드는 경우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644959 H00644959 Flank 옆구리 C0230171 [3.0] 10007971 1F.05.05 Location 신체 부분 H00644980 H00967221 Flank pain 옆구리 통증 C0016199 [3.0] M54.5 Focus Painful sensation in the region below the ribs and above the hip.[NCI/PT] H00645075 H00645075 Flapping tremor 퍼덕떨림 C0232766 [3.0] 1A.9.0229 Focus "퍼덕이기 진전이라고도 하며, 상지를 전방에서 측방수평으로 거상시켰을 때 특히 나타나기 쉬운 각 관절의 진전이며, 비교적 급격한 짧은 불수의적 수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손목에서 현저하며 손가락의 굴신도 나타난다. 윌슨병에서 다른 진전과 함께 나타나는데 소위 간뇌질환에서는 가장 중심적인 신경증상의 하나이다. 양자간에서 반드시 구별을 하는 것은 아니다.[간호학대사전]" H00645593 H00645593 Flatness 탁음 [3.0] Focus "1) 대단히 단단한 물체를 때렸을 때 들리는, 공명음이 없는 특유한 소리. " 2)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타진법에 있어서 신체의 어떤 부분을 구타하여 진동을 일으켜 진동음을 통하여 귀에 이르게 하는 소리의 세기 또는 대소(大小)는 진동하는 원추부의 공기함유량에 비례한다. 구타에 의하여 생기는 소리는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으로 나누어 진다. 전자는 공기함유량이 많은 폐와 같은 장기를 구타할 때에 들리며 후자는 전혀 공기를 포함하지 않는 대퇴부 등을 구타할 때에 들린다. 탁음에는 대퇴부와 같은 절대적 탁음과 청음과 탁음과의 중간에 해당하는 비교적탁음 등이 있다. 이 탁음에 의하여 심장 간장이나 비장의 크기 " 위치를 알고 또한 폐의 질환(특히 흉수저류) 등을 진단한다.[간호학대사전]""" H00645657 H00645657 Flatulence 위창자내공기참 C0016204 [3.0] 10007985 1A.01.01.01.09.01.05.01 Focus "위장관계 과정: 위와 장관 내에 과도한 공기나 가스의 존재, 증가된 가스, 장기들의 팽만과 경증에서 중증도의 통증을 동반하는 복부팽만." H00645661 H00645657 Flatulence 고창 C0016204 [3.0] 10007985 1A.01.01.01.09.01.05.01 Focus "위장관계 과정: 위와 장관 내에 과도한 공기나 가스의 존재, 증가된 가스, 장기들의 팽만과 경증에서 중증도의 통증을 동반하는 복부팽만." H00645741 H00645741 Flatus 방귀 C0016204 [3.0] 10007992 1A.01.01.01.09.01.05 Focus "신체 구성물질: 소화기관에서 형성된 가스나 바람이 직장이나 인공항문을 통과하는 것으로, 보통 정상적인 영양 상태에서 하루 12-14회 통과함." H00646226 H00646226 Flexion 굽힘 C0231452 [3.0] Focus 굴근을 이용해 몸의 사지나 관절을 구부리는 행동. H00646230 H00646226 Flexion 굴곡 C0231452 [3.0] Focus 굴근을 이용해 몸의 사지나 관절을 구부리는 행동. H00647263 H00647263 Flooding and spotting 붕루 [3.0] N93.9 Focus 崩漏 월경이나 출산 때의 출혈이 아니고 병적으로 일어나는 출혈. 난소 기능의 이상에 따른 기능성 출혈과 자궁의 염증이나 종양에 따른 기질성 출혈이 있음. H00648073 H00648073 Fluid 수액 [3.0] 1A.9.0300 Focus "1) 비경구적(非經口的)으로 인공용액을 정맥 내에 점적(點滴)하거나 피하주사하는 치료법, 또는 그 인공용액.[두산백과] 2) 여러 가지 목적으로 혈관이나 피하에 투여하는 혈액이 아닌 액체의 총칭. 목적에 따라 전해질, 아미노산, 당 등의 용액을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혈액과 같은 삼투압을 갖도록 조정되어 있다.[생명과학대사전]" H00648087 H00648087 Fluid therapy 수액 요법 C0016286 [3.0] F15.0 10031321|10039330 2C.02.05.2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진단(간호진단) Means|IC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liquid volume intake 수액의 섭취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0648091 H00648091 Fluid volume alteration 체액량변화 C2364164 [3.0] F15.0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bodily fluid H00648106 H00648106 Fluid volume alteration deteriorated 체액량변화 악화됨 [3.0] F15.0.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110 H00648110 Fluid volume alteration improved 체액량변화 개선됨 [3.0] F15.0.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648123 H00648123 Fluid volume alteration stabilized 체액량변화 안정됨 [3.0] F15.0.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137 H00648137 Fluid volume decifit 체액량부족 C0546884 [3.0] F15.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진단(간호진단) Dehydration or fluid loss H00648141 H00648141 Fluid volume decifit deteriorated 체액량부족 악화됨 [3.0] F15.1.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154 H00648154 Fluid volume decifit improved 체액량부족 개선됨 [3.0] F15.1.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648168 H00648168 Fluid volume decifit risk 체액량부족 위험성 C0150032 [3.0] F15.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dehydration or fluid loss H00648171 H00648171 Fluid volume decifit risk deteriorated 체액량부족 위험성 악화됨 [3.0] F15.2.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185 H00648185 Fluid volume decifit risk improved 체액량부족 위험성 개선됨 [3.0] F15.2.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199 H00648199 Fluid volume decifit risk stabilized 체액량부족 위험성 안정됨 [3.0] F15.2.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204 H00648204 Fluid volume decifit stabilized 체액량부족 안정됨 [3.0] F15.1.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218 H00648218 Fluid volume excess 체액량과다 C0546817 [3.0] F15.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진단(간호진단) "Fluid retention, overload, or edema" H00648221 H00648221 Fluid volume excess deteriorated 체액량과다 악화됨 [3.0] F15.3.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235 H00648235 Fluid volume excess improved 체액량과다 개선됨 [3.0] F15.3.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648249 H00648249 Fluid volume excess risk 체액량과다 위험성 C0184536 [3.0] F15.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fluid retention, overload, or edema" H00648252 H00648252 Fluid volume excess risk deteriorated 체액량과다 위험성 악화됨 [3.0] F15.4.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266 H00648266 Fluid volume excess risk improved 체액량과다 위험성 개선됨 [3.0] F15.4.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0648270 H00648270 Fluid volume excess risk stabilized 체액량과다 위험성 안정됨 [3.0] F15.4.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283 H00648283 Fluid volume excess stabilized 체액량과다 안정됨 [3.0] F15.3.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48476 H00648476 Fluid volume component 체액량요소 C0184496 [3.0] F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liquid consumption. H00651312 H00651343 Flush 홍조 C0016382 [3.0] R23.2 10009151 1A.9.0230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호르몬 변화나 폐경시작과 관련된 신체 윗부분의 갑작스런 열감각, 갑작스런 혈관확장, 땀과 발한." H00651343 H00651343 Flushing 홍조 C0016382 [3.0] R23.2 10009151 1A.9.0230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호르몬 변화나 폐경시작과 관련된 신체 윗부분의 갑작스런 열감각, 갑작스런 혈관확장, 땀과 발한." H00652301 H00652301 Focal seizure 초점발작 C0751495 [3.0] Focus "피질발작, 부분발작이라고도 한다. 대뇌피질이 있는 부위의 병소(초점)로 인해 부분적 발작증상이 생기는 것. 시간은 짧고, 회복도 빠른데 2차적으로 전환해서 대발작(전신경련)이 되는 수도 있다. 초점이 전중심회(운동령)부근에 있으면 운동성 초점발작(얼굴, 손 등의 부분적 경련), 후중심회(지각령) 부근에 있으면 지각성 초점발작(작열감, 마비강, 통증, 이상지각)이 생긴다. 지각성, 청각성, 비각성의 감각성 초점발작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652475 H00634032 Foetus 태아 C1305737 [3.0] 10007900 Client 대상자 H00652752 H00652766 Foley catheter 폴리카테터 C0179804 [3.0] Means an indwelling catheter retained in the bladder by a balloon inflated with air or liquid.[an indwelling catheter retained in the bladder by a balloon inflated with air or liquid.] H00652766 H00652766 Foley catheter 폴리도뇨관 C0179804 [3.0] Means an indwelling catheter retained in the bladder by a balloon inflated with air or liquid.[an indwelling catheter retained in the bladder by a balloon inflated with air or liquid.] H00654131 H00654145 Folliculitis 모낭염 C0016436 [3.0] Focus 모공에 화농균이 침입하여 작은 농포를 만드는 질환. 대개 표피 포도상 구균에 의함. H00654145 H00654145 Folliculitis 털집염 C0016436 [3.0] Focus 모공에 화농균이 침입하여 작은 농포를 만드는 질환. 대개 표피 포도상 구균에 의함. H00655621 H00655652 Fontanel 천문 [3.0] 1F.9.0001 Location "1) 신생아부터 유아기에 걸쳐 두골의 각 봉합 부위에 골질이 결여되어 결합조직만으로 덮여 있는 부분을 말한다. 대천문, 소천문, 전측두천문, 후측두천문이 있고 어느 시기가 되면 폐쇄된다.[두산백과]" "2) 갓난아이의 정수리가 굳지 않아서 숨 쉴 때마다 발딱발딱 뛰는 곳.[표준국어대사전]""" H00655635 H00655652 Fontanel 숫구멍 [3.0] 1F.9.0001 Location "1) 신생아부터 유아기에 걸쳐 두골의 각 봉합 부위에 골질이 결여되어 결합조직만으로 덮여 있는 부분을 말한다. 대천문, 소천문, 전측두천문, 후측두천문이 있고 어느 시기가 되면 폐쇄된다.[두산백과]" "2) 갓난아이의 정수리가 굳지 않아서 숨 쉴 때마다 발딱발딱 뛰는 곳.[표준국어대사전]""" H00655801 H00655801 Food 음식 C0016452 [3.0] 10008089 2C.01.13.02 Means 영양 H00655814 H00655801 Food 식품 C0016452 [3.0] 10008089 1A.9.0235 Means 영양 H00655845 H00655845 Food allergy 음식알레르기 C0016470 [3.0] 10008091 2B.02.02.01.04.01 Focus 알레르기: 민감한 음식에 접촉함으로써 생기는 면역 반응. H00656123 H00656123 Foot 발 C0016504 [3.0] 10008155 1F.05.06 Location 신체 부분 H00656351 H00656351 Foot care 발간호 C0150240 [3.0] S56.0 10042818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foot problems H00657305 H00657305 Foot drop 발처짐 C0085684 [3.0] 10008140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발의 족저 굴곡, 발바닥쪽으로의 발목관 절의 굴곡, 아래쪽으로 내려간 발바닥, 발끌림, 걸음시도시 바닥 닿기의 실패, 발을 끌면서 걷기, 부적당한 신체정렬 상태로 오랜기간동안의 침상안정, 무거운 침구로 인한 발의 압박으로 인해 발이 정상적으로 지탱하지 못하여 족배굴곡이 됨." H00657319 H00657305 Foot drop 족하수 C0085684 [3.0] 10008140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발의 족저 굴곡, 발바닥쪽으로의 발목관 절의 굴곡, 아래쪽으로 내려간 발바닥, 발끌림, 걸음시도시 바닥 닿기의 실패, 발을 끌면서 걷기, 부적당한 신체정렬 상태로 오랜기간동안의 침상안정, 무거운 침구로 인한 발의 압박으로 인해 발이 정상적으로 지탱하지 못하여 족배굴곡이 됨." H00657577 H00657581 Footling presentation 족위 [3.0] Location "하지가 신전해서 족부가 선진하는 것. 전족위(두발이 선진), 부전족위(한쪽 발만 선진)[간호학대사전]" H00657581 H00657581 Footling presentation 발태위 [3.0] Location "하지가 신전해서 족부가 선진하는 것. 전족위(두발이 선진), 부전족위(한쪽 발만 선진)[간호학대사전]" H00657899 H00657899 Force 힘 C0441722 [3.0] Focus 1) 사람이나 동물이 몸에 갖추고 있으면서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물건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 작용. 2) 일이나 활동에 도움이나 의지가 되는 것. 3)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역량. "4) 개인이나 단체를 통제하고 강제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는 세력이나 권력.[표준국어대사전]""" H00658325 H00658325 Forearm 아래팔 C0016536 [3.0] 10008164 2F.01.01.07.01 Location 신체 부분 H00658924 H00658924 Forehead 이마 C0016540 [3.0] 10008172 1F.05.07 Location 신체 부분 H00658938 H00658924 Forehead 전두 C0016540 [3.0] 10008172 1F.05.07 Location 신체 부분 H00659104 H00659118 Foreign body 이물질 C0016542 [3.0] 1A.9.0012 Focus "체외에서 체내로 들어가, 또는 체내에 발생해서 조직과 익숙해지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봉합사, 흡입한 먼지, 문신 등 체외에서 들어간 것과, 결석이나 콜레스테롤 또는 요산결정 등, 체내에 발생한 것이 있다. 이들 이물에 대해서 조직구가 반응해 육아종이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659118 H00659118 Foreign body 이물 C0016542 [3.0] 1A.9.0012 Focus "체외에서 체내로 들어가, 또는 체내에 발생해서 조직과 익숙해지지 않는 물질을 말한다. 봉합사, 흡입한 먼지, 문신 등 체외에서 들어간 것과, 결석이나 콜레스테롤 또는 요산결정 등, 체내에 발생한 것이 있다. 이들 이물에 대해서 조직구가 반응해 육아종이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0660735 H00660735 Foreign body sensation 이물감 C0423602 [3.0] Focus 몸 안에 딴 물질이 들어간 느낌.[표준국어대사전] H00661061 H00661075 Foremilk 초유 C0009413 [3.0] Focus 1) 산욕 제3일 무렵까지 분비되는 물처럼 투명~담황색 반투명이고 약간 점조(粘稠)한 유즙. 보통 4~5일로 백색 불투명의 성숙유로 이행한다. 초유는 보통 우유에 비해 단백질 염류가 풍부하고 영양가도 보통 우유의 2~3배가 된다. 또 지방구(脂肪球)틑 탐식한 백혈구(초유구)를 포함한다. 이 풍부하게 함유된 염분은 변통을 촉진하고 또 초유중의 분비형 IgA를 주로한 면역글로불린은 신생아의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수 행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2) 출산 전후 수일간 분비되는 엷은 황색의 젖같은 액체. 20% 이하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고 면역글로불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모체의 혈액 항체를 대표하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662601 H00662601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흡입산소농도 C0428167 [3.0] 1A.9.0237 Focus 흡입한 공기 중의 산소 비율.[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662775 H00662775 Fracture 파절 C0016658 [3.0] 10008210 1A.01.01.01.12.01.03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뼈의 외상성 상해, 뼈조직의 연속성 파괴와 관련된 신체 기관 일부분 움직임의 결여, 골절의 심각도는 뼈부위와 뼈구조, 골절의 성질과 관련됨." H00662789 H00662825 Fracture 골절 C0016658 [3.0] T14.2 10008210 1A.01.01.01.12.01.03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뼈의 외상성 상해, 뼈조직의 연속성 파괴와 관련된 신체 기관 일부분 움직임의 결여, 골절의 심각도는 뼈부위와 뼈구조, 골절의 성질과 관련됨." H00662792 H00662792 Fracture care 골절간호 C1160964 [3.0] A02.0 1004346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broken bones H00674258 H00674258 Frequency 빈도 C0871396 [3.0] 10008234 1D.9.0017 Time 지속적 | 간헐적 | 점진적 "상태: 주어긴 기간 내의 발생 횟수, 단위 시간당 반복 횟수." H00674566 H00674566 Fresh frozen plasma 신선 냉동 혈장 C0016709 [3.0] Means "플라스틱의 2중백 등에 채혈한 혈액을 6시간 이내에 고속원침하고 상청의 혈장을 분리백에 옮겨 -40℃ 냉동고에 넣어서 동결시킨 것으로 1년간 사용할 수 있다. 4℃ 보존에서는 곧 소모하는 혈장응고 제Ⅴ, 제Ⅷ인자 등이 반정도 보존되는 것에 특색이 있다. 사용시에는 37℃ 실온에서 해동수주(輸注)한다. 원래는 출혈경향이 있는 쇼크, 응고장애 등에 적응이 되는데 혈장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공급에 대해서 사용되고 그 사용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경향으로 공급증가가 요망된다.[간호학대사전]" H00675220 H00675233 Frontal lobe 전두엽 C0016733 [3.0] Location "외토(外套)로 중심구(中心溝)의 앞에 있는 부분을 말하며, 외토표면의 약1/3을 점한다. 중심구의 앞에 중심전구(中心前溝)가 있고, 양구(兩溝)의 사이에 낀 중심전회(中心前回)는 운동영역으로 된다. 중심전구(中心前溝)의 앞에서 전두극(前頭極)으로 향하는 상, 하의 전두구(前頭溝)가 상, 중, 하의 전두회(前頭回)를 구분한다. 인간에 있어서 이들의 뇌회(腦回) 발달은 특히 현저하다. 상, 중전두회의 후부는 전운동영역이다.[간호학대사전]" H00675233 H00675233 Frontal lobe 이마엽 C0016733 [3.0] Location "외토(外套)로 중심구(中心溝)의 앞에 있는 부분을 말하며, 외토표면의 약1/3을 점한다. 중심구의 앞에 중심전구(中心前溝)가 있고, 양구(兩溝)의 사이에 낀 중심전회(中心前回)는 운동영역으로 된다. 중심전구(中心前溝)의 앞에서 전두극(前頭極)으로 향하는 상, 하의 전두구(前頭溝)가 상, 중, 하의 전두회(前頭回)를 구분한다. 인간에 있어서 이들의 뇌회(腦回) 발달은 특히 현저하다. 상, 중전두회의 후부는 전운동영역이다.[간호학대사전]" H00675931 H00675931 Frostbite 동상 C0016736 [3.0] T33-T35 10008247 1A.01.01.01.10.03.06.02.06 Focus "외상성 상처: 장기간 추운 환경에 노출, 조직모세혈관의 혈전 화, 조직관류가 적은 부분(예를 들어 손가락)에 세포외액의 결빙에 의한 피부표면조직 안팎의 파괴와 손실; 노출의 기간과 흰 반점의 표면적 피부손상, 따끔거림, 끈적거림으로 판단되는 차 가움의 정도에 따라 단계를 구분; 1단계: 표층의 신경말단의 손 상으로 인한 심한 통증, 2단계: 내부 조직구조와 관련된 딱딱하 지만 움직이는 하얗게 언 피부를 보이는 조직의 심각한 손상, 감각손실, 신경손상으" H00676611 H00676625 Frustration 욕구좌절 C0016770 [3.0] 10008252 1A.01.01.02.01.01.05.16 Focus "부정적 감정: 외적 경계, 외적 지원의 부족에 의해서 개인의 바람을 성취하는 데 있어서 불만족하고 실망하는 감정; 타인의 저항 혹은 잘못되고 영예롭지 못한 바보스런 행동; 좌절감은 자기 자신 대신에 타인에게 향한다." H00676625 H00676625 Frustration 좌절 C0016770 [3.0] 10008252 1A.01.01.02.01.01.05.16 Focus "부정적 감정: 외적 경계, 외적 지원의 부족에 의해서 개인의 바람을 성취하는 데 있어서 불만족하고 실망하는 감정; 타인의 저항 혹은 잘못되고 영예롭지 못한 바보스런 행동; 좌절감은 자기 자신 대신에 타인에게 향한다." H00677452 H00677452 Fumigation 훈증 C0016804 [3.0] Means 熏蒸 약을 태우는 연기 또는 끓일 때 나오는 김을 몸에 쏘이는 외치법(外治法)의 한 가지이다. [표준한의학용어집] H00677614 H00677614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기능적요실금 C0150042 [3.0] T49.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Involuntary, unpredictable passage of urine" 불수의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요의 배설 H00677628 H00677628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deteriorated 기능적요실금 악화됨 [3.0] T49.1.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77631 H00677631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improved 기능적요실금 개선됨 [3.0] T49.1.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77645 H00677645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stabilized 기능적요실금 안정됨 [3.0] T49.1.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78571 H00678571 Funeral arrangements 장례준비 C1161057 [3.0] E14.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direct the preparation of measures for burial H00679704 H01293037 Funnel breast 누두흉 C0016842 [3.0] Q67.6 1A.9.0096 Focus "1) 흉골하부 및 늑연골 이후방으로 만곡하고 전흉부 하부가 이상하게 함몰한 것. 고도인 것에서는 심폐의 변위, 압박에 의한 순환, 호흡장애를 일으키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2) 앞가슴의 중앙부가 깔대기 모양으로 함몰되어 있는 것. 대부분 유전성으로 심한 경우에는 심장이나 허파에 장애를 일으킨다. 인구 300~400명의 신생아 중 1명이 이 질환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이 증상을 갖고 있는 사람은 마른체형이고 척추후만 등 자세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신생아기, 영아기 등 어려서부터 알게 되며, 기형적인 모습 때문에 학교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할 때 지장을 받을 수도 있다.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고, 상기도폐색-기관지연화증과 관련되어 생길 수도 있다. 보통의 경우 증상이 없지만, 심한 경우 심폐기능의 장애로 인해 운동할 때 숨이 차고, 반복되는 감기증상이 있을 수 있다. 승모판 탈출, 조기흥분증후군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3) 가슴이 선천적으로 과도하게 함몰된 기형을 말한다. 가슴뼈의 선천성 기형 중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일부 환자에서 가족력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가족력은 없다. 이러한 증상은 가슴 연골에 생긴 이상 때문에 발생한다. 가슴 연골이 가슴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가슴뼈 아래(보통 아래쪽 1/2이나 2/3)를 가슴 안쪽으로 함몰시킨다. 주로 대칭적으로 움푹하게 들어가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에서는 비대칭적으로 함몰되기도 한다. 주로 오른쪽이 더 함몰된다고 알려져 있다. 보통 출생 시부터 바로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서 점점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오목 가슴의 함몰된 기형으로 인해 심장을 누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성장하면서 폐의 용적도 감소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한 호흡 곤란 및 운동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679718 H01293037 Funnel chest 오목 가슴 C0016842 [3.0] Q67.6 1A.9.0096 Focus "1) 흉골하부 및 늑연골 이후방으로 만곡하고 전흉부 하부가 이상하게 함몰한 것. 고도인 것에서는 심폐의 변위, 압박에 의한 순환, 호흡장애를 일으키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2) 앞가슴의 중앙부가 깔대기 모양으로 함몰되어 있는 것. 대부분 유전성으로 심한 경우에는 심장이나 허파에 장애를 일으킨다. 인구 300~400명의 신생아 중 1명이 이 질환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이 증상을 갖고 있는 사람은 마른체형이고 척추후만 등 자세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신생아기, 영아기 등 어려서부터 알게 되며, 기형적인 모습 때문에 학교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할 때 지장을 받을 수도 있다.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고, 상기도폐색-기관지연화증과 관련되어 생길 수도 있다. 보통의 경우 증상이 없지만, 심한 경우 심폐기능의 장애로 인해 운동할 때 숨이 차고, 반복되는 감기증상이 있을 수 있다. 승모판 탈출, 조기흥분증후군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3) 가슴이 선천적으로 과도하게 함몰된 기형을 말한다. 가슴뼈의 선천성 기형 중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일부 환자에서 가족력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가족력은 없다. 이러한 증상은 가슴 연골에 생긴 이상 때문에 발생한다. 가슴 연골이 가슴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가슴뼈 아래(보통 아래쪽 1/2이나 2/3)를 가슴 안쪽으로 함몰시킨다. 주로 대칭적으로 움푹하게 들어가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에서는 비대칭적으로 함몰되기도 한다. 주로 오른쪽이 더 함몰된다고 알려져 있다. 보통 출생 시부터 바로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서 점점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오목 가슴의 함몰된 기형으로 인해 심장을 누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성장하면서 폐의 용적도 감소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한 호흡 곤란 및 운동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680060 H00194591 Furuncle 종기 C0242301 [3.0] L02 Focus 피부에 나는 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피부의 털구멍으로 화농성 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염증. H00682843 H00682843 Gag reflex 구역반사 C0016927 [3.0] 1A.9.0240 Focus "인두의 표재반사의 일종이고 인두후벽, 구개편도부, 설근부를 설압자 등으로 자극하면 구역질을 일으키는 반사이다. 구심로(求心路)는 삼차신경, 설인신경, 미주신경이고(주로 설인신경), 원심로는 미주신경이다. 이들 신경의 장애로 교액반사의 소실을 볼 수 있으므로 신경학적 검사로 사용된다. 또 이 반사가 심한 환자에게는 이비인후과적 일상검사에 표면마취제를 필요로 하는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0682891 H00682907 Gait 보행 C0016928 [3.0] 10020886 1A.01.01.02.02.01.01.08.09.02.S.002 Focus "움직임: 다리를 한걸음씩 움직임으로써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이동하는 것, 몸의 체중을 견디는 능력과 느린, 빠른, 보통의 다양한 속도로 위층, 아래층, 오르막길, 내리막 길을 효율적으로 걸음을 걷는 능력." H00682907 H00682907 Gait 걸음 C0016928 [3.0] 10020886 1A.01.01.02.02.01.01.08.09.02 Focus "움직임: 다리를 한걸음씩 움직임으로써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이동하는 것, 몸의 체중을 견디는 능력과 느린, 빠른, 보통의 다양한 속도로 위층, 아래층, 오르막길, 내리막 길을 효율적으로 걸음을 걷는 능력." H00682986 H00682986 Gait disturbance 보행장애 C0575081 [3.0] Focus 步行障礙 정상적인 걸음걸이가 불가능한 상태.[표준국어대사전] H00683023 H00683023 Gait training 보행훈련 C0085673 [3.0] Means "오래 누워있는 자, 마비성 질환등으로 보행장애가 있는 모든 사례에 행하여진다. 보행훈련에 앞서, 먼저 기립훈련(경사대를 이용해서 행하는 경우도 있다)부터, 이어서 평행봉, 보행차, 송엽장(松葉杖)에 의한 보행훈련을 하며, 마지막으로 혼자 걷는다. 장애 정도에 따라서는 도중을 생략해도 좋다. 또한 최종적으로 혼자 걷는 것이 불가능한 자도 있다. 목표는 안정성, 내구성, 스피드의 획득이다.[간호학대사전]" H00683409 H00683474 Galactorrhea 유루증 C3665358 [3.0] O92.6|N64.3 1A.9.0242 Focus 1) 유즙의 지나친 자연(自然)유출(流出). 수유(授乳)와 관계없이 유즙이 계속적으로 분비되는 것. 2) 임신 및 출산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즙이 분비되는 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683412 H00683474 Galactorrhea 젖분비과다 C3665358 [3.0] O92.6|N64.3 1A.9.0242 Focus 1) 유즙의 지나친 자연(自然)유출(流出). 수유(授乳)와 관계없이 유즙이 계속적으로 분비되는 것. 2) 임신 및 출산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즙이 분비되는 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683430 H00683474 Galactorrhea 젖흐름증 C3665358 [3.0] O92.6|N64.3 1A.9.0242 Focus 1) 유즙의 지나친 자연(自然)유출(流出). 수유(授乳)와 관계없이 유즙이 계속적으로 분비되는 것. 2) 임신 및 출산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즙이 분비되는 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684111 H00684107 Gallbladder 담낭 C0016976 [3.0] Location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 농축하는 주머니. " H00687122 H00687122 Gangrene 괴저 C0017086 [3.0] R02 Focus 상당히 많은 양의 조직이 죽은 부위를 이르는 말. 대개 혈류의 차단에 의해서 조직이 죽고 이 죽은 조직에 이차적으로 세균이 감염되어 있을 경우를 말함. H00687833 H00687833 Gargle 양치질 C1553214 [3.0] 2C.9.0118 Means "인후나 구강내를 청정하게 하거나, 소독하거나, 매끄럽게 할 목적으로 물이나 약액을 입안에 품고 잘 행구어서 내뱉는 것을 말한다. 스스로 이 행위를 할 수 있는 경우에만 한다. 함소증 액체를 삼키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0687928 H00687928 Gas exchange impairment 가스교환장애 C0150034 [3.0] L26.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진단(간호진단) Imbalance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transfer between lung and vascular system H00687931 H00687931 Gas exchange impairment deteriorated 가스교환장애 악화됨 [3.0] L26.3.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87945 H00687945 Gas exchange impairment improved 가스교환장애 개선됨 [3.0] L26.3.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87959 H00687959 Gas exchange impairment stabilized 가스교환장애 안정됨 [3.0] L26.3.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88451 H00688451 Gastric care 위간호 C1171195 [3.0] B62.0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changes in the stomach and intestines H00691751 H00691751 Gastrointestinal alteration 위장관장애 C0232459 [3.0] B04.0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stomach or intestines H00691765 H00691765 Gastrointestinal alteration deteriorated 위장관장애 악화됨 [3.0] B04.0.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91779 H00691779 Gastrointestinal alteration improved 위장관장애 개선됨 [3.0] B04.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91782 H00691782 Gastrointestinal alteration stabilized 위장관장애 안정됨 [3.0] B04.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692155 H00692169 Gastrointestinal tract 위장관 C1281182 [3.0] 2F.9.0011 Location 위장관계통을 통틀어 일컫는 말 H00692611 H00692611 Gastroptosis 위하수 C0156088 [3.0] K31.88 Focus 胃下垂 "정상적인 위의 아래끝은, 배꼽부위 또는 이보다 2∼3cm 아래에 있는데, 위하수는 X선 검사로 보면 섰을 때 위각부(胃角部)가 위의 운동과는 관계없이 배꼽 부위 아래로 처진 것을 말한다.[두산백과]" H00692625 H00692611 Gastroptosis 위처짐 C0156088 [3.0] K31.88 Focus 胃~ "정상적인 위의 아래끝은, 배꼽부위 또는 이보다 2∼3cm 아래에 있는데, 위하수는 X선 검사로 보면 섰을 때 위각부(胃角部)가 위의 운동과는 관계없이 배꼽 부위 아래로 처진 것을 말한다.[두산백과]" H00692737 H00692741 Gastroschisis 위벽파열 C0265706 [3.0] Q79.3 1A.9.0245 Focus "위벽파열(胃壁破裂). 제대(臍帶)부착부를 포함하지 않는 복벽의 선천적 파열, 보통은 소장과 대장의 일부 탈출을 수반한다." H00692741 H00692741 Gastroschisis 복벽파열증 C0265706 [3.0] Q79.3 1A.9.0245 Focus "위벽파열(胃壁破裂). 제대(臍帶)부착부를 포함하지 않는 복벽의 선천적 파열, 보통은 소장과 대장의 일부 탈출을 수반한다." H00692771 H00692741 Gastroschisis 배벽갈림증 C0265706 [3.0] Q79.3 1A.9.0245 Focus "위벽파열(胃壁破裂). 제대(臍帶)부착부를 포함하지 않는 복벽의 선천적 파열, 보통은 소장과 대장의 일부 탈출을 수반한다." H00693547 H00693551 Gauze 거즈 C0590323 [3.0] 2C.9.0071 Means "흔히 붕대로 사용하는, 가볍고 부드러운 무명베." H00693551 H00693551 Gauze 면망사 C0590323 [3.0] 2C.9.0071 Means "흔히 붕대로 사용하는, 가볍고 부드러운 무명베." H00693953 H01756900 Gemellary pregnancy 쌍둥이임신 [3.0] O30.0 1A.9.0058 Focus "두 개의 임란(妊卵)이 부인태내(婦人胎內)에 착상하고 있는 상태가 쌍태임신이다. 조산, 임신중독증을 일으키기 쉽다.[간호학대사전]" H00694262 H00694262 Gender role 성역할 C0017253 [3.0] 10008397 1A.01.01.02.02.02.02.04 Focus "개인 역할: 성별의 정체성에 따른 상호작용, 남녀의 적절한 또는 부적절한 역할 행위에 대하여 개인과 사회의 기대치가 내면화됨, 이러한 기대치가 행동과 가치관으로 표현됨." H00694293 H00694293 Gene 유전자 C0017337 [3.0] 2B.9.0023 Focus "유전의 생물학적 단위로, 자기 증식적이며 특정 염색체상의 결정된 장소, 즉 좌(座 : locus)에 위치하고 있다. 유전자의 개념은 현재도 진전되어가고 있다. 기능적 견지로서의 유전자는 구조유전자, 작동유전자 및 조절유전자로 생각되고, 다른 견지로는 cistron, muton 및 recon으로 생각하고 있다." H00694746 H00694746 General anesthesia 전신마취 C0002915 [3.0] Focus 일시적으로 중추 신경을 억제하여 온몸의 감각이나 의식을 마비시키는 일. 주로 외과 수술을 할 경우에 마취제를 써서 행함. H00695024 H00695024 General malaise 전신권태 C0231218 [3.0] 1A.9.0247.S.001 Focus general illness or unwellness; characteristic of spreading infection "[Illustrated Dictionary of Podiatry and Foot Science by Jean Mooney ⓒ 2009 Elsevier Limited. All rights reserved.]""" H00696031 H00696031 Generalized seizure 전신발작 C0234533 [3.0] Focus "피질 하에 중심부에서 시발되어 거의 동시에 좌우 대뇌반구로 퍼지는 것으로 추정 된다. 많은 경우 의식소실이 수반되며 운동발작증세가 양측으로 나타남. 소발작, 근간대성 발작등의 형태로 나타남." H00696044 H00696044 Generalized seizure 대발작 C0234533 [3.0] Focus "피질 하에 중심부에서 시발되어 거의 동시에 좌우 대뇌반구로 퍼지는 것으로 추정 된다. 많은 경우 의식소실이 수반되며 운동발작증세가 양측으로 나타남. 소발작, 근간대성 발작등의 형태로 나타남." H00697694 H00697694 Genitalia 생식기관 C0017420 [3.0] Location 생식에 관계된 모든 기관을 통칭하는 말. H00697700 H00697694 Genitalia 생식기 C0017420 [3.0] Location 생식에 관계된 모든 기관을 통칭하는 말. H00699297 H01521153 German measles 풍진 C0035920 [3.0] B06.9 Focus 風疹 "홍역과 유사한 발진과 전신 특히 두부ㆍ경부등의 림프절 종창이 나타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 발진은 2~3일로 소멸한다. 잘 발생하는 시기는 5~15세, 잠복기는 14~21일로 백혈구 감소, 림프구의 비교적인 증가, 형질세포의 증가가 나타나며,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분리에 의해 진단은 가능하다. 임신 3개월까지에 본 병에 걸리면 바이러스의 태반을 매개로 태아에 감염되어 선천성 백내장, 심질환,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紫斑病)등 각종 기형이 나타난다(15~50%)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0699767 H00699771 Gestational age 임신나이 C0017504 [3.0] 10037063 1A.9.0248.S.001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0699771 H00699771 Gestational age 임신주 수 C0017504 [3.0] 10037063 1A.9.0248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0699950 H00699771 Gestational period 임신기간 [3.0] 10037063 1A.9.0249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0701763 H00701763 Gingivitis 잇몸염 C0017574 [3.0] 10043308|10043312 Focus|DC 치은(잇몸)의 염증. H00701777 H00701763 Gingivitis 치은염 C0017574 [3.0] 10043308|10043312 Focus|DC 치은(잇몸)의 염증. H00702198 H00702198 Gland 샘 C1285092 [3.0] 10008456 1A.01.01.01.10.04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기관의 일반적 대사와 관련되지 않은 물질을 분비하고 배출하는 기관내의 비슷하게 특화된 세포들의 모임 H00702203 H00702198 Gland 선 C1285092 [3.0] 10008456 1A.01.01.01.10.04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기관의 일반적 대사와 관련되지 않은 물질을 분비하고 배출하는 기관내의 비슷하게 특화된 세포들의 모임 H00702606 H00702606 Glasgow coma scale 글래스고혼수척도 C0017594 [3.0] 2C.9.0072 Means "1) 자발적인 눈뜨기 반응, 언어반응, 운동반응의 세부분으로 측정되는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객관적인 측정도구이다. 2) GCS는 두부외상환자의 신경학적 평가를 정확하고도 간편하게 행하기 위해 Jannett 등이 발표한 기준이다. 개안, 통증자극으로 인한 사지의 반응 및 언어기능의 3대항목이 각각 4(4 : 자발적 개안, 3 : 부르는 소리에 개안, 2 : 통증자극시 개안 1 : 개안하지 않음, 6(6 : 자발적, 5 : 동통부위 인식가능, 4 : 도피굴곡가능, 3 : 이상굴곡반응, 2 : 사지진전반응, 1 : 전혀 움직이지 않음) 및 5(5 : 대화가 가능 4 : 회화혼란, 3 : 언어혼란, 2 : 이해할 수 없는 신음소리, 1 : 없음) 단계로 수치화되고 합계점수(만점 : 15)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가 있다. GCS는 환자의 예후판정에 유용하고 7이하는 예후불량이라는 보고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0702668 H00702668 Glasses 안경 C0015421 [3.0] 10008460 2C.01.07.10 Means 보조기구 H00702685 H00702685 Glaucoma 녹내장 C0017601 [3.0] H40-H42|H40 Focus 綠內障 안압의 상승으로 인해 시신경에 장애가 생겨 시야 결손 및 시력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 H00709989 H00709989 Glycerine enema 글리세린관장 [3.0] Means "50% 글리세린을 사용하는 배변관장을 말하는 것이다. 이 관장을 행함으로써 장벽을 자극해 연동(蠕動)을 일으켜 배변을 촉진하고 결장 및 직장을 청정하게 한다. 통상 성인의 경우 50% 글리세린 80~100㎖, 소아의 경우는 30~50㎖ 정도 주입된다.[간호학대사전]" H00716244 H00716244 Graft rejection 이식편거부반응 C0018129 [3.0] Focus "장기이식에 있어서 조직적합성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 장기가 이식되었을 때에 그것을 배제하려는 반응이다. 이 반응으로 이식된 장기는 괴사에 빠진다. 액성면역과 세포성면역이 관여하고 있으며 이식직후에 생기는 것, 수주에서 수개월후에 비교적 급성으로 생기는 것, 수년후에 서서히 생기는 것이 있다. 장기 이식시에는 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나 부신피질호르몬을 투여한다.[간호학대사전]" H00716289 H00716289 Graft versus host reaction 이식편대숙주반응 C0018134 [3.0] Focus 면역이란 자신의 것과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구분해서 자신의 것이 아닌 것을 공격하여 생물학적 활성을 없애거나 제거하는 것이다. 이 면역은 주로 혈액에 있는 세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특히 림프구는 이 면역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세포이다. 이식편대숙주반응이라는 것은 이식되어온 조직에 존재하는 타인의 혈구들이 숙주의 세포를 공격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식되어온 조직과 함께 들어온 혈구들이 이식을 받은 사람의 세포를 타인의 것으로 인지해서 공격하는 현상이다. 이것은 이식을 받은 사람의 면역상태가 정상적일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는데 왜냐하면 면역상태가 정상일 경우에는 이식되어온 장기와 더불어 들어온 타인의 혈구들을 이식을 받은 사람의 혈구가 타인의 것으로 인지해서 공격을 하고 숫적으로 유리하여 모두 죽일 수가 있기 때문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16651 H00716651 Grand mal seizure 대발작 C0494475 [3.0] Focus "피질 하에 중심부에서 시발되어 거의 동시에 좌우 대뇌반구로 퍼지는 것으로 추정 된다. 많은 경우 의식소실이 수반되며 운동발작증세가 양측으로 나타남. 소발작, 근간대성 발작등의 형태로 나타남." H00718446 H00718446 Grasp reflex 움켜잡기반사 C0234175 [3.0] 1A.9.0252 Focus "신생아의 손바닥을 검사자의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꽉 붙잡는 반응으로 원시 반사의 일종이다. 발바닥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데 손가락으로 자극하면 발가락을 앞으로 오므린다. 손바닥의 파악 반사는 생후 2~3개월 무렵 소실되고, 발바닥의 파악 반사는 8~9개월 무렵 소실되는 것이 정상이다.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H00718656 H01387134 Gravidity 임신 C0032961 [3.0] 10015421 1A.9.0254 Focus "생식기계 과정: 수정에서 출산까지 대략 266일동안 지속되는 신체내에서의 태아의 성장과 양육(영양공급)이 일어나는 상태; 임신은 정상적이고 건강한 상태이지만 신체기능의 빠르고 불가피한 변화가 관여됨 임신의 시작은 월경의 중단, 입덧, 유방의 확대, 유두의 착색으로 알 수 있음" H00718981 H00727399 Great toe 엄지발가락 [3.0] 2F.9.0012 Location 발가락 가운데 가장 크고 굵은 첫째 발가락 . H00719631 H00719631 Grieving 비통 C0018235 [3.0] E53.0 1A.01.01.02.01.01.05.1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Feeling of great sorrow 큰 비애감 H00719645 H00719645 Grieving deteriorated 비통 악화됨 [3.0] E53.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19659 H00719659 Grieving improved 비통 개선됨 [3.0] E53.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19662 H00719662 Grieving stabilized 비통 안정됨 [3.0] E53.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20243 H00720209 Group 집단 C0441833 [3.0] 10008544 1A.01.02 Client 대상자들의 집합체: 사회 단위나 공동체로서의 인간집단. 전체로서 그 집단에 의해 구성된 사회 단위는 그 집단의 부분을 이루는 개인들과 그들의 관계 이외에 어떤 것으로 여겨짐. H00720596 H00720596 Growth 성장 C0018270 [3.0] 10008563 1A.01.01.01.16.01 Focus "신체 과정: 개략적인 나이와 태아, 영아, 및 유아와 학령전기를 포함하는 초기 아동기, 첫 12개월과 사춘기 전후 성장이 가속 화되는 두 시기를 포함하는 중기 아동기와 사춘기와 같이, 성장발달단계에 따른 점진적이고 정상적인 발육과 동화과정의 결과로써 영아부터 성인까지의 뚜렷한 신체적 변화를 동반하는 정상적이고 점진적인 신체발달." H00720632 H00720632 Growth & development alteration 성장발달장애 C0150037 [3.0] U61.0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age-specific normal growth standards and/or developmental skills H00720646 H00720646 Growth & development alteration deteriorated 성장발달장애 악화됨 [3.0] U61.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20650 H00720650 Growth & development alteration improved 성장발달장애 개선됨 [3.0] U61.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20663 H00720663 Growth & development alteration stabilized 성장발달장애 안정됨 [3.0] U61.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20713 H00720713 Growth and development care 성장발달간호 C1272597 [3.0] U76.0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age-specific normal growth standards and/or development skills H00720792 H00720792 Growth delay 성장지연 C0456070 [3.0] 10034919 Focus 손상된 성장 H00721022 H00721022 Growth retardation 발육지연 C0151686 [3.0] 10034919 Focus 손상된 성장 H00721098 H00721098 Grunting 그렁거림 C0234892 [3.0] Focus 목 안에 가래 따위가 걸려 숨 쉴때 거치적 거리는 소리. H00721537 H00721537 Guideline 지침 C0162791 [3.0] 10008585 2C.02.09.01.02 Means 계획 H00721697 H00701147 Gum 치은 C0017562 [3.0] Location 치아목과 인접한 이틀뼈에 붙어서 이를 둘러싸고 있는 점막. H00722141 H00722137 Gunshot wound 총상 C0043252 [3.0] 10008619 Focus "외상성 상처: 총기발포로 인한 탄환이 들어간 상처, 나온 상처 및 지나간 상처로 구분됨. 들어간 상처는 총이 발사된 범위에 따라, 탄환에 의한 충격이나 화약에 의한 화상같이, 조직에 다양한 영향을 미침. 총알은 발사 범위, 탄피 각도와 신체 각도에 따라 신체를 뚫거나, 신체내에 박히거나, 피부표면에 상처를 입힐 수 있음." H00722316 H00722316 Gustatory alteration 미각장애 C0013378 [3.0] Q44.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diminished ability to taste H00722320 H00722320 Gustatory alteration deteriorated 미각장애 악화됨 [3.0] Q44.2.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22333 H00722333 Gustatory alteration improved 미각장애 개선됨 [3.0] Q44.2.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22347 H00722347 Gustatory alteration stabilized 미각장애 안정됨 [3.0] Q44.2.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26172 H00726172 Hair 털 C0018494 [3.0] 10008626 1A.01.01.01.10.05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머리털, 턱수염을 포함한 얼굴털, 체모와 같이 신체표면에서 자라는 가는 실 모양의 가닥; 각각의 털은 표피의 특화된 소포에서 형성된 뿌리와 대를 가진 각질의 미세섬유이다; 특히 머리털과 얼굴털의 건강과 기능은 탄성, 조직과 두께; 길이, 색, 청결을 포함한 외형, 털의 유무과 관련있다." H00727046 H00727050 Halitosis 입냄새 C0018520 [3.0] R19.6 Focus "구강에서 나오는 냄새는 원래 생리적인 것이다. 그러나 악취를 수반할 때 구취라고 할 때가 많다. 원인은 구강, 상기도, 호흡기, 식도, 위의 질환에 따른다. 구강 및 비인강(鼻咽腔)의 질환에 유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치주질환, 구내염, 구강암, 만성편도염, 인두염, 만성부비감염, 취비증(臭鼻症), 폐결핵, 폐괴저, 폐농양, 식도게실(食道憩室) 및 협착, 위염이나 위암 등에서 볼 수 있다. 정신 신체의학적인 원인에 따른 경우가 있다. 치료는 원질환의 치료, 구강청소, 방향제의 투여를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0727063 H00727050 Halitosis 구취 C0018520 [3.0] R19.6 Focus "구강에서 나오는 냄새는 원래 생리적인 것이다. 그러나 악취를 수반할 때 구취라고 할 때가 많다. 원인은 구강, 상기도, 호흡기, 식도, 위의 질환에 따른다. 구강 및 비인강(鼻咽腔)의 질환에 유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치주질환, 구내염, 구강암, 만성편도염, 인두염, 만성부비감염, 취비증(臭鼻症), 폐결핵, 폐괴저, 폐농양, 식도게실(食道憩室) 및 협착, 위염이나 위암 등에서 볼 수 있다. 정신 신체의학적인 원인에 따른 경우가 있다. 치료는 원질환의 치료, 구강청소, 방향제의 투여를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0727100 H00727192 Hallucination 환각 C0018524 [3.0] R44.3 10008635|10022500 1A.01.01.02.01.01.02.02.02 Focus|DC "손상된 지각: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감각자극에 대한 명백한 인지작용, 감각에 따라 청각적, 시각적, 후각적, 미각적, 촉각적 환각으로 분류됨" H00727385 H00727399 Hallux 족무지 C0018534 [3.0] 2F.9.0012 Location great toe. 엄지발가락. 무지(拇趾) H00727399 H00727399 Hallux 엄지발가락 C0018534 [3.0] 2F.9.0012 Location great toe. 엄지발가락. 무지(拇趾) H00728424 H00728424 Hand 손 C0018563 [3.0] 10008661 1F.07.02 Location 신체 부분 H00730740 H00730740 Hard palate 단단 입천장 C0226901 [3.0] Location 구개의 앞 부분으로서 골성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윗 부분은 비강 점막으로 아랫 부분은 점막성 골막으로 덮여 있음. H00730798 H00730740 Hard palate 경구개 C0226901 [3.0] Location 구개의 앞 부분으로서 골성 구조로 되어 있으며 윗 부분은 비강 점막으로 아랫 부분은 점막성 골막으로 덮여 있음. H00730932 H00314852 Hare lip 입술갈림증 C0008924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30946 H00314852 Harelip 입술갈림 C0008924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31725 H00731725 Head 머리 C0018670 [3.0] 10008688 1F.07.03 Location 신체 부분 H00731952 H00731952 Head circumference 머리둘레 C0262499 [3.0] 10035446 1A.9.0260 Focus 신체적 영역 H00732244 H00732244 Headache 두통 C0018681 [3.0] R51 1A.9.0261 Focus "보통 한쪽에 일어나며 박동성(拍動性)으로 심하게 아픈 편두통 migraine, 발작성으로 반복하여 일어나는 심한 통증의 군발두통(群發頭痛) cluster headache, 흔히 볼 수 있는 머리전체의 아픔, 그외 가벼운 것인 두부둔통(頭部鈍痛) 등이 있다. 발생부위나 원인에서 보면, 두피(頭皮)나 두골골막(頭骨骨膜)에서 일어나는 것, 측두근(側頭筋) 등의 근육 및 건(腱)에서 일어나는 것, 두부동맥의 연축(攣縮)에 의한 것, 혈관확장에 의한 것, 수막(髓膜)(경뇌막 등)의 자극에 의한 것, 신경성인 것 등(상부경수신경, 삼차신경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32258 H00732244 Headache 머리아픔 C0018681 [3.0] R51 1A.9.0261 Focus "보통 한쪽에 일어나며 박동성(拍動性)으로 심하게 아픈 편두통 migraine, 발작성으로 반복하여 일어나는 심한 통증의 군발두통(群發頭痛) cluster headache, 흔히 볼 수 있는 머리전체의 아픔, 그외 가벼운 것인 두부둔통(頭部鈍痛) 등이 있다. 발생부위나 원인에서 보면, 두피(頭皮)나 두골골막(頭骨骨膜)에서 일어나는 것, 측두근(側頭筋) 등의 근육 및 건(腱)에서 일어나는 것, 두부동맥의 연축(攣縮)에 의한 것, 혈관확장에 의한 것, 수막(髓膜)(경뇌막 등)의 자극에 의한 것, 신경성인 것 등(상부경수신경, 삼차신경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32356 H00732356 Healing 치유 [3.0] 10008707 1B.31 Focus 신체 과정: 건강한 상태로 회복되는 것. H00732360 H00732360 Health 건강 C0018684 [3.0] 10008711 2B.9.0024 Focus "상태: 단순히 질병이나 질환이 없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욕구를 만족시키고 최상의 신체적, 정신적, 영적, 사회적 안녕에 도달하기 위해 환경에 적응하고 대처하는 역동적인 과정." H00732391 H00732391 Health aide service 간호보조서비스 C3251804 [3.0] G21.1 10046166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care services by a health aide H00732410 H00732410 Health history 건강력 C0455458 [3.0] K31.1 2B.9.0027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ast illness and health status 과거 질병 및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0732423 H00732423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건강유지장애 C0150038 [3.0] G17.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ability to manage health-related needs H00732437 H00732437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deteriorated 건강유지장애 악화됨 [3.0] G17.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32441 H00732441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improved 건강유지장애 개선됨 [3.0] G17.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732454 H00732454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stabilized 건강유지장애 안정됨 [3.0] G17.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32499 H00732499 Health behavior component 건강행위요소 C0184497 [3.0] G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actions to sustain, maintain, or regain health." H00732549 H00732549 Health care 건강관리 C0086388 [3.0] 1A.9.0262 Focus "의료에 더하여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영향을 포함하는 관리." H00732759 H00732759 Health education 건강 교육 C0018701 [3.0] 2B.9.0026 Focus "1) Developing and providing instruc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to facilitate voluntary adaptation of behavior conducive to health in individuals, families, groups, or communities[NIC]" 2) 학교교육법에 의거해서 학습지도요령(유치원에서는 유치원 교육요령 대학에서는 대학설치기 준)에 따라 아동 학생 등의 건강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교육활동 보건학습과 보건지도로 나뉘어진다. (1) 보건학습은 보건에 필요한 지식의 이해 발달을 지향하는 것이다. 교과로서 국민학교에서는 체육과의 보건영역으로서 5 6학년에게 중학교에서는 보건체육과의 보건분야로서 고등학교에서는 보건체육과의 보건과목으로서 대학에서는 보건체육과목의 보건강의로서 교과서나 부교재을 이용 특별히 설치된 시간에 계획적 조직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는 이과 가정 등의 관련교과중에서도 행하여진다. (2) 보건지도는 보건에 필요한 지식의 실천능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물론 교육계획은 수립되어야만 하지만 일상 생활속에서 임기응변의 기회가 있을 때마다 행하여진다. 초ㆍ중학교에서는 학습지도요령에 「학교의 교육활동 전체를 통해서 적절하게 행하는 것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으나 초ㆍ중학교의 도덕시간이나 특별활동(아동학생활동 학교행사 학급지도) 고등학교의 각 교과이외의 교육활동(홈룸 학생회 활동 클럽활동 학교행사)등은 보건지도에 직접 간접으로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3) 건강관리와 함께 사람들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활동 " 사람들이 자진해서 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해 행동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즉 건강상 바람직한 방향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바꾸도록 하는 것인데 그 효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지식을 제공하여 태도를 바꾸고 행동을 바꾸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간호학대사전]""" H00733010 H00733010 Health policy 보건정책 C0018735 [3.0] 10008769 2B.9.0028 Focus 정책: 서면화된 광범위한 진술로 공공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부 의사결정 지침의 개요. H00733041 H00733041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 C0018738 [3.0] K31.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behaviors to enhance health state 건강상태를 증진하기 위한 행동을 격려하는 활동 H00733220 H00733202 Health status 건강상태 C0018759 [3.0] Focus The state of a subject's mental or physical condition.[NCI] H00733281 H00733281 Health-seeking behavior alteration 건강추구행위장애 C2364122 [3.0] G18.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actions needed to improve health state H00733295 H00733295 Health-seeking behavior alteration deteriorated 건강추구행위장애 악화됨 [3.0] G18.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33301 H00733301 Health-seeking behavior alteration improved 건강추구행위장애 개선됨 [3.0] G18.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733314 H00733314 Health-seeking behavior alteration stabilized 건강추구행위장애 안정됨 [3.0] G18.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33412 H00733412 Hearing 청각 C0018767 [3.0] 10008814 1A.01.01.01.13.13 Focus "감각 인지: 청각기관으로 오는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들을 수 있는 능력, 청력." H00733426 H00733426 Hearing aid care 보청기간호 C0567452 [3.0] Q49.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use of a hearing aid H00733474 H00733474 Hearing aid 보청기 C0018768 [3.0] 10008805 2C.01.07.14 Means 보조기구 H00733850 H00733863 Heart 심 C0018787 [3.0] 10008822 1F.07.04 Location 심혈관계 구성요소 H00733863 H00733863 Heart 심장 C0018787 [3.0] 10008822 1F.07.04 Location 심혈관계 구성요소 H00734463 H00248660 Heart murmur 심 잡음 C0018808 [3.0] R01.1 Focus 생리적 또는 병적인 청진음으로서 특히 심장 또는 혈관에 기인한 짧은 주기성의 소리. H00734513 H00734513 Heart rate 심박수 C0018810 [3.0] 10008833 2B.02.02.01.01.07 Focus 비율 H00734741 H00734754 Heartburn 가슴쓰림 C0018834 [3.0] R12 10043298 1A.9.0244 Focus 식도·위·십이지장 등 소화기관이 자극받았을 때 나타나는 증세.[두산백과] H00734754 H00734754 Heartburn 속쓰림 C0018834 [3.0] R12 10043298|10043280 1A.9.0244 Focus 식도·위·십이지장 등 소화기관이 자극받았을 때 나타나는 증세.[두산백과] H00734768 H00734754 Heartburn 명치쓰림 C0018834 [3.0] R12 10043298 1A.9.0244 Focus 식도·위·십이지장 등 소화기관이 자극받았을 때 나타나는 증세.[두산백과] H00734799 H00734920 Heat exhaustion 열 탈진 C0018839 [3.0] T67.5 10008851 1A.01.01.01.03.01.02 Focus "손상된 체온조절: 강한 열에 노출되었을때 내부 항온장치를 변화시키는 능력의 감소나 열에 대한 적응을 못하는 것, 쇠약, 현훈, 차가운 피부, 축축한 피부, 창백한 피부, 근육경련, 정상에 가까운 체온, 누운 자세에서 정상으로 돌아왔을때 낮은 혈압, 체액과 전해질의 상실과 허탈을 동반한 의식소실" H00735113 H00735113 Heat rash 열발진 C0162423 [3.0] 10008880 1A.01.01.01.10.01.03.02 Focus 발진: 꼭 끼고 두꺼운 옷을 입은 부위나 온기나 열에 노출된 부위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홍반의 피부발진. H00735208 H00734818 Heat stroke 열사병 C0018843 [3.0] T67.0 10008898 1A.01.01.01.03.01.03 Focus "손상된 체온조절: 햇빛이나 고온에 장시간 노출로 내부 항온장치 조절 실패, 발한 감소, 심하게 높은 체온, 빈맥, 뜨겁고 건조한 피부, 혼돈, 발작, 무의식과 허탈." H00735869 H00735855 Heel 발꿈치 C0018870 [3.0] 10008908 1F.07.05 Location 신체 부분 H00736049 H01615361 Height 키 C0489786 [3.0] 10008912 1A.9.0267 Focus 신체적 영역 H00736052 H00736052 Height 높이 C0489786 [3.0] 10008912 Focus 높은 정도.[표준국어대사전] H00736066 H00736066 Height of fundus 자궁바닥높이 [3.0] 1A.9.0268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0736070 H00736066 Height of fundus 자궁저고 [3.0] 1A.9.0268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0737248 H00745623 Hemafacient 조혈제 [3.0] Means "조혈장기에 작용하여 혈액형성, 특히 적혈구성분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철제, 엽산(葉酸), 비타민 B13 등의 빈혈치료체를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0737797 H00724938 Hematemesis 토혈 C0018926 [3.0] K92.0 1A.9.0272 Focus "토혈이란 소화관 내에서 대량의 출혈이 발생하여 피를 토하는 경우를 말하며, 십이지장 상부의 위장관 출혈을 암시하는 증상이다. 많은 경우가 위에서의 혈액 토출이며, 때로는 식도, 십이지장으로부터 토혈되는 경우도 있다." 토혈은 폐 기관지의 출혈을 객혈이라고 하여 토혈과 구분한다. 출혈 직후에 토하면 선명한 붉은 색을 띠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색이 진해지고 갈색이나 검정색을 띠기도 한다. 60mL 이상의 출혈이 있으면 흑색변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때는 변의 색이 검은 것뿐만 아니라 변이 풀어져서 흔히 자장면 소스 같은 양상을 보이게 된다. 출혈량이 500mL 이하인 경우에는 다른 전신적인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짧은 시간에 많은 출혈이 있으면 기립성 저혈압(갑자기 앉았다가 일어날 때 저혈압이 오는 것)을 동반할 수 있고 머리가 띵하고 어지럽거나 메스꺼움 식은땀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전체 혈액의 25% 이상의 출혈이 있으면 맥박이 빨라지고 혈압이 떨어지는 응급상황이 생길 수 있으며 " 이때 피부는 창백하고 차가워진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37802 H00724938 Hematemesis 혈액구토 C0018926 [3.0] K92.0 1A.9.0272 Focus "토혈이란 소화관 내에서 대량의 출혈이 발생하여 피를 토하는 경우를 말하며, 십이지장 상부의 위장관 출혈을 암시하는 증상이다. 많은 경우가 위에서의 혈액 토출이며, 때로는 식도, 십이지장으로부터 토혈되는 경우도 있다." 토혈은 폐 기관지의 출혈을 객혈이라고 하여 토혈과 구분한다. 출혈 직후에 토하면 선명한 붉은 색을 띠지만 시간이 경과하면 색이 진해지고 갈색이나 검정색을 띠기도 한다. 60mL 이상의 출혈이 있으면 흑색변을 동반하게 되는데 이때는 변의 색이 검은 것뿐만 아니라 변이 풀어져서 흔히 자장면 소스 같은 양상을 보이게 된다. 출혈량이 500mL 이하인 경우에는 다른 전신적인 증상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짧은 시간에 많은 출혈이 있으면 기립성 저혈압(갑자기 앉았다가 일어날 때 저혈압이 오는 것)을 동반할 수 있고 머리가 띵하고 어지럽거나 메스꺼움 식은땀 등이 동반되기도 한다. 전체 혈액의 25% 이상의 출혈이 있으면 맥박이 빨라지고 혈압이 떨어지는 응급상황이 생길 수 있으며 " 이때 피부는 창백하고 차가워진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37945 H00737945 Hematochezia 혈변배설 C0018932 [3.0] 1A.9.0273 Focus "1) 혈액성의 대변을 배출하는 것. 2) the passage of red blood through the rectum. The cause is usually bleeding in the colon or rectum, but it may result from the loss of blood higher in the digestive tract although blood passed from the stomach or small intestine generally loses its red coloration through enzymatic activity on the erythrocytes. Cancer, colitis, and ulcers are among causes of hematochezia.[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738576 H00724955 Hematoma 혈종 C0018944 [3.0] T14.0 10008931 1A.01.01.01.02.02.03.02 Focus "출혈: 외상 또는 수술 후 불완전한 지혈로 조직, 피부, 기관 내에 혈액이 모여서 축적된것, 덩어리가 만져지고, 만지면 아프고, 통증이 있는 진한 청-녹색 또는 노란색으로의 피부변색을 보임." H00738948 H00741815 Hematopoiesis 조혈 C0018951 [3.0] 1A.9.0276 Focus "일반적으로는 골수에 있어서의 혈액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생성을 의미하나, 림프조직에 있어서의 림프구의 생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조직에 있어서 혈액세포가 생성되는 경우 유약한 세포의 신생(新生)과, 그의 성숙, 조혈조직으로 부터의 유출(遊出) 등의 과정이 행하여지고 있고, 조혈이란 그의 모든 과정에 대하여 사용되지만, 특히 혈구의 신생에 한하는 경우도 있다. 조혈기능은 주로 적혈구계에 대하여 방사성 철을 사용한 검색이 행하여지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38979 H00745623 Hematopoietic 조혈제 C0229601 [3.0] Means "조혈장기에 작용하여 혈액형성, 특히 적혈구성분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철제, 엽산(葉酸), 비타민 B12 등의 빈혈치료체를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0739016 H00739020 Hematopoietic growth factor 조혈성장인자 C0079490 [3.0] Means "one of a group of proteins, including erythropoietin, interleukins, and colony-stimulating factors, that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blood cells.[one of a group of proteins, including erythropoietin, interleukins, and colony-stimulating factors, that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blood cells.]" H00739020 H00739020 Hematopoietic growth factor 혈액형성성장인자 C0079490 [3.0] Means "one of a group of proteins, including erythropoietin, interleukins, and colony-stimulating factors, that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blood cells.[one of a group of proteins, including erythropoietin, interleukins, and colony-stimulating factors, that promote the proliferation of blood cells.]" H00739386 H02768611 Hematuria 혈뇨 C0018965 [3.0] R31 1A.9.0274 Focus "요중에 혈액이 섞여 있는 것이다. 육안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을 육안적 혈뇨, 현미경검사로 알수 있는 것을 현미경적 혈뇨라 하고 배뇨의 초기만의 혈뇨는 요도로부터의 출혈이고, 배뇨종말시의 혈뇨는 방광경부(膀胱頸部), 방광삼각부로부터의 출혈이다. 원인이 되는 질환은 대단히 많고 사구체 신염, 혈액질환, 요로의 종양, 결석, 외상, 염증 등이 있는데 전혀 원인을 알수 없는 것도 있다. 심한 질환의 초기 증상인 경우가 많으므로 X-선 방광경검사 등으로 검사해야 한다.[간호학대사전]" H00739713 H00739713 Hemianopia 반맹 C0018979 [3.0] Focus "응시하고 있는 점을 경계로 하여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이 안 보이는 상태. ① 같은 쪽 반맹 : 두 눈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우측 반맹-좌측반맹이 있으며, 시삭에서 피질중추에 걸쳐 일어나는 장애 때문이다. 장애부위가 제1시중추까지라면 반맹성 동공강직 현상이 일어나고 그보다 앞쪽이면 동공반응에 이상이 없다는 것이 진단의 기준이 된다. ② 반대쪽반맹(교차반맹) : 두 눈 시야의 반대쪽이 안 보이는 것. 뇌하수체 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가장 많으며, 시신경교차가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바깥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귀쪽반맹이 일어나고, 아주 드물게 시각신경교차가 양쪽으로부터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안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코쪽반맹이 일어난다. ③ 4분의 1 반맹 : 두눈의 시야가 일치된 1/4의 부분이 안 보이는 것으로 매우 드물다. 원인은 모두 뇌종양-두개 외상으로 인한 시각신경로 또는 시중추의 장애 등이며, 치료는 원인이 되는 병을 먼저 치료하고, 시야 결손에서 비롯되는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경 또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맹용 안경을 사용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39727 H00739713 Hemianopia 편측시야결손 C0018979 [3.0] Focus "응시하고 있는 점을 경계로 하여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이 안 보이는 상태. ① 같은 쪽 반맹 : 두 눈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우측 반맹-좌측반맹이 있으며, 시삭에서 피질중추에 걸쳐 일어나는 장애 때문이다. 장애부위가 제1시중추까지라면 반맹성 동공강직 현상이 일어나고 그보다 앞쪽이면 동공반응에 이상이 없다는 것이 진단의 기준이 된다. ② 반대쪽반맹(교차반맹) : 두 눈 시야의 반대쪽이 안 보이는 것. 뇌하수체 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가장 많으며, 시신경교차가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바깥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귀쪽반맹이 일어나고, 아주 드물게 시각신경교차가 양쪽으로부터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안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코쪽반맹이 일어난다. ③ 4분의 1 반맹 : 두눈의 시야가 일치된 1/4의 부분이 안 보이는 것으로 매우 드물다. 원인은 모두 뇌종양-두개 외상으로 인한 시각신경로 또는 시중추의 장애 등이며, 치료는 원인이 되는 병을 먼저 치료하고, 시야 결손에서 비롯되는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경 또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맹용 안경을 사용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39731 H00739713 Hemianopsia 편측시야결손 C0018979 [3.0] Focus "응시하고 있는 점을 경계로 하여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이 안 보이는 상태. ① 같은 쪽 반맹 : 두 눈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우측 반맹-좌측반맹이 있으며, 시삭에서 피질중추에 걸쳐 일어나는 장애 때문이다. 장애부위가 제1시중추까지라면 반맹성 동공강직 현상이 일어나고 그보다 앞쪽이면 동공반응에 이상이 없다는 것이 진단의 기준이 된다. ② 반대쪽반맹(교차반맹) : 두 눈 시야의 반대쪽이 안 보이는 것. 뇌하수체 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가장 많으며, 시신경교차가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바깥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귀쪽반맹이 일어나고, 아주 드물게 시각신경교차가 양쪽으로부터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안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코쪽반맹이 일어난다. ③ 4분의 1 반맹 : 두눈의 시야가 일치된 1/4의 부분이 안 보이는 것으로 매우 드물다. 원인은 모두 뇌종양-두개 외상으로 인한 시각신경로 또는 시중추의 장애 등이며, 치료는 원인이 되는 병을 먼저 치료하고, 시야 결손에서 비롯되는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경 또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맹용 안경을 사용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39744 H00739713 Hemianopsia 반맹 C0018979 [3.0] Focus "응시하고 있는 점을 경계로 하여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이 안 보이는 상태. ① 같은 쪽 반맹 : 두 눈 시야의 오른쪽 반 또는 왼쪽 반에 결함이 있는 것으로 우측 반맹-좌측반맹이 있으며, 시삭에서 피질중추에 걸쳐 일어나는 장애 때문이다. 장애부위가 제1시중추까지라면 반맹성 동공강직 현상이 일어나고 그보다 앞쪽이면 동공반응에 이상이 없다는 것이 진단의 기준이 된다. ② 반대쪽반맹(교차반맹) : 두 눈 시야의 반대쪽이 안 보이는 것. 뇌하수체 종양이 원인인 경우가 가장 많으며, 시신경교차가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바깥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귀쪽반맹이 일어나고, 아주 드물게 시각신경교차가 양쪽으로부터 압박을 받으면 두 눈의 안쪽 시야가 안 보이는 양코쪽반맹이 일어난다. ③ 4분의 1 반맹 : 두눈의 시야가 일치된 1/4의 부분이 안 보이는 것으로 매우 드물다. 원인은 모두 뇌종양-두개 외상으로 인한 시각신경로 또는 시중추의 장애 등이며, 치료는 원인이 되는 병을 먼저 치료하고, 시야 결손에서 비롯되는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반사경 또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고안한 반맹용 안경을 사용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40701 H00740907 Hemiparalysis 반신마비 C0018991 [3.0] G81.9 Focus 몸의 어느 한쪽이 마비된 상태. 얼굴의 반쪽과 같은 쪽 팔 ·다리 모두에 운동마비가 일어난 상태를 말함. H00740714 H00740907 Hemiparalysis 편마비 C0018991 [3.0] G81.9 Focus 몸의 어느 한쪽이 마비된 상태. 얼굴의 반쪽과 같은 쪽 팔 ·다리 모두에 운동마비가 일어난 상태를 말함. H00740874 H00740907 Hemiplegia 반신마비 C0018991 [3.0] G81.9 Focus 몸의 어느 한쪽이 마비된 상태. 얼굴의 반쪽과 같은 쪽 팔 ·다리 모두에 운동마비가 일어난 상태를 말함. H00740888 H00740907 Hemiplegia 반마비 C0018991 [3.0] G81.9 Focus 몸의 어느 한쪽이 마비된 상태. 얼굴의 반쪽과 같은 쪽 팔 ·다리 모두에 운동마비가 일어난 상태를 말함. H00740907 H00740907 Hemiplegia 편마비 C0018991 [3.0] G81 Focus 몸의 어느 한쪽이 마비된 상태. 얼굴의 반쪽과 같은 쪽 팔 ·다리 모두에 운동마비가 일어난 상태를 말함. H00741877 H00741877 Hemodialysis 혈액투석 C0019004 [3.0] 39.95 10008949 Means 투석기법 H00741881 H00741881 Hemodialysis care 혈액투석간호 C1555981 [3.0] T59.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mechanical removal of waste products from the blood H00741989 H00741989 Hemodynamic care 혈류역학간호 C3251803 [3.0] F79.0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movement of solutions through the blood H00744634 H00741622 Hemolysis 용혈 C0019054 [3.0] 1A.9.0275 Focus "1) 헤모글로빈이 적혈구에서 유리하여 혈장중에 나타나는 것. 용혈소, 어떤 화학물질, 동결, 열처리 혹은 증류수로 희석하는 것에 의하여 적혈구는 용혈된다. 2) 혈액 속의 적혈구만이 어떤 원인에 의하여 파괴되어 안에 있는 혈색소가 유출되는 현상. 적혈구가 깨지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다. 생리식염수 등으로 부유시킨 적혈구가 전부 녹으면 불투명하고 흰빛이 도는 적색을 띤 부유액은 붉은 잉크 모양의 투명한 액이 되어 육안으로도 잘 볼 수 있지만 용액의 정도가 50~60% 이하일 때는 그대로는 알기 어렵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45332 H00745332 Hemophilia 혈우병 C0684275 [3.0] Focus 血友病 "혈액응고인자 가운데 제Ⅶ인자 또는 제Ⅸ인자가 결핍된 선천성 출혈성 질환. 제Ⅷ인자결핍증을 혈우병A, 제Ⅸ인자 결핍증을 혈우병 B라부르고 발생빈도는 A4 : B1 이다. 유전형식은 반성열성(伴性劣性) 유전자이고 여성의 발병은 극히 드물다. 출혈은 심부조직에 많이 나타나고, 장요근(腸腰筋), 후복막강에 큰 혈종을 형성해, 관절강내에 반복출혈해서 통증, 변형을 가져온다. 검사 소견은 응고시간은 연장되어 있으며, 출혈시간은 정상이다. 치료는 신선혈(A) 또는 보존혈(B) 수혈, 또는 각 인자의 농축제제를 정맥주입한다.[간호학대사전]" H00745591 H00741815 Hemopoiesis 혈구형성 C0018951 [3.0] 1A.9.0276 Focus "일반적으로는 골수에 있어서의 혈액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생성을 의미하나, 림프조직에 있어서의 림프구의 생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조직에 있어서 혈액세포가 생성되는 경우 유약한 세포의 신생(新生)과, 그의 성숙, 조혈조직으로 부터의 유출(遊出) 등의 과정이 행하여지고 있고, 조혈이란 그의 모든 과정에 대하여 사용되지만, 특히 혈구의 신생에 한하는 경우도 있다. 조혈기능은 주로 적혈구계에 대하여 방사성 철을 사용한 검색이 행하여지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45623 H00745623 Hemopoietic 조혈제 [3.0] Means "조혈장기에 작용하여 혈액형성, 특히 적혈구성분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철제, 엽산(葉酸), 비타민 B14 등의 빈혈치료체를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0745766 H00725846 Hemoptysis 객혈 C0019079 [3.0] R04.2 Focus "1) 기관지, 폐로부터의 출혈이 비교적 소량이고 객담에 섞여있는 경우, 혈담이라하고 비교적 다량일 때는 객혈이라고 한다. 해소를 수반해, 선혈색, 포말상이며 토혈과 구별되어야 한다. 호흡기 질환에 따른 것은 염증성(결핵, 기관지 확장증, 폐렴), 종양, 폐경색, 기생충에 따른다. 그 밖에 출혈경향, 굿파스튜어 증후군, 베게너육아종증, 승모판막증 등에 따른다. 객혈이 많을 때에는 죠크나 흡인에 의해 질식에 이른다.[간호학대사전]" 2) 기도에서의 출혈이 원인이 되어 입으로 혈액을 토하는 일. 넓은 의미로는 혈액이 섞인 가래를 뱉는 일도 포함된다. 식도의 정맥자루 파열이나 위창자관으로부터의 출혈로 토혈하는 것과 구별된다. 구강이나 상기도에서의 출혈에는 풍치 혈액질병 등에 의한 잇몸출혈 코피의 역류 후두결핵-편도염-인두염-폴립-암 등이 있다. 하기도나 폐에서의 출혈이 객혈-가래 중에 가장 많고 중요하다. 예전에는 객혈이라면 곧 폐결핵을 생각하였으나 지금은 그 밖에도 폐암-기관지확장증-허파고름집-허파경색의 경우가 있고 만성기관지염-폐렴-선천성낭포-심장혈관계장애-세로칸종양 등도 의심할 수 있다. 폐결핵일 때 출혈은 객혈과 혈담의 빈도비가 6:4이고 객혈에 의한 위험은 질식사와 흡인폐렴이다. 폐암의 경우는 혈담이 초기증세인 경우가 있고 이것이 수주에서 수개월 지속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객혈은 혈담의 약 반밖에 볼 수 없고 대량인 것도 많지 않다. 여러 가지 임상통계에 의하면 객혈이나 혈담이 나오는 질병 중에서는 기관지확장증이 가장 빈도가 높다. 객혈을 했을 때는 우선 안정을 취하고 가슴에 얼음찜질을 하며 " 의사의 지시를 받아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45797 H00725850 Hemorrhage 출혈 C0019080 [3.0] R58 10008954 1A.01.01.01.02.02.03.01 Focus "출혈: 내, 외적 동맥, 정맥 또는 모세혈관 출혈로 단기간에 다량의 혈액을 손실하는 것." H00746691 H01339006 Hemorrhoid 치핵 C0019112 [3.0] K64 1A.9.0277 Focus "1) 항문부의 만상정맥총(蔓狀靜脈叢)의 울체(鬱蔕), 확장으로 인하여 생기는 정맥류(靜脈瘤)를 치핵이라고 한다. 항문의 점막피부 경계부의 상부 즉 직장측점막하에 생긴 경우를 내치핵이라 한다. 또 하부, 즉 중층편평상피하에 생긴 경우를 외치핵이라 한다. 배변시나 복압이 상승하였을때 항문밖으로 돌출하여 항문괄약근으로 조여(紋扼)져서 순환장애 때문에 심한 통증을 가져온다. 또 자극으로 인해서 썩어서, 출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환부를 청결히 하고 변비가 되는 것을 피하고, 음주, 자극식품을 섭취하지 않고, 좌약 등으로 보존적으로 치료를 하는데 개선되지 않는 경우는 수술에 의한 치료가 필요해진다.[간호학대사전] 2) 항문의 병터 중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서 전 인구의 약 5% 가량에서 볼 수 있으며, 항문 및 항문주위 정맥얼기가 정맥자루처럼 확장된 것이다. 곧창자점막으로 된 것을 속치질, 편형상피세포로 덮여 있는 것을 외치질이라고 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는 곧창자 하단-항문-항문 주위조직에 생기는 병. 치질에는 여러 가지의 병태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도 정상인의 항문 주위에 있는 정맥얼기에 기인하는 치질과 항문곧창자 말단에 일어나는 화농성 병으로 인한 항문주위염-항문고름집-치질샛길이 가장 많다. 그 밖에 항문의 찢김, 치질의 탈출에 의한 탈항 등도 넓은 의미에서 치질에 포함된다. 치질은 한국이나 일본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인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섬유성 식품을 다량으로 섭취하므로 배변량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배변체위(자세)의 부적당한 점도 치질을 한층 더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항문 주위 염증이 치질의 2~5배로 화농성 병이 훨씬 많았으나 항생제가 보급된이래 급격히 감소되어 현재는 그 비율이 역전되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46707 H01339006 Hemorrhoid 치질 C0019112 [3.0] K64 1A.9.0277 Focus "1) 항문부의 만상정맥총(蔓狀靜脈叢)의 울체(鬱蔕), 확장으로 인하여 생기는 정맥류(靜脈瘤)를 치핵이라고 한다. 항문의 점막피부 경계부의 상부 즉 직장측점막하에 생긴 경우를 내치핵이라 한다. 또 하부, 즉 중층편평상피하에 생긴 경우를 외치핵이라 한다. 배변시나 복압이 상승하였을때 항문밖으로 돌출하여 항문괄약근으로 조여(紋扼)져서 순환장애 때문에 심한 통증을 가져온다. 또 자극으로 인해서 썩어서, 출혈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환부를 청결히 하고 변비가 되는 것을 피하고, 음주, 자극식품을 섭취하지 않고, 좌약 등으로 보존적으로 치료를 하는데 개선되지 않는 경우는 수술에 의한 치료가 필요해진다.[간호학대사전] 2) 항문의 병터 중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병으로서 전 인구의 약 5% 가량에서 볼 수 있으며, 항문 및 항문주위 정맥얼기가 정맥자루처럼 확장된 것이다. 곧창자점막으로 된 것을 속치질, 편형상피세포로 덮여 있는 것을 외치질이라고 한다. 그러나 넓은 의미로는 곧창자 하단-항문-항문 주위조직에 생기는 병. 치질에는 여러 가지의 병태가 포함되며, 그 중에서도 정상인의 항문 주위에 있는 정맥얼기에 기인하는 치질과 항문곧창자 말단에 일어나는 화농성 병으로 인한 항문주위염-항문고름집-치질샛길이 가장 많다. 그 밖에 항문의 찢김, 치질의 탈출에 의한 탈항 등도 넓은 의미에서 치질에 포함된다. 치질은 한국이나 일본을 비롯하여 동남아시아인들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섬유성 식품을 다량으로 섭취하므로 배변량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배변체위(자세)의 부적당한 점도 치질을 한층 더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제2차 세계대전 전에는 항문 주위 염증이 치질의 2~5배로 화농성 병이 훨씬 많았으나 항생제가 보급된이래 급격히 감소되어 현재는 그 비율이 역전되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47033 H00747033 Hemostasis 지혈 C0019116 [3.0] Focus 피가 흘러나오다 멈춤. H00747078 H00747078 Hemostatic 지혈제 C0019120 [3.0] 10008983 Means 약품 H00748263 H00748250 Hepatic coma 간성 혼수 C0019147 [3.0] Focus "간기능부전시에 볼수 있는 중증의 징후이고 간경변, 중증간염등에서 보게 된다. 흥분상태, 성격변화등, 가벼운 것(1도)에 기면경향, 야간 불면, 이상행동(2도), 간단한 응답을 할 수 있는 경미한 혼수(3도), 혼수(4도), 전혀 반응이 없는 깊은 혼수(5)로 나뉘어진다. 뇌파의 이상, 암모니아의 상승 등이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0754397 H00754397 Heredity 유전 C0019266 [3.0] 10034510 Focus 과정: 조상에서 후손으로 특성의 유전 전송 H00757655 H00757655 Herpes zoster 대상포진 C0019360 [3.0] Focus 帶狀疱疹 "헤르페스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질환, 집합성의 작은 수포(水疱)를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염증성 피부질환." H00758319 H00758322 Hesitancy 배뇨지연 C0152032 [3.0] 1A.9.0278 Focus "1) 배뇨시에 오줌줄기를 처음내기가 어렵거나 혹은 불수의적으로 느린 것. 2) 소변을 보려고 시도한 후 실제 소변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현상을 배뇨지연이라고 하는데, 전립선 비대증이나 요도 협착에 의한 하부 요로 폐색 증상의 하나이다. 전립선 비대가 진행되면 후부 요도나 방광 경부가 눌리게 되고 전립선을 지배하는 신경의 긴장도가 높아지게 되어 배뇨 시 요도의 저항이 커지는데, 이러한 저항을 극복하려고 배뇨 근육이 보다 강하게 수축하면서 실제 소변이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요로 폐색이 심할수록 지연시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이 증상은 폐색의 비교적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이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58322 H00758322 Hesitancy 소변주저 C0152032 [3.0] 1A.9.0278 Focus "1) 배뇨시에 오줌줄기를 처음내기가 어렵거나 혹은 불수의적으로 느린 것. 2) 소변을 보려고 시도한 후 실제 소변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현상을 배뇨지연이라고 하는데, 전립선 비대증이나 요도 협착에 의한 하부 요로 폐색 증상의 하나이다. 전립선 비대가 진행되면 후부 요도나 방광 경부가 눌리게 되고 전립선을 지배하는 신경의 긴장도가 높아지게 되어 배뇨 시 요도의 저항이 커지는데, 이러한 저항을 극복하려고 배뇨 근육이 보다 강하게 수축하면서 실제 소변이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것이다. 요로 폐색이 심할수록 지연시간이 더 길어지게 된다. 이 증상은 폐색의 비교적 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의 하나이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61086 H00761086 Hiccough 딸꾹질 C0019521 [3.0] R06.6 1A.9.0001 Focus 불수의성(不隨意性)의 횡격막수축에 의하여 숨을 쉬고자 하나 갑자기 성문(聲門)이 닫혀 특징적인 소리를 내는 것. H00761090 H00761086 Hiccup 딸꾹질 C0019521 [3.0] R06.6 1A.9.0279 Focus 불수의성(不隨意性)의 횡격막수축에 의하여 숨을 쉬고자 하나 갑자기 성문(聲門)이 닫혀 특징적인 소리를 내는 것. H00761105 H00761105 Hickman catheter 히크만 카테터 C0179762 [3.0] 2C.9.0078 Means "약물 주입 및 채혈을 위해 정맥에 삽입하는 관. 정맥을 통하여 중심정맥에 삽입하는 중심정맥카테터(central venous catheter)의 일종이다. 혈관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항암치료 등 반복해서 정맥주사가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하다. 항암제는 물론 항생제와 혈액성분 주사, 종합비경구 영양법, 혈액채취 등에도 쓸 수 있어 의료시술 행위 전반에 큰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이다. 쇄골하정맥을 통하여 삽입하는데, 대개 국소마취 상태에서 외과의사에 의해 시술된다. 인체와 외부를 연결시키므로 삽입 부위를 항상 소독해야 하고, 헤파린용액을 주입하여 통로가 막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삽입 부위가 빨개지거나 부으면서 아프고 냄새가 나며 분비물이 있을 때, 38도 이상의 열이 날 때, 카테터가 새거나 액체가 흘러나올 때 또는 막혔을 때, 데이크론 커프스(dacron cuffs)가 피부 밖으로 나왔을 때는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교체해야 한다.[두산백과]" H00764022 H00764036 Hip joint 고관절 C0019558 [3.0] 10009024 Location 관절 H00764604 H02509782 Hirsutism 남성형다모증 C0019572 [3.0] L68.0 Focus "여성이나 아동에서 남성과 같은 분포의 모발이 증가하는 것. 남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한 윗입술, 턱, 앞가슴, 유방, 하복부, 사타구니 등에 모발이 증가하며, 대머리, 남성체형, 목소리의 남성화, 무월경 의 남성화 징후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 특별한 외적 원인이나 내분비계의 이상이 없이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다모증이 대부분이며 사춘기, 임신, 폐경기 등의 생리적 상태나 내분비계의 이상을 일으키는 병과 고환, 난소의 종양같이 남성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에서도 관" H00764618 H02509782 Hirsutism 남성형털과다증 C0019572 [3.0] L68.0 Focus "여성이나 아동에서 남성과 같은 분포의 모발이 증가하는 것. 남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한 윗입술, 턱, 앞가슴, 유방, 하복부, 사타구니 등에 모발이 증가하며, 대머리, 남성체형, 목소리의 남성화, 무월경 의 남성화 징후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 특별한 외적 원인이나 내분비계의 이상이 없이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다모증이 대부분이며 사춘기, 임신, 폐경기 등의 생리적 상태나 내분비계의 이상을 일으키는 병과 고환, 난소의 종양같이 남성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에서도 관" H00766810 H00766810 History 병력 C0262926 [3.0] 1A.9.0034 Focus "1) 병력. 환자와 그 가족, 과거의 환경, 체험 등에 관한 자료로서 환자 자신 또는 타인에 의하여 관찰한 모든 이상한 감각,기분,행동을 포함한 모든 치료,처치 등이 기재된다. " 2) 넓은 뜻으로 단순히 병력 anamnesis(Anamnese) 즉 진찰시까지의 환자의 모든 경과 즉 문진에 의해서 청취된 가족력 family history 출생지나 출생상황 어릴적의 건강상태 직업력 결혼력 임신 월경 과거의 질환 현 병력(발병 경과 즉 onset and course of the present illness)을 말한다. 좁은 뜻으로는 과거(병)력의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출생상황 모체의 임신합병증 (2) 유아기의 발육상황 질환 예방접종 (3) 결혼력 여성의 경우 월경 임신력 (4) 생활력 직업 생활 및 직업의 환경 식생활 기호품 (5) 현증상발병 이전에 경험한 질환 외상 (6) 상용약.[간호학대사전] "3) Action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ast illness and health status[CCC]""" H00767275 H01786234 Hives 두드러기 C0042109 [3.0] L50.9 1A.9.0589 Focus "평탄하거나 다소 팽융(膨隆)된 발진(發疹)을 일시적으로 나타내는 피부의 혈관성반응, 주위조직보다 붉은 듯하거나 창백함을 띠며, 때때로 심한 가려움을 가져오고, 발진은 2일이상 길게 계속되는 일은 드물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기도 한다. 어떤 종류의 식물(굴,조개 등), 약물(페니실린 등), 감염, 감정적 stress가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H00767289 H00767308 Hoarseness 쉰소리 C0019825 [3.0] R49.0 1A.9.0283.S.001 Focus "1) 음성장애 중에서 음질의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조잡한 목소리에 대한 총칭. 아주 가벼운 것에서 전혀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실성(失聲)에 이른 것도 있어, 그들리는 소리의 정도에 따라 기식음(氣息音), 건성 쉰목소리, 습성쉰목소리, 조잡성쉰목소리로 나눈다. 원인으로서 염증, 종양이나 외상등의 후두병변(喉頭病變), 특히 성대의 병변, 후두근마비, 등의 신경장애와 발성기의 과로 등을 들 수 있다. 치료는 원인을 잘 알아보아 이에 대한 처치를 한다.[간호학대사전] 2) 목소리의 변화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목소리가 쉰다, 목소리가 안 나온다, 목소리가 잠긴다, 목소리가 거칠어졌다, 높은 음을 내기가 힘들다, 오래 목소리를 쓰면 쉽게 잠긴다, 목소리가 떨린다 등의 표현이 대표적이다. 대개의 경우는 감기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속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질병에 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후두 검사를 포함하여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67292 H00767308 Hoarseness 쉰 목소리 C0019825 [3.0] R49.0 1A.9.0283.S.001 Focus "1) 음성장애 중에서 음질의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조잡한 목소리에 대한 총칭. 아주 가벼운 것에서 전혀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실성(失聲)에 이른 것도 있어, 그들리는 소리의 정도에 따라 기식음(氣息音), 건성 쉰목소리, 습성쉰목소리, 조잡성쉰목소리로 나눈다. 원인으로서 염증, 종양이나 외상등의 후두병변(喉頭病變), 특히 성대의 병변, 후두근마비, 등의 신경장애와 발성기의 과로 등을 들 수 있다. 치료는 원인을 잘 알아보아 이에 대한 처치를 한다.[간호학대사전] 2) 목소리의 변화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목소리가 쉰다, 목소리가 안 나온다, 목소리가 잠긴다, 목소리가 거칠어졌다, 높은 음을 내기가 힘들다, 오래 목소리를 쓰면 쉽게 잠긴다, 목소리가 떨린다 등의 표현이 대표적이다. 대개의 경우는 감기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속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질병에 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후두 검사를 포함하여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68233 H00768233 Home maintenance alteration 가정유지장애 C1998991 [3.0] G19.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Inability to sustain a safe, healthy environment" H00768247 H00768247 Home maintenance alteration deteriorated 가정유지장애 악화됨 [3.0] G19.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68251 H00768251 Home maintenance alteration improved 가정유지장애 개선됨 [3.0] G19.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0768264 H00768264 Home maintenance alteration stabilized 가정유지장애 안정됨 [3.0] G19.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68278 H00768278 Home situation analysis 가정상태분석 C0579118 [3.0] M39.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nalyze the living environment H00768281 H00768295 Home care 가정요법 [3.0] 1A.9.0285 Focus 좁은 뜻으로는 비전문적인 가족구성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환자의 간호를 가리킨다. 제2차 세계대전후 병원의 발전과 더불어 입원기능이 중요시되면서 간호도 그 주류가 전통적인 가정간호에서 임상간호(병원간호)로 옮겨졌다. 현재 질병구조의 변화(만성질환의 증가)나 의료비의 증가에 수반해서 재택의료가 재검토되고 가정간호의 필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다. 핵가족화 추세에 따라서 전통적인 가정간호의 지식이나 기술이 뒤떨어져 있기 때문에 새롭게 전문직요원에 의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가족에 대한 간호지식과 기술 지도는 방문간호의 기능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68295 H00768295 Home care 가정간호 [3.0] 1A.9.0285.S.001 Focus 좁은 뜻으로는 비전문적인 가족구성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환자의 간호를 가리킨다. 제2차 세계대전후 병원의 발전과 더불어 입원기능이 중요시되면서 간호도 그 주류가 전통적인 가정간호에서 임상간호(병원간호)로 옮겨졌다. 현재 질병구조의 변화(만성질환의 증가)나 의료비의 증가에 수반해서 재택의료가 재검토되고 가정간호의 필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다. 핵가족화 추세에 따라서 전통적인 가정간호의 지식이나 기술이 뒤떨어져 있기 때문에 새롭게 전문직요원에 의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가족에 대한 간호지식과 기술 지도는 방문간호의 기능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68301 H00768295 Home care 가정치료 [3.0] 1A.9.0285.S.001 Focus 좁은 뜻으로는 비전문적인 가족구성원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환자의 간호를 가리킨다. 제2차 세계대전후 병원의 발전과 더불어 입원기능이 중요시되면서 간호도 그 주류가 전통적인 가정간호에서 임상간호(병원간호)로 옮겨졌다. 현재 질병구조의 변화(만성질환의 증가)나 의료비의 증가에 수반해서 재택의료가 재검토되고 가정간호의 필요성이 재인식되고 있다. 핵가족화 추세에 따라서 전통적인 가정간호의 지식이나 기술이 뒤떨어져 있기 때문에 새롭게 전문직요원에 의한 지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가족에 대한 간호지식과 기술 지도는 방문간호의 기능의 하나로서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71002 H00771002 Hopelessness 절망감 C0150041 [3.0] P42.1 10009105|1000074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Feeling of despair or futility and passive involvement "자포자기, 쓸모없음, 수동적인 포기의 느낌" H00771016 H00771016 Hopelessness deteriorated 절망감 악화됨 [3.0] P42.1.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71020 H00771020 Hopelessness improved 절망감 개선됨 [3.0] P42.1.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71033 H00771033 Hopelessness stabilized 절망감 안정됨 [3.0] P42.1.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71517 H00771517 Hormone 호르몬 C0019932 [3.0] Focus "특정한 내분비선에서 생성, 저장되어 있다가, 관류하는 혈액 중으로 분비된 다음 혈액에 실려 멀리 떨어져 있는 표적세포(호르몬이 작용을 나타내는 세포)에 이르러 그곳에서 특정한 기능을 발휘하는 물질[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71985 H00771999 Hospice 호스피스 C0085555 [3.0] G17.2 1A.9.0286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rovision of offering and/or providing care for terminally ill persons 말기질환자를 위한 간호 제공을 돕는 활동 H00771999 H00771999 Hospice 임종간호 C0085555 [3.0] 1A.9.0286 Focus "1)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인 보살핌을 하는 것으로서, 죽음에 가까운 환자와 그 가족에게 고식적이고 대중적인 봉사를 주요 프로그램으로 하여 직접적 혹은 자문형식으로 제공하는 시설. 이와 같은 서비스는 가정과 입원시설에서 전문가와 자원봉사자의 광범한 집단에 의하여 제공된다. 2) 치료적 효과를 더이상 기대할 수 없으며 고통이 강한 환자에 대해서 고통이 적은 상태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설. 또는 환자를 집으로 돌아가게 해서 방문 간호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말기암환자가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호스피스라는 말은 중세 유럽에서 성지순례도증, 병에 걸린 신자들의 휴양, 간호를 위해 사용된 숙사가 기원이다. 근대 호스피스는 1905년, 런던에 만들어진 센트ㆍ크리스토퍼ㆍ호스피스가 최초의 것이다. 일본에서도 1980년경부터 그리스도교계의 병원에서 도입되기 시작했다.[간호학대사전]" H00772022 H00772022 Hospital 병원 C0019994 [3.0] 10009114 2F.9.0014 Location 보건의료시설 H00772294 H00772294 Hospitalization 입원 C0019993 [3.0] 10009122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0772473 H00772460 Hostility 적개심 C0020039 [3.0] R45.5 10009146 1A.01.01.02.02.02.01.11.01 Focus "공격적 행동: 증오, 미움을 표현, 다른 사람을 공격적으로 위협하거나 위해를 가함." H00772487 H00772460 Hostility 적의 C0020039 [3.0] R45.5 10009146 1A.01.01.02.02.02.01.11.01 Focus "공격적 행동: 증오, 미움을 표현, 다른 사람을 공격적으로 위협하거나 위해를 가함." H00772506 H00772506 Hot bath 뜨거운목욕 [3.0] Means ~沐浴 약 41.11° C로 점차 수온이 상승하는 물에서의 목욕.[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772523 H00651343 Hot flush 홍조 C0600142 [3.0] R23.2 10009151 1A.01.01.01.13.09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호르몬 변화나 폐경시작과 관련된 신체 윗부분의 갑작스런 열감각, 갑작스런 혈관확장, 땀과 발한." H00772571 H00772585 Hot pack 뜨거운찜질 C0181226 [3.0] 10009167 2C.01.01.04.S.003 Means 열냉 기구 H00772585 H00772585 Hot pack 핫팩 C0181226 [3.0] 93.35 10009167 2C.01.01.04.S.003 Means 열냉 기구 H00773199 H00773204 Human 인간 C0086418 [3.0] 1A.01.S.001 Focus 언어를 가지고 사고할 줄 알고 사회를 이루며 사는 지구 상의 고등 동물. 사람. H00779973 H00779973 Humectant 보습제 [3.0] Means 수분을 흡수하거나 보전하는 물질. H00780071 H00780084 Humerus 상완골 C0020164 [3.0] Location "상완을 구성하는 뼈이고 상단의 안쪽은 반원상으로 부풀어 있어 상완골두라 하고 견갑골 관절와와 견관절을 만든다. 이 두(頭)와 대결절과 소결절 사이의 환상의 구(溝)를 해부경(解剖頸)이라고 한다. 바깥쪽으로 향한 대결절은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등이 끝나고 전면에 있는 작은 소결절은 견갑하근(肩甲下筋)이 붙는다. 이러한 사이를 결절간구라는 구가 있어 상완 이두근의 장두건(長頭腱)이 달리고 있다. 이들결절의 밑을 외과경(外科頸) 이라고 한다. 상완골의 중앙을 체(體)라 하고 그 외측에 삼각근 조면이 있어 그 근이 끝나고 그 아 래쪽에 요골신경구가 있어 그 신경이 달라는 곳이다. 상완골의 아래쪽은 편평하게 부풀어 있어 상완골과(上腕骨顆)라 하고 척골의 활차절흔(滑車切痕), 요골두 등의 관절면과 패인 곳, 즉 척골의 주두(肘頭)나 구상돌기(鉤狀突起)가 끼어든 주두와 (肘頭窩)와 구돌와(鉤狀窩)가 있다. 상완골과의 양쪽은 돌출해 있어 외측ㆍ내측 상과로 이름을 붙여 피하보다 잘 촉진할 수 있는데 후자의 등쪽에는 척골신경이 달리고 있으며 피부와 골사이에 있어 민감한 곳이다.[간호학대사전]" H00780084 H00780084 Humerus 위팔뼈 C0020164 [3.0] Location "상완을 구성하는 뼈이고 상단의 안쪽은 반원상으로 부풀어 있어 상완골두라 하고 견갑골 관절와와 견관절을 만든다. 이 두(頭)와 대결절과 소결절 사이의 환상의 구(溝)를 해부경(解剖頸)이라고 한다. 바깥쪽으로 향한 대결절은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등이 끝나고 전면에 있는 작은 소결절은 견갑하근(肩甲下筋)이 붙는다. 이러한 사이를 결절간구라는 구가 있어 상완 이두근의 장두건(長頭腱)이 달리고 있다. 이들결절의 밑을 외과경(外科頸) 이라고 한다. 상완골의 중앙을 체(體)라 하고 그 외측에 삼각근 조면이 있어 그 근이 끝나고 그 아 래쪽에 요골신경구가 있어 그 신경이 달라는 곳이다. 상완골의 아래쪽은 편평하게 부풀어 있어 상완골과(上腕骨顆)라 하고 척골의 활차절흔(滑車切痕), 요골두 등의 관절면과 패인 곳, 즉 척골의 주두(肘頭)나 구상돌기(鉤狀突起)가 끼어든 주두와 (肘頭窩)와 구돌와(鉤狀窩)가 있다. 상완골과의 양쪽은 돌출해 있어 외측ㆍ내측 상과로 이름을 붙여 피하보다 잘 촉진할 수 있는데 후자의 등쪽에는 척골신경이 달리고 있으며 피부와 골사이에 있어 민감한 곳이다.[간호학대사전]" H00780537 H00780537 Humidifier 가습기 C0181232 [3.0] 10009228 2C.01.11.05 Means 호흡장치 H00780764 H00780781 Hunger 허기 C0020175 [3.0] 10009259 1A.01.01.01.13.03 Focus "지각: 음식에 대한 강한 욕망, 감각은 종종 입과 위와 관련됨; 음식의 부족으로 인한 통증 혹은 불편감, 소진된 상태; 영아가 손을 입으로 가져 가는 것, 빠는 행동, 먹으려고 몸을 돌리고 입을 우물거리는 행동." H00780778 H00780778 Hunger 기아 C0020175 [3.0] 10009259 1A.01.01.01.13.03 Focus "지각: 음식에 대한 강한 욕망, 감각은 종종 입과 위와 관련됨; 음식의 부족으로 인한 통증 혹은 불편감, 소진된 상태; 영아가 손을 입으로 가져 가는 것, 빠는 행동, 먹으려고 몸을 돌리고 입을 우물거리는 행동." H00780781 H00780781 Hunger 배고픔 C0020175 [3.0] 10009259 1A.01.01.01.13.03 Focus "지각: 음식에 대한 강한 욕망, 감각은 종종 입과 위와 관련됨; 음식의 부족으로 인한 통증 혹은 불편감, 소진된 상태; 영아가 손을 입으로 가져 가는 것, 빠는 행동, 먹으려고 몸을 돌리고 입을 우물거리는 행동." H00782340 H00782340 Hydration control 체액균형조절 C0553741 [3.0] F15.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state of fluid balance H00782823 H02720745 Hydrocele 음낭수종 C1720771 [3.0] N43.3 1A.9.0290 Focus "1) 액체가 국한성으로 괸 상태로서, 특히 고환의 초막(鞘膜)내 또는 정삭(精索)을 따라 액체가 저류한것을 말한다. 2) 정소에 있는 수막속에 액체가 고이는 질환. 정소는 액체로 둘러싸인다. 정소, 정소상체의 외상이나 염증에 따른 것, 선천적으로 복막의 초상돌기(鞘狀突起)의 폐쇄부전에 따른 것, 원인불명의 것이 있다. 음낭은 커지고 파동(波動)과 투과성이 있다. 정삭내(靜索内)에 액체가 고일 때(정소수종)에는 정소와는 별도로 낭포상의 종류를 만져서 알 수 있다. 치료 반복 천자(穿刺)하거나 근치적으로 윈켈만수술을 한다.[간호학대사전] 3) 원래 고환은 배속에 만들어진다. 그러다가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음낭으로 내려오게 된다. 거의 출생직전에 음낭에 완전히 내려오게 되는데 음낭이 내려오면서 복강의 일부가 같이 고환쪽으로 내려오는데 이것을 초막돌기(vaginal process)라고 한다. 이것은 고환이 완전히 음낭에 정착하고 난뒤에 완전히 폐쇄되어서 복강과의 연결이 없어지고 고환옆의 주머니 모양의 공간만 남는데, 이것을 집막(tunica vaginalis)라고 한다." " 음낭수종이란 이 초막에 액체가 차있거나 혹은 초막돌기가 완전히 패쇄되지 못하고 남아 있을 경우에 복강과 연결이 있어 복막속에 액체가 들어와서 고이는 경우를 말한다. 선천적으로도 올 수 있고 후천적으로도 올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82837 H02720745 Hydrocele 물음낭종 C1720771 [3.0] N43.3 1A.9.0290 Focus "1) 액체가 국한성으로 괸 상태로서, 특히 고환의 초막(鞘膜)내 또는 정삭(精索)을 따라 액체가 저류한것을 말한다. 2) 정소에 있는 수막속에 액체가 고이는 질환. 정소는 액체로 둘러싸인다. 정소, 정소상체의 외상이나 염증에 따른 것, 선천적으로 복막의 초상돌기(鞘狀突起)의 폐쇄부전에 따른 것, 원인불명의 것이 있다. 음낭은 커지고 파동(波動)과 투과성이 있다. 정삭내(靜索内)에 액체가 고일 때(정소수종)에는 정소와는 별도로 낭포상의 종류를 만져서 알 수 있다. 치료 반복 천자(穿刺)하거나 근치적으로 윈켈만수술을 한다.[간호학대사전] 3) 원래 고환은 배속에 만들어진다. 그러다가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음낭으로 내려오게 된다. 거의 출생직전에 음낭에 완전히 내려오게 되는데 음낭이 내려오면서 복강의 일부가 같이 고환쪽으로 내려오는데 이것을 초막돌기(vaginal process)라고 한다. 이것은 고환이 완전히 음낭에 정착하고 난뒤에 완전히 폐쇄되어서 복강과의 연결이 없어지고 고환옆의 주머니 모양의 공간만 남는데, 이것을 집막(tunica vaginalis)라고 한다." " 음낭수종이란 이 초막에 액체가 차있거나 혹은 초막돌기가 완전히 패쇄되지 못하고 남아 있을 경우에 복강과 연결이 있어 복막속에 액체가 들어와서 고이는 경우를 말한다. 선천적으로도 올 수 있고 후천적으로도 올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86595 H00786595 Hygiene 위생 C0020405 [3.0] 10009285 Action "수행 활동: 목욕, 옷 갈아입기, 개인적 옷차림하는 것, 문화 형태와 사회경제적 수준과 관련됨." H00786628 H00786628 Hygienics 위생관리 [3.0] 1A.9.0291 Focus 건강을 촉진하기 위한 계통 및 기구. H00787312 H00788489 Hyperaemia 충혈 C0020452 [3.0] 10004952 1A.9.0292 Focus 손상된 상태: 혈액 혹은 다른 체액이 신체의 특정 부위에 과도하게 축적된 것. H00787424 H00787438 Hyperalimentation 과영양 [3.0] Means 정맥 또는 위장관이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요법. H00787441 H00787441 Hyperalimentation 고영양 [3.0] Means 정맥 또는 위장관이 아닌 다른 경로를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요법. H00787746 H00787763 Hyperbilirubinaemia 고빌리루빈혈증 C0020433 [3.0] 10034988|10034990 Focus|DC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0787827 H00787827 Hypercalcemia 고칼슘혈증 C0020437 [3.0] 10031418 2B.02.02.01.02.05 Focus 전해질 불균형 H00787892 H00787892 Hypercapnia 고탄산혈증 C0020440 [3.0] Focus "과탄산혈증은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한다. 과탄산혈증의 징후와 증상은 혈중 이산화탄소 부분압력의 절대값과 변화속도에 의해 좌우된다. 혈중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두통, 혼돈(confusion), 졸음(lethargy)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과탄산혈증에는 발작(seizure), 혼수(coma)가 나타날 수 있다. 극단의 과탄산혈증에서는 심혈관 허탈(cardiovascular collapse)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개 혈중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이 100mmHg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한 경우에 발생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87911 H00787892 Hypercarbia 고탄산혈증 C0020440 [3.0] Focus "과탄산혈증은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한다. 과탄산혈증의 징후와 증상은 혈중 이산화탄소 부분압력의 절대값과 변화속도에 의해 좌우된다. 혈중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이 급격히 상승하는 경우 두통, 혼돈(confusion), 졸음(lethargy)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과탄산혈증에는 발작(seizure), 혼수(coma)가 나타날 수 있다. 극단의 과탄산혈증에서는 심혈관 허탈(cardiovascular collapse)이 발생할 수 있는데 대개 혈중 이산화탄소의 부분압이 100mmHg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한 경우에 발생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788381 H00788381 Hyperemesis 과다구토 C0235250 [3.0] 10046742|10046757 Focus|DC H00788400 H00578606 Hyperemesis gravidarum 임신 오조 C0020450 [3.0] O21 Focus "탈수, 심한 인체 생리의 변화를 유발하는 임산부의 심한 구역, 구토." H00788413 H00578606 Hyperemesis gravidarum 임신 입덧 C0020450 [3.0] O21 Focus "탈수, 심한 인체 생리의 변화를 유발하는 임산부의 심한 구역, 구토." H00788427 H00578606 Hyperemesis gravidarum 임신과다구토 C0020450 [3.0] O21 Focus "탈수, 심한 인체 생리의 변화를 유발하는 임산부의 심한 구역, 구토." H00788489 H00788489 Hyperemia 충혈 C0020452 [3.0] 10004952 1A.9.0292 Focus 손상된 상태: 혈액 혹은 다른 체액이 신체의 특정 부위에 과도하게 축적된 것. H00788704 H00788704 Hyperextension 젖힘 C0231451 [3.0] Focus 신전이 정상범위를 넘어서 일으키는 경우[간호학대사전] H00788718 H00788704 Hyperextension 과신전 C0231451 [3.0] Focus 신전이 정상범위를 넘어서 일으키는 경우[간호학대사전] H00788721 H00788704 Hyperextension 과다폄 C0231451 [3.0] Focus 신전이 정상범위를 넘어서 일으키는 경우[간호학대사전] H00789013 H00789058 Hyperglycaemia 고혈당증 C0020456 [3.0] 10027521|10027550 Focus|DC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0789481 H00789478 Hyperkalemia 고칼륨혈증 C0020461 [3.0] E87.5 10031425 2B.02.02.01.02.06 Focus 전해질 불균형 H00790319 H00790319 Hypermetropia 원시 C0020490 [3.0] H52.0 Focus 遠視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고 가까이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것 H00790421 H01585514 Hypernatremia 고나트륨혈증 C0020488 [3.0] E87.0 10031441 2B.02.02.01.02.08 Focus 전해질 불균형 H00790479 H00790319 Hyperopia 원시 C0020490 [3.0] H52.0 Focus 遠視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고 가까이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것 H00791096 H00791096 Hyperphosphatemia 고인산혈증 C0085681 [3.0] 10031456 2B.02.02.01.02.09 Focus 전해질 불균형 H00791177 H00791181 Hyperplasia 과형성 C0020507 [3.0] Focus "기능항진을 유발시키는 자극을 받았을 때 분열이 가능한 세포가 세포분열로 그 수가 증가되는 것을 증식이라 하며, 결과적으로 그 조직이나 장기도 커지게 된다. 비대는 단순히 세포의 증식이 없이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91181 H00791181 Hyperplasia 과다 형성 C0020507 [3.0] Focus "기능항진을 유발시키는 자극을 받았을 때 분열이 가능한 세포가 세포분열로 그 수가 증가되는 것을 증식이라 하며, 결과적으로 그 조직이나 장기도 커지게 된다. 비대는 단순히 세포의 증식이 없이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791583 H00791597 Hyperpnea 호흡항진 C0220854 [3.0] 1A.9.0293 Focus "1) 호흡항진. 호흡운동의 깊이와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 2) 호흡운동의 증강이고 특히 그 깊이가 있는 상태. 산소부족 및 이산화탄소의 축적에 의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때 우선 과호흡이 생기고 이어서 호흡수가 늘어난다(빈호흡 tachypnea). 환기는 호흡운동의 진폭 및 호흡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과호흡이 이상하게 심해졌을 때 호흡곤란 dyspnea 이라고 한다. 3) 호흡항진, 과호흡. 호흡수는 변하지 않고 깊이, 즉1회의 환기량이 증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혈액중의 산소부족이나 탄산가스축적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호흡운동이 증가하고 환기가 증가해서 성분의 변화를 저지한다. 호흡운동은 먼저 호흡의 깊이가 증가해서 과호흡의 상태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0791597 H00791597 Hyperpnea 과다호흡 C0220854 [3.0] 1A.9.0293 Focus "1) 호흡항진. 호흡운동의 깊이와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 2) 호흡운동의 증강이고 특히 그 깊이가 있는 상태. 산소부족 및 이산화탄소의 축적에 의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때 우선 과호흡이 생기고 이어서 호흡수가 늘어난다(빈호흡 tachypnea). 환기는 호흡운동의 진폭 및 호흡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과호흡이 이상하게 심해졌을 때 호흡곤란 dyspnea 이라고 한다. 3) 호흡항진, 과호흡. 호흡수는 변하지 않고 깊이, 즉1회의 환기량이 증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혈액중의 산소부족이나 탄산가스축적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호흡운동이 증가하고 환기가 증가해서 성분의 변화를 저지한다. 호흡운동은 먼저 호흡의 깊이가 증가해서 과호흡의 상태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0791843 H00791843 Hyperreflexia 반사항진 C0151889 [3.0] Focus 특정 자극에 대해 주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단순한 행동 양태인 반사가 과잉인 상태. H00791861 H00791843 Hyperreflexia 과반사 C0151889 [3.0] Focus 특정 자극에 대해 주로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단순한 행동 양태인 반사가 과잉인 상태. H00792488 H00792488 Hyperstimulation 과다자극 [3.0] Focus "excessive stimulation of an organ or part.[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0792622 H00761475 Hypertension 고혈압 C0020538 [3.0] O10-O16 10009394 1A.01.01.01.02.02.01.01 Focus 손상된 순환 과정: 정상보다 높은 압력으로 혈관을 통해 혈액을 박출하는 것. H00793298 H00793298 Hyperthermia 고열 C0015967 [3.0] 10009409|10000757 1A.01.01.01.03.01.01 Focus|DC "손상된 체온조절: 체온증가,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 졸음 및 두통을 동반하는 내부 항온장치 변화능력의 감소, 중추신경이나 내분비계의 기능이상, 열발작, 치료적 이유로 인공적인 높은 체온 적용과 관련됨." H00793321 H00793298 Hyperthermia 고체온 C0015967 [3.0] K25.2 10009409|10000757 1A.01.01.01.03.01.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Abnormality high body temperature 비정상적으로 높은 체온 H00793351 H00793351 Hyperthermia deteriorated 고체온 악화됨 [3.0] K25.2.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93365 H00793365 Hyperthermia improved 고체온 개선됨 [3.0] K25.2.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93379 H00793379 Hyperthermia stabilized 고체온 안정됨 [3.0] K25.2.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793723 H00793723 Hypertonic dehydration 고장성탈수 C1112601 [3.0] 10041905 1A.01.01.01.07.02.02 Focus "탈수: 수분손실이 전해질 손실보다 과하거나, 인공영양 또는 비경구 영양을 너무 적은 수액에 섞어서 투여하거나, 단백질을 과량 섭취한 경우처럼 전해질 투여가 수분 투여보다 많은 체액손실 상태, 낮은 피부 긴장도, 잿빛의 건조하고 갈라진 피부, 마르고 갈라진 입술, 두꺼워진 피부, 말라붙은 점막, 눈물과 침분비 소실, 불안정이나 혼돈, 자극에 심한 불안정을 보이는 현저한 기면을 동반." H00794341 H00794341 Hypertrophy 비대 C0020564 [3.0] 1A.9.0294 Focus "1) 어느 기관을 구성하는 세포 크기의 증가에 의하여 기관 또는 그 일부가 종대(腫大) 내지는 발육과 도로 되는것. 2) 장기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원래의 구조는 유지하면서 수적 변동없이 그 용적만 커진 상태. 결과적으로 그 조직 장기의 용적과 중량이 불어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세포가 커진 것은 세포종창 또는 부종과 같이 수분 흡수가 증가한 것이 아니고 세포 내 구조물의 합성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비대는 생리적 혹은 병적일 수 있고 기능적 부하가 증대되거나 또는 특별한 내분비 자극에 의해 일어난다. 비대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작업비대: 운동선수의 근육, 고혈압이나 판막증의 심장근, 임신자궁의 비대 등, ② 대상성 비대: 한쪽 콩팥을 적출하였을 때 다른 쪽 콩팥에서 일어나는 비대 등, ③ 호르몬성 비대: 뇌하수체호르몬의 작용으로 거단증-거인증이 생기는 경우 등, ④ 염증성 비대: 만성염에 있어서의 위나 코안점막의 비대 등, ⑤ 특발성 비대: 다모증-비늘증-내장비대증 등과 같은 원인불명의 선천성 발육이상에 의한 비대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795097 H00795066 Hyperventilation 과호흡 C0020578 [3.0] R06.4 10041352 1A.01.01.01.01.01.01 Focus "환기: 어지러움, 기절, 손,발가락의 저림을 동반한 저탄소증, 호흡성 알칼리증과 함께 호흡수의 증가, 흡기량과 호기력의 증가, 폐활량의 증가" H00795178 H00795178 Hypervitaminosis 비타민과다증 C0342951 [3.0] 10009445 1A.01.01.01.04.02.06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장기간에 걸쳐 한 개 이상의 비타민이 독성량까지 축적된 상태로 수용성 비타민 B, C 보다는 비타민 A, D, E, K 과량과 관련됨." H00795391 H00795391 Hypnagogue 수면제 [3.0] 2C.9.0144 Means 중추신경계 특히 대뇌가 흥분하여 불면 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하는 약제. H00795679 H00795679 Hypnotic 수면제 C0020591 [3.0] 2C.9.0144 Means 중추신경계 특히 대뇌가 흥분하여 불면 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하는 약제. H00795956 H00795956 Hypoalbuminemia 저알부민혈증 C0239981 [3.0] Focus "혈액중의 알부민이 저하된 부종, 복수, 이감염성(易感染性) 등의 병적상태가 출현하는 상태를 말한다. 알부민은 혈청 및 림프 등의 침투압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유리 지방산 등의 담체(担體)로 된다. 증상의 주요한 것은 주로 전자에 의한다. 원인은 알부민의 소실, 증가 또는 합성저하에 의한다. 알부민의 상실은 신증후, 당뇨병신증 등에서 신으로부터 단백뇨로서, 화상시의 삼출액, 복막ㆍ흉막강의 저류액(복수, 흉수)으로서, 장관점막의 림프관을 통하여 장관내에 잃게 되는 것이 된다. 대량출혈에 의한 혈청단백의 상실도 이의 하나가 된다. 알부민분해의 항진으로서는 갑상선기능항진, 임신, 수유 및 암 등의 소모성질환을 들 수가 있다. 알부민합성장애는 원료로서의 단백, 아미노산섭취저하 또 간경변 등의 간실질장애에 의한 알부민합성능력 저하에 의한다. 치료는 원인질환의 치료가 우선 중요하지만, 알부민을 급속히 공급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혈장제품 등의 수액(輸液)을 주입한다.[간호학대사전]" H00798101 H02415949 Hypokalemia 저칼륨혈증 C0020621 [3.0] E87.6 10031487 2B.02.02.01.02.14 Focus 전해질 불균형 H00798436 H02725685 Hypomenorrhea 월경과소증 C0020624 [3.0] N91.5 Focus 月經過少症 "월경혈량이 이상하게 적은 것을 말한다. 자궁내막에 염증 또는 위축등의 기질적 변화가 있는 것(기질성 과소월경)과 없는 것(기능성 과소월경)이 있다. 진단은 내막의 조직, 세균배양, 호르몬 정량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치료에는 카우프만 요법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H00798440 H02725685 Hypomenorrhea 과소월경 C0020624 [3.0] N91.5 Focus 過少月經 "월경혈량이 이상하게 적은 것을 말한다. 자궁내막에 염증 또는 위축등의 기질적 변화가 있는 것(기질성 과소월경)과 없는 것(기능성 과소월경)이 있다. 진단은 내막의 조직, 세균배양, 호르몬 정량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치료에는 카우프만 요법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H00798596 H01584940 Hyponatremia 저나트륨혈증 C0020625 [3.0] E87.1 10031500 2B.02.02.01.02.12 Focus 전해질 불균형 H00798891 H00798891 Hypophosphatemia 저인산혈증 C0085682 [3.0] 10031516 2B.02.02.01.02.13 Focus 전해질 불균형 H00799425 H00799425 Hypopnea 호흡저하 C0235546 [3.0] 1A.9.0295 Focus 1) 호흡운동의 깉이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감소된 것. 2) 정상적으로 볼 수 있는 호흡보다도 수나 길이가 감소한 상태를 호흡저하라고 한다. 여기에는 다음 3종류의 것이 있다. (1) 완서호흡 bradypnea : 호흡수가 12이하로 감소하는 경우이고 두개내압 항진시나 수면제의 다량 복용시에 볼수 있다. (2) 호흡감소증 oligopnea : 호흡수는 바뀌지 않고 호흡이 얕아지고 있다. 즉 1회 환기량이 감소하고 있는 상태이고 수면이나 호흡근의 마비등일 때에 볼 수 있다. (3) 무호흡 apnea : 호흡이 없는 상태가 계속되면 호흡정지라 한다.[간호학대사전] 3) 과호흡 hyperpnea의 반대어. 호흡수는 거의 변하지 않고 호흡의 깊이가 얕아지는 " 즉 1회 환기량이 감소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수면시나 호흡근마비시 등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0800138 H00800138 Hypotension 저혈압 C0020649 [3.0] I95 10009534 1A.01.01.01.02.02.01.02 Focus 손상된 순환 과정: 정상보다 낮은 압력으로 혈관을 통해 혈액을 박출하는 것. H00800401 H00800446 Hypothermia 체온저하 C0020672 [3.0] T68 10009547|10000761 1A.01.01.01.03.01.04 Focus|DC "손상된 체온조절: 내부 항온장치 변화능력의 감소, 저하된 체온, 차갑고, 창백하고, 마른 피부, 떨림, 느린 모세혈관 재충전, 빈맥, 청색성의 손톱바닥, 고혈압, 입모(털세움), 추운 상태나 치료적 이유로 인공적인 비정상적 낮은 체온 적용아래 장시간 추위에 노출, 중추신경이나 내분비계의 기능장애와 관련됨." H00800429 H00800446 Hypothermia 저체온 C0020672 [3.0] T68 K25.3 10009547|10000761 1A.01.01.01.03.01.0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Abnormality low body temperature 비정상적으로 낮은 체온 H00800544 H00800544 Hypothermia deteriorated 저체온 악화됨 [3.0] K25.3.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00558 H00800558 Hypothermia improved 저체온 개선됨 [3.0] K25.3.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00561 H00800561 Hypothermia stabilized 저체온 안정됨 [3.0] K25.3.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00902 H00800902 Hypotonic dehydration 저장성탈수 C0860006 [3.0] 10041914 1A.01.01.01.07.02.03 Focus "탈수: 상처에서 분비물 손실, 구토처럼 체액의 빠른 고갈로 신체조직에서 전해질의 손실이 수분 손실보다 많은 체액손실 상태로 갈증 징후는 없고, 축축하고 찬 피부, 피부 긴장도가 심하게 감소되고, 약한 습한 점막, 정상이하의 체온, 감소된 맥박과 호흡, 기면과 무의식에 빠지게도 함." H00801189 H00801189 Hypoventilation 호흡저하 C3203358 [3.0] 10041368 1A.01.01.01.01.01.02 Focus "환기: 청색증, 이산화탄소 부분압(pCO2)의 증가를 동반한 호흡수의 감소, 흡기량과 호기력의 감소" H00801192 H00801192 Hypoventilation 저환기 C3203358 [3.0] 10041368 1A.01.01.01.01.01.02 Focus "환기: 청색증, 이산화탄소 부분압(pCO2)의 증가를 동반한 호흡수의 감소, 흡기량과 호기력의 감소" H00801242 H02415644 Hypovolemia 혈량저하증 C0546884 [3.0] E86.1 Focus Dehydration or fluid loss[CCC] H00801449 H00801449 Hypoxia 저산소증 C0242184 [3.0] 10009608 1A.01.01.01.01.03.01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청색증, 빈맥, 말초혈관 수축, 호흡음 감소, 어지러움 및 정신혼돈을 동반하는 세포 산소압의 감소." H00802505 H00802490 Hysteroptosis 자궁하수 [3.0] Focus 子宮下垂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 자궁이 아래로 내려가는 질환.[두산백과] H00804108 H01772840 Icterus 황달 C0022346 [3.0] R17 1A.9.0006 Focus "혈중의 빌리루빈량이 이상하게 증가한 병적상태. 안구결막이나 피부가 그 때문에 황색이 된다. 증가한 빌리루빈은 그질환의 원인에 따라서 성질이 다른데, 임상적으로는 (1) 용혈성 (2) 간세포성 (3) 폐색성의 3형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다. 빌리루빈은 반덴베르그 반응에 의해 간접형(글루쿠론산 비포합형)과 직접형(글루쿠론포함형)이 있으며 제각기 양을 계측함으로써 황달을 일으킨 원인을 아는데 도움이 된다.[간호학대사전]" H00804531 H00804531 Identity 정체성 C0424215 [3.0] 10009715 Focus 상태 H00804545 H00804545 Identity 주체성 C0424215 [3.0] 10009715 Focus 상태 H00807351 H00807351 Ileostomy 돌창자 창냄술 C0020883 [3.0] 46.2 10009727 1F.17.08.02 Location 장루 H00807381 H00807351 Ileostomy 회장조루술 C0020883 [3.0] 46.2 10009727 1F.17.08.02 Location 장루 H00808417 H00808417 Ilium 엉덩뼈 C0020889 [3.0] Location "엉치등뼈의 두 끝과 궁둥이뼈의 뒤쪽 위에 있으며, 부채 모양으로 퍼진 편평한 뼈." H00808692 H00808692 Illusion 착각 C0020903 [3.0] 10009758 1A.01.01.02.01.01.02.02.01 Focus "손상된 지각: 인지된 감각 자극을 잘못 해석하는 것, 사물이나 외부 자극을 잘못 해석한 것." H00809552 H00809552 Immature infant 미숙아 C0021294 [3.0] Client "생존가능 한계 이후에, 정기 출산의 시기 이전에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으로 분만하는 것을 조산이라고 하며, 그 결과 태어난 아이를 조산아라고 말한다. WHO에서는 28~37주에 태어난 아기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생존가능 한계는 의료기술의 진보에 의해 그 한계역이 넓혀지고 있다. 조산아의 대부분은 저체중아(2,500g 이하)로 출생하기 때문에 각 장기기능이 충분하게 성숙되어 있지 않아 생후에 호흡, 간, 콩팥 등의 기능장애를 발생하는 일이 많다. 보육기에 의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어리거나 나이 많은 임부의 초산에 많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809986 H00809986 Immobility 부동 C0231441 [3.0] R26.3 Focus 물건이나 몸이 움직이지 아니함. H00810178 H00810178 Immobilizer care 부동간호 C0184574 [3.0] A02.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 splint, cast, or prescribed bed rest" H00810875 H00810875 Immunity 면역 C0020964 [3.0] Focus 생체의 내부환경이 외부인자인 항원에 대하여 방어하는 현상으로 태어날때부터 지니는 선천면역과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획득면역으로 구분됨. H00810889 H00810858 Immunization 면역화 C0020971 [3.0] 10031537 2B.02.01.02.14.14 Focus 요법 H00810892 H00810908 Immunization 면역접종 C0020971 [3.0] 10031537 2B.9.0034 Focus 요법 H00811931 H00811931 Immunoglobulin 면역글로불린 C0021027 [3.0] 1A.9.0296 Focus "1) 항체기능을 가지고 있고 구조적으로 비슷한 당단백의 총칭이며, 구조 및생물학적 활성에 따라 5종의 class(IgG, IgA, IgM, IgD, IgE)로 구분한다. 2) 혈청성분 중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또 항체 작용을 하는 단백질의 총칭. 항체 작용이란 항원에 선택적으로 반응하는 기능인데, 이 작용을 하는 것은 대부분 전기이동법으로 나눌 경우 감마 영역에 속하므로 감마글로불린이라고도 한다. 기본구조는 분자량 약 2만 3,000의 L사슬(가벼운 사슬) 한 쌍과 5만~7만의 H사슬(무거운 사슬) 한 쌍이 S-S 다리걸침에 의해 결합된 것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813792 H00813792 Immunologic alteration 면역장애 C0184547 [3.0] I23.0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immune systems H00813808 H00813808 Immunologic alteration deteriorated 면역장애 악화됨 [3.0] I23.0.3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13811 H00813811 Immunologic alteration improved 면역장애 개선됨 [3.0] I23.0.1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13825 H00813825 Immunologic alteration stabilized 면역장애 안정됨 [3.0] I23.0.2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13839 H00813839 Immunologic care 면역학적간호 C1171198 [3.0] I65.0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tect against a particular disease H00814506 H00814506 Immunosuppressant 면역억제제 C0021081 [3.0] Means 신체의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약제. 장기 이식의 거부반응 등에 사용됨. H00814585 H00814585 Immunotherapy 면역요법 C0021083 [3.0] Means "감염증에서 병원체나 병원체의 독소에 대한 면역체를 체내에 주입하거나, 인공적으로 면역체를 생산 또는 증강시켜 치료에 도움이 되게 하는 요법." H00816854 H00816871 Impotence 발기불능 C0242350 [3.0] N48.49 10009886 1A.01.01.01.15.01.02.01.01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음경의 발기 불능 혹은 드물게 발기 후 사정불능; 나이, 피로, 나쁜 건강, 약물복용, 질병과 같은 정신적 또는 생리적 요인과 관련됨." H00816868 H00816871 Impotence 성교불능 C0242350 [3.0] N48.49 10009886 1A.01.01.01.15.01.02.01.01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음경의 발기 불능 혹은 드물게 발기 후 사정불능; 나이, 피로, 나쁜 건강, 약물복용, 질병과 같은 정신적 또는 생리적 요인과 관련됨." H00816952 H00816970 Impression 인상 [3.0] 1A.9.0298 Focus "(in the medical record) the examiner's diagnosis or assessment of a problem, disease, or condition.[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816966 H00816966 Impression 추적진단 C1998467 [3.0] 1A.9.0298 Focus "(in the medical record) the examiner's diagnosis or assessment of a problem, disease, or condition.[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816970 H00816970 Impression 자국 [3.0] 1A.9.0298 Focus "(in the medical record) the examiner's diagnosis or assessment of a problem, disease, or condition.[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817096 H00817096 Impulse 충동 C0443235 [3.0] 10009903 Focus "결단: 추진력, 돌진, 동기." H00818220 H00818220 Incentive spirometry 유발폐활량측정법 C0454512 [3.0] 2C.9.0081 Means "흡식량에 대한 시각적인 되먹임을 제공함으로써 자발적인 심호흡을 격려하도록 하는 방법. 특별하게 만든 폐활량계를 사용하여, 환자는 설정한 양에 도달할 때까지 흡입하며, 그런 다음 3~5초 동안 숨을 참아 흡기량을 유지한다. 유발성 폐활량 측정은 무기폐와 폐경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818233 H00818247 Incest 근친상간 C0021148 [3.0] 1A.01.01.02.02.02.01.11.03.03.01 Focus 성적 학대: 혈연 관계인 사람들의 성관계; 가족의 일원같이 혈연 관계가 있는 사람에 의한 강간 범죄; 아동 학대와 관련됨. H00818572 H00818572 Incision 절개 C0184898 [3.0] Focus "치료를 위해 칼,가위 따위로 몸의 일부를 째어서 엶." H00818605 H00818605 Incision care 절개부위간호 C0150258 [3.0] R55.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a surgical wound H00824174 H00824174 Incubator 보육기 C2079447 [3.0] 10009988 2C.01.11.08 Means 기구 H00824644 H00824644 Independence 독립 C0085862 [3.0] 10026721 Judgment 의존 H00824791 H00824806 Index 지수 C0918012 [3.0] Means "본문 중의 중요한 항목·술어·인명·지명 등을 뽑아 한 곳에 모아, 이들의 본문 소재의 페이지를 기재한 것." H00824806 H00824806 Index 지표 C0918012 [3.0] Means "본문 중의 중요한 항목·술어·인명·지명 등을 뽑아 한 곳에 모아, 이들의 본문 소재의 페이지를 기재한 것." H00825065 H00825065 Indication 적응증 [3.0] Focus 어떠한 약제나 수술 따위에 의하여 치료 효과가 기대되는 병이나 증상.[표준국어대사전] H00825115 H00825115 Indicator 지표 C1522602 [3.0] Judgment 다른 것과 구별하여 알게 하는 데 필요한 표시나 특징. H00825843 H00825843 Individual coping impariment 개인대처장애 C1999002 [3.0] E12.0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Inadequate personal response to problems or difficulties H00825857 H00825857 Individual coping impariment deteriorated 개인대처장애 악화됨 [3.0] E12.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5861 H00825861 Individual coping impariment improved 개인대처장애 개선됨 [3.0] E12.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0825874 H00825874 Individual coping impariment stabilized 개인대처장애 안정됨 [3.0] E12.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5888 H00825888 Individual safety 개별안전주의 C0184641 [3.0] N4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Precautions to reduce individual injury H00826409 H00826409 Induced delivery 유도분만 C2114456 [3.0] Focus "인위적으로 임신부에게 약물을 사용,진통을 유발시켜 태아를 분만시키는 일." H00827124 H00827124 Indwelling catheter 유치카테터 C0007439 [3.0] 2C.9.0083 Means "1) 요도의 적당한 위치에 머물게 하는 카테터. 2) 요로에 삽입된 카테터를 그대로의 위치로 고정하고 탈락하지 않도록 한 상태를 말한다. 비뇨기과에서는 방광유치카테터가 가장 빈도가 높게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전립선, 방광경부질환, 요도협착, 외상 등에서 이용되며 방광에서 요류를 확보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넬라톤카테터, 발룬카테터가 이용되는데 세정용으로는 쓰리웨이카테터가 이용된다. 방광 이외에도 요관, 신우에 유치하는 경우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827317 H00827317 Inertia 무기력 [3.0] 10008920 1A.01.01.02.01.01.05.25.S.001 Focus "부정적 감정: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통제할 수 없는 느낌, 방어 불가능, 대처 능력이나 학습된 무기력감의 장애가 동반됨, 돌봄 제공자와 같은 권위에 굴복, 아픈 역할 행위의 발달과 관련됨." H00827334 H00827303 Inertia 타성 [3.0] 10008920 1A.01.01.02.01.01.05.25.S.001 Focus "부정적 감정: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통제할 수 없는 느낌, 방어 불가능, 대처 능력이나 학습된 무기력감의 장애가 동반됨, 돌봄 제공자와 같은 권위에 굴복, 아픈 역할 행위의 발달과 관련됨." H00827348 H00827317 Inertia 무력증 [3.0] 10008920 1A.01.01.02.01.01.05.25.S.001 Focus "부정적 감정: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통제할 수 없는 느낌, 방어 불가능, 대처 능력이나 학습된 무기력감의 장애가 동반됨, 돌봄 제공자와 같은 권위에 굴복, 아픈 역할 행위의 발달과 관련됨." H00827446 H00827450 Infant 젖먹이 C0021270 [3.0] 10010060 2B.02.01.01.01.01.01.01.03 Client 개인 H00827450 H00827450 Infant 영아 C0021270 [3.0] 10010060 2B.02.01.01.01.01.01.01.03 Client 개인 H00827463 H00827463 Infant feeding pattern impairment 영아영양장애 C1999006 [3.0] J54.0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Imbalance in the normal feeding habits of an infant H00827477 H00827477 Infant feeding pattern impairment deteriorated 영아영양장애 악화됨 [3.0] J54.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7481 H00827481 Infant feeding pattern impairment improved 영아영양장애 개선됨 [3.0] J54.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7494 H00827494 Infant feeding pattern impairment stabilized 영아영양장애 안정됨 [3.0] J54.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8693 H00828693 Infection 감염 C3714514 [3.0] K25.6 10010104|10023032 1A.01.01.01.14.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Contamination with disease-producing germs 질병유발세균에 의한 오염 H00828712 H00828712 Infection control 감염통제 C0085557 [3.0] K30.0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ain a communicable disease H00828726 H00828726 Infection deteriorated 감염 악화됨 [3.0] K25.6.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8730 H00828730 Infection improved 감염 개선됨 [3.0] K25.6.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8743 H00828743 Infection risk 감염 위험성 C0582147 [3.0] K25.5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contamination with disease-producing germs H00828757 H00828757 Infection risk deteriorated 감염 위험성 악화됨 [3.0] K25.5.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8761 H00828761 Infection risk improved 감염 위험성 개선됨 [3.0] K25.5.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8774 H00828774 Infection risk stabilized 감염 위험성 안정됨 [3.0] K25.5.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28788 H00828788 Infection stabilized 감염 안정됨 [3.0] K25.6.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31932 H00831946 Infertility 불임 C0021359 [3.0] 10045316 Focus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831946 H00831946 Infertility 불임증 C0021359 [3.0] 10045316 Focus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831950 H00831950 Infertility care 불임간호 C1171199 [3.0] U74.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mote conception by the infertile client of an offspring/child H00831963 H00831963 Infertility risk 불임 위험성 C1171162 [3.0] U59.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Decreased chance of conception to develop an offspring/child H00831977 H00831977 Infertility risk deteriorated 불임 위험성 악화됨 [3.0] U59.2.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31981 H00831981 Infertility risk improved 불임 위험성 개선됨 [3.0] U59.2.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31994 H00831994 Infertility risk stabilized 불임 위험성 안정됨 [3.0] U59.2.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32143 H00832143 Infiltration 침윤 C0332448 [3.0] Focus 염증이나 악성 종양 따위가 번지어 인접한 조직이나 세포에 침입하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0832305 H00832319 Inflammation 염증 C0021368 [3.0] 10010127|10029927 2B.02.02.01.05.02 Focus|DC 병리적 과정 H00832319 H00832319 Inflammation 염 C0021368 [3.0] 10010127|10029927 2B.02.02.01.05.02 Focus|DC 병리적 과정 H00835043 H00835043 Information processing 정보처리 [3.0] 10010158 1A.01.01.02.01.01.02.01.01.04 Focus 인지 H00835611 H00835625 Infrared 적외선 C1532326 [3.0] Means 赤外線 "가시광선(可視光線)의 장파장단(長波長端)의 0.76~0.8㎛를 하한으로 하고, 1mm정도까지를 상항으로 하는 파장범위의 전자파를 말한다. 25㎛, 30㎛, 또는 50㎛ 등을 경계로 하여, 그 이상을 원적외선, 그 이하를 근적외선으로 총칭된다. 일반적으로 근적외선은 열선이라고도 하며, 혈관확장,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진통작용을 수반한다. 적외선의 피부로의 통과는 용이하며, 피하조직에서 국소를 가온하고 피부온도를 상승시킨다. 또 피부에 홍반을 형성하나, 잠복기도 없고 색소침착도 일으키지 않는다. 강한 열선은, 열중증, 화상의 원인이 되고 눈에 대하여는 화열성백내장(초자공백내장)을 일으킨 다고 한다. 이것은 안구내온도상승에 따르는 수정체 대사이상의 결과 혼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 외에, 조기노안, 황반부의 반사륜의 소실, 색소침착, 백점의 출현 등이 자주 나타난다. 적외선의 조사를 받는 직장에서는, 보호안경, 보호복의 착용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0835691 H02863713 Infrared ray 적외선 C0021431 [3.0] W90 Means 赤外線 "가시광선(可視光線)의 장파장단(長波長端)의 0.76~0.8㎛를 하한으로 하고, 1mm정도까지를 상항으로 하는 파장범위의 전자파를 말한다. 25㎛, 30㎛, 또는 50㎛ 등을 경계로 하여, 그 이상을 원적외선, 그 이하를 근적외선으로 총칭된다. 일반적으로 근적외선은 열선이라고도 하며, 혈관확장,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진통작용을 수반한다. 적외선의 피부로의 통과는 용이하며, 피하조직에서 국소를 가온하고 피부온도를 상승시킨다. 또 피부에 홍반을 형성하나, 잠복기도 없고 색소침착도 일으키지 않는다. 강한 열선은, 열중증, 화상의 원인이 되고 눈에 대하여는 화열성백내장(초자공백내장)을 일으킨 다고 한다. 이것은 안구내온도상승에 따르는 수정체 대사이상의 결과 혼탁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 외에, 조기노안, 황반부의 반사륜의 소실, 색소침착, 백점의 출현 등이 자주 나타난다. 적외선의 조사를 받는 직장에서는, 보호안경, 보호복의 착용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0836520 H00836520 Infusion pump 주입펌프 C0021436 [3.0] 2C.9.0084 Means 오랜 시간에 걸쳐 정맥 주사로 정맥 용액이나 약물의 제시량을 공급하기 위해 만든 장치. 몇몇 종류의 주입 펌프는 외과적으로 장치할 수 있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0837181 H00837195 Inhalant 흡입물 C0598322 [3.0] Means "a substance introduced into the body by inhalation. It may be a medication, such as an aerosol, administered in respiratory therapy or a volatile chemical that is abused, such as toluene, used in glue sniffing.[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837195 H00837195 Inhalant 흡입제 C0598322 [3.0] Means "a substance introduced into the body by inhalation. It may be a medication, such as an aerosol, administered in respiratory therapy or a volatile chemical that is abused, such as toluene, used in glue sniffing.[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837214 H00837214 Inhalation 흡입 C0004048 [3.0] Means 공기나 어떤 물질을 폐속으로 빨아들이는 것. 약 또는 약의 용액을 분무기를 이용하거나 연무질의 형태로 코나 입의 호흡통로를 통해서 투여하는 방법.[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837228 H00837781 Inhalation therapy 흡입치료 C0021459 [3.0] L36.3 10010213|10044819 2C.02.05.2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계획(간호중재) Means|IC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breathing treatments 호흡기계 치료를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0837781 H00837781 Inhalation therapy 흡입요법 C0021459 [3.0] 10010213|10044819 2C.02.05.24 Means|IC 요법 H00838069 H00838069 Inhibition 억제 C3463820 [3.0] Focus "1) 감정이나 욕망, 충동적 행동 따위를 내리눌러서 그치게 함." 2) 정도나 한도를 넘어서 나아가려는 것을 억눌러 그치게 함. "3) 『의학』자극으로 흥분한 신경 세포의 활동이 다른 신경 세포에 의하여 억눌림.[표준국어대사전]""" H00838072 H00838069 Inhibition 저지 C3463820 [3.0] Focus "1) 감정이나 욕망, 충동적 행동 따위를 내리눌러서 그치게 함." 2) 정도나 한도를 넘어서 나아가려는 것을 억눌러 그치게 함. "3) 『의학』자극으로 흥분한 신경 세포의 활동이 다른 신경 세포에 의하여 억눌림.[표준국어대사전]""" H00838901 H00838901 Injection administration 주사 C1533685 [3.0] H23.0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dispense a medication by a hypodermic H00840854 H00840868 Injury 부상 C3263722 [3.0] 10010284|10029936 2B.02.02.01.07 Focus|DC 상해 H00840868 H00840868 Injury 손상 C3263722 [3.0] 10010284|10029936 2B.02.02.01.07 Focus|DC 상해 H00840885 H00840885 Injury risk 손상 위험성 C0582456 [3.0] N33.0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danger or loss H00840899 H00840899 Injury risk deteriorated 손상 위험성 악화됨 [3.0] N33.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40904 H00840904 Injury risk improved 손상 위험성 개선됨 [3.0] N33.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40918 H00840918 Injury risk stabilized 손상 위험성 안정됨 [3.0] N33.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46914 H00846914 Inner ear 속 귀 [3.0] Location 몸이 얼마나 기울어졌는지를 감지하는 평형기관과 듣기를 담당하는 청각기관으로 이루어진 귀의 가장 안쪽 부분. H00846928 H00846914 Inner ear 내이 C1268973 [3.0] Location 몸이 얼마나 기울어졌는지를 감지하는 평형기관과 듣기를 담당하는 청각기관으로 이루어진 귀의 가장 안쪽 부분. H00847156 H00847156 Inoculation 접종 C2987620 [3.0] 1A.9.0302 Focus "1) 살아있는 식물, 동물 또는 배지에 미생물, 감염인자, 혈청 등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 병에 가볍게 걸려 면역이 생기도록 하기 위하여 병원체, 예를 들면 백신 바이러스와 같은 생물학적 제제를 건강한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 2) 병의 예방, 치료, 진단, 실험 따위를 위하여 병원균이나 항독소, 항체 따위를 사람이나 동물의 몸에 주입함. 또는 그렇게 하는 일.[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847420 H00847420 Inotropic drug 수축촉진약 [3.0] Means "혈관수축제ㆍ쇼크, 저혈압일 때에 혈압을 상승시키는 약제를 가리킨다. 이른바 카테콜아민으로 일컬어지는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약물이 대부분이고 주로 말초혈관을 수축해서 혈압을 상승시키는 것인데 그중에는 심근에 직접 작용해서 심장수축력을 증강하는 작용이 있는 것도 있다. 노르에편네프린(네오시네프린), 메톡 사민, 메타라미놀, 도파민, 도부타민, 에틸페니레프린, 아이소프로테레놀, 에페르린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847478 H00847478 Input 투입 C1708517 [3.0] Judgment 1) 던져 넣음. 2) 사람이나 물자 자본 따위를 필요한 곳에 넣음. "3) 『심리』외부 세계의 어떤 측면을 자기의 내부로 받아들여 통합하는 과정. 자기 자신이 확대되어 남이 가진 성질을 자신도 가졌다고 생각하는 일 따위이다. 정신 분석학 용어로 동일시의 하나이다.[표준국어대사전]""" H00847738 H00847738 Insecurity 불안정 C0233497 [3.0] 10010311 1A.01.01.02.01.01.05.09 Focus "감정: 불확실한 느낌, 자신감의 부족, 불완전, 부끄러움, 어색한 행동, 타인의 의견과 직면할 때 의견을 포기하거나 바꿈." H00850380 H00850409 Insight 병식 C0233820 [3.0] 1A.9.0303 Focus "병식(病識). 정신과에서는 환자가 자기의 병을 알고 있는 것으로, 여기에는 증상의 이상이 있다는 부분적인 것부터 환자 자신의 태도와 행동의 원인, 성질, 기전 등을 철저히 인식하고 있는 것까지가 있다." H00850409 H00850409 Insight 질병인식 C0233820 [3.0] 1A.9.0303 Focus "병식(病識). 정신과에서는 환자가 자기의 병을 알고 있는 것으로, 여기에는 증상의 이상이 있다는 부분적인 것부터 환자 자신의 태도와 행동의 원인, 성질, 기전 등을 철저히 인식하고 있는 것까지가 있다." H00850461 H00850461 Insomnia 불면증 C0917801 [3.0] 10010330 1A.01.01.01.11.01.04 Focus "수면 이상: 적절한 환경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함에도 불구하고 밤동안 또는 계획된 수면시간에 잠을 자거나 수면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만성적인 불능, 깨어 있음, 잠못듦; 종종 감정적인 스트레스, 불안, 통증, 불편감, 긴장, 뇌기능 장애 및 약물남용 같은 신체적, 정신적 요인과 관련됨." H00850474 H00850474 Insomnia 불면 C0917801 [3.0] 10010330 1A.01.01.01.11.01.04 Focus "수면 이상: 적절한 환경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함에도 불구하고 밤동안 또는 계획된 수면시간에 잠을 자거나 수면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만성적인 불능, 깨어 있음, 잠못듦; 종종 감정적인 스트레스, 불안, 통증, 불편감, 긴장, 뇌기능 장애 및 약물남용 같은 신체적, 정신적 요인과 관련됨." H00850541 H00850541 Inspection 시진 C0199219 [3.0] Focus 視診 눈으로 보고 진찰하는 방법 H00850684 H00850698 Inspiratory expiratory ratio 흡기호기비율 [3.0] Means "the ratio of the duration of inspiration to the duration of expiration. A range of 1:1.5 to 1:2 for an adult is considered acceptable for mechanical ventilation. Ratios of 1:1 or higher may cause hemodynamic complications, whereas ratios lower than 1:2 indicate lower mean airway pressure and fewer associated hazards.[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0850801 H00850815 Inspiratory pressure 흡기압 [3.0] Focus "흡기시에 가해지는 압력이고 인공호흡기를 사용할때 보통 최대흡기압을 15~20cmH2O에 세트하는데, 최고 안전한계는 70~80cmH2O 정도로 생각된다.[간호학대사전]" H00850992 H00850992 Instability 불안정 C1444783 [3.0] 1A.9.0304 Focus 안정성이 없는 상태. H00851432 H00851429 Instrument 기구 C0348000 [3.0] 2C.9.0086 Means "비교적 구조가 간단하고 조작이 쉬운, 생활의 편리함을 위해 사용되는 기계나 기기." H00851477 H00851477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도구적일상활동활동 C1290928 [3.0] O43.2 1A.9.0305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Complex activities performed to support basic life skills 기본적인 생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되는 복합적 활동 H00851481 H00851481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도구적일상활동장애 C0184557 [3.0] O38.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more complex activities than those needed to maintain oneself H00851494 H00851494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deteriorated 도구적일상활동장애 악화됨 [3.0] O38.2.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51500 H00851500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improved 도구적일상활동장애 개선됨 [3.0] O38.2.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51513 H00851513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stabilized 도구적일상활동장애 안정됨 [3.0] O38.2.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51849 H00851849 Insulin 인슐린 C0021641 [3.0] 10010400 2C.01.14.02 Means 신체 구성물질 H00852081 H00852081 Insulin pump 인슐린 펌프 C1140609 [3.0] Means 췌장과 같은 구실을 하는 의료기기로 몸 밖에 부착함으로써 인슐린을 적절히 공급해 정상혈당을 유지하고 그동안 췌장기능을 서서히 회복시키는 역할.인슐린이 소량씩 24시간 자동분비되며 식후에는 버튼을 눌러 인슐린을 주입하므로 신체리듬에 맞게 인슐린을 공급할 변하는 혈당치에 따라 펌프에 부착된 버튼을 통해 인슐린을 주입하는 혈당조절 방법으로 휴대용 기계. 작은 주사기와 이 주사기를 밀어주는 모터 그리고 모터를 조절하는 컴퓨터 장치와 전기를 공급하는 전 지로 H00855481 H00855481 Insurance 보험 C0021672 [3.0] 2B.9.0038 Focus "자본주의 사회에서 같은 종류의 사고를 당할 위험성이 있는 많은 사람이 미리 금전을 각출하여 공통준비재산을 형성하고, 사고를 당한 사람이 이것으로부터 재산적 급여를 받는 경제제도.[두산백과]" H00855559 H00855562 Intake 섭취량 C1512806 [3.0] 2B.9.0111 Focus 신체내에 위하여 이용되는 물질 또는 그 양. H00855562 H00855562 Intake 섭취 C1512806 [3.0] F15.3 2B.9.0110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measure the amount of fluid volume taken into the body 체내로 흡수되는 체액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0855691 H00855707 Integrity 통합성 C1947912 [3.0] 10010416 1A.01.01.02.01.02.04.02.04 Focus "상태: 완전하고 전체적이며, 분리되지 않거나 또는 손상되지 않는 상태." H00855772 H00855786 Integumentary system 외피계 C0037267 [3.0] 10010428 Focus "신체 체계: 신체 표면의 외피: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피부, 바깥 표피, 점막, 내부결합층 등의 조직, 땀샘과 피지샘을 포함하는 진피와 털 및 손발톱; 물리적인 찰과상, 박테리아 침입, 탈수와 자외선으로부터 아래의 조직을 보호; 체온 상승시 신체를 식히고,감각 기관으로서 온도, 접촉, 압력 및 동통과 관련된 자극을 감지, 염분과 유기 합성물을 배출하고, 분비 기관으로서 땀과 피지를 분비하고, 비타민 D를 합성하고 면역 체계의 면역 성분을 활성화함" H00856145 H00856145 Intensive care unit 중환자실 C0021708 [3.0] 10010444 Location 진료부서 H00867059 H00867059 Interaction 상호작용 C1704675 [3.0] 2B.9.0036 Focus "두 개 또는 그 이상이 서로 작용하는 성질, 상태 및 과정." H00874882 H00874882 Interpersonal dynamics analysis 대인관계분석 C2937198 [3.0] M39.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analysis of the driving forces in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 H00877461 H00877461 Interval 간격 C1272706 [3.0] 1A.9.0453 Focus 간헐적 | 지속적 두 개의 물건 또는 부분의 사이. H00877590 H00877590 Intervention 중재 [3.0] 10010535 Action 활동 H00880180 H00880176 Intestine 장 C0021853 [3.0] 10010557 Location 위장관계 구성요소 H00880291 H00880291 Intimacy 친밀 C0699756 [3.0] Focus 지내는 사이가 매우 친하고 가까움.[표준국어대사전] H00881358 H02466167 Intracerebral hemorrhage 뇌내출혈 C2937358 [3.0] I61.9 Focus 腦內出血 뇌출혈(腦出血)의 하나로 뇌실질 안으로 출혈되는 것 H00881666 H00881666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impairment 두개내적응능력장애 C0221543 [3.0] K25.7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Intracranial fluid volumes are compromised H00881670 H00881670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impairment deteriorated 두개내적응능력장애 악화됨 [3.0] K25.7.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81683 H00881683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impairment improved 두개내적응능력장애 개선됨 [3.0] K25.7.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81697 H00881697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impairment stabilized 두개내적응능력장애 안정됨 [3.0] K25.7.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0882252 H00882266 Intracranial pressure 두개내압 C0021880 [3.0] 10010655 2B.02.02.01.01.06 Focus 압력 H00882266 H00882266 Intracranial pressure 머리속압력 C0021880 [3.0] 10010655 2B.9.0112 Focus 압력 H00882316 H00882316 Intractability 난치성 [3.0] 1B.9.0100 Judgment 고치기 어려운 성질.[표준국어대사전] H00882493 H00882493 Intradermal test 진피내검사 C0021881 [3.0] 1A.9.0524 Focus "결핵에 감염된 사람의 피내에 정제 투베르클린을 주사하면, 국소에 발적경결이 나타나고, 24~48시간만에 그 반응은 최고에 도달한다(만트피내반응). 이런 종류의 반응을 피내반응이라고 하고, 가장 변화를 관찰하기 쉬운 부위로 피부가 꼽힌다. 투베르쿨린반응을 대표로 지연형 피내반응은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는 일이 많다. 또, 천식환자의 항체 IgE를 검출하기 위해 즉시형과민증반응도 피내를 반응하는 경우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0883756 H00883756 Intraocular pressure 안압 C0595921 [3.0] Focus "각막과 공막으로 싸여 있는 안구의 내부가 유지하고 있는 일정한 압력, 안내압이라고도 함." H00885555 H00885555 Intravenous care 정맥내주입간호 C0455142 [3.0] F79.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use of infusion equipment H00889766 H00889766 Iontophoresis 이온이동법 C0022024 [3.0] Means ∼移動法 직류전류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온화된 약물(ionic drugs)을 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 신체 안으로 침투시키는 전기치료 방법.[한국전통지식포털] H00890320 H00890320 Iridodilator 동공확대제 [3.0] 2C.9.0090 Means 눈의 동공을 크게 열게하는 약물. H00890333 H00890320 Iridodilator 산동제 [3.0] 2C.9.0090 Means 눈의 동공을 크게 열게하는 약물. H00891899 H00891921 Irregular menstruation 불규칙 월경 C0156404 [3.0] N92.6 Focus 不規則月經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생리를 일컫는 용어. 무배란 및, 희소배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0892146 H00892150 Irrigation 관류 C0022100 [3.0] Means "몸의 겉면이나 장기(臟器) 따위를 깨끗이 씻어 내는 치료 방법. 위(胃)나 장(臟)의 경우에는 물이나 세척제를 관(管) 따위를 이용하여 흘려 넣어 씻어 내는 일을 반복하는데, 유독성 물질을 먹었거나 급성의 소화기병이 걸렸을 때 이용." H00892150 H00892150 Irrigation 세척 C0022100 [3.0] Means "몸의 겉면이나 장기(臟器) 따위를 깨끗이 씻어 내는 치료 방법. 위(胃)나 장(臟)의 경우에는 물이나 세척제를 관(管) 따위를 이용하여 흘려 넣어 씻어 내는 일을 반복하는데, 유독성 물질을 먹었거나 급성의 소화기병이 걸렸을 때 이용." H00892454 H00892454 Irritability 피자극성 [3.0] 1A.9.0307 Focus "1) 약간의 자극에도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성질. 2) 불안정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약간의 자극이나 그럴만한 원인도 없는데 불쾌감이나 분노가 생기는 것이다. 신경쇠약상태(자극성쇠약), 뇌기질질환, 간질, 두부외상, 조울증 등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892468 H00892468 Irritability 과민성 C2700617 [3.0] 1A.9.0307 Focus "1) 약간의 자극에도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성질. 2) 불안정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약간의 자극이나 그럴만한 원인도 없는데 불쾌감이나 분노가 생기는 것이다. 신경쇠약상태(자극성쇠약), 뇌기질질환, 간질, 두부외상, 조울증 등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892471 H00892471 Irritability 흥분성 C2700617 [3.0] 1A.9.0307 Focus "1) 약간의 자극에도 비정상적으로 반응하는 성질. 2) 불안정성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약간의 자극이나 그럴만한 원인도 없는데 불쾌감이나 분노가 생기는 것이다. 신경쇠약상태(자극성쇠약), 뇌기질질환, 간질, 두부외상, 조울증 등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892888 H00893149 Irritant 자극제 C0022108 [3.0] Means "자극성, 자극 발생의. 흥분을 일으키는 2. 과민 상태. 과다 흥분이나 과민의 상태3.반응을 일으키는 물건이나 약물. " H00893474 H00893474 Ischemia 허혈 C0022116 [3.0] Focus "조직의 국부적인 빈혈 상태,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지는 것이 원인임." H00896214 H00896214 Isolation 격리 [3.0] Z29.0 10010906 2A.02.01.02.02.02 Focus 제한 활동: 사람들간에 경계를 유지하거나 어떤 사람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분리하는 것. H00896231 H00896214 Isolation 분리 [3.0] Z29.0 10010906 2A.02.01.02.02.02 Focus 제한 활동: 사람들간에 경계를 유지하거나 어떤 사람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분리하는 것. H00898593 H00898593 Isotonic dehydration 등장성탈수 C1112600 [3.0] 10041922 1A.01.01.01.07.02.01 Focus "탈수: 체액과 동일한 전해질 농도로 체액손실 상태, 갈증 징후는 없음." H00899369 H00899324 Itching 가려움 C0033774 [3.0] L29.9 10010934 1A.01.01.01.13.08 Focus 손상된 지각: 피부나 두피를 긁고 싶은 충동이 따르는 성가시고 저린 감각. H00899390 H00899390 Itchy sense 가려운감각 [3.0] 10010934 1A.01.01.01.13.08 Focus 손상된 지각: 피부나 두피를 긁고 싶은 충동이 따르는 성가시고 저린 감각. H00899775 H00899775 Jack knife position 잭나이프자세 [3.0] Location 엎드린 자세에서 머리와 다리를 낮추고 둔부를 좁게 조절하여 항문 부위가 노출되도록 하여 항문 수술 시에 쓰이는 체위. H00900605 H00900605 Jargon aphasia 횡설수설언어상실증 C0234473 [3.0] 1A.9.0251 Focus 언어의 이해면의 장애를 주요증상으로 하는 실어증에서 볼 수 있다. 자발언어는 장애를 받지 않으므로 회화는 유창하고수다스럽기조차 한데 착어(錯語)가 심하고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 있는 환자는 자신이 잘못 말하고 있는 것을 전혀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0900619 H00900605 Jargon aphasia 횡설수설실어증 C0234473 [3.0] 1A.9.0251 Focus 언어의 이해면의 장애를 주요증상으로 하는 실어증에서 볼 수 있다. 자발언어는 장애를 받지 않으므로 회화는 유창하고수다스럽기조차 한데 착어(錯語)가 심하고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 있는 환자는 자신이 잘못 말하고 있는 것을 전혀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0900640 H01772840 Jaundice 황달 C0022346 [3.0] R17 1A.9.0006 Focus "혈중의 빌리루빈량이 이상하게 증가한 병적상태. 안구결막이나 피부가 그 때문에 황색이 된다. 증가한 빌리루빈은 그질환의 원인에 따라서 성질이 다른데, 임상적으로는 (1) 용혈성 (2) 간세포성 (3) 폐색성의 3형으로 나누는 경우가 많다. 빌리루빈은 반덴베르그 반응에 의해 간접형(글루쿠론산 비포합형)과 직접형(글루쿠론포함형)이 있으며 제각기 양을 계측함으로써 황달을 일으킨 원인을 아는데 도움이 된다.[간호학대사전]" H00900721 H00900748 Jaw 아래턱 C0022359 [3.0] 10010947 1F.09.01 Location 신체 부분 H00900734 H00900748 Jaw 하악 C0022359 [3.0] 10010947 Location 아래쪽의 턱.[표준국어대사전] H00900748 H00900748 Jaw 턱 C0022359 [3.0] 10010947 Location 아래쪽의 턱.[표준국어대사전] H00900894 H00900894 Jealousy 질투 C0022371 [3.0] 10010952 1A.01.01.02.01.01.05.23 Focus "부정적 감정: 사랑이나 애정에 있어서 라이벌에 대해 의심하거나 분개하는 느낌, 형제자매간의 질투심은 자신을 향하는 대신에 타인을 향함." H00901804 H00901804 Joint 관절 C0022417 [3.0] 10010968 1F.09.02 Location 근골격계 구성요소 H00901902 H00901902 Joint contracture 관절구축 C0009918 [3.0] 10010975 1A.01.01.01.12.01.02.03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골절의 염전반사, 손, 손가락, 팔꿈치, 어깨, 발, 무릎, 발가락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방해하는 관절낭 결합조직의 섬유화, 제한된 움직임 또는 활동 불능, 관절의 비정 상적인 정렬, 수동적-능동적 관절운동의 부족으로 인한 근섬유 의 위축과 단축, 관절을 또는 덮고있는 광범위한 반흔의 형성으 로 인한 피부의 정상적인 탄성 손실." H00902287 H01262373 Joint pain 관절통 C0003862 [3.0] M25.59 Focus 關節痛 "관절의 통증을 전달하는 통각신경섬유는 대부분이 섬유관절포에, 일부가 인대에 분포하고 있다. 관절포라도 신경섬유는 활막에 달할 뿐이고 활막융모내에는 분포하지 않고 있다. 관절포를 잡고 비틀거나하면 강한 통증이 야기된다. 관절통은 여러가지의 원인으로 생기는데 변형성 관절증의 초기에서는 관절포나 인대에 비생리적인 외력이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되고 관절염의 동통은 염증성 변화가 활막을 넘어서 섬유관절포에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03049 H00903049 Jugular vein 목정맥 C0022427 [3.0] Location 머리와 얼굴의 혈액을 모아 심장으로 보내는 목에 있는 정맥. H00903052 H00903049 Jugular vein 경정맥 C0022427 [3.0] Location 머리와 얼굴의 혈액을 모아 심장으로 보내는 목에 있는 정맥. H00908896 H00908896 Kegel exercise 케겔운동 C0262718 [3.0] Means 소변 참을 때처럼 질 근육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 H00911259 H00027365 Ketonuria 케톤뇨 C0162275 [3.0] R82.4 2B.9.0113 Focus 당뇨병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요(尿)에 키톤체가 존재하는 것. H00912637 H00912641 Kidney 신장 C0022646 [3.0] 10022439 1A.9.0310 Location 비뇨기계 구성요소 H00912641 H00912641 Kidney 콩팥 C0022646 [3.0] 10022439 1A.9.0310 Location 비뇨기계 구성요소 H00913769 H00913772 Kinesitherapy 운동치료 C1096702 [3.0] 10023667 Means 요법 H00913822 H00913822 Kinesthetic alteration 운동감각장애 C0184562 [3.0] Q44.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diminished balance H00913836 H00913836 Kinesthetic alteration deteriorated 운동감각장애 악화됨 [3.0] Q44.3.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3840 H00913840 Kinesthetic alteration improved 운동감각장애 개선됨 [3.0] Q44.3.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3853 H00913853 Kinesthetic alteration stabilized 운동감각장애 안정됨 [3.0] Q44.3.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401 H00916414 Knee joint 슬관절 C0022745 [3.0] 10011003 Location 관절 H00916414 H00916414 Knee joint 무릎관절 C0022745 [3.0] 10011003 Location 관절 H00916476 H00916476 Knee presentation 무릎태위 C0426150 [3.0] Location "고관절은 신전하고 슬관절로 하지가 굴곡해 무릎이 선진하는 것. 전슬위(全膝位)(양쪽 무릎이 선진), 부전슬위(한쪽 무릎만 선진).[간호학대사전]" H00916480 H00916476 Knee presentation 슬위 C0426150 [3.0] Location "고관절은 신전하고 슬관절로 하지가 굴곡해 무릎이 선진하는 것. 전슬위(全膝位)(양쪽 무릎이 선진), 부전슬위(한쪽 무릎만 선진).[간호학대사전]" H00916669 H00916669 Knowledge deficit 지식부족 C1998986 [3.0] D08.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understanding, or comprehension" H00916672 H00916672 Knowledge deficit deteriorated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686 H00916686 Knowledge deficit improved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690 H00916690 Knowledge deficit stabilized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705 H00916705 Knowledge deficit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지식부족 C0184525 [3.0] D08.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on test(s) to identify disease or assess health condition H00916719 H00916719 Knowledge deficit of diagnostic test deteriorated 진단검사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1.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722 H00916722 Knowledge deficit of diagnostic test improved 진단검사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1.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736 H00916736 Knowledge deficit of diagnostic test stabilized 진단검사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1.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740 H00916740 Knowledge deficit of dietary regimen 식사 지식부족 C0184526 [3.0] D08.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on the prescribed diet/food intake H00916753 H00916753 Knowledge deficit of dietary regimen deteriorated 식사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2.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767 H00916767 Knowledge deficit of dietary regimen improved 식사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2.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771 H00916771 Knowledge deficit of dietary regimen stabilized 식사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2.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784 H00916784 Knowledge deficit of disease process 질병과정 지식부족 C0184527 [3.0] D08.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on the morbidity, course, or treatment of the health condition" H00916798 H00916798 Knowledge deficit of disease process deteriorated 질병과정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3.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03 H00916803 Knowledge deficit of disease process improved 질병과정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3.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17 H00916817 Knowledge deficit of disease process stabilized 질병과정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3.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21 H00916821 Knowledge deficit of fluid volume 체액량 지식부족 C0184528 [3.0] D08.4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on fluid volume intake requirements H00916834 H00916834 Knowledge deficit of fluid volume deteriorated 체액량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4.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48 H00916848 Knowledge deficit of fluid volume improved 체액량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4.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51 H00916851 Knowledge deficit of fluid volume stabilized 체액량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4.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65 H00916865 Knowledge deficit of medicatiion regimen 투약 지식부족 C0184529 [3.0] D08.5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on prescribed regulated course of medicinal substances H00916879 H00916879 Knowledge deficit of medicatiion regimen deteriorated 투약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5.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82 H00916882 Knowledge deficit of medicatiion regimen improved 투약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5.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896 H00916896 Knowledge deficit of medicatiion regimen stabilized 투약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5.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901 H00916901 Knowledge deficit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지식부족 C0184530 [3.0] D08.6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on measures to prevent injury, danger, or loss" H00916915 H00916915 Knowledge deficit of safety precautions deteriorated 안전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6.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929 H00916929 Knowledge deficit of safety precautions improved 안전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6.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932 H00916932 Knowledge deficit of safety precautions stabilized 안전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6.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946 H00916946 Knowledge deficit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지식부족 C0184531 [3.0] D08.7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information on regulated course of treating disease H00916950 H00916950 Knowledge deficit of therapeutic regimen deteriorated 치료 지식부족 악화됨 [3.0] D08.7.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963 H00916963 Knowledge deficit of therapeutic regimen improved 치료 지식부족 개선됨 [3.0] D08.7.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6977 H00916977 Knowledge deficit of therapeutic regimen stabilized 치료 지식부족 안정됨 [3.0] D08.7.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7885 H00917885 Kussmaul respiration 쿠스마울호흡 C0541813 [3.0] Focus "당뇨병혼수 또는 요독증성 혼수시에 볼 수 있다. 지속된 이상하게 깊고 느린 호흡을 말한다. 당뇨병성 혼수시에는 호기에 아세톤냄새를 수반한다. 이와같은 상태일 때에는 동맥혈 pH는 대사성 한증로 되고 있으며, 그것이 호기 중추를 자극해서 이상한 호흡패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와같은 과환기가 혈액의 탄산가스 농도를 낮추고 산증의 정도를 가볍게 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17904 H00917918 Kwashiorkor 크와시오르코르 C0022806 [3.0] E40 10011057 1A.01.01.01.04.02.05.02 Focus "영양실조: 주로 아동에서 열량부족 없는 심한 단백질 부족 상태로 피부와 머리카락 색소 변화, 설사, 식욕감퇴, 민감, 불안정, 부종, 빈혈, 피부염, 또는 비타민 결핍을 동반한 급격한 체중감소 없는 발육부진." H00917921 H00917918 Kwashiorkor 단백열량부족증 C0022806 [3.0] E40 10011057 1A.01.01.01.04.02.05.02 Focus "영양실조: 주로 아동에서 열량부족 없는 심한 단백질 부족 상태로 피부와 머리카락 색소 변화, 설사, 식욕감퇴, 민감, 불안정, 부종, 빈혈, 피부염, 또는 비타민 결핍을 동반한 급격한 체중감소 없는 발육부진." H00919815 H00919846 Labor 출산 C0022864 [3.0] 10004311 1A.01.01.01.15.03.02.S.0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자궁경부가 확장되기 시작하면서부터 태반 분만까지 분만 동안 발생하는 주산기 신체 과정 H00919829 H00919829 Labor 진통 C0022864 [3.0] 10011088 Focus "통증: 분만시에 자궁의 수축과 자궁경부의 확장으로 인해 나타나며, 강도와 주기가 점차 증가하는 통증 감각." H00919850 H00919850 Labor care 분만간호 C1171200 [3.0] U75.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bringing forth of an offspring/child H00919863 H00920184 Labor pain 분만통 C0474368 [3.0] 10011088 Focus "통증: 분만시에 자궁의 수축과 자궁경부의 확장으로 인해 나타나며, 강도와 주기가 점차 증가하는 통증 감각." H00919881 H00919881 Labor risk 진통 위험성 C1171164 [3.0] U6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 during the period supporting the bringing forth of an offspring/child H00919894 H00919894 Labor risk deteriorated 진통 위험성 악화됨 [3.0] U60.2.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9900 H00919900 Labor risk improved 진통 위험성 개선됨 [3.0] U60.2.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19913 H00919913 Labor risk stabilized 진통 위험성 안정됨 [3.0] U60.2.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20346 H00511019 Labored respiration 호흡곤란 C0553668 [3.0] R06.0 10006461 1A.01.01.01.01.02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순환혈액내 불충분한 산소, 불편감과 불안과 관련되어 있는, 폐 안팎으로의 힘든 공기의 움직임, 짧은호흡" H00920802 H00920847 Laceration 열상 C0043246 [3.0] T14.1 10011090 1A.01.01.01.10.03.06.02.03 Focus "외상성 상처: 심한, 간혹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조직 손상과 쇼크의 위험을 동반한 혈액과 장액의 손실을 보이는 찢어지고 불규칙한 상처." H00922582 H00922596 Lacrimal duct 누관 C0459624 [3.0] Location 눈물관. 눈물이 흘러내리는 통로. 눈물샘에서 만들어진 눈물이 눈을 적신 뒤 이곳을 거쳐 코 안쪽으로 내려가게 됨. H00922596 H00922596 Lacrimal duct 눈물관 C0459624 [3.0] Location 눈물관. 눈물이 흘러내리는 통로. 눈물샘에서 만들어진 눈물이 눈을 적신 뒤 이곳을 거쳐 코 안쪽으로 내려가게 됨. H00923814 H00923828 Lactation 수유 C0022925 [3.0] 10011100 1A.01.01.01.08.01 Focus "분비 과정: 성숙된 여성 유방의 유선을 통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이 포함된 모유를 합성하고 분비하는 과 정; 인유는 영아와 어린이의 영양을 공급하는 기초 식품." H00925689 H00925689 Laminaria 라미나리아 C0022980 [3.0] Means "해초 laminaria digitata의 뿌리를 건조, 소독한 것. 똑바른 원주상으로 가공하며, 대, 중, 소, 극소의 4종이 있다. 초산부의 자궁내용 제거술, 분만유도등으로 자궁경관을 서서히 확장하는 경우에 이용한다. 금속확장기로 경관을 확장한 후, 라미나리아을 내자궁구까지 충분하게 삽입한다. 수분을 빨아들여서 팽윤해서 순시간에 굵기가 2~3배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0926129 H00926129 Language 언어 C0023008 [3.0] 1A.9.0312 Focus 음성 및 기타의 수단에 의한 표현 또는 전달. H00929824 H00929838 Large intestine 대장 C0021851 [3.0] Location 소화관 중에서 작은 창자[小腸]에 이어지는 부분. H00930632 H00930632 Laryngitis 후두염 C0023067 [3.0] Focus 喉頭炎 "후두염은 다음의 3가지로 대별된다. 1) 급성후두염 : 상기도염의 부분증상으로서 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후두 점막의 발적, 종창이 있고, 사성(嗄聲), 기침, 후두통을 호소한다. 소아의 경우 성문하 점막이 부종을 일으키면 호흡곤란이 되고 중증이다(가성크루프). 후두개에 염증이 미치면 연하곤란, 섭식불능, 호흡곤란이 되는 경우가 있다. 2) 만성후두염 : 급성염증의 반복이나 음성의 혹사, 자극물의 흡인 등이 원인이고 후두 점막 전체의 발적, 비후를 일으켜 거칠은 음성이 된다. 성대의 부종이 국한성인 경우, 그 형상에서 유경성(有莖性)에 가까운 것을 성대폴립, 광기성(廣基性)인 것을 폴립성 성대라고 한다. 성대 결절은 목소리를 사용하는 직업이나 큰 소리를 내는 소아에게 생기기 쉽고 양측에 대칭성으로 생기는 것이다. 모두 절제의 적응이 된다. 3) 특수성 후두염 : 결핵성 후두염, 매독성 후두염, 후두 디프테리아 등이 있는데 최근 감소경향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31460 H00931460 Larynx 후두 C0023078 [3.0] 10011137 1F.11.01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0931523 H00931523 Laser 레이저 C0023089 [3.0] 10011144 2B.9.0041 Means 수술기구 H00932171 H00932171 Last menstrual period 최종월경주기 C0425932 [3.0] 1A.9.0313 Focus "최후의 월경. 최종월경시작 제1일에서부터 계산해서 임신주수, 분만 예정일을 산출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각개 여성의 성주기(性周期). 임신후의 월경. 임신중의 성기출혈에 대해서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갱년기에 관해서는 이 말은 쓰지 않는다.[간호학대사전]" H00934468 H00934454 Laterality 편측성 [3.0] 10011163 1E.03 Location Rt. | Lt. | both 상태 H00934762 H00934762 Latex 라텍스 C0023115 [3.0] 2B.9.0042 Focus "어느 종류의 종자식물(種子植物)에서 분비되는 점착성의 유상액(乳狀液). 예를 들면, 고무나무의 상처를 낸 꼅질에서 나오는 유액 등." H00934776 H00934776 Latex allergy response 라텍스알레르기반응 C0812341 [3.0] R46.5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진단(간호진단) Pathological reaction to latex products H00934780 H00934780 Latex allergy response deteriorated 라텍스알레르기반응 악화됨 [3.0] R46.5.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34793 H00934793 Latex allergy response improved 라텍스알레르기반응 개선됨 [3.0] R46.5.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34809 H00934809 Latex allergy response stabilized 라텍스알레르기반응 안정됨 [3.0] R46.5.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0935233 H00935233 Law 법 [3.0] 10011214 Focus "심리사회적 구조: 사회 생활과 관련하여 중앙정부와 정부 관계 자, 또는 시민에게 적용 가능한 법률, 지침 또는 규칙에 대한 당국의 선언." H00936141 H00936141 Lead time 조기발견기간 [3.0] 1A.9.0455 Focus 만성질환의 자연사를 고려할 경우에 병리학적 변화가 출현하고 나서 증상발현까지에 이르는 시간을 말한다. 스크리닝 효과를 판정할 때에 스크리닝은 발견된 환자와 수진한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하는 경우 이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가 문제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0936642 H00936642 Leakage 누출 C0015376 [3.0] 1A.9.0314 Focus 액체가 맥관이나 용기에서 새어나오는 것. H00936656 H00936642 Leakage 새기 C0015376 [3.0] 1A.9.0314 Focus 액체가 맥관이나 용기에서 새어나오는 것. H00937161 H00937131 Left 좌측 C0205091 [3.0] 10011267 Location 좌측 우측 위치 H00937886 H00937886 Leg 다리 C0023216 [3.0] 10011298 1F.11.02 Location 신체 부분 H00940784 H00940784 Length 길이 C1444754 [3.0] 10011312 Focus 신체적 영역 H00941093 H00941093 Lens 수정체 C0023317 [3.0] Location "안구의 동공 바로 뒤에 붙어 있는 볼록 렌즈 모양의 탄력성 있는 투명체, 거리의 원근에 따라 표면의 곡률(曲率)을 조절하여 눈에 들어온 광선을 적당한 각도로 굴절시켜 망막에 물체의 실상(實像)을 만듦." H00943829 H00943846 Lesion 병소 C0221198 [3.0] Focus "병터가 있는 부위. 피부에서는 이러한 부위를 병터형태에 따라 물집, 구진, 두드러기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부르고 다른 장기조직에서도 모든 비정상적인 조직변화를 나타냄." H00943846 H00943846 Lesion 병터 C0221198 [3.0] Focus "병터가 있는 부위. 피부에서는 이러한 부위를 병터형태에 따라 물집, 구진, 두드러기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부르고 다른 장기조직에서도 모든 비정상적인 조직변화를 나타냄." H00943850 H00943846 Lesion 병변 C0221198 [3.0] Focus "병터가 있는 부위. 피부에서는 이러한 부위를 병터형태에 따라 물집, 구진, 두드러기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부르고 다른 장기조직에서도 모든 비정상적인 조직변화를 나타냄." H00944401 H02770501 Lethargy 기면 C0023380 [3.0] R53 10018512 1A.01.01.01.13.18.02 Focus 손상된 의식: 병적인 수면과 비정상적인 졸리움. H00944415 H02770501 Lethargy 졸음증 C0023380 [3.0] R53 10018512 1A.01.01.01.13.18.02 Focus 손상된 의식: 병적인 수면과 비정상적인 졸리움. H00945418 H00945418 Leukocyte 백혈구 C0023516 [3.0] Means "1) 혈액내에 골수구계세포와 림프계세포, 단핵구계세포를 모두 통틀어 말한다. 백혈구의 증가가 있으면 대개 감염이 있거나, 혹은 탈수현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지나친 백혈구수의 감소는 인체내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음을 의미하며, 다른 질병에 의해 나타나는 이차적인 현상이 아닌지 꼭 진단을 받아보아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적혈구에 비해 큰 세포. 외부로부터 침범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이물질을 탐식, 제거하고 암에 저항하며 우리 몸을 방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체 내에 혈액 1mm [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H00947007 H01814931 Leukoplakia 백반 C0023531 [3.0] Focus 白斑 "이것은 피부의 병적상태나 혹은 정상적인 노화상태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전악성병터(premalignant lesion)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쉽게 말해 이것은 곧 손쉽게 악성병변으로 이행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주로 구강의 안쪽점막이나, 여성의 외음부 점막에 위치하게 하는 데 나중에 암으로 발전하여 생명에 위협을 가져오게 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947217 H00947217 Leukorrhea 백색질분비물 C0023533 [3.0] Focus 白帶 흔히 여성의 질분비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냉대하 또는 대하 라고 하는데 이중 하얗게 보인다 하여 백대하라고도 불린다. 대개 대부분의 냉대하라고 하면 이 백대하를 뜻한다. 대개 여성의 질내부에 이상소견이 있을 때 이런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목염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947221 H02725241 Leukorrhea 백대하 C0023533 [3.0] N89.8 Focus 白帶下 흔히 여성의 질분비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냉대하 또는 대하 라고 하는데 이중 하얗게 보인다 하여 백대하라고도 불린다. 대개 대부분의 냉대하라고 하면 이 백대하를 뜻한다. 대개 여성의 질내부에 이상소견이 있을 때 이런 증상을 호소하게 된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자궁목염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0949131 H00949131 Lidocaine 리도카인 C0023660 [3.0] 2C.9.0101 Means "백색 또는 황색의 결정성 분말. 마취, 진정, 진통 및 진경(鎭痙)작용을 가지고 있고, 또한 심장억제작용도 가지고 있다. 국소마취제로서 피부 및 점막에 국소적용하며 또한 심실성 부정맥의 치료에도 쓰인다." H00949484 H00949484 Life cycle component 생의주기요소 C1171152 [3.0] U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life span of individuals. H00949498 H00949498 Life expectancy 기대여명 C0023671 [3.0] 10011331 Focus 상태: 주어진 인구집단에서의 출생시 생존자들의 평균 사망연령. H00949700 H00949700 Ligament 인대 C0023686 [3.0] Location 근육이 뼈에 부착되는 위치에 근육과 뼈사이에 연결고리로써 이 인대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것이 아킬레스힘줄이다. 또한 뼈와 뼈사이의 연결에 있어서도 이 인대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 H00949937 H00949954 Ligation 결찰 C0023690 [3.0] Means 結札 "실로 병변부위를 묶어 점차 괴사, 탈락시키는 방법" H00949954 H00949954 Ligation 묶음 C0023690 [3.0] Means "실로 병변부위를 묶어 점차 괴사, 탈락시키는 방법" H00952334 H00952348 Light reflex 대광반사 C0234671 [3.0] 1A.9.0317 Focus 1. 고막에서 반사하는 광상(光像) 2. 망막경(網膜鏡)의 거울로 망막에서 반사되어 보이는 환상광점(喚想光點) 3. 눈에 빛을 비추면 동공이 축소되는 것. H00952348 H00952348 Light reflex 빛반사 C0234671 [3.0] 1A.9.0317 Focus 1. 고막에서 반사하는 광상(光像) 2. 망막경(網膜鏡)의 거울로 망막에서 반사되어 보이는 환상광점(喚想光點) 3. 눈에 빛을 비추면 동공이 축소되는 것. H00952575 H00609920 Limb 팔다리 C0015385 [3.0] 1F.04.03.S.001 Location 보행과 파악에 사용되는 신체의 쌍의 부속기 중의 하나. 상지 혹은 하지로서 그 구성성분을 모두 포함한다. H00952589 H00609920 Limb 사지 C0015385 [3.0] 1F.04.03.S.001 Location 보행과 파악에 사용되는 신체의 쌍의 부속기 중의 하나. 상지 혹은 하지로서 그 구성성분을 모두 포함한다. H00954441 H00954441 Limitation 제한 C0449295 [3.0] 1B.38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어느 정도나 수준에서 제한되는 것. H00954696 H00954682 Limping 절뚝거림 C1456822 [3.0] 1A.9.0319 Focus "보행형태(보용)의 이상을 말한다. 원인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소아마비등 하지의 이완성마비에 의한 마비성파행, 뇌성마비나 뇌졸중편마비 등 하지경성마비에 의한 경성(痙性)파행, 평형기능장애에 의한 실조성파행, 선천성 고관절탈구 등에 나타나는 탄력추락성 파행, 좌우의 각장차(脚長差)에 의한 경성 추락성 파행 등이 있다. 그외에도 통증성 파행이나 관절강직에 의한 파행 등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54701 H00954682 Limping 파행 C1456822 [3.0] 1A.9.0319 Focus "보행형태(보용)의 이상을 말한다. 원인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소아마비등 하지의 이완성마비에 의한 마비성파행, 뇌성마비나 뇌졸중편마비 등 하지경성마비에 의한 경성(痙性)파행, 평형기능장애에 의한 실조성파행, 선천성 고관절탈구 등에 나타나는 탄력추락성 파행, 좌우의 각장차(脚長差)에 의한 경성 추락성 파행 등이 있다. 그외에도 통증성 파행이나 관절강직에 의한 파행 등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56285 H00956285 Lip 입술 C0023759 [3.0] 10011377 1F.11.04 Location 신체 부분 H00959493 H00959493 Lithotomy position 돌제거술 자세 C0150665 [3.0] 10011401 2C.9.0102 Location "1) 자세 3) 회음, 질, 자궁, 직장, 항문 등의 진찰이나, 치료조치 또는 분만개조(分晚介助)시에 환자에게 취하게 하는 체위이다. 내진대(內診台)위나 수술대위 또는 분만대위에 위를 보고 눕혀, 양대퇴(兩大腿)를 벌리고 복부에 가깝게 양무릎을 굽히거나, 슬와부(膝窝部)를 검진대의 지지봉의 쇠장식위에 올리거나, 또는 끈으로 발과 발목관절을 떠받쳐서 끈을 지지봉에 걸어, 전부(殿部)를 대상(台上)의 테두리에 고정시킨다.[간호학대사전]" H00959509 H00959493 Lithotomy position 결석제거술자세 C0150665 [3.0] 10011401 2C.9.0102 Location "1) 자세 4) 회음, 질, 자궁, 직장, 항문 등의 진찰이나, 치료조치 또는 분만개조(分晚介助)시에 환자에게 취하게 하는 체위이다. 내진대(內診台)위나 수술대위 또는 분만대위에 위를 보고 눕혀, 양대퇴(兩大腿)를 벌리고 복부에 가깝게 양무릎을 굽히거나, 슬와부(膝窝部)를 검진대의 지지봉의 쇠장식위에 올리거나, 또는 끈으로 발과 발목관절을 떠받쳐서 끈을 지지봉에 걸어, 전부(殿部)를 대상(台上)의 테두리에 고정시킨다.[간호학대사전]" H00959882 H00959882 Liver 간 C0023884 [3.0] Location "횡격막 바로 밑 오른쪽에 있는 기관. 탄수화물을 저장하고, 단백질이나 당의 대사를 조절하며 해독작용을 함." H00962066 H00962066 Local anesthesia 국소마취 C0002921 [3.0] Focus "환자의 의식을 잃지 않게 하고, 수술하려는 부위만 무통(無痛)으로 하는 마취법." H00962070 H00962070 Local anesthetic 국소마취제 C3536836 [3.0] Means 국부 마취에 쓰는 약제. H00964210 H00964210 Lochia 산후질분비물 C0227855 [3.0] 1A.9.0321 Focus 분만 후 제1주 또는 제2주 사이에 나타나는 질분비물. H00964223 H00964210 Lochia 오로 C0227855 [3.0] 1A.9.0321 Focus 분만 후 제1주 또는 제2주 사이에 나타나는 질분비물. H00965551 H00965551 Longitudinal presentation 종태위 [3.0] Location 태아의 세로축과 모체가로축이 평행하고 있는 것으로 이 가운데 아두가 자궁구(아래쪽)로 향하고 있는 것을 두위. 반대로 아두는 위쪽에 있고 아기의 골반이 아래 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둔위라고 한다. 횡위(横位)와 달리 대부분 자연스럽게 진통에 의해 만출될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65565 H00965551 Longitudinal presentation 세로태위 [3.0] Location 태아의 세로축과 모체가로축이 평행하고 있는 것으로 이 가운데 아두가 자궁구(아래쪽)로 향하고 있는 것을 두위. 반대로 아두는 위쪽에 있고 아기의 골반이 아래 쪽으로 향하고 있는 것을 둔위라고 한다. 횡위(横位)와 달리 대부분 자연스럽게 진통에 의해 만출될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66862 H00966862 Loss 상실 C1517945 [3.0] Judgment 어떤 사람과 관계가 끊어지거나 헤어지게 됨. H00967221 H00967221 Low back pain 요통 C0024031 [3.0] M54.5 Focus 허리가 아픈 증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 H00967252 H00967221 Low back pain 허리통증 C0024031 [3.0] M54.5 Focus 허리가 아픈 증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 H00967981 H00967981 Low weight 저체중 C0041667 [3.0] 10020263 Focus 체중 이상 H00969115 H00969129 Lower extremity 하지 C0023216 [3.0] 10011298 1F.11.02 Location 신체 부분 H00969129 H00969129 Lower extremity 다리 C0023216 [3.0] 10011298 1F.11.02 Location 신체 부분 H00969200 H00969200 Lower eyelid 아래눈꺼풀 C0229258 [3.0] Location 아래 눈꺼풀. H00969213 H00969200 Lower eyelid 하안검 C0229258 [3.0] Location 아래 눈꺼풀. H00969907 H00969907 Lubricant 윤활제 C0282222 [3.0] Means 서로 접촉해서 미끄러지는 두 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물질. H00971282 H00971282 Lumbar vertebra 허리뼈 C0024091 [3.0] Location 등뼈를 이루는 허리 부분의 뼈 H00971296 H00971282 Lumbar vertebra 요추 C0024091 [3.0] Location 腰椎 등뼈를 이루는 허리 부분의 뼈 H00972724 H01422464 Lung 폐 C0024109 [3.0] I27.0 10011486 1F.11.05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0975672 H00975672 Lymph node 림프절 C0024204 [3.0] Location 림프의 군데군데에 있어서 림프를 만들어내는 림프샘. H00976689 H00976689 Lymphedema 림프부종 C0024236 [3.0] 10031661 Focus 부종 H00986426 H00986426 Ma huang 마황 [3.0] Means 麻黃 원줄기는 한약재로서 발한·해열·진해·이뇨제의 효능이 있고 열병과 천식치료에 사용한다. H00986507 H00986511 Maceration 물렁화 C0333525 [3.0] 10011493 1A.01.01.01.10.03.04 Focus 상처: 습하고 축축한 피부가 오래지속되어 신체표면을 덮는 조직의 광범위한 찰과상. H00986511 H00986511 Maceration 짓무름 C0333525 [3.0] 10011493 1A.01.01.01.10.03.04 Focus 상처: 습하고 축축한 피부가 오래지속되어 신체표면을 덮는 조직의 광범위한 찰과상. H00986524 H00986511 Maceration 침연 C0333525 [3.0] 10011493 1A.01.01.01.10.03.04 Focus 상처: 습하고 축축한 피부가 오래지속되어 신체표면을 덮는 조직의 광범위한 찰과상. H00990862 H00990862 Magnitude 크기 C1704240 [3.0] 10018218 1B.9.0103 Judgment 상태 H00991753 H00991753 Malaise 병감 C0231218 [3.0] Focus "단순히 따분함만을 뜻하지는 않으며, 몸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는 불확실한 감정을 의미함. 이유를 알 수 없는 발열 등에서 많이 동반되며, 단순히 환자의 감정상태만을 나타내므로 이것이 곧 병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H00991784 H00991753 Malaise 권태 C0231218 [3.0] Focus "단순히 따분함만을 뜻하지는 않으며, 몸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는 불확실한 감정을 의미함. 이유를 알 수 없는 발열 등에서 많이 동반되며, 단순히 환자의 감정상태만을 나타내므로 이것이 곧 병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H00992238 H00992238 Male 남성 C0086582 [3.0] 1A.9.0333 Focus 정자를 생산하여 아이를 만들 수 있는 성적 능력이 있는 생물. H00992658 H00358046 Malformation 기형 C0000768 [3.0] Q00-Q99 1A.9.0033 Focus "태아가 발육하는 과정에서 유전자의 이상이나 모체를 통한 약물, 감염 등에 의해 발육이 저지, 장애를 받고 또는 과잉으로 발육, 분리하거나 해서 이상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한 장기에 대한 것도 있고 복잡하게 많은 장기에 걸치는 것에서부터 태아전체에 나타나는 것까지 있다. 대표적인 것을 들면 유전자에 따른 것으로는 다지증(多指症), 상해작용에서는 방사선의 영향이 크고 무뇌아가 되는 수도 있다. 약물에서는 탈리다마이드가 해표상지증(海豹上脂症)을, 풍진이 심장기형을 불러 일으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간호학대사전]" H00992868 H00993812 Malignancy 암 C0006826 [3.0] Focus 간호현상: 퇴형성 침윤 및 전이의 성질을 가진 것. H00992871 H00993812 Malignancy 악성종양 C0006826 [3.0] Focus 간호현상: 퇴형성 침윤 및 전이의 성질을 가진 것. H00992885 H00992885 Malignancy 악성 [3.0] 1B.9.0001 Judgment 간호현상: 퇴형성 침윤 및 전이의 성질을 가진 것. H01004859 H01004859 Malnutrition 영양실조 C0162429 [3.0] E40-E46|O25 10042077 1A.01.01.01.04.02.05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식사불량, 흡수장애, 음식과 영양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질환과 연관되어 영양소의 질적 불균형 또는 불충분한 섭취로 인한 영양불량 상태." H01004861 H01004859 Malnutrition 영양불량 C0162429 [3.0] E40-E46|O25 10042077 1A.01.01.01.04.02.05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식사불량, 흡수장애, 음식과 영양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질환과 연관되어 영양소의 질적 불균형 또는 불충분한 섭취로 인한 영양불량 상태." H01005588 H01005588 Malposition 위치 이상 C0333042 [3.0] Focus "변위, 비정상적인 또는 기형적인 위치. " H01005661 H01005661 Malpresentation 이상태위 C0233256 [3.0] Location "an abnormal position of the fetus in the birth canal.[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1005673 H01005661 Malpresentation 태아위치이상 C0233256 [3.0] Location "an abnormal position of the fetus in the birth canal.[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1005699 H01005661 Malrepresentation 태아위치이상 [3.0] Location "an abnormal position of the fetus in the birth canal.[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1006207 H00207813 Mamma 유방 C0006141 [3.0] 10003650 1F.02.07 Location 신체 부분 H01006361 H01006361 Mammary gland 젖샘 C0929301 [3.0] 10011618 1A.01.01.01.10.04.01 Location "여성생식기계: 두 개의 원반모양의 반구형의 선 중의 하나, 성숙한 여성의 가슴, 여아에서는 미성숙한 형태이고, 남성에게는 흔적이 있는 형태로 존재함; 영아를 양육하기 위한 모유를 분비 하는 기본적 요소를 포함; 여성의 가슴은 여성성의 일부분로 여겨진다." H01006374 H01006361 Mammary gland 유선 C0929301 [3.0] 10011618 1A.01.01.01.10.04.01 Location "여성생식기계: 두 개의 원반모양의 반구형의 선 중의 하나, 성숙한 여성의 가슴, 여아에서는 미성숙한 형태이고, 남성에게는 흔적이 있는 형태로 존재함; 영아를 양육하기 위한 모유를 분비 하는 기본적 요소를 포함; 여성의 가슴은 여성성의 일부분로 여겨진다." H01006460 H01131538 Mammilla 유두 C1185552 [3.0] 10013224 1F.13.05 Location 신체 부분 H01006736 H01006736 Manage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활동활동 관리 [3.0] O43.1.4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749 H01006749 Manage activity care 활동간호 관리 C1269738 [3.0] A01.0.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751 H01006751 Manage acute pain control 급성통증조절 관리 C1443468 [3.0] Q47.1.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764 H01006764 Manage adult day center 주간보호센터 관리 C1268940 [3.0] G17.1.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777 H01006777 Manage alcohol abuse control 알콜남용통제 관리 C1443466 [3.0] N40.2.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780 H01006780 Manage allergic reaction care 알레르기반응조절 관리 [3.0] I26.0.4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792 H01006792 Manage ambulation therapy 보행요법 관리 C1269743 [3.0] A03.1.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06 H01006806 Manage arterial catheter care 동맥관간호 관리 [3.0] F79.3.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19 H01006819 Manage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사용간호 관리 C1269744 [3.0] A03.2.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21 H01006821 Manage bedbound care 침상간호 관리 C1272371 [3.0] A61.0.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34 H01006834 Manage behavior care 행동간호 관리 [3.0] D10.0.4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47 H01006847 Manage bereavement support 사별지지 관리 C1272484 [3.0] E14.1.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50 H01006850 Manage bill of rights 환자권리 관리 [3.0] G19.1.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62 H01006862 Manage bladder care 방광간호 관리 C1272332 [3.0] T58.0.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75 H01006875 Manage bladder instillation 방광점적 관리 C1272333 [3.0] T58.1.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88 H01006888 Manage bladder ostomy care 방광루간호 관리 [3.0] T83.0.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891 H01006891 Manage bladder ostomy irrigation 방광루세척 관리 [3.0] T83.1.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04 H01006904 Manage bladder training 방광훈련 관리 C1272334 [3.0] T58.2.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17 H01006917 Manage blood pressure 혈압 관리 C1272452 [3.0] K33.1.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20 H01006920 Manage blood specimen care 혈액검사간호 관리 C1272445 [3.0] K32.1.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32 H01006932 Manage bowel care 장간호 관리 C1272337 [3.0] B06.0.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45 H01006945 Manage bowel ostomy care 장루간호 관리 [3.0] B07.0.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58 H01006958 Manage bowel ostomy irrigation 장루세척 관리 [3.0] B07.1.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61 H01006961 Manage bowel training 배변훈련 관리 C1272338 [3.0] B06.1.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73 H01006973 Manage breastfeeding support 모유수유지지 관리 [3.0] J66.0.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86 H01006986 Manage breathing exercises 호흡운동 관리 C1272360 [3.0] L36.1.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6999 H01006999 Manage burn care 화상간호 관리 [3.0] R81.0.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06 H01007006 Manage cardiac care 심장간호 관리 C1272478 [3.0] C08.0.4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19 H01007019 Manage cardiac rehabilitation 심장재활 관리 C1272339 [3.0] C08.1.4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21 H01007021 Manage cast care 석고붕대간호 관리 C1272471 [3.0] A02.1.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34 H01007034 Manage cataract care 백내장간호 관리 C1272379 [3.0] Q50.1.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47 H01007047 Manage chemotherapy care 항암요법간호 관리 C1272415 [3.0] H22.0.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50 H01007050 Manage chest physiotherapy 흉부물리요법 관리 C1272361 [3.0] L36.2.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62 H01007062 Manage chronic pain control 만성통증조절 관리 C1443473 [3.0] Q47.2.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75 H01007075 Manage circulatory care 순환계간호 관리 C1443488 [3.0] S70.0.4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88 H01007088 Manage clinical measurements 임상측정 관리 C1444327 [3.0] K31.4.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091 H01007091 Manage comfort care 안위간호 관리 C1272375 [3.0] Q48.0.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04 H01007104 Manage communication care 의사소통간호 관리 C1444355 [3.0] M38.0.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17 H01007117 Manage community special services 지역사회서비스프로그램 관리 C1272403 [3.0] G17.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20 H01007120 Manage compliance care 이행증진간호 관리 C1444253 [3.0] G18.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32 H01007132 Manage compliance with diet 식사이행 관리 C1444256 [3.0] G18.1.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45 H01007145 Manage compliance with fluid volume 수분섭취이행 관리 C1444259 [3.0] G18.2.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58 H01007158 Manage compliance with medical regimen 의사지시이행 관리 C1444262 [3.0] G18.3.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61 H01007161 Manage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 투약이행 관리 C1444265 [3.0] G18.4.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73 H01007173 Manage compliance with safety precaution 안전주의이행 관리 C1444268 [3.0] G18.5.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86 H01007186 Manage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 치료지시이행 관리 C1444271 [3.0] G18.6.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199 H01007199 Manage contraception care 피임간호 관리 C1443485 [3.0] U74.3.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02 H01007202 Manage coping support 대처기전지지 관리 C1272480 [3.0] E12.1.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15 H01007215 Manage counseling service 상담서비스 관리 C1272794 [3.0] E12.0.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28 H01007228 Manage crisis therapy 위기간호 관리 C1443432 [3.0] E12.3.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31 H01007231 Manage delivery care 분만간호 관리 C1443523 [3.0] U75.3.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43 H01007243 Manage denture care 의치간호 관리 C1272387 [3.0] R53.1.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56 H01007256 Manage diabetic care 당뇨간호 관리 C1272423 [3.0] I27.0.4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69 H01007269 Manage dialysis care 투석간호 관리 C1272335 [3.0] T59.0.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71 H01007271 Manage diarrhea care 설사간호 관리 C1443404 [3.0] B06.4.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84 H01007284 Manage disimpaction 매복변제거 관리 C1272474 [3.0] B06.2.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297 H01007297 Manage diversional care 전환간호 관리 [3.0] A77.0.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01 H01007301 Manage drainage tube care 배액튜브간호 관리 C1272388 [3.0] R55.1.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13 H01007313 Manage dressing change 드레싱교환 관리 C1272389 [3.0] R55.2.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26 H01007326 Manage drug abuse control 약물남용통제 관리 C1443463 [3.0] N40.3.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39 H01007339 Manage dying/death measures 임종과정지원 관리 C1272487 [3.0] E14.2.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41 H01007341 Manage ear care 귀간호 관리 C1272376 [3.0] Q49.0.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54 H01007354 Manage edema control 부종조절 관리 C1272675 [3.0] S69.0.4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67 H01007367 Manage emergency care 응급간호 관리 C1272366 [3.0] N41.0.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70 H01007370 Manage emotional support 정서적지지 관리 C1272481 [3.0] E13.0.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82 H01007382 Manage enema 관장 관리 [3.0] B06.3.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395 H01007395 Manage energy conservation 에너지보존 관리 C1272469 [3.0] A01.2.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09 H01007409 Manage enteral feeding 위장관영양 관리 C1443436 [3.0] J29.5.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11 H01007411 Manage enteral tube care 위장관간호 관리 C1272426 [3.0] J28.0.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24 H01007424 Manage enteral tube insertion 위장관삽입 관리 C1272429 [3.0] J28.1.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37 H01007437 Manage enteral tube irrigation 위장관세척 관리 C1272432 [3.0] J28.2.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40 H01007440 Manage environmental safety 환경안전주의 관리 C0150214 [3.0] N42.1.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52 H01007452 Manage equipment safety 장비안전주의 관리 C1272336 [3.0] N42.2.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65 H01007465 Manage eye care 눈간호 관리 C1272378 [3.0] Q50.0.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78 H01007478 Manage family process analysis 가족과정분석 관리 C1443448 [3.0] M39.3.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81 H01007481 Manage feeding technique 영양공급기법 관리 [3.0] J29.2.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493 H01007493 Manage fertility care 수정간호 관리 C1443479 [3.0] U74.1.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07 H01007507 Manage fluid therapy 수액요법 관리 [3.0] F15.0.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10 H01007510 Manage foot care 발간호 관리 C1272331 [3.0] S56.0.4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22 H01007522 Manage fracture care 골절간호 관리 C1272470 [3.0] A02.0.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35 H01007535 Manage funeral arrangements 장례준비 관리 C1272488 [3.0] E14.3.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48 H01007548 Manage gastric care 위간호 관리 C1443408 [3.0] B62.0.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51 H01007551 Manage growth and development care 성장발달간호 관리 C1443500 [3.0] U76.0.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63 H01007563 Manage health aide service 간호보조서비스 관리 [3.0] G21.1.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76 H01007576 Manage health history 건강력 관리 [3.0] K31.1.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89 H01007589 Manage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 관리 C1272439 [3.0] K31.2.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591 H01007591 Manage hearing aid care 보청기간호 관리 C1272377 [3.0] Q49.1.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05 H01007605 Manage hemodialysis care 혈액투석간호 관리 [3.0] T59.1.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18 H01007618 Manage hemodynamic care 혈류역학간호 관리 [3.0] F79.0.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21 H01007621 Manage home situation analysis 가정상태분석 관리 C1272364 [3.0] M39.1.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33 H01007633 Manage hospice 호스피스 관리 [3.0] G17.2.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46 H01007646 Manage hydration control 체액균형조절 관리 C1272396 [3.0] F15.1.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59 H01007659 Manage immobilizer care 부동간호 관리 C1272793 [3.0] A02.2.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61 H01007661 Manage immunologic care 면역학적간호 관리 [3.0] I65.0.4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74 H01007674 Manage incision care 절개부위간호 관리 C1272390 [3.0] R55.3.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87 H01007687 Manage individual safety 개별안전주의 관리 C1272369 [3.0] N42.3.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690 H01007690 Manage infection control 감염통제 관리 C1272435 [3.0] K30.0.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03 H01007703 Manage infertility care 불임간호 관리 C1443482 [3.0] U74.2.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16 H01007716 Manage inhalation therapy 흡입치료 관리 C1272362 [3.0] L36.3.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29 H01007729 Manage injection administration 주사 관리 C1272416 [3.0] H23.0.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31 H01007731 Manag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도구적일상활동활동 관리 [3.0] O43.2.4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44 H01007744 Manage intake 섭취 관리 [3.0] F15.3.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57 H01007757 Manage interpersonal dynamics analysis 대인관계분석 관리 C1272365 [3.0] M39.2.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60 H01007760 Manage intravenous care 정맥내주입간호 관리 C1272399 [3.0] F79.1.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72 H01007772 Manage labor care 분만간호 관리 C1443526 [3.0] U75.2.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85 H01007785 Manage meals on wheels 식사배달서비스 관리 [3.0] G17.3.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798 H01007798 Manage medical regimen orders 의사지시 관리 C1444286 [3.0] G20.1.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01 H01007801 Manage medication actions 투약행위 관리 [3.0] H24.1.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14 H01007814 Manage medication care 투약간호 관리 C1443531 [3.0] H24.0.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27 H01007827 Manage medication prefill preparation 연속투약준비 관리 C1275527 [3.0] H24.2.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30 H01007830 Manage medication side effects 투약부작용 관리 C1275528 [3.0] H24.3.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42 H01007842 Manage medication treatment 투약치료 관리 C0150270 [3.0] H23.4.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55 H01007855 Manage memory loss care 기억상실간호 관리 C1443428 [3.0] D64.0.4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68 H01007868 Manage mental health history 정신건강력 관리 [3.0] P45.1.4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71 H01007871 Manage mental health promotion 정신건강증진 관리 C1444367 [3.0] P45.2.4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83 H01007883 Manage mental health screening 정신건강선별검사 관리 C1444370 [3.0] P45.3.4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896 H01007896 Manage mental health treatment 정신건강치료 관리 C1444373 [3.0] P45.4.4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00 H01007900 Manage mental healthcare 정신건강간호 관리 [3.0] P45.0.4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12 H01007912 Manage mobility therapy 이동요법 관리 C1269740 [3.0] A03.0.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25 H01007925 Manage mouth care 구강간호 관리 C1272386 [3.0] R53.0.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38 H01007938 Manage musculoskeletal care 재활간호 관리 C1443402 [3.0] A05.0.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41 H01007941 Manage nausea care 오심간호 관리 C1443411 [3.0] B62.1.4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53 H01007953 Manage neurological system care 신경계간호 관리 [3.0] D78.0.4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66 H01007966 Manage nurse specialist service 전문간호서비스 관리 C1444295 [3.0] G21.3.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79 H01007979 Manage nursing care coordination 치료조정간호활동 관리 [3.0] G19.2.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81 H01007981 Manage nursing contact 간호사접촉 관리 C1444274 [3.0] G19.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7994 H01007994 Manage nursing status report 간호상태보고 관리 C1444280 [3.0] G19.3.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01 H01008001 Manage nutrition care 영양간호 관리 C1444313 [3.0] J29.0.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14 H01008014 Manage occupational therapist service 직업치료서비스 관리 C1444298 [3.0] G21.4.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27 H01008027 Manage output 배설 관리 [3.0] F15.4.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30 H01008030 Manage oxygen therapy care 산소요법 관리 C1444343 [3.0] L35.0.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42 H01008042 Manage pacemaker care 심박조율기간호 관리 C1444241 [3.0] C09.0.4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55 H01008055 Manage pain control 통증조절 관리 C1444379 [3.0] Q47.0.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68 H01008068 Manage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영양 관리 C1443441 [3.0] J29.6.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71 H01008071 Manage perinatal care 주산기간호 관리 C1443518 [3.0] U75.0.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83 H01008083 Manage perineal care 회음부간호 관리 C1444389 [3.0] S57.0.4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096 H01008096 Manage perioperative injury care 수술주기손상간호 관리 [3.0] N80.0.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00 H01008100 Manage peritoneal dialysis care 복막투석간호 관리 [3.0] T59.2.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12 H01008112 Manage personal care 개인간호 관리 C1444358 [3.0] O43.0.4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25 H01008125 Manage physical examination 신체검진 관리 C1444324 [3.0] K31.3.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38 H01008138 Manage physical healthcare 신체건강간호 관리 [3.0] K31.0.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41 H01008141 Manage physical therapist service 물리치료서비스 관리 C1444301 [3.0] G21.5.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53 H01008153 Manage physician contact 의사접촉 관리 C1444283 [3.0] G20.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66 H01008166 Manage physician status report 의사의환자상태보고 관리 C1444289 [3.0] G20.2.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79 H01008179 Manage positioning therapy 체위간호 관리 C1444361 [3.0] A61.1.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81 H01008181 Manage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 관리 C1443528 [3.0] U75.4.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194 H01008194 Manage pregnancy care 임신간호 관리 [3.0] U75.1.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08 H01008208 Manage pressure ulcer care 욕창간호 관리 C1272381 [3.0] R51.0.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11 H01008211 Manage pressure ulcer stage 1 care 욕창간호1단계 관리 C1272382 [3.0] R51.1.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23 H01008223 Manage pressure ulcer stage 2 care 욕창간호2단계 관리 C1272383 [3.0] R51.2.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36 H01008236 Manage pressure ulcer stage 3 care 욕창간호3단계 관리 C1272384 [3.0] R51.3.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49 H01008249 Manage pressure ulcer stage 4 care 욕창간호4단계 관리 C1272385 [3.0] R51.4.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51 H01008251 Manage professional/ancillary service 전문/보조서비스 관리 [3.0] G21.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64 H01008264 Manage psychosocial care 심리사회적간호 관리 C1272363 [3.0] M39.0.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77 H01008277 Manage pulmonary care 호흡기계간호 관리 C1444346 [3.0] L36.0.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80 H01008280 Manage pulse 맥박 관리 C1444336 [3.0] K33.3.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292 H01008292 Manage radiation therapy care 방사선치료간호 관리 C1444310 [3.0] H25.0.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06 H01008306 Manage range of motion 근관절범위운동 관리 C1444230 [3.0] A05.1.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19 H01008319 Manage reality orientation 현실감지남력 관리 C1444243 [3.0] D11.0.4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21 H01008321 Manage regular diet 보통식사 관리 C1444316 [3.0] J29.3.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34 H01008334 Manage rehabilitation exercise 재활운동 관리 C1444233 [3.0] A05.2.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47 H01008347 Manage renal care 신장간호 관리 C1443497 [3.0] T73.0.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50 H01008350 Manage reproductive care 재생산간호 관리 C1443476 [3.0] U74.0.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62 H01008362 Manage respiration 호흡 관리 C1443398 [3.0] K33.4.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75 H01008375 Manage respiratory therapist service 호흡치료서비스 관리 [3.0] G21.7.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88 H01008388 Manage safety precautions 안전주의 관리 C1272368 [3.0] N42.0.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391 H01008391 Manage sexual behavior analysis 성행위분석 관리 C1443451 [3.0] M39.4.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04 H01008404 Manage skin breakdown control 피부손상조절 관리 C1444387 [3.0] R54.1.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17 H01008417 Manage skin care 피부간호 관리 C0556497 [3.0] R54.0.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20 H01008420 Manage sleep pattern control 수면양상조절 관리 C1444224 [3.0] A04.0.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32 H01008432 Manage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망분석 관리 C1443453 [3.0] M39.5.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45 H01008445 Manage social worker service 사회복지서비스 관리 [3.0] G21.2.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58 H01008458 Manage special diet 치료식 관리 [3.0] J29.4.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61 H01008461 Manage specimen care 검체간호 관리 C1272442 [3.0] K32.0.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73 H01008473 Manage speech therapist service 언어치료서비스 관리 C1444304 [3.0] G21.6.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86 H01008486 Manage spiritual comfort 영적안위 관리 C1444248 [3.0] E13.1.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499 H01008499 Manage sputum specimen care 가래검사간호 관리 C1443444 [3.0] K32.5.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02 H01008502 Manage stool specimen care 대변검사간호 관리 C1272448 [3.0] K32.2.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15 H01008515 Manage stress control 스트레스조절 관리 C0150788 [3.0] E12.2.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28 H01008528 Manage substance abuse control 물질남용통제 관리 C1443457 [3.0] N40.0.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31 H01008531 Manage temperature 체온 관리 C1444333 [3.0] K32.2.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43 H01008543 Manage terminal care 임종간호 관리 C1272482 [3.0] E14.0.4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56 H01008556 Manage tobacco abuse control 담배남용통제 관리 C1443460 [3.0] N40.1.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69 H01008569 Manage tracheostomy care 기관절개술간호 관리 C1444352 [3.0] L37.0.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71 H01008571 Manage transfer care 이동간호 관리 C1444221 [3.0] A03.3.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84 H01008584 Manage universal precautions 일반적주의 관리 C1444321 [3.0] K30.1.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597 H01008597 Manage urinary catheter care 도뇨관간호 관리 C1444392 [3.0] T60.0.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01 H01008601 Manage urinary catheter insertion 도뇨관삽입 관리 C1444395 [3.0] T60.1.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13 H01008613 Manage urinary catheter irrigation 도뇨관세척 관리 C1444398 [3.0] T60.2.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26 H01008626 Manage urinary incontinence care 요실금간호 관리 C1443494 [3.0] T72.0.4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39 H01008639 Manage urine specimen care 소변검사간호 관리 C1272451 [3.0] K32.3.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41 H01008641 Manage vascular system care 혈관계간호 관리 [3.0] S82.0.4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54 H01008654 Manage venous catheter care 정맥관간호 관리 C1444251 [3.0] F79.2.4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67 H01008667 Manage ventilator care 인공호흡기간호 관리 C1444349 [3.0] L36.4.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70 H01008670 Manage violence control 폭력조절 관리 C1444376 [3.0] N68.0.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82 H01008682 Manage vision care 시력간호 관리 C1443416 [3.0] Q50.2.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695 H01008695 Manage vital signs 활력징후 관리 C1444330 [3.0] K33.0.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709 H01008709 Manage wandering control 배회간호 관리 C1443426 [3.0] D63.0.4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711 H01008711 Manage wax removal 귀이지제거 관리 C1444382 [3.0] Q49.2.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724 H01008724 Manage weight control 체중조절 관리 C1444341 [3.0] J67.0.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737 H01008737 Manage wound care 상처간호 관리 [3.0] R55.0.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08752 H01008752 Management 관리 C1273870 [3.0] Focus 1) 어떤 일의 사무를 맡아 처리함. 2) 시설이나 물건의 유지 개량 따위의 일을 맡아 함. 3) 사람을 통제하고 지휘하며 감독함. "4) 사람의 몸이나 동식물 따위를 보살펴 돌봄.[표준국어대사전]""" H01008863 H01008876 Mandible 하악골 C0024687 [3.0] Location "얼굴을 구성하는 뼈의 한 종류로써, 흔히 말하는 ""턱""을 이루는 뼈를 말함." H01008876 H01008876 Mandible 아래턱뼈 C0024687 [3.0] Location "얼굴을 구성하는 뼈의 한 종류로써, 흔히 말하는 ""턱""을 이루는 뼈를 말함." H01009118 H01009121 Mandibular angle 하악각 C0222753 [3.0] Location 下顎角 귀밑에 턱이 뒤로 튀어나온 부분 H01010766 H01010794 Manipulation 수기 C0947647 [3.0] Means 手技 어떤 기구나 약물을 사용하지 않고 손으로 치료하는 방법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012171 H01012171 Marasmus 소모증 C0086588 [3.0] 10011734 1A.01.01.01.04.02.05.03 Focus "영양실조: 주로 아동에게 일어나는 심한 영양실조와 기아 상태, 심한 조직과 근육소모, 탈수, 피하지방 손실, 기면과 성장부진을 동반하는 심한 단백질과 열량 부족." H01013287 H01013287 Marital status 결혼 상태 C0024819 [3.0] 1A.9.0334 Focus "the legal standing of a person in regard to his or her marriage state.[Mosby's Dental Dictionary, 2nd edition. ⓒ 2008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1014102 H01014099 Mask 마스크 C0024861 [3.0] 10011752 Means 덮는 기구 H01014393 H01014410 Mass 종괴 C0577559 [3.0] 1A.9.0335 Focus 응집된 입자체(粒子體) 또는 덩어리. H01014410 H01014410 Mass 덩이 C0577559 [3.0] 1A.9.0335 Focus 응집된 입자체(粒子體) 또는 덩어리. H01015053 H01015053 Masseter muscle 깨물근 C0024876 [3.0] Location 음식물을 씹는 작용을 맡은 안면근의 한가지. H01015066 H01015053 Masseter muscle 교근 C0024876 [3.0] Location 음식물을 씹는 작용을 맡은 안면근의 한가지. H01015681 H01015681 Masticatory movement 씹기운동 [3.0] Focus "저작근에 의해 주로 행하여지며, 이 운동으로 미각이 자극되어 타액의 분비가 촉진되는 외에 음식물 중의 이물이 배출되고, 타액(침)에 의한 구강 내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또, 치육(齒肉)이나 구강점막이 음식물에 의해 마사지되며, 악골과 저작근의 균형잡힌 발육이 촉진되어 구강구조를 바르게 발육시키는 작용." H01015693 H01015681 Masticatory movement 저작운동 [3.0] Focus "저작근에 의해 주로 행하여지며, 이 운동으로 미각이 자극되어 타액의 분비가 촉진되는 외에 음식물 중의 이물이 배출되고, 타액(침)에 의한 구강 내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또, 치육(齒肉)이나 구강점막이 음식물에 의해 마사지되며, 악골과 저작근의 균형잡힌 발육이 촉진되어 구강구조를 바르게 발육시키는 작용." H01019807 H01019807 Maternity 모성 C0681108 [3.0] 1A.9.0336 Focus "1) 여성이 어머니로서 가지는 정신적-육체적 성질. 또는 그런 본능.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여성이 태어나면서 지닌 어머니로서의 천분을 총칭해서 모성이라고 한다. 여성은 자기의 체내에서 태아를 키우고 분만해서 그 생명을 건전한 인간으로서 발달시킨다는 사명을 가지며, 그를 위해서 신체의 해부적, 생리적, 기능적 특징과 정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모성은 사춘기에 급속하게 성장해서 모성기능으로서 분화 발달하고 성숙기에 모성 본래의 기능을 수행한다. 모성은 모든 아동이 건강하게 태어나 키워지는 기반이기 때문에 모자보건법에 의해서 존중, 보호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020549 H01020551 Maxilla 상악골 C0024947 [3.0] Location 上顎骨 머리뼈의 하나로 입천장을 이루는 뼈 H01020551 H01020551 Maxilla 위턱뼈 C0024947 [3.0] Location 머리뼈의 하나로 입천장을 이루는 뼈 H01021154 H01021182 Maxillary sinusitis 위턱굴염 C0024959 [3.0] J32.0 Location "부비강(副鼻腔)의 하나인 상악동의 염증. 상악동은 상악골 안에 있으며 비점막의 연장으로 덮인 자연공으로 비강(鼻腔)과 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비강 내의 염증은 쉽게 상악동 안으로 파급되고, 특히 감기일 때는 급성 상악동염을 일으켜 비즙 증가 ·두통 ·발열 ·비폐(鼻閉) 등의 증세를 나타내나, 자연공이 잘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분비물의 배설이 촉진되어 비교적 빨리 치유된다. 그러나 여러 증상이 겹치면, 쉽게 만성 염증으로 이행하여 내부에 농즙이 괴게 된다(축농증). 이 밖에 상악치아 질환(上顎齒牙疾患)으로 인하여 상악동 내 감염이 생겨 치성 상악동염(齒性上顎洞炎)이라는 질환이 나타나고 유아(幼兒)는 이 병으로부터 상악골 골수염이나 안와 내 합병증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치료로서는 배농(고름을 빼냄) ·세정 ·약물투여를 하고, 효과가 없을 때에는 외과수술에 의해 점막제거를 한다.[두산백과]" H01021167 H01021182 Maxillary sinusitis 상악동염 C0024959 [3.0] J32.0 Location 上顎洞炎 "부비강(副鼻腔)의 하나인 상악동의 염증. 상악동은 상악골 안에 있으며 비점막의 연장으로 덮인 자연공으로 비강(鼻腔)과 통하고 있다. 그 때문에 비강 내의 염증은 쉽게 상악동 안으로 파급되고, 특히 감기일 때는 급성 상악동염을 일으켜 비즙 증가 ·두통 ·발열 ·비폐(鼻閉) 등의 증세를 나타내나, 자연공이 잘 개방되어 있을 경우에는 분비물의 배설이 촉진되어 비교적 빨리 치유된다. 그러나 여러 증상이 겹치면, 쉽게 만성 염증으로 이행하여 내부에 농즙이 괴게 된다(축농증). 이 밖에 상악치아 질환(上顎齒牙疾患)으로 인하여 상악동 내 감염이 생겨 치성 상악동염(齒性上顎洞炎)이라는 질환이 나타나고 유아(幼兒)는 이 병으로부터 상악골 골수염이나 안와 내 합병증을 일으키는 수도 있다. 치료로서는 배농(고름을 빼냄) ·세정 ·약물투여를 하고, 효과가 없을 때에는 외과수술에 의해 점막제거를 한다.[두산백과]" H01021614 H01021614 Maximum 최대 C0806909 [3.0] Judgment "수, 양 정도 따위가 가장 큼." H01022299 H01022286 Meal 식사 C1998602 [3.0] 10011809 2C.01.13.03 Means 인공물 H01022331 H01022331 Meals on wheels 식사배달서비스 C0025005 [3.0] G17.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direct the provision of a community program of delivering meals to the home H01022565 H01022565 Meaningfulness alteration 의미부여장애 C0184558 [3.0] P42.0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ability to see the significance, purpose, or value in something" H01022578 H01022578 Meaningfulness alteration deteriorated 의미부여장애 악화됨 [3.0] P42.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22581 H01022581 Meaningfulness alteration improved 의미부여장애 개선됨 [3.0] P42.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22593 H01022593 Meaningfulness alteration stabilized 의미부여장애 안정됨 [3.0] P42.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22607 H01022607 Measles 홍역 C0025007 [3.0] B05|G05.1 Focus 紅疫 "홍역(紅疫). 홍역 바이러스가 비말(飛沫) 감염에 의하여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 법정 신고전염병,발열과 발진이 주증세로 3~4일간 발열한데 이어 온몸에 붉은 발진이 생기는 질환" H01023491 H01023491 Measurement 측정 C0242485 [3.0] 10011813 2B.02.02.01.12.S.001 Action 평가 활동: 어떤 것의 특성에 대해 숫자로 규명하는 것. H01024442 H01024442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환기 C0199470 [3.0] 1A.9.0017 Focus "기계를 사용해서 인공호흡을 하는 것이고 급성호흡부전, 만성호흡부전의 급성악화시에 적용된다. 환자의 자발호흡에 따라서 그것을 보조하도록 하는 보조호흡법과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나 억제해서 기계만으로 행하는 조절호흡법으로 나뉘어진다. 조절호흡법은 탱크호흡기를 사용해서 체외에 음압을 가하고 흉부를 확장해서 흉강내압을 감압함으로써 외기를 빨아 들이는 음압법과, 양압호흡기에 의해서 가압 또는 일정량의 외기를 밀어 넣음으로써 기도측에서 폐를 부풀리게 하는 양압법으로 나뉘어진다. 일시적인 보조호흡으로 해결이 될 경우에는 마스크, 마우스피스를 통한 간헐적 양압호흡법을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1024984 H01024984 Meconium 배내똥 C0025047 [3.0] Focus "1) 신생아가 분만 후 2,3일 동안에 배출하는 점조(粘稠)하고 냄새가 없는 암녹색 변." 2) 태아가 자궁내에서 연하(嚥下)한 양수와 장관분비물의 혼합물. 정상 임신분만경과 중에서는 출생직후부터 1~3일간 관찰된다. 태아가 자궁내에서 어떤 스트레스를 받아 특히 저산소 상태로 빠지면 항문괄약근의 이완과 함께 양수중으로 배설되어 양수혼탁을 초래한다. 따라서 양수혼탁은 태아가사(胎兒假死)의 하나의 징후라고 말할 수 있다. 아동이 이것을 호흡기계에 흡인하면 기도협착ㆍ폐색이나 " 신생아폐렴을 초래한다. 따라서 신생아의 기도흡인은 중요한 조치이다.[간호학대사전]""" H01024997 H01024984 Meconium 태변 C0025047 [3.0] Focus "1) 신생아가 분만 후 2,3일 동안에 배출하는 점조(粘稠)하고 냄새가 없는 암녹색 변." 2) 태아가 자궁내에서 연하(嚥下)한 양수와 장관분비물의 혼합물. 정상 임신분만경과 중에서는 출생직후부터 1~3일간 관찰된다. 태아가 자궁내에서 어떤 스트레스를 받아 특히 저산소 상태로 빠지면 항문괄약근의 이완과 함께 양수중으로 배설되어 양수혼탁을 초래한다. 따라서 양수혼탁은 태아가사(胎兒假死)의 하나의 징후라고 말할 수 있다. 아동이 이것을 호흡기계에 흡인하면 기도협착ㆍ폐색이나 " 신생아폐렴을 초래한다. 따라서 신생아의 기도흡인은 중요한 조치이다.[간호학대사전]""" H01025853 H01025866 Median cubital vein 정중주와정맥 C0226805 [3.0] Location 팔꿈치로 부터 손목까지의 부분. 하박. H01025866 H01025866 Median cubital vein 팔오금중간정맥 C0226805 [3.0] Location 팔꿈치로 부터 손목까지의 부분. 하박. H01026972 H01026972 Medical regimen orders 의사지시 C1171201 [3.0] G2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hysician's/provider's plan of treatment H01027061 H01027061 Medical certificate 진단서 [3.0] Means "의사가 자신의 진찰에 의거해서 환자에게 교부하는 진단서를 말한다.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진단명, 그밖의 의사의 판단이 기재되고 환자의 질병에 수반하는 행동의 제한 또는 사회에서 받아야 할 보호를 공적으로 보증하는 것이다. 별도로 환자의 사망에는 사체의 검안에 수반해서 의사가 작성하는 사망진단서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1027131 H01027131 Medical examination 의학적 검사 C0582103 [3.0] 1A.9.0340 Focus "a thorough physical examination; includes a variety of tests depending on the age and sex and health of the person[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1027144 H01027131 Medical examination 건강진단 C0582103 [3.0] 1A.9.0340 Focus "a thorough physical examination; includes a variety of tests depending on the age and sex and health of the person[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1027728 H01027728 Medication 약물 처치 [3.0] 10011866 2B.9.0045 Means 약품 H01027731 H01027731 Medication actions 투약행위 C0150270 [3.0] H24.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and monitor the intended responses to prescribed drugs H01027743 H01027743 Medication care 투약간호 C0947323 [3.0] H24.0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use of prescribed drugs or remedies regardless of route H01027756 H01027756 Medication prefill preparation 연속투약준비 C0184616 [3.0] H24.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sure the continued supply of prescribed drugs H01027769 H01027769 Medication risk 투약 위험성 C0184544 [3.0] H21.0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negative response to medicinal substances H01027771 H01027771 Medication risk deteriorated 투약 위험성 악화됨 [3.0] H21.0.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27784 H01027784 Medication risk improved 투약 위험성 개선됨 [3.0] H21.0.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27797 H01027797 Medication risk stabilized 투약 위험성 안정됨 [3.0] H21.0.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27801 H01027801 Medication side effects 투약부작용 C0041755 [3.0] H24.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dverse untoward reactions or conditions to prescribed drugs H01027813 H01027813 Medication treatment 투약치료 C3469597 [3.0] H23.4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dminister/give drugs or remedies regardless of route H01027826 H01027826 Medication component 투약요소 C0184498 [3.0] H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medicinal substances. H01028333 H01028318 Medullary cavity 골수강 C1186736 [3.0] Location "뼈의 구조물의 일부분으로 치밀뼈의 내부를 가르키는 말이다. 그리고 골수강 안에 골수(뼈의 중심부로써 적혈구, 림프구, 혈소판 등 대부분의 혈구세포가 여기서 만들어진다)가 들어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031453 H01031441 Melanoplakia 흑반 C0267013 [3.0] Focus 黑斑 피부에 생기는 검은색 무늬 H01031720 H01030417 Melena 흑색변 C0025222 [3.0] K92.1 2B.9.0120 Focus "1) 혈색소 또는 변성된 혈액에 의해서 착색된 흑색의 진득진득하고 점조한 대변의 배설. 2) 혈변은 토혈(吐血)과 똑같은 원인에 의한 출혈 및 더욱 하부의 소장, 대장으로부터의 출혈이 배변으로서 항문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멜레나로도 불리고 있다. 멜레나는 출혈한 혈액이 소화작용을 받고 이른바 흑색 타르와 같은 변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보통 공장(空腸)상부까지의 출혈은 흑색조의 타르와 같은 변이되고 또 하부장관으로 부터의 출혈에서는 대장내에 오래 정체할 경우에는 암적색에서 흑갈색을 나타내는데 하부에서는 선홍색으로 나타난다. 혈변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상부 소화관으로 부터의 출혈이 대부분이고 그밖에 대장 폴립, 대장게실(大腸憩室), 대장암, 궤양성대장염등이 혈변을 수반하는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1032113 H01032113 Membrane 막 C0596901 [3.0] Location 세포나 기관을 싸고 있거나 경계를 이루는 얇은 층. H01032753 H01032753 Memory 기억 C0025260 [3.0] 10011907 1A.01.01.02.01.01.04 Focus "심리적 과정: 감각, 인상 및 아이디어가 저장되고 회상되는 정신적인 활동; 과거의 경험, 지식, 아이디어, 감각 및 사고에 대한 정신적인 등록, 유지와 회상." H01032781 H01032781 Memory impairment deteriorated 기억장애 악화됨 [3.0] D09.1.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32794 H01032794 Memory impairment improved 기억장애 개선됨 [3.0] D09.1.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32808 H01032808 Memory impairment stabilized 기억장애 안정됨 [3.0] D09.1.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32823 H01032823 Memory loss care 기억상실간호 C1171204 [3.0] D64.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 person's inability to recall ideas and/or events H01032864 H01032779 Memory disturbance 기억 장애 C0233794 [3.0] 10002233 1A.01.01.02.01.01.04.03.S.002 Focus 손상된 기억: 대뇌 손상이나 정서적인 위기와 연관된 기억의 손상. H01032906 H01032906 Memory impairment 기억 장애 C0233794 [3.0] D09.1 1A.01.01.02.01.01.04.03.S.0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Diminished ability or inability to recall past events 과거 사건을 회상하는 능력의 감소 또는 장애 H01032988 H01032988 Menarche 초경 C0025274 [3.0] 10011924 1A.01.01.01.15.01.01.02 Time 발달 시기: 보통 9~17세 사이에 시작하는 주기적 월경 기능의 시작. H01032991 H01032988 Menarche 첫월경 C0025274 [3.0] 10011924 1A.01.01.01.15.01.01.02 Time 발달 시기: 보통 9~17세 사이에 시작하는 주기적 월경 기능의 시작. H01033413 H01033426 Meningitis 뇌막염 C0025289 [3.0] Focus 腦膜炎 "뇌척수막의 염증. 열이 나며, 뇌척수액의 압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심한 두통·구역질·목이 뻣뻣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H01033426 H01033426 Meningitis 수막염 C0025289 [3.0] Focus 髓膜炎 "뇌척수막의 염증. 열이 나며, 뇌척수액의 압력이 올라가기 때문에, 심한 두통·구역질·목이 뻣뻣해지는 증상이 나타난다." H01034963 H01034963 Menopause 폐경 C0025320 [3.0] 10011930 1A.01.01.01.15.01.01.03 Time "발달 시기: 보통 45~60세 사이에 시작되는 월경 주기와 호르몬 생산이 끝남으로 인해 오는 여성 생식 능력의 중지, 폐경, 그러나 질병 또는 자궁과 나팔관의 수술적 제거로 인해 더 일찍 멈출 수도 있음." H01034991 H02725727 Menorrhagia 월경과다 C0025323 [3.0] N92.0 10011948 Focus 출혈: 월경기간이나 출혈양이 과도한 월경 출혈. H01035163 H00510145 Menstrual cramp 월경통 C0013390 [3.0] N94.6 10011953 1A.01.01.01.13.01.04.02 Focus "내장통증: 자궁근육의 경련으로 인한 통증 감각, 통증 감각은 보통 강한 수축, 두근거림 그리고 배와 허리 아래의 끊임없는 감각으로 보고됨." H01035205 H01035205 Menstrual history 월경력 C1954761 [3.0] 1A.9.0343 Focus 과거력 H01035316 H01035316 Menstruation 월경 C0025344 [3.0] 10011976 1A.01.01.01.15.01.01.01 Focus "생식기계 과정: 자궁내막의 박리, 재성장 및 증식의 반복되는 주기; 월경주기의 평균기간은 출혈 첫날부터 다음 주기의 첫날까지 28일이다; 길이; 지속기간과 양은 다양하다; 월경주기는 초경에서 시작하여 폐경으로 끝난다." H01035455 H01035455 Mental health history 정신건강력 C0184644 [3.0] P45.1 2B.9.0048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ast or present emotional well-being 과거와 현재의 정서적 안녕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한 활동 H01035468 H01035468 Mental health promotion 정신건강증진 C0184645 [3.0] P45.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encourage or further emotional well-being H01035471 H01035471 Mental health screening 정신건강선별검사 C0184646 [3.0] P45.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ystematically examine emotional well-being H01035483 H01035483 Mental health treatment 정신건강치료 C0184647 [3.0] P45.4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protocols used to treat emotional problems H01035496 H01035496 Mental healthcare 정신건강간호 C0184643 [3.0] P45.0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taken to promote emotional well-being H01041461 H01041461 Metabolic acidosis 대사성 산증 C0220981 [3.0] E87.2 10032010 2B.02.02.01.02.01 Focus 산염기 불균형 H01041473 H01041461 Metabolic acidosis 대사산증 C0220981 [3.0] E87.2 10032010 2B.02.02.01.02.01 Focus 산염기 불균형 H01041499 H01041499 Metabolic alkalosis 대사성 알칼리증 C0220983 [3.0] E87.3 10032023 2B.02.02.01.02.02 Focus 산염기 불균형 H01041502 H01041499 Metabolic alkalosis 대사 알칼리증 C0220983 [3.0] E87.3 10032023 2B.02.02.01.02.02 Focus 산염기 불균형 H01041531 H01041531 Metabolic component 대사요소 C0184499 [3.0] I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endocrine and immunological processes. H01041807 H01041807 Metabolism 대사 C0025519 [3.0] 10012005 1A.01.01.01.06 Focus "신체 과정의 집합: 성장, 에너지 생성, 노폐물 배설, 소화 후 혈액에서의 영양소 분배와 관련된 인체기능들의 조절을 일으키는 모든 화학적 과정들의 총합; 운동, 체온상승, 호르몬 활동 또는 소화와 관련하여 대사율이 증가." H01046664 H01046664 Method 방법 C0025663 [3.0] 2B.9.0121 Focus "어떤 행위나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 처치 또는 수기." H01049547 H01049547 Metroptosis 자궁빠짐 [3.0] Focus 子宮~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 자궁이 아래로 내려가는 질환.[두산백과] H01049562 H01049547 Metroptosis 자궁처짐 [3.0] Focus 子宮~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 자궁이 아래로 내려가는 질환.[두산백과] H01049588 H00891837 Metrorrhagia 자궁출혈 C0025874 [3.0] N92.1 Focus 월경이나 출산 때의 출혈이 아니고 병적으로 일어나는 출혈. 난소 기능의 이상에 따른 기능성 출혈과 자궁의 염증이나 종양에 따른 기질성 출혈이 있음. H01052584 H01052584 Microorganism 미생물 C0445623 [3.0] 10012014 1A.02.01.02.01.01 Focus 생물: 인간 생활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미세한 유기체. H01061638 H01061641 Micturition desire 요의 [3.0] 1A.9.0602 Focus 오줌이 마려운 느낌.[표준국어대사전] H01062896 H01062896 Migraine 편두통 C0149931 [3.0] G43 10012046 1A.01.01.01.13.01.06.01 Focus "혈관통증: 불빛, 소음 및 냄새와 같은 외부 자극 혹은 음식물 과민증, 스트레스 및 다른 종류의 통증과 같은 내부자극으로 유발되는 편측성 혈관성 두통의 재발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 감각, 섬광 또는 이명 같은 전구증상이 있은 후 통증이 나타남; 통증은 보통 구토, 갈증 및 감정상태의 변화를 동반하면서 압박하고, 짓누르고, 치고, 쪼개는 듯한 한 쪽면의 고통스러운 감각으로 보고된다." H01063752 H01063863 Miliaria 땀띠 C0026113 [3.0] L74.3 Focus 땀으로 피부가 자극되어 생기는 발진. 좁쌀 크기의 붉은색 도는 무색 발진이 오밀조밀하게 돋아 가렵고 따가움. 살과 살이 맞닿는 부위에 땀이 고여 있을 때 많이 생심. 땀이 표피로 분비되는 도중의 어느 부위에서 통로가 폐쇄되어 분비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나타나는 병태. H01064091 H01064091 Milk 우유 C0349374 [3.0] Means 미숙포유동물의 자연 식품이 되는 유선의 액체 분비물. 모든 백색의 유상 물질. H01064396 H01064396 Milking 쥐어짜기 [3.0] 10012079 2A.03.07.03 Action 조정 활동: 젖을 짜내기 위해 손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가슴을 문지르는 것. H01065376 H01065376 Minimum 최소 C1524031 [3.0] Judgment "수, 양 정도 따위가 가장 작음." H01065934 H01065934 Minute 분 C0439232 [3.0] 2D.9.0015 Time 한 시간의 60분의 1이 되는 동안을 세는 단위.[표준국어대사전] H01066220 H01066220 Miotics 축동제 C0026207 [3.0] Means "동공 괄약근(括藥筋)의 수축(부교감 신경흥분)과 동공산대근의 이완(교감신경 억제)에 의해 축동을 일으키는 약물을 말한다. 축동과 동시에 조절이 잘 안되게 된다. 전방수(前房水)의 순환을 좋게하고 안내압을 낮춘다. 주로 부교감자극약의 항콜린 에스터레이스제(피조스티그민, 네오스티그민 등)가 사용된다. 그밖에 무스카린, 필로카르핀 등이 있다. 녹내장이나 홍채염 등에 사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1066470 H01066470 Miscarriage 유산 C0000786 [3.0] O03 10000262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임신을 중절 또는 종료하고 태아를 방출하는 것. H01066482 H00009264 Miscarriage 낙태 C0000786 [3.0] 10000262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임신을 중절 또는 종료하고 태아를 방출하는 것. H01066844 H01066844 Mitigation 완화 [3.0] Judgment 긴장된 상태나 급박한 것을 느슨하게 함. H01069282 H01069282 Moaning 신음 C0859032 [3.0] 2B.9.0124 Focus 앓는 소리를 냄. 또는 그 소리.[표준국어대사전] H01069435 H01069435 Mobility therapy 이동요법 C0184575 [3.0] A03.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dvise and instruct on mobility deficits H01069587 H01069587 Mode 방식 C1513371 [3.0] 1A.9.0347 Focus A particular functioning condition or arrangement.[NCI/PT] H01069590 H01069587 Mode 모드 C1513371 [3.0] 1A.9.0347 Focus A particular functioning condition or arrangement.[NCI/PT] H01069603 H01069587 Mode 양식 C1513371 [3.0] 1A.9.0347 Focus A particular functioning condition or arrangement.[NCI/PT] H01070469 H01070469 Molar 큰어금니 C0026367 [3.0] Location 앞어금니 안쪽에 있는 이. 앞어금니 쪽에서부터 제일-제이-제삼 뒤어금니라고 부르며 모두 12개가 있다. 사람의 제삼 뒤어금니는 ‘사랑니’라 하는데 나지 않는 수도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070471 H01070469 Molar 대구치 C0026367 [3.0] Location 앞어금니 안쪽에 있는 이. 앞어금니 쪽에서부터 제일-제이-제삼 뒤어금니라고 부르며 모두 12개가 있다. 사람의 제삼 뒤어금니는 ‘사랑니’라 하는데 나지 않는 수도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071965 H01072001 Monitor 감시장치 C0150369 [3.0] 10012177 1A.9.0350 Means 기구 H01076446 H01076446 Mood 기분 C0026516 [3.0] 10036241 1A.01.01.02.01.01.05.10 Focus 심리적 상태 H01077147 H01077147 Moro reflex 모로반사 C0234173 [3.0] 1A.9.0351 Focus 젖먹이를 진찰대 위에 놓고 젖먹이의 한쪽 진찰대를 강하게 치는 것 같은 강한 자극을 주면 젖먹이는 허벅지나 무릎을 굽히고 손가락을 펴면서 붙들려고 하며 팔을 마치 껴안듯이 벌렸다 끌어안는 모양으로 움직인다. 젖먹이에서 3 내지 4개월때까지 정상적으로 볼 수 있는 반사. H01077663 H01077663 Morphology 형태 C0332437 [3.0] 1A.9.0352 Focus "생체의 형태와 구조의 과학. 특정한 생체, 기관 또는 부분의 형태와 구조." H01078225 H01078238 Mortuary 영안실 C0558280 [3.0] Location 병원에서 시신과 위패를 묘셔 두는 방. H01078238 H01078238 Mortuary 시체안치소 C0558280 [3.0] Location 병원에서 시신과 위패를 묘셔 두는 방. H01078701 H01016686 Mother 어머니 C0026591 [3.0] 10027257 2B.02.01.01.01.01.01.01.15 Client 부모 H01078963 H01019807 Motherhood 모성 C0337490 [3.0] 1A.9.0336 Focus "1) 여성이 어머니로서 가지는 정신적-육체적 성질. 또는 그런 본능.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여성이 태어나면서 지닌 어머니로서의 천분을 총칭해서 모성이라고 한다. 여성은 자기의 체내에서 태아를 키우고 분만해서 그 생명을 건전한 인간으로서 발달시킨다는 사명을 가지며, 그를 위해서 신체의 해부적, 생리적, 기능적 특징과 정신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모성은 사춘기에 급속하게 성장해서 모성기능으로서 분화 발달하고 성숙기에 모성 본래의 기능을 수행한다. 모성은 모든 아동이 건강하게 태어나 키워지는 기반이기 때문에 모자보건법에 의해서 존중, 보호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079734 H01079734 Motor reaction 운동반응 [3.0] 1A.9.0354 Focus 반응함 H01080254 H01080267 Mottling 얼룩형성 C0302133 [3.0] 1A.9.0355 Focus 착색반점이 있는 상태. H01080267 H01080267 Mottling 반점형성 C0302133 [3.0] 1A.9.0355 Focus 착색반점이 있는 상태. H01080559 H01080546 Mourning 애도 C0086644 [3.0] 10012261 Focus "심리적 반응: 커다란 개인적인 상실, 애도로 나타난 심한 슬픔 혹은 상실감 그리고 사별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비통, 정서적 반응을 해결하는 과정" H01080657 H01080657 Mouth 입 C1267547 [3.0] 10013720 1F.03.03.02 Location 체강 H01080672 H01080672 Mouth care 구강간호 C1272386 [3.0] R53.0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oral cavity problems H01081320 H01081320 Moxibustion 뜸요법 C0026652 [3.0] 93.35 Means 뜸療法 쑥 등을 태워서 그 열로 화상을 입게 하거나 자극을 주는 방법 H01081332 H01081332 Moxibustion 뜸 C0026652 [3.0] Means 쑥 등을 태워서 그 열로 화상을 입게 하거나 자극을 주는 방법 H01083041 H01083041 Mucostatic 점액분비억제제 [3.0] Means 점액의 과다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약제. H01083248 H01083248 Mucous membrane 점막 C0026724 [3.0] 10012288 1A.01.01.01.10.02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신체 내부 표면, 입, 코, 질, 소화관, 호흡기통로, 비뇨생식기계를 포함한 신체 외부로 개방된 내강이나 관의 얇은 케라틴이 없는 자연막; 하부구조를 보호하고, 부드럽게 하는 점액을 분비하며, 물, 염분, 다른 용액을 흡수함." H01083374 H01083374 Mucous stool 점액변 C0241254 [3.0] Focus "흡수장애, 과민성 대장 증후군, 궤양성 장염등에 의해 점액질이 섞여 나온 변." H01084006 H01086799 Multifetal gestation 여러태아임신 [3.0] Focus 둘 이상의 태아를 동시에 태내에 가지는 상태로 한개의 난자 수정에 의한 일란성과 한개이상의 난자수정에 의한 다란성인 경우도 있다. 3인 이상의 태아의 공존은 일란성이거나 일란성과 다란성의 조합으로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유전적요인이 관계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모체의 연령과 관계가 있으며 많은 합병증을 일으킨다(유조산 양수과다증 제대ㆍ태반의 이상 미숙아 임신중독증ㆍ빈혈의 합병 자궁 복고부전 분만시태아소부분의 탈출 " 제대탈출 등). 또 태아 간수혈증후군 등 특이한 이상도 발생한다. 배란유발제에 의한 다태임신을 흔히 볼 수 있다. [간호학대사전]""" H01086786 H01086799 Multiple pregnancy 다태임신 C0032989 [3.0] Focus 둘 이상의 태아를 동시에 태내에 가지는 상태로 한개의 난자 수정에 의한 일란성과 한개이상의 난자수정에 의한 다란성인 경우도 있다. 3인 이상의 태아의 공존은 일란성이거나 일란성과 다란성의 조합으로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유전적요인이 관계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모체의 연령과 관계가 있으며 많은 합병증을 일으킨다(유조산 양수과다증 제대ㆍ태반의 이상 미숙아 임신중독증ㆍ빈혈의 합병 자궁 복고부전 분만시태아소부분의 탈출 " 제대탈출 등). 또 태아 간수혈증후군 등 특이한 이상도 발생한다. 배란유발제에 의한 다태임신을 흔히 볼 수 있다. [간호학대사전]""" H01087741 H00554795 Mumps 볼거리 C0026780 [3.0] B26|G05.1 Focus "주로 소아에서 일어나고, 그 결과로 지속성 면역을 주는 전염성의 paramyxovirus 병. 흡기에 의해서 감염되는데, 가장 농후한 바이러스감염은 침샘내에 생기며, 특히 턱밑샘이나 혀밑샘보다도 귀밑샘이 더욱 심하다. 잠복기는 18~22일이다. 감염은 약 75%의 증례에서 증상을 나타낸다. 이들 중 귀밑샘염은 70%에서, 수막염은 10~15%(이들 중 반수에서 무증상성 수액세포 증가증이 동반된다)에서 일어난다. 부고환고환염이 사춘기 후의 남성에서 생기지만 그 후에 불임증을 속발하는 일은 드물다. 그 외의 증상은 보다 드물게 나타나는데 이자염, 관절염, 심근염, 난소염, 갑상샘염 및 젖샘염 등이 있다. 발열과 환부의 유통성 염증은 최초의 2일간에 가장 현저하고 다음 4~5일이 지나면 서서히 가라앉는다. 동시에 한 부위 이상을 침습하는 수도 있으며 가끔 속발적으로 침습되고 질환의 전 경과는 2~3주에 이른다. 부수되는 영속성의 신경학적 손상을 동반하는 수막뇌염은 드물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087766 H00554795 Mumps 유행성이하선염 C0026780 [3.0] B26|G05.1 Focus 流行性耳下腺炎 "주로 소아에서 일어나고, 그 결과로 지속성 면역을 주는 전염성의 paramyxovirus 병. 흡기에 의해서 감염되는데, 가장 농후한 바이러스감염은 침샘내에 생기며, 특히 턱밑샘이나 혀밑샘보다도 귀밑샘이 더욱 심하다. 잠복기는 18~22일이다. 감염은 약 75%의 증례에서 증상을 나타낸다. 이들 중 귀밑샘염은 70%에서, 수막염은 10~15%(이들 중 반수에서 무증상성 수액세포 증가증이 동반된다)에서 일어난다. 부고환고환염이 사춘기 후의 남성에서 생기지만 그 후에 불임증을 속발하는 일은 드물다. 그 외의 증상은 보다 드물게 나타나는데 이자염, 관절염, 심근염, 난소염, 갑상샘염 및 젖샘염 등이 있다. 발열과 환부의 유통성 염증은 최초의 2일간에 가장 현저하고 다음 4~5일이 지나면 서서히 가라앉는다. 동시에 한 부위 이상을 침습하는 수도 있으며 가끔 속발적으로 침습되고 질환의 전 경과는 2~3주에 이른다. 부수되는 영속성의 신경학적 손상을 동반하는 수막뇌염은 드물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089200 H01089200 Muscle 근육 C0026845 [3.0] 10012290 1F.12.04 Location 근골격계 구성요소 H01089558 H01089558 Muscle relaxant 근이완제 C0358430 [3.0] Means 골격근을 이완시키는 약. 신경과 근육의 접합부에 작용하여 근육의 종판(終板)에 있는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방해하여 근이완을 일으킴. H01089795 H01090427 Muscle strength 근력 C0517349 [3.0] 1A.9.0353 Focus 0 | 1 | 2 | 3 | 4 | 5 "어떤 근육이 근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발휘하는 최대장력(最大張力)으로 나타내고, 보통 사람의 경우 kg 단위로 표시하며, 근력계(筋力計)·배근력계(背筋力計) 등으로 계측한다. 대체로 근육의 횡단면 1㎠당 5∼10kg이다.[두산백과]" H01090414 H01090427 Muscular force 근력 [3.0] 1A.9.0353 Focus 0 | 1 | 2 | 3 | 4 | 5 "어떤 근육이 근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발휘하는 최대장력(最大張力)으로 나타내고, 보통 사람의 경우 kg 단위로 표시하며, 근력계(筋力計)·배근력계(背筋力計) 등으로 계측한다. 대체로 근육의 횡단면 1㎠당 5∼10kg이다.[두산백과]" H01090832 H01090832 Musculoskeletal alteration 근골격계장애 C0184518 [3.0] A02.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muscles, bones, or support structures" H01090845 H01090845 Musculoskeletal alteration deteriorated 근골격계장애 악화됨 [3.0] A02.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90858 H01090858 Musculoskeletal alteration improved 근골격계장애 개선됨 [3.0] A02.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090861 H01090861 Musculoskeletal alteration stabilized 근골격계장애 안정됨 [3.0] A02.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090873 H01090873 Musculoskeletal care 재활간호 C1443399 [3.0] A05.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restore physical functioning H01090902 H01090902 Musculoskeletal pain 근골격계 통증 C0026858 [3.0] 10012337 1A.01.01.01.13.01.03 Focus "통증: 근육, 관절 또는 치아에서 야기된 통증 감각; 감각은 보통 강하고, 묵직하며 쑤신다고 보고됨, 신체의 일부 또는 전체를 움직이면 악화되고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도 나타남." H01090928 H01090915 Musculoskeletal system 근골격계 C0026860 [3.0] 10012344 1F.12.05 Focus 신체 체계 H01091115 H01091115 Music therapy 음악요법 C0026868 [3.0] 93.84 10012371|10039170 2C.02.05.14 Means|IC 요법 H01091393 H01091393 Mutilation 절단 [3.0] 10042152 1A.01.01.02.02.02.01.11.04 Focus "공격적 행동: 신체 일부의 훼손, 손상이나 상해, 고의적이거나 계획된 괴롭힘 혹은 종교적 관습이나 신념의 일부로서 지속되는 행동과 관련된 사지의 절단, 피부나 장기의 화상." H01095301 H01095313 Mydriasis 산동 C0026961 [3.0] 1A.9.0469 Focus "동공(瞳孔)의 크기는 주로 홍채(虹彩)안에 있는 동공괄약근(瞳孔括約筋)과 동공산대근(瞳孔散大筋)과의 작용에 관계하고, 생리적으로도 연령에 따라서도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어떤 정상범위의 크기를 넘어선 동공을 산동이라 하고 원인은 주로 다음2가지 경우에 일어난다. (1) 동공괄약근의 마비(원인: 동안신경마비, 아트로핀 등의 점안, 외상, 녹내장 등). (2) 동공산대근의 경련(원인 : 염산페닐데프린의 점안, 에필레나민의 구격막하주사, 정신상 또는 지각상의 자극, 중독 등).[간호학대사전]" H01095313 H01095313 Mydriasis 동공확대 C0026961 [3.0] 1A.9.0469 Focus "동공(瞳孔)의 크기는 주로 홍채(虹彩)안에 있는 동공괄약근(瞳孔括約筋)과 동공산대근(瞳孔散大筋)과의 작용에 관계하고, 생리적으로도 연령에 따라서도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어떤 정상범위의 크기를 넘어선 동공을 산동이라 하고 원인은 주로 다음2가지 경우에 일어난다. (1) 동공괄약근의 마비(원인: 동안신경마비, 아트로핀 등의 점안, 외상, 녹내장 등). (2) 동공산대근의 경련(원인 : 염산페닐데프린의 점안, 에필레나민의 구격막하주사, 정신상 또는 지각상의 자극, 중독 등).[간호학대사전]" H01097720 H01097717 Myelosuppression 골수억제 C0854467 [3.0] Focus "A condition in which bone marrow activity is decreased, resulting in fewer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and platelets. Myelosuppression is a side effect of some cancer treatments. When myelosuppression is severe, it is called myeloablation.[NCI]" H01099930 H01099927 Myoclonus 간대성 근경련증 C0027066 [3.0] G25.3 1A.9.0360 Focus "1) 근육의 일부, 근육 전체, 또는 일군의 근육의 쇽모양의 수축으로서 신체의 일부영역에 제한되거나, 혹은 여러부위에서 동시성(同時性) 또는 비동시성으로 나타난다. 2) 골격근의 전격(電擊)과 같은 빠른 불수의 수축을 말한다. 수축의 범위는 한 근육 소부분에 한정하는 것부터 전신에 미치는 것까지 각종으르, 몇개의 부위가 동시에 수축해서 특수한 운동을 일으키는 것 등, 그 형태도 가지각색이다. 원인은 간질성과 그 외가 있다. (1) 간질의 한 형태인 마이오클로누스는 빛, 음, 촉각자극으로 마이오클로누스운동이 유발되는 것으로 대부분은 근수축에 대응해서 뇌파에 극파가 출현한다. 대발작형간질을 합병하는 것도 있다. 진행성 마이오클로누스간질은 몇개의 질환을 포함하는데, 소아기에 발증하며 소뇌실조, 정신장애를 동반한 라포라 Lafora병이 유명하다. (2) 안정시에 출현하는 마이오클로누스에 구개, 인두나 안면에 규칙적인 마이오클로누스운동이 나타나는 구개 마이오클로누스, 척수장애에 의한 신체일부의 마이오클로누스(척수성 마이오클로누스)가 있다. (3) 수의운동에 의해 사지에 심한 마이오클로누스성 불수의 운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동작성 마이오클로누스라고 한다. 저산소증에 의한 뇌장애 후유증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1101731 H01101731 Myopia 근시 C0027092 [3.0] H52.1 Focus 近視 가까운 것은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것은 잘 보이지 않는 것 H01105412 H01131496 NPO 금식 C0419179 [3.0] 1A.9.0376 Focus "먹이지 말라. nothing by mouth, nothing per oral의 약자." H01105831 H01105831 Nail 손발톱 C0027342 [3.0] 10012392 1A.01.01.01.10.06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사지 말단에 있는 뿌리, 몸통 및 고정되지 않은 끝머리로 구성된 손가락 또는 발가락 끝의 결이 있고 편평하고, 탄력있는 구조; 손가락과 발가락 말단을 보호하고 작은 물 체를 잡을 수 있기 위한 손톱과 발톱의 기능은 결, 길이, 두께와 관련됨; 길이, 색, 청결함을 포함한 외형." H01107273 H01107273 Narcotic analgesic 마약성진통제 C0027409 [3.0] Means 진통제 H01107371 H01107384 Nares 콧구멍 C0595944 [3.0] Location "콧구멍, 겉콧구멍과 뒤콧구멍이 있는데 비공은 주로 겉콧구멍을 말한다." H01107384 H01107384 Naris 콧구멍 C0595944 [3.0] Location "콧구멍, 겉콧구멍과 뒤콧구멍이 있는데 비공은 주로 겉콧구멍을 말한다." H01107635 H00559951 Nasal bleeding 비출혈 C0014591 [3.0] R04.0 Focus "비강, 부비강에서의 출혈로, 전비공 혹은 후비공에서 인두, 구강 쪽으로 돌아 입에서 유출시킨다. 출혈부위의 90%는 키젤바하 부위이다. 급성비염, 비중격만곡증, 악성종양 등의 질환이나 외상으로 비출혈을 보인다. (1) 혈액질환(백혈병, 자반병) (2) 순환기장애(고혈압, 요독증)이 있다. 부인과적인 질환으로는 대상성 출혈이 있다. 치료는 안정, 지혈제투여, 탐폰을 콧 속에 삽입하는 것이 있다. 지혈이 곤란한 경우는, 베로크 탐폰을 이용한다.[간호학대사전]" H01107648 H01107648 Nasal bone 코뼈 C0027422 [3.0] Location 콧등을 형성하는 두 개의 장방형 뼈 중 하나. H01107651 H01107648 Nasal bone 비골 C0027422 [3.0] Location 콧등을 형성하는 두 개의 장방형 뼈 중 하나. H01107691 H01107691 Nasal cannula 코삽입관 C0179574 [3.0] Means "산소흡입방법의 하나인데 콧구멍에 캐뉼라를 놓고、안경모양으로 귀로 지탱하는 것이다. 간편하고 경제적(經費的)으로 도관을 넣기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고, 입으로 호흡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야간에 부적당하다. 산소흡입량은 환자의 분당환기량의 1/4정도 즉 1~2ℓ/분 정도에서 시작하고 긴급을 요하는 경우를 제하고 동맥혈가스분석치를 참조하면서 시간을 걸려서 필요량까지 도달해 6ℓ/분 정도까지 증가한다. 6ℓ/분 산소의 투여에 의해 흡입산소농도는 30~40%에 이른다.[간호학대사전]" H01107746 H01107759 Nasal cavity 비강 C0027423 [3.0] 10012424 1F.03.03.01 Location 체강 H01107759 H01107759 Nasal cavity 코안 C0027423 [3.0] 10012424 1F.03.03.01 Location 체강 H01107914 H01107914 Nasal flaring 코 벌렁임 C0277873 [3.0] Focus "Enlargement of the nostrils during breathing; although there are many possible causes, it can be a sign of respiratory distress in young infants.[NCI]" H01108281 H01108279 Nasal septum 코사이막 C0027432 [3.0] Location 비강을 좌와 우로 나누어주는 칸막이 벽. H01108294 H01108279 Nasal septum 비중격 C0027432 [3.0] Location 비강을 좌와 우로 나누어주는 칸막이 벽. H01108837 H01108837 Nasogastric tube 코위영양관 C0085678 [3.0] 2C.9.0100.S.002 Means 위내압 감소 또는 영양공급을 위한 위장관 삽입에 사용되거나 코를 통하는 플라스틱 카테터.[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1108840 H01108840 Nasogastric tube 코위관 C0085678 [3.0] Means 콧구멍을 통하여 위에 삽입하는 유연한 고무 혹은 플라스틱 관으로서 액체음식물 혹은 기타 물질을 주입하는데 또는 위 내용물을 채취하는데 사용된다. H01109538 H02821393 Nasopharynx 코인두 C0027442 [3.0] T17.2 Location 목의 세 영역 중 가장 윗부분으로 비강 뒤에 놓여 있고 후비공에서 연구개 수준으로 뻗어 있는 기관. H01110184 H01110184 Naturopathy 자연요법 C0027495 [3.0] Means 自然療法 전신적(全身的)이고 생리적인 균형조절을 위주로 하고 체표자극에 의하여 내부장기의 기능을 조절한다. H01110201 H01110201 Nausea 욕지기 C0027497 [3.0] 10012453|10000859 1A.01.01.01.13.05 Focus|DC "손상된 지각: 구토하고 싶은 느낌, 상복부 및 배에 느껴지는 불쾌한 감각, 맛 혹은 냄새에 저항감을 가짐." H01110213 H01110201 Nausea 구역 C0027497 [3.0] 10012453|10000859 1A.01.01.01.13.05 Focus|DC "손상된 지각: 구토하고 싶은 느낌, 상복부 및 배에 느껴지는 불쾌한 감각, 맛 혹은 냄새에 저항감을 가짐." H01110226 H01110201 Nausea 오심 C0027497 [3.0] B04.1 10012453|10000859 1A.01.01.01.13.05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Distaste for food/fluids and an urge to vomit "음식, 수분에 대한 혐오감과 금방 토할것 같은 느낌" H01110239 H01110239 Nausea care 오심간호 C1171206 [3.0] B62.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distaste for food and desire to vomit H01110241 H01110241 Nausea deteriorated 오심 악화됨 [3.0] B04.1.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10254 H01110254 Nausea improved 오심 개선됨 [3.0] B04.1.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10267 H01110267 Nausea stabilized 오심 안정됨 [3.0] B04.1.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10603 H01110603 Nebulization 분무치료 C1659427 [3.0] Focus 분무화 기구를 이용하여 하부 호흡기계로 약물을 흡입하여 치료하는 요법. H01110629 H01110629 Nebulizer 분무기 C0027524 [3.0] 10012469 2C.9.0111 Means 호흡장치 H01110660 H01110660 Neck 목 C0027530 [3.0] 10012476 1F.13.02 Location 신체 부분 H01110672 H01110660 Neck 경부 C0027530 [3.0] 10012476 1F.13.02 Location 신체 부분 H01111513 H01111513 Necrosis 괴사 C0027540 [3.0] 10012482 1A.01.01.01.10.03.06.02.07 Focus "외상성 상처: 국소염증, 감염 혹은 악성과정이나 기계적 손상과 관련된 조직괴사, 조직의 산소결핍 기간에 의한 심각성 정도에 따라, 표층 신경 침범으로 인한 심한통증을 동반하는 창백한 하얀 피부에서부터 상처감염, 손상된 조직과 신체부위의 손실 위험성을 동반하는 감각의 손실과 통증이 있는 검푸른 피부의 괴사까지 단계를 구분함." H01111637 H01111637 Necrotic change 괴사성 변화 C1334928 [3.0] Focus 세포나 조직이 질병이나 손상에 의해 변화되는 것. H01112296 H01112296 Need 필요 C0027552 [3.0] 10012495 1A.9.0364 Focus 상태 H01112312 H01112296 Need 요구 C0027552 [3.0] 10012495 1A.9.0364 Focus 상태 H01112813 H01112826 Needle 침 C0027551 [3.0] 10012509 2C.01.07.24 Means 침습적 기구 H01112826 H01112826 Needle 바늘 C0027551 [3.0] 10012509 2C.01.07.24 Means 침습적 기구 H01113111 H01113124 Negation 거부 C1518422 [3.0] 10005721 1A.9.0365 Focus 손상된 대처과정: 불안이나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한 사건의 의미나 지식을 피하거나 혹은 부인하는 것. H01113403 H01113403 Negative pressure 음압 [3.0] Focus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 H01116441 H01116441 Neonatal period 신생아기 C0935562 [3.0] 10013059 Time 영아기 H01116691 H01116691 Neonate 신생아 C0021289 [3.0] 10013187 2B.02.01.01.01.01.01.01.01.S.001 Client 개인 H01120163 H01120176 Nephrostomy 콩팥 창냄술 C0278314 [3.0] 55.02 10032145 Location 장루 H01120677 H01120677 Nerve 신경 C0027740 [3.0] 10013063 1F.13.03 Location 신경계 구성요소 H01120956 H01120956 Nerve paralysis 신경 마비 C0262576 [3.0] Focus 神經痲痺 뇌 및 척수에서 나와 근육에 도달하는 말초신경이 침해되어 그 기능이 마비되는 일이며 주로 운동마비가 일어난다.[두산백과] H01120984 H01120997 Nerve root 신경근 C0228084 [3.0] Location 신경 H01120997 H01120997 Nerve root 신경뿌리 C0228084 [3.0] Location 신경 H01121309 H01121295 Nervous system 신경계 C0027763 [3.0] 10013085 1F.13.04 Focus 신체 체계 H01121796 H01121796 Neuralgia 신경통 C0027796 [3.0] Focus 神經痛 "신경에서 느껴지는 통증. 통증에는 말초신경통(peripheral neuralgia)과 중추신경통(central neuralgia)이 있다. 말초신경통은 다시 체성 신경통(somatic pain)과 내장성 신경통(visceral pain)으로 나뉘어진다. 체성 신경통(somatic pain)은 아픈 위치가 명확하고 흔히 외상 등으로 느끼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내장성 신경통(visceral pain)은 아픈 위치가 명확하지 않고 주위전체가 아픈 것처럼 느껴져 대개 “쓰리다”, “속이 불편하다”등의 모호한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중추신경통은 예전에 느껴보지 못한 통증으로 위치와 증상이 모호하지만, 심한 통증을 호소하며, 흔한 진통제로는 잘 듣지 않아 마약류의 진통제를 써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23797 H01123797 Neurogenic pain 신경성통증 C0423717 [3.0] 10013125 1A.01.01.01.13.01.05 Focus "통증: 말초신경질환으로 인한 통증 감각; 통증 감각은 보통 저리고 쑤신다고 보고됨, 통증 감각은 감정장애, 외과적 수술이나 두부 손상과 관련된 주요 신경 손상으로 인한 신경성 동통을 동반함; 신경성 동통은 보통 관통하거나 찌르는것 같음, 절단통, 작열통, 고문 받는 것 같은 감각으로 보고됨." H01123826 H01123826 Neurogenic shock 신경성 쇼크 C0544617 [3.0] 10013139 1A.01.01.01.02.02.02.01.04 Focus 쇼크: 혈관이완을 일으키는 신경계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한 급격한 말초순환기능 부전. H01124387 H01124387 Neurological system care 신경계간호 C1171207 [3.0] D78.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problems of the neurological system H01130003 H01116691 Newborn 신생아 C0021289 [3.0] 10013187 2B.02.01.01.01.01.01.01.01.S.001 Client 개인 H01130739 H01130739 Nicotine patch 니코틴부착포 C0358855 [3.0] Means 물품 H01131107 H01131093 Night blindness 야맹 C0028077 [3.0] H53.6 Focus 夜盲 낮 동안은 정상이지만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는 물체가 보이지 않든가 시력저하가 발생하는 것 H01131221 H02771591 Night sweat 야간발한 C0028081 [3.0] R61.9 Focus 夜間發汗 잠잘 때 흘리는 땀(식은 땀) H01131316 H00496635 Nightmare 악몽 C0028084 [3.0] F51.5 10013211|10039968 1A.01.01.01.11.01.05 Focus|DC "지각: 빠른 안구 운동(REM)수면동안 꾸는 꿈; 피할 수 없는 강한 두려움, 공포 및 고뇌, 또는 극단적 분노감을 일으킴, 보통 잠을 깨게함." H01131496 H01131496 Nil per os 금식 C0419179 [3.0] 1A.9.0376 Focus "먹이지 말라. nothing by mouth, nothing per oral의 약자." H01131538 H01131538 Nipple 젖꼭지 C0028109 [3.0] 10013224 1F.13.05 Location 신체 부분 H01131541 H01131538 Nipple 유두 C0028109 [3.0] 10013224 1F.13.05 Location 신체 부분 H01133262 H01133262 Nocturnal emission 몽정 C0233931 [3.0] Focus 夢精 꿈을 꾸면서 정액을 흘리는 것 H01134575 H01134575 Nodule 결절 C0028259 [3.0] 1A.9.0371 Focus 3㎝지름 정도까지의 피부면에서 융기한 발진(發疹)이고 구진(丘疹)보다 크다. 또 피부면상에 융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피내(皮内) 또는 피하(皮下)에 매몰하는 수도 있다. 결절보다 더욱 큰 발진을 종양(種瘤)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1134699 H01134686 Noise 소음 C0028263 [3.0] 10013230 1A.02.01.01.06 Focus 환경 과정: 인간이 인지하는 소리. H01135070 H01131496 Non per os 금식 [3.0] 1A.9.0376 Focus "먹이지 말라. nothing by mouth, nothing per oral의 약자." H01144985 H01144985 Noncompliance 불이행 C0376405 [3.0] G20.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Failure to follow therapeutic recommendations H01144998 H01144998 Noncompliance deteriorated 불이행 악화됨 [3.0] G20.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005 H01145005 Noncompliance improved 불이행 개선됨 [3.0] G20.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145018 H01145018 Noncompliance stabilized 불이행 안정됨 [3.0] G20.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021 H01145021 Non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불이행 C2364378 [3.0] G2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Failure to follow therapeutic recommendations on tests to identify disease or assess health condition H01145033 H01145033 Non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deteriorated 진단검사 불이행 악화됨 [3.0] G20.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046 H01145046 Non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improved 진단검사 불이행 개선됨 [3.0] G20.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145059 H01145059 Non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stabilized 진단검사 불이행 안정됨 [3.0] G20.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061 H01145061 Non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식사 불이행 C2364379 [3.0] G2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Failure to follow the prescribed diet/food intake H01145074 H01145074 Non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deteriorated 식사 불이행 악화됨 [3.0] G20.2.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087 H01145087 Non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improved 식사 불이행 개선됨 [3.0] G20.2.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145090 H01145090 Non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stabilized 식사 불이행 안정됨 [3.0] G20.2.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103 H01145103 Noncompliance of fluid volume 체액량 불이행 C0184540 [3.0] G2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Failure to follow fluid volume intake requirements H01145116 H01145116 Noncompliance of fluid volume deteriorated 체액량 불이행 악화됨 [3.0] G20.3.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129 H01145129 Noncompliance of fluid volume improved 체액량 불이행 개선됨 [3.0] G20.3.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131 H01145131 Noncompliance of fluid volume stabilized 체액량 불이행 안정됨 [3.0] G20.3.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144 H01145144 Non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투약 불이행 C0746935 [3.0] G2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Failure to follow prescribed regulated course of medicinal substances H01145157 H01145157 Non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deteriorated 투약 불이행 악화됨 [3.0] G20.4.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160 H01145160 Non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improved 투약 불이행 개선됨 [3.0] G20.4.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172 H01145172 Non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stabilized 투약 불이행 안정됨 [3.0] G20.4.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185 H01145185 Non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불이행 C2364382 [3.0] G20.5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Failure to follow measures to prevent injury, danger, or loss" H01145198 H01145198 Non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s deteriorated 안전 불이행 악화됨 [3.0] G20.5.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201 H01145201 Non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s improved 안전 불이행 개선됨 [3.0] G20.5.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214 H01145214 Non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s stabilized 안전 불이행 안정됨 [3.0] G20.5.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227 H01145227 Non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불이행 C0184543 [3.0] G20.6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진단(간호진단) Failure to follow regulated course of treating disease or health condition H01145230 H01145230 Non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deteriorated 치료 불이행 악화됨 [3.0] G20.6.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242 H01145242 Non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improved 치료 불이행 개선됨 [3.0] G20.6.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5255 H01145255 Non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stabilized 치료 불이행 안정됨 [3.0] G20.6.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47551 H01147551 Nonstress test 비수축 검사 C1314734 [3.0] 2C.9.0115 Means Hammacher 등에 의해 권장된 방법이고 태아에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에서 태아심박동수를 조사함으로써 태아의 상태(태아기능부전이나 태아예비능저하의 유무 등)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심장율동의 신경계제어기구의 흐트러짐을 인식함으로써 태아의 상태를 아는 검사법이기 때문에 신경계제어기구가 거의 완성하는 임신 28~30주 이후에 행하는 검사이다. 태아에게 일치해서 일과성 빈맥이 20분간에 2회이상 나타나고 그 파고가 15beats/분 이상(반응형 : reactive pattern) 있으면 태아는 건강하다. 이에 대해서 일과성빈맥이 산발적이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무반응형 : non-reactive pattern) 경우 태아는 잠재성태아가사이거나 수면상태이다.[간호학대사전] H01149425 H01149425 Normal saline 생리식염수 C0445115 [3.0] 1A.9.0374 Focus 우리몸의 체액을 0.9% NaCl용액으로 생각하여 이와 농도를 동일하게 조정하여 제조한 등장액을 말한다. 생리식염수는 일반 물과 달리 혈관내에 직접 들어와도 삼투압의 변화를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링거 등을 통해 주입하여도 쇼크 등의 증세가 나타나지 않는다.[두산백과] H01149466 H01149479 Normal sinus rhythm 정상동리듬 C0232202 [3.0] Focus "동성리듬은 심장수축을 시작하는 정상적인 기전임. 정상적인 심장 흥분파는 동방결절에서 기원하며 심방과 방실결절, 심실로 퍼져감." H01149479 H01149479 Normal sinus rhythm 정상 굴리듬 C0232202 [3.0] Focus "동성리듬은 심장수축을 시작하는 정상적인 기전임. 정상적인 심장 흥분파는 동방결절에서 기원하며 심방과 방실결절, 심실로 퍼져감." H01150823 H01150823 Nose 코 C0028429 [3.0] 10013314 1F.13.06 Location 감각계 구성요소 H01151119 H01107384 Nostril 비공 C0595944 [3.0] Location 鼻孔 "콧구멍, 겉콧구멍과 뒤콧구멍이 있는데 비공은 주로 겉콧구멍을 말한다." H01151258 H01131496 Nothing by mouth 금식 C0419179 [3.0] 1A.9.0376 Focus "먹이지 말라. nothing by mouth, nothing per oral의 약자." H01152225 H01152225 Nuclear family 핵가족 C0028574 [3.0] 10013322 Client "가족: 남편과 아내, 그리고 하나 이상의 법적 자녀들로 이루어진 가족." H01153734 H01153747 Numbness 무감각 C0028643 [3.0] 1A.9.0378 Focus 어떤 부위의 감각의 결여 또는 감소. H01154099 H01154099 Nurse 간호사 C0028661 [3.0] 10013333 Means 의료인 H01154102 H01154102 Nurse specialist service 전문간호서비스 C0184607 [3.0] G2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struction by an advanced practice nurse or nurse practitioner H01154131 H01154143 Nursery 신생아실 C0028659 [3.0] 10013351 2F.02.14.01.01 Location "신생아실은 무균상태에 있었던 산모의 자궁내와 외부와의 사이의 완충지대라고도 할 수 있다. 즉 감염에 침범되기 쉬운 신생아를 격리하고 전문가에 의한 관찰과 간호에 의해서 보호함과 동시에 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산모에게 충분한 휴식을 주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 가장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은 감염방지이다. 환경으로서는 병원의 오염지역에서 가능한 한 벗어난 조용한 환경에 설치하며 가능한 산모의 방에 가깝게 하고 유리너머로 실외에서 신생아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실온은 24~26℃, 습도는 50~60%가 적당하고 채광등(600룩스 정도)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1154156 H01154213 Nursing 간호 C0028682 [3.0] 1A.9.0380 Focus "1) 영아, 환자, 부상자 또는 다른 이유로 간호를 받지 못하는 사람을 위해서 건강복지의 증진, 유지 및 회복 또는 질환의 예방에 필요한 또는 이를 돕는 여러수준의 봉사 혹은 써비스, 때로는 간호할 환자의 연령에 따라서(소아간호, 노인간호), 또는 특별한 건강문제에 따라서(부인과, 내과, 산과, 정형외과, 정신과, 외과, 비뇨기과간호 등), 또는 써비스를 받는 기관에 따라서(사무실, 학교, 또는 직업적 건강간호)호칭한다. 2) 간호는 인류의 시초부터 모성의 보살핌으로부터 출발해 인간의 생활과 함께 존재하는 활동이다. 간호의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는데, 대한간호협회에서는「간호란 모든 개인, 가정,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하여 건강의 회복, 질병예방, 건강유지와 증진에 필요한 지식, 기력, 의지와 자원을 갖추도록 직접 도와주는 활동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리고 환자, 또는 건강한 사람의 경우에도 그 본인을 도와서 가능한 한 빨리 스스로 자신의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지원을 하는 것이다라는 버지니아 헨더슨 Virginia Henderson의 정의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Florence Nightingale(1820 ~ 1910)은「간호는 과학이고 예술이며 전문적 직업이다』라는 근대 간호의 기초를 확립했다. 간호의 본질은 변하지 않으나 간호의 기능은 변화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수반해서 그 시대의 의료에 대한 사람들의 요청도 바뀌어 간호의 기능은 변화ㆍ확대해 나가는 것이다. 간호에는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 대해서 진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환자를 돕는 것도 포함된다. 간호의 기능을 구체화하는 것에 대해서는 나라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 간호사, 조산사, 간호조무사 등 제각기 업무가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다.[간호학대사전]" H01154171 H01154171 Nursing care coordination 치료조정간호활동 C0086584 [3.0] G19.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ynthesize all plans of care by a nurse H01154184 H01154184 Nursing contact 간호사접촉 C0204646 [3.0] G19.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mmunicate with another nurse H01154197 H01154197 Nursing status report 간호상태보고 C0184600 [3.0] G19.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document patient condition by a nurse H01154616 H01154616 Nutrition alteration 영양장애 C0184548 [3.0] J24.0 1A.01.01.01.04.02.05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food and nutrients 음식 또는 영양의 변화나 변경 H01154629 H01154629 Nutrition alteration deteriorated 영양장애 악화됨 [3.0] J24.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54631 H01154631 Nutrition alteration improved 영양장애 개선됨 [3.0] J24.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54644 H01154644 Nutrition alteration stabilized 영양장애 안정됨 [3.0] J24.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54660 H01154660 Nutrition care 영양간호 C1258068 [3.0] J29.0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s H01154685 H01154923 Nutrition disorder 영양 장애 C3714509 [3.0] 10042077 1A.01.01.01.04.02.05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식사불량, 흡수장애, 음식과 영양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질환과 연관되어 영양소의 질적 불균형 또는 불충분한 섭취로 인한 영양불량 상태." H01154796 H01154796 Nutritional component 영양요소 C0184500 [3.0] J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intake of food and nutrients. H01155025 H01155038 Nutritionist 영양사 C0237083 [3.0] 10040426 2B.9.0052 Means 의료인 H01155317 H01155361 Nystagmus 안구진탕 C0028738 [3.0] H55 1A.9.0384 Focus "안구의 빠른 불수의 운동으로서 수평, 수직, 회전 또는 2종 혼합형이 있다." H01155320 H01155361 Nystagmus 눈떨림 C0028738 [3.0] H55 1A.9.0384 Focus "안구의 빠른 불수의 운동으로서 수평, 수직, 회전 또는 2종 혼합형이 있다." H01155332 H01155361 Nystagmus 안진 C0028738 [3.0] H55 1A.9.0384 Focus "안구의 빠른 불수의 운동으로서 수평, 수직, 회전 또는 2종 혼합형이 있다." H01155818 H01155818 Obesity 비만 C0028754 [3.0] E66 1A.01.01.01.04.02.02.01 Focus 肥滿 "과체중: 보통 적정 체중보다 20%이상 체중과 체질량이 초과된 상태로, 오랜기간동안의 지속적인 과도한 영양소 섭취, 과식, 및 운동부족과 관련되며 주로 내부장기와 피하조직에서 지방 세포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함." H01156550 H01156562 Oblique presentation 기운태위 C0426058 [3.0] O32.2 Location "임신중의 태아위치의 진단시, 태아의 세로축과 자궁의 세로축이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는 것. 직각으로 교차하면 횡위(橫位)인데 WHO에서는 사위도 횡위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분만시에 견갑이 먼저 나오므로 견갑위라고도 한다. 드문 태위 이상이고 이대로 자연분만을 하는 것은 자기 회전을 하지 않는 한 우선 불가능하고 태아사망, 자궁 파열등, 모아 모두 위험에 처하게 된다. 처치로서는 내회전술, 외회전술 등도 있는데 제왕 절개가 아기에게 가장 안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156562 H01156562 Oblique presentation 사위태위 C0426058 [3.0] O32.2 Location "임신중의 태아위치의 진단시, 태아의 세로축과 자궁의 세로축이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는 것. 직각으로 교차하면 횡위(橫位)인데 WHO에서는 사위도 횡위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분만시에 견갑이 먼저 나오므로 견갑위라고도 한다. 드문 태위 이상이고 이대로 자연분만을 하는 것은 자기 회전을 하지 않는 한 우선 불가능하고 태아사망, 자궁 파열등, 모아 모두 위험에 처하게 된다. 처치로서는 내회전술, 외회전술 등도 있는데 제왕 절개가 아기에게 가장 안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156952 H01156952 Observation 관찰 C1964257 [3.0] Focus 사물이나 현상을 주의하여 자세히 살펴봄. H01157207 H01157207 Obsession 강박사고 C0233697 [3.0] 10013540 1A.01.01.02.01.01.02.01.01.05 Focus "몰두: 강박적인 행동과 관련된 논리나 이성으로 제거할 수 없는 마음속에 계속 무의식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지속적인 생각이나 사고, 불합리한 행동을 암시하는 생각, 사고의 반복, 하찮은 사고와 부적절한 세부사항, 현실에 기초하지 않은 터무니없는 사고" H01158633 H01158659 Obstruction 막힘 C0028778 [3.0] 10013555 1B.42 Focus 과정 H01158659 H01158659 Obstruction 폐쇄 C0028778 [3.0] 10013555 1B.42 Focus 과정 H01160133 H01160146 Occipital bone 후두골 C0028784 [3.0] Location 머리 뒤쪽의 두개골을 이루는 큰 뼈. H01160146 H01160146 Occipital bone 뒤통수뼈 C0028784 [3.0] Location 머리 뒤쪽의 두개골을 이루는 큰 뼈. H01160216 H01160216 Occipital lobe 뒤통수엽 C0028785 [3.0] Location 뇌 H01160229 H01160216 Occipital lobe 후두엽 C0028785 [3.0] Location 뇌 H01163697 H01163697 Occupational therapist service 직업치료서비스 C1318464 [3.0] G21.4 100136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struction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H01164107 H01164107 Occupational therapist 작업치료사 C0028807 [3.0] 10026628 Means 의료인 H01164110 H01164110 Occupational therapy 작업요법 C1318464 [3.0] 93.83 Means "신체나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적당한 육체적 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운동 기능이나 정신 심리 기능의 개선을 꾀하는 치료법,예를 들면 , 정신장애인, 결핵 회복기의 환자에게 농사, 축산, 원예, 수예, 목공 따위의 작업을 시켜 다시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H01164500 H01164500 Ocular deviation 안구편위 C1112602 [3.0] Focus 안구가 마치 곁눈질할 때와 같은 상태로 고정되는 현상. H01164971 H01164971 Ocular pain 눈통증 C0151827 [3.0] H57.1 Focus 통증 H01165422 H01165435 Oculomotor nerve 동안신경 C0028864 [3.0] Location 제3뇌신경. 안구의 외측 근육에 연결되어 있음. 상안검의 근육을 움직이고 동공 크기를 조절함. H01165435 H01165435 Oculomotor nerve 눈돌림신경 C0028864 [3.0] Location 제3뇌신경. 안구의 외측 근육에 연결되어 있음. 상안검의 근육을 움직이고 동공 크기를 조절함. H01165685 H01716191 Odontalgia 치통 C0040460 [3.0] K08.80 Focus "1) 치아 및 그 주위조직에서 발생하는 삼차신경 영역의 통증이고 치과질환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증상이다. 통증이 심하면 부위가 불명료해지고 상하악의 구별을 오인하는 수가 있다. 두통이나 이통을 합병하거나 타액분비증가, 저작ㆍ발음장애가 나타난다. 진단은 기왕력, 통증의 성상, 치아 및 치주조직 상태 등에 따라 다르다. 원인질환으로서 (1) 치아질환 : 우식ㆍ마모증등, (2) 치수염, (3) 치주염, (4) 급성화농성 치조 골염, (5) 급성화농성 악골염, (6) 삼차신경통, (7) 구강종양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2) 치아의 통증. 일반적으로는 치아 자체의 통증뿐만 아니라 치아를 턱뼈에 지탱시키고 있는 치주조직의 통증도 포함된다. 초기의 충치나 칫솔로 수평으로 세게 문질러서 치아의 잇몸 근처가 쐐기 모양으로 패어진 마모증 등에서 잇몸을 밀거나 치아를 교합해도 아프지는 않으나 찬 공기나 물에 닿으면 통증을 느낀다. 치수염인 경우는 심한 통증이 있다. 특히 급성 화농성치수염인 경우는 치수가 부패하여 가스를 발생하고 치수강 주위의 상아질에 둘러싸여 가스가 배출되지 못해 치수강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치수 내의 신경을 압박하기 때문에 몹시 아파 밤에 잠을 잘 수 없게 된다. 치아에 구멍을 뚫어 고름과 가스를 제거하면 통증은 없어진다. 이 밖에 치아가 들떠서 음식을 씹으면 아픈 치근막염이나 이틀뼈 등의 치주염 " 치조농루의 급성발작 등이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67325 H01167325 Ointment 연고 C0028912 [3.0] 10013670 2C.01.09 Means 물질 H01168041 H01168041 Olfactory alteration 후각장애 C1510410 [3.0] Q44.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diminished ability to smell H01168054 H01168054 Olfactory alteration deteriorated 후각장애 악화됨 [3.0] Q44.4.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68067 H01168067 Olfactory alteration improved 후각장애 개선됨 [3.0] Q44.4.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68070 H01168070 Olfactory alteration stabilized 후각장애 안정됨 [3.0] Q44.4.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69145 H01169145 Oligotrophy 영양실조 [3.0] 10042077 1A.01.01.01.04.02.05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식사불량, 흡수장애, 음식과 영양소 이용에 영향을 주는 질환과 연관되어 영양소의 질적 불균형 또는 불충분한 섭취로 인한 영양불량 상태." H01169161 H01169199 Oliguria 요감소 C0028961 [3.0] 1A.9.0388 Focus "1) 수분섭취량에 비해서 요(尿)배설량이 감소한 것. 2) 1일의 요량이 정상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한 상태이다. 요량은 1일 300-350㎖이하가 되며, 요의 생성이 적고, 요량이 감소한 상태로, 방광 등의 요로에 통과장애가 없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수분섭취량 감소, 구토, 설사, 고도의 발한에 의한 수분상실, 쇼크, 출혈에 의한 신혈류량 저하, 신증, 사구체신염 등 고도로 신기능이 장애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3) 오줌의 양이 생리적 증감의 범위를 넘어서 현저하게 감소된 경우. 건강한 성인의 하루 오줌의 양은 대체로 남자 1,500mL, 여자 1,200ml이고 수분 섭취량-땀남 등에 의하여 생리적 증감이 있다. 보통 500mL 이하 경우를 소변감소증이라고 하고 200mL 이하 경우는 무뇨증이라고 한다. 콩팥염-승홍중독-부적합 수혈 등에 의한 콩팥기능장애와 돌-종양-협착 등에 의한 양쪽 요관의 통과장애일 때 볼 수 있다. 그 밖에 심한 구토-설사-외상성 쇼크 등 비뇨기계 이외의 원인으로도 일어난다. 소변감소증이 오래 게속되면 위험하므로 원인을 찾아서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69173 H01169199 Oliguria 감뇨증 C0028961 [3.0] 1A.9.0388 Focus "1) 수분섭취량에 비해서 요(尿)배설량이 감소한 것. 2) 1일의 요량이 정상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한 상태이다. 요량은 1일 300-350㎖이하가 되며, 요의 생성이 적고, 요량이 감소한 상태로, 방광 등의 요로에 통과장애가 없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수분섭취량 감소, 구토, 설사, 고도의 발한에 의한 수분상실, 쇼크, 출혈에 의한 신혈류량 저하, 신증, 사구체신염 등 고도로 신기능이 장애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3) 오줌의 양이 생리적 증감의 범위를 넘어서 현저하게 감소된 경우. 건강한 성인의 하루 오줌의 양은 대체로 남자 1,500mL, 여자 1,200ml이고 수분 섭취량-땀남 등에 의하여 생리적 증감이 있다. 보통 500mL 이하 경우를 소변감소증이라고 하고 200mL 이하 경우는 무뇨증이라고 한다. 콩팥염-승홍중독-부적합 수혈 등에 의한 콩팥기능장애와 돌-종양-협착 등에 의한 양쪽 요관의 통과장애일 때 볼 수 있다. 그 밖에 심한 구토-설사-외상성 쇼크 등 비뇨기계 이외의 원인으로도 일어난다. 소변감소증이 오래 게속되면 위험하므로 원인을 찾아서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69199 H01169199 Oliguria 소변감소 C0028961 [3.0] 1A.9.0388 Focus "1) 수분섭취량에 비해서 요(尿)배설량이 감소한 것. 2) 1일의 요량이 정상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한 상태이다. 요량은 1일 300-350㎖이하가 되며, 요의 생성이 적고, 요량이 감소한 상태로, 방광 등의 요로에 통과장애가 없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수분섭취량 감소, 구토, 설사, 고도의 발한에 의한 수분상실, 쇼크, 출혈에 의한 신혈류량 저하, 신증, 사구체신염 등 고도로 신기능이 장애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3) 오줌의 양이 생리적 증감의 범위를 넘어서 현저하게 감소된 경우. 건강한 성인의 하루 오줌의 양은 대체로 남자 1,500mL, 여자 1,200ml이고 수분 섭취량-땀남 등에 의하여 생리적 증감이 있다. 보통 500mL 이하 경우를 소변감소증이라고 하고 200mL 이하 경우는 무뇨증이라고 한다. 콩팥염-승홍중독-부적합 수혈 등에 의한 콩팥기능장애와 돌-종양-협착 등에 의한 양쪽 요관의 통과장애일 때 볼 수 있다. 그 밖에 심한 구토-설사-외상성 쇼크 등 비뇨기계 이외의 원인으로도 일어난다. 소변감소증이 오래 게속되면 위험하므로 원인을 찾아서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69202 H01169199 Oliguria 소변감소증 C0028961 [3.0] 1A.9.0388 Focus "1) 수분섭취량에 비해서 요(尿)배설량이 감소한 것. 2) 1일의 요량이 정상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한 상태이다. 요량은 1일 300-350㎖이하가 되며, 요의 생성이 적고, 요량이 감소한 상태로, 방광 등의 요로에 통과장애가 없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수분섭취량 감소, 구토, 설사, 고도의 발한에 의한 수분상실, 쇼크, 출혈에 의한 신혈류량 저하, 신증, 사구체신염 등 고도로 신기능이 장애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3) 오줌의 양이 생리적 증감의 범위를 넘어서 현저하게 감소된 경우. 건강한 성인의 하루 오줌의 양은 대체로 남자 1,500mL, 여자 1,200ml이고 수분 섭취량-땀남 등에 의하여 생리적 증감이 있다. 보통 500mL 이하 경우를 소변감소증이라고 하고 200mL 이하 경우는 무뇨증이라고 한다. 콩팥염-승홍중독-부적합 수혈 등에 의한 콩팥기능장애와 돌-종양-협착 등에 의한 양쪽 요관의 통과장애일 때 볼 수 있다. 그 밖에 심한 구토-설사-외상성 쇼크 등 비뇨기계 이외의 원인으로도 일어난다. 소변감소증이 오래 게속되면 위험하므로 원인을 찾아서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69215 H01169199 Oliguria 핍뇨 C0028961 [3.0] 1A.9.0388 Focus "1) 수분섭취량에 비해서 요(尿)배설량이 감소한 것. 2) 1일의 요량이 정상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한 상태이다. 요량은 1일 300-350㎖이하가 되며, 요의 생성이 적고, 요량이 감소한 상태로, 방광 등의 요로에 통과장애가 없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수분섭취량 감소, 구토, 설사, 고도의 발한에 의한 수분상실, 쇼크, 출혈에 의한 신혈류량 저하, 신증, 사구체신염 등 고도로 신기능이 장애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3) 오줌의 양이 생리적 증감의 범위를 넘어서 현저하게 감소된 경우. 건강한 성인의 하루 오줌의 양은 대체로 남자 1,500mL, 여자 1,200ml이고 수분 섭취량-땀남 등에 의하여 생리적 증감이 있다. 보통 500mL 이하 경우를 소변감소증이라고 하고 200mL 이하 경우는 무뇨증이라고 한다. 콩팥염-승홍중독-부적합 수혈 등에 의한 콩팥기능장애와 돌-종양-협착 등에 의한 양쪽 요관의 통과장애일 때 볼 수 있다. 그 밖에 심한 구토-설사-외상성 쇼크 등 비뇨기계 이외의 원인으로도 일어난다. 소변감소증이 오래 게속되면 위험하므로 원인을 찾아서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70030 H01170042 Omphalocele 배꼽내장탈장 C0795690 [3.0] Q79.2 1A.9.0389 Focus "흑인, 여아, 미숙아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개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나서 1세경 없어진다. 아기가 울 때나 기침할 때, 힘쓸 때 탈장 부위가 튀어나오지만, 다시 섬유 제륜 속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탈장 부위 안으로 장망이나 소장이 밀려들어갈 수 있으나 장감돈은 드물다. 배꼽 헤르니아는 크기가 5~6cm로 큰 것도 대개 5~6세경 저절로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과적 수술은 장감돈이 되거나 1~2세경에도 계속 커질 때 시행하며, 테이프로 붙여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두산백과]" H01170042 H01170042 Omphalocele 선천복벽탈장 C0795690 [3.0] Q79.2 1A.9.0389 Focus "흑인, 여아, 미숙아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개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나서 1세경 없어진다. 아기가 울 때나 기침할 때, 힘쓸 때 탈장 부위가 튀어나오지만, 다시 섬유 제륜 속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탈장 부위 안으로 장망이나 소장이 밀려들어갈 수 있으나 장감돈은 드물다. 배꼽 헤르니아는 크기가 5~6cm로 큰 것도 대개 5~6세경 저절로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과적 수술은 장감돈이 되거나 1~2세경에도 계속 커질 때 시행하며, 테이프로 붙여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두산백과]" H01171371 H01171383 Onset 발현 C0332162 [3.0] 10013689 Time 상태 H01171383 H01171383 Onset 시작 C0332162 [3.0] 10013689 Time 상태 H01172405 H01172405 Oozing 진물 C1446325 [3.0] 1A.9.0457 Focus "1) 액체가 부분 또는 조직으로 일탈(逸脫) 2) 염증이 생긴 국소에 혈관에서 액체 및 세포성분이 밖으로 나와 병소에 모이는 것을 삼출이라 하고 그때, 액체성분은 단백질의 함량이 크고 혈장에 가까운 액체성분이 그대로 나온다. 이와 같은 액체를 말한다. 여출액(爐出液)에 비해서 세포성분이 풍부하며 비중 1.018 이상으로서 단백함 유량 4% 이상, 또 피브리노겐을 함유하는 액(液)으로서 염증 반응의 결과로 생긴다. Rivaita반응양성, Runneberg반응 양성이 된다.[간호학대사전] 3) 염증이 생겼을 때 핏줄이나 미세한 구멍에서 조직이나 체강 속으로 스며 나오는 세포 성분과 액체 성분. 진물이나 고름 따위가 있다. 흉막염이 있을 때 흉막강속에 물이 고이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81223 H01181264 Open wound 개방성 상처 C0332798 [3.0] T14.1 10046408 Focus H01182954 H01182954 Operating room 수술실 C0029064 [3.0] 10013691 Location 진료부서 H01182967 H01182967 Operation 수술 C0543467 [3.0] 10013708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1184983 H01184996 Ophthalmodonesis 눈흔들림 [3.0] 1A.9.0384 Focus "안구의 빠른 불수의 운동으로서 수평, 수직, 회전 또는 2종 혼합형이 있다." H01186344 H01186331 Opisthotonus 활모양강직 C0151818 [3.0] 1A.9.0390 Focus "1) 머리와 발뒤꿈치는 뒤로 굴곡하고 구간(軀幹)은 앞으로구부러진경련의 1형. Opisthotonos 2) 경부(後頸部)의 근 및 배근, 상하지근의 근긴장 항진 또는 경련에 의해 경부를 강하게 배굴(背屈)시켜 전신이 후방궁형(後方弓形)으로 굽혀지는 상태를 말한다. 수막염, 파상풍(테타누수), 디프테리아에 의한 수막증(메닌기슴, meningism, 중뇌종양, 전간, 각종 원인에 의한 테타니등에서 나타나면, 또한 히스테리 hysteria의 중요한 징후이다.[간호학대사전]" H01188177 H01188177 Oral hemorrhage 구강 출혈 C0029163 [3.0] Focus "통상 구강염, 잇몸 질환 혹은 혈소판 감소로 생기는 구강 내 조직에서의 출혈 현상임." H01188192 H01188192 Oral mucous membranes impairment 구강점막손상 C0231355 [3.0] R46.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진단(간호진단) Diminished ability to maintain the tissues of the oral cavity H01188206 H01188206 Oral mucous membranes impairment deteriorated 구강점막손상 악화됨 [3.0] R46.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88219 H01188219 Oral mucous membranes impairment improved 구강점막손상 개선됨 [3.0] R46.1.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88221 H01188221 Oral mucous membranes impairment stabilized 구강점막손상 안정됨 [3.0] R46.1.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188345 H01188345 Oral cavity 입안 C0226896 [3.0] 10013720 1F.03.03.02 Location 체강 H01188358 H01188345 Oral cavity 구강 C0226896 [3.0] 10013720 1F.03.03.02 Location 체강 H01188710 H01188710 Oral hypoglycemic agent 경구혈당강하제 C0359086 [3.0] Means 췌장을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인슐린이 세포에 잘 결합하도록 해주고 간에서 새로이 당이 생성되지 않도록 작용하여 혈당을 낮춰 주는 먹는 약제. H01189575 H01189575 Orbit 눈확 C0029180 [3.0] Location "안구 ·안구부속근(동안근) ·맥관 ·신경 ·누선(淚腺)의 부속기, 안구주위의 안와 지방체 등을 수용하는 안면두개의 함요부를 일컫는다. 안와는 사각뿔채를 가로로 한 형으로 그 밑면은 안와구에, 선단은 후단의 시신경관의 구멍에 해당된다. 중심축은 다소 후방내측을 향하는데, 안와는 상악골(上顎骨) ·사골(篩骨) ·전두골 ·협골(頰骨) ·누골(淚骨) ·구개골의 일부의 결합에 의하여 그 내벽을 형성." H01189591 H01189575 Orbit 안와 C0029180 [3.0] Location "안구 ·안구부속근(동안근) ·맥관 ·신경 ·누선(淚腺)의 부속기, 안구주위의 안와 지방체 등을 수용하는 안면두개의 함요부를 일컫는다. 안와는 사각뿔채를 가로로 한 형으로 그 밑면은 안와구에, 선단은 후단의 시신경관의 구멍에 해당된다. 중심축은 다소 후방내측을 향하는데, 안와는 상악골(上顎骨) ·사골(篩骨) ·전두골 ·협골(頰骨) ·누골(淚骨) ·구개골의 일부의 결합에 의하여 그 내벽을 형성." H01191075 H01191075 Ordinal scale 순위척도 C1709336 [3.0] 1A.9.0458 Means "측정 대상에 대해 서열이나 순위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예를 들면 강, 중, 약, S, M, W 또는3, 2, 1로 코드 할 수 있다. 코드로서 숫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소관계에만 의미가 있어 거리척도와 달리 수치의 차이에는 의미가 없다.[생명과학대사전]" H01191132 H01191132 Organ 기관 C0178784 [3.0] 2B.9.0055 Focus 다세포 생물에서 몇 개의 조직이 복합하여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특정한 작용을 하는 부분.[두산백과] 각각의 장기가 모여서 계(system)를 형성한다. 기관은 각기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듯이 보이지만 실상은 서로 다른 기관에 의해 끊임없이 상호 교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기관들은 어떤 목적을 위해 서로 같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 이런 기관들을 묶어서 계라고 임의적으로 구분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91145 H01191132 Organ 장기 C0178784 [3.0] 2B.9.0055 Focus 다세포 생물에서 몇 개의 조직이 복합하여 일정한 형태를 가지고 특정한 작용을 하는 부분.[두산백과] 각각의 장기가 모여서 계(system)를 형성한다. 기관은 각기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듯이 보이지만 실상은 서로 다른 기관에 의해 끊임없이 상호 교류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기관들은 어떤 목적을 위해 서로 같이 작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 이런 기관들을 묶어서 계라고 임의적으로 구분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191173 H01191173 Organ donor 장기제공자 C0029206 [3.0] Focus Someone from whom an organ is removed for transplantation or other purpose.[NCI] H01191979 H01191994 Organism 생물 C0029235 [3.0] 10013783 Focus 개체 H01192711 H01192711 Orientation 지남력 C0029266 [3.0] 10013810 1A.01.01.02.01.01.04.01 Focus "상태: 연도, 계절, 월, 일, 정확한 시간과 같은 시간적 측면; 나라, 지방, 도시, 직장, 집과 같은 장소적 측면 그리고 나이, 생일과 같은 자기 인식 측면과 주변 사람들 인지 측면에서 환경과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 H01193675 H01193675 Oropharynx 입인두 [3.0] Location 입의 뒷벽부위로 호흡경로와 소화경로가 만나는 곳. H01194531 H01194557 Orthopnea 앉아숨쉬기 C0085619 [3.0] R06.0 10013823 1A.01.01.01.01.02.02.01 Focus 휴식시 호흡곤란: 앙와위나 복위에서의 짧은 호흡. H01194557 H01194557 Orthopnea 좌위호흡 C0085619 [3.0] R06.0 10013823 1A.01.01.01.01.02.02.01 Focus 휴식시 호흡곤란: 앙와위나 복위에서의 짧은 호흡. H01194560 H01194557 Orthopnea 기좌호흡 C0085619 [3.0] R06.0 10013823 1A.01.01.01.01.02.02.01 Focus 휴식시 호흡곤란: 앙와위나 복위에서의 짧은 호흡. H01194725 H01194725 Orthosis 보조기 C0029365 [3.0] 1A.9.0014 Focus 인체의 기능을 보조하거나 교정하는 장치[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194823 H00800172 Orthostatic hypotension 기립성 저혈압 C0020651 [3.0] I95.1 Focus "기립시 혈압조절기구에 장애가 있기 때문에 기립시에 혈압이 낮아지고 어지럽고 때로는 실신하게 되는 상태이다. 원인으로서는 약제(특히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강압제), 신경질환(척수손상, 그밖의 척수내지 자율신경을 침범하는 질환), 당뇨병성 신경증, 부신부전, 갈색세포종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207640 H01207640 Otalgia 귀통증 C0013456 [3.0] H92.0 2B.9.0127 Focus "귀에 일어나는 통증. 바깥귀성-가운데귀성-구인두 이관성의 것이 있다. 바깥귀성 통증의 주원인은 귀종기에 의한 것으로서, 귀의 입구가 빨갛게 부어서 몹시 아프고, 귓바퀴를 건드리면 통증이 한층 심해진다. 그러나 곪아터져서 고름이 나오면 통증이 한결 덜하게 된다. 가운데귀성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병은 급성중이염으로서, 발열-귀울림-난청이 일어나고, 귀가 막힌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고막이 천공되어 고름이 나오거나 천공되지 않아도 염증이 가시면 통증이 차차 없어진다. 귀인두관성의 동통은 저인두관염에 의한 것으로서 귀 속이 욱신거리면서 아프지만 고막이나 청력에는 이상이 없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207652 H01207640 Otalgia 귀아픔 C0013456 [3.0] H92.0 2B.9.0127 Focus "귀에 일어나는 통증. 바깥귀성-가운데귀성-구인두 이관성의 것이 있다. 바깥귀성 통증의 주원인은 귀종기에 의한 것으로서, 귀의 입구가 빨갛게 부어서 몹시 아프고, 귓바퀴를 건드리면 통증이 한층 심해진다. 그러나 곪아터져서 고름이 나오면 통증이 한결 덜하게 된다. 가운데귀성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병은 급성중이염으로서, 발열-귀울림-난청이 일어나고, 귀가 막힌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고막이 천공되어 고름이 나오거나 천공되지 않아도 염증이 가시면 통증이 차차 없어진다. 귀인두관성의 동통은 저인두관염에 의한 것으로서 귀 속이 욱신거리면서 아프지만 고막이나 청력에는 이상이 없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251861 H01251887 Otorrhea 이루 C0155540 [3.0] H92.1 Focus "귀에서의 배액, 특히 배농." H01251874 H01251887 Otorrhea 귓물 C0155540 [3.0] H92.1 Focus "귀에서의 배액, 특히 배농." H01252116 H01621212 Out stitch 꿰맨실제거 [3.0] 1A.9.0546 Focus "1) 외상에 의한 피부의 열개(裂開), 수술에 의한 피부절개시, 열린 상처가 오염되어 있지 않으면 보통 봉합에 의해서 폐쇄된다. 봉합창은 1차적으로 치유되기 때문에 보통 1주간후에 봉합사를 뽑는다. 이를 발사라고 한다. 열린 상처를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서 창외의 봉합사의 연결구를 잡아당기거나 창내로 매몰해있는 봉합사를 시야로 내어서 거기에서 실을 절단한다. 환자의 영양상태 또는 약제 투여에 의해서 창치유가 지연된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발사시기를 늦추기도 한다. 또한 부위별로 피부장력에 따라 발사시기를 가감하기도 한다.[간호학대사전]" H01252436 H01252436 Output 배설 C3251815 [3.0] F15.4 1A.9.046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measure the amount of fluid volume removed from the body 체외로 배설되는 체액량을 측정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1253137 H01253137 Ovary 난소 C0029939 [3.0] 10013868 1F.14.01 Location 여성생식기계 H01253460 H01253460 Overdose 과용량 C0029944 [3.0] 10013881 Focus "자기 파괴적 행위: 치사량의 약물을 스스로 섭취하는 것, 약물중독, 습관성 약물복용과 관련됨." H01253749 H01253749 Overflow incontinence 범람실금 C0312413 [3.0] 10026922 Focus 요실금 H01253821 H01253821 Overhydration 과다수분공급 C0392689 [3.0] 10041967 Focus H01254006 H01254006 Overload 과부하 [3.0] Focus 1) 이동이나 진행에 적합하도록 설계한 체계 용량보다 큰 적재량이나 적하량. "2) (생리학에서) 본래의 한계를 넘어 인체에 스트레스를 주거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요인이나 영향.[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1254354 H01254341 Overweight 과체중 C0497406 [3.0] 10013899|10027300 1A.01.01.01.04.02.02 Focus|DC "체중 이상: 보통 적정 체중보다 10~20% 정도 체중과 체질량이 초과된 상태로, 과다한 영양소 섭취, 과식 및 운동부족과 관련 되며 주로 내부장기와 피하조직에서 지방 세포의 비율이 증가함." H01254367 H01787160 Oviduct 난관 C0015560 [3.0] Location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튜브 모양의 기관. H01254370 H01787160 Oviduct 자궁관 C0015560 [3.0] Location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튜브 모양의 기관. H01255030 H01255030 Ovum 난자 C0029974 [3.0] Location 여성의 생식세포로 여성의 생식기관인 난소에서 방출되는 단세포. H01256371 H01256371 Oxygen 산소 C0030054 [3.0] Means "적혈구내의 혈색소의 역할로 신체내 모든 조직세포에 전해지며, 인체대사작용에 필수적인 기체." H01256383 H01256383 Oxygen therapy care 산소요법 C0184633 [3.0] L35.0 2C.02.05.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계획(간호중재) Means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administration of oxygen treatment 산소치료의 주입을 지원하는 활동 H01256761 H01256761 Oxygen mask 산소마스크 C0181744 [3.0] 10013909 2C.01.07.34 Means 호흡장치 H01256799 H01256799 Oxygen saturation 산소포화도 [3.0] 10030845 1A.9.0385 Focus 상태 H01256856 H01256856 Oxygen tent 산소텐트 C0183880 [3.0] 10013913 2C.01.11.07 Means 호흡장치 H01256869 H01256869 Oxygen therapy 산소요법 C0184633 [3.0] 93.96 10013921|10039369 2C.02.05.01 Means|IC 요법 H01258495 H01374508 PEEP 날숨끝양압 C0032740 [3.0] Means "기계적 환기를 받는 대상자의 기도를 양압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방식. 기계적인 인공호흡을 하는 동안 압력은 호기말에 대기압력수준이상을 유지하게 하여 기능적 폐잔존량(FRC)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도를 증진시켜, 기능적 폐잔존량이 증가됨으로써 호기말 양압호흡은 허탈된 폐포와 폐포 아랫부분을 확장시키고 이것은 산소확산을 위한 표면적과 노출시간을 증가시킴." H01260468 H01388631 PROM 조기양막파열 C0015944 [3.0] O42.99 Focus 임신주수에 상관없이 진통이 오기 전에 양막이 먼저 터지는 것. H01260762 H01260762 Pacemaker 박동 조율기 C0030163 [3.0] 10013945 2C.01.11.13 Means 심장이식장치 H01260775 H01260775 Pacemaker care 심박조율기간호 C0397442 [3.0] C09.0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use of an electronic device that provides a normal heartbeat H01261698 H01261698 Pad 패드 C0182158 [3.0] 2C.9.0121 Means 부드러운 물질로 만든 쿠션과 같은 물건. H01262066 H01263338 Pain 동통 C0030193 [3.0] R52.9 1A.01.01.01.13.01 Focus 疼痛 "손상된 지각: 신체에 느껴지는 불쾌한 감각이 증가하는 것, 고통, 얼굴을 찌푸림, 근육 긴장의 변화, 자기 보호적 행동, 주의집중감소, 시간에 대한 지각력 감소, 사회적 소외감, 사고 기능 부전, 산만한 행동, 안절부절, 및 식욕감퇴에 대한 주관적인 보고." H01262079 H01263338 Pain 통증 C0030193 [3.0] R52.9 Q63.0 10013950|10023130 1A.01.01.01.13.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Physical suffering or distress; to hurt 신체적 고통 또는 괴로움; 아픔 H01262094 H01262094 Pain deteriorated 통증 악화됨 [3.0] Q63.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62108 H01262108 Pain improved 통증 개선됨 [3.0] Q63.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62136 H01262136 Pain stabilized 통증 안정됨 [3.0] Q63.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62219 H01262219 Pain control 통증조절 C1304888 [3.0] Q47.0 1002583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responses to injury or damage H01263909 H01263909 Palate 입천장 C0700374 [3.0] Location "고유 구강의 윗 벽으로 비강과 구강의 경계. 앞부분은 단단하고 뒷부분은 연하기 때문에 각각 경구개, 연구개라고 함." H01263911 H01263909 Palate 구개 C0700374 [3.0] Location "고유 구강의 윗 벽으로 비강과 구강의 경계. 앞부분은 단단하고 뒷부분은 연하기 때문에 각각 경구개, 연구개라고 함." H01264568 H00315032 Palatoschisis 구개열 C0008925 [3.0] Q35 1A.9.0104 Focus "선천적 기형의 하나이고 태생기에 양구개의 융합이 불완전하게 된 것. 그 정도에 따라서 완전구개열, 불완전구개열, 연구개열이 있고 점막의 파열이 없는 것을 점막하 구개열이라고 한다. 원인으로서는 유전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데 태생초기의 여러가지 인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포유력부전으로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개비성(開鼻聲)과 함께 언어장애가 문제가 된다. 치아나 교합의 이상, 중이(中耳)의 감염을 가져오기 쉽다. 수술은 비강과 구강의 격벽을 만드는 것, 비인강(鼻咽腔) 폐쇄기능을 양호하게 해서 언어장애를 예방ㆍ개선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술뒤 언어훈련을 필요로 하는데 언어치료의 면에서 수술의 시기는 2세전후가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1264625 H01265313 Pale 창백 C0030232 [3.0] R23.1 Focus 피부의 색이 파래지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265173 H01265173 Palliative therapy 완화요법 C0030231 [3.0] Means 요법 H01265313 H01265313 Pallor 창백 C0030232 [3.0] R23.1 Focus 피부의 색이 파래지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265326 H01265326 Palm 손바닥 C0817662 [3.0] T23 Location 손의 안쪽. 곧 손금이 새겨진 쪽. H01265938 H01265938 Palpation 촉진 C0030247 [3.0] 2A.01.02.01.02 Action 觸診 "환자의 아픈 부위 등을 눌러봐서 온도, 단단함, 통증 반응 등을 파악하는 것" H01266179 H01266194 Palpitation 심계항진 C0030252 [3.0] R00.2 1A.9.0395 Focus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과도한 심박동으로 규칙적일 수 있고 불규칙적일 수 있다. H01266181 H01266194 Palpitation 두근거림 C0030252 [3.0] R00.2 1A.9.0395 Focus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과도한 심박동으로 규칙적일 수 있고 불규칙적일 수 있다. H01266211 H01266211 Palsy 마비 C0522224 [3.0] 10014006 1A.01.01.01.12.01.01.08.S.001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근육기능이나 감각의 손실, 배변과 배뇨 조절의 손실,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신체나 그 일부를 움직이는 능력의 손실로 특징 지어지는 비정상적인 상태, 신체 기관의 부분적 결여. 상해, 신경근육계의 병변 또는 척수손상, 질병 또는 중독과 같은 외상과 관련됨." H01268544 H01268630 Panic 공황 C0030318 [3.0] F41.0 1A.9.0396 Focus 극도의 또는 불합리한 공포와 불안. H01269524 H01824907 Panting 헐떡임 C0425488 [3.0] Focus 효증(哮症)이 발작할 때 늘 숨찬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좁은 의미에서 효증(哮症)을 말하는 것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270643 H01270643 Papule 구진 C0332563 [3.0] Focus "1) 피부면에서 반구상, 원추상, 때로는 편평하게 융기하는 피진을 일컫는다. 색조는 대개의 경우 홍색을 띠는데, 황색조, 갈색조, 흑색조 그리고 정상피부색인 것도 있다. 육안적 관찰에서 구진의 내부에 장액을 넣은 것처럼 보이는 것을 장액성 구진이라하고 내용이 충실한 것을 충실성 구진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2) 구진은 반점과 달리 피부가 솟아올라가 있는 것을 말하며 보통 경계는 명확하다. 크기는 직경 0.5~1cm 정도이다. 끝이 편평하거나 중심부가 함몰되어 배꼽 모양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끝은 보통 뾰족하거나 둥글게 생겼다. 대부분은 피부의 표피 및 진피 상부층에 존재하고, 피지샘 주위나 땀샘 또는 털집의 입구에 생기기도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272410 H01272407 Paraffin bath 파라핀 욕 C0182181 [3.0] 93.35 Means ~浴 "파라핀과 올리브오일을 7:1의 비율로 섞어 용기에서 녹인 것이다. 손 발 팔꿈치 부위를 치료하며, 관절염 통증 등의 치료에 이용된다." H01274103 H01266211 Paralysis 마비 C0522224 [3.0] 10014006|10022674 1A.01.01.01.12.01.01.08 Focus|DC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근육기능이나 감각의 손실, 배변과 배뇨 조절의 손실,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신체나 그 일부를 움직이는 능력의 손실로 특징 지어지는 비정상적인 상태, 신체 기관의 부분적 결여. 상해, 신경근육계의 병변 또는 척수손상, 질병 또는 중독과 같은 외상과 관련됨." H01275600 H01275583 Paranasal sinus 부비동 C0030471 [3.0] Location 두개골 내의 콧구멍과 통하며 점막으로 덮여진 공기로 채워진 공간. 호흡시 공기를 데워주는 기능 및 소리를 낼 때 공명을 시켜주는 기능을 가짐. H01275612 H01275583 Paranasal sinus 코곁굴 C0030471 [3.0] Location 두개골 내의 콧구멍과 통하며 점막으로 덮여진 공기로 채워진 공간. 호흡시 공기를 데워주는 기능 및 소리를 낼 때 공명을 시켜주는 기능을 가짐. H01279391 H01279391 Parental role conflict 부모역할갈등 C1999012 [3.0] M27.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Struggle with parental position and responsibilities H01279405 H01279405 Parental role conflict deteriorated 부모역할갈등 악화됨 [3.0] M27.1.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79418 H01279418 Parental role conflict improved 부모역할갈등 개선됨 [3.0] M27.1.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79421 H01279421 Parental role conflict stabilized 부모역할갈등 안정됨 [3.0] M27.1.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79459 H01279459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영양 C1171209 [3.0] J29.6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nourishment through intravenous or subcutaneous routes H01279557 H01279557 Parenting alteration 부모역할장애 C0231417 [3.0] M27.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nurturing figure's ability to promote growth H01279560 H01279560 Parenting alteration deteriorated 부모역할장애 악화됨 [3.0] M27.2.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79572 H01279572 Parenting alteration improved 부모역할장애 개선됨 [3.0] M27.2.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79585 H01279585 Parenting alteration stabilized 부모역할장애 안정됨 [3.0] M27.2.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279627 H01279630 Paresis 부전마비 C0030552 [3.0] 10014075 1A.01.01.01.12.01.01.08.01 Focus "마비: 입, 인후, 눈꺼풀같은 신체 부분의 운동기능 손실(불완전 손실 또는 완전 손실)로 나타나는 부분 마비 또는 전신 마비" H01279630 H01279630 Paresis 불완전마비 C0030552 [3.0] 10014075 1A.01.01.01.12.01.01.08.01 Focus "마비: 입, 인후, 눈꺼풀같은 신체 부분의 운동기능 손실(불완전 손실 또는 완전 손실)로 나타나는 부분 마비 또는 전신 마비" H01279668 H01279668 Paresthesia 감각 이상 C0030554 [3.0] 1A.9.0005 Focus "지각둔마(知覺鈍痲), 지각이탈 등의 타각적 지각저하 hypesthesia 이외의 이상한 지각을 말한다. paresthesia라고도 한다. 예를 들면 바늘로 한점을 찔러도 많은 바늘로 찔린 것과 같이 느끼거나, 붓으로 피부를 닿게 되어도 무엇인가로 잘린 것과 같이 느끼거나, 냉감(冷感)을 심한 통각(痛覺)으로 느끼거나 하는 종류의 것이다. 이에 대하여, 자각적인 이상지각을 디스에스테지아 dysesthesia라고 한다. 예를 들면 손이나 발의 뜨끔뜨끔한 느낌, 의주감(蟻走感) 등이 이에 해당한다. 파레스테지아와 디스에스테지아의 구별은, 그의 용법에 약간의 혼란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280470 H01280495 Parity 임신분만력 C0030563 [3.0] 1A.9.0060 Focus 생존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는 것에 관계된 여자의 상태. H01280482 H01280495 Parity 출산력 C0030563 [3.0] 1A.9.0060 Focus 생존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는 것에 관계된 여자의 상태. H01280495 H01280495 Parity 출산수 C0030563 [3.0] 1A.9.0060 Focus 생존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는 것에 관계된 여자의 상태. H01280901 H01280914 Parotid gland 이하선 C1278916 [3.0] Location 입 안에 있는 세개의 침샘 가운데 가장 큰 침샘. H01280914 H01280914 Parotid gland 귀 밑샘 C1278916 [3.0] Location 입 안에 있는 세개의 침샘 가운데 가장 큰 침샘. H01281517 H01281517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발작성 심실위 빠른맥 C0030590 [3.0] Focus 심장의 정상 전기전달조직 이외에 심방과 심실사이에 선천적으로 우회로 (bypass tract) 가 남아 이것이 정상 전기전달조직과 함께 회귀성회로를 (reentry circuit) 형성하여 심장의 전기가 이 회로를 따라 끊임없이 도는 경우 분당 약 180 ~220회의 심장박동이 (빈맥) 일어나는 질환. H01284526 H01284526 Partial seizure 부분 발작 C0751495 [3.0] Focus "피질발작, 부분발작이라고도 한다. 대뇌피질이 있는 부위의 병소(초점)로 인해 부분적 발작증상이 생기는 것. 시간은 짧고, 회복도 빠른데 2차적으로 전환해서 대발작(전신경련)이 되는 수도 있다. 초점이 전중심회(운동령)부근에 있으면 운동성 초점발작(얼굴, 손 등의 부분적 경련), 후중심회(지각령) 부근에 있으면 지각성 초점발작(작열감, 마비강, 통증, 이상지각)이 생긴다. 지각성, 청각성, 비각성의 감각성 초점발작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1287785 H01287785 Passive exercise 피동운동 C0419121 [3.0] Focus "운동요법의 일종으로 근(筋)의 자동수축을 수반하는 자동운동 active exercise에 대한 말. 경축의 예방 및 구축치료의 목적으로 물리요법사(物理療法士) 등 개조자(介助者)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이루어져 근의 자동수축을 수반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사지마비, 편마비(偏痲痺), 편마비환자의 불량사지위구축(不良四肢位拘縮)의 예방, 외상후의 관절구축제거시 등에 행하여진다.[간호학대사전]" H01288251 H01288264 Patch 첩포 [3.0] 2C.9.0122 Means 특정 성분을 담은 부착제. 해당 성분을 몸속에 서서히 침투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부위에 붙여서 사용한다.[표준국어대사전] H01288264 H01288264 Patch 부착포 [3.0] 2C.9.0122.S.001 Means 특정 성분을 담은 부착제. 해당 성분을 몸속에 서서히 침투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부위에 붙여서 사용한다.[표준국어대사전] H01288334 H01288334 Patella 무릎뼈 C0030647 [3.0] M22.0-M22.1 Location "직경 약 5cm의 삼각형 종자뼈로서 넙다리네갈래근의 부착힘줄 속에 있다. 무릎힘줄로 둘러싸여 있으며,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288347 H01288334 Patella 슬개골 C0030647 [3.0] M22.0-M22.1 Location 膝蓋骨 "직경 약 5cm의 삼각형 종자뼈로서 넙다리네갈래근의 부착힘줄 속에 있다. 무릎힘줄로 둘러싸여 있으며, 무릎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288543 H01288543 Patellar reflex 무릎반사 C0234147 [3.0] 1A.9.0399 Focus 걸터 앉아 하퇴를 늘어뜨린 상태 또는 반듯이 누은 자세에서 슬관절을 구부려 세운 상태에서 슬개밑의 건을 가법게 두드리면 대퇴사두근이 수축해 발이 전방으로 튀어오르는 반사. 두드림으로써 대건사두근 속의 근방추(筋紡錘)가 늘어나 이 수용기로부터의 자극이 구심신경을 거쳐 척수(제2~4용수)로 전해지고 대퇴사두근의 운동뉴론이 흉분하는 결과 발생하는 신전반사이다. 반사궁에 포함되는 뉴론은 2개의 단시냅스반사이다. 건강인에게 보통 발생하고 이것이 저하 또는 소실하는 것은 신경이나 척수 염증등의 경우이고 항진 하는 것은 상위에서 이 반사에 대한 억제가 감퇴했을 때이다.[간호학대사전] H01288601 H01288601 Patellar tendon reflex 무릎힘줄반사 [3.0] 1A.9.0399 Focus 걸터 앉아 하퇴를 늘어뜨린 상태 또는 반듯이 누은 자세에서 슬관절을 구부려 세운 상태에서 슬개밑의 건을 가법게 두드리면 대퇴사두근이 수축해 발이 전방으로 튀어오르는 반사. 두드림으로써 대건사두근 속의 근방추(筋紡錘)가 늘어나 이 수용기로부터의 자극이 구심신경을 거쳐 척수(제2~4용수)로 전해지고 대퇴사두근의 운동뉴론이 흉분하는 결과 발생하는 신전반사이다. 반사궁에 포함되는 뉴론은 2개의 단시냅스반사이다. 건강인에게 보통 발생하고 이것이 저하 또는 소실하는 것은 신경이나 척수 염증등의 경우이고 항진 하는 것은 상위에서 이 반사에 대한 억제가 감퇴했을 때이다.[간호학대사전] H01288613 H01288601 Patellar tendon reflex 슬개건반사 [3.0] 1A.9.0399 Focus 걸터 앉아 하퇴를 늘어뜨린 상태 또는 반듯이 누은 자세에서 슬관절을 구부려 세운 상태에서 슬개밑의 건을 가법게 두드리면 대퇴사두근이 수축해 발이 전방으로 튀어오르는 반사. 두드림으로써 대건사두근 속의 근방추(筋紡錘)가 늘어나 이 수용기로부터의 자극이 구심신경을 거쳐 척수(제2~4용수)로 전해지고 대퇴사두근의 운동뉴론이 흉분하는 결과 발생하는 신전반사이다. 반사궁에 포함되는 뉴론은 2개의 단시냅스반사이다. 건강인에게 보통 발생하고 이것이 저하 또는 소실하는 것은 신경이나 척수 염증등의 경우이고 항진 하는 것은 상위에서 이 반사에 대한 억제가 감퇴했을 때이다.[간호학대사전] H01290071 H01290071 Pathway 경로 [3.0] 2B.9.0060.S.001 Focus 1) 지나는 길. "2) 일이 진행되는 방법이나 순서.[표준국어대사전]""" H01290084 H01290084 Patient 환자 C0030705 [3.0] 10014132 2B.02.01.01.01.01.01.01.22 Client 개인 H01292419 H01292419 Peak flow meter 최대유량계 C0180915 [3.0] Means "1) 흡식된 공기의 양을 계측하는 기계. 2) 호흡기능검사시에 호기량의 측정만이 가능한 간이기계로 노력 호흡시의 최대유량peak flow rate만이 지시침으로 표시되며 그것을 직접 읽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반의 주민건강진단 또는 경과관찰을 요하는 천식환자, 수술후의 회복기환자 등에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1293009 H00362806 Pectus carinatum 새가슴 C0158731 [3.0] Q67.7 Focus 가슴 부위가 전방으로 팽만한 기형(새가슴) H01293024 H01293037 Pectus excavatum 오목가슴 C0016842 [3.0] Q67.6 1A.9.0096 Focus "1) 흉골하부 및 늑연골 이후방으로 만곡하고 전흉부 하부가 이상하게 함몰한 것. 고도인 것에서는 심폐의 변위, 압박에 의한 순환, 호흡장애를 일으키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2) 앞가슴의 중앙부가 깔대기 모양으로 함몰되어 있는 것. 대부분 유전성으로 심한 경우에는 심장이나 허파에 장애를 일으킨다. 인구 300~400명의 신생아 중 1명이 이 질환에 걸릴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이 증상을 갖고 있는 사람은 마른체형이고 척추후만 등 자세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보통 신생아기, 영아기 등 어려서부터 알게 되며, 기형적인 모습 때문에 학교생활이나 사회생활을 할 때 지장을 받을 수도 있다.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고, 상기도폐색-기관지연화증과 관련되어 생길 수도 있다. 보통의 경우 증상이 없지만, 심한 경우 심폐기능의 장애로 인해 운동할 때 숨이 차고, 반복되는 감기증상이 있을 수 있다. 승모판 탈출, 조기흥분증후군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3) 가슴이 선천적으로 과도하게 함몰된 기형을 말한다. 가슴뼈의 선천성 기형 중 가장 흔한 증상이다. 일부 환자에서 가족력과 관련 있다고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가족력은 없다. 이러한 증상은 가슴 연골에 생긴 이상 때문에 발생한다. 가슴 연골이 가슴 안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면서 가슴뼈 아래(보통 아래쪽 1/2이나 2/3)를 가슴 안쪽으로 함몰시킨다. 주로 대칭적으로 움푹하게 들어가 보이는 경우가 많지만, 일부에서는 비대칭적으로 함몰되기도 한다. 주로 오른쪽이 더 함몰된다고 알려져 있다. 보통 출생 시부터 바로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서 점점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오목 가슴의 함몰된 기형으로 인해 심장을 누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성장하면서 폐의 용적도 감소되는 경향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한 호흡 곤란 및 운동 기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295221 H01295234 Pelvic examination 골반내진 C0200045 [3.0] Focus "1) 자궁,질의 검진을 위해 질 내로 speculum을 삽입하여 시진, 배양검사 등을 시행하는 비침습적 검사." "2) External and internal inspection of the FEMALE GENITALIA.[MSH]""" H01295234 H01295234 Pelvic examination 골반검사 C0200045 [3.0] 89.26 Focus "1) 자궁,질의 검진을 위해 질 내로 speculum을 삽입하여 시진, 배양검사 등을 시행하는 비침습적 검사." "2) External and internal inspection of the FEMALE GENITALIA.[MSH]""" H01296087 H01296087 Pelvis 골반 C0030797 [3.0] 10014236 1F.15.01 Location 신체 부분 H01298409 H01298409 Penis 음경 C0030851 [3.0] 10014243 1F.15.02 Location 남성 생식기계 H01300155 H01300155 Perceived constipation 상상변비 C0009806 [3.0] B03.5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Impression of infrequent or difficult passage of hard, dry feces without cause" 원인없이 굳고 건조한 변의 배설이 드물거나 어려운 느낌 H01300168 H01300168 Perceived constipation deteriorated 상상변비 악화됨 [3.0] B03.5.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0171 H01300171 Perceived constipation improved 상상변비 개선됨 [3.0] B03.5.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0183 H01300183 Perceived constipation stabilized 상상변비 안정됨 [3.0] B03.5.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0281 H01300281 Perception 지각 C0030971 [3.0] 10014270 1A.01.01.02.01.01.02.02 Focus "신경계 과정: 감각적 자극에 대한 의식적인 정신적 등록, 감각을 통한 사물이나 자료의 인식." H01300351 H01300349 Perceptual dysfunction 지각장애 [3.0] Focus "감각 기관을 통해 외부의 사물을 인식, 사물의 이치를 분별하는 능력의 불능, 고장." H01300488 H01300488 Percussion tone 타진음 [3.0] Focus "any sound obtained by percussion.[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1303821 H02457142 Perforation 천공 C0549099 [3.0] H72.8 Focus "궤양(潰瘍), 암종(癌腫) 따위로 위벽, 복막 따위에 구멍이 생김." H01304061 H01304061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활동활동 수행 [3.0] O43.1.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074 H01304074 Perform activity care 활동간호 수행 [3.0] A01.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087 H01304087 Perform acute pain control 급성통증조절 수행 [3.0] Q47.1.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090 H01304090 Perform adult day center 주간보호센터 수행 [3.0] G17.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03 H01304103 Perform alcohol abuse control 알콜남용통제 수행 [3.0] N40.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16 H01304116 Perform allergic reaction care 알레르기반응조절 수행 [3.0] I26.0.2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29 H01304129 Perform ambulation therapy 보행요법 수행 [3.0] A03.1.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31 H01304131 Perform arterial catheter care 동맥관간호 수행 [3.0] F79.3.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44 H01304144 Perform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사용간호 수행 [3.0] A03.2.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57 H01304157 Perform bedbound care 침상간호 수행 [3.0] A61.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60 H01304160 Perform behavior care 행동간호 수행 [3.0] D10.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72 H01304172 Perform bereavement support 사별지지 수행 [3.0] E14.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4185 H01304185 Perform bill of rights 환자권리 수행 [3.0] G19.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198 H01304198 Perform bladder care 방광간호 수행 [3.0] T58.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01 H01304201 Perform bladder instillation 방광점적 수행 [3.0] T58.1.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14 H01304214 Perform bladder ostomy care 방광루간호 수행 [3.0] T83.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27 H01304227 Perform bladder ostomy irrigation 방광루세척 수행 [3.0] T83.1.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30 H01304230 Perform bladder training 방광훈련 수행 [3.0] T58.2.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42 H01304242 Perform blood pressure 혈압 수행 [3.0] K33.1.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55 H01304255 Perform blood specimen care 혈액검사간호 수행 [3.0] K32.1.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68 H01304268 Perform bowel care 장간호 수행 [3.0] B06.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71 H01304271 Perform bowel ostomy care 장루간호 수행 [3.0] B07.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83 H01304283 Perform bowel ostomy irrigation 장루세척 수행 [3.0] B07.1.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296 H01304296 Perform bowel training 배변훈련 수행 [3.0] B06.1.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00 H01304300 Perform breastfeeding support 모유수유지지 수행 [3.0] J66.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12 H01304312 Perform breathing exercises 호흡운동 수행 [3.0] L36.1.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25 H01304325 Perform burn care 화상간호 수행 [3.0] R81.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38 H01304338 Perform cardiac care 심장간호 수행 [3.0] C08.0.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41 H01304341 Perform cardiac rehabilitation 심장재활 수행 [3.0] C08.1.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53 H01304353 Perform cast care 석고붕대간호 수행 [3.0] A02.1.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66 H01304366 Perform cataract care 백내장간호 수행 [3.0] Q50.1.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79 H01304379 Perform chemotherapy care 항암요법간호 수행 [3.0] H22.0.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81 H01304381 Perform chest physiotherapy 흉부물리요법 수행 [3.0] L36.2.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394 H01304394 Perform chronic pain control 만성통증조절 수행 [3.0] Q47.2.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08 H01304408 Perform circulatory care 순환계간호 수행 [3.0] S70.0.2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11 H01304411 Perform clinical measurements 임상측정 수행 [3.0] K31.4.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23 H01304423 Perform comfort care 안위간호 수행 [3.0] Q48.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36 H01304436 Perform communication care 의사소통간호 수행 [3.0] M38.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49 H01304449 Perform community special services 지역사회서비스프로그램 수행 [3.0] G17.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51 H01304451 Perform compliance care 이행증진간호 수행 [3.0] G18.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64 H01304464 Perform compliance with diet 식사이행 수행 [3.0] G18.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77 H01304477 Perform compliance with fluid volume 수분섭취이행 수행 [3.0] G18.2.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80 H01304480 Perform compliance with medical regimen 의사지시이행 수행 [3.0] G18.3.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492 H01304492 Perform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 투약이행 수행 [3.0] G18.4.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06 H01304506 Perform compliance with safety precaution 안전주의이행 수행 [3.0] G18.5.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19 H01304519 Perform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 치료지시이행 수행 [3.0] G18.6.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21 H01304521 Perform contraception care 피임간호 수행 [3.0] U74.3.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34 H01304534 Perform coping support 대처기전지지 수행 [3.0] E12.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47 H01304547 Perform counseling service 상담서비스 수행 [3.0] E12.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50 H01304550 Perform crisis therapy 위기간호 수행 [3.0] E12.3.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62 H01304562 Perform delivery care 분만간호 수행 [3.0] U75.3.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75 H01304575 Perform denture care 의치간호 수행 [3.0] R53.1.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88 H01304588 Perform diabetic care 당뇨간호 수행 [3.0] I27.0.2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591 H01304591 Perform dialysis care 투석간호 수행 [3.0] T59.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04 H01304604 Perform diarrhea care 설사간호 수행 [3.0] B06.4.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17 H01304617 Perform disimpaction 매복변제거 수행 [3.0] B06.2.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20 H01304620 Perform diversional care 전환간호 수행 [3.0] A77.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32 H01304632 Perform drainage tube care 배액튜브간호 수행 [3.0] R55.1.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45 H01304645 Perform dressing change 드레싱교환 수행 [3.0] R55.2.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58 H01304658 Perform drug abuse control 약물남용통제 수행 [3.0] N40.3.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61 H01304661 Perform dying/death measures 임종과정지원 수행 [3.0] E14.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73 H01304673 Perform ear care 귀간호 수행 [3.0] Q49.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86 H01304686 Perform edema control 부종조절 수행 [3.0] S69.0.2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699 H01304699 Perform emergency care 응급간호 수행 [3.0] N41.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02 H01304702 Perform emotional support 정서적지지 수행 [3.0] E13.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4715 H01304715 Perform enema 관장 수행 [3.0] B06.3.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28 H01304728 Perform energy conservation 에너지보존 수행 [3.0] A01.2.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31 H01304731 Perform enteral feeding 위장관영양 수행 [3.0] J29.5.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43 H01304743 Perform enteral tube care 위장관간호 수행 [3.0] J28.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56 H01304756 Perform enteral tube insertion 위장관삽입 수행 [3.0] J28.1.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69 H01304769 Perform enteral tube irrigation 위장관세척 수행 [3.0] J28.2.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71 H01304771 Perform environmental safety 환경안전주의 수행 [3.0] N42.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84 H01304784 Perform equipment safety 장비안전주의 수행 [3.0] N42.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797 H01304797 Perform eye care 눈간호 수행 [3.0] Q50.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01 H01304801 Perform family process analysis 가족과정분석 수행 [3.0] M39.3.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13 H01304813 Perform feeding technique 영양공급기법 수행 [3.0] J29.2.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26 H01304826 Perform fertility care 수정간호 수행 [3.0] U74.1.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39 H01304839 Perform fluid therapy 수액요법 수행 [3.0] F15.0.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41 H01304841 Perform foot care 발간호 수행 [3.0] S56.0.2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54 H01304854 Perform fracture care 골절간호 수행 [3.0] A02.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67 H01304867 Perform funeral arrangements 장례준비 수행 [3.0] E14.3.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70 H01304870 Perform gastric care 위간호 수행 [3.0] B62.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82 H01304882 Perform growth and development care 성장발달간호 수행 [3.0] U76.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895 H01304895 Perform health aide service 간호보조서비스 수행 [3.0] G21.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09 H01304909 Perform health history 건강력 수행 [3.0] K31.1.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11 H01304911 Perform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 수행 [3.0] K31.2.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24 H01304924 Perform hearing aid care 보청기간호 수행 [3.0] Q49.1.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37 H01304937 Perform hemodialysis care 혈액투석간호 수행 [3.0] T59.1.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40 H01304940 Perform hemodynamic care 혈류역학간호 수행 [3.0] F79.0.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52 H01304952 Perform home situation analysis 가정상태분석 수행 [3.0] M39.1.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65 H01304965 Perform hospice 호스피스 수행 [3.0] G17.2.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78 H01304978 Perform hydration control 체액균형조절 수행 [3.0] F15.1.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81 H01304981 Perform immobilizer care 부동간호 수행 [3.0] A02.2.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4993 H01304993 Perform immunologic care 면역학적간호 수행 [3.0] I65.0.2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01 H01305001 Perform incision care 절개부위간호 수행 [3.0] R55.3.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13 H01305013 Perform individual safety 개별안전주의 수행 [3.0] N42.3.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26 H01305026 Perform infection control 감염통제 수행 [3.0] K30.0.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39 H01305039 Perform infertility care 불임간호 수행 [3.0] U74.2.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41 H01305041 Perform inhalation therapy 흡입치료 수행 [3.0] L36.3.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54 H01305054 Perform injection administration 주사 수행 [3.0] H23.0.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67 H01305067 Perform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도구적일상활동활동 수행 [3.0] O43.2.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70 H01305070 Perform intake 섭취 수행 [3.0] F15.3.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82 H01305082 Perform interpersonal dynamics analysis 대인관계분석 수행 [3.0] M39.2.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095 H01305095 Perform intravenous care 정맥내주입간호 수행 [3.0] F79.1.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09 H01305109 Perform labor care 분만간호 수행 [3.0] U75.2.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11 H01305111 Perform meals on wheels 식사배달서비스 수행 [3.0] G17.3.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24 H01305124 Perform medical regimen orders 의사지시 수행 [3.0] G20.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37 H01305137 Perform medication actions 투약행위 수행 [3.0] H24.1.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40 H01305140 Perform medication care 투약간호 수행 [3.0] H24.0.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52 H01305152 Perform medication prefill preparation 연속투약준비 수행 [3.0] H24.2.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65 H01305165 Perform medication side effects 투약부작용 수행 [3.0] H24.3.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78 H01305178 Perform medication treatment 투약치료 수행 [3.0] H23.4.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81 H01305181 Perform memory loss care 기억상실간호 수행 [3.0] D64.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193 H01305193 Perform mental health history 정신건강력 수행 [3.0] P45.1.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07 H01305207 Perform mental health promotion 정신건강증진 수행 [3.0] P45.2.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10 H01305210 Perform mental health screening 정신건강선별검사 수행 [3.0] P45.3.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22 H01305222 Perform mental health treatment 정신건강치료 수행 [3.0] P45.4.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35 H01305235 Perform mental healthcare 정신건강간호 수행 [3.0] P45.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48 H01305248 Perform mobility therapy 이동요법 수행 [3.0] A03.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51 H01305251 Perform mouth care 구강간호 수행 [3.0] R53.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63 H01305263 Perform musculoskeletal care 재활간호 수행 [3.0] A05.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76 H01305276 Perform nausea care 오심간호 수행 [3.0] B62.1.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89 H01305289 Perform neurological system care 신경계간호 수행 [3.0] D78.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291 H01305291 Perform nurse specialist service 전문간호서비스 수행 [3.0] G21.3.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05 H01305305 Perform nursing care coordination 치료조정간호활동 수행 [3.0] G19.2.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18 H01305318 Perform nursing contact 간호사접촉 수행 [3.0] G19.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21 H01305321 Perform nursing status report 간호상태보고 수행 [3.0] G19.3.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33 H01305333 Perform nutrition care 영양간호 수행 [3.0] J29.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46 H01305346 Perform occupational therapist service 직업치료서비스 수행 [3.0] G21.4.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59 H01305359 Perform output 배설 수행 [3.0] F15.4.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61 H01305361 Perform oxygen therapy care 산소요법 수행 [3.0] L35.0.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74 H01305374 Perform pacemaker care 심박조율기간호 수행 [3.0] C09.0.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87 H01305387 Perform pain control 통증조절 수행 [3.0] Q47.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390 H01305390 Perform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영양 수행 [3.0] J29.6.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03 H01305403 Perform perinatal care 주산기간호 수행 [3.0] U75.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16 H01305416 Perform perineal care 회음부간호 수행 [3.0] S57.0.2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29 H01305429 Perform perioperative injury care 수술주기손상간호 수행 [3.0] N80.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31 H01305431 Perform peritoneal dialysis care 복막투석간호 수행 [3.0] T59.2.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44 H01305444 Perform personal care 개인간호 수행 [3.0] O43.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57 H01305457 Perform physical examination 신체검진 수행 [3.0] K31.3.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60 H01305460 Perform physical healthcare 신체건강간호 수행 [3.0] K31.0.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72 H01305472 Perform physical therapist service 물리치료서비스 수행 [3.0] G21.5.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85 H01305485 Perform physician contact 의사접촉 수행 [3.0] G20.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498 H01305498 Perform physician status report 의사의환자상태보고 수행 [3.0] G20.2.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01 H01305501 Perform positioning therapy 체위간호 수행 [3.0] A61.1.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14 H01305514 Perform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 수행 [3.0] U75.4.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27 H01305527 Perform pregnancy care 임신간호 수행 [3.0] U75.1.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30 H01305530 Perform pressure ulcer care 욕창간호 수행 [3.0] R51.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42 H01305542 Perform pressure ulcer stage 1 care 욕창간호1단계 수행 [3.0] R51.1.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55 H01305555 Perform pressure ulcer stage 2 care 욕창간호2단계 수행 [3.0] R51.2.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68 H01305568 Perform pressure ulcer stage 3 care 욕창간호3단계 수행 [3.0] R51.3.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71 H01305571 Perform pressure ulcer stage 4 care 욕창간호4단계 수행 [3.0] R51.4.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83 H01305583 Perform professional/ancillary service 전문/보조서비스 수행 [3.0] G21.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596 H01305596 Perform psychosocial care 심리사회적간호 수행 [3.0] M39.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00 H01305600 Perform pulmonary care 호흡기계간호 수행 [3.0] L36.0.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12 H01305612 Perform pulse 맥박 수행 [3.0] K33.3.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25 H01305625 Perform radiation therapy care 방사선치료간호 수행 [3.0] H25.0.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38 H01305638 Perform range of motion 근관절범위운동 수행 [3.0] A05.1.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41 H01305641 Perform reality orientation 현실감지남력 수행 [3.0] D11.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53 H01305653 Perform regular diet 보통식사 수행 [3.0] J29.3.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66 H01305666 Perform rehabilitation exercise 재활운동 수행 [3.0] A05.2.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79 H01305679 Perform renal care 신장간호 수행 [3.0] T73.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81 H01305681 Perform reproductive care 재생산간호 수행 [3.0] U74.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694 H01305694 Perform respiration 호흡 수행 [3.0] K33.4.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08 H01305708 Perform respiratory therapist service 호흡치료서비스 수행 [3.0] G21.7.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11 H01305711 Perform safety precautions 안전주의 수행 [3.0] N42.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23 H01305723 Perform sexual behavior analysis 성행위분석 수행 [3.0] M39.4.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36 H01305736 Perform skin breakdown control 피부손상조절 수행 [3.0] R54.1.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49 H01305749 Perform skin care 피부간호 수행 [3.0] R54.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51 H01305751 Perform sleep pattern control 수면양상조절 수행 [3.0] A04.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64 H01305764 Perform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망분석 수행 [3.0] M39.5.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77 H01305777 Perform social worker service 사회복지서비스 수행 [3.0] G21.2.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80 H01305780 Perform special diet 치료식 수행 [3.0] J29.4.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792 H01305792 Perform specimen care 검체간호 수행 [3.0] K32.0.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06 H01305806 Perform speech therapist service 언어치료서비스 수행 [3.0] G21.6.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19 H01305819 Perform spiritual comfort 영적안위 수행 [3.0] E13.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5821 H01305821 Perform sputum specimen care 가래검사간호 수행 [3.0] K32.5.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34 H01305834 Perform stool specimen care 대변검사간호 수행 [3.0] K32.2.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47 H01305847 Perform stress control 스트레스조절 수행 [3.0] E12.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50 H01305850 Perform substance abuse control 물질남용통제 수행 [3.0] N40.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62 H01305862 Perform temperature 체온 수행 [3.0] K32.2.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75 H01305875 Perform terminal care 임종간호 수행 [3.0] E14.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5888 H01305888 Perform tobacco abuse control 담배남용통제 수행 [3.0] N40.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891 H01305891 Perform tracheostomy care 기관절개술간호 수행 [3.0] L37.0.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04 H01305904 Perform transfer care 이동간호 수행 [3.0] A03.3.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17 H01305917 Perform universal precautions 일반적주의 수행 [3.0] K30.1.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20 H01305920 Perform urinary catheter care 도뇨관간호 수행 [3.0] T60.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32 H01305932 Perform urinary catheter insertion 도뇨관삽입 수행 [3.0] T60.1.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45 H01305945 Perform urinary catheter irrigation 도뇨관세척 수행 [3.0] T60.2.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58 H01305958 Perform urinary incontinence care 요실금간호 수행 [3.0] T72.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61 H01305961 Perform urine specimen care 소변검사간호 수행 [3.0] K32.3.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73 H01305973 Perform vascular system care 혈관계간호 수행 [3.0] S82.0.2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86 H01305986 Perform venous catheter care 정맥관간호 수행 [3.0] F79.2.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5999 H01305999 Perform ventilator care 인공호흡기간호 수행 [3.0] L36.4.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006 H01306006 Perform violence control 폭력조절 수행 [3.0] N68.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019 H01306019 Perform vision care 시력간호 수행 [3.0] Q50.2.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021 H01306021 Perform vital signs 활력징후 수행 [3.0] K33.0.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034 H01306034 Perform wandering control 배회간호 수행 [3.0] D63.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047 H01306047 Perform wax removal 귀이지제거 수행 [3.0] Q49.2.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050 H01306050 Perform weight control 체중조절 수행 [3.0] J67.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062 H01306062 Perform wound care 상처간호 수행 [3.0] R55.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06132 H01306132 Perfusion 관류 C0031001 [3.0] T80 Location 신체 경로 H01309139 H01309139 Perinatal care 주산기간호 C0242963 [3.0] U75.0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eriod before, during, and immediately after the creation of an offspring/child" H01309154 H01309154 Perinatal risk 주산기 위험성 C1171167 [3.0] U60.0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 before, during, and immediately after the creation of an offspring/child" H01309167 H01309167 Perinatal risk deteriorated 주산기 위험성 악화됨 [3.0] U60.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9170 H01309170 Perinatal risk improved 주산기 위험성 개선됨 [3.0] U60.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9182 H01309182 Perinatal risk stabilized 주산기 위험성 안정됨 [3.0] U60.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09293 H01309293 Perinatal mortality 출생전후기사망률 C0701826 [3.0] 10014338 Focus "사망률: 주산기 사망자의 상대적 비율(임신 28주 이상의 사산아 수, 그리고 생후 1주일 미만의 신생아 사망수)." H01309376 H01309376 Perineal care 회음부간호 C0150301 [3.0] S57.0 10045154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perineal problems 회음문제를 간호하는 활동 H01310162 H01310162 Perineum 샅 C0031066 [3.0] 10014340 1F.15.03 Location 신체 부분 H01311098 H01311098 Perioperative injury care 수술주기손상간호 C3251807 [3.0] N80.0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perioperative care requirements H01311101 H01311101 Perioperative injury risk 수술주기손상 위험성 C1171168 [3.0] N57.0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injury during the operative processes H01311114 H01311114 Perioperative injury risk deteriorated 수술주기손상 위험성 악화됨 [3.0] N57.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1127 H01311127 Perioperative injury risk improved 수술주기손상 위험성 개선됨 [3.0] N57.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1130 H01311130 Perioperative injury risk stabilized 수술주기손상 위험성 안정됨 [3.0] N57.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1142 H01311142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수술주기체위손상 C1171169 [3.0] N57.1 10014372|100231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Damages from operative process positioning 수술 중 자세로부터 발생하는 손상 H01311155 H01311155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deteriorated 수술주기체위손상 악화됨 [3.0] N57.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1168 H01311168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improved 수술주기체위손상 개선됨 [3.0] N57.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1171 H01311171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stabilized 수술주기체위손상 안정됨 [3.0] N57.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2274 H01312290 Peripheral 주위 C0205100 [3.0] 10014386 1E.05.02 Location 중심 말초 위치 H01312303 H01312303 Peripheral alteration 말초순환장애 C0184570 [3.0] R47.0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neurovascularization of the extremities H01312316 H01312316 Peripheral alteration deteriorated 말초순환장애 악화됨 [3.0] R47.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2329 H01312329 Peripheral alteration improved 말초순환장애 개선됨 [3.0] R47.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2331 H01312331 Peripheral alteration stabilized 말초순환장애 안정됨 [3.0] R47.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2651 H01312651 Peripheral edema 말초 부종 C0085649 [3.0] 10027476 Focus 부종 H01313730 H01313727 Peristome 입주위 [3.0] Location 입언저리. H01313964 H01313964 Peritoneal dialysis care 복막투석간호 C3251809 [3.0] T59.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osmotic removal of waste products from the blood H01314041 H01314066 Peritoneal cavity 복막강 C1704247 [3.0] Location 복막 내장엽과 체벽엽에 의하여 둘러싸인 체강 부분. H01314053 H01314066 Peritoneal cavity 배막안 C1704247 [3.0] Location 복막 내장엽과 체벽엽에 의하여 둘러싸인 체강 부분. H01314066 H01314066 Peritoneal cavity 복막안 C1704247 [3.0] Location 복막 내장엽과 체벽엽에 의하여 둘러싸인 체강 부분. H01314079 H01314079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 C0031139 [3.0] 54.98 10014393 2C.02.03.02 Means 투석기법 H01314317 H01314320 Peritoneum 복막 C0031153 [3.0] Location 복부 내장을 싸고 있는 장막. 복막은 아주 얇은 상피와 그 밑에 접착하는 결합조직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막 전체는 하나로 되어 복강을 에워싸고 있음. H01314320 H01314320 Peritoneum 배막 C0031153 [3.0] Location 복부 내장을 싸고 있는 장막. 복막은 아주 얇은 상피와 그 밑에 접착하는 결합조직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막 전체는 하나로 되어 복강을 에워싸고 있음. H01319330 H01319330 Personal care 개인간호 C0036592 [3.0] O43.0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are for oneself H01319383 H01319383 Personal identity disturbance 자아정체성장애 C0231408 [3.0] P43.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Imbalance in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the self and the nonself H01319396 H01319396 Personal identity disturbance deteriorated 자아정체성장애 악화됨 [3.0] P43.2.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9400 H01319400 Personal identity disturbance improved 자아정체성장애 개선됨 [3.0] P43.2.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9412 H01319412 Personal identity disturbance stabilized 자아정체성장애 안정됨 [3.0] P43.2.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19466 H01319466 Personal history 개인력 C0262926 [3.0] 1A.9.0404 Focus 과거력 H01320461 H01320461 Personal hygiene 개인위생 C0564673 [3.0] 1A.9.0405 Focus 위생 H01320544 H01320544 Personality 인격 C0031208 [3.0] 10014420 1A.01.01.02.01.02.04.02 Focus "개인 정체성: 각기 구별되는 개인으로서 시간이 지나도 실체, 본질, 기질이 같다고 인식되는 행동기질과 태도의 합성." H01320557 H01320544 Personality 성격 C0031208 [3.0] 10014420 1A.01.01.02.01.02.04.02 Focus "개인 정체성: 각기 구별되는 개인으로서 시간이 지나도 실체, 본질, 기질이 같다고 인식되는 행동기질과 태도의 합성." H01322504 H00463417 Perspiration 발한 C0700590 [3.0] 10014449 1A.01.01.01.09.03.S.001 Focus 신체 구성물질 H01322615 H01827415 Pertussis 백일해 C0043167 [3.0] A37.0 Focus 百日咳 "이것은 주로 소아에서 백일해 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기도(위쪽의 기도를 말함. 즉 인두, 후두, 기관을 말함)감염증이다. 특징적인 갑작스런 큰 기침이 증상으로 나타난다. 치료는 항생제의 투여이며, 때로는 폐렴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백일해에 대한 예방접종을 디프테리아(diphteria), 파상풍(tetanus)과 같이 실시하고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323107 H01323135 Petechia 점출혈 C0031256 [3.0] R23.3 1A.9.0406 Focus 1) 피내 또는 점막하의 출혈에 의하여 생기는 약간 돋아오른 원형의 자적색의 점상출혈. 2) 피부나 점막 또는 장막 등에서 육안적으로 점상으로 보이는 소출혈을 말함. 1∼2mm 직경의 출혈.[간호학대사전] H01323110 H01323135 Petechia 출혈점 C0031256 [3.0] R23.3 1A.9.0406 Focus 1) 피내 또는 점막하의 출혈에 의하여 생기는 약간 돋아오른 원형의 자적색의 점상출혈. 2) 피부나 점막 또는 장막 등에서 육안적으로 점상으로 보이는 소출혈을 말함. 1∼2mm 직경의 출혈.[간호학대사전] H01323122 H01323135 Petechia 점상 출혈 C0031256 [3.0] R23.3 1A.9.0406 Focus 1) 피내 또는 점막하의 출혈에 의하여 생기는 약간 돋아오른 원형의 자적색의 점상출혈. 2) 피부나 점막 또는 장막 등에서 육안적으로 점상으로 보이는 소출혈을 말함. 1∼2mm 직경의 출혈.[간호학대사전] H01324701 H01324603 Phantom pain 헛통증 C3495442 [3.0] 10014454|10039906 1A.01.01.01.13.01.05.01 Focus|DC "신경성 통증: 절단된 신체의 일부 또는 장기에 느껴지는 통증; 수술 전의 통증이 수술 후에도 환각통으로 남는 경향이 있음, 보통 소양증, 계속 남아 있는 수축성 격통, 고문 받는 것 같은 극심한 통증으로 보고됨." H01325136 H01325136 Pharmacological action 약리작용 [3.0] Focus "약물이 생체에 미치는 작용. 생체가 본래 가지고 있는 기능을 양적으로 변화시키는 약역학적 작용과 감염병원체에 작용하는 항감염 작용으로 나뉘어진다. 약리작용의 작용양식에는 홍분, 억제, 자극작용이 있다. 작용범위에 따라서 국소 및 전신작용, 특정조직에 강하에 작용하는 경우를 선택작용, 전반적으로 작용하는 경우를 일반작용이라고 한다. 세포의 특정수용체에 결합해서 작용 발현하는 특이적 작용과 세포전체에 작용하는 비특이적 작용이 있다. 작용발현의 순서에 따라서 직접 또는 1차적 작용과 간접 또는 2차적 작용, 작용지속시간에 따라 일과성 작용과 지속작용이 있다. 치료면에서는 주작용과 부작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25247 H01325247 Pharmacotherapy 약물요법 C0013216 [3.0] 10011884 2C.02.05.06 Focus 요법 H01328231 H01328231 Phenomenon 현상 C1882365 [3.0] 10014477 Focus "간호행위와 관련되어 직접 지각(知覺)할 수 있는, 자연계·인간계에서 일어나는 일. 또는, 그 모양." H01329891 H01329891 Philtrum 인중 C0226931 [3.0] Location 코와 윗입술 사이에 오목하게 골이 진 곳. H01331252 H01331252 Phonation 발성 C0031577 [3.0] 1A.9.0599 Focus "소리를 내는 것. 발성과정은 다음과 같이 고려된다. 폐, 기관지, 기관으로 된 기낭에 저장된 공기를 기류로 후두로 보낸다. 후두에는 성문이라는 세극(細隙)이 있으며 이를 형성하고 있는 성대가 진동해서 기류의 규칙적인 변조로서 소리가 형성된다. 이에 성도(聲道)라고 하는 후두, 구강, 비강, 입술로 된 음향관의 공명적 특성이 부가되어서 실제 소리가 되어서 음성파가 방사된다.[간호학대사전]" H01334956 H01334969 Photophobia 수명 C0085636 [3.0] H53.13 Focus "안이상(眼異常)증상 가운데 시력장애 증상의 하나이고 빛을 보았을 때 이상하게 눈부시게 느껴지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각막병변, 무수정체안, 안백아증(眼白児症), 홍채모양체염이 있으며, 어떤 종류의 약물(클로로킨, 아세타졸라마이드)에 의해 야기되는 수도 있다. 한편 특별히 안소견이 없어도 수명만을 심하게 호소하는 경우가 있어 히스테리, 신경증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34969 H01334969 Photophobia 눈부심 C0085636 [3.0] H53.13 Focus "안이상(眼異常)증상 가운데 시력장애 증상의 하나이고 빛을 보았을 때 이상하게 눈부시게 느껴지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각막병변, 무수정체안, 안백아증(眼白児症), 홍채모양체염이 있으며, 어떤 종류의 약물(클로로킨, 아세타졸라마이드)에 의해 야기되는 수도 있다. 한편 특별히 안소견이 없어도 수명만을 심하게 호소하는 경우가 있어 히스테리, 신경증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35337 H01335337 Photosensitivity 광선민감도 C0349506 [3.0] Focus "건강한 피부의 MED(최소홍반량) 이하의 광선조사로 피부에 홍반, 수포, 색소침착 등의 증상을 보이거나 또는 홍반량 이상의 광선조사로 생기는 피부증상이 통상보다 강한 상태를 광선과민증이라고 한다. 원인으로는 내인성(선천적인 색소건피증, 포르피린증, 펠라그라, 햇볕두드러기 등) 및 외인성(화장품, 향료, 식품, 약제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35340 H01335340 Photosensitivity 감광성 C0349506 [3.0] Focus "건강한 피부의 MED(최소홍반량) 이하의 광선조사로 피부에 홍반, 수포, 색소침착 등의 증상을 보이거나 또는 홍반량 이상의 광선조사로 생기는 피부증상이 통상보다 강한 상태를 광선과민증이라고 한다. 원인으로는 내인성(선천적인 색소건피증, 포르피린증, 펠라그라, 햇볕두드러기 등) 및 외인성(화장품, 향료, 식품, 약제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35352 H01335340 Photosensitivity 광감수성 C0349506 [3.0] Focus "건강한 피부의 MED(최소홍반량) 이하의 광선조사로 피부에 홍반, 수포, 색소침착 등의 증상을 보이거나 또는 홍반량 이상의 광선조사로 생기는 피부증상이 통상보다 강한 상태를 광선과민증이라고 한다. 원인으로는 내인성(선천적인 색소건피증, 포르피린증, 펠라그라, 햇볕두드러기 등) 및 외인성(화장품, 향료, 식품, 약제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35489 H01335489 Phototherapy 광선요법 C0031765 [3.0] 10041778 2B.9.0062 Means 요법 H01336399 H01336399 Physical examination 신체검진 C0031809 [3.0] K31.3 10032243|10032258 2B.9.0129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IC Actions performed to observe somatic events 신체적 문제에 대해 관찰하는 활동 H01336402 H01336637 Physical health 신체 건강 C0516977 [3.0] 2B.9.0063 Focus 건강 H01336415 H01336415 Physical healthcare 신체건강간호 C0184627 [3.0] K31.0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somatic problems H01336431 H01336431 Physical mobility impairment 신체적운동장애 C0518456 [3.0] A01.5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Diminished ability to perform independent movement H01336443 H01336443 Physical mobility impairment deteriorated 신체적운동장애 악화됨 [3.0] A01.5.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36456 H01336456 Physical mobility impairment improved 신체적운동장애 개선됨 [3.0] A01.5.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36469 H01336469 Physical mobility impairment stabilized 신체적운동장애 안정됨 [3.0] A01.5.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36471 H01336471 Physical regulation alteration 신체조절장애 C0184550 [3.0] K25.0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somatic control H01336484 H01336484 Physical regulation alteration deteriorated 신체조절장애 악화됨 [3.0] K25.0.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36497 H01336497 Physical regulation alteration improved 신체조절장애 개선됨 [3.0] K25.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36501 H01336501 Physical regulation alteration stabilized 신체조절장애 안정됨 [3.0] K25.0.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36513 H01336513 Physical therapist service 물리치료서비스 C0949766 [3.0] G21.5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struction by a physical therapist H01336846 H01336846 Physical regulation component 신체조절요소 C0184501 [3.0] K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bodily processes. H01336859 H01336859 Physical restraint 신체구속 C0035260 [3.0] Means 치료 및 검사를 목적으로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신체의 일부를 억제하는데 사용. H01336916 H01336916 Physical symptom 신체 증상 C0679309 [3.0] 2B.9.0082 Focus 증상 H01336929 H01336931 Physical therapist 물리치료사 C2362565 [3.0] 10024003 1A.9.0411 Means 의료인 H01336957 H01336957 Physical therapy 물리 치료 C0949766 [3.0] 10036698 Focus 요법 H01337005 H01337005 Physician 의사 C0031831 [3.0] 10014522 Means 의료인 H01337018 H01337005 Physician 내과의사 C0031831 [3.0] 10014522 Means 의료인 H01337021 H01337021 Physician contact 의사접촉 C0582446 [3.0] G20.0 2B.9.006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communicate with a physician/provider 의사와의 의사소통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1337033 H01337033 Physician status report 의사의환자상태보고 C0184603 [3.0] G2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document patient condition by a physician/provider H01337575 H01336957 Physiotherapy 물리치료 C0949766 [3.0] 10036434 Means 요법 H01337981 H01337981 Pica 이식증 C0031873 [3.0] 10014580 1A.01.01.01.13.04.02 Focus "식탐: 임신, 영양실조 및 히스테리와 관련된 식욕 박탈로, 이상한 형태의 음식을 강하게 갈망하는 느낌." H01337993 H01337981 Pica 무분별탐식증 C0031873 [3.0] 10014580 1A.01.01.01.13.04.02 Focus "식탐: 임신, 영양실조 및 히스테리와 관련된 식욕 박탈로, 이상한 형태의 음식을 강하게 갈망하는 느낌." H01338600 H01338612 Pigmentation 색소침착 C0031911 [3.0] Focus 생체 내에 색소가 병적으로 침착하는 일. H01339088 H01339091 Pill 환약 C0994475 [3.0] Means 丸藥 "1) 가루나 결정성 약을 뭉쳐서 눌러 둥글넓적한 원판이나 원추 모양으로 만든 약제. 젖당, 초콜릿, 아라비아고무 따위를 섞어 만든다. 예전부터 가정약품으로서 많이 사용되어온 약제형태이다. 정제는 압축 형성한 것이지만 환제는 압축형성하지 않은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 알의 중량은 약 0.1g이다. 나쁜 맛이나 나쁜 냄새의 약품을 복용하기 쉽게 하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결점은 일반적으로 붕괴속도가 늦기 때문에 즉효성은 기대할 수 없으며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나거나 변질되기 쉬운 점등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한약 제형의 하나. 보드랍게 가루 낸 한약 또는 한약 전탕농축액에 결합제. 부형제들을 섞어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 먹는 알약. 환제(丸劑)에는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 수환 호환 약즙환 납환 엑스환 " 혈환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환제는 먹기 편리하고 흡수가 비교적 완만하며 약효력이 비교적 오래 간다. 한약재 중 높은 온도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쉽게 휘발되고 독성이 비교적 센 약들은 환제를 만들어 쓰는 것이 좋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339091 H01339091 Pill 알약 C0994475 [3.0] Means ~藥 "1) 가루나 결정성 약을 뭉쳐서 눌러 둥글넓적한 원판이나 원추 모양으로 만든 약제. 젖당, 초콜릿, 아라비아고무 따위를 섞어 만든다. 예전부터 가정약품으로서 많이 사용되어온 약제형태이다. 정제는 압축 형성한 것이지만 환제는 압축형성하지 않은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 알의 중량은 약 0.1g이다. 나쁜 맛이나 나쁜 냄새의 약품을 복용하기 쉽게 하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결점은 일반적으로 붕괴속도가 늦기 때문에 즉효성은 기대할 수 없으며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나거나 변질되기 쉬운 점등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한약 제형의 하나. 보드랍게 가루 낸 한약 또는 한약 전탕농축액에 결합제. 부형제들을 섞어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 먹는 알약. 환제(丸劑)에는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 수환 호환 약즙환 납환 엑스환 " 혈환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환제는 먹기 편리하고 흡수가 비교적 완만하며 약효력이 비교적 오래 간다. 한약재 중 높은 온도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쉽게 휘발되고 독성이 비교적 센 약들은 환제를 만들어 쓰는 것이 좋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339104 H01339091 Pill 정 C0994475 [3.0] Means 錠 "1) 가루나 결정성 약을 뭉쳐서 눌러 둥글넓적한 원판이나 원추 모양으로 만든 약제. 젖당, 초콜릿, 아라비아고무 따위를 섞어 만든다. 예전부터 가정약품으로서 많이 사용되어온 약제형태이다. 정제는 압축 형성한 것이지만 환제는 압축형성하지 않은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 알의 중량은 약 0.1g이다. 나쁜 맛이나 나쁜 냄새의 약품을 복용하기 쉽게 하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결점은 일반적으로 붕괴속도가 늦기 때문에 즉효성은 기대할 수 없으며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나거나 변질되기 쉬운 점등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한약 제형의 하나. 보드랍게 가루 낸 한약 또는 한약 전탕농축액에 결합제. 부형제들을 섞어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 먹는 알약. 환제(丸劑)에는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 수환 호환 약즙환 납환 엑스환 " 혈환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환제는 먹기 편리하고 흡수가 비교적 완만하며 약효력이 비교적 오래 간다. 한약재 중 높은 온도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쉽게 휘발되고 독성이 비교적 센 약들은 환제를 만들어 쓰는 것이 좋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339202 H01339199 Pillow 베개 C0182291 [3.0] 10014607 2C.01.08.14 Means 지지기구 H01339731 H02509782 Pilosis 다모증 C0019572 [3.0] L68.0 Focus "여성이나 아동에서 남성과 같은 분포의 모발이 증가하는 것. 남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한 윗입술, 턱, 앞가슴, 유방, 하복부, 사타구니 등에 모발이 증가하며, 대머리, 남성체형, 목소리의 남성화, 무월경 의 남성화 징후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 특별한 외적 원인이나 내분비계의 이상이 없이 발생하는 원인불명의 다모증이 대부분이며 사춘기, 임신, 폐경기 등의 생리적 상태나 내분비계의 이상을 일으키는 병과 고환, 난소의 종양같이 남성호르몬을 분비하는 종양에서도 관" H01340987 H01340987 Pipette 피펫 C0182301 [3.0] 10014624 2C.01.07.27 Means 수송기구 H01341621 H01341621 Pitting edema 오목부종 C0333243 [3.0] 1A.9.0463 Focus 압력을 가하면 조직이 오랫동안 함몰되는 부종. H01341647 H01341621 Pitting edema 함요부종 C0333243 [3.0] 1A.9.0463 Focus 압력을 가하면 조직이 오랫동안 함몰되는 부종. H01341815 H00799084 Pituitary gland 뇌하수체 C0032005 [3.0] Location "뇌바닥부에 있으며 터어키안장에 위치하는 이중기원의 상피성 소체. 중요한 내분비 장기 중 하나. 전엽, 중엽, 후엽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른 내분비선의 활동을 지배하는 호르몬을 분비하며, 생식과 발육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 H01342459 H01342474 Placebo 헛약 C0032042 [3.0] 2C.9.0126 Means "약물요법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투여하는 효력이 없는 물질이나 약제로서, 약제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조군을 설치하는 연구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질적으로 치료효과가 없는 수단으로서,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H01342461 H01342474 Placebo 플라세보 C0032042 [3.0] 2C.9.0126 Means "약물요법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투여하는 효력이 없는 물질이나 약제로서, 약제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조군을 설치하는 연구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질적으로 치료효과가 없는 수단으로서,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H01342474 H01342474 Placebo 속임약 C0032042 [3.0] 2C.9.0126 Means "약물요법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투여하는 효력이 없는 물질이나 약제로서, 약제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조군을 설치하는 연구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질적으로 치료효과가 없는 수단으로서,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H01342560 H01342560 Placenta 태반 C0032043 [3.0] Location 태아와 모체 사이의 가스및 물질 교환과 임신 유지를 위한 내분비물질을 분비하는 기관으로 모체의 자궁내에 위치함. H01342668 H01342642 Placenta previa 전치 태반 C0032046 [3.0] O44 Focus "태반의 대부분 또는 일부가 자궁협부, 즉 자궁경부에 부착하여 자궁구를 덮고 있는 것." H01343261 H01343261 Plan 계획 C1301732 [3.0] 10014630 Means 인공물 H01343467 H01343467 Plant 식물 C0032098 [3.0] 10014653 1A.02.01.02.02 Focus 생물 H01344421 H01344421 Plasma expander 혈장증량제 C1268852 [3.0] Means "혈장대용액이라고도 한다. 고분자 화합물인 콜로이드 용액으로출혈에 의한 혈장단백질의 손실에 따른 콜로이드 삼투압을 회복시키고 염류만을 포함한 용액에서 순환 혈액량의 회복, 유지에 편리한다. 약물로서는 텍스트란40, 70(10%), 젤라틴(4.5%), 폴리비닐피롤리돈(3.5%) 등이고 이러한 것은 콜로이드삼투압이 혈장과 같고 약리학적으로 불활성이며 혈중농도의 유지가 높다. 혈장 증량제는 축적성과 항원성이 없어야 한다.[간호학대사전]" H01345915 H01345915 Plaster 고약 C0460977 [3.0] Means 膏藥 약재를 오랫동안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농축하여 반유동의 상태로 만든 약재 H01346533 H01346533 Plate 판 C0005971 [3.0] Means 반반한 표면을 사용하는 기구. 플레이트. H01347402 H01347402 Platelet concentrate 혈소판농축물 C2362067 [3.0] Means "농축혈소판이라고도 한다. 혈액성분 제제의 일종. 200㎖의 전혈을 가볍게 원심분리해서 다혈소판혈장을 분리하고, 이것을 더욱 원심해서 혈소판을 용기밑에 가라앉히고 상청(上清)의 혈장 약 10~15㎖을 남기고 제거해 혈소판을 농축한 것이다. 혈소판 감소증 때문에 출혈경향이 생긴경우의 치료에 사용 된다.[간호학대사전]" H01348268 H01348268 Play therapy 놀이요법 C0032216 [3.0] 93.81 10014676|10039629 2C.02.05.15 Means|IC 요법 H01348813 H01348813 Pleura 가슴막 C0032225 [3.0] 10014695 2F.01.15.04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1348826 H01348813 Pleura 흉막 C0032225 [3.0] 10014695 2F.01.15.04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1349082 H01349095 Pleural friction rub 흉막마찰음 C0032230 [3.0] Focus 거칠어진 벽측흉막과 장측흉막의 표면이 서로 닿음으로써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는 마찰음을 말하고 2매의 표면이 거칠은 가죽을 서로 비벼대는 소리와 비슷한 단속성의 불규칙한 잡음이다. 흡호기에서의 차가 적고 해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심호흡에서 증강된다. 폐렴이나 폐암에서 이음이 새롭게 청취된 때에는 침윤이 흉막면에 미친것이 시사된다.[간호학대사전] H01349095 H01349095 Pleural friction rub 가슴막마찰음 C0032230 [3.0] Focus 거칠어진 벽측흉막과 장측흉막의 표면이 서로 닿음으로써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는 마찰음을 말하고 2매의 표면이 거칠은 가죽을 서로 비벼대는 소리와 비슷한 단속성의 불규칙한 잡음이다. 흡호기에서의 차가 적고 해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심호흡에서 증강된다. 폐렴이나 폐암에서 이음이 새롭게 청취된 때에는 침윤이 흉막면에 미친것이 시사된다.[간호학대사전] H01350481 H01350481 Plug 마개 C0182324 [3.0] Means 1) 병의 아가리나 구멍 따위에 끼워서 막는 물건. "2) An object designed to fill a hole tightly; anything that resembles such an object in appearance or origin.[NCI]""" H01350621 H01086799 Plural pregnancy 뭇임신 [3.0] Focus 둘 이상의 태아를 동시에 태내에 가지는 상태로 한개의 난자 수정에 의한 일란성과 한개이상의 난자수정에 의한 다란성인 경우도 있다. 3인 이상의 태아의 공존은 일란성이거나 일란성과 다란성의 조합으로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유전적요인이 관계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모체의 연령과 관계가 있으며 많은 합병증을 일으킨다(유조산 양수과다증 제대ㆍ태반의 이상 미숙아 임신중독증ㆍ빈혈의 합병 자궁 복고부전 분만시태아소부분의 탈출 " 제대탈출 등). 또 태아 간수혈증후군 등 특이한 이상도 발생한다. 배란유발제에 의한 다태임신을 흔히 볼 수 있다. [간호학대사전]""" H01350994 H01350994 Pneumatic tourniquet 공기압지혈대 [3.0] 2B.9.0066 Focus "사지의 주위를 말아감고, 커프내에 공기를 넣는 것에 의해서 압력을 가하는 좁은 고무주머니." H01353363 H01353363 Pneumothorax 기흉 C0032326 [3.0] J93 1A.9.0464 Focus "1) 흉막강내에 공기나 기체가 축적하는 것을 말하며, 자연적으로 발생할수도 있고, 외상이나 병적 과정의 결과 일어나는 수도 있으며, 고의로 인공적으로 주입하여 생기는 수도 있다. 2) 흉막강 안에 공기나 가스가 들어차 흉벽과 허파쪽의 두 가슴막면이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 외상성공기가슴증과 자연공기가슴증으로 분류되며 자연공기가슴증의 원인은 과격한 운동, 지나친 늘림, 기침, 구토 등으로 인한 기종성 낭의 파열 등이며 폐렴, 폐섬유증, 폐공기증, 폐결핵 등 폐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게 많다. 공기가슴증이 갑자기 생기면 심한 통증과 숨이 차고 재채기-구토-기침-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예가 있다. 돌발적인 호흡곤란, 흉부통증, 흉부압박감, 기침(가래가 수반되지 않는) 등이지만 전혀 자각증상이 없이 흉부X선 사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수도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3) 흉막강내에 공기가 정체된 상태를 말하고 공기외에 농액이 있는 경우를 농기흉, 혈액이 있는 경우를 혈기흉이라고 한다. 주로 젊은 건강한 사람에게 갑자기 생기는 기흉을 자연기흉 또는 특발성기흉이라 하고 흉막하의 기종성 낭포의 파열에 따른 것이 많다. 폐내에 있는 결핵, 또는 폐섬유증 등에 의해서 생기는 것은 속발성기흉이라 하고 외상으로 인한 것은 외상성기흉이라고 한다. 흡기시에만 흉강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호기시 천공부가 폐쇄되는 상태가 되면 흉강내압이 점점 높아져 순환장애를 일으켜서 위험하게 되는데 이것을 긴장성기흉이라고 한다. 또 전에는 결핵치료의 목적으로 인공기흉을 행하였다.[간호학대사전]" H01353376 H01353363 Pneumothorax 공기가슴증 C0032326 [3.0] J93.9 1A.9.0464 Focus "1) 흉막강내에 공기나 기체가 축적하는 것을 말하며, 자연적으로 발생할수도 있고, 외상이나 병적 과정의 결과 일어나는 수도 있으며, 고의로 인공적으로 주입하여 생기는 수도 있다. 2) 흉막강 안에 공기나 가스가 들어차 흉벽과 허파쪽의 두 가슴막면이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 외상성공기가슴증과 자연공기가슴증으로 분류되며 자연공기가슴증의 원인은 과격한 운동, 지나친 늘림, 기침, 구토 등으로 인한 기종성 낭의 파열 등이며 폐렴, 폐섬유증, 폐공기증, 폐결핵 등 폐질환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에게 많다. 공기가슴증이 갑자기 생기면 심한 통증과 숨이 차고 재채기-구토-기침-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예가 있다. 돌발적인 호흡곤란, 흉부통증, 흉부압박감, 기침(가래가 수반되지 않는) 등이지만 전혀 자각증상이 없이 흉부X선 사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수도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3) 흉막강내에 공기가 정체된 상태를 말하고 공기외에 농액이 있는 경우를 농기흉, 혈액이 있는 경우를 혈기흉이라고 한다. 주로 젊은 건강한 사람에게 갑자기 생기는 기흉을 자연기흉 또는 특발성기흉이라 하고 흉막하의 기종성 낭포의 파열에 따른 것이 많다. 폐내에 있는 결핵, 또는 폐섬유증 등에 의해서 생기는 것은 속발성기흉이라 하고 외상으로 인한 것은 외상성기흉이라고 한다. 흡기시에만 흉강내에 공기가 유입하고 호기시 천공부가 폐쇄되는 상태가 되면 흉강내압이 점점 높아져 순환장애를 일으켜서 위험하게 되는데 이것을 긴장성기흉이라고 한다. 또 전에는 결핵치료의 목적으로 인공기흉을 행하였다.[간호학대사전]" H01353598 H01353598 Podiatrist 발전문가 C0260145 [3.0] 10042785 Means H01353975 H01353975 Poison 독물 C0032346 [3.0] Focus 생물체 내에 흡수되거나 퍼졌을 때 비교적 소량이지만 각종 화학작용에 의한 조직손상이나 기능장애를유발하는 물질.[생명과학대사전] H01353988 H01353988 Poison 독약 C0032346 [3.0] Focus 생물체 내에 흡수되거나 퍼졌을 때 비교적 소량이지만 각종 화학작용에 의한 조직손상이나 기능장애를유발하는 물질.[생명과학대사전] H01354023 H01354023 Poisoning 중독 C0032343 [3.0] 10014703 1A.9.0412 Focus 병리적 과정 H01354036 H01354036 Poisoning risk 중독 위험성 C0150061 [3.0] N33.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Exposure to or ingestion of dangerous products H01354049 H01354049 Poisoning risk deteriorated 중독 위험성 악화됨 [3.0] N33.3.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54051 H01354051 Poisoning risk improved 중독 위험성 개선됨 [3.0] N33.3.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54064 H01354064 Poisoning risk stabilized 중독 위험성 안정됨 [3.0] N33.3.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65080 H01365080 Policy 정책 C0242456 [3.0] 10014726 Focus 심리사회적 구조: 의사결정의 지침으로 사용되는 행동에 대한 광범위한 방침이나 원칙으로 조직의 목표나 목적으로부터 파생됨. H01366003 H01366003 Pollution 오염 C0392355 [3.0] 10014735 1B.44 Focus 손상된 환경 과정: 더럽고 불결한 것. H01366951 H01086799 Polycyesis 다태임신 [3.0] Focus 둘 이상의 태아를 동시에 태내에 가지는 상태로 한개의 난자 수정에 의한 일란성과 한개이상의 난자수정에 의한 다란성인 경우도 있다. 3인 이상의 태아의 공존은 일란성이거나 일란성과 다란성의 조합으로 생기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유전적요인이 관계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모체의 연령과 관계가 있으며 많은 합병증을 일으킨다(유조산 양수과다증 제대ㆍ태반의 이상 미숙아 임신중독증ㆍ빈혈의 합병 자궁 복고부전 분만시태아소부분의 탈출 " 제대탈출 등). 또 태아 간수혈증후군 등 특이한 이상도 발생한다. 배란유발제에 의한 다태임신을 흔히 볼 수 있다. [간호학대사전]""" H01367287 H01367287 Polycythemia 적혈구증가증 C0032461 [3.0] Focus 말초혈액 내에 비정상 모양의 혈구(poiklocyte)가 많이 존재하는 현상을 이르는 말. 주로 혈구 형성이나 파괴과정에 이상이 있음을 시사. H01367303 H02379083 Polycythemia vera 진성 적혈구증가증 C0032463 [3.0] D45 Focus "골수증식증후군의 하나이고 적혈구, 과립구, 혈소판의 3계통 세포가 증가하는 만성의 종양성질환이다. 순환적혈구량이 증가하고 그때문에 두통, 종양 등이 생긴다. 백혈구로 이행하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67316 H02379083 Polycythemia vera 참적혈구증가증 C0032463 [3.0] D45 Focus "골수증식증후군의 하나이고 적혈구, 과립구, 혈소판의 3계통 세포가 증가하는 만성의 종양성질환이다. 순환적혈구량이 증가하고 그때문에 두통, 종양 등이 생긴다. 백혈구로 이행하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1367331 H01367331 Polydactyly 다지증 C0152427 [3.0] Q69 1A.9.0413 Focus "1) 손 또는 발가락의 수적 과잉을 특징으로 하는 발육기형. 2) 손의 손가락, 발의 발가락의 선천기형으로 손가락의 수가 보통보다 많은 것. 손의 기형중에서는 모지(母指) 또는 소지(小指)(제 V지)측에 과잉의 손가락이 존재하는 일이 많고, 지골(指骨)뿐만 아니라 수근골(水根骨)의 이상을 수반하는 일도 있다. 치료는 과잉지(過剩指)의 절제, 때때로 다른 선천기형과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1367357 H01367331 Polydactyly 가락과다증 C0152427 [3.0] Q69.9 1A.9.0413 Focus "1) 손 또는 발가락의 수적 과잉을 특징으로 하는 발육기형. 2) 손의 손가락, 발의 발가락의 선천기형으로 손가락의 수가 보통보다 많은 것. 손의 기형중에서는 모지(母指) 또는 소지(小指)(제 V지)측에 과잉의 손가락이 존재하는 일이 많고, 지골(指骨)뿐만 아니라 수근골(水根骨)의 이상을 수반하는 일도 있다. 치료는 과잉지(過剩指)의 절제, 때때로 다른 선천기형과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1367398 H00578587 Polydipsia 다음다갈증 C0085602 [3.0] R63.1 1A.9.0414 Focus 당뇨병에서와 같이 장기간 지속되는 비정상적으로 강한 구갈 또는 갈증. H01367401 H00578587 Polydipsia 다음증 C0085602 [3.0] R63.1 1A.9.0414 Focus 당뇨병에서와 같이 장기간 지속되는 비정상적으로 강한 구갈 또는 갈증. H01370144 H01370144 Polypharmacy 다중약물요법 C2922974 [3.0] H21.1 10027448|10030042 1A.9.0415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Use of two or more drugs together 한번에 두가지 이상의 약물사용 H01370157 H01370157 Polypharmacy deteriorated 다중약물요법 악화됨 [3.0] H21.1.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70160 H01370160 Polypharmacy improved 다중약물요법 개선됨 [3.0] H21.1.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70172 H01370172 Polypharmacy stabilized 다중약물요법 안정됨 [3.0] H21.1.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71041 H01371041 Polyuria 다뇨 C0032617 [3.0] R35 1A.9.0416 Focus "1) 일정한 기간에 대량의 요가 배설되는 것으로, 당뇨병의 특징이다. 2) 요량(尿量)이 비정상적으로 많은 것. 요붕증(尿崩症)이나 당뇨병에서 볼 수 있다. 요붕증일 때에는 요비중은 낮으나, 당뇨병일 때에는 뇨에 당이 포함되기 때문에 비중이 높다. 요붕증은 뇌하수체후엽(下垂體後葉)의 장애에 의한다. 또, 구갈(口渴)을 호소하여 다량의 수분섭취를 필요로 한다. 만성신염, 낭포신(囊胞腎)일 때에도 다뇨(多尿)가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1371708 H01371708 Popliteal artery 오금동맥 C0032649 [3.0] Location "넓적다리 동맥에서 이어져 무릎뼈 마디의 뒤를 곧게 내려오면서 그 주위의 힘살과 무릎뼈 마디에 피를 보내는 동맥. 앞과 뒤의 경골, 정강이뼈 및 후경골 동맥으로 갈라짐." H01371711 H01371708 Popliteal artery 슬와동맥 C0032649 [3.0] Location "넓적다리 동맥에서 이어져 무릎뼈 마디의 뒤를 곧게 내려오면서 그 주위의 힘살과 무릎뼈 마디에 피를 보내는 동맥. 앞과 뒤의 경골, 정강이뼈 및 후경골 동맥으로 갈라짐." H01371932 H01371932 Population density 인구밀도 C0032665 [3.0] 10014742 Focus 비율: 단위면적당 인구수. H01373959 H01373959 Position 위치 [3.0] 10014788 2F.01.S.001 Location 장소 H01374121 H01374121 Positioning therapy 체위간호 C0150305 [3.0] A61.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Process to support changes in body positioning H01374494 H01374481 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호기말양압 C0032740 [3.0] Means "기계적 환기를 받는 대상자의 기도를 양압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방식. 기계적인 인공호흡을 하는 동안 압력은 호기말에 대기압력수준이상을 유지하게 하여 기능적 폐잔존량(FRC)을 증가시킴으로써 산화도를 증진시켜, 기능적 폐잔존량이 증가됨으로써 호기말 양압호흡은 허탈된 폐포와 폐포 아랫부분을 확장시키고 이것은 산소확산을 위한 표면적과 노출시간을 증가시킴." H01374606 H01374619 Positive pressure 정압 [3.0] Focus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 H01374619 H01374619 Positive pressure 양압 [3.0] Focus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 H01377837 H01377837 Posterior tibial artery 뒤정강동맥 C0086835 [3.0] Location 동맥 H01377840 H01377837 Posterior tibial artery 후경골동맥 C0086835 [3.0] Location 동맥 H01380234 H01380247 Postnasal drip 후비루 C0032781 [3.0] 10022223|10021761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1380247 H01380247 Postnasal drip 코뒤 흐름 C0032781 [3.0] 10022223|10021761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1380637 H01380637 Postoperative period 수술후 기간 C0032790 [3.0] 10027242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1380985 H01380985 Postpartum 산후 C0086839 [3.0] 1D.9.0009.S.001 Time "산모에서, 아기의 출산 또는 만출 후에 일어나는. 만출 후의 기간." H01380998 H01380998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 C0032782 [3.0] U75.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eriod immediately after the delivery of an offspring/child H01381005 H01381005 Postpartum risk 산욕기 위험성 C1171170 [3.0] U60.4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 during the period immediately following the delivery of an offspring/child H01381018 H01381018 Postpartum risk deteriorated 산욕기 위험성 악화됨 [3.0] U60.4.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1021 H01381021 Postpartum risk improved 산욕기 위험성 개선됨 [3.0] U60.4.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1033 H01381033 Postpartum risk stabilized 산욕기 위험성 안정됨 [3.0] U60.4.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2666 H01382666 Posttrauma response 외상후반응 C0150062 [3.0] E13.0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Sustained behavior related to traumatic event H01382679 H01382679 Posttrauma response deteriorated 외상후반응 악화됨 [3.0] E13.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2681 H01382681 Posttrauma response improved 외상후반응 개선됨 [3.0] E13.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82694 H01382694 Posttrauma response stabilized 외상후반응 안정됨 [3.0] E13.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382945 H01382920 Postural drainage 체위 배액 C0086915 [3.0] 93.99 2C.9.0128 Means "기관지확장증, 또는 폐농양시에 담(痰)이 기관(汽管)으로 배출하기 쉬운 체위를 취하여 체외(體外)로 배출을 촉진하는 방법이다. 객 많은 질 환의 경우, 이의 체위를 취하게 하여, 배출을 잘하게 하는 것에 의하여, 폐내감염의 진행을 방지하고 폐기능을 유지할 수가 있다. 방법은 두부를 10~151/2 내려서, 기관을 병소보다 낮게 유지하며, 기침을 하게 하거나, 또는 흉부를 아래에서 위로 가볍게 두들겨서 진동을 주어 객의 유출을 좋게 한다. 이 방법을 행할 때에 환자가 베드에서 전락하지 않도록 환자의 안전에 주의한다.[간호학대사전]" H01383339 H01383339 Postvoiding dribbling 배뇨후지림 [3.0] 1A.9.0586 Focus Sign or Symptom H01384810 H01384810 Powder 가루 C1382110 [3.0] 2C.9.0129 Means 고형의 약제를 갈거나 부숴 얻은 소립자의 집합체. H01384822 H01384810 Powder 분말 C1382110 [3.0] 2C.9.0129 Means 고형의 약제를 갈거나 부숴 얻은 소립자의 집합체. H01384848 H01384848 Power 힘 [3.0] Focus 1) 사람이나 동물이 몸에 갖추고 있으면서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물건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 작용. 2) 일이나 활동에 도움이나 의지가 되는 것. 3)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역량. "4) 개인이나 단체를 통제하고 강제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는 세력이나 권력.[표준국어대사전]""" H01384918 H01384918 Powerlessness 무력감 C0150063 [3.0] P42.2 10015394|10001578 1A.01.01.02.01.01.05.26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Feeling of helplessness or inability to act 무기력감 또는 행동할 수 없는 느낌 H01384921 H01384921 Powerlessness deteriorated 무력감 악화됨 [3.0] P42.2.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4933 H01384933 Powerlessness improved 무력감 개선됨 [3.0] P42.2.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4946 H01384946 Powerlessness stabilized 무력감 안정됨 [3.0] P42.2.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6097 H01386084 Preceptor 지도선생 [3.0] 2B.9.0067 Means "An experienced nurse, physician, 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 who guides and teaches those less experienced, including students; mentor. "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1386991 H01386991 Preference 선호 C0558295 [3.0] 10040572 Focus 신념 H01387134 H01387134 Pregnancy 임신 C0032961 [3.0] 10015421 1A.01.01.01.15.03 Focus "생식기계 과정: 수정에서 출산까지 대략 266일동안 지속되는 신체내에서의 태아의 성장과 양육(영양공급)이 일어나는 상태; 임신은 정상적이고 건강한 상태이지만 신체기능의 빠르고 불가피한 변화가 관여됨 임신의 시작은 월경의 중단, 입덧, 유방의 확대, 유두의 착색으로 알 수 있음" H01387147 H01387147 Pregnancy care 임신간호 C0033052 [3.0] U75.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gestation period of the formation of an offspring/child(being with child) H01387204 H01387204 Pregnancy risk 임신 위험성 C0404588 [3.0] U6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 during the gestational period of the formation of an offspring/child H01387217 H01387217 Pregnancy risk deteriorated 임신 위험성 악화됨 [3.0] U60.1.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7220 H01387220 Pregnancy risk improved 임신 위험성 개선됨 [3.0] U60.1.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7232 H01387232 Pregnancy risk stabilized 임신 위험성 안정됨 [3.0] U60.1.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388380 H00809552 Premature baby 조산아 C0021294 [3.0] Client "생존가능 한계 이후에, 정기 출산의 시기 이전에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으로 분만하는 것을 조산이라고 하며, 그 결과 태어난 아이를 조산아라고 말한다. WHO에서는 28~37주에 태어난 아기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생존가능 한계는 의료기술의 진보에 의해 그 한계역이 넓혀지고 있다. 조산아의 대부분은 저체중아(2,500g 이하)로 출생하기 때문에 각 장기기능이 충분하게 성숙되어 있지 않아 생후에 호흡, 간, 콩팥 등의 기능장애를 발생하는 일이 많다. 보육기에 의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어리거나 나이 많은 임부의 초산에 많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388419 H01392325 Premature birth 조기분만 C0151526 [3.0] O60 Focus 조기에 진통이 오거나 양수의 파수가 일어나 만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경우를 일컫는 용어.[두산백과] H01388488 H01388488 Premature ejaculation 조루 C0033038 [3.0] F52.4 Focus 早漏 성교 전 또는 성교 조기에 사정을 함 H01388532 H00809552 Premature infant 미숙아 C0021294 [3.0] Client "생존가능 한계 이후에, 정기 출산의 시기 이전에 자연적이거나 인공적으로 분만하는 것을 조산이라고 하며, 그 결과 태어난 아이를 조산아라고 말한다. WHO에서는 28~37주에 태어난 아기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재 생존가능 한계는 의료기술의 진보에 의해 그 한계역이 넓혀지고 있다. 조산아의 대부분은 저체중아(2,500g 이하)로 출생하기 때문에 각 장기기능이 충분하게 성숙되어 있지 않아 생후에 호흡, 간, 콩팥 등의 기능장애를 발생하는 일이 많다. 보육기에 의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어리거나 나이 많은 임부의 초산에 많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388643 H01388631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조기 양막 파열 C0015944 [3.0] O42.99 Focus 임신주수에 상관없이 진통이 오기 전에 양막이 먼저 터지는 것. H01389081 H01389081 Premedication 예비투약 C0033045 [3.0] Focus 치료나 시술을 하기 전 시행하는 처치. H01389093 H01389081 Premedication 앞투약 C0033045 [3.0] Focus 치료나 시술을 하기 전 시행하는 처치. H01389344 H01389344 Prenatal period 출생전기 [3.0] 1002591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1390226 H01390226 Prescription 처방 C0033080 [3.0] 2C.9.0130 Means "1) 약제, 용법 등의 준비와 실시법 등을 지시하는 문서로서, ""섭취"" 또는 ""취하라"" 의 뜻을 가진 Recipe 또는 그 기호인 R을 쓰고 이어서 약물명분량 항에 약제 이름과 양을 기재한다. 다음에 약제 사용법의 지시를 쓰고, 마지막으로 서명의 뜻으로 signa의 약자인 S가 있는 곳에 서명하여 끝맺는다. 처방전은 환자에게 지시를 하는 것이며, 적절한 장소에서 통용하게 된다. " 2) 의사가 치료를 위해 필요한 의약품에 대해서 기재한 문서를 말한다. 법제상으로는 약국 처방이 원칙이고「처방전」이란 약국에서 조제해주는 의약품을 기재한 문서이다. 진단의 필요상 원래처방에 따르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고 의사법 치과 의사법에 열거되어 있다. 그 주요한 것은 환자가 원내처방을 원할 경우 " 환자에게 의 약품의 내용을 알라는 것이 부적당한 경우. 의약품의 효과를 단시간마다 볼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간호학대사전]""" H01391373 H01391386 Pressure 압 C0033095 [3.0] 10015608 1A.9.0427 Focus 신체적 영역 H01391386 H01391386 Pressure 압력 C0033095 [3.0] 10015608 1A.9.0427 Focus 신체적 영역 H01391402 H01391402 Pressure ulcer care 욕창간호 C0558009 [3.0] R51.0 10032420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event, detect, and treat skin integrity breakdown caused by pressure" H01391415 H01391415 Pressure ulcer stage 1 care 1단계욕창간호 C1171210 [3.0] R51.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event, detect, and treat stage 1 skin breakdown" H01391428 H01391428 Pressure ulcer stage 2 care 2단계욕창간호 C1171211 [3.0] R51.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event, detect, and treat stage 2 skin breakdown" H01391431 H01391431 Pressure ulcer stage 3 care 3단계욕창간호 C1171212 [3.0] R5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event, detect, and treat stage 3 skin breakdown" H01391443 H01391443 Pressure ulcer stage 4 care 4단계욕창간호 C1171213 [3.0] R51.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event, detect, and treat stage 4 skin breakdown" H01391789 H00165214 Pressure sore 욕창 C0011127 [3.0] L89 10015612 1A.01.01.01.10.03.05.03.S.004 Focus "궤양: 조직 압박과 부적절한 관류로 인해 피부 혹은 내부구조에 생긴 손상, 염증 또는 궤양" H01392230 H01392325 Preterm birth 조기분만 C0151526 [3.0] O60 Focus 조기에 진통이 오거나 양수의 파수가 일어나 만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경우를 일컫는 용어.[두산백과] H01392255 H01392325 Preterm delivery 조산 C0151526 [3.0] O60 Focus 조기에 진통이 오거나 양수의 파수가 일어나 만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경우를 일컫는 용어.[두산백과] H01392296 H01392296 Preterm labor 조기산통 C0022876 [3.0] Focus "임신 20주 후, 37주 전에 일어나는 자궁수축. 수축시간은 10분 내에 자궁경관의 변화와 경관의 2cm개대 또는 경관거상 75%를 초래함." H01393111 H01393111 Prick pain 찔림통증 C0423603 [3.0] 1A.9.0571.S.001 Focus "1) 한랭 또는 신경에 대한 충격에 의하거나, 또는 중추 말초신경계의 여러 가지 질병의 결과로서 생긴 얼얼한 감각.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얼얼하거나 저린 느낌을 일컫는 용어로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가능하지만 주로 손발이나 팔다리에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외상이나 추간판 탈출증(소위 디스크라 일컬음) 등 각종 원인에 의한 신경 손상이 대표적이며 장시간 같은 자세로 서있거나 기타 요인에 의한 혈액 순환 불량에 의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중추신경계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과호흡 등 어떤 원인에 의한 칼슘 칼륨 나트륨 비타민 B12 등 영양소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복용하고 있는 각종 약이나 민간 약제 독성물질(납 알코올 담배)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3) 찌르는 것 같은 아픔.[표준국어대사전]""" H01395810 H01395810 Primitive reflex 원시반사 C0422895 [3.0] Focus "운동신경의 발달로 인한 반응이 아니며 생후 6개월경 소멸됨.예를 들어,바빈스키 반사,워킹반사,모로반사,갤런트반사, 파악반사, 빨기반사 등이 있음." H01398901 H01398901 Procedure 시술 C0184661 [3.0] 10034409 2C.02.09.01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1398914 H01398914 Procedure 절차 C2700391 [3.0] 10034409 2C.02.09.01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1399044 H01399044 Process 과정 C1522240 [3.0] 10015762 Focus 현상: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일련의 기능이나 행동. H01400562 H01400562 Professional/ancillary service 전문/보조서비스 C0184604 [3.0] G21.0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duties performed by health team members H01401276 H01401276 Prognosis 예후 C0033325 [3.0] 1A.9.0429 Focus "1) prognosis은 그리스어의 pro(미리), gnosis(알다)에서 합성된 말로, 어느 질환 또는 환자의 경과 및 결말을 말한다. 치유의 예후, 사회복귀에 관한 예후, 시력이나 사지의 운동, 장기의 기능에 관한 예후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2) 어떤 병의 앞으로의 경과나 결과를 미리 예상하는 것을 말하는데, 암의 경우는 보통 5년 생존율로 따진다. 예후가 좋다는 말은 치료가 용이하고 생존율이 높다는 의미.[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401305 H01401321 Program 프로그램 C1709697 [3.0] Focus "진행 계획이나 순서, 또는 그 목록." H01401681 H01401681 Progravid 임신전기 [3.0] 2D.9.0011 Time "황체의 영향하에 있는 자궁내막의 시기로서, 이 단계를 지나 자궁이 임신의 준비가 이루어진다." H01402551 H01402551 Prolabium 위입술중심 [3.0] Location "윗 입술의 융기한 중심부로, 충분히 비후하면 악간골의 위에 놓이게 됨." H01405363 H01405363 Prone position 엎드린자세 C0033422 [3.0] 10015829 Location 자세 H01405906 H01405906 Prophylactic inoculation 예방접종 [3.0] 10031537 2B.02.01.02.14.14 Focus 요법 H01407669 H01407837 Prostate 전립샘 C0033572 [3.0] 10015840 1F.15.05 Location 남성 생식기계 H01407671 H01407837 Prostate 전립선 C0033572 [3.0] 10015840 1F.15.05 Location 남성 생식기계 H01408734 H01408734 Prosthetic device 인공기구 [3.0] 10015855 Means 교정기구 H01409184 H01409184 Protection 보호 C1545588 [3.0] 1A.9.0430 Focus 상대편의 공격을 막음.[표준국어대사전] H01409197 H01409184 Protection 방어 C1545588 [3.0] 1A.9.0430 Focus 1) 위험이나 곤란 따위가 미치지 아니하도록 잘 보살펴 돌봄. "2) 잘 지켜 원래대로 보존되게 함.[표준국어대사전]""" H01409451 H01409451 Protector 보호자 C1709739 [3.0] Focus 어떤 사람을 보호할 책임을 가지고 있는 사람. H01410859 H01410859 Proteinuria 단백뇨 C0033687 [3.0] 10043976|10043982 Focus|DC 일정량 이상의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소변. 신장에 질환이 있을 때 나타나는 병적인 것과 오래 서 있었거나 과격한 운동 후에 나타나는 생리적인 것이 있음. H01411242 H01411242 Protocol 프로토콜 C0442711 [3.0] 10015926 2C.02.09.01.01 Means 계획 H01413006 H00899324 Pruritus 가려움 C0033774 [3.0] L29 10010934 1A.01.01.01.13.08.S.002 Focus 손상된 지각: 피부나 두피를 긁고 싶은 충동이 따르는 성가시고 저린 감각. H01414974 H01414961 Pseudomenstruation 가월경 C1405546 [3.0] P54.6 1A.9.0431 Focus "자궁내막의 월경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자궁출혈로, 보통 신생아에서 볼 수 있다." H01414987 H01414961 Pseudomenstruation 거짓월경 C1405546 [3.0] P54.6 1A.9.0431 Focus "자궁내막의 월경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자궁출혈로, 보통 신생아에서 볼 수 있다." H01416851 H01416864 Psoriasis 마른비늘증 C0033860 [3.0] L40.9 Focus "건선은 은백색의 비늘(scale)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홍반성 구진 및 판(plaque)을 형성하며 조직학적으로 상피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염증성 피부병이다. 인구의 1~2%의 빈도를 나타내며 가장 흔한 유형은 보통 건선(psoriasis vulgaris)이다. 호발 부위는 머리덮개, 사지의 폄쪽(특히 정강이), 무릎, 팔꿈치 그리고, 엉치뼈 등이며 외상을 받기 쉬운 부위에 잘 발생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416864 H01416864 Psoriasis 건선 C0033860 [3.0] L40 Focus "건선은 은백색의 비늘(scale)로 덮여 있고, 경계가 뚜렷하며 크기가 다양한 홍반성 구진 및 판(plaque)을 형성하며 조직학적으로 상피의 증식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염증성 피부병이다. 인구의 1~2%의 빈도를 나타내며 가장 흔한 유형은 보통 건선(psoriasis vulgaris)이다. 호발 부위는 머리덮개, 사지의 폄쪽(특히 정강이), 무릎, 팔꿈치 그리고, 엉치뼈 등이며 외상을 받기 쉬운 부위에 잘 발생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417150 H01417150 Psychiatric symptom 정신 증상 C0233401 [3.0] 2B.9.0081 Focus "1) 정신면에 나타난 병적증상, 즉 이상한 정신ㆍ심리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정신증상이라고 한다. 이에는 (1) 일반적 외모, (2) 표출면, (3) 체험으로부터 각각 나타나는 정신증상이 있다. (1)은 의사소통이나 지식, 의식장애, 상태상 등으로부터, (2)는 얼굴표정, 태도나 몸짓, 언어나 행동의 이상 등으로부터, (3)은 지각, 사고, 감정, 자아의 이상 등으로부터 각각 파악되나 실제로는 개개의 요소가 독립하여 존재하는 일은 거의 없다.[간호학대사전]" 2) 정신병에 특이한 증상들로 환각 망상 현실과의 괴리감 기억력 장애 " 사고의 장애 등이 이에 속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418865 H01418865 Psychomotor activity 정신운동활동 [3.0] 10016008 Focus "신경계 과정: 의식적인 정신 활동에서 움직임의 배열, 신경-근육 조정을 필요로 하는 신체를 수의적으로 움직이는 것." H01419274 H01419274 Psychosis 정신병 C0033975 [3.0] Focus "기질적 원인 혹은 심리적 원인에 의해 생기는 주요 정신병을 총칭하는 말로, 인격의 와해와 현실과의 괴리감, 망상, 환각, 착각 등의 증상이 특징임." H01419427 H01419427 Psychosocial care 심리사회적간호 C2958078 [3.0] M39.0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study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H01420337 H01420407 Ptosis 눈꺼풀처짐 C0033377 [3.0] H02.4 1A.9.0432 Focus 1) 제3뇌신경마비 또는 교감신경 지배에 의한 상안검의 하수. 2) 눈꺼풀이 충분히 떠지지 않아 눈이 원위치(정면을 바라볼 때)에 있을 때 눈의 중심 위치인 중심각막되비침(midcorneal reflection)과 윗눈꺼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2mm 이하이거나 두 눈의 이 거리의 차이가 2mm 이상인 경우[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420381 H01420407 Ptosis 안검하수 C0005745 [3.0] H02.4 1A.9.0432 Focus 1) 제3뇌신경마비 또는 교감신경 지배에 의한 상안검의 하수. 2) 눈꺼풀이 충분히 떠지지 않아 눈이 원위치(정면을 바라볼 때)에 있을 때 눈의 중심 위치인 중심각막되비침(midcorneal reflection)과 윗눈꺼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2mm 이하이거나 두 눈의 이 거리의 차이가 2mm 이상인 경우[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422230 H01422230 Puerperium 산후기 C0034042 [3.0] Time 産後期 "분만후(分娩後) 모체가 임신전의 상태로 회복하기까지의 기간. 태반만출후 2시간은 분만 제4기이며, 이 시기가 지난후 부터를 산욕기의 개시로 한다. 분만으로 인해서 생긴 모체의 성기 및 전신의 해부학적 기능변화의 복귀현상의 완료를 말한다. 기간은 6~8주이다.[간호학대사전]" H01422521 H01422521 Pulmonary care 호흡기계간호 C0035239 [3.0] L36.0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pulmonary hygiene H01422813 H01422801 Pulmonary artery 폐동맥 C0034052 [3.0] 10016123 1F.01.08.01 Location 동맥 H01424271 H01424271 Pulmonary ventilation 폐환기 C0035213 [3.0] Focus "대기와 폐 사이의 기체교환을 의미하며, 흔히 이를 호흡(breathing)이라고도 함." H01424703 H01424703 Pulse 맥박 C0034107 [3.0] K33.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measure rhythmic beats of the heart H01424871 H01424871 Pulse oximeter 맥박산소측정기 C0182109 [3.0] 10032551 Means 기구 H01424896 H01424896 Pulse pressure 맥박압 C0949236 [3.0] Focus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의 차이. H01424900 H01424896 Pulse pressure 맥압 C0949236 [3.0] Focus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의 차이. H01424912 H01424912 Pulse rate 맥박수 C0232117 [3.0] 10016134 Focus 비율 H01425277 H01425277 Pulvis 가루약 [3.0] Means ~藥 1) 가루약으로 마른 약재를 세말로 하여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한 약이다. 휴대하거나 복용하기 편리하며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흡수력도 비교적 좋다. 2) 1종 또는 2종이상의 의약품을 균등하게 혼합한 분말의 제제이며 한가지 맛의 것이라도 조제한 때는 산제이다. 내용과 외용이 있고 내용은 물 또는 온수로 복용하며 외용은 피부점막의 미란(糜爛) 습진(濕疹) 궤양 궤양면 등에 쓰이는 산포용과 비강(鼻腔) 인후(咽喉)에 분무하는 흡입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3) 가루로 된 약.[표준국어대사전] 4) 고형의 약제를 갈거나 부숴 얻은 소립자의 집합체.[두산백과] 5) 한약 제형의 하나.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한약재를 갈아서 고운 가루로 만든 것을 말한다. 산제는 복용 후 흡수가 탕제보다는 느리나 환제보다는 약효가 빨리 나타나며 " 또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쓰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만들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 주로 내복약을 산제로 만들며 일부 외용약도 산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425835 H01425848 Puncture wound 자창 C0033119 [3.0] 10016147 Focus "2) 1종, 또는 2종이상의 의약품을 균등하게 혼합한 분말의 제제이며, 한가지 맛의 것이라도 조제한 때는 산제이다. 내용과 외용이 있고, 내용은 물, 또는 온수로 복용하며, 외용은 피부점막의 미란(糜爛), 습진(濕疹), 궤양, 궤양면 등에 쓰이는 산포용과 비강(鼻腔), 인후(咽喉)에 분무하는 흡입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425891 H01425933 Pupil 동공 C0034121 [3.0] 1A.9.0467 Focus 3) 가루로 된 약.[표준국어대사전] H01425974 H01095313 Pupillary dilatation 동공확대 C0026961 [3.0] 1A.9.0469 Focus 4) 고형의 약제를 갈거나 부숴 얻은 소립자의 집합체.[두산백과] H01425987 H01095313 Pupillary dilatation 산동 C0026961 [3.0] 1A.9.0469 Focus "5) 한약 제형의 하나.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한약재를 갈아서 고운 가루로 만든 것을 말한다. 산제는 복용 후 흡수가 탕제보다는 느리나 환제보다는 약효가 빨리 나타나며, 또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쓰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만들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 주로 내복약을 산제로 만들며 일부 외용약도 산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426076 H01426076 Pupillary reflex 동공반사 [3.0] 10016175 2B.02.02.01.11.01 Focus 반사 H01426926 H01426967 Purpura 자색반 C0034150 [3.0] D69.2 1A.9.0471 Focus "1) 조직내 출혈에 의한 자색 또는 적갈색의 착색이 표피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群)의 질환. 작은 점모양의 출혈을 petechiae라고 부르며, 큰 점모양의 출혈을 ecchymoses(bruises:흑청반)이라고 부른다. 2) 전신의 피부, 점막, 장기에 점상 또는 반상출혈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혈소판의 감소와 관계가 깊다. 혈소판이 감소하기 때문에 혈액응고능력이 저하되고 피부, 점막의 모세혈관에 출혈이 생기기 쉽다. 종류에는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과 화학약품, 방사선조사, 전염병, 중증빈혈, 백혈병, 악성종양의 골수전이, 다발성 골수종 등으로 생기는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있다. 그밖에 유전에 의한 혈소판기능장애에 따른 것도 있다. [간호학대사전]" 3) 자반은 피부나 점막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홍반(붉은점) 또는 자색반(보라색점)을 말하며 혈관 밖으로 적혈구가 유출되어 발생하므로 해당 부위를 눌렀을 때 홍반이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구진성 홍반을 보이는 경우 즉 자반이 생긴 피부가 주위보다 솟아오른 경우 촉지 자반이라고 하며 이는 혈관에 염증이 있음을 말해준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4) 피부내의 출혈로 인하여 피부 표피를 통하여 쉽게 보이는 자홍색 혹은 적갈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대개 홍반과 구별해야 하는 데 홍반은 피부밑의 혈관이 팽창하여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 투명한 자를 이용하여 피부를 눌러서 관찰해보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이때 홍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만 " 자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 않는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426941 H01426967 Purpura 자색반병 C0034150 [3.0] D69.2 1A.9.0471 Focus "1) 조직내 출혈에 의한 자색 또는 적갈색의 착색이 표피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群)의 질환. 작은 점모양의 출혈을 petechiae라고 부르며, 큰 점모양의 출혈을 ecchymoses(bruises:흑청반)이라고 부른다. 2) 전신의 피부, 점막, 장기에 점상 또는 반상출혈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혈소판의 감소와 관계가 깊다. 혈소판이 감소하기 때문에 혈액응고능력이 저하되고 피부, 점막의 모세혈관에 출혈이 생기기 쉽다. 종류에는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과 화학약품, 방사선조사, 전염병, 중증빈혈, 백혈병, 악성종양의 골수전이, 다발성 골수종 등으로 생기는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있다. 그밖에 유전에 의한 혈소판기능장애에 따른 것도 있다. [간호학대사전]" 3) 자반은 피부나 점막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홍반(붉은점) 또는 자색반(보라색점)을 말하며 혈관 밖으로 적혈구가 유출되어 발생하므로 해당 부위를 눌렀을 때 홍반이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구진성 홍반을 보이는 경우 즉 자반이 생긴 피부가 주위보다 솟아오른 경우 촉지 자반이라고 하며 이는 혈관에 염증이 있음을 말해준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4) 피부내의 출혈로 인하여 피부 표피를 통하여 쉽게 보이는 자홍색 혹은 적갈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대개 홍반과 구별해야 하는 데 홍반은 피부밑의 혈관이 팽창하여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 투명한 자를 이용하여 피부를 눌러서 관찰해보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이때 홍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만 " 자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 않는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427503 H01427503 Purulent sputum 고름 가래 C0241235 [3.0] Focus 膿痰 화농성 객담 H01427529 H01427529 Pus 고름 C0034161 [3.0] 1A.9.0472 Focus "1) 세포(백혈구)와 농장(膿醬)의 묽은 액으로 구성된 염증성 산물. 2) 혼탁 ·불투명하고 점조성(粘稠性)이 있는 액체로 농청(膿淸)과 농구(膿球)로 나눈다. 농청은 액체성분으로 혈장 ·혈구 ·지방 ·콜레스테린 외에 여러 가지 효소 모양의 물질을 함유한다. 농구는 세포성분을 총칭하며, 주성분은 거의 다핵백혈구(多核白血球)로 다량의 글리코겐과 기름방울을 함유한다. 그 밖에 세균 ·백혈구 ·림프구 ·플라스마세포 ·국소조직세포의 깨진 것 등도 섞여 있다. 화농의 원인이 되는 균은 포도상구균과 연쇄상구균이 대표적이며, 이 밖에도 임균(淋菌) ·폐렴쌍구균(肺炎雙球菌) ·티푸스균 등은 본래 고유의 질환을 일으키는 균이면서 화농을 일으키는 균이기도 하다.[두산백과]" H01427531 H01427529 Pus 농 C0034161 [3.0] 1A.9.0472 Focus "1) 세포(백혈구)와 농장(膿醬)의 묽은 액으로 구성된 염증성 산물. 2) 혼탁 ·불투명하고 점조성(粘稠性)이 있는 액체로 농청(膿淸)과 농구(膿球)로 나눈다. 농청은 액체성분으로 혈장 ·혈구 ·지방 ·콜레스테린 외에 여러 가지 효소 모양의 물질을 함유한다. 농구는 세포성분을 총칭하며, 주성분은 거의 다핵백혈구(多核白血球)로 다량의 글리코겐과 기름방울을 함유한다. 그 밖에 세균 ·백혈구 ·림프구 ·플라스마세포 ·국소조직세포의 깨진 것 등도 섞여 있다. 화농의 원인이 되는 균은 포도상구균과 연쇄상구균이 대표적이며, 이 밖에도 임균(淋菌) ·폐렴쌍구균(肺炎雙球菌) ·티푸스균 등은 본래 고유의 질환을 일으키는 균이면서 화농을 일으키는 균이기도 하다.[두산백과]" H01427781 H01427781 Pustule 고름 물집 C0241157 [3.0] 1A.9.0474 Focus "1) 표피내 또는 표피하의 가시적인 고름의 집합으로서 자주 모낭 또는 한선내에 생긴다. 2)농포란 피부에 생기는, 농이 차있는 작은 융기를 말한다. 농은 고름이라고도 하며 염증 세포와 액체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농포의 모양은 잔 물집과 비슷하나 내부에 투명한 액체가 아닌 농이 차있고 대개 주위에 염증성 홍반을 동반하며, 하나씩 생기거나 여러 개의 군집으로 발생한다. 이들은 처음부터 농포로 생기기도 하나 다른 피부 병변으로부터 이차적으로 생기기도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427794 H01427781 Pustule 농포 C0241157 [3.0] 1A.9.0474 Focus "1) 표피내 또는 표피하의 가시적인 고름의 집합으로서 자주 모낭 또는 한선내에 생긴다. 2)농포란 피부에 생기는, 농이 차있는 작은 융기를 말한다. 농은 고름이라고도 하며 염증 세포와 액체 물질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농포의 모양은 잔 물집과 비슷하나 내부에 투명한 액체가 아닌 농이 차있고 대개 주위에 염증성 홍반을 동반하며, 하나씩 생기거나 여러 개의 군집으로 발생한다. 이들은 처음부터 농포로 생기기도 하나 다른 피부 병변으로부터 이차적으로 생기기도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431559 H00635201 Pyrexia 발열 C0015967 [3.0] R50.9 10007916 1A.01.01.01.03.02 Focus "손상된 체온조절: 체온의 비정상적인 상승, 항온조절점의 변화로 인한 호흡수의 증가, 대사활동의 증가, 펄떡 뛰는 빈맥 혹은 약한 맥박, 두통 혹은 혼돈; 갑작스런 열의 상승은 몸의 떨림, 부들부들 떨림, 오한, 창백, 그리고 건조한 피부를 동반; 고열 혹은 열의 급하강은 따뜻한 홍조의 피부와 발한을 동반" H01432665 H01432665 Pyuria 고름뇨 C0034359 [3.0] Focus 고름이 섞인 소변. H01432678 H01432665 Pyuria 농뇨 C0034359 [3.0] Focus 고름이 섞인 소변. H01433283 H01433296 Quadriceps femoris muscle 대퇴사두근 C0224440 [3.0] Location 대퇴를 이루고 있는 근육 중의 하나. H01433296 H01433296 Quadriceps femoris muscle 넙다리 네갈래 근 C0224440 [3.0] Location 대퇴를 이루고 있는 근육 중의 하나. H01433449 H01433477 Quadriplegia 사지마비 C0034372 [3.0] G82.5 Focus 四肢麻痺 "상하지가 양측성으로 운동마비를 보이는 경우를 말하며, 상해부위는 대뇌, 뇌간, 척수, 말초신경, 근육, 신경접합부 등 어디라도 관계없다. [표준한의학용어집]" H01433604 H01433604 Quality 질 C0332306 [3.0] 2B.9.0073 Focus "사물의 속성, 가치, 유용성, 등급 따위의 총체.[표준국어대사전]" H01433645 H01433620 Quality control 질관리 C0034378 [3.0] Focus Syste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of an organization's quality indicator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atient care[NIC] H01433715 H01433715 Quality monitoring 질감시 C0178906 [3.0] Focus Systematic collection and analysis of an organization's quality indicator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patient care[NIC] H01440852 H00565521 RBC 적혈구 C0014792 [3.0] Means 1) 혈액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로 산소운반을 위하여 특화된 혈구.[두산백과] 3) 붉은색 납작한 원반 모양의 혈액세포로 혈관을 통해 전신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442448 H01442451 Radial artery 요골동맥 C0162857 [3.0] Location "앞팔의 바깥쪽(요골쪽)을 통하는 동맥(動脈)으로, 보통 맥을 짚은 동맥이며, 위팔동맥에서 갈라져 앞팔의 바깥쪽을 따라 말초(末梢)를 향해 뻗어 있고, 손바닥에 이르러 척골동맥의 말초와 함께 천(淺) ·심(深) 2개의 동맥궁(動脈弓)을 형성함." H01442451 H01442451 Radial artery 노동맥 C0162857 [3.0] Location "앞팔의 바깥쪽(요골쪽)을 통하는 동맥(動脈)으로, 보통 맥을 짚은 동맥이며, 위팔동맥에서 갈라져 앞팔의 바깥쪽을 따라 말초(末梢)를 향해 뻗어 있고, 손바닥에 이르러 척골동맥의 말초와 함께 천(淺) ·심(深) 2개의 동맥궁(動脈弓)을 형성함." H01443234 H01443250 Radiating pain 부챗살통증 C0234254 [3.0] 1A.9.0475 Focus 통증 H01443247 H01443250 Radiating pain 방사통 C0234254 [3.0] 1A.9.0475 Focus 통증 H01443250 H01443250 Radiating pain 방사통증 C0234254 [3.0] 1A.9.0475 Focus 통증 H01443320 H01443320 Radiation therapy care 방사선치료간호 C0150318 [3.0] H25.0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nd monitor radiation therapy H01443570 H01443570 Radiation injury 방사선손상 C0034530 [3.0] 10016286 Focus 손상 H01443846 H01448048 Radiation therapy 방사선 요법 C0034619 [3.0] 10016293 2C.02.05.04 Means 요법 H01443859 H01448048 Radiation therapy 방사선치료 C0034619 [3.0] 10016293 2C.02.05.04 Means 요법 H01448048 H01448048 Radiotherapy 방사선치료 C0034619 [3.0] 10016293 2C.02.05.04 Means 요법 H01448051 H01448048 Radiotherapy 방사선요법 C0034619 [3.0] 10016293 2C.02.05.04 Means 요법 H01448216 H01448244 Radius 요골 C0034627 [3.0] Location "아래팔뼈[前腕]를 이루는 2개의 뼈 중 요측, 즉 바깥쪽에 있는 뼈로 길이가 20∼22cm이며, 상하의 골단(骨端)과 골간(骨幹)으로 되어 있음." H01448244 H01448244 Radius 노뼈 C0034627 [3.0] Location "아래팔뼈[前腕]를 이루는 2개의 뼈 중 요측, 즉 바깥쪽에 있는 뼈로 길이가 20∼22cm이며, 상하의 골단(骨端)과 골간(骨幹)으로 되어 있음." H01448494 H02766036 Rale 수포음 C0034642 [3.0] R09.88 Focus "호흡의 부잡음. 청진으로 들리는 이상한 호흡음. 어떤 병적 상태를 나타냄. 기도내의 액체의 유무에 의해 각기 습성(moist)과 건성(dry)으로, 발생부위에 따라 기관지성(bronchial), 공동성(cavernous), 후두성(laryngeal), 흉막성(pleural), 기관성(tracheal), 폐포성(vesicular), 염발성(crepitant)으로 분류됨. 대개의 경우 염증의 존재를 의미함." H01448508 H02766036 Rale 거품소리 C0034642 [3.0] R09.88 Focus "호흡의 부잡음. 청진으로 들리는 이상한 호흡음. 어떤 병적 상태를 나타냄. 기도내의 액체의 유무에 의해 각기 습성(moist)과 건성(dry)으로, 발생부위에 따라 기관지성(bronchial), 공동성(cavernous), 후두성(laryngeal), 흉막성(pleural), 기관성(tracheal), 폐포성(vesicular), 염발성(crepitant)으로 분류됨. 대개의 경우 염증의 존재를 의미함." H01449097 H01449097 Range 범위 C1514721 [3.0] 10007423 Judgment 상태 H01449141 H01449141 Range of motion 근관절범위운동 C0150220 [3.0] A05.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ctive and passive exercise to maintain joint function H01449167 H01449167 Range of motion 운동범위 C2607871 [3.0] 1A.9.0476.S.003 Focus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고 그 최대각도를 각 운동 방향에 따라서 표현한다.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말하고 정상범위를 크게 넘는 경우에는 동요관절이라고 한다. 통상 가동범위는 자동과 수동의 2가지를 구별하는데 양자가 일치하지않은 경우도 있다. 마비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혀 운동을 못해도 타동적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1449310 H01449310 Rape 강간 C0034668 [3.0] 1A.01.01.02.02.02.01.11.03.03.02 Focus 성적 학대: 폭력적인 위협 상황에서 자행된 폭력 범죄로 강제적인 성관계나 성교에 의한 성폭행. H01449433 H01449433 Rape trauma syndrome 강간상해증후군 C0085588 [3.0] E13.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Group of symptoms related to a forced sexual act H01449446 H01449446 Rape trauma syndrome deteriorated 강간상해증후군 악화됨 [3.0] E13.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49459 H01449459 Rape trauma syndrome improved 강간상해증후군 개선됨 [3.0] E13.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449461 H01449461 Rape trauma syndrome stabilized 강간상해증후군 안정됨 [3.0] E13.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449880 H01449892 Rapport 치료적소통관계 C0680241 [3.0] 10023124 Focus 관계 H01449950 H02767447 Rash 발진 C0015230 [3.0] R21 10016388 1A.01.01.01.10.01.03 Focus "손상된 개체의 집합: 색이 변하고 튀어나온 홍반, 국소부종, 두드러기, 소수포, 소양감을 동반하는 피부발진." H01450356 H01450343 Rate 비율 [3.0] 10016390 Focus 상태 H01450495 H01450495 Ratio 비 C0456603 [3.0] 10016405 Focus 상태 H01450593 H01450607 Rationalization 정당화 C0034692 [3.0] Focus 변명이나 정당화를 위하여 그럴듯한 이유를 붙여 둘러맞춤. H01450607 H01450607 Rationalization 합리화 C0034692 [3.0] Focus 변명이나 정당화를 위하여 그럴듯한 이유를 붙여 둘러맞춤. H01452081 H01452081 Reality orientation 현실감지남력 C0150320 [3.0] D11.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mote the ability to locate oneself in an environment H01452651 H01452651 Rebreathing 재호흡 C1441722 [3.0] 1A.9.0478 Focus Inhalation of part or all of gases previously exhaled.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1454595 H01454595 Record 기록 [3.0] 1A.9.0479 Focus 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표준국어대사전] H01454681 H01454681 Recovery 회복 C0237820 [3.0] 10016507 1A.01.01.02.01.01.08.01.04 Focus "상태: 제거하는 것, 힘을 다시 얻는 것, 건강상태, 정상적인 상태나 삶으로 돌아가는 것." H01454707 H01454707 Recovery room 회복실 C0034871 [3.0] 10016511 Location 진료부서 H01454722 H01454722 Recreational therapy 오락요법 C0034873 [3.0] 93.81 2B.9.0075 Means 1) Purposeful use of recreation to promote relaxation and enhancement of social skills[NIC] 2) 정신과에서 재활의 일환으로서 정신활동의 향상과 행동면의 개선을 목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정신병원에서는 병원단위의 활동(운동회 크리스마스 신년회 불꽃놀이 등) 병동단위의 것(체조 각종 실내ㆍ실외게임 등) 증상이 같은 자를 모아서 행하는 것(만성분열환자와 알콜중독자는 활동성의 차가 너무 많다). 나아가서 클럽활동적으로 취미내용에 따른 그룹(서예 수예 " 원예 등)을 만들거나 한다.[간호학대사전]""" H01454751 H01454751 Recrudescence 재발 C0086898 [3.0] 10016666 1A.9.0481.S.001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치료가 완전히 끝난 후 병이나 상태의 재발, 이전의 증상이 다시 나타남, 원치 않는 상황이나 습관으로 다시 돌아옴, 이전에 치료의 완결력이 있음, 증상/ 상황/ 습관이 재현될 때까지의 기간." H01456681 H01456679 Rectum 직장 C0034896 [3.0] 10016548 1F.16.01 Location 체강 H01456961 H01456961 Recurrence 재발 C0549379 [3.0] 10016666 1A.9.0481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치료가 완전히 끝난 후 병이나 상태의 재발, 이전의 증상이 다시 나타남, 원치 않는 상황이나 습관으로 다시 돌아옴, 이전에 치료의 완결력이 있음, 증상/ 상황/ 습관이 재현될 때까지의 기간." H01458641 H00565521 Red blood cell 적혈구 C0014792 [3.0] Means 1) 혈액의 주요 성분 중의 하나로 산소운반을 위하여 특화된 혈구.[두산백과] 2) 붉은색 납작한 원반 모양의 혈액세포로 혈관을 통해 전신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제거함[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461008 H01461008 Reflex 반사 C0034929 [3.0] 10016582 2B.02.02.01.11 Focus 신체적 반응 H01461023 H01461023 Reflex urinary incontinence 신경성요실금 C0150043 [3.0] T49.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진단(간호진단) Involuntary passage of urine occurring at predictable intervals H01461036 H01461036 Reflex urinary incontinence deteriorated 신경성요실금 악화됨 [3.0] T49.2.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61049 H01461049 Reflex urinary incontinence improved 신경성요실금 개선됨 [3.0] T49.2.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61051 H01461051 Reflex urinary incontinence stabilized 신경성요실금 안정됨 [3.0] T49.2.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61245 H01461261 Reflex incontinence 반사실금 C0150043 [3.0] N39.48 10026853 1A.01.01.01.09.02.01.02 Focus 요실금: 방광의 용량이 찼을 때 다소 예측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소변의 손실. H01461261 H01461261 Reflex incontinence 반사성 요실금 C0150043 [3.0] N39.48 10026853 1A.01.01.01.09.02.01.02 Focus 요실금: 방광의 용량이 찼을 때 다소 예측할 수 있는 간격으로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소변의 손실. H01462558 H01462558 Regimen 요법 C0040808 [3.0] 10016609 Focus 계획 H01462989 H01462989 Regression 퇴행 [3.0] Focus "불안을 일으키게 하는 내적위험에 대하여 마음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하여 자아가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방어기전 방어기제)의 하나이다. 적응이 곤란한 때 보다 유치한 단계로 되돌아가서 곤란을 피하고자 한다. 또는 그에 의하여 욕구불만을 해결하고자 한다. 개인의 역사의 되돌아가는 과정이지만, 단순히 지적기억의 회복이 아니고, 그 당시의 체험이나 감정의 재생으로 된다. 심리전체가 유아기의 상태로 되돌아가기 위한 행동에도 되돌아감이 일어난다. 진화발달한 정신ㆍ생리적 기능이나 기구 또는 상태가 어떤 시점에서 해체하고 미발달ㆍ미분화된 시점의 그것들에게까지 되돌아가는 현상을 말하며, 심리적 퇴행과 기질적 퇴행의 둘로 구별된다. 전자에 해당하는 것에는 곤란한 사태에 직면하였을 때에 성인이면서도 어린애같은 언행을 취하게 되는 현상으로써 볼 수 있다 정신분석에서는 자아의 방어기전의 하나로서 퇴행을 생각한다. 후자는 뇌기질질환이나 노인과정(퇴행기)에서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1463052 H01463052 Regular diet 보통식사 C0184625 [3.0] J29.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ingestion of food and nutrients from established nutrition standards H01463303 H01463303 Regurgitation 역류 C2004489 [3.0] 10016632 1A.01.01.01.05.05.03 Focus "손상된 위장관계 과정: 물질이 위에서 기도로 역행하는 것을 막을 능력이 없어, 삼킨 음식이 입으로 다시 나오거나 거꾸로 움직이는 것, 위내용물이 기도로 흡입됨." H01463331 H01463331 Rehabilitation 재활 [3.0] 1A.9.0488 Focus 1) 상해나 질병 후의 형태와 기능의 회복. 2) 재활의 본래의 의의는「자격ㆍ명예의 회복」이며 중세 유럽 이래「신분ㆍ지위의 회복」 「파문의 취소」 「범죄자의 사회복귀(갱생)」등의 의미로 사용되며 현재에도 구미제국에서는 그와 같은 넓은 의미에서 사용되고 있다. 의학에서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단순히 잃은 기능의 회복만이 아닌 장애인의「인간답게 살아가는 권리의 회복」(「전인간적 복권」)이 재활이다. 구체적으로는 장애를 받은 자를 최대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직업적 경제적인 능력을 가지기 까지 회복시키는 것으로 의학적 재활 교육적 재활(특수교육 장애아 교육) 직업적 재활 사회적 재활의 4대 분야로 나뉘어진다. 그러나 이들 4개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면 목표달성은 불가능하다.[간호학대사전] 3) 심신장애자에 대하여 직장-학교-가정 등에서 일반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게 가능한 한 최대한도까지 기능을 회복시키는 일. 제1차 세계대전 후 전상자에 대한 회복처치로서 미국과 유럽 여러 나라에서 실시된 것이 근대적 재활의 시초이며 1940년대 급격한 발전을 하였다. 1948년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재활은 제1상에서 보건-육아 제2상의 예방의학 제3상의 치료의학에 이어서 제4상으로 내세우고 있다. 먼저 지체부자유아 문제가 오래 전부터 주목되어 왔고 교통재해와 산업재해의 증가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뇌혈관질환의 증가 " 사회생활의 복잡화에 따른 정신장애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재활의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것은 치료의학에 직결된 의학재활(medical rehabilitation)과 행정적 갱생지도에 의한 직업재활(vocational rehabilitation)로 나누어진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463344 H01463344 Rehabilitation exercise 재활운동 C0452240 [3.0] A05.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mote physical functioning H01464267 H01464267 Rejection 거부 C0035015 [3.0] Focus 1) 거부와 수용(受容)의 연속선상에 있는 부정적 측면으로서 개인·집단·경험·사물 등을 배척하는 것.[교육학용어사전] 2) Non-acceptance negative attitudes " hostility or excessive criticism of the individual which may precipitate feelings of rejection.[MSH]""" H01464309 H01464309 Rejection reaction 거부반응 [3.0] Focus "장기이식에 있어서 조직적합성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 장기가 이식되었을 때에 그것을 배제하려는 반응이다. 이 반응으로 이식된 장기는 괴사에 빠진다. 액성면역과 세포성면역이 관여하고 있으며 이식직후에 생기는 것, 수주에서 수개월후에 비교적 급성으로 생기는 것, 수년후에 서서히 생기는 것이 있다. 장기 이식시에는 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나 부신피질호르몬을 투여한다.[간호학대사전]" H01464311 H01464311 Relapse 재발 C0035020 [3.0] 10016666 1A.9.048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치료가 완전히 끝난 후 병이나 상태의 재발, 이전의 증상이 다시 나타남, 원치 않는 상황이나 습관으로 다시 돌아옴, 이전에 치료의 완결력이 있음, 증상/ 상황/ 습관이 재현될 때까지의 기간." H01464587 H01464587 Relationship 관계 C0439849 [3.0] 10016684 1A.9.0489 Focus 심리사회적 구조 H01466408 H01466408 Relocation stress syndrome 재배치스트레스증후군 C2364351 [3.0] M32.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Excessive tension from moving to a new location H01466411 H01466411 Relocation stress syndrome deteriorated 재배치스트레스증후군 악화됨 [3.0] M32.3.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66423 H01466423 Relocation stress syndrome improved 재배치스트레스증후군 개선됨 [3.0] M32.3.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66436 H01466436 Relocation stress syndrome stabilized 재배치스트레스증후군 안정됨 [3.0] M32.3.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66731 H01466731 Removal 제거 C0185115 [3.0] Focus 없애 버림. H01471446 H01471446 Renal alteration 신장장애 C0184571 [3.0] T50.0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kidney function H01471459 H01471459 Renal alteration deteriorated 신장장애 악화됨 [3.0] T50.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71461 H01471461 Renal alteration improved 신장장애 개선됨 [3.0] T50.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71474 H01471474 Renal alteration stabilized 신장장애 안정됨 [3.0] T50.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71531 H01471531 Renal care 신장간호 C1171215 [3.0] T73.0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problems pertaining to the kidney H01483872 H01483872 Report 보고 C0684224 [3.0] 1A.9.0493 Focus 일에 관한 내용이나 결과를 말이나 글로 알림.[표준국어대사전] H01485148 H01485148 Reproductive care 재생산간호 C1171216 [3.0] U74.0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roduction of an offspring/child H01485151 H01485151 Reproductive risk 생식 위험성 C1171172 [3.0] U59.0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 in the process of replicating or giving or giving rise to an offspring/child H01485163 H01485163 Reproductive risk deteriorated 생식 위험성 악화됨 [3.0] U59.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85176 H01485176 Reproductive risk improved 생식 위험성 개선됨 [3.0] U59.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85189 H01485189 Reproductive risk stabilized 생식 위험성 안정됨 [3.0] U59.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92843 H01492843 Residual urine 잔뇨 C0278024 [3.0] 1A.9.0494 Focus "1) 방광의 염증이나 전립선비대증일 때 배뇨 후에도 방광내에 잔존하는 오줌. 2) 배뇨직후에 방광내에 남아 있는 요, 정상인에게는 잔뇨는 없다. 전립선비대증, 요도협착, 방광경부경화증, 신경인성방광(神經因性膀胱) 등에서 배뇨가 장애가 되어 있을 때에 생긴다. 방광게실(膀胱憩室), 방광요관역류(膀胱尿管逆流) 등에서는, 배뇨를 정상으로 행해도 게실내의 요나 역류한 요가 방광으로 되돌아와 잔뇨가 되기도 한다. 잔뇨가 있으면 요도감염을 일으키기 쉽고, 또 방광결석도 되기 쉽다. 잔뇨를 없애기 위해서는 원인질환의 치료를 한다.[간호학대사전]" H01492856 H01492856 Residual urine volume 잔뇨량 C0429774 [3.0] Focus 소변을 누고 난 뒤에도 방광 속에 남아 있는 소변량. H01493015 H01493002 Resistance 저항 [3.0] Focus 어떤 힘. 권위 따위에 맞서서 버팀 혹은 치료에 대해 감정적으로 거슬러 버티는 경향. H01493531 H01493531 Resource 자원 C0035201 [3.0] 1B.46 Judgment "간호현상: 안락이나 도움의 수단, 사람이 어려움에 처했을때 향하게 되는 어떤 것." H01493598 H01493598 Respiration 호흡 C0035203 [3.0] K33.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measure the function of breathing H01493601 H01493601 Respiration alteration 호흡장애 C0184551 [3.0] L26.0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breathing function H01493614 H01493614 Respiration alteration deteriorated 호흡장애 악화됨 [3.0] L26.0.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93627 H01493627 Respiration alteration improved 호흡장애 개선됨 [3.0] L26.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93630 H01493630 Respiration alteration stabilized 호흡장애 안정됨 [3.0] L26.0.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1493683 H01493683 Ventilator 인공호흡기 C0042497 [3.0] 10044842 2C.01.11.09 Means 호흡장치 H01493696 H01493696 Ventilator 호흡기 C0087153 [3.0] 10044842 2C.01.11.09 Means 호흡장치 H01493725 H01493725 Respiratory insufficiency 호흡 기능부전 C0034088 [3.0] 1A.9.0497 Focus "동맥혈가스, 특히 O2와 CO2 이상한 값을 나타내고 그때문에 생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폐질환으로 인한 경우만이 아니고 호흡중후의 이상, 또는 호흡근 마비등으로 기인해서도 결과적으로 혈액가스의 이상을 가져오는 상태는 모두 포함된다. 혈액가스 분석기의 발달로인해 임상분야에서도 정확하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인공호흡기를 비롯해서 치료기술로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했다. 호흡부전을 전문으로 다루는 치료단위로서 IRCU, intensive respiratory care unit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1493753 H01493753 Respiratory therapist service 호흡치료서비스 C3251806 [3.0] G21.7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struction by a respiratory therapist H01493808 H01493808 Respiratory acidosis 호흡성 산증 C0001127 [3.0] E87.2 10032653 2B.02.02.01.02.03 Focus 산염기 불균형 H01493811 H01493811 Respiratory alkalosis 호흡성 알칼리증 C0002064 [3.0] E87.3 10032669 2B.02.02.01.02.04 Focus 산염기 불균형 H01493851 H01493851 Respiratory arrest 호흡정지 C0162297 [3.0] R09.2 1A.9.0496 Focus "약제에 의한 호흡중추마비, 전기쇼크, 두개내압항진, 뇌외상, 경부척수 장애, 기도 폐쇄, 고탄산 가스혈증 환자에 대한 산소투여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호흡정지가 생긴다. 이 경우, 산소부족에 따른 뇌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가급적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1493950 H01493950 Respiratory component 호흡요소 C0184502 [3.0] L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breathing and the pulmonary system. H01494049 H01494077 Respiratory disease 호흡기병 C0035204 [3.0] J00-J99 1A.9.0164 Focus "a disease affecting the respiratory system[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1494051 H01494077 Respiratory disease 호흡기 질환 C0035204 [3.0] J00-J99 1A.9.0164 Focus "a disease affecting the respiratory system[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1494441 H01494441 Respiratory failure 호흡부전 C1145670 [3.0] 1A.9.0497 Focus "동맥혈가스, 특히 O2와 CO2 이상한 값을 나타내고 그때문에 생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폐질환으로 인한 경우만이 아니고 호흡중후의 이상, 또는 호흡근 마비등으로 기인해서도 결과적으로 혈액가스의 이상을 가져오는 상태는 모두 포함된다. 혈액가스 분석기의 발달로인해 임상분야에서도 정확하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인공호흡기를 비롯해서 치료기술로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했다. 호흡부전을 전문으로 다루는 치료단위로서 IRCU, intensive respiratory care unit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1494454 H01494441 Respiratory failure 호흡 기능상실 C1145670 [3.0] 1A.9.0497 Focus "동맥혈가스, 특히 O2와 CO2 이상한 값을 나타내고 그때문에 생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없게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폐질환으로 인한 경우만이 아니고 호흡중후의 이상, 또는 호흡근 마비등으로 기인해서도 결과적으로 혈액가스의 이상을 가져오는 상태는 모두 포함된다. 혈액가스 분석기의 발달로인해 임상분야에서도 정확하게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인공호흡기를 비롯해서 치료기술로 최근에 급속하게 발전했다. 호흡부전을 전문으로 다루는 치료단위로서 IRCU, intensive respiratory care unit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1495475 H01495475 Respite care 유예가료 C0035247 [3.0] Z75.5 Focus Temporary or periodic care provided for a patient allowing the usual caregiver rest or time away from responsibility.[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1495517 H01495517 Response 반응 [3.0] Focus 자극에 대응하여 어떤 현상이 일어남. 또는 그 현상.[표준국어대사전] H01496163 H01496163 Restriction 제한 C0443288 [3.0] 1B.38.S.001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어느 정도나 수준에서 제한되는 것. H01498611 H01498611 Retina 망막 C0035298 [3.0] Location 시각세포가 분포하여 빛을 수용하는 눈의 신경부. H01500272 H01500314 Retraction 뒤 당김 C0332523 [3.0] Focus "근육수축과 관련하여 단축과 긴장이 생긴 것을 뜻함. 즉, 생체구조나 생활물질이 특정한 방향으로 능동적인 단축을 보이는 현상 또는 작용." H01500285 H01500285 Retraction 오그라듦 [3.0] Focus "근육수축과 관련하여 단축과 긴장이 생긴 것을 뜻함. 즉, 생체구조나 생활물질이 특정한 방향으로 능동적인 단축을 보이는 현상 또는 작용." H01500301 H01500285 Retraction 수축 [3.0] Focus "근육수축과 관련하여 단축과 긴장이 생긴 것을 뜻함. 즉, 생체구조나 생활물질이 특정한 방향으로 능동적인 단축을 보이는 현상 또는 작용." H01504122 H01504122 Review of system 체계별문진 [3.0] Means 인체시스템별 조사. H01506833 H01506818 Rhabdomyolysis 횡문근융해 C0035410 [3.0] Focus 마이오글로불린뇨증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골격근의 잠재적인 경련성 태아 질환. 마찬가지로 열사병일 때 나타나는 급성 신부전과 관계가 있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1510055 H01510055 Rhinitis 비염 C0035455 [3.0] Focus 鼻炎 "비점막이 충혈·종창(腫脹)하고, 장액성(漿液性)의 삼출액을 분비하는 비강의 염증.[두산백과]" H01510933 H01510946 Rhinorrhea 비루 C1260880 [3.0] 1A.9.0500 Focus "1) 묽은 코 점액이 다량으로 흘러나오는 것. 2) 비강은 원래 접액층에서 끝나나 병적인 점액의 분비가 과다해지면 성장도 변해 비루라 칭한다. 장액성 점액성, 점액농성, 농성, 혈성등의 종류가 있고 일반적으로 단순한 염증의 초기에는 장액성이지만 후에 결국 농성이 된다. 장액성 비루는 비염, 부비강염과 알레르기성 비염에 점액성은 만성비염, 점액농성과 농성은 만성부비강염 혈성은 종양, 이물, 특수염 등에서 볼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1510946 H01510946 Rhinorrhea 콧물 C1260880 [3.0] 1A.9.0500 Focus "1) 묽은 코 점액이 다량으로 흘러나오는 것. 2) 비강은 원래 접액층에서 끝나나 병적인 점액의 분비가 과다해지면 성장도 변해 비루라 칭한다. 장액성 점액성, 점액농성, 농성, 혈성등의 종류가 있고 일반적으로 단순한 염증의 초기에는 장액성이지만 후에 결국 농성이 된다. 장액성 비루는 비염, 부비강염과 알레르기성 비염에 점액성은 만성비염, 점액농성과 농성은 만성부비강염 혈성은 종양, 이물, 특수염 등에서 볼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1511856 H01511843 Rhythm 리듬 C0871269 [3.0] 10017210 Focus 상태 H01511995 H01511995 Rib 갈비뼈 C0035561 [3.0] 10017223 1F.16.02 Location 뼈 H01512002 H01511995 Rib 늑골 C0035561 [3.0] 10017223 1F.16.02 Location 뼈 H01516559 H01090496 Rigidity 과다굳음 C0026837 [3.0] 10018520 1A.01.01.01.12.01.01.04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조절되지 않는 골 근육 수축, 근육 긴장 증가, 근경직, 서투른 동작." H01516561 H01090496 Rigidity 경축 C0026837 [3.0] 10018520 1A.01.01.01.12.01.01.04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조절되지 않는 골 근육 수축, 근육 긴장 증가, 근경직, 서투른 동작." H01517399 H01517399 Risk 위험 C0035647 [3.0] 10015007 2B.9.0077/2B.9.0131 Judgment "잠재력: 발생가능성, 위험의 존재." H01517469 H01517402 Risk factor 위험인자 C0035648 [3.0] Focus 해로움이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는 요인. H01518423 H01518423 Role 역할 C1705810 [3.0] 10017321 Focus "특징: 다른 사람이 기대하는 함축적 혹은 명백한 기대, 역할, 표준행동에 따른 상호작용." H01518436 H01518436 Role performance alteration 역할수행장애 C0231410 [3.0] M27.0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carrying out responsibilities H01518449 H01518449 Role performance alteration deteriorated 역할수행장애 악화됨 [3.0] M27.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18451 H01518451 Role performance alteration improved 역할수행장애 개선됨 [3.0] M27.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18464 H01518464 Role performance alteration stabilized 역할수행장애 안정됨 [3.0] M27.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18480 H01518477 Role model 역할모델 C0178835 [3.0] Focus 자신이 살아오면서 어떤 형태로든 자신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준사람을 말함. H01518506 H01518506 Role relationship component 역할관계요소 C0184503 [3.0] M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involving interpersonal, work, social, family, and sexual interactions." H01520551 H01520551 Route 경로 C0449444 [3.0] 2B.9.0060.S.001 Focus 1) 지나는 길. "2) 일이 진행되는 방법이나 순서.[표준국어대사전]""" H01520576 H01520576 Routine 일상 C0205547 [3.0] 10017384 Focus "과정의 집합체: 규칙적으로 따라하는 상세한 행동과정. 일련의 습관적인 절차 또는 활동, 일정하거나 습관화된 일련의 행동." H01521153 H01521153 Rubella 풍진 C0035920 [3.0] G05.1 Focus 風疹 "홍역과 유사한 발진과 전신 특히 두부ㆍ경부등의 림프절 종창이 나타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 발진은 2~3일로 소멸한다. 잘 발생하는 시기는 5~15세, 잠복기는 14~21일로 백혈구 감소, 림프구의 비교적인 증가, 형질세포의 증가가 나타나며,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분리에 의해 진단은 가능하다. 임신 3개월까지에 본 병에 걸리면 바이러스의 태반을 매개로 태아에 감염되어 선천성 백내장, 심질환,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紫斑病)등 각종 기형이 나타난다(15~50%)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1526845 H01526107 Sacrum 엉치뼈 C0036037 [3.0] 10017402 1F.17.01 Location 신체 부분 H01526858 H01526107 Sacrum 천골 C0036037 [3.0] 10017402 1F.17.01 Location 신체 부분 H01527171 H01527171 Safety 안전 C0036043 [3.0] 10032676 2B.9.0078 Focus 상태 H01527197 H01527197 Safety precautions 안전주의 C0150755 [3.0] N42.0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dvance measures to avoid, danger, or harm" H01527201 H01527201 Safety component 안전요소 C0184504 [3.0] N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prevention of injury, danger, loss, or abuse." H01527213 H01527213 Safety control 안전관리 [3.0] 1A.9.0505 Focus 기업이 정해진 법에 의하여 재해나 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취하는 조치나 활동.[두산백과] H01528399 H01528399 Saliva 침 C0036087 [3.0] Focus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을 포함하는 침샘에서 구강(口腔) 안으로 분비된 액의 혼합물. H01528640 H01528640 Salivary gland 침샘 C0036098 [3.0] 10017456 1A.01.01.01.10.04.02 Location 위장관계 구성요소: 소화과정을 돕기위해 입으로 장액성 액체와 점액성 분비물을 분비하는 세쌍의 선 중 하나. H01528652 H01528640 Salivary gland 타액선 C0036098 [3.0] 10017456 1A.01.01.01.10.04.02 Location 위장관계 구성요소: 소화과정을 돕기위해 입으로 장액성 액체와 점액성 분비물을 분비하는 세쌍의 선 중 하나. H01528763 H01528763 Salivation 침분비 C0036104 [3.0] 10017460 1A.01.01.01.08.02 Focus "분비 과정: 입의 침샘과 점액샘을 통해 수분, 점액(뮤신), 염분, 소화효소 프티알린을 포함한 타액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과정; 타액은 구강을 촉촉하게 하고, 전분의 소화를 시작하며 음식을 씹고 삼키는 것을 도움." H01531228 H00745623 Sanguifacient 조혈제 [3.0] Means "조혈장기에 작용하여 혈액형성, 특히 적혈구성분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철제, 엽산(葉酸), 비타민 B15 등의 빈혈치료체를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1533745 H01533745 Scab 딱지 C0205204 [3.0] 1A.9.0127 Focus "1) 창상 또는 궤양부분의 표층에 형성되는 섬유소, 백혈구, 응고한 삼출액 및, 괴사조직이 서로 합쳐서 굳어진 것.[간호학대사전] 2) 창면, 미란면, 궤양면 상의 침출액이나 혈액또는 농즙이 건조, 응고된 것. 특히 혈액이 응고된 것은 혈가(血痂)라고 한다. 가피 밑에서는 상피 및 결합조직이 새로 생겨나므로 결국 가피가 탈락됨과 동시에 치유된다.[생명과학대사전]" H01533773 H01533773 Scabies 옴 C0036262 [3.0] B86 Focus "옴벌레가 기생하여 일으키는 전염성 피부병. 손가락이나 발가락의 사이, 겨드랑이 따위의 연한 살에서부터 짓무르기 시작하여 온몸으로 퍼짐. 몹시 가렵고 헐기도 함." H01534209 H01534209 Scaling 비늘벗음 C0237849 [3.0]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1534237 H01534209 Scaling 낙설 C0237849 [3.0]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1534278 H01534278 Scalp 두피 C0036270 [3.0] L03.8 10017494 Location 신체 부분 H01534281 H01534278 Scalp 머리덮개 C0036270 [3.0] L03.8 10017494 Location 신체 부분 H01535134 H01535147 Scapula 견갑골 C0036277 [3.0] Location "어깨부위에 있는 큰뼈. 제2,제8 늑골 사이인 등의 윗부분에 위치함." H01535610 H01535651 Scar 흉터 C2004491 [3.0] L90.5 10017500 1A.9.0449 Focus "신체조직: 피부가 파괴되고 치유되는 과정과 관련된 수축되고, 단단한 무혈관성의 창백한 신체 표면의 조직." H01535721 H01535721 Scar tissue 흉터조직 C0241158 [3.0] 10017500 1A.01.01.01.10.03.02 Focus "신체조직: 피부가 파괴되고 치유되는 과정과 관련된 수축되고, 단단한 무혈관성의 창백한 신체 표면의 조직." H01538020 H01538020 School performance 학업수행 C0036373 [3.0] 10017559 Focus "능력: 학생이 학습을 하는 학교와 학년에 맞게 확립된 표준을 만족시키기 위한 나이에 알맞은 능력; 학생의 건강, 학습 능력, 학습의 형태와 교육의 질이 관련됨." H01538812 H01538812 Scissors 가위 C0175735 [3.0] 10017563 2C.9.0133 Means 수술기구 H01538841 H01538853 Sclera 흰자위막 C0036410 [3.0] Location 안구의 단단한 외막. 눈의 흰자위. H01538853 H01538853 Sclera 공막 C0036410 [3.0] Location 안구의 단단한 외막. 눈의 흰자위. H01540801 H01540801 Score 점수 C0449820 [3.0] 1A.9.0507 Focus 성적을 나타내는 숫자.[표준국어대사전] H01540813 H01540813 Scoring 점수매기기 [3.0] 2A.9.0032 Action 평가함 H01541390 H01541390 Screen 보호막 C0183185 [3.0] Means 사물을 보호하기 위해 그 표면을 덮고 있는 막.[표준국어대사전] H01541416 H01541416 Screen 선별 [3.0] Means 가려서 따로 나눔.[표준국어대사전] H01541457 H01541429 Screening 검진 [3.0] 10017585 2A.01.02.01.04 Action 검진 활동: 질병이나 다른 현상으로 고생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구별하는 것. H01541973 H01541973 Scrotum 음낭 C0036471 [3.0] 10017603 1F.17.02 Location 남성 생식기계 H01542367 H01542367 Seaweed 해초 C0036500 [3.0] Means 바다에서 나는 조류를 이르는 말. 바닷말. H01543388 H01543388 Second 초 C0457385 [3.0] 2D.9.0016 Time "한 시간의 3,600분의 1이 되는 동안을 세는 단위.[표준국어대사전]" H01545794 H01545794 Secretion 분비물 [3.0] 10017635 1A.01.01.01.08.S.001 Focus 신체 물질 H01546258 H01546258 Sedation 진정 C0235195 [3.0] 10040156 1A.9.0508 Focus 상태 H01546286 H01546286 Sedative 진정제 C0036557 [3.0] 2C.9.0141 Means 신경을 가라앉히는 약물. H01547406 H00643201 Seizure 발작 C0036572 [3.0] R56.8 10005174|10045668 2B.9.0079 Focus|DC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발작적이고 불수의적인 근육들의 수축. H01548398 H01548398 Self care component 자가간호요소 C0184505 [3.0] O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ability to carry out activities to maintain oneself. H01548442 H01548442 Self concept component 자아개념요소 C0184506 [3.0] P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an individual's mental image of oneself. H01548719 H01548719 Self-care deficit 자가간호결핍 C0231369 [3.0] O38.0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진단(간호진단) Impaired ability to maintain oneself H01548721 H01548721 Self-care deficit deteriorated 자가간호결핍 악화됨 [3.0] O38.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734 H01548734 Self-care deficit improved 자가간호결핍 개선됨 [3.0] O38.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747 H01548747 Self-care deficit stabilized 자가간호결핍 안정됨 [3.0] O38.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750 H01548750 Self-concept alteration 자아개념장애 C0150074 [3.0] P43.0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ability to maintain one's image of self H01548762 H01548762 Self-concept alteration deteriorated 자아개념장애 악화됨 [3.0] P43.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775 H01548775 Self-concept alteration improved 자아개념장애 개선됨 [3.0] P43.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788 H01548788 Self-concept alteration stabilized 자아개념장애 안정됨 [3.0] P43.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804 H01548804 Self-mutilation risk 자해 위험성 C1268637 [3.0] N34.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destroying a limb or essential part of the body H01548817 H01548817 Self-mutilation risk deteriorated 자해 위험성 악화됨 [3.0] N34.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820 H01548820 Self-mutilation risk improved 자해 위험성 개선됨 [3.0] N34.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8832 H01548832 Self-mutilation risk stabilized 자해 위험성 안정됨 [3.0] N34.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49267 H01549267 Selftalk 혼잣말 [3.0] Focus 혼자서 중얼거리는 소리. H01549698 H01549698 Semicoma 반혼수 C0234439 [3.0] R40.1 Focus "통증자극에 대한 도피운동이나 다소라도 순응성의 움직임을 나타내며, 또한 자극이나 흔들어 움직이게 함으로서 같은 반응을 나타낸다. 부르는데 대해서 신음소리등을 낸다. 반사는 유지되나 통상은 실금상태이다. 자발운동은 거의 없다. 미국의 메이요ㆍ크리닉에서의 의식 레벨의 분류에서는 기면 somnolence → 혼미 stupor → 반혼수 semicoma → 심혼수 deep coma로 되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550345 H01550345 Semisitting position 반앉은자세 [3.0] 2C.9.0134 Means A semi-sitting or semi-reclined body position whereby the head is elevated on an angle of approximately 30 degrees.[NCI/PT] H01551870 H01551870 Sensation 감각 C0036658 [3.0] 10024042 Focus 지각 H01551940 H01551870 Sense 감각 C0036658 [3.0] 10024042 Focus 지각 H01552013 H01552001 Sensibility 감도 C0439823 [3.0] 1A.9.0511 Focus "감각의 감수성, 감각하는 또는 지각하는 능력." H01552472 H01552472 Sensorimotor disturbance 감각운동장애 [3.0] 1A.9.0512 Focus 손상된 신체 과정 H01552736 H01552736 Sensory perceptual alteration 감각지각장애 C0150075 [3.0] Q44.0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response to stimuli H01552749 H01552749 Sensory perceptual alteration deteriorated 감각지각장애 악화됨 [3.0] Q44.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52751 H01552751 Sensory perceptual alteration improved 감각지각장애 개선됨 [3.0] Q44.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52764 H01552764 Sensory perceptual alteration stabilized 감각지각장애 안정됨 [3.0] Q44.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52904 H01552904 Sensory component 감각요소 C0184507 [3.0] Q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senses including pain. H01553231 H01553228 Sensory perception 감각지각 C0036658 [3.0] 10024042 Focus 지각 H01553465 H01553465 Separation anxiety 분리 불안 C1879354 [3.0] 10017880 1A.01.01.02.01.01.05.07.01 Focus "불안: 친밀한 환경과 의미있는 사람과 분리됨으로 발생하는 두려움과 염려의 감정, 예를 들어 울음, 눈물, 비탄 반응, 감정 표현의 결핍, 이탈감, 부정 체념을 동반하는 어머니 혹은 어머니 역할자로부터 분리된 유아." H01555133 H01555133 Septic shock 패혈성 쇼크 C0036983 [3.0] R57.2 10017898 Focus 쇼크: 화농과 균혈증이 동반된 광범위한 감염으로 생긴 급격한 말초순환기능 부전 H01561177 H01561180 Service 서비스 C0557854 [3.0] 10017908 Focus "활동의 집합: 사람들의 공동 이익과 공동의 요구를 지탱하는 시스템의 이용가능성, 배치 및 분배." H01562005 H01562005 Severity 중증도 C0439793 [3.0] 10025849 Judgment severe | tolerable | moderate | mild 상태 H01562588 H01562588 Sexual behavior analysis 성행위분석 C1171217 [3.0] M39.4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change and/or modification of a person's sexual response H01562591 H01562591 Sexual dysfunction deteriorated 성기능장애 악화됨 [3.0] M27.3.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62604 H01562604 Sexual dysfunction improved 성기능장애 개선됨 [3.0] M27.3.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62617 H01562617 Sexual dysfunction stabilized 성기능장애 안정됨 [3.0] M27.3.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62645 H01562658 Sexual abuse 성폭행 C0282350 [3.0] T74.2|Y07 1A.01.01.02.02.02.01.11.03.03 Focus "학대: 불법적이거나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과 연관된 성적 구박이나 폭행, 비정상적이거나 강압에 의한 성행위; 법적 정의는 문화와 나라에 따라 다양하나 성적 학대는 불법 혹은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위로 간주됨" H01562658 H01562658 Sexual abuse 성적 학대 C0282350 [3.0] T74.2|Y07 1A.01.01.02.02.02.01.11.03.03 Focus "학대: 불법적이거나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과 연관된 성적 구박이나 폭행, 비정상적이거나 강압에 의한 성행위; 법적 정의는 문화와 나라에 따라 다양하나 성적 학대는 불법 혹은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위로 간주됨" H01562661 H01562658 Sexual abuse 성범죄 C0282350 [3.0] T74.2|Y07 1A.01.01.02.02.02.01.11.03.03 Focus "학대: 불법적이거나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과 연관된 성적 구박이나 폭행, 비정상적이거나 강압에 의한 성행위; 법적 정의는 문화와 나라에 따라 다양하나 성적 학대는 불법 혹은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위로 간주됨" H01562771 H01562658 Sexual assault 성폭행 C0237236 [3.0] T74.2|Y07 1A.01.01.02.02.02.01.11.03.03 Focus "학대: 불법적이거나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과 연관된 성적 구박이나 폭행, 비정상적이거나 강압에 의한 성행위; 법적 정의는 문화와 나라에 따라 다양하나 성적 학대는 불법 혹은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위로 간주됨" H01562911 H01562911 Sexual behavior 성적행동 C0036864 [3.0] 10017949 Focus 행동 H01562981 H01562981 Sexual desire 성욕 C0023618 [3.0] Focus "사람의 본능적 에너지 또는 충동. 특히 성적 충동의 표현. 넓은 의미로 정의하면 종의 보존을 목표로 하는 욕구이고, 좁게 정의하면 피부와 피부를 접촉하거나 상대방(이성)에 밀착하고 싶어하는 욕구이며, 생식물질을 방출하고 싶어하는 욕구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563070 H01563070 Sexual dysfunction 성 기능 장애 C0549622 [3.0] M27.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Deleterious change in sexual response H01563165 H01563165 Sexual harassment 성적괴롭힘 C0162790 [3.0] 10017954 1A.01.01.02.02.02.04.03 Focus "공격적 행동: 한 명이상의 사람들이 피해자에게 힘을 행사하고 기회균등, 사생활, 및 폭행으로부터 해방 권리를 빼앗는 성적으로 동기화된 신체적 혹은 언어적 폭력." H01563178 H01563165 Sexual harassment 성희롱 C0162790 [3.0] 10017954 1A.01.01.02.02.02.04.03 Focus "공격적 행동: 한 명이상의 사람들이 피해자에게 힘을 행사하고 기회균등, 사생활, 및 폭행으로부터 해방 권리를 빼앗는 성적으로 동기화된 신체적 혹은 언어적 폭력." H01563210 H00816871 Sexual impotence 음위병 C0242350 [3.0] N48.49 10009886 1A.01.01.01.15.01.02.01.01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음경의 발기 불능 혹은 드물게 발기 후 사정불능; 나이, 피로, 나쁜 건강, 약물복용, 질병과 같은 정신적 또는 생리적 요인과 관련됨." H01563222 H00816871 Sexual impotence 음위증 C0242350 [3.0] N48.49 10009886 1A.01.01.01.15.01.02.01.01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음경의 발기 불능 혹은 드물게 발기 후 사정불능; 나이, 피로, 나쁜 건강, 약물복용, 질병과 같은 정신적 또는 생리적 요인과 관련됨." H01563251 H00336702 Sexual intercourse 성교 C0009253 [3.0] 10017965 1A.01.01.02.02.02.04.01 Focus 수행함: 일반적으로 이성의 두 사람이 하는 성적 활동; 상호 흥분과 오르가즘을 위한 성적 결합. H01563485 H01563485 Sexuality 성별 C0036915 [3.0] 1A.9.0436 Focus 자웅의 생식기관의 특징. H01563501 H01563501 Sexuality patterns alteration 성패턴변화 C0150076 [3.0] M31.0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a person's sexual response H01563514 H01563514 Sexuality patterns alteration deteriorated 성패턴변화 악화됨 [3.0] M31.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63527 H01563527 Sexuality patterns alteration improved 성패턴변화 개선됨 [3.0] M31.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63530 H01563530 Sexuality patterns alteration stabilized 성패턴변화 안정됨 [3.0] M31.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64047 H01564047 Shallow respiration 얕은호흡 C0221161 [3.0] 1A.9.0515 Focus "호흡이 얕고, 또한 빠른 것을 천호흡이라고 한다. 헤링-브로이엘 Hering-Breuer반사의 감수성이 항진하고 있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이 반사의 폐포벽에 있어서의 수용체는, 율립결핵(栗粒結核), 혈행성의 암세포산포를 포함한 폐색전증(肺塞检症), 폐수종(肺水腫), 자극성가스의 흡입, 폐염 등으로 자극된다. 또 흉벽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도 호흡은 얕고 또한 빠르게 된다.[간호학대사전]" H01564120 H01564120 Shape 모양 C0332479 [3.0] 1A.9.0516 Focus 겉으로 나타나는 생김새나 모습.[표준국어대사전] H01564979 H01564979 Shield 차폐 C0183251 [3.0] 2C.9.0142 Means 1) any protecting structure. 2) in radiology a protective device often made of lead through which particualr types of rays cannot pass; used to avoid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 Inc. All rights reserved.]""" H01565641 H01565641 Shock 쇼크 C0036974 [3.0] 10018050 1A.01.01.01.02.02.02.01 Focus "손상된 순환기 과정: 지속적인 심박출량의 감소, 부적절한 혈류, 순환혈액량의 손실, 심한 불안, 허약감, 발한, 숨가뿜, 저혈압, 부정맥, 후두 부종, 오심, 설사와 관련된 생명에 위협을 주는 세포 기능장애, 급격한 혈압 하강, 차가운 피부, 빈맥, 핍뇨로 인한 불완전한 정맥귀환의 순환부전." H01566536 H00511019 Shortness of breath 숨참 C0013404 [3.0] R06.0 10006461 1A.01.01.01.01.02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순환혈액내 불충분한 산소, 불편감과 불안과 관련되어 있는, 폐 안팎으로의 힘든 공기의 움직임, 짧은호흡" H01566551 H00511019 Shortness of breath 호흡곤란 C0013404 [3.0] R06.0 10006461 1A.01.01.01.01.02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순환혈액내 불충분한 산소, 불편감과 불안과 관련되어 있는, 폐 안팎으로의 힘든 공기의 움직임, 짧은호흡" H01566688 H01566688 Shoulder 어깨 C0037004 [3.0] 10041174 1F.9.0002 Location 신체 부분 H01567892 H01567892 Shoulder presentation 어깨태위 C0426164 [3.0] Location "presentation of the fetal shoulder in labor[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1568080 H01568080 Show 이슬 C1547282 [3.0] 1A.9.0517 Focus 1) 분만 또는 월경의 전징(前徵)으로 나타나는 출혈. 2) 산징(產徵) 또는 전조 분만개시의 중요징후 가운데 하나이고 개구 진통의 증강과 함께 태아는 하강하고 내자궁구도 크게 벌어지는데 난막은 함께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부 자궁벽에서 박리해 출혈하고 자궁구에서 혈성 점액이 배출된다.[간호학대사전] H01568092 H01568080 Show 전징후 C1547282 [3.0] 1A.9.0517 Focus 1) 분만 또는 월경의 전징(前徵)으로 나타나는 출혈. 2) 산징(產徵) 또는 전조 분만개시의 중요징후 가운데 하나이고 개구 진통의 증강과 함께 태아는 하강하고 내자궁구도 크게 벌어지는데 난막은 함께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부 자궁벽에서 박리해 출혈하고 자궁구에서 혈성 점액이 배출된다.[간호학대사전] H01568106 H01568080 Show 비침 C1547282 [3.0] 1A.9.0517 Focus 1) 분만 또는 월경의 전징(前徵)으로 나타나는 출혈. 2) 산징(產徵) 또는 전조 분만개시의 중요징후 가운데 하나이고 개구 진통의 증강과 함께 태아는 하강하고 내자궁구도 크게 벌어지는데 난막은 함께 벌어지지 않기 때문에 일부 자궁벽에서 박리해 출혈하고 자궁구에서 혈성 점액이 배출된다.[간호학대사전] H01568217 H01568217 Shudder 떨림 [3.0] Focus A convulsive or involuntary tremor.[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1568220 H01568217 Shudder 전율 [3.0] Focus A convulsive or involuntary tremor.[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1570233 H01570233 Side effect 부작용 C0879626 [3.0] 10024057 1A.9.0518 Focus 현상 H01570680 H01570680 Sigh 한숨 C0425481 [3.0] Focus "근심이나 설움이 있을 때, 또는 긴장하였다가 안도할 때 길게 몰아서 내쉬는 숨." H01571226 H01571226 Sign 징후 C0311392 [3.0] 10018130 2B.02.02.01.01 Focus 현상 H01571489 H01571489 Significance 중요성 C0750502 [3.0] 1A.9.0519 Focus 사물의 중요한 요소나 성질.[표준국어대사전] H01572609 H01572609 Simian crease 원숭이손금 C0424731 [3.0] 1A.9.0520 Focus "손바닥을 완전히 횡단하는 굴곡선. 정상개체에서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다운증후군 등 선천이상에서는 높은 빈 로 출현하며 어느 정도의 진단상 의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1575981 H01576001 Sinus bradycardia 굴느린맥 C0085610 [3.0] R00.1 Focus 동성 율동으로 심박동수가 1분에 60회 미만으로 감소된 상태.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이 분당 60회 미만으로 느리게 발생하여 나타나는 질환. H01576001 H01576001 Sinus bradycardia 동성서맥 C0085610 [3.0] R00.1 Focus 동성 율동으로 심박동수가 1분에 60회 미만으로 감소된 상태.동방결절에서 전기적 자극이 분당 60회 미만으로 느리게 발생하여 나타나는 질환. H01576876 H01576876 Sitting position 앉은 자세 C0277814 [3.0] 2C.9.0136 Location "상반신을 90도 혹은 그에 가까운 상태로 일으킨 자세를 말한다. 식사, 세면, 휴식시 등에 일반적으로 취한다. 광의의 좌위에는 반좌위, 일어나 앉아 호흡할 때의 체위인 정위좌 ㆍ 의자좌위 등이 포함된다. 선자세(立位)보다 에너지소비가 10 % 적으며, 순환혈액량이나 혈압치는 입위와 와위(臥位)의 중간치를 표시한다.[간호학대사전]" H01576889 H01576876 Sitting position 좌위 C0277814 [3.0] 2C.9.0136 Location "상반신을 90도 혹은 그에 가까운 상태로 일으킨 자세를 말한다. 식사, 세면, 휴식시 등에 일반적으로 취한다. 광의의 좌위에는 반좌위, 일어나 앉아 호흡할 때의 체위인 정위좌 ㆍ 의자좌위 등이 포함된다. 선자세(立位)보다 에너지소비가 10 % 적으며, 순환혈액량이나 혈압치는 입위와 와위(臥位)의 중간치를 표시한다.[간호학대사전]" H01576961 H01576961 Situational self-esteem disturbance 상황적자존감장애 C0150073 [3.0] P43.4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진단(간호진단) Negative evaluation of oneself in response to a loss or change H01576974 H01576974 Situational self-esteem disturbance deteriorated 상황적자존감장애 악화됨 [3.0] P43.4.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6987 H01576987 Situational self-esteem disturbance improved 상황적자존감장애 개선됨 [3.0] P43.4.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6990 H01576990 Situational self-esteem disturbance stabilized 상황적자존감장애 안정됨 [3.0] P43.4.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7010 H01577010 Situs 위치 [3.0] 1F.9.0011 Location 1) 일정한 곳에 자리를 차지함. 또는 그 자리. "2) 사회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지위나 역할.[표준국어대사전]""" H01578363 H01578363 Skin 피부 C1123023 [3.0] 10018239 1A.01.01.01.10.01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각질화된 외피를 손상없이 촉촉하고, 부드럽게, 너무 차갑거나 따뜻하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 탄력성, 두께 및 결을 가진 유연하고 질긴 가장 바깥의 자연스런 체표면." H01578391 H01578391 Skin breakdown control 피부손상조절 C0184656 [3.0] R54.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integument/skin problems H01578405 H01578405 Skin care 피부간호 C0150773 [3.0] R54.0 10032761|10032757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IC Actions to control the integument/skin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1578490 H01578490 Skin incision 피부절개 C1268767 [3.0] R46.4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진단(간호진단) Cutting of the integument/skin H01578503 H01578503 Skin incision deteriorated 피부절개 악화됨 [3.0] R46.4.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516 H01578516 Skin incision improved 피부절개 개선됨 [3.0] R46.4.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529 H01578529 Skin incision stabilized 피부절개 안정됨 [3.0] R46.4.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531 H01578531 Skin integrity alteration 피부통합성변화 C0946387 [3.0] R46.0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skin conditions H01578544 H01578544 Skin integrity alteration deteriorated 피부통합성변화 악화됨 [3.0] R46.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557 H01578557 Skin integrity alteration improved 피부통합성변화 개선됨 [3.0] R46.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560 H01578560 Skin integrity alteration stabilized 피부통합성변화 안정됨 [3.0] R46.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572 H01578572 Skin integrity impairment 피부통합성장애 C0150077 [3.0] R46.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진단(간호진단) Decreased ability to maintain the integument H01578585 H01578585 Skin integrity impairment deteriorated 피부통합성장애 악화됨 [3.0] R46.2.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598 H01578598 Skin integrity impairment improved 피부통합성장애 개선됨 [3.0] R46.2.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601 H01578601 Skin integrity impairment risk 피부통합성장애 위험성 C0231357 [3.0] R46.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skin breakdown H01578614 H01578614 Skin integrity impairment risk deteriorated 피부통합성장애 위험성 악화됨 [3.0] R46.3.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627 H01578627 Skin integrity impairment risk improved 피부통합성장애 위험성 개선됨 [3.0] R46.3.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630 H01578630 Skin integrity impairment risk stabilized 피부통합성장애 위험성 안정됨 [3.0] R46.3.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8642 H01578642 Skin integrity impairment stabilized 피부통합성장애 안정됨 [3.0] R46.2.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79106 H01579106 Skin integrity component 피부통합성 요소 C0547091 [3.0] R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mucous membrane, corneal, integumentary, or subcutaneous structures of the body." H01579119 H01579121 Skin lesion 피부환부 C0037284 [3.0] 1A.9.0522 Focus 손상된 피부 H01579121 H01579121 Skin lesion 피부 병터 C0037284 [3.0] 1A.9.0522 Focus 손상된 피부 H01579134 H01579121 Skin lesion 피부 병변 C0037284 [3.0] 1A.9.0522 Focus 손상된 피부 H01579467 H01579467 Skin tag 피부연성섬유종 C0037293 [3.0] 1A.9.0523 Focus "각질 형성 세포와 아교질 섬유의 증식으로 생긴 섬유상피 양성 종양이다. 그 크기는 1밀리미터에서 수 센티미터까지 다양하며 말랑말랑한 폴립 모양이다. 눈꺼풀, 목, 겨드랑이에 잘 생긴다. 양성의 종양으로 미용적인 문제뿐이다. 주변에 여러 개가 같이 생길 수 있지만 감염에 의한 것은 아니며 다른 사람에게 옮기지 않는다. 물사마귀와는 겉보기에는 얼핏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물사마귀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생긴 것이므로 연성 섬유종과는 다르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579470 H01579467 Skin tag 쥐젖 C0037293 [3.0] 1A.9.0523 Focus "각질 형성 세포와 아교질 섬유의 증식으로 생긴 섬유상피 양성 종양이다. 그 크기는 1밀리미터에서 수 센티미터까지 다양하며 말랑말랑한 폴립 모양이다. 눈꺼풀, 목, 겨드랑이에 잘 생긴다. 양성의 종양으로 미용적인 문제뿐이다. 주변에 여러 개가 같이 생길 수 있지만 감염에 의한 것은 아니며 다른 사람에게 옮기지 않는다. 물사마귀와는 겉보기에는 얼핏 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물사마귀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생긴 것이므로 연성 섬유종과는 다르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579581 H01579581 Skin turgor 피부 긴장도 C0277937 [3.0] Focus 피부의 능력으로 비정상에서 정상으로 모양이 바뀌려는 성질. 나이와 신체의 체액양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됨. H01579648 H01579648 Skin wound 피부 상처 C0564444 [3.0] 10018256 Focus 상처 H01579733 H00403771 Skull 두개골 C0037303 [3.0] 10018260 1F.17.06 Location 뼈 H01579746 H00403771 Skull 머리뼈 C0037303 [3.0] 10018260 1F.17.06 Location 뼈 H01580225 H01580238 Sleep 잠 C0037313 [3.0] 10041399 1A.01.01.01.11.01 Focus "신체 과정: 의식의 감소, 감소된 대사, 부동의 자세, 감소한 신체활동, 외부자극에 대한 감소된 그러나 복구가능한 민감성을 동반한 의식이 없는, 각성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신체활동의 반복되는 저하" H01580238 H01580238 Sleep 수면 C0037313 [3.0] 10041399 1A.01.01.01.11.01.S.001 Focus "신체 과정: 의식의 감소, 감소된 대사, 부동의 자세, 감소한 신체활동, 외부자극에 대한 감소된 그러나 복구가능한 민감성을 동반한 의식이 없는, 각성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신체활동의 반복되는 저하" H01580241 H01580241 Sleep deprivation deteriorated 수면박탈 악화됨 [3.0] A01.7.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0253 H01580253 Sleep deprivation improved 수면박탈 개선됨 [3.0] A01.7.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0266 H01580266 Sleep deprivation stabilized 수면박탈 안정됨 [3.0] A01.7.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0294 H01580294 Sleep pattern control 수면양상조절 C0184578 [3.0] A04.0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sleep/wake cycle H01580308 H01580308 Sleep pattern disturbance 수면장애 C0150079 [3.0] A01.6 1A.9.0525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Imbalance in the normal sleep/wake cycle 정상수면/각성 주기의 불균형 H01580311 H01580311 Sleep pattern disturbance deteriorated 수면장애 악화됨 [3.0] A01.6.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0323 H01580323 Sleep pattern disturbance improved 수면장애 개선됨 [3.0] A01.6.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0336 H01580336 Sleep pattern disturbance stabilized 수면장애 안정됨 [3.0] A01.6.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0377 H01580380 Sleep apnea syndrome 수면 무호흡 증후군 C0037315 [3.0] G47.3 Focus 수면중 코를 골다가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아 공기의 흐름이 완전히 멈추는 증세가 수면 1시간 당 5번 이상 나타나거나 7시간의 수면 동안 30회 이상 나타나는 질환. H01580450 H01580450 Sleep deprivation 수면 박탈 C0037316 [3.0] A01.7 10041824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진단(간호진단) Lack of normal sleep/wake cycle H01580770 H01580770 Sleepwalking 몽유병 C0037672 [3.0] F51.3 10018294 2C.9.0144 Means 중추신경계 특히 대뇌가 흥분하여 불면 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하는 약제. H01581122 H01581122 Sling 걸이 C0183346 [3.0] 2C.9.0145 Means 고정기구 H01581455 H01581455 Slough 딱지 C0027544 [3.0] 1A.9.0127 Focus "1) 창상 또는 궤양부분의 표층에 형성되는 섬유소, 백혈구, 응고한 삼출액 및, 괴사조직이 서로 합쳐서 굳어진 것.[간호학대사전] 2) 창면, 미란면, 궤양면 상의 침출액이나 혈액또는 농즙이 건조, 응고된 것. 특히 혈액이 응고된 것은 혈가(血痂)라고 한다. 가피 밑에서는 상피 및 결합조직이 새로 생겨나므로 결국 가피가 탈락됨과 동시에 치유된다.[생명과학대사전]" H01581471 H01581471 Sloughing 딱지형성 C0027544 [3.0] 1A.9.0128 Focus 창상이나 궤양의 표면을 뒤덮는 혈액ㆍ조직액ㆍ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것이 말라서 굳어진 것(가피)이 생기는 것.[간호학대사전] H01581762 H01581762 Slurred speech 불명료 언어 C0234518 [3.0] 10018304 1A.01.01.01.12.04.02 Focus "언어장애: 단어의 불분명한 발음, 단어가 완전히 발음되지 않고, 단어가 함께 발음되거나 부분적으로 발음되지 않음; 관절 근육의 허약감, 신경계 손상, 약물 사용 혹은 부주의한 발음과 관련됨." H01582324 H01582311 Small intestine 소장 C0021852 [3.0] Location 위와 대장사이에 있는 길이 6~7m에 이르는 소화관으로 소화운동을 하면서 영양분을 소화 흡수하는 중요한 부분. H01582590 H01582590 Smear 도말 C0444186 [3.0] 1A.9.0526 Focus 받침유리(glass slide) 위에 재료를 펼쳐서 만든 현미경검사용 표본. H01582698 H01582698 Smell 후각 C0037361 [3.0] 10018327 1A.01.01.01.13.16 Focus "감각 지각: 후각기관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후각 능력,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능력." H01582701 H01582701 Smell 냄새 [3.0] 10018327 Focus "냄새가 나는 물질의 분자가 비강상부(鼻腔上部)에 있는 후수용기를 자극함으로써 생기는 화학감각이다. 후각 그 자체는 방향성이 없는 감각이지만, 냄새는 다른 감각의 협력을 얻어 방향성이 있는 반응을 추적해 갈 수 있다.[두산백과]" H01583821 H01583833 Sneeze 재채기 C0037383 [3.0] R06.7 1A.9.0527 Focus 1) 코와 입으로 세차게 경련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다. 2) 반사적으로 일어나는 격한 호기(呼氣). 비점막의 자극 즉 삼차신경지(三叉神經枝)의 자극에 의해 유발된다. 비강 내의 이물을 배제하려는 반사작용이다. 콧물 ·한기 ·악취 등이 자극이 되는 외에 돌연한 강한 빛의 자극으로 눈물이 분비되어 이것이 누관을 지나 비강으로 들어가서 비점막을 자극하는 수도 있다. 따라서 코로 이물이 들어갔을 때는 태양이나 환한 전등불을 갑자기 응시하거나 하여 재채기를 유발시켜서 이물을 제거하는 응급처지도 있다. 코감기로 인한 것은 항히스타민제가 효과를 나타낸다. 비질환 중 특히 혈관운동성 비염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일 때는 분비과다로 재채기가 많이 나므로 이 증세의 특징이 된다. 또 삼차신경이 장애를 받으면 재채기의 반사가 없어지는 수가 있으므로 " 비점막을 자극시켜 진단하는 경우도 있다.[두산백과]""" H01584046 H01584046 Soap 비누 C0037392 [3.0] 10018358 2C.01.10.01 Means 물질 H01584160 H01584160 Social interaction alteration 사회적상호작용변화 C2712036 [3.0] M32.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inadequate quantity or quality of personal relations H01584172 H01584172 Social interaction alteration deteriorated 사회적상호작용변화 악화됨 [3.0] M32.1.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185 H01584185 Social interaction alteration improved 사회적상호작용변화 개선됨 [3.0] M32.1.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198 H01584198 Social interaction alteration stabilized 사회적상호작용변화 안정됨 [3.0] M32.1.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201 H01584201 Social isolation 사회적고립 C0037421 [3.0] M32.2 10018389|10001647 1A.9.0437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State of aloneness; Lack of interaction with others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부족 또는 고독감 H01584214 H01584214 Social isolation deteriorated 사회적고립 악화됨 [3.0] M32.2.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227 H01584227 Social isolation improved 사회적고립 개선됨 [3.0] M32.2.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230 H01584230 Social isolation stabilized 사회적고립 안정됨 [3.0] M32.2.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242 H01584242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망분석 C1171218 [3.0] M39.5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improve the quantity or quality of personal relationships H01584255 H01584255 Social worker service 사회복지서비스 C3251805 [3.0] G21.2 10018475 2C.02.07.04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Means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struction by a social worker 사회복지사의 조언이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1584632 H01584632 Social withdrawal 사회적위축 C0424095 [3.0] Focus "타인과의 상호 작용을 회피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며, 타인과의 사회성 기술이 결핍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특수교육학 용어사전]" H01584645 H01584645 Socialization alteration 사회화장애 C1998998 [3.0] M32.0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personal identity H01584658 H01584658 Socialization alteration deteriorated 사회화장애 악화됨 [3.0] M32.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661 H01584661 Socialization alteration improved 사회화장애 개선됨 [3.0] M32.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4673 H01584673 Socialization alteration stabilized 사회화장애 안정됨 [3.0] M32.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586021 H01586034 Soft tissue 연조직 C0225317 [3.0] 10018481 Focus 신체 조직 H01586034 H01586034 Soft tissue 물렁조직 C0225317 [3.0] 10018481 Focus 신체 조직 H01586842 H01586855 Sole 족저 C0230463 [3.0] Location "발 아래쪽의, 땅을 밟는 평평한 부분.[표준국어대사전]" H01586855 H01586855 Sole 발바닥 C0230463 [3.0] Location "발 아래쪽의, 땅을 밟는 평평한 부분.[표준국어대사전]" H01587711 H01587724 Solution 액 C0037633 [3.0] 10018499 2C.01.14.07 Means 물질 H01587724 H01587724 Solution 용액 C0037633 [3.0] 10018499 2C.01.14.07 Means 물질 H01590454 H01590454 Somnifacient 수면제 C0599397 [3.0] 2C.9.0144 Means 중추신경계 특히 대뇌가 흥분하여 불면 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하는 약제. H01590524 H01580488 Somnipathy 수면장애 C0851578 [3.0] G47.9 1A.9.0525 Focus 수면이 양적·질적 요인으로 장애를 받는 것.[두산백과] H01590552 H00501769 Somnolence 졸림 C2830004 [3.0] R40.0 10018512|10040141 1A.01.01.01.13.18.02 Focus|DC 손상된 의식: 병적인 수면과 비정상적인 졸리움. H01590565 H00501769 Somnolence 기면 C2830004 [3.0] R40.0 10018512|10040141 1A.01.01.01.13.18.02 Focus|DC 손상된 의식: 병적인 수면과 비정상적인 졸리움. H01590968 H01590968 Soporific 수면제 [3.0] 2C.9.0144 Means 중추신경계 특히 대뇌가 흥분하여 불면 상태에 있을 때에 사용하는 약제. H01591127 H01262929 Sore throat 목앓이 C0242429 [3.0] R07.0 1A.9.0530 Focus "인두통, 인후통이란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도염(급성 비인두염, 감기 등)과 함께 올 수 있고 전신 질환의 일부로 나타나기도 한다.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흡연이나 매연, 음주 및 알레르기 반응으로 유발될 수도 있다. 발열, 두통, 식욕 부진, 권태감, 기침, 음성 변화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입을 벌렸을 때 목구멍 주위가 충혈되거나 하얀 막이 형성 될 수도 있고 편도선이 부어 입 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591155 H01262929 Sore throat 인두통 C0242429 [3.0] R07.0 1A.9.0530 Focus "인두통, 인후통이란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도염(급성 비인두염, 감기 등)과 함께 올 수 있고 전신 질환의 일부로 나타나기도 한다.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흡연이나 매연, 음주 및 알레르기 반응으로 유발될 수도 있다. 발열, 두통, 식욕 부진, 권태감, 기침, 음성 변화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입을 벌렸을 때 목구멍 주위가 충혈되거나 하얀 막이 형성 될 수도 있고 편도선이 부어 입 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591380 H01591380 Sound 소리 [3.0] Focus 물체의 진동에 의하여 생긴 음파가 귀청을 울리어 귀에 들리는 것. H01592259 H01592261 Spasm 경련 C0037763 [3.0] 1A.9.0533 Focus "넓은 뜻으로는 불수의적으로 일어나는 근 수축이고 연축이라고도 한다. 급격하게 발생해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운동이 생기는 간대성 연축 copnic spasm과 지속적으로 수축한 상태를 가져오는 긴장성 연축 tonic spasm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대표로서는 안검경련증 bleph arospasm, 안면연축 facial spasm을 들 수 있다. 딸국질은 횡격막이 짧은 연축에 따른 것이다. 후자의 대표적인 것은 파상증, 저칼슘혈증이나 알칼리증에 볼 수 있는 강축증 tetany이고 수축근의 종류에 따라서 아관긴급(牙關緊急), 후궁반장(後弓反張) carpopedal spasm 등이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1592261 H01592261 Spasm 연축 C0037763 [3.0] 1A.9.0533 Focus "넓은 뜻으로는 불수의적으로 일어나는 근 수축이고 연축이라고도 한다. 급격하게 발생해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운동이 생기는 간대성 연축 copnic spasm과 지속적으로 수축한 상태를 가져오는 긴장성 연축 tonic spasm의 두 종류로 나누어진다. 전자의 대표로서는 안검경련증 bleph arospasm, 안면연축 facial spasm을 들 수 있다. 딸국질은 횡격막이 짧은 연축에 따른 것이다. 후자의 대표적인 것은 파상증, 저칼슘혈증이나 알칼리증에 볼 수 있는 강축증 tetany이고 수축근의 종류에 따라서 아관긴급(牙關緊急), 후궁반장(後弓反張) carpopedal spasm 등이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1593381 H01593381 Special diet 치료식 C0184626 [3.0] J29.4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ingestion of food and nutrients prescribed for a specific purpose H01595059 H01595074 Specimen 검체 C2347026 [3.0] 10018531 1A.9.0536 Focus 개체 H01595074 H01595074 Specimen 검사물 C2347026 [3.0] 10018531 1A.9.0536 Focus 개체 H01595103 H01595103 Specimen care 검체간호 C2922257 [3.0] K32.0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direct the collection and/or the examination of a bodily specimen H01595867 H01595867 Speech therapist service 언어치료서비스 C0037831 [3.0] G21.6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provide advice or instruction by a speech therapist H01596095 H01596095 Speech disturbance 언어장애 C0233715 [3.0] Focus "말을 바르게 발음하지 못하거나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병증, 교통수단으로서의 언어로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서의 장애이다. 언어를 이해, 표출하는 생리학적, 심리학적, 언어학적, 물리학적, 사회학적인 각 과정에서의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일어나며 그 원인이나 병태에 따라 구음장애, 말더듬, 음성장애 언어발달지체, 청력장애, 선천기형등 많은 질병, 장애로 세분됨." H01596251 H01596251 Speech therapy 언어치료 C0037831 [3.0] 2B.9.0085 Focus "1) 말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없거나 더듬는 환자에게 발음, 대화 따위의 훈련을 전문적으로 행하는 치료법.[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596346 H01596346 Sperm 정자 C0037868 [3.0] Location 남성의 성숙한 생식세포. 고환에서 생성되며 정관을 통해 배출됨. H01599481 H00110620 Spider nevus 거미 모반 C0085666 [3.0] I78.1 1A.9.0537 Focus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가 붉은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질환. 성망상모반·거미상혈관종이라고도 한다.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임신중이나 피임약 또는 여성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소아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 증세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모세혈관이 거미의 다리처럼 나타난다. 이 작은 모세혈관의 확장은 단독 또는 몇 개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데 얼굴과 경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상지와 하지에도 생길 수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손등과 얼굴 등에 자주 발생하고 임산부의 경우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에 홍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꼽 상부와 얼굴에 생기는 모반은 간경화증 간의 악성 질환 및 기타 간기능의 이상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는 혈중 에스트로겐도 상승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몇 년 안에 자연적으로 없어지며 임산부의 경우에는 대부분 분만 후에 없어진다. 치료는 튀어나온 병든 혈관에 특수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경화요법이나 전기분해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방법은 고탄력 스타킹과 낮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과체중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며 " 움직임이 없이 오래 서 있지 말아야 한다. 얼굴에 나타나는 거미상모반은 햇볕에 의하여 악화되므로 선크림이나 양산 등으로 차단하도록 한다.[두산백과]""" H01600496 H01600496 Spinal cord 척수 C0037925 [3.0] Location 뇌와 함께 중추신경계를 구성하는 신경세포 집합체. 등뼈라고 부르는 척추의 안쪽. H01602735 H01602735 Spiritual comfort 영적안위 C0150355 [3.0] E13.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sole, restore, or promote spiritual health" H01602748 H01602748 Spiritual distress 영적고뇌 C0150081 [3.0] E14.1 10018583|10001652 1A.01.01.02.01.01.05.15.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DC Anguish related to the spirit or soul 영혼과 관련된 고뇌 H01602751 H01602751 Spiritual distress deteriorated 영적고뇌 악화됨 [3.0] E14.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02763 H01602763 Spiritual distress improved 영적고뇌 개선됨 [3.0] E14.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02776 H01602776 Spiritual distress stabilized 영적고뇌 안정됨 [3.0] E14.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02789 H01602789 Spiritual state alteration 영적상태변화 C2364159 [3.0] E14.0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spirit or soul H01602791 H01602791 Spiritual state alteration deteriorated 영적장애 악화됨 [3.0] E14.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02805 H01602805 Spiritual state alteration improved 영적장애 개선됨 [3.0] E14.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02818 H01602818 Spiritual state alteration stabilized 영적장애 안정됨 [3.0] E14.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03411 H01603411 Spleen 지라 C0037993 [3.0] Location 횡경막과 왼쪽 신장과의 사이에 있는 장기. H01603423 H01603411 Spleen 비장 C0037993 [3.0] Location 횡경막과 왼쪽 신장과의 사이에 있는 장기. H01605021 H01605021 Splint 덧대 C0038009 [3.0] 10018633 2C.01.07.17 Means 고정 기구 H01605034 H01605021 Splint 부목 C0038009 [3.0] 10018633 2C.01.07.17 Means 고정 기구 H01607203 H01066470 Spontaneous abortion 자연유산 C0000786 [3.0] O03 10018646 1A.9.0538 Focus 유산: 명확한 원인과 중재 없이 일어남. H01607244 H01607244 Spontaneous breathing 자발호흡 [3.0] 10018651 Focus 환기 H01608779 H01608779 Spot 점 C1705203 [3.0] Focus "사람의 살갗이나 짐승의 털 따위에 나타난, 다른 색깔의 작은 얼룩.[표준국어대사전]" H01608781 H01608779 Spot 반점 C1705203 [3.0] Focus "사람의 살갗이나 짐승의 털 따위에 나타난, 다른 색깔의 작은 얼룩.[표준국어대사전]" H01609023 H01609036 Sprain 염좌 C0038045 [3.0] 10018698 1A.01.01.01.12.01.02.05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통증과 장애를 야기시키는 관절의 손상, 관절운동 제한 및 관절통증, 압통, 근육 연축, 관절 부종, 색 변 화, 관절 주위 결합조직의 외상과 파열로 인한 기능 장애." H01609036 H01609036 Sprain 삠 C0038045 [3.0] 10018698 1A.01.01.01.12.01.02.05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통증과 장애를 야기시키는 관절의 손상, 관절운동 제한 및 관절통증, 압통, 근육 연축, 관절 부종, 색 변 화, 관절 주위 결합조직의 외상과 파열로 인한 기능 장애." H01610060 H01610085 Spray 분무기 [3.0] 10018701 2C.01.07.31 Means 물질 H01610072 H01610072 Spray 분무 C2003858 [3.0] 10018701 2C.01.07.31 Means 물질 H01610517 H01610520 Sputum 객담 C0038056 [3.0] 10018717 2B.02.01.01.01.01.01.02.02.07 Focus 분비물 H01610520 H01610520 Sputum 가래 C0038056 [3.0] 10018717 2B.02.01.01.01.01.01.02.02.07 Focus 분비물 H01610532 H01610532 Sputum specimen care 가래검사간호 C1171219 [3.0] K32.5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llect and/or examine a sample of sputum H01610599 H01610599 Sputum examination 가래검사 C0430356 [3.0] 2C.9.0147 Focus "호흡기질환에는 진단상 불가결한 검사이다. 검사내용은 외양(外樣)과 색조(色調), 그리고 분비량 등을 관찰하는 것 외에 현미경에 의한 관찰과 미생물학적 검사를 주로 한다. 가령 객담이 붉은 혈성(血性)을 띠면 기도 내에 출혈이 있음을 나타내고, 또 농성(膿性)이면 감염을 나타낸다. 그리고 기관지확장증이나 폐괴저(肺壞疽) 등에서는 객담을 그릇에 담아놓으면 비중의 차로 분리되어 층(層)을 형성한다. 이 밖에도 객담의 성질상 장액성(漿液性) ·점액성(粘液性) ·혼합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현미경검사에서는 에오신 세포(eosin 細胞) ·디스토마란(卵) ·암세포의 검출이 주목적이고, 미생물학적 검사에서는 세균과 진균(眞菌) 등의 분리고정(分離固定)을 하게 된다. 객담의 화학적 성분의 분석검사는 임상검사로는 실시되지 않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10602 H01610599 Sputum examination 객담검사 C0430356 [3.0] 2C.9.0147 Focus "호흡기질환에는 진단상 불가결한 검사이다. 검사내용은 외양(外樣)과 색조(色調), 그리고 분비량 등을 관찰하는 것 외에 현미경에 의한 관찰과 미생물학적 검사를 주로 한다. 가령 객담이 붉은 혈성(血性)을 띠면 기도 내에 출혈이 있음을 나타내고, 또 농성(膿性)이면 감염을 나타낸다. 그리고 기관지확장증이나 폐괴저(肺壞疽) 등에서는 객담을 그릇에 담아놓으면 비중의 차로 분리되어 층(層)을 형성한다. 이 밖에도 객담의 성질상 장액성(漿液性) ·점액성(粘液性) ·혼합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현미경검사에서는 에오신 세포(eosin 細胞) ·디스토마란(卵) ·암세포의 검출이 주목적이고, 미생물학적 검사에서는 세균과 진균(眞菌) 등의 분리고정(分離固定)을 하게 된다. 객담의 화학적 성분의 분석검사는 임상검사로는 실시되지 않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10669 H01610669 Squama 비늘 [3.0] Focus "표피 각층의 상층이 크고 작은 각질편이되어서 탈락한다. 이것을 인설이라고 하며 이 현상을 낙설 desquamation, Abschuppung 이라고 한다. 박탈하는 각질편이 비강과 같이 미세한 상태를 비강양 pityriasiform, 낙엽과 같이 커다란 상태를 낙엽상 exfoliative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1611287 H01611287 Stab 찔림 C0418391 [3.0] 10005462 1A.01.01.01.10.03.06.02.04 Focus 외상성 상처: 피부와 진피의 작은 찢어짐 혹은 베임. H01611290 H01611287 Stab 자상 C0418391 [3.0] 10005462 1A.01.01.01.10.03.06.02.04 Focus 외상성 상처: 피부와 진피의 작은 찢어짐 혹은 베임. H01611541 H01611541 Stability 안정성 C0205360 [3.0] Focus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함. H01611553 H01611553 Stability 안정도 C0205360 [3.0] Focus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함. H01611788 H01611788 Staff 직원 C0851286 [3.0] 2B.9.0086 Focus 병원의 전문직원. H01611861 H01611861 Stage 단계 [3.0] 1A.9.0539 Focus "질병의 경과, 생물의 생활사, 또는 모든 생물학적 과정에 있어서의 어떤 시기 또는 뚜렷한 상(相)." H01614201 H01614201 Starch 녹말 C0038179 [3.0] 1A.9.0540 Focus 다당류로서 아밀로스및 아밀로첵틴형의 포도당의 장쇄(長鎖)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식물에 있어서 에너지 예비(탄수화물)의 주된 저장형이다. H01614214 H01614201 Starch 전분 C0038179 [3.0] 1A.9.0540 Focus 다당류로서 아밀로스및 아밀로첵틴형의 포도당의 장쇄(長鎖)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식물에 있어서 에너지 예비(탄수화물)의 주된 저장형이다. H01614366 H01614366 Starvation 기아 C0038187 [3.0] T73.0 10042083 1A.01.01.01.04.02.03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필수영양소의 섭취부족이나 장기간 음식 섭취 거부 상태, 심한 배고픔, 체중감소, 근육 경련, 뼈 통증, 지방변, 기운없고 피로함." H01614588 H01614588 State 상태 C1442792 [3.0] 10018786 Judgment 특징 H01615359 H01615361 Stature 신장 C0005890 [3.0] 10008912 1A.9.0267.S.001 Focus 신체적 영역 H01615361 H01615361 Stature 키 C0005890 [3.0] 10008912 1A.9.0267.S.002 Focus 신체적 영역 H01615387 H01615387 Status 상태 [3.0] 10018793 Focus "특징: 타인과 비교한 개인의 상황, 개인의 상대적인 위치" H01616006 H01616006 Steatorrhea 지방변증 C0038238 [3.0] Focus 흡수 장애에 의해 지방이 섞여 나온 변. H01616339 H01616339 Stem cell 줄기세포 C0038250 [3.0] Location "적혈구,백혈구,혈소판을 만드는 미분화된 골수 조혈세포의 조상세포. 피를 만드는 어머니세포라는 뜻으로 온 몸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골수에서 대량으로 생산됨." H01618551 H01618551 Sterility 불임 C0021359 [3.0] Focus 不孕 정상적인 부부관계에도 불구하고 1년 이내에 임신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619459 H01619459 Sternum 복장뼈 C0038293 [3.0] Location 흉곽 전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쌍을 이루지 않는 세로로 긴 판상골. H01619461 H01619459 Sternum 흉골 C0038293 [3.0] Location 흉곽 전벽의 중앙부를 형성하는 쌍을 이루지 않는 세로로 긴 판상골. H01620080 H01620064 Stiffness 경직 C0427008 [3.0] R62.8 10018520 1A.01.01.01.12.01.01.04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조절되지 않는 골 근육 수축, 근육 긴장 증가, 근경직, 서투른 동작." H01620369 H01620369 Stigma 낙인 C0277787 [3.0] 10018835|10022782 1A.02.02.04.01.04 Focus|DC "부적절한 신념: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점으로 인한 불명예나 수치심과 연관된 행동; 종종 정신질환, 신체 장애, 종교나 전과력과 관련됨." H01620467 H01620470 Stillbirth 사산 C0595939 [3.0] P95 1A.9.0542 Focus "1) 사아분만(死兒分娩). 2) 태외생활 가능한 시기까지 발달한 아이가 모체에서 완전히 분리된 시점에서 호흡ㆍ심박동ㆍ제대박동(臍帶拍動) 기타 일체의 살아있는 증거를 나타내지 않는 것. 사인으로서는 (1) 태반기능부전으로 인한 무산소증, (2) 선천기형, (3) 감염 등에 의한 것이 많다. 생존가능한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세계적으로 의견의 일치를 보지 않았으나 WHO에서는 1000g이상(임신 28주 이상에 해당한다)이라고 제안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3) 출산 때에 태아가 사망해 있는 경우의 분만(分娩). 태아형성 이전의 유산도 사산의 하나로 볼 수 있지만, 보통 임신 4개월 이후의 사산을 말한다. 사산에는 자연분만에서 태아가 사망해 있는 자연사산과, 인공적으로 분만시켰을 때에 태아가 사망해 있는 인공사산이 있으며, 주요 원인은 태아의 질병이상, 태반이나 탯줄의 이상, 난산, 임신중독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산을, 산부의 사망 후 수시간 또는 수일 후에 사태(死胎)가 만출되는 시체분만의 뜻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사산에 대한 대책으로서는, 산부의 정기적인 검진(임신 전반기에는 적어도 매달 2회, 후반기에는 3회)이 필요하며, 가급적이면 병원에서의 분만이 바람직하다. [두산백과]" H01620787 H01620787 Stimulus 자극 C0234402 [3.0] Focus "생체의 세포, 기관 또는 생체 그 자체에 일정한 반응을 야기시키는 환경조건의 변화를 자극이라 한다. 물리적 자극으로서는 전기적 자극, 기계적 자극, 열적자극, 빛, 소리 등으로 인한 자극이 있고, 화학적 자극으로서는 산, 알칼리,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이 있다. 자극을 주는 방법에 따라 직접ㆍ간접자극의 구별이 있다. 예로서 신경~근표본에서 신경에 가한 자극은 신경에 대하여 직접자극인데 반해 근육이 수축했을 경우 그 자극은 근육에 대해서 간접 자극이다.[간호학대사전]" H01621212 H01621212 Stitch out 봉합사제거 [3.0] 1A.9.0546 Focus "1) 외상에 의한 피부의 열개(裂開), 수술에 의한 피부절개시, 열린 상처가 오염되어 있지 않으면 보통 봉합에 의해서 폐쇄된다. 봉합창은 1차적으로 치유되기 때문에 보통 1주간후에 봉합사를 뽑는다. 이를 발사라고 한다. 열린 상처를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서 창외의 봉합사의 연결구를 잡아당기거나 창내로 매몰해있는 봉합사를 시야로 내어서 거기에서 실을 절단한다. 환자의 영양상태 또는 약제 투여에 의해서 창치유가 지연된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발사시기를 늦추기도 한다. 또한 부위별로 피부장력에 따라 발사시기를 가감하기도 한다.[간호학대사전]" H01621475 H01621475 Stomach 위 C0038351 [3.0] 10018861 1F.17.07 Location 위장관계 구성요소 H01621558 H01621558 Stomach ache 위통 C0221512 [3.0] Focus 胃痛 "여러가지 위질환에서 생기는 위의 통증을 말하고, 통상위염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 가장 많다. 폭음ㆍ포식이 종종 원인이 된다. 위염외에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위무력증, 위하수, 위천공, 이물, 회충 등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통상 위통으로 느끼는 경우, 위에서 시작되는 통증만이 아니고 주위의 장기에 의해서 일어나는 위부, 즉 심와부의 통증인 경우도 많다. 위 이외에서 일어나는 심와부통으로서 많은 것은 담석, 췌염, 심근경색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21811 H01621837 Stomatitis 입안염 C0038362 [3.0] K12.1 Focus "구강점막의 여러가지 염증성 병변이고 원발성인 것과 증후성인 것이 있다. 그 병상에 따라서 카타르성 구내염, 아프타성 구내염, 궤양성 구내염, 괴저성 구내염, 결핵성 및 매독성 구내염, 중도석 구내염 등으로 분류된다. 원인으로는 국소의 불결, 세균감염, 외상, 전신쇠약, 알러지, 중금속에 의한 중독 등이 있다. 괴저성의 경우는 마진이나 장티푸스에 잇따라 발생하고 소아에게는 많이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증상은 병변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서 다양한데 치료는 원인요법과 함께 전신상태의 개선을 도모하고 국소를 안정, 청결하게 해 부신피질호르몬연고 등의 도포를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1621824 H01621837 Stomatitis 구내염 C0038362 [3.0] K12.1 Focus "구강점막의 여러가지 염증성 병변이고 원발성인 것과 증후성인 것이 있다. 그 병상에 따라서 카타르성 구내염, 아프타성 구내염, 궤양성 구내염, 괴저성 구내염, 결핵성 및 매독성 구내염, 중도석 구내염 등으로 분류된다. 원인으로는 국소의 불결, 세균감염, 외상, 전신쇠약, 알러지, 중금속에 의한 중독 등이 있다. 괴저성의 경우는 마진이나 장티푸스에 잇따라 발생하고 소아에게는 많이 죽음에 이르는 경우가 있다. 증상은 병변의 종류와 정도에 따라서 다양한데 치료는 원인요법과 함께 전신상태의 개선을 도모하고 국소를 안정, 청결하게 해 부신피질호르몬연고 등의 도포를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1622471 H01622471 Stool specimen care 대변검사간호 C1171220 [3.0] K32.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llect and/or examine a sample of feces H01622820 H01622820 Strabismus 사시 C0038379 [3.0] Focus "정상적으로 어떤 한 점을 주시할 때, 눈은 그 점을 향하여 같은 방향을 주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이유는 그 점에 대해 양쪽 눈의 망막대응점(corresponding retinal point)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이유로든 망막대응점이 달라지게 되면, 한 점을 주시할 때 한쪽 눈은 한쪽을 바라보는 데 다른 쪽 눈은 그 반대쪽을 바라보게 된다. 이것을 사시라고 하는 데 여기에는 그 방향에 따라 내사시, 외사시, 상사시, 하사시 등이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624012 H01624012 Strength 힘 C0237897 [3.0] Focus 1) 사람이나 동물이 몸에 갖추고 있으면서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물건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 작용. 2) 일이나 활동에 도움이나 의지가 되는 것. 3)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역량. "4) 개인이나 단체를 통제하고 강제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는 세력이나 권력.[표준국어대사전]""" H01624025 H01624012 Strength 강도 C0237897 [3.0] Focus 1) 사람이나 동물이 몸에 갖추고 있으면서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물건을 움직이게 하는 근육 작용. 2) 일이나 활동에 도움이나 의지가 되는 것. 3)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역량. "4) 개인이나 단체를 통제하고 강제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는 세력이나 권력.[표준국어대사전]""" H01628251 H01628251 Stress 스트레스 C0038435 [3.0] 10018888 2B.9.0087 Focus "손상된 상태: 신체적/정신적으로 적절하게 기능하기 어려운 정도의 긴장되고 걱정스러운 느낌, 불편한 느낌, 불쾌한 경험, 통증, 신체적/정신적 피로감, 개인의 신체적/정신적 상태의 교란과 관련됨." H01628280 H01628280 Stress control 스트레스조절 C0150788 [3.0] E1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the body to a stimulus H01628319 H01628319 Stress urinary incontinence 복압성요실금 C0042025 [3.0] T49.3 1A.01.01.01.09.02.01.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Loss of urine occurring with increased abdominal pressure 복압 증가에 따라 발생하는 요의 배설 H01628321 H01628321 Stress urinary incontinence deteriorated 복압성요실금 악화됨 [3.0] T49.3.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28334 H01628334 Stress urinary incontinence improved 복압성요실금 개선됨 [3.0] T49.3.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28347 H01628347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tabilized 복압성요실금 안정됨 [3.0] T49.3.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28822 H01628822 Stress management 스트레스관리 C0150788 [3.0] 10038675 2A.9.0034 Means 기법 H01628933 H01628807 Stress urinary incontinence 스트레스요실금 C0042025 [3.0] 10026869 1A.01.01.01.09.02.01.01 Focus "요실금: 재채기, 웃음과 물건 들어올리기, 껑충 뛰기, 달리기, 운동과 관련된 복압상승으로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적은 양의 소변 손실 혹은 소변의 흘림." H01628946 H01628807 Stress urinary incontinence 복압오줌새기 C0042025 [3.0] 10026869 1A.01.01.01.09.02.01.01 Focus "요실금: 재채기, 웃음과 물건 들어올리기, 껑충 뛰기, 달리기, 운동과 관련된 복압상승으로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적은 양의 소변 손실 혹은 소변의 흘림." H01629967 H01629970 Stridor 협착음 C0038450 [3.0] R06.1 10033334 1A.9.0543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1629970 H01629970 Stridor 그렁거림 C0038450 [3.0] R06.1 10033334 1A.9.0543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1632406 H01632406 Structure 구조 C0678594 [3.0] 10018916 Location 장소 H01633078 H01633078 Stupor 혼미 C0085628 [3.0] R40.1 10018937 1A.01.01.01.13.18.03 Focus 손상된 의식: 통증 반응을 보이는 깊은 수면 상태. H01633122 H01633122 Stuttering 말더듬 C0038506 [3.0] F98.5 10018944 1A.01.01.01.12.04.04 Focus "언어장애: 경련성의 단어 발음, 과도한 주저함을 포함, 같은 음절에 대한 더듬기와 반복을 보이며 발성 기관의 손상, 대뇌 및 신경근육계 손상 또는 정서적 상태와 관련된 지연된 발음." H01634574 H01634574 Subarachnoid space 거미막밑공간 C0038527 [3.0] 10018959 Location 체강 H01635944 H01635944 Subcutaneous emphysema 피부밑 공기증 C0038536 [3.0] 1A.9.0544 Focus "1) 신체의 피하조직에 공기 또는 기체가 존재하는 것. 2) 흉부 또는 경부의 외상, 주로 타박상과 함께 기관, 기관지 및 폐에 손상이 있으면, 공기가 주위의 조직내로 새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 공기가 피하조직내로 나온 상태를 피하기종이라하고,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탱글탱글하게 작은 기포가 움직이는 소리가 손가락에 느껴진다. 이 피하기종이 만져지면 폐, 기관, 기관지 등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36090 H01635944 Subcutaneous emphysema 피하기종 C0038536 [3.0] 1A.9.0544 Focus "1) 신체의 피하조직에 공기 또는 기체가 존재하는 것. 2) 흉부 또는 경부의 외상, 주로 타박상과 함께 기관, 기관지 및 폐에 손상이 있으면, 공기가 주위의 조직내로 새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 공기가 피하조직내로 나온 상태를 피하기종이라하고,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탱글탱글하게 작은 기포가 움직이는 소리가 손가락에 느껴진다. 이 피하기종이 만져지면 폐, 기관, 기관지 등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36103 H01636103 Subcutaneous fat 피부밑지방 C0222331 [3.0] Location 피하조직에 발달한 지방층. 포유류의 체표 바로 밑에 발달한 지방층. H01636116 H01636103 Subcutaneous fat 피하지방 C0222331 [3.0] Location 피하조직에 발달한 지방층. 포유류의 체표 바로 밑에 발달한 지방층. H01636506 H01636519 Subcutaneous tissue 피하조직 C0278403 [3.0] 10018971 1F.18.04.01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H01636519 H01636519 Subcutaneous tissue 피부밑조직 C0278403 [3.0] 10018971 1F.18.04.01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H01636769 H01636769 Subdural 경질막 밑 C0038541 [3.0] Location 뇌의 경막과 지주막하(蜘蛛膜下) 사이. H01639473 H01874395 Submandibular 아래턱 밑 C1550309 [3.0] Location "아래턱밑, 턱밑, 하악하." H01641849 H01641849 Substance abuse 물질 남용 C0740858 [3.0] N58.0 10018992|10022268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Excessive use of harmful bodily materials 몸에 해로운 물질의 과도한 사용 H01641851 H01641851 Substance abuse control 물질남용통제 C1171221 [3.0] N40.0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substances to avoid, detect, or minimize harm" H01641864 H01641864 Substance abuse deteriorated 물질남용 악화됨 [3.0] N58.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1877 H01641877 Substance abuse improved 물질남용 개선됨 [3.0] N58.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1880 H01641880 Substance abuse stabilized 물질남용 안정됨 [3.0] N58.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3989 H01643989 Sucking 빨기 C0233927 [3.0] 10019001 1A.01.01.01.05.01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액체등을 입술근육과 혀를 이용해 입으로 빨아들이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젖으로부터 모유를 빨거나 우유 병 젖꼭지로부터 액체를 빨아들이는 것." H01644078 H01644078 Sucking reflex 빨기반사 C0234174 [3.0] 10019017 2B.02.02.01.11.02 Focus "반사: 엄마 젖을 빨고 영양을 공급받으면서, 접촉을 하면서, 엄마의 신호에 대해 이해하면서, 적절히 유륜 잡기, 올바른 빨기와 혀위치, 한 유방당 최소 5-10분간 소리내어 삼키기, 만족하면 잡은 유륜을 놓는 과정에서 엄마에 대한 영아의 적절한 애착 형성." H01644956 H00128031 Suffocation 질식 C0004044 [3.0] P21.9 10019064 1A.01.01.01.01.04.03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폐로 공기 유입의 방해, 호흡의 중단 및 가사." H01645073 H01645073 Suffocation risk 질식 위험성 C0150082 [3.0] N33.4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inadequate air for breathing H01645086 H01645086 Suffocation risk deteriorated 질식 위험성 악화됨 [3.0] N33.4.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5099 H01645099 Suffocation risk improved 질식 위험성 개선됨 [3.0] N33.4.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5102 H01645102 Suffocation risk stabilized 질식 위험성 안정됨 [3.0] N33.4.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6177 H01646177 Suicide 자살 C0038661 [3.0] 10019072 1A.01.01.02.02.01.01.09.02.03 Focus 자기파괴적 행위: 자기자신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자살행위를 하는 것. H01646180 H01646180 Suicide risk 자살 위험성 C0563664 [3.0] N34.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taking one's life intentionally H01646192 H01646192 Suicide risk deteriorated 자살 위험성 악화됨 [3.0] N34.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6206 H01646206 Suicide risk improved 자살 위험성 개선됨 [3.0] N34.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6219 H01646219 Suicide risk stabilized 자살 위험성 안정됨 [3.0] N34.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48140 H01648140 Sunbathing 일광욕 C0038813 [3.0] Means 日光浴 햇빛을 쬐는 법 H01651913 H01651926 Superior vena cava 상대정맥 C0042459 [3.0] Location "좌우의 완두정맥이 합류한 정맥으로, 머리·얼굴·팔 부위 등 상반신으로 혈액을 모으는 정맥계의 본줄기." H01651926 H01651926 Superior vena cava 위대정맥 C0042459 [3.0] Location "좌우의 완두정맥이 합류한 정맥으로, 머리·얼굴·팔 부위 등 상반신으로 혈액을 모으는 정맥계의 본줄기." H01653511 H01653511 Supply 공급 [3.0] 10019119 2B.9.0088 Focus "환경 과정: 입수가능하고 이용가능한 자원, 그리고 인간의 삶을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기본적 공급품의 유통" H01653705 H01653705 Suppository 좌약 C0038854 [3.0] Means "의약품을 적당한 기제(카카오유, 라우린지,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스테아린산나트륨 또는 그들의 혼합물)와 균등하게 혼합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어 항문, 요도 또는 질 등에 적용하는 고형의 외용제이다 체온에 따라 녹거나 연화하거나 또는 분비액에서 서서히 녹는다. 전신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주로 항문좌약으로서 쓰이며, 수렴, 국소마취, 살균작용 등을 목적으로 한 국소작 용에는 각기 좌제를 사용한다.[간호학대사전]" H01656546 H01656546 Surface 표면 C0205148 [3.0] Location "사물의 겉으로 드러난 면, 겉면." H01656841 H01656841 Surgeon 외과의사 C0582175 [3.0] 10019190 Means 의료인 H01656977 H01656977 Surgical recovery delay 수술회복지연 C0812358 [3.0] N57.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Slow or delayed recovery from a surgical procedure H01656980 H01656980 Surgical recovery delay deteriorated 수술회복지연 악화됨 [3.0] N57.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56992 H01656992 Surgical recovery delay improved 수술회복지연 개선됨 [3.0] N57.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57000 H01657000 Surgical recovery delay stabilized 수술회복지연 안정됨 [3.0] N57.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57415 H01657415 Surgical wound 수술 상처 C0332803 [3.0] 10019265|10023148 1A.01.01.01.10.03.06.01 Focus|DC "상처: 신체의 공간을 열거나 혈청이나, 혈액을 배액하기위해 장기에 날카로운 수술도구로 조직을 절개한 상처, 감염이나 화농의 증후가 없는 깨끗한 상처가 예상됨." H01657541 H01657541 Surveillance 감시 C0733511 [3.0] 10019277 Action "모니터링 활동: 어떤 개인이나 그룹의 철저한 관찰, 계속되는 모니터링." H01657707 H01657707 Susceptibility 감수성 [3.0] 10019296 Focus 상태 H01658201 H01658201 Suture 봉합사 [3.0] 10019323 2C.9.0160 Means 수술기구 H01658214 H01658214 Suture 봉합 C0009068 [3.0] 10019334 2A.03.11 Action 수행 활동: 상처를 꿰매는 것. H01658227 H01658214 Suture 꿰맴 C0009068 [3.0] 10019334 2A.03.11 Action 수행 활동: 상처를 꿰매는 것. H01658271 H01658271 Suture needle 봉합바늘 C0181985 [3.0] 2C.9.0160 Means "수술ㆍ외과적 처치시에 사용한다. 용도에 따라 각종 바늘이 구분되어 사용된다. 종류 : 바늘의 형상=직침(直針), 선곡침(先曲針), 약만침(弱彎針)(1/3원침, 3/8원침), 강만침(强彎針)(l/2원침, 5/8원침)등. 도부(刀部)형상=환침(丸針), 각침(角針). 침공=탄기공(彈機孔), 보통공, 사이즈=전장 8~60mm, 실의 굵기에 맞추어서 바늘의 굵기도 선택된다.[간호학대사전]" H01659596 H01659600 Swallowing 연하 C0011167 [3.0] 10019347 1A.01.01.01.05.04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혀와 근육의 운동으로 인해 액체와 분쇄된 음식의 혼합물이 입으로부터 목과 식도를 통해 위로 가는것. H01659600 H01659600 Swallowing 삼키기 C0011167 [3.0] 10019347 1A.01.01.01.05.04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혀와 근육의 운동으로 인해 액체와 분쇄된 음식의 혼합물이 입으로부터 목과 식도를 통해 위로 가는것. H01659612 H01659612 Swallowing impairment 연하장애 C0392678 [3.0] J24.5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진단(간호진단) Inability to move food from mouth to stomach H01659625 H01659625 Swallowing impairment deteriorated 연하장애 악화됨 [3.0] J24.5.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59638 H01659638 Swallowing impairment improved 연하장애 개선됨 [3.0] J24.5.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59641 H01659641 Swallowing impairment stabilized 연하장애 안정됨 [3.0] J24.5.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59850 H00463417 Sweat 발한 C0700590 [3.0] 10014449 1A.01.01.01.09.03 Focus 신체 구성물질 H01659862 H00463417 Sweat 땀 C0700590 [3.0] 10014449 1A.01.01.01.09.03.S.002 Focus 신체 구성물질 H01660047 H00463417 Sweating 발한 C0038990 [3.0] 10014449 1A.01.01.01.09.03 Focus 신체 구성물질 H01660161 H01660161 Swelling 부기 C0038999 [3.0] Focus 세포의 증식에 기인하지 않은 신체 일부분의 비정상적인 부피의 증가. 곪거나 부스럼 따위가 나서 부어 오른다. 대개 종양이나 염증이 있을 때 나타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660186 H01660161 Swelling 종창 C0038999 [3.0] Focus 세포의 증식에 기인하지 않은 신체 일부분의 비정상적인 부피의 증가. 곪거나 부스럼 따위가 나서 부어 오른다. 대개 종양이나 염증이 있을 때 나타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662425 H01662425 Symptom 증상 C1457887 [3.0] 10019368 1A.9.0548 Focus "현상: 신체의 변화, 신체 감각, 기능 또는 외형적 변화에 대한 주관적 경험." H01663880 H01663906 Syndactyly 가락붙음증 C0039075 [3.0] Q70 1A.9.0549 Focus "1) 손의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으로서, 인접한 손가락 사이가 다소 완전하게 유합되어 물갈퀴모양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유전적인 상태라고 생각되며 발에도 생기는 수가 있다. 손ㆍ발가락끼리 붙은 형의 기형이다. 뼈는 정상이고 연부조직만의 유합증과 뼈도 유합해 있거나 일부 결손하고 있는 것도 있다. 열수(裂手)나 열족(裂足)에는 합지(지)증도 수반하고 있는 것이다. 다지(지)증에 합병하고 있는 것도 많고 이 경우에는 실제보다 수가 적게 보인다. 뼈가 분리하고 있는 것에는 지간 성형술을 행한다. 피부의 결손부에는 식피술(植皮術)을 요한다. 손가락이 가능한한 성장한 뒤에 하는 것이 좋고 3세이후가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1663906 H01663906 Syndactyly 합지증 C0039075 [3.0] Q70 1A.9.0549 Focus "1) 손의 가장 흔한 선천성 기형으로서, 인접한 손가락 사이가 다소 완전하게 유합되어 물갈퀴모양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유전적인 상태라고 생각되며 발에도 생기는 수가 있다. 손ㆍ발가락끼리 붙은 형의 기형이다. 뼈는 정상이고 연부조직만의 유합증과 뼈도 유합해 있거나 일부 결손하고 있는 것도 있다. 열수(裂手)나 열족(裂足)에는 합지(지)증도 수반하고 있는 것이다. 다지(지)증에 합병하고 있는 것도 많고 이 경우에는 실제보다 수가 적게 보인다. 뼈가 분리하고 있는 것에는 지간 성형술을 행한다. 피부의 결손부에는 식피술(植皮術)을 요한다. 손가락이 가능한한 성장한 뒤에 하는 것이 좋고 3세이후가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1667197 H01667197 Syringe 주사기 C0039142 [3.0] 10019399 2C.01.07.26 Means 수송기구 H01667616 H01667616 Syrup 단물약 C0458173 [3.0] Means "약품 용액에 설탕을 넣거나, 설탕물이나 과즙에 생약을 우린 액을 넣어 만든 내복약. 감미제를 섞기도 하는데 비교적 걸쭉한 액체." H01668526 H01668526 Systemic vein 전신정맥 C0447117 [3.0] 10043246 Location H01670568 H01670568 Tablet 알약 C0039225 [3.0] Means "의약품 또는 의약품의 혼합물을 그대로 일정한 형상으로 압축 형성한 것 또는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붕괴제 등을 가해 균등하게 혼합한 혼합물을 일정한 형상으로 압축 형성한 것으로 전자를 압축성제 후자를 습제정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압축정제가 사용된다. 정제에는 내용정(내복정, 비등정, 조제정, 트로치(구중정), 구강정), 바칼정(설하정 등), 외용정(용해정, 질정 등), 주사정(주사정, 펠릿제(식입정) 등) 시약정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70583 H01670583 Taboo 금기 C0039227 [3.0] 10019404 1A.02.02.04.01.05 Focus 신념: 어떤 것의 사용이나 연상 또는 언급의 금지; 종종 특정 음식이나 행동의 기피와 관련됨. H01670694 H01449614 Tachycardia 빈맥 C0039231 [3.0] R00.0 10019415|10027288 1A.9.0552 Focus|DC "부정맥: 빠른 심장박동, 성인에서 분당 100회이상의 비정상적으로 빠른 맥박." H01670708 H01449614 Tachycardia 빠른맥 C0039231 [3.0] R00.0 10019415|10027288 1A.9.0552 Focus|DC "부정맥: 빠른 심장박동, 성인에서 분당 100회이상의 비정상적으로 빠른 맥박." H01670904 H01670904 Tachypnea 빠른호흡 C0231835 [3.0] 1A.9.0553 Focus "1) 과잉으로 급속한 호흡. 빠르고 얕은 호흡이 뚜렷한 호흡성 신경증. 2) 호흡수가 증가하고 동시에 호흡이 얕아진 상태를 빈호흡(과다호흡)이라 부른다. 호흡수가 증가하고 호흡깊이는 늘어난 상태는 과환기라고 부른다. 빈호흡에는 거의 항상 호흡곤란이 동반된다. 울혈성 심부전, 폐렴, 알카리증. 수막염. 발열(특히 소아)등에서 자주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70920 H01670904 Tachypnea 빈호흡 C0231835 [3.0] 1A.9.0553 Focus "1) 과잉으로 급속한 호흡. 빠르고 얕은 호흡이 뚜렷한 호흡성 신경증. 2) 호흡수가 증가하고 동시에 호흡이 얕아진 상태를 빈호흡(과다호흡)이라 부른다. 호흡수가 증가하고 호흡깊이는 늘어난 상태는 과환기라고 부른다. 빈호흡에는 거의 항상 호흡곤란이 동반된다. 울혈성 심부전, 폐렴, 알카리증. 수막염. 발열(특히 소아)등에서 자주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71050 H01671050 Tactile alteration 촉각장애 C0184564 [3.0] Q44.5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diminished ability to feel H01671062 H01671062 Tactile alteration deteriorated 촉각장애 악화됨 [3.0] Q44.5.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71075 H01671075 Tactile alteration improved 촉각장애 개선됨 [3.0] Q44.5.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71088 H01671088 Tactile alteration stabilized 촉각장애 안정됨 [3.0] Q44.5.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72417 H01672420 Talipes valgus 외반족 C0152236 [3.0] Focus "종골(踵骨)이 바깥쪽으로 기울어 외반위를 취하는 발의 구축상태(拘縮狀態)를 말한다. 외반족은 편평족을 수반하기 쉬우므로 외반편평족 pes planovalgus라는 형이 많다. 선천성의 것, 정력학적인 것, 마비성의 것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72420 H01672420 Talipes valgus 가쪽들린휜발증 C0152236 [3.0] Focus "종골(踵骨)이 바깥쪽으로 기울어 외반위를 취하는 발의 구축상태(拘縮狀態)를 말한다. 외반족은 편평족을 수반하기 쉬우므로 외반편평족 pes planovalgus라는 형이 많다. 선천성의 것, 정력학적인 것, 마비성의 것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72432 H01672445 Talipes varus 내반족 C0158722 [3.0] Focus 발바닥이 안쪽을 향한 위치에서 굳어 버린 상태[두산백과] H01672445 H01672445 Talipes varus 안쪽들린휜발증 C0158722 [3.0] Focus 발바닥이 안쪽을 향한 위치에서 굳어 버린 상태[두산백과] H01672670 H01672682 Tampon 탐폰 C0039288 [3.0] 10019443 2C.01.02.03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1672682 H01672682 Tampon 솜방망이 C0039288 [3.0] 10019443 2C.01.02.03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1672974 H01672974 Tangentiality 사고이탈 C0558067 [3.0] 1A.9.0554 Focus "생각하고 궁리하는 것이 어떤 범위에서 벗어나거나 빗나감, 또는 그런 정상적인 범위에서 벗어난 사고." H01673327 H01673327 Taping 테이프요법 C0343138 [3.0] Means ~療法 붕대나 반창고 등을 이용해 손상 부위를 고정시키는 법 H01673342 H01271401 Tapping 천자술 [3.0] 2C.9.0148 Means "내용물을 빼내기 위하여, 속이 빈 바늘을 장기의 벽 안에 찔러 넣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1674433 H01674421 Taste 미각 [3.0] 10019458 1A.01.01.01.13.15 Focus "감각 지각: 미각기관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맛을 느끼는 능력, 음식과 음료의 맛을 느끼는 능력." H01675023 H01675036 Taxon 분류단위 C1515221 [3.0] 1A.9.0556 Focus "관련이 있는 여러 생물을 분류하는 특정의 군(범주),주된 분류군은(상행의 순으로), 종(種), 속(屬), 과(科), 목(目), 강(鋼), 문(門), 계(界)이다." H01675036 H01675036 Taxon 분류군 C1515221 [3.0] 1A.9.0556 Focus "관련이 있는 여러 생물을 분류하는 특정의 군(범주),주된 분류군은(상행의 순으로), 종(種), 속(屬), 과(科), 목(目), 강(鋼), 문(門), 계(界)이다." H01675204 H01675204 Teach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활동활동 교육 C0203978 [3.0] O43.1.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17 H01675217 Teach activity care 활동간호 교육 C0557043 [3.0] A01.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20 H01675220 Teach acute pain control 급성통증조절 교육 C1443470 [3.0] Q47.1.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32 H01675232 Teach adult day center 주간보호센터 교육 C1161271 [3.0] G17.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45 H01675245 Teach alcohol abuse control 알콜남용통제 교육 C1443465 [3.0] N40.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58 H01675258 Teach allergic reaction care 알레르기반응조절 교육 [3.0] I26.0.3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61 H01675261 Teach ambulation therapy 보행요법 교육 C1269742 [3.0] A03.1.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73 H01675273 Teach arterial catheter care 동맥관간호 교육 [3.0] F79.3.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86 H01675286 Teach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사용간호 교육 C1160974 [3.0] A03.2.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299 H01675299 Teach bedbound care 침상간호 교육 C1161215 [3.0] A61.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02 H01675302 Teach behavior care 행동간호 교육 C1275360 [3.0] D10.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15 H01675315 Teach bereavement support 사별지지 교육 C1272483 [3.0] E14.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28 H01675328 Teach bill of rights 환자권리 교육 [3.0] G19.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31 H01675331 Teach bladder care 방광간호 교육 C1161216 [3.0] T58.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43 H01675343 Teach bladder instillation 방광점적 교육 C1161217 [3.0] T58.1.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56 H01675356 Teach bladder ostomy care 방광루간호 교육 [3.0] T83.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69 H01675369 Teach bladder ostomy irrigation 방광루세척 교육 [3.0] T83.1.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71 H01675371 Teach bladder training 방광훈련 교육 C1161218 [3.0] T58.2.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84 H01675384 Teach blood pressure 혈압 교육 C0204939 [3.0] K33.1.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397 H01675397 Teach blood specimen care 혈액검사간호 교육 C1272444 [3.0] K32.1.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01 H01675401 Teach bowel care 장간호 교육 C1160989 [3.0] B06.0.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13 H01675413 Teach bowel ostomy care 장루간호 교육 [3.0] B07.0.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26 H01675426 Teach bowel ostomy irrigation 장루세척 교육 [3.0] B07.1.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39 H01675439 Teach bowel training 배변훈련 교육 C1272473 [3.0] B06.1.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41 H01675441 Teach breastfeeding support 모유수유지지 교육 C1639142 [3.0] J66.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54 H01675454 Teach breathing exercises 호흡운동 교육 C1161220 [3.0] L36.1.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67 H01675467 Teach burn care 화상간호 교육 [3.0] R81.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70 H01675470 Teach cardiac care 심장간호 교육 C1161001 [3.0] C08.0.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82 H01675482 Teach cardiac rehabilitation 심장재활 교육 C1160963 [3.0] C08.1.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495 H01675495 Teach cast care 석고붕대간호 교육 C1160960 [3.0] A02.1.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09 H01675509 Teach cataract care 백내장간호 교육 C1161221 [3.0] Q50.1.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11 H01675511 Teach chemotherapy care 항암요법간호 교육 C1161037 [3.0] H22.0.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24 H01675524 Teach chest physiotherapy 흉부물리요법 교육 C1161121 [3.0] L36.2.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37 H01675537 Teach chronic pain control 만성통증조절 교육 C1443472 [3.0] Q47.2.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40 H01675540 Teach circulatory care 순환계간호 교육 C1443487 [3.0] S70.0.3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52 H01675552 Teach clinical measurements 임상측정 교육 C1444326 [3.0] K31.4.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65 H01675565 Teach comfort care 안위간호 교육 C1161173 [3.0] Q48.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78 H01675578 Teach communication care 의사소통간호 교육 C1444354 [3.0] M38.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81 H01675581 Teach community special services 지역사회서비스프로그램 교육 C1272402 [3.0] G17.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593 H01675593 Teach compliance care 이행증진간호 교육 C1444252 [3.0] G18.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07 H01675607 Teach compliance with diet 식사이행 교육 C1444255 [3.0] G18.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10 H01675610 Teach compliance with fluid volume 수분섭취이행 교육 C1444258 [3.0] G18.2.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22 H01675622 Teach compliance with medical regimen 의사지시이행 교육 C1444261 [3.0] G18.3.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35 H01675635 Teach compliance with medication regimen 투약이행 교육 C1444264 [3.0] G18.4.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48 H01675648 Teach compliance with safety precaution 안전주의이행 교육 [3.0] G18.5.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51 H01675651 Teach compliance with therapeutic regimen 치료지시이행 교육 C1444270 [3.0] G18.6.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63 H01675663 Teach contraception care 피임간호 교육 C1443484 [3.0] U74.3.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76 H01675676 Teach coping support 대처기전지지 교육 C1272479 [3.0] E12.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89 H01675689 Teach counseling service 상담서비스 교육 C1160863 [3.0] E12.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691 H01675691 Teach crisis therapy 위기간호 교육 C1443431 [3.0] E12.3.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05 H01675705 Teach delivery care 분만간호 교육 C1443522 [3.0] U75.3.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18 H01675718 Teach denture care 의치간호 교육 C0554796 [3.0] R53.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21 H01675721 Teach diabetic care 당뇨간호 교육 C1161064 [3.0] I27.0.3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33 H01675733 Teach dialysis care 투석간호 교육 C1161223 [3.0] T59.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46 H01675746 Teach diarrhea care 설사간호 교육 C1443405 [3.0] B06.4.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59 H01675759 Teach disimpaction 매복변제거 교육 C1160992 [3.0] B06.2.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61 H01675761 Teach diversional care 전환간호 교육 [3.0] A77.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74 H01675774 Teach drainage tube care 배액튜브간호 교육 C1161224 [3.0] R55.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87 H01675787 Teach dressing change 드레싱교환 교육 C1161225 [3.0] R55.2.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790 H01675790 Teach drug abuse control 약물남용통제 교육 C1443462 [3.0] N40.3.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03 H01675803 Teach dying/death measures 임종과정지원 교육 C1272486 [3.0] E14.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16 H01675816 Teach ear care 귀간호 교육 C1161226 [3.0] Q49.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29 H01675829 Teach edema control 부종조절 교육 C1161228 [3.0] S69.0.3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31 H01675831 Teach emergency care 응급간호 교육 C1161141 [3.0] N41.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44 H01675844 Teach emotional support 정서적지지 교육 C1161005 [3.0] E13.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57 H01675857 Teach enema 관장 교육 [3.0] B06.3.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60 H01675860 Teach energy conservation 에너지보존 교육 C1533686 [3.0] A01.2.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72 H01675872 Teach enteral feeding 위장관영양 교육 C1443437 [3.0] J29.5.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85 H01675885 Teach enteral tube care 위장관간호 교육 C1272425 [3.0] J28.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898 H01675898 Teach enteral tube insertion 위장관삽입 교육 C1272428 [3.0] J28.1.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01 H01675901 Teach enteral tube irrigation 위장관세척 교육 C1272431 [3.0] J28.2.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14 H01675914 Teach environmental safety 환경안전주의 교육 C1161145 [3.0] N42.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27 H01675927 Teach equipment safety 장비안전주의 교육 C1161148 [3.0] N42.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30 H01675930 Teach eye care 눈간호 교육 C1161229 [3.0] Q50.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42 H01675942 Teach family process analysis 가족과정분석 교육 C1443447 [3.0] M39.3.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55 H01675955 Teach feeding technique 영양공급기법 교육 [3.0] J29.2.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68 H01675968 Teach fertility care 수정간호 교육 C1443478 [3.0] U74.1.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71 H01675971 Teach fluid therapy 수액요법 교육 [3.0] F15.0.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83 H01675983 Teach foot care 발간호 교육 C1161230 [3.0] S56.0.3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5996 H01675996 Teach fracture care 골절간호 교육 C1160966 [3.0] A02.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03 H01676003 Teach funeral arrangements 장례준비 교육 C1161059 [3.0] E14.3.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16 H01676016 Teach gastric care 위간호 교육 C1443407 [3.0] B62.0.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29 H01676029 Teach growth and development care 성장발달간호 교육 C1443499 [3.0] U76.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31 H01676031 Teach health aide service 간호보조서비스 교육 [3.0] G21.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44 H01676044 Teach health history 건강력 교육 C1304885 [3.0] K31.1.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57 H01676057 Teach health promotion 건강증진 교육 C1272438 [3.0] K31.2.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60 H01676060 Teach hearing aid care 보청기간호 교육 C1161234 [3.0] Q49.1.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72 H01676072 Teach hemodialysis care 혈액투석간호 교육 [3.0] T59.1.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85 H01676085 Teach hemodynamic care 혈류역학간호 교육 [3.0] F79.0.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098 H01676098 Teach home situation analysis 가정상태분석 교육 C1161133 [3.0] M39.1.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01 H01676101 Teach hospice 호스피스 교육 [3.0] G17.2.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14 H01676114 Teach hydration control 체액균형조절 교육 C1272395 [3.0] F15.1.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27 H01676127 Teach immobilizer care 부동간호 교육 C1160969 [3.0] A02.2.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30 H01676130 Teach immunologic care 면역학적간호 교육 [3.0] I65.0.3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42 H01676142 Teach incision care 절개부위간호 교육 C1161235 [3.0] R55.3.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55 H01676155 Teach individual safety 개별안전주의 교육 C1161236 [3.0] N42.3.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68 H01676168 Teach infection control 감염통제 교육 C1161237 [3.0] K30.0.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71 H01676171 Teach infertility care 불임간호 교육 C1443481 [3.0] U74.2.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83 H01676183 Teach inhalation therapy 흡입치료 교육 C1161238 [3.0] L36.3.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196 H01676196 Teach injection administration 주사 교육 C1161039 [3.0] H23.0.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00 H01676200 Teach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도구적일상활동활동 교육 C1161239 [3.0] O43.2.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12 H01676212 Teach intake 섭취 교육 [3.0] F15.3.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25 H01676225 Teach interpersonal dynamics analysis 대인관계분석 교육 C1161136 [3.0] M39.2.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38 H01676238 Teach intravenous care 정맥내주입간호 교육 C1161018 [3.0] F79.1.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41 H01676241 Teach labor care 분만간호 교육 C1443525 [3.0] U75.2.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53 H01676253 Teach meals on wheels 식사배달서비스 교육 [3.0] G17.3.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66 H01676266 Teach medical regimen orders 의사지시 교육 C1444285 [3.0] G20.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79 H01676279 Teach medication actions 투약행위 교육 C1160956 [3.0] H24.1.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81 H01676281 Teach medication care 투약간호 교육 C1443530 [3.0] H24.0.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294 H01676294 Teach medication prefill preparation 연속투약준비 교육 C1161048 [3.0] H24.2.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08 H01676308 Teach medication side effects 투약부작용 교육 C1161050 [3.0] H24.3.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11 H01676311 Teach medication treatment 투약치료 교육 C1275526 [3.0] H23.4.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23 H01676323 Teach memory loss care 기억상실간호 교육 C1443427 [3.0] D64.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36 H01676336 Teach mental health history 정신건강력 교육 [3.0] P45.1.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49 H01676349 Teach mental health promotion 정신건강증진 교육 C1444366 [3.0] P45.2.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51 H01676351 Teach mental health screening 정신건강선별검사 교육 C1444369 [3.0] P45.3.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64 H01676364 Teach mental health treatment 정신건강치료 교육 C1444372 [3.0] P45.4.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77 H01676377 Teach mental healthcare 정신건강간호 교육 [3.0] P45.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80 H01676380 Teach mobility therapy 이동요법 교육 C0886112 [3.0] A03.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392 H01676392 Teach mouth care 구강간호 교육 C1161245 [3.0] R53.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06 H01676406 Teach musculoskeletal care 재활간호 교육 C1443401 [3.0] A05.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19 H01676419 Teach nausea care 오심간호 교육 C1443410 [3.0] B62.1.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21 H01676421 Teach neurological system care 신경계간호 교육 [3.0] D78.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34 H01676434 Teach nurse specialist service 전문간호서비스 교육 C1444294 [3.0] G21.3.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47 H01676447 Teach nursing care coordination 치료조정간호활동 교육 [3.0] G19.2.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50 H01676450 Teach nursing contact 간호사접촉 교육 C1444273 [3.0] G19.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62 H01676462 Teach nursing status report 간호상태보고 교육 C1444279 [3.0] G19.3.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75 H01676475 Teach nutrition care 영양간호 교육 C1444312 [3.0] J29.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88 H01676488 Teach occupational therapist service 직업치료서비스 교육 C1444297 [3.0] G21.4.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491 H01676491 Teach output 배설 교육 [3.0] F15.4.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04 H01676504 Teach oxygen therapy care 산소요법 교육 C1444342 [3.0] L35.0.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17 H01676517 Teach pacemaker care 심박조율기간호 교육 C1444240 [3.0] C09.0.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20 H01676520 Teach pain control 통증조절 교육 C1444378 [3.0] Q47.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32 H01676532 Teach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영양 교육 C1443440 [3.0] J29.6.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45 H01676545 Teach perinatal care 주산기간호 교육 C1443517 [3.0] U75.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58 H01676558 Teach perineal care 회음부간호 교육 C1161246 [3.0] S57.0.3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61 H01676561 Teach perioperative injury care 수술주기손상간호 교육 [3.0] N80.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73 H01676573 Teach peritoneal dialysis care 복막투석간호 교육 [3.0] T59.2.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86 H01676586 Teach personal care 개인간호 교육 C1444357 [3.0] O43.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599 H01676599 Teach physical examination 신체검진 교육 C1444323 [3.0] K31.3.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02 H01676602 Teach physical healthcare 신체건강간호 교육 [3.0] K31.0.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15 H01676615 Teach physical therapist service 물리치료서비스 교육 C1444300 [3.0] G21.5.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28 H01676628 Teach physician contact 의사접촉 교육 C1444282 [3.0] G20.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31 H01676631 Teach physician status report 의사의환자상태보고 교육 C1444288 [3.0] G20.2.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43 H01676643 Teach positioning therapy 체위간호 교육 C1444360 [3.0] A61.1.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56 H01676656 Teach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 교육 C1304805 [3.0] U75.4.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69 H01676669 Teach pregnancy care 임신간호 교육 [3.0] U75.1.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71 H01676671 Teach pressure ulcer care 욕창간호 교육 C1272380 [3.0] R51.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84 H01676684 Teach pressure ulcer stage 1 care 욕창간호1단계 교육 C1161249 [3.0] R51.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697 H01676697 Teach pressure ulcer stage 2 care 욕창간호2단계 교육 C1161250 [3.0] R51.2.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01 H01676701 Teach pressure ulcer stage 3 care 욕창간호3단계 교육 C1161251 [3.0] R51.3.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13 H01676713 Teach pressure ulcer stage 4 care 욕창간호4단계 교육 C1161252 [3.0] R51.4.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26 H01676726 Teach professional/ancillary service 전문/보조서비스 교육 [3.0] G21.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39 H01676739 Teach psychosocial care 심리사회적간호 교육 C1161253 [3.0] M39.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41 H01676741 Teach pulmonary care 호흡기계간호 교육 C1444345 [3.0] L36.0.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54 H01676754 Teach pulse 맥박 교육 C1444335 [3.0] K33.3.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67 H01676767 Teach radiation therapy care 방사선치료간호 교육 C1444309 [3.0] H25.0.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70 H01676770 Teach range of motion 근관절범위운동 교육 C1444229 [3.0] A05.1.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82 H01676782 Teach reality orientation 현실감지남력 교육 C1444242 [3.0] D11.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795 H01676795 Teach regular diet 보통식사 교육 C1637295 [3.0] J29.3.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09 H01676809 Teach rehabilitation exercise 재활운동 교육 C1444232 [3.0] A05.2.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11 H01676811 Teach renal care 신장간호 교육 C1443496 [3.0] T73.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24 H01676824 Teach reproductive care 재생산간호 교육 C1443475 [3.0] U74.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37 H01676837 Teach respiration 호흡 교육 C1444337 [3.0] K33.4.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40 H01676840 Teach respiratory therapist service 호흡치료서비스 교육 [3.0] G21.7.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52 H01676852 Teach safety precautions 안전주의 교육 C1161143 [3.0] N42.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65 H01676865 Teach sexual behavior analysis 성행위분석 교육 C1443450 [3.0] M39.4.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78 H01676878 Teach skin breakdown control 피부손상조절 교육 C1444386 [3.0] R54.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81 H01676881 Teach skin care 피부간호 교육 C1444384 [3.0] R54.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893 H01676893 Teach sleep pattern control 수면양상조절 교육 C1444223 [3.0] A04.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07 H01676907 Teach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망분석 교육 C1443454 [3.0] M39.5.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10 H01676910 Teach social worker service 사회복지서비스 교육 [3.0] G21.2.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22 H01676922 Teach special diet 치료식 교육 C1444317 [3.0] J29.4.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35 H01676935 Teach specimen care 검체간호 교육 C1272441 [3.0] K32.0.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48 H01676948 Teach speech therapist service 언어치료서비스 교육 C1444303 [3.0] G21.6.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51 H01676951 Teach spiritual comfort 영적안위 교육 C1444247 [3.0] E13.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63 H01676963 Teach sputum specimen care 가래검사간호 교육 C1443443 [3.0] K32.5.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76 H01676976 Teach stool specimen care 대변검사간호 교육 C1272447 [3.0] K32.2.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89 H01676989 Teach stress control 스트레스조절 교육 C1444245 [3.0] E12.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6991 H01676991 Teach substance abuse control 물질남용통제 교육 C1443456 [3.0] N40.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09 H01677009 Teach temperature 체온 교육 C1444332 [3.0] K32.2.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11 H01677011 Teach terminal care 임종간호 교육 C1161008 [3.0] E14.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24 H01677024 Teach tobacco abuse control 담배남용통제 교육 C1443459 [3.0] N40.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37 H01677037 Teach tracheostomy care 기관절개술간호 교육 C1444351 [3.0] L37.0.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40 H01677040 Teach transfer care 이동간호 교육 C1444220 [3.0] A03.3.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52 H01677052 Teach universal precautions 일반적주의 교육 C1444320 [3.0] K30.1.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65 H01677065 Teach urinary catheter care 도뇨관간호 교육 C1444391 [3.0] T60.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78 H01677078 Teach urinary catheter insertion 도뇨관삽입 교육 C1444394 [3.0] T60.1.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81 H01677081 Teach urinary catheter irrigation 도뇨관세척 교육 C1444397 [3.0] T60.2.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093 H01677093 Teach urinary incontinence care 요실금간호 교육 C1443493 [3.0] T72.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07 H01677107 Teach urine specimen care 소변검사간호 교육 C1272450 [3.0] K32.3.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10 H01677110 Teach vascular system care 혈관계간호 교육 [3.0] S82.0.3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22 H01677122 Teach venous catheter care 정맥관간호 교육 C1444250 [3.0] F79.2.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35 H01677135 Teach ventilator care 인공호흡기간호 교육 C1444348 [3.0] L36.4.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48 H01677148 Teach violence control 폭력조절 교육 C1444375 [3.0] N68.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51 H01677151 Teach vision care 시력간호 교육 C1443418 [3.0] Q50.2.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63 H01677163 Teach vital signs 활력징후 교육 C1444329 [3.0] K33.0.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76 H01677176 Teach wandering control 배회간호 교육 C1443425 [3.0] D63.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89 H01677189 Teach wax removal 귀이지제거 교육 C1444381 [3.0] Q49.2.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191 H01677191 Teach weight control 체중조절 교육 C1444340 [3.0] J67.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205 H01677205 Teach wound care 상처간호 교육 C0204957 [3.0] R55.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수행(간호활동) H01677261 H00920847 Tear 째짐 C0043246 [3.0] T14.1 1A.01.01.01.10.03.06.02.03 Focus "외상성 상처: 심한, 간혹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조직 손상과 쇼크의 위험을 동반한 혈액과 장액의 손실을 보이는 찢어지고 불규칙한 상처." H01677468 H01677468 Tears 눈물 C0039409 [3.0] Focus "눈, 코, 귀, 혀, 피부를 통해 인지되는 감각." H01677538 H01677538 Technique 기술 C0449851 [3.0] 10019525 2C.02.06 Means 치료함 H01677541 H01677538 Technique 기법 C0449851 [3.0] 10019525 2B.9.0093 Means 치료함 H01677873 H00448325 Teething 생치 C0011443 [3.0] 10005745 1A.9.0138 Focus 신체 과정 H01679652 H01679652 Temperature 체온 C0039476 [3.0] K32.2 10019556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measure body temperature H01680338 H01680338 Temporal lobe 측두엽 C0039485 [3.0] Location "외측구(外側溝)의 복측(腹側)에 있는 대뇌엽(大腦葉)을 말한다. 외측면에는 외측구에 평행하여 뻗는 상측두구(上側頭溝)가 있다. 저면으로 옮기면 하측두구가 있고 이 홈(溝)까지의 사이에 상. 중. 하측두회(下側頭回)가 구별된다. 중측두회에는 불안정한 중측두구(中側頭溝)가 있다. 상측두회의 배측면에서 외측구벽에 파묻친 횡측두회가 있고, 여기에 청각영역이 있다. 그외의 영역(域)은 저면의 뇌회(腦回)도 포함하여 측두연합야(側頭連合野)로 된다. 측두엽의 저면에는 후두측두구(後頭側頭溝)가 있고, 다음의 측부구(側副溝)와의 사이에 외측후두측두회를 둘러싸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680981 H01680993 Temporomandibular joint 악관절 C0039493 [3.0] Location 하악골을 두개골에 연결시키는 관절로 이것에 의해 하악이 상악에 대하여 여러 가지 운동을 할 수 있게 됨. H01680993 H01680993 Temporomandibular joint 턱관절 C0039493 [3.0] Location 하악골을 두개골에 연결시키는 관절로 이것에 의해 하악이 상악에 대하여 여러 가지 운동을 할 수 있게 됨. H01681248 H01681248 Tendency 경향 [3.0] 10019560 Focus 상태 H01681333 H01681333 Tenderness 누름통증 C0234233 [3.0] 1A.9.0557 Focus 1) 접촉 혹은 가압에 대한 비정상적 과민성. 2)압박하면 그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것. 장애에 의해 과민해진 신경간을 압박하면 통증을 느끼거나 내장질환인 경우에 신체의 어느 부위를 압박하면 통증을 느끼거나 하는 것이 그것이다. [간호학대사전] H01681346 H01681333 Tenderness 압통 C0234233 [3.0] 1A.9.0557 Focus 1) 접촉 혹은 가압에 대한 비정상적 과민성. 2)압박하면 그 부위에 통증을 느끼는 것. 장애에 의해 과민해진 신경간을 압박하면 통증을 느끼거나 내장질환인 경우에 신체의 어느 부위를 압박하면 통증을 느끼거나 하는 것이 그것이다. [간호학대사전] H01682269 H01682269 Tenesmus 뒤무직 C0232726 [3.0] 1A.9.0558 Focus "1) 배뇨, 배변의 경우에 시원하게 되지도 않고 뒤무직하여 계속 동통이 지속되는 상태. " "2) 정상상태에서 직장은 보통 공허하고 변괴가 직장으로 보내지면 직장벽을 신전해 내압이 높아지고 변의를 일으켜 반사적으로 직장연동이 일어나 내외항문의 괄약근이 이완해서 배변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직장에 염증이 있으면 직장벽이 신전되지 않아도 배변 반사가 빈발해 변의를 일으키고 배변의 내용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몇번이고 화장실에 가게된다. 이것을 이급후증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1684146 H00771999 Terminal care 임종간호 C0039548 [3.0] E14.0 1A.9.0286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in the period surrounding death 죽음의 전후에 수행되는 활동 H01685433 H01685433 Testis 고환 C0039597 [3.0] 10019600 1F.18.01 Location 남성 생식기계 H01686188 H01686191 Tetanus 파상풍 C0039614 [3.0] A35 Focus 破傷風 "파상풍균이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 상처를 통하여 감염하며, 몸속에서 증식한 파상풍균의 독소가 중추 신경, 특히 척수를 침범함으로써 일어난다. 입이 굳어져서 벌리기 어렵게 되고, 이어서 온몸에 경직성 경련을 일으킨다. 사망률이 높으며, 예방 접종이 유효하다" H01686273 H01686286 Tetany 칼슘경직 C0039621 [3.0] R29.0 Focus "1) 주로 사지말초근의 만축, 후두경련, 경련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발작중 특유한 「조산부의 손 obstetrician’s hand」를 나타낸다. 비타민D 결핍증, 부갑상샘기능저하(특히 갑상술후에 많다), 소장흡수부전 등에 의한 혈중칼슘저하시, 또는 과호흡증후군, 구토의 반복, 알도스테로니즘 등 알칼리증으로 기울어서 혈중의 유리칼슘이 감소하였을 때 발생한다. 근전도(筋電圖)에서는, 안정시 2-수발의 단일활동전위의 반복발사가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2) 저칼슘혈증(hypocalcemia)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신경근육의 흥분도가 증가된 상태이다. 원인은 부갑상샘 저하증 인(phosphate)의 과다한 섭취: 저마그네슘혈증 등이다. 사지의 근육에 긴장연축(tonic spasm)이 와서 팔목과 엄지손가락을 안으로 구부리고 손가락은 움츠려든다. 발은 선천성 곤봉발에서와 같이 펴지고 " 발바닥은 컵모양을 하고 발가락은 구부린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686286 H01686286 Tetany 테타니 C0039621 [3.0] R29.0 Focus "1) 주로 사지말초근의 만축, 후두경련, 경련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발작중 특유한 「조산부의 손 obstetrician’s hand」를 나타낸다. 비타민D 결핍증, 부갑상샘기능저하(특히 갑상술후에 많다), 소장흡수부전 등에 의한 혈중칼슘저하시, 또는 과호흡증후군, 구토의 반복, 알도스테로니즘 등 알칼리증으로 기울어서 혈중의 유리칼슘이 감소하였을 때 발생한다. 근전도(筋電圖)에서는, 안정시 2-수발의 단일활동전위의 반복발사가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2) 저칼슘혈증(hypocalcemia)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신경근육의 흥분도가 증가된 상태이다. 원인은 부갑상샘 저하증 인(phosphate)의 과다한 섭취: 저마그네슘혈증 등이다. 사지의 근육에 긴장연축(tonic spasm)이 와서 팔목과 엄지손가락을 안으로 구부리고 손가락은 움츠려든다. 발은 선천성 곤봉발에서와 같이 펴지고 " 발바닥은 컵모양을 하고 발가락은 구부린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689730 H01689730 Therapy 요법 [3.0] 10019628 2C.02.05 Means 활동의 집합 H01689742 H01689742 Therapy 치료 [3.0] 10019628 2C.02.05 Means 활동의 집합 H01690722 H01690710 Thermoregulation 체온조절 C0005905 [3.0] 10019644 1A.01.01.01.03.01 Focus "조절계 과정: 시상하부, 피부와 체온에 의해 활성화된 생리적 기전을 통한 열생산과 열손실의 조절." H01690735 H01690735 Thermoregulation impairment 체온조절장애 C2364040 [3.0] K25.4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진단(간호진단) Fluctuation of temperature between hypothermia and hyperthermia H01690748 H01690748 Thermoregulation impairment deteriorated 체온조절장애 악화됨 [3.0] K25.4.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90751 H01690751 Thermoregulation impairment improved 체온조절장애 개선됨 [3.0] K25.4.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90763 H01690763 Thermoregulation impairment stabilized 체온조절장애 안정됨 [3.0] K25.4.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91394 H01691394 Thigh 넓적다리 C0039866 [3.0] 10019659 1F.18.02 Location 신체 부분 H01691731 H01691731 Thinking 사고 C0039869 [3.0] 10019663 Focus "활동: 생각을 분류, 정리하고 구분하는 과정, 논리적으로 생각하고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것; 지시된 목표, 개념 형성의 사용과 정신상태의 변화와 관련됨." H01692999 H01692999 Thirst 갈증 C0039971 [3.0] 10019671|10037847 1A.01.01.01.13.02 Focus|DC "지각: 입이나 목, 건조한 점막에서 물이나 다른 음료에 대해 갈구하는 느낌." H01693535 H01693548 Thoracic cavity 흉강 C0230139 [3.0] 10019685 Location 체강 H01694083 H01694096 Thoracic vertebra 흉추 C0039987 [3.0] Location 척추의 한부분. 경추와 요추 사이에 있어 몸의 기둥을 이루고 있음. 가슴등뼈. H01694096 H01694096 Thoracic vertebra 등뼈 C0039987 [3.0] Location 척추의 한부분. 경추와 요추 사이에 있어 몸의 기둥을 이루고 있음. 가슴등뼈. H01695203 H01695203 Thorax 가슴 C0817096 [3.0] 10019692 1F.18.03 Location 신체 부분 H01695216 H01695203 Thorax 흉부 C0817096 [3.0] 10019692 1F.18.03 Location 신체 부분 H01695298 H01695298 Thought process alteration 사고과정장애 C0150084 [3.0] D09.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ought and cognitive processes H01695301 H01695301 Thought process alteration deteriorated 사고과정장애 악화됨 [3.0] D09.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95314 H01695314 Thought process alteration improved 사고과정장애 개선됨 [3.0] D09.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95327 H01695327 Thought process alteration stabilized 사고과정장애 안정됨 [3.0] D09.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696141 H01696141 Thrill 떨림 C2678517 [3.0] 1A.9.0566 Focus 부전상태에 있는 심판막(心瓣膜)과 같이 신체부의 촉진에 있어서 시험자에게 감지되는 진동감각. H01696170 H01696170 Throat 목구멍 C3665375 [3.0] Location "구강의 맨 안쪽의 식도와 기도로 통하는 곳으로 인후, 후문이라고도 하는데 호흡기능, 연하시의 방어기능, 발성기능을 담당." H01696182 H01696182 Throat 인두 [3.0] Location "구강, 비공 및 식도 사이에 있는 근막으로 된 주머니 모양의 부분으로, 아래쪽은 식도로 이어지고 위쪽은 후두, 구강, 비강 및 이관으로 이어져 있다. 연구개 윗부분은 비인두라고 하고 이관과 통하여 있으며, 아래쪽은 구인두와 하인두의 두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구인두는 연구개와 후두개 사이에 있고, 하인두는 후두개 상연으로부터 아래쪽에 있으며 후두 및 식두와 통하여 있다." H01698963 H01698963 Thrombosis 혈전증 C0040053 [3.0] 1A.9.0567 Focus "1) 혈전의 생성, 진전 또는 존재." 2) 생체의 혈관내에서 혈액이 응고해서 생긴 덩어리 즉 혈전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혈전이 생겨서 혈관내가 폐색되면 관류역(灌流域)에 해당하는 장기는 허혈성 변화나 경색(괴사)에 빠져 기능장애를 일으키거나 순환장애 때문에 국소외부종이나 울혈증상을 일으킨다. 혈전을 일으키기 쉬운 병변으로는 혈관염 " 동맥경화 등이 있는데 후자가 보다 중요하다. 또한 혈전이 생긴 부위의 혈관을 폐색하는 것이 아니고 유리되어서 혈류에 의해 운반 되어 다른 부위의 혈관을 폐색하는 것은 색전증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1699442 H01699442 Thrombus 혈전 C0087086 [3.0] Focus 혈소판과 세포성분을 둘러싼 섬유소로 구성된 혈액성분의 응집. H01699471 H00239457 Thrush 아구창 C0006849 [3.0] B37.0 10019713 1A.01.01.01.10.02.02 Focus "감염: 진균 감염과 관련되어 하얗게 덮이는 것, 흰색 점 또는 얕은 궤양." H01699483 H00239457 Thrush 구강칸디다증 C0006849 [3.0] B37.0 10019713 1A.01.01.01.10.02.02 Focus "감염: 진균 감염과 관련되어 하얗게 덮이는 것, 흰색 점 또는 얕은 궤양." H01699541 H01365898 Thumb 엄지손가락 C0040067 [3.0] Location "손의 제1지. 두개의 지골(指骨)만을 가지고 있고, 다른 네개의 손가락과 같이 늘어서 있다." H01699553 H01365898 Thumb 엄지 C0040067 [3.0] Location "손의 제1지. 두개의 지골(指骨)만을 가지고 있고, 다른 네개의 손가락과 같이 늘어서 있다." H01701367 H01701354 Thyroid gland 갑상샘 C0040132 [3.0] Location 갑상연골의 아래쪽 기도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함. H01701370 H01701354 Thyroid gland 갑상선 C0040132 [3.0] Location 갑상연골의 아래쪽 기도의 주위를 감싸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함. H01703831 H01703828 Tibia 경골 C0040184 [3.0] Location 脛骨 정강이를 이루는 뼈 H01704446 H01704459 Tibial artery 경골동맥 C0085427 [3.0] Location 무릎 아랫쪽의 2개의 뼈 중 안쪽 뼈 부위를 지나는 동맥. H01704459 H01704459 Tibial artery 정강동맥 C0085427 [3.0] Location 무릎 아랫쪽의 2개의 뼈 중 안쪽 뼈 부위를 지나는 동맥. H01704864 H01704880 Tic 틱 C0040188 [3.0] F95.9 Focus "안면, 경부, 어깨 및 사지 등의 일군의 근육에 생긴 부수의적인 이상운동의 하나로, 비교적 급격하며 율동적으로 반복되는 근의 수축에 의한 것을 말한다. 심인성의 것과 기질인성의 것(기저핵병변 등의 추체외로장해)으로 구별된다. 또 틱의 분포나 성상으로부터 안면틱, 안검틱이라든가 호흡성틸, 발성틱 등 여러가지의 이름이 있고, 학동기(學童氣)에 다발한다.[간호학대사전]" H01705328 H01705328 Tidal volume 일회호흡량 C0040210 [3.0] 1A.9.0569 Focus "1) 1회의 호흡에 의하여 흡입, 호출되는 가스량. 2) 1회호흡시 출입하는 공기의 양. 폐에서의 산소섭취량은 이산화탄소배출량보다 약간(약15%) 많으므로 흡기량쪽이 호기량보다도 약 5% 많은데, 대개의 경우 이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정상적인 성인남자의 안정시 1회 호기량은 400㎖정도이다. 운동시나 이산화탄소를 흡입했을 때, 호흡수가 느는 것과 동시에 1회 환기량도 늘어난다.[간호학대사전]" H01705648 H01705648 Time 시간 C0040223 [3.0] Time 어떤 행동을 할 틈. 어떤 일을 하기로 정하여진 동안. [표준국어대사전] H01706599 H01706599 Tingling 저림 C2242996 [3.0] 1A.9.0571.S.002 Focus "1) 한랭 또는 신경에 대한 충격에 의하거나, 또는 중추 말초신경계의 여러 가지 질병의 결과로서 생긴 얼얼한 감각.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얼얼하거나 저린 느낌을 일컫는 용어로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가능하지만 주로 손발이나 팔다리에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외상이나 추간판 탈출증(소위 디스크라 일컬음) 등 각종 원인에 의한 신경 손상이 대표적이며 장시간 같은 자세로 서있거나 기타 요인에 의한 혈액 순환 불량에 의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중추신경계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과호흡 등 어떤 원인에 의한 칼슘 칼륨 나트륨 비타민 B12 등 영양소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복용하고 있는 각종 약이나 민간 약제 독성물질(납 알코올 담배)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3) 찌르는 것 같은 아픔.[표준국어대사전]""" H01706701 H01706701 Tinnitus 이명 C0040264 [3.0] H93.1 Focus 윙윙거리며 귓속에서 나는 잡음. 이와 같은 소리는 때로는 환자보다도 타인에 의해서 들리는 경우도 있다. 청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706713 H01706701 Tinnitus 귀울림 C0040264 [3.0] H93.1 Focus 윙윙거리며 귓속에서 나는 잡음. 이와 같은 소리는 때로는 환자보다도 타인에 의해서 들리는 경우도 있다. 청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706811 H01706811 Tip 끝 C3282898 [3.0] Location 사물의 마지막 한계가 되는 곳. 말단. H01706910 H01706910 Tissue perfusion alteration 조직관류장애 C1328773 [3.0] S48.0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the oxygenation of tissues H01706922 H01706922 Tissue perfusion alteration deteriorated 조직관류장애 악화됨 [3.0] S48.0.3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6935 H01706935 Tissue perfusion alteration improved 조직관류장애 개선됨 [3.0] S48.0.1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6948 H01706948 Tissue perfusion alteration stabilized 조직관류장애 안정됨 [3.0] S48.0.2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7110 H01707110 Tissue perfusion component 조직관류요소 C0184509 [3.0] S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oxygenation of tissues, including the circulatory and vascular systems." H01707483 H01707483 To deteriorat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일상활동장애 악화 [3.0] O38.1.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496 H01707496 To deteriorate activity alteration 활동장애 악화 [3.0] A01.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00 H01707500 To deteriorate activity intolerance 활동지속성장애 악화 [3.0] A01.1.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12 H01707512 To deteriorate activity intolerance risk 활동지속성장애 위험성 악화 [3.0] A01.2.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25 H01707525 To deteriorate acute pain 급성통증 악화 [3.0] Q63.1.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38 H01707538 To deteriorate adjustment impairment 적응장애 악화 [3.0] E12.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41 H01707541 To deteriorate airway clearance impairment 비효율적 기도청결 악화 [3.0] L26.1.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53 H01707553 To deteriorate alchohol abuse 알코올남용 악화 [3.0] N58.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66 H01707566 To deteriorate anticipatory grieving 예기비통 악화 [3.0] E53.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79 H01707579 To deteriorate anxiety 불안 악화 [3.0] P40.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81 H01707581 To deteriorate aspiration risk 기도흡인 위험성 악화 [3.0] N33.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594 H01707594 To deteriorate auditory alteration 청각장애 악화 [3.0] Q44.1.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08 H01707608 To deteriorate autonomic dysreflexia 자율반사장애 악화 [3.0] K25.1.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11 H01707611 To deteriorate bathing/hygiene deficit 목욕/개인위생결핍 악화 [3.0] O35.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23 H01707623 To deteriorate bleeding risk 출혈 위험성 악화 [3.0] C06.2.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36 H01707636 To deteriorate blood pressure alteration 혈압변화 악화 [3.0] C06.1.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49 H01707649 To deteriorate body image disturbance 신체상장애 악화 [3.0] P43.1.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51 H01707651 To deteriorate body nutrition deficit 영양결핍 악화 [3.0] J24.1.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64 H01707664 To deteriorate body nutrition deficit risk 영양결핍 위험성 악화 [3.0] J24.2.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77 H01707677 To deteriorate body nutrition excess 영양과다 악화 [3.0] J24.3.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80 H01707680 To deteriorate body nutrition excess risk 영양과다 위험성 악화 [3.0] J24.4.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692 H01707692 To deteriorate bowel elimination alteration 배변장애 악화 [3.0] B03.0.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06 H01707706 To deteriorate bowel incontinence 변실금 악화 [3.0] B03.1.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19 H01707719 To deteriorate breast feeding impairment 모유수유장애 악화 [3.0] J55.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21 H01707721 To deteriorate breathing pattern impairment 비효율적 호흡양상 악화 [3.0] L26.2.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34 H01707734 To deteriorate cardiac output alteration 심박출량장애 악화 [3.0] C05.0.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47 H01707747 To deteriorate cardiovascular alteration 심장혈관장애 악화 [3.0] C06.0.3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50 H01707750 To deteriorate caregiver role strain 돌봄제공자역할갈등 악화 [3.0] M27.4.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62 H01707762 To deteriorate cerebral alteration 대뇌장애 악화 [3.0] D07.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75 H01707775 To deteriorate chronic low self-esteem disturbance 만성자존감저하 악화 [3.0] P43.3.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88 H01707788 To deteriorate chronic pain 만성통증 악화 [3.0] Q63.2.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791 H01707791 To deteriorate comfort alteration 안위장애 악화 [3.0] Q45.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04 H01707804 To deteriorate communication impairment 의사소통장애 악화 [3.0] M28.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17 H01707817 To deteriorate community coping impairment 지역사회대처장애 악화 [3.0] E52.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20 H01707820 To deteriorate confusion 혼돈 악화 [3.0] D07.1.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32 H01707832 To deteriorate constipation 변비 악화 [3.0] B03.6.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45 H01707845 To deteriorate contraception risk 피임 위험성 악화 [3.0] U59.3.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58 H01707858 To deteriorate decisional conflict 의사결정갈등 악화 [3.0] E12.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61 H01707861 To deteriorate defensive coping 방어적대처 악화 [3.0] E12.3.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73 H01707873 To deteriorate delivery risk 분만 위험성 악화 [3.0] U60.3.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86 H01707886 To deteriorate denial 부정 악화 [3.0] E12.4.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899 H01707899 To deteriorate diarrhea 설사 악화 [3.0] B03.3.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02 H01707902 To deteriorate disabled family coping 가족대처불능 악화 [3.0] E11.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15 H01707915 To deteriorate disuse syndrome 비사용증후군 악화 [3.0] N33.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28 H01707928 To deteriorate diversional activity deficit 여가활동부족 악화 [3.0] A01.3.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31 H01707931 To deteriorate dressing/grooming deficit 몸단장결핍 악화 [3.0] O36.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43 H01707943 To deteriorate drug abuse 약물남용 악화 [3.0] N58.3.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56 H01707956 To deteriorate dying process 임종과정 악화 [3.0] E10.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69 H01707969 To deteriorate dysfunctional grieving 비정상적비통 악화 [3.0] E53.2.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71 H01707971 To deteriorate electrolyte imbalance 전해질불균형 악화 [3.0] F62.0.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84 H01707984 To deteriorate endocrine alteration 내분비장애 악화 [3.0] I22.0.3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7997 H01707997 To deteriorate failure to thrive 성장지연 악화 [3.0] G17.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04 H01708004 To deteriorate fall risk 낙상 위험성 악화 [3.0] N33.6.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17 H01708017 To deteriorate family process alteration 가족과정장애 악화 [3.0] M29.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20 H01708020 To deteriorate famliy coping impairment 가족대처장애 악화 [3.0] E11.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32 H01708032 To deteriorate fatigue 피로 악화 [3.0] A01.4.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45 H01708045 To deteriorate fear 두려움 악화 [3.0] P41.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58 H01708058 To deteriorate fecal impaction 매복변 악화 [3.0] B03.4.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61 H01708061 To deteriorate feeding deficit 음식섭취결핍 악화 [3.0] O37.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73 H01708073 To deteriorate fertility risk 가임 위험성 악화 [3.0] U59.1.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86 H01708086 To deteriorate fluid volume alteration 체액량변화 악화 [3.0] F15.0.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099 H01708099 To deteriorate fluid volume decifit 체액량부족 악화 [3.0] F15.1.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02 H01708102 To deteriorate fluid volume decifit risk 체액량부족 위험성 악화 [3.0] F15.2.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15 H01708115 To deteriorate fluid volume excess 체액량과다 악화 [3.0] F15.3.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28 H01708128 To deteriorate fluid volume excess risk 체액량과다 위험성 악화 [3.0] F15.4.3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31 H01708131 To deteriorate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기능적요실금 악화 [3.0] T49.1.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43 H01708143 To deteriorate gas exchange impairment 가스교환장애 악화 [3.0] L26.3.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56 H01708156 To deteriorate gastrointestinal alteration 위장관장애 악화 [3.0] B04.0.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69 H01708169 To deteriorate grieving 비통 악화 [3.0] E53.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71 H01708171 To deteriorate growth & development alteration 성장발달장애 악화 [3.0] U61.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84 H01708184 To deteriorate gustatory alteration 미각장애 악화 [3.0] Q44.2.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197 H01708197 To deteriorate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건강유지장애 악화 [3.0] G17.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01 H01708201 To deteriorate health-seeking behavior alteration 건강추구행위장애 악화 [3.0] G18.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13 H01708213 To deteriorate home maintenance alteration 가정유지장애 악화 [3.0] G19.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26 H01708226 To deteriorate hopelessness 절망감 악화 [3.0] P42.1.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39 H01708239 To deteriorate hyperthermia 고체온 악화 [3.0] K25.2.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41 H01708241 To deteriorate hypothermia 저체온 악화 [3.0] K25.3.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54 H01708254 To deteriorate immunologic alteration 면역장애 악화 [3.0] I23.0.3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67 H01708267 To deteriorate individual coping impariment 개인대처장애 악화 [3.0] E12.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70 H01708270 To deteriorate infant feeding pattern impairment 영아영양장애 악화 [3.0] J54.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82 H01708282 To deteriorate infection 감염 악화 [3.0] K25.6.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295 H01708295 To deteriorate infection risk 감염 위험성 악화 [3.0] K25.5.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09 H01708309 To deteriorate infertility risk 불임 위험성 악화 [3.0] U59.2.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11 H01708311 To deteriorate injury risk 손상 위험성 악화 [3.0] N33.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24 H01708324 To deteriorat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도구적일상활동장애 악화 [3.0] O38.2.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37 H01708337 To deteriorate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impairment 두개내적응능력장애 악화 [3.0] K25.7.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40 H01708340 To deteriorate kinesthetic alteration 운동감각장애 악화 [3.0] Q44.3.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52 H01708352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지식부족 악화 [3.0] D08.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65 H01708365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지식부족 악화 [3.0] D08.1.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78 H01708378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of dietary regimen 식사 지식부족 악화 [3.0] D08.2.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81 H01708381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of disease process 질병과정 지식부족 악화 [3.0] D08.3.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393 H01708393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of fluid volume 체액량 지식부족 악화 [3.0] D08.4.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07 H01708407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of medicatiion regimen 투약 지식부족 악화 [3.0] D08.5.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10 H01708410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지식부족 악화 [3.0] D08.6.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22 H01708422 To deteriorate knowledge deficit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지식부족 악화 [3.0] D08.7.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35 H01708435 To deteriorate labor risk 진통 위험성 악화 [3.0] U60.2.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48 H01708448 To deteriorate latex allergy response 라텍스알레르기반응 악화 [3.0] R46.5.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51 H01708451 To deteriorate meaningfulness alteration 의미부여장애 악화 [3.0] P42.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63 H01708463 To deteriorate medication risk 투약 위험성 악화 [3.0] H21.0.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76 H01708476 To deteriorate memory impairment 기억장애 악화 [3.0] D09.1.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89 H01708489 To deteriorate musculoskeletal alteration 근골격계장애 악화 [3.0] A02.0.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491 H01708491 To deteriorate nausea 오심 악화 [3.0] B04.1.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05 H01708505 To deteriorate noncompliance 불이행 악화 [3.0] G20.0.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18 H01708518 To deteriorate non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불이행 악화 [3.0] G20.1.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21 H01708521 To deteriorate non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식사 불이행 악화 [3.0] G20.2.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33 H01708533 To deteriorate noncompliance of fluid volume 체액량 불이행 악화 [3.0] G20.3.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46 H01708546 To deteriorate non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투약 불이행 악화 [3.0] G20.4.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59 H01708559 To deteriorate non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불이행 악화 [3.0] G20.5.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61 H01708561 To deteriorate non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불이행 악화 [3.0] G20.6.3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74 H01708574 To deteriorate nutrition alteration 영양장애 악화 [3.0] J24.0.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87 H01708587 To deteriorate olfactory alteration 후각장애 악화 [3.0] Q44.4.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590 H01708590 To deteriorate oral mucous membranes impairment 구강점막손상 악화 [3.0] R46.1.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03 H01708603 To deteriorate pain 통증 악화 [3.0] Q63.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16 H01708616 To deteriorate parental role conflict 부모역할갈등 악화 [3.0] M27.1.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29 H01708629 To deteriorate parenting alteration 부모역할장애 악화 [3.0] M27.2.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31 H01708631 To deteriorate perceived constipation 상상변비 악화 [3.0] B03.5.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44 H01708644 To deteriorate perinatal risk 주산기 위험성 악화 [3.0] U60.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57 H01708657 To deteriorate perioperative injury risk 수술주기손상 위험성 악화 [3.0] N57.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60 H01708660 To deteriorate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수술주기체위손상 악화 [3.0] N57.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72 H01708672 To deteriorate peripheral alteration 말초순환장애 악화 [3.0] R47.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85 H01708685 To deteriorate personal identity disturbance 자아정체성장애 악화 [3.0] P43.2.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698 H01708698 To deteriorate physical mobility impairment 신체적운동장애 악화 [3.0] A01.5.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01 H01708701 To deteriorate physical regulation alteration 신체조절장애 악화 [3.0] K25.0.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14 H01708714 To deteriorate poisoning risk 중독 위험성 악화 [3.0] N33.3.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27 H01708727 To deteriorate polypharmacy 다중약물요법 악화 [3.0] H21.1.3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30 H01708730 To deteriorate postpartum risk 산욕기 위험성 악화 [3.0] U60.4.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42 H01708742 To deteriorate posttrauma response 외상후반응 악화 [3.0] E13.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55 H01708755 To deteriorate powerlessness 무력감 악화 [3.0] P42.2.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68 H01708768 To deteriorate pregnancy risk 임신 위험성 악화 [3.0] U60.1.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71 H01708771 To deteriorate rape trauma syndrome 강간상해증후군 악화 [3.0] E13.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83 H01708783 To deteriorate reflex urinary incontinence 신경성요실금 악화 [3.0] T49.2.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796 H01708796 To deteriorate relocation stress syndrome 재배치스트레스증후군 악화 [3.0] M32.3.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00 H01708800 To deteriorate renal alteration 신장장애 악화 [3.0] T50.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12 H01708812 To deteriorate reproductive risk 생식 위험성 악화 [3.0] U59.0.3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25 H01708825 To deteriorate respiration alteration 호흡장애 악화 [3.0] L26.0.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38 H01708838 To deteriorate role performance alteration 역할수행장애 악화 [3.0] M27.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41 H01708841 To deteriorate self-care deficit 자가간호결핍 악화 [3.0] O38.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53 H01708853 To deteriorate self-concept alteration 자아개념장애 악화 [3.0] P43.0.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66 H01708866 To deteriorate self-mutilation risk 자해 위험성 악화 [3.0] N34.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79 H01708879 To deteriorate sensory perceptual alteration 감각지각장애 악화 [3.0] Q44.0.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81 H01708881 To deteriorate sexual dysfunction 성기능장애 악화 [3.0] M27.3.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894 H01708894 To deteriorate sexuality patterns alteration 성패턴변화 악화 [3.0] M31.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08 H01708908 To deteriorate situational self-esteem disturbance 상황적자존감장애 악화 [3.0] P43.4.3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11 H01708911 To deteriorate skin incision 피부절개 악화 [3.0] R46.4.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23 H01708923 To deteriorate skin integrity alteration 피부통합성변화 악화 [3.0] R46.0.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36 H01708936 To deteriorate skin integrity impairment 피부통합성장애 악화 [3.0] R46.2.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49 H01708949 To deteriorate skin integrity impairment risk 피부통합성장애 위험성 악화 [3.0] R46.3.3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51 H01708951 To deteriorate sleep deprivation 수면박탈 악화 [3.0] A01.7.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64 H01708964 To deteriorate sleep pattern disturbance 수면장애 악화 [3.0] A01.6.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77 H01708977 To deteriorate social interaction alteration 사회적상호작용변화 악화 [3.0] M32.1.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80 H01708980 To deteriorate social isolation 사회적고립 악화 [3.0] M32.2.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8992 H01708992 To deteriorate socialization alteration 사회화장애 악화 [3.0] M32.0.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00 H01709000 To deteriorate spiritual distress 영적고뇌 악화 [3.0] E14.1.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12 H01709012 To deteriorate spiritual state alteration 영적장애 악화 [3.0] E14.0.3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25 H01709025 To deteriorat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복압성요실금 악화 [3.0] T49.3.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38 H01709038 To deteriorate substance abuse 물질남용 악화 [3.0] N58.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41 H01709041 To deteriorate suffocation risk 질식 위험성 악화 [3.0] N33.4.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53 H01709053 To deteriorate suicide risk 자살 위험성 악화 [3.0] N34.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66 H01709066 To deteriorate surgical recovery delay 수술회복지연 악화 [3.0] N57.2.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79 H01709079 To deteriorate swallowing impairment 연하장애 악화 [3.0] J24.5.3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81 H01709081 To deteriorate tactile alteration 촉각장애 악화 [3.0] Q44.5.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094 H01709094 To deteriorate thermoregulation impairment 체온조절장애 악화 [3.0] K25.4.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108 H01709108 To deteriorate thought process alteration 사고과정장애 악화 [3.0] D09.0.3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111 H01709111 To deteriorate tissue perfusion alteration 조직관류장애 악화 [3.0] S48.0.3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123 H01709123 To deteriorate tobacco abuse 담배남용 악화 [3.0] N58.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136 H01709136 To deteriorate toileting deficit 용변자가간호결핍 악화 [3.0] O39.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149 H01709149 To deteriorate trauma risk 외상 위험성 악화 [3.0] N33.5.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151 H01709151 To deteriorate unilateral neglect 편측성지각장애 악화 [3.0] Q44.6.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164 H01709164 To deteriorate urge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요실금 악화 [3.0] T49.5.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177 H01709177 To deteriorate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배뇨장애 악화 [3.0] T49.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180 H01709180 To deteriorate urinary retention 소변정체 악화 [3.0] T49.6.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192 H01709192 To deteriorate ventilatory weaning impairment 인공호흡기제거장애 악화 [3.0] L56.0.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206 H01709206 To deteriorate verbal impairment 언어소통장애 악화 [3.0] M28.1.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219 H01709219 To deteriorate violence risk 폭력 위험성 악화 [3.0] N34.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221 H01709221 To deteriorate visual alteration 시각장애 악화 [3.0] Q44.7.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234 H01709234 To deteriorate vomiting 구토 악화 [3.0] B04.2.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09247 H01709247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일상활동장애 개선 [3.0] O38.1.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250 H01709250 To improve activity alteration 활동장애 개선 [3.0] A01.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262 H01709262 To improve activity intolerance 활동지속성장애 개선 [3.0] A01.1.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275 H01709275 To improve activity intolerance risk 활동지속성장애 위험성 개선 [3.0] A01.2.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288 H01709288 To improve acute pain 급성통증 개선 [3.0] Q63.1.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291 H01709291 To improve adjustment impairment 적응장애 개선 [3.0] E12.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04 H01709304 To improve airway clearance impairment 비효율적 기도청결 개선 [3.0] L26.1.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17 H01709317 To improve alchohol abuse 알코올남용 개선 [3.0] N58.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20 H01709320 To improve anticipatory grieving 예기비통 개선 [3.0] E53.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32 H01709332 To improve anxiety 불안 개선 [3.0] P40.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45 H01709345 To improve aspiration risk 기도흡인 위험성 개선 [3.0] N33.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58 H01709358 To improve auditory alteration 청각장애 개선 [3.0] Q44.1.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61 H01709361 To improve autonomic dysreflexia 자율반사장애 개선 [3.0] K25.1.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73 H01709373 To improve bathing/hygiene deficit 목욕/개인위생결핍 개선 [3.0] O35.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86 H01709386 To improve bleeding risk 출혈 위험성 개선 [3.0] C06.2.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399 H01709399 To improve blood pressure alteration 혈압변화 개선 [3.0] C06.1.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02 H01709402 To improve body image disturbance 신체상장애 개선 [3.0] P43.1.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15 H01709415 To improve body nutrition deficit 영양결핍 개선 [3.0] J24.1.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28 H01709428 To improve body nutrition deficit risk 영양결핍 위험성 개선 [3.0] J24.2.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31 H01709431 To improve body nutrition excess 영양과다 개선 [3.0] J24.3.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43 H01709443 To improve body nutrition excess risk 영양과다 위험성 개선 [3.0] J24.4.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56 H01709456 To improve bowel elimination alteration 배변장애 개선 [3.0] B03.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69 H01709469 To improve bowel incontinence 변실금 개선 [3.0] B03.1.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71 H01709471 To improve breast feeding impairment 모유수유장애 개선 [3.0] J55.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84 H01709484 To improve breathing pattern impairment 비효율적 호흡양상 개선 [3.0] L26.2.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497 H01709497 To improve cardiac output alteration 심박출량장애 개선 [3.0] C05.0.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01 H01709501 To improve cardiovascular alteration 심장혈관장애 개선 [3.0] C06.0.1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13 H01709513 To improve caregiver role strain 돌봄제공자역할갈등 개선 [3.0] M27.4.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26 H01709526 To improve cerebral alteration 대뇌장애 개선 [3.0] D07.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39 H01709539 To improve chronic low self-esteem disturbance 만성자존감저하 개선 [3.0] P43.3.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41 H01709541 To improve chronic pain 만성통증 개선 [3.0] Q63.2.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54 H01709554 To improve comfort alteration 안위장애 개선 [3.0] Q45.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67 H01709567 To improve communication impairment 의사소통장애 개선 [3.0] M28.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70 H01709570 To improve community coping impairment 지역사회대처장애 개선 [3.0] E52.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82 H01709582 To improve confusion 혼돈 개선 [3.0] D07.1.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595 H01709595 To improve constipation 변비 개선 [3.0] B03.6.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09 H01709609 To improve contraception risk 피임 위험성 개선 [3.0] U59.3.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11 H01709611 To improve decisional conflict 의사결정갈등 개선 [3.0] E12.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24 H01709624 To improve defensive coping 방어적대처 개선 [3.0] E12.3.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37 H01709637 To improve delivery risk 분만 위험성 개선 [3.0] U60.3.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40 H01709640 To improve denial 부정 개선 [3.0] E12.4.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52 H01709652 To improve diarrhea 설사 개선 [3.0] B03.3.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65 H01709665 To improve disabled family coping 가족대처불능 개선 [3.0] E11.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78 H01709678 To improve disuse syndrome 비사용증후군 개선 [3.0] N33.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81 H01709681 To improve diversional activity deficit 여가활동부족 개선 [3.0] A01.3.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693 H01709693 To improve dressing/grooming deficit 몸단장결핍 개선 [3.0] O36.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07 H01709707 To improve drug abuse 약물남용 개선 [3.0] N58.3.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10 H01709710 To improve dying process 임종과정 개선 [3.0] E10.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22 H01709722 To improve dysfunctional grieving 비정상적비통 개선 [3.0] E53.2.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35 H01709735 To improve electrolyte imbalance 전해질불균형 개선 [3.0] F62.0.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48 H01709748 To improve endocrine alteration 내분비장애 개선 [3.0] I22.0.1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51 H01709751 To improve failure to thrive 성장지연 개선 [3.0] G17.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63 H01709763 To improve fall risk 낙상 위험성 개선 [3.0] N33.6.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76 H01709776 To improve family process alteration 가족과정장애 개선 [3.0] M29.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89 H01709789 To improve famliy coping impairment 가족대처장애 개선 [3.0] E11.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791 H01709791 To improve fatigue 피로 개선 [3.0] A01.4.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05 H01709805 To improve fear 두려움 개선 [3.0] P41.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18 H01709818 To improve fecal impaction 매복변 개선 [3.0] B03.4.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21 H01709821 To improve feeding deficit 음식섭취결핍 개선 [3.0] O37.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33 H01709833 To improve fertility risk 가임 위험성 개선 [3.0] U59.1.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46 H01709846 To improve fluid volume alteration 체액량변화 개선 [3.0] F15.0.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59 H01709859 To improve fluid volume decifit 체액량부족 개선 [3.0] F15.1.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61 H01709861 To improve fluid volume decifit risk 체액량부족 위험성 개선 [3.0] F15.2.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74 H01709874 To improve fluid volume excess 체액량과다 개선 [3.0] F15.3.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87 H01709887 To improve fluid volume excess risk 체액량과다 위험성 개선 [3.0] F15.4.1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890 H01709890 To improve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기능적요실금 개선 [3.0] T49.1.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03 H01709903 To improve gas exchange impairment 가스교환장애 개선 [3.0] L26.3.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16 H01709916 To improve gastrointestinal alteration 위장관장애 개선 [3.0] B04.0.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29 H01709929 To improve grieving 비통 개선 [3.0] E53.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31 H01709931 To improve growth & development alteration 성장발달장애 개선 [3.0] U61.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44 H01709944 To improve gustatory alteration 미각장애 개선 [3.0] Q44.2.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57 H01709957 To improve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건강유지장애 개선 [3.0] G17.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60 H01709960 To improve health-seeking behavior alteration 건강추구행위장애 개선 [3.0] G18.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72 H01709972 To improve home maintenance alteration 가정유지장애 개선 [3.0] G19.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85 H01709985 To improve hopelessness 절망감 개선 [3.0] P42.1.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09998 H01709998 To improve hyperthermia 고체온 개선 [3.0] K25.2.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05 H01710005 To improve hypothermia 저체온 개선 [3.0] K25.3.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18 H01710018 To improve immunologic alteration 면역장애 개선 [3.0] I23.0.1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21 H01710021 To improve individual coping impariment 개인대처장애 개선 [3.0] E12.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33 H01710033 To improve infant feeding pattern impairment 영아영양장애 개선 [3.0] J54.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46 H01710046 To improve infection 감염 개선 [3.0] K25.6.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59 H01710059 To improve infection risk 감염 위험성 개선 [3.0] K25.5.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61 H01710061 To improve infertility risk 불임 위험성 개선 [3.0] U59.2.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74 H01710074 To improve injury risk 손상 위험성 개선 [3.0] N33.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87 H01710087 To improv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도구적일상활동장애 개선 [3.0] O38.2.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090 H01710090 To improve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impairment 두개내적응능력장애 개선 [3.0] K25.7.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03 H01710103 To improve kinesthetic alteration 운동감각장애 개선 [3.0] Q44.3.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16 H01710116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지식부족 개선 [3.0] D08.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29 H01710129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지식부족 개선 [3.0] D08.1.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31 H01710131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of dietary regimen 식사 지식부족 개선 [3.0] D08.2.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44 H01710144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of disease process 질병과정 지식부족 개선 [3.0] D08.3.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57 H01710157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of fluid volume 체액량 지식부족 개선 [3.0] D08.4.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60 H01710160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of medicatiion regimen 투약 지식부족 개선 [3.0] D08.5.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72 H01710172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지식부족 개선 [3.0] D08.6.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85 H01710185 To improve knowledge deficit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지식부족 개선 [3.0] D08.7.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198 H01710198 To improve labor risk 진통 위험성 개선 [3.0] U60.2.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01 H01710201 To improve latex allergy response 라텍스알레르기반응 개선 [3.0] R46.5.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14 H01710214 To improve meaningfulness alteration 의미부여장애 개선 [3.0] P42.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27 H01710227 To improve medication risk 투약 위험성 개선 [3.0] H21.0.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30 H01710230 To improve memory impairment 기억장애 개선 [3.0] D09.1.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42 H01710242 To improve musculoskeletal alteration 근골격계장애 개선 [3.0] A02.0.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55 H01710255 To improve nausea 오심 개선 [3.0] B04.1.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68 H01710268 To improve noncompliance 불이행 개선 [3.0] G20.0.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71 H01710271 To improve non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불이행 개선 [3.0] G20.1.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83 H01710283 To improve non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식사 불이행 개선 [3.0] G20.2.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296 H01710296 To improve noncompliance of fluid volume 체액량 불이행 개선 [3.0] G20.3.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00 H01710300 To improve non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투약 불이행 개선 [3.0] G20.4.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12 H01710312 To improve non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불이행 개선 [3.0] G20.5.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25 H01710325 To improve non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불이행 개선 [3.0] G20.6.1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38 H01710338 To improve nutrition alteration 영양장애 개선 [3.0] J24.0.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41 H01710341 To improve olfactory alteration 후각장애 개선 [3.0] Q44.4.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53 H01710353 To improve oral mucous membranes impairment 구강점막손상 개선 [3.0] R46.1.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66 H01710366 To improve pain 통증 개선 [3.0] Q63.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79 H01710379 To improve parental role conflict 부모역할갈등 개선 [3.0] M27.1.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81 H01710381 To improve parenting alteration 부모역할장애 개선 [3.0] M27.2.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394 H01710394 To improve perceived constipation 상상변비 개선 [3.0] B03.5.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08 H01710408 To improve perinatal risk 주산기 위험성 개선 [3.0] U60.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11 H01710411 To improve perioperative injury risk 수술주기손상 위험성 개선 [3.0] N57.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23 H01710423 To improve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수술주기체위손상 개선 [3.0] N57.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36 H01710436 To improve peripheral alteration 말초순환장애 개선 [3.0] R47.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49 H01710449 To improve personal identity disturbance 자아정체성장애 개선 [3.0] P43.2.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51 H01710451 To improve physical mobility impairment 신체적운동장애 개선 [3.0] A01.5.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64 H01710464 To improve physical regulation alteration 신체조절장애 개선 [3.0] K25.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77 H01710477 To improve poisoning risk 중독 위험성 개선 [3.0] N33.3.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80 H01710480 To improve polypharmacy 다중약물요법 개선 [3.0] H21.1.1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492 H01710492 To improve postpartum risk 산욕기 위험성 개선 [3.0] U60.4.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06 H01710506 To improve posttrauma response 외상후반응 개선 [3.0] E13.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19 H01710519 To improve powerlessness 무력감 개선 [3.0] P42.2.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21 H01710521 To improve pregnancy risk 임신 위험성 개선 [3.0] U60.1.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34 H01710534 To improve rape trauma syndrome 강간상해증후군 개선 [3.0] E13.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47 H01710547 To improve reflex urinary incontinence 신경성요실금 개선 [3.0] T49.2.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50 H01710550 To improve relocation stress syndrome 재배치스트레스증후군 개선 [3.0] M32.3.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62 H01710562 To improve renal alteration 신장장애 개선 [3.0] T50.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75 H01710575 To improve reproductive risk 생식 위험성 개선 [3.0] U59.0.1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88 H01710588 To improve respiration alteration 호흡장애 개선 [3.0] L26.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591 H01710591 To improve role performance alteration 역할수행장애 개선 [3.0] M27.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04 H01710604 To improve self-care deficit 자가간호결핍 개선 [3.0] O38.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17 H01710617 To improve self-concept alteration 자아개념장애 개선 [3.0] P43.0.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20 H01710620 To improve self-mutilation risk 자해 위험성 개선 [3.0] N34.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32 H01710632 To improve sensory perceptual alteration 감각지각장애 개선 [3.0] Q44.0.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45 H01710645 To improve sexual dysfunction 성기능장애 개선 [3.0] M27.3.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58 H01710658 To improve sexuality patterns alteration 성패턴변화 개선 [3.0] M31.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61 H01710661 To improve situational self-esteem disturbance 상황적자존감장애 개선 [3.0] P43.4.1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73 H01710673 To improve skin incision 피부절개 개선 [3.0] R46.4.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86 H01710686 To improve skin integrity alteration 피부통합성변화 개선 [3.0] R46.0.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699 H01710699 To improve skin integrity impairment 피부통합성장애 개선 [3.0] R46.2.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02 H01710702 To improve skin integrity impairment risk 피부통합성장애 위험성 개선 [3.0] R46.3.1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15 H01710715 To improve sleep deprivation 수면박탈 개선 [3.0] A01.7.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28 H01710728 To improve sleep pattern disturbance 수면장애 개선 [3.0] A01.6.1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31 H01710731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 alteration 사회적상호작용변화 개선 [3.0] M32.1.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43 H01710743 To improve social isolation 사회적고립 개선 [3.0] M32.2.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56 H01710756 To improve socialization alteration 사회화장애 개선 [3.0] M32.0.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69 H01710769 To improve spiritual distress 영적고뇌 개선 [3.0] E14.1.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71 H01710771 To improve spiritual state alteration 영적장애 개선 [3.0] E14.0.1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84 H01710784 To improv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복압성요실금 개선 [3.0] T49.3.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797 H01710797 To improve substance abuse 물질남용 개선 [3.0] N58.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01 H01710801 To improve suffocation risk 질식 위험성 개선 [3.0] N33.4.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13 H01710813 To improve suicide risk 자살 위험성 개선 [3.0] N34.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26 H01710826 To improve surgical recovery delay 수술회복지연 개선 [3.0] N57.2.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39 H01710839 To improve swallowing impairment 연하장애 개선 [3.0] J24.5.1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41 H01710841 To improve tactile alteration 촉각장애 개선 [3.0] Q44.5.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54 H01710854 To improve thermoregulation impairment 체온조절장애 개선 [3.0] K25.4.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67 H01710867 To improve thought process alteration 사고과정장애 개선 [3.0] D09.0.1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70 H01710870 To improve tissue perfusion alteration 조직관류장애 개선 [3.0] S48.0.1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0882 H01710882 To improve tobacco abuse 담배남용 개선 [3.0] N58.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895 H01710895 To improve toileting deficit 용변자가간호결핍 개선 [3.0] O39.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09 H01710909 To improve trauma risk 외상 위험성 개선 [3.0] N33.5.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11 H01710911 To improve unilateral neglect 편측성지각장애 개선 [3.0] Q44.6.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24 H01710924 To improve urge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요실금 개선 [3.0] T49.5.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37 H01710937 To improve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배뇨장애 개선 [3.0] T49.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40 H01710940 To improve urinary retention 소변정체 개선 [3.0] T49.6.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52 H01710952 To improve ventilatory weaning impairment 인공호흡기제거장애 개선 [3.0] L56.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65 H01710965 To improve verbal impairment 언어소통장애 개선 [3.0] M28.1.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78 H01710978 To improve violence risk 폭력 위험성 개선 [3.0] N34.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81 H01710981 To improve visual alteration 시각장애 개선 [3.0] Q44.7.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0993 H01710993 To improve vomiting 구토 개선 [3.0] B04.2.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1001 H01711001 To stabiliz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일상활동장애 안정 [3.0] O38.1.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13 H01711013 To stabilize activity alteration 활동장애 안정 [3.0] A01.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26 H01711026 To stabilize activity intolerance 활동지속성장애 안정 [3.0] A01.1.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39 H01711039 To stabilize activity intolerance risk 활동지속성장애 위험성 안정 [3.0] A01.2.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41 H01711041 To stabilize acute pain 급성통증 안정 [3.0] Q63.1.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54 H01711054 To stabilize adjustment impairment 적응장애 안정 [3.0] E12.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67 H01711067 To stabilize airway clearance impairment 비효율적 기도청결 안정 [3.0] L26.1.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70 H01711070 To stabilize alchohol abuse 알코올남용 안정 [3.0] N58.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82 H01711082 To stabilize anticipatory grieving 예기비통 안정 [3.0] E53.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095 H01711095 To stabilize anxiety 불안 안정 [3.0] P40.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09 H01711109 To stabilize aspiration risk 기도흡인 위험성 안정 [3.0] N33.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11 H01711111 To stabilize auditory alteration 청각장애 안정 [3.0] Q44.1.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24 H01711124 To stabilize autonomic dysreflexia 자율반사장애 안정 [3.0] K25.1.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37 H01711137 To stabilize bathing/hygiene deficit 목욕/개인위생결핍 안정 [3.0] O35.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40 H01711140 To stabilize bleeding risk 출혈 위험성 안정 [3.0] C06.2.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52 H01711152 To stabilize blood pressure alteration 혈압변화 안정 [3.0] C06.1.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65 H01711165 To stabilize body image disturbance 신체상장애 안정 [3.0] P43.1.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78 H01711178 To stabilize body nutrition deficit 영양결핍 안정 [3.0] J24.1.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81 H01711181 To stabilize body nutrition deficit risk 영양결핍 위험성 안정 [3.0] J24.2.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193 H01711193 To stabilize body nutrition excess 영양과다 안정 [3.0] J24.3.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07 H01711207 To stabilize body nutrition excess risk 영양과다 위험성 안정 [3.0] J24.4.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10 H01711210 To stabilize bowel elimination alteration 배변장애 안정 [3.0] B03.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22 H01711222 To stabilize bowel incontinence 변실금 안정 [3.0] B03.1.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35 H01711235 To stabilize breast feeding impairment 모유수유장애 안정 [3.0] J55.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48 H01711248 To stabilize breathing pattern impairment 비효율적 호흡양상 안정 [3.0] L26.2.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51 H01711251 To stabilize cardiac output alteration 심박출량장애 안정 [3.0] C05.0.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63 H01711263 To stabilize cardiovascular alteration 심장혈관장애 안정 [3.0] C06.0.2 생리적 요소 심장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76 H01711276 To stabilize caregiver role strain 돌봄제공자역할갈등 안정 [3.0] M27.4.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89 H01711289 To stabilize cerebral alteration 대뇌장애 안정 [3.0] D07.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291 H01711291 To stabilize chronic low self-esteem disturbance 만성자존감저하 안정 [3.0] P43.3.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05 H01711305 To stabilize chronic pain 만성통증 안정 [3.0] Q63.2.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18 H01711318 To stabilize comfort alteration 안위장애 안정 [3.0] Q45.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21 H01711321 To stabilize communication impairment 의사소통장애 안정 [3.0] M28.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33 H01711333 To stabilize community coping impairment 지역사회대처장애 안정 [3.0] E52.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46 H01711346 To stabilize confusion 혼돈 안정 [3.0] D07.1.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59 H01711359 To stabilize constipation 변비 안정 [3.0] B03.6.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61 H01711361 To stabilize contraception risk 피임 위험성 안정 [3.0] U59.3.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74 H01711374 To stabilize decisional conflict 의사결정갈등 안정 [3.0] E12.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87 H01711387 To stabilize defensive coping 방어적대처 안정 [3.0] E12.3.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390 H01711390 To stabilize delivery risk 분만 위험성 안정 [3.0] U60.3.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03 H01711403 To stabilize denial 부정 안정 [3.0] E12.4.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16 H01711416 To stabilize diarrhea 설사 안정 [3.0] B03.3.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29 H01711429 To stabilize disabled family coping 가족대처불능 안정 [3.0] E11.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31 H01711431 To stabilize disuse syndrome 비사용증후군 안정 [3.0] N33.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44 H01711444 To stabilize diversional activity deficit 여가활동부족 안정 [3.0] A01.3.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57 H01711457 To stabilize dressing/grooming deficit 몸단장결핍 안정 [3.0] O36.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60 H01711460 To stabilize drug abuse 약물남용 안정 [3.0] N58.3.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72 H01711472 To stabilize dying process 임종과정 안정 [3.0] E10.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85 H01711485 To stabilize dysfunctional grieving 비정상적비통 안정 [3.0] E53.2.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498 H01711498 To stabilize electrolyte imbalance 전해질불균형 안정 [3.0] F62.0.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01 H01711501 To stabilize endocrine alteration 내분비장애 안정 [3.0] I22.0.2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14 H01711514 To stabilize failure to thrive 성장지연 안정 [3.0] G17.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27 H01711527 To stabilize fall risk 낙상 위험성 안정 [3.0] N33.6.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30 H01711530 To stabilize family process alteration 가족과정장애 안정 [3.0] M29.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42 H01711542 To stabilize famliy coping impairment 가족대처장애 안정 [3.0] E11.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55 H01711555 To stabilize fatigue 피로 안정 [3.0] A01.4.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68 H01711568 To stabilize fear 두려움 안정 [3.0] P41.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71 H01711571 To stabilize fecal impaction 매복변 안정 [3.0] B03.4.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83 H01711583 To stabilize feeding deficit 음식섭취결핍 안정 [3.0] O37.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596 H01711596 To stabilize fertility risk 가임 위험성 안정 [3.0] U59.1.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00 H01711600 To stabilize fluid volume alteration 체액량변화 안정 [3.0] F15.0.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12 H01711612 To stabilize fluid volume decifit 체액량부족 안정 [3.0] F15.1.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25 H01711625 To stabilize fluid volume decifit risk 체액량부족 위험성 안정 [3.0] F15.2.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38 H01711638 To stabilize fluid volume excess 체액량과다 안정 [3.0] F15.3.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41 H01711641 To stabilize fluid volume excess risk 체액량과다 위험성 안정 [3.0] F15.4.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53 H01711653 To stabilize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기능적요실금 안정 [3.0] T49.1.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66 H01711666 To stabilize gas exchange impairment 가스교환장애 안정 [3.0] L26.3.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79 H01711679 To stabilize gastrointestinal alteration 위장관장애 안정 [3.0] B04.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81 H01711681 To stabilize grieving 비통 안정 [3.0] E53.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694 H01711694 To stabilize growth & development alteration 성장발달장애 안정 [3.0] U61.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08 H01711708 To stabilize gustatory alteration 미각장애 안정 [3.0] Q44.2.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11 H01711711 To stabilize health maintenance alteration 건강유지장애 안정 [3.0] G17.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23 H01711723 To stabilize health-seeking behavior alteration 건강추구행위장애 안정 [3.0] G18.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36 H01711736 To stabilize home maintenance alteration 가정유지장애 안정 [3.0] G19.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49 H01711749 To stabilize hopelessness 절망감 안정 [3.0] P42.1.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51 H01711751 To stabilize hyperthermia 고체온 안정 [3.0] K25.2.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64 H01711764 To stabilize hypothermia 저체온 안정 [3.0] K25.3.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77 H01711777 To stabilize immunologic alteration 면역장애 안정 [3.0] I23.0.2 생리적 요소 대사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80 H01711780 To stabilize individual coping impariment 개인대처장애 안정 [3.0] E12.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792 H01711792 To stabilize infant feeding pattern impairment 영아영양장애 안정 [3.0] J54.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06 H01711806 To stabilize infection 감염 안정 [3.0] K25.6.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19 H01711819 To stabilize infection risk 감염 위험성 안정 [3.0] K25.5.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21 H01711821 To stabilize infertility risk 불임 위험성 안정 [3.0] U59.2.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34 H01711834 To stabilize injury risk 손상 위험성 안정 [3.0] N33.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47 H01711847 To stabilize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lteration 도구적일상활동장애 안정 [3.0] O38.2.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50 H01711850 To stabilize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impairment 두개내적응능력장애 안정 [3.0] K25.7.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62 H01711862 To stabilize kinesthetic alteration 운동감각장애 안정 [3.0] Q44.3.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75 H01711875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지식부족 안정 [3.0] D08.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88 H01711888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지식부족 안정 [3.0] D08.1.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891 H01711891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of dietary regimen 식사 지식부족 안정 [3.0] D08.2.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04 H01711904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of disease process 질병과정 지식부족 안정 [3.0] D08.3.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17 H01711917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of fluid volume 체액량 지식부족 안정 [3.0] D08.4.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20 H01711920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of medicatiion regimen 투약 지식부족 안정 [3.0] D08.5.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32 H01711932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지식부족 안정 [3.0] D08.6.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45 H01711945 To stabilize knowledge deficit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지식부족 안정 [3.0] D08.7.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58 H01711958 To stabilize labor risk 진통 위험성 안정 [3.0] U60.2.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61 H01711961 To stabilize latex allergy response 라텍스알레르기반응 안정 [3.0] R46.5.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73 H01711973 To stabilize meaningfulness alteration 의미부여장애 안정 [3.0] P42.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86 H01711986 To stabilize medication risk 투약 위험성 안정 [3.0] H21.0.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1999 H01711999 To stabilize memory impairment 기억장애 안정 [3.0] D09.1.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06 H01712006 To stabilize musculoskeletal alteration 근골격계장애 안정 [3.0] A02.0.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19 H01712019 To stabilize nausea 오심 안정 [3.0] B04.1.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21 H01712021 To stabilize noncompliance 불이행 안정 [3.0] G20.0.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34 H01712034 To stabilize non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불이행 안정 [3.0] G20.1.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47 H01712047 To stabilize non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식사 불이행 안정 [3.0] G20.2.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50 H01712050 To stabilize noncompliance of fluid volume 체액량 불이행 안정 [3.0] G20.3.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62 H01712062 To stabilize non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투약 불이행 안정 [3.0] G20.4.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75 H01712075 To stabilize non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s 안전 불이행 안정 [3.0] G20.5.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88 H01712088 To stabilize non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 불이행 안정 [3.0] G20.6.2 건강행위 요소 건강행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091 H01712091 To stabilize nutrition alteration 영양장애 안정 [3.0] J24.0.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04 H01712104 To stabilize olfactory alteration 후각장애 안정 [3.0] Q44.4.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17 H01712117 To stabilize oral mucous membranes impairment 구강점막손상 안정 [3.0] R46.1.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20 H01712120 To stabilize pain 통증 안정 [3.0] Q63.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32 H01712132 To stabilize parental role conflict 부모역할갈등 안정 [3.0] M27.1.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45 H01712145 To stabilize parenting alteration 부모역할장애 안정 [3.0] M27.2.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58 H01712158 To stabilize perceived constipation 상상변비 안정 [3.0] B03.5.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61 H01712161 To stabilize perinatal risk 주산기 위험성 안정 [3.0] U60.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73 H01712173 To stabilize perioperative injury risk 수술주기손상 위험성 안정 [3.0] N57.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86 H01712186 To stabilize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수술주기체위손상 안정 [3.0] N57.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199 H01712199 To stabilize peripheral alteration 말초순환장애 안정 [3.0] R47.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02 H01712202 To stabilize personal identity disturbance 자아정체성장애 안정 [3.0] P43.2.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15 H01712215 To stabilize physical mobility impairment 신체적운동장애 안정 [3.0] A01.5.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28 H01712228 To stabilize physical regulation alteration 신체조절장애 안정 [3.0] K25.0.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31 H01712231 To stabilize poisoning risk 중독 위험성 안정 [3.0] N33.3.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43 H01712243 To stabilize polypharmacy 다중약물요법 안정 [3.0] H21.1.2 건강행위 요소 투약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56 H01712256 To stabilize postpartum risk 산욕기 위험성 안정 [3.0] U60.4.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69 H01712269 To stabilize posttrauma response 외상후반응 안정 [3.0] E13.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71 H01712271 To stabilize powerlessness 무력감 안정 [3.0] P42.2.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84 H01712284 To stabilize pregnancy risk 임신 위험성 안정 [3.0] U60.1.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297 H01712297 To stabilize rape trauma syndrome 강간상해증후군 안정 [3.0] E13.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01 H01712301 To stabilize reflex urinary incontinence 신경성요실금 안정 [3.0] T49.2.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13 H01712313 To stabilize relocation stress syndrome 재배치스트레스증후군 안정 [3.0] M32.3.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26 H01712326 To stabilize renal alteration 신장장애 안정 [3.0] T50.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39 H01712339 To stabilize reproductive risk 생식 위험성 안정 [3.0] U59.0.2 생리적 요소 생의주기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41 H01712341 To stabilize respiration alteration 호흡장애 안정 [3.0] L26.0.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54 H01712354 To stabilize role performance alteration 역할수행장애 안정 [3.0] M27.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67 H01712367 To stabilize self-care deficit 자가간호결핍 안정 [3.0] O38.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70 H01712370 To stabilize self-concept alteration 자아개념장애 안정 [3.0] P43.0.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82 H01712382 To stabilize self-mutilation risk 자해 위험성 안정 [3.0] N34.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395 H01712395 To stabilize sensory perceptual alteration 감각지각장애 안정 [3.0] Q44.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09 H01712409 To stabilize sexual dysfunction 성기능장애 안정 [3.0] M27.3.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11 H01712411 To stabilize sexuality patterns alteration 성패턴변화 안정 [3.0] M31.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24 H01712424 To stabilize situational self-esteem disturbance 상황적자존감장애 안정 [3.0] P43.4.2 심리적 요소 자아개념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37 H01712437 To stabilize skin incision 피부절개 안정 [3.0] R46.4.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40 H01712440 To stabilize skin integrity alteration 피부통합성변화 안정 [3.0] R46.0.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52 H01712452 To stabilize skin integrity impairment 피부통합성장애 안정 [3.0] R46.2.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65 H01712465 To stabilize skin integrity impairment risk 피부통합성장애 위험성 안정 [3.0] R46.3.2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78 H01712478 To stabilize sleep deprivation 수면박탈 안정 [3.0] A01.7.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81 H01712481 To stabilize sleep pattern disturbance 수면장애 안정 [3.0] A01.6.2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493 H01712493 To stabilize social interaction alteration 사회적상호작용변화 안정 [3.0] M32.1.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07 H01712507 To stabilize social isolation 사회적고립 안정 [3.0] M32.2.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10 H01712510 To stabilize socialization alteration 사회화장애 안정 [3.0] M32.0.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22 H01712522 To stabilize spiritual distress 영적고뇌 안정 [3.0] E14.1.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35 H01712535 To stabilize spiritual state alteration 영적장애 안정 [3.0] E14.0.2 심리적 요소 대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48 H01712548 To stabilize stress urinary incontinence 복압성요실금 안정 [3.0] T49.3.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51 H01712551 To stabilize substance abuse 물질남용 안정 [3.0] N58.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63 H01712563 To stabilize suffocation risk 질식 위험성 안정 [3.0] N33.4.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76 H01712576 To stabilize suicide risk 자살 위험성 안정 [3.0] N34.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89 H01712589 To stabilize surgical recovery delay 수술회복지연 안정 [3.0] N57.2.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591 H01712591 To stabilize swallowing impairment 연하장애 안정 [3.0] J24.5.2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605 H01712605 To stabilize tactile alteration 촉각장애 안정 [3.0] Q44.5.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618 H01712618 To stabilize thermoregulation impairment 체온조절장애 안정 [3.0] K25.4.2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621 H01712621 To stabilize thought process alteration 사고과정장애 안정 [3.0] D09.0.2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633 H01712633 To stabilize tissue perfusion alteration 조직관류장애 안정 [3.0] S48.0.2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646 H01712646 To stabilize tobacco abuse 담배남용 안정 [3.0] N58.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659 H01712659 To stabilize toileting deficit 용변자가간호결핍 안정 [3.0] O39.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661 H01712661 To stabilize trauma risk 외상 위험성 안정 [3.0] N33.5.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674 H01712674 To stabilize unilateral neglect 편측성지각장애 안정 [3.0] Q44.6.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687 H01712687 To stabilize urge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요실금 안정 [3.0] T49.5.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690 H01712690 To stabilize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배뇨장애 안정 [3.0] T49.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703 H01712703 To stabilize urinary retention 소변정체 안정 [3.0] T49.6.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716 H01712716 To stabilize ventilatory weaning impairment 인공호흡기제거장애 안정 [3.0] L56.0.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729 H01712729 To stabilize verbal impairment 언어소통장애 안정 [3.0] M28.1.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731 H01712731 To stabilize violence risk 폭력 위험성 안정 [3.0] N34.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744 H01712744 To stabilize visual alteration 시각장애 안정 [3.0] Q44.7.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757 H01712757 To stabilize vomiting 구토 안정 [3.0] B04.2.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목표(기대결과) H01712785 H02420848 Tobacco abuse 담배남용 C0040336 [3.0] F17.1 N58.1 10019766|10022247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Excessive use of tobacco products 담배제품의 과다한 사용 H01712798 H01712798 Tobacco abuse control 담배남용통제 C1171222 [3.0] N4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void, minimize, or control the use of tobacco" H01712801 H01712801 Tobacco abuse deteriorated 담배남용 악화됨 [3.0] N58.1.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814 H01712814 Tobacco abuse improved 담배남용 개선됨 [3.0] N58.1.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2827 H01712827 Tobacco abuse stabilized 담배남용 안정됨 [3.0] N58.1.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3264 H01713264 Tocolytic agent 자궁수축억제제 C0040349 [3.0] Means "자궁의 수축을 억제하여 임신을 유지, 조기분만을 효과적으로 지연시키는 약." H01713375 H01713375 Toe 발가락 C0040357 [3.0] L03.01 10019797 1F.18.05 Location 신체 부분 H01713740 H01713740 Toilet training 배변훈련 C0040365 [3.0] 10033142 2C.9.0027 Action 훈련 활동 H01713752 H01713752 Toileting deficit 용변자가간호결핍 C1998996 [3.0] O39.0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진단(간호진단) Impaired ability to urinate or defecate for oneself H01713765 H01713765 Toileting deficit deteriorated 용변자가간호결핍 악화됨 [3.0] O39.0.3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3778 H01713778 Toileting deficit improved 용변자가간호결핍 개선됨 [3.0] O39.0.1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3781 H01713781 Toileting deficit stabilized 용변자가간호결핍 안정됨 [3.0] O39.0.2 기능적 요소 자가간호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14396 H00955394 Tongue 혀 C0040408 [3.0] 10019824 Location 감각계 구성요소 H01714549 H01714536 Tongue depressor 설압자 C0183967 [3.0] 2C.9.0152 Means "구강, 인두부(咽頭部)의 진료에 있어서 혀를 누르고 고정하는 데에 사용한다.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금속제의 판상의 설압자, 프렌켈(m형)설압자, 첼막크설압자(소아용으로써 잘 사용된다) 등이다. 최근에는 숟가락크기의 목제판의 일회용 설압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1715195 H01715195 Tonsil 편도 C0836921 [3.0] Location 인두 벽에 위치하는 림프 조직으로 된 작은 덩어리. H01715712 H01677762 Tooth 이 C0040426 [3.0] 10019830 1F.18.06 Location 뼈 H01715725 H01677762 Tooth 치아 C0040426 [3.0] 10019830 1F.18.06 Location 뼈 H01715991 H00564465 Tooth eruption 치아 맹출 C0040437 [3.0] Focus "1) 치근의 형성이 진행함에 따라서 치관이 구강내에 나타나는 것을 맹출이라고 한다. 그 때의 밀어올리는 힘을 맹출력이라고 한다. 한번 맹출한 이가 생애기능하는 것을 일생치성(一生歯性), 다시나는 것을 다생치성(多生齒性)이라고 한다. 포유류는 이생치성이다. 출생후 약 6개월경부터 3년이내에 생기는 이를 유치라고 하며, 약 6세이후 유치대신에 맹출하는 이 및 대구치를 영구치라고 한다. 이의 맹출은 생리적 현상으로 지장이 없는 것이 보통이나 때로 유치맹출시의 생치열, 영구치에서는 지치난생증(智齒難生症)등의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2) 맹출. 골내에서 발육성장 도중의 치아가 일정 시기에 이르러 잇몸을 열고 구강 내에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치아는 치근이 미완성인 상태로 맹출을 개시하며 " 대개 1~2년 후에 치근은 근첨까지 완성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대사전]""" H01716188 H01716191 Toothache 치통 C0040460 [3.0] K08.80 Focus "1) 치아 및 그 주위조직에서 발생하는 삼차신경 영역의 통증이고 치과질환에서 가장 빈도가 높은 증상이다. 통증이 심하면 부위가 불명료해지고 상하악의 구별을 오인하는 수가 있다. 두통이나 이통을 합병하거나 타액분비증가, 저작ㆍ발음장애가 나타난다. 진단은 기왕력, 통증의 성상, 치아 및 치주조직 상태 등에 따라 다르다. 원인질환으로서 (1) 치아질환 : 우식ㆍ마모증등, (2) 치수염, (3) 치주염, (4) 급성화농성 치조 골염, (5) 급성화농성 악골염, (6) 삼차신경통, (7) 구강종양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2) 치아의 통증. 일반적으로는 치아 자체의 통증뿐만 아니라 치아를 턱뼈에 지탱시키고 있는 치주조직의 통증도 포함된다. 초기의 충치나 칫솔로 수평으로 세게 문질러서 치아의 잇몸 근처가 쐐기 모양으로 패어진 마모증 등에서 잇몸을 밀거나 치아를 교합해도 아프지는 않으나 찬 공기나 물에 닿으면 통증을 느낀다. 치수염인 경우는 심한 통증이 있다. 특히 급성 화농성치수염인 경우는 치수가 부패하여 가스를 발생하고 치수강 주위의 상아질에 둘러싸여 가스가 배출되지 못해 치수강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치수 내의 신경을 압박하기 때문에 몹시 아파 밤에 잠을 잘 수 없게 된다. 치아에 구멍을 뚫어 고름과 가스를 제거하면 통증은 없어진다. 이 밖에 치아가 들떠서 음식을 씹으면 아픈 치근막염이나 이틀뼈 등의 치주염 " 치조농루의 급성발작 등이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717183 H01717196 Torticollis 사경 C0040485 [3.0] M43.6 1A.9.0572 Focus "경부근육이 수축된 상태로, 목이 비틀어져서 머리의 위치가 부자연스럽게 된다." H01717196 H01717196 Torticollis 기운목 C0040485 [3.0] M43.6 1A.9.0572 Focus "경부근육이 수축된 상태로, 목이 비틀어져서 머리의 위치가 부자연스럽게 된다." H01719393 H01719407 Total parenteral nutrition 완전정맥영양 C0030548 [3.0] Focus "중심정맥에 삽입된 카테터를 통해서 경정맥적으로 생명의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와 그 밖의 영양소 전부를 보급하는 영양요법. 고에너지수액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이 필요한 경우는 경구적 영양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경구적 영양섭취가 가능하더라도 에너지소비가 심해 경구적 영양섭취량보다 많은 고에너지를 보급해야 하는 경우, 음식물이 소화관을 통과하면 병소를 자극하여 병태의 개선에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 등이다. 이 방법에서 단백질의 필요량은 10~20%의 아미노산제에 의하고, 에너지는 당질만 또는 당질에 지방질을 가하여 보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요한 기본 영양제에 아미노산, 전해질, 비타민류, 미량원소류(구리, 아연, 크롬)를 가하여 이루어진다.[영양학사전]" H01719407 H01719407 Total parenteral nutrition 완전비경구영양 C0030548 [3.0] Focus "중심정맥에 삽입된 카테터를 통해서 경정맥적으로 생명의 유지에 필요한 에너지와 그 밖의 영양소 전부를 보급하는 영양요법. 고에너지수액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이 필요한 경우는 경구적 영양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경구적 영양섭취가 가능하더라도 에너지소비가 심해 경구적 영양섭취량보다 많은 고에너지를 보급해야 하는 경우, 음식물이 소화관을 통과하면 병소를 자극하여 병태의 개선에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 등이다. 이 방법에서 단백질의 필요량은 10~20%의 아미노산제에 의하고, 에너지는 당질만 또는 당질에 지방질을 가하여 보급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요한 기본 영양제에 아미노산, 전해질, 비타민류, 미량원소류(구리, 아연, 크롬)를 가하여 이루어진다.[영양학사전]" H01719841 H01719841 Touch 촉각 C0702221 [3.0] 10019895 Focus "감각 지각: 촉각기관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느끼는 능력, 표피의 촉각기관에서 접촉이나 압력에 대한 지남력." H01722498 H01720066 Toxic substance 독성물질 C0032346 [3.0] Focus 생물체 내에 흡수되거나 퍼졌을 때 비교적 소량이지만 각종 화학작용에 의한 조직손상이나 기능장애를유발하는 물질.[생명과학대사전] H01722653 H01722653 Toxicide 해독제 [3.0] Means 독약중화용 치료약물 H01724319 H01724319 Trachea 기관 C0040580 [3.0] 10019922 1F.18.07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1725159 H01725159 Tracheostomy care 기관절개술간호 C0184635 [3.0] L37.0 1003316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a tracheostomy H01725508 H01725704 Traction device 당김장치 C3872768 [3.0] 10019979 Means 기구 H01725802 H01725802 Traffic accident 교통 사고 C0000932 [3.0] Focus 운행 중이던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사람을 치거나 다른 교통 기관과 충돌하는 따위 교통상의 모든 사고. H01727844 H01727844 Transfer 전달 [3.0] Focus "1) 지시, 명령, 물품 따위를 다른 사람이나 기관에 전하여 이르게 함." 2) 자극 신호 동력 따위가 다른 기관에 전하여짐. "3) 『의학』신경 섬유의 흥분이 신경 근육의 접합부(接合部)에 전하여짐.[표준국어대사전]""" H01727898 H01727898 Transfer care 이동간호 C0184577 [3.0] A03.3 기능적 요소 활동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assist in moving from one place to another H01728669 H01728669 Transfusion 수혈 C0005841 [3.0] 1A.9.0573 Focus 혈액 전체 또는 혈액 성분을 직접 혈류로 넣는 것. H01734034 H01733875 Transverse presentation 가로태위 C0426063 [3.0] O32.2 Location "태아의 종축과 자궁의 종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태위(胎位)를 말한다. 아두가 좌측에 있느냐 우측이냐에 따라서 제1과 제2로 나누고, 아기등을 앞쪽으로 분류한다. 임신의 중기에 횡위였더라도 차츰 종위로 되는 경우가 많다. 횡위에서는 아기가 미숙아 또는 침연아(浸軟児)인 경우, 드물게 자연만출되는 수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분만경과중에 종위로 회선하지 않으면 천연 횡위가 되고 태아뿐만 아니라 모체에 있어서도 위험하다.[간호학대사전]" H01734047 H01733875 Transverse presentation 횡태위 C0426063 [3.0] O32.2 Location "태아의 종축과 자궁의 종축이 직각으로 교차하는 태위(胎位)를 말한다. 아두가 좌측에 있느냐 우측이냐에 따라서 제1과 제2로 나누고, 아기등을 앞쪽으로 분류한다. 임신의 중기에 횡위였더라도 차츰 종위로 되는 경우가 많다. 횡위에서는 아기가 미숙아 또는 침연아(浸軟児)인 경우, 드물게 자연만출되는 수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분만경과중에 종위로 회선하지 않으면 천연 횡위가 되고 태아뿐만 아니라 모체에 있어서도 위험하다.[간호학대사전]" H01734868 H01734868 Trauma 외상 C3714660 [3.0] 10020105 1A.9.0575 Focus 병리적 과정 H01734871 H01734871 Trauma risk 외상 위험성 C0582456 [3.0] N33.5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accidental tissue processes H01734883 H01734883 Trauma risk deteriorated 외상 위험성 악화됨 [3.0] N33.5.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34896 H01734896 Trauma risk improved 외상 위험성 개선됨 [3.0] N33.5.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34900 H01734900 Trauma risk stabilized 외상 위험성 안정됨 [3.0] N33.5.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38008 H01738008 Treatment 치료 [3.0] 1A.9.0576 Focus 질환이나 장애에 대처할 목적으로 한 환자의 처치와 보호. H01738011 H01738008 Treatment 처치 [3.0] 1A.9.0576 Focus 질환이나 장애에 대처할 목적으로 한 환자의 처치와 보호. H01738217 H01738217 Tremor 진전 C0040822 [3.0] R25.1 10020146|10022846 1A.01.01.01.12.01.01.03 Focus|DC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노인이 의도적인 동작을 할 때 진전이 증가되면서 의도하지 않은 율동적 떨림, 떨림 발작, 골격근의 대립근에 비수의적인 근육 수축과 이완이 번갈아 발생하는 것으로 가족력이 있거나, 신경퇴행질환의 유전적 경향과 관련됨" H01738220 H01738217 Tremor 떨림 C0040822 [3.0] R25.1 10020146|10022846 1A.01.01.01.12.01.01.03 Focus|DC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노인이 의도적인 동작을 할 때 진전이 증가되면서 의도하지 않은 율동적 떨림, 떨림 발작, 골격근의 대립근에 비수의적인 근육 수축과 이완이 번갈아 발생하는 것으로 가족력이 있거나, 신경퇴행질환의 유전적 경향과 관련됨" H01742791 H01704921 Trigeminal neuralgia 삼차신경통 C0040997 [3.0] G50.0 Focus 三叉神經痛 "제5뇌신경의 삼차신경영역(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의 신경통으로 원인불명인 것을 특발성삼차신경통, 원인이 명확한 것을 증후성삼차신경통이라고 한다. 증후성인 것은 충치, 부비강염(副鼻腔炎), 뇌막염, 농양(膿瘍) 기타로 발현하여 일반적으로 전신경을 침범하고 지속성통증을 호소 하고, 특발성의 경우는 전격성(電擊性) 발작성통증을 호소한다. 다같이 각 신경이 골면에서 나오는 부위에 압통(壓痛, 발레의 3압통점)이 있다. 발작은 자극으로 인해서 생기며 일정한 유발부위(誘發部位)가 있는 일이 많다. 증후성의 경우는 원인요법을 행한다. 특발성의 경우는 테그레톨의 내복, 알코올에 의한 신경절블록, 신경절단을 실시하는데 효과는 일정 하지 않다.[간호학대사전]" H01745535 H01745535 Trismus 입벌림장애 C0041105 [3.0] 1A.9.0577 Focus "1) 삼차신경(三叉神經)의 운동장애, 특히 저작근(咀嚼筋)의 경련으로 개구불능을 수반한다. 파상풍(破傷風)의 초기 특징." 2) 개구운동이 제한되어 입을 충분히 벌리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에 따라서 염증성 관절성 신경성 등으로 나뉘어진다. 염증성 개구장애는 악골염(顎骨炎) 봉소직염(蜂巢織炎) 지치주위염(智齒周圍炎);편도주위염ㆍ농양등에 관련해서 교근(咬筋) 내외익돌근(内外翼突筋) 협근 및 주위 연조직에 염증이 미치면 일어난다. 관절성개구장애는 인플루엔자 치성악염(齒性顎炎) 이하선염 또는 의치 충전물에 의한 교합장애 타박등에 의한 하악관절염 류머티성 하악관절염 등에 의해 생긴다. 신경성개구 장애는 신경의 말초 또는 중추에 신경이 가해지고 조작근의 연축을 일으켜서 생긴다. 히스테리 간질 뇌질환 " 삼차신경통 등에 관련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748363 H01748363 Trunk 몸통 C0460005 [3.0] 10020180 1F.18.08 Location 신체 부분 H01750434 H01750434 Tube 관 C1561954 [3.0] 10020216 1A.9.0015 Means 수송기구 H01750447 H01750434 Tube 튜브 C1561954 [3.0] 10020216 1A.9.0015 Means 수송기구 H01755207 H01116802 Tumor 종양 C0027651 [3.0] C00-D48 Focus 조절할 수 없이 계속 진행되는 세포분열에 의한 조직의 새로운 증식 및 증대. 신생물.[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756900 H01756900 Twin pregnancy 쌍둥이임신 C0152150 [3.0] O30.0 1A.9.0058 Focus "두 개의 임란(妊卵)이 부인태내(婦人胎內)에 착상하고 있는 상태가 쌍태임신이다. 조산, 임신중독증을 일으키기 쉽다.[간호학대사전]" H01757711 H01757711 Tympanic membrane 고막 C0041445 [3.0] Location 소리를 전달하는 외이도 끝에 위치하는 타원형의 얇은 막. H01758342 H01758355 Type 유형 C0332307 [3.0] 1A.9.0439 Focus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또는 그 틀에 속하는 것.[표준국어대사전] H01762205 H01762205 Ulcer 궤양 C0041582 [3.0] 10020237 1A.01.01.01.10.03.05 Focus "상처: 개방된 미란이나 병변, 심부조직의 손실, 동그란 분화구 모양의 병변, 혈액공급의 감소, 붉은 과립형 조직, 황색의 지방 괴사, 상처의 냄새, 상처주변의 쓰림, 통증, 염증성 감염이나 악성 진행과정과 관련된 염증성 괴사 조직의 딱지 형성." H01763463 H01763463 Ulna 자뼈 C0041600 [3.0] Location "전완(前腕:팔뚝)을 구성하는 2개의 뼈 중 안쪽에 있는 뼈를 말하는데, 전완의 다른 1개의 뼈[橈骨]보다 길며, 22∼24cm로 위쪽은 굵고 아래쪽은 가늘며 양 끝과 중간부의 척골체로 구별됨." H01763476 H01763463 Ulna 척골 C0041600 [3.0] Location "전완(前腕:팔뚝)을 구성하는 2개의 뼈 중 안쪽에 있는 뼈를 말하는데, 전완의 다른 1개의 뼈[橈骨]보다 길며, 22∼24cm로 위쪽은 굵고 아래쪽은 가늘며 양 끝과 중간부의 척골체로 구별됨." H01763853 H01763853 Ulorrhagia 잇몸출혈 C1407942 [3.0] Focus "1) 잇몸 가장자리에 일어나는 출혈. 잇몸염, 이틀 고름 샛길 따위의 국소적 원인과 괴혈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혈액 질환 따위의 전신적 원인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2) 치은(잇몸) 변연부의 출혈. 주로 치은염이나 치조농루증 때문에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는 사과를 먹거나 칫솔 사용 때에 보인다. 출혈은 그리 많지 않고 곧 멈추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밖에 혈우병 ·중증빈혈증 ·자반병 ·백혈병 ·무과립세포증 ·괴혈병 등의 전신질환에서 일어나는 출혈도 있으나 그것은 자연적으로 나타나고 또 출혈이 멈추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는 원인이 국소적인 경우에는 그 조치를 하고 " 전신적인 경우에는 지혈조치를 행함과 동시에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한다.[두산백과]""" H01763866 H01763853 Ulorrhagia 치은출혈 C1407942 [3.0] Focus "1) 잇몸 가장자리에 일어나는 출혈. 잇몸염, 이틀 고름 샛길 따위의 국소적 원인과 괴혈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혈액 질환 따위의 전신적 원인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2) 치은(잇몸) 변연부의 출혈. 주로 치은염이나 치조농루증 때문에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는 사과를 먹거나 칫솔 사용 때에 보인다. 출혈은 그리 많지 않고 곧 멈추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밖에 혈우병 ·중증빈혈증 ·자반병 ·백혈병 ·무과립세포증 ·괴혈병 등의 전신질환에서 일어나는 출혈도 있으나 그것은 자연적으로 나타나고 또 출혈이 멈추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는 원인이 국소적인 경우에는 그 조치를 하고 " 전신적인 경우에는 지혈조치를 행함과 동시에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한다.[두산백과]""" H01764469 H00602593 Ultrasonography 초음파검사 C0041618 [3.0] W42 2C.9.0154 Means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보다 주파수가 큰 음파를 인체 내부로 전파시켰을 때 체내 연조직에서 반사된 음파로 얻어진 반사 영상을 이용한 검사[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764944 H01764944 Umbilical cord 탯줄 C0041633 [3.0] Location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여 모체와 태아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일어나는 통로로서 가늘고 긴 띠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Hematopoietic stem cell의 다량 함유." H01764957 H01764944 Umbilical cord 제대 C0041633 [3.0] Location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여 모체와 태아 사이의 물질 교환이 일어나는 통로로서 가늘고 긴 띠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2개의 동맥과 1개의 정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Hematopoietic stem cell의 다량 함유." H01765059 H01765059 Umbilical hernia 배꼽탈장 C0019322 [3.0] K42 1A.9.0389 Focus "흑인, 여아, 미숙아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개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나서 1세경 없어진다. 아기가 울 때나 기침할 때, 힘쓸 때 탈장 부위가 튀어나오지만, 다시 섬유 제륜 속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탈장 부위 안으로 장망이나 소장이 밀려들어갈 수 있으나 장감돈은 드물다. 배꼽 헤르니아는 크기가 5~6cm로 큰 것도 대개 5~6세경 저절로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과적 수술은 장감돈이 되거나 1~2세경에도 계속 커질 때 시행하며, 테이프로 붙여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두산백과]" H01765172 H01765172 Umbilical region 배꼽부위 C3887539 [3.0] 10020259 Location 신체 부분 H01765312 H01765325 Umbilicus 제 C0041638 [3.0] Location 臍 신체 부분 H01765325 H01765325 Umbilicus 배꼽 C0041638 [3.0] 10020259 Location 신체 부분 H01766276 H00967981 Underweight 체중미달 C0041667 [3.0] 10020263|10027316 Focus|DC 체중 이상 H01767591 H01767591 Unilateral 한쪽 C0205092 [3.0] 10026732 1E.03.01 Location 편측 양측 위치 H01767687 H01767687 Unilateral neglect 편측성지각장애 C0150088 [3.0] Q44.6 10034478|10033573 1A.01.01.02.01.01.02.02.04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Lack of awareness of one side of the body 신체의 한쪽 편의 인식결핍 H01767690 H01767690 Unilateral neglect deteriorated 편측성지각장애 악화됨 [3.0] Q44.6.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67703 H01767703 Unilateral neglect improved 편측성지각장애 개선됨 [3.0] Q44.6.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67716 H01767716 Unilateral neglect stabilized 편측성지각장애 안정됨 [3.0] Q44.6.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69229 H01769229 Universal precautions 일반적주의 C0085204 [3.0] K3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Practices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s and infectious diseases H01777109 H01777109 Upper airway 상기도 C0225377 [3.0] Location 기도의 윗부분. 비강(鼻腔)·구강(口腔)·인두(咽頭)·후두(喉頭)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 H01777124 H01777124 Upper arm 위팔 C0446516 [3.0] Location "위팔로, 어깨에서 팔꿈치까지의 부분을 뜻하는 용어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777207 H01777207 Upper extremity 팔 C1140618 [3.0] 10002504 1F.01.07 Location 신체 부분 H01777210 H01777207 Upper extremity 상지 C1140618 [3.0] 10002504 1F.01.07 Location 신체 부분 H01777276 H01777263 Upper eyelid 위눈꺼풀 C0585636 [3.0] Location 눈의 위쪽 가장자리에서 내려오는 얇고 움직이는 근육질 막. 눈꺼풀은 눈을 보호하며 눈물을 흘려 노폐물을 내보낸다. 속눈썹을 떠는 것은 매우 흔하다.[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01777289 H01777263 Upper eyelid 상안검 C0585636 [3.0] Location 눈의 위쪽 가장자리에서 내려오는 얇고 움직이는 근육질 막. 눈꺼풀은 눈을 보호하며 눈물을 흘려 노폐물을 내보낸다. 속눈썹을 떠는 것은 매우 흔하다.[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01777387 H01777207 Upper limb 팔 C1140618 [3.0] 10002504 1F.01.07 Location 신체 부분 H01777390 H01777207 Upper limb 상지 C1140618 [3.0] 10002504 1F.01.07 Location 신체 부분 H01777568 H01777641 Upper respiratory infection 상기도 감염 C0041912 [3.0] 1A.9.0581.S.001 Focus "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ㆍ기관ㆍ기관지ㆍ폐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상기도와 하기도로 나눈다. 상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를 포함하는데 임상적으로는 기관부근까지를 상기도로 넣는 수도 있다. 이 부위의 감염증을 총칭해서 상기도 감염이라고 한다. 감기증후군이라고 하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다. 이밖에 세균성 급성 편도선염등, 호흡기 감염 가운데서 가장 흔한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1777641 H01777641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상기도 감염 C0041912 [3.0] 1A.9.0581 Focus "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ㆍ기관ㆍ기관지ㆍ폐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상기도와 하기도로 나눈다. 상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를 포함하는데 임상적으로는 기관부근까지를 상기도로 넣는 수도 있다. 이 부위의 감염증을 총칭해서 상기도 감염이라고 한다. 감기증후군이라고 하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다. 이밖에 세균성 급성 편도선염등, 호흡기 감염 가운데서 가장 흔한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1778215 H00315032 Uranoschisis 구개열 C0008925 [3.0] Q35.9 1A.9.0104 Focus "선천적 기형의 하나이고 태생기에 양구개의 융합이 불완전하게 된 것. 그 정도에 따라서 완전구개열, 불완전구개열, 연구개열이 있고 점막의 파열이 없는 것을 점막하 구개열이라고 한다. 원인으로서는 유전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데 태생초기의 여러가지 인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포유력부전으로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개비성(開鼻聲)과 함께 언어장애가 문제가 된다. 치아나 교합의 이상, 중이(中耳)의 감염을 가져오기 쉽다. 수술은 비강과 구강의 격벽을 만드는 것, 비인강(鼻咽腔) 폐쇄기능을 양호하게 해서 언어장애를 예방ㆍ개선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술뒤 언어훈련을 필요로 하는데 언어치료의 면에서 수술의 시기는 2세전후가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1781794 H01781794 Urethra 요도 C0041967 [3.0] 10020339 1F.19.03 Location 요관계 구성요소 H01782175 H02719946 Urethral meatus 요도구멍 C0227744 [3.0] N36.2 Location "방광에 모아진 오줌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관으로, 오줌길이라고도 함." H01782188 H02719946 Urethral meatus 요도구 C0227744 [3.0] N36.2 Location "방광에 모아진 오줌을 몸 밖으로 내보내는 관으로, 오줌길이라고도 함." H01783171 H01783212 Urge urinary incontinence 긴박성요실금 C0150045 [3.0] T49.5 1A.01.01.01.09.02.01.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 Involuntary passage of urine following a sense of urgency to void 긴박감 후에 따르는 불수의적 요배설 H01783183 H01783183 Urge urinary incontinence deteriorated 긴박성요실금 악화됨 [3.0] T49.5.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196 H01783196 Urge urinary incontinence improved 긴박성요실금 개선됨 [3.0] T49.5.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200 H01783200 Urge urinary incontinence stabilized 긴박성요실금 안정됨 [3.0] T49.5.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225 H01783212 Urge incontinence 절박찔끔증 C0150045 [3.0] N39.40 10026882 1A.01.01.01.09.02.01.03 Focus 요실금: 배뇨의 긴급한 감각 후에 재빠르게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소변의 손실. H01783238 H01783212 Urge incontinence 절박새기증 C0150045 [3.0] N39.40 10026882 1A.01.01.01.09.02.01.03 Focus 요실금: 배뇨의 긴급한 감각 후에 재빠르게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소변의 손실. H01783586 H01783599 Urinalysis 요검사 C0042014 [3.0] Means "1) 소변의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전신의 상태, 병변(病變)을 알아내는 진단법.[두산백과] 3) 소변을 이용한 물리적, 생화학적 검사의 통칭[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783656 H01783656 Urinary catheter care 도뇨관간호 C0455035 [3.0] T60.0 10033277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use of a urinary catheter H01783669 H01783669 Urinary catheter insertion 도뇨관삽입 C0042019 [3.0] T60.1 2A.9.004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 Actions performed to place a urinary catheter into the bladder 방광내로 도뇨관을 삽입하기 위해 수행되는 활동 H01783671 H01783671 Urinary catheter irrigation 도뇨관세척 C0150500 [3.0] T6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flush a urinary catheter H01783701 H01783701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배뇨장애 C0231365 [3.0] T49.0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excretion of the waste matter of the kidneys H01783713 H01783713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deteriorated 배뇨장애 악화됨 [3.0] T49.0.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726 H01783726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improved 배뇨장애 개선됨 [3.0] T49.0.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739 H01783739 Urinary elimination alteration stabilized 배뇨장애 안정됨 [3.0] T49.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741 H01783741 Urinary incontinence care 요실금간호 C0150399 [3.0] T72.0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the inability to retain and/or involuntary retain urine H01783767 H01497270 Urinary retention 소변정체 C0080274 [3.0] T49.6 10034631|10034654 1A.01.01.01.09.02.0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Incomplete emptying of the bladder 방광을 불완전하게 비움 H01783770 H01783770 Urinary retention deteriorated 소변정체 악화됨 [3.0] T49.6.3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782 H01783782 Urinary retention improved 소변정체 개선됨 [3.0] T49.6.1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795 H01783795 Urinary retention stabilized 소변정체 안정됨 [3.0] T49.6.2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83824 H01783824 Urinary bladder 방광 C0005682 [3.0] 10020360 1F.19.04 Location 요관계 구성요소 H01783893 H01783907 Urinary continence 소변참기 C0542565 [3.0] 10026745|10027836 Focus|DC 배설 조절 능력 상태 H01783935 H01783935 Urinary elimination component 배뇨요소 C0184510 [3.0] T 생리적 요소 배뇨요소 사정(간호요소) Cluster of elements that involve the genitourinary system. H01783976 H00674552 Urinary frequency 빈뇨 C0042023 [3.0] 10046682 Focus|DC H01784024 H01776144 Urinary incontinence 요실금 C0042024 [3.0] R32 10026895|10025686 1A.01.01.01.09.02.01 Focus|DC 배설 조절 능력 상태: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수의적 조절의 실패로 인한 불수의적인 배뇨. H01784037 H01776144 Urinary incontinence 오줌지림 C0042024 [3.0] R32 10026895|10025686 1A.01.01.01.09.02.01 Focus|DC 배설 조절 능력 상태: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수의적 조절의 실패로 인한 불수의적인 배뇨. H01784078 H01776144 Urinary incontinence 오줌새기 C0042024 [3.0] R32 10026895|10025686 1A.01.01.01.09.02.01 Focus|DC 배설 조절 능력 상태: 방광과 요도괄약근의 수의적 조절의 실패로 인한 불수의적인 배뇨. H01784259 H01784259 Urinary tract 요로 C0042027 [3.0] Location "오줌을 몸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도관(導管). 신장, 수뇨관, 방광, 요도로 이루어져 있음." H01784385 H01784401 Urinary urgency 요절박 C0085606 [3.0] Focus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784401 H01784401 Urinary urgency 소변못참음 C0085606 [3.0] Focus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784414 H01061596 Urination 소변보기 C0042034 [3.0] 10020450 Focus 비뇨기계 과정 H01784427 H01061596 Urination 배뇨 C0042034 [3.0] 10020450 Focus 비뇨기계 과정 H01784471 H01784468 Urine 소변 C0042036 [3.0] 10020478 2B.02.01.01.01.01.01.02.02.03 Focus 신체 구성물질 H01784500 H01784500 Urine specimen care 소변검사간호 C1171223 [3.0] K32.3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llect and/or examine a sample of urine H01784611 H01784611 Urine glucose 요당 [3.0] Focus - | trace | +1 | +2 | +3 |+ 4 소변 H01784791 H01784791 Urinometer 요비중계 C0184233 [3.0] 1A.9.0588 Focus 소변의 비중을 측정하는 도구[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1786234 H01786234 Urticaria 두드러기 C0042109 [3.0] L50 1A.9.0589 Focus "평탄하거나 다소 팽융(膨隆)된 발진(發疹)을 일시적으로 나타내는 피부의 혈관성반응, 주위조직보다 붉은 듯하거나 창백함을 띠며, 때때로 심한 가려움을 가져오고, 발진은 2일이상 길게 계속되는 일은 드물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기도 한다. 어떤 종류의 식물(굴,조개 등), 약물(페니실린 등), 감염, 감정적 stress가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H01786805 H01786805 Uterine contraction 자궁수축 C0042130 [3.0] 10020523 Focus 생식기계 과정: 분만의 초기에는 부드럽게 진행하다가 점차 강해지는 자궁 상분절 근조직의 주기적이고 통증이 수반된 조임; 자궁의 크기를 줄이며 자궁을 완전히 확장시켜 태아가 산도를 통해 나올 수 있도록 2분마다 발생하며 1분간 지속됨. H01787046 H02723615 Uterine prolapse 자궁 탈출 C0042140 [3.0] N81.4 Focus 子宮脫出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 자궁이 아래로 내려가는 질환.[두산백과] H01787061 H02723615 Uterine prolapse 자궁 탈출증 C0042140 [3.0] N81.4 Focus 子宮脫出症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 자궁이 아래로 내려가는 질환.[두산백과] H01787157 H01787160 Uterine tube 난관 C0015560 [3.0] Location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튜브 모양의 기관. H01787160 H01787160 Uterine tube 자궁관 C0015560 [3.0] Location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튜브 모양의 기관. H01787451 H01787451 Uterotonic 자궁수축제 [3.0] Means "자궁평활근에 직접 작용해서 긴장, 수축운동을 높이는 약물이며, 분만유발, 분만 후의 이완출혈의 방지, 불완전 유산의 잔류물 배출 등의 목적으로 쓰인다. 맥각(麥角) 알칼로이드류(에르고메트린, 메르고타민, 메틸에르고 메트린, 스파르테인 등), 뇌하수체 후엽호르몬의 옥시토신, 프로스타글랜딘 F2α가 사용되고 있다. 자주 사용되는 것은 나중의 2종류이다.[간호학대사전]" H01787604 H01787604 Uterus 자궁 C0042149 [3.0] 10020547 1F.19.07 Location 여성생식기계 H01788124 H01788137 Uvula 구개수 C0042173 [3.0] Location 목구멍의 안쪽 뒤끝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민 둥그스름한 살. 목젖은 구강과 인두의 경계에 해당하지만 무엇을 마실 때에는 인두의 후벽에 붙는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788137 H01788137 Uvula 목젖 C0042173 [3.0] Location 목구멍의 안쪽 뒤끝에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민 둥그스름한 살. 목젖은 구강과 인두의 경계에 해당하지만 무엇을 마실 때에는 인두의 후벽에 붙는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788641 H01788641 Vaccination 예방접종 C0042196 [3.0] 10031537 2B.02.01.02.14.14 Focus 요법 H01788932 H02882229 Vaccine 백신 C0042210 [3.0] Y14 10020568 2C.01.14.14 Means 약품 H01789551 H01789551 Vagina 질 C0042232 [3.0] 10020575 1F.20.01 Location 체강 H01789618 H02725270 Vaginal discharge 질 분비물 C0227791 [3.0] N89.8 10043320 1A.9.0592 Focus "투명하거나 진줏빛의 분비물은 정상. 분비물의 양과 특성은 월경 주기나 생식기계 활성화 기간에 따라 여성마다 다르며 초경 전이나 폐경 후 분비물의 양은 가임기 떄보다 적다. 분비물은 내경부샘(endocervical gland)의 분비물이 대부분이다. 질이나 경부의 염증 상태는 분비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악취나 회음, 외음부의 소양감을 초래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1789716 H00343467 Vaginal bleeding 질 출혈 C2979982 [3.0] 10043924|10043930 1A.9.0591 Focus|DC "월경 외에 질을 통해 혈액이 유출되는 비정상적인 상태. 자궁이나 자궁경부의 기형, 복부 임신, 내분비 이상, 하나 또는 2개의 난소나 나팔관의 이상, 질의 기형으로 인해 초래된다. 질출혈 양의 정도는 heavy vaginal bleeding(보통 월경량보다 많은 경우), moderate vaginal bleeding(정상 월경량 정도), light vaginal bleeding(월경량보다 적은)으로 표현한다. Vaginal staining은 생리대가 거의 필요하지 않은 정도로 출혈이 있는 경우이며 vaginal spotting은 몇 방울의 혈액이 나온 경우, bloody show는 진통 초기나 진통중, 특히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린 분만1기에 경부의 모세혈관협착으로 나타나는 질출혈을 의미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1790249 H01790249 Vaginal spotting 점상질출혈 C0728993 [3.0] Focus 몇 방울의 혈액이 나온 경우의 질출혈 H01791926 H01791926 Valsalva maneuver 발살바조작 C0042293 [3.0] Means "심호흡뒤에 입과 콧구멍을 막고 숨을 내뱉으려고 배에 힘을 주는 조작(操作)을 말한다. 부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효과, 흉강내압(胸腔内压)을 높여서 정맥환류(靜脈还流)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자율신경기능검사법(自律神經機能檢査法)으로서, 또 순환동태(循环動態)의 부하시험(負荷試驗)으로서 사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1791954 H01791954 Value 가치 [3.0] 10020599 1A.9.0440 Focus 신념: 무엇이 선하고 나쁜지에 대한 개인의 견해에 따라 행동을 유지하고 포기하는 성향. H01792919 H01792921 Variability 변동성 C2827666 [3.0] 1A.9.0593 Focus 바뀌어 달라지는 성질.[표준국어대사전] H01794130 H01794044 Varicose vein 정맥류 C0042345 [3.0] Focus 靜脈瘤 "확장되고 늘어난 정맥으로 일반적으로 넙다리의 피하조직에서 볼 수 있으며, 정맥판의 부족을 동반한다. 근본적인 치료는 확장된 정맥류의 절제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795135 H01795135 Vascular system care 혈관계간호 C3251808 [3.0] S82.0 생리적 요소 조직관류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problems of the vascular system H01796270 H01796270 Vasodilator 혈관확장제 C0042402 [3.0] Means "기관, 조직에 대한 혈류량이 감소하면 그 기관, 조직의 기능의 장애를 받아 통증이 생기고 더 나아가 조직의 괴사가 생긴다. 이러한 것에 대해서 혈관확장약이 사용되고 목적에 따라서 관혈관(冠血管) 확장제(협심증 치료약)와 말초혈관(피부, 근, 뇌의 혈관) 확장제로 나눈다. 관혈관 확장제에는 아초산 화합물(아초산 아밀, 니트로글리세린 등), 크산틴유도체(테오피린, 다이피린 등) 디필리다몰, 프레닐라민, 파파베린 등이 있으며 말초혈관 확장제에는 사이클란텔레이트, 6니코틴산 이노시톨, 자율신경 차단약, 항 α약, β작용약 등이 있다. 혈관확장약은 넓은 뜻으로 해석하면 항고혈압작용을 하는 약물까지 포함되는데 일반적으로는 위의 개념이다.[간호학대사전]" H01796660 H01796660 Vasopressin 바소프레신 C0042413 [3.0] Means "항이뇨호르몬이라고도 하는 아미노산 8개로 된 옥타펩타이드. 시상하부의 실방핵(室傍核) 및 시상핵에 있는 신경분비세포에 의해서 형성된다. 축색은 하수체후엽에 이르고(시상하부 하수체로), 거기에서 혈중으로 방출된다. 신장의 원위세뇨관에 작용해서 수분의 재흡수를 촉진한다. 침투압수용기나 순환계의 수용기에서 피드백을 받아서 체액량 조절의 중요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고농도주사하면 ACTH분비촉진, 혈압상승, 혈당상승, 자궁수축, 장관수축등의 작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796714 H01796714 Vasopressor 혈압상승제 C0042397 [3.0] Means "혈관수축제ㆍ쇼크, 저혈압일 때에 혈압을 상승시키는 약제를 가리킨다. 이른바 카테콜아민으로 일컬어지는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약물이 대부분이고 주로 말초혈관을 수축해서 혈압을 상승시키는 것인데 그중에는 심근에 직접 작용해서 심장수축력을 증강하는 작용이 있는 것도 있다. 노르에편네프린(네오시네프린), 메톡 사민, 메타라미놀, 도파민, 도부타민, 에틸페니레프린, 아이소프로테레놀, 에페르린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1797497 H01797497 Vein 정맥 C0042449 [3.0] 10020665 1F.20.02 Location 혈관 H01798854 H01798854 Venous catheter care 정맥관간호 C0184589 [3.0] F79.2 기능적 요소 체액량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use of a venous infusion site H01799222 H01799222 Venous return 복귀정맥혈 [3.0] Focus 상하의 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에 단위시간에 유입하는 혈액량. 평형상태에서 심박출량과 같다.[간호학대사전] H01799291 H01794098 Venous ulcer 정맥 궤양 C0042344 [3.0] I83.0 10020683|10030100 1A.01.01.01.10.03.05.01 Focus|DC "궤양: 보통 다리의 복사뼈위에 생기는 동그란 분화구 모양의 병변, 상처주변의 부종, 상처주변의 건조, 박리되는 갈색 또는 변색된 피부, 지방피부경화, 피부위축, 피부발진, 만성 정맥부전증으로 인한 통증과 상처통증, 손상된 정맥판, 다리에서 신체 중앙부로의 정맥귀환의 감소 동반." H01799416 H01799416 Ventilation 환기 [3.0] 10020704 1A.01.01.01.01.01 Focus "호흡기계 과정: 특정 호흡수, 리듬, 흡기의 깊이와 호기의 강도로 폐로 공기가 들어오고 나가는 움직임." H01799514 H01799514 Ventilator care 인공호흡기간호 C0184634 [3.0] L36.4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nd monitor the use of a ventilator H01799568 H01799568 Ventilatory weaning impairment 인공호흡기제거장애 C1999008 [3.0] L56.0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진단(간호진단) Inability to tolerate decreased levels of ventilator support H01799571 H01799571 Ventilatory weaning impairment deteriorated 인공호흡기제거장애 악화됨 [3.0] L56.0.3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99583 H01799583 Ventilatory weaning impairment improved 인공호흡기제거장애 개선됨 [3.0] L56.0.1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799596 H01799596 Ventilatory weaning impairment stabilized 인공호흡기제거장애 안정됨 [3.0] L56.0.2 생리적 요소 호흡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00237 H01800240 Ventricular fibrillation 심실잔떨림 C0042510 [3.0] 1A.9.0442 Focus "1) 심실근의 섬유성 수축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맥, 심실에서 빠르고 조화되지 않은 불규칙한 수축에 의하여 심근섬유가 반복자극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듯하다. 아직 그 원인은 불분명하나 두 가지 가설이 있다. (1) 선회운동설(2) 이소성충동원설. 2) 심실이 1개의 펌프로서 수축하지 않고 부분마다 수축하는 상태를 말하며 전기적으로는 리엔트리로 설명된다. 심실로부터의 혈액의 박출은 거의 없이 수분간 이어지면 사망한다. 돌연사의 주요원인이다. 급성심근경색, 디지탈리스 중독외에 클로로포름이나 사이클로판 마취, 아드레날린 중독, 심장외상, 감전,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 등일 때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치료로서는 전기쇼크에 의한 재세동 밖에 없다. 다원성 심실성 기외수축 short run, R on T는 심실세동의 전구증상으로 생각되고 리도카인의 점적 정맥주사 등의 예방적 처치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1800240 H01800240 Ventricular fibrillation 심실세동 C0042510 [3.0] 1A.9.0442 Focus "1) 심실근의 섬유성 수축을 특징으로 하는 부정맥, 심실에서 빠르고 조화되지 않은 불규칙한 수축에 의하여 심근섬유가 반복자극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듯하다. 아직 그 원인은 불분명하나 두 가지 가설이 있다. (1) 선회운동설(2) 이소성충동원설. 2) 심실이 1개의 펌프로서 수축하지 않고 부분마다 수축하는 상태를 말하며 전기적으로는 리엔트리로 설명된다. 심실로부터의 혈액의 박출은 거의 없이 수분간 이어지면 사망한다. 돌연사의 주요원인이다. 급성심근경색, 디지탈리스 중독외에 클로로포름이나 사이클로판 마취, 아드레날린 중독, 심장외상, 감전, 고칼륨혈증, 저칼륨혈증 등일 때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 치료로서는 전기쇼크에 의한 재세동 밖에 없다. 다원성 심실성 기외수축 short run, R on T는 심실세동의 전구증상으로 생각되고 리도카인의 점적 정맥주사 등의 예방적 처치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1800265 H01800265 Ventricular flutter 심실조동 C0152173 [3.0] Focus 심장이 통제되어 규칙적인 수축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액의 박출(搏出)이 거의 안되는 상태.심전도상의 파상(波狀)이 매분 170∼300인 것을 조동이라함. H01800278 H01800265 Ventricular flutter 심실된떨림 C0152173 [3.0] Focus 심장이 통제되어 규칙적인 수축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혈액의 박출(搏出)이 거의 안되는 상태.심전도상의 파상(波狀)이 매분 170∼300인 것을 조동이라함. H01800376 H01800376 Ventricular premature beat 심실조기박동 C0151636 [3.0] 1A.9.0443 Focus "심실내에서 자극이 발생한 기외수축을 심실성 기외 수축이라고 한다. 심실성 기외수축의 심전도상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대상성으로 때로는 간입성(間入性), QRS의 앞에 P파의 선행은 볼수 없다. 기외수축이 나타나면 대개의 경우 동계나 맥이 하나 빠지는 것으로 느낀다.[간호학대사전]" H01800389 H01800376 Ventricular premature beat 심실주기외박동 C0151636 [3.0] 1A.9.0443 Focus "심실내에서 자극이 발생한 기외수축을 심실성 기외 수축이라고 한다. 심실성 기외수축의 심전도상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대상성으로 때로는 간입성(間入性), QRS의 앞에 P파의 선행은 볼수 없다. 기외수축이 나타나면 대개의 경우 동계나 맥이 하나 빠지는 것으로 느낀다.[간호학대사전]" H01800781 H01800794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빠른맥 C0042514 [3.0] I47.2 1A.9.0444 Focus "1) 이소성(異所性) 심실흥분(넓은 QRS군)을 동반한 비정상적 급속 심실율동.보통 매분 15호를 초과한다. 심실내에서 발생하며, 방실분리와 관계하고 있는 것이 제일 많고 경미부정맥이 일어나는 것도 있다. 보통 자극의 재입로(reentry pathway)가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2) 심장빈맥은 상실성 빈맥과 심실빈맥으로 나뉘어진다. 수분~수시간, 때로는 수일이상 계속하는 경우와 단시간에 수개~20개정도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단발작)이 있다. 발작이 나타나면 심계항진을 느끼고 흉부압박감, 호흡촉진, 불안감을 호소하고 식은땀, 오심, 구토 등을 수반하는 수도 있다. 심박수는 매분 150~250이 된다. 심전도의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심실성 기외수축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형태를 취한다. 심실빈맥증과 감별을 요하는 것으로는 심실조ㆍ세동이 있다. 때로는 심실 조동광의 사이에 여러가지 이행이 있어 어느 쪽인지 결정하지 못하는 수도 있다. 심실빈맥은 심근질환 등, 기질적 질환에 나타나고 때로는 심실세동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실성 빈맥보다도 예후가 나쁜데 비교적 양호한 경우도 있다. 심근경색후에 볼수 있는 것은 예후 불량이다.[간호학대사전]" H01800794 H01800794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성 빈맥 C0042514 [3.0] I47.2 1A.9.0444 Focus "1) 이소성(異所性) 심실흥분(넓은 QRS군)을 동반한 비정상적 급속 심실율동.보통 매분 15호를 초과한다. 심실내에서 발생하며, 방실분리와 관계하고 있는 것이 제일 많고 경미부정맥이 일어나는 것도 있다. 보통 자극의 재입로(reentry pathway)가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2) 심장빈맥은 상실성 빈맥과 심실빈맥으로 나뉘어진다. 수분~수시간, 때로는 수일이상 계속하는 경우와 단시간에 수개~20개정도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단발작)이 있다. 발작이 나타나면 심계항진을 느끼고 흉부압박감, 호흡촉진, 불안감을 호소하고 식은땀, 오심, 구토 등을 수반하는 수도 있다. 심박수는 매분 150~250이 된다. 심전도의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심실성 기외수축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형태를 취한다. 심실빈맥증과 감별을 요하는 것으로는 심실조ㆍ세동이 있다. 때로는 심실 조동광의 사이에 여러가지 이행이 있어 어느 쪽인지 결정하지 못하는 수도 있다. 심실빈맥은 심근질환 등, 기질적 질환에 나타나고 때로는 심실세동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실성 빈맥보다도 예후가 나쁜데 비교적 양호한 경우도 있다. 심근경색후에 볼수 있는 것은 예후 불량이다.[간호학대사전]" H01801441 H01801441 Verbal impairment 언어소통장애 C0566027 [3.0] M28.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진단(간호진단) "Diminished ability to exchange thoughts, opinions, or information through speech" H01801454 H01801454 Verbal impairment deteriorated 언어소통장애 악화됨 [3.0] M28.1.3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01467 H01801467 Verbal impairment improved 언어소통장애 개선됨 [3.0] M28.1.1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01470 H01801470 Verbal impairment stabilized 언어소통장애 안정됨 [3.0] M28.1.2 심리적 요소 역할관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03331 H01803357 Vertigo 현훈 C0042571 [3.0] R42 1A.01.01.01.13.07 Focus "손상된 지각: 혼돈, 오심, 허약감과 동반되어 서 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서 정상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힘든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 H01803344 H01803357 Vertigo 현기증 C0042571 [3.0] R42 10006160 1A.01.01.01.13.07 Focus "손상된 지각: 혼돈, 오심, 허약감과 동반되어 서 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서 정상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힘든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 H01803845 H01803845 Vesicant 수포제 C0042578 [3.0] Means 소수포를 만드는. 수포화. 수포를 만드는 약물 또는 인자. [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사전] H01803858 H01803845 Vesicant 발포제 C0042578 [3.0] Means 소수포를 만드는. 수포화. 수포를 만드는 약물 또는 인자. [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사전] H01806562 H01806562 Vibration 진동 C0455941 [3.0] Means "마사지기법의 하나이고 주로 모지로 압박하면서 진동을 준다. 팔다리의 끝을 약간 흔드는 경우도 있다. 이밖에 새로운 운동기능회복 촉진기술로서 진동자극이 근방추의 흥분을 높이고 구심성 충격을 증가시켜 척수전각신경세포 흥분을 통해서 자극을 받은 근의 지속적 수축을 일으키는 현상을 임상적으로 응용해 기계로 100~200Hz의 진동자극을 목표근의 근복, 또는 건상(腱上)에 주고 자극된 근의 지속적 수축과 이에 길항하는 근의 이완을 일으키게 하는것 까지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1806588 H01806588 Vibrator 진동기 C0184304 [3.0] 2C.9.0158 Means 질환의 역학적 치료에 쓰이는 기구. H01809486 H01809486 Vigor 활력 [3.0] 10006899 1A.9.0595 Focus 재료: 사용가능한 힘의 원천. H01810091 H01810091 Violence control 폭력조절 C3162149 [3.0] N68.0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behaviors that may cause harm to oneself or others H01810105 H01810105 Violence risk 폭력 위험성 C0231418 [3.0] N34.0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진단(간호진단) Increased chance of harming self or others H01810118 H01810118 Violence risk deteriorated 폭력 위험성 악화됨 [3.0] N34.0.3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0121 H01810121 Violence risk improved 폭력 위험성 개선됨 [3.0] N34.0.1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0133 H01810133 Violence risk stabilized 폭력 위험성 안정됨 [3.0] N34.0.2 건강행위 요소 안전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2106 H01812106 Visceral pain 내장 통증 C0234245 [3.0] 10020801 1A.01.01.01.13.01.04 Focus "통증: 심막, 골막, 장내 점막층과 같은 장기를 덮는 기관에서 발 생하는 통증; 내장통은 다소 제한적이나 종종 침범된 영역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통증이 느껴짐; 통증은 보통 심도 깊고 묵직하고, 에는 듯하고, 사그라 들지 않고, 구역질나고 숨막힐 듯한 느낌과 함께 꽉 조이는 듯하다고 보고됨." H01812705 H01812705 Vision care 시력간호 C0150177 [3.0] Q50.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vision problems H01812914 H01812914 Visual alteration 시각장애 C0547030 [3.0] Q44.7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진단(간호진단) Change in or modification of diminished ability to see H01812927 H01812927 Visual alteration deteriorated 시각장애 악화됨 [3.0] Q44.7.3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2930 H01812930 Visual alteration improved 시각장애 개선됨 [3.0] Q44.7.1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2942 H01812942 Visual alteration stabilized 시각장애 안정됨 [3.0] Q44.7.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2968 H01812968 Visual acuity 시력 C0042812 [3.0] Focus 눈을 가지고 정확히 보아 식별할 수 있는 능력.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함. 5m 밖에서 시력표를 보아 2/3이상 읽을 수 있는 최대 시력을 시력으로 정함. H01813085 H01813085 Visual analogue scale 시각아날로그척도 C3536884 [3.0] Means 시각척도는 일정한 직선위에 통증의 정도를 표시하게 하는 방법. H01813336 H01813351 Visual disturbance 시력장애 C0547030 [3.0] H53.9 Focus "선천적, 후천적 원인으로 또는 확실히 구별할 수 없는 원인으로 눈의 기능이 저하되어 사물을 잘 볼 수 없는 상태를 말함." H01813349 H01813351 Visual disturbance 시각장애 C0547030 [3.0] H53.9 Focus "선천적, 후천적 원인으로 또는 확실히 구별할 수 없는 원인으로 눈의 기능이 저하되어 사물을 잘 볼 수 없는 상태를 말함." H01813475 H01813475 Visual field 시야 C0042826 [3.0] Focus "한 점을 주시하였을 때 눈을 움직이지 않고 볼 수 있는 범위 즉, 눈을 한 곳에 고정시킨채, 관찰할 수 있는 주변공간. 물체를 볼때 시선방향에 있는 것은 가장 뚜렷하게 보이고, 주변에 있는 것이라도 불완전하지만 상의 존재를 알 수가 있는데, 전자를 중심시야, 후자를 주변 시야라고 함." H01813684 H00190350 Visual loss 시각 상실 C3665386 [3.0] Focus 물체의 존재나 모양 따위를 분간하는 눈의 능력을 잃어버림. H01813701 H00190350 Visual loss 시력상실 C3665386 [3.0] Focus 물체의 존재나 모양 따위를 분간하는 눈의 능력을 잃어버림. H01814065 H01814065 Vital signs 활력징후 C0150404 [3.0] K33.0 2B.02.02.01.01.01 생리적 요소 신체조절요소 계획(간호중재) Focus "Actions performed to measure temperature, pulse, respiration, and blood pressure" "체온,맥박,호흡,혈압을 측정하는 활동" H01814205 H01814205 Vital sign 활력징후 C0518766 [3.0] 10020829 2B.02.02.01.01.01 Focus 징후 H01814287 H01814287 Vitality 생명력 C0424589 [3.0] 10006899 Focus 재료: 사용가능한 힘의 원천. H01814329 H01814329 Vitamin 비타민 C0042890 [3.0] 10037028 Means 영양 H01815058 H01815128 Vitreous 유리체 C2228511 [3.0] Location "눈알의 속을 채우고 있는 투명하고 연한 물질, 앞쪽은 수정체로, 옆과 뒤쪽은 섬모체의 편평부와 망막으로 둘러싸여 있다. 점착성이 있는 투명한 교질로 되어 있다. 유리체는 안구의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시키고, 광학적으로는 빛을 통과시켜 외계의 물체를 망막에 결상시킴. " H01815254 H01815241 Vitreous hemorrhage 유리체 출혈 C0042909 [3.0] H43.1 Focus "1) 초자체 출혈은 안구천공성 외상, 안내 수술이나 혈액질환을 제외하면 이 루즈병등의 망막정맥 주위염, 진구성 망막정맥 폐색증, 맥없는 병, 혈관 증식형의 당뇨병성 망막증 등의 망막혈관 병변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안정과 지혈제, 혈관강화제, 단백분해효소의 전신투여, 염증성인 것에 대해서는 그 원인요법을 행하고, 흡수불량으로 짙은 혼탁을 남긴 경우에는 초자체 치환술이나 초자체수술이 적용된다.[간호학대사전]" 2) 안구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초자체(유리체) 내부의 출혈. 눈은 안구라고 부르는 직경 2.4cm 정도의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고 그 앞쪽이 우리가 보는 검은자(각막)이다. 축구공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안에 주입되어 있어야 하는 것처럼 눈이 공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눈의 내부를 어떤 물질이 채우고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눈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겔 상태의 투명한 물질을 초자체(vitreous; 유리체)라고 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망막 맥락막 " 모양체의 혈관조직에서 이 초자체(유리체) 내부로 출혈이 생기는 것을 초자체(유리체) 출혈이라고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815590 H01815590 Vocal cord 성대 C0042930 [3.0] Location 후두(喉頭)의 한복판에서 약간 아랫쪽으로 수평위로 보이는 한쌍의 주름. 후두융기[結喉]를 이루는 갑상연골과 윤상연골 상단에 있는 작은 한 쌍의 피열연골(披裂軟骨) 사이에 처진 것. H01815866 H01815866 Voice 목소리 C0042939 [3.0] 1A.9.0600 Focus "발성기관에 의하여 생기며, 입으로부터 나오는 음향." H01817230 H01817338 Vomiting 구토 C0042963 [3.0] R11.2 B04.2 10020864|10025981 1A.01.01.01.05.05.0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진단(간호진단) Focus|DC Expulsion of stomach contents through the mouth 입을 통한 위 내용물의 방출 H01817300 H01817300 Vomiting deteriorated 구토 악화됨 [3.0] B04.2.3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7312 H01817312 Vomiting improved 구토 개선됨 [3.0] B04.2.1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7325 H01817325 Vomiting stabilized 구토 안정됨 [3.0] B04.2.2 생리적 요소 위장관요소 평가(실제결과) H01817521 H01817521 Vomitus 구토물 C0042965 [3.0] Focus "구토(vomiting)에 의해 체외로 배설된 소화관(위, 장)내용물. 위·십이지장액, 음식 내용물, 장내용물, 혈액 등이 있다.[영양학사전]" H01818527 H01818530 Wakefulness 각성 C0043012 [3.0] 10002144 1A.01.01.02.01.01.02.01.01.04.01.01 Focus "상태: 어떤 것에 대해 신중하거나 조심하고, 주의를 기울이고,바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수준." H01818708 H01818708 Walker 보행기 C0043016 [3.0] Means "보행을 보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대형으로 환자를 둘러싼 것같은 금속제 플레임에 캐스터가 부착, 액와(腋窩)에 댐으로서 양쪽액와, 또는 양쪽상완 전체로 체중을 지지해서 걷는 액와지지보행기와, 캐스터가 없이 소형으로 방형의 플레임 위를 쥐고 교대로 움직여서 보행하는 교대보행기의 두가지형이 주된 것이다. 보통은 후자를 훈련목적으로 사용하며 사각에는 각각 막대기앞에 고무가 붙어있다. 교대로는 움직이지 않고 휠체어식 보행기나 막대기에 주한 walker cane등 보행기의 종류는 많다.[간호학대사전]" H01818723 H01818711 Walking 보행 C0080331 [3.0] 10020886 1A.01.01.02.02.01.01.08.09.02 Focus "움직임: 다리를 한걸음씩 움직임으로써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이동하는 것, 몸의 체중을 견디는 능력과 느린, 빠른, 보통의 다양한 속도로 위층, 아래층, 오르막길, 내리막 길을 효율적으로 걸음을 걷는 능력." H01818875 H01818875 Wandering control 배회간호 C1300231 [3.0] D63.0 심리적 요소 인지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abnormal movability H01819440 H01819440 Ward 병동 C1305702 [3.0] 10009133 1A.9.0381.S.001 Location 진료부서 H01819646 H01819646 Wart 사마귀 C3665596 [3.0] 10033306 Focus 감염 H01819883 H01819883 Wasting-thirst 소갈 [3.0] R63.1 2B.02.02.01.05.08.01 Focus 消渴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1819912 H01819912 Water 물 C0043047 [3.0] 10020957 1A.02.01.01.01 Focus "물품: 대부분의 식물과 동물의 생명에 필수적이고, 인간의 발달과 삶에 영향을 주는 수소와 산소의 맑은 액상 복합체." H01820682 H01820682 Watery diarrhea 물설사 C0239182 [3.0] Focus "수분이 장관으로부터 분비항진, 또는 흡수장애에 의해 생기는 물 상태의 설사. 콜레라, 전염성 이질이나 식중독 등의 감염병 외에 졸린거-엘리슨증후군(Zollinger-Ellison syndrome, 가스트린 생산 종양), WDHA(watery diarrhea, hypokalemia, achlorhydria)증후군, VIP 생산 종양 등 소화관호르몬생산 종양에서도 볼 수 있다. 담즙산이나 지방산의 흡수장애가 있을 때에도 확인된다.[영양학사전]" H01820905 H01820905 Wax removal 귀이지제거 C0352068 [3.0] Q49.2 기능적 요소 감각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remove cerumen from the ear H01821231 H01821244 Weakness 쇠약 C3714552 [3.0] 10024897|10022880 1A.9.0604 Focus|DC 손상된 상태 H01821244 H01821244 Weakness 허약 C3714552 [3.0] 10024897|10022880 1A.9.0604 Focus|DC 손상된 상태 H01821301 H01821301 Weaning 젖뗌 C0043084 [3.0] 10020990 Focus 1) 젖먹이가 자라서 젖을 먹지 않게 됨. "2) 젖먹이에게 젖을 그만 먹게 함.[표준국어대사전]""" H01821327 H01821301 Weaning 이유 C0043084 [3.0] 10020990 Focus 1) 젖먹이가 자라서 젖을 먹지 않게 됨. "2) 젖먹이에게 젖을 그만 먹게 함.[표준국어대사전]""" H01822851 H01822851 Weight 체중 C0005910 [3.0] 10021034 1A.9.0605 Focus 신체적 영역 H01822864 H01822864 Weight control 체중조절 C0920298 [3.0] J67.0 기능적 요소 영양요소 계획(간호중재) Actions performed to control obesity or debilitation H01822877 H01822947 Weight gain 체중증가 C0043094 [3.0] 2B.9.0098 Focus "의학적으로 체수분이나 체지방, 근육이나 기타 조직량 등 신체의 질량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근력 운동과 신체 단련을 통한 근육량 증가로 체중이 증가하게 되며, 반대로 운동 부족과 지나친 영양 섭취로 인한 체지방의 과도한 축적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쿠싱증후군, 부종 등의 질환과 관련하여 체중이 증가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824770 H01786234 Wheal 두드러기 C0221232 [3.0] L50.9 1A.9.0589 Focus "평탄하거나 다소 팽융(膨隆)된 발진(發疹)을 일시적으로 나타내는 피부의 혈관성반응, 주위조직보다 붉은 듯하거나 창백함을 띠며, 때때로 심한 가려움을 가져오고, 발진은 2일이상 길게 계속되는 일은 드물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기도 한다. 어떤 종류의 식물(굴,조개 등), 약물(페니실린 등), 감염, 감정적 stress가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H01824852 H01824881 Wheeze 천명 C0043144 [3.0] R06.2 10033334|10030128 1A.9.0607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1824865 H01824881 Wheeze 쌕쌕거림 C0043144 [3.0] R06.2 10033334|10030128 1A.9.0607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1824893 H01824881 Wheezing 천명 C0043144 [3.0] R06.2 10033334 1A.9.0608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1824907 H01824907 Wheezing and dyspnea 효천 C0425488 [3.0] R06.2 Focus 哮喘 효증(哮症)이 발작할 때 늘 숨찬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좁은 의미에서 효증(哮症)을 말하는 것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1825372 H00945418 White blood cell 백혈구 C0023516 [3.0] Means "1) 혈액내에 골수구계세포와 림프계세포, 단핵구계세포를 모두 통틀어 말한다. 백혈구의 증가가 있으면 대개 감염이 있거나, 혹은 탈수현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지나친 백혈구수의 감소는 인체내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음을 의미하며, 다른 질병에 의해 나타나는 이차적인 현상이 아닌지 꼭 진단을 받아보아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적혈구에 비해 큰 세포. 외부로부터 침범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이물질을 탐식, 제거하고 암에 저항하며 우리 몸을 방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체 내에 혈액 1mm [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H01827415 H01827415 Whooping cough 백일해 C0043167 [3.0] A37 Focus 百日咳 "이것은 주로 소아에서 백일해 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상기도(위쪽의 기도를 말함. 즉 인두, 후두, 기관을 말함)감염증이다. 특징적인 갑작스런 큰 기침이 증상으로 나타난다. 치료는 항생제의 투여이며, 때로는 폐렴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백일해에 대한 예방접종을 디프테리아(diphteria), 파상풍(tetanus)과 같이 실시하고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1828588 H01828588 Withdrawal 금단 C2349954 [3.0] 10035422 Focus 상태 H01828826 H01828826 Withdrawal symptom 금단증상 C0087169 [3.0] 10038702|10039947 Focus|DC 증상 H01829165 H01829165 Work 작업 C0043227 [3.0] 1A.9.0609 Focus 일정한 목적과 계획 아래 하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1829263 H01829165 Working 작업 [3.0] 1A.9.0609.S.001 Focus 일정한 목적과 계획 아래 하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1829530 H01829530 Wound 상처 C0043250 [3.0] 10021178 1A.01.01.01.10.03.06 Focus "손상된 신체구조 부분: 주로 물리적, 기계적 손상과 관련된 조직의 병변; 조직의 딱지 형성과 파임; 장액, 혈액, 농성 분비물; 피부 홍반; 부종; 수포가 생기고 짓무른 비정상적인 피부, 피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상처 냄새, 쓰림과 통증." H01829542 H01829530 Wound 창상 C0043250 [3.0] 10021178 1A.01.01.01.10.03.06 Focus "손상된 신체구조 부분: 주로 물리적, 기계적 손상과 관련된 조직의 병변; 조직의 딱지 형성과 파임; 장액, 혈액, 농성 분비물; 피부 홍반; 부종; 수포가 생기고 짓무른 비정상적인 피부, 피부의 온도가 상승하고, 상처 냄새, 쓰림과 통증." H01829555 H01829555 Wound care 상처간호 C0886052 [3.0] R55.0 10033347 생리적 요소 피부통합성 요소 계획(간호중재) IC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open skin areas H01829653 H00440564 Wound dehiscence 상처 벌어짐 C0259768 [3.0] 1A.9.0611 Focus "수술창(手術創)의 열개로서 부분적, 표재적(表在的)인 경우와 완전히 전부가 열개되는 경우가 있다." H01829723 H01829723 Wound healing 상처치유 C0043240 [3.0] 10021236 Focus 치유 H01829777 H01829777 Wound pain 상처 통증 C0241745 [3.0] 10021243 1A.01.01.01.13.01.02.01 Focus "피부통증: 상처의 특성에 따라 상처와 주변조직에서 발생하는 통증 감각, 상처가 말단 신경과 통증 감각을 파괴하지 않았을 경우, 날카롭고 잘라지며 갈라지는 듯하거나, 묵직하고, 쑤시며 사그라들지 않는 압통으로 보고됨." H01830088 H01830088 Wrist 손목 C0043262 [3.0] 10021262 1F.21.01 Location 신체 부분 H01847401 H01847344 Xiphoid process 칼돌기 C0043356 [3.0] Location 앞가슴 아래쪽에 툭 불거진 돌기. 흉골 중앙 아래쪽에 붙어 있음. H01859992 H01859992 Right 우측 C0205090 [3.0] 10017234 Location 좌측 우측 위치 H01861227 H00808417 Iliac 장골 C0020889 [3.0] Location "엉치등뼈의 두 끝과 궁둥이뼈의 뒤쪽 위에 있으며, 부채 모양으로 퍼진 편평한 뼈." H01862583 H02821393 Nasopharynx 비인두 C0027442 [3.0] T17.2 Location 목의 세 영역 중 가장 윗부분으로 비강 뒤에 놓여 있고 후비공에서 연구개 수준으로 뻗어 있는 기관. H01864502 H00576743 Examination 검사 C0031809 [3.0] 10007241 2C.02.02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1864543 H00367571 Counseling 상담 C0009818 [3.0] 10005254 Action 안내 활동: 대화를 통해 어떤 사람이 자신의 결정을 할 수 있게하는 것. H01864571 H01541460 Screening 선별 [3.0] 10017585 2A.01.02.01.04 Action 검진 활동: 질병이나 다른 현상으로 고생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구별하는 것. H01865190 H01482557 Replacement 치환 C0559956 [3.0] Focus 다른 것으로 바꿈. H01865675 H01731539 Transplantation 이식 C0040733 [3.0] 10020053 1A.9.0011 Means 수술 H01868406 H01725146 Tracheostomy 기관절개 C0040590 [3.0] 10019933 1F.17.08.03 Location 장루 H01869329 H00943846 Lesion 환부 C0221198 [3.0] Focus "병터가 있는 부위. 피부에서는 이러한 부위를 병터형태에 따라 물집, 구진, 두드러기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부르고 다른 장기조직에서도 모든 비정상적인 조직변화를 나타냄." H01870171 H00510650 Dysphasia 언어장애 C0973461 [3.0] 10006457|10029802 1A.01.01.01.12.04.01.02.01 Focus|DC 표현 언어상실증: 구두로 단어를 표현할 수 없음. H01871861 H00496071 Drain 배액관 C0180499 [3.0] 10006207 Means 수송기구 H01873067 H01764443 Ultrasonography 초음파촬영 C0041618 [3.0] 2C.9.0154 Means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보다 주파수가 큰 음파를 인체 내부로 전파시켰을 때 체내 연조직에서 반사된 음파로 얻어진 반사 영상을 이용한 검사[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873498 H01281824 Partial 부분 C0728938 [3.0] 10014081 1E.04.02 Judgment 범위 H01873501 H01281824 Partial 일부 C0728938 [3.0] 10014081 1E.04.02 Judgment 범위 H01874370 H01580488 Sleep disorder 수면장애 C0851578 [3.0] G47.9 1A.9.0525 Focus 수면이 양적·질적 요인으로 장애를 받는 것.[두산백과] H01874798 H01342474 Placebo 위약 C0032042 [3.0] 2C.9.0126 Means "약물요법에 대한 환자의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투여하는 효력이 없는 물질이나 약제로서, 약제의 효과를 결정하기 위하여 대조군을 설치하는 연구에서 사용된다. 또한 본질적으로 치료효과가 없는 수단으로서, 같은 목적으로 사용된다." H01875404 H00726172 Hair 모발 C0018494 [3.0] 10008626 1A.01.01.01.10.05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머리털, 턱수염을 포함한 얼굴털, 체모와 같이 신체표면에서 자라는 가는 실 모양의 가닥; 각각의 털은 표피의 특화된 소포에서 형성된 뿌리와 대를 가진 각질의 미세섬유이다; 특히 머리털과 얼굴털의 건강과 기능은 탄성, 조직과 두께; 길이, 색, 청결을 포함한 외형, 털의 유무과 관련있다." H01875531 H01875531 Knife 칼 C0181467 [3.0] 10011019 2C.01.07.08 Means 수술기구 H01875863 H01875863 Vesicle 잔물집 C0005758 [3.0] 1A.9.0594 Focus "1) 액체를 함유한 소낭, 또는 작은 주머니. 2) 약 5mm이하까지의 수포를 말한다. 수포가 생기는 위치에 따라서 각층하, 표피내, 표피하로 구별한다. 수포내용은 장액성(漿液性)이고 혈청, 파이브린, 세포성분등으로 이루어진다. 뒤에 농성, 혈성이 되는 수가 있으며 수포가 터지면 미란(糜爛)이 된다. 수포의 성상에 따라서 조직으로 수포가 가득차 있는 긴만성(緊滿性), 이완성, 두창양 수포등으로 나눌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3) 소수포는 직경 1cm 미만의 물집을 말한다. 원인이 되는 질환에 따라 집단으로 분포하기도 하며 일렬로 분포하기도 한다. 수포는 구진이나 반점에서 발전한 수포, 수포에서 발생한 농포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875889 H01875863 Vesicle 소수포 C0005758 [3.0] 1A.9.0594 Focus "1) 액체를 함유한 소낭, 또는 작은 주머니. 2) 약 5mm이하까지의 수포를 말한다. 수포가 생기는 위치에 따라서 각층하, 표피내, 표피하로 구별한다. 수포내용은 장액성(漿液性)이고 혈청, 파이브린, 세포성분등으로 이루어진다. 뒤에 농성, 혈성이 되는 수가 있으며 수포가 터지면 미란(糜爛)이 된다. 수포의 성상에 따라서 조직으로 수포가 가득차 있는 긴만성(緊滿性), 이완성, 두창양 수포등으로 나눌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3) 소수포는 직경 1cm 미만의 물집을 말한다. 원인이 되는 질환에 따라 집단으로 분포하기도 하며 일렬로 분포하기도 한다. 수포는 구진이나 반점에서 발전한 수포, 수포에서 발생한 농포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1876368 H01876368 Warm bath 더운목욕 [3.0] Means ~沐浴 "one in water 90 to 104°F (32 to 40°C).[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1876619 H01876619 Cradle cap 아기머릿기름딱지 C0263233 [3.0] L21.0 10031070 1A.01.01.01.10.01.07 Focus 손상된 피부: 보통 유아의 머리 낙설 부위 H01876732 H01876732 Nelaton catheter 넬라톤카테터 C0179775 [3.0] 2C.9.0113 Means 연성 인도고무제의 카테터. H01877531 H01877614 Grand mal epilepsy 대발작간질 C0014549 [3.0] Focus "피질 하에 중심부에서 시발되어 거의 동시에 좌우 대뇌반구로 퍼지는 것으로 추정 된다. 많은 경우 의식소실이 수반되며 운동발작증세가 양측으로 나타남. 소발작, 근간대성 발작등의 형태로 나타남." H01878049 H00662601 Fio2 흡입산소농도 C2370852 [3.0] 1A.9.0237.S.001 Focus 흡입한 공기 중의 산소 비율.[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1879726 H01882079 Pharmacist 약사 C0031323 [3.0] 10023992 Means 의료인 H01880623 H01880623 Temperature 온도 C0039476 [3.0] 10019556 2B.02.02.01.01.10 Focus 신체적 영역 H01881657 H00882266 ICP 두개내압 C0021880 [3.0] 10010655 2B.02.02.01.01.06.S.001 Focus 압력 H01881660 H00882266 ICP 머리속압력 C0021880 [3.0] 10010655 2B.02.02.01.01.06.S.001 Focus 압력 H01882291 H01882291 Sister 자매 C1546515 [3.0] 10021653 2B.02.01.01.01.01.01.01.12 Client 형제자매 H01882526 H01847344 Xiphoid process 검상돌기 C0043356 [3.0] Location 앞가슴 아래쪽에 툭 불거진 돌기. 흉골 중앙 아래쪽에 붙어 있음. H02152067 H02152067 Violence 폭력 C0042693 [3.0] 10020789 1A.9.0447 Focus "공격적 행동: 강제적인 행동의 실연 또는 상해, 손상, 학대 혹은 폭행을 목적으로 힘이나 권력을 정의롭지 못하게 사용하는 것; 타인에게 가하는 폭력적, 폭행적, 해가되는, 불법적 또는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 힘의 투쟁이나 갈등상태를 말함." H02152070 H02152070 Infanticide 영유아살해 C0021297 [3.0] 10042147 1A.01.01.02.02.02.01.11.05 Focus "공격적 행동: 태아나 영아를 살해, 일부 사회에서는 효율적인 가족 구성을 위해 태어난 직후의 영아를 살해하는 전통적인 관습과 관련됨." H02152082 H02152082 Warfare 무장투쟁 C0683650 [3.0] 10042134 1A.9.0381.S.001 Location "어떤 일정한 장소ㆍ시설에서의 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조직의 요소로서 병원진료 조직상의 물리적인 한 구획을 가리키는 말(병동)과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간호단위는 입원실 단위뿐 아니라 수술실, 분만실, 외래진료소, 중앙공급실, 중환자실 등의 특수간호단위도 포함된다. 구조상은 하나(병동)인데, 거기에 독립된 2개의 간호집단이 있는 경우에는 1병동 2간호단위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52111 H00593309 Expectoration 객담배출 C0038056 [3.0] 10007362 1A.01.01.01.01.04.01 Focus "기도청결: 기침이나 침뱉기로 기관, 기관지 및 폐로부터의 점액, 가래 또는 액체의 배출." H02152137 H02152137 Insect bite allergy 곤충 알레르기 C1261392 [3.0] 10010307 2B.02.02.01.04.03 Focus 알레르기 H02152140 H02152140 Medication allergy 약물 알레르기 C0013182 [3.0] 10011878 2B.02.02.01.04.02 Focus 알레르기 H02152152 H02152152 Snake bite allergy 뱀 알레르기 [3.0] 10018336 2B.02.02.01.04.04 Focus 알레르기 H02152178 H02152178 Latex allergy 라텍스 알레르기 C0577628 [3.0] 10011185|10000790 Focus|DC 알레르기: 고무나무 제품과 접촉하여 발생한 면역반응. H02152181 H02152181 Domestic animal 가축 C0003063 [3.0] 10006187 1A.02.01.02.01.03 Focus 다음의 특징을 가진 동물: 소유주가 있는 길들여진 동물. H02152193 H02152193 Wild animal 야생 동물 C0003070 [3.0] 10021099 1A.02.01.02.01.04 Focus "다음의 특징을 가진 동물: 인간 생활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길들여지지 않고, 가정에서 길러지지 않은 그리고 통제되지 않는 동물." H02152207 H02152207 Death anxiety 죽음에 대한 불안 C0522179 [3.0] 10041001|10041017 Focus|DC 불안 H02152222 H02152222 Impressive aphasia 감각성 실어증 [3.0] 10009893 1A.01.01.01.12.04.01.01 Focus 언어상실증: 말과 글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 H02152235 H02152222 Impressive aphasia 감각실어증 [3.0] 10009893 1A.01.01.01.12.04.01.01 Focus 언어상실증: 말과 글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 H02152318 H02152318 Infrastructure 기반 시설 C1998546 [3.0] 10010170 1A.02.02.01 Focus "인공물: 사회의 경제적 기반인 도로, 다리, 하수도와 같은 기본 시설." H02152321 H02152321 Result 결과 C1274040 [3.0] 10017186 1A.9.0460 Focus "인공물: 어떤 것의 결론이나 효과, 성과." H02152333 H02152321 Outcome 결과 C1274040 [3.0] 10017186 1A.9.0460 Focus "인공물: 어떤 것의 결론이나 효과, 성과." H02152346 H02152346 Environmental entity 환경 개체 [3.0] 10006997 Focus "인공물: 개인 혹은 공동체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개체들의 복합체." H02152359 H02152359 Acculturation 문화적 적응 C0000943 [3.0] 10000355 Focus 동화 작용: 다른 문화와의 접촉으로 생긴 개인이나 집단의 변화나 변형. H02152361 H02152361 Caregiver child attachment 돌봄제공자와 아동의 애착 [3.0] 10027183 Focus 애착: 돌봄제공자와 아동이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 H02152374 H02152374 School attendance 학교 출석 C0237484 [3.0] 10037765 Focus 참석 H02152387 H02152387 Caretaking 돌봄 수행 C2004150 [3.0] 10004002 1A.01.01.02.02.02.03 Focus 돌봄: 필요할 때 돌봄를 제공하는 것. H02152390 H02152390 Attitude toward dietary regime 식사요법에 대한 태도 [3.0] 10022418 Focus 태도 H02152403 H02152403 Attitude toward exercise regime 운동요법에 대한 태도 [3.0] 10023549 Focus 태도 H02152416 H02152416 Attitude toward health status 건강 상태에 대한 태도 [3.0] 10040627 Focus 태도 H02152429 H02152429 Attitude to pathological process 병리과정에 대한 태도 [3.0] 10024747 Focus 태도 H02152431 H02152431 Attitude to regime 계획에 대한 태도 [3.0] 10024752 Focus 태도 H02152444 H02152444 Caregiver attitude 돌봄제공자 태도 [3.0] 10025617 Focus 태도 H02152457 H02152457 Family attitude 가족 태도 [3.0] 10023646 Focus 태도 H02152460 H02152460 Impaired attitude 손상된 태도 [3.0] 10012532 Focus 태도 H02152472 H02152472 Volition 결단 C0042950 [3.0] 10020855 Focus "태도: 의식적 선택, 자신의 안녕을 이용한 선택행위." H02152498 H00385335 Coping 대응 C0009967 [3.0] 10005208 1A.01.01.02.01.01.08.01 Focus 태도: 스트레스 관리와 통제감으로 심리적 안위를 증가시키는 것. H02152501 H02152501 Attitude toward pain 통증에 대한 태도 [3.0] 10002995 Focus 태도: 통증의 양과 질에 대한 견해. H02152514 H02152514 Attitude toward nutritional status 영양상태에 대한 태도 [3.0] 10002976 Focus 태도: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건강과 체중에 대한 견해. H02152527 H02152527 Attitude toward medication management 약물관리에 대한 태도 [3.0] 10002953 Focus 태도: 투약지침서와 치료에 대한 견해. H02152530 H02152530 Attitude toward operation 수술에 대한 태도 [3.0] 10002982 Focus 태도: 계획되거나 시술된 수술에 대한 견해. H02152542 H02152542 Attitude toward care 치료에 대한 태도 [3.0] 10002948 Focus 태도: 치료와 보건의료서비스제공자에 대한 견해. H02152555 H02152555 Attitude toward home care 가정간호에 대한 태도 [3.0] 10041029 Focus 태도: 가정에서 제공되는 치료에 대한 견해. H02152568 H02152568 Belief 신념 C0004951 [3.0] 10003229 1A.01.01.02.01.01.10 Focus "태도: 견해, 확신 그리고 믿음." H02152571 H02152571 Self awareness 자아인식 C3146223 [3.0] 10017642|10029446 Focus|DC "인식-한 개인이 행동을 유지하거나 포기하는 성향의 실현, 즉 행동을 하는 최우선 근거." H02152583 H02152583 Self bathing 스스로 목욕하기 [3.0] 10017657 Focus 목욕하기 H02152596 H02152596 Eating or drinking pattern 먹기 혹은 마시기 양상 [3.0] 10006540 Focus 행위 H02152600 H02152600 Exercise behavior 운동 양상 [3.0] 10007294 Focus 행위 H02152612 H02152600 Exercise behaviour 운동 양상 [3.0] 10007294 Focus 행위 H02152625 H02152625 Hygiene pattern 위생 양상 [3.0] 10009292 Focus 행위 H02152638 H02152638 Mobility pattern 이동 양상 [3.0] 10012112 Focus 행위 H02152641 H02152641 Napping 낮잠 C0870935 [3.0] 10040379 1A.01.01.01.11.01.01 Focus 행위 H02152653 H02152653 Impaired behavior 손상된 행위 [3.0] 10012545 Focus 행위 H02152666 H02152653 Impaired behaviour 손상된 행위 [3.0] 10012545 Focus 행위 H02152679 H02152679 Play behavior 놀이 행동 C0518192 [3.0] 10040777 Focus 행위 H02152681 H02152679 Play behaviour 놀이 행동 C0518192 [3.0] 10040777 Focus 행위 H02152694 H02152694 Positive behavior 긍정적인 행위 [3.0] 10014816 Focus 행위 H02152708 H02152694 Positive behaviour 긍정적인 행위 [3.0] 10014816 Focus 행위 H02152711 H02152711 Resting behavior 휴식 양상 [3.0] 10017129 Focus 행위 H02152723 H02152711 Resting behaviour 휴식 행동 [3.0] 10017129 Focus 행위 H02152736 H02152711 Rest 휴식 C0035253 [3.0] 10017129 Focus "1) 활동을 한 때 중단하여 서서히 하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으며, 수면을 하거나 활동을 일정 기간 쉬는 것을 합쳐 이르는 용어. 신체적·정신적 피로의 회복을 꾀하며, 활동을 위해 필요한 체력이나 기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활동에 반드시 필요하다.[생명과학대사전]" "2) 하던 일을 멈추고 잠깐 쉼.[표준국어대사전]""" H02152749 H01562911 Sexual behavior 성행위 C0036864 [3.0] 10017949 Focus 행동 H02152764 H01562911 Sexual behaviour 성행위 C0036864 [3.0] 10017949 Focus 행동 H02152777 H02152777 Spiritual behavior 영적 행위 [3.0] 10018565 Focus 행위 H02152780 H02152777 Spiritual behaviour 영적 행위 [3.0] 10018565 Focus 행위 H02152792 H02152792 Withdrawal behavior 금단 행동 [3.0] 10040754 Focus 행위 H02152806 H02152792 Withdrawn behaviour 위축행동 C0475703 [3.0] 10040754|10040765 Focus|DC 행위 H02152821 H02152821 Assertive behavior 자기주장행동 C0004077 [3.0] 10002660 Focus 행동: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고 자신있게 표현하는 것. H02152834 H02152821 Assertive behaviour 자기주장행동 [3.0] 10002660 Focus 행동: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고 자신있게 표현하는 것. H02152847 H02152847 Health seeking behavior 건강추구행위 C1321107 [3.0] 10008782 Focus "행위: 보건의료자원을 확인, 이용, 관리 및 보관하는 예측 가능한 태도, 타인에게 도움을 구하고 얻는 수용 가능한 방법과 관련된 기대감." H02152850 H02152847 Health seeking behaviour 건강추구행위 C1321107 [3.0] 10008782|10000735 Focus|DC "행위: 보건의료자원을 확인, 이용, 관리 및 보관하는 예측 가능한 태도, 타인에게 도움을 구하고 얻는 수용 가능한 방법과 관련된 기대감." H02152862 H02152862 Self disclosure 자기 노출 C0036596 [3.0] 10037670 Focus 행위: 구두 또는 서면으로 정보를 드러내는 것. H02152888 H02152888 Health belief 건강 신념 C0814098 [3.0] 10022058 1A.01.01.02.01.01.10.01 Focus 신념 H02152891 H02152891 Impaired belief 손상된 신념 [3.0] 10012550 Focus 신념 H02152917 H02152917 Self efficacy 자기 효능 C0600564 [3.0] 10024911|10025672 Focus|DC 신념 H02152920 H02152917 Self efficacy 자기 효능감 C0600564 [3.0] 10024911|10025672 Focus|DC 신념 H02152932 H02152932 Self image 자아상 C0242498 [3.0] 10017776 Focus 신념: 자신에 대한 개념 혹은 심상. H02152945 H02152945 Tradition 전통 C0683624 [3.0] 10019980 1A.02.02.04.03 Focus "신념: 세대와 역사에 걸쳐 단일체의 수단으로의 역할을 구전으로 혹은 실행으로 전수하는 관습, 규정, 전례, 상징, 신화." H02152961 H02152961 Values 가치관 C0042295 [3.0] 10020599 1A.9.0440 Focus 신념: 무엇이 선하고 나쁜지에 대한 개인의 견해에 따라 행동을 유지하고 포기하는 성향. H02152973 H02152973 Religious belief 종교적 신념 C0035045 [3.0] 10016728 1A.01.01.02.01.01.10.03 Focus "신념: 개인의 생물학적 및 정신적 본질에 스며들고, 통합되고, 초월한 개인의 종교적인 의견과 원칙, 종교적 신념을 고려하여 행동을 유지하고 포기하는 개인의 신념과 성향." H02152986 H02152986 Spiritual belief 영적 신념 C0683811 [3.0] 10018577 1A.01.01.02.01.01.10.04 Focus "신념: 개인의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본질에 스며들고, 통합되고, 초월한 삶의 원칙을 고려하여 행동을 유지하고 포기하는 개인의 확신과 성향" H02152999 H02152999 Cultural belief 문화적 신념 [3.0] 10005427 1A.01.01.02.01.01.10.05 Focus 신념: 자신의 문화적 가치관에 기반한 개인적인 신념. H02153034 H00725850 Haemorrhaging 출혈 [3.0] R58 10008954 1A.01.01.01.02.02.03.02 Focus "출혈: 내, 외적 동맥, 정맥 또는 모세혈관 출혈로 단기간에 다량의 혈액을 손실하는 것." H02153050 H02153050 Arterial blood flow 동맥혈류 [3.0] 10030504 Focus 혈류률 H02153062 H02153062 Blood pressure sign 혈압징후 [3.0] 10003342 Focus 혈압: mmHg로 혈압측정. H02153075 H02153075 Collection of body processes 신체과정의 수집 [3.0] 10001993 Focus 신체 과정 H02153091 H02153091 Circulatory system process 순환기계 과정 C1999107 [3.0] 10004416 Focus 신체 과정 H02153132 H02153132 Engorgement 울혈 C0020452 [3.0] 10006932 1A.9.0188 Focus 신체 과정 H02153145 H02153145 Gastrointestinal system process 위장관계 과정 [3.0] 10008366 Focus 신체 과정 H02153158 H02153158 Integumentary system process 피부계 과정 [3.0] 10021607 Focus 신체 과정 H02153161 H02153161 Movement 움직임 C0026649 [3.0] 10012274 Focus 신체 과정 H02153173 H02153173 Musculoskeletal system process 근골격계 과정 [3.0] 10012363 Focus 신체 과정 H02153186 H02153186 Impaired body process 손상된 신체 과정 [3.0] 10012566 Focus 신체 과정 H02153199 H02153199 Nervous system process 신경계 과정 [3.0] 10013102 Focus 신체 과정 H02153202 H02153202 Physical response 신체적 반응 [3.0] 10014505 Focus 신체 과정 H02153215 H02153215 Body process diagnosis and outcome 신체 과정 진단과 결과 C3165495 [3.0] 10034421 Focus 신체 과정 H02153228 H02153228 Regulatory system process 조절계 과정 [3.0] 10016621 Focus 신체 과정 H02153231 H02153231 Immune system process 면역계 과정 C1817756 [3.0] 10009789 Focus "신체 과정: 국소적 방어막을 형성하고 염증반응을 일으켜 병원균과 이물질에 대항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생화학적 복합기능; 체액성 면역반응은 특히 세균성, 바이러스성 침입에 효과적임." H02153243 H02153243 Reproductive system process 생식기계 과정 C0442692 [3.0] 10016860 Focus "신체 과정: 남녀의 수정능력을 전제로 아이의 재생산에 참여하는 남녀의 능력, 정상 남녀의 재생산 시스템이나 인공수정방법을 전제로 한 성교." H02153256 H02153256 Respiratory system process 호흡기계 과정 C1160636 [3.0] 10016991 Focus "신체 과정: 호흡중추, 기관지와 대동맥 수용체, 확산 매커니즘에 의해 조절되는 폐에서 세포 산소화에 이르기까지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분자를 교환하는 지속적인 과정" H02153271 H02153271 Secretory process 분비 과정 C1159342 [3.0] 10017626 Focus "신체 과정: 호르몬의 과립성 분비, 체내 강(cavity), 기관이나 혈액내로 또는 피부 표면으로 특정 목적에 맞는 화학적 물질이나 액상 물질의 분비." H02153284 H02153284 Dying 임종 C0184532 [3.0] 10006403 1A.01.01.01.16.03 Focus 신체 과정: 생명의 끝에 이르는 점차적 또는 갑작스런 신체과정의 감소. H02153301 H00528738 Elimination 배설 C0221102 [3.0] 10006720 1A.01.01.01.09 Focus 신체 과정: 신체 노폐물을 이동하고 배출하는 것. H02153339 H02153339 Urinary system process 비뇨기계 과정 [3.0] 10020445 Focus "신체 과정: 평소식사 상태에서 24시간 동안 평균 약 1000-2000ml 정도의 소변을 보통 하루 4-6회 배뇨를 통해 배출, 배설하는 것." H02153341 H02153341 Human development 인간발달 C0020119 [3.0] 10009200 Focus "신체 과정: 일생에 걸친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성장과 발달의 점진적인 과정." H02153382 H02153382 Body system 신체 체계 C0460002 [3.0] 10003480 Focus 신체 구조 H02153437 H02153437 Body tissue 신체조직 C0040300 [3.0] 10003524 1F.02.04 Focus 신체 구성물질 H02153440 H02153440 Cervical cell 자궁경부세포 [3.0] 10030897 Focus 신체 구성물질 H02153465 H00627553 Faeces 대변 C0015733 [3.0] 10007764 2B.02.01.01.01.01.01.02.02.04.S.001 Focus 신체 구성물질 H02153478 H02153478 Menstrual discharge 월경 분비물 [3.0] 10011969 Focus 신체 구성물질 H02153481 H00463417 Perspiration 땀 C0038984 [3.0] 10014449 1A.01.01.01.09.03 Focus 신체 구성물질 H02153548 H02153548 Secretory substance 분비물질 [3.0] 10017635 1A.9.0153 Focus 신체 물질 H02153618 H00541158 Endocrine 내분비계 C0014136 [3.0] 10025041 1A.9.0187 Focus 신체 체계 H02153621 H02153621 Gastrointestinal system 위장관계 C0012240 [3.0] 10008332 Focus 신체 체계 H02153633 H02153621 Gastrointestine 위장관계 C0809794 [3.0] Focus 신체 체계 H02153646 H02153646 Immune system 면역계 C0020962 [3.0] 10025056 Focus 신체 체계 H02153674 H02153674 Reproductive system 생식기계 C1261210 [3.0] 10016841 Focus 신체 체계 H02153687 H02153687 Respiratory system 호흡기계 C0035237 [3.0] 10016970 Focus 신체 체계 H02153690 H02153690 Sensory system 감각계 C0682647 [3.0] 10017867 Focus 신체 체계 H02153703 H02153703 Urinary system 비뇨기계 C1508753 [3.0] 10020421 Focus 신체 체계 H02153716 H00855786 Integumentary system 피부계 C0037267 [3.0] 10010428 Focus "신체 체계: 신체 표면의 외피: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피부, 바깥 표피, 점막, 내부결합층 등의 조직, 땀샘과 피지샘을 포함하는 진피와 털 및 손발톱; 물리적인 찰과상, 박테리아 침입, 탈수와 자외선으로부터 아래의 조직을 보호; 체온 상승시 신체를 식히고,감각 기관으로서 온도, 접촉, 압력 및 동통과 관련된 자극을 감지, 염분과 유기 합성물을 배출하고, 분비 기관으로서 땀과 피지를 분비하고, 비타민 D를 합성하고 면역 체계의 면역 성분을 활성화함" H02153731 H02153731 Body temperature degrees 체온 측정값 [3.0] 10003511 Focus 체온 H02153744 H02153744 Fatty tissue 지방조직 C0001527 [3.0] 10007729 1F.18.04.04 Focus 신체 조직 H02153798 H01535651 Scar 상흔 C2004491 [3.0] L90.5 10017500 1A.9.0449 Focus "신체조직: 피부가 파괴되고 치유되는 과정과 관련된 수축되고, 단단한 무혈관성의 창백한 신체 표면의 조직." H02153814 H02153814 Fracture pain 골절통증 C3267038 [3.0] 10008223 1A.01.01.01.13.01.03.01.01 Focus "뼈통증: 급성 골절로 인한 통증으로 골절부위를 움직이면 악화 되는 심한, 베어내는 것 같은, 뜨거운 소양증이 있는 듯한, 찌르는 듯한 감각; 휴식기나 부동시에는 나타나지 않음." H02153827 H02153827 Bowel continence 배변조절 C1290944 [3.0] 10027739|10027741 Focus|DC 배변 조절능력 H02153830 H02153827 Bowel continence 배변조절능력 C1290944 [3.0] 10027699|10027741 Focus|DC 장 상태 H02153871 H02153871 Bowel motility 장운동성 [3.0] 10037207 Focus 장 상태 H02153883 H02153883 Exclusive breastfeeding 완전 모유수유 C0242205 [3.0] 10007273|10039503 Focus|DC 모유수유: 출생후 4-6개월 동안 모유만을 먹이고 다른 것은 먹이지 않는 것. H02153896 H00564434 Burping 트림 C0014724 [3.0] R14 10012584|10003785 1A.01.01.01.05.05.01 Focus 트림 H02153925 H02153925 Impaired cardiac process 손상된 심장 과정 C0232166 [3.0] 10012597 Focus 심장 과정 H02153938 H02153938 Effective cardiac process 효과적인 심장 과정 C3651068 [3.0] 10035065 Focus 심장 과정 H02153941 H02153941 Cardiac output 심박출량 C0007165 [3.0] 10003887 1A.01.01.01.02.01.01 Focus 심기능 상태: 좌심실에서 분당 방출되는 혈액의 양. H02153953 H02153941 CO 심박출량 C0007165 [3.0] 10003887 1A.01.01.01.02.01.01.S.001 Focus 심기능 상태: 좌심실에서 분당 방출되는 혈액의 양. H02153966 H02153966 Health and social care need 보건 사회복지 요구 [3.0] 10031350 Focus 간호 요구 H02153979 H02153979 Nurse role 간호사 역할 C0597109 [3.0] 10013346 Focus 의료인 역할 "The expected function of a member of the nursing profession.[The expected function of a member of the nursing profession.]""" H02153981 H02153981 Nutritionist role 영양사 역할 [3.0] 10013426 Focus 의료인 역할 H02153994 H02153994 Occupational therapist role 작업요법 치료사 역할 [3.0] 10026539 Focus 의료인 역할 H02154001 H02154001 Pain specialist role 통증전문가 역할 [3.0] 10039588 Focus 의료인 역할 H02154014 H02154014 Pharmacist role 약사 역할 [3.0] 10014465 Focus 의료인 역할 H02154027 H02154027 Physician role 내과의사 역할 C0031829 [3.0] 10014533 Focus 의료인 역할 "The expected function of a member of the medical profession.[MSH/MH]""" H02154030 H02154030 Physician role 의사 역할 C0031829 [3.0] 10014533 Focus 의료인 역할 "The expected function of a member of the medical profession.[MSH/MH]""" H02154042 H02154042 Physiotherapist role 물리치료사 역할 [3.0] 10014551 Focus 의료인 역할 H02154055 H02154055 Social worker role 사회복지사 역할 [3.0] 10018468 Focus 의료인 역할 H02154068 H02154068 Surgeon role 외과의사 역할 [3.0] 10019208 Focus 의료인 역할 H02154071 H02154071 Parent child attachment 부모자녀간 애착 [3.0] 10027196 Focus 자녀 돌봄제공자의 애착: 아기와 부모 사이에 밀착된 관계를 형성하는 것. H02154083 H02154083 Effective caregiver coping 효과적인 돌봄제공자 대처 C2712254 [3.0] 10034829|10034838 Focus|DC 돌봄제공자 대처 H02154096 H02154096 Parenting 양육 C0085092 [3.0] 10014052 1A.01.02.01.01.04 Focus "돌봄 행위: 부모가 되는 책임을 갖는 것; 신생아가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도록 촉진하는 행위,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최적화하는 행위, 부모로서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역할 행위에 대하여 개인, 가족, 친구 및 사회가 가지는 기대를 내면화 하는 것" H02154100 H02154096 Parenting 부모 역할 C0085092 [3.0] 10014052 1A.01.01.02.02.02.02.06.S.001 Focus "돌봄 행위: 부모가 되는 책임을 갖는 것; 신생아가 가족의 일원으로 받아들여지도록 촉진하는 행위,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최적화하는 행위, 부모로서 적절하거나 부적절한 역할 행위에 대하여 개인, 가족, 친구 및 사회가 가지는 기대를 내면화 하는 것" H02154138 H02154138 Psychomotor development 정신운동 발달 C0392358 [3.0] 10016012 Focus "아동 발달: 조정, 의사소통, 사회화, 운동성 측면을 통합하는 자연적인 발달과정, 행동을 통해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력." H02154141 H02154141 Impaired circulatory system process 손상된 순환기계 과정 [3.0] 10012606 Focus 순환기계 과정 H02154153 H02154153 Positive circulatory system process 양호한 순환기계 과정 [3.0] 10028379 Focus 순환기계 과정 H02154166 H02154166 Vascular process 혈관과정 [3.0] 10020620 Focus 순환기계 과정: 중심 동맥과 정맥 그리고 말초 모세혈관을 통해 혈액을 박출하는 것. H02154179 H02154179 Cardiac process 심장 과정 C2256369 [3.0] 10003894 Focus 순환기계 과정: 심장을 통해 혈액을 박출하는 것. H02154208 H02154208 Impaired cognition 손상된 인지 C0338656 [3.0] 10012610|10022321 Focus|DC 인지 H02154211 H02154211 Positive cognition 긍정적인 인지 [3.0] 10028351 Focus 인지 H02154236 H02154236 Decision making process 의사결정과정 [3.0] 10005594 Focus "인지: 관련 정보, 각 대안에 대한 잠재적인 결과와 자원을 토대로 행동의 과정을 결정하는 정신적인 과정." H02154251 H02154251 Abstract thinking 추상적 사고 C0459920 [3.0] 10000301 1A.01.01.02.01.01.02.01.01.03 Focus "인지: 개념, 관계 그리고 문제 해결을 이용한 사고." H02154292 H02154292 Impaired aggregate of entity 손상된 개체의 집합 [3.0] 10012521 Focus 사물의 집합 H02154306 H02154306 Comfortable 편안한 C2712134 [3.0] 10025330|10025574 Focus|DC 편안함 H02154319 H02154319 Effective communication 효과적인 의사소통 C1998720 [3.0] 10014828 Focus 의사소통 H02154321 H02154321 Laughing 웃기 C0023133 [3.0] 10011192 Focus "의사소통: 기쁨, 즐거움의 감정을 나타내기 위해 얼굴표정과 언어를 사용한 행동." H02154334 H02154334 Crying 울기 C0010399 [3.0] 10005415 1A.01.01.02.02.02.05.01.03 Focus "의사소통: 통증, 공포 또는 슬픔에 대한 반응으로, 수의적 혹은 불수의적으로 눈물을 흘리거나 흐느끼는 행위." H02154347 H02154347 Positive community coping 긍정적인 지역사회 대처 C1998721 [3.0] 10034791 Focus 지역사회 대처 H02154350 H02154350 Community based group process 지역사회기반 집단과정 [3.0] 10004746 Focus 지역사회 과정: 지역사회 구성원 안에서 일어나는 활동과 상호 작용. H02154362 H02154362 Self help service 자가도움 서비스 [3.0] 10038760 Focus 지역사회 서비스 H02154375 H02154362 Self help service 자활 서비스 [3.0] 10038760 Focus 지역사회 서비스 H02154388 H02154362 Self help service 자립 서비스 [3.0] 10038760 Focus 지역사회 서비스 H02154404 H01370144 Polypharmacy 다제투여 C2922974 [3.0] 10027448|10030042 1A.9.0415 Focus|DC 다중약물요법 H02154417 H02154417 Peristomal skin complication 장루주위 피부 합병증 C0341600 [3.0] 10040593 Focus 합병증 H02154420 H02154420 Stoma complication 장루합병증 C3804958 [3.0] 10040442 Focus 합병증 H02154432 H02154432 Health care associated complication 의료관련 합병증 C3650745 [3.0] 10041277|10041283 Focus|DC 합병증 H02154445 H02154445 Side effect role 부작용 역할 [3.0] 10018111 Focus 합병증 역할 H02154458 H00217402 Bulimia 과식증 C0006370 [3.0] 10003759 1A.01.01.02.02.01.01.09.02.05.02 Focus "강박 섭취 행위: 만족할 줄 모르는 음식에 대한 갈망과 과도한 식욕, 과다하게 많이 먹은 후에는 유도성 구토를 하는 행위로서, 우울, 자아박탈감과 관련됨." H02154461 H00217402 Bulimia 폭식증 C0006370 [3.0] 10003759 1A.01.01.02.02.01.01.09.02.05.02 Focus "강박 섭취 행위: 만족할 줄 모르는 음식에 대한 갈망과 과도한 식욕, 과다하게 많이 먹은 후에는 유도성 구토를 하는 행위로서, 우울, 자아박탈감과 관련됨." H02154499 H02154499 Impaired consciousness 손상된 의식 C0234428 [3.0] 10012634 Focus 의식 H02154502 H02494826 Impaction 매복변 C0333124 [3.0] 10009817 1A.01.01.01.09.01.04.01 Focus "변비: 대변을 못 보는 것, 배변시 통증, 직장의 압력과 꽉찬 느낌, 직장에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또는 직장에서 단단해진 변덩어리가 만져짐." H02154515 H02154515 Informal settlement 임시 거주지 [3.0] 10010143 Focus "건축물: 제한되거나 비정형의 기반 시설로 세워진 일시적인 주거 구조; 인구 밀집; 거주자들에게 안전 보장이 안됨; 재산권이 없음; 흔히 인구과잉과 관련됨/사생활이 제한되거나 없음, 생활 수준이 낮음, 질병과 재해의 위험이 높은 고위험 지역에 위치함" H02154528 H01783907 Urinary continence 배뇨 조절 C0542565 [3.0] 10026745|10027836 Focus|DC 배설 조절 능력 상태 H02154571 H02154571 Continuity of care 간호의 연속성 C0009853 [3.0] 10005072 Focus 연속성 H02154584 H02154584 Anger control 분노조절 C0870135 [3.0] 10031015|10045699 Focus|DC 통제 H02154597 H02154597 Impulse control 충동 조절 C0150632 [3.0] 10035700 Focus 통제 H02154601 H02154601 Control of pain 통증조절 [3.0] 10005157 Focus 통제 H02154613 H02154613 Symptom control 증상 조절 C1274136 [3.0] 10025812|10025820 Focus|DC 통제 H02154626 H02154626 Caregiver coping 돌봄제공자 대처 [3.0] 10034758 Focus 대처 H02154639 H02154639 Community coping 지역사회 대처 [3.0] 10034743 Focus 대처 H02154641 H02154639 Community coping 지역사회 대응 [3.0] 10034743 Focus 대처 H02154654 H02154654 Coping with pain 통증 대처하기 C0582151 [3.0] 10040720|10040749 Focus|DC 대처 H02154667 H02154667 Family coping 가족 대처 C1319178 [3.0] 10034736 Focus 대처 H02154670 H02154667 Family coping 가족 대응 C1319178 [3.0] 10034736 Focus 대처 H02154682 H02154682 Impaired coping process 손상된 대처 과정 [3.0] 10012647 Focus 대처 H02154695 H02154695 Effective coping 효과적인 대처 C2364069 [3.0] 10014844|10022378 Focus|DC 대처 H02154711 H00437862 Defensive coping 방어적 대응 C0150022 [3.0] Focus 대처 과정 H02154737 H00042268 Adaption 적응 C0000934 [3.0] 10001741 1A.01.01.02.01.01.08.S.001 Focus 대처: 새로운 상황을 관리하려는 것. H02154740 H02154740 Assimilation 동화작용 C1999057 [3.0] 10002845 Focus "대처 과정: 새로운 사실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상황에 반응하거나, 혹은 새롭게 지각된 정보와 경험을 현재의 자신의 실체내로 통합하는 과정." H02154752 H02154752 Acceptance 수용 [3.0] 10000329 1A.01.01.02.01.01.08.01.02 Focus "대처 과정: 방해물, 불안 또는 긴장감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 H02154765 H02154752 Acception 수용 [3.0] 10000329 1A.01.01.02.01.01.08.01.02.S.001 Focus "대처 과정: 방해물, 불안 또는 긴장감을 줄이거나 없애는 것." H02154793 H02154793 Vandalism 난폭 행위 C0424333 [3.0] 10020608 1A.02.02.05.04.02 Focus 범죄: 자산에 의도적이고 불필요한 피해를 가하거나 파괴하는 것. H02154807 H02154807 Health crisis 건강 위기 [3.0] 10031366 Focus 위기 H02154835 H02154835 Sudden infant death 영아 돌연사 C0038644 [3.0] 10019040 Focus 사망 H02154848 H01309293 Perinatal death rate 주산기사망률 [3.0] 10014338 Focus "사망률: 주산기 사망자의 상대적 비율(임신 28주 이상의 사산아 수, 그리고 생후 1주일 미만의 신생아 사망수)." H02154863 H02154863 Infant death rate 영아사망률 [3.0] 10010073 1A.01.02.02.02.04.02.01 Focus 사망률: 영아 사망의 상대적 비율. H02154876 H02154876 Maternal death rate 모성사망률 [3.0] 10011781 1A.01.02.02.02.04.02.02 Focus 사망률: 출산하는 동안 발생하는 여성 사망의 상대적 비율. H02154889 H02154889 Family decision making process 가족 의사결정 과정 [3.0] 10026556 Focus 의사결정 과정 H02154891 H02154891 Effective decision making 효과적인 의사결정 C2712136 [3.0] 10025348|10022378 Focus|DC 의사결정 과정 H02154905 H02154905 Moral distress 도덕적 고통 C1828099 [3.0] 10025542|10025018 Focus|DC 의사결정갈등 H02154918 H02154905 Moral distress 도덕적 고뇌 C1828099 [3.0] 10025542|10025018 Focus|DC 의사결정갈등 H02154921 H02154921 Impaired defaecation 손상된 배변 C1998633 [3.0] 10012652|10022062 Focus|DC 배변 H02154933 H02154921 Impaired defecation 손상된 배변 C1998633 [3.0] 10012652 Focus 배변 H02154961 H02154961 Effective defaecation 효과적인 배변 C2712257 [3.0] 10028398|10028403 Focus|DC 배변 H02155010 H02155010 Diagnosis and outcome 진단과 결과 C2712286 [3.0] 10016446 Focus 진단과 결과 현상 H02155022 H02155022 Non body and non psychological diagnosis and outcome 신체와 심리적 진단과 결과 없음 C3165496 [3.0] 10034432 Focus 진단과 결과 현상 H02155035 H02155035 Compromised dignity 손상된 위엄 [3.0] 10024995 Focus 위엄 H02155048 H02155048 Ageism 연령 차별 C0242449 [3.0] 10001972 1A.02.02.04.01.03 Focus 차별: 나이에 기초한 편애나 편견. H02155051 H02155051 Gender discrimination 성차별 [3.0] 10017920 Focus 차별: 성에 기반한 편견 혹은 선입견. H02155063 H02155063 Racism 인종 차별 C0205905 [3.0] 10016240 1A.02.02.04.01.02 Focus 차별: 인종에 기초하여 편견을 보이거나 차별하는 것. H02155133 H00054100 Agnosia 인식불능 C0001816 [3.0] R48.1 10002042 1A.01.01.02.01.01.02.02.03 Focus "왜곡된 사고 과정: 청각, 시각, 후각, 미각, 혹은 촉각과 관련된 뇌의 손상으로 인해 친숙한 물체나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의 전체 혹은 부분 손실." H02155159 H00054100 Agnosia 인식불능증 C0001816 [3.0] R48.1 10002042 1A.01.01.02.01.01.02.02.03 Focus "왜곡된 사고 과정: 청각, 시각, 후각, 미각, 혹은 촉각과 관련된 뇌의 손상으로 인해 친숙한 물체나 사람을 알아보는 능력의 전체 혹은 부분 손실." H02155161 H01602748 Spiritual distress 영적 고통 C0150081 [3.0] 10018583|10001652 1A.01.01.02.01.01.05.15.01 Focus|DC "고뇌: 삶에 대한 개인 신념의 파괴, 삶의 의미에 대한 의문, 의문시되는 고통, 종교적 혹은 문화적 결속으로부터 이탈, 신념 혹은 가치체계의 변화, 심한 괴로움과 신에 대한 분노의 감정." H02155187 H02155187 Self diverting 자기전환 [3.0] 10017711 Focus "전환: 즐거움, 전환, 자극 및 이완을 목적으로 활동을 제공하고 보살피는 것." H02155190 H02155190 Dignified dying 존엄한 임종 C3650928 [3.0] 10037517 1A.01.01.02.01.01.05.14.01.01 Focus 임종 H02155229 H02155229 Functional dyspnea 기능적 호흡곤란 C0231807 [3.0] 10008268 1A.01.01.01.01.02.01 Focus "호흡곤란: 운동, 걷기와 같은 신체적 움직임과 관련된 짧은 호흡." H02155231 H02155231 Resting dyspnea 휴식시 호흡곤란 C0743330 [3.0] 10017117 Focus 호흡곤란: 편안한 자세로 휴식하는 동안의 짧은 호흡. H02155257 H02155257 Bottle feeding 인공수유 C1306334 [3.0] 10003582 2B.9.0008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양상 H02155260 H02155260 Drinking pattern 마시기 양상 C1286344 [3.0] 10006282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양상 H02155272 H02155272 Eating pattern 먹기 양상 C0392339 [3.0] 10006529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양상 H02155285 H02155285 Breastfeeding 모유수유 C0006147 [3.0] 10003645 1A.01.02.01.01.04.01.01.01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양상: 모유를 제공함으로서 아기를 기르는 것. H02155301 H02155285 Breast milk feeding 모유수유 [3.0] 10003645 1A.01.02.01.01.04.01.01.01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양상: 모유를 제공함으로서 아기를 기르는 것. H02155330 H00285467 Chewing 저작 C0024888 [3.0] 10004250 1A.01.01.01.05.03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행위: 치아로 으깨고 혀를 움직여서 입안의 음식을 기계적으로 분쇄하는 것. H02155368 H02155368 Drinking 마시기 C0684271 [3.0] 10006276 1A.01.01.01.05.02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식사 동안 그리고 하루동안 또는 목이 마를 때 수분을 섭취하는것. H02155371 H02155368 Drinking 음용 C0684271 [3.0] 10006276 1A.01.01.01.05.02 Focus 먹기 혹은 마시기: 식사 동안 그리고 하루동안 또는 목이 마를 때 수분을 섭취하는것. H02155383 H02155383 Impaired eating behavior 손상된 섭취 행위 [3.0] 10012668 Focus 식습관 행위 H02155396 H02155383 Impaired eating behaviour 손상된 식습관 행위 [3.0] 10012668 Focus 식습관 행위 H02155400 H02155400 Positive affirmation 긍정적인 단언 [3.0] 10024809 Focus 효과적인 의사소통 H02155412 H02155412 Effective family communication 효과적인 가족 의사소통 [3.0] 10036050 Focus 효과적인 의사소통 H02155425 H02155425 No diarrhea 설사 없음 C0474498 [3.0] 10040059|10040063 Focus|DC 효과적인 배변 H02155438 H02155425 No diarrhoea 설사 없음 C0474498 [3.0] 10040059|10040063 Focus|DC 효과적인 배변 H02155441 H02155441 Acid base balance 산-염기 균형 C0001117 [3.0] 10033491 Focus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453 H02155441 Acid base equilibrium 산-염기 균형 C0001117 [3.0] 10033491 Focus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466 H02155466 Electrolyte balance 전해질 균형 C0013831 [3.0] 10033967 Focus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479 H02155479 Fluid balance 체액 균형 C0016284 [3.0] 10034114 Focus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481 H02155481 No peripheral edema 말초 부종 없음 C2712244 [3.0] 10029031 Focus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494 H02155481 No peripheral oedema 말초 부종 없음 C2712244 [3.0] 10029031|10029020 Focus|DC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508 H02155508 Effective bilirubin level 효과적인 빌리루빈 수치 C0428443 [3.0] 10035049 Focus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511 H02155511 Effective blood glucose level 효과적인 혈당 수치 C0580545 [3.0] 10034373|10033685 Focus|DC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H02155523 H02155523 No sedation 진정되지 않음 C3650766 [3.0] 10040810|10040823 Focus|DC 효과적 진정 H02155551 H02155551 Hypermagnesia 고마그네슘혈증 [3.0] 10031439 2B.02.02.01.02.07 Focus 전해질 불균형 H02155606 H02155606 Hypocalcaemia 저칼슘혈증 C0020598 [3.0] 10031473 Focus 전해질 불균형 H02155621 H02155621 Hypomagnesia 저마그네슘혈증 [3.0] 10031494 2B.02.02.01.02.11 Focus 전해질 불균형 H02155662 H02155662 Standing 서기 C0231472 [3.0] 10018755 1A.01.01.02.02.01.01.08.05 Focus 올림: 서 있는 자세로 신체를 바꾸거나 위치시키는 것. H02155675 H02155662 Standing 기립 C0231472 [3.0] 10018755 1A.01.01.02.02.01.01.08.05 Focus 올림: 서 있는 자세로 신체를 바꾸거나 위치시키는 것. H02155688 H02155688 Self lifting 스스로 들어올리기 [3.0] 10017782 Focus 올림: 신체의 일부를 들어올리는 것; 상지나 하지 또는 머리를 포함. H02155691 H02155691 Negative emotion 부정적 감정 [3.0] 10012675 Focus 감정 H02155704 H00575124 Euphoria 황홀감 C0235146 [3.0] 10007050 1A.01.01.02.01.01.05.05 Focus "감정: 현실에 근거하지 않고 상황에 부적절한 과장된 신체적 정서적 안녕감과 관련된 고양된 감정, 즐검움, 낙관주의." H02155720 H02155720 Trust 신뢰 C0237935 [3.0] 10025934 Focus "감정: 자신감, 선에 대한 믿음, 강인함과 타인에 대한 신뢰." H02155732 H02155732 Pleasure 즐거움 C0679105 [3.0] 10014682 1A.01.01.02.01.01.05.01 Focus "감정: 목마를 때 마시는 것, 배고플 때 먹는 것, 울 때 위로 받는 것과 같이 본능적인 충동과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될 때 일반적으로 편안함이 표현되는 즉각적인 만족감." H02155745 H02155745 Pride 자존심 C0683296 [3.0] 10015727 1A.01.01.02.01.01.05.04 Focus "감정: 사람들이 인정하는 업적, 자질과 소유물, 사람의 가치 혹은 중요성에 대한 의견에 대한 만족과 고양된 감정." H02155758 H02155758 Hope 희망 C0392347 [3.0] 10009095|10025780 1A.01.01.02.01.01.05.02 Focus|DC "감정: 가능성을 가진 느낌, 타인과 미래에 대한 신뢰, 삶에 대한 열정, 살아가는 이유와 의지의 표현, 내적 평화, 낙관, 목표 설정 및 에너지의 동원과 관련됨." H02155761 H02155761 Grief 비통 C0677838 [3.0] 10008516|10022345 1A.01.01.02.01.01.05.14 Focus|DC "감정: 예상된 혹은 실제 중요한 상실과 사망과 관련된 비애감; 쇼크와 불신, (쇼크 단계); 소진, 극한 피로감과 무력감, 정신적인 고통, 사별 반응과 비탄, 울음 혹은 흐느낌, 경고, 불신, 부정, 분노 (반응의 단계); 조정, 수용, 재순응, 상실감 표현, 상실의 현 실 수용, 신체적 스트레스가 없음,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 표현 (수용의 단계)." H02155786 H02155786 Impaired engorgement 손상된 울혈 [3.0] 10012681 Focus 울혈 H02155799 H02155799 Collection of things 물건의 수집 [3.0] 10002003 Focus 개체 H02155802 H02155802 Contraceptive 피임약 C0009871 [3.0] 10025428 Focus 개체 H02155843 H02155843 Energy field 에너지장 [3.0] 10006913 Focus 개체: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에너지나 에너지 패턴의 흐름. H02155856 H02155856 Residential development 주거지 개발 [3.0] 10016894 1A.02.02.02.01 Focus "환경 개체: 거주지, 주택, 공동 주택, 도시와 도시근교의 주택을 위해 설계된 집과 구조물에 사용된 땅." H02155869 H02155856 Residential development 택지 개발 [3.0] 10016894 1A.02.02.02.01 Focus "환경 개체: 거주지, 주택, 공동 주택, 도시와 도시근교의 주택을 위해 설계된 집과 구조물에 사용된 땅." H02155871 H02155871 Industrial development 산업단지 개발 [3.0] 10010056 1A.02.02.02.04 Focus "환경 개체: 광업, 제조업, 창고업, 및 상품 유통업을 위해 사용되는 땅." H02155884 H02155884 Recreational development 휴양지 개발 [3.0] 10016524 1A.02.02.02.03 Focus 환경 개체: 대중 여가와 대중 스포츠를 위해 사용된 땅. H02155897 H02155897 Agricultural development 농경지 개발 C0001827 [3.0] 10002057 1A.02.02.02.02 Focus "환경 개체: 종종 농지 경작, 농작물 생산, 목축과 연관된 식량 재배, 농작을 위해 사용되는 땅." H02155913 H02155913 Impaired environmental process 손상된 환경 과정 [3.0] 10012699 Focus 환경 과정 H02155939 H02155939 Radiation 방사능 C0851346 [3.0] 10016264 1A.02.01.01.03.01 Focus 환경 과정: 인간의 발달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전자기파나 움직이는 입자로서의 에너지 방출. H02155941 H02155941 Wind 기류 C0043187 [3.0] 10021121 1A.02.01.01.02.01 Focus "환경 과정: 인간의 삶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지구표면과 평행인 대기에서의 공기의 자연스런 움직임, 현저한 기류." H02155967 H02155967 Weather 날씨 C0043085 [3.0] 10021006 1A.02.01.01.04 Focus "환경 과정: 인간의 삶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기온, 기압, 습도, 구름양이나 다른 기상학적 변화에 관한 주어진 시간과 장소에서의 대기 상태." H02155982 H02155982 Diagnostic test 진단 검사 C0086143 [3.0] 10031138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55995 H02155995 Elopement 도망 C3840807 [3.0] 10027407 2B.9.0017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56002 H02155995 Elopement 가출 C3840807 [3.0] 10027407 2B.9.0017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56015 H00621221 Fall 낙상 C0085639 [3.0] 10007512|10029405 Focus|DC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56028 H02156028 Positive event or episode 긍정적인 사건 또는 에피소드 [3.0] 10034665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56069 H02156069 Treatment exhaustion 치료 소진 C2364113 [3.0] 10024137|10022833 Focus|DC 소진 H02156071 H02156071 Expectation about home care 가정간호에 대한 기대 [3.0] 10041040 Focus 기대 H02156084 H02156084 Unrealistic expectation 비현실적 기대 C2364075 [3.0] 10024144 Focus 기대 H02156097 H02156097 Dysgraphia 필기 불능증 C0234144 [3.0] 10006419 1A.01.01.01.12.04.01.02.02 Focus 표현 언어상실증: 글쓰기로 단어를 표현할 수 없음. H02156113 H00510650 Dysphasia 부분실어증 C0973461 [3.0] 10006457|10029802 1A.01.01.01.12.04.01.02.01 Focus|DC 표현 언어상실증: 구두로 단어를 표현할 수 없음. H02156126 H02156126 Effective family coping 효과적인 가족 대처 C1998723 [3.0] 10034762|10034770 Focus|DC 가족 대처 H02156139 H02156139 Family knowledge of disease 질병에 대한 가족 지식 C3650919 [3.0] 10041616|10037658 Focus|DC 가족 지식 H02156141 H02156141 Sibling role 형제자매 역할 [3.0] 10018107 Focus 가족구성원 역할 H02156154 H02156154 Spouse role 배우자 역할 [3.0] 10018680 Focus 가족구성원 역할 H02156167 H02156167 Grandfather role 할아버지 역할 [3.0] 10008494 Focus "가족구성원 역할: 할아버지로서의 책임감에 따른 상호작용. 할아버지의 적절한 또는 부적절한 역할 행위에 대하여 가족구성원, 친구, 사회의 기대치가 내면화됨, 그러한 기대치가 실제 행동이나 가치관으로 표현됨. 이 용어는 주로 손자들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증진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사용됨" H02156170 H02156170 Grandmother role 할머니 역할 [3.0] 10008500 Focus "가족구성원 역할: 할머니로서의 책임감에 따른 상호작용. 할머 니의 적절한/부적절한 역할 행위에 대하여 가족구성원, 친구 및 사회의 기대치가 내면화되고, 실제 행동이나 가치관으로 표현됨. 이 용어는 주로 손자들의 바람직한 성장/발달을 증진시 키는 것과 관련되어 사용됨." H02156182 H02156182 Parent role 부모 역할 [3.0] 10014068 Focus "가족구성원 역할: 부모로서의 책임에 따른 상호작용; 부모로서 적절한 또는 부적절한 역할 행위에 대하여 가족구성원, 친구, 사회에 의해 부여된 기대치가 내면화됨. 이 기대치가 행동이나 가치관으로 표현됨; 주로 동반자녀의 바람직한 성장과 발달을 증진시키는것과 관련됨" H02156195 H02156195 Effective family process 효과적인 가족 과정 C2364309 [3.0] 10014863|10025232 Focus|DC 가족 과정 H02156211 H02156211 Impaired family process 손상된 가족 과정 C1998952 [3.0] 10012718|10023078 Focus|DC "가족 과정: 가족 기능과 과업을 성취하지 못하는 가족. 가족 기능 변화; 가족 목표의 부족; 변화에 대한 무관심; 도움의 필요성 을 지각하지 못함; 긴장, 스트레스, 위기를 조정하지 못함; 무관 심한 가정 다른 사람에 대한 불신; 절망감." H02156224 H02156224 Childbearing family role 출산기의 가족 역할 [3.0] 10004297 Focus 가족 역할 H02156237 H02156237 Couple role 부부 역할 [3.0] 10005283 Focus 가족 역할 H02156240 H02156240 Expanded family unit role 확장된 가족 역할 [3.0] 10007336 Focus 가족 역할: 확대가족 구성원간의 상호작용. H02156252 H02156252 Stepfather role 양부 역할 [3.0] 10018803 Focus 아버지 역할 H02156307 H02156307 Fear about abandonment 유기에 대한 두려움 C3650914 [3.0] 10037810|10037824 Focus|DC 두려움 H02156310 H02156307 Fear about abandonment 유기에 대한 공포 C3650914 [3.0] 10037810|10037823 Focus|DC 두려움 H02156322 H02156322 Fear about being a burden to others 타인에게 부담이 되는데 대한 두려움 C3650730 [3.0] 10026594|10041672 Focus|DC 두려움 H02156335 H02156322 Fear about being a burden to others 타인에게 부담이 되는데 대한 공포 C3650730 [3.0] 10026594|10041671 Focus|DC 두려움 H02156348 H02156348 Fear about contagion 전염에 대한 두려움 C3650908 [3.0] 10041709|10037921 Focus|DC 두려움 H02156351 H02156348 Fear about contagion 전염에 대한 공포 C3650908 [3.0] 10041709|10037921 Focus|DC 두려움 H02156363 H02156363 Fear about death 죽음에 대한 두려움 C0522179 [3.0] 10026541|10037834 Focus|DC 두려움 H02156376 H02156363 Fear about death 죽음에 대한 공포 C0522179 [3.0] 10026541|10037834 Focus|DC 두려움 H02156389 H02156389 Self feeding 스스로 먹기 [3.0] 10017730 Focus 먹기 H02156391 H02156391 Female fertility 여성 생식능력 C1955260 [3.0] 10007826 1A.01.01.01.15.01.01 Focus 가임능력: 임신하고 태아를 지니고 있을 수 있고 생존력있는 아기를 분만할 수 있는 여성의 능력. H02156405 H02156391 Female fertility 여성 가임능력 C1955260 [3.0] 10007826 1A.01.01.01.15.01.01 Focus 가임능력: 임신하고 태아를 지니고 있을 수 있고 생존력있는 아기를 분만할 수 있는 여성의 능력. H02156418 H02156418 Male fertility 남성 생식능력 C1955321 [3.0] 10011558 1A.01.01.01.15.01.02 Focus 가임능력: 자식을 낳고 여성을 임신하게 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정자와 성호르몬을 생산하여 여성을 임신시킬 수 있는 남성의 수정능력 H02156421 H02156418 Male fertility 남성 수정능력 C1955321 [3.0] 10011558 1A.01.01.01.15.01.02 Focus 가임능력: 자식을 낳고 여성을 임신하게 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정자와 성호르몬을 생산하여 여성을 임신시킬 수 있는 남성의 수정능력 H02156433 H02156433 Income 소득 C0021162 [3.0] 10031563 1A.01.01.02.02.01.02.03.05.01 Focus "재정 상태: 가정의 계획된 재원으로써 돈의 균형을 돌보는 것; 주, 월, 년 같은 시간단위로 예측되어지는 가정의 재정적 자원, 안정과 안전, 기본욕구의 충족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써 노동이나 서비스의 대가로 주기적으로 받는 돈." H02156446 H00645657 Flatulence 위장 팽만 C0016204 [3.0] 10012725 1A.01.01.01.09.01.05.01 Focus 위창자내공기참 H02156461 H02156461 Isotonic overhydration 등장성 과다수분공급 [3.0] 10041998 1A.01.01.01.07.01.01 Focus "체액불균형: 체액과 같은 전해질 농도를 가진 등장성 액체의 과잉상태; 협압상승, 체중증가, 경정맥과 손정맥의 확장, 호흡곤란, 빠른 속도의 수혈로 인한 폐부종이나 신부전과 관련된 이상 호흡음이 동반됨" H02156474 H02156461 Isotonic overhydration 등장성 수분 과잉 [3.0] 10041998 1A.01.01.01.07.01.01 Focus "체액불균형: 체액과 같은 전해질 농도를 가진 등장성 액체의 과잉상태; 협압상승, 체중증가, 경정맥과 손정맥의 확장, 호흡곤란, 빠른 속도의 수혈로 인한 폐부종이나 신부전과 관련된 이상 호흡음이 동반됨" H02156487 H02156487 Fluid retention 체액정체 C0268000 [3.0] 10041933 1A.01.01.01.07.03 Focus "체액불균형: 조직공간에 체액이 정체된 상태; 전해질 균형의 변화, 조직의 부종, 체중증가, 짧은 호흡, 안절부절, 정신상태의 변화, 삼출과 연관된다." H02156503 H02156503 Hypotonic overhydration 저장성 과다수분공급 [3.0] 10041980 1A.01.01.01.07.01.03 Focus "체액불균형: 수분균형의 한 형태 : 체액보다 낮은 전해질 농도를 가진 액체의 과잉상태; 구토, 설사, 심한 발한 등과 같은 체액 손실을 보통 물로 보충함으로써 야기되는 물중독같은 경우이며 오심, 구토, 허약감, 의식감소, 근육경련, 발작을 동반함." H02156516 H02156503 Hypotonic overhydration 저장성 수분과잉 [3.0] 10041980 1A.01.01.01.07.01.03 Focus "체액불균형: 수분균형의 한 형태 : 체액보다 낮은 전해질 농도를 가진 액체의 과잉상태; 구토, 설사, 심한 발한 등과 같은 체액 손실을 보통 물로 보충함으로써 야기되는 물중독같은 경우이며 오심, 구토, 허약감, 의식감소, 근육경련, 발작을 동반함." H02156529 H02156529 Hypertonic overhydration 고장성 과다수분공급 [3.0] 10041979 1A.01.01.01.07.01.02 Focus "체액불균형: 체액보다 높은 전해질 농도를 가진 고장성 액체의 과잉상태(드물다); 혼돈, 환각, 졸림, 발작을 동반한 심한 목마름, 건조해 보이고 따뜻한 피부를 나타냄; 무의식 환자에게 고장성 수액을 혈관내로 주입한 경우나 설탕대신 소금을 넣은 조제분유, 난파된 배에서 바닷물을 마신 경우 나타남" H02156531 H02156529 Hypertonic overhydration 고장성 수분과잉 [3.0] 10041979 1A.01.01.01.07.01.02 Focus "체액불균형: 체액보다 높은 전해질 농도를 가진 고장성 액체의 과잉상태(드물다); 혼돈, 환각, 졸림, 발작을 동반한 심한 목마름, 건조해 보이고 따뜻한 피부를 나타냄; 무의식 환자에게 고장성 수액을 혈관내로 주입한 경우나 설탕대신 소금을 넣은 조제분유, 난파된 배에서 바닷물을 마신 경우 나타남" H02156557 H00519993 Oedema 부종 C0013604 [3.0] 10041951 Focus "체액 정체: 서있는 상태에서의 하지 말초 조직 부종, 앙와위 상태에서의 요부 조직 부종, 호흡양상의 변화나 비정상적 호흡음, 짧은 호흡을 동반한 중심부 부종, 체액 정체, 조직내 체액 축적 과잉 상태." H02156572 H02156572 Impaired fluid volume 손상된 체액량 C2364164 [3.0] 10042008 Focus 체액량 H02156585 H02156585 Adequate hydration 적절한 수분 C4032685 [3.0] 10042342|10042065 Focus|DC 체액량 조절 H02156598 H02156598 Cooking 요리하기 C0335326 [3.0] 10005188 1A.01.01.02.02.01.02.03.01 Focus "음식준비: 양과 질을 고려하여 음식과 식사를 제공하는 것으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음식을 준비, 저장, 차림 그리고 배분하는 것." H02156601 H02156601 Impaired gastrointestinal system process 손상된 위장관계 과정 C0232459 [3.0] 10012741 Focus 위장관계 과정 H02156614 H02156614 Positive gastrointestinal system process 양호한 위장관계 과정 [3.0] 10028000 Focus 위장관계 과정 H02156642 H00437571 Defaecation 배변 C0011135 [3.0] 10005628 Focus "위장관계 과정: 장을 통해 변을 이동, 배출하는 것." H02156700 H02156700 Child gender discrimination 자녀 성 차별 [3.0] 10025400 Focus "성 차별: 한 성을 다른 성보다 더 가치를 두는 경향, 성에 따라 아이들을 차별하는 것." H02156712 H02156712 Female genital mutilation 여성성기 절단 C0403893 [3.0] 10007835 1A.01.01.02.02.02.01.11.04.01.01 Focus "성기 절단: 여자 영유아, 아동, 혹은 성인의 성기와 외부 생식기의 일부 혹은 전체를 절제하는 것, 이로 인해 성기능, 임신과 출산을 저해함." H02156725 H02156725 Male genital mutilation 남성성기 절단 [3.0] 10011562 1A.01.01.02.02.02.01.11.04.01.02 Focus "성기 절단: 남아나 남성 성인의 외부 생식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절제하는 것으로서, 통과의식과 관련되고 문화적 습관이나 종교적 신념으로 정당화됨, 남성포경수술은 제외." H02156738 H02156738 Self dressing or undressing 스스로 입고 벗기 [3.0] 10017748 Focus 입고 벗기 H02156741 H02156741 Family grief 가족 비통 C3650874 [3.0] 10038476|10038482 Focus|DC 비통 H02156753 H02156753 Self grooming 스스로 몸단장하기 [3.0] 10017753 Focus 몸단장하기 H02156766 H02156766 Community role 지역사회 역할 [3.0] 10004831 Focus 집단 역할 H02156779 H02156779 Family role 가족 역할 C0680074 [3.0] 10007651 Focus 집단 역할 H02156781 H02156781 Workforce role 노동인력 역할 [3.0] 10021132 Focus 집단 역할 H02156794 H02156794 Impaired growth 손상된 성장 [3.0] 10034903 Focus 성장 H02156808 H02156808 Thriving process 성장과정 [3.0] 10019709 Focus 성장: 특히 어린이에서 필수 영양소를 섭취하여 영양상태와 발육상태가 좋아 정상적인 체중증가와 성장이 이루어진 상태. H02156823 H02156823 Pain management satisfaction 통증관리 만족도 C3650796 [3.0] 10040102|10040118 Focus|DC 보건의료 만족 H02156836 H02156836 Community health 지역사회 건강 C1524018 [3.0] 10004767 1A.01.02.02.02.04 Focus 건강: 지역사회 안에서의 건강과 질병의 상대적인 수준. H02156849 H02156849 Occupational health 산업보건 [3.0] 10013586 Focus 건강: 산업장에서 근로자가 최적의 안녕상태에서 기능할 수 있는 상태. H02156851 H02156851 Apical heart rate 심첨박동수 C1820439 [3.0] 10002440 Focus 심박동수 H02156864 H02156851 Apical pulse 심첨맥박 [3.0] 10002440 Focus 심박동수 H02156877 H02156877 Heart rate vital sign 심박동수 활력징후 [3.0] 10008846 2B.02.02.01.01.07.S.001 Focus 심박동수 H02156892 H02156892 Adolescent development 청소년 발달 C0870101 [3.0] 10023343 Focus 인간 발달 H02156906 H02156906 Adult development 성인 발달 C0870107 [3.0] 10023512 Focus 인간 발달 Process of physical cognitive personality " and psychosocial growth occurring from age 18. Use a more specific term if possible.[PSY/PT]""" H02156919 H02156919 Infant development 영아발달 C0205714 [3.0] 10023740 Focus 인간 발달 H02156921 H02156921 Foetal development 태아 발달 [3.0] 10007890 Focus 인간 발달: 모체의 자궁안에서 분만 시점까지의 태아의 발육. H02156934 H02156921 Fetal development 태아 발달 C0015928 [3.0] 10007890 Focus 인간 발달: 모체의 자궁안에서 분만 시점까지의 태아의 발육. H02156947 H02156947 Child development 아동 발달 C0008071 [3.0] 10004324 1A.01.01.01.16.01.02 Focus "인간 발달: 출생기부터 아동기까지의 점진적인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사회적 성장과 발달." H02156950 H02156950 Patient right 환자권리 C0030706 [3.0] 10014184 Focus 인권 H02156962 H02156950 Patient right 환자의 권리 C0030706 [3.0] 10014184 Focus 인권 H02156975 H02156975 Self hygiene 자가 위생관리 [3.0] 10017769 Focus 위생 H02156988 H02156988 Hand hygiene 손 위생 C3494474 [3.0] 10041190 Focus 위생 양상 "Practices involved in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diseases by hand.[MSH/MH]""" H02156991 H02156991 Oral hygiene pattern 구강 위생 양상 [3.0] 10032204 Focus 위생 양상 The practice of personal hygiene of the mouth. It includes the maintenance of oral cleanliness tissue tone " and general preservation of oral health.[MSH/MH]""" H02157011 H01495963 Restlessness 안절부절함 C3887611 [3.0] 10017138|10025722 1A.01.01.01.13.10 Focus|DC "활동과잉: 불안감, 피로와 근육이 몹시 가려운 느낌, 때때로 근육뒤틀림 또는 따끔한 통증이 동반됨." H02157049 H02157049 Patient identity 환자 정체성 C0747303 [3.0] 10014166 Focus 정체성 H02157051 H02157051 Impaired immune system process 손상된 면역계 과정 [3.0] 10041093 Focus 면역계 과정 H02157077 H00564675 Redness 홍반 C0332575 [3.0] 10016388 1A.01.01.01.10.01.03.S.001 Focus "손상된 개체의 집합: 색이 변하고 튀어나온 홍반, 국소부종, 두드러기, 소수포, 소양감을 동반하는 피부발진." H02157092 H02157092 Abandonment 유기 C0870084 [3.0] 10041692 Focus 손상된 행동 Loneliness anxiety " and emotional and psychological loss of support resulting from desertion or neglect. Used for human populations.[PSY/PT]""" H02157106 H02157106 Disorganized behavior 와해된 행동 [3.0] 10006059 Focus "손상된 행동: 순서가 맞지 않거나 혼돈된 행동, 그리고 환경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통합되어 나타지않는 행동." H02157119 H02157106 Disorganised behaviour 와해된 행동 [3.0] 10006059 Focus "손상된 행동: 순서가 맞지 않거나 혼돈된 행동, 그리고 환경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통합되어 나타지않는 행동." H02157121 H02157121 Neglect 방치 C0521874 [3.0] 1B.41 Focus "손상된 행동: Failure to give proper care or attention, ignore." H02157147 H00053790 Aggressive behaviour 공격적 행동 C0001807 [3.0] 10002026 Focus "손상된 행동: 언어적, 신체적 혹은 상징적으로 표현되는 강제적이고 자기독단적인 행동 또는 태도." H02157175 H02157175 Self destructive behavior 자기파괴적 행위 C0085271 [3.0] 10017707 Focus "손상된 행위: 자기자신을 다치거나 손상줄 의도로 자신에서 기인된 행위의 수행, 자기 자신을 향한 폭력." H02157188 H02157175 Self destructive behaviour 자기파괴적 행위 C0085271 [3.0] 10017707|10027424 Focus|DC "손상된 행위: 자기자신을 다치거나 손상줄 의도로 자신에서 기인된 행위의 수행, 자기 자신을 향한 폭력." H02157191 H02157191 Compulsive behavior 강박 행위 C0600104 [3.0] 10004883 Focus 손상된 행위: 일상생활의 기능을 방해하고 불안이나 강박적 사고를 경감시키기 위해 행하는 반복적인 행동. H02157204 H02157191 Compulsion 강박 C0600104 [3.0] 10004883 Focus 손상된 행위: 일상생활의 기능을 방해하고 불안이나 강박적 사고를 경감시키기 위해 행하는 반복적인 행동. H02157217 H02157191 Compulsive behaviour 강박 행위 C0600104 [3.0] 10004883 Focus 손상된 행위: 일상생활의 기능을 방해하고 불안이나 강박적 사고를 경감시키기 위해 행하는 반복적인 행동. H02157220 H02157220 Preoccupation 몰두 C0549165 [3.0] 10015466 1A.01.01.02.01.01.02.01.04 Focus 부적절한 신념: 다른 생각을 배제하거나 정신적으로 흐트러진 마음을 지배하고 사로잡는 것. H02157245 H02157245 Self consciousness 자아의식 C0871320 [3.0] 10017688 1A.01.01.02.01.02.01 Focus "손상된 신념: 개인적 경계를 가지며 경험, 욕구, 행동을 지닌 개인으로, 다른 사람과 분리되고 구별되는 사람으로서 자신의 견해." H02157258 H02157258 Discrimination 차별 [3.0] 10006037 1A.02.02.04.01 Focus 손상된 신념: 공통된 속성을 가진 그룹에 대한 편견 혹은 편애. H02157273 H01620369 Stigma 오명 C0277787 [3.0] 10018835|10022782 1A.02.02.04.01.04 Focus|DC "부적절한 신념: 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점으로 인한 불명예나 수치심과 연관된 행동; 종종 정신질환, 신체 장애, 종교나 전과력과 관련됨." H02157299 H02157299 Tissue erosion 조직미란 [3.0] 10019732 Focus 손상된 조직 통합성: 표피가 소실되어 유두 진피가 노출됨. H02157371 H02157371 Distorted thinking 왜곡된 사고 [3.0] 10006092 Focus 손상된 인지 H02157384 H02157384 Suicidal ideation 자살 사고 C2364109 [3.0] 10024100|10022795 Focus|DC 손상된 인지 H02157413 H02157413 Impaired family communicating act 손상된 가족 의사소통 행동 [3.0] 10012702 Focus 손상된 의사소통 행동 H02157495 H00501769 Drowsy 졸림 C0013144 [3.0] R40.0 10018512 1A.01.01.01.13.18.02 Focus 손상된 의식: 병적인 수면과 비정상적인 졸리움. H02157540 H02157540 Burn out 소진 C0476644 [3.0] 10003771 Focus "잘못된 대처 과정: 경감되지 않은 스트레스, 지지와 존중관계의 부족, 현실과 기대간의 불일치에 의한 힘의 고갈." H02157578 H02157578 Compulsive eating behavior 강박 섭취행위 [3.0] 10004896 Focus 손상된 식습관 행위: 배가 고프지 않음에도 음식을 먹으려는 억제할 수 없는 기분과 관련된 반복된 섭취행위. H02157581 H02157578 Compulsive eating behaviour 강박 섭취행위 [3.0] 10004896 Focus 손상된 식습관 행위: 배가 고프지 않음에도 음식을 먹으려는 억제할 수 없는 기분과 관련된 반복된 섭취행위. H02157607 H02157607 Natural disaster 자연재해 C0027485 [3.0] 10012448 Focus 1) 손상된 환경 과정 2) 기상 지변 생물 등의 급격한 자연현상으로 입는 재난[두산백과] 3) Sudden calamitous events producing great material damage loss and distress. They are the result of natural phenomena such as earthquakes floods " etc.[MSH/PEN]""" H02157610 H02157610 Overcrowding process 과밀화 과정 [3.0] 10013875 Focus "손상된 환경 과정: 안락함, 안전, 및 사생활을 보장하기에 너무 많은 사람이 거주공간에 살고 있는 것; 종종 사생활 침해, 전염성 질병위험의 증가와 관련됨." H02157676 H00720792 Delayed growth 성장지연 C0456070 [3.0] 10034919|10034926 Focus|DC 손상된 성장 H02157705 H02157705 Disproportionate growth 불균형 성장 [3.0] 10034942 Focus 손상된 성장 H02157733 H00072178 Memory deficit 기억상실 C0233794 [3.0] R41.3 10002233 1A.01.01.02.01.01.04.03.S.001 Focus 손상된 기억: 대뇌 손상이나 정서적인 위기와 연관된 기억의 손상. H02157746 H00072178 Loss of memory 기억상실 C0751295 [3.0] R41.3 10002233 1A.01.01.02.01.01.04.03.S.002 Focus 손상된 기억: 대뇌 손상이나 정서적인 위기와 연관된 기억의 손상. H02157761 H02157761 Dry mucous membrane 건조한 점막 [3.0] 10006351 1A.01.01.01.10.02.01 Focus 손상된 점막: 탈수 혹은 질병으로 인해 수분이 감소됨 H02157857 H02157857 Muscle twisting process 근육염전과정 [3.0] 10012328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격렬한 신체 활동, 떨어지지 않기 위한 자세에서 한 개 이상의 근육이 과잉운동하는 것과 관련된 근육 혹은 근육군의 고통스럽고 불수의적인 수축." H02157885 H00657305 Foot drop 족저굴곡 C0085684 [3.0] 10008140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발의 족저 굴곡, 발바닥쪽으로의 발목관 절의 굴곡, 아래쪽으로 내려간 발바닥, 발끌림, 걸음시도시 바닥 닿기의 실패, 발을 끌면서 걷기, 부적당한 신체정렬 상태로 오랜기간동안의 침상안정, 무거운 침구로 인한 발의 압박으로 인해 발이 정상적으로 지탱하지 못하여 족배굴곡이 됨." H02157898 H00901902 Joint contracture 관절경축 C0009918 [3.0] 10010975 1A.01.01.01.12.01.02.03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골절의 염전반사, 손, 손가락, 팔꿈치, 어깨, 발, 무릎, 발가락의 정상적인 움직임을 방해하는 관절낭 결합조직의 섬유화, 제한된 움직임 또는 활동 불능, 관절의 비정 상적인 정렬, 수동적-능동적 관절운동의 부족으로 인한 근섬유 의 위축과 단축, 관절을 또는 덮고있는 광범위한 반흔의 형성으 로 인한 피부의 정상적인 탄성 손실." H02157955 H01593171 Spasticity 강직성 C0026838 [3.0] 10018520 1A.01.01.01.12.01.01.04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조절되지 않는 골 근육 수축, 근육 긴장 증가, 근경직, 서투른 동작." H02157996 H02157996 Manic state 조증상태 C0338831 [3.0] 10011706 Focus "손상된 신경학적 상태: 걱정이 없고 통제할 수 없는 긍정적 활력이 넘치는 감정 상태. 이 상태에 있는 사람은 자아도취, 충만감, 흥분을 경험하고, 수다스러워지며 과대행동, 정신운동의 과흥분 및 사고의 비약이 생긴다." H02158003 H01300155 Perceived constipation 지각된 변비 C0009806 [3.0] Focus 손상된 지각 H02158057 H02158057 Suspicion 의심 C0242114 [3.0] 10019310|10022805 Focus|DC "손상된 지각: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으나 어떠 것이 있는 것 같은 느낌, 근거없이 불확실한 상태, 심리적으로 비난하려는 성향 또는 진실에 대한 의심." H02158085 H00899324 Itching 소양감 C0033774 [3.0] L29.9 10010934 1A.01.01.01.13.08.S.003 Focus 손상된 지각: 피부나 두피를 긁고 싶은 충동이 따르는 성가시고 저린 감각. H02158098 H00899390 Itching sense 소양감 [3.0] 10010934 1A.01.01.01.13.08.S.001 Focus 손상된 지각: 피부나 두피를 긁고 싶은 충동이 따르는 성가시고 저린 감각. H02158101 H00899324 Pruritus 소양감 C0033774 [3.0] L29.9 10010934 1A.01.01.01.13.08 Focus 손상된 지각: 피부나 두피를 긁고 싶은 충동이 따르는 성가시고 저린 감각. H02158127 H00899390 Itching sense 가려움 [3.0] 10010934 1A.01.01.01.13.08 Focus 손상된 지각: 피부나 두피를 긁고 싶은 충동이 따르는 성가시고 저린 감각. H02158168 H00490691 Dizziness 어지럼증 C0012833 [3.0] 10006160|10045584 1A.01.01.01.13.07 Focus|DC "손상된 지각: 혼돈, 오심, 허약감과 동반되어 서 있거나 앉아있는 상태에서 정상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힘든 느낌이 들거나 쓰러질 것 같은 느낌." H02158225 H02158225 Delayed physical recovery 손상된 신체적 회복 C3650916 [3.0] 10037731|10037749 Focus|DC 손상된 신체적 회복 H02158238 H02158238 Disuse response 불용 반응 C2364308 [3.0] 10025127|10025209 Focus|DC 손상된 신체적 반응 H02158241 H02158241 Unintended pregnancy 계획하지 않은 임신 C0041747 [3.0] 10020292 1A.01.02.01.01.02.02 Focus 부적절한 임신: 계획하지 않은 또는 의도하지 않은 임신과 계획하지 않은 아이를 가진 것과 관련된 행동. H02158253 H02158253 Pathological process 병리적 과정 C0030660 [3.0] 10014121 Focus 손상된 과정: 질병. H02158266 H02158266 Negative response to situation 상황에 대한 부정적 반응 [3.0] 10032132 Focus 손상된 심리적 반응 H02158279 H02158279 Trauma response 외상반응 [3.0] 10020114 Focus 손상된 심리적 반응 H02158281 H02158279 Trauma reaction 외상반응 [3.0] 10020114 Focus 손상된 심리적 반응 H02158294 H02158294 Relocation stress 재배치 스트레스 C2364351 [3.0] 10016744|10021788 1A.01.01.02.01.01.08.01.05 Focus|DC "손상된 심리적 반응: 어떤 환경에서 다른 환경으로 이동함으로 발생하는 정신적, 신체적 교란을 관리하기 위해 취하는 성향." H02158308 H02158308 Autonomic dysreflexia 자율신경반사부전 C0238015 [3.0] 10003049|10000496 Focus|DC 손상된 반사 H02158311 H02158311 Acid base imbalance 산-염기 불균형 C0001118 [3.0] 10029548|10033539 Focus|DC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58349 H00459100 DM 당뇨 C0011849 [3.0] E10-E14 10005876 2B.02.02.01.05.08.01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58377 H02158377 Fluid imbalance 체액 불균형 C2364164 [3.0] 10031309|10042335 Focus|DC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58406 H00789058 Hyperglycaemia 고혈당 C0020456 [3.0] 10027521|10027550 Focus|DC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58419 H02158419 Hyperlipidaemia 고지혈증 C0020473 [3.0] 10041055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58421 H02158421 Hypoglycemia 저혈당증 C0020615 [3.0] 10027513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58434 H02158421 Hypoglycaemia 저혈당 C0020615 [3.0] 10027513|10027566 Focus|DC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58491 H02158491 Hypovitaminosis 비타민부족증 C1510471 [3.0] 10009581 1A.01.01.01.04.02.07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식사에서 한 종류 이상의 필수 비타민 부족 상태. H02158532 H02158532 Erectile insufficiency 발기불능 [3.0] 10009886 1A.01.01.01.15.01.02.01.01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음경의 발기 불능 혹은 드물게 발기 후 사정불능; 나이, 피로, 나쁜 건강, 약물복용, 질병과 같은 정신적 또는 생리적 요인과 관련됨." H02158643 H00651343 Blush 홍조 C0005874 [3.0] R23.2 10009151 1A.9.0230 Focu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호르몬 변화나 폐경시작과 관련된 신체 윗부분의 갑작스런 열감각, 갑작스런 혈관확장, 땀과 발한." H02158656 H02158656 Apnea 무호흡증 C1963065 [3.0] 10035012|10035020 1A.9.0040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2158669 H02158656 Apnoea 무호흡증 C0003578 [3.0] 10035012|10035020 1A.9.0040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2158754 H02158754 Aspiration 사레 [3.0] 10002656|10027177 1A.01.01.01.01.04.04 Focus|DC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이물질이나 위 내용물의 하부기도 혹은 폐로의 흡입. H02158809 H00511019 Labored respiration 노력성 호흡 C0553668 [3.0] R06.0 10006461 1A.01.01.01.01.02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순환혈액내 불충분한 산소, 불편감과 불안과 관련되어 있는, 폐 안팎으로의 힘든 공기의 움직임, 짧은호흡" H02158852 H02158852 Promiscuity 난잡한 성행위 C0562558 [3.0] 10015791 1A.01.01.02.02.02.04.02 Focus 손상된 성행위: 무분별하거나 성병 전염의 위험성이 있는 다수의 상대자와 성행위를 하는 행동 H02158865 H02158865 Indecent exposure 성기 노출 [3.0] 10009990 1A.01.01.02.02.02.04.04 Focus 손상된 성 행위: 타인의 사생활과 품위를 모독하고 자신의 성감을 흥분시키거나 힘을 행사할 목적으로 한명 이상의 사람 앞에서 성기를 노출시키는 성적 충동 행동. H02158878 H02158878 Moist skin 습성 피부 C0241126 [3.0] 10012149 Focus 손상된 피부 H02158907 H00504347 Dry skin 건성 피부 C0151908 [3.0] 10006367 1A.01.01.01.10.01.01 Focus "손상된 피부: 특히 손, 발 및 뼈 돌출부위에 갈라질 위험성이 있는 거칠고, 각질이 있는 표피." H02158935 H00792376 Hypersomnia 수면과잉 C0917799 [3.0] 10009387 1A.01.01.01.11.01.03 Focus "수면 이상: 지나치게 깊은 수면이 비정상적으로 길제 지속, 각성시에 혼돈, 극도의 졸음, 기면이 나타나며 신체적 요소보다는 정신적 요소와 관련이 있음." H02158976 H02158976 Discomfort 불편감 C0234215 [3.0] 10023835|10023066 1A.9.0018 Focus|DC 손상된 상태 H02158991 H02158991 Meaninglessness 무의미함 C0679966 [3.0] 10023900 Focus 손상된 상태 H02159037 H02159037 Hypoactivity 활동저하 C0086439 [3.0] 10009466 1A.01.01.01.12.03.01.02 Focus "손상된 상태: 비정상적인 신체 활동 감소, 느린 동작, 근육경직, 신경질환 또는 정신질환과 관련된 굳은 얼굴표정을 나타냄." H02159040 H02159040 Hyperactivity 활동과잉 C0424295 [3.0] 10009302 1A.01.01.01.12.03.01 Focus "손상된 상태: 신체기관의 물리적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 떨림, 안절부절, 한 자리에 머물기 어려움, 갑상선항진증 또는 정신질환 같은 질환과 관련됨." H02159093 H02159093 Desolation 비참함 [3.0] 10005807 1A.01.01.02.01.01.05.13 Focus "손상된 상태: 절망감으로 인한 자포자기, 우울하거나 비통함을 드러내는 행위, 그리고 자포자기 또는 절망의 표현." H02159110 H02159110 Non adherence 불이행 C0376405 [3.0] 10013248|10001371 Focus|DC 손상된 상태: 치료지침에 따르지 않거나 순응하지 않음. H02159122 H02159110 Breach 불이행 [3.0] 10013248 Focus 손상된 상태: 치료지침에 따르지 않거나 순응하지 않음. H02159135 H02159135 Foul odor 악취 C0237137 [3.0] 10008206 1A.02.01.01.07 Focus 손상된 상태: 후각에 대해 거부감이 생기는 것. H02159148 H02159135 Foul odour 악취 [3.0] 10008206 1A.02.01.01.07 Focus 손상된 상태: 후각에 대해 거부감이 생기는 것. H02159287 H02159287 Craving 식탐 C0870371 [3.0] 10005334 1A.01.01.01.13.04.01 Focus "손상된 결단력: 어떤 물질 특히 음식, 약물이나 다른 자극제를 섭취하려는 억누를 수 없는 충동." H02159303 H00967981 Underweight 저체중 C0041667 [3.0] 10020263|10027316 Focus|DC 체중 이상 H02159329 H01254341 Overweight 체중과다 C0497406 [3.0] 10013899|10027300 1A.01.01.01.04.02.02 Focus|DC "체중 이상: 보통 적정 체중보다 10~20% 정도 체중과 체질량이 초과된 상태로, 과다한 영양소 섭취, 과식 및 운동부족과 관련 되며 주로 내부장기와 피하조직에서 지방 세포의 비율이 증가함." H02159344 H00509967 Dyslexia 읽기곤란증 C0476254 [3.0] 10006426 1A.01.01.01.12.04.01.01.01 Focus "인상적 언어상실증: 결함이 있는 독서 능력, 쓰여진 문자와 단어를 반대로 인식함, 오른쪽과 왼쪽을 분별하기 어려움." H02159357 H00509967 Dyslexia 독서장애 C0476254 [3.0] 10006426 1A.01.01.01.12.04.01.01.01 Focus "인상적 언어상실증: 결함이 있는 독서 능력, 쓰여진 문자와 단어를 반대로 인식함, 오른쪽과 왼쪽을 분별하기 어려움." H02159360 H00059196 Alexia 독서불능증 C0002018 [3.0] 10002159 1A.01.01.01.12.04.01.01.02 Focus 인상적 언어상실증: 쓰여진 단어를 이해하지 못함. H02159385 H02159385 Communicable disease rate 전염병 발생률 [3.0] 10004686 Focus 이환율: 한 사람 또는 동물에서 다른 사람 또는 동물로 전염시킬 수 있는 감염자들의 숫자 비율. H02159398 H02159398 Family income 가족수입 [3.0] 10007583 Focus 수입: 가족의 소비를 보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금과 그외 금전적 출처. H02159401 H02159401 Individual playing role 개인 수행 역할 [3.0] 10010025 Focus 개인 H02159414 H02159414 Care provider role 의료인 역할 [3.0] 10003991 Focus 개인 역할 H02159427 H02159414 Care provider role 돌봄 제공자 역할 [3.0] 10003991 Focus 개인 역할 H02159430 H02159430 Family member role 가족구성원 역할 [3.0] 10007605 Focus 개인 역할 H02159442 H02159442 Legal guardian role 법적 보호자 역할 [3.0] 10027606 Focus 개인 역할 H02159455 H02159455 Patient role 환자 역할 [3.0] 10014197 Focus 개인 역할 H02159468 H02159468 Student role 학생 역할 [3.0] 10018928 1A.01.01.02.02.02.02.02 Focus "개인 역할: 학생으로서의 책임과 정체성에 따른 상호작용, 학교에 다니거나 교육에 참여함으로서 기대되는 행위; 주로 청소년기동안 지적발달과 인성발달과 관련됨." H02159483 H02159483 Caregiver role 돌봄제공자 역할 C1822040 [3.0] 10003962 1A.01.01.02.02.02.02.05 Focus "개인 역할: 누군가를 위해 돌보는 책임감에 따른 상호작용; 돌봄제공자의 적절한 또는 부적절한 역할 행위에 대하여 의료인, 가족구성원, 의료기관, 및 사회의 기대치가 내면화됨; 이런 기대치가 행동과 가치관으로 표현됨; 주로 의존적인 가족구성원 의 돌봄과 관련됨." H02159496 H02159496 Official strike 공식 파업 [3.0] 10013643 1A.02.02.05.01.01.04.01 Focus 산업쟁의: 더 나은 작업여건을 위해 계약체계에 따라 쟁의하는 것; 보통 계속 작업하는 것을 거부함. H02159500 H02159500 Unofficial strike 비공식 파업 [3.0] 10020318 1A.02.02.05.01.01.04.02 Focus 산업쟁의: 더 나은 작업여건을 위해 계약체계에 따르지 않고 쟁의하는 것; 보통 계속 작업하는 것을 거부함. H02159512 H02159500 Wild strike 비공식 파업 [3.0] 10020318 1A.02.02.05.01.01.04.02 Focus 산업쟁의: 더 나은 작업여건을 위해 계약체계에 따르지 않고 쟁의하는 것; 보통 계속 작업하는 것을 거부함. H02159525 H02159525 Newborn development 신생아 발달 [3.0] 10023971 Focus 영아 발달 H02159579 H02159579 Head lice infestation 머릿니 침입 C0030757 [3.0] 10031345 Focus 감염 H02159581 H02159581 Abuse injury 학대로 인한 손상 [3.0] 10029530 Focus 손상 H02159608 H02159608 Electrical injury 전기적 손상 C1556061 [3.0] 10006643 Focus 손상 H02159611 H02159611 Environmental injury 환경적 손상 [3.0] 10031234 Focus 손상 H02159623 H02159623 Fall injury 낙상 손상 C1301836 [3.0] 10038513 Focus 손상 H02159636 H02159636 Laser injury 레이저 손상 [3.0] 10011159 Focus 손상 H02159649 H02159649 Mechanical injury 물리적 손상 [3.0] 10011832 Focus 손상 H02159651 H02159651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수술전후 체위로 인한 C1171169 [3.0] 10014372|10023111 Focus|DC 손상 H02159677 H02159677 Thermal injury 열 손상 C0332685 [3.0] 10019637 Focus 손상 H02159680 H02159680 Fall injury rate 낙상 손상률 [3.0] 10037712 Focus 손상률 H02159692 H02159692 Transfer injury 이동 손상 C3165265 [3.0] 10020024|10030074 Focus|DC 손상: 위치이동으로 인한 손상. H02159706 H02159706 Tissue integrity 조직통합성 C0518897 [3.0] 10003530|10028555 Focus|DC 통합성 H02159719 H02159719 Skin integrity 피부통합성 C1286235 [3.0] 10018241 Focus 조직 통합성 H02159734 H00165330 Behavior 행위 C0004927 [3.0] 10003217 2B.9.0004 Focus 계획된 과정: 행동. H02159747 H00165330 Behaviour 행동 C0004927 [3.0] 10003217 2B.9.0004 Focus 계획된 과정: 행동. H02159750 H00165330 Behaviour 행위 C0004927 [3.0] 10003217 2B.9.0004 Focus 계획된 과정: 행동. H02159775 H02159775 Socialisation 사회화 [3.0] 10018391 Focus "상호작용 행동: 상호간의 사회적 교류, 사회활동에 참여." H02159788 H02159788 Family knowledge 가족 지식 [3.0] 10041600 Focus 지식 H02159791 H02159791 Knowledge of alcohol use 음주에 대한 지식 C3651044 [3.0] 10042553 Focus 지식 H02159804 H02159804 Knowledge of breast feeding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3.0] 10031619 Focus 지식 H02159817 H02159817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 [3.0] 10031626 Focus 지식 H02159820 H02159820 Knowledge of community service 지역사회 서비스에 대한 지식 C2712152 [3.0] 10027363|10028627 Focus|DC 지식 H02159832 H02159832 Knowledge of cross infection 교차감염에 대한 지식 [3.0] 10037978 Focus 지식 H02159845 H02159845 Knowledge of diagnostic test 진단 검사에 대한 지식 C2364189 [3.0] 10021871|10023764 Focus|DC 지식 H02159858 H02159858 Knowledge of drug use 약물복용에 대한 지식 C3651043 [3.0] 10042576 Focus 지식 H02159861 H02159861 Knowledge of environmental safety 환경안전에 대한 지식 [3.0] 10039746 Focus 지식 H02159873 H02159873 Knowledge of fall prevention 낙상예방에 대한 지식 C1319154 [3.0] 10039779|10040276 Focus|DC 지식 H02159886 H02159886 Knowledge of fluid volume 체액량에 대한 지식 C2712153 [3.0] 10042106 Focus 지식 H02159899 H02159899 Knowledge of behavior change process 행동변화과정에 대한 지식 C2364270 [3.0] 10024907 Focus 지식 H02159902 H02159899 Knowledge of behaviour change process 행동변화과정에 대한 지식 C2364270 [3.0] 10024907|10024723 Focus|DC 지식 H02159915 H02159915 Knowledge of medication 약물에 대한 지식 C0517785 [3.0] 10026659|10025968 Focus|DC 지식 H02159928 H02159928 Knowledge of oral hygiene 구강위생에 대한 지식 C3165275 [3.0] 10031635|10030246 Focus|DC 지식 H02159931 H02159931 Knowledge of pain 통증에 대한 지식 [3.0] 10039094 Focus 지식 H02159943 H02159943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C3165458 [3.0] 10034259|10033750 Focus|DC 지식 H02159956 H02159956 Knowledge of pathological process 병리과정에 대한 지식 [3.0] 10021956 Focus 지식 H02159969 H02159969 Knowledge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조절에 대한 C3650799 [3.0] 10039056|10040037 Focus|DC 지식 H02159971 H02159969 Knowledge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통증자가조절법에 대한 지식 C3650799 [3.0] 10039056|10040037 Focus|DC 지식 H02159984 H02159984 Knowledge of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에 대한 지식 [3.0] 10031642 Focus 지식 H02159997 H02159997 Knowledge of physical therapy 물리요법에 대한 지식 C3650804 [3.0] 10039722|10039981 Focus|DC 지식 H02160004 H02159997 Knowledge of physical therapy 물리치료에 대한 지식 C3650804 [3.0] 10039722|10039981 Focus|DC 지식 H02160017 H02160017 Knowledge of psychosocial response to procedure 시술에 대한 심리사회적반응 지식 C3165459 [3.0] 10034263|10033766 Focus|DC 지식 H02160020 H02160020 Knowledge of regime 요법에 대한 지식 [3.0] 10021892 Focus 지식 H02160032 H02160020 Knowledge of regimen 요법에 대한 지식 [3.0] 10021892 Focus 지식 H02160045 H02160045 Knowledge of response to procedure 절차에 대한 반응 지식 C3165460 [3.0] 10034271|10033778 Focus|DC 지식 H02160058 H02160045 Knowledge of response to procedure 시술에 대한 반응 지식 C3165460 [3.0] 10034271|10033778 Focus|DC 지식 H02160061 H02160061 Knowledge of safety measure 안전측정에 대한 지식 C2712156 [3.0] 10021973|10028643 Focus|DC 지식 H02160073 H02160073 Knowledge of sexual behavior 성행위에 대한 지식 C3165276 [3.0] 10031657 Focus 지식 H02160086 H02160073 Knowledge of sexual behaviour 성행위에 대한 지식 C3165276 [3.0] 10031657|10030251 Focus|DC 지식 H02160099 H02160099 Knowledge of traditional therapy 민간치료요법에 대한 지식 C3650802 [3.0] 10039127|10040000 Focus|DC 지식 H02160102 H02160099 Knowledge of traditional therapy 전통적 치료에 대한 지식 C3650802 [3.0] 10039127|10040000 Focus|DC 지식 H02160115 H02160115 Knowledge of wound care 상처치료에 대한 지식 C3165461 [3.0] 10011026|10033784 Focus|DC 지식 H02160128 H02160128 Knowledge of wound healing 상처치유에 대한 지식 [3.0] 10011035 Focus 지식 H02160131 H02160131 Adequate knowledge 적절한 지식 C1998726 [3.0] 10014885|10027112 Focus|DC 지식 H02160143 H02160143 Knowledge of dietary regime 식이요법에 대한 지식 C2364190 [3.0] 10021902|10023772 Focus|DC 요법에 대한 지식 H02160156 H02160143 Knowledge of dietary regimen 식이요법에 대한 지식 [3.0] 10021902 Focus 요법에 대한 지식 H02160169 H02160169 Knowledge of exercise regime 운동요법에 대한 지식 [3.0] 10023793 Focus 요법에 대한 지식 H02160171 H02160169 Knowledge of exercise regimen 운동요법 지식 [3.0] 10023793 Focus 요법에 대한 지식 H02160184 H02160184 Knowledge of medication regime 투약요법 지식 C2364194 [3.0] 10021918|10023819 Focus|DC 요법에 대한 지식 H02160197 H02160184 Knowledge of medication regimen 투약요법 지식 [3.0] 10021918 Focus 요법에 대한 지식 H02160201 H02160201 Health knowledge 건강지식 C0518904 [3.0] 10008753 Focus "지식: 공통의 건강문제, 건강한 생활과 이용가능한 건강 서비스에 대한 인식, 불건강의 증상과 징후를 인지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다른 중요한 사람들과의 정보 공유 능력." H02160213 H02160213 Arterial blood gas result 동맥혈가스 결과 [3.0] 10002543 Focus 다음의 특징을 가진 임상검사 결과: 동맥혈내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수준. H02160226 H00621530 False labor pain 거짓분만통 C0474369 [3.0] 10007549 1A.01.01.01.13.01.07.03 Focus 분만통: 분만통으로 보이나 강도나 지속시간이 증가되지 않고 자궁경부를 확장시키지 않는 임신과 관련된 하복부의 불편감. H02160239 H00621530 False labor pain 가분만통 C0474369 [3.0] 10007549 1A.01.01.01.13.01.07.03 Focus 분만통: 분만통으로 보이나 강도나 지속시간이 증가되지 않고 자궁경부를 확장시키지 않는 임신과 관련된 하복부의 불편감. H02160241 H00621530 False labour pain 가진통 [3.0] 10007549 1A.01.01.01.13.01.07.03 Focus 분만통: 분만통으로 보이나 강도나 지속시간이 증가되지 않고 자궁경부를 확장시키지 않는 임신과 관련된 하복부의 불편감. H02160267 H02160267 Bearing down pain 분만 힘주기 통증 [3.0] 10003152 1A.01.01.01.13.01.07.02 Focus "분만통: 분만 2기에 나타나는 약한 불편감부터 강한 통증, 통증의 주기는 자궁경부의 완전 확장으로 지속됨." H02160270 H02160267 Bearing down pain 출산시 통증 [3.0] 10003152 1A.01.01.01.13.01.07.02 Focus "분만통: 분만 2기에 나타나는 약한 불편감부터 강한 통증, 통증의 주기는 자궁경부의 완전 확장으로 지속됨." H02160282 H02160282 Cervical dilation pain 자궁경부확장 통증 [3.0] 10004136 1A.01.01.01.13.01.07.01 Focus 분만통: 분만 1기에 나타나는 다양한 강도의 불편감. H02160295 H02160295 Occupational safety law 산업보건 안전법 [3.0] 10013593 1A.02.02.05.01.01.01 Focus 법: 일하는 곳에서 법으로 인정된 안전수칙의 존재. H02160309 H02160309 Child labor law 아동노동법 [3.0] 10004353 Focus 법: 고용을 할 수 있는 최소 연령과 미성년을 위한 작업 환경을 규정한 표준. H02160311 H02160309 Child labour law 아동노동법 [3.0] 10004353 Focus 법: 고용을 할 수 있는 최소 연령과 미성년을 위한 작업 환경을 규정한 표준. H02160324 H02160324 Community leadership 지역사회 리더십 [3.0] 10004780 Focus "통솔함: 변화, 목표 달성, 갈등과 의문의 처리, 그리고 안내를 제공하는데 있어 영향력있는 사람 혹은 단체." H02160337 H02160337 Cognitive learning 인지학습 C0683267 [3.0] 10004492 1A.01.01.02.01.01.03.01 Focus 학습: 의식적인 사고와 지능을 이용하여 지식을 획득하는 것. H02160340 H02160340 Skill learning 술기학습 C0871370 [3.0] 10018225 1A.01.01.02.01.01.03.02 Focus "학습: 훈련, 반복 및 연습과 관련된 숙달된 실무 능력의 획득." H02160352 H02160352 Play role 역할 놀이 C0035822 [3.0] 10014669 1A.01.01.02.02.02.02.01 Focus "여가활동 역할: 자발적이거나 계획된 유희활동에서의 상호작 용, 게임에 참여, 즐거움에 심취함; 주로 아동발달과 관련됨." H02160365 H02160365 Chronic low self esteem 만성 자존감 저하 C0150072 [3.0] 10004400 Focus|DC 자긍심 저하 H02160378 H02160378 Sitting 앉기 C2584297 [3.0] 10018195 1A.01.01.02.02.01.01.08.02 Focus 내림: 눕거나 서있는 자세에서 앉는 자세로 신체를 이동하거나 변화시키는 것. H02160381 H02160381 Weeping edema 삼출부종 C2938876 [3.0] 10033310 Focus 림프성 부종 H02160393 H02160381 Weeping oedema 삼출성 부종 C2938876 [3.0] 10033310|10030116 Focus|DC 림프성 부종 H02160463 H02160463 Community management 지역사회 관리 [3.0] 10004798 1A.01.02.02.01.01 Focus "관리함: 지역사회의 일을 처리, 조절, 규제 혹은 운영하는 과정이나 행위." H02160476 H02160476 Body substance 신체 구성물질 C0504082 [3.0] 10003479 Focus 물질 H02160533 H01809486 Vigor 기력 [3.0] 10006899 1A.9.0595 Focus 재료: 사용가능한 힘의 원천. H02160559 H02160559 Anaesthesia effect 마취 효과 [3.0] 10002312 Focus 약효과 H02160561 H02160561 Analgesia effect 진통제 효과 [3.0] 10002267 Focus 약효과 H02160574 H02160574 Antibiotic effect 항생제 효과 [3.0] 10002396 Focus 약효과 H02160587 H02160587 Electrolyte effect 전해질 효과 [3.0] 10006670 Focus 약효과 H02160590 H02160590 Expectorant effect 거담제 효과 [3.0] 10007358 Focus 약효과 H02160603 H02160603 Haemostatic effect 지혈효과 [3.0] 10008996 Focus 약효과 H02160616 H02160616 Immunisation effect 예방접종 효과 [3.0] 10009801 Focus "약효과: 예방접종의 기능, 활용, 혹은 효과" H02160629 H02160616 Immunization effect 예방접종 효과 [3.0] 10009801 Focus "약효과: 예방접종의 기능, 활용, 혹은 효과" H02160631 H02160631 Complex medication regime 복합약물 요법 C2922974 [3.0] 10022206|10022983 Focus|DC 약물 요법 H02160644 H00810908 Immunisation regime 예방접종 [3.0] 10031537 2B.02.01.02.14.14 Focus 요법 H02160657 H00810908 Immunization regime 예방접종 [3.0] 10031537 2B.02.01.02.14.14 Focus 요법 H02160701 H02160701 Impaired memory 손상된 기억 C0233794 [3.0] 10012756|10001203 Focus|DC 기억 H02160714 H02160714 Effective memory 효과적인 기억 C2712158 [3.0] 10028426|10028435 Focus|DC 기억 H02160727 H02160727 Long term memory 장기 기억 C0423909 [3.0] 10011429 Focus 기억: 과거 사건이나 경험을 회상하는 능력. H02160730 H02160730 Short term memory 단기 기억 C0025265 [3.0] 10018078 Focus 기억: 최근 사건이나 경험을 회상하는 능력. H02160742 H02160742 No wandering 배회 없음 C2712117 [3.0] 10029217|10029201 Focus|DC 움직임 H02160755 H02160755 Wandering 방랑 C0233569 [3.0] 10020919 Focus "움직임: 돌아다니는 것; 목적없이 배회함, 주어진 장소에서 벗어남." H02160796 H00682907 Gait 걷기 C0016928 [3.0] 10020886 1A.01.01.02.02.01.01.08.09.02 Focus "움직임: 다리를 한걸음씩 움직임으로써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이동하는 것, 몸의 체중을 견디는 능력과 느린, 빠른, 보통의 다양한 속도로 위층, 아래층, 오르막길, 내리막 길을 효율적으로 걸음을 걷는 능력." H02160812 H02160812 Wheelchair use 휠체어 사용 [3.0] 10021075 Focus "움직임: 휠체어를 이용하여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이동하는 것, 휠체어로의 이동과 휠체어에서의 이동, 휠체어를 안전하게 운전하는 것, 커브, 문턱과 다른 장애물들을 느린, 보통, 빠른속도로 이동해 피하는 것." H02160825 H02160825 Crawling 기어다니기 C1635178 [3.0] 10005347 1A.01.01.02.02.01.01.08.09.01 Focus "이동: 몸을 바닥에 가까이한 채, 양손과 무릎을 이용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 H02160838 H02160825 Crawling 기어가기 C1635178 [3.0] 10005347 1A.01.01.02.02.01.01.08.09.01 Focus "이동: 몸을 바닥에 가까이한 채, 양손과 무릎을 이용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것." H02160841 H02160841 Mood equilibrium 기분 안정성 C0558224 [3.0] 10035785|10035792 Focus|DC 기분 H02160853 H02160853 Stepmother role 양모 역할 [3.0] 10018819 Focus 어머니 역할 H02160866 H02160866 Family mourning 가족애도 [3.0] 10007614 Focus "애도: 사랑하는 사람의 상실 혹은 어떤 다른 유형 혹은 무형 자산의 상실 후에 가족이 경험하는 것, 한명 이상의 가족 구성원의 신체적 및 정서적 증상으로 괴로움 표현 비애나 고통의 가족 분위기, 슬픔을 같이 나누며 가족의 일상에 일시적으로 혼란이 옴." H02160879 H02160879 Impaired mucous membrane 손상된 점막 [3.0] 10012760 Focus 점막 H02160881 H02160881 Arthritis pain 관절염통증 C0718667 [3.0] 10002570 1A.01.01.01.13.01.03.02 Focus "근골격계 통증: 염증, 관절의 부종 등으로 인한 다양한 강도의 불편감." H02160908 H02160908 Muscle pain 근육통증 C0231528 [3.0] 10012316 1A.01.01.01.13.01.03.03 Focus "근골격계 통증: 운동, 감염 및 근골격계 질환과 관련된 근육 긴장으로 인한 통증 감각; 통증 감각은 보통 경련통, 쥐어짜는 듯 하고 박통성 통증으로 보고되며 종종 연관통증(referred 통증) 을 동반함." H02160911 H02160911 Impaired musculoskeletal system proces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3.0] 10012773 Focus 근골격계 과정 H02160923 H02160923 Positive musculoskeletal system process 양호한 근골격계 과정 [3.0] 10028085 Focus 근골격계 과정 H02160936 H02160936 Body movement 신체 움직임 C0026649 [3.0] 10003414 1A.01.01.01.12.01 Focus "근골격계 과정: 자발적이고, 수의적이거나 혹은 불수의적인 근육과 관절의 움직임." H02160949 H02160949 Genital mutilation 성기 절단 C0403893 [3.0] 10008418 1A.01.01.02.02.02.01.11.04.01 Focus "절단: 영아, 어린이, 성인 여성이나 남성의 외부 성기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절단하는 것, 종교 관습의 통과 의례와 문화적 관습 이나 종교적 신념으로 정당화된 것 또는 괴롭힘과 관련됨." H02160951 H02160951 Earthquake 지진 C0013463 [3.0] 10006490 Focus 자연재해 H02160977 H02160977 Tsunami 지진해일 C1998926 [3.0] X34.1 10020200 Focus 자연재해: 심해의 지진이나 화산 폭발에 의한 거대한 파도. H02160980 H02160980 Flood 홍수 C0016248 [3.0] 10008004 1A.02.01.01.01.01 Focus 자연재해: 인간의 발달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땅위로의 물이 범람하는 것. H02160992 H02160992 Drought 가뭄 C0013140 [3.0] 10006305 1A.02.01.01.01.02 Focus "자연재해: 계속되는 건조상태, 비의 부족." H02161000 H02161000 Hurricane 허리케인 C0020183 [3.0] 10009271 1A.02.01.01.02.01.02 Focus "자연재해: 인간의 발달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빠른 풍속의 맹렬한 폭풍, 일반적으로 비, 천둥, 및 번개를 동반함." H02161012 H02161012 Tornado 토네이도 C0040476 [3.0] 10019869 1A.02.01.01.02.01.01 Focus "자연재해: 인간의 발달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강한 소용돌이 바람으로 보통 그것의 좁은 통과 경로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하는, 빠르게 도는 깔대기 모양의 구름을 동반" H02161025 H02161025 Dietary need 식욕 [3.0] 10005946 Focus 욕구 H02161053 H02161053 Hopelessness 절망 C0150041 [3.0] 10009105|10000742 Focus|DC 부정적 감정 H02161081 H00083772 Anger 화냄 C0002957 [3.0] 10002320|10045578 1A.01.01.02.01.01.05.24 Focus|DC 부정적 감정: 내적 혹은 외적인 자극에 대한 정신적 혹은 신체적 반응으로부터 치솟는 불쾌감부터 격노에 이르는 감정. H02161111 H00450671 Depression 우울 C0344315 [3.0] 10005784 1A.9.0140 Focus "부정적 감정: 집중력 감소, 식욕상실 및 불면증을 동반하는 비애부터 침울까지의 감정들." H02161136 H02161136 Loneliness 외로움 C0023974 [3.0] 10011417 1A.01.01.02.01.01.05.12 Focus "부정적 감정: 소속감이 부족한 느낌, 정서적 고립, 배제된 느낌, 동료애, 공감, 우정의 결핍으로 인한 우울하고 슬픈 느낌, 무의 미한 감정, 공허감, 위축, 자존감 저하를 동반." H02161177 H02161177 Guilt 죄의식 C0018379 [3.0] 10008603 1A.01.01.02.01.01.05.19 Focus "감정: 잘못했다는 느낌, 개인이 자신에게 설정한 기준 아래로 떨어졌을 때의 내적인 갈등 가치나 긴장감, 죄의식은 타인을 지향하기 보다는 자신을 향한다." H02161180 H00827317 Helplessness 무기력 C0150063 [3.0] 10008920|10039952 1A.01.01.02.01.01.05.25 Focus|DC "부정적 감정: 도움없이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통제할 수 없는 느낌, 방어 불가능, 대처 능력이나 학습된 무기력감의 장애가 동반됨, 돌봄 제공자와 같은 권위에 굴복, 아픈 역할 행위의 발달과 관련됨." H02161221 H02161221 Distress 고뇌 C0231303 [3.0] 10006118 1A.01.01.02.01.01.05.15 Focus "부정적 감정: 강렬하고 심각한 통증, 비애와 고통의 감정." H02161234 H02161234 Shame 수치심 C0036938 [3.0] 10017996|10046761 1A.01.01.02.01.01.05.20 Focus|DC "부정적 감정: 스스로의 잘못된, 영예롭지 못한 혹은 바보스런 행동에 의한 자기존중의 상실감; 수치심은 타인을 향하기 보다는 자신을 향한다." H02161247 H02161247 Sadness 슬픔 C3536794 [3.0] 10017418|10040662 1A.01.01.02.01.01.05.11 Focus|DC "부정적 감정: 활기 없는 느낌, 에너지의 부족과 관련된 우울함." H02161250 H01121352 Nervousness 신경과민 C0027769 [3.0] 10013071 1A.01.01.02.01.01.05.06 Focus "부정적 감정: 흔들기, 떨기, 손떨림, 붉어진 얼굴과 연관되어 흥분된 상태." H02161262 H02161262 Despair 자포자기 C0233488 [3.0] 10005811 1A.01.01.02.01.01.05.18 Focus "부정적 감정: 깊은 절망감, 낙담, 무가치함 혹은 공허함." H02161291 H02161291 Suffering 고통 [3.0] 10019055|10025588 1A.01.01.02.01.01.05.17 Focus|DC "부정적 감정: 통증, 불편감이나 손상과 같은 만성적인 신체적 증상, 만성적인 심리적인 스트레스, 나쁜 명성이나 부정과 같은 황폐화된 상황을 인내해야 하는 요구와 고뇌가 동반된 큰 비애의 지속적인 느낌." H02161304 H02161304 Delayed surgical recovery 외과적 회복 지연 C0812358 [3.0] 10037403|10037426 Focus|DC 부정적 외과적 회복 H02161317 H02161317 Child neglect 아동 방치 C1628509 [3.0] Focus 방치 H02161320 H02161320 Elder neglect 노인 방치 C0013772 [3.0] Focus 방치 H02161361 H01324603 Phantom pain 환상통 C3495442 [3.0] 10014454|10039906 1A.01.01.01.13.01.05.01 Focus|DC "신경성 통증: 절단된 신체의 일부 또는 장기에 느껴지는 통증; 수술 전의 통증이 수술 후에도 환각통으로 남는 경향이 있음, 보통 소양증, 계속 남아 있는 수축성 격통, 고문 받는 것 같은 극심한 통증으로 보고됨." H02161373 H02161373 Impaired neurological status 손상된 신경계 상태 [3.0] 10012787 Focus 신경계 상태 H02161386 H02161386 Effective neurological status 효과적인 신경계 상태 C0579090 [3.0] 10034387|10033811 Focus|DC 신경계 상태 H02161399 H02161399 Impaired neurovascular process 손상된 신경혈관계 과정 [3.0] 10012794 Focus 신경혈관계 과정 H02161402 H02161402 Positive neurovascular process 양호한 신경혈관계 과정 [3.0] 10028102 Focus 신경혈관계 과정 H02161415 H02161415 No self mutilation 자해 없음 C2712113 [3.0] 10029110|10029106 Focus|DC 자기파괴적 행위 없음 H02161428 H02161428 No alcohol abuse 음주남용 없음 C2712090 [3.0] 10028777|10028765 Focus|DC 물질남용 없음 H02161431 H02161431 No drug abuse 약물남용 없음 C2712100 [3.0] 10028875|10028868 Focus|DC 물질남용 없음 H02161443 H02161443 No tobacco abuse 담배남용 없음 C2712250 [3.0] 10029152|10029147 Focus|DC 물질남용 없음 H02161456 H02161456 Smoking cessation 금연 C0085134 [3.0] 10038756 2B.9.0084 Focus 담배사용 없음 H02161469 H02161469 Non adherence to regime 요법 불이행 [3.0] 10025170 Focus 불이행 H02161471 H02161471 Non adherence to diagnostic testing regime 진단 검사요법 불이행 C2364378 [3.0] 10025136|10022101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484 H02161484 Non adherence to dietary regime 식사 요법 불이행 C2364379 [3.0] 10025143|10022117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497 H02161497 Non adherence to exercise regime 운동요법 불이행 C3651076 [3.0] 10025191|10022657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501 H02161501 Non adherence to fluid regime 수액요법 불이행 C2364380 [3.0] 10025158|10022129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513 H02161513 Non adherence to immunisation regime 면역요법 불이행 C3165262 [3.0] 10032178|10030026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526 H02161513 Non adherence to immunization regime 예방접종요법 불이행 C3165262 [3.0] 10032178|10030027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539 H02161539 Non adherence to medication regime 약물 복용요법 불이행 C0746935 [3.0] 10025189|10021682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541 H02161541 Non adherence to safety regime 안전주의 요법 불이행 C2364382 [3.0] 10025162|10022140 Focus|DC 요법 불이행 H02161554 H02161554 Fluid intake 수분 섭취 C0429791 [3.0] 10008015 1A.01.01.01.04.01.01 Focus "영양 섭취: 성장, 정상기능 및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물과 영양소를 가진 액체를 섭취하는 과정." H02161567 H02161567 Food intake 음식 섭취 C0013470 [3.0] 10008101 1A.01.01.01.04.01.02 Focus "영양 섭취: 성장, 정상기능 및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 무기질, 탄수화물, 지용성 비타민과 같은 영양소를 섭취하는 과정." H02161570 H02161570 Fluid output 수분배설 C0429635 [3.0] 10041848 Focus 영양 상태 H02161582 H02161582 Impaired nutritional status 손상된 영양 상태 C2712047 [3.0] 10012804|10025746 Focus|DC 영양 상태 H02161595 H02161595 Positive nutritional status 양호한 영양 상태 C2364291 [3.0] 10014892|10025002 Focus|DC 영양 상태 H02161609 H02161609 Nutrition 영양소 C0028707 [3.0] 10013403 1A.01.01.01.04 Focus 영양 상태: 신체내로 흡수되는 음식이나 영양소의 양과 질. H02161611 H02161611 Fluid volume 체액량 C0449971 [3.0] 1A.01.01.01.07 Focus 영양 상태: 신체 세포내 수분과 전해질의 양과 균형 조절과 같이 체액의 보유 및 배설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신체과정과 항상성 기전의 총체. H02161624 H02161611 Fluid amount 수분량 [3.0] 1A.01.01.01.07 Focus 영양 상태: 신체 세포내 수분과 전해질의 양과 균형 조절과 같이 체액의 보유 및 배설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는 신체과정과 항상성 기전의 총체. H02161637 H02161637 Barriers to adherence 이행의 방해물 [3.0] 10024768 Focus 방해 H02161640 H02161640 Communication barrier 의사소통 장애 C0009454 [3.0] 10013564|10022332 Focus|DC "폐쇄: 생각, 메시지, 또는 정보의 교환을 방해하거나 차단함." H02161652 H02161652 Lymphatic edema 림프부종 C0024236 [3.0] 10031661 Focus 부종 H02161665 H02161665 Lymphatic oedema 림프성 부종 C0024236 [3.0] 10031661|10030003 Focus|DC 부종 H02161693 H01312651 Peripheral oedema 말초 부종 C0085649 [3.0] 10027476|10027482 Focus|DC 부종 H02161707 H02161707 Organized infant behavior 조직화된 유아 행위 C3650688 [3.0] 10013796 Focus 조직화된 행위 H02161710 H02161707 Organised infant behaviour 조직화된 유아 행위 [3.0] 10013796 Focus 조직화된 행위 H02161735 H01343467 Vegetable 식물 C0042440 [3.0] 10014653 1A.02.01.02.02.S.001 Focus 생물 H02161763 H02161763 Obese 비만 C0028754 [3.0] 10013457 1A.01.01.01.04.02.02.01 Focus "과체중: 보통 적정 체중보다 20%이상 체중과 체질량이 초과된 상태로, 오랜기간동안의 지속적인 과도한 영양소 섭취, 과식, 및 운동부족과 관련되며 주로 내부장기와 피하조직에서 지방 세포의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함." H02161789 H02161789 Hyperalgesia 통각과민증 C0020429 [3.0] 10038862|10039923 Focus|DC 통증 H02161805 H02161805 Cutaneous pain 피부통증 [3.0] 10005470 1A.01.01.01.13.01.02 Focus 통증: 피부의 상처 혹은 질병으로 인한 경미한 정도에서 심한 불편감. H02161821 H00920184 Labour pain 분만통 C0474368 [3.0] 10011088 Focus "통증: 분만시에 자궁의 수축과 자궁경부의 확장으로 인해 나타나며, 강도와 주기가 점차 증가하는 통증 감각." H02161861 H02161861 Vascular pain 혈관통증 C0858765 [3.0] 10020612 1A.01.01.01.13.01.06 Focus 통증: 혈관 이완 또는 혈관 부전의 결과로 혈관계에 나타나는 통증감각으로 욱신거리는 통증 H02161887 H02161887 Pain during urination 배뇨시 통증 C0013428 [3.0] 10013966 Focus 통증: 배뇨시 타는듯 한 느낌의 요도나 방광 통증. H02161916 H02161916 Father role 아버지 역할 C0680076 [3.0] 10007701 Focus 부모 역할: 개인이 속한 사회적 그룹과 문화에 따라서 가족에서 남자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수행하는 것. H02161929 H02161929 Mother role 어머니 역할 [3.0] 10012235 Focus "부모 역할: 어머니로서의 책임에 따른 상호작용; 어머니 혹은 임산부로서의 적절한 혹은 부적절한 행위에 관하여 가족구성원들, 친구, 및 사회의 기대를 내면화함." H02161931 H02161931 Effective parenting 효과적인 양육 C2712070 [3.0] 10014902|10027955 Focus|DC 육아 H02161944 H02161944 Bonding 애착 C0028758 [3.0] 10003548 1A.01.02.01.01.04.01 Focus 양육 행위: 영아와 부모간의 애착; 애정 넘치는 관계의 형성. H02161957 H02161957 Child bearing 출산 [3.0] 10004284 1A.01.01.01.15.03.0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새 사람을 세상에 나오게 하는 아이의 출생. H02161960 H02161960 Child rearing 자녀 양육 C0008091 [3.0] 10004376 1A.01.02.01.01.04.02 Focus "양육 행위: 자녀의 기본적이고 개인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구세대로부터 신세대로의 문화와 전통이 이행되도록 지원해 줌으로써 자녀를 사회화하고 교육하는 것." H02161972 H02161972 Community participation 지역사회 참여 C0009476 [3.0] 10004812 Focus "참여: 지역사회를 위해 기획, 구조, 구현, 및 문제 해결에 관여하는 것." H02161985 H02161985 Contamination exposure 오염 노출 C3651072 [3.0] 10025324|10025297 Focus 병리적 과정 H02161998 H02161998 Infestation 체내 침입 C0851341 [3.0] 10031571 Focus 병리적 과정 H02162046 H01734868 Traumatic 외상성 C0332663 [3.0] 10020105 1A.9.0575 Focus 병리적 과정 H02162061 H02162061 Confidentiality 비밀보장 C0009669 [3.0] 10004934 Focus 환자권리 H02162074 H02162074 Dignity 위엄 [3.0] 10005979 Focus 환자권리 H02162087 H02162087 Privacy 사생활 C0080048 [3.0] 10015758|10025590 Focus|DC 환자권리 H02162103 H02162103 Impaired perception 손상된 지각력 C0233823 [3.0] 10012815 Focus 지각 H02162116 H02162116 Positive perception 긍정적 지각 [3.0] 10028442 Focus 지각 H02162157 H01551870 Sensory 감각 C0445254 [3.0] 10024042 Focus 지각 H02162160 H02162160 Kinaesthesia 운동감각 C0022701 [3.0] 10034872 Focus 지각: 근육과 관절에 있는 감각기관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신체자세와 움직임을 인식하고 인지하는 능력. H02162214 H02162214 Eating or drinking 먹기 혹은 마시기 [3.0] 10006538 Focus 활동 H02162227 H02162227 Self performing activity 자립적 활동 [3.0] 10017805 Focus 수행함 H02162230 H02162230 Shopping 쇼핑하기 C0150768 [3.0] 10018066 1A.01.01.02.02.01.02.01.04 Focus "수행함: 일상생활유지에 필요한 물건을 사는 것; 가정에 필요한 물건을 구매, 거래 혹은 물물교환하는 것." H02162242 H00621221 Falling 낙상 C0085639 [3.0] 10007520 1A.01.01.02.02.01.01.08.08 Focus "활동: 몸이 균형을 잃거나, 실신, 혹은 체중을 지탱하는 능력이 소실되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몸이 떨어지는 것." H02162255 H02162255 Food storage 음식 저장 C3179137 [3.0] 10008129 Focus "활동: 위생 용기에 담겨진 음식을 적정 온도로 저장하는 것; 저장소나 저장 공간은 적절한 곳에 만들고, 환기가 잘되고, 위치가 좋고, 음식을 보호하고 유지할 수 있어야 함." H02162268 H02162268 Fishing 어업 C2322580 [3.0] 10007959 1A.01.01.02.02.01.02.01.02 Focus 활동: 고기잡이와 양식업으로 음식물을 획득하여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음식을 얻는 것. H02162271 H02162271 Hunting 사냥 C2322565 [3.0] 10009263 1A.01.01.02.02.01.02.01.01 Focus 활동: 사냥으로 음식물을 획득하여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음식을 얻는 것. H02162283 H00590765 Exercising 운동하기 [3.0] 10007315 1A.01.01.02.02.01.01.08.01 Focus "활동: 신체의 건강, 기동성과 체력을 위해서 근골격계와 심폐계를 물리적이고 자의적으로 움직여 주는것." H02162300 H02162300 Homemaking 가정관리 C0237074 [3.0] 10009076 1A.01.01.02.02.01.02.02 Focus 활동: 환경이나 거주지를 편안하고 아늑하게 조성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 자신과 타인을 집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함; 안전하고 잘 관리된 가정을 제공하는 것. H02162312 H02162312 Farming 농업 C0557759 [3.0] 10007698 1A.01.01.02.02.01.02.01.03 Focus 활동: 사람과 동물에게 먹이기 위해 동물을 기르고 곡물을 재배하는 것. H02162341 H00336702 Sexual intercourse 성관계 C0009253 [3.0] 10017965 1A.01.01.02.02.02.04.01 Focus 수행함: 일반적으로 이성의 두 사람이 하는 성적 활동; 상호 흥분과 오르가즘을 위한 성적 결합. H02162353 H02162353 Food preparation 음식 준비 C0920297 [3.0] 10008117 Focus "활동: 음식과 식사를 제공하는 일을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 요한 음식의 양과 질을 고려하여 가공, 저장, 차리고 배식하는 일을 돌보는것." H02162381 H02162381 Gender identity 성 정체성 C0017249 [3.0] 10008384 1A.01.01.02.01.02.04.01 Focus "개인 정체성: 자기 개인의 느낌과 내적인 남성다움과 여성다움을 고려한 자신의 성정체성에 대한 생각, 느낌 및 태도의 합성" H02162394 H02162394 Extrovert personality 외향적 성격 [3.0] 10007447 1A.01.01.02.01.02.04.02.01 Focus "성격: 매우 사교적이고, 자기주장이 강하며, 외향적이며, 말하기 좋아하고 감정을 표현하며, 자신의 자아보다는 외부의 현실에 관심을 가지는 기질과 태도의 합성." H02162408 H02162408 Introvert personality 내향적 성격 C0338969 [3.0] 10010820 1A.01.01.02.01.02.04.02.02 Focus "성격: 수동적이고, 수줍어하며, 정서적으로 위축되고 제한적이고 자기생각에 몰두하면서 자기 내부로 향하는 기질과 태도의 합성" H02162411 H02162411 Labile personality 불안정 성격 C0233862 [3.0] 10011061 1A.01.01.02.01.02.04.02.05 Focus "성격: 빨리 변하고, 불안정하고, 감정전이가 쉬운 기질과 태도의 합성, 감정과 기분의 변화가 잘 일어나는 경향을 동반함." H02162449 H02162449 Diagnosis and outcome phenomenon 진단 및 결과 현상 [3.0] 10005895 Focus 현상 H02162477 H02162477 No complication 합병증 없음 C4032686 [3.0] 10028834 Focus 현상 H02162480 H02162480 Prophylactic 예방법 C0445202 [3.0] 10015838 Focus 현상 H02162506 H01570233 Adverse effect 부작용 C0559546 [3.0] 10024057 1A.9.0518.S.001 Focus 현상 H02162519 H01570233 Responsiveness 부작용 [3.0] 10024057 1A.9.0518.S.002 Focus 현상 H02162521 H01570233 Adverse reaction 부작용 C0559546 [3.0] 10024057 1A.9.0518.S.003 Focus 현상 H02162547 H02162547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지 C0037438 [3.0] 10024074 Focus 현상 H02162550 H02162550 Spiritual support 영적 지지 C0150355 [3.0] 10027033 Focus 현상 H02162588 H02162588 Entity 개체 C1551338 [3.0] 10006978 Focus 현상: 독특하고 분리된 단위로 존재하는 것; 그것의 존재는 그것의 속성과는 무관함. H02162604 H00285047 Chest circumference 흉곽둘레 C0424683 [3.0] 10036803 1A.9.0094.S.001 Focus 신체적 영역 H02162658 H01615361 Body length 신장 C0005890 [3.0] 10008912 2B.02.02.01.12.04.S.001 Focus 신체적 영역 H02162661 H02162661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뇌내 순응용량 [3.0] 10010640 Focus 신체적 영역 H02162728 H01822851 Body weight 몸무게 C0005910 [3.0] 10021034 2B.02.02.01.12.02.S.001 Focus 신체적 영역 H02162731 H01822851 Weight 몸무게 C0005910 [3.0] 10021034 2B.02.02.01.12.02.S.002 Focus 신체적 영역 H02162743 H02162743 Impaired physical recovery 신체적 회복 지연 [3.0] 10037720 Focus 신체적 회복 H02162756 H02162756 Impaired physical response 손상된 신체반응 [3.0] 10012827 Focus 신체적 반응 H02162771 H02162771 Response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반응 C0521982 [3.0] 10017070 Focus 신체적 반응 H02162784 H02162784 Breastfeeding plan 모유수유 계획 [3.0] 10038597 Focus 계획 H02162797 H02162797 Pain management plan 통증관리계획 [3.0] 10039820 Focus 계획 H02162826 H00733010 Health policy 건강정책 C0018735 [3.0] 10008769 2B.9.0028.S.001 Focus 정책: 서면화된 광범위한 진술로 공공의료 서비스 제공에 대한 정부 의사결정 지침의 개요. H02162839 H02162839 Organized behavior 조직화된 행위 [3.0] 10013777 Focus 긍정적 행위 H02162841 H02162839 Organised behaviour 조직화된 행위 [3.0] 10013777 Focus 긍정적 행위 H02162854 H02162854 No aggressive behavior 공격적 행동 없음 C3650696 [3.0] 10035632 Focus 긍정적 행위 H02162867 H02162854 No aggressive behaviour 공격적 행동 없음 C3650696 [3.0] 10035632|10035645 Focus|DC 긍정적 행위 H02162870 H02162870 No self destructive behavior 자기파괴적 행위 없음 C2712247 [3.0] 10029096 Focus 긍정적 행위 H02162882 H02162870 No self destructive behaviour 자기파괴적 행위 없음 C2712247 [3.0] 10029096|10029083 Focus|DC 긍정적 행위 H02162895 H02162895 No substance abuse 물질남용 없음 C2712114 [3.0] 10029134|10029123 Focus|DC 긍정적 행위 H02162909 H02162909 No violence 폭력 없음 C2712116 [3.0] 10029175|10029168 Focus|DC 긍정적 행위 H02162911 H02162911 No confusion 혼돈 없음 C2712099 [3.0] 10028852|10028847 Focus|DC 긍정적 인지 H02162924 H02162911 No confusion 착란 없음 C2712099 [3.0] 10028852|10028847 Focus|DC 긍정적 인지 H02162937 H02162911 No confusion 혼란 없음 C2712099 [3.0] 10028852|10028847 Focus|DC 긍정적 인지 H02162940 H02162940 No elopement 가출 없음 C2712238 [3.0] 10034677|10034696 Focus|DC 긍정적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62952 H02162952 No fall 낙상 없음 C0575123 [3.0] 10034683|10034704 Focus|DC 긍정적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62965 H02162965 No fall injury 낙상으로인한 손상없음 C3650872 [3.0] 10038532 Focus 긍정적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62978 H02162978 No vomiting 구토 없음 C0375548 [3.0] 10029199|10029181 Focus|DC 긍정적 위장관계 과정 H02162981 H02162981 No nausea 욕지기 없음 C0423584 [3.0] 10028997|10028984 Focus|DC 긍정적인 지각 H02162993 H02162981 No nausea 구역 없음 C0423584 [3.0] 10028997|10028984 Focus|DC 긍정적인 지각 H02163001 H02162981 No nausea 오심 없음 C0423584 [3.0] 10028997|10028984 Focus|DC 긍정적인 지각 H02163013 H02163013 No pain 통증 없음 C0234225 [3.0] 10029012|10029008 Focus|DC 긍정적인 지각 H02163026 H02163026 No chemical injury 화학적 손상 없음 C1275703 [3.0] 10034302|10033587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039 H02163039 No electrical injury 전기적 손상 없음 C1275710 [3.0] 10034318|10033594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041 H02163041 No fatigue 피로감이 없음 C3165508 [3.0] 10034715|10034727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054 H02163054 No infection 감염 없음 C2712105 [3.0] 10028950|10028945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067 H02163067 No injury 손상 없음 C2712106 [3.0] 10028978|10028966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070 H02163070 No laser injury 레이저 손상 없음 C1275708 [3.0] 10034325|10033616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082 H02163082 No perioperative injury 수술전후 손상 없음 C2712108 [3.0] 10029361|10029374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095 H02163095 No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수술전후 체위로 인한 손상 없음 C3165445 [3.0] 10034339|10033628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109 H02163109 No poisoning 중독 없음 C2712110 [3.0] 10029054|10029049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111 H02163111 No radiation injury 방사능 손상 없음 C1275697 [3.0] 10034341|10033637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124 H02163124 No thermal injury 열 손상 없음 C3165447 [3.0] 10034356|10033644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137 H02163137 No transfer injury 이동 손상 없음 C1275698 [3.0] 10034360|10033659 Focus|DC 긍정적인 과정 H02163140 H02163140 Positive psychological response to situation 상황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적 반응 C3651047 [3.0] Focus 긍적적인 심리적 반응 H02163152 H02163152 No aspiration 흡인 없음 C2712091 [3.0] 10028796|10028783 Focus|DC 긍정적인 호흡기계 과정 H02163165 H02163165 No dyspnea 호흡곤란 없음 C2712101 [3.0] 10029255|10029264 Focus|DC 긍정적인 호흡기계 과정 H02163178 H02163178 Activity tolerance 활동의 지속성 C1319203 [3.0] 10024878 Focus 긍정적인 상태 H02163181 H02163181 Diet tolerance 식이 적합성 C3651003 [3.0] 10036362|10036370 Focus|DC 긍정적인 상태 H02163193 H02163193 Adherence 이행 [3.0] 10030298|10022210 Focus|DC "긍정적인 상태: 건강, 회복, 재활을 증진하기 위한 자기의도적 행동, 일탈없이 방침(지시)을 따르고 일련의 행동들에 전념하는 것. 치료 처방 준수, 지시에 따른 약물 복용, 치유의 조짐을 위해 보다 나은 쪽으로의 행동 변화, 만기 약 수집, 건강행위와 치료에 관한 지시에 따르는 것의 가치 내면화(흔히 가족과 중요한 타인으로부터의 지지, 지급된 약물과 질병과정에 대한 지식, 환자 동기부여, 환자 의료인 관계와 관련) " H02163207 H02163207 No pressure ulcer 욕창 없음 C2712111 [3.0] 10029077|10029065 Focus|DC 긍정적인 신체 구조 부분 H02163210 H02163210 No bleeding 출혈 없음 C2712092 [3.0] 10028810|10028806 Focus|DC 긍정적인 혈관 과정 H02163222 H02163222 No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 혈전증 없음 C3651001 [3.0] 10036391|10036406 Focus|DC 긍정적인 혈관 과정 H02163235 H02163235 Impaired pregnancy 손상된 임신 [3.0] 10012836 Focus 임신 H02163251 H01157207 Obsession 강박관념 C0233697 [3.0] 10013540 1A.01.01.02.01.01.02.01.01.05 Focus "몰두: 강박적인 행동과 관련된 논리나 이성으로 제거할 수 없는 마음속에 계속 무의식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지속적인 생각이나 사고, 불합리한 행동을 암시하는 생각, 사고의 반복, 하찮은 사고와 부적절한 세부사항, 현실에 기초하지 않은 터무니없는 사고" H02163276 H02163276 Presence or absence of corrective device 교정기구의 존재 또는 부재 [3.0] Focus 존재 또는 부재 H02163289 H02163289 Presence or absence of implantable cardiac device 심장이식장치의 존재 또는 부재 [3.0] Focus 존재 또는 부재 H02163318 H00882266 Intracranial pressure 뇌내압 C0021880 [3.0] 10010655 2B.02.02.01.01.06 Focus 압력 H02163346 H00882266 ICP 뇌내압 C0021880 [3.0] 10010655 2B.02.02.01.01.06.S.001 Focus 압력 H02163361 H02163361 Privacy for spiritual behavior 영적행위를 위한 사생활 [3.0] 10024845 Focus 사생활 H02163374 H02163361 Privacy for spiritual behaviour 영적행위를 위한 사생활 [3.0] 10024845 Focus 사생활 H02163387 H02163387 Industrial conflict 산업쟁의 C0683801 [3.0] 10010041 1A.02.02.05.01.01.04 Focus "문제성 행동: 해고 통보와 임금을 포함한 작업여건과 관련된 산업의 두 그룹, 다시 말해 노사간의 의견차이." H02163390 H02163390 Collection of processes 과정의 수집 [3.0] 10002019 Focus 과정 H02163403 H02163403 Body process 신체 과정 [3.0] 10003446 Focus 과정 H02163416 H02163416 Environmental process 환경과정 [3.0] 10007009 Focus 과정 H02163429 H02163429 Intentional process 의도적 과정 [3.0] 10010459 Focus 과정 H02163431 H02163431 Impaired process 손상된 과정 [3.0] 10012843 Focus 과정 H02163444 H02163444 Obstruction 방해 C0028778 [3.0] 10013555 1B.42 Focus 과정 H02163472 H00139494 Atresia 폐쇄 C0243066 [3.0] 10013555 1B.42 Focus 과정 H02163485 H02163485 Positive process 긍정적인 과정 [3.0] 10014918 Focus 과정 H02163498 H02163498 Psychological process 심리적 과정 [3.0] 10015961 Focus 과정 H02163501 H02163501 Spiritual process 영적 과정 [3.0] 10018596 Focus 과정 H02163514 H02163514 Complication role 합병증 역할 [3.0] 10004865 Focus 과정 역할 H02163527 H02163527 Diversion role 전환 역할 [3.0] 10006141 Focus 과정 역할 H02163530 H02163530 Exercise role 운동 역할 [3.0] 10007304 Focus 과정 역할 H02163542 H02163542 Leisure role 여가활동 역할 [3.0] 10011308 Focus 과정 역할 H02163555 H02163555 Spiritual role 영적 역할 [3.0] 10018605 Focus 과정 역할 H02163596 H02163596 Work role 업무 역할 C0815237 [3.0] 10021150 1A.01.01.02.02.02.02.03 Focus "과정 역할: 직무의무에 따른 상호작용; 직무요구에 적응과 고용에 따른 기대된 행위; 적절한 혹은 부적절한 일 역할 행위에 대한 고용자와 피고용자, 동료, 조직 및 사회의 기대를 내면화함." H02163600 H02163596 Work role 작업 역할 C0815237 [3.0] 10021150 1A.01.01.02.02.02.02.03 Focus "과정 역할: 직무의무에 따른 상호작용; 직무요구에 적응과 고용에 따른 기대된 행위; 적절한 혹은 부적절한 일 역할 행위에 대한 고용자와 피고용자, 동료, 조직 및 사회의 기대를 내면화함." H02163612 H02163612 Community process 지역사회 과정 [3.0] 10004820 1A.01.02.02.01 Focus 과정: 지역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지속적인 관계 유형과 상호작용. H02163625 H02163625 Family process 가족과정 [3.0] 10007646 1A.01.02.01.01 Focus "과정: 가족 구성원간의 진행중인 긍정적, 부정적 상호작용과 관계유형." H02163638 H02163638 Social process 사회화 과정 [3.0] 10018406 Focus "과정: 개인이 단체나 사회의 표준과 기대에 맞게 조화롭게 사는 것을 배우는 과정; 모방, 가족 상호작용, 교육 체계를 통한 신념, 습관, 가치, 수용한 행동 양식 획득; 사회가 개인을 통합시키는 절차." H02163653 H02163653 Psychological response 심리적 반응 C0871261 [3.0] 10015974 Focus 심리적 과정 H02163666 H02163666 Psychological process diagnosis and outcome 심리적 과정 진단과 결과 C3165497 [3.0] 10034445 Focus 심리적 과정 H02163723 H02163723 Impaired psychological response 손상된 정신적 반응 [3.0] 10012858 Focus 정신적 반응 H02163736 H02163736 Positive psychological response 긍정적인 심리적 반응 [3.0] 10035530 Focus 심리적 반응 H02163749 H02163749 Psychological response to ostomy 장루술에 대한 심리적 반응 [3.0] 10041797 Focus 심리적 반응 H02163751 H02163751 Psychological response to pain 통증에 대한 심리적 반응 [3.0] 10038955 Focus 심리적 반응 H02163764 H02163764 Psychological response to teaching 교육에 대한 심리적 반응 [3.0] 10024781 Focus 심리적 반응 H02163777 H02163777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16020 Focus 심리적 반응 H02163780 H02163780 Psychosocial response to pain management 통증관리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16077 Focus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792 H02163792 Psychosocial response to plan of care 돌봄계획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16083 Focus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806 H02163806 Psychosocial response to procedure 절차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34413 Focus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819 H02163819 Positive psychological response to pain 통증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적 반응 C3650790 [3.0] Focus 통증에 대한 심리반응 H02163847 H02163847 Negative psychological status 부정적인 심리적 상태 [3.0] 10038392 Focus 심리적 상태 H02163850 H02163850 Positive psychological status 긍정적인 심리 상태 C0424578 [3.0] 10038407|10038430 Focus|DC 심리적 상태 H02163862 H02163862 Impaired psychomotor activity 손상된 정신운동 활동 C2364297 [3.0] 10025094|10025087 Focus|DC 정신운동 활동 H02163875 H02163875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exercise 운동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22309 Focus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888 H02163888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medication 약물복용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16031 Focus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891 H02163891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nutrition 영양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16049 Focus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904 H02163904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pain 통증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16054 Focus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917 H02163917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wound 상처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3.0] 10016065 Focus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H02163920 H02163920 Belonging 소유물 [3.0] 10003238 Focus 심리사회적 구조 H02163973 H02163973 Pedal pulse rate 족부 맥박수 [3.0] 10014215 Focus 맥박수 H02163986 H02163986 Radial pulse rate 요골 맥박수 C0518831 [3.0] 10016255 Focus 맥박수 H02163999 H02163999 Radiation exposure 방사능 노출 C0015333 [3.0] 10016272 Focus 방사선 H02164006 H02164006 Sunlight 햇빛 C0038817 [3.0] 10019086 1A.02.01.01.03 Focus 방사능: 인간의 발달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밝고 활력을 주는 태양계의 에너지 근원 H02164019 H02164019 Child rape 아동강간 [3.0] Focus 강간: 법적 미성년자인 희생자와 알거나 혹은 모르는 가해자에 의한 강압적인 행동. H02164062 H02164062 Fall rate 낙상률 [3.0] 10037708 Focus 비율 H02164075 H00734513 Heart rate 심박동수 C0018810 [3.0] 10008833 2B.02.02.01.01.07 Focus 비율 H02164091 H00734513 HR 심장박동수 C0018810 [3.0] 2B.02.02.01.01.07.S.001 Focus 비율 H02164117 H02164117 Injury rate 손상률 [3.0] 10010297 Focus 비율: 특정기간동안 특정 인구집단에서 고의적 혹은 우연한 신체적 상해나 조직 손상의 발생 빈도. H02164120 H02164120 Blood flow rate 혈류률 C1999075 [3.0] 10003326 Focus 비율: 심장이나 혈관을 통해 순환하는 혈액의 양. H02164132 H02164132 Migration rate 이주율 [3.0] 10012051 Focus 비율: 해당년도에 인구 1000명당 어떤 지역으로 이주해 오거나 나가는 인구의 수. H02164158 H02164158 Respiration rate 호흡률 C0231832 [3.0] 10016904 2B.02.02.01.01.03 Focus 다음의 특징을 가진 비율: 분당 호흡 회수로써 일반적인 호흡의 수 H02164161 H02164158 RR 호흡수 C0231832 [3.0] 10016904 2B.02.02.01.01.03.S.001 Focus 다음의 특징을 가진 비율: 분당 호흡 회수로써 일반적인 호흡의 수 H02164186 H02164186 Crime rate 범죄율 [3.0] 10005375 1A.01.02.02.02.03 Focus 비율: 선택된 인구집단과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범죄의 상대적 비율. H02164202 H02164202 Elder rate 노인비율 [3.0] 10006636 Focus 비율: 선택된 인구집단과 특정 지역에 사는 노인의 상대적 비율. H02164215 H02164215 Immunisation rate 예방접종률 [3.0] 10009791 Focus 비율: 특정 질병에 대한 개인 예방접종의 상대적 비율. H02164228 H02164215 Immunization rate 예방접종률 [3.0] 10009791 Focus 비율: 특정 질병에 대한 개인 예방접종의 상대적 비율. H02164231 H02164231 Literacy rate 문해율 [3.0] 10011396 Focus 비율: 지역사회나 주민 중에서 읽거나 쓸 수 있는 사람들의 상대적 비율. H02164243 H02164243 Unemployment rate 실업률 [3.0] 10020271 1A.01.02.02.02.01.03 Focus 비율: 유급의 직업이나 일을 구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의 상대적 비율. H02164256 H02164256 Incidence of disease 이환율 [3.0] 10009926 Focus 비율: 특정 질병을 가진 사람들의 상대적 비율. H02164269 H02164269 Level of poverty 빈곤수준 [3.0] 10011320 Focus "비율: 예상되는 기본요구수준에 맞는 재정적, 물질적 자원이 부족한 사회나 지역사회 구성원 수의 상대적 비율." H02164271 H02164271 Percentage body fat 체지방률 C0518026 [3.0] 10014262 Focus 비율 H02164284 H02164284 Readiness for discharge 퇴원 준비도 C1320402 [3.0] 10035650|10035666 Focus|DC 준비 H02164297 H02164297 Readiness for smoking cessation 금연을 위한 준비도 [3.0] 10038610 Focus 준비 H02164301 H02164301 Readiness for self disclosure about health status 건강 상태에 관한 자기노출을 위한 준비도 [3.0] 10038154 Focus 준비 H02164313 H02164313 Readiness to learn 학습준비도 C1299415 [3.0] 10016422 Focus 준비 H02164326 H02164326 Alcohol abuse recovery 알코올 남용 회복 [3.0] 10035839 Focus 회복 H02164339 H02164339 Drug abuse recovery 약물 남용 회복 [3.0] 10035841 Focus 회복 H02164341 H02164341 Emotional recovery 정서적 회복 [3.0] 10006777 Focus 회복 H02164354 H02164354 Financial recovery 재정적 회복 [3.0] 10007928 Focus 회복 H02164367 H02164367 Physical recovery 신체적 회복 [3.0] 10014496 Focus 회복 H02164370 H02164370 Sexual recovery 성적 회복 [3.0] 10017983 Focus 회복 H02164382 H02164382 Surgical recovery 외과적 회복 [3.0] 10019249 Focus 회복 H02164395 H02164395 Impaired reflex 손상된 반사 [3.0] 10012862 Focus 반사 H02164424 H01644078 Sucking reflex 흡철반사 C0234174 [3.0] 10019017 2B.02.02.01.11.02 Focus "반사: 엄마 젖을 빨고 영양을 공급받으면서, 접촉을 하면서, 엄마의 신호에 대해 이해하면서, 적절히 유륜 잡기, 올바른 빨기와 혀위치, 한 유방당 최소 5-10분간 소리내어 삼키기, 만족하면 잡은 유륜을 놓는 과정에서 엄마에 대한 영아의 적절한 애착 형성." H02164437 H02164437 Motor reflex 운동반사 [3.0] 10012257 Focus "반사: 특정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신체 일부나 장기의 불수의적 반응, 자극 후 즉시 발생하는 불수의적 움직임, 의도나 의식과 관련없이 일어나는 움직임." H02164440 H02164440 Behavioral regimen 행동 요법 [3.0] 10038993 Focus 요법 H02164452 H02164440 Behavioural regime 행동 요법 [3.0] 10038993 Focus 요법 H02164465 H02164465 Breast care regime 유방간호 요법 [3.0] 10030850 Focus 요법 H02164478 H02164478 Child safety regime 아동 안전 요법 [3.0] 10037156 Focus 요법 H02164481 H02164481 Cluster care regime 집단 간호 요법 [3.0] 10039686 Focus 요법 H02164493 H02164493 Comfort care regime 안위 간호 요법 [3.0] 10039672 Focus 요법 H02164507 H02164507 Complex regime 복합 요법 [3.0] 10023596 Focus 요법 H02164510 H02164510 External continence device regime 배뇨(변) 조절 요법 [3.0] 10042524 Focus 요법 H02164522 H02164522 Diagnostic testing regime 진단 검사 요법 [3.0] 10023651 Focus 요법 H02164535 H00467256 Dietary regime 식이요법 C0419178 [3.0] 10005951 2C.9.0053 Focus 요법 H02164551 H02164551 Enteral feeding regime 경장 섭취 요법 [3.0] 10031223 Focus 요법 H02164563 H02164563 Exercise regime 운동요법 C0454291 [3.0] 10023667 Focus 요법 H02164576 H02164576 Eye care regime 눈 간호 요법 [3.0] 10031281 Focus 요법 H02164591 H02164591 Fluid regime 체액요법 [3.0] 10023701 Focus 요법 H02164605 H02164605 Immobilization regime 고정 요법 [3.0] 10039535 Focus 요법 H02164618 H02164605 Immobilisation regime 고정 요법 [3.0] 10039535 Focus 요법 H02164621 H02164605 Immobilization regime 부동화 요법 [3.0] 10039535 Focus 요법 H02164633 H02164605 Immobilisation regime 부동화 요법 [3.0] 10039535 Focus 요법 H02164646 H01325247 Medication regime 투약 요법 [3.0] 10011884 2C.02.05.06 Focus 요법 H02164659 H01325247 Medication regime 약물요법 [3.0] 10011884 2C.02.05.06 Focus 요법 H02164661 H01325247 Medication regime 투약 계획 [3.0] 10011884 2C.02.05.06.S.001 Focus 요법 H02164687 H02164687 Oral care regime 구강 간호 요법 [3.0] 10032197 1A.9.0016 Focus 요법 H02164690 H02164687 Oral care 구강 간호 C2599893 [3.0] 10032197|10032184 1A.9.0016 Focus|IC 요법 H02164703 H02164703 Parenteral feeding regime 비경구적 영양 요법 [3.0] 10032215 Focus 요법 H02164716 H02164716 Peritoneal dialysis regime 복막투석요법 [3.0] 10032236 Focus 요법 H02164729 H02164729 Physical therapy regime 물리치료요법 [3.0] 10036698 Focus 요법 H02164744 H02164744 Postpartum care regime 산후 간호요법 [3.0] 10032262 Focus 요법 H02164757 H02164757 Prenatal care regime 산전 간호요법 [3.0] 10032412 Focus 요법 H02164760 H02164760 Rehabilitation regime 재활요법 [3.0] 10032611 Focus 요법 H02164772 H02164772 Safety regime 안전요법 [3.0] 10024026 Focus 요법 H02164785 H02164785 Screening follow up 추후 검진 [3.0] 10037173 Focus 요법 H02164798 H02164798 Skin care regime 피부관리요법 [3.0] 10032761 Focus 요법 H02164814 H02164814 Stoma care regime 장루간호 요법 [3.0] 10032790 Focus 요법 H02164827 H02164827 Travel health regime 여행 건강지침 [3.0] 10033212 Focus 요법 H02164830 H02164830 Urinary catheter care regime 도뇨관 관리 지침 [3.0] 10033283 Focus 요법 H02164842 H02164830 Urinary catheter care regime 요도카테터간호 요법 [3.0] 10033283 Focus 요법 H02164855 H02164855 Endocrine system process 내분비계 과정 C1516848 [3.0] 10023045 Focus 조절계 과정 H02164868 H02164868 Impaired regulatory system process 손상된 조절계 과정 C2364160 [3.0] 10012870 Focus 조절계 과정 H02164871 H02164871 Effective regulatory system process 효과적인 조절계 과정 [3.0] 10027532 Focus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164900 H02164900 Interactive behavior 상호작용 행동 [3.0] 10010463 Focus 관계함: 서로 작용함. H02164912 H02164900 Interactive behaviour 상호작용 행동 [3.0] 10010463 Focus 관계함: 서로 작용함. H02164925 H01449892 Rapport 라포 C0680241 [3.0] 10023124 Focus 관계 H02164938 H01449892 Rapport 친밀관계 C0680241 [3.0] 10023124 Focus 관계 H02164941 H01449892 Rapport 신뢰관계 C0680241 [3.0] 10023124 Focus 관계 H02164966 H02164966 Relationship problem 관계 문제 C0425168 [3.0] 10035737|10035744 Focus|DC 관계 상태 H02164979 H02164979 Positive relationship 긍정적인 관계 [3.0] 10035728 Focus 관계 상태 H02164981 H02164981 Negative religious belief 부정적 종교 신념 [3.0] 10025463 Focus 종교 신념 H02164994 H02164994 Positive religious belief 긍정적인 종교 신념 [3.0] 10024159 Focus 종교 신념 H02165001 H02165001 Female reproductive system 여성 생식기계 C0700038 [3.0] 10007861 Focus 생식기계 H02165014 H02165014 Male reproductive system 남성생식기계 C1963704 [3.0] 10011589 Focus 생식기계 H02165027 H02165027 Impaired reproductive system process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3.0] 10012889 Focus 생식기계 과정 H02165030 H02165030 Effective reproductive system process 효과적인 생식기계 과정 C2712169 [3.0] 10027815 Focus 생식기계 과정 H02165042 H02165042 Sexual process 성적 과정 [3.0] 10017977 Focus 생식기계 과정: 성교에 참여하고 남자가 사정할 수 있는 능력. H02165071 H02165071 Uterine expulsion 자궁만출 [3.0] 10020534 Focus "생식기계 과정: 태아가 완전히 배출된 후에 태반과 점막들이 배출될 때까지 고통스러운 자궁과 복부 근육의 수축과 분만동안 산도를 통한 태아, 태반, 점막들의 배출." H02165100 H02165100 Impaired respiratory system proces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C1268764 [3.0] 10012891 Focus 호흡기계 과정 H02165112 H02165112 Positive respiratory system process 긍정적인 호흡기계 과정 [3.0] 10028156 Focus 호흡기계 과정 H02165125 H02165125 Gaseous exchange 가스교환 [3.0] 10008309 Focus "호흡기계 과정: 폐포상에서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호흡, 피부색 및 에너지 수준에 영향을 주는 환기 관류의 균형" H02165138 H02165138 Airway clearance 기도청결 [3.0] 10002090 1A.01.01.01.01.04 Focus 호흡기계 과정: 분비물이나 호흡계를 방해하는 물질을 제거하는 능력을 통해 분입부터 폐포까지의 공기 통로를 개방상태로 유지하는 것. H02165153 H02165153 Absence of medication side effect 약물 부작용 없음 [3.0] 10041220 Focus 약물에 대한 반응 H02165166 H00502291 Medication side effect 약물 부작용 C0041755 [3.0] T88.7 10023916|10022626 2B.9.0047 Focus|DC 약물에 대한 반응 H02165179 H00502291 Medication side effect 투약 부작용 C0041755 [3.0] T88.7 10023916|10022626 2B.9.0047 Focus|DC 약물에 대한 반응 H02165194 H00502291 Drug side effect 약물 부작용 C0041755 [3.0] T88.7 10023916 1A.9.0177 Focus 약물에 대한 반응 H02165208 H02165208 No medication side effect 약물 부작용이 없음 C3650791 [3.0] 10040282|10040295 Focus|DC 약물에 대한 반응 H02165211 H02165211 Response to anaesthesia 마취에 대한 반응 [3.0] 10017015 Focus 약물에 대한 반응 H02165223 H02165223 Response to nurse controlled analgesia 간호사 통증조절에 대한 반응 [3.0] 10039854 Focus 통증조절에 대한 반응 H02165236 H02165236 Response to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조절진통에 대한 반응 [3.0] 10039849 Focus 통증조절에 대한 반응 H02165249 H02165249 Negative response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부정적 반응 [3.0] 10024832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251 H02165251 Response to blood product 혈액 제재에 대한 반응 [3.0] 10017027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264 H02165264 Response to enteral nutrition 경장영양에 대한 반응 [3.0] 10033404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277 H02165277 Response to fluid therapy 수액요법에 대한 반응 [3.0] 10017036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280 H02165277 Response to fluid therapy 수액치료에 대한 반응 [3.0] 10017036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292 H02165292 Response to medication 약물에 대한 반응 C1319171 [3.0] 10017043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06 H02165306 Response to pain management 통증관리에 대한 반응 [3.0] 10034450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19 H02165319 Response to parenteral nutrition 비경구적영양에 대한 반응 [3.0] 10017058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21 H02165319 Response to parenteral nutrition 정맥영양에 대한 반응 [3.0] 10017058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34 H02165334 Response to procedure 절차에 대한 반응 C3258118 [3.0] 10034466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47 H02165347 Response to therapy 요법에 대한 반응 [3.0] 10036410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50 H02165350 Response to thermoregulation 체온조절에 대한 반응 [3.0] 10017062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62 H02165362 Response to ventilatory weaning 호흡기 이탈에 대한 반응 [3.0] 10017089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375 H02165362 Ventilatory weaning response 호흡기제거 반응 [3.0] 10017089 1A.9.0441 Focus 치료에 대한 반응 H02165417 H02165417 Laboratory result 임상검사 결과 C1254595 [3.0] 10011074 Focus 결과 H02165420 H02165420 Test result 검사결과 C0456984 [3.0] 10019616 2B.9.0040 Focus 결과 H02165432 H02165420 Laboratory findings 검사결과 C0587081 [3.0] 10019616 2B.9.0040 Focus 결과 H02165445 H02165445 Cardiac rhythm 심장리듬 C0232187 [3.0] 10003904 2B.02.02.01.01.09 Focus 리듬 H02165458 H02165458 Respiration rhythm 호흡리듬 C0489261 [3.0] 10016915 2B.02.02.01.01.04 Focus 리듬 H02165461 H02165461 Role of entity 개체 역할 [3.0] 10017332 Focus 역할 H02165473 H02165473 Process role 과정 역할 [3.0] 10017378 Focus 역할 H02165486 H02165486 Scene of accident 사고현장 [3.0] 10017516 2F.02.06 Focus 역할 H02165499 H02165499 Sign role 징후 역할 [3.0] 10018153 Focus 역할 H02165502 H02165502 Support role 지지 역할 [3.0] 10026980 Focus 역할 H02165515 H02165515 Symptom role 증상 역할 [3.0] 10019381 Focus 역할 H02165528 H02165528 Role of organism 생물 역할 [3.0] 10017366 Focus 개체 역할 H02165531 H02165531 Specimen role 검사물 기능 C1547763 [3.0] 10018549 Focus 개체 역할 H02165543 H02165543 Medication effect 약물 효과 C1319171 [3.0] 10006333 Focus "개체 역할: 약의 기능, 사용 또는 결과." H02165556 H02165556 Group role 집단 역할 [3.0] 10017345 Focus "개체 역할: 다른 사람이 기대하는 함축적 혹은 명백한 기대, 역할, 표준행동에 따른 그룹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 H02165569 H02165569 Individual role 개인 역할 [3.0] 10017350 Focus 생물 역할 H02165571 H02165571 Parasite role 기생충 역할 [3.0] 10014010 Focus "생물 역할: 생물체가 다른 생물체내에 살면서 그로부터 이익을 얻는 것, 주로 개인의 삶과 발달에 해를 끼치는 것과 관련됨." H02165584 H02165584 Prevention role 예방 역할 [3.0] 10015715 Focus 역할: 무엇인가 발생하는 것을 막거나 피하는 행동. H02165601 H02165601 Bedtime routine 규칙적인 취침 [3.0] 10039018 Focus 일상의 일 H02165613 H02165613 Bladder routine 배뇨 습관 [3.0] 10041644 Focus 일상의 일 H02165626 H02165626 Bowel routine 배변 습관 [3.0] 10041637 Focus 일상의 일 H02165639 H02165639 Environmental safety 환경 안전 C0184640 [3.0] 10031247 Focus 안전 H02165641 H02165641 House safety 주거 안전 [3.0] 10031397 Focus 안전 H02165654 H02165654 Device safety 기구 안전 C0086139 [3.0] 10032682 Focus 안전 H02165667 H02165667 Restraint management regime 억제대 관리요법 [3.0] 10039638 Focus 안전 요법 H02165670 H02165670 Seclusion management regime 차단관리요법 [3.0] 10039640 Focus 안전 요법 H02165682 H02165682 Seizure management regime 발작관리요법 [3.0] 10039655 Focus 안전 요법 H02165695 H02165695 Suicide precaution management regime 자살 예방 관리 요법 [3.0] 10039664 Focus 안전 요법 H02165709 H02165709 Perspiration process 발한 과정 [3.0] 10014431 Focus "분비 과정: 체온 조절과 배설의 기전으로서 피부의 습한 표면과 호흡기계에서 수분의 증발로 인한 손실, 분비샘으로부터의 땀의 배출." H02165737 H00923828 Lactation 유즙분비 C0022925 [3.0] 10011100 1A.9.0311 Focus "분비 과정: 성숙된 여성 유방의 유선을 통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 무기질이 포함된 모유를 합성하고 분비하는 과 정; 인유는 영아와 어린이의 영양을 공급하는 기초 식품." H02165793 H02165793 Gastric substance 위 물질 [3.0] 10008313 Focus 분비물 H02165822 H02165822 Negative sedation 부정적인 진정 [3.0] 10040796 Focus 진정 H02165835 H02165835 Effective sedation 효과적인 진정 [3.0] 10040806 Focus 진정 H02165848 H02165848 Self mutilation 자해 C0036601 [3.0] 10017795|10001623 1A.01.01.02.02.01.01.09.02.01 Focus|DC "자기파괴적 행위: 자기 자신을 해치거나 불안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베거나 화상을 입히는 것처럼, 조직손상만 일어날 정도로 자기자신에게 치명적이지 않은 손상을 가하는 것." H02165863 H01253460 Overdose 과용 C0029944 [3.0] 10013881 Focus "자기 파괴적 행위: 치사량의 약물을 스스로 섭취하는 것, 약물중독, 습관성 약물복용과 관련됨." H02165889 H01646247 Attempted suicide 자살 시도 C0038663 [3.0] 10002907 Focus 자기파괴적 행위: 자기자신을 죽이려고 시도하는 것. H02165891 H02165891 Low self esteem 낮은 자존감 C0679136 [3.0] 10011472|10029507 Focus|DC 자긍심 H02165905 H02165905 Negative self image 부정적 자아상 C2364102 [3.0] 10023963|10022724 Focus|DC 자아상 H02165918 H02165918 Positive self image 긍정적인 자아상 C0558118 [3.0] 10014925|10027108 Focus|DC 자아상 H02165921 H02165921 Personal identity 개인 정체성 C0424215 [3.0] 10014412 1A.01.01.02.01.02.04 Focus "자아상: 자신의 정체성, 가치, 능력, 한계 및 다른 사람의 의견에 대한 생각, 느낌 및 태도의 합성, 실체, 본질, 기질이 같아지는 상태." H02165946 H02165946 Self esteem 자긍심 C0036597 [3.0] 10017724 1A.01.01.02.01.02.02 Focus "자아상: 자신의 의견과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한 견해, 자신에 대한 신임을 말로 표현, 자신에 대한 신념, 자기-수용과 자기-한계를 말로 표현, 자신의 부정적인 이미지에 맞서서 도전, 건설적인 비평뿐 아니라 칭찬, 격려의 수용." H02165959 H02165946 Self esteem 자존감 C0036597 [3.0] 10017724 1A.01.01.02.01.02.02 Focus "자아상: 자신의 의견과 자신의 가치와 능력에 대한 견해, 자신에 대한 신임을 말로 표현, 자신에 대한 신념, 자기-수용과 자기-한계를 말로 표현, 자신의 부정적인 이미지에 맞서서 도전, 건설적인 비평뿐 아니라 칭찬, 격려의 수용." H02165961 H02165961 Self management of risk for disease 질병 위험의 자가 관리 [3.0] 10035255 Focus 질병 자가관리 H02165974 H02165974 Self management of symptom 증상의 자가관리 [3.0] 10038453 Focus 질병 자가관리 H02165987 H02165987 Self management of disease 질병 자가 관리 [3.0] 10038448 Focus 자립적 활동 H02165990 H02165990 Self care 자가간호 C0036592 [3.0] 10017661 1A.01.01.02.02.01.01 Focus "자립적 활동: 일상생활에서 자기 자신을 유지하고, 보존하고, 기본적이고 개인적인 것을 다루고, 사적인 요구와 행위에 필요 한 것을 돌보는 것." H02166010 H01671271 Tactile 촉각 C0439815 [3.0] 10019895 Focus "감각 지각: 촉각기관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느끼는 능력, 표피의 촉각기관에서 접촉이나 압력에 대한 지남력." H02166035 H00733412 Auditory 청각 C0439825 [3.0] 10008814 1A.01.01.01.13.13 Focus "감각 인지: 청각기관으로 오는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들을 수 있는 능력, 청력." H02166048 H02166048 Sight 시각 C0042789 [3.0] 10018124 Focus "감각 지각: 시각기관에서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보는 능력, 볼 수 있는 능력." H02166076 H02166076 Community service 지역사회 서비스 C0009482 [3.0] 10027359 Focus 서비스 H02166089 H02166089 Financial service 재정적 서비스 [3.0] 10038235 Focus 서비스 H02166091 H02166091 Funeral service 장례 서비스 [3.0] 10008281 2C.02.07.08 Focus 서비스 H02166105 H02166105 Legal service 법률 서비스 C1277117 [3.0] 10011280 2C.02.07.06 Focus 서비스 H02166118 H02166118 Religious service 종교 서비스 C0681203 [3.0] 10016737 2C.02.07.07 Focus 서비스 H02166121 H02166121 School service 학교 서비스 [3.0] 10038219 Focus 서비스 H02166133 H02166133 Energy service 에너지서비스 [3.0] 10006921 Focus 서비스: 사람에 의해 사용되는 에너지를 공급하는 행위. H02166146 H02166146 Police service 치안 서비스 [3.0] 10014719 1A.02.02.03.02.11 Focus "서비스: 시민을 보호하고, 상해나 위험으로부터 시민들을 지키며 범죄를 찾아내고 예방하는 임무를 가진 사람과 공공시설." H02166159 H02166159 Education service 교육서비스 [3.0] 10006572 Focus "서비스: 지식의 습득, 유지 및 발전, 그리고 전문적, 직업적, 또는 예술적 기술의 개발과 관계된 작업." H02166161 H02166161 Housing service 주거 서비스 C2584333 [3.0] 10009180 1A.02.02.03.02.05 Focus "서비스: 공공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적당한 거주지, 주택, 공공주택의 제공." H02166174 H02166174 Employment service 고용서비스 C0681138 [3.0] 10006783 Focus 서비스: 임금을 벌기위한 일자리 기회 혹은 그 외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 H02166187 H02166187 Water filtration service 정수 서비스 [3.0] 10020961 1A.02.02.03.02.07 Focus "서비스: 공공의 물을 사람이 소비할 수 있도록 알맞게 여과, 소독, 침전 작용 및 저장하기 위한 적절한 오염 제거 서비스의 제공." H02166190 H02166190 Waste service 쓰레기처리 서비스 [3.0] 10020942 1A.02.02.03.02.06 Focus "서비스: 쓰레기의 저장, 수집, 과정 및 처분에 따른 규정" H02166203 H02166203 Transportation service 이송서비스 C2003850 [3.0] 10020069 1A.02.02.03.02.08 Focus 서비스: 사람들의 운송요구에 적절하고 이용가능한 서비스를 제공. H02166216 H02166216 Communication service 의사소통 서비스 [3.0] 10004722 1A.02.02.03.02.10 Focus 서비스: 메시지를 주고 받는 것을 지원하는 기술과 도구의 제공. H02166244 H02166244 Impaired sexual behavior 손상된 성행위 과정 [3.0] 10012901 Focus 성행위 H02166257 H02166244 Impaired sexual behaviour 손상된 성행위 과정 [3.0] 10012901 Focus 성행위 H02166260 H02166260 Cardiac shock 심장성 쇼크 [3.0] 10003915 1A.01.01.01.02.02.02.01.02 Focus 쇼크: 심박출량 감소로 인해 발생한 순환 기능부전. H02166285 H00078824 Anaphylactic shock 과민성 쇼크 C0002792 [3.0] T78.2 10002308 1A.01.01.01.02.02.02.01.01 Focus "쇼크: 음식물, 약물, 화학약품, 혹은 다른 물질에서 검출된 항원에 대한 과민성 또는 알레르기 반응으로 일어나는 급격한 순환 기능부전." H02166298 H02166298 Vasogenic shock 혈관성 쇼크 C1562081 [3.0] 10020631 1A.01.01.01.02.02.02.01.03 Focus 쇼크: 현저한 혈관이완에 대한 반응으로 발생한 빠른 말초 순환 기능부전. H02166327 H02166327 Hypovolemic shock 저혈량성 쇼크 C0020683 [3.0] 10009599 Focus "쇼크: 혈액 손실, 심각한 탈수, 그외 혈액량에 영향을 주는 다른 중요한 상태에 대한 빠른 말초 순환 기능 부전." H02166330 H02166330 Brother role 남자형제 역할 [3.0] 10003716 Focus 형제 역할 H02166342 H02166342 Sister role 자매 역할 [3.0] 10018182 Focus 형제 역할 H02166355 H02166355 Sign of discomfort 불편감의 징후 [3.0] 10037282 Focus 징후 H02166368 H02166368 Sign of infection 감염징후 [3.0] 10018148 Focus 징후 H02166383 H02166383 Vital sign role 활력징후 역할 [3.0] 10020838 Focus 징후 역할 H02166396 H02166396 Impaired skin 손상된 피부 [3.0] 10012917 Focus 피부 H02166400 H02166400 Peristomal skin 장루주위 피부 [3.0] 10040517 Focus 피부 H02166412 H02166412 Impaired sleep 손상된 수면 C0150079 [3.0] 10012929|10027226 Focus|DC 수면 H02166425 H02166425 Adequate sleep 적절한 수면 C2364286 [3.0] 10014939|10024930 Focus|DC 수면 H02166438 H02166438 Social cohesion 사회적 유대 C0237515 [3.0] 10018362 Focus 사회화 과정: 서로 함께하는 행위 또는 과정. H02166441 H02166441 Crime 범죄 C0010325 [3.0] 10005368|10022384 1A.02.02.05.04.01 Focus|DC 사회적인 과정 : 법에 의해 처벌받을 만한 불법적인 행위. H02166453 H02166453 Civil disobedience 시민 불복종 C0680789 [3.0] 10004428 1A.02.02.05.03.01 Focus 사회화 과정: 비폭력적인 방법으로 법률에 반대함. H02166466 H02166466 Psychosocial structure 심리사회적 구조 [3.0] 10016096 Focus 사회 구조 H02166479 H02166479 Meditation 명상 C0150277 [3.0] 10011897 2C.02.05.28 Focus 영적 행위 H02166481 H02166479 Meditation 묵상 C0150277 [3.0] 10011897 2C.02.05.28 Focus 영적 행위 H02166494 H02166494 Prayer 기도 C0392356 [3.0] 10015413 Focus 영적 행위 H02166508 H02166508 Worship 숭배 C0518645 [3.0] 10021166 Focus 영적 행위 H02166523 H02166523 Attendance 참석 C2827364 [3.0] 10037754 Focus 상태 H02166536 H01256799 Blood oxygen saturation 혈중 산소포화도 C0523807 [3.0] 10030845 1A.9.0385 Focus 상태 H02166551 H01256799 O2 saturation 산소포화도 C0523807 [3.0] 10030845 1A.9.0385 Focus 상태 H02166564 H02166564 Bowel status 장 상태 [3.0] 10027681 Focus 상태 H02166577 H02166577 Cardiac status 심기능 상태 C1999091 [3.0] 10003927 Focus 상태 H02166580 H02166580 Cardiovascular status 심혈관 상태 [3.0] 10033946 Focus 상태 H02166592 H02166592 Care need 간호요구 [3.0] 10030878 Focus 상태 H02166634 H02166634 Endocrine status 내분비계 상태 [3.0] 10033979 Focus 상태 H02166647 H02166647 Financial status 재정적 상태 C0557159 [3.0] 10031299 Focus 상태 H02166650 H02166650 Gastrointestinal status 위장관 상태 [3.0] 10034122 Focus 상태 H02166662 H02166662 Genitourinary status 비뇨생식기 상태 [3.0] 10034133 Focus 상태 H02166675 H02166675 Health care satisfaction 의료서비스 만족도 [3.0] 10040092 Focus 상태 H02166688 H02166688 Homebound 질환으로 외출할 수 없는 상태 C0242798 [3.0] 10031378|10029887 Focus|DC 상태 H02166691 H02166688 Homebound 외출불가능한 C0242798 [3.0] 10031378|10029887 Focus|DC 상태 H02166704 H02166704 Housing status 주거 상태 C3475493 [3.0] 10031402 Focus 상태 H02166717 H02166717 Human right 인권 C0020138 [3.0] 10009216 Focus 상태 H02166745 H02166745 Immunisation status 면역 상태 C0552506 [3.0] 10035201 Focus 상태 H02166758 H02166745 Immunization status 면역 요법 C0552506 [3.0] 10035201 Focus 상태 H02166761 H02166761 Job satisfaction 직무만족 C0022397 [3.0] 10025382 Focus 상태 H02166773 H02166773 Musculoskeletal status 근골격계 상태 [3.0] 10034292 Focus 상태 H02166786 H00817163 Need 욕구 C0686904 [3.0] 10012495 1A.9.0364 Focus 상태 H02166815 H02166815 Impaired status 손상된 상태 [3.0] 10012940 Focus 상태 H02166828 H02166828 Neurological status 신경학적 상태 C0746866 [3.0] 10013141 Focus "상태. Ability of the peripheral and central nervous system to receive, process, and respond to internal and external stimuli[NOC]" H02166831 H02166831 Physical dimension 신체적 영역 [3.0] 10014483 Focus 상태 H02166843 H02166843 Physiological status 생리학적 상태 [3.0] 10014546 Focus 상태 H02166856 H02166856 Positive status 긍정적 지각 [3.0] 10014960 Focus 상태 H02166869 H02166869 Psychological status 심리적 상태 [3.0] 10015988 Focus 상태 H02166871 H02166871 Quality of life 삶의 질 C0034380 [3.0] 10040643|10040875 Focus|DC 상태 H02166901 H02166901 Relationship status 관계 상태 [3.0] 10032624 Focus 상태 H02166913 H02166913 Respiratory status 호흡 상태 C1998827 [3.0] 10016962 Focus 상태 H02166941 H02166941 Sanitation 위생 상태 C0036172 [3.0] 10038033 1A.9.0435 Focus 상태 H02166967 H02166967 Social status 사회적 상태 C0699806 [3.0] 10018410 Focus 상태 H02166970 H02166970 Spiritual status 영적 상태 [3.0] 10018614 Focus 상태 H02167002 H02167002 Tissue perfusion status 조직관류 상태 [3.0] 10019750 Focus 상태 H02167015 H02167015 Urinary status 배뇨 상태 [3.0] 10026766 Focus 상태 H02167031 H01828588 Withdrawal 금단증상 C2349954 [3.0] 10035422 Focus 상태 H02167069 H01064732 Mental 의식 C0229992 [3.0] 10004975 1A.01.01.01.13.18.S.001 Focus 상태: 경계하고 깨어 있으며 외부환경에 민감한 정신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감각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인상(impression)에 대한 정신 반응 H02167101 H00949498 Life expectancy 기대수명 C0023671 [3.0] 10011331 Focus 상태: 주어진 인구집단에서의 출생시 생존자들의 평균 사망연령. H02167139 H02167139 Ethnicity 민족성 C0243103 [3.0] 10007045 1A.02.02.04.04 Focus "상태: 국가, 전통, 관습 및 언어에 따라 개인을 분류하고 기록하는 것." H02167141 H02167141 Achievement 성취 C0001072 [3.0] 10000364 1B.02 Focus 상태: 과업의 완성이나 성취. H02167154 H02167154 Cultural diversity 문화적 다양성 C0282495 [3.0] 10005443 Focus "상태: 각기 다른 신념, 가치, 전통, 및 행위규범을 가진 다른 집단들." H02167167 H02167167 Endurance 인내 C0518031 [3.0] 10006875 1A.01.01.02.01.01.09.02 Focus "상태: 오랜시간 동안 에너지를 유지, 집중, 회복하고 지속되는 긴장을 견디는 경향." H02167170 H02167170 Control 조절 C2587213 [3.0] 10005135 1A.9.0124 Focus 상태: 상황을 진압하기 위해 강한 영향력을 행사함. H02167195 H02901371 Homelessness 노숙자 C0237154 [3.0] Z59.0 10009069 Focus "상태: 고정된 주거지가 없는 개인이나 가족: 적절한 안식처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자원 부족, 부적절한 영양, 사회적 고립, 깨 끗한 시설 사용의 제한 그리고 질병, 폭력, 물질 남용과 같은 위험에 대한 취약성과 연관됨." H02167209 H02167209 Alertness 명료 C1443086 [3.0] 10002144 1A.01.01.02.01.01.02.01.01.04.01.01 Focus "상태: 어떤 것에 대해 신중하거나 조심하고, 주의를 기울이고,바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수준." H02167211 H02167211 Alertness 민첩 C1443086 [3.0] 10002144 1A.01.01.02.01.01.02.01.01.04.01.01 Focus "상태: 어떤 것에 대해 신중하거나 조심하고, 주의를 기울이고,바로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수준." H02167237 H02167237 Readiness 준비도 C1318963 [3.0] 10016414 Focus 상태: 활동이나 과정을 위해 준비되고 이용가능한 것. H02167240 H02167240 Marital satisfaction 결혼생활 만족 C0680009 [3.0] 10011747 1A.01.02.01.01.01 Focus "상태: 가족 내에서 결혼한 배우자나 남녀 한쌍 간의 지속적인 욕구 충족, 만족스러운 감정이나 확신." H02167252 H02167240 Marital satisfaction 결혼만족 C0680009 [3.0] 10011747 1A.01.02.01.01.01 Focus "상태: 가족 내에서 결혼한 배우자나 남녀 한쌍 간의 지속적인 욕구 충족, 만족스러운 감정이나 확신." H02167265 H02167265 Responsiveness 반응성 [3.0] 10017091 2B.02.02.01.03 Focus 상태: 자극에 대한 반응 H02167278 H02167278 Acceptance of health status 건강상태 수용 C2364171 [3.0] 10044273|10023499 Focus|DC 상태: 자신의 건강상황에 대한 인정. H02167310 H02167310 Comfort 안위 C1331418 [3.0] 10004655 1A.01.01.01.13.11 Focus 상태: 신체적 편안감과 육체적 안녕. H02167322 H02167310 Comfort 위안 C1331418 [3.0] 10004655 1A.01.01.01.13.11 Focus 상태: 신체적 편안감과 육체적 안녕. H02167335 H02167310 Comfort 편안 C1331418 [3.0] 10004655 1A.01.01.01.13.11 Focus 상태: 신체적 편안감과 육체적 안녕. H02167348 H02167348 Knowledge 지식 C0376554 [3.0] 10011042 1A.01.01.02.01.01.02.01.02 Focus "상태: 습득된 지혜, 배운 지식이나 기술, 정보의 인지를 바탕으로한 사고의 특별한 내용." H02167376 H02167376 Nutritional status 영양 상태 C0392209 [3.0] 10013419 1A.01.01.01.04.02 Focus "상태: 키, 체격과 나이에 따라 산정된 영양과 특정 영양소의 섭취에 관련된 체중과 체질량." H02167389 H02167389 Nephrostomy care regime 신루술 간호 요법 [3.0] 10032166 Focus 요법 H02167391 H02167391 Tracheostomy care regime 기관절개부위 관리법 [3.0] 10033174 Focus 요법 H02167405 H02167405 Caregiver stress 돌봄제공자 스트레스 C1998980 [3.0] 10024775|10027773 1A.01.01.02.01.01.08.01.06 Focus|DC 스트레스 H02167418 H02167418 Health committee 보건의료위원회 [3.0] 10008748 Focus 구조 H02167459 H02167459 Medication supply 약물 공급 [3.0] 10023928 Focus 공급 H02167461 H02167461 Food supply 식량공급 C0016491 [3.0] 10008138 1A.02.02.03.01.01 Focus "공급: 인간의 영양에 쓰일 수 있는, 입수가능한 액체나 고체 물질의 이용가능성." H02167474 H02167474 Water supply 물공급 C0043062 [3.0] 10020988 1A.02.02.03.01.02 Focus 공급: 인간의 삶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깨끗한 물의 이용가능성 H02167487 H02167487 Emotional support role 정서적 지지 역할 [3.0] 10027005 Focus 지지 역할 H02167490 H02167490 Family support role 가족지지 역할 [3.0] 10026998 Focus 지지 역할 H02167503 H02167503 Social support role 사회적 지지 역할 [3.0] 10026979 Focus 지지 역할 H02167516 H02167516 Spiritual support role 영적 지지 역할 [3.0] 10027014 Focus 지지 역할 H02167531 H02167531 Negative surgical recovery 부정적 외과적 회복 [3.0] 10037419 Focus 외과적 회복 H02167544 H02167544 Susceptibility to infection 감염 민감성 C0521978 [3.0] 10019306 Focus 감수성 H02167557 H02167557 Symptom of infection 감염 증상 [3.0] 10019375 Focus 증상 H02167572 H02167572 Withdrawal symptom control 금단증상 조절 C3650797 [3.0] 10040071|10040085 Focus|DC 증상조절 H02167598 H00194493 BT 체온 c0005903 [3.0] 1A.01.01.01.03.S.001 Focus 온도: 신체대사와 관련된 신체내부의 열. H02167601 H02167601 Tendency to wander 방랑 경향 C1998912 [3.0] 10019573|10001675 Focus|DC 경향 H02167614 H02167614 Impaired thermoregulation 손상된 체온조절 C2364040 [3.0] 10012964|10033560 Focus|DC 온도조절 H02167627 H02167627 Positive thermoregulation 양호한 체온조절 [3.0] 10014973 Focus 온도조절 H02167630 H02167630 Shiver 오한 C0036973 [3.0] 10018045 1A.01.01.01.12.01.01.02 Focus 체온조절: 마취의 부작용이나 발열중 오한 시기에 항온조절점 아래로 체온이 하강하면서 느끼는 차가운 감각으로 인한 근육 수축과 연축의 불수의적 떨림. H02167655 H00286635 Chilling 한기 C0085593 [3.0] 10018045 1A.9.0099 Focus 체온조절: 마취의 부작용이나 발열중 오한 시기에 항온조절점 아래로 체온이 하강하면서 느끼는 차가운 감각으로 인한 근육 수축과 연축의 불수의적 떨림. H02167668 H00286635 Chilling sense 한기 [3.0] 10018045 1A.9.0099.S.001 Focus 체온조절: 마취의 부작용이나 발열중 오한 시기에 항온조절점 아래로 체온이 하강하면서 느끼는 차가운 감각으로 인한 근육 수축과 연축의 불수의적 떨림. H02167696 H02167696 Learning 학습하기 C0013621 [3.0] 10011246 1A.01.01.02.01.01.03 Focus "사고 활동: 체계적인 연구, 교육, 연습, 훈련 또는 경험을 통해 지식 혹은 기술을 획득하는 과정." H02167700 H02167700 Impaired body tissue integrity 손상된 신체조직 통합성 [3.0] 10012578 Focus 조직 통합성 H02167712 H02167712 Effective body tissue integrity 효과적인 신체조직 통합성 C2712125 [3.0] 10028474 Focus 신체조직 통합 H02167725 H02167725 Wound perfusion 상처관류 [3.0] 10034497 Focus 조직관류 H02167738 H02167738 Self toileting 자가용변 [3.0] 10017814 Focus 용변 H02167741 H02167738 Self toileting 스스로 대소변보기 [3.0] 10017814 Focus 용변 H02167753 H02167753 Death tradition 죽음에 대한 전통 [3.0] 10038005 Focus 전통 H02167766 H02167766 Ritual 전례 C2945764 [3.0] 10017309 Focus 전통 H02167779 H02167779 Self transferring 스스로 이동하기 [3.0] 10017822 Focus 이송함 H02167808 H02167808 Rape trauma response 강간 상해에 대한 반응 C0085588 [3.0] 10016357|10001597 Focus|DC 상해 반응: 강간 후에 희생자에게 발생하는 파괴적 생활양식과 관련된 부적응 반응과 생활양식 재조직의 장기과정. H02167811 H02167811 Rape trauma 강간 상해 [3.0] 10016335 1A.01.01.02.01.01.08.01.03.01.01 Focus "상해: 강요된 성관계나 성교 후의 신체적, 심리적 상태." H02167849 H00590362 Excoriation 찰상 C0015256 [3.0] 10007287 1A.01.01.01.10.03.06.02.01 Focus "외상성 상처: 딱지가 생기기 전까지 통증, 출혈, 쓰린 특징이 있는 피부와 진피의 찰과상." H02167880 H00215519 Contusion 좌상 C0009938 [3.0] T14.0 10005161 1A.01.01.01.10.03.06.02.02 Focus 외상성 상처: 피부와 그 아래 조직들의 멍. H02167975 H00722137 Gunshot wound 총기 상처 C0043252 [3.0] 10008619 Focus "외상성 상처: 총기발포로 인한 탄환이 들어간 상처, 나온 상처 및 지나간 상처로 구분됨. 들어간 상처는 총이 발사된 범위에 따라, 탄환에 의한 충격이나 화약에 의한 화상같이, 조직에 다양한 영향을 미침. 총알은 발사 범위, 탄피 각도와 신체 각도에 따라 신체를 뚫거나, 신체내에 박히거나, 피부표면에 상처를 입힐 수 있음." H02167991 H01611455 Stab wound 자창 C0043255 [3.0] 10016147 Focus 외상성 상처: 뾰족한 물건이 피부를 뚫어 생긴 상처. H02168008 H01551769 Senile tremor 노인성 진전 C0149840 [3.0] 10017851 1A.01.01.01.12.01.01.03.01 Focus "진전: 주로 노인에게 있어서 특히 손에서의, 미세하고 빠른 떨림 발작, 주기적인 고개 끄덕임은 보통 의도적인 운동 동안 증가하고 분노, 흥분, 자아의식에 의해서 강화됨." H02168011 H02168011 Self turning 스스로 돌아눕기 [3.0] 10017833 Focus 교대함: 측면 또는 앞뒤로 몸을 움직이거나 바꾸는 것. H02168023 H02168023 Diabetic ulcer 당뇨성 궤양 C0743150 [3.0] 10031101|10042181 Focus|DC 궤양 H02168049 H00165214 Pressure ulcer 욕창 C0011127 [3.0] L89 10015612|10025798 1A.01.01.01.10.03.05.03 Focus|DC "궤양: 조직 압박과 부적절한 관류로 인해 피부 혹은 내부구조에 생긴 손상, 염증 또는 궤양" H02168064 H00165214 Decubitus ulcer 욕창 C0011127 [3.0] L89 10015612 1A.01.01.01.10.03.05.03.S.003 Focus "궤양: 조직 압박과 부적절한 관류로 인해 피부 혹은 내부구조에 생긴 손상, 염증 또는 궤양" H02168106 H02168106 Arterial ulcer 동맥궤양 C0265000 [3.0] 10002558|10029700 1A.01.01.01.10.03.05.02 Focus|DC 궤양: 동맥 혈류의 감소나 결여로 인한 병변. H02168147 H01253749 Overflow incontinence 일출성 요실금 C0312413 [3.0] 10026922 Focus 요실금 H02168150 H02168150 Total urinary incontinence 전 요실금 C0150044 [3.0] 10026876|10026807 Focus|DC 요실금 H02168162 H02168150 Total urinary incontinence 중추 요실금 C0150044 [3.0] 10026876|10026807 Focus|DC 요실금 H02168175 H02168175 Functional incontinence 기능적 요실금 C0150042 [3.0] 10026830 Focus 요실금: 적절한 배뇨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방광의 강한 수축으로 발생하는 배뇨. H02168188 H02168175 Functional urinary incontinence 기능 요실금 C0150042 [3.0] 10026830 Focus 요실금: 적절한 배뇨장소에 도달하기 전에 방광의 강한 수축으로 발생하는 배뇨. H02168191 H01628807 Stress incontinence 긴장성 요실금 C0042025 [3.0] 10026869 1A.01.01.01.09.02.01.01 Focus "요실금: 재채기, 웃음과 물건 들어올리기, 껑충 뛰기, 달리기, 운동과 관련된 복압상승으로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적은 양의 소변 손실 혹은 소변의 흘림." H02168261 H01783212 Urge incontinence 절박성 요실금 C0150045 [3.0] N39.40 10026882 1A.01.01.01.09.02.01.03 Focus 요실금: 배뇨의 긴급한 감각 후에 재빠르게 일어나는 불수의적인 소변의 손실. H02168299 H01497270 Urinary retention 요정체 C0080274 [3.0] 10034649|10034654 1A.01.01.01.09.02.02 Focus|DC 요정체 H02168302 H02168302 Urinary continence 배뇨 조절 능력 C0542565 [3.0] 10026663|10027836 Focus|DC 배설 조절 능력 상태 H02168328 H02168328 Female urinary system 여성 비뇨기계 C1999213 [3.0] 10007874 Focus 비뇨기계 H02168331 H02168331 Male urinary system 남성 비뇨기계 C1998594 [3.0] 10011591 Focus 비뇨기계 H02168343 H02168343 Kidney process 신장기능 과정 [3.0] 10024163 Focus 비뇨기계 과정 H02168356 H02168356 Impaired urinary system process 손상된 비뇨기계 과정 C0231365 [3.0] 10012972 Focus 비뇨기계 과정 H02168369 H02168369 Effective urinary system process 효과적인 비뇨기계 과정 C2712184 [3.0] 10028604 Focus 비뇨기계 과정 H02168397 H02168397 Impaired urination 손상된 배뇨 C0231365 [3.0] 10012986|10021790 Focus|DC 배뇨 H02168401 H02168401 Positive urination 적절한 배뇨 [3.0] 10014987 Focus 배뇨 H02168426 H02168426 Ischemic pain 허혈성통증 C0745417 [3.0] 10010896 1A.01.01.01.13.01.06.02 Focus "혈관통증: 말초혈액 공급 감소로 생기는 통증 감각, 조이는 정형외과 석고붕대 또는 다른 조임 장치, 폐쇄 동맥 질환, 외과적 손상과 같은 불충분한 혈액 공급으로 인해 혈류가 줄어드는 말초혈관장애와 관련됨; 허혈성 통증은 종종 심하게 견딜수 없는 통증으로 보고됨." H02168439 H02168439 Impaired vascular process 손상된 혈관 과정 [3.0] 10012993 Focus 혈관 과정 H02168441 H02168441 Positive vascular process 긍정적인 혈관 과정 [3.0] 10028118 Focus 혈관 과정 H02168454 H02168454 Tissue perfusion 조직관류 C0429877 [3.0] 10019745 1A.01.01.01.02.02.02 Focus "혈관 과정: 세포수준에서의 산소, 체액, 영양분 전달을 위한 말초 조직으로의 혈액 이동, 피부 온도와 색깔, 동맥 맥박 감소, 동맥압 변화, 상처치유, 체모의 성장 등과 관련됨." H02168467 H02168467 Neurovascular process 신경혈관 과정 [3.0] 10013160 Focus 혈관 과정: 신경계와 혈관계 모두와 관련된 과정. H02168470 H01607244 Spontaneous ventilation 자발 환기 C0412771 [3.0] 10018651 Focus 환기 H02168482 H01607244 Spontaneous respiration 자가호흡 C0412771 [3.0] 10018651 Focus 환기 H02168524 H00795066 Hyperventilation 과환기 C0020578 [3.0] R06.4 10041352 1A.01.01.01.01.01.01 Focus "환기: 어지러움, 기절, 손,발가락의 저림을 동반한 저탄소증, 호흡성 알칼리증과 함께 호흡수의 증가, 흡기량과 호기력의 증가, 폐활량의 증가" H02168540 H02168540 Domestic violence 가정폭력 C0206073 [3.0] Focus 폭력: 가정이나 한 집안에서 발생함. H02168578 H00510521 Dyspareunia 이상 성감증 C1384606 [3.0] N94.1 10006435 1A.01.01.01.13.01.04.04 Focus "내장통증: 강제 성교, 불완전한 성적 흥분상태, 출산 또는 여성 성기 손상으로 인한 성기 및 주위조직 궤양, 질병으로 인한 성기 손상이 있는 경우 성교시 발생하는 통증" H02168610 H00510145 Intramenstrual pain 월경통 [3.0] N94.6 10011953 1A.01.01.01.13.01.04.02 Focus "내장통증: 자궁근육의 경련으로 인한 통증 감각, 통증 감각은 보통 강한 수축, 두근거림 그리고 배와 허리 아래의 끊임없는 감각으로 보고됨." H02168622 H02168622 Impaired volition 손상된 결단 [3.0] 10013000 Focus 결단 H02168635 H02168635 Self control 자기통제 C0684274 [3.0] 10017690 1A.01.01.02.01.01.08.02 Focus "결단: 자신을 유지하고 활동하는데 필요한 것을 책임지며, 삶에 있어서 개인적이고 사적으로 필수불가결한 것과 행동을 처리하려는 경향." H02168648 H02168648 Initiative 주도 C0424093 [3.0] 10010250 Focus 결단: 행동을 취하고 아이디어를 창출하거나 결정을 하고 그에 따라 행동하려는 경향. H02168651 H02168651 Will power 의지력 [3.0] 10021109 Focus "결단: 의지, 의도 및 의향의 태도를 고려하여 충동을 조절하거나 혹은 조절하지 않게 되는 성향, 행동을 유지하거나 포기하게되는 성향." H02168676 H02168676 Will to live 생존의지 C0518842 [3.0] 10021113 1A.01.01.02.01.01.06.01 Focus "결단: 어려운 환경에도 불구하고 삶을 계속하려는 생각과 소망, 살아가려는 강한 충동, 자신의 삶을 영속시키려는 행동이나 선택." H02168689 H02168689 Walking using device 기구를 이용한 보행 [3.0] 10020903 1A.01.01.02.02.01.01.08.09.02.01 Focus "보행 행위: 적절한 신발, 인공사지, 지팡이, 부목, 목발, rolator 같은 보행도구를 한 개 이상 사용하여 다리를 한걸음씩 움직임으로써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이동하는 것, 몸의 체중을 견디면서 느린, 빠른, 보통의 다양한 속도로 위층, 아래층, 오르막길, 내리막길을 효율적인 걸음을 걷는 능력" H02168691 H02168691 Self washing 스스로 씻기 [3.0] 10017846 Focus 씻기 H02168705 H02168705 Inadequate water supply 불충분한 물공급 C2364117 [3.0] 10038344|10038363 Focus|DC 급수 H02168718 H02168718 Adequate water supply 적절한 물 공급 [3.0] 10038359 Focus 급수 H02168721 H02168721 Humid weather 습한 날씨 C0239970 [3.0] 10009237 Focus 날씨 H02168733 H02168733 Hot weather 더운 날씨 C0337004 [3.0] 10009179 1A.02.01.01.04.02 Focus 날씨: 인간의 삶과 발달에 영향을 주는 체온보다 훨씬 높은 외부온도. H02168746 H02168746 Cold weather 추운 날씨 C0337005 [3.0] 10004526 1A.02.01.01.04.01 Focus 날씨: 낮은 주변 온도. H02168759 H02168759 Impaired weight 손상된 체중 C0578026 [3.0] 10013016 Focus 몸무게 H02168761 H02168761 Effective weight 적정 체중 C2712185 [3.0] 10027385 Focus 상처 H02168774 H02168774 Burn wound 화상 상처 C0006434 [3.0] 10030866|10029737 Focus|DC 상처 H02168787 H02168787 Diabetic wound 당뇨성 상처 C3165250 [3.0] Focus 상처 H02168790 H02168790 Malignant wound 악성 상처 C3165261 [3.0] 10031688|10030019 Focus|DC 상처 H02168816 H00642208 Fissure 균열 C0332469 [3.0] 10007963 1A.01.01.01.10.03.03 Focus "상처: 피부의 탄력성과 신전성이 감소되며, 피부조직이 보이는 붉은 균열을 동반하는 신체표면조직의 균열, 갈라짐 혹은 분리." H02168885 H02168885 Traumatic wound 외상성 상처 C1998924 [3.0] 10020122|10030088 1A.01.01.01.10.03.06.02 Focus|DC "상처: 상해나 사고로 피부, 점막, 조직이 불규칙적으로 손상, 통증이 있고 쓰린 조직, 혈청과 혈액의 배액과 손실등으로 인해 야기된 기계적 손상과 관련되어 신체표면조직의 예상하지 못했던 파괴; 불결하게 감염된 조직과 관련됨." H02168942 H00591026 Dyspnea on exercise 운동시 호흡곤란 [3.0] Focus "dyspnea provoked by physical effort or exertion.[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68955 H00591026 DOE 운동시 호흡곤란 C0231807 [3.0] Focus "dyspnea provoked by physical effort or exertion.[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69003 H02169003 Distention 확장 C3714614 [3.0] Focus 넓혀서 크게함. H02169016 H02169016 Distention 늘임 C3714614 [3.0] Focus 넓혀서 크게함. H02169031 H01495475 Respite care 일시적 위탁 C0035247 [3.0] Z75.5 Focus Temporary or periodic care provided for a patient allowing the usual caregiver rest or time away from responsibility.[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69044 H01495475 Respite care 임시간호 C0035247 [3.0] Z75.5 Focus Temporary or periodic care provided for a patient allowing the usual caregiver rest or time away from responsibility.[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69072 H02169072 Amputation stump 밑동 C0002690 [3.0] 1A.01.01.01.12.01.04.S.001 Focus 신체 움직임의 한 형태 : 변형되고 줄어든 신체 말단부(사지); 신체부분의 외과적 절단으로 인한 움직임의 감소 H02169085 H02169085 Holistic wellbeing 전인적 안녕 [3.0] Focus 안위 H02169098 H02169085 Holistic wellbeing 총제적 안녕 [3.0] Focus 안위 H02169101 H02169101 Knowledge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와 관련된 지식 [3.0] Focus 지식 H02169114 H02169114 Knowledge of safety precaution 안전과 관련된 지식 [3.0] Focus 지식 H02169127 H02169127 Knowledge of disease process 질병과정과 관련된 지식 C0516956 [3.0] Focus 지식 H02169130 H02169130 Health maintenance behavior 건강 유지 행동 [3.0] Focus 건강추구행위 H02169142 H02169142 Sexual response 성반응 [3.0] Focus 반응함 H02169183 H02169183 Abnormal skin lesion 이상 피부 병변 [3.0] 1A.9.0002 Focus "두드러기, SPOT" H02169196 H02169196 Abnormal urine 이상소변 C0235639 [3.0] 1A.9.0003 Focus "혈뇨, 케톤뇨" H02169212 H00509239 Dysaesthesia 이상감각 C0392699 [3.0] 1A.9.0005.S.001 Focus "지각이상가운데서 통증이외의 자각적인 이상감각을 말한다. 장애부위는 지각전도로 즉 말초신경, 신경근, 척수(척수시상로 또는 후색), 시상 및 두정엽이다. 특히 다발성 신경염의 초기, 척수 종양, 시상부근의 혈관장애 등에서 볼 수 있다. 또 혈관에 협착이 있는 경우, 이를 테면 뷔르거병 Buerger's disease나 고도의 동맥 경화에 있어서도 디세스테시아가 나타날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69225 H00509239 Dysesthesia 지각이상 C0392699 [3.0] 1A.9.0005.S.001 Focus "지각이상가운데서 통증이외의 자각적인 이상감각을 말한다. 장애부위는 지각전도로 즉 말초신경, 신경근, 척수(척수시상로 또는 후색), 시상 및 두정엽이다. 특히 다발성 신경염의 초기, 척수 종양, 시상부근의 혈관장애 등에서 볼 수 있다. 또 혈관에 협착이 있는 경우, 이를 테면 뷔르거병 Buerger's disease나 고도의 동맥 경화에 있어서도 디세스테시아가 나타날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69238 H02169238 Synesthesia 이차감각 C0233778 [3.0] Focus "감관영역(感官領域)의 자극으로 하나의 감각이 다른 영역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현상. 본래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 감각인상(感覺印象)의 종류(모달리티)와, 그 원인이 되는 물리적 자극(시각에서의 가시광선, 청각에서의 음파) 사이에는 1대 1의 대응이 있는데, 때로는 이 원칙에 반하여 음파가 귀에 자극될 때 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색상을 느끼는 수가 있다. 이것을 색청(色聽)이라고 하는데, 이때 색상이 변하면 들리는 소리의 음정도 변한다. 그 밖에 후각과 함께 색상을 느끼거나, 글씨를 보고 냄새를 느낄 때도 있다. 이와 같은 감각의 모달리티의 경계를 넘어선 감각현상이 공감각인데, 공감각에는 2차감각이 현실적인 경우와 기억 표상적(記憶表象的)인 경우, 또는 단순한 사고에 그치는 경우 등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이런 소질이 없는 보통 사람도, 특수한 실험 조건 아래서는 다른 양상의 감각간에 상호 영향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상호영향을 통양상적 현상(通樣相的現象: intermodale Erscheinung)이라고 한다. " "[두산백과]""" H02169241 H02169238 Synaesthesia 동반감각 C0233778 [3.0] Focus "감관영역(感官領域)의 자극으로 하나의 감각이 다른 영역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현상. 본래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 감각인상(感覺印象)의 종류(모달리티)와, 그 원인이 되는 물리적 자극(시각에서의 가시광선, 청각에서의 음파) 사이에는 1대 1의 대응이 있는데, 때로는 이 원칙에 반하여 음파가 귀에 자극될 때 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색상을 느끼는 수가 있다. 이것을 색청(色聽)이라고 하는데, 이때 색상이 변하면 들리는 소리의 음정도 변한다. 그 밖에 후각과 함께 색상을 느끼거나, 글씨를 보고 냄새를 느낄 때도 있다. 이와 같은 감각의 모달리티의 경계를 넘어선 감각현상이 공감각인데, 공감각에는 2차감각이 현실적인 경우와 기억 표상적(記憶表象的)인 경우, 또는 단순한 사고에 그치는 경우 등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이런 소질이 없는 보통 사람도, 특수한 실험 조건 아래서는 다른 양상의 감각간에 상호 영향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상호영향을 통양상적 현상(通樣相的現象: intermodale Erscheinung)이라고 한다. " "[두산백과]""" H02169253 H02169238 Synesthesia 공감각 C0233778 [3.0] Focus "감관영역(感官領域)의 자극으로 하나의 감각이 다른 영역의 감각을 불러일으키는 현상. 본래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등 감각인상(感覺印象)의 종류(모달리티)와, 그 원인이 되는 물리적 자극(시각에서의 가시광선, 청각에서의 음파) 사이에는 1대 1의 대응이 있는데, 때로는 이 원칙에 반하여 음파가 귀에 자극될 때 소리를 들을 뿐 아니라 색상을 느끼는 수가 있다. 이것을 색청(色聽)이라고 하는데, 이때 색상이 변하면 들리는 소리의 음정도 변한다. 그 밖에 후각과 함께 색상을 느끼거나, 글씨를 보고 냄새를 느낄 때도 있다. 이와 같은 감각의 모달리티의 경계를 넘어선 감각현상이 공감각인데, 공감각에는 2차감각이 현실적인 경우와 기억 표상적(記憶表象的)인 경우, 또는 단순한 사고에 그치는 경우 등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이런 소질이 없는 보통 사람도, 특수한 실험 조건 아래서는 다른 양상의 감각간에 상호 영향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상호영향을 통양상적 현상(通樣相的現象: intermodale Erscheinung)이라고 한다. " "[두산백과]""" H02169336 H01024442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조절 환기 C0199470 [3.0] 1A.9.0017 Focus "기계를 사용해서 인공호흡을 하는 것이고 급성호흡부전, 만성호흡부전의 급성악화시에 적용된다. 환자의 자발호흡에 따라서 그것을 보조하도록 하는 보조호흡법과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나 억제해서 기계만으로 행하는 조절호흡법으로 나뉘어진다. 조절호흡법은 탱크호흡기를 사용해서 체외에 음압을 가하고 흉부를 확장해서 흉강내압을 감압함으로써 외기를 빨아 들이는 음압법과, 양압호흡기에 의해서 가압 또는 일정량의 외기를 밀어 넣음으로써 기도측에서 폐를 부풀리게 하는 양압법으로 나뉘어진다. 일시적인 보조호흡으로 해결이 될 경우에는 마스크, 마우스피스를 통한 간헐적 양압호흡법을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169351 H01024442 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인공호흡 C0199470 [3.0] 1A.9.0017 Focus "기계를 사용해서 인공호흡을 하는 것이고 급성호흡부전, 만성호흡부전의 급성악화시에 적용된다. 환자의 자발호흡에 따라서 그것을 보조하도록 하는 보조호흡법과 자발호흡이 없는 경우나 억제해서 기계만으로 행하는 조절호흡법으로 나뉘어진다. 조절호흡법은 탱크호흡기를 사용해서 체외에 음압을 가하고 흉부를 확장해서 흉강내압을 감압함으로써 외기를 빨아 들이는 음압법과, 양압호흡기에 의해서 가압 또는 일정량의 외기를 밀어 넣음으로써 기도측에서 폐를 부풀리게 하는 양압법으로 나뉘어진다. 일시적인 보조호흡으로 해결이 될 경우에는 마스크, 마우스피스를 통한 간헐적 양압호흡법을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169364 H02169364 24hr urine 24시간 소변 [3.0] 1A.9.0019 Focus "24시간동안 배설된 요를 모으는 총량으로, 정해진 시간에 첫 배뇨를 하고난 후부터 정해진 시간까지 소변을 하나의 채뇨용기에 받는 것." H02169380 H00002962 AC 복부둘레 C1300813 [3.0] 1A.9.0020.S.001 Focus "the circumference of the abdomen, usually measured at the umbilicus.[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69392 H00002962 Girth of abdomen 복위 [3.0] 1A.9.0020.S.001 Focus "the circumference of the abdomen, usually measured at the umbilicus.[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69406 H00002962 Abdominal girth 복위 [3.0] 1A.9.0020.S.001 Focus "the circumference of the abdomen, usually measured at the umbilicus.[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69434 H02169434 Absolute bed rest 절대안정 [3.0] 1A.9.0022 Focus 휴식 행동 H02169447 H02169434 ABR 절대침상안정 C1412101 [3.0] 1A.9.0022.S.001 Focus 휴식 행동 H02169450 H02169434 Complete bed rest 완전침상안정 [3.0] Focus 휴식 행동 H02169475 H02169475 Acquired body structure 후천성 신체구조 C0459112 [3.0] 1A.9.0025 Focus 신체 구조 H02169491 H00035249 Active exercise 자동운동 C0419117 [3.0] 1A.9.0026 Focus "환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중력의 영향아래서(이를테면 사지의 무게와 같은 중력을 이겨내고), 또는 중력의 영향을 제거한 조건하에서 행하는 수의운동이다. 지(肢)의 정맥계, 림프계의 순환을 개선하고 부종을 제거하거나 관절가동역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 근력증강훈련은 근력3(fair) 정도의 가까스로 항중력운동이 가능한 근에는 효과적이다. 그밖의 경우에는 반쯤 밖에서 도와 주는 개조자조운동 active assistive exercise, 요법사의 도수나 추 등을 부하한 저항자조운동 active resistive exercise이 효과적이다. 이러한 것을 포함해서 넓은 뜻의 자조운동으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69504 H01287785 Passive exercise 수동운동 C0419121 [3.0] Focus "운동요법의 일종으로 근(筋)의 자동수축을 수반하는 자동운동 active exercise에 대한 말. 경축의 예방 및 구축치료의 목적으로 물리요법사(物理療法士) 등 개조자(介助者)에 의하여 수동적으로 이루어져 근의 자동수축을 수반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사지마비, 편마비(偏痲痺), 편마비환자의 불량사지위구축(不良四肢位拘縮)의 예방, 외상후의 관절구축제거시 등에 행하여진다.[간호학대사전]" H02169520 H02169520 Activity encouragement 활동촉진 [3.0] 1A.9.0027 Focus 촉진함 H02169561 H00358046 Anormaly 기형 [3.0] Q00-Q99 1A.9.0033 Focus "태아가 발육하는 과정에서 유전자의 이상이나 모체를 통한 약물, 감염 등에 의해 발육이 저지, 장애를 받고 또는 과잉으로 발육, 분리하거나 해서 이상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한 장기에 대한 것도 있고 복잡하게 많은 장기에 걸치는 것에서부터 태아전체에 나타나는 것까지 있다. 대표적인 것을 들면 유전자에 따른 것으로는 다지증(多指症), 상해작용에서는 방사선의 영향이 크고 무뇌아가 되는 수도 있다. 약물에서는 탈리다마이드가 해표상지증(海豹上脂症)을, 풍진이 심장기형을 불러 일으킨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69599 H02169599 Past history 과거력 C0332119 [3.0] 1A.9.0034 Focus "1) 병력. 환자와 그 가족, 과거의 환경, 체험 등에 관한 자료로서 환자 자신 또는 타인에 의하여 관찰한 모든 이상한 감각,기분,행동을 포함한 모든 치료,처치 등이 기재된다. " 2) 넓은 뜻으로 단순히 병력 anamnesis(Anamnese) 즉 진찰시까지의 환자의 모든 경과 즉 문진에 의해서 청취된 가족력 family history 출생지나 출생상황 어릴적의 건강상태 직업력 결혼력 임신 월경 과거의 질환 현 병력(발병 경과 즉 onset and course of the present illness)을 말한다. 좁은 뜻으로는 과거(병)력의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출생상황 모체의 임신합병증 (2) 유아기의 발육상황 질환 예방접종 (3) 결혼력 여성의 경우 월경 임신력 (4) 생활력 직업 생활 및 직업의 환경 식생활 기호품 (5) 현증상발병 이전에 경험한 질환 외상 (6) 상용약.[간호학대사전] "3) Action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ast illness and health status[CCC]""" H02169602 H02169602 Anamnesis 기왕력 C0021055 [3.0] 1A.9.0034 Focus "1) 병력. 환자와 그 가족, 과거의 환경, 체험 등에 관한 자료로서 환자 자신 또는 타인에 의하여 관찰한 모든 이상한 감각,기분,행동을 포함한 모든 치료,처치 등이 기재된다. " 2) 넓은 뜻으로 단순히 병력 anamnesis(Anamnese) 즉 진찰시까지의 환자의 모든 경과 즉 문진에 의해서 청취된 가족력 family history 출생지나 출생상황 어릴적의 건강상태 직업력 결혼력 임신 월경 과거의 질환 현 병력(발병 경과 즉 onset and course of the present illness)을 말한다. 좁은 뜻으로는 과거(병)력의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출생상황 모체의 임신합병증 (2) 유아기의 발육상황 질환 예방접종 (3) 결혼력 여성의 경우 월경 임신력 (4) 생활력 직업 생활 및 직업의 환경 식생활 기호품 (5) 현증상발병 이전에 경험한 질환 외상 (6) 상용약.[간호학대사전] "3) Action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ast illness and health status[CCC]""" H02169615 H02169602 Anamnesis 기왕증 C0021055 [3.0] 1A.9.0034 Focus "1) 병력. 환자와 그 가족, 과거의 환경, 체험 등에 관한 자료로서 환자 자신 또는 타인에 의하여 관찰한 모든 이상한 감각,기분,행동을 포함한 모든 치료,처치 등이 기재된다. " 2) 넓은 뜻으로 단순히 병력 anamnesis(Anamnese) 즉 진찰시까지의 환자의 모든 경과 즉 문진에 의해서 청취된 가족력 family history 출생지나 출생상황 어릴적의 건강상태 직업력 결혼력 임신 월경 과거의 질환 현 병력(발병 경과 즉 onset and course of the present illness)을 말한다. 좁은 뜻으로는 과거(병)력의 뜻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경우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1) 출생상황 모체의 임신합병증 (2) 유아기의 발육상황 질환 예방접종 (3) 결혼력 여성의 경우 월경 임신력 (4) 생활력 직업 생활 및 직업의 환경 식생활 기호품 (5) 현증상발병 이전에 경험한 질환 외상 (6) 상용약.[간호학대사전] "3) Actions performed to obtain information about past illness and health status[CCC]""" H02169671 H00093616 Prenatal care 산전간호 C0033052 [3.0] 1A.9.0036.S.001 Focus 산전관리. H02169701 H00102566 Anuria 무뇨증 C0003460 [3.0] 1A.9.0038 Focus "1) 신장에 의한 오줌의 분비, 배설이 완전히 억제된 것. 2) 신장으로부터 소변생성이 하루에 200cc 미만인 상태로 이 증상이 지속되면 노폐물질이 체내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사망하게 된다. 신장내의 정상 소변생성은 매 시간 60~120cc이다. 소변내의 이물질은 검사에 의하여 발견되는데, 소변에 혈액이 섞이면 소변이 암갈색으로 변하고, 탁한 흰색의 소변은 농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소변내에 알부민이 있는 경우에도 탁한 색이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69713 H02169713 Arm circumference 상완둘레 C2075184 [3.0] 1A.9.0041 Focus 신체적 영역 H02169726 H02169713 AC 상완둘레 C2075184 [3.0] 1A.9.0041 Focus 신체적 영역 H02169739 H02169739 Forearm circumference 전완둘레 C3639880 [3.0] 1A.9.0041.S.001 Focus 신체적 영역 H02169754 H00115296 AVF 동정맥샛길 C0449215 [3.0] Q27.3 1A.9.0042.S.001 Focus 동맥과 정맥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통로. 손상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선천적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H02169767 H00115296 Av fistular 동정맥루공 [3.0] Q27.3 1A.9.0042.S.002 Focus 동맥과 정맥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통로. 손상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선천적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H02169795 H00124223 Artificial feeding 인공영양법 C0085841 [3.0] 1A.9.0044 Focus "모유를 줄 수 없을 때, 모유 이외의 영양식품으로 유아를 기르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모유에 가까운 조성을 지닌 특수조정분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생후 3개월까지는 우유병, 젖꼭지 등, 기구의 소독을 엄중하게 하여야 한다. 수유량은 유아의 식욕에 따라 정하며 순조로운 체중증가가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신생아 감염에 대한 저항성 등의 관점에서 안이하게 모유영양을 포기하고 인공영양으로 전환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69824 H02169824 Assistance 보조 [3.0] 1A.9.0046 Focus 보태어 도움.[표준국어대사전] H02169837 H02169824 Help 지원 [3.0] 1A.9.0046.S.001 Focus 보태어 도움.[표준국어대사전] H02169907 H00139920 AF 심방세동 C0004238 [3.0] 1A.9.0049 Focus "심방에서 발생되는 몹시 빠르고 불규칙한 이소성 자극에 의하여 심방의 근섬유가 대단히 빠른 빈도로 제각기 수축하게 되며, 빠르고 불규칙한 리듬때문에 심방 표면이 떨리게 되는 상태의 부정맥." H02169922 H00139920 AF 심방잔떨림 C0004238 [3.0] 1A.9.0049 Focus "심방에서 발생되는 몹시 빠르고 불규칙한 이소성 자극에 의하여 심방의 근섬유가 대단히 빠른 빈도로 제각기 수축하게 되며, 빠르고 불규칙한 리듬때문에 심방 표면이 떨리게 되는 상태의 부정맥." H02169951 H00149133 Evasion 회피 [3.0] 1A.9.0051.S.001 Focus "불안, 위험, 공포,.동통 등에서 회피하려고 행하는 의식적, 무의식적인 방어반응." H02169976 H02169976 Bedside test 병실검사 C0282662 [3.0] 1A.9.0053 Focus "1) Any evaluation of analytes close to a patient who may be in a relatively critical state.[Segen's Medical Dictionary. ⓒ 2012 Farlex, Inc. All rights reserved.] 2) Lab medicine Any evaluation of analytes close to a Pt who may be a relatively critical state; devices used for BTs may be less accurate than those used in a hospital's laboratory, but have the advantage of short 'turn-around' time?eg, 2 minutes, facilitating therapy using minimal volumes?eg, 0.25?0.5 mL, of specimens; BT may be used for pH, PO2, PCO2, Na+, K+, Hct, glucose, Ca2+, and chloride. Cf Stat testing.[McGraw-Hill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Medicine. ⓒ 2002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H02169989 H02169989 Betadine dressing 베타딘 드레싱 [3.0] 1A.9.0057 Focus 상처 드레싱 H02170009 H01756900 Bigeminal pregnancy 쌍태임신 [3.0] O30.0 1A.9.0058 Focus "두 개의 임란(妊卵)이 부인태내(婦人胎內)에 착상하고 있는 상태가 쌍태임신이다. 조산, 임신중독증을 일으키기 쉽다.[간호학대사전]" H02170065 H02170065 Bilevel positive airway pressure 이중 양압환기 C1611149 [3.0] 1A.9.0059 Focus "A term applied to several pressure-controlled modes of mechanical ventilation. The sequence can be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 or continuous spontaneous ventilation. Inspiration is either machine or patient triggered, pressure limited, or machine and patient cycled.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se modes is that the ventilator allows spontaneous breaths to occur during as well as between mandatory breaths.[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0078 H02170065 BPAP 이중 양압환기 [3.0] 1A.9.0059 Focus "A term applied to several pressure-controlled modes of mechanical ventilation. The sequence can be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 or continuous spontaneous ventilation. Inspiration is either machine or patient triggered, pressure limited, or machine and patient cycled.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se modes is that the ventilator allows spontaneous breaths to occur during as well as between mandatory breaths.[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0081 H02170065 Biphasic positive airway pressure 이중 양압호흡 [3.0] 1A.9.0059 Focus "A term applied to several pressure-controlled modes of mechanical ventilation. The sequence can be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 or continuous spontaneous ventilation. Inspiration is either machine or patient triggered, pressure limited, or machine and patient cycled.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se modes is that the ventilator allows spontaneous breaths to occur during as well as between mandatory breaths.[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0093 H02170065 BIPAP 이중 양압호흡 [3.0] 1A.9.0059 Focus "A term applied to several pressure-controlled modes of mechanical ventilation. The sequence can be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CMV),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IMV), or continuous spontaneous ventilation. Inspiration is either machine or patient triggered, pressure limited, or machine and patient cycled.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ese modes is that the ventilator allows spontaneous breaths to occur during as well as between mandatory breaths.[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0107 H01280495 Birth history 산과력 C0005603 [3.0] 1A.9.0060 Focus 생존할 수 있는 아이를 출산하는 것에 관계된 여자의 상태. H02170205 H01875863 Bulla 대수포 C0005758 [3.0] 1A.9.0062.S.002 Focus "1) 피부의 표피내 또는 표피하에 형성되는 단백질성분을 갖는 적은양의 액체저류(貯留)를 말한다. 소수포, 대수포로 구별되며, 또한 부위에 의하여 표피 내수포, 표피하수포 등으로 부른다. 그의 성인은 단일은 아니고, 바이러스감염, 화학적 또는 물리적자극 등의 다종(多種)의 것이 원인으로 될 수 있다. 세포간부족이나 세포내부종이 융합하여 생기는 것이다. 많은 피부질환이 수포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 수포관찰이 진단의 보조로 된다. [간호학대사전] 2) 수포란 소수포(vesicle)보다 큰 1cm이상의 물집을 말한다. 피부의 세포 사이에나 세포 안에 단백질 성분을 갖는 묽은 액체가 고여 발생하며, 주로 그 표면이 반구 모양으로 솟아오른 상태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그 표면이 팽팽하거나 흐물흐물하게 된다. 얇고 가벼운 손상에도 쉽게 터져서 삼출물과 함께 벽이 그대로 존재하기도 하며, 물집이 터져 건조되면 얇은 딱지를 형성하기도 한다. 물집이 표피 밑에 깊게 존재하면 팽팽하며 궤양과 흉터를 남길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0218 H01875863 Bulla 큰 물집 C0005758 [3.0] 1A.9.0062.S.002 Focus "1) 피부의 표피내 또는 표피하에 형성되는 단백질성분을 갖는 적은양의 액체저류(貯留)를 말한다. 소수포, 대수포로 구별되며, 또한 부위에 의하여 표피 내수포, 표피하수포 등으로 부른다. 그의 성인은 단일은 아니고, 바이러스감염, 화학적 또는 물리적자극 등의 다종(多種)의 것이 원인으로 될 수 있다. 세포간부족이나 세포내부종이 융합하여 생기는 것이다. 많은 피부질환이 수포를 형성하기 때문에 이 수포관찰이 진단의 보조로 된다. [간호학대사전] 2) 수포란 소수포(vesicle)보다 큰 1cm이상의 물집을 말한다. 피부의 세포 사이에나 세포 안에 단백질 성분을 갖는 묽은 액체가 고여 발생하며, 주로 그 표면이 반구 모양으로 솟아오른 상태로, 여러 가지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그 표면이 팽팽하거나 흐물흐물하게 된다. 얇고 가벼운 손상에도 쉽게 터져서 삼출물과 함께 벽이 그대로 존재하기도 하며, 물집이 터져 건조되면 얇은 딱지를 형성하기도 한다. 물집이 표피 밑에 깊게 존재하면 팽팽하며 궤양과 흉터를 남길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0274 H00191142 Blood clot 혈병 C0302148 [3.0] 1A.9.0063 Focus 혈액을 체외로 끄집어내면 응고한다. 이 혈괴(血塊)로 말한다. 섬유소의 속에 혈구성분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0287 H00191142 Blood clot 응고혈액 C0302148 [3.0] 1A.9.0063 Focus 혈액을 체외로 끄집어내면 응고한다. 이 혈괴(血塊)로 말한다. 섬유소의 속에 혈구성분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방치하면 혈청이 분리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0290 H02170290 Blood pack type 혈액종류 [3.0] 1A.9.0065 Focus 혈액제재 H02170303 H02170303 Blood sugar level 혈당치 C0392201 [3.0] 1A.9.0066 Focus "혈중의 포도당 농도를 혈당치라 하고 혈액 100㎖당 포도당을 mg로 표시한다. 건강한 사람의 경우 식사한 직후의 혈당치는 150mg/100㎖를 나타내는데, 2시간 후에는 약 120mg/100㎖, 공복시에는 100mg/100㎖이하가 된다. 이 혈당치의 감소를 보급하기 위해서는 통상 간장중의 글리코겐이 분해된다. 당뇨병에서는 혈당의 이용에 장애가 있고 공복시에조차 100mg/100㎖이상의 고혈당을 나타내고 더구나 포도당의 부하후, 시간이 지나도 공복시의 값으로 돌아오기 어렵다는 특징있는 혈당(내당)곡선을 그린다.[간호학대사전]" H02170316 H00192842 Blood tinged sputum 혈액섞인 가래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2170329 H00192842 Blood tinged sputum 혈액섞인 객담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2170357 H00192842 Bloody sputum 혈담 C0019079 [3.0] 1A.9.0068 Focus "혈액이 혼합된 객담. 인두에서 폐실질에 이르는 기도의 어느 병변에 의해서도 생긴다. 인두에서 나온 경우에는 객담에 신선한 혈점 또는 혈액이 선상(線狀)으로 부착해 있는 경우가 많다. 심한 기침에서도 생기고 이 경우에 임상적 의미는 적다. 폐ㆍ기관지의 질환으로서는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폐암, 폐농양, 폐디스토마가 있고 심장 판막증이나 혈관질환의 경우에도 생긴다.[간호학대사전]" H02170401 H02170401 ABO blood type ABO혈액형 C0200499 [3.0] 1A.9.0071 Focus "사람의 적혈구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A항원, B항원의 유무에 의한 분류명(分類名)으로서, 1901년 Landsteiner에 의하여 발견되었으며, A, B, O, AB의 4종류로 크게 나눠진다. 이 항원은 사람의 적혈구 외에, 중추신경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장기(臓器), 조직에도 여러가지 정도로 분포하며, 세포막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혈청 중에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는 항원(抗原) 에 대한 항체(抗體)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정상항체(正常抗體) 이다." 따라서 혈액형판정용 혈청을 사용하여 적혈구의 혈액형항원을 조사하는 검사의 결과와 이미 알고 있는 A 및 B형 혈구를 사용하여 혈청 중의 항(抗)A " 항(抗)B 항체(抗體)를 검출하는 검사의 결과를 대조하여 혈액형을 판정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0414 H02170401 ABO blood type ABO식 혈액형 C0200499 [3.0] 1A.9.0071 Focus "사람의 적혈구의 표면에 존재하고 있는 A항원, B항원의 유무에 의한 분류명(分類名)으로서, 1901년 Landsteiner에 의하여 발견되었으며, A, B, O, AB의 4종류로 크게 나눠진다. 이 항원은 사람의 적혈구 외에, 중추신경계를 제외한 거의 모든 장기(臓器), 조직에도 여러가지 정도로 분포하며, 세포막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혈청 중에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는 항원(抗原) 에 대한 항체(抗體)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것들은 정상항체(正常抗體) 이다." 따라서 혈액형판정용 혈청을 사용하여 적혈구의 혈액형항원을 조사하는 검사의 결과와 이미 알고 있는 A 및 B형 혈구를 사용하여 혈청 중의 항(抗)A " 항(抗)B 항체(抗體)를 검출하는 검사의 결과를 대조하여 혈액형을 판정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0427 H00193764 Blurred vision 희미한 시력 C0344232 [3.0] 1A.9.0072 Focus 흐린 시력. 흐려 보임. H02170455 H00193764 Blurred vision 시력불선명 C0344232 [3.0] 1A.9.0072 Focus 흐린 시력. 흐려 보임. H02170468 H00193764 Blurred vision 흐릿한 시각 C0344232 [3.0] 1A.9.0072 Focus 흐린 시력. 흐려 보임. H02170512 H02170512 Bowel elimination pattern 배변양상 C0517979 [3.0] 1A.9.0073 Focus 배변 H02170541 H00205317 Bradypnea 서호흡 C0231837 [3.0] 1A.9.0077 Focus "1)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완만한 것. 2) 호흡수가 보통보다도 감소한 상태를 완서호흡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12회/분이하, 완서호흡은 요독증이나 당뇨병에 의한 혼수, 약물중독(아편등) 급성알콜 중독, 뇌질환(뇌종양 등)에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의 깊이가 느는 수가 많은데 때로는 얕아지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0566 H00205317 Bradypnea 완서호흡 C0231837 [3.0] 1A.9.0077 Focus "1)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완만한 것. 2) 호흡수가 보통보다도 감소한 상태를 완서호흡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12회/분이하, 완서호흡은 요독증이나 당뇨병에 의한 혼수, 약물중독(아편등) 급성알콜 중독, 뇌질환(뇌종양 등)에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의 깊이가 느는 수가 많은데 때로는 얕아지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0581 H00205317 Bradypnoea 호흡완만 C0231837 [3.0] 1A.9.0077 Focus "1) 호흡이 비정상적으로 완만한 것. 2) 호흡수가 보통보다도 감소한 상태를 완서호흡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12회/분이하, 완서호흡은 요독증이나 당뇨병에 의한 혼수, 약물중독(아편등) 급성알콜 중독, 뇌질환(뇌종양 등)에 인정하는 경우가 많다. 호흡의 깊이가 느는 수가 많은데 때로는 얕아지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0664 H00244137 CO2 narcosis 이산화탄소 혼수 C0221340 [3.0] 1A.9.0082 Focus "1) 혈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조절되지 않아 오는 의식장애. 2) 이산화탄소 혼수란 혈중 이산화탄소가 서서히 높은 수준에 까지 올라간 후 오랫동안 유지되면 호흡중추가 증가된 이산화탄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경우 혈중 이산화탄소압이 상승하여 호흡이 정지되는 현상을 말한다.[두산백과]" H02170680 H00247734 Cardiac standstill 심정지 C0018790 [3.0] I46.9 1A.9.0083 Focus "1) 심실수축의 정지를 의미하며 동맥압의 소실을 수반하는 심장기능 정지. 2) 심실이 수축을 정지하고, 보충수축으로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임상적으로는 심정지(心停止)와 심실세동(心室細動)을 합쳐서 심박정지 cardiac arrest라고 한다. 원인은 자격전도계에 병변(病變)이 있는 경우가 많고, 급성심근경쇄, 만성의 심근의 퇴행성변성이 광범하게 자격전도계에 미치고 있을 때에 일어난다. 심정지 3~5초로 의식소실, 10초로 경련을 일으키고, 뇌세포는 3~5분으로 불가역적인 상해를 받음으로 체외식마사지, 인공호흡을 즉시 개시하여 소생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0692 H00247734 Heart stoppage 심박정지 [3.0] I46.9 1A.9.0083 Focus 심실수축의 정지를 의미하며 동맥압의 소실을 수반하는 심장기능 정지. H02170719 H00248415 Cardiac index 심장기능 지표 C0428776 [3.0] 1A.9.0084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2170747 H02170747 Cardiac index 심박출계수 C0428776 [3.0] 1A.9.0084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2170750 H00248415 Cardiac index 심계수 C0428776 [3.0] 1A.9.0084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2170762 H00248415 Cardiac index 심장지수 C0428776 [3.0] 1A.9.0084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2170775 H00248415 CI 심장기능 지표 C428776 [3.0] 1A.9.0084.S.001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2170788 H00248415 CI 심장박출지수 C428776 [3.0] 1A.9.0084.S.001 Focus 체면적(體面積) 1평방미터(1㎡)에 대한 심장의 1분간 박출량으로 정상은 2.8리터. H02170915 H02170915 X ray 엑스레이 [3.0] 1A.9.0097 Focus "X-선을 사용해서 행하는 생체의 정태적, 동태적 검사의 총칭. 크게 분류하면 단순촬영(두부, 흉부, 복부, 뼈, 기타), 연선촬영(유선, 갑상샘 등 연부조직), 단층촬영 등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 촬영법과 혈관조영, 바륨검사(통상 upper Gl과 Baenema), IVP(또는 IP), DIC, 기타 ERCP, HSG, 림프관조영, PTC 등 각부에 조영제를 주입해서 행하는 조영검사, 그리고 X-선 CT를 사용하는(즉 보통의) CT검사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0928 H02170915 X ray 엑스선 [3.0] 1A.9.0097 Focus "X-선을 사용해서 행하는 생체의 정태적, 동태적 검사의 총칭. 크게 분류하면 단순촬영(두부, 흉부, 복부, 뼈, 기타), 연선촬영(유선, 갑상샘 등 연부조직), 단층촬영 등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는 촬영법과 혈관조영, 바륨검사(통상 upper Gl과 Baenema), IVP(또는 IP), DIC, 기타 ERCP, HSG, 림프관조영, PTC 등 각부에 조영제를 주입해서 행하는 조영검사, 그리고 X-선 CT를 사용하는(즉 보통의) CT검사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0931 H00285758 Chief complaint 주호소 C0277786 [3.0] 1A.9.0098 Focus "환자의 호소 가운데서 가장 주요한 호소를 말한다. 환자의 마음속에 가장 먼저 있는 것이므로 대개의 경우 통증, 기능이상, 상태의 변화, 환자가 행한 관찰의 어느 한곳에 속한다. 고혈압의 정밀검사 등, 내원의 목적은 주소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주소에 대해서 환자로 하여금 가능한 한 상세하게 말하게 하고 문진을 진행시켜 현재 질환의 윤곽이 잡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0956 H00285758 CC 주소 C0277786 [3.0] 1A.9.0098 Focus "환자의 호소 가운데서 가장 주요한 호소를 말한다. 환자의 마음속에 가장 먼저 있는 것이므로 대개의 경우 통증, 기능이상, 상태의 변화, 환자가 행한 관찰의 어느 한곳에 속한다. 고혈압의 정밀검사 등, 내원의 목적은 주소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주소에 대해서 환자로 하여금 가능한 한 상세하게 말하게 하고 문진을 진행시켜 현재 질환의 윤곽이 잡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0971 H00308617 Ciliary flush 모양충혈 C0271108 [3.0] 1A.9.0101 Focus "1) 단순한 결막충혈 외에 안구 전반부 조직 내에 염증이 일어난 경우는 모양충혈(毛樣充血)이라 하며, 각막 주위가 강하게 적자색이 된다. 이것은 중증인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두산백과] " 2) peripheral hyperemia of the anterior ciliary vessels which produces a deep red or rose color of the corneal stroma and must be distinguished from hyperemia of the conjunctival vessels. May spread to the perilimbic corneal tissue. Called also ciliary flush.[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 2007 Elsevier " Inc. All rights reserved]""" H02170984 H00954682 Claudication 파행증 C1456822 [3.0] 1A.9.0102 Focus "보행형태(보용)의 이상을 말한다. 원인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소아마비등 하지의 이완성마비에 의한 마비성파행, 뇌성마비나 뇌졸중편마비 등 하지경성마비에 의한 경성(痙性)파행, 평형기능장애에 의한 실조성파행, 선천성 고관절탈구 등에 나타나는 탄력추락성 파행, 좌우의 각장차(脚長差)에 의한 경성 추락성 파행 등이 있다. 그외에도 통증성 파행이나 관절강직에 의한 파행 등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0997 H00954682 Claudication 절룩거림 C1456822 [3.0] 1A.9.0102 Focus "보행형태(보용)의 이상을 말한다. 원인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분류된다. 소아마비등 하지의 이완성마비에 의한 마비성파행, 뇌성마비나 뇌졸중편마비 등 하지경성마비에 의한 경성(痙性)파행, 평형기능장애에 의한 실조성파행, 선천성 고관절탈구 등에 나타나는 탄력추락성 파행, 좌우의 각장차(脚長差)에 의한 경성 추락성 파행 등이 있다. 그외에도 통증성 파행이나 관절강직에 의한 파행 등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1058 H00314852 Fissured labium 순열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1061 H00314852 Split lip 토순 C0877482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1073 H00314852 Lip cleft 구순파열 C0008924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1086 H00314852 Cheiloschisis 언청이 C0008924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1099 H00314852 Campylognathia 곡악증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1102 H00314852 Labium leporimum 구순열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1115 H00314852 Labium fissum 구순열 [3.0] Q36 1A.9.0103 Focus "1) 이전에는 토순(兎脣)으로 일컬어지고 있었는데 오늘날에는 학술용어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태생기에 구순을 형성하는 구상돌기와 상악돌기의 유합부전에 의해서 생긴다고 하는 조직유합부전설(Hiss 1892)과 상순, 절치골(切齒骨), 상악절치를 형성하는 중배엽괴(中胚葉塊)의 결여에서 기인한다는 중배엽괴결여설(Stark 1954)이 있다. 파열의 상태에 따라서 완전 또는 불완전 구순열로 나뉘어지고 막열 및 구개열이 동시에 생기는 것이 적지 않다. 구순은 태생 4~7주에 형성되는데, 이 질환의 원인은 불확실하고 유전, 임신초기에서 모체의 영양장애, 방사선장애, 바이러스감염, 최면 유도 약제의 사용 등이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생후 3개월무렵에 구술성형수술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2) 선천적으로 입술이 파열되어 있는 안면기형의 일종.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윗입술파열(상구순열)이고, 왼쪽이 찢어지는 것이 오른쪽 및 양측성(兩側性)보다 많다. 매우 드물게 아랫입술에 정중열(正中裂)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때로는 치조열(齒槽裂)이나 구개열(口蓋裂)을 합병한다. 구순구개열은 남아(男兒)에게 많지만 구순열뿐인 경우는 남녀의 발생비율이 비슷하다. 원인에 대한 정확한 정설은 없지만 유전인자와 환경인자 양쪽이 관여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환경인자로는 구개열도 포함하여 모체의 영양장애·부신피질기능이상·방사선장애·풍진바이러스감염 및 양막유착 등 다양하다. 구순열은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포유(哺乳)장애도 초래하므로 수술로 구순의 기능과 형태를 회복한다. 수술은 일반적으로 생후 3개월 전후부터 시행된다. 양측성 구순열은 한쪽씩 수술하는 경우에는 한쪽을 생후 3개월경에, 다른쪽은 생후 6개월경에 한다. 양쪽을 동시에 할 경우에는 생후 5~6개월경에 한다. 마취는 경구 삽관으로 기관내 마취를 한다. 기형의 정도에 따라 수술 후의 회복은 다르며 2차 성형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생명과학대사전] 3)입술사이가 갈라져 있는 것을 지칭 흔히 일반인들이 말하는 “언챙이”를 의미한다. 대개 남아에서 흔하며, 유전적인 요소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700명 중의 1명(입천장갈림증을 포함하여)꼴로 생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1131 H00315032 Cleft palate 구개파열 C0008925 [3.0] Q35.9 1A.9.0104 Focus "선천적 기형의 하나이고 태생기에 양구개의 융합이 불완전하게 된 것. 그 정도에 따라서 완전구개열, 불완전구개열, 연구개열이 있고 점막의 파열이 없는 것을 점막하 구개열이라고 한다. 원인으로서는 유전이 가장 중요시되고 있는데 태생초기의 여러가지 인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포유력부전으로 깨닫게 되는 경우가 많고 개비성(開鼻聲)과 함께 언어장애가 문제가 된다. 치아나 교합의 이상, 중이(中耳)의 감염을 가져오기 쉽다. 수술은 비강과 구강의 격벽을 만드는 것, 비인강(鼻咽腔) 폐쇄기능을 양호하게 해서 언어장애를 예방ㆍ개선할 목적으로 이루어진다. 수술뒤 언어훈련을 필요로 하는데 언어치료의 면에서 수술의 시기는 2세전후가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1171 H02171171 Client assessment 대상자 사정 C0679830 [3.0] 1A.9.0105 Focus 사정 H02171197 H02171197 Coarse tremor 조동진전 C0234374 [3.0] 1A.9.0108 Focus 진동이 느린 진전. H02171201 H02171201 Communication with community resources 지역사회 자원과 의사소통 C0237100 [3.0] 1A.9.0109 Focus 의사소통 H02171213 H02171213 Community diagnosis 지역사회 진단 [3.0] 1A.9.0110 Focus 지역사회 과정 H02171226 H02171226 Community inspection 지역시찰 [3.0] 1A.9.0111 Focus 지역사회 과정 H02171239 H02171239 Community problem 지역사회 문제 [3.0] 1A.9.0112 Focus 지역사회 과정 H02171241 H02171241 Concern 걱정 C2699424 [3.0] 1A.9.0113 Focus 안심이 되지 않아 속을 태움.[표준국어대사전] H02171254 H02171254 Conditioning 상태 C0009647 [3.0] 2B.02.02 Focus 사물·현상이 처해 있는 형편이나 모양. H02171270 H02171270 Intraventricular conduction disturbance 심실내전도장애 [3.0] Focus "히스속에서 푸르킨예 섬유에 이르는 모든 전도장애가 포함된다. 좌우의 각(脚)의 장애로 인해서 좌각블록, 우각블록이 나타난다. 좌각, 우각, 모두 그 기능을 잃으면 양측각 블록에서 완전 방실블록이 된다. 좌각의 전지(前枝) 또는 후지의 기능이 장애를 받으면 이른바 편측블록(좌각전지 또는 후지 블록)으로 일컬어지는 소견을 나타낸다. 우각블록과 좌각전지 또는 후지블록을 수반하면 2지 블록, 우각과 좌각전지ㆍ후지가 모두 장애를 받으면 3지블록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282 H02171282 Congenital immunodeficiency syndrome 선천성면역결핍증후군 [3.0] 1A.9.0117 Focus "선천적으로 혈청중의 r-글로블린이 결핍되어 있거나, 세포성면역이 부전상태거나 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이감염성(易感染性)이 분명하다. 대부분이 유소아기에 발생한다. r-글로블린이나 트랜스퍼인자의 정주(靜注)가 치료에 사용되나, 예후는 대개 불량하다. 선천성무 r-글로블린혈증, 흉선저형성(胸腺低形成), 모세혈관확장성실 조증(母細血管擴張成失調症), 위스콧트-알드릭크증후군, 스위스형무 r-글로블린혈증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1311 H02171311 Referral 의뢰 C0034927 [3.0] 2A.9.0031 Focus 남에게 부탁함.[표준국어대사전] H02171381 H00385241 Coordination 협응 C0700114 [3.0] 1A.9.0125 Focus "1) 관련기관이나 부분의 조화로운 기능이나 협조, 특히 일정하게 적응된 반응을 하는 특정의 근육군에 협동작업을 시키는 뇌의 운동총합기구를 가리킨다. 2) a. The act of coordinating." b. The state of being coordinate; harmonious adjustment or interaction. "c. Harmonious functioning of muscles or groups of muscles in the execution of movements.""" H02171448 H02171448 Crust 가피 C0205204 [3.0] 1A.9.0127 Focus "1) 창상 또는 궤양부분의 표층에 형성되는 섬유소, 백혈구, 응고한 삼출액 및, 괴사조직이 서로 합쳐서 굳어진 것.[간호학대사전] 2) 창면, 미란면, 궤양면 상의 침출액이나 혈액또는 농즙이 건조, 응고된 것. 특히 혈액이 응고된 것은 혈가(血痂)라고 한다. 가피 밑에서는 상피 및 결합조직이 새로 생겨나므로 결국 가피가 탈락됨과 동시에 치유된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1451 H02171448 Crusta 각피 [3.0] 1A.9.0127 Focus "1) 창상 또는 궤양부분의 표층에 형성되는 섬유소, 백혈구, 응고한 삼출액 및, 괴사조직이 서로 합쳐서 굳어진 것.[간호학대사전] 2) 창면, 미란면, 궤양면 상의 침출액이나 혈액또는 농즙이 건조, 응고된 것. 특히 혈액이 응고된 것은 혈가(血痂)라고 한다. 가피 밑에서는 상피 및 결합조직이 새로 생겨나므로 결국 가피가 탈락됨과 동시에 치유된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1489 H01581471 Crust formation 가피형성 [3.0] 1A.9.0128 Focus 창상이나 궤양의 표면을 뒤덮는 혈액ㆍ조직액ㆍ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것이 말라서 굳어진 것(가피)이 생기는 것.[간호학대사전] H02171491 H01581471 Incrustation 결가 [3.0] 1A.9.0128 Focus 창상이나 궤양의 표면을 뒤덮는 혈액ㆍ조직액ㆍ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것이 말라서 굳어진 것(가피)이 생기는 것.[간호학대사전] H02171518 H02171518 Daily living 일상생활 [3.0] 1A.9.0129 Focus 평상시의 생활.[표준국어대사전] H02171521 H02171518 Daily living 일상활동 [3.0] 1A.9.0129 Focus 평상시의 생활.[표준국어대사전] H02171533 H02171518 Daily living 주간생활 [3.0] 1A.9.0129 Focus 평상시의 생활.[표준국어대사전] H02171546 H02171546 Deep breathing 심호흡 C1328799 [3.0] 1A.9.0132 Focus 폐내의 호흡을 가능한한 다량으로 출입시키도록 가슴 또는 배를 펴고 길고 크게하는 호흡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559 H02171546 Bathypnea 심호흡 [3.0] 1A.9.0132 Focus 폐내의 호흡을 가능한한 다량으로 출입시키도록 가슴 또는 배를 펴고 길고 크게하는 호흡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561 H02171546 Deep respiration 심호흡 [3.0] 1A.9.0132 Focus 폐내의 호흡을 가능한한 다량으로 출입시키도록 가슴 또는 배를 펴고 길고 크게하는 호흡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574 H00437331 Deep tendon reflex 심부건반사 C0489815 [3.0] 1A.9.0133 Focus "a brisk contraction of a muscle in response to a sudden stretch induced by a sharp tap by a finger or rubber hammer on the tendon of insertion of the muscle. Absence of the reflex may be caused by damage to the muscle, peripheral nerve, nerve roots, or spinal cord at that level. A hyperactive reflex may indicate disease of the pyramidal tract above the level of the reflex arc being tested. Generalized hyperactivity of DTRs may be caused by hyperthyroidism. Kinds of DTRs include Achilles tendon reflex, biceps reflex, brachioradialis reflex, patellar reflex, and triceps reflex. Also called myostatic reflex, tendon reflex. "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2171603 H02171603 Defecation desire 변의 C0859010 [3.0] 1A.9.0134 Focus 직장내용에 의해 직장벽이 신전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감각.[간호학대사전] H02171616 H02171603 Defecation sense 변의 [3.0] 1A.9.0134 Focus 직장내용에 의해 직장벽이 신전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감각.[간호학대사전] H02171629 H02171603 Inclination for stool 변의 [3.0] 1A.9.0134 Focus 직장내용에 의해 직장벽이 신전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감각.[간호학대사전] H02171672 H00446705 Dental decay 치아우식증 C0011334 [3.0] K02.9 1A.9.0137 Focus 치아경조직의 괴사. 병인은 Miller의 화학세균설이 일반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품잔사(세균의 발효작용) → 유산 → 치질탈회(齒質脫灰) → 연화(단백분해효소를 지닌 세균)→ 붕괴라는 과정을 거친다. 우식은 80% 이상이 걸리고 있으며 국민병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임상적으로는 4도로분류한다. 우식1도(C1) 에나멜질에 국한한다. 우식2도(C2) 상아질까지 달하고 있다. 우식3도(C3) 치수까지 진행하고 있다. 우식4도(C 4) 치관이 붕괴하고 잔근상태(殘筋狀態)[간호학대사전] H02171685 H00446705 Tooth caries 충치 C0011334 [3.0] K02.9 1A.9.0137 Focus 치아경조직의 괴사. 병인은 Miller의 화학세균설이 일반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품잔사(세균의 발효작용) → 유산 → 치질탈회(齒質脫灰) → 연화(단백분해효소를 지닌 세균)→ 붕괴라는 과정을 거친다. 우식은 80% 이상이 걸리고 있으며 국민병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임상적으로는 4도로분류한다. 우식1도(C1) 에나멜질에 국한한다. 우식2도(C2) 상아질까지 달하고 있다. 우식3도(C3) 치수까지 진행하고 있다. 우식4도(C 4) 치관이 붕괴하고 잔근상태(殘筋狀態)[간호학대사전] H02171698 H00446705 Odontonecrosis 우식 [3.0] K02.9 1A.9.0137 Focus 치아경조직의 괴사. 병인은 Miller의 화학세균설이 일반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품잔사(세균의 발효작용) → 유산 → 치질탈회(齒質脫灰) → 연화(단백분해효소를 지닌 세균)→ 붕괴라는 과정을 거친다. 우식은 80% 이상이 걸리고 있으며 국민병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임상적으로는 4도로분류한다. 우식1도(C1) 에나멜질에 국한한다. 우식2도(C2) 상아질까지 달하고 있다. 우식3도(C3) 치수까지 진행하고 있다. 우식4도(C 4) 치관이 붕괴하고 잔근상태(殘筋狀態)[간호학대사전] H02171701 H00446705 Caries dentium 우치 [3.0] K02.9 1A.9.0137 Focus 치아경조직의 괴사. 병인은 Miller의 화학세균설이 일반적으로 지지되고 있다. 탄수화물을 포함한 식품잔사(세균의 발효작용) → 유산 → 치질탈회(齒質脫灰) → 연화(단백분해효소를 지닌 세균)→ 붕괴라는 과정을 거친다. 우식은 80% 이상이 걸리고 있으며 국민병으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임상적으로는 4도로분류한다. 우식1도(C1) 에나멜질에 국한한다. 우식2도(C2) 상아질까지 달하고 있다. 우식3도(C3) 치수까지 진행하고 있다. 우식4도(C 4) 치관이 붕괴하고 잔근상태(殘筋狀態)[간호학대사전] H02171727 H02171727 Department name 부서명 [3.0] 1A.9.0139 Focus 진료부서 H02171730 H02171730 Description 서술 C0678257 [3.0] 1A.9.0141 Focus 사건이나 생각 따위를 차례대로 말하거나 적음.[표준국어대사전] H02171742 H02171730 Description 기술 C0678257 [3.0] 1A.9.0141 Focus 대상이나 과정의 내용과 특징을 있는 그대로 열거하거나 기록하여 서술함. 또는 그런 기록.[표준국어대사전] H02171755 H02171730 Description 묘사 C0678257 [3.0] 1A.9.0141 Focus "어떤 대상이나 사물, 현상 따위를 언어로 서술하거나 그림을 그려서 표현함.[표준국어대사전]" H02171800 H00454932 Desquamation 상피벗음 C0237849 [3.0] R23.4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812 H00454932 Desquamation 박리 C0237849 [3.0] R23.4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825 H00454932 Desquamation 낙설 C0237849 [3.0] R23.4 1A.9.0143 Focus "1) 표피각질층의 최상층의 대소 각질편은 박리하거나 박리되고 있다. 이 각질편을 인설(麟屑)scale, schuppen이라고 한다. 이 인설이 피부에서 벗겨져서 탈락하는 현상을 낙설이라고 한다. 낙설현상은 정상피부에서도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각화이상이 있는것을 가르킨다. 비당(粃糖)과 같이 미세하게 낙설하는 상태를 비당성 낙설 pityriatic scaling이라고 하며, 이에 반해서 인설이 커서 낙엽상을 나타낼 때는 낙엽상 낙설이라고 한다. 2) 관강이나 낭을 형성하는 장기의 상피세포가 탈락하고 기저부에서 벗겨지는 것을 말한다. 박리성 간질성폐렴 desquamative interstitial pneumonia에서는 폐포상피의 고도의 박리가 나타난다. 다른 장기에서도 염증등의 기전에 의해 상피세포의 장애가 가해져 박리ㆍ탈락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853 H00310690 Circumstantiality 우회적 사고 C0233649 [3.0] 1A.9.0145 Focus "사고의 형식적 장애의 일종으로 사고의 최종목표에는 도달하는데, 도중에서 지엽말단에 얽매어 요점이나 본질의 통찰이 부족하고 멀리 돌고 말아 목표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점착기질, 간질성격, 정신지체, 치매, 뇌기질질환 등 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1879 H00310690 Detour thinking 우회증 [3.0] 1A.9.0145 Focus "사고의 형식적 장애의 일종으로 사고의 최종목표에는 도달하는데, 도중에서 지엽말단에 얽매어 요점이나 본질의 통찰이 부족하고 멀리 돌고 말아 목표에 이르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점착기질, 간질성격, 정신지체, 치매, 뇌기질질환 등 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1894 H02171894 Diastolic blood pressure 확장기혈압 C0428883 [3.0] 1A.9.0149.S.003 Focus "확장기의 동맥혈압인데 보통 그 최소치를 말한다. 최소 혈압, 최저혈압, 이완기 혈압과 같은 뜻이다. 반대로 심장주기중 혈압의 최고치를 수축기 혈압, 최대혈압, 최고혈압 등으로 부른다. 말초저항이 증대했을 때, 확장기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함께 상승하는데 동맥경화에서 수축 기혈압은 상승, 확장기 혈압은 도리어 하강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908 H02171894 DBP 이완기혈압 C0428883 [3.0] 1A.9.0149.S.003 Focus "확장기의 동맥혈압인데 보통 그 최소치를 말한다. 최소 혈압, 최저혈압, 이완기 혈압과 같은 뜻이다. 반대로 심장주기중 혈압의 최고치를 수축기 혈압, 최대혈압, 최고혈압 등으로 부른다. 말초저항이 증대했을 때, 확장기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함께 상승하는데 동맥경화에서 수축 기혈압은 상승, 확장기 혈압은 도리어 하강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911 H02171894 Diastolic blood pressure 최저혈압 C0428883 [3.0] 1A.9.0149.S.003 Focus "확장기의 동맥혈압인데 보통 그 최소치를 말한다. 최소 혈압, 최저혈압, 이완기 혈압과 같은 뜻이다. 반대로 심장주기중 혈압의 최고치를 수축기 혈압, 최대혈압, 최고혈압 등으로 부른다. 말초저항이 증대했을 때, 확장기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함께 상승하는데 동맥경화에서 수축 기혈압은 상승, 확장기 혈압은 도리어 하강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951 H02171951 Discharge care 퇴원시 간호 [3.0] 1A.9.0154 Focus 간호서비스 H02171964 H02171964 Discharge plan 퇴원계획 C0012622 [3.0] 1A.9.0155 Focus "퇴원시에 입원시로부터의 환자의 문제해결의 경과를 총괄하여, 퇴원후의 계획을 세우는 것, 또는 그의 세워진 계획. 문제지향형 기록에 있어서는 퇴원시요약으로서 문제마다 SOAP방식에 의하여 과학적, 합리적으로 퇴원시 계획이 세워진다. 이 계획에 있어서는 퇴원후의 외래 또는 지역, 가정에 있어서의 진료, 간호의 방침과 방법이 구체적으로 기록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1977 H02171977 Discharge education 퇴원교육 [3.0] 1A.9.0156 Focus "퇴원ㆍ사회복귀를 위한 환자지도 퇴원 후, 무리없이 일상생활을 보낼 수 있고 건강의 회복ㆍ유지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생활상의 지식, 기술ㆍ기능을 습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시한다. 특히, 만성질환 환자에 대하여는 계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개별 또는 집단(예를 들면 당뇨병교실)에 대하여 행하여진다. 입원과 동시에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에 응하여 가족에게도 실시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980 H02171977 Discharge education 퇴원지도 [3.0] 1A.9.0156 Focus "퇴원ㆍ사회복귀를 위한 환자지도 퇴원 후, 무리없이 일상생활을 보낼 수 있고 건강의 회복ㆍ유지 증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필요한 생활상의 지식, 기술ㆍ기능을 습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실시한다. 특히, 만성질환 환자에 대하여는 계획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가지고, 개별 또는 집단(예를 들면 당뇨병교실)에 대하여 행하여진다. 입원과 동시에 시작되어야 할 것이다. 필요에 응하여 가족에게도 실시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1992 H02171992 Discharge procedure 퇴원절차 C0030685 [3.0] 1A.9.0157 Focus 퇴원준비 H02172012 H00476889 Administration of disease 질병관리 [3.0] 1A.9.0158 Focus "질병을 예방하고 발생한 환자를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가해서 심신의 기능장애를 최소한으로 머물게 하면서 치료로 이끌어 사회 생활에 복귀시키고, 회복자에게는 필요한 간호와 관찰을 통하여 재발의 예방과 조기발견을 행하는 등,이러한 모든 것을 총칭해서 질병관리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025 H00366144 Connective tissue disease 결합조직질환 C0009782 [3.0] 1A.9.0161 Focus "교원병의 병변이 교원섬유의 이상에만 국한된 질환이 아니고 전신의 결합조직에 널리 미치고 있는 점에서 결합조직질환으로 부른다. 교원병과 같은 뜻이다. 결합조직의 구성성분인 섬유아 세포, 조직구등의 세포성분과 함께 교원섬유 및 무정형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세포간 물질성분의 증가ㆍ변성을 볼수 있고 특히 세포간 물질의 변화는 유섬유소변성 fibrinoid degeneration 으로서 중요시되는 소견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2041 H00366144 Connective tissue disease 결체조직질환 C0009782 [3.0] 1A.9.0161 Focus "교원병의 병변이 교원섬유의 이상에만 국한된 질환이 아니고 전신의 결합조직에 널리 미치고 있는 점에서 결합조직질환으로 부른다. 교원병과 같은 뜻이다. 결합조직의 구성성분인 섬유아 세포, 조직구등의 세포성분과 함께 교원섬유 및 무정형의 물질로 이루어지는 세포간 물질성분의 증가ㆍ변성을 볼수 있고 특히 세포간 물질의 변화는 유섬유소변성 fibrinoid degeneration 으로서 중요시되는 소견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2066 H00338448 Collagen disease 아교질병 C0009326 [3.0] 1A.9.0161 Focus "교원병의 명칭은 병리해부학적으로 공통적인 병변을 나타내는 질환군에 부여한 병명은 아니다. 클렘페러 Klemperer, 그밖의 미국 의학자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혈관결합조직에 계통적으로 널리 나타나는 병변을 지닌 급성 및 만성질환을 일괄해서 일컫는 개념적인 병명이다. 피브리노이드변성이 혈관 주위 교원섬유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이 붙여졌다. 교원병에 포함되고 있는 것에는 에리테마토데스, 범발성 강피증, 피부근염, 류마티스열, 결절성 동맥주위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악성신경화증 등, 자기면역질환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질환이 포함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2079 H00338448 Collagen disease 교원병 C0009326 [3.0] 1A.9.0161 Focus "교원병의 명칭은 병리해부학적으로 공통적인 병변을 나타내는 질환군에 부여한 병명은 아니다. 클렘페러 Klemperer, 그밖의 미국 의학자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혈관결합조직에 계통적으로 널리 나타나는 병변을 지닌 급성 및 만성질환을 일괄해서 일컫는 개념적인 병명이다. 피브리노이드변성이 혈관 주위 교원섬유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이 붙여졌다. 교원병에 포함되고 있는 것에는 에리테마토데스, 범발성 강피증, 피부근염, 류마티스열, 결절성 동맥주위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악성신경화증 등, 자기면역질환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질환이 포함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2081 H00338448 Collagen disease 교원질병 C0009326 [3.0] 1A.9.0161 Focus "교원병의 명칭은 병리해부학적으로 공통적인 병변을 나타내는 질환군에 부여한 병명은 아니다. 클렘페러 Klemperer, 그밖의 미국 의학자에 의해서 제안된 것으로 혈관결합조직에 계통적으로 널리 나타나는 병변을 지닌 급성 및 만성질환을 일괄해서 일컫는 개념적인 병명이다. 피브리노이드변성이 혈관 주위 교원섬유에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이 붙여졌다. 교원병에 포함되고 있는 것에는 에리테마토데스, 범발성 강피증, 피부근염, 류마티스열, 결절성 동맥주위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악성신경화증 등, 자기면역질환에 포함되는 여러가지 질환이 포함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2094 H02172094 Endocrine disease 내분비질환 C0014130 [3.0] 1A.9.0162 Focus "내분비기관의 질환을 말한다. 그 분비하는 호르몬의 기능이상을 수반하는 것과 수반하지 않는 것이 있으나, 임상적으로는 전자가 중요하며, 호르몬기능이 항진하는 경우와 저하하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어느 경우에도 내분비기관에 있어서의 호르몬의 생산, 분비의 이상에 의하여 일어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2108 H02172108 Ophthalmopathy 눈병 C0015397 [3.0] 1A.9.0163 Focus any disease of the eye.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2172111 H02172108 Oculopathy 눈병증 C0015397 [3.0] 1A.9.0163 Focus any disease of the eye.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2172149 H02172149 Skin disease 피부질환 C0037274 [3.0] 1A.9.0165 Focus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의 총칭.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의 그것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변화가 피부에 한정된 것에는 반점-점 등이 있고, 전신에 미치는 것에는 아교질병, 비타민결핍성 피부병, 내분비장애성 피부병 등이 포함된다. 다만 피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에 대하여 전신으로 간주하는 경우, 변화가 피부에만 한정되는 것은 적고, 대부부분의 피부병은 혈액의 변화나 간기능장애 등의 전신현상을 수반한다. 세균-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인 질병에는 수두-농가진-매독 등이 있고, 각각 전염하지만, 습진-반점-종양 또는 아교질병 등은 전염하지 않는다. 피부병의 내인으로는 위장장애-간병-콩팥병-물질대사장애-혈액질환-내장종양-내분비장애 등을 들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2151 H02172149 Skin disorder 피부질환 C0037274 [3.0] 1A.9.0165 Focus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의 총칭.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의 그것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변화가 피부에 한정된 것에는 반점-점 등이 있고, 전신에 미치는 것에는 아교질병, 비타민결핍성 피부병, 내분비장애성 피부병 등이 포함된다. 다만 피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에 대하여 전신으로 간주하는 경우, 변화가 피부에만 한정되는 것은 적고, 대부부분의 피부병은 혈액의 변화나 간기능장애 등의 전신현상을 수반한다. 세균-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인 질병에는 수두-농가진-매독 등이 있고, 각각 전염하지만, 습진-반점-종양 또는 아교질병 등은 전염하지 않는다. 피부병의 내인으로는 위장장애-간병-콩팥병-물질대사장애-혈액질환-내장종양-내분비장애 등을 들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2164 H02172149 Cutaneous disorder 피부질환 C0037274 [3.0] 1A.9.0165 Focus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의 총칭.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의 그것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변화가 피부에 한정된 것에는 반점-점 등이 있고, 전신에 미치는 것에는 아교질병, 비타민결핍성 피부병, 내분비장애성 피부병 등이 포함된다. 다만 피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에 대하여 전신으로 간주하는 경우, 변화가 피부에만 한정되는 것은 적고, 대부부분의 피부병은 혈액의 변화나 간기능장애 등의 전신현상을 수반한다. 세균-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인 질병에는 수두-농가진-매독 등이 있고, 각각 전염하지만, 습진-반점-종양 또는 아교질병 등은 전염하지 않는다. 피부병의 내인으로는 위장장애-간병-콩팥병-물질대사장애-혈액질환-내장종양-내분비장애 등을 들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2180 H00452789 Dermatopathy 피부병증 C0037274 [3.0] 1A.9.0165 Focus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의 총칭.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의 그것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변화가 피부에 한정된 것에는 반점-점 등이 있고, 전신에 미치는 것에는 아교질병, 비타민결핍성 피부병, 내분비장애성 피부병 등이 포함된다. 다만 피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에 대하여 전신으로 간주하는 경우, 변화가 피부에만 한정되는 것은 적고, 대부부분의 피부병은 혈액의 변화나 간기능장애 등의 전신현상을 수반한다. 세균-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인 질병에는 수두-농가진-매독 등이 있고, 각각 전염하지만, 습진-반점-종양 또는 아교질병 등은 전염하지 않는다. 피부병의 내인으로는 위장장애-간병-콩팥병-물질대사장애-혈액질환-내장종양-내분비장애 등을 들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2192 H00452789 Dermopathy 피부병증 C0743098 [3.0] 1A.9.0165 Focus "피부에 생기는 모든 병의 총칭.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의 그것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다. 변화가 피부에 한정된 것에는 반점-점 등이 있고, 전신에 미치는 것에는 아교질병, 비타민결핍성 피부병, 내분비장애성 피부병 등이 포함된다. 다만 피부를 제외한 부분을 피부에 대하여 전신으로 간주하는 경우, 변화가 피부에만 한정되는 것은 적고, 대부부분의 피부병은 혈액의 변화나 간기능장애 등의 전신현상을 수반한다. 세균-바이러스 등의 병원체가 원인인 질병에는 수두-농가진-매독 등이 있고, 각각 전염하지만, 습진-반점-종양 또는 아교질병 등은 전염하지 않는다. 피부병의 내인으로는 위장장애-간병-콩팥병-물질대사장애-혈액질환-내장종양-내분비장애 등을 들 수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2206 H02172206 Soft tissue disorder 연조직 장애 C0263978 [3.0] 1A.9.0166 Focus 손상된 신체 구조 부분 H02172219 H02172206 Soft tissue disorder 물렁조직 장애 C0263978 [3.0] 1A.9.0166 Focus 손상된 신체 구조 부분 H02172221 H02172221 Drainage amount 배액량 C1545481 [3.0] 1A.9.0170 Focus 자연배액 | 음압 배액함 H02172234 H02172234 Dribbling from mouth 침흘림 C0013132 [3.0] 1A.9.0174 Focus "신생아기에는 타액분비가 적지만, 3개월경에는 증가하고 타액을 삼키는데 익숙치 않아 침을 흘리며, 이가 나기 시작할 때도 현저해진다. 정박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타액의 분비과다는 이가 날때, 수은제투여, 뇌신경질환 등일 때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2247 H02172234 Drooling 침흘리기 C0013132 [3.0] 1A.9.0174 Focus "신생아기에는 타액분비가 적지만, 3개월경에는 증가하고 타액을 삼키는데 익숙치 않아 침을 흘리며, 이가 나기 시작할 때도 현저해진다. 정박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타액의 분비과다는 이가 날때, 수은제투여, 뇌신경질환 등일 때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2250 H02172234 Drooling 유연 C0013132 [3.0] 1A.9.0174 Focus "신생아기에는 타액분비가 적지만, 3개월경에는 증가하고 타액을 삼키는데 익숙치 않아 침을 흘리며, 이가 나기 시작할 때도 현저해진다. 정박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타액의 분비과다는 이가 날때, 수은제투여, 뇌신경질환 등일 때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2304 H00508642 Dysarthria 조음곤란 C0013362 [3.0] 1A.9.0178 Focus "1)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근육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데서 오는 불완전 구어(構語) 2) 대뇌피질의 언어중추나 그 상호연락섬유에는 이상이 없고 말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운동경로나 기관의 장애로 생기는 언어장애를 말한다. 상위운동뉴론(양측성 장애로 생기고 가성구마비로 부른다), 하위운동뉴론(구마비에서 혀의 위축을 볼 수 있다), 추체외로계(파킨슨병 등), 소뇌계(폭발성의 발음이나 단철성 언어를 나타낸다), 근육(중증근무력증 등), 구개(구개열 등) 등의 장애가 원인이고 입술, 혀, 연구개, 인ㆍ후두 등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2317 H00508642 Dysarthria 조음곤란증 C0013362 [3.0] 1A.9.0178 Focus "1)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근육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데서 오는 불완전 구어(構語) 2) 대뇌피질의 언어중추나 그 상호연락섬유에는 이상이 없고 말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운동경로나 기관의 장애로 생기는 언어장애를 말한다. 상위운동뉴론(양측성 장애로 생기고 가성구마비로 부른다), 하위운동뉴론(구마비에서 혀의 위축을 볼 수 있다), 추체외로계(파킨슨병 등), 소뇌계(폭발성의 발음이나 단철성 언어를 나타낸다), 근육(중증근무력증 등), 구개(구개열 등) 등의 장애가 원인이고 입술, 혀, 연구개, 인ㆍ후두 등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2320 H00508642 Dysarthria 말더듬증 C0013362 [3.0] 1A.9.0178 Focus "1) 중추 또는 말초신경계의 손상으로 인하여 근육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는 데서 오는 불완전 구어(構語) 2) 대뇌피질의 언어중추나 그 상호연락섬유에는 이상이 없고 말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운동경로나 기관의 장애로 생기는 언어장애를 말한다. 상위운동뉴론(양측성 장애로 생기고 가성구마비로 부른다), 하위운동뉴론(구마비에서 혀의 위축을 볼 수 있다), 추체외로계(파킨슨병 등), 소뇌계(폭발성의 발음이나 단철성 언어를 나타낸다), 근육(중증근무력증 등), 구개(구개열 등) 등의 장애가 원인이고 입술, 혀, 연구개, 인ㆍ후두 등의 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2358 H00515006 Ecchymosis 반출혈 C0013491 [3.0] 1A.9.0180 Focus "1) 작은 출혈반(出血班)으로서 점상출혈(點狀出血)보다 크다. 피하와 점막에 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청색 또는 자색의 반점이 생긴다. 2) 출혈의 확산 크기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점상출혈이라고 하는 것보다도 크며, 피부, 점막의 직경 0.3cm이상의 출혈에 대해서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2386 H00515006 Ecchymosis 출혈얼룩 C0013491 [3.0] 1A.9.0180 Focus "1) 작은 출혈반(出血班)으로서 점상출혈(點狀出血)보다 크다. 피하와 점막에 원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의 청색 또는 자색의 반점이 생긴다. 2) 출혈의 확산 크기를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점상출혈이라고 하는 것보다도 크며, 피부, 점막의 직경 0.3cm이상의 출혈에 대해서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2399 H02172399 Economic condition 경제상태 C0013551 [3.0] 1A.9.0181 Focus 상태 H02172431 H00522292 Exudate 삼출 [3.0] L03.9 1A.9.0183 Focus "1) 액체가 부분 또는 조직으로 일탈(逸脫) 2) 염증이 생긴 국소에 혈관에서 액체 및 세포성분이 밖으로 나와 병소에 모이는 것을 삼출이라 하고 그때, 액체성분은 단백질의 함량이 크고 혈장에 가까운 액체성분이 그대로 나온다. 이와 같은 액체를 말한다. 여출액(爐出液)에 비해서 세포성분이 풍부하며 비중 1.018 이상으로서 단백함 유량 4% 이상, 또 피브리노겐을 함유하는 액(液)으로서 염증 반응의 결과로 생긴다. Rivaita반응양성, Runneberg반응 양성이 된다.[간호학대사전] 3) 염증이 생겼을 때 핏줄이나 미세한 구멍에서 조직이나 체강 속으로 스며 나오는 세포 성분과 액체 성분. 진물이나 고름 따위가 있다. 흉막염이 있을 때 흉막강속에 물이 고이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2484 H02172484 Elevation 높이기 C0702240 [3.0] 1A.9.0185 Focus 체위 변경함의 한 형태: 신체 전체나 신체의 한 부위를 올리는 것. H02172497 H02172497 Elevation 올리기 C0702240 [3.0] 1A.9.0185 Focus 체위 변경함의 한 형태: 신체 전체나 신체의 한 부위를 올리는 것. H02172513 H02172513 End tidal carbon dioxide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C1821148 [3.0] 1A.9.0186 Focus 호흡 상태 H02172526 H02172513 ETCO2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3.0] 1A.9.0186.S.001 Focus 호흡 상태 H02172539 H02172513 Partial pressure of expiratory co2 호기말 이산화탄소 분압 [3.0] 1A.9.0398 Focus 호흡 상태 H02172570 H01274214 Paralytic ileus 창자마비 C0030446 [3.0] K56.0 1A.9.0190 Focus "Obstruction of the bowel due to paralysis of the bowel wall, usually as a result of localized or generalized peritonitis or shock.[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2582 H01274214 Adynamic ileus 창자마비 C0030446 [3.0] K56.0 1A.9.0190 Focus "Obstruction of the bowel due to paralysis of the bowel wall, usually as a result of localized or generalized peritonitis or shock.[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2609 H00552108 Environmental assessment 환경사정 C0558004 [3.0] 1A.9.0191 Focus 사정 H02172624 H00144398 Aura 전조 C0236018 [3.0] 1A.9.0192 Focus "전조(前兆)라고도 한다. 간질발작의 직전 수초에서 1분간정도에 볼 수 있는 증상이고 뇌가 있는 부분의 자극 또는 기능탈락의 증상이다. (1) 자율계전조(嘔氣, 복통, 두통, 현기증 등), (2) 감각성전조(視, 聴、嗅覺등의 이상 감각), (3) 운동성전조(手ㆍ足ㆍ口周部의 근수축), (4) 정신성전조(데자뷰=旣視感 불안, 익스터시 등) 등이 있다. 소발작군에서는 전조를 수반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2640 H02172640 Episiotomy wound 회음절개 상처 C3662306 [3.0] 1A.9.0194 Focus 수술 상처 H02172652 H02172640 Episiotomy wound 회음절개술 상처 C3662306 [3.0] 1A.9.0194 Focus 수술 상처 H02172665 H02172640 Episiotomy wound 외음부절개 상처 C3662306 [3.0] 1A.9.0194 Focus 수술 상처 H02172678 H02172640 Episiotomy wound 외음부절개술 상처 C3662306 [3.0] 1A.9.0194 Focus 수술 상처 H02172681 H02172640 Episiotomy wound 외음절개술 상처 C3662306 [3.0] 1A.9.0194 Focus 수술 상처 H02172707 H00593231 Probable date of confinement 분만예정일 [3.0] 1A.9.0195 Focus "기초체온(BBT)에 의한 배란일+266일이 가장 정확한 분만예정일이나, 기초체온을 측정하지 않는 임산부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의 첫날부터 세어서 280일째를 분만예정일로 한다. 월경주기가 28일이 아닌 자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에서 계산한 예정일에 그 부인의 평균 월경주기에서 28일 뺀 일수를 더한 날을 분만예정일로 하면 보다 정확하게 된다. 그외에 태동을 느낀날이나 초음파로 계측한 태아머리 대횡경(大橫經) 등이 참고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2710 H00593231 Expected date of confinement 분만예정일 C2825543 [3.0] 1A.9.0195 Focus "기초체온(BBT)에 의한 배란일+266일이 가장 정확한 분만예정일이나, 기초체온을 측정하지 않는 임산부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의 첫날부터 세어서 280일째를 분만예정일로 한다. 월경주기가 28일이 아닌 자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에서 계산한 예정일에 그 부인의 평균 월경주기에서 28일 뺀 일수를 더한 날을 분만예정일로 하면 보다 정확하게 된다. 그외에 태동을 느낀날이나 초음파로 계측한 태아머리 대횡경(大橫經) 등이 참고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2735 H00593231 Calculated date of confinement 분만예정일 [3.0] 1A.9.0195 Focus "기초체온(BBT)에 의한 배란일+266일이 가장 정확한 분만예정일이나, 기초체온을 측정하지 않는 임산부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의 첫날부터 세어서 280일째를 분만예정일로 한다. 월경주기가 28일이 아닌 자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에서 계산한 예정일에 그 부인의 평균 월경주기에서 28일 뺀 일수를 더한 날을 분만예정일로 하면 보다 정확하게 된다. 그외에 태동을 느낀날이나 초음파로 계측한 태아머리 대횡경(大橫經) 등이 참고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2748 H00593231 CDC 분만예정일 C2825543 [3.0] 1A.9.0195 Focus "기초체온(BBT)에 의한 배란일+266일이 가장 정확한 분만예정일이나, 기초체온을 측정하지 않는 임산부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의 첫날부터 세어서 280일째를 분만예정일로 한다. 월경주기가 28일이 아닌 자에 대해서는 최종 월경에서 계산한 예정일에 그 부인의 평균 월경주기에서 28일 뺀 일수를 더한 날을 분만예정일로 하면 보다 정확하게 된다. 그외에 태동을 느낀날이나 초음파로 계측한 태아머리 대횡경(大橫經) 등이 참고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2763 H00575691 Normal delivery 정상분만 C1384485 [3.0] 1A.9.0196 Focus "임신 만37주로부터 만 41(만 42주미만)의 분만,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를 만삭아라고 한다. 1979년부터 WHO의 권고에 의거하여 임신기간은 정상월경제1일부터 계산하여, 만의 일수 또는 주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산은 23주까지, 조산은 24~36주, 과산(過期產)은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이라고 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2776 H00575691 Normal labor 정상분만 C0233081 [3.0] 1A.9.0196 Focus "임신 만37주로부터 만 41(만 42주미만)의 분만,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를 만삭아라고 한다. 1979년부터 WHO의 권고에 의거하여 임신기간은 정상월경제1일부터 계산하여, 만의 일수 또는 주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산은 23주까지, 조산은 24~36주, 과산(過期產)은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이라고 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2789 H00575691 Normal childbirth 정상분만 [3.0] 1A.9.0196 Focus "임신 만37주로부터 만 41(만 42주미만)의 분만,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를 만삭아라고 한다. 1979년부터 WHO의 권고에 의거하여 임신기간은 정상월경제1일부터 계산하여, 만의 일수 또는 주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산은 23주까지, 조산은 24~36주, 과산(過期產)은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이라고 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2791 H00575691 Labor at term 만삭 분만 [3.0] 1A.9.0196 Focus "임신 만37주로부터 만 41(만 42주미만)의 분만,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를 만삭아라고 한다. 1979년부터 WHO의 권고에 의거하여 임신기간은 정상월경제1일부터 계산하여, 만의 일수 또는 주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산은 23주까지, 조산은 24~36주, 과산(過期產)은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이라고 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2805 H00575691 Full term birth 만삭 출산 C3814420 [3.0] 1A.9.0196 Focus "임신 만37주로부터 만 41(만 42주미만)의 분만,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를 만삭아라고 한다. 1979년부터 WHO의 권고에 의거하여 임신기간은 정상월경제1일부터 계산하여, 만의 일수 또는 주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산은 23주까지, 조산은 24~36주, 과산(過期產)은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이라고 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2818 H00575691 Normal parturition 정상출산 [3.0] 1A.9.0196 Focus "임신 만37주로부터 만 41(만 42주미만)의 분만, 이 시기에 태어난 아이를 만삭아라고 한다. 1979년부터 WHO의 권고에 의거하여 임신기간은 정상월경제1일부터 계산하여, 만의 일수 또는 주수로 나타내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유산은 23주까지, 조산은 24~36주, 과산(過期產)은 42주 이후의 분만을 말한다." 태아가 분만예정일을 전후하여 정상산도를 통해 자연적으로 만출력(娩出力)에 의해 만출되고 또한 모아(母兒) 모두 장해가 없는 것을 정상분만이라고 한다. 정상분만이 되기 위해서는 만출력 태아 및 부속물 산도 등에 문제가 없고 분만시간 " 출혈량 등에 이상이 없는 것이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2874 H00592310 Exophthalmos 안구돌출증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887 H00592310 Exophthalmos 눈알돌출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890 H00592310 Exophthalmos 눈알돌출증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903 H00592310 Proptosis 눈알돌출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916 H00592310 Proptosis 눈알돌출증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929 H00592310 Proptosis 안구돌출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931 H00592310 Proptosis 안구돌출증 C0015300 [3.0] 1A.9.0200 Focus "안구가 이상하게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고 돌출도는 안와외연의 피부변을 좌우로 이어진 선과 각막정정간의 수직거리로 표시하며 U. Hertel 안구돌출도계나 이시하라식(石原式) 만능거리계 등으로 측정한다. 보통 돌출도는 10~15mm이다. 편안성(片眼性)과 양안성이 있으며 전자는 출혈, 종양, 염증, 부비강으로부터의 압박, 안근마비, 박동성 돌출, 간헐성 돌출 등이 있고 후자는 바세도병, 백혈병 녹색종, 두개기형, 뇌하수체 종양 등에 생긴다. 돌출이 고도의 것은 폐안 불충분으로 토끼눈을 합병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2944 H02172944 Expected date of conception 수정추정일 [3.0] 1A.9.0201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72957 H02172944 EDC 수정추정일 C2825543 [3.0] 1A.9.0201.S.001 Focus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172960 H02172960 Expiratory flow 호기량 [3.0] 1A.9.0202 Focus 호흡 상태 H02172972 H02172972 Expiratory positive airway pressure 호기성 양성기도압 C3697361 [3.0] 1A.9.0203 Focus positive airway pressure applied during the expiratory phase of mechanically assisted ventilation.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72985 H02172972 EPAP 호기성 양성기도압 [3.0] 1A.9.0203.S.001 Focus positive airway pressure applied during the expiratory phase of mechanically assisted ventilation.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73033 H00609513 Extravasation 일출 C0015376 [3.0] 1A.9.0205 Focus "a passage or escape into the tissues, usually of blood, serum, or lymph.[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73046 H02173046 Extremities circumference 사지둘레 [3.0] 1A.9.0206 Focus 신체적 영역 H02173059 H02173059 Eye contact 눈맞춤 C0870532 [3.0] 1A.9.0208 Focus "자신을 바라보는 상대방과 눈을 맞추는 행위로 사회적 상호 작용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이다. 자폐성 장애인의 경우, 눈맞춤을 하는 데 심각한 어려움을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특성은 상대방과의 사회적 상호 작용이나 의사소통을 단절시키는 결과를 낳게 된다. 따라서 자폐성 장애와 같은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조기 개입 프로그램에서는 아동의 눈맞춤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실시하게 된다.[특수교육학 용어사전]" H02173061 H02173061 Eye response 시각반응 [3.0] 1A.9.0209 Focus 반응함 H02173074 H02173074 Family assessment 가족사정 C1145183 [3.0] 1A.9.0211 Focus 사정 H02173087 H02173087 Family attachment 가족애착 [3.0] 1A.9.0212 Focus 애착 H02173090 H02173090 Family counseling 가족상담 C0152055 [3.0] 1A.9.0213 Focus 상담함 H02173103 H02173103 Family education 가족교육 C0150577 [3.0] 1A.9.0214 Focus 교육서비스 H02173116 H02173116 Family health 가족건강 C0600220 [3.0] 1A.9.0215 Focus "가정이라는 단위를 중요시한 포괄적 보건·의료 서비스 즉, 가족구성원이 일치협력하여 건강의 확보를 도모함과 동시에 가정을 둘러싼 지역사회의 협력에 의해 단순히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사회적 건강도 지키고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을 기초로 하여 차세대가 모두 심신이 건강하게 자라는 조건을 갖추고자 하는 것이다.[영양학사전]" H02173129 H02173129 Family health history 가족건강력 C0241889 [3.0] 1A.9.0216 Focus 과거력 H02173144 H00622935 History of family 가족력 [3.0] 1A.9.0217.S.002 Focus "양친, 조부모, 형제자매, 남편, 아내, 아이들, 그 밖의 혈연자에 대해서 질환의 유무, 원인 등을 기재한 것. 특히 유전적 또는 체질적 부하가 있는 질환에 대해서 문진하고 진단의 자료로 도움이 되게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3157 H02173157 Family structure 가족구조 C0680034 [3.0] 1A.9.0218 Focus 가족 H02173172 H00625401 FBS 공복혈당 C2825162 [3.0] 1A.9.0219.S.001 Focus "혈액속에 포함되어 있는 포도당. 뇌와 적혈구의 에너지원이 되고, 그 양은 운동, 식사 따위에 의하여 달라진다. 건강인의 아침 공복시 혈중 포도당 농도는 60~100mg/dL이지만 기타의 당질 즉 과당, 갈락토스, 5탄당은 미량이며 일반적으로 혈당일 하면 혈중포도당을 의미한다. 혈당은 생체의 에너지원으로서 가장 중요한 물질이다. 그 농도는 창자관으로부터의 흡수, 간에 있어서의 당신생과 글리코겐의 합성-분해, 말초조직의 당이용, 콩팥으로부터의 배설 등 여러 인자에의해 좌우되며 그 조절에는 자율신경과 각종 호르몬이 밀접하게 관계한다. 특히 혈당저하작용에는 인슐린이, 그리고 혈당상승작용에는 에피네프린, 글루카곤, 성장호르몬, 부신겉질호르몬, 부신겉질자극호르몬, 갑상샘 호르몬이 관계가 있으며 그것들의 대항 및 협조 작용에 의해 혈당치가 조절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3185 H02173185 Favoritism 편애 [3.0] 1A.9.0220 Focus 어느 한 사람이나 한쪽만을 유달리 사랑함 H02173198 H02173198 Heat sensation 열감 C0234193 [3.0] 1A.9.0221 Focus "고대부터 염증의 4대징후(발적, 열감, 종창, 동통)의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염증이 생기면 그 부위의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이 확장하여 동맥혈의 혈류량이 증가하여 국소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감으로서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3201 H02173198 Febrile sense 열감 [3.0] 1A.9.0221 Focus "고대부터 염증의 4대징후(발적, 열감, 종창, 동통)의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염증이 생기면 그 부위의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이 확장하여 동맥혈의 혈류량이 증가하여 국소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감으로서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3214 H02173198 Heating sense 열감 [3.0] 1A.9.0221.S.001 Focus "고대부터 염증의 4대징후(발적, 열감, 종창, 동통)의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염증이 생기면 그 부위의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이 확장하여 동맥혈의 혈류량이 증가하여 국소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감으로서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3227 H02173198 Heating sensation 열감 [3.0] 1A.9.0221.S.001 Focus "고대부터 염증의 4대징후(발적, 열감, 종창, 동통)의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 염증이 생기면 그 부위의 세동맥, 모세혈관, 세정맥이 확장하여 동맥혈의 혈류량이 증가하여 국소의 온도가 상승하여 열감으로서 느껴지는 것을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3230 H02173230 Feces removal 분변제거 [3.0] 1A.9.0222 Focus 기법 H02173255 H00628945 Female 여 C0015780 [3.0] 1A.9.0223 Focus 여자.여성 H02173271 H00632684 Fetal distress 태아곤란 C0015930 [3.0] 1A.9.0224 Focus "1) 분만전 또는 분만중에 태아의 빈맥이 유발되고, 활동력이 감소되며, 후기감퇴나 다양한 감퇴 증상들이 반복되는 것. 2)태아-태반계에 있어서의 호흡순환부전을 주징으로 하는 증후군. 원인은 다양하다. 모체의 저산소증, 빈혈, 저혈압 등의 모체인자, 임신중독증, 태반조기박리, 태반기능부전 등의 태반인자, 제대(臍帶)의 압박, 하수, 탈출 등의 제대인자는 태아의 저산소증 hypoxia, 산성증 acidosis과 pH 7.20 이하를 가져온다. 이 상태에서는 태아기준심박수는 165/분 이상 또는 120/분 이하를, 또한 심박도는 W형서맥, 만발성서맥 등의 특징있는 양상을 나타낸다. 이것이 협의의 태아가사 fetal distress이나, 보통상태에서는 이와같은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도 어떤 부하(負荷) 또는 검사에 의하여 출현하는 것을 잠재태아가사 latent fetal distress라고 하며, 광의의 태아가사 fetal distress에 포함시킨다.[간호학대사전]" H02173300 H00633155 FHR 태아심박동수 [3.0] Focus "옛부터 청진에 의하여 태아심박동을 포착하여 왔으나, 최근 ME의 진보에 의하여, 태아심박을 심음(心音), 초음파도풀러, 심전신호로서 연속적으로 포착하여, 태아의 상태를 파악하는 데에 사용한다. 태아심박동수와 진통곡선 동시기록에는 분만감시 장치가 사용되며, 태아가사나 잠재태아가사의 진단에 유용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3312 H02173312 Fetal heart tone 태아심음 C0150583 [3.0] 1A.9.0226 Focus 1) 태아의 심박동에 의해서 생기는 음. 심박동은 태아흉벽-양수-자궁벽-모체흉벽으로 전해지고 청진기에 의해 심음으로서 포착이 된다. 태아의 심박동은 태아심음외에 초음파 도플러나를 통해 확인되고 일괄해서 태아심박으로서 임신분만을 통해 태아의 생사ㆍ스트레스에 대한 반응ㆍ저산소상태의 유무등.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태아의 심음을 말한다. 트라우베를 사용한 모체복벽으로부터의 청취는 빨라서 임신 제5개월 일반적으로는 제6개월경부터 가능하다. 심음의 성질은 중복음이나 성인과 달라 제1 제2음 모두 그의 강도는 동일하고 맑으며 규칙적으로 들리고 1분간에 120-160 평균 140정도이나 임신시기에 따라 다소 다르다. 심박동수는 태아의 상태를 아는 중요한 정보로서 심박동수도 양상은 진통과의 관련으로 태아가사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간호학대사전]""" H02173325 H02173312 FHT 태아심음 [3.0] 1A.9.0226.S.001 Focus 1) 태아의 심박동에 의해서 생기는 음. 심박동은 태아흉벽-양수-자궁벽-모체흉벽으로 전해지고 청진기에 의해 심음으로서 포착이 된다. 태아의 심박동은 태아심음외에 초음파 도플러나를 통해 확인되고 일괄해서 태아심박으로서 임신분만을 통해 태아의 생사ㆍ스트레스에 대한 반응ㆍ저산소상태의 유무등.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태아의 심음을 말한다. 트라우베를 사용한 모체복벽으로부터의 청취는 빨라서 임신 제5개월 일반적으로는 제6개월경부터 가능하다. 심음의 성질은 중복음이나 성인과 달라 제1 제2음 모두 그의 강도는 동일하고 맑으며 규칙적으로 들리고 1분간에 120-160 평균 140정도이나 임신시기에 따라 다소 다르다. 심박동수는 태아의 상태를 아는 중요한 정보로서 심박동수도 양상은 진통과의 관련으로 태아가사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간호학대사전]""" H02173338 H02173312 Cyematocardia 태아심음 [3.0] 1A.9.0226 Focus 1) 태아의 심박동에 의해서 생기는 음. 심박동은 태아흉벽-양수-자궁벽-모체흉벽으로 전해지고 청진기에 의해 심음으로서 포착이 된다. 태아의 심박동은 태아심음외에 초음파 도플러나를 통해 확인되고 일괄해서 태아심박으로서 임신분만을 통해 태아의 생사ㆍ스트레스에 대한 반응ㆍ저산소상태의 유무등.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태아의 심음을 말한다. 트라우베를 사용한 모체복벽으로부터의 청취는 빨라서 임신 제5개월 일반적으로는 제6개월경부터 가능하다. 심음의 성질은 중복음이나 성인과 달라 제1 제2음 모두 그의 강도는 동일하고 맑으며 규칙적으로 들리고 1분간에 120-160 평균 140정도이나 임신시기에 따라 다소 다르다. 심박동수는 태아의 상태를 아는 중요한 정보로서 심박동수도 양상은 진통과의 관련으로 태아가사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간호학대사전]""" H02173341 H02173312 Fetal heart sound 태아심음 C0426038 [3.0] 1A.9.0226 Focus 1) 태아의 심박동에 의해서 생기는 음. 심박동은 태아흉벽-양수-자궁벽-모체흉벽으로 전해지고 청진기에 의해 심음으로서 포착이 된다. 태아의 심박동은 태아심음외에 초음파 도플러나를 통해 확인되고 일괄해서 태아심박으로서 임신분만을 통해 태아의 생사ㆍ스트레스에 대한 반응ㆍ저산소상태의 유무등.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태아의 심음을 말한다. 트라우베를 사용한 모체복벽으로부터의 청취는 빨라서 임신 제5개월 일반적으로는 제6개월경부터 가능하다. 심음의 성질은 중복음이나 성인과 달라 제1 제2음 모두 그의 강도는 동일하고 맑으며 규칙적으로 들리고 1분간에 120-160 평균 140정도이나 임신시기에 따라 다소 다르다. 심박동수는 태아의 상태를 아는 중요한 정보로서 심박동수도 양상은 진통과의 관련으로 태아가사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간호학대사전]""" H02173353 H02173312 Fetal rhythm 태아심음 [3.0] 1A.9.0226 Focus 1) 태아의 심박동에 의해서 생기는 음. 심박동은 태아흉벽-양수-자궁벽-모체흉벽으로 전해지고 청진기에 의해 심음으로서 포착이 된다. 태아의 심박동은 태아심음외에 초음파 도플러나를 통해 확인되고 일괄해서 태아심박으로서 임신분만을 통해 태아의 생사ㆍ스트레스에 대한 반응ㆍ저산소상태의 유무등. 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2) 태아의 심음을 말한다. 트라우베를 사용한 모체복벽으로부터의 청취는 빨라서 임신 제5개월 일반적으로는 제6개월경부터 가능하다. 심음의 성질은 중복음이나 성인과 달라 제1 제2음 모두 그의 강도는 동일하고 맑으며 규칙적으로 들리고 1분간에 120-160 평균 140정도이나 임신시기에 따라 다소 다르다. 심박동수는 태아의 상태를 아는 중요한 정보로서 심박동수도 양상은 진통과의 관련으로 태아가사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간호학대사전]""" H02173366 H02173366 Visiting nurse 방문간호사 C0042799 [3.0] 1A.9.0597 Means 방문간호사. H02173411 H00645075 Flapping tremor 퍼덕이기 진전 C0232766 [3.0] 1A.9.0229 Focus "퍼덕이기 진전이라고도 하며, 상지를 전방에서 측방수평으로 거상시켰을 때 특히 나타나기 쉬운 각 관절의 진전이며, 비교적 급격한 짧은 불수의적 수축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손목에서 현저하며 손가락의 굴신도 나타난다. 윌슨병에서 다른 진전과 함께 나타나는데 소위 간뇌질환에서는 가장 중심적인 신경증상의 하나이다. 양자간에서 반드시 구별을 하는 것은 아니다.[간호학대사전]" H02173423 H02173423 Flight of idea 사고비약 [3.0] 1A.9.0231 Focus 환자가 거의 계속하여 말을 하며 앞의 화제를 완결하기 전에 한 가지 화제에서 다른 화제로 바꾸는 것을 반복하는 상태. 급성 조병 상태 및 급성 정신 분열병에서 때로 볼 수 있다.[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사전] H02173436 H02173436 Fluid disturbance 체액 장애 C0333228 [3.0] 1A.9.0232 Focus 체액 불균형 H02173449 H02173449 Foamy urine 거품뇨 [3.0] 1A.9.0233 Focus "거품뇨란 소변에 비정상적으로 거품이 섞여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사람의 소변은 거품이 많지 않고, 소변을 볼 때 순간적으로 거품이 일지만 곧 사라진다. 그러나 거품이 지나치게 많거나 시간이 지나도 없어지지 않는다면 거품뇨라고 할 수 있다. 거품뇨는 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오는 단백뇨의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3451 H02901453 Follow up 추후관리 C1522577 [3.0] 1A.9.0234 Focus Phrasal verb meaning to provide continuing or further attention to something.[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3464 H02901453 Follow up activity 추후관리 [3.0] 1A.9.0234.S.001 Focus Phrasal verb meaning to provide continuing or further attention to something.[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3480 H00662601 Fraction of inspired oxygen 흡기산소분획 C0428167 [3.0] 1A.9.0237 Focus 흡입한 공기 중의 산소 비율.[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73506 H00662601 Fio2 흡기산소분획 C2370852 [3.0] 1A.9.0237.S.001 Focus 흡입한 공기 중의 산소 비율.[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73519 H02173519 Free voiding 불수의적 배뇨 [3.0] 1A.9.0238 Focus 손상된 배뇨 H02173521 H02173521 Fullness 충만감 C0439650 [3.0] 1A.9.0239 Focus 한껏 가득하게 찬 느낌이나 감정.[표준국어대사전] H02173547 H00682843 Gag reflex 구토반사 C0016927 [3.0] 1A.9.0240 Focus "인두의 표재반사의 일종이고 인두후벽, 구개편도부, 설근부를 설압자 등으로 자극하면 구역질을 일으키는 반사이다. 구심로(求心路)는 삼차신경, 설인신경, 미주신경이고(주로 설인신경), 원심로는 미주신경이다. 이들 신경의 장애로 교액반사의 소실을 볼 수 있으므로 신경학적 검사로 사용된다. 또 이 반사가 심한 환자에게는 이비인후과적 일상검사에 표면마취제를 필요로 하는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3588 H00683474 Galactorrhea 유즙누설 C3665358 [3.0] O92.6|N64.3 1A.9.0242 Focus 1) 유즙의 지나친 자연(自然)유출(流出). 수유(授乳)와 관계없이 유즙이 계속적으로 분비되는 것. 2) 임신 및 출산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즙이 분비되는 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3591 H00683474 Galactorrhea 유즙분비과다 C3665358 [3.0] O92.6|N64.3 1A.9.0242 Focus 1) 유즙의 지나친 자연(自然)유출(流出). 수유(授乳)와 관계없이 유즙이 계속적으로 분비되는 것. 2) 임신 및 출산을 동반하지 않은 상태에서 유즙이 분비되는 상태[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3604 H02173604 Gastric residual volume 위잔여량 [3.0] 1A.9.0243 Focus 위장관계 과정 H02173699 H00695914 Pantalgia 전신통 [3.0] 1A.9.0246 Focus Pain involving the entire body.[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73702 H00695914 General bodyache 전신통증 [3.0] 1A.9.0246 Focus Pain involving the entire body.[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73715 H02173715 General weakness 전신쇠약 C3714552 [3.0] 1A.9.0247 Focus "팔이나 다리를 움직이는 등의 일상적인 활동을 수행하는 데 과도한 노력이 드는 것과 동시에, 신체적으로도 근육의 힘이 떨어지는 느낌이 드는 것을 말한다. 쇠약감이라는 표현은 일반적으로 피로와 혼용되지만, 의학에서는 다르게 사용된다. 참고로, 피로는 지치고 탈진되며, 에너지가 고갈된 느낌이 드는 것을 말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3731 H02173731 Gibberish 횡설수설 [3.0] 1A.9.0250 Focus 조리가 없이 말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임.[표준국어대사전] H02173743 H02173731 Gibberish 헛소리 [3.0] 1A.9.0250 Focus 조리가 없이 말을 이러쿵저러쿵 지껄임.[표준국어대사전] H02173771 H00900605 Gibberish aphasia 횡설수설 언어상실증 C0234473 [3.0] 1A.9.0251 Focus 언어의 이해면의 장애를 주요증상으로 하는 실어증에서 볼 수 있다. 자발언어는 장애를 받지 않으므로 회화는 유창하고수다스럽기조차 한데 착어(錯語)가 심하고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 있는 환자는 자신이 잘못 말하고 있는 것을 전혀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3784 H00900605 Gibberish aphasia 횡설수설 실어증 C0234473 [3.0] 1A.9.0251 Focus 언어의 이해면의 장애를 주요증상으로 하는 실어증에서 볼 수 있다. 자발언어는 장애를 받지 않으므로 회화는 유창하고수다스럽기조차 한데 착어(錯語)가 심하고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 있는 환자는 자신이 잘못 말하고 있는 것을 전혀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3797 H00900605 Jargon aphasia 착각성 실어 C0234473 [3.0] 1A.9.0251 Focus 언어의 이해면의 장애를 주요증상으로 하는 실어증에서 볼 수 있다. 자발언어는 장애를 받지 않으므로 회화는 유창하고수다스럽기조차 한데 착어(錯語)가 심하고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전혀 이해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이 상태에 있는 환자는 자신이 잘못 말하고 있는 것을 전혀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3813 H00718446 Grasp reflex 쥐기반사 C0234175 [3.0] 1A.9.0252 Focus "신생아의 손바닥을 검사자의 손가락으로 건드리면 꽉 붙잡는 반응으로 원시 반사의 일종이다. 발바닥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나는데 손가락으로 자극하면 발가락을 앞으로 오므린다. 손바닥의 파악 반사는 생후 2~3개월 무렵 소실되고, 발바닥의 파악 반사는 8~9개월 무렵 소실되는 것이 정상이다. [특수교육학 용어사전]" H02173826 H02173826 Graviditas simplex 단태임신 [3.0] 1A.9.0253 Focus 임신 H02173839 H02173826 Single pregnancy 단태임신 C0341899 [3.0] 1A.9.0253 Focus 임신 H02173841 H02173841 Reproductive history 임신력 C0206076 [3.0] 1A.9.0254 Focus 어떤 모체가 과거에 경험한 임신기록.[농촌진흥청] H02173854 H02173854 Group counseling 집단상담 C0237547 [3.0] 1A.9.0255 Focus 개인이 지닌 여러 문제를 소집단의 경험을 통해 해결하는 상담의 한 형태[심리학용어사전] H02173867 H02173867 Failure to thrive 성장발육 장애 C0015544 [3.0] 10022898 1A.9.0256 Focus "성장장애를 가져온 인자로서, (1)수정전인자(유전자이상, 염색체이상) (2)태생기인자(모체의 내분비ㆍ신경계이상, 태아로의 산소ㆍ영양보급, 외상ㆍ방사선피폭(放射線被曝)ㆍ약물중독ㆍ감염), (3)주생기인자(기계적장애-외상, 환경적응-호흡순환장애, 면역반응-혈액혈부적합), (4) 출생후인자(내분비, 신경, 영양, 감염, 생활환경-주거ㆍ물ㆍ공기ㆍ기후, 가정환경-가족구성ㆍ모자관계ㆍ교육방침, 사회환경)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3870 H02173870 Hate 미움 C0018616 [3.0] 1A.9.0257 Focus 미워하는 일이나 미워하는 마음.[표준국어대사전] H02173882 H02173882 Hatred 증오 C0018616 [3.0] 1A.9.0258 Focus 아주 사무치게 미워함. 또는 그런 마음.[표준국어대사전] H02173924 H02173924 Health care supervision 보건의료 감독 C0237124 [3.0] 1A.9.0263 Focus Management of the health care treatment plan by health care providers.[OMS/PR] H02173937 H02173937 Healthful living 건강생활 [3.0] 1A.9.0264 Focus "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생활 환경, 생활 양식의 총칭. 건강에 적합한 의식주의 방법, 즉 영양과 보건에 필요한 음식 섭취 방법, 햇빛•공기•물 등 위생적인 주거 환경의 정비, 신체의 청결이나 활동에 적합한 의복, 그리고 전염병이나 질병 예방, 일상 생활에서의 과로 방지, 수면•휴양에 대한 배려, 레크리에이션•스포츠 등을 배려한 생활을 건강 생활이라고 부를 수 있다.[체육학대사전]" H02173940 H02173940 Health maintenance 건강 유지 C0262500 [3.0] 1A.9.0265 Focus 유지함 H02173952 H02173952 Health problem 건강문제 [3.0] 1A.9.0266 Focus 손상된 상태 H02173993 H00736066 Height of fundus 자궁저부 높이 [3.0] 1A.9.0268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2174001 H00736066 Fundal height 자궁저 높이 C0426012 [3.0] 1A.9.0268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2174013 H00736066 HOF 자궁바닥 높이 C1538150 [3.0] 1A.9.0268.S.001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2174026 H00736066 HOF 자궁저고 C1538150 [3.0] 1A.9.0268.S.001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2174039 H00736066 HOF 자궁저부 높이 C1538150 [3.0] 1A.9.0268.S.001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2174041 H00736066 HOF 자궁저 높이 C1538150 [3.0] 1A.9.0268.S.001 Focus 치골에서부터 복부 표면을 따라 자궁 상위부까지의 거리를 재는 것 H02174054 H02174054 Hemadynamometry 혈압측정 [3.0] 1A.9.0271 Focus NIBP | A-line BP | 기타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74067 H02174054 Hemadynamometry 혈압측정법 [3.0] 1A.9.0271 Focus NIBP | A-line BP | 기타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74070 H02174054 Method of blood pressure measuring 혈압측정방법 [3.0] 1A.9.0271 Focus NIBP | A-line BP | 기타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74152 H00741815 Hemocytopoiesis 혈구생성 [3.0] 1A.9.0276 Focus "일반적으로는 골수에 있어서의 혈액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생성을 의미하나, 림프조직에 있어서의 림프구의 생성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조직에 있어서 혈액세포가 생성되는 경우 유약한 세포의 신생(新生)과, 그의 성숙, 조혈조직으로 부터의 유출(遊出) 등의 과정이 행하여지고 있고, 조혈이란 그의 모든 과정에 대하여 사용되지만, 특히 혈구의 신생에 한하는 경우도 있다. 조혈기능은 주로 적혈구계에 대하여 방사성 철을 사용한 검색이 행하여지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4207 H02174207 Nursing history 간호력 C0019677 [3.0] 1A.9.0280.S.001 Focus "환자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의 기록이다. 이 기록에는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그 실시를 위해 유용한 자료가 포함되고 있으며, 또 정보수집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일정한 양식이 정해져 있다. 진료기록부에서의 병력에 해당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4210 H02174207 History of nursing 간호력 C0019677 [3.0] 1A.9.0280.S.001 Focus "환자에 대한 개별적인 정보의 기록이다. 이 기록에는 간호진단, 간호계획 및 그 실시를 위해 유용한 자료가 포함되고 있으며, 또 정보수집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일정한 양식이 정해져 있다. 진료기록부에서의 병력에 해당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4248 H00767308 Hoarseness 애성 C0019825 [3.0] R49.0 1A.9.0283.S.001 Focus "1) 음성장애 중에서 음질의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조잡한 목소리에 대한 총칭. 아주 가벼운 것에서 전혀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실성(失聲)에 이른 것도 있어, 그들리는 소리의 정도에 따라 기식음(氣息音), 건성 쉰목소리, 습성쉰목소리, 조잡성쉰목소리로 나눈다. 원인으로서 염증, 종양이나 외상등의 후두병변(喉頭病變), 특히 성대의 병변, 후두근마비, 등의 신경장애와 발성기의 과로 등을 들 수 있다. 치료는 원인을 잘 알아보아 이에 대한 처치를 한다.[간호학대사전] 2) 목소리의 변화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목소리가 쉰다, 목소리가 안 나온다, 목소리가 잠긴다, 목소리가 거칠어졌다, 높은 음을 내기가 힘들다, 오래 목소리를 쓰면 쉽게 잠긴다, 목소리가 떨린다 등의 표현이 대표적이다. 대개의 경우는 감기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속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질병에 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후두 검사를 포함하여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4251 H00767308 Hoarseness 사성 C0019825 [3.0] R49.0 1A.9.0283.S.001 Focus "1) 음성장애 중에서 음질의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조잡한 목소리에 대한 총칭. 아주 가벼운 것에서 전혀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실성(失聲)에 이른 것도 있어, 그들리는 소리의 정도에 따라 기식음(氣息音), 건성 쉰목소리, 습성쉰목소리, 조잡성쉰목소리로 나눈다. 원인으로서 염증, 종양이나 외상등의 후두병변(喉頭病變), 특히 성대의 병변, 후두근마비, 등의 신경장애와 발성기의 과로 등을 들 수 있다. 치료는 원인을 잘 알아보아 이에 대한 처치를 한다.[간호학대사전] 2) 목소리의 변화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목소리가 쉰다, 목소리가 안 나온다, 목소리가 잠긴다, 목소리가 거칠어졌다, 높은 음을 내기가 힘들다, 오래 목소리를 쓰면 쉽게 잠긴다, 목소리가 떨린다 등의 표현이 대표적이다. 대개의 경우는 감기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속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질병에 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후두 검사를 포함하여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4263 H00767308 Hoarse 목쉰소리 C0019825 [3.0] R49.0 1A.9.0283 Focus "1) 음성장애 중에서 음질의 변화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조잡한 목소리에 대한 총칭. 아주 가벼운 것에서 전혀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실성(失聲)에 이른 것도 있어, 그들리는 소리의 정도에 따라 기식음(氣息音), 건성 쉰목소리, 습성쉰목소리, 조잡성쉰목소리로 나눈다. 원인으로서 염증, 종양이나 외상등의 후두병변(喉頭病變), 특히 성대의 병변, 후두근마비, 등의 신경장애와 발성기의 과로 등을 들 수 있다. 치료는 원인을 잘 알아보아 이에 대한 처치를 한다.[간호학대사전] 2) 목소리의 변화는 여러 가지 표현으로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데 예를 들면, 목소리가 쉰다, 목소리가 안 나온다, 목소리가 잠긴다, 목소리가 거칠어졌다, 높은 음을 내기가 힘들다, 오래 목소리를 쓰면 쉽게 잠긴다, 목소리가 떨린다 등의 표현이 대표적이다. 대개의 경우는 감기 등의 이유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지속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질병에 의한 것일 수 있기 때문에 후두 검사를 포함하여 이비인후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4321 H00771999 Hospice care 호스피스 간호 C0085555 [3.0] 1A.9.0286 Focus "1)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인 보살핌을 하는 것으로서, 죽음에 가까운 환자와 그 가족에게 고식적이고 대중적인 봉사를 주요 프로그램으로 하여 직접적 혹은 자문형식으로 제공하는 시설. 이와 같은 서비스는 가정과 입원시설에서 전문가와 자원봉사자의 광범한 집단에 의하여 제공된다. 2) 치료적 효과를 더이상 기대할 수 없으며 고통이 강한 환자에 대해서 고통이 적은 상태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설. 또는 환자를 집으로 돌아가게 해서 방문 간호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말기암환자가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호스피스라는 말은 중세 유럽에서 성지순례도증, 병에 걸린 신자들의 휴양, 간호를 위해 사용된 숙사가 기원이다. 근대 호스피스는 1905년, 런던에 만들어진 센트ㆍ크리스토퍼ㆍ호스피스가 최초의 것이다. 일본에서도 1980년경부터 그리스도교계의 병원에서 도입되기 시작했다.[간호학대사전]" H02174346 H00771999 Hospice service 호스피스 서비스 [3.0] 10044370 1A.9.0287 Focus "1)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정신적인 보살핌을 하는 것으로서, 죽음에 가까운 환자와 그 가족에게 고식적이고 대중적인 봉사를 주요 프로그램으로 하여 직접적 혹은 자문형식으로 제공하는 시설. 이와 같은 서비스는 가정과 입원시설에서 전문가와 자원봉사자의 광범한 집단에 의하여 제공된다. 2) 치료적 효과를 더이상 기대할 수 없으며 고통이 강한 환자에 대해서 고통이 적은 상태로 편안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설. 또는 환자를 집으로 돌아가게 해서 방문 간호활동을 실천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말기암환자가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호스피스라는 말은 중세 유럽에서 성지순례도증, 병에 걸린 신자들의 휴양, 간호를 위해 사용된 숙사가 기원이다. 근대 호스피스는 1905년, 런던에 만들어진 센트ㆍ크리스토퍼ㆍ호스피스가 최초의 것이다. 일본에서도 1980년경부터 그리스도교계의 병원에서 도입되기 시작했다.[간호학대사전]" H02174359 H02174359 Hourly urine output 시간당 소변량 C1959906 [3.0] 1A.9.0289 Focus 소변 H02174361 H02174359 Hourly urine output 시간당 소변배출량 C1959906 [3.0] 1A.9.0289 Focus 소변 H02174429 H00791597 Hyperpnea 과호흡 C0220854 [3.0] 1A.9.0293 Focus "1) 호흡항진. 호흡운동의 깊이와 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것. 2) 호흡운동의 증강이고 특히 그 깊이가 있는 상태. 산소부족 및 이산화탄소의 축적에 의해서 생기는 경우가 많다. 이때 우선 과호흡이 생기고 이어서 호흡수가 늘어난다(빈호흡 tachypnea). 환기는 호흡운동의 진폭 및 호흡수에 의해서 결정된다. 과호흡이 이상하게 심해졌을 때 호흡곤란 dyspnea 이라고 한다. 3) 호흡항진, 과호흡. 호흡수는 변하지 않고 깊이, 즉1회의 환기량이 증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혈액중의 산소부족이나 탄산가스축적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호흡운동이 증가하고 환기가 증가해서 성분의 변화를 저지한다. 호흡운동은 먼저 호흡의 깊이가 증가해서 과호흡의 상태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4444 H00794341 Hypertrophy 비대증 C0020564 [3.0] 1A.9.0294 Focus "1) 어느 기관을 구성하는 세포 크기의 증가에 의하여 기관 또는 그 일부가 종대(腫大) 내지는 발육과 도로 되는것. 2) 장기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원래의 구조는 유지하면서 수적 변동없이 그 용적만 커진 상태. 결과적으로 그 조직 장기의 용적과 중량이 불어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세포가 커진 것은 세포종창 또는 부종과 같이 수분 흡수가 증가한 것이 아니고 세포 내 구조물의 합성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비대는 생리적 혹은 병적일 수 있고 기능적 부하가 증대되거나 또는 특별한 내분비 자극에 의해 일어난다. 비대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작업비대: 운동선수의 근육, 고혈압이나 판막증의 심장근, 임신자궁의 비대 등, ② 대상성 비대: 한쪽 콩팥을 적출하였을 때 다른 쪽 콩팥에서 일어나는 비대 등, ③ 호르몬성 비대: 뇌하수체호르몬의 작용으로 거단증-거인증이 생기는 경우 등, ④ 염증성 비대: 만성염에 있어서의 위나 코안점막의 비대 등, ⑤ 특발성 비대: 다모증-비늘증-내장비대증 등과 같은 원인불명의 선천성 발육이상에 의한 비대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4457 H00794341 Hypertrophy 비후 C0020564 [3.0] 1A.9.0294 Focus "1) 어느 기관을 구성하는 세포 크기의 증가에 의하여 기관 또는 그 일부가 종대(腫大) 내지는 발육과 도로 되는것. 2) 장기 조직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가 원래의 구조는 유지하면서 수적 변동없이 그 용적만 커진 상태. 결과적으로 그 조직 장기의 용적과 중량이 불어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세포가 커진 것은 세포종창 또는 부종과 같이 수분 흡수가 증가한 것이 아니고 세포 내 구조물의 합성이 증가되기 때문이다. 비대는 생리적 혹은 병적일 수 있고 기능적 부하가 증대되거나 또는 특별한 내분비 자극에 의해 일어난다. 비대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① 작업비대: 운동선수의 근육, 고혈압이나 판막증의 심장근, 임신자궁의 비대 등, ② 대상성 비대: 한쪽 콩팥을 적출하였을 때 다른 쪽 콩팥에서 일어나는 비대 등, ③ 호르몬성 비대: 뇌하수체호르몬의 작용으로 거단증-거인증이 생기는 경우 등, ④ 염증성 비대: 만성염에 있어서의 위나 코안점막의 비대 등, ⑤ 특발성 비대: 다모증-비늘증-내장비대증 등과 같은 원인불명의 선천성 발육이상에 의한 비대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4485 H02174485 Impaired environmental interpretation syndrome 환경인지장애증후군 C1295578 [3.0] 1A.9.0297 Focus "a consistent lack of orientation to person, place, time, or circumstances over more than 3 to 6 months, necessitating a protective environment.[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74501 H00816966 Impression 예진 C0596764 [3.0] 1A.9.0298 Focus 어떤 것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가 달라진 흔적. 부스럼이나 상처가 생겼다가 아문 자리.[표준국어대사전] H02174514 H00816966 Impression 임시진단 C0596764 [3.0] 1A.9.0298 Focus 어떤 것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가 달라진 흔적. 부스럼이나 상처가 생겼다가 아문 자리.[표준국어대사전] H02174527 H00816966 IMP 추적진단 C0596764 [3.0] 1A.9.0298.S.001 Focus "(in the medical record) the examiner's diagnosis or assessment of a problem, disease, or condition.[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74530 H00816966 IMP 예진 C0596764 [3.0] 1A.9.0298.S.001 Focus "(in the medical record) the examiner's diagnosis or assessment of a problem, disease, or condition.[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74555 H00816970 Impression 압흔 [3.0] 1A.9.0298 Focus "1) 대상물과 접촉시킴으로 생기는 음형 또는 물체의 본을 떠서 치과 인상과 같이 여러 종류의 압력을 가하여 나중에 굳어지게 하는 가소제를 사용한 것.[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사전] 2) (in dentistry and prosthetic medicine) a mold of a part of the mouth or other part of the body from which a replacement or prosthesis may be formed.[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74571 H02174571 Infant behavior 영아 행위 C0242952 [3.0] 1A.9.0299 Focus Any observable response or action of a neonate or infant up through the age of 23 months.[2014 MeSH(Medical Subject Headings)] H02174583 H02174571 Infant behaviour 영아 행위 [3.0] 1A.9.0299 Focus Any observable response or action of a neonate or infant up through the age of 23 months.[2014 MeSH(Medical Subject Headings)] H02174600 H00648073 Infusion solution 수액 C1272893 [3.0] 1A.9.0300 Focus "1) 비경구적(非經口的)으로 인공용액을 정맥 내에 점적(點滴)하거나 피하주사하는 치료법, 또는 그 인공용액.[두산백과] 2) 여러 가지 목적으로 혈관이나 피하에 투여하는 혈액이 아닌 액체의 총칭. 목적에 따라 전해질, 아미노산, 당 등의 용액을 사용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혈액과 같은 삼투압을 갖도록 조정되어 있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4612 H02174612 Initial assessment 초기사정 C0150637 [3.0] 1A.9.0301 Focus First evaluation of a patient by emergency medical services personnel to identify immediate threats to life.[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4666 H00850992 Instability 불안정성 C1444783 [3.0] 1A.9.0304 Focus 안정성이 없는 상태. H02174679 H02174679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C1290928 [3.0] 1A.9.0305 Focus "일상용품 사러가기, 전화걸기, 버스·전철 타기, 가벼운 집안일 하기 등 기본적 일상활동 이상의 도구적 일상생활을 측정하는 지표[한경 경제용어사전]" H02174681 H02174679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주간생활 기기활동 C1290928 [3.0] 1A.9.0305 Focus "일상용품 사러가기, 전화걸기, 버스·전철 타기, 가벼운 집안일 하기 등 기본적 일상활동 이상의 도구적 일상생활을 측정하는 지표[한경 경제용어사전]" H02174723 H02174723 Job 직업 C0028811 [3.0] 1A.9.0308 Focus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하여 종사하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2174751 H00932171 LMP 최종월경주기 C0425932 [3.0] 1A.9.0313.S.001 Focus "최후의 월경. 최종월경시작 제1일에서부터 계산해서 임신주수, 분만 예정일을 산출하는 방법이, 가장 널리 임상에 사용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각개 여성의 성주기(性周期). 임신후의 월경. 임신중의 성기출혈에 대해서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갱년기에 관해서는 이 말은 쓰지 않는다.[간호학대사전]" H02174780 H00936642 Leakage 유출 C0015376 [3.0] 1A.9.0314 Focus 액체가 맥관이나 용기에서 새어나오는 것. H02174792 H02174792 Leaking amniotic fluid 양수누출 C0269800 [3.0] 1A.9.0315 Focus The discharge of amniotic fluid vaginally due to a tear or rupture in the amniotic membrane.[NCI/PT] H02174806 H02174792 Leakage of amniotic fluid 양수누출 C0269800 [3.0] 1A.9.0315 Focus The discharge of amniotic fluid vaginally due to a tear or rupture in the amniotic membrane.[NCI/PT] H02174819 H02174819 Level of education 교육수준 C0013658 [3.0] 1A.9.0316 Focus 교육서비스 H02174821 H02174819 Education level 교육수준 C0013658 [3.0] 1A.9.0316 Focus 교육서비스 H02174850 H02174850 Lighting 채광 C0023693 [3.0] 1A.9.0318 Focus "채광에는 자연광에 의한 주간조명과 인공 조명이 있다. 주광조명의 경우에는 주광율(실내조도/실외조도X100)을 1%이상으로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창면적을 바닥면적의 1/5이상으로 창의 높이는 방 전후깊이의 1/2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조수단으로서 실내의 천장. 벽의 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색채조절이라 한다. 인공조명법은 고체, 액체 또는 가스체의 연소 또는 전기에너지를 쓴다. 위생학상. 좋은 것은 전등이며, 가스등, 석유램프 등이 이에 버금한다. 조명에 있어 주의 할 점은 (1) 작업상 충분한 조도(照度)일 것. (2) 주광색에 가까울 것, (3) 유해가스를 발생하기 않을 것, (4) 폭발ㆍ유해가스를발생하지 않을 것. (4) 폭발ㆍ발화의 위험이 없을 것, (5) 취급이 간편하고 염가일 것, 등이다. 또 조명방법은, (1) 직접조명, (2) 간접조명, (3) 반간접조명의 3종류로 구별되는데, 이밖에 조명이 일양하나, 국부적이냐에 따라, 전반조명과 국소조명으로 나눈다.[간호학대사전]" H02174862 H02174850 Lighting 조명 C0023693 [3.0] 1A.9.0318 Focus "채광에는 자연광에 의한 주간조명과 인공 조명이 있다. 주광조명의 경우에는 주광율(실내조도/실외조도X100)을 1%이상으로 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창면적을 바닥면적의 1/5이상으로 창의 높이는 방 전후깊이의 1/2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조수단으로서 실내의 천장. 벽의 색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것을 색채조절이라 한다. 인공조명법은 고체, 액체 또는 가스체의 연소 또는 전기에너지를 쓴다. 위생학상. 좋은 것은 전등이며, 가스등, 석유램프 등이 이에 버금한다. 조명에 있어 주의 할 점은 (1) 작업상 충분한 조도(照度)일 것. (2) 주광색에 가까울 것, (3) 유해가스를 발생하기 않을 것, (4) 폭발ㆍ유해가스를발생하지 않을 것. (4) 폭발ㆍ발화의 위험이 없을 것, (5) 취급이 간편하고 염가일 것, 등이다. 또 조명방법은, (1) 직접조명, (2) 간접조명, (3) 반간접조명의 3종류로 구별되는데, 이밖에 조명이 일양하나, 국부적이냐에 따라, 전반조명과 국소조명으로 나눈다.[간호학대사전]" H02174875 H02174875 List 목록 C0745732 [3.0] 1A.9.0320 Focus 관계자의 이름을 적은 표 H02174888 H02174875 List 명단 C0745732 [3.0] 1A.9.0320 Focus 관계자의 이름을 적은 표 H02174891 H02174875 List 리스트 C0745732 [3.0] 1A.9.0320 Focus 관계자의 이름을 적은 표 H02174920 H02174920 Long term medication 장기투약 [3.0] 1A.9.0322 Focus 투약 요법 H02174932 H02174932 Low calorie 저열량 [3.0] 1A.9.0323 Focus 열량 H02174945 H02174945 Low calorie diet 저열량식사 C2930544 [3.0] 1A.9.0324 Focus 식사요법 H02174958 H02174945 Low caloric diet 저칼로리식 C2930544 [3.0] 1A.9.0324 Focus 식사요법 H02174961 H02174961 Low fat 저지방 C0242970 [3.0] 1A.9.0325 Focus 영양 상태 H02174973 H02174973 Low fat diet 저지방식사 C0242970 [3.0] 1A.9.0326 Focus 식사요법 H02174986 H02174973 Low fat diet 저지방식 C0242970 [3.0] 1A.9.0326 Focus 식사요법 H02174999 H02174999 Low frequency 저주파 C0205213 [3.0] 1A.9.0327 Focus "전자기파(電磁氣波)의 주파수에 의한 분류로서, 보통 10 kHz 이하를 말한다. 오디오(음성) 주파수와 비슷하다. 저주파에서는 전자기파의 공간방사가 적고, 물질유전체손실(誘電體損失) ·피층효과(皮層效果) 등도 작으며, 측정기술이 충분히 확립되어 있다. 또 단순히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범위라는 정도의 뜻으로 사용되며, 고주파에 대한 말이기도 하다. 무선통신에서는 음성주파를 저주파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두산백과]" H02175006 H02175006 Low salt 저염 [3.0] 1A.9.0328 Focus 영양 상태 H02175019 H02175019 Low salt diet 저염식사 C0012169 [3.0] 1A.9.0329 Focus "소금의 양을 제한하여 만든 치료용 음식. 콩팥병이나 고혈압, 심장 부종 따위의 치료에 쓴다.[간호학대사전]" H02175034 H00992238 Male 남 C1706429 [3.0] 1A.9.0333 Focus 정자를 생산하여 아이를 만들 수 있는 성적 능력이 있는 생물. H02175075 H00972397 Lump 멍울 C0577559 [3.0] 1A.9.0335 Focus 응집된 입자체(粒子體) 또는 덩어리. H02175104 H02175104 Meaningfulness 의미있음 C0870867 [3.0] 1A.9.0337 Focus "Having meaning, function, or purpose.[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copyright ⓒ2000 by Houghton Mifflin Company. Updated in 2009.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2175117 H02175104 Meaningfulness 중요함 C0870867 [3.0] 1A.9.0337 Focus "Having meaning, function, or purpose.[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copyright ⓒ2000 by Houghton Mifflin Company. Updated in 2009.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2175120 H02175120 Medical consulting 타과의뢰 [3.0] 1A.9.0338 Focus 상담함 H02175132 H02175132 Medical department 진료과 C0587450 [3.0] 1A.9.0339 Focus 진료부서 H02175161 H02175161 Medication history 투약력 C1553893 [3.0] 1A.9.0341 Focus "medication regime, indicating current/recent health status" "[Illustrated Dictionary of Podiatry and Foot Science by Jean Mooney ⓒ 2009 Elsevier Limited. All rights reserved.]""" H02175173 H02175161 Drug history 투약력 [3.0] 1A.9.0341 Focus "medication regime, indicating current/recent health status" "[Illustrated Dictionary of Podiatry and Foot Science by Jean Mooney ⓒ 2009 Elsevier Limited. All rights reserved.]""" H02175186 H02175186 Medication list 투약목록 C0746470 [3.0] 10042684 1A.9.0342 Focus 투약 H02175202 H02175202 Mental 정신 C0229992 [3.0] 1A.9.0344 Focus 육체나 물질에 대립되는 영혼이나 마음.[표준국어대사전] H02175215 H02175215 Mental assessment 정신사정 [3.0] 1A.9.0345 Focus Assessing a patient's mental health and/or emotional wellbeing.[ALT/PT] H02175228 H02175228 Mild symptom 경증 [3.0] 1A.9.0346 Focus 병의 가벼운 증세.[표준국어대사전] H02175269 H02175269 Moderate symptom 중등증 [3.0] 1A.9.0348 Focus 증상 H02175339 H01090427 Muscular strength 근육힘 [3.0] 1A.9.0353 Focus 0 | 1 | 2 | 3 | 4 | 5 "어떤 근육이 근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발휘하는 최대장력(最大張力)으로 나타내고, 보통 사람의 경우 kg 단위로 표시하며, 근력계(筋力計)·배근력계(背筋力計) 등으로 계측한다. 대체로 근육의 횡단면 1㎠당 5∼10kg이다.[두산백과]" H02175341 H01090427 Muscle force 근력 [3.0] 1A.9.0353 Focus 0 | 1 | 2 | 3 | 4 | 5 "어떤 근육이 근의 길이를 바꾸지 않고 발휘하는 최대장력(最大張力)으로 나타내고, 보통 사람의 경우 kg 단위로 표시하며, 근력계(筋力計)·배근력계(背筋力計) 등으로 계측한다. 대체로 근육의 횡단면 1㎠당 5∼10kg이다.[두산백과]" H02175395 H02175395 Mucopurulent stool 점액고름변 [3.0] 1A.9.0356 Focus 손상된 배변 H02175409 H02175395 Mucopurulent stool 점액농성대변 [3.0] 1A.9.0356 Focus 손상된 배변 H02175411 H02175411 Mucosal lesion 점막 병변 [3.0] 1A.9.0357 Focus 손상된 점막 H02175424 H02175424 Muscle rigidity 근육 경축 C0026837 [3.0] 1A.9.0358 Focus "근육긴장항진의 하나의 형. 근의 수동적인 신장에 의해 신장된 근이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키고 신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장운동의 속도에 따르지 않고 또 신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정도의 저항을 나타낸다. 저항이 나타나는 모양에 따라 연관현상(鉛管現象) lead pipe phenomenon, 톱니바퀴현상 cog-wheel phenomenon 등으로 형용된다. 신장운동의 초기에만 저항을 나타내고 신장을 계속하면 저항이 소실하는 근경련 spasticity이 되는 상태이다. 파킨슨씨병 등의 추체외로 질환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437 H02175424 Muscle rigidity 근강직 C0026837 [3.0] 1A.9.0358 Focus "근육긴장항진의 하나의 형. 근의 수동적인 신장에 의해 신장된 근이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키고 신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장운동의 속도에 따르지 않고 또 신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정도의 저항을 나타낸다. 저항이 나타나는 모양에 따라 연관현상(鉛管現象) lead pipe phenomenon, 톱니바퀴현상 cog-wheel phenomenon 등으로 형용된다. 신장운동의 초기에만 저항을 나타내고 신장을 계속하면 저항이 소실하는 근경련 spasticity이 되는 상태이다. 파킨슨씨병 등의 추체외로 질환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440 H02175424 Muscle rigidity 근경직 C0026837 [3.0] 1A.9.0358 Focus "근육긴장항진의 하나의 형. 근의 수동적인 신장에 의해 신장된 근이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키고 신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장운동의 속도에 따르지 않고 또 신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정도의 저항을 나타낸다. 저항이 나타나는 모양에 따라 연관현상(鉛管現象) lead pipe phenomenon, 톱니바퀴현상 cog-wheel phenomenon 등으로 형용된다. 신장운동의 초기에만 저항을 나타내고 신장을 계속하면 저항이 소실하는 근경련 spasticity이 되는 상태이다. 파킨슨씨병 등의 추체외로 질환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452 H02175424 Rigidity of muscle 근경축 [3.0] 1A.9.0358 Focus "근육긴장항진의 하나의 형. 근의 수동적인 신장에 의해 신장된 근이 지속적인 수축을 일으키고 신장에 대한 저항을 나타내는 것이다. 신장운동의 속도에 따르지 않고 또 신장의 처음부터 끝까지 같은 정도의 저항을 나타낸다. 저항이 나타나는 모양에 따라 연관현상(鉛管現象) lead pipe phenomenon, 톱니바퀴현상 cog-wheel phenomenon 등으로 형용된다. 신장운동의 초기에만 저항을 나타내고 신장을 계속하면 저항이 소실하는 근경련 spasticity이 되는 상태이다. 파킨슨씨병 등의 추체외로 질환에서 볼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465 H02175465 Muscle tone 근긴장도 C0026841 [3.0] 1A.9.0359 Focus "근육의 가볍고도 지속적인 수축, 긴장의 정도 굳기를 표현하는 것이고 골격근에서 자세의 유지 및 혈액의 심장으로의 귀환을 돕고 있다. 근긴장은 근의 촉진상의 굳기, 타동적 관절의 운동, 관절의 신전성, 자세의 이상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근긴장은 근질환, 소뇌질환, 후삭장애 등에 의해 저하하고 추체로 장애, 파킨슨씨병 등으로 항진한다. 근긴장에는 근육자체의 성상, 척수반사, 추체로계, 소뇌-전정계(前庭系), 대뇌기저핵, 뇌간 망양체 등의 기능이 복잡하게 관여하고 고유감각계로부터의 피드백도 관계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478 H02175465 Muscle tone 근육긴장도 C0026841 [3.0] 1A.9.0359 Focus "근육의 가볍고도 지속적인 수축, 긴장의 정도 굳기를 표현하는 것이고 골격근에서 자세의 유지 및 혈액의 심장으로의 귀환을 돕고 있다. 근긴장은 근의 촉진상의 굳기, 타동적 관절의 운동, 관절의 신전성, 자세의 이상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근긴장은 근질환, 소뇌질환, 후삭장애 등에 의해 저하하고 추체로 장애, 파킨슨씨병 등으로 항진한다. 근긴장에는 근육자체의 성상, 척수반사, 추체로계, 소뇌-전정계(前庭系), 대뇌기저핵, 뇌간 망양체 등의 기능이 복잡하게 관여하고 고유감각계로부터의 피드백도 관계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481 H02175465 Musculus tonus 근긴장 [3.0] 1A.9.0359 Focus "근육의 가볍고도 지속적인 수축, 긴장의 정도 굳기를 표현하는 것이고 골격근에서 자세의 유지 및 혈액의 심장으로의 귀환을 돕고 있다. 근긴장은 근의 촉진상의 굳기, 타동적 관절의 운동, 관절의 신전성, 자세의 이상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근긴장은 근질환, 소뇌질환, 후삭장애 등에 의해 저하하고 추체로 장애, 파킨슨씨병 등으로 항진한다. 근긴장에는 근육자체의 성상, 척수반사, 추체로계, 소뇌-전정계(前庭系), 대뇌기저핵, 뇌간 망양체 등의 기능이 복잡하게 관여하고 고유감각계로부터의 피드백도 관계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493 H02175465 Musculus tonus 근육긴장 [3.0] 1A.9.0359 Focus "근육의 가볍고도 지속적인 수축, 긴장의 정도 굳기를 표현하는 것이고 골격근에서 자세의 유지 및 혈액의 심장으로의 귀환을 돕고 있다. 근긴장은 근의 촉진상의 굳기, 타동적 관절의 운동, 관절의 신전성, 자세의 이상에 의해 판정할 수 있다. 근긴장은 근질환, 소뇌질환, 후삭장애 등에 의해 저하하고 추체로 장애, 파킨슨씨병 등으로 항진한다. 근긴장에는 근육자체의 성상, 척수반사, 추체로계, 소뇌-전정계(前庭系), 대뇌기저핵, 뇌간 망양체 등의 기능이 복잡하게 관여하고 고유감각계로부터의 피드백도 관계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507 H01099927 Myoclonus 근간대경련 C0027066 [3.0] G25.3 1A.9.0360 Focus "1) 근육의 일부, 근육 전체, 또는 일군의 근육의 쇽모양의 수축으로서 신체의 일부영역에 제한되거나, 혹은 여러부위에서 동시성(同時性) 또는 비동시성으로 나타난다. 2) 골격근의 전격(電擊)과 같은 빠른 불수의 수축을 말한다. 수축의 범위는 한 근육 소부분에 한정하는 것부터 전신에 미치는 것까지 각종으르, 몇개의 부위가 동시에 수축해서 특수한 운동을 일으키는 것 등, 그 형태도 가지각색이다. 원인은 간질성과 그 외가 있다. (1) 간질의 한 형태인 마이오클로누스는 빛, 음, 촉각자극으로 마이오클로누스운동이 유발되는 것으로 대부분은 근수축에 대응해서 뇌파에 극파가 출현한다. 대발작형간질을 합병하는 것도 있다. 진행성 마이오클로누스간질은 몇개의 질환을 포함하는데, 소아기에 발증하며 소뇌실조, 정신장애를 동반한 라포라 Lafora병이 유명하다. (2) 안정시에 출현하는 마이오클로누스에 구개, 인두나 안면에 규칙적인 마이오클로누스운동이 나타나는 구개 마이오클로누스, 척수장애에 의한 신체일부의 마이오클로누스(척수성 마이오클로누스)가 있다. (3) 수의운동에 의해 사지에 심한 마이오클로누스성 불수의 운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동작성 마이오클로누스라고 한다. 저산소증에 의한 뇌장애 후유증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5510 H01099927 Myoclonus 근육간대경련 C0027066 [3.0] G25.3 1A.9.0360 Focus "1) 근육의 일부, 근육 전체, 또는 일군의 근육의 쇽모양의 수축으로서 신체의 일부영역에 제한되거나, 혹은 여러부위에서 동시성(同時性) 또는 비동시성으로 나타난다. 2) 골격근의 전격(電擊)과 같은 빠른 불수의 수축을 말한다. 수축의 범위는 한 근육 소부분에 한정하는 것부터 전신에 미치는 것까지 각종으르, 몇개의 부위가 동시에 수축해서 특수한 운동을 일으키는 것 등, 그 형태도 가지각색이다. 원인은 간질성과 그 외가 있다. (1) 간질의 한 형태인 마이오클로누스는 빛, 음, 촉각자극으로 마이오클로누스운동이 유발되는 것으로 대부분은 근수축에 대응해서 뇌파에 극파가 출현한다. 대발작형간질을 합병하는 것도 있다. 진행성 마이오클로누스간질은 몇개의 질환을 포함하는데, 소아기에 발증하며 소뇌실조, 정신장애를 동반한 라포라 Lafora병이 유명하다. (2) 안정시에 출현하는 마이오클로누스에 구개, 인두나 안면에 규칙적인 마이오클로누스운동이 나타나는 구개 마이오클로누스, 척수장애에 의한 신체일부의 마이오클로누스(척수성 마이오클로누스)가 있다. (3) 수의운동에 의해 사지에 심한 마이오클로누스성 불수의 운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동작성 마이오클로누스라고 한다. 저산소증에 의한 뇌장애 후유증에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5535 H02175535 Nasal stuffiness 코막힘 C0027424 [3.0] 1A.9.0362 Focus 비강(鼻腔)의 속이 좁아서 공기의 유통이 나빠진 상태.[간호학대사전] H02175548 H02175535 Nasal obstruction 비폐색 C0027429 [3.0] 1A.9.0362 Focus 비강(鼻腔)의 속이 좁아서 공기의 유통이 나빠진 상태.[간호학대사전] H02175551 H02175551 Negative expression 부정적인 표현 [3.0] 1A.9.0366 Focus 표현 H02175563 H02175563 Networking construction 관계망구축 [3.0] 1A.9.0368 Focus 조직화함 H02175576 H02175576 Neuromuscular 신경근육 C1979768 [3.0] 1A.9.0369 Focus 근육과 신경에 관계된. H02175589 H02175576 Neuromuscular 신경근 C1979768 [3.0] 1A.9.0369 Focus 근육과 신경에 관계된. H02175591 H02175591 Neurovascular system 신경혈관계 [3.0] 1A.9.0370 Focus 신체 체계 H02175621 H02175621 Normal activity 정상활동 [3.0] 1A.9.0372 Focus 환자 활동 H02175633 H02175633 Normal diet 보통식 C0184625 [3.0] 1A.9.0373 Focus "일반적으로 병원급식에서는 입원환자에 대해서 보통식이 주어지고 있다. 별명 상식(常食) 또는 고형식(固形食)이라고 불리운다. 내용으로서는 1일1인당 당질 300~350g, 지방50~60g, 단백질70g정도로 2000~2400kcal의 것이 많다. 의사에 의한 식사처방전이 지시되며, 보통식, 반유동식(1분죽, 삼분죽, 5분죽, 7분죽, 전죽) 및 유동식(중탕)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들을 총칭해서 일반식이라고 한다. 한편 일반식 외에 신장식이, 당뇨식이, 간장식이, 잠혈식(潛血食)이, 수술후식(術後食)이 등의 특별식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646 H02175633 Ordinary diet 상식 [3.0] 1A.9.0373 Focus "일반적으로 병원급식에서는 입원환자에 대해서 보통식이 주어지고 있다. 별명 상식(常食) 또는 고형식(固形食)이라고 불리운다. 내용으로서는 1일1인당 당질 300~350g, 지방50~60g, 단백질70g정도로 2000~2400kcal의 것이 많다. 의사에 의한 식사처방전이 지시되며, 보통식, 반유동식(1분죽, 삼분죽, 5분죽, 7분죽, 전죽) 및 유동식(중탕)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들을 총칭해서 일반식이라고 한다. 한편 일반식 외에 신장식이, 당뇨식이, 간장식이, 잠혈식(潛血食)이, 수술후식(術後食)이 등의 특별식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5659 H02175659 Common diet 일반식 [3.0] Focus "병원에서 급식되고 있는 식사에는 일반식과 특별식이 있다. 일반식은 경도에 따라서 유동식, 반유동식, 보통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H02175661 H02175659 General diet 일반식 C0301563 [3.0] Focus "병원에서 급식되고 있는 식사에는 일반식과 특별식이 있다. 일반식은 경도에 따라서 유동식, 반유동식, 보통식으로 구분되고 있다." H02175674 H02175674 Fluid diet 유동식 C0301571 [3.0] Focus "유동식이라는 것은 액상의 음식물이다. 소화기 질환의 급성기, 급성 전염병, 외과적 수술후 등에는 소화흡수의 기능이 쇠퇴해가기 때문에 유동식이 주어진다. 중탕, 스프, 우유, 과즙 등이 이용되는데 영양가는 낮다. 장기간에 걸쳐 유동식을 주는 것은 영양상 바람직하지 않다.[간호학대사전]" H02175687 H02175687 Semifluid food 반유동식 [3.0] Focus "연식(軟食)이라고도 한다. 죽을 주식으로 하고 부식으로서는 계란, 생선, 두부, 녹색야채를 부드럽게 찐것이나 과일등의 소화되기 쉬운 것을 선택해서 이용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5690 H02175687 Semifluid food 연식 [3.0] Focus "연식(軟食)이라고도 한다. 죽을 주식으로 하고 부식으로서는 계란, 생선, 두부, 녹색야채를 부드럽게 찐것이나 과일등의 소화되기 쉬운 것을 선택해서 이용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5729 H01454595 Note 기록 C1317574 [3.0] 1A.9.0479.S.001 Focus 주로 후일에 남길 목적으로 어떤 사실을 적음. 또는 그런 글.[표준국어대사전] H02175772 H02175772 Number 개수 C0237753 [3.0] 1A.9.0377 Focus 한 개씩 낱으로 셀 수 있는 물건의 수효.[표준국어대사전] H02175785 H02175772 Number 숫자 C0237753 [3.0] 1A.9.0377 Focus "1) 수를 나타내는 글자. 1, 2, 3, …… 또는 一, 二, 三, …… 따위이다." 2) 금전 예산 통계 따위에 숫자로 표시되는 사항. 또는 수량적인 사항. "3) 사물이나 사람의 수.[표준국어대사전]""" H02175801 H02175801 Numeric type 수치형 [3.0] 1A.9.0379 Focus 아날로그와 대비된다. 모든 정보를 이상적인 숫자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나 물리량을 「숫자」의 나열에 의해 표현하는 것을 가리킨다.[컴퓨터인터넷IT용어대사전] H02175830 H02175830 Nursing unit 간호단위 C1545982 [3.0] 1A.9.0381 Focus "어떤 일정한 장소ㆍ시설에서의 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조직의 요소로서 병원진료 조직상의 물리적인 한 구획을 가리키는 말(병동)과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간호단위는 입원실 단위뿐 아니라 수술실, 분만실, 외래진료소, 중앙공급실, 중환자실 등의 특수간호단위도 포함된다. 구조상은 하나(병동)인데, 거기에 독립된 2개의 간호집단이 있는 경우에는 1병동 2간호단위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5842 H02175842 Nursing records 간호기록 C0028694 [3.0] 1A.9.0382 Focus "간호사의 책임하에 기재하는 공적인 환자개인의 기록이다. 이것은 의료기록의 일부가 되는 것으로 입원중, 외래통원중의 의료기록은 해당부서의 장에 의해서 관리된다. 간호기록에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주요한 것을 말하자면 (1) 질병을 중심으로 한 개인의 생활상이 기재되는 개인병력. (2) 환자가 지닌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고 또 장래 일어나는 문제를 예상해 금후 해야할 간호수단을 기재하는 간호계획서(카텍스) (3) 실시된 간호내용, 환자에게 접하는 가운데 얻은 관찰과 환자가 표시한 반응 등 (3) 에 대한 기록은 직접담당한 간호사에 의해서 사실이 정확하게 기재되고 서명에 의해서 책임의 소재가 명확하게 될것이 요구된다. 또 이것은 간호의 여러 기록 가운데 주체를 이루는 것이고 법적인 자료도 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5855 H02175855 Nutrition department 영양과 [3.0] 1A.9.0383 Focus 진료부서 H02175868 H02175855 Dietary department 영양과 [3.0] 1A.9.0383 Focus 진료부서 H02175912 H02175912 Obstetric diet 산모식사 [3.0] 1A.9.0386 Focus 식사요법 H02175925 H02175925 Obstinacy 난치 [3.0] 1A.9.0387 Focus 병이나 버릇 따위를 고치기 어려움.[표준국어대사전] H02175981 H01169199 Oliguria 가뭄뇨증 C0028961 [3.0] 1A.9.0388 Focus "1) 수분섭취량에 비해서 요(尿)배설량이 감소한 것. 2) 1일의 요량이 정상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한 상태이다. 요량은 1일 300-350㎖이하가 되며, 요의 생성이 적고, 요량이 감소한 상태로, 방광 등의 요로에 통과장애가 없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는 수분섭취량 감소, 구토, 설사, 고도의 발한에 의한 수분상실, 쇼크, 출혈에 의한 신혈류량 저하, 신증, 사구체신염 등 고도로 신기능이 장애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3) 오줌의 양이 생리적 증감의 범위를 넘어서 현저하게 감소된 경우. 건강한 성인의 하루 오줌의 양은 대체로 남자 1,500mL, 여자 1,200ml이고 수분 섭취량-땀남 등에 의하여 생리적 증감이 있다. 보통 500mL 이하 경우를 소변감소증이라고 하고 200mL 이하 경우는 무뇨증이라고 한다. 콩팥염-승홍중독-부적합 수혈 등에 의한 콩팥기능장애와 돌-종양-협착 등에 의한 양쪽 요관의 통과장애일 때 볼 수 있다. 그 밖에 심한 구토-설사-외상성 쇼크 등 비뇨기계 이외의 원인으로도 일어난다. 소변감소증이 오래 게속되면 위험하므로 원인을 찾아서 그에 따른 치료를 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6014 H01170042 Omphalocele 제류 C0795690 [3.0] Q79.2 1A.9.0389 Focus "흑인, 여아, 미숙아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개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나서 1세경 없어진다. 아기가 울 때나 기침할 때, 힘쓸 때 탈장 부위가 튀어나오지만, 다시 섬유 제륜 속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탈장 부위 안으로 장망이나 소장이 밀려들어갈 수 있으나 장감돈은 드물다. 배꼽 헤르니아는 크기가 5~6cm로 큰 것도 대개 5~6세경 저절로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과적 수술은 장감돈이 되거나 1~2세경에도 계속 커질 때 시행하며, 테이프로 붙여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두산백과]" H02176027 H02761472 Exomphalos 배꼽탈출 C0019322 [3.0] 1A.9.0389 Focus "흑인, 여아, 미숙아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개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나서 1세경 없어진다. 아기가 울 때나 기침할 때, 힘쓸 때 탈장 부위가 튀어나오지만, 다시 섬유 제륜 속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탈장 부위 안으로 장망이나 소장이 밀려들어갈 수 있으나 장감돈은 드물다. 배꼽 헤르니아는 크기가 5~6cm로 큰 것도 대개 5~6세경 저절로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과적 수술은 장감돈이 되거나 1~2세경에도 계속 커질 때 시행하며, 테이프로 붙여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두산백과]" H02176055 H01765059 Umbilical hernia 제대탈장 C0019322 [3.0] K42.9 1A.9.0389 Focus "흑인, 여아, 미숙아 및 갑상선기능저하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대개 생후 6개월 전에 나타나서 1세경 없어진다. 아기가 울 때나 기침할 때, 힘쓸 때 탈장 부위가 튀어나오지만, 다시 섬유 제륜 속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탈장 부위 안으로 장망이나 소장이 밀려들어갈 수 있으나 장감돈은 드물다. 배꼽 헤르니아는 크기가 5~6cm로 큰 것도 대개 5~6세경 저절로 막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외과적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는 드물다. 외과적 수술은 장감돈이 되거나 1~2세경에도 계속 커질 때 시행하며, 테이프로 붙여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두산백과]" H02176071 H01186331 Opisthotonus 후궁반장 C0151818 [3.0] 1A.9.0390 Focus "1) 머리와 발뒤꿈치는 뒤로 굴곡하고 구간(軀幹)은 앞으로구부러진경련의 1형. Opisthotonos 2) 경부(後頸部)의 근 및 배근, 상하지근의 근긴장 항진 또는 경련에 의해 경부를 강하게 배굴(背屈)시켜 전신이 후방궁형(後方弓形)으로 굽혀지는 상태를 말한다. 수막염, 파상풍(테타누수), 디프테리아에 의한 수막증(메닌기슴, meningism, 중뇌종양, 전간, 각종 원인에 의한 테타니등에서 나타나면, 또한 히스테리 hysteria의 중요한 징후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6083 H01186331 Opisthotonus 반궁긴장 C0151818 [3.0] 1A.9.0390 Focus "1) 머리와 발뒤꿈치는 뒤로 굴곡하고 구간(軀幹)은 앞으로구부러진경련의 1형. Opisthotonos 2) 경부(後頸部)의 근 및 배근, 상하지근의 근긴장 항진 또는 경련에 의해 경부를 강하게 배굴(背屈)시켜 전신이 후방궁형(後方弓形)으로 굽혀지는 상태를 말한다. 수막염, 파상풍(테타누수), 디프테리아에 의한 수막증(메닌기슴, meningism, 중뇌종양, 전간, 각종 원인에 의한 테타니등에서 나타나면, 또한 히스테리 hysteria의 중요한 징후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6096 H01186331 Opisthotonus 경직성발작 C0151818 [3.0] 1A.9.0390 Focus "1) 머리와 발뒤꿈치는 뒤로 굴곡하고 구간(軀幹)은 앞으로구부러진경련의 1형. Opisthotonos 2) 경부(後頸部)의 근 및 배근, 상하지근의 근긴장 항진 또는 경련에 의해 경부를 강하게 배굴(背屈)시켜 전신이 후방궁형(後方弓形)으로 굽혀지는 상태를 말한다. 수막염, 파상풍(테타누수), 디프테리아에 의한 수막증(메닌기슴, meningism, 중뇌종양, 전간, 각종 원인에 의한 테타니등에서 나타나면, 또한 히스테리 hysteria의 중요한 징후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6100 H01186331 Opisthotonus 반궁형긴장 C0151818 [3.0] 1A.9.0390 Focus "1) 머리와 발뒤꿈치는 뒤로 굴곡하고 구간(軀幹)은 앞으로구부러진경련의 1형. Opisthotonos 2) 경부(後頸部)의 근 및 배근, 상하지근의 근긴장 항진 또는 경련에 의해 경부를 강하게 배굴(背屈)시켜 전신이 후방궁형(後方弓形)으로 굽혀지는 상태를 말한다. 수막염, 파상풍(테타누수), 디프테리아에 의한 수막증(메닌기슴, meningism, 중뇌종양, 전간, 각종 원인에 의한 테타니등에서 나타나면, 또한 히스테리 hysteria의 중요한 징후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6112 H01186331 Opisthotonos 활울림긴장 C0151818 [3.0] 1A.9.0390 Focus "1) 머리와 발뒤꿈치는 뒤로 굴곡하고 구간(軀幹)은 앞으로구부러진경련의 1형. Opisthotonos 2) 경부(後頸部)의 근 및 배근, 상하지근의 근긴장 항진 또는 경련에 의해 경부를 강하게 배굴(背屈)시켜 전신이 후방궁형(後方弓形)으로 굽혀지는 상태를 말한다. 수막염, 파상풍(테타누수), 디프테리아에 의한 수막증(메닌기슴, meningism, 중뇌종양, 전간, 각종 원인에 의한 테타니등에서 나타나면, 또한 히스테리 hysteria의 중요한 징후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6125 H02176125 Person orientation 사람 지남력 [3.0] 1A.9.0391 Focus 1) a continually evolving process in which a person determines and evaluates the relationships that appear to exist between him or her and other people. 2) the assessment of those relationships derived by a person.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2176138 H02176125 Personal orientation 사람 지남력 [3.0] 1A.9.0391 Focus 1) a continually evolving process in which a person determines and evaluates the relationships that appear to exist between him or her and other people. 2) the assessment of those relationships derived by a person.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2176141 H02176141 Place orientation 장소 지남력 [3.0] 1A.9.0392 Focus "Mental functions that produce awareness of one's location, such as one's immediate surroundings, one's town or country.[ICF/PT]" H02176153 H02176153 Orthostatic blood pressure 기립혈압 C1095971 [3.0] 1A.9.0394 Focus 혈압 H02176223 H01288543 Knee jerk 슬개반사 C0234147 [3.0] 1A.9.0399 Focus 걸터 앉아 하퇴를 늘어뜨린 상태 또는 반듯이 누은 자세에서 슬관절을 구부려 세운 상태에서 슬개밑의 건을 가법게 두드리면 대퇴사두근이 수축해 발이 전방으로 튀어오르는 반사. 두드림으로써 대건사두근 속의 근방추(筋紡錘)가 늘어나 이 수용기로부터의 자극이 구심신경을 거쳐 척수(제2~4용수)로 전해지고 대퇴사두근의 운동뉴론이 흉분하는 결과 발생하는 신전반사이다. 반사궁에 포함되는 뉴론은 2개의 단시냅스반사이다. 건강인에게 보통 발생하고 이것이 저하 또는 소실하는 것은 신경이나 척수 염증등의 경우이고 항진 하는 것은 상위에서 이 반사에 대한 억제가 감퇴했을 때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6236 H02176236 Patient management 환자관리 C1610129 [3.0] 1A.9.0400 Focus 관리함 H02176249 H02176249 Patient registration 환자등록 C0421512 [3.0] 1A.9.0401 Focus 등록 H02176251 H02176251 Pedigree 가계도 C0030761 [3.0] 1A.9.0402 Focus "1) 가계도(家系圖),혈통(血統),가계의 도표로서 멘델법칙에 의한 유전의 연구에 사용된다. 2) 혈연 또는 결혼관계를 나타낸 그림. 일반적으로 남자는 정사각형, 여자는 원형으로 나타낸다. 남녀의 기호를 가로선으로 연결한 것을 결혼선이라고 하여 부부임을 나타내며, 결혼선의 거의 중심점에서 아래로 선을 그어 하단에 자식의 기호를 쓰는데 자식이 2명 이상이면 왼쪽에서부터 출생순으로 배열한다. 세대수는 그림의 왼쪽 끝에 로마자로 표시하고 각 기호의 오른쪽 상단에는 각 세대마다 아라비아 숫자로 일련번호를 붙인다. 사망자, 유산, 성불명인 것까지 모두 기재할 때 완전한 것으로 본다. 특별한 형질을 가진 사람은 기호에 색을 칠하거나 또는 사선, 세로선 등으로 구별하고 발단자에는 화살표 등을 붙인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6264 H02176251 Genogram 가계도 [3.0] 1A.9.0402 Focus "1) 가계도(家系圖),혈통(血統),가계의 도표로서 멘델법칙에 의한 유전의 연구에 사용된다. 2) 혈연 또는 결혼관계를 나타낸 그림. 일반적으로 남자는 정사각형, 여자는 원형으로 나타낸다. 남녀의 기호를 가로선으로 연결한 것을 결혼선이라고 하여 부부임을 나타내며, 결혼선의 거의 중심점에서 아래로 선을 그어 하단에 자식의 기호를 쓰는데 자식이 2명 이상이면 왼쪽에서부터 출생순으로 배열한다. 세대수는 그림의 왼쪽 끝에 로마자로 표시하고 각 기호의 오른쪽 상단에는 각 세대마다 아라비아 숫자로 일련번호를 붙인다. 사망자, 유산, 성불명인 것까지 모두 기재할 때 완전한 것으로 본다. 특별한 형질을 가진 사람은 기호에 색을 칠하거나 또는 사선, 세로선 등으로 구별하고 발단자에는 화살표 등을 붙인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6277 H02176251 Family tree 가계도 C1148543 [3.0] 1A.9.0402 Focus "1) 가계도(家系圖),혈통(血統),가계의 도표로서 멘델법칙에 의한 유전의 연구에 사용된다. 2) 혈연 또는 결혼관계를 나타낸 그림. 일반적으로 남자는 정사각형, 여자는 원형으로 나타낸다. 남녀의 기호를 가로선으로 연결한 것을 결혼선이라고 하여 부부임을 나타내며, 결혼선의 거의 중심점에서 아래로 선을 그어 하단에 자식의 기호를 쓰는데 자식이 2명 이상이면 왼쪽에서부터 출생순으로 배열한다. 세대수는 그림의 왼쪽 끝에 로마자로 표시하고 각 기호의 오른쪽 상단에는 각 세대마다 아라비아 숫자로 일련번호를 붙인다. 사망자, 유산, 성불명인 것까지 모두 기재할 때 완전한 것으로 본다. 특별한 형질을 가진 사람은 기호에 색을 칠하거나 또는 사선, 세로선 등으로 구별하고 발단자에는 화살표 등을 붙인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6280 H02176280 Peripheral coldness 말단 냉증 C0277925 [3.0] 1A.9.0403 Focus "peripheral coldness also known as or related to periphery feels cold, cold induced white fingers, coldness of extremities, cold toe, cold foot (finding), cold feet[www.patient.co.uk]" H02176347 H02176347 Physical assessment 신체사정 C0031809 [3.0] 1A.9.0407 Focus "the part of the health assessment representing a synthesis of the information obtained in a physical examination. It involves th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body from head to toe using the techniques of observation/inspection, palpation, percussion, and auscultation. " [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 Elsevier.]""" H02176350 H02176350 Physical exercise 신체운동 C0015259 [3.0] 1A.9.0408 Focus 운동 행동 H02176362 H02176362 Physical regulation 신체적 조절 [3.0] 1A.9.0409 Focus 조절계 과정 H02176375 H02176375 Physical status 신체상태 [3.0] 1A.9.0410 Focus 상태 H02176420 H00578587 Polydipsia 번갈증 C0085602 [3.0] R63.1 1A.9.0414 Focus 당뇨병에서와 같이 장기간 지속되는 비정상적으로 강한 구갈 또는 갈증. H02176445 H02176445 Position change 자세변경 C0444793 [3.0] 1A.9.0417 Focus 자세변경기법 H02176458 H02176445 Position change 체위변경 C0444793 [3.0] 1A.9.0417 Focus 자세변경기법 H02176461 H02176461 Position type 자세종류 [3.0] 1A.9.0418 Focus FP | SFP | Rt. Lateral | Lt. Lateral | prone | supine | sitting position | supine without pillow | s 자세 H02176473 H02176461 Position type 체위종류 [3.0] 1A.9.0418 Focus FP | SFP | Rt. Lateral | Lt. Lateral | prone | supine | sitting position | supine without pillow | s 자세 H02176486 H02176486 Post procedure side effect 시술후 부작용 [3.0] 1A.9.0419 Focus 부작용 H02176499 H02176499 Post surgical structure 수술후 생성된 신체구조 [3.0] 1A.9.0420 Focus 신체 부분 H02176502 H02176502 Postpartum care 산후관리 C0032782 [3.0] 1A.9.0421 Focus 산후관리. H02176515 H02176515 Postprandial hypoglycemia 식후 저혈당 C0271710 [3.0] 1A.9.0422 Focus HYPOGLYCEMIA expressed after a meal or FOOD INTAKE. It is also called reactive or stimulative hypoglycemia.[MSH/PEN] H02176528 H02176515 Postprandial hypoglycemia 식후성 저혈당 C0271710 [3.0] 1A.9.0422 Focus HYPOGLYCEMIA expressed after a meal or FOOD INTAKE. It is also called reactive or stimulative hypoglycemia.[MSH/PEN] H02176531 H02176515 Postprandial hypoglycemia 식후성 저혈당증 C0271710 [3.0] 1A.9.0422 Focus HYPOGLYCEMIA expressed after a meal or FOOD INTAKE. It is also called reactive or stimulative hypoglycemia.[MSH/PEN] H02176543 H02176543 Late postprandial hypoglycemia 식후 후기 저혈당증 [3.0] 1A.9.0422 Focus "위절제 후에 보게 되는 후기 덤핑증상의 하나이다. 위가 없기 때문에 경구 섭취한 음식물이 급속하게 소장내로 흐르고 인슐린의 과잉분비가 생겨 식후 2~3시간에 저혈당 증상이 생기는 수가 있다. 증상으로서는 무력감이나 떨림, 심계항진, 두통, 식은 땀 등이 생겨 저혈당 발작과 비슷하고 당분의 섭취로 개선된다. 예방을 위해서는 식사의 간격을 짧게 하고 고단백, 저단백질식을 주도록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6556 H02176556 Precaution of complication 합병증 예방 [3.0] 1A.9.0424 Focus 보호함 H02176569 H02176569 Gestational hypertension 임신성 고혈압 C0852036 [3.0] 1A.9.0425 Focus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기간 중에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로,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분만 후에 진단이 가능하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6571 H02176569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임신유도성 고혈압 C0340274 [3.0] 1A.9.0425 Focus "임신성 고혈압은 임신 기간 중에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이고 단백뇨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로, 분만 후 12주 이내에 정상 혈압이 되는 경우를 말한다. 즉 분만 후에 진단이 가능하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6584 H02176584 Preoperative checklist 수술전점검표 [3.0] 1A.9.0426 Focus 평가 도구 H02176597 H02176584 Preoperative check list 수술전체크리스트 [3.0] 1A.9.0426 Focus 평가 도구 H02176654 H01414961 Pseudomenstruation 가성월경 C1405546 [3.0] P54.6 1A.9.0431 Focus "자궁내막의 월경변화를 수반하지 않는 자궁출혈로, 보통 신생아에서 볼 수 있다." H02176682 H01420407 Blepharoptosis 안검하수증 C0005745 [3.0] H02.4 1A.9.0432 Focus 1) 제3뇌신경마비 또는 교감신경 지배에 의한 상안검의 하수. 2) 눈꺼풀이 충분히 떠지지 않아 눈이 원위치(정면을 바라볼 때)에 있을 때 눈의 중심 위치인 중심각막되비침(midcorneal reflection)과 윗눈꺼풀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가 2mm 이하이거나 두 눈의 이 거리의 차이가 2mm 이상인 경우[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6695 H02176695 Role performance 역할 수행 C0518364 [3.0] 1A.9.0434 Focus 수행함 H02176711 H02176711 Technical procedure 기술적 절차 [3.0] 1A.9.0438 Focus 시술 H02176737 H01758355 Type 종류 C0332307 [3.0] 1A.9.0439 Focus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또는 그 틀에 속하는 것.[표준국어대사전] H02176740 H01758355 Type 타입 C0332307 [3.0] 1A.9.0439 Focus 성질이나 특징 따위가 공통적인 것끼리 묶은 하나의 틀. 또는 그 틀에 속하는 것.[표준국어대사전] H02176793 H01800376 Ventricular premature beat 심실주기외수축 C0151636 [3.0] 1A.9.0443 Focus "심실내에서 자극이 발생한 기외수축을 심실성 기외 수축이라고 한다. 심실성 기외수축의 심전도상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대상성으로 때로는 간입성(間入性), QRS의 앞에 P파의 선행은 볼수 없다. 기외수축이 나타나면 대개의 경우 동계나 맥이 하나 빠지는 것으로 느낀다.[간호학대사전]" H02176807 H01800376 Ventricular premature beat 심실기외수축 C0151636 [3.0] 1A.9.0443 Focus "심실내에서 자극이 발생한 기외수축을 심실성 기외 수축이라고 한다. 심실성 기외수축의 심전도상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대상성으로 때로는 간입성(間入性), QRS의 앞에 P파의 선행은 볼수 없다. 기외수축이 나타나면 대개의 경우 동계나 맥이 하나 빠지는 것으로 느낀다.[간호학대사전]" H02176810 H01800376 Ventricular premature beat 심실성기외수축 C0151636 [3.0] 1A.9.0443 Focus "심실내에서 자극이 발생한 기외수축을 심실성 기외 수축이라고 한다. 심실성 기외수축의 심전도상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대상성으로 때로는 간입성(間入性), QRS의 앞에 P파의 선행은 볼수 없다. 기외수축이 나타나면 대개의 경우 동계나 맥이 하나 빠지는 것으로 느낀다.[간호학대사전]" H02176822 H01800794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빈맥 C0042514 [3.0] I47.2 1A.9.0444 Focus "1) 이소성(異所性) 심실흥분(넓은 QRS군)을 동반한 비정상적 급속 심실율동.보통 매분 15호를 초과한다. 심실내에서 발생하며, 방실분리와 관계하고 있는 것이 제일 많고 경미부정맥이 일어나는 것도 있다. 보통 자극의 재입로(reentry pathway)가 원인이라고 생각한다. 2) 심장빈맥은 상실성 빈맥과 심실빈맥으로 나뉘어진다. 수분~수시간, 때로는 수일이상 계속하는 경우와 단시간에 수개~20개정도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단발작)이 있다. 발작이 나타나면 심계항진을 느끼고 흉부압박감, 호흡촉진, 불안감을 호소하고 식은땀, 오심, 구토 등을 수반하는 수도 있다. 심박수는 매분 150~250이 된다. 심전도의 특징은 QRS의 폭이 넓고 심실성 기외수축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형태를 취한다. 심실빈맥증과 감별을 요하는 것으로는 심실조ㆍ세동이 있다. 때로는 심실 조동광의 사이에 여러가지 이행이 있어 어느 쪽인지 결정하지 못하는 수도 있다. 심실빈맥은 심근질환 등, 기질적 질환에 나타나고 때로는 심실세동으로 이행한다. 따라서 상실성 빈맥보다도 예후가 나쁜데 비교적 양호한 경우도 있다. 심근경색후에 볼수 있는 것은 예후 불량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6851 H02176851 Verbal communication 구두 의사소통 C0150820 [3.0] 1A.9.0445 Focus 의사소통 H02176863 H02176851 Verbal communication 언어적 의사소통 C0150820 [3.0] 1A.9.0445 Focus 의사소통 H02176876 H02176876 Verbal response 언어반응 C3846697 [3.0] 1A.9.0446 Focus 반응함 H02176889 H02176889 Four limb blood pressure 사지혈압 [3.0] 1A.9.0451 Focus 혈압 H02176891 H02176891 Overstatement 과장 [3.0] 1A.9.0452 Focus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냄.[표준국어대사전] H02176905 H02176891 Exaggeration 과장 [3.0] 1A.9.0452 Focus 사실보다 지나치게 불려서 나타냄.[표준국어대사전] H02176921 H00936141 Lead time 조기발견시간 [3.0] 1A.9.0455 Focus 만성질환의 자연사를 고려할 경우에 병리학적 변화가 출현하고 나서 증상발현까지에 이르는 시간을 말한다. 스크리닝 효과를 판정할 때에 스크리닝은 발견된 환자와 수진한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하는 경우 이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가 문제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6946 H00936141 Lead time 리드타임 [3.0] 1A.9.0455 Focus 만성질환의 자연사를 고려할 경우에 병리학적 변화가 출현하고 나서 증상발현까지에 이르는 시간을 말한다. 스크리닝 효과를 판정할 때에 스크리닝은 발견된 환자와 수진한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하는 경우 이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가 문제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6959 H01191075 Ordinal scale 서열척도 C1709336 [3.0] 1A.9.0458 Means "측정 대상에 대해 서열이나 순위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예를 들면 강, 중, 약, S, M, W 또는3, 2, 1로 코드 할 수 있다. 코드로서 숫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소관계에만 의미가 있어 거리척도와 달리 수치의 차이에는 의미가 없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6974 H01191075 Ordinal scale 서수척도 C1709336 [3.0] 1A.9.0458 Means "측정 대상에 대해 서열이나 순위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예를 들면 강, 중, 약, S, M, W 또는3, 2, 1로 코드 할 수 있다. 코드로서 숫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소관계에만 의미가 있어 거리척도와 달리 수치의 차이에는 의미가 없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6987 H01191075 Ordinal scale 순서척도 C1709336 [3.0] 1A.9.0458 Means "측정 대상에 대해 서열이나 순위관계를 나타내는 기준. 예를 들면 강, 중, 약, S, M, W 또는3, 2, 1로 코드 할 수 있다. 코드로서 숫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대소관계에만 의미가 있어 거리척도와 달리 수치의 차이에는 의미가 없다.[생명과학대사전]" H02177007 H02177007 Output 배설량 C0204709 [3.0] 1A.9.0462 Focus 신체의 기능계통에 의해서 산생된 산출량 또는 총량. H02177035 H00469329 Digital impression 지압흔 [3.0] Focus 지압을 할 때 손가락으로 누른 자리가 옴폭 들어간 곳.[표준국어대사전] H02177076 H02177076 Police 경찰 C0085098 [3.0] 1A.9.0465 Focus "국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및 사회 공공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통치권에 의거, 국민에게 명령·강제하여 그 자연적 자유를 제한하는 행정작용.[두산백과]" H02177133 H02177133 Purpose 목적 C1285529 [3.0] 1A.9.0470 Focus 실현하려고 하는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표준국어대사전] H02177161 H01426967 Purpura 자반증 C0034150 [3.0] D69.2 1A.9.0471 Focus "1) 조직내 출혈에 의한 자색 또는 적갈색의 착색이 표피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群)의 질환. 작은 점모양의 출혈을 petechiae라고 부르며, 큰 점모양의 출혈을 ecchymoses(bruises:흑청반)이라고 부른다. 2) 전신의 피부, 점막, 장기에 점상 또는 반상출혈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혈소판의 감소와 관계가 깊다. 혈소판이 감소하기 때문에 혈액응고능력이 저하되고 피부, 점막의 모세혈관에 출혈이 생기기 쉽다. 종류에는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과 화학약품, 방사선조사, 전염병, 중증빈혈, 백혈병, 악성종양의 골수전이, 다발성 골수종 등으로 생기는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있다. 그밖에 유전에 의한 혈소판기능장애에 따른 것도 있다. [간호학대사전]" 3) 자반은 피부나 점막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홍반(붉은점) 또는 자색반(보라색점)을 말하며 혈관 밖으로 적혈구가 유출되어 발생하므로 해당 부위를 눌렀을 때 홍반이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구진성 홍반을 보이는 경우 즉 자반이 생긴 피부가 주위보다 솟아오른 경우 촉지 자반이라고 하며 이는 혈관에 염증이 있음을 말해준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4) 피부내의 출혈로 인하여 피부 표피를 통하여 쉽게 보이는 자홍색 혹은 적갈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대개 홍반과 구별해야 하는 데 홍반은 피부밑의 혈관이 팽창하여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 투명한 자를 이용하여 피부를 눌러서 관찰해보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이때 홍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만 " 자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 않는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7174 H01426967 Purpura 자반 C0034150 [3.0] D69.2 1A.9.0471 Focus "1) 조직내 출혈에 의한 자색 또는 적갈색의 착색이 표피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群)의 질환. 작은 점모양의 출혈을 petechiae라고 부르며, 큰 점모양의 출혈을 ecchymoses(bruises:흑청반)이라고 부른다. 2) 전신의 피부, 점막, 장기에 점상 또는 반상출혈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혈소판의 감소와 관계가 깊다. 혈소판이 감소하기 때문에 혈액응고능력이 저하되고 피부, 점막의 모세혈관에 출혈이 생기기 쉽다. 종류에는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과 화학약품, 방사선조사, 전염병, 중증빈혈, 백혈병, 악성종양의 골수전이, 다발성 골수종 등으로 생기는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있다. 그밖에 유전에 의한 혈소판기능장애에 따른 것도 있다. [간호학대사전]" 3) 자반은 피부나 점막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홍반(붉은점) 또는 자색반(보라색점)을 말하며 혈관 밖으로 적혈구가 유출되어 발생하므로 해당 부위를 눌렀을 때 홍반이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구진성 홍반을 보이는 경우 즉 자반이 생긴 피부가 주위보다 솟아오른 경우 촉지 자반이라고 하며 이는 혈관에 염증이 있음을 말해준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4) 피부내의 출혈로 인하여 피부 표피를 통하여 쉽게 보이는 자홍색 혹은 적갈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대개 홍반과 구별해야 하는 데 홍반은 피부밑의 혈관이 팽창하여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 투명한 자를 이용하여 피부를 눌러서 관찰해보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이때 홍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만 " 자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 않는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7187 H01426967 Purpura 자반병 C0034150 [3.0] D69.2 1A.9.0471 Focus "1) 조직내 출혈에 의한 자색 또는 적갈색의 착색이 표피를 통하여 용이하게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군(群)의 질환. 작은 점모양의 출혈을 petechiae라고 부르며, 큰 점모양의 출혈을 ecchymoses(bruises:흑청반)이라고 부른다. 2) 전신의 피부, 점막, 장기에 점상 또는 반상출혈이 많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혈소판의 감소와 관계가 깊다. 혈소판이 감소하기 때문에 혈액응고능력이 저하되고 피부, 점막의 모세혈관에 출혈이 생기기 쉽다. 종류에는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과 화학약품, 방사선조사, 전염병, 중증빈혈, 백혈병, 악성종양의 골수전이, 다발성 골수종 등으로 생기는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이 있다. 그밖에 유전에 의한 혈소판기능장애에 따른 것도 있다. [간호학대사전]" 3) 자반은 피부나 점막의 출혈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 홍반(붉은점) 또는 자색반(보라색점)을 말하며 혈관 밖으로 적혈구가 유출되어 발생하므로 해당 부위를 눌렀을 때 홍반이 사라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구진성 홍반을 보이는 경우 즉 자반이 생긴 피부가 주위보다 솟아오른 경우 촉지 자반이라고 하며 이는 혈관에 염증이 있음을 말해준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4) 피부내의 출혈로 인하여 피부 표피를 통하여 쉽게 보이는 자홍색 혹은 적갈색 반점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대개 홍반과 구별해야 하는 데 홍반은 피부밑의 혈관이 팽창하여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 투명한 자를 이용하여 피부를 눌러서 관찰해보면 쉽게 구별이 가능하다. 이때 홍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만 " 자반은 붉은 색이 없어지지 않는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77216 H02177216 Pushing 힘주기 C1719958 [3.0] 1A.9.0473 Focus (분만2기) H02177272 H01443250 Radiating pain 방산통 C0234254 [3.0] 1A.9.0475 Focus 통증 H02177298 H01449167 Range of motion 관절운동범위 C2607871 [3.0] 1A.9.0476.S.003 Focus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고 그 최대각도를 각 운동 방향에 따라서 표현한다.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말하고 정상범위를 크게 넘는 경우에는 동요관절이라고 한다. 통상 가동범위는 자동과 수동의 2가지를 구별하는데 양자가 일치하지않은 경우도 있다. 마비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혀 운동을 못해도 타동적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7301 H01449167 Range of motion 정상범위운동 C2607871 [3.0] 1A.9.0476.S.001 Focus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고 그 최대각도를 각 운동 방향에 따라서 표현한다.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말하고 정상범위를 크게 넘는 경우에는 동요관절이라고 한다. 통상 가동범위는 자동과 수동의 2가지를 구별하는데 양자가 일치하지않은 경우도 있다. 마비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혀 운동을 못해도 타동적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7314 H01449167 Range of motion 관절가동범위 C2607871 [3.0] 1A.9.0476 Focus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고 그 최대각도를 각 운동 방향에 따라서 표현한다.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말하고 정상범위를 크게 넘는 경우에는 동요관절이라고 한다. 통상 가동범위는 자동과 수동의 2가지를 구별하는데 양자가 일치하지않은 경우도 있다. 마비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혀 운동을 못해도 타동적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7327 H01449167 ROM 관절가동범위 C2607871 [3.0] 1A.9.0476.S.002 Focus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고 그 최대각도를 각 운동 방향에 따라서 표현한다.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말하고 정상범위를 크게 넘는 경우에는 동요관절이라고 한다. 통상 가동범위는 자동과 수동의 2가지를 구별하는데 양자가 일치하지않은 경우도 있다. 마비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혀 운동을 못해도 타동적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7330 H01449167 ROM 정상범위운동 C2607871 [3.0] 1A.9.0476.S.002 Focus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고 그 최대각도를 각 운동 방향에 따라서 표현한다.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말하고 정상범위를 크게 넘는 경우에는 동요관절이라고 한다. 통상 가동범위는 자동과 수동의 2가지를 구별하는데 양자가 일치하지않은 경우도 있다. 마비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혀 운동을 못해도 타동적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7342 H01449167 ROM 관절운동범위 C2607871 [3.0] 1A.9.0476.S.002 Focus 사지를 움직일 때 측정한 관절의 운동범위를 말하고 그 최대각도를 각 운동 방향에 따라서 표현한다. 생리적인 운동범위보다 감소한 경우에는 가동범위제한이 있다고 말하고 정상범위를 크게 넘는 경우에는 동요관절이라고 한다. 통상 가동범위는 자동과 수동의 2가지를 구별하는데 양자가 일치하지않은 경우도 있다. 마비가 있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전혀 운동을 못해도 타동적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177355 H02177355 Reason 사유 C0392360 [3.0] 1A.9.0477 Focus 어떠한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표준국어대사전] H02177368 H02177355 Reason 이유 C0392360 [3.0] 1A.9.0477 Focus 어떠한 결론이나 결과에 이른 까닭이나 근거.[표준국어대사전] H02177396 H02177396 Registration 등록 C1514821 [3.0] 1A.9.0483 Focus 일정한 사항을 공증하여 법률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공부(公簿)에 기록하는 일 H02177400 H02177400 Registration number of blood pack 혈액등록번호 [3.0] 1A.9.0484 Focus 혈액제재 H02177412 H02177412 Regular exercise 규칙적인 운동 C0582191 [3.0] 1A.9.0485 Focus 운동 H02177425 H02177425 Regular meal 규칙적인 식사 [3.0] 1A.9.0486 Focus 식사요법 H02177438 H02177438 Regular medication 규칙적인 투약 [3.0] 1A.9.0487 Focus 투약 요법 H02177453 H02177453 Religion 종교 C0035039 [3.0] 1A.9.0490 Focus "영이나 신 등의 초자연적 존재 및 그 힘, 거룩한 것, 내세 등에 관해서 사람들이 품은 신념체계이고 그 신념에 바탕을 둔 행위체계나 제 제도를 수반한다. 신앙의 대상이 되는 신의 수에 따라서 다신교 일신교 신자의 분포규모에 따라서 부족종교ㆍ민족종교ㆍ세계종교 발생의 시대에 따라서 원시종교ㆍ고대종교ㆍ신(흥)종교 등으로 분류된다. 종교적 신념은 서양근대과학과 기본적으로 대립한다. 특히 원시종교나 신(흥)종교와 서양근대의학과의 사이의 건강, 질병관 또는 생ㆍ사관의 차이가 때로는 의료현장에서 불일치를 낳는다.[간호학대사전]" H02177466 H02177466 Reminding 상기 C0557033 [3.0] 1A.9.0491 Focus 지난 일을 돌이켜 생각하여 냄.[표준국어대사전] H02177479 H02177479 Extracellular fluid replacement solution 세포외액보충액 [3.0] 1A.9.0492 Focus "세포외액을 보충하기 위한 액. 실제로는 세포외액과 전해질 조성이 유사한 유산가 링게르액(하트만액)을 말한다. 세포외액이란 혈장, 조직간질액 등 세포내 수분이외의 액을 가리키며 성인에서는 체중의 20%이다. 세포외액은 세포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수술에서는 조직의 손상부에 세포외액이 이동되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유효한 세포외액이 감소한다.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서 세포외액 보충액이 사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7508 H02177508 Residual urine sense 잔뇨감 [3.0] 1A.9.0495 Focus 오줌을 누고 난 뒤에도 방광 속에 오줌이 남아 있는 느낌.[국립국어원] H02177523 H01493851 Respiratory standstill 호흡정지 [3.0] R09.2 1A.9.0496 Focus "약제에 의한 호흡중추마비, 전기쇼크, 두개내압항진, 뇌외상, 경부척수 장애, 기도 폐쇄, 고탄산 가스혈증 환자에 대한 산소투여 등,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해 호흡정지가 생긴다. 이 경우, 산소부족에 따른 뇌장애를 예방하기 위해 가급적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177564 H00208797 Breath sound 호흡음 C0035234 [3.0] 1A.9.0498 Focus "1) 호흡로의 모든 부위에서 청진시 들리는 음. 2) 흡ㆍ호기시에 흉부에서 청취되는 음이고 일반적으로 청진기를 사용해서 듣는다. 정상인 경우, 흡기시에는 호기시에 청취되지 않는 폐포 호흡음과, 호기시에도 들리고 굵은 기도상에서 들리는 기관지 호흡음이 있다. 이상음으로서는 연속성나음(건성나음)과 단속성 나음(습성나음)이 있고 전자는 고음성, 저음성으로, 후자는 거칠은(대ㆍ중 수포음), 중위(소수포음), 가는(베르크로자음)으로 나뉘어진다. 또 염증으로 폐경화가 있는 경우 페포 호흡음은 소실하고 기관지 호흡음이 청취된다. 그밖에 흉막 마찰음이 청취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7580 H00208797 Respiratory sound 호흡음 C0035234 [3.0] 1A.9.0498 Focus "1) 호흡로의 모든 부위에서 청진시 들리는 음. 2) 흡ㆍ호기시에 흉부에서 청취되는 음이고 일반적으로 청진기를 사용해서 듣는다. 정상인 경우, 흡기시에는 호기시에 청취되지 않는 폐포 호흡음과, 호기시에도 들리고 굵은 기도상에서 들리는 기관지 호흡음이 있다. 이상음으로서는 연속성나음(건성나음)과 단속성 나음(습성나음)이 있고 전자는 고음성, 저음성으로, 후자는 거칠은(대ㆍ중 수포음), 중위(소수포음), 가는(베르크로자음)으로 나뉘어진다. 또 염증으로 폐경화가 있는 경우 페포 호흡음은 소실하고 기관지 호흡음이 청취된다. 그밖에 흉막 마찰음이 청취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7619 H02177619 Rupture of membrane 양막파열 C0948106 [3.0] 1A.9.0504 Focus "태아는 양막 안에 있는 양수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게 되는데, 양막이 파수되는 경우 양수가 새어 나오게 된다. 대개 진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활발한 분만 과정 중에 일어나고, 진통 없이 양막 파수가 먼저 되는 경우를 조기 양막 파수라고 한다. 무색 투명하거나 약간 혼탁한 액체의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양막 파수를 의심한다. 진단은 경부로부터 양수가 흐르는 것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과 이외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나이트라진(nitrazine)검사이다. 나이트라진 검사는 알칼리성 양수의 존재를 나이트라진 종이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노란색의 검사 종이가 질분비물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수가 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7621 H02177619 ROM 양막파열 C0948106 [3.0] 1A.9.0504.S.001 Focus "태아는 양막 안에 있는 양수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게 되는데, 양막이 파수되는 경우 양수가 새어 나오게 된다. 대개 진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활발한 분만 과정 중에 일어나고, 진통 없이 양막 파수가 먼저 되는 경우를 조기 양막 파수라고 한다. 무색 투명하거나 약간 혼탁한 액체의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양막 파수를 의심한다. 진단은 경부로부터 양수가 흐르는 것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과 이외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나이트라진(nitrazine)검사이다. 나이트라진 검사는 알칼리성 양수의 존재를 나이트라진 종이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노란색의 검사 종이가 질분비물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수가 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7634 H02177619 Rupture of membrane 양막파수 C0948106 [3.0] 1A.9.0504 Focus "태아는 양막 안에 있는 양수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게 되는데, 양막이 파수되는 경우 양수가 새어 나오게 된다. 대개 진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활발한 분만 과정 중에 일어나고, 진통 없이 양막 파수가 먼저 되는 경우를 조기 양막 파수라고 한다. 무색 투명하거나 약간 혼탁한 액체의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양막 파수를 의심한다. 진단은 경부로부터 양수가 흐르는 것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과 이외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나이트라진(nitrazine)검사이다. 나이트라진 검사는 알칼리성 양수의 존재를 나이트라진 종이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노란색의 검사 종이가 질분비물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수가 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7662 H02177662 Sanitary condition 위생상태 [3.0] 1A.9.0506 Focus "the state of sanitation (clean or dirty)[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2177688 H01552001 Sensibility 민감성 C0439823 [3.0] 1A.9.0511 Focus "감각의 감수성, 감각하는 또는 지각하는 능력." H02177720 H02177720 Motor 운동 C0026606 [3.0] Focus 어떤 목적을 이루려고 힘쓰는 일. 또는 그런 활동.[표준국어대사전] H02177745 H01564047 Shallow breathing 천호흡 C0221161 [3.0] 1A.9.0515 Focus "호흡이 얕고, 또한 빠른 것을 천호흡이라고 한다. 헤링-브로이엘 Hering-Breuer반사의 감수성이 항진하고 있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이 반사의 폐포벽에 있어서의 수용체는, 율립결핵(栗粒結核), 혈행성의 암세포산포를 포함한 폐색전증(肺塞检症), 폐수종(肺水腫), 자극성가스의 흡입, 폐염 등으로 자극된다. 또 흉벽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도 호흡은 얕고 또한 빠르게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7815 H01572609 Simian line 원숭이 손금 [3.0] 1A.9.0520 Focus "손바닥을 완전히 횡단하는 굴곡선. 정상개체에서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다운증후군 등 선천이상에서는 높은 빈 로 출현하며 어느 정도의 진단상 의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7828 H01572609 Simian line 단일손금 [3.0] 1A.9.0520 Focus "손바닥을 완전히 횡단하는 굴곡선. 정상개체에서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다운증후군 등 선천이상에서는 높은 빈 로 출현하며 어느 정도의 진단상 의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7831 H01572609 Simian crease 단일손금 C0424731 [3.0] 1A.9.0520 Focus "손바닥을 완전히 횡단하는 굴곡선. 정상개체에서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다운증후군 등 선천이상에서는 높은 빈 로 출현하며 어느 정도의 진단상 의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7843 H01572609 Simian line 원숭이선 [3.0] 1A.9.0520 Focus "손바닥을 완전히 횡단하는 굴곡선. 정상개체에서도 드물게 나타나지만, 다운증후군 등 선천이상에서는 높은 빈 로 출현하며 어느 정도의 진단상 의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7901 H00882493 Intradermal test 피내검사 C0021881 [3.0] 1A.9.0524 Focus "결핵에 감염된 사람의 피내에 정제 투베르클린을 주사하면, 국소에 발적경결이 나타나고, 24~48시간만에 그 반응은 최고에 도달한다(만트피내반응). 이런 종류의 반응을 피내반응이라고 하고, 가장 변화를 관찰하기 쉬운 부위로 피부가 꼽힌다. 투베르쿨린반응을 대표로 지연형 피내반응은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는 일이 많다. 또, 천식환자의 항체 IgE를 검출하기 위해 즉시형과민증반응도 피내를 반응하는 경우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7926 H00882493 Intradermal test 피내반응검사 C0021881 [3.0] 1A.9.0524 Focus "결핵에 감염된 사람의 피내에 정제 투베르클린을 주사하면, 국소에 발적경결이 나타나고, 24~48시간만에 그 반응은 최고에 도달한다(만트피내반응). 이런 종류의 반응을 피내반응이라고 하고, 가장 변화를 관찰하기 쉬운 부위로 피부가 꼽힌다. 투베르쿨린반응을 대표로 지연형 피내반응은 질환의 진단에 이용되는 일이 많다. 또, 천식환자의 항체 IgE를 검출하기 위해 즉시형과민증반응도 피내를 반응하는 경우가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7941 H01580488 Sleep disturbance 수면장애 C0851578 [3.0] G47.9 1A.9.0525 Focus 수면이 양적·질적 요인으로 장애를 받는 것.[두산백과] H02177982 H02177982 Social resource 사회자원 [3.0] 1A.9.0528 Means "사회자원은 ① 물질·에너지적인 자연자원과 그 가공물인 물적 자원, ② 지식이나 관념 등, 구체적으로는 각종 형태의 사회정보인 정보적 자원, ③ 물적 자원과 정보적 자원의 특수한 조합으로서의 인적 자원, ④ 이상의 세 가지 자원에 대한 제어를 포함하는 사회관계로서 성립되는, 지위·권력·권한·위신·신용 등과 같은 관계적 자원으로 크게 나누어진다.[두산백과]" H02178015 H01262929 Throat pain 인후통 C0242429 [3.0] R07.0 1A.9.0530 Focus "인두통, 인후통이란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도염(급성 비인두염, 감기 등)과 함께 올 수 있고 전신 질환의 일부로 나타나기도 한다.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흡연이나 매연, 음주 및 알레르기 반응으로 유발될 수도 있다. 발열, 두통, 식욕 부진, 권태감, 기침, 음성 변화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입을 벌렸을 때 목구멍 주위가 충혈되거나 하얀 막이 형성 될 수도 있고 편도선이 부어 입 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78031 H02178031 Special diet 특별식 C0184626 [3.0] 1A.9.0534 Focus "질병의 진단이나 치료에 직접적인 기능을 하는 식사. 특별식에는 신장병식, 간장병식, 당뇨병식, 췌장병식, 페닐케톤뇨증식 등의 특별치료식과 잠혈식, 건조식, 주요장기검사식 등 임상검사의 정확도를 높이는 검사식과 Ca, P, 일정식, 저칼슘식 등 어떤 실험을 하기 위해서 조건을 일정하게 한 실험식이 있다.[영양학사전]" H02178071 H00110620 Naevus araneus 거미상모반 [3.0] I78.1 1A.9.0537 Focus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가 붉은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질환. 성망상모반·거미상혈관종이라고도 한다.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임신중이나 피임약 또는 여성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소아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 증세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모세혈관이 거미의 다리처럼 나타난다. 이 작은 모세혈관의 확장은 단독 또는 몇 개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데 얼굴과 경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상지와 하지에도 생길 수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손등과 얼굴 등에 자주 발생하고 임산부의 경우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에 홍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꼽 상부와 얼굴에 생기는 모반은 간경화증 간의 악성 질환 및 기타 간기능의 이상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는 혈중 에스트로겐도 상승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몇 년 안에 자연적으로 없어지며 임산부의 경우에는 대부분 분만 후에 없어진다. 치료는 튀어나온 병든 혈관에 특수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경화요법이나 전기분해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방법은 고탄력 스타킹과 낮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과체중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며 " 움직임이 없이 오래 서 있지 말아야 한다. 얼굴에 나타나는 거미상모반은 햇볕에 의하여 악화되므로 선크림이나 양산 등으로 차단하도록 한다.[두산백과]""" H02178084 H00110620 Spider nevus 거미모양혈관확장 C0085666 [3.0] I78.1 1A.9.0537 Focus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가 붉은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질환. 성망상모반·거미상혈관종이라고도 한다.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임신중이나 피임약 또는 여성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소아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 증세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모세혈관이 거미의 다리처럼 나타난다. 이 작은 모세혈관의 확장은 단독 또는 몇 개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데 얼굴과 경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상지와 하지에도 생길 수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손등과 얼굴 등에 자주 발생하고 임산부의 경우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에 홍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꼽 상부와 얼굴에 생기는 모반은 간경화증 간의 악성 질환 및 기타 간기능의 이상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는 혈중 에스트로겐도 상승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몇 년 안에 자연적으로 없어지며 임산부의 경우에는 대부분 분만 후에 없어진다. 치료는 튀어나온 병든 혈관에 특수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경화요법이나 전기분해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방법은 고탄력 스타킹과 낮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과체중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며 " 움직임이 없이 오래 서 있지 말아야 한다. 얼굴에 나타나는 거미상모반은 햇볕에 의하여 악화되므로 선크림이나 양산 등으로 차단하도록 한다.[두산백과]""" H02178097 H00110620 Spider nevus 성망상모반 C0085666 [3.0] I78.1 1A.9.0537 Focus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가 붉은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질환. 성망상모반·거미상혈관종이라고도 한다.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임신중이나 피임약 또는 여성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소아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 증세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모세혈관이 거미의 다리처럼 나타난다. 이 작은 모세혈관의 확장은 단독 또는 몇 개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데 얼굴과 경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상지와 하지에도 생길 수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손등과 얼굴 등에 자주 발생하고 임산부의 경우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에 홍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꼽 상부와 얼굴에 생기는 모반은 간경화증 간의 악성 질환 및 기타 간기능의 이상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는 혈중 에스트로겐도 상승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몇 년 안에 자연적으로 없어지며 임산부의 경우에는 대부분 분만 후에 없어진다. 치료는 튀어나온 병든 혈관에 특수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경화요법이나 전기분해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방법은 고탄력 스타킹과 낮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과체중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며 " 움직임이 없이 오래 서 있지 말아야 한다. 얼굴에 나타나는 거미상모반은 햇볕에 의하여 악화되므로 선크림이나 양산 등으로 차단하도록 한다.[두산백과]""" H02178101 H00110620 Spider nevus 거미상혈관종 C0085666 [3.0] I78.1 1A.9.0537 Focus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가 붉은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질환. 성망상모반·거미상혈관종이라고도 한다.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임신중이나 피임약 또는 여성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소아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 증세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모세혈관이 거미의 다리처럼 나타난다. 이 작은 모세혈관의 확장은 단독 또는 몇 개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데 얼굴과 경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상지와 하지에도 생길 수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손등과 얼굴 등에 자주 발생하고 임산부의 경우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에 홍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꼽 상부와 얼굴에 생기는 모반은 간경화증 간의 악성 질환 및 기타 간기능의 이상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는 혈중 에스트로겐도 상승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몇 년 안에 자연적으로 없어지며 임산부의 경우에는 대부분 분만 후에 없어진다. 치료는 튀어나온 병든 혈관에 특수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경화요법이나 전기분해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방법은 고탄력 스타킹과 낮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과체중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며 " 움직임이 없이 오래 서 있지 말아야 한다. 얼굴에 나타나는 거미상모반은 햇볕에 의하여 악화되므로 선크림이나 양산 등으로 차단하도록 한다.[두산백과]""" H02178113 H00110620 Spider nevus 성망상혈관종 C0085666 [3.0] I78.1 1A.9.0537 Focus "모세혈관이 확장되어 피부가 붉은거미의 다리처럼 보이는 질환. 성망상모반·거미상혈관종이라고도 한다.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호르몬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나타나는데, 임신중이나 피임약 또는 여성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소아에게도 많이 나타난다. " 증세는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모세혈관이 거미의 다리처럼 나타난다. 이 작은 모세혈관의 확장은 단독 또는 몇 개가 동시에 나타날 수 있는데 얼굴과 경부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상지와 하지에도 생길 수 있다. 소아의 경우에는 손등과 얼굴 등에 자주 발생하고 임산부의 경우에는 손바닥과 발바닥에 홍반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배꼽 상부와 얼굴에 생기는 모반은 간경화증 간의 악성 질환 및 기타 간기능의 이상 때문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에는 혈중 에스트로겐도 상승한다. 소아의 경우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몇 년 안에 자연적으로 없어지며 임산부의 경우에는 대부분 분만 후에 없어진다. 치료는 튀어나온 병든 혈관에 특수 약물을 직접 주사하는 경화요법이나 전기분해술을 사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예방법은 고탄력 스타킹과 낮은 굽의 신발을 신고 과체중인 경우에는 체중을 줄여야 하며 " 움직임이 없이 오래 서 있지 말아야 한다. 얼굴에 나타나는 거미상모반은 햇볕에 의하여 악화되므로 선크림이나 양산 등으로 차단하도록 한다.[두산백과]""" H02178182 H01635944 Aerodermectasia 피하공기증 [3.0] 1A.9.0544 Focus "1) 신체의 피하조직에 공기 또는 기체가 존재하는 것. 2) 흉부 또는 경부의 외상, 주로 타박상과 함께 기관, 기관지 및 폐에 손상이 있으면, 공기가 주위의 조직내로 새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 공기가 피하조직내로 나온 상태를 피하기종이라하고,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탱글탱글하게 작은 기포가 움직이는 소리가 손가락에 느껴진다. 이 피하기종이 만져지면 폐, 기관, 기관지 등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8195 H01635944 Pneumoderma 피하공기 C1915075 [3.0] 1A.9.0544 Focus "1) 신체의 피하조직에 공기 또는 기체가 존재하는 것. 2) 흉부 또는 경부의 외상, 주로 타박상과 함께 기관, 기관지 및 폐에 손상이 있으면, 공기가 주위의 조직내로 새는 경우가 있는데, 그 때 공기가 피하조직내로 나온 상태를 피하기종이라하고,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탱글탱글하게 작은 기포가 움직이는 소리가 손가락에 느껴진다. 이 피하기종이 만져지면 폐, 기관, 기관지 등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8224 H01621212 Removal of suture 발사 C0184936 [3.0] 1A.9.0546 Focus "1) 외상에 의한 피부의 열개(裂開), 수술에 의한 피부절개시, 열린 상처가 오염되어 있지 않으면 보통 봉합에 의해서 폐쇄된다. 봉합창은 1차적으로 치유되기 때문에 보통 1주간후에 봉합사를 뽑는다. 이를 발사라고 한다. 열린 상처를 오염시키지 않기 위해서 창외의 봉합사의 연결구를 잡아당기거나 창내로 매몰해있는 봉합사를 시야로 내어서 거기에서 실을 절단한다. 환자의 영양상태 또는 약제 투여에 의해서 창치유가 지연된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발사시기를 늦추기도 한다. 또한 부위별로 피부장력에 따라 발사시기를 가감하기도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8252 H00467614 Dysphagia 연하장애 C0011168 [3.0] R13 1A.9.0547.S.001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2178293 H00467614 Aglutition 삼킴불능 C0232520 [3.0] R13 1A.9.0039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2178307 H00467614 Aphagia 삼킴불능증 C0221470 [3.0] R13 1A.9.0039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2178310 H00467614 Aphagia 무식증 C0221470 [3.0] R13 1A.9.0039 Focus 삼키지 못하는 것. H02178348 H02178348 Systolic blood pressure 수축기혈압 C0871470 [3.0] 1A.9.0550.S.001 Focus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으로, 보통, 동맥, 특히 상완동맥의 혈압을 가리킨다. 동맥혈압에는 맥박의 변동이 있어, 심장수축기에 가장 높고, 이것을 최고혈압이라 한다. 청년남자의 최고혈압은 120mmHg전후다. 연령과 함께 다소 높아진다. 여자 남자에 비해는 약간 낮다. 본인의 연령에 90 또는 100을 더한 것이 대략 그의 최고혈압이다. 혈압은 일반적으로 압박법으로 측정하는데, 심신상태(운동, 수면, 식사, 호흡 등)와 체위에 따라 변화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8351 H02178348 SBP 최고혈압 C0871470 [3.0] 1A.9.0550.S.003 Focus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으로, 보통, 동맥, 특히 상완동맥의 혈압을 가리킨다. 동맥혈압에는 맥박의 변동이 있어, 심장수축기에 가장 높고, 이것을 최고혈압이라 한다. 청년남자의 최고혈압은 120mmHg전후다. 연령과 함께 다소 높아진다. 여자 남자에 비해는 약간 낮다. 본인의 연령에 90 또는 100을 더한 것이 대략 그의 최고혈압이다. 혈압은 일반적으로 압박법으로 측정하는데, 심신상태(운동, 수면, 식사, 호흡 등)와 체위에 따라 변화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8446 H01682269 Tenesmus 후중기 C0232726 [3.0] 1A.9.0558 Focus "1) 배뇨, 배변의 경우에 시원하게 되지도 않고 뒤무직하여 계속 동통이 지속되는 상태. " "2) 정상상태에서 직장은 보통 공허하고 변괴가 직장으로 보내지면 직장벽을 신전해 내압이 높아지고 변의를 일으켜 반사적으로 직장연동이 일어나 내외항문의 괄약근이 이완해서 배변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직장에 염증이 있으면 직장벽이 신전되지 않아도 배변 반사가 빈발해 변의를 일으키고 배변의 내용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몇번이고 화장실에 가게된다. 이것을 이급후증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8459 H01682269 Tenesmus 이급후중 C0232726 [3.0] 1A.9.0558 Focus "1) 배뇨, 배변의 경우에 시원하게 되지도 않고 뒤무직하여 계속 동통이 지속되는 상태. " "2) 정상상태에서 직장은 보통 공허하고 변괴가 직장으로 보내지면 직장벽을 신전해 내압이 높아지고 변의를 일으켜 반사적으로 직장연동이 일어나 내외항문의 괄약근이 이완해서 배변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직장에 염증이 있으면 직장벽이 신전되지 않아도 배변 반사가 빈발해 변의를 일으키고 배변의 내용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몇번이고 화장실에 가게된다. 이것을 이급후증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8461 H01682269 Tenesmus 잔변감 C0232726 [3.0] 1A.9.0558 Focus "1) 배뇨, 배변의 경우에 시원하게 되지도 않고 뒤무직하여 계속 동통이 지속되는 상태. " "2) 정상상태에서 직장은 보통 공허하고 변괴가 직장으로 보내지면 직장벽을 신전해 내압이 높아지고 변의를 일으켜 반사적으로 직장연동이 일어나 내외항문의 괄약근이 이완해서 배변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직장에 염증이 있으면 직장벽이 신전되지 않아도 배변 반사가 빈발해 변의를 일으키고 배변의 내용이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몇번이고 화장실에 가게된다. 이것을 이급후증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8474 H02178474 Text 텍스트 C1527021 [3.0] 1A.9.0562 Focus "주석, 번역, 서문 및 부록 따위에 대한 본문이나 원문.[표준국어대사전]" H02178487 H02178487 Therapeutic diet 치료식 C0452264 [3.0] 1A.9.0563 Focus "치료를 위하여 특별히 조리된 식사. 예를 들면 만성사구체신염, 신증후군, 간경변증, 소화기질환, 당뇨병, 고혈압증, 결핵증 등과 같은 만성질환에 대해서는 식사요법의 원리에 따라서 특별식을 만들어 환자에게 준다. 또 급성의 질환, 열성질환이나 외과적수술의 전후 등에도 식사전에 따라서 식사의 내용이 지시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8490 H02178490 Thigh circumference 대퇴둘레 [3.0] 1A.9.0564 Focus The measurement around the thigh of the left leg midway between the crotch and the knee when the subject is in a standing position.[The measurement around the thigh of the left leg midway between the crotch and the knee when the subject is in a standing position.] H02178516 H00190749 Thought block 사고중단 C0233660 [3.0] 1A.9.0565 Focus "사고형식의 장애의 일종으로, 분열증에서 많이(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생각의 흐름이 돌연히 일시 잘라져 버리고, 순간적으로 사고의 공백이 생기는 것. 말하고 있던 환자가 갑작이 잠잠해 버리고 조금 있다가 다시 또 얘기를 계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때 환자는 생각이 뽑혀졌다(사고탈취)고 느끼는 일이 있다. 사고두절은 의식장애(간질의 결신등)라 방심과는 구별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8531 H01696141 Thrill 진전음 C2678517 [3.0] 1A.9.0566 Focus 부전상태에 있는 심판막(心瓣膜)과 같이 신체부의 촉진에 있어서 시험자에게 감지되는 진동감각. H02178544 H01696141 Thrill 진전 C2678517 [3.0] 1A.9.0566 Focus 부전상태에 있는 심판막(心瓣膜)과 같이 신체부의 촉진에 있어서 시험자에게 감지되는 진동감각. H02178572 H01705328 Tidal volume 일호흡량 C0040210 [3.0] 1A.9.0569 Focus "1) 1회의 호흡에 의하여 흡입, 호출되는 가스량. 2) 1회호흡시 출입하는 공기의 양. 폐에서의 산소섭취량은 이산화탄소배출량보다 약간(약15%) 많으므로 흡기량쪽이 호기량보다도 약 5% 많은데, 대개의 경우 이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정상적인 성인남자의 안정시 1회 호기량은 400㎖정도이다. 운동시나 이산화탄소를 흡입했을 때, 호흡수가 느는 것과 동시에 2회 환기량도 늘어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8585 H01705328 TV 일호흡용적 C0040210 [3.0] 1A.9.0569 Focus "1) 1회의 호흡에 의하여 흡입, 호출되는 가스량. 2) 1회호흡시 출입하는 공기의 양. 폐에서의 산소섭취량은 이산화탄소배출량보다 약간(약15%) 많으므로 흡기량쪽이 호기량보다도 약 5% 많은데, 대개의 경우 이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정상적인 성인남자의 안정시 1회 호기량은 400㎖정도이다. 운동시나 이산화탄소를 흡입했을 때, 호흡수가 느는 것과 동시에 3회 환기량도 늘어난다.[간호학대사전]" H02178598 H02178598 Tightness 조임감 C0439816 [3.0] 1A.9.0570 Focus 1. The act of constricting or the state of being constricted. 2. A feeling of tightness or pressure as in the chest. 3. A constricted or narrow part. [The American Heritage® Medical Dictionary Copyright ⓒ 2007 " 2004 by Houghton Mifflin Company.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2178601 H02178598 Constriction 조임 C0009813 [3.0] 1A.9.0570 Focus 1. The act of constricting or the state of being constricted. 2. A feeling of tightness or pressure as in the chest. 3. A constricted or narrow part. [The American Heritage® Medical Dictionary Copyright ⓒ 2007 " 2004 by Houghton Mifflin Company.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2178627 H01706599 Tingling 얼얼한 느낌 C2242996 [3.0] 1A.9.0571.S.001 Focus "1) 한랭 또는 신경에 대한 충격에 의하거나, 또는 중추 말초신경계의 여러 가지 질병의 결과로서 생긴 얼얼한 감각.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얼얼하거나 저린 느낌을 일컫는 용어로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가능하지만 주로 손발이나 팔다리에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외상이나 추간판 탈출증(소위 디스크라 일컬음) 등 각종 원인에 의한 신경 손상이 대표적이며 장시간 같은 자세로 서있거나 기타 요인에 의한 혈액 순환 불량에 의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중추신경계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과호흡 등 어떤 원인에 의한 칼슘 칼륨 나트륨 비타민 B12 등 영양소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복용하고 있는 각종 약이나 민간 약제 독성물질(납 알코올 담배)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3) 찌르는 것 같은 아픔.[표준국어대사전]""" H02178630 H01706599 Tingling 아린감 C2242996 [3.0] 1A.9.0571.S.001 Focus "1) 한랭 또는 신경에 대한 충격에 의하거나, 또는 중추 말초신경계의 여러 가지 질병의 결과로서 생긴 얼얼한 감각.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얼얼하거나 저린 느낌을 일컫는 용어로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가능하지만 주로 손발이나 팔다리에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외상이나 추간판 탈출증(소위 디스크라 일컬음) 등 각종 원인에 의한 신경 손상이 대표적이며 장시간 같은 자세로 서있거나 기타 요인에 의한 혈액 순환 불량에 의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중추신경계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과호흡 등 어떤 원인에 의한 칼슘 칼륨 나트륨 비타민 B12 등 영양소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복용하고 있는 각종 약이나 민간 약제 독성물질(납 알코올 담배)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3) 찌르는 것 같은 아픔.[표준국어대사전]""" H02178642 H01393111 Prickling 자통 C0439814 [3.0] 1A.9.0571.S.001 Focus "1) 한랭 또는 신경에 대한 충격에 의하거나, 또는 중추 말초신경계의 여러 가지 질병의 결과로서 생긴 얼얼한 감각. [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얼얼하거나 저린 느낌을 일컫는 용어로 신체 어느 부위에서나 가능하지만 주로 손발이나 팔다리에 발생한다. 원인으로는 외상이나 추간판 탈출증(소위 디스크라 일컬음) 등 각종 원인에 의한 신경 손상이 대표적이며 장시간 같은 자세로 서있거나 기타 요인에 의한 혈액 순환 불량에 의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중추신경계 질환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때로는 과호흡 등 어떤 원인에 의한 칼슘 칼륨 나트륨 비타민 B12 등 영양소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복용하고 있는 각종 약이나 민간 약제 독성물질(납 알코올 담배) 또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함께 검토해 보아야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3) 찌르는 것 같은 아픔.[표준국어대사전]""" H02178683 H01728669 Blood transfusion 수혈 C0005841 [3.0] 1A.9.0573 Focus 혈액 전체 또는 혈액 성분을 직접 혈류로 넣는 것. H02178700 H00192338 Transfusion reaction 수혈부작용 C0274435 [3.0] 1A.9.0574 Focus 수혈하였을 때에 환자에게 일어나는 반응. 알레르기 반응과 용혈 반응이 있다. H02178753 H01745535 Lockjaw 개구장애 C0343495 [3.0] 1A.9.0577 Focus "1) 삼차신경(三叉神經)의 운동장애, 특히 저작근(咀嚼筋)의 경련으로 개구불능을 수반한다. 파상풍(破傷風)의 초기 특징." 2) 개구운동이 제한되어 입을 충분히 벌리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에 따라서 염증성 관절성 신경성 등으로 나뉘어진다. 염증성 개구장애는 악골염(顎骨炎) 봉소직염(蜂巢織炎) 지치주위염(智齒周圍炎);편도주위염ㆍ농양등에 관련해서 교근(咬筋) 내외익돌근(内外翼突筋) 협근 및 주위 연조직에 염증이 미치면 일어난다. 관절성개구장애는 인플루엔자 치성악염(齒性顎炎) 이하선염 또는 의치 충전물에 의한 교합장애 타박등에 의한 하악관절염 류머티성 하악관절염 등에 의해 생긴다. 신경성개구 장애는 신경의 말초 또는 중추에 신경이 가해지고 조작근의 연축을 일으켜서 생긴다. 히스테리 간질 뇌질환 " 삼차신경통 등에 관련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8766 H02178766 Tuberculosis patient 결핵환자 [3.0] 1A.9.0579 Focus "폐결핵 호흡기질환에 걸린 사람을 말한다. 결핵은 국민 병으로 불려 하나의 사회문제였었다. 노·농간을 불문하고 빈곤과 결핵에 의한 생활파괴가 진행되었으나, 화학요법을 비롯하여 예방대책 등의 정비로 치료·완쾌의 경우도 많고, 환자도 감소추세에 있지만 노인의 결핵환자 증가 등이 문제로 되고 있다.[사회복지학사전]" H02178794 H01777641 URI 상기도감염 C0041912 [3.0] 1A.9.0581.S.001 Focus "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ㆍ기관ㆍ기관지ㆍ폐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상기도와 하기도로 나눈다. 상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를 포함하는데 임상적으로는 기관부근까지를 상기도로 넣는 수도 있다. 이 부위의 감염증을 총칭해서 상기도 감염이라고 한다. 감기증후군이라고 하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다. 이밖에 세균성 급성 편도선염등, 호흡기 감염 가운데서 가장 흔한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8808 H01777641 Upper airway infection 상기도감염 [3.0] 1A.9.0581.S.001 Focus "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ㆍ기관ㆍ기관지ㆍ폐로 이루어지는데 이것을 상기도와 하기도로 나눈다. 상기도는 비강ㆍ인두ㆍ후두를 포함하는데 임상적으로는 기관부근까지를 상기도로 넣는 수도 있다. 이 부위의 감염증을 총칭해서 상기도 감염이라고 한다. 감기증후군이라고 하는 것도 이에 해당한다. 대부분 바이러스 감염이다. 이밖에 세균성 급성 편도선염등, 호흡기 감염 가운데서 가장 흔한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8823 H02178823 Urinary stream 배뇨흐름 C0232851 [3.0] 1A.9.0584 Focus "the rate of flow may be reduced―oliguria, absent―anuria, or increased―polyuria.[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78836 H02178823 Urine flow 소변흐름 C0232851 [3.0] 1A.9.0584 Focus "the rate of flow may be reduced―oliguria, absent―anuria, or increased―polyuria.[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78849 H02178849 Urine amount 소변량 C1822256 [3.0] 1A.9.0585 Focus 소변 H02178851 H02178851 Urine output 소변배출량 C0232856 [3.0] 1A.9.0587 Focus 하루에 배출되는 소변량은 700~2000mL 정도 다양한 대사성 또는 신질환에 의해 소변량이 증가 또는 감소. 노폐물 배출에는 약 30mL/hr의 소변량이 필수적이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78864 H02178851 Urinary output 요량 C0232856 [3.0] 1A.9.0587 Focus 하루에 배출되는 소변량은 700~2000mL 정도 다양한 대사성 또는 신질환에 의해 소변량이 증가 또는 감소. 노폐물 배출에는 약 30mL/hr의 소변량이 필수적이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78877 H02178851 Urinary output 요배출량 C0232856 [3.0] 1A.9.0587 Focus 하루에 배출되는 소변량은 700~2000mL 정도 다양한 대사성 또는 신질환에 의해 소변량이 증가 또는 감소. 노폐물 배출에는 약 30mL/hr의 소변량이 필수적이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78892 H01383339 Postvoiding dribbling 배뇨후적하 [3.0] 1A.9.0586 Focus Sign or Symptom H02178906 H02178906 Urine dribbling 소변지림 C0149671 [3.0] 1A.9.0586 Focus "To fall in drops, as the urine from a distended bladder.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78921 H01784791 Urometer 요비중계 [3.0] 1A.9.0588 Focus 소변의 비중을 측정하는 도구[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78962 H02178962 Uterine retraction 자궁퇴축 C0233136 [3.0] 1A.9.0590 Focus "산욕기에 있어, 자궁이 비임신의 상태로 돌아가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자궁체부의 급속한 축소를 가리키나, 자궁하절ㆍ경관도 퇴축되고 또 자궁이외에서도 질ㆍ외음ㆍ회음을 포함해서 성기의 퇴축이 나타난다. 자궁체부의 퇴축은 자궁저의 높이에 따라 관찰되나, 산욕제1일에 배꼽높이에 있었던 자궁저는 제 7~10일에는 거의 복벽으로부터 만져지지 않게 된다. 자궁퇴축은 태반ㆍ난막 등의 잔류에 의해 방해되며, 이 경우 산욕출혈, 자궁내 감염을 수반하는 일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8975 H02178962 Involution of uterus 자궁퇴축 C0549170 [3.0] 1A.9.0590 Focus "산욕기에 있어, 자궁이 비임신의 상태로 돌아가는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자궁체부의 급속한 축소를 가리키나, 자궁하절ㆍ경관도 퇴축되고 또 자궁이외에서도 질ㆍ외음ㆍ회음을 포함해서 성기의 퇴축이 나타난다. 자궁체부의 퇴축은 자궁저의 높이에 따라 관찰되나, 산욕제1일에 배꼽높이에 있었던 자궁저는 제 7~10일에는 거의 복벽으로부터 만져지지 않게 된다. 자궁퇴축은 태반ㆍ난막 등의 잔류에 의해 방해되며, 이 경우 산욕출혈, 자궁내 감염을 수반하는 일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9008 H00343467 Elytrorrhagia 질출혈 [3.0] 1A.9.0591 Focus "월경 외에 질을 통해 혈액이 유출되는 비정상적인 상태. 자궁이나 자궁경부의 기형, 복부 임신, 내분비 이상, 하나 또는 2개의 난소나 나팔관의 이상, 질의 기형으로 인해 초래된다. 질출혈 양의 정도는 heavy vaginal bleeding(보통 월경량보다 많은 경우), moderate vaginal bleeding(정상 월경량 정도), light vaginal bleeding(월경량보다 적은)으로 표현한다. Vaginal staining은 생리대가 거의 필요하지 않은 정도로 출혈이 있는 경우이며 vaginal spotting은 몇 방울의 혈액이 나온 경우, bloody show는 진통 초기나 진통중, 특히 자궁경부가 완전히 열린 분만1기에 경부의 모세혈관협착으로 나타나는 질출혈을 의미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79036 H02179036 Visiting nursing service 방문간호서비스 [3.0] 1A.9.0598 Focus 보건소에 소속된 방문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가족단위로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의거한 포괄절인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의료사업의 기본적인 접근방법. H02179049 H02179036 Home care by visiting nurse 방문간호서비스 C0204978 [3.0] 1A.9.0598 Focus 보건소에 소속된 방문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가족단위로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의거한 포괄절인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의료사업의 기본적인 접근방법. H02179051 H02179036 Visiting nurse service 방문간호서비스 [3.0] 1A.9.0598 Focus 보건소에 소속된 방문간호사가 가정을 방문하여 가족단위로 건강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의거한 포괄절인 건강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의료사업의 기본적인 접근방법. H02179077 H01331252 Vocalization 발성 C0564182 [3.0] 1A.9.0599 Focus "소리를 내는 것. 발성과정은 다음과 같이 고려된다. 폐, 기관지, 기관으로 된 기낭에 저장된 공기를 기류로 후두로 보낸다. 후두에는 성문이라는 세극(細隙)이 있으며 이를 형성하고 있는 성대가 진동해서 기류의 규칙적인 변조로서 소리가 형성된다. 이에 성도(聲道)라고 하는 후두, 구강, 비강, 입술로 된 음향관의 공명적 특성이 부가되어서 실제 소리가 되어서 음성파가 방사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9119 H00511859 Voiding difficulty 배뇨장애 C0241705 [3.0] R30.0 1A.9.0601.S.001 Focus "배뇨가 정상으로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요의를 촉진해서 배뇨자세를 취해도 배뇨가 되지 않는 경우(천연성 배뇨(遷延性排尿)와 일단 배뇨가 시작되도 그것이 종료할 때까지 정상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보통 이 두가지는 같이 나타나는데 따로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원인은 방광경부의 기질적 장애(대부분은 협착)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방광경부경화증, 선천성요도변형성 등에서 온다. 치료는 원인질환에 의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9121 H00511859 Voiding difficulty 배뇨곤란 C0241705 [3.0] R30.0 1A.9.0601.S.001 Focus "배뇨가 정상으로 행하여지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요의를 촉진해서 배뇨자세를 취해도 배뇨가 되지 않는 경우(천연성 배뇨(遷延性排尿)와 일단 배뇨가 시작되도 그것이 종료할 때까지 정상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보통 이 두가지는 같이 나타나는데 따로따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원인은 방광경부의 기질적 장애(대부분은 협착) 전립선 비대증, 전립선암, 방광경부경화증, 선천성요도변형성 등에서 온다. 치료는 원인질환에 의한다.[간호학대사전]" H02179147 H01061641 Desire for urination 오줌마려움 C1321908 [3.0] 1A.9.0602 Focus 오줌이 마려운 느낌.[표준국어대사전] H02179150 H02179150 Wet gauze 젖은 거즈 [3.0] 1A.9.0606 Focus 거즈 H02179188 H00440564 Wound dehiscence 창상열개 C0259768 [3.0] 1A.9.0611 Focus "수술창(手術創)의 열개로서 부분적, 표재적(表在的)인 경우와 완전히 전부가 열개되는 경우가 있다." H02179220 H02179220 Patient condition 환자상태 C0683521 [3.0] 2B.02.02.01.S.001 Focus 환자가 처해 있는 상태. H02179232 H02179232 Acupressure 지압 C0282614 [3.0] 2B.9.0001 Focus 엄지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몸 표면의 일정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생체의 변조(變調)를 교정하거나 건강의 증진 또는 질병의 치료를 도모하는 수기요법(手技療法).[두산백과] H02179245 H02179232 Acupressure 지압술 C0282614 [3.0] 2B.9.0001 Focus 엄지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몸 표면의 일정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생체의 변조(變調)를 교정하거나 건강의 증진 또는 질병의 치료를 도모하는 수기요법(手技療法).[두산백과] H02179273 H00286930 Chiropractic 카이로프랙틱 C0008138 [3.0] 2B.9.0001 Focus 엄지손가락이나 손바닥 등으로 몸 표면의 일정 부위를 압박함으로써 생체의 변조(變調)를 교정하거나 건강의 증진 또는 질병의 치료를 도모하는 수기요법(手技療法).[두산백과] H02179286 H02179286 Bed rest 침상안정 C0004910 [3.0] 2B.9.0003 Focus "휴식의 일종이고 신체적 에너지의 소모를 적게 해, 환자의 증상 악화를 막고 질병의 회복을 촉진시키기 위해 택하는 방법이다. 안정은 그 정도에 따라서 전신의 안정, 특정 부위의 안정, 절대안정, 바닥위 안정 등으로 구별되고 있다. 제각기 질병의 종류, 증상의 정도에 따라서 적용된다. 안정의 정도에 따라서 환자의 활동내용이 다르고 그것이 안정도 생활기준표에 제시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9299 H02179299 Bereavement 사별 C0005119 [3.0] 2B.9.0005 Focus "비애와 외로움을 초래하는 손실, 특히 사랑하는 사람과의 사별, 손실에 뒤따르는 슬픔과 애도 기간은 흔히 임상적 우울증과 유사하다." H02179302 H02179302 Bill of rights 권리장전 C0150703 [3.0] 2B.9.0006 Focus Statements related to entitlement during an episode of illness[CCC] H02179315 H02179315 Body mechanics 신체역학 C0598002 [3.0] 2B.9.0007 Focus "인간공학용어, 신체의 골격, 근, 내장등의 각 계통간의 역학적 상호관계가 양호하게 유지되고 있는 상태를 좋은 신체역학 good body mechanics라고 한다. 좋은 신체역학의 실천에 의해 환자와 간호사간에 신체적 유효성ㆍ안정성이 얻어지며 최소의 에너지로 용이하게 움직이고, 장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안락을 확보할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79343 H02179343 Special program education community 공동체 특별 프로그램 교육 C1161268 [3.0] 2B.9.0010 Focus Providing a community's members training and/or information regarding special programs within their community.[UMLS/ALT] H02179356 H02179343 Special program education community 지역사회 특별 프로그램 교육 C1161268 [3.0] 2B.9.0010.S.001 Focus Providing a community's members training and/or information regarding special programs within their community.[UMLS/ALT] H02179369 H02179369 Controlled substance 규제약물 C0678485 [3.0] 2B.9.0011 Focus 규제약물법(Controlled Substance Act)으로 규제된 약물. H02179371 H02179371 Complex relationship building 복합관계형성 C0150741 [3.0] 2B.9.0012 Focus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갖는 환자와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NIC] H02179384 H02179384 Dentistry 치과 C0011438 [3.0] 2B.9.0014 Focus 이와 그 지지 조직 및 입안의 생리ㆍ병리ㆍ치료 기술 따위를 연구하는 의학. 또는 병원의 그 부서.[표준국어대사전] H02179397 H02179397 Discipline 훈육 C0237070 [3.0] 2B.9.0015 Focus "Nurturing practices that promote appropriate behavior, conduct, and self-control.[UMLS/OMS]" H02179401 H02179401 Durable medical equipment 내구성 의료장비 C0013314 [3.0] 2B.9.0102 Focus "Devices which are very resistant to wear and may be us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y include items such as wheelchairs, hospital beds, artificial limbs, etc.[UMLS/MSH]" Nondisposable items used while providing care such as special beds walkers " and apnea monitors.[UMLS/OMS]""" H02179439 H02179439 Employment 고용 C0014003 [3.0] 2B.9.0020 Focus 삯을 주고 사람을 부림.[표준국어대사전] H02179441 H02179441 Fire setting 방화 C0016142 [3.0] 2B.9.0022 Focus 일부러 불을 지름.[표준국어대사전] H02179467 H02179467 Healthcare information exchange 건강정보교환 C0178895 [3.0] 2B.9.0025 Focus Providing patient care information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NIC] H02179470 H02179467 Healthcare information exchange 보건정보교환 C0178895 [3.0] 2B.9.0025.S.001 Focus Providing patient care information to other health professionals[NIC] H02179482 H00732759 Health education 보건교육 C0018701 [3.0] 2B.9.0026.S.001 Focus "1) Developing and providing instruction and learning experiences to facilitate voluntary adaptation of behavior conducive to health in individuals, families, groups, or communities[NIC]" 2) 학교교육법에 의거해서 학습지도요령(유치원에서는 유치원 교육요령 대학에서는 대학설치기 준)에 따라 아동 학생 등의 건강 유지증진을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교육활동 보건학습과 보건지도로 나뉘어진다. (1) 보건학습은 보건에 필요한 지식의 이해 발달을 지향하는 것이다. 교과로서 국민학교에서는 체육과의 보건영역으로서 5 6학년에게 중학교에서는 보건체육과의 보건분야로서 고등학교에서는 보건체육과의 보건과목으로서 대학에서는 보건체육과목의 보건강의로서 교과서나 부교재을 이용 특별히 설치된 시간에 계획적 조직적으로 행하여진다. 또한 초ㆍ중ㆍ고등학교에서는 이과 가정 등의 관련교과중에서도 행하여진다. (2) 보건지도는 보건에 필요한 지식의 실천능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물론 교육계획은 수립되어야만 하지만 일상 생활속에서 임기응변의 기회가 있을 때마다 행하여진다. 초ㆍ중학교에서는 학습지도요령에 「학교의 교육활동 전체를 통해서 적절하게 행하는 것으로 한다」라고 되어 있으나 초ㆍ중학교의 도덕시간이나 특별활동(아동학생활동 학교행사 학급지도) 고등학교의 각 교과이외의 교육활동(홈룸 학생회 활동 클럽활동 학교행사)등은 보건지도에 직접 간접으로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3) 건강관리와 함께 사람들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활동 " 사람들이 자진해서 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해 행동하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즉 건강상 바람직한 방향으로 사람들의 행동을 바꾸도록 하는 것인데 그 효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지식을 제공하여 태도를 바꾸고 행동을 바꾸는 순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다.[간호학대사전]""" H02179509 H02179509 Health system 보건체계 C1456613 [3.0] 2B.9.0029 Focus Structural data elements that exist in the perioperative environment or health system.[PNDS] H02179511 H02179509 Health system 건강시스템 C1456613 [3.0] 2B.9.0029 Focus Structural data elements that exist in the perioperative environment or health system.[PNDS] H02179524 H02179524 Heat exposure 열 노출 C0239930 [3.0] 2B.9.0030 Focus 열 손상 H02179537 H02179537 Hemodynamic regulation 혈류동태조절 C0150249 [3.0] Focus "Optimization of heart rate, preload, afterload, and contractility[NIC]" H02179540 H02179540 Hemodynamic monitoring 혈류동태감시 C0161959 [3.0] Focus "중증심부전이나 쇼크상태, 수술뒤 환자에게 있어서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상태를 확실하게 파악하고 그 상태에 따른 정확한 치료를 하기위해 각종 혈행동태지표를 연속적으로 측정, 감시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ㆍ심전도ㆍ심박수와 함께 중심 정맥압 내지 우심방압, 폐동맥압, 폐동맥 계입압(楔入壓), 심박출량, 동맥압, 시간요량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1개의 도관으로 중심정맥압, 폐동맥 계입압, 심박출량을 측할 수 있는 스완간스 카테터가 사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179552 H02179552 High risk pregnancy 고위험임신 C0242786 [3.0] 2B.9.0032 Focus "임신의 결과로 모아가 신체적, 정서적 장애를 초래할 위험이 있거나 태아가 사산이 될 가능성이 있는 상태." H02179565 H02179565 Home health aide service 가정간호보조서비스 C0184605 [3.0] 2B.9.0033 Focus 가정간호서비스 H02179578 H02179578 Intake and output 섭취량과 배설량 C0204708 [3.0] 2B.9.0035 Focus 신체 구성물질 H02179581 H02179578 I/O 섭취량과 배설량 [3.0] 2B.9.0035.S.001 Focus 신체 구성물질 H02179610 H02179610 Interpersonal dynamics analysis 대인역동분석 C2937198 [3.0] 2B.9.0037 Focus Analysis of the driving forces in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CCC] H02179648 H02179648 Leech therapy 거머리요법 C0262711 [3.0] 2B.9.0043 Focus 1) 사혈을 위하여 거머리를 사용하는 것.[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사전] "2) Application of medicinal leeches to help drain replanted or transplanted tissue engorged with venous blood[NIC]""" H02179651 H02179648 Leeching 거머리 흡혈 C0262711 [3.0] 2B.9.0043 Focus 1) 사혈을 위하여 거머리를 사용하는 것.[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사전] "2) Application of medicinal leeches to help drain replanted or transplanted tissue engorged with venous blood[NIC]""" H02179663 H02179663 Medical regimen orders 의료요법지시 C1171201 [3.0] 2B.9.0044 Focus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hysician's/provider's plan of treatment[CCC] H02179676 H02179663 Medical regimen orders 의사처방 C1171201 [3.0] 2B.9.0044 Focus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physician's/provider's plan of treatment[CCC] H02179691 H02179691 Multidisciplinary care conference 다학제간 간호 회의 C0178898 [3.0] 2B.9.0049 Focus Planning and evaluating patient care with health professionals from other disciplines[NIC] H02179705 H02179705 Normalization promotion 정상화 증진 C0262716 [3.0] Focus Assisting parents and other family members of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es or disabilities in providing normal life experiences for their children and families[NIC] H02179718 H02179718 Oral health 구강건강 C0029162 [3.0] 2B.9.0053 Focus The optimal state of the mouth and normal functioning of the organs of the mouth without evidence of disease.[MSH] Condition of the mouth and gums and the number type " and arrangement of the teeth.[OMS]""" H02179721 H02179721 Oral health maintenance 구강건강유지 C0150289 [3.0] 2B.9.0053 Focus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oral hygiene and dental health for the patient at risk for developing oral or dental lesions[NIC] H02179733 H02179733 Oral health promotion 구강건강증진 C0150290 [3.0] 2B.9.0053 Focus Promotion of oral hygiene and dental care for a patient with normal oral and dental health[NIC] H02179746 H02179746 Oral health restoration 구강건강회복 C0150291 [3.0] 2B.9.0053 Focus Promotion of healing for a patient who has an oral mucosa or dental lesion[NIC] H02179774 H02179774 Organ procurement 장기구득 C0029210 [3.0] Focus Guiding families through the donation process to ensure timely retrieval of vital organs and tissue for transplant[NIC] H02179787 H02179774 Organ procurement 신체장기조달 C0029210 [3.0] Focus Guiding families through the donation process to ensure timely retrieval of vital organs and tissue for transplant[NIC] H02179790 H02179790 Pass 통과 C2828386 [3.0] 2B.9.0060 Focus 어떤 곳이나 때를 거쳐서 지나감.[표준국어대사전] H02179829 H02179829 Pass facilitation 건강관리체계이탈 C0262717 [3.0] Focus 환자가 건강관리 체계에서 벗어난 상태로 정의한 간호중재분류[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Arranging a leave for a patient from a health care facility[NIC]""" H02179831 H02179831 Peer review 동료검토 C0030768 [3.0] 2B.9.0061 Focus Systematic evaluation of a peer's performance compared with professional standards of practice[NIC] H02179844 H02179831 Peer review 동료평가 C0030768 [3.0] 2B.9.0061 Focus Systematic evaluation of a peer's performance compared with professional standards of practice[NIC] H02179857 H02179831 Peer review 동료재검 C0030768 [3.0] 2B.9.0061 Focus Systematic evaluation of a peer's performance compared with professional standards of practice[NIC] H02179872 H02179872 Physician contact 의사연락 C0582446 [3.0] 2B.9.0064 Focus Actions performed to communicate with a physician/provider[CCC] H02179901 H01386084 Preceptor 프리셉터 [3.0] 2B.9.0067 Means "An experienced nurse, physician, or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 who guides and teaches those less experienced, including students; mentor. "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79914 H02179914 Product evaluation 제품평가 C0178905 [3.0] 2B.9.0069 Focus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new products or equipment[NIC] H02179927 H02179927 Technical equipment management 전문장비관리 C0150385 [3.0] 2B.9.0070 Focus Use of technical equipment and devices to monitor patient condition or sustain life[NIC] H02179930 H02179930 Psychosocial assessment 심리사회적 사정 C1455743 [3.0] Focus Actions performed to support the study of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CCC] H02179971 H02179971 Research data collection 연구자료수집 C0262727 [3.0] Focus 연구자료를 수집하는 것.[NIC] H02179983 H02179983 Seizure precautions 발작예방 C0150329 [3.0] Focus Prevention or minimization of potential injuries sustained by a patient with a known seizure disorder[NIC] H02179996 H02179996 Self responsibility 자기책임 [3.0] 2B.9.0080 Focus "자기의 행위나 그 결과에 대해서 수용적, 긍정적, 자발적으로 대처하는 태도. 그런 태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기 내부의 기분, 욕망, 행위와의 사이, 또는 사회와의 사이에 생기는 갈등을 해결해 나가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 그렇게 할 수 없으면, 이탈이나 이상행동이라고 하는 갖가지 부적응 행동으로 되어 버린다. 오늘날, 인성 내부와 사회에서도 갈등이 많이 발생하기 쉽고 스트레스사회라고 하며 이러한 시대에는 특히 필요로 하는 태도이다.[간호학대사전]" H02180003 H01417150 Mental symptom 정신적 증상 C0586405 [3.0] 2B.9.0081 Focus "1) 정신면에 나타난 병적증상, 즉 이상한 정신ㆍ심리현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정신증상이라고 한다. 이에는 (1) 일반적 외모, (2) 표출면, (3) 체험으로부터 각각 나타나는 정신증상이 있다. (1)은 의사소통이나 지식, 의식장애, 상태상 등으로부터, (2)는 얼굴표정, 태도나 몸짓, 언어나 행동의 이상 등으로부터, (3)은 지각, 사고, 감정, 자아의 이상 등으로부터 각각 파악되나 실제로는 개개의 요소가 독립하여 존재하는 일은 거의 없다.[간호학대사전]" 2) 정신병에 특이한 증상들로 환각 망상 현실과의 괴리감 기억력 장애 " 사고의 장애 등이 이에 속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0029 H01336916 Physical symptom 신체적 증상 C0679309 [3.0] 2B.9.0082 Focus 증상 H02180057 H01596251 Speech therapy 언어요법 C0037831 [3.0] 2B.9.0085 Focus "1) 말을 정확하게 발음할 수 없거나 더듬는 환자에게 발음, 대화 따위의 훈련을 전문적으로 행하는 치료법.[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0072 H02180072 Support group 부양집단 C0036606 [3.0] 2B.9.0089 Focus Use of a group environment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for members[NIC] H02180085 H02180072 Support group 지지단체 C0036606 [3.0] 2B.9.0089 Focus Use of a group environment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for members[NIC] H02180098 H02180072 Support group 지지그룹 C0036606 [3.0] 2B.9.0089 Focus Use of a group environment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for members[NIC] H02180101 H02180072 Support group 지원단체 C0036606 [3.0] 2B.9.0089 Focus Use of a group environment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for members[NIC] H02180114 H02180072 Support group 지지집단 C0036606 [3.0] 2B.9.0089 Focus Use of a group environment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and health-related information for members[NIC] H02180127 H02180127 Support system 지지체계 C0748877 [3.0] 2B.9.0090 Focus "개인들에게 정서적·정보적·물질적·애정적 지지를 제공하는 사람들, 자원들 그리고 단체들의 상호관련 집단을 말한다. 지원체계의 성원들에는 욕구가 있을 때 원조를 요청할 수 있는 개인들의 친구, 가족성원, 동료집단의 주요 성원들, 동료 직원들, 회원 조직과 기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식으로 직접 계약을 맺은 소수의 개인들로 구성된 지원체계는 지원집단(support groups)이라 불리기도 한다.[사회복지학사전]" H02180130 H02180127 Support system 지원체계 C0748877 [3.0] 2B.9.0090 Focus "개인들에게 정서적·정보적·물질적·애정적 지지를 제공하는 사람들, 자원들 그리고 단체들의 상호관련 집단을 말한다. 지원체계의 성원들에는 욕구가 있을 때 원조를 요청할 수 있는 개인들의 친구, 가족성원, 동료집단의 주요 성원들, 동료 직원들, 회원 조직과 기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정식으로 직접 계약을 맺은 소수의 개인들로 구성된 지원체계는 지원집단(support groups)이라 불리기도 한다.[사회복지학사전]" H02180142 H02180142 Surgical precaution 외과적 예방 [3.0] 2B.9.0091 Focus Minimizing the potential for iatrogenic injury to the patient related to a surgical procedure[NIC] H02180155 H02180155 Sustenance support 생계지원 C0150371 [3.0] Focus "Helping a needy individual/family to locate food, clothing, or shelter[NIC]" H02180168 H02180168 Telephone consultation 전화상담 C0175745 [3.0] 2B.9.0094 Focus 전화라는 매체를 활용하여 신속하고도 신뢰에 찬 관계를 통해 인간의 위기에 개입하는 상담의 한 형태[사회복지학사전] Eliciting patient's concerns; listening; and providing support information or teaching in response to patient's stated concerns " over the telephone[NIC]""" H02180171 H02180171 Truth telling 진실말하기 C0150391 [3.0] 2B.9.0096 Focus "Use of whole truth, partial truth, or decision delay to promote the patient's self-determination and well-being[NIC]" H02180183 H02180183 Obstetric ultrasound 산과 초음파 C0412555 [3.0] 2B.9.0097 Focus "Performance of ultrasound exams to determine ovarian, uterine, or fetal status[NIC]" H02180200 H02180200 Weight reduction 체중감량 C0043096 [3.0] 2B.9.0099 Focus Decrease in existing BODY WEIGHT.[MSH] H02180212 H02180212 Admission procedure 입원절차 C0582948 [3.0] 2B.9.0100 Focus 입원 H02180225 H02180225 Patient education 환자교육 C0030688 [3.0] 2B.9.0103 Focus Interventions to facilitate learning[NIC] 간호활동의 일부이고 교육활동에 속한다. 교육항목으로서는 입원시 교육 입원생활교육 수술전교육 퇴원교육 수유교육 목욕교육 " 식사ㆍ영양지도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0238 H02180238 Family attachmentgram 가족밀착도 [3.0] 2B.9.0105 Focus "가족을 이해하는데는 가족구조만이 아니라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관계의 본질을 파악하는 것인데, 자신들의 가정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문제를 되짚어보면서 가족구성원들간의 밀착관계와 상호관계를 그림으로 도식화하는 것." H02180241 H02180241 Heating 난방 C0018851 [3.0] 2B.9.0107 Focus "건물의 내부를 따뜻하게 하는 일로, 난로를 놓는 개별식 난방과 보일러 등에 의해 만들어진 열매(熱媒)를 여러 방으로 분배하는 중앙식 난방이 있는데, 이때 실내온도는 약 21℃, 상대습도는 40∼60% 정도가 적당하다.[두산백과]" H02180281 H02180281 Measurement time 측정시간 [3.0] 2B.9.0114 Focus 시점 또는 시간 간격 H02180294 H02180294 Measuring body site 측정부위 [3.0] 2B.9.0115 Location 신체 부분 H02180308 H02180308 Sublingual administration 설하투여 C0001565 [3.0] 2B.9.0116 Focus Administration of a soluble dosage form by placement under the tongue.[MSH] H02180311 H02180311 Cease medication 투약중단 C0850893 [3.0] 2B.9.0117 Focus 중단 H02180323 H02180311 Medication stop 투약중지 C0850893 [3.0] 2B.9.0117 Focus 중단 H02180336 H02180336 Medication management 투약관리 C0150270 [3.0] 2B.9.0118 Focus Activities related to monitor the intended responses to prescribed drugs[CCC] H02180349 H02180349 Medication route 투약경로 C0013153 [3.0] 2B.9.0119 Focus The various ways of administering a drug or other chemical to a site in a patient or animal from where the chemical is absorbed into the blood and delivered to the target tissue.[MSH] H02180364 H01030417 Melena 혈변 C0025222 [3.0] K92.1 2B.9.0120 Focus "1) 혈색소 또는 변성된 혈액에 의해서 착색된 흑색의 진득진득하고 점조한 대변의 배설. 2) 혈변은 토혈(吐血)과 똑같은 원인에 의한 출혈 및 더욱 하부의 소장, 대장으로부터의 출혈이 배변으로서 항문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멜레나로도 불리고 있다. 멜레나는 출혈한 혈액이 소화작용을 받고 이른바 흑색 타르와 같은 변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보통 공장(空腸)상부까지의 출혈은 흑색조의 타르와 같은 변이되고 또 하부장관으로 부터의 출혈에서는 대장내에 오래 정체할 경우에는 암적색에서 흑갈색을 나타내는데 하부에서는 선홍색으로 나타난다. 혈변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상부 소화관으로 부터의 출혈이 대부분이고 그밖에 대장 폴립, 대장게실(大腸憩室), 대장암, 궤양성대장염등이 혈변을 수반하는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0377 H01030417 Melena 멜레나 C0025222 [3.0] K92.1 2B.9.0120 Focus "1) 혈색소 또는 변성된 혈액에 의해서 착색된 흑색의 진득진득하고 점조한 대변의 배설. 2) 혈변은 토혈(吐血)과 똑같은 원인에 의한 출혈 및 더욱 하부의 소장, 대장으로부터의 출혈이 배변으로서 항문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멜레나로도 불리고 있다. 멜레나는 출혈한 혈액이 소화작용을 받고 이른바 흑색 타르와 같은 변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보통 공장(空腸)상부까지의 출혈은 흑색조의 타르와 같은 변이되고 또 하부장관으로 부터의 출혈에서는 대장내에 오래 정체할 경우에는 암적색에서 흑갈색을 나타내는데 하부에서는 선홍색으로 나타난다. 혈변의 원인이 되는 질환은 상부 소화관으로 부터의 출혈이 대부분이고 그밖에 대장 폴립, 대장게실(大腸憩室), 대장암, 궤양성대장염등이 혈변을 수반하는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0392 H02180392 Mineral 무기물 C0026162 [3.0] 2B.9.0122 Focus "비생물의 광물질도 미네랄이라고 하지만, 생체성분으로서의 무기질을 가끔 미네랄이라고 하며, 무기영양소 mineral nutrients, mineral elements라고도 한다. 무기영양소의 원소조성은 약 20종으로 주된 것은 Ca, Mg, P, Na, K, CI로 전체의 수십 %이상을 차지한다. 그 외에 미량만이 중요한 원소에 Cu Zn, I, Mn, Co등이 있다. 생체에는 이상의 것외에도 F, Mo, Se, Cr, Si, V, Sn이 불가결하다.[간호학대사전]" H02180406 H02180406 Nil per os after midnight 자정 후 금식 [3.0] 2B.9.0123 Focus 식사요법 H02180419 H02180406 NPO after midnight 자정 후 금식 [3.0] 2B.9.0123 Focus 식사요법 H02180421 H02180406 Midnight NPO 자정 후 금식 [3.0] 2B.9.0123 Focus 식사요법 H02180434 H02180406 MNNPO 자정 후 금식 [3.0] 2B.9.0123 Focus 식사요법 H02180450 H02180450 Nonnutritive sucking 노리개 젖꽂지 빨기 C1271035 [3.0] 2B.9.0125 Focus Provision of sucking opportunities for the infant[NIC] H02180462 H02180450 Nonnutritive sucking 비영양 빨기 C1271035 [3.0] 2B.9.0125 Focus Provision of sucking opportunities for the infant[NIC] H02180475 H02180450 Nonnutritive sucking 비영양성 흡철 C1271035 [3.0] 2B.9.0125 Focus Provision of sucking opportunities for the infant[NIC] H02180488 H02180488 Saturation by pulse oximetry 맥박산소포화도 [3.0] Focus 혈중산소포화도 H02180491 H02180488 SpO2 맥박산소포화도 [3.0] Focus 혈중산소포화도 H02180504 H02180488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맥박산소포화도 C2317096 [3.0] Focus 혈중산소포화도 H02180517 H02180488 Saturation of peripheral oxygen 맥박산소포화도 [3.0] Focus 혈중산소포화도 H02180545 H01207640 Otalgia 이통 C0013456 [3.0] H92.0 2B.9.0127 Focus "귀에 일어나는 통증. 바깥귀성-가운데귀성-구인두 이관성의 것이 있다. 바깥귀성 통증의 주원인은 귀종기에 의한 것으로서, 귀의 입구가 빨갛게 부어서 몹시 아프고, 귓바퀴를 건드리면 통증이 한층 심해진다. 그러나 곪아터져서 고름이 나오면 통증이 한결 덜하게 된다. 가운데귀성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된 병은 급성중이염으로서, 발열-귀울림-난청이 일어나고, 귀가 막힌 것 같은 느낌을 받는다. 고막이 천공되어 고름이 나오거나 천공되지 않아도 염증이 가시면 통증이 차차 없어진다. 귀인두관성의 동통은 저인두관염에 의한 것으로서 귀 속이 욱신거리면서 아프지만 고막이나 청력에는 이상이 없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0573 H02180573 School age child 학령기 아동 C2827631 [3.0] 2B.9.0132 Focus "의무 교육을 받는 기간. 곧, 만 6세부터 만 12세까지를 이름." H02180586 H02180573 School child 학령기 아동 C0260267 [3.0] 2B.9.0132 Focus "의무 교육을 받는 기간. 곧, 만 6세부터 만 12세까지를 이름." H02180656 H02180656 Hopeless discharge 가망없는 퇴원 [3.0] Focus 퇴원 H02180684 H02180684 Advanced practice nurse 전문간호사 C1510818 [3.0] Means 전문간호분야의 전문교육과정을 통해 특수한 지식과기술을 습득한 후 법적으로 인정을 받고 상급실무를 수행하는 간호사. H02180697 H02180697 Public health advanced practice nurse 보건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01 H02180701 Anesthesia advanced practice nurse 마취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13 H02180713 Psychiatric mental health advanced practice nurse 정신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26 H02180726 Home health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가정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39 H02180739 Infection control advanced practice nurse 감염관리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41 H02180741 Occupational health advanced practice nurse 산업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54 H02180754 Emergency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응급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67 H02180767 Gerontological nursing advanced practice nurse 노인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70 H02180770 Critical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중환자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82 H02180782 Hospice advanced practice nurse 호스피스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795 H02180795 Oncological nursing advanced practice nurse 종양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809 H02180809 Adult care advanced practice nurse 임상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811 H02180811 Child health advanced practice nurse 아동전문간호사 [3.0] Means 전문간호사 H02180840 H02180840 Snack 간식 C0453863 [3.0] Focus 끼니와 끼니 사이에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음식.[표준국어대사전] H02180852 H02180840 Snack food 간식 C0453863 [3.0] Focus 끼니와 끼니 사이에 음식을 먹음. 또는 그 음식.[표준국어대사전] H02180865 H02180865 Nursing process 간호과정 C0028692 [3.0] Focus "간호활동을 진행하는 기반이 되는 것으로 간호의 목적수행을 위한 간호상의 문제해결 접근방법이다. 1972년 미국 간호사협회 ANA의 규정에 의하면 간호과정은 사정 assesment(정보수집과 간호진단), 간호계획 nursing care plan(간호목표설정, 간호계획), 간호수행 implementation, 평가 evaluation의 4가지 중요한 요소로 나뉘어지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0878 H02180878 Nursing intervention 간호중재 C0886296 [3.0] Focus "간호사가 환자의 회복을 위해 도와주는 행위를 말한다. 환자와 처음 만났을 때부터 여러가지 돌봄을 제공하게 되고, 환자의 생리적ㆍ사회적ㆍ문화적 욕구를 분석하여 환자와 함께 환자의 건강회복을 위해 간호목표를 세우고 간호를 계획하고 수행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환자를 평가, 지지하고 불안의 예방과 경감, 및 퇴원 준비까지도 포함된다.[간호학대사전]" H02180881 H02180881 Nursing treatment 간호처치 [3.0] Focus "간호계획의 실시에 있어서 의료기계기구, 간호용구 등을 사용해서 직접 환자에게 적용하는 간호기술. 간호케어이외의 간호행위를 가리킨다. 의사의 지시를 얻은 진료의 보조적 업무도 간호사가 주체적으로 간호의 원칙에 의거해서 실시하는 경우에는 간호 처치라고 말하는 수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0893 H02180893 Nursing care activity 간호활동 [3.0] Focus "건강의 증진, 질병의 예방, 고통의 완화와 건강의 회복 등, 일련의 간호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건간호사, 간호사, 조산사에 의해서 실천되는 활동. 활동의 장 : 지역간호, 산업간호, 학교보건ㆍ양호활동 등. 활동의 내용 : 환경의 조성, 교육활동(간호상담, 간호지도), 진료의 보조, 보건지도, 조산 등.[간호학대사전]" H02180910 H02180910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감염관리지침 [3.0] Focus 지침 H02180922 H02180922 Involuntary discharge 불수의퇴원 [3.0] Focus 퇴원 H02180935 H02180922 Involuntary discharge 강제퇴원 [3.0] Focus 퇴원 H02180963 H01686286 Tetany 강직 C0039621 [3.0] R29.0 Focus "1) 주로 사지말초근의 만축, 후두경련, 경련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발작중 특유한 「조산부의 손 obstetrician’s hand」를 나타낸다. 비타민D 결핍증, 부갑상샘기능저하(특히 갑상술후에 많다), 소장흡수부전 등에 의한 혈중칼슘저하시, 또는 과호흡증후군, 구토의 반복, 알도스테로니즘 등 알칼리증으로 기울어서 혈중의 유리칼슘이 감소하였을 때 발생한다. 근전도(筋電圖)에서는, 안정시 2-수발의 단일활동전위의 반복발사가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2) 저칼슘혈증(hypocalcemia)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신경근육의 흥분도가 증가된 상태이다. 원인은 부갑상샘 저하증 인(phosphate)의 과다한 섭취: 저마그네슘혈증 등이다. 사지의 근육에 긴장연축(tonic spasm)이 와서 팔목과 엄지손가락을 안으로 구부리고 손가락은 움츠려든다. 발은 선천성 곤봉발에서와 같이 펴지고 " 발바닥은 컵모양을 하고 발가락은 구부린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0976 H01686286 Tetany 강축 C0039621 [3.0] R29.0 Focus "1) 주로 사지말초근의 만축, 후두경련, 경련발작을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으로 발작중 특유한 「조산부의 손 obstetrician’s hand」를 나타낸다. 비타민D 결핍증, 부갑상샘기능저하(특히 갑상술후에 많다), 소장흡수부전 등에 의한 혈중칼슘저하시, 또는 과호흡증후군, 구토의 반복, 알도스테로니즘 등 알칼리증으로 기울어서 혈중의 유리칼슘이 감소하였을 때 발생한다. 근전도(筋電圖)에서는, 안정시 2-수발의 단일활동전위의 반복발사가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2) 저칼슘혈증(hypocalcemia)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신경근육의 흥분도가 증가된 상태이다. 원인은 부갑상샘 저하증 인(phosphate)의 과다한 섭취: 저마그네슘혈증 등이다. 사지의 근육에 긴장연축(tonic spasm)이 와서 팔목과 엄지손가락을 안으로 구부리고 손가락은 움츠려든다. 발은 선천성 곤봉발에서와 같이 펴지고 " 발바닥은 컵모양을 하고 발가락은 구부린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0989 H02180989 Patency 개방성 C0175566 [3.0] Focus 널리 개방되어 있는 상태.[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사전] H02181037 H00716244 Transplant rejection 이식거부 C0018129 [3.0] Focus "장기이식에 있어서 조직적합성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 장기가 이식되었을 때에 그것을 배제하려는 반응이다. 이 반응으로 이식된 장기는 괴사에 빠진다. 액성면역과 세포성면역이 관여하고 있으며 이식직후에 생기는 것, 수주에서 수개월후에 비교적 급성으로 생기는 것, 수년후에 서서히 생기는 것이 있다. 장기 이식시에는 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나 부신피질호르몬을 투여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1040 H00716244 Transplantation rejection 이식거부반응 C0018129 [3.0] Focus "장기이식에 있어서 조직적합성이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는 장기가 이식되었을 때에 그것을 배제하려는 반응이다. 이 반응으로 이식된 장기는 괴사에 빠진다. 액성면역과 세포성면역이 관여하고 있으며 이식직후에 생기는 것, 수주에서 수개월후에 비교적 급성으로 생기는 것, 수년후에 서서히 생기는 것이 있다. 장기 이식시에는 이 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면역억제제나 부신피질호르몬을 투여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1122 H02181122 Decision 결정 C0679006 [3.0] Focus 행동이나 태도를 분명하게 정함. 또는 그렇게 정해진 내용. H02181135 H02181135 Stiff neck 경부경직 C0151315 [3.0] Focus "목의 골격근 긴장이 항진하고 이때문에 자동적으로 환자의 두부를 움직이는 경우에 명백한 저항이 나타나게 되거나 또는 이것이 곤란한 상태를 말한다. 골성의 원인에 의해서 경부의 운동이 제한되고 있는 경우에 이말은 사용하지 않는다. 근육의 저항은 두부를 전굴시켰을 때에 가장 두드러지고 측굴, 후굴시에는 거의 없다. 정도가 심하면 후궁반장 opisthotonus을 나타낼 때도 있다. 더욱 중요한 원인질환은 수막염이나 거미막 하출혈이고 그 수막자극 증후로서 볼수 있다. 그러나 뇌종양으로 두개내압 항진을 수반하는 것이나 대후두공 가까이에 있는 것이라도 경부경직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또 경추의 질환에서 반사적으로 항 경부의 근이수축하고 있는 수도 있다. 근수축성 두통에서 보게 되는 수도 있다. 파킨슨병이나 경성사경(痙性斜頸) 에서도 하경부의 근긴장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것은 오히려 흉쇄 유돌근등, 전경부의 근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점이 다르다.[간호학대사전]" H02181148 H02181135 Neck stiffness 목경직 C0151315 [3.0] Focus "목의 골격근 긴장이 항진하고 이때문에 자동적으로 환자의 두부를 움직이는 경우에 명백한 저항이 나타나게 되거나 또는 이것이 곤란한 상태를 말한다. 골성의 원인에 의해서 경부의 운동이 제한되고 있는 경우에 이말은 사용하지 않는다. 근육의 저항은 두부를 전굴시켰을 때에 가장 두드러지고 측굴, 후굴시에는 거의 없다. 정도가 심하면 후궁반장 opisthotonus을 나타낼 때도 있다. 더욱 중요한 원인질환은 수막염이나 거미막 하출혈이고 그 수막자극 증후로서 볼수 있다. 그러나 뇌종양으로 두개내압 항진을 수반하는 것이나 대후두공 가까이에 있는 것이라도 경부경직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또 경추의 질환에서 반사적으로 항 경부의 근이수축하고 있는 수도 있다. 근수축성 두통에서 보게 되는 수도 있다. 파킨슨병이나 경성사경(痙性斜頸) 에서도 하경부의 근긴장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것은 오히려 흉쇄 유돌근등, 전경부의 근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점이 다르다.[간호학대사전]" H02181151 H02181135 Neck rigidity 경부강직 C0151315 [3.0] Focus "목의 골격근 긴장이 항진하고 이때문에 자동적으로 환자의 두부를 움직이는 경우에 명백한 저항이 나타나게 되거나 또는 이것이 곤란한 상태를 말한다. 골성의 원인에 의해서 경부의 운동이 제한되고 있는 경우에 이말은 사용하지 않는다. 근육의 저항은 두부를 전굴시켰을 때에 가장 두드러지고 측굴, 후굴시에는 거의 없다. 정도가 심하면 후궁반장 opisthotonus을 나타낼 때도 있다. 더욱 중요한 원인질환은 수막염이나 거미막 하출혈이고 그 수막자극 증후로서 볼수 있다. 그러나 뇌종양으로 두개내압 항진을 수반하는 것이나 대후두공 가까이에 있는 것이라도 경부경직이 나타나는 수가 있다. 또 경추의 질환에서 반사적으로 항 경부의 근이수축하고 있는 수도 있다. 근수축성 두통에서 보게 되는 수도 있다. 파킨슨병이나 경성사경(痙性斜頸) 에서도 하경부의 근긴장이 높아지는데 이러한 것은 오히려 흉쇄 유돌근등, 전경부의 근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점이 다르다.[간호학대사전]" H02181221 H01191173 Organ donor 장기주는이 C0029206 [3.0] Focus Someone from whom an organ is removed for transplantation or other purpose.[NCI] H02181261 H02181261 Overeating 과식 C0020505 [3.0] Focus 지나치게 많이 먹음. H02181274 H02181261 Hyperphagia 과식 C0020505 [3.0] Focus 지나치게 많이 먹음. H02181316 H02181316 Overdrinking 과음 [3.0] Focus 술 따위를 지나치게 마심. H02181401 H02181401 Oral intake 구강섭취 C2137071 [3.0] Focus "영양섭취의 한 형태 : 성장, 정상기능,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 무기질, 탄수화물, 지용성 비타민같은 영양소를 입으로 섭취하는 과정" H02181414 H01188177 Oral bleeding 구강출혈 C0029163 [3.0] Focus "통상 구강염, 잇몸 질환 혹은 혈소판 감소로 생기는 구강 내 조직에서의 출혈 현상임." H02181455 H02181455 Verbal order 구두지시 [3.0] Focus 지시함 H02181512 H00991753 Malaise 권태감 C0231218 [3.0] Focus "단순히 따분함만을 뜻하지는 않으며, 몸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는 불확실한 감정을 의미함. 이유를 알 수 없는 발열 등에서 많이 동반되며, 단순히 환자의 감정상태만을 나타내므로 이것이 곧 병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음." H02181525 H02181525 Sense of balance 균형감각 C1821699 [3.0] Focus "a sensory system located in structures of the inner ear that registers the orientation of the head[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2181541 H02181541 Abstain from drinking 금주 [3.0] Focus 1) 술을 마시지 못하게 함. "2) 술을 마시던 사람이 술을 먹지 않고 끊음.[표준국어대사전]""" H02181579 H00838069 Inhibition 금지 C3463820 [3.0] Focus "1) 감정이나 욕망, 충동적 행동 따위를 내리눌러서 그치게 함." 2) 정도나 한도를 넘어서 나아가려는 것을 억눌러 그치게 함. "3) 『의학』자극으로 흥분한 신경 세포의 활동이 다른 신경 세포에 의하여 억눌림.[표준국어대사전]""" H02181581 H02181581 Impaired mobility 손상된 기동성 C0518456 [3.0] 10001219 Focus 일상생활 환경에서 혼자 움직이는 능력이 제한된 상태' 혹은 '한장소나 한 자세로부터 다른 곳이나 다른 자세로 옮기기 위한 능력의 감소'로 정의됨. 기동성 장애는 몸천체나 신체의 한 부분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움직이거나 한 자세에서 다른 자레소 변형하거나 물리적인 환경요소를 조작하는 능력이 완전히 없어진 상태 즉 기동불능과는 구별되어야함. H02181608 H02181608 Favorite food 기호식품 [3.0] Focus "영향을 취하려는것이 아니고 향기나 맛, 자극을 즐기기위한 음식." H02181611 H02181611 Younger brother 남동생 C0337538 [3.0] Focus 남자 동생.[표준국어대사전] H02181623 H02181623 Husband 남편 C0242664 [3.0] Focus 혼인을 하여 여자의 짝이 된 남자를 그 여자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H02181651 H02181651 Coldness 냉감 C0812387 [3.0] Focus 차가운 감각. H02181664 H02181664 Green stool 녹색변 C0474583 [3.0] Focus 대변 H02181692 H02181692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증가된 뇌내압 C0151740 [3.0] 10025395 Focus 뇌척수액의 압력이 올라간 상태. H02181706 H02181706 Cerebral hemorrhage 뇌출혈 C2937358 [3.0] Focus 두개(골)내출혈 중 뇌실질 안에 있는 혈관의 파열로 인한 출혈. H02181719 H02181719 Older sister 누나 C0337524 [3.0] Focus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사이에서, 남자가 손위 여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181721 H02181719 Older sister 언니 C0337524 [3.0] Focus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이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동성의 손위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주로 여자 형제 사이에 많이 쓴다.[표준국어대사전] H02181734 H02181734 Eye discharge 눈곱 C0423006 [3.0] Focus 눈에서 나오는 진득진득한 액. 또는 그것이 건조해진 것. H02181750 H01677468 Tear 누액 C0039409 [3.0] Focus "눈, 코, 귀, 혀, 피부를 통해 인지되는 감각." H02181858 H02181858 Diabetic education 당뇨교육 C0204935 [3.0] Focus 교육서비스 H02181886 H02181886 Arterial blood pressure 동맥압 C1272641 [3.0] Focus 동맥 혈관 내의 압력. H02181899 H02181886 Artery blood pressure 동맥혈압 [3.0] Focus 동맥 혈관 내의 압력. H02181931 H01063863 Miliaria 한진 C0026113 [3.0] L74.3 Focus 땀으로 피부가 자극되어 생기는 발진. 좁쌀 크기의 붉은색 도는 무색 발진이 오밀조밀하게 돋아 가렵고 따가움. 살과 살이 맞닿는 부위에 땀이 고여 있을 때 많이 생심. 땀이 표피로 분비되는 도중의 어느 부위에서 통로가 폐쇄되어 분비되지 못하고 축적되어 나타나는 병태. H02181956 H00503991 Dry cough 건성해소 C0850149 [3.0] Focus 객담 배출을 동반하지 않는 기침. H02182020 H02182020 Itinerant bathing service 방문목욕서비스 [3.0] Focus 지역사회 서비스 H02182058 H02182058 Sterile 무균 C0232920 [3.0] Focus "무균이란 멸균대상 목적물에서 모든 미생물(virus, rickettsia, mycoplasma, 세균, 진균, 원충 등)을 사멸 또는 제거하고 더불어 대상물에 관해서 미생물의 발육증식이 인정되지 않는다는 확인 증명된 상태를 말한다.[식품과학기술대사전]" H02182061 H02182061 Absent without leave 무단외출 [3.0] Focus 허가 없이 병동을 떠난 환자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용어.[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82073 H02182073 Painless labor 무통분만 [3.0] Focus 척수 바깥쪽의 경막외로 마취약제를 주입하여 분만 때에 생기는 진통을 억제하는 방법. H02182086 H02182086 Expressionless face 무표정 C0813217 [3.0] Focus 아무런 감정을 얼굴에 드러내지 아니함. 또는 그런 얼굴 표정. H02182099 H02182099 Loose stool 묽은 변 C2129214 [3.0] Focus 손상된 배변 H02182156 H02182156 Antisocial behavior 반사회적 행동 C0233523 [3.0] Focus 사회적 규약을 위반하거나 사회적으로 해가 되는 행위. H02182171 H02182171 Pronunciation 발음 C0871159 [3.0] Focus "혀 ·이 ·입술 등을 이용하여 말을 이루는 소리를 내는 일, 또는 그 소리." H02182184 H02182184 Paroxysmal ventricular tachycardia 발작성 심실빈맥 C0030591 [3.0] Focus An electrocardiographic finding of episodic ventricular tachycardia with abrupt onset and termination.[NCI] H02182197 H02182184 PVT 발작성 심실빈맥 [3.0] Focus An electrocardiographic finding of episodic ventricular tachycardia with abrupt onset and termination.[NCI] H02182213 H01281517 PSVT 발작심실상성빈맥 C0030590 [3.0] Focus 심장의 정상 전기전달조직 이외에 심방과 심실사이에 선천적으로 우회로 (bypass tract) 가 남아 이것이 정상 전기전달조직과 함께 회귀성회로를 (reentry circuit) 형성하여 심장의 전기가 이 회로를 따라 끊임없이 도는 경우 분당 약 180 ~220회의 심장박동이 (빈맥) 일어나는 질환. H02182226 H02182226 Bladder distention 방광팽만 C0005687 [3.0] Focus 1) 방광이 부풀어 터질 듯함. "2) 방광에 소변이 차면서 소변을 배출하지 못하여 느끼는 하복부의 팽만감[서울아산병원]""" H02182254 H00140545 Av block 방실차단 C0004245 [3.0] I44.3 Focus 정상적으로 동방결절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가 방실결절을 통한 자극 전도계를 따라 심실로 내려가는 과정에 이상이 있는 경우. H02182270 H02182270 Abnormal color 변색 C0332572 [3.0] Focus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자극 등에 의하여 어느 물체가 갖는 고유의 빛깔이 변하거나 퇴색되어지는 것." H02182337 H02182337 Incubator care 보육기간호 [3.0] Focus 체중 2Kg 이하의 미숙아 및 호흡장애등의 이상 증세를 보이는 신생아를 수용하는 산소 호흡기가 달린 보육기. 보육기 내에서는 온도나 습도가 적당히 조절되며 필요에 따라 산소공급도 가능함. H02182340 H02182337 Incubator care 인큐베이터 간호 [3.0] Focus 체중 2Kg 이하의 미숙아 및 호흡장애등의 이상 증세를 보이는 신생아를 수용하는 산소 호흡기가 달린 보육기. 보육기 내에서는 온도나 습도가 적당히 조절되며 필요에 따라 산소공급도 가능함. H02182365 H02182365 Conservative therapy 보존요법 C0459914 [3.0] Focus "treatment that designed to avoid radical medical therapeutic measures or operative procedures.[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82378 H01409451 Guardian 보호자 C1274041 [3.0] Focus 어떤 사람을 보호할 책임을 가지고 있는 사람. H02182410 H02182410 Pursed lip breathing 입술 오므리고 숨쉬기 C0425465 [3.0] Focus 호흡 기법 H02182448 H02182448 Partial bath 부분목욕 [3.0] Focus "상지나 하지등의 열욕(수온 41°C이상의 것)으로 전신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2~43°C가 적온으로 욕침시간은 15~20분이 좋다. 골절, 연좌, 신경마비등의 치료에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182451 H02182451 Half stitch out 부분발사 [3.0] Focus 봉합사제거 H02182489 H02182489 Nebulizer therapy 분무요법 C0199447 [3.0] Focus 분무화 기구를 이용하여 하부 호흡기계로 약물을 흡입하여 치료하는 요법. H02182491 H02182491 Dissatisfaction 불만 C0870433 [3.0] Focus 감정의 한 형태:마음이 차지 않아 언잖은 느낌. H02182518 H00635066 Unexplained fever 불명열 C3553373 [3.0] Focus "원인이 분명하지 않은 상태로 몸에서 나는 열. 세균 감염이나 악성 종양, 교원병 따위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음. " H02182546 H02182546 Complaint 불평 C3864418 [3.0] Focus 증상 H02182587 H02182587 Sucking power 빠는힘 [3.0] Focus 빨기 H02182603 H02182603 Agonal respiration 사망전 호흡 C2315245 [3.0] Focus "발성 이상과 간대성근경련증이 동반된 헐떡거림, 노력성 호흡으로 특징지어지는 비정상적 패턴의 호흡. 가능한 원인은 뇌허혈, 심한 저산소증 또는 무산소증." H02182629 H02182629 Social support system 사회적지지체계 C0748877 [3.0] Focus "개인으로 하여금 삶을 지탱하도록 돕는 심리적 또는 물질적 지원을 의미. 즉 친밀감, 인정과 애정, 소속감, 돌봄과 보살핌, 정보 제공, 물질적 도움과 지원 등을 통해 개인의 자존감과 안정감을 유지시켜 주는 사회적 지원." H02182631 H02182631 Expectant mother 임부 C0871736 [3.0] Focus "임신이란 부인이 발육을 계속하는 수정란을 그의 체내에 포용하는 상태를 말하며, 그 부인을 임부라고 한다. 그리고 처음으로 임신한 임부를 초임부(primigravida)라고 하며, 이미 1회 이상, 임신한 일이 있는 임부를 경임부(multigravida)라고 한다. 1회도 생존 분만을 행한 일이 없는 부인을 초산부 nullipara라고 하며, 현재 제1회의 분만을 행하고 있는 부인을 초산부 primipara라고 한다. 이미 1회 이상, 생존 분만을 산부를 경산부 multipara라고 한다. 따라서 현재 제2회째의 임신중의 것은, 제2회 경임부인 동시에, 1회 경산부이다. 다만, 유산은 이 속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회 유산을 경과하고 다시 현재 임신하고 있는 것은, 제3회 경임부이나 초산부이다.[간호학대사전]" H02182644 H02182631 Expectant mother 임산부 C0871736 [3.0] Focus "임신이란 부인이 발육을 계속하는 수정란을 그의 체내에 포용하는 상태를 말하며, 그 부인을 임부라고 한다. 그리고 처음으로 임신한 임부를 초임부(primigravida)라고 하며, 이미 1회 이상, 임신한 일이 있는 임부를 경임부(multigravida)라고 한다. 1회도 생존 분만을 행한 일이 없는 부인을 초산부 nullipara라고 하며, 현재 제1회의 분만을 행하고 있는 부인을 초산부 primipara라고 한다. 이미 1회 이상, 생존 분만을 산부를 경산부 multipara라고 한다. 따라서 현재 제2회째의 임신중의 것은, 제2회 경임부인 동시에, 1회 경산부이다. 다만, 유산은 이 속에 포함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회 유산을 경과하고 다시 현재 임신하고 있는 것은, 제3회 경임부이나 초산부이다.[간호학대사전]" H02182672 H00556451 Epigastric pain 심와부통증 C0232493 [3.0] R10.12 Focus 1) 검상돌기와 배꼽사이의 통증. 2) 심와부에 생기는 통증이고 원인으로서는 위ㆍ십이지장 궤양 위염 등 심와부 부근으로부터의 내장통과 간ㆍ췌ㆍ담낭질환 충수염 협심증 심근경색 등 타장기의 자극이 심와부통으로서 느끼게 되는 관련통이 있다. 심와부통으로서 중요한 것으로는 위ㆍ십이지장 궤양 위암 담석증 급성췌염 췌암 요로결석 심근경색 등이 있는데 " 척수로의 유발증에서도 심와부통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2685 H02182685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상부위장관출혈 C0041909 [3.0] Focus 출혈 H02182698 H02182698 Sense of loss 상실감 [3.0] Focus 무엇인가를 잃어버린 후의 느낌이나 감정 상태. H02182701 H02182701 Wound care 상처관리 C0886052 [3.0] 10033347 Focus 요법 H02182727 H02182727 Shower 샤워 C0541748 [3.0] 10018084 Focus 소나기처럼 뿜어 내리는 물로 몸을 씻는 일. H02182730 H02182730 Fiber 섬유질 C0225326 [3.0] Focus 섬유로 이루어진 물질. H02182742 H02182742 Sex education 성교육 C0036879 [3.0] Focus "남성과 여성간의 정신적. 육체적인 관계, 즉 성(性)에 관한 과학적인 지식을 올바르게 지도하는 교육." H02182755 H02182742 Sexuality education 성교육 C0036879 [3.0] Focus "남성과 여성간의 정신적. 육체적인 관계, 즉 성(性)에 관한 과학적인 지식을 올바르게 지도하는 교육." H02182771 H02182771 Washing face 세안 [3.0] Focus 얼굴을 씻음. H02182783 H02182771 Washing face 세수 [3.0] Focus 얼굴을 씻음. H02182796 H02182771 Washing face 세면 [3.0] Focus 얼굴을 씻음. H02182812 H02182812 Urine collection 소변수집 C0200354 [3.0] Focus 수집함 H02182825 H02182825 Belongingness 소속감 [3.0] Focus 자신이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느낌. H02182838 H02182825 Sense of belonging 소속감 [3.0] Focus 자신이 어떤 집단에 소속되어 있다는 느낌. H02182841 H02182841 Sense of alienation 소외감 [3.0] Focus 남에게 따돌림을 당하여 멀어진 듯한 느낌. H02182853 H02182853 Handwashing 손씻기 C0018581 [3.0] Focus 물이나 휴지 따위로 손에 있는 때나 더러운 것을 없앰. H02183012 H02183012 Visual subnormality 시력저하 [3.0] Focus 물체의 존재나 모양 따위를 분간하는 눈의 능력이 저하됨. H02183025 H02183025 A woman’s father in law 시아버지 [3.0] Focus 남편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H02183041 H02183041 A woman’s mother in law 시어머니 [3.0] Focus 남편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 H02183108 H02183108 Physical mobility 신체기동성 C0871081 [3.0] Focus "신체활동의 한 형태 : 균형잡기, 자세취하기, 보행(이동)뿐 아니라 근육과 관절 움직임의 조화를 포함하는 신체기관의 자발적인 정신운동성 움직임." H02183111 H02183111 Physical activity 신체활동 C0026606 [3.0] Focus 인간이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행하는 활발한 행동이나 작용. H02183123 H02183123 Room air 실내 공기 C3846005 [3.0] Focus 공기 H02183151 H02183151 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 조기심실수축 [3.0] Focus "심실의 수축 운동이 정상보다 느려지는 병. 기외수축 다음의 정상 수축까지의 시간과 기외수축 전의 정상 수축까지의 시간의 합이 정상 수축 시간의 두 배와 같고, 심장이 멈춘 것 같은 느낌이 들고 불안에 빠지게 됨." H02183164 H02183151 Ventricular premature contraction 심실기외수축 [3.0] Focus "심실의 수축 운동이 정상보다 느려지는 병. 기외수축 다음의 정상 수축까지의 시간과 기외수축 전의 정상 수축까지의 시간의 합이 정상 수축 시간의 두 배와 같고, 심장이 멈춘 것 같은 느낌이 들고 불안에 빠지게 됨." H02183192 H02183192 Heart sound 심장음 C0018820 [3.0] Focus "심장이 수축, 확장할때 발생하는 소리. " H02183221 H02183221 Wife 아내 C0242665 [3.0] Focus 혼인하여 남자의 짝이 된 여자.[표준국어대사전] H02183234 H02183234 Luxation of eye 안구이탈 C0154806 [3.0] Focus 안구가 앞쪽으로 이동되어 안검이 안구 뒤쪽에서 감기는 매우 드문 현상. H02183247 H02183234 Luxation of globe 안구이탈 C0154806 [3.0] Focus 안구가 앞쪽으로 이동되어 안검이 안구 뒤쪽에서 감기는 매우 드문 현상. H02183262 H01164971 Ocular pain 안구통증 C0151827 [3.0] H57.1 Focus 통증 H02183317 H02183317 Safety nursing 안전간호 [3.0] Focus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유지 또는 이를 돕는 여러 수준의 서비스." H02183320 H02183320 Safety education 안전교육 C1272340 [3.0] Focus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불의의 재해나 돌발적인 사태가 발생했을 때에는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 취해야 할 심신 양면의 행동을 지도할 목적으로 실시하는 교육." H02183358 H02183358 Midnight snack 야식 [3.0] Focus 저녁밥을 먹고 난 한참 뒤 밤중에 먹는 음식.[표준국어대사전] H02183373 H02183373 Drug management 약물관리 C0262754 [3.0] Focus 관리 H02183415 H02183415 Toothbrushing 이닦기 C0040461 [3.0] Focus "칫솔을 써서 치면을 닦는 것과 동시에 잇몸을 맛사지하고, 충치의 예방과 치주병의 예방 및 치료에 쓰인다. 단지 칫솔질이라고도 한다.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칫솔을 회전시키는 방법(롤링법)과 진동을 가하는 방법(스틸먼 개량법, 차터즈법, 머스법, 스크러빙법 등)이 있다. 현재 롤잉법이 널리 쓰이고 있으나 치주질환 환자에게는 머스법이나 스크러빙법이 좋다고 보고되고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3428 H02183415 Toothbrushing 칫솔질 C0040461 [3.0] Focus "칫솔을 써서 치면을 닦는 것과 동시에 잇몸을 맛사지하고, 충치의 예방과 치주병의 예방 및 치료에 쓰인다. 단지 칫솔질이라고도 한다.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칫솔을 회전시키는 방법(롤링법)과 진동을 가하는 방법(스틸먼 개량법, 차터즈법, 머스법, 스크러빙법 등)이 있다. 현재 롤잉법이 널리 쓰이고 있으나 치주질환 환자에게는 머스법이나 스크러빙법이 좋다고 보고되고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3443 H02183443 Younger sister 여동생 C0337525 [3.0] Focus 여자 형제(同性)의 손아래 형제를 이르는 말.여자 동생. H02183469 H02183469 Swallowing training 연하훈련 [3.0] Focus 연하곤란을 겪는 환자들이 어떤 자세에서 어떤 음식을 먹을 때 흡인이 덜 되는지를 판단하여 단계적으로 훈련.특히 인두에서 음식과 공기가 모두 지나가는 통로이므로 음식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훈련하는 일을 말함. H02183471 H02183471 Nutritional value 영양가 C0028722 [3.0] Focus 식품의 영양 가치. 영양소 1그램을 완전히 연소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열량으로 표시함. H02183484 H02183471 Nutritive value 영양가 C0028722 [3.0] Focus 식품의 영양 가치. 영양소 1그램을 완전히 연소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열량으로 표시함. H02183497 H02183497 Nutritional education 영양교육 C0204934 [3.0] Focus "영양 및 식품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배우고, 바람직한 식생활을 하도록 하여 건강한 신체를 유지하고 균형 된 성장 발달을 도모하는데 이루어지는 교육. " H02183539 H02183539 Undressing 옷벗기 [3.0] Focus "의복착용의 한 형태 : 의복을 벗는 것, 의복의 하의뿐 아니라 상의의 단추를 풀고 , 지퍼를 내리는 것, 양말, 스타킹, 신발류 다시말해 신발과 부츠를 벗는 것." H02183541 H02183541 Putting off clothes 탈의 [3.0] Focus "의복착용의 한 형태 : 의복을 벗는 것, 의복의 하의뿐 아니라 상의의 단추를 풀고 , 지퍼를 내리는 것, 양말, 스타킹, 신발류 다시말해 신발과 부츠를 벗는 것." H02183554 H02183554 Bedridden 와상 C0425251 [3.0] Focus 질병 혹은 허약함으로 인해 침대에 누워 지내는 상태. H02183567 H02183554 Bedbound 와상 C0425251 [3.0] Focus 질병 혹은 허약함으로 인해 침대에 누워 지내는 상태. H02183570 H02183554 Bed fast 와상 [3.0] Focus 질병 혹은 허약함으로 인해 침대에 누워 지내는 상태. H02183640 H02183640 Hygiene care 위생간호 C0868927 [3.0] Focus 건강의 보전-증진을 도모하고 질병의 예방-치유를 위해 행해지는 간호. H02183652 H02183652 Gastrointestinal bleeding 위장관출혈 C0017181 [3.0] Focus Bleeding originating from any par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NCI/PT] H02183665 H02183652 Gi bleeding 위장관출혈 C0017181 [3.0] Focus Bleeding originating from any par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NCI/PT] H02183681 H00141355 Atrophy 위축증 C0333641 [3.0] Focus "기관이나 조직의 기능, 부피, 수가 감소하는 상태로서 세포의 기능장애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 H02183710 H01517402 Risk factor 위험요인 C0035648 [3.0] Focus 해로움이나 손실이 생길 우려가 있는 요인. H02183722 H02183722 Bereaved family 유가족 [3.0] Focus 죽은 사람의 남은 가족. H02183748 H00826409 Induction of labor 분만유도 C0259787 [3.0] Focus "인위적으로 임신부에게 약물을 사용,진통을 유발시켜 태아를 분만시키는 일." H02183751 H02183751 Mamilla laceration 유두열상 [3.0] Focus "모유수유를 하는 산모에게 많이 생긴다 아기가 유두를 잘못 물고서 빠는 경우, 유두만 물고 젖을 빠는 경우, 젖을 너무 오랫동안 빠는경우 등 주로 수유자세가 잘못되어 나타난다. 유두가 갈라져 상처가 생긴 상태." H02183763 H02183763 Self breast examination 자가유방검진 C0085105 [3.0] Focus 유방암의 조기발견은 물론 주기적 임상검진이나 유방촬영술을 받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여성들이 스스로 행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간편한 검진방법. H02183776 H02183763 Self breast examination 자가유방검진법 C0085105 [3.0] Focus 유방암의 조기발견은 물론 주기적 임상검진이나 유방촬영술을 받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여성들이 스스로 행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간편한 검진방법. H02183789 H02183789 Milk products 유제품 [3.0] Focus 가축의 젖을 가공하여 제품화한 것의 총칭. H02183859 H01706701 Ear ringing 이명 C0040264 [3.0] H93.1 Focus 윙윙거리며 귓속에서 나는 잡음. 이와 같은 소리는 때로는 환자보다도 타인에 의해서 들리는 경우도 있다. 청신경에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3890 H02183890 Understanding 이해 C0162340 [3.0] Focus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하고, 깨달아 앎." H02183903 H02183903 Transitional stool 이행변 [3.0] Focus "생후 2~4일째부터 제2주까지 나타나게 되는데, 약간 묽고 점액성이며, 녹색에서 황갈 색에 이르는 여러 색깔을 띰." H02183929 H02183929 Cognitive level 인지수준 [3.0] Focus "자극을 받아들이고, 저장하고, 인출하는 일련의 정신 과정. 지각, 기억, 상상, 개념, 판단, 추리를 포함하여 무엇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 H02183944 H02183944 Cognitive degree 인지정도 [3.0] Focus "자신과 환경을 인지하고, 관계하고, 생각하는 정도." H02183957 H02183957 Intern 인턴 C1144859 [3.0] Means 의사 면허를 받고 수련병원에서 수련을 받는 전공의(專攻醫) 전문의가 되기 위해 거치는 수련의 과정 가운데 첫 1년 동안의 의사를 이르는 말. H02183960 H02183960 Lab data 임상병리 결과 C0745590 [3.0] Focus "인체에서 유래하는 검체를 검사분석하여 환자진료에 도움을 주는 검사의 결과. 혈액, 소변, 체액, 일반 세균검사, 혈액은행 검체등이 있음." H02183972 H02183972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임신당뇨병 C0085207 [3.0] Focus 임신 중에는 산모 본인과 태아의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산모의 대사요구량이 변화. 이로 인해 산모의 호르몬 대사에 이상이 생겨 당뇨병이 발생. 출생한 자녀가 성장한 후에도 비만이나 당 불내성 또는 당뇨병의 발생을 가져올 수 있어 임신 전후로 꼭 관리해야 할 질환임. H02183985 H02183972 Gestational diabetes 임신성당뇨 C0085207 [3.0] Focus 임신 중에는 산모 본인과 태아의 에너지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산모의 대사요구량이 변화. 이로 인해 산모의 호르몬 대사에 이상이 생겨 당뇨병이 발생. 출생한 자녀가 성장한 후에도 비만이나 당 불내성 또는 당뇨병의 발생을 가져올 수 있어 임신 전후로 꼭 관리해야 할 질환임. H02184021 H02184021 Admission care 입원간호 C0150124 [3.0] Focus 병원에 일정한 기간 동안 머물러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완화와 지지중심의 건강관리서비스. H02184074 H01763853 Gum bleeding 잇몸출혈 C0017565 [3.0] Focus "1) 잇몸 가장자리에 일어나는 출혈. 잇몸염, 이틀 고름 샛길 따위의 국소적 원인과 괴혈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혈액 질환 따위의 전신적 원인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2) 치은(잇몸) 변연부의 출혈. 주로 치은염이나 치조농루증 때문에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는 사과를 먹거나 칫솔 사용 때에 보인다. 출혈은 그리 많지 않고 곧 멈추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밖에 혈우병 ·중증빈혈증 ·자반병 ·백혈병 ·무과립세포증 ·괴혈병 등의 전신질환에서 일어나는 출혈도 있으나 그것은 자연적으로 나타나고 또 출혈이 멈추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는 원인이 국소적인 경우에는 그 조치를 하고 " 전신적인 경우에는 지혈조치를 행함과 동시에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한다.[두산백과]""" H02184087 H01763853 Gingival bleeding 치은출혈 C0017565 [3.0] Focus "1) 잇몸 가장자리에 일어나는 출혈. 잇몸염, 이틀 고름 샛길 따위의 국소적 원인과 괴혈병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혈액 질환 따위의 전신적 원인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2) 치은(잇몸) 변연부의 출혈. 주로 치은염이나 치조농루증 때문에 일어나는데 일반적으로는 사과를 먹거나 칫솔 사용 때에 보인다. 출혈은 그리 많지 않고 곧 멈추는 것이 보통이다. 이 밖에 혈우병 ·중증빈혈증 ·자반병 ·백혈병 ·무과립세포증 ·괴혈병 등의 전신질환에서 일어나는 출혈도 있으나 그것은 자연적으로 나타나고 또 출혈이 멈추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치료는 원인이 국소적인 경우에는 그 조치를 하고 " 전신적인 경우에는 지혈조치를 행함과 동시에 원인이 되는 질환을 치료한다.[두산백과]""" H02184116 H02184116 Self voiding 자가배뇨 [3.0] Focus 인위적인 조작없이 스스로 배뇨함. H02184144 H02184144 Self injection 자가주사 [3.0] Focus 스스로 약물을 주사기에 넣어 조직이나 혈관 속으로 직접 주입하는 일. H02184157 H00518052 Eclampsia 자간증 C0013537 [3.0] O15 Focus "임신기간이나 분만전후의 여성에서 일어나는 전신의 경련 발작과 의식 불명을 일으키는 병으로서 뇌조직의 병터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이다. 임신 중독증 가운데 가장 중증인 형태로 사망률이 높다. 고도의 단백뇨, 부종, 고혈압증상이 있는 고령의 초산부에게 많다. 전자간증에서는 용혈, 간효소 증가, 혈소판 감소 등의 증후가 나타난다. 과다반사반응과 발작이 나타나면 자간증이라 부른다. 분만자간이 가장 많고, 계절적으로는 겨울에 많다. 갑자기 일어나지만, 대개는 발작에 앞서 전조가 나타난다. 즉, 부종-단백뇨-고혈압의 세 증후와 체중의 이상증가가 주가 되고, 뇌-눈-위장의 세 증후군을 수반한다. 간호로서는, 발작 중에 혀를 깨무는 수가 있으므로 젓가락 같은 것에 거즈를 감아 입에 물리고 침을 닦아내며, 혀를 당겨내어 호흡을 편하게 해준다. 환자의 신변에 위험한 기구를 두지 말고, 머리를 차게 해주며, 조용하고 어두운 방에 눕히고 곧 의사에게 연락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4172 H02184172 Cervix length 자궁경부 길이 C0425890 [3.0] Focus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부위의 한 끝에서 다른 끝까지의 공간적 거리. H02184185 H02184185 Cervical dilation 자궁경부확장 C0567177 [3.0] Focus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cervix in labor as measured on vaginal examination. It is expressed in centimeters or finger breadths; one finger breadth is approximately 2 cm. At full dilation the diameter of the cervical opening is 10 cm.[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84198 H02184185 Cervix dilatation 자궁경부개대 C0404050 [3.0] Focus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f the cervix in labor as measured on vaginal examination. It is expressed in centimeters or finger breadths; one finger breadth is approximately 2 cm. At full dilation the diameter of the cervical opening is 10 cm.[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184242 H02184242 Children 자녀 C0680063 [3.0] Focus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184255 H02184242 Children 자식 C0680063 [3.0] Focus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184268 H02184242 Children 아이 C0680063 [3.0] Focus 아들과 딸을 아울러 이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184271 H02184271 Confidence 자신감 C1704726 [3.0] Focus 자신이 있다는 느낌. H02184283 H02184283 Natural drainage 자연배액 [3.0] Focus 급성염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절개나 천공에 의해 고름을 중력에 의해 신체 외부로 배출시킴. H02184296 H02184296 Suction drainage 흡인배액 C0038638 [3.0] Focus A procedure that makes use of a vacuum for the removal of fluid or tissue.[NCI/PT] H02184300 H02184300 Spontaneous rupture of membrane 자연양막파열 C0233308 [3.0] Focus 임신주수에 상과없이 진통전에 양막이 파수되어 양수가 밖으로 스며나오는 경우. H02184312 H02184300 Spontaneous rupture of membrane 자연양막파수 C0233308 [3.0] Focus 임신주수에 상과없이 진통전에 양막이 파수되어 양수가 밖으로 스며나오는 경우. H02184325 H02184325 Controlled 자제하기 [3.0] Focus 자기의 감정이나 욕망을 스스로 억제함. H02184411 H02184411 Ostomy education 장루교육 [3.0] Focus 지속적인 장루유지가 필요한 장루수술환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함. H02184423 H02184423 Obstacle 장애물 [3.0] Focus 가로막아서 거치적거리게 하는 사물. H02184436 H02184436 Financial support 재정적지원 C0016118 [3.0] Focus "개인, 가정, 단체 등의 경제 상태를 원조함." H02184464 H02415644 Hypovolemia 혈량저하 C0546884 [3.0] E86.1 Focus Dehydration or fluid loss[CCC] H02184492 H02184492 Changing of part 전과 [3.0] Focus 옮김 H02184506 H02184506 Transference of a ward 전동 [3.0] Focus 옮김 H02184521 H02184521 Full bath 전신욕 [3.0] Focus 목욕의 방법 중 전신을 씻는 방법을 일컫는 것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184575 H02184575 Transference of a room 전실 [3.0] Focus 옮김 H02184588 H02184588 Transference of a hospital 전원 [3.0] Focus 옮김 H02184591 H02184591 Conditioning regimen 이식전처치 C0376450 [3.0] Focus 자가이식을 하기 전 시행하는 처치. H02184604 H01389081 Premedication 사전투약 C0033045 [3.0] Focus 치료나 시술을 하기 전 시행하는 처치. H02184632 H01389081 Premedication 전투약 C0033045 [3.0] Focus 치료나 시술을 하기 전 시행하는 처치. H02184661 H02184661 Diversional activity 전환활동 [3.0] Focus "목적을 가진 행동(오락, 기분전환, 자극, 이완)을 제공하고 돌보는 것." H02184702 H01083374 Mucous stool 점액대변 C0241254 [3.0] Focus "흡수장애, 과민성 대장 증후군, 궤양성 장염등에 의해 점액질이 섞여 나온 변." H02184728 H01799222 Venous return 정맥환류 [3.0] Focus 상하의 대정맥을 거쳐 우심방에 단위시간에 유입하는 혈액량. 평형상태에서 심박출량과 같다.[간호학대사전] H02184756 H01149479 Normal sinus rhythm 정상동성리듬 C0232202 [3.0] Focus "동성리듬은 심장수축을 시작하는 정상적인 기전임. 정상적인 심장 흥분파는 동방결절에서 기원하며 심방과 방실결절, 심실로 퍼져감." H02184769 H02184769 Normal range 정상범위 C0086715 [3.0] Focus 정상 H02184771 H02184771 Normal stool 정상변 C0474509 [3.0] Focus 대변 H02184784 H02184784 Emotional care 정서적 간호 [3.0] Focus 긴장감과 불안정감 등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한 또는 이를 돕는 여러 수준의 서비스. H02184813 H02184813 Cord care 제대간호 [3.0] Focus "아기가 엄마 자궁내에서 성장할때 엄마로부터 영양을 공급받던 생명선으로, 제대절단면은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장소가 되며 제대 감염시 혈액을 통해 패혈증이 나타나므로 감염에 특히 주의해야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행하는 간호." H02184826 H02184826 Cord bleeding 제대출혈 [3.0] Focus 태아와 태반을 연결하는 제대에 출혈. H02184854 H02184854 Large for gestational age 과체중아 C1848395 [3.0] Focus 재태기간에 대한 출생 체중이 90 "백분위수 이상인 경우""" H02184867 H02184854 LGA 과체중아 C1848395 [3.0] Focus 재태기간에 대한 출생 체중이 90 "백분위수 이상인 경우""" H02184870 H02184870 Prohibited food 제한식품 [3.0] Focus "일정한 한도를 정하거나 그 한도를 넘지 못하게 막은몸안에 들어가서 영양분으로 되거나 몸조직을 형성하거나 에너지를 공급하는 물질. 식품,사람이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물." H02184895 H00513290 Early ambulation 조기이상 C0013457 [3.0] Focus 빨리 일어서서 움직이는 활동. 운동처럼 과격한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서 천천히 걷는 등의 간단한 무리가 가지 않는 활동. H02184911 H01388631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조기양막파수 C0015944 [3.0] O42.99 Focus 임신주수에 상관없이 진통이 오기 전에 양막이 먼저 터지는 것. H02184978 H01392296 Preterm labor 조기진통 C0022876 [3.0] Focus "임신 20주 후, 37주 전에 일어나는 자궁수축. 수축시간은 10분 내에 자궁경관의 변화와 경관의 2cm개대 또는 경관거상 75%를 초래함." H02184981 H02184981 Contrast media adverse reaction 조영제부작용 C0569413 [3.0] Focus "방사선 검사에서 조직의 모습을 뚜렷이 하기 위해 주입하는 방사선을 통과시키지 않는 물질이 사용된 목적 이외의 다른 결과. 즉 반대 작용으로 약물에 대한 유해 작용, 특히 그 투여로 효능을 추구하는 것과 다른 조직이나 기관 계통에 미치는 해로운 영향과 같은 것." H02184993 H02184993 Silent environment 조용한 환경 [3.0] Focus "침묵, 활동하지 않는 직접, 간접으로 영향을 주는 자연적 조건이나 사회적 상황." H02185001 H02185001 Pacing beat 페이싱비트 [3.0] Focus 심장 과정 H02185013 H02185001 Pacing rate 조율맥박 C2016306 [3.0] Focus 심장 과정 H02185026 H02185026 Religious support 종교적지지 [3.0] Focus 종교와 관계있는 것 혹은 종교를 이용하여 뒷받침하여 도움. H02185039 H02185039 Calf circumference 종아리둘레 [3.0] Focus 종아리의 가장 넓은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수평으로 측정한 둘레 H02185041 H02185039 Calf circumference 장딴지둘레 [3.0] Focus 종아리의 가장 넓은 부분을 중심으로 해서 수평으로 측정한 둘레 H02185067 H02185067 Attending physician 주치의 C1320929 [3.0] Means 어느 한 사람의 건강 상태나 병에 대하여 상담 또는 치료해 주는 의사. H02185070 H02185067 Physician in charge 주치의 [3.0] Means 어느 한 사람의 건강 상태나 병에 대하여 상담 또는 치료해 주는 의사. H02185109 H00791181 Hyperplasia 증식증 C0020507 [3.0] Focus "기능항진을 유발시키는 자극을 받았을 때 분열이 가능한 세포가 세포분열로 그 수가 증가되는 것을 증식이라 하며, 결과적으로 그 조직이나 장기도 커지게 된다. 비대는 단순히 세포의 증식이 없이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5111 H00791181 Hyperplasia 증식 C0020507 [3.0] Focus "기능항진을 유발시키는 자극을 받았을 때 분열이 가능한 세포가 세포분열로 그 수가 증가되는 것을 증식이라 하며, 결과적으로 그 조직이나 장기도 커지게 된다. 비대는 단순히 세포의 증식이 없이 세포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를 이르는 말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85124 H02185124 Perceptual level 지각수준 [3.0] Focus "감각 기관을 통해 외부의 사물을 인식, 사물의 이치를 분별하는 능력의 정도." H02185152 H02769128 Disorientation 지남력 상실 C0233407 [3.0] R41.0 10001235 Focus "감각 기관을 통해 외부의 사물을 인식, 사물의 이치를 분별하는 능력의 불능, 고장." H02185181 H02185181 Discharge against medical advice 자의퇴원 C0743214 [3.0] Focus 자의에 의하여 지시에 따르지 않는 퇴원. H02185193 H02185193 Community institution 지역사회기관 [3.0] Means 지역사회 안에 구성된 특별한 목적을 위해 구성된 공동체. H02185210 H02185210 Supportive resource 지지자원 [3.0] Means 뒷받침하여 도울 수 있는 바탕이 되는 물자나 인재. H02185222 H02185222 Supportive care 지지적 간호 C0344211 [3.0] Focus 지지함 H02185263 H02185263 Sticky sweat 진땀 [3.0] Focus 몹시 힘들 때 흐르는 끈끈한 땀. H02185276 H02185276 True labor 진진통 [3.0] Focus 경관개대가 있으면서 오는 진통. H02185318 H02185318 Puncture site 천자부위 [3.0] Location 첨단이 예리한 의료기구로 신체를 찌른 부위 H02185359 H00146331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체외자동제세동기 C0180309 [3.0] Means 심장근육에 전기파동을 보내서 심장박동이 정상으로 돌아가도록 설계된 도구. H02185361 H02185361 Cheyne stokes respiration 체인스토크스호흡 C0008039 [3.0] Focus 무호흡과 깊은 호흡이 교대로 나타나는 호흡으로 임종이 가까운 환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음. H02185374 H02185361 Cheyne stokes respiration 체인스토크호흡 C0008039 [3.0] Focus 무호흡과 깊은 호흡이 교대로 나타나는 호흡으로 임종이 가까운 환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음. H02185387 H02185361 Cheyne stokes respiration 체인스톡호흡 C0008039 [3.0] Focus 무호흡과 깊은 호흡이 교대로 나타나는 호흡으로 임종이 가까운 환자에게서 많이 볼 수 있음. H02185390 H02185390 Weight bearing exercise 체중부하운동 [3.0] Focus "자기 체중을 이용하여 하는 운동.ex)걷기, 조깅,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산등이 있음." H02185429 H01815241 Vitreous hemorrhage 초자체출혈 C0042909 [3.0] H43.1 Focus "1) 초자체 출혈은 안구천공성 외상, 안내 수술이나 혈액질환을 제외하면 이 루즈병등의 망막정맥 주위염, 진구성 망막정맥 폐색증, 맥없는 병, 혈관 증식형의 당뇨병성 망막증 등의 망막혈관 병변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치료는 일반적으로 안정과 지혈제, 혈관강화제, 단백분해효소의 전신투여, 염증성인 것에 대해서는 그 원인요법을 행하고, 흡수불량으로 짙은 혼탁을 남긴 경우에는 초자체 치환술이나 초자체수술이 적용된다.[간호학대사전]" 2) 안구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초자체(유리체) 내부의 출혈. 눈은 안구라고 부르는 직경 2.4cm 정도의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고 그 앞쪽이 우리가 보는 검은자(각막)이다. 축구공이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기가 안에 주입되어 있어야 하는 것처럼 눈이 공 모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눈의 내부를 어떤 물질이 채우고 있어야 하는데 이렇게 눈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겔 상태의 투명한 물질을 초자체(vitreous; 유리체)라고 한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망막 맥락막 " 모양체의 혈관조직에서 이 초자체(유리체) 내부로 출혈이 생기는 것을 초자체(유리체) 출혈이라고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85460 H02185460 Peak inspiratory pressure 최대흡기압력 C0232021 [3.0] Focus 흡기동안 폐의 최대 압력. H02185472 H02185472 Bleeding volume 출혈량 [3.0] Focus 혈액의 비정상적인 내적 또는 외적인 유출되는 분량. H02185485 H02185485 Impulsive thought 충동적 사고 [3.0] Focus "반성이 가해지는 일 없이 무의식적으로 행동이 되어 나타나는힘,혹은 그런 생각." H02185498 H02185498 Treatments and procedures 치료과정 C0237403 [3.0] Focus "Technical activities such as wound care, specimen collection, resistive exercises, and medication prescriptions that are designed to prevent, decrease, or alleviate signs and symptoms for the individual, family, or community.[OMS/IVC]" H02185501 H02185501 Therapeutic environment 치료적 환경 C0935574 [3.0] Location 환경 요법 H02185568 H02185568 Other person 타인 C1271042 [3.0] Means 다른 사람.[표준국어대사전] H02185596 H00645593 Dullness 탁음 C0541911 [3.0] Focus 어떤 일이 이루어지는 기세나 힘 따위가 움츠러들거나 떨어져 활발하지 못함. H02185708 H02185708 Right occipitoposterior fetal position 우후두후위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11 H02185708 ROP 우후두후위 C0426097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23 H02185723 Left occipitoposterior fetal position 좌후두후위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36 H02185723 LOP 좌후두후위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49 H02185749 Left occipitoanterior fetal position 좌후두전위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51 H02185749 LOA 좌후두전위 C0023923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64 H02185764 Right occipitoanterior fetal position 우후두전위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77 H02185764 ROA 우후두전위 C2985324 [3.0] Location 머리태위 H02185780 H02185780 Pelvic presentation 골반위 [3.0] Location "종위(縱位) 가운데서 태아의 골단이 하향부가 되고 모체의 골반입구로 향해 이것이 앞으로 나아가 만출되는 것. 분만시 선진부의 종류에 따라서 (1) 둔위(臀位) Steiblag : 둔부가 선진하는 것. 둔부가 단독으로 선진하는 단둔위와 발뒤꿈치가 둔부에 접하고 있는 복둔위가 있다. 복둔위에는 전복둔위(두 발꿈치가 둔부에 접해서 선진)와 부전복둔위(한쪽 발뒤꿈치만 둔부에 접해서 선진). (2) 족위 Fuβlage : 하지가 신전해서 족부가 선진하는 것. 전족위(두발이 선진), 부전족위(한쪽 발만 선진), (3) 슬위(膝位) Knielage : 고관절은 신전하고 슬관절로 하지가 굴곡해 무릎이 선진하는 것. 전슬위(全膝位)(양쪽 무릎이 선진), 부전슬위(한쪽 무릎만 선진). 골반위는 전분만시의 3~4% 를 치자하고 둔위가 가장 많고 이어서 족위 슬위는 극히 드물다. 태아의 이상, 양수과다(羊水過多), 전치태반(前置胎盤), 자궁의 기형, 종양 등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5834 H00213656 Forehead presentation 전액태위 [3.0] Location "반굴위(反屈位) 의 일종. 이마가 앞으로 나아가고 모체의 전방으로 회전한다. 분만의 진행과 함께 반굴의 정도를 강화해 전액태위로 이행하는 것이 많다. 빈도는 0.02~0.04%, 분만기전은 전두봉합(前頭縫合)이 골반입구의 횡선에 일치해서 진입하고 이마가 앞으로 나아간다. 제2회전에서 이마가 앞쪽으로 후정(後頂)은 뒷쪽으로 회전한다. 제3회전에서는 비근부(鼻根部)가 치골하연(恥骨下緣)으로 지지되어 아기머리는 강한 굴위(屈位)를 취하고 이마, 전정, 후정이 회음을 빠져나오고 이어서 아기 머리는 뒷쪽으로 신전해 코, 입, 이부(頣部)가 치골궁하(恥骨弓下)를 지나 아기머리의 만출은 끝난다. 아기가 작은 경우에는 자연분만이 가능한데, 산도통과는 대사경주위(大斜徑周圍)이기 때문에 분만은 두드러지게 지연되고 방치하면 산모나 아기가 모두 예후가 불량하다.[간호학대사전]" H02185847 H00213656 Forehead presentation 전두태위 [3.0] Location "반굴위(反屈位) 의 일종. 이마가 앞으로 나아가고 모체의 전방으로 회전한다. 분만의 진행과 함께 반굴의 정도를 강화해 전액태위로 이행하는 것이 많다. 빈도는 0.02~0.04%, 분만기전은 전두봉합(前頭縫合)이 골반입구의 횡선에 일치해서 진입하고 이마가 앞으로 나아간다. 제2회전에서 이마가 앞쪽으로 후정(後頂)은 뒷쪽으로 회전한다. 제3회전에서는 비근부(鼻根部)가 치골하연(恥骨下緣)으로 지지되어 아기머리는 강한 굴위(屈位)를 취하고 이마, 전정, 후정이 회음을 빠져나오고 이어서 아기 머리는 뒷쪽으로 신전해 코, 입, 이부(頣部)가 치골궁하(恥骨弓下)를 지나 아기머리의 만출은 끝난다. 아기가 작은 경우에는 자연분만이 가능한데, 산도통과는 대사경주위(大斜徑周圍)이기 때문에 분만은 두드러지게 지연되고 방치하면 산모나 아기가 모두 예후가 불량하다.[간호학대사전]" H02185862 H00352196 Compound presentation 복합위 C0426178 [3.0] Location "prolapse of a limb of the fetus alongside the head in a cephalic presentation or of one or both arms in a breech presentation.[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85891 H00274195 Cephalic presentation 두위 C2979973 [3.0] 1A.9.0088 Location "1) 두위(頭位). 분만중 후두, 전액(前額) 및 안면 등을 포함하여 태아의 두부가 선진하고 있는 태위. 2) 태위(胎位)의 하나. 태위란 태아의 종축(縱軸)과 자궁의 종축과의 관계를 말하나, 태아의 종축이 자궁의 종축에 일치하는 것을 종위(縱位)라고 하며, 종위중 아두(児頭)가 자궁의 아래에 있는 것을 두위(頭位)라고 한다(또한, 어린아이의 골반단이 아래에 있는 것을 골반위 breech presentation, Beckenendlage라고 한다). 임신말기에는 95%가 두위이며 이를 정상 태위라고 생각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5999 H01156562 Oblique presentation 사선태위 C0426058 [3.0] O32.2 Location "임신중의 태아위치의 진단시, 태아의 세로축과 자궁의 세로축이 비스듬히 교차하고 있는 것. 직각으로 교차하면 횡위(橫位)인데 WHO에서는 사위도 횡위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분만시에 견갑이 먼저 나오므로 견갑위라고도 한다. 드문 태위 이상이고 이대로 자연분만을 하는 것은 자기 회전을 하지 않는 한 우선 불가능하고 태아사망, 자궁 파열등, 모아 모두 위험에 처하게 된다. 처치로서는 내회전술, 외회전술 등도 있는데 제왕 절개가 아기에게 가장 안전해 널리 이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6075 H01567892 Shoulder presentation 견갑위 C0426164 [3.0] Location "presentation of the fetal shoulder in labor[Dorland's Medical Dictionary for Health Consumers. ⓒ 2007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186091 H00633500 Fetal presentation 태아위치 C0022869 [3.0] Location "모체두미방향의 종축(縱軸)(또는 자궁의 종축)과 태아축과의 상호관계를 말하며, 양축이 평행하는 경우를 종위(縱位) longitudinal presenta­tion, Langslage, 직교하는 경우를 횡위(横位) transverse pre­sentation. Queriarge 또는 견갑위 shoulaer presentation, Schluterlage, 양축이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것을 사위 oblique pre­sentation, schraglage라고 한다. 종위에는 아두(兒頭)가 모체미방(母體尾方)에 있는 것을 두위(頭位) 태아골반이 모체미방에 있는 것을 골반위라고 하며, 가장 빈도가 많은 두위가 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자궁내에 있어서 태아의 위치가 정해지는 것은, 임신중기 이후이며, 따라서 실제로 태아의 위차이상이 문제로 되는 것은 임신중기 이후이다. 분만시에는 약 95%가 두위로 만출(晚出)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86104 H00633500 Presentation of fetus 태아위치 C0022869 [3.0] Location "모체두미방향의 종축(縱軸)(또는 자궁의 종축)과 태아축과의 상호관계를 말하며, 양축이 평행하는 경우를 종위(縱位) longitudinal presenta­tion, Langslage, 직교하는 경우를 횡위(横位) transverse pre­sentation. Queriarge 또는 견갑위 shoulaer presentation, Schluterlage, 양축이 비스듬하게 교차하는 것을 사위 oblique pre­sentation, schraglage라고 한다. 종위에는 아두(兒頭)가 모체미방(母體尾方)에 있는 것을 두위(頭位) 태아골반이 모체미방에 있는 것을 골반위라고 하며, 가장 빈도가 많은 두위가 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자궁내에 있어서 태아의 위치가 정해지는 것은, 임신중기 이후이며, 따라서 실제로 태아의 위차이상이 문제로 되는 것은 임신중기 이후이다. 분만시에는 약 95%가 두위로 만출(晚出) 된다.[간호학대사전]" H02186117 H02186117 Tub bath 통 목욕 C0085676 [3.0] Focus 씻기 H02186120 H02186120 Pain pattern 통증양상 C1286321 [3.0] Focus 통증 H02186132 H02186132 Pain scale 통증척도 C1504479 [3.0] Means 통증을 평가하거나 판단할때의 기준. H02186186 H02186186 Transparent dressing 투명드레싱 C0770788 [3.0] Means "Transparent film Wound Care A waterproof dressing that is permeable to O2 and moisture.[McGraw-Hill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Medicine. ⓒ 2002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H02186231 H02186231 Destructive behavior 파괴적행동 C0233520 [3.0] Focus "때려 부수거나 깨뜨려 헐어 버리려는 행동. 조직, 질서, 관계 따위를 와해시키거나 무너뜨리려는 행동." H02186297 H02186297 Peace 평화 C0680443 [3.0] Focus 평온하고 화목함. H02186301 H02186301 Pulmonary artery catheter 폐동맥도관 C0179790 [3.0] Means 수액 공급의 적절성을 감시하고 심박출량과 전신 및 폐혈관저항에 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inotropic이나 vasodilating drug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도관. H02186313 H02186301 Pulmonary artery catheter 폐동맥카테터 C0179790 [3.0] Means 수액 공급의 적절성을 감시하고 심박출량과 전신 및 폐혈관저항에 관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inotropic이나 vasodilating drug에 대한 반응을 측정하는 도관. H02186339 H02186339 Povidine shower 포비돈 샤워 [3.0] Means 샤워 H02186341 H02186341 Verbal abuse 폭언 C0558089 [3.0] Focus 거칠고 사납게 하는 말. H02186367 H02186367 Facial expression 표정 C0015457 [3.0] Focus (의견이나 감정 따위를) 드러내어 나타냄 H02186370 H02186370 Standard weight 표준체중 [3.0] Focus "사람이 비만일인지, 마른형인지 하는 영양상태를 알고 싶을 때는 체내의 지방조직양을 측정하는 것이 좋지만 실제로 간단하게 측정 되지 않는다. 그래서 편의상 표준체중(이상적 신장과 체중의 균형)을 구해서 표준체중을 하나의 기준으로해 비만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있다. 표준체중(kg)=(신장cm-100cm)x0.9하고 일반적으로 표준체중보다 20% 체중이 많이 나가면 비만(증)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6395 H00825115 Indicator 표지 C1522602 [3.0] Judgment 다른 것과 구별하여 알게 하는 데 필요한 표시나 특징. H02186437 H02186437 Scale 껍질 [3.0] Focus "표피 각층의 상층이 크고 작은 각질편이되어서 탈락한다. 이것을 인설이라고 하며 이 현상을 낙설 desquamation, Abschuppung 이라고 한다. 박탈하는 각질편이 비강과 같이 미세한 상태를 비강양 pityriasiform, 낙엽과 같이 커다란 상태를 낙엽상 exfoliative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6440 H02186437 Scale 인설 C0222045 [3.0] Focus "표피 각층의 상층이 크고 작은 각질편이되어서 탈락한다. 이것을 인설이라고 하며 이 현상을 낙설 desquamation, Abschuppung 이라고 한다. 박탈하는 각질편이 비강과 같이 미세한 상태를 비강양 pityriasiform, 낙엽과 같이 커다란 상태를 낙엽상 exfoliative이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6481 H02186481 Anal bleeding 항문출혈 C0426747 [3.0] Focus 항문에서 나오는 출혈. 원인의 95%이상은 치질이 원인. 대변에 묻어나오거나 대변과 섞여서 나오기도 하고 대변을 본 후 나오기도 함. H02186493 H02186493 Chemotherapy education 항암교육 C1161037 [3.0] Focus 교육서비스 H02186507 H01542367 Seaweed 해조류 C0036500 [3.0] Means 바다에서 나는 조류를 이르는 말. 바닷말. H02186522 H02186522 Behavior disorder 행동장애 C0004930 [3.0] Focus 지속적으로 타인의 권리를 침범하거나 나이에 걸맞지 않게 사회적 규범을 어기는 행동이 나타나는 장애. H02186535 H02186535 Acting out 행동화 C0001241 [3.0] Focus "정신분석 이론에서 자아(自我)에게 용납될 수 없는 무의식적 욕망이나 동기를 지니고 있을 때, 이것이 의식화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반면에 그 동기나 욕망을 즉각적이거나 환상적인, 또는 현실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출구(出口)를 통해서 만족시킴으로써 원래의 욕망이나 동기를 대치시키는 것. " H02186548 H02186548 Permission 허락 C0521104 [3.0] Focus 청하고 바라는 바를 들어줌. 승낙. 허가. H02186563 H02186563 Sense of reality 현실감 [3.0] Focus 사실이라고 실감함. H02186576 H02186576 Blood brain barrier 혈액뇌장벽 C0005854 [3.0] Location 뇌와 척수에는 혈류로부터 어떤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장벽. 이것은 뇌와 척수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비교적 다른 모세혈관의 투과성보다 떨어지기 때문임. H02186589 H02186576 Blood brain barrier 뇌혈관장벽 C0005854 [3.0] Location 뇌와 척수에는 혈류로부터 어떤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장벽. 이것은 뇌와 척수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비교적 다른 모세혈관의 투과성보다 떨어지기 때문임. H02186591 H02186576 BBB 혈뇌장벽 C0005854 [3.0] Location 뇌와 척수에는 혈류로부터 어떤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 장벽. 이것은 뇌와 척수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비교적 다른 모세혈관의 투과성보다 떨어지기 때문임. H02186618 H02186618 Blood warmer 혈액가온기 C0184352 [3.0] Means "수혈중 가온하는 기계. 대량수혈, 영아의 교환수혈, 한랭응집소를 가진 환자, 중심정맥 도관을 통한 빠른 수혈 시 사용." H02186621 H02186621 Hemoperfusion 혈액관류 C0019063 [3.0] Means 혈관을 통과하는 것에 의한 순환으로부터 생기는 대사물 혹은 독성을 제거하는 것. H02186661 H02486350 Aphthous ulcer 혓바늘 C0038363 [3.0] K12.0 Focus 혀 표면에 작은 궤양이 생기거나 맛을 느끼는 설유두가 염증으로 붉게 솟아오르는 증상[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86716 H02186716 Hospice center 호스피스센터 [3.0] Location "임종자들이 죽음을 받아들이고 희망 속에서 가능한 한 편안한 삶을 살도록 하며 삶과 죽음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을 의미함, 그런활동을 하는 기관." H02186731 H02186731 Confirmation 확인 C0750484 [3.0] Focus 확실히 알아봄. 확실히 인정함. H02186757 H00470530 Dilation 확장법 C0012356 [3.0] Means 넓혀서 크게함. H02186760 H00470530 Dilatation 확장술 C0012356 [3.0] Means 넓혀서 크게함. H02186798 H00050489 Aeration 폭기 C2215609 [3.0] Focus 1) 폐에서 혈액에 의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 2) 공기에 조직이나 체액을 노출시키거나 " 산소와 이산화탄소 같은 다른 가스를 인위적으로 충전시키는 과정[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86801 H02186801 Activity amount 활동량 [3.0] Focus 몸을 움직여서 행동하는 분량. H02186827 H02186827 Activity range 활동범위 [3.0] Focus 활동의 영역. H02186830 H02186830 Yellow stool 황색변 C0474581 [3.0] Focus 대변 H02186842 H02186842 Grey stool 회색변 C0232720 [3.0] Focus 대변 H02186868 H02186842 Pale feces 회색변 C0232720 [3.0] Focus 대변 H02186871 H02186842 Pale faeces 회색변 C0232720 [3.0] Focus 대변 H02186883 H02186883 Perineal care 회음간호 C0150301 [3.0] 10045154 Focus "회음부간호, 회음문제를 간호하는 활동." H02186900 H01506818 Rhabdomyolysis 횡문근변성 C0035410 [3.0] Focus 마이오글로불린뇨증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골격근의 잠재적인 경련성 태아 질환. 마찬가지로 열사병일 때 나타나는 급성 신부전과 관계가 있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186979 H02186979 Trousseau sign 트루소징후 C0234181 [3.0] Focus "in latent tetany, the occurrence of carpopedal spasm accompanied by paresthesia elicited when the upper arm is compressed, as in use of a tourniquet or a blood pressure cuff.[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86981 H02186981 Abnormal breathing sound 이상호흡음 C0231856 [3.0]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2186994 H02186994 Respiratory murmur 호흡잡음 C1279413 [3.0]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2187001 H02186994 Respiratory murmur 폐잡음 C1279413 [3.0] Focus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H02187027 H01820682 Watery diarrhea 수성설사 C0239182 [3.0] Focus "수분이 장관으로부터 분비항진, 또는 흡수장애에 의해 생기는 물 상태의 설사. 콜레라, 전염성 이질이나 식중독 등의 감염병 외에 졸린거-엘리슨증후군(Zollinger-Ellison syndrome, 가스트린 생산 종양), WDHA(watery diarrhea, hypokalemia, achlorhydria)증후군, VIP 생산 종양 등 소화관호르몬생산 종양에서도 볼 수 있다. 담즙산이나 지방산의 흡수장애가 있을 때에도 확인된다.[영양학사전]" H02187055 H01784401 Urinary urgency 긴급뇨의 C0085606 [3.0] Focus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187083 H02187083 Activities of daily living 일상활동수준 C0001288 [3.0] Focus "리허빌리테이션의학상 중요한 개념으로 (1)자기의 신변의 일을 하는 활동, (2) 기좌(起坐). 보행, 이동에 관한 활동, (3)손의 활동 등,단순한 관절운동이 아니고 일상의 기본적 및 구체적인 활동을 가리킨다. 이들에 대한 훈련을 일상생활 동작훈련이라고 칭하나, 질환의 종류나 정도에 의하여 각각 기본적인 것으로부터 순차단계적으로 훈련을 진행시킨다. 내용으로서는 (1) 베드훈련이나 매트훈련 : 몸 뒤침, 기좌, 베드상이동의 훈련 등, (2)차의자훈련,「보행훈련 : 기립훈련, 평행봉, 보행기, 단장에 의한 보행훈련 등,(4)신변에 관한 활동 self-care activities : 세면, 식사, 의복의 착탈, 용변, 입욕, (5) 손끝동작 hand activities : 독서, 글쓰기, 전등의 점등, 수도 꼭지의 틀기, 서랍을 열고 편물을 짜고 타이프라이터를 치는 등의 훈련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7096 H02187083 ADL 일상활동수준 C0001288 [3.0] Focus "리허빌리테이션의학상 중요한 개념으로 (1)자기의 신변의 일을 하는 활동, (2) 기좌(起坐). 보행, 이동에 관한 활동, (3)손의 활동 등,단순한 관절운동이 아니고 일상의 기본적 및 구체적인 활동을 가리킨다. 이들에 대한 훈련을 일상생활 동작훈련이라고 칭하나, 질환의 종류나 정도에 의하여 각각 기본적인 것으로부터 순차단계적으로 훈련을 진행시킨다. 내용으로서는 (1) 베드훈련이나 매트훈련 : 몸 뒤침, 기좌, 베드상이동의 훈련 등, (2)차의자훈련,「보행훈련 : 기립훈련, 평행봉, 보행기, 단장에 의한 보행훈련 등,(4)신변에 관한 활동 self-care activities : 세면, 식사, 의복의 착탈, 용변, 입욕, (5) 손끝동작 hand activities : 독서, 글쓰기, 전등의 점등, 수도 꼭지의 틀기, 서랍을 열고 편물을 짜고 타이프라이터를 치는 등의 훈련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7100 H02187083 Activities of daily life 일상생활활동 [3.0] Focus "리허빌리테이션의학상 중요한 개념으로 (1)자기의 신변의 일을 하는 활동, (2) 기좌(起坐). 보행, 이동에 관한 활동, (3)손의 활동 등,단순한 관절운동이 아니고 일상의 기본적 및 구체적인 활동을 가리킨다. 이들에 대한 훈련을 일상생활 동작훈련이라고 칭하나, 질환의 종류나 정도에 의하여 각각 기본적인 것으로부터 순차단계적으로 훈련을 진행시킨다. 내용으로서는 (1) 베드훈련이나 매트훈련 : 몸 뒤침, 기좌, 베드상이동의 훈련 등, (2)차의자훈련,「보행훈련 : 기립훈련, 평행봉, 보행기, 단장에 의한 보행훈련 등,(4)신변에 관한 활동 self-care activities : 세면, 식사, 의복의 착탈, 용변, 입욕, (5) 손끝동작 hand activities : 독서, 글쓰기, 전등의 점등, 수도 꼭지의 틀기, 서랍을 열고 편물을 짜고 타이프라이터를 치는 등의 훈련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7112 H02187083 Activity of daily living 일상생활능력 C0001288 [3.0] Focus "리허빌리테이션의학상 중요한 개념으로 (1)자기의 신변의 일을 하는 활동, (2) 기좌(起坐). 보행, 이동에 관한 활동, (3)손의 활동 등,단순한 관절운동이 아니고 일상의 기본적 및 구체적인 활동을 가리킨다. 이들에 대한 훈련을 일상생활 동작훈련이라고 칭하나, 질환의 종류나 정도에 의하여 각각 기본적인 것으로부터 순차단계적으로 훈련을 진행시킨다. 내용으로서는 (1) 베드훈련이나 매트훈련 : 몸 뒤침, 기좌, 베드상이동의 훈련 등, (2)차의자훈련,「보행훈련 : 기립훈련, 평행봉, 보행기, 단장에 의한 보행훈련 등,(4)신변에 관한 활동 self-care activities : 세면, 식사, 의복의 착탈, 용변, 입욕, (5) 손끝동작 hand activities : 독서, 글쓰기, 전등의 점등, 수도 꼭지의 틀기, 서랍을 열고 편물을 짜고 타이프라이터를 치는 등의 훈련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187125 H02187125 Labor complication 분만 합병증 C0022865 [3.0] Focus "Med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OBSTETRIC LABOR, such as BREECH PRESENTATION; PREMATURE OBSTETRIC LABOR; HEMORRHAGE; or others. These complications can affect the well-being of the mother, the FETUS, or both.[MeSH]" H02187141 H00097926 Anticipatory grief 예고된 비통 C0150035 [3.0] 10000726 1A.9.0037 Focus "Intellectual and emotional responses and behaviors by which individuals (families, communities) work through the process of modifying self-concept based on the perception of potential loss. " H02187166 H02187166 Ventilator weaning 인공호흡기 떼어내기 C1112479 [3.0] Focus Assisting the patient to breathe without the aid of a mechanical ventilator[NIC] H02187179 H02187179 Family visit 가족면회 [3.0] Focus 방문함 H02187211 H02187211 Workplace safety 작업장 안전 [3.0] Focus "Freedom from illness, injury, or loss in the community or place of employment." H02187223 H02187223 Molding 두개몰딩 C0426103 [3.0] Focus 산도의 크기 및 형태에 맞춰서 신생아의 머리의 형태를 만드는 것. H02187264 H02187264 Time orientation 시간 지남력 C0599544 [3.0] Focus "Mental functions that produce awareness of day, date, month and year.[ICF/PT]" H02187321 H00727050 Ozostomia 입냄새 [3.0] R19.6 Focus "구강에서 나오는 냄새는 원래 생리적인 것이다. 그러나 악취를 수반할 때 구취라고 할 때가 많다. 원인은 구강, 상기도, 호흡기, 식도, 위의 질환에 따른다. 구강 및 비인강(鼻咽腔)의 질환에 유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치주질환, 구내염, 구강암, 만성편도염, 인두염, 만성부비감염, 취비증(臭鼻症), 폐결핵, 폐괴저, 폐농양, 식도게실(食道憩室) 및 협착, 위염이나 위암 등에서 볼 수 있다. 정신 신체의학적인 원인에 따른 경우가 있다. 치료는 원질환의 치료, 구강청소, 방향제의 투여를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7334 H00727050 Ozostomia 구취 [3.0] R19.6 Focus "구강에서 나오는 냄새는 원래 생리적인 것이다. 그러나 악취를 수반할 때 구취라고 할 때가 많다. 원인은 구강, 상기도, 호흡기, 식도, 위의 질환에 따른다. 구강 및 비인강(鼻咽腔)의 질환에 유래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치주질환, 구내염, 구강암, 만성편도염, 인두염, 만성부비감염, 취비증(臭鼻症), 폐결핵, 폐괴저, 폐농양, 식도게실(食道憩室) 및 협착, 위염이나 위암 등에서 볼 수 있다. 정신 신체의학적인 원인에 따른 경우가 있다. 치료는 원질환의 치료, 구강청소, 방향제의 투여를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7347 H00611355 Eye bandage 안대 [3.0] 10007475 Focus 덮는 기구 H02187350 H02187350 Bilirubin test 빌리루빈검사 C0344395 [3.0] 2C.9.0023 Focus "황달이 되면 혈중의 빌리루빈이 상승한다. 혈중의 빌리루빈에는 비장 등의 망내계에 적혈구가 파괴되어 유혈중에 나와 알부민과 결합한 간접 빌리루빈과 간내를 통과한 글루코니루 트란스훼라제에 의해 글루크론산포함을 받은 직접 빌리루빈이 있다. 혈청 총빌리루빈의 정상치는 0.2~1.0mg/㎗ 간접 빌리루빈은 0.2~0.6mg/㎗, 직접 빌리루빈은 0~0.4mg/㎗이다. 용혈성 황달에는 간접 빌리루빈이 증가하고 간실질성 및 폐색성 황달에는 직접 빌리루빈이 증가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7375 H00192288 BST 혈당검사 [3.0] 2C.9.0026.S.001 Focus A quantitative measurement for assessing the amount of glucose present in a blood sample.[NCI/PT] H02187391 H02187391 Curettage 소파술 C0010468 [3.0] 2C.9.0046 Focus "1) 강(腔) 또는 그 외의 표면과 벽에서 종양 또는 그외의 물질을 소파기(搔爬器) 등을 사용하여제거하는 것. 2) 분만후의 태반이나 난막(卵膜)의 잔해, 인공임신중절, 포상기태(胞狀奇胎) 등에서 자궁내용물 제거나, 내막채취를 위하여 시행되는 술식이다. 자궁구(子宮口)의 개대(開大)가 없으면, 우선 자궁경관의 확장을 행하고, 그 후에 예시(銳匙) 또는 둔시(純匙)나 태반추자(胎盤錐子)로 자궁내용물이나 자궁내막을 제거하고 소파한다.[간호학대사전]" H02187417 H00559639 Episiotomy 회음절개술 C0014586 [3.0] 2C.9.0064 Focus 분만을 위하여 외음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 H02187420 H00559639 Episiotomy 외음부절개 C0014586 [3.0] 2C.9.0064 Focus 분만을 위하여 외음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 H02187432 H00559639 Episiotomy 외음부절개술 C0014586 [3.0] 2C.9.0064 Focus 분만을 위하여 외음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 H02187445 H00559639 Episiotomy 외음절개술 C0014586 [3.0] 2C.9.0064 Focus 분만을 위하여 외음부를 외과적으로 절개하는 것. H02187473 H02187473 Continuous mandatory ventilation 지속필수환기 [3.0] Focus 스스로 호흡을 전혀 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인공호흡기가 환기를 유발하는 양식으로서 대상자의 자발적인 흡기노력과 상관없이 치료자가 설정해준 1회 호흡용적 및 횟수로 기계환기가 이루어짐. H02187486 H02187473 CMV 지속성강제환기 [3.0] Focus 스스로 호흡을 전혀 할 수 없는 경우에 적용.인공호흡기가 환기를 유발하는 양식으로서 대상자의 자발적인 흡기노력과 상관없이 치료자가 설정해준 1회 호흡용적 및 횟수로 기계환기가 이루어짐. H02187499 H02187499 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동시간헐적강제환기법 C0278335 [3.0] Focus "ventilator가 일정수의 CMV를 제공하고 나머지는 환자의 자기 호흡이 허용됨. 일정 time window 동안 환자가 triggering하면 AMV, triggering하지 않으면 CMV를 제공함." H02187502 H02187499 SIMV 동기성간헐필수환기 [3.0] Focus "ventilator가 일정수의 CMV를 제공하고 나머지는 환자의 자기 호흡이 허용됨. 일정 time window 동안 환자가 triggering하면 AMV, triggering하지 않으면 CMV를 제공함." H02187515 H02187515 Pressure controlled ventilation 압력조절환기 C0564626 [3.0] Focus A mode of mechanical ventilation in which the ventilator delivers a preset pressure waveform; the resultant tidal volume and inspiratory flow depend on the shape of the pressure waveform and respiratory system resistance and compliance.[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87528 H02187515 PCV 압력조절환기 [3.0] Focus A mode of mechanical ventilation in which the ventilator delivers a preset pressure waveform; the resultant tidal volume and inspiratory flow depend on the shape of the pressure waveform and respiratory system resistance and compliance.[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187531 H02187531 Pressure support ventilation 압력보조환기 [3.0] Focus 최소한의 inspiratory flow가 있는 한 airway pressure를 어느 정도 유지시켜 줌으로써 환자의 자가호흡을 증진시켜 주는 방법. H02187543 H02187531 PSV 압력보조환기 [3.0] Focus 최소한의 inspiratory flow가 있는 한 airway pressure를 어느 정도 유지시켜 줌으로써 환자의 자가호흡을 증진시켜 주는 방법. H02187571 H02187571 Caution 경고 [3.0] 2A.9.0004 Focus 조심하거나 삼가도록 미리 주의를 줌. 또는 그 주의.[표준국어대사전] H02187584 H02187571 Caution 주의 [3.0] 2A.9.0004 Focus 조심하거나 삼가도록 미리 주의를 줌. 또는 그 주의.[표준국어대사전] H02187597 H02187571 Caution 조심 [3.0] 2A.9.0004 Focus 조심하거나 삼가도록 미리 주의를 줌. 또는 그 주의.[표준국어대사전] H02187601 H02187601 Medication teaching 투약교육 [3.0] 2A.9.0024 Focus 교육서비스 H02187639 H02187639 Child abandonment 아동 유기 C0413324 [3.0] 10037796|10037806 Focus|DC 유기 H02187641 H02187641 Ability to adjust 적응 능력 C2364069 [3.0] 10000047 Focus 능력 H02187654 H02187654 Ability to communicate 의사소통 능력 C0565998 [3.0] 10000052 Focus 능력 H02187667 H02187667 Ability to feel 감정을 느끼는 능력 [3.0] 10021800 Focus 능력 H02187670 H02187670 Ability to hear 청취 능력 C0584842 [3.0] 10023434 Focus 능력 H02187682 H02187682 Ability to manage finances 재정관리 능력 C0582683 [3.0] 10034534 Focus 능력 H02187695 H02187695 Ability to manage regime 요법 관리 능력 C2363406 [3.0] 10000068 Focus 능력 H02187709 H02187709 Ability to monitor 감시 능력 [3.0] 10029511 Focus 능력 H02187711 H02187709 Ability to monitor 모니터 능력 [3.0] 10029511 Focus 능력 H02187724 H02187724 Ability to participate 참여 능력 [3.0] 10025376 Focus 능력 H02187737 H00348023 Ability to perform 수행 능력 [3.0] 10000075 Focus 능력 H02187752 H02187752 Ability to perform caretaking 돌봄 수행 능력 C2712068 [3.0] 10025640 Focus 능력 H02187765 H02187765 Ability to perform caretaking by caregiver 돌봄제공자의 돌봄 수행능력 [3.0] 10035390 Focus 능력 H02187778 H02187778 Ability to perform diversional activity 주의전환 활동 수행 능력 C2712074 [3.0] 10040346 Focus 능력 H02187781 H02187781 Ability to perform health maintenance 건강유지 수행 능력 C2364169 [3.0] 10000081 Focus 능력 H02187793 H02187793 Ability to perform homemaking 가사일 수행 능력 C3651071 [3.0] 10000099 Focus 능력 H02187807 H02187807 Ability to parent 양육 능력 [3.0] 10000109 Focus 능력 H02187810 H02187810 Ability to perform role 역할 수행 능력 [3.0] 10000113 Focus 능력 H02187822 H02187822 Ability to perform self care 자기 관리 수행 능력 [3.0] 10023729 Focus 능력 H02187835 H02187822 Self care competence 자가간호능력 [3.0] 10023729 1A.9.0509 Focus 능력 H02187848 H02187848 Ability to dress and groom self 의복착용과 몸단장하기 능력 [3.0] 10000150 Focus 능력 H02187851 H02187851 Ability to shop 쇼핑 능력 C0577435 [3.0] 10034568 Focus 능력 H02187863 H02187863 Ability to prepare food 식사 준비 능력 C0564293 [3.0] 10029524 Focus 능력 H02187876 H02187876 Ability to protect 보호 능력 [3.0] 10000215 Focus 능력 H02187889 H02187889 Ability to see 보는 능력 C3874371 [3.0] 10023468 Focus 능력 H02187891 H02187891 Ability to smell 냄새를 맡는 능력 C2712084 [3.0] 10023475 Focus 능력 H02187905 H02187905 Ability to socialize 사회화 능력 [3.0] 10000227 Focus 능력 H02187918 H02187905 Ability to socialise 사회화 능력 [3.0] 10000227 Focus 능력 H02187921 H02187921 Ability to swallow 연하 능력 C0566355 [3.0] 10000236 Focus 능력 H02187933 H02187933 Ability to taste 맛을 보는 능력 C1301555 [3.0] 10023481 Focus 능력 H02187946 H02187946 Ability to thrive 성장 능력 C2712088 [3.0] 10000243 Focus 능력 H02187959 H02187959 Ability to walk 보행 능력 C0559964 [3.0] 10000258 Focus 능력 H02187961 H02187961 Literacy 문해능력 C0023864 [3.0] 10023857 Focus 능력 H02187974 H02187974 Sensory ability 감각 능력 [3.0] 10024035 Focus 능력 H02187987 H02187987 Ability to talk about dying process 임종에 대한 대화 능력 [3.0] 10026573 Focus 의사소통 능력 H02187990 H02187990 Ability to communicate feelings 감정 의사소통 능력 C0566184 [3.0] 10026587 Focus 의사소통 능력 H02188007 H02188007 Ability to communicate needs 요구에 대한 의사소통 능력 [3.0] 10038183 Focus 의사소통 능력 H02188010 H02188010 Ability to communicate by talking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3.0] 10025039 Focus 의사소통 능력 H02188022 H02188022 Effective ability to communicate 효과적인 의사소통 능력 C2364293 [3.0] 10014790 Focus 의사소통 능력 H02188035 H02188035 Positive ability to manage regime 긍정적인 요법관리 능력 [3.0] 10014800 Focus 상황관리 능력 H02188048 H02188048 Bed mobility 침상 기동성 [3.0] 10003181 Focus 기동성 H02188051 H02188051 Wheelchair mobility 휠체어 기동성 C0578264 [3.0] 10021068 Focus 기동성 H02188063 H02188063 Ability to participate in care planning 간호계획 참여 능력 C3651066 [3.0] 10035110 Focus 참여 능력 H02188076 H02188076 Family ability to participate in care planning 돌봄 계획에 참여하는 가족 능력 [3.0] 10035894 Focus 참여 능력 H02188089 H02188089 Positive ability to perform self care 긍정적인 자가간호 수행능력 C2712073 [3.0] 10025311 Focus 자가간호 수행능력 H02188105 H02188105 Ability to transfer 이동 능력 C0579094 [3.0] 10000204 Focus 능력: 한 장소 사이에서 혹은 다른 장소로 신체 위치를 바꾸거나 이동할 수 있는 것. H02188121 H00632393 Fertility 가임능력 C0015895 [3.0] 10007888 1A.01.01.01.15.01 Focus 능력: 살아있는 태아를 임신하고 생존력있는 아이를 분만할 수 있는 능력. H02188133 H02188133 Ability to toilet self 자가용변능력 [3.0] 10000197 Focus 능력: 용변기에서 소변과 대변을 보는 것. H02188146 H02188133 Ability to toilet self 혼자 대소변보기 능력 [3.0] 10000197 Focus 능력: 용변기에서 소변과 대변을 보는 것. H02188159 H02188159 Ability to groom self 혼자 몸단장하기 능력 [3.0] 10000178 Focus "능력: 피부, 구강, 두발 및 손톱을 청결하게 하는 능력." H02188161 H02188161 Ability to dress 의복착용 능력 C0518459 [3.0] 10000145 1A.9.0172 Focus 능력: 의복을 적절하게 입고 벗는 것. H02188174 H02188161 Dressing 옷입고벗기 C0152053 [3.0] 10000145 1A.9.0172 Focus 능력: 의복을 적절하게 입고 벗는 것. H02188187 H02188187 Ability to perform hygiene 위생 수행 능력 C2712079 [3.0] 10000184 Focus 능력: 지속적으로 몸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치장을 잘 하는 것. H02188190 H02188190 Ability to feed self 혼자 먹기 능력 C0518458 [3.0] 10000166 Focus 능력: 입으로 음식과 음료를 섭취할 수 있는 능력. H02188203 H02188203 Ability to mobilize 기동 능력 C0578131 [3.0] 10012108 Focus 능력: 신체의 수의적 움직임. H02188216 H02188203 Ability to mobilise 기동 능력 C0578131 [3.0] 10012108 Focus 능력: 신체의 수의적 움직임. H02188229 H02188229 Ability to bath 목욕 능력 [3.0] 10000121 Focus 능력: 몸전체나 부분을 씻어내는 것. H02188244 H01066470 Natural abortion 자연유산 [3.0] O03 10018646 1A.9.0538.S.001 Focus 유산: 명확한 원인과 중재 없이 일어남. H02188257 H02188257 Elder abuse 노인학대 C0013772 [3.0] Focus "학대: 노인에게 폭행, 공격, 혹은 해를 가하는 행동." H02188260 H02188260 Spousal abuse 배우자 학대 C0038044 [3.0] Focus "학대: 배우자를 폭력, 폭행하고 혹사하는 행위, 불법적 혹은 문화적으로 금지된 행동과 관련됨." H02188330 H02188330 Acceptance of aging 노화에 대한 수용 [3.0] 10036294 Focus 수용 H02188342 H02188342 Access to transportation 이동수단에 대한 접근성 C3650743 [3.0] 10041306|10041310 Focus|DC 접근 H02188355 H02188355 Access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접근 C0018748 [3.0] 10024821 Focus 접근 H02188368 H02188368 Intravenous access 정맥 접근 [3.0] 10010780 Focus 접근: 정맥혈관으로의 삽입; 정맥혈관으로. H02188396 H01041499 Metabolic alkalosis 대사성 염기증 C0220983 [3.0] E87.3 10032023 2B.02.02.01.02.02 Focus 산염기 불균형 H02188412 H01041499 Metabolic alkalosis 대사 염기증 C0220983 [3.0] E87.3 10032023 2B.02.02.01.02.02 Focus 산염기 불균형 H02188441 H01493811 Respiratory alkalosis 호흡성 염기증 C0002064 [3.0] E87.3 10032669 2B.02.02.01.02.04 Focus 산염기 불균형 H02188466 H02188466 Collection of acts 행동의 수집 [3.0] 10001986 Focus 행동 H02188479 H02188479 Problematic action 문제성 활동 [3.0] 10012513 Focus 활동 H02188494 H02188494 Adaptation techniques for sensory deficit 감각 장애 적응 기법 [3.0] 10024866 Focus 적응 H02188508 H02188508 Adherence to regime 요법 이행 [3.0] 10030365 Focus 이행 H02188511 H02188508 Compliance of therapeutic regimen 치료와 관련된 이행 [3.0] 10030365 Focus 이행 H02188523 H02188523 Adherence to diagnostic test 진단검사 이행 C3165267 [3.0] 10030308|10030144 Focus|DC 요법 H02188536 H02188523 Compliance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와 관련된 이행 [3.0] 10030308 Focus 요법 H02188549 H02188549 Adherence to dietary regime 식이요법 이행 C3165268 [3.0] 10030312|10030159 Focus|DC 요법 H02188551 H02188549 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식이와 관련된 이행 [3.0] 10030312 Focus 요법 H02188564 H02188564 Adherence to exercise regime 운동요법 이행 C3165269 [3.0] 10030320|10030163 Focus|DC 요법 H02188577 H02188577 Adherence to fluid volume 체액량 조절 이행 C3165270 [3.0] 10030331 Focus 요법 H02188580 H02188577 Compliance of fluid volume 체액량과 관련된 이행 [3.0] 10030331 Focus 요법 H02188592 H02188592 Adherence to immunisation regime 면역요법 이행 C3650686 [3.0] 10030349|10030185 Focus|DC 요법 H02188606 H02188592 Adherence to immunization regime 면역요법 이행 C3650686 [3.0] 10030349|10030185 Focus|DC 요법 H02188619 H02188619 Adherence to medication regime 약물요법 이행 C2364172 [3.0] 10030354|10030192 Focus|DC 요법 H02188621 H02188619 Compliance of medication regimen 약물과 관련된 이행 [3.0] 10030354 Focus 요법 H02188634 H02188634 Adherence to rehabilitation regime 재활요법 이행 C3165450 [3.0] 10033869|10033671 Focus|DC 요법 H02188647 H02188647 Adherence to safety precautions 안전사고 예방 이행 C3165272 [3.0] 10030377|10030214 Focus|DC 요법 H02188650 H02188647 Compliance of safety precaution 안전과 관련된 이행 [3.0] 10030377 Focus 요법 H02188662 H02188662 Older adult development 노인 발달 [3.0] 10023985 Focus 성인 발달 과정 H02188675 H02188675 Caretaking by caregiver 돌봄제공자에 의한 돌봄 수행 [3.0] 10035388 Action 활동 H02188688 H02188688 Debriefing 디브리핑 [3.0] 10036225 Action 활동 H02188691 H02188691 Infant feeding 영아 수유 [3.0] 10037125 Action 활동 H02188717 H02188717 Non body process and non psych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신체와 심리적 과정 중재 [3.0] 10034216 Action 활동 H02188720 H02188720 Body process intervention 신체 과정 중재 C3165491 [3.0] 10034228 Action 활동 H02188732 H02188732 Psychological process intervention 심리적 과정 중재 C3165492 [3.0] 10034237 Action 활동 H02188745 H02188745 Patient activity 환자 활동 [3.0] 10014145 2B.02.03.01 Action 활동 H02188758 H02188758 Attending 보살피기 C1999232 [3.0] 10002911 2A.04 Action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관심을 갖고 배려하거나 시중을 들거나 보살피는 것. H02188761 H02188761 Managing 관리하기 C1273870 [3.0] 10011625 2A.02 Action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에 책임을 지고 질서를 유지하는 것. H02188773 H02188773 Treating 치료하기 C1522326 [3.0] 10020133 2A.04.02 Action 돌봄 활동: 어떤 것을 줄이거나 끝내거나 제거하거나 회복시킴으로써 돌보는 것. H02188786 H02188786 Performing 수행하기 [3.0] 10014291 2A.03 Action 활동: 기술적 임무를 하는 것. H02188799 H02188799 Determining 결정하기 [3.0] 10005824 2A.01.02 Action 활동: 어떤 것의 실재를 정확하게 알아내거나 확립하는 것. H02188802 H02188802 Responding 반응하기 [3.0] 10017004 Action "활동: 답례의 반응, 응답, 행동." H02188815 H02188802 Responding 응답하기 [3.0] 10017004 Action "활동: 답례의 반응, 응답, 행동." H02188828 H02188828 Informing 정보제공하기 C0700287 [3.0] 10010162 2A.05 Action 활동: 어떤 것에 대해 어떤 사람에게 말하는 것. H02188831 H02188831 Decreasing 감소 C0442797 [3.0] 10005600 2A.02.01.02.01.01.03 Action 변경 활동: 어떤 것을 더 적게하거나 낮아지게 하기 위해 조절하는 것. H02188843 H02188843 Increasing 증가 C0442808 [3.0] 10009961 2A.02.01.02.01.01.02 Action 변경 활동: 원하는 결과를 얻기위해 어떤 것을 조절하는 것: 더 높게. H02188856 H02188856 Minimising 최소화하기 [3.0] 10012080 Action "변경 활동: 더 작은 양, 크기 또는 정도로 줄이는 것." H02188869 H02188869 Interrupting 방해하기 C0443239 [3.0] 10010526 2A.02.01.02.01.01.04 Action 변경 활동: 어떤 것을 만들거나 혹은 다르게 만들기 위해 멈추는 것. H02188871 H02188869 Interrupting 종료하기 C0443239 [3.0] 10010526 2A.02.01.02.01.01.04 Action 변경 활동: 어떤 것을 만들거나 혹은 다르게 만들기 위해 멈추는 것. H02188884 H02188869 Interrupting 중단하기 C0443239 [3.0] 10010526 2A.02.01.02.01.01.04 Action 변경 활동: 어떤 것을 만들거나 혹은 다르게 만들기 위해 멈추는 것. H02188897 H02188897 Manual aspirating 수동흡인 [3.0] 10011723 2A.03.01.05.01.01 Action 흡인 활동: 손으로 흡입하는 것. H02188901 H02188897 Manual aspirating 수동적 흡인하기 [3.0] 10011723 2A.03.01.05.01.01 Action 흡인 활동: 손으로 흡입하는 것. H02188913 H02188913 Mechanical aspirating 기계흡인 [3.0] 10011821 2A.03.01.05.01.02 Action 흡인 활동: 기계로 흡입하는 것. H02188926 H02188913 Mechanical aspirating 기계적 흡인하기 [3.0] 10011821 2A.03.01.05.01.02 Action 흡인 활동: 기계로 흡입하는 것. H02188939 H02188939 Supporting 지지하기 C1521721 [3.0] 10019142 1A.01.01.02.02.02.01.02 Action "도와주기 활동: 어떤 사람이 성공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또는 심리적인 도움을 주는 것,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고 무게를 버티고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것." H02188941 H02188939 Supporting 돕기 C1521721 [3.0] 10019142 1A.01.01.02.02.02.01.02.S.001 Action "도와주기 활동: 어떤 사람이 성공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또는 심리적인 도움을 주는 것,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고 무게를 버티고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것." H02188954 H02188939 Supporting 부양하기 C1521721 [3.0] 10019142 1A.01.01.02.02.02.01.02 Action "도와주기 활동: 어떤 사람이 성공할 수 있도록 사회적인 또는 심리적인 도움을 주는 것,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떨어지지 않고 무게를 버티고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것." H02188967 H02188967 Promoting 증진시키기 C0033414 [3.0] 10015801 2A.04.01.03 Action 도와주기 활동: 어떤 사람이 어떤 일을 시작하거나 진보시키도록 돕는 것. H02188970 H02188967 Promoting 증진하기 C0033414 [3.0] 10015801 2A.04.01.03 Action 도와주기 활동: 어떤 사람이 어떤 일을 시작하거나 진보시키도록 돕는 것. H02188982 H02188982 Facilitating 촉진하기 [3.0] 10007499 2A.04.01.01 Action 도와주기 활동: 어떤 사람을 위해 어떤 일을 더 쉽게 만들어 주는 것. H02188995 H02188995 Attending intervention 돌봄 중재 [3.0] 10034612 Action 돌봄 활동 H02189002 H02189002 Assisting 돕기 C0557034 [3.0] 10002850 2A.04.01 Action 돌봄 활동: 어떤 사람과 함께 일의 일부를 하거나 그 사람을 위해 일을 하는 것. H02189015 H02189002 Assisting 보조하기 C0557034 [3.0] 10002850 2A.04.01 Action 돌봄 활동: 어떤 사람과 함께 일의 일부를 하거나 그 사람을 위해 일을 하는 것. H02189028 H02189028 Relating 관계맺기 [3.0] 10016678 1A.01.01.02.02.02.01.04 Action 돌봄 활동: 상호작용하기 위해 한 명이상의 사람들과 관계를 수립하거나 계속 유지하는 것 H02189031 H02189031 Preventing 예방하기 [3.0] 10015620 2A.04.03 Action 돌봄 활동: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멈추게 하거나 저지하는 것. H02189043 H02189043 Soaking 적시기 C0204774 [3.0] 10018343 2A.03.03.01 Action 목욕 활동: 어떤 것이 가능한 많은 액체를 흡수하게 하는 것 H02189056 H02189043 Soaking 담금 C0204774 [3.0] 10018343 2A.03.03.01 Action 목욕 활동: 어떤 것이 가능한 많은 액체를 흡수하게 하는 것 H02189069 H02189069 Staging 단계화 C0332305 [3.0] 10018738 Action 범주화 활동: 한 문제의 범위나 진행을 결정하기. H02189071 H02189069 Staging 단계 정하기 C0332305 [3.0] 10018738 Action 범주화 활동: 한 문제의 범위나 진행을 결정하기. H02189084 H02189084 Draining 배액하기 [3.0] 10006211 2A.03.01.06 Action 청소 활동: 어떠한 것을 흘려 없어지게 하기. H02189097 H02189097 Washing 씻기 C0441648 [3.0] 10020935 2A.03.01.01 Action 청소 활동: 물 또는 다른 액체와 세제를 이용하여 어떤 것을 청결하게 하는 것. H02189101 H02189097 Washing 씻음 C0441648 [3.0] 10020935 2A.03.01.01 Action 청소 활동: 물 또는 다른 액체와 세제를 이용하여 어떤 것을 청결하게 하는 것. H02189113 H02189113 Sterilising 멸균하기 [3.0] 10018826 Action 청소 활동: 어떤 것에 미생물을 없도록 하는 것. H02189126 H02189126 Disinfecting 소독하기 [3.0] 10006044 2A.03.01.02.01 Action 청소 활동: 어떤 것에 병원체를 없도록 하는 것. H02189139 H02189139 Suctioning 흡인하기 C0038638 [3.0] 10019038 2A.03.01.05 Action "청소 활동: 어떤 것을 제거할 목적으로 부분 진공상태를 만들기 위해 혈관이나, 공동으로부터 공기와 액체를 제거하는 것." H02189141 H02189141 Scrubbing 문지르기 [3.0] 10017619 2A.03.01.03 Action "청소 활동: 딱딱하고, 견고한 브러쉬로 문지르기." H02189154 H02189154 Shampooing 머리감기기 [3.0] 10018009 2A.03.01.04 Action "청소 활동: 미생물을 씻어내고 제거하기 위해 물로 씻어내고, 세척하기." H02189167 H02189167 Establishing 형성하기 C0443211 [3.0] 10024813 Action 의사소통 H02189170 H02189170 Impaired communicating act 손상된 의사소통 행동 [3.0] 10012623 Action 의사소통 H02189182 H02189182 Talking 이야기하기 C0515995 [3.0] 10019436 Action 의사소통: 구어나 정확한 단어로 대화하는 것. H02189195 H02189182 Talking 대화하기 C0515995 [3.0] 10019436 Action 의사소통: 구어나 정확한 단어로 대화하는 것. H02189209 H02189209 Eliciting 이끌어내기 [3.0] 10006708 Action "의사소통: 끌어내기, 꺼내기, 혹은 불러내기." H02189211 H02189211 Listening 경청하기 C2584303 [3.0] 10011383 1A.01.01.02.02.02.05.02.01 Action "의사소통: 타인의 말을 들으려고 노력하는 것, 타인이 말하는 것을 주의하여 듣는 것, 타인의 말에 주의를 기울이고 반응하는 것." H02189224 H02189224 Negotiating 협상하기 C0680727 [3.0] 10013037 2A.04.04.04.01 Action 계약 활동: 타협과 의견합의를 위해 어떤 사람과 협의하는 것. H02189237 H02189237 Regulating 조절하기 [3.0] 10016613 2A.02.01.02.01 Action 통제 활동: 바라는 결과를 얻기위해 어떤 것을 조정하는 것. H02189240 H02189240 Permitting 허락하기 [3.0] 10014408 2A.02.01.02.03 Action 통제 활동: 인가하거나 기회를 주는 것. H02189252 H02189252 Restricting 제한하기 C0443288 [3.0] 10017172 2A.02.01.02.02.01 Action 통제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물리적 경계내에 유지하는 것. H02189265 H02189265 Requesting 요청하기 [3.0] 10016873 2A.02.01.01.03 Action 조정 활동: 다른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하도록 요청하거나 명령하는것. H02189278 H02189278 Planning 계획하기 C1301732 [3.0] 10014648 2A.02.01.01.01 Action "조정 활동: 무엇인가를 미리 고려하고, 배열하고, 조정하는 것." H02189281 H02189281 Arranging 조정하기 [3.0] 10002527 2A.02.01.01.02 Action 조정 활동: 어떤 것을 필요한 순서대로 놓는 것. H02189293 H02189293 Referring 의뢰하기 C0205543 [3.0] 10016576 2A.02.01.01.04 Action 조정 활동: 다른 사람에게 무엇인가 할 것을 요구하거나 명령하는 것. H02189307 H02189307 Dressing 옷입기 C0518459 [3.0] 10006253 Action 덮는 활동: 신체에 옷을 입거나 벗는 것. H02189310 H02189307 Dressing 착의 C0518459 [3.0] 10006253 Action 덮는 활동: 신체에 옷을 입거나 벗는 것. H02189322 H02189322 Draping 씌우기 C0180504 [3.0] 10006224 2A.03.04.03 Action 덮는 활동: 천 조각을 걸치는 것. H02189335 H02189335 Shaving 면도하기 C0518505 [3.0] 10018013 2A.03.10.01 Action "절단 활동: 수염,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 H02189348 H02189335 Shaving 삭모하기 C0518505 [3.0] 10018013 2A.03.10.01 Action "절단 활동: 수염,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 H02189351 H02189335 Shaving 면도 C0518505 [3.0] 10018013 2A.03.10.01 Action "절단 활동: 수염, 머리카락을 자르는 것" H02189363 H02189363 Incising 절개하기 [3.0] 10009935 2A.03.10.02 Action 절단 활동: 어떤 것을 자르는 것. H02189376 H02189376 Documenting 문서화하기 C1301725 [3.0] 10006173 2A.05.03.02 Action 서술 활동: 정보를 축적하고 기록하는 것 . H02189389 H02189389 Reporting 보고하기 C0700287 [3.0] 10016771 Action 서술 활동: 사건들이나 관찰을 요약하거나 설명하는 것. H02189391 H02189391 Recording 기록하기 [3.0] 10016498 2A.05.03.01 Action 서술 활동: 발생하거나 말해진 어떤 것을 밝혀주는 정보나 증거를 진술하는 것 . H02189405 H02189405 Determining intervention 중재 결정하기 [3.0] 10034620 Action 결정 활동 H02189418 H02189418 Evaluating 평가하기 [3.0] 10007066 2A.9.0008 Action 결정 활동: 설정된 목표가 충족되는 범위나 경과를 측정하는 계속되는 과정. H02189421 H02189421 Interviewing 면담하기 C0021822 [3.0] 10010542 2A.05.04 Action 결정 활동: 질문을 함으로써 검사하고 구두반응을 이끌어 내는 것. H02189433 H02189433 Observing 관찰하기 [3.0] 10013474 2A.01 Action 결정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을 주의깊게 지켜보고 주목하는 것 H02189446 H02189446 Monitoring 모니터링하기 C1516647 [3.0] 10012154 2A.01.03 Action 결정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반복적으로 혹은 규칙적으로 감시하는 것. H02189459 H02189446 Monitoring 평가하기 C1516647 [3.0] 10012154 2A.01.03 Action 결정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반복적으로 혹은 규칙적으로 감시하는 것. H02189461 H02189461 Purifying 정화하기 C1998793 [3.0] 10016181 Action "소독 활동: 소독제 역할을 하는 것, 불순한 것을 제거하는 것." H02189474 H02189474 Offering 제의하기 [3.0] 10013636 2A.02.02.05 Action 배분 활동: 기회를 주는 것. H02189487 H02189487 Applying 적용하기 [3.0] 10002464 2A.02.02.02 Action 배분 활동: 어떤 것을 실용적으로 사용하는 것. H02189490 H02189490 Providing 공급하기 [3.0] 10015935 2A.02.02.04 Action 배분 활동: 배분활동: 어떤 사람을 위해 어떤 것을 준비하는 것. H02189503 H02189503 Administering 투여하기 [3.0] 10001773 2A.02.02.01 Action 배분함: 치료를 제공하거나 적용하는 것. H02189516 H02189516 Giving 제공하기 [3.0] 10008441 2A.02.02.03 Action 배분 활동: 어떤 것을 전달하는 것. H02189529 H02189529 Advancing 진전 [3.0] 10001901 Action "향상 활동: 진전되거나 발전하는 것, 앞으로 진행하는 것." H02189531 H02189531 Calculating 계산하기 C1441506 [3.0] 10003818 2A.01.02.07 Action 평가 활동: 계산이나 수학을 통해 규명하는 것. H02189544 H01023491 Measuring 측정하기 C0242485 [3.0] 10011813 2A.01.02.06 Action 평가 활동: 어떤 것의 특성에 대해 숫자로 규명하는 것. H02189560 H02189560 Identifying 확인하기 [3.0] 10009631 2A.01.01 Action 평가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의 정체성을 조직적으로 확립하는 것. H02189572 H02189560 Identifying 규명하기 [3.0] 10009631 2A.01.01 Action 사람이나 사물의 정체를 체계적으로 수립하는 것. H02189585 H02189585 Verifying 확인하기 C1553511 [3.0] 10020727 2A.01.02.05 Action 평가 활동: 어떤 것의 진실이나 정확함을 확립하는 것. H02189598 H02189585 Verifying 검증하기 C1553511 [3.0] 10020727 2A.01.02.05 Action 평가 활동: 어떤 것의 진실이나 정확함을 확립하는 것. H02189601 H02189601 Assessing 사정하기 [3.0] 10002673 2A.01.04 Action "평가 활동: 어떤 것의 크기, 품질 또는 중요성을 판단하는 것." H02189614 H02189614 Categorising 범주화하기 [3.0] 10004060 Action "평가 활동: 한 범주에 두거나, 분류하는 것." H02189627 H02189627 Analysing 분석하기 [3.0] 10002298 Action 평가 활동: 어떤 것에 대한 정보를 종합하는 것. H02189630 H02189630 Testing 검사하기 C0039593 [3.0] 10019594 2A.01.02.02 Action 평가 활동: 어떤 사람이나 물건을 시험적으로 사용해보거나 시험해 보는 것. H02189642 H02189642 Interpreting 해석하기 C1285553 [3.0] 10010492 Action 평가 활동: 어떤 것을 이해하거나 설명하는 것. H02189668 H02189668 Percussing 타진하기 [3.0] 10014289 2A.01.02.01.03 Action 검진 활동: 손가락이나 도구를 부드럽게 두드리면서 신체 부분들을 검사하는 것. H02189671 H02189671 Palpating 촉진하기 [3.0] 10013997 2A.01.02.01.02 Action 검진 활동: 손을 사용하여 신체부분을 검사하는 것. H02189683 H02189683 Auscultating 청진하기 [3.0] 10003012 2A.01.02.01.01 Action 검진 활동: 몸안의 소리를 듣는 것. H02189696 H02189696 Putting on clothes 옷 입히기 C1998794 [3.0] 10016199 Action "옷입고벗기 활동: 상하위 옷을 고르고, 꺼내고, 입고, 단추를 채 우고, 지퍼를 올리고 양말과 신발을 신는 것." H02189700 H02189700 Taking off clothes 옷 벗기 C1998905 [3.0] 10019427 Action "옷입고벗기 활동: 상하위 옷을 벗고, 단추와 지퍼를 풀고, 양말 과 신발을 벗는 것, 옷을 개고, 걸고, 옷장이나 서랍에 넣는 것." H02189712 H02189712 Brushing 솔질하기 C1546566 [3.0] 10003737 2A.03.02.01 Action "몸치장 활동: 브러쉬로 머리카락 또는 피부를 매만지거나, 치아를 청결하게 하는 것." H02189725 H02189725 Combing 빗질하기 [3.0] 10004640 2A.03.02.02 Action 몸치장 활동: 빗을 이용해 머리카락을 매만지는 것. H02189738 H02189738 Anticipatory guidance 미리 안내하기 C0150134 [3.0] 10002401 Action 안내 활동: 건강관련 문제에 대해 사람을 미리 지도하는 것. H02189753 H00367571 Counselling 상담하기 C0010210 [3.0] 10005254 Action 안내 활동: 대화를 통해 어떤 사람이 자신의 결정을 할 수 있게하는 것. H02189766 H02189766 Advising 조언하기 C1828381 [3.0] 10001917 2A.05.02.02 Action 안내 활동: 꼭 수행되어야하는 행동을 하도록 제안하는 것. H02189779 H02189779 Getting dressed or undressed 옷을 입고 벗기 [3.0] 10008425 Action 위생 활동 H02189781 H02189781 Toileting 용변 C0150810 [3.0] 10019807 Action 위생 활동 H02189794 H02189781 Toileting 대소변 보기 C0150810 [3.0] 10019807 Action 위생 활동 H02189808 H02189808 Bathing 목욕시키기 C0150141 [3.0] 10003134 2A.03.03 Action 위생 활동: 어떤 것에 물이나 씻는 도구를 적용하는 것. H02189811 H02189808 Bathing 목욕하기 C0150141 [3.0] 10003134 2A.03.03 Action 위생 활동: 어떤 것에 물이나 씻는 도구를 적용하는 것. H02189823 H02189823 Grooming 다듬기 C0018249 [3.0] 10008528 2A.03.02 Action "위생 활동: 머리를 빗질하고, 머리와 손톱을 다듬는 것." H02189836 H02189823 Grooming 몸단장하기 C0018249 [3.0] 10008528 2A.03.02 Action "위생 활동: 머리를 빗질하고, 머리와 손톱을 다듬는 것." H02189849 H02189849 Tracing 추적하기 [3.0] 10019967 2A.01.01.01 Action 확인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의 흔적이나 징후를 조사하여 발견하거나 알아내거나 관찰하는 것 H02189851 H02189849 Tracing 찾아내기 [3.0] 10019967 2A.01.01.01 Action 확인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의 흔적이나 징후를 조사하여 발견하거나 알아내거나 관찰하는 것 H02189864 H02189864 Profiling 파악하기 [3.0] 10015770 2A.01.01.02 Action 확인 활동: 인구집단의 건강행위와 요구를 체계적으로 확인하 는 것. H02189877 H02189864 Profiling 요구파악하기 [3.0] 10015770 2A.01.01.02 Action 확인 활동: 인구집단의 건강행위와 요구를 체계적으로 확인하 는 것. H02189880 H02189880 Increasing activity tolerance 증진된 활동 지속성 [3.0] 10024884 Action 증가함 H02189892 H02189892 Hyperinflating 과잉팽만 [3.0] 10009339 2A.03.15.01 Action 부풀리기 활동: 물질을 이용하여 과다하게 채우는 것. H02189906 H02189892 Hyperinflating 과잉 팽창시키기 [3.0] 10009339 2A.03.15.01 Action 부풀리기 활동: 물질을 이용하여 과다하게 채우는 것. H02189919 H02189919 Guiding 안내하기 [3.0] 10008592 2A.05.02 Action 정보제공 활동: 건강관련 문제에 대해 결정을 하도록 어떤 사람을 지도하는 것. H02189921 H02189921 Teaching 교육하기 C0220924 [3.0] 10019502 2A.05.01 Action 정보제공 활동: 건강관련 문제에 대해서 어떤 사람에게 쳬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 H02189934 H02189934 Explaining 설명하기 [3.0] 10007370 2A.05.05 Action 정보제공 활동: 어떤 것을 누군가에게 분명하게 혹은 명료하게 밝히는 것. H02189947 H02189947 Describing 서술하기 [3.0] 10005797 2A.05.03 Action 정보제공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특성을 구두나 기록으로 진술하는 것. H02189950 H02189950 Puncturing 천자하기 [3.0] 10016152 2A.03.16.02 Action 삽입 활동: 물질을 뽑아내거나 제거하기 위해 바늘로 뚫거나 혈관 또는 체강 내로 밀어 넣는 것. H02189962 H02189962 Injecting 주입하기 [3.0] 10010266 2A.03.16.01 Action 삽입 활동: 물질을 삽입하기 위해 신체부위에 주사 바늘을 삽입하는 것. H02189975 H02189962 Injecting 주사 놓음 [3.0] 10010266 2A.03.16.01 Action 삽입 활동: 물질을 삽입하기 위해 신체부위에 주사 바늘을 삽입하는 것. H02189988 H02189962 Injecting 주사하기 [3.0] 10010266 2A.03.16.01 Action 삽입 활동: 물질을 삽입하기 위해 신체부위에 주사 바늘을 삽입하는 것. H02189991 H02189991 Catheterising 도관 삽입하기 [3.0] 10004094 Action 삽입 활동: 액체를 주입하기 위해 혹은 제거하기 위해 신체부위에 도관을 넣는 것. H02190008 H02190008 Catheterising 카테터 삽입하기 [3.0] 10004094 Action 삽입 활동: 액체를 주입하기 위해 혹은 제거하기 위해 신체부위에 도관을 넣는 것. H02190011 H02190011 Instilling 점적하기 [3.0] 10010369 2A.03.16.05 Action 삽입 활동: 점진적으로 액체를 방울로 주입하는 것. H02190023 H02190023 Intubating 삽관하기 [3.0] 10010831 2A.03.16.04 Action "삽입 활동: 환기를 위해 기관에 튜브를 넣고, 맞추고 혹은 위치시키는 것." H02190036 H02190023 Intubating 기관내 삽관하기 [3.0] 10010831 2A.03.16.04 Action "삽입 활동: 환기를 위해 기관에 튜브를 넣고, 맞추고 혹은 위치시키는 것." H02190049 H02190049 Putting on or in 장착하기 [3.0] 10016201 Action 설치 활동: 기구나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배치하거나 두거나 설치하는 것. H02190051 H02190051 Training 훈련하기 C0220931 [3.0] 10020007 2A.05.01.01.01 Action 다음의 특징을 가진 교육 활동: 어떤 사람의 기술이나 어떤 것의 기능을 발전시키는 것. H02190064 H02190064 Action 행동 C3266814 [3.0] 10000386 1A.01.01.02.02 Action 의도적 과정 H02190077 H02190077 Involving 참가시키기 C1314939 [3.0] 10010877 1A.01.01.02.02.02.01.03 Action 상호작용 행동: 관여하고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보이고 다른 사람을 도우려는 의지를 보임 H02190080 H02190077 Involving 참여하기 C1314939 [3.0] 10010877 1A.01.01.02.02.02.01.03 Action 상호작용 행동: 관여하고 다른 사람에게 관심을 보이고 다른 사람을 도우려는 의지를 보임 H02190092 H02190092 Networking 정보교환하기 C1882071 [3.0] 10013118 1A.01.01.02.02.02.01.01 Action "상호작용 행동: 정보의 중계, 의사소통, 계약, 그리고 각 개인의 경험을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상호 연결 체계 지원을 창출하는 활동." H02190106 H02190106 Participation 참여 C0679823 [3.0] 10014099 Action 상호작용 행동: 어떤 것에 대해 역할을 맡거나 활동을 공유하는 것. H02190119 H02190119 Weaning 떼어내기 C0043084 [3.0] 10020990 2A.02.01.02.01.01.04.01 Action 방해 활동: 어떤 사람이 어떤 것에 의지하지 않도록 하는 것. H02190121 H02190121 Suppressing 억제하기 C1260953 [3.0] 10019174 2A.02.01.02.01.01.04.02 Action 방해 활동: 어떤 활동이나 실재를 끝내는 것. H02190134 H02190134 Optimising 최적화하기 [3.0] 10013712 Action 유지 활동: 최고의 결과를 얻는 것. H02190147 H02190147 Stabilising 안정화 [3.0] 10018729 Action 유지 활동: 어떤 것을 변하지 않도록 만드는 것. H02190150 H02190150 Handling 처리하기 C1832073 [3.0] 10041830 Action 관리 활동 H02190162 H02190162 Completing 완성하기 [3.0] 10004854 Action 관리 활동: 끝 혹은 마지막 단계로 이르는 것. H02190175 H02190162 Completing 완료하기 [3.0] 10004854 Action 관리 활동: 끝 혹은 마지막 단계로 이르는 것. H02190188 H02190162 Completing 마치기 [3.0] 10004854 Action 관리 활동: 끝 혹은 마지막 단계로 이르는 것. H02190191 H02190191 Obtaining 획득하기 [3.0] 10013572 Action "관리 활동: 어떤 것을 소유하는 것, 습득하는 것." H02190204 H02190191 Acquiring 획득하기 C0439661 [3.0] 10013572 1B.03.01 Action "관리 활동: 어떤 것을 소유하는 것, 습득하는 것." H02190217 H02190191 Procuring 획득하기 [3.0] 10013572 2A.9.0013 Action "관리 활동: 어떤 것을 소유하는 것, 습득하는 것." H02190220 H02190191 Procuring 구하기 [3.0] 10013572 2A.9.0013 Action "관리 활동: 어떤 것을 소유하는 것, 습득하는 것." H02190232 H02190232 Ordering 지시하기 [3.0] 10013754 Action 관리 활동: 어떤 것을 지급하도록 요구하고 명령하는 것. H02190245 H02190245 Organising 조직화하기 C1300196 [3.0] 10013806 Action "관리 활동: 어떤 것에게 정돈된 구조를 제공하는 것. 즉, 어떤 것을 정리 하는 것." H02190258 H02190258 Authorising 권한 부여하기 [3.0] 10003020 Action "관리 활동: 허락을 해주고, 권한을 부여하는 것." H02190261 H02190261 Leading 지도 C1522538 [3.0] 10011233 Action "관리 활동: 미리 가기, 길을 보여주기, 원하는 응답을 이끌어내기 위해 결단성있게 나아가는 것." H02190273 H02190273 Palliating 완화하기 [3.0] 10013984 Action "관리 활동: 말기질환자에게 육체적, 정서적, 정신적, 영적 지지를 통해 통증을 조절하고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 H02190286 H02190286 Distributing 분배하기 C0520511 [3.0] 10006125 2A.02.02 Action "관리 활동: 전달하거나, 나누어주거나, 또는 분배하는 것." H02190299 H02190299 Implementing 수행하기 [3.0] 10009840 Action 관리 활동: 계획을 행동으로 실행하기 위해 지식 그리고 기술을 사용하는 것. H02190302 H02190302 Rubbing 문지르기 [3.0] 10017397 2A.03.07.02 Action 조정 활동: 신체 표면에 강한 압력으로 손 혹은 물건을 움직이는 것. H02190315 H02190315 Massaging 마사지하기 [3.0] 10011768 2A.03.07.01 Action 조정 활동 : 신체나 그 일부를 누르고 문지르는 것. H02190328 H02190328 Compressing 압박하기 C0332260 [3.0] 10004877 2A.03.07.04 Action 조정 활동: 어떤 것을 함께 짜는 것. H02190331 H01064396 Milking 젖 짜기 [3.0] 10012079 2A.03.07.03 Action 조정 활동: 젖을 짜내기 위해 손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가슴을 문지르는 것. H02190343 H01064396 Milking 착유 [3.0] 10012079 2A.03.07.03 Action 조정 활동: 젖을 짜내기 위해 손으로 압력을 가하거나 가슴을 문지르는 것. H02190369 H02190369 Weighing 체중재기 C1305866 [3.0] 10021023 2A.01.02.06.01 Action 측정 활동: 어떤 것이나 어떤 사람의 무게를 확인하고 그것을 숫자로 표현하는 것. H02190384 H02190384 Inspecting 시진하기 [3.0] 10010348 2A.01.03.02 Action 모니터링 활동: 조직적인 방법으로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 H02190397 H02190384 Inspecting 검사하기 [3.0] 10010348 2A.01.03.02 Action 모니터링 활동: 조직적인 방법으로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을 자세히 살펴보는 것. H02190401 H02190401 Supervising 감독 [3.0] 10019093 2A.01.03.03 Action 모니터링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의 경과를 지켜보는 것. H02190413 H02190413 Surveying 조사하기 [3.0] 10019283 2A.01.03.01 Action 모니터링 활동: 반복적으로 혹은 규칙적으로 오랜 시간에 걸쳐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을 정밀 검사하는 것. H02190426 H02190426 Cultural brokerage 문화적 중재 [3.0] 10005436|10046090 2A.04.04.04.01.01 Action|IC 협상 활동: 지역 보건의료시스템의 진행 과정과 기대를 다른 문화의 환자와 가족들과 연결하는 것. H02190439 H02190426 Cultural brokerage 문화 이해하기 [3.0] 10005436|10046090 2A.04.04.04.01.01 Action|IC 협상 활동: 지역 보건의료시스템의 진행 과정과 기대를 다른 문화의 환자와 가족들과 연결하는 것. H02190441 H02190441 Mediating 조정하기 C0086597 [3.0] 10011845 Action 협상 활동: 차이를 해결하고 화해하게 하는 것. H02190454 H02190454 Checking 확인하기 C1283174 [3.0] 10004189 2A.01.02.04 Action "관찰 활동: 어떤 것의 정확성, 품질 혹은 상태를 확립하는 것." H02190467 H02190467 Examining 검진하기 C0332128 [3.0] 10007256 2A.01.02.01 Action "관찰 활동: 어떤 물체 혹은 사람의 실재, 부재, 혹은 성격을 확립하기 위해 조사하거나 매우 주의깊게 살펴보는 것." H02190470 H02190470 Counting 계수하기 [3.0] 10005265 Action 관찰 활동: 숫자를 이용해 수량을 결정하는 것. H02190482 H02190482 Collecting 수집하기 C1516698 [3.0] 10004574 2A.02.03 Action "획득 활동: 어떤 것을 한꺼번에 가져오는 것, 모으는 것." H02190495 H02190495 Prescribing 처방하기 C0278329 [3.0] 10015510 Action "지시 활동: 치료법이나 섭생법의 사용을 명시하는 것, 치료법의 적용을 안내하는 것." H02190509 H02190509 Adjusting 순응하기 [3.0] 10001760 Action "조직화 활동: 맞도록 바꾸는 것, 적응하는 것." H02190511 H02190511 Ensuring 보장하기 [3.0] 10006950 Action 조직화 활동: 확실하게 하는 것 H02190524 H02190524 Coordinating 조직하기 C0700114 [3.0] 10005190 2A.02.01.01 Action 조직화 활동: 어떤 것을 적절한 관계에 두는 것. H02190537 H02190537 Controlling 조절하기 C2239193 [3.0] 10005142 2A.02.01.02 Action 조직화 활동: 기능이나 활동을 구조화 혹은 유지하는 것. H02190552 H02190552 Transporting 이송하기 [3.0] 10020076 Action 수행 활동: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기거나 움직이는 것 H02190565 H02190565 Ventilating 환기시키기 C0231923 [3.0] 10020696 2A.03.13 Action 수행 활동: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있도록 해주는 것. H02190578 H02190565 Ventilating 환기하기 C0231923 [3.0] 10020696 2A.03.13 Action 수행 활동: 공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있도록 해주는 것. H02190581 H02190581 Discontinuing 중단하기 [3.0] 10036651 1A.9.0023 Action 수행 활동: 투여 또는 사용을 중단하는 것. H02190593 H02190581 Discontinuing 중지하기 [3.0] 10036651 1A.9.0023 Action 수행 활동: 투여 또는 사용을 중단하는 것. H02190607 H02190607 Inflating 부풀리기 [3.0] 10010136 2A.03.15 Action 수행 활동: 물질을 이용하여 채우는 것. H02190610 H02190607 Inflating 팽창시키기 [3.0] 10010136 2A.03.15 Action 수행 활동: 물질을 이용하여 채우는 것. H02190622 H02190622 Preparing 준비하기 [3.0] 10015478 2A.03.14 Action 수행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준비하거나 준비시키는 것. H02190648 H00627696 Feeding 음식을 주기 C2987508 [3.0] 10007786 2A.03.05 Action 수행 활동: 누군가에게 음식 혹은 음료를 제공하는 것. H02190651 H00627696 Feeding 먹이기 C2987508 [3.0] 10007786 2A.03.05 Action 수행 활동: 누군가에게 음식 혹은 음료를 제공하는 것. H02190663 H02190663 Clamping 조이기 C1883710 [3.0] 10004437 2A.03.12 Action 수행 활동: 어떤 것을 꽉 쥐거나 맞붙이거나 압박하는 것. 예: 조직이나 혈관 H02190676 H02190676 Stimulating 자극하기 C1948023 [3.0] 10018842 2A.03.09 Action 수행 활동: 어떤 것을 자극하거나 돋우는 것. H02190689 H02190689 Hypnotising 최면걸기 [3.0] 10009450 Action 수행 활동: 최면으로 수면과 같은 상태를 유발시키는 것. H02190691 H02190689 Hypnotizing 최면걸기 [3.0] 10009450 Action 수행 활동: 최면으로 수면과 같은 상태를 유발시키는 것. H02190705 H02190705 Vaccinating 예방접종하기 C1116171 [3.0] 10020552 Action 수행 활동: 개인의 면역력 성장을 자극하고 특정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항원을 주입하고 백신을 주입하는 것. H02190718 H02190718 Manipulating 조작하기 C2584326 [3.0] 10011710 2A.03.07 Action 수행 활동: 신체의 일부를 손으로 움직이는 것. H02190721 H02190718 Manipulating 도수조작하기 C2584326 [3.0] 10011710 2A.03.07 Action 수행 활동: 신체의 일부를 손으로 움직이는 것. H02190733 H02190718 Manipulating 도수교정하기 C2584326 [3.0] 10011710 2A.03.07 Action 수행 활동: 신체의 일부를 손으로 움직이는 것. H02190746 H02190746 Installing 설치하기 [3.0] 10010353 2A.03.17 Action 수행 활동: 기구를 사용하기 위해 배치하거나 고정시키는 것. H02190759 H02190759 Covering 덮기 [3.0] 10005296 2A.03.04 Action 수행 활동: 신체의 일부나 전면에 어떤 것을 놓는 것. H02190761 H02190759 Covering 덮어주기 [3.0] 10005296 2A.03.04 Action 수행 활동: 신체의 일부나 전면에 어떤 것을 놓는 것. H02190774 H02190774 Diverting 전환하기 C0743226 [3.0] 10006156 Action 수행 활동: 한 사람 혹은 여러 사람의 기분 전환을 위해 재미와 오락을 제공하는 것. H02190787 H02190787 Pressing 눌러주기 [3.0] 10015599 1A.01.01.02.02.01.01.08.07 Action "수행 활동: 손가락과 손을 사용하여 어떤 것에 압력을 가하는 것, 손을 사용하여 어떤 물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능력." H02190790 H02190787 Pressing 누르기 [3.0] 10015599 1A.01.01.02.02.01.01.08.07 Action "수행 활동: 손가락과 손을 사용하여 어떤 것에 압력을 가하는 것, 손을 사용하여 어떤 물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능력." H02190803 H02190803 Positioning 위치정하기 C0150305 [3.0] 10014757 2A.03.06 Action 수행 활동: 어떤 사람이나 물건을 정해진 위치에 놓는 것. H02190816 H02190803 Positioning 체위 만들기 C0150305 [3.0] 10014757 2A.03.06 Action 수행 활동: 어떤 사람이나 물건을 정해진 위치에 놓는 것. H02190829 H02190829 Inserting 삽입하기 [3.0] 10010324 2A.03.16 Action "수행 활동: 신체 부위에 어떤 것을 넣고, 맞추고 혹은 위치시키는 것." H02190831 H02190831 Cleaning 청소하기 C0542277 [3.0] 10004444 1A.01.01.02.02.01.02.03.02 Action "수행 활동: 먼지와 오염물을 제거하고, 쓰레기를 처분하는 것." H02190844 H02190831 Cleaning 청소 C0542277 [3.0] 10004444 1A.01.01.02.02.01.02.03.02 Action "수행 활동: 먼지와 오염물을 제거하고, 쓰레기를 처분하는 것." H02190857 H02190857 Mobilising 움직이기 C0185112 [3.0] 10012120 Action 수행 활동: 어떤 것을 움직이게 만드는 것. H02190860 H01658214 Suturing 봉합하기 C0009068 [3.0] 10019334 2A.03.11 Action 수행 활동: 상처를 꿰매는 것. H02190901 H02190901 Demonstrating 시범보이기 [3.0] 10005713 1B.13.01 Action 수행 활동: 공개적으로 주목받을 만한 행동을 보여주는 것. H02190914 H02190914 Changing 변경하기 C0392747 [3.0] 10004162 2A.02.01.02.01.01 Action 수행 활동: 어떤 것을 다른 것으로 대치하는 것. H02190927 H02190927 Removing 제거하기 [3.0] 10016763 2A.03.18 Action 수행 활동: 어떤 것을 없애거나 줄이는 것. H02190930 H02190930 Scheduling 일정 계획 C1446911 [3.0] 10017528 2A.02.01.01.01.02 Action 계획 활동: 스케쥴을 만드는 것: 예)시간표 H02190942 H02190942 Prioritising 우선순위 정하기 [3.0] 10015736 Action 계획 활동: 어떤 것을 우열에 따라 순서를 매겨 정렬하는 것. H02190955 H02190955 Perioperative positioning 수술전후 체위 [3.0] 10014364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H02190968 H02190955 Perioperative positioning 수술전후 자세 [3.0] 10014364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H02190971 H02190971 Turning 돌리기 C0541749 [3.0] 10020228 2A.03.06.03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다른 방향을 보기 위해 자세를 바꾸는 것 H02190983 H02190983 Lowering 내리기 C2003888 [3.0] 10011455 2A.03.06.02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전신 또는 신체의 일부를 낮아지게 하거나 내리는 것. H02190996 H02190983 Lowering 낮추기 C2003888 [3.0] 10011455 2A.03.06.02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전신 또는 신체의 일부를 낮아지게 하거나 내리는 것. H02191003 H02191003 Elevating 올리기 [3.0] 10006691 2A.03.06.01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신체나 그 일부를 들어올리거나 일으켜 세우는 것. H02191016 H02191003 Elevating 높이기 [3.0] 10006691 2A.03.06.01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신체나 그 일부를 들어올리거나 일으켜 세우는 것. H02191029 H02191029 Transferring 옮기기 C1540850 [3.0] 10020030 2A.03.06.04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 H02191031 H02191029 Transferring 이동하기 C1540850 [3.0] 10020030 2A.03.06.04 Action 위치정하는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물건을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 H02191044 H02191044 Setting up act 행위준비 [3.0] 10017912 Action 준비 활동: 어떤 물건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놓는 것. H02191057 H02191057 Avoiding 회피하기 [3.0] 10003077 2A.04.03.02 Action 예방 활동: 어떤 사물로부터 피하거나 가까이하지 않는 것. H02191060 H02191060 Protecting 보호하기 [3.0] 10015864 2A.04.03.01 Action 예방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어떤 것으로부터 안전하게 지키는 것 혹은 어떤 것을 경계하는 것. H02191072 H02191072 Triaging 중증도 분류 [3.0] 10020179|10042958 2A.02.01.01.01.01.01 Action|IC 우선순위결정 활동: 질환과 상처 치료 등의 순서를 정하기 위해 긴급도를 배정하는 것. H02191085 H02191085 Motivating 동기를 주기 [3.0] 10012242 2A.04.01.03.02 Action 증진 활동: 어떤 사람이 특정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것 혹은 어떤 활동에 대한 흥미를 자극하는 것. H02191098 H02191085 Motivating 권유하기 [3.0] 10012242 2A.04.01.03.02 Action 증진 활동: 어떤 사람이 특정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것 혹은 어떤 활동에 대한 흥미를 자극하는 것. H02191101 H02191085 Motivating 동기 부여 [3.0] 10012242 2A.04.01.03.02 Action 증진 활동: 어떤 사람이 특정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하는 것 혹은 어떤 활동에 대한 흥미를 자극하는 것. H02191114 H02191114 Empowering 힘 북돋우기 C0562342 [3.0] 10006796 2A.04.01.03.04 Action 증진 활동: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게 하는 것. H02191127 H02191127 Developing 발달시키기 [3.0] 10005848 2A.9.0007 Action "증진 활동: 생각, 개인, 또는 그룹/지역사회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 H02191130 H02191127 Developing 발전시키기 [3.0] 10005848 2A.9.0007 Action "증진 활동: 생각, 개인, 또는 그룹/지역사회의 성장을 촉진하는 것." H02191142 H02191142 Enhancing 향상시키기 [3.0] 10006945 2A.04.01.03.03 Action "증진 활동: 이미 양질의 것을 높이거나, 강화하거나, 혹은 증진시키는 것." H02191155 H02191155 Inducing 유도하기 C0205263 [3.0] 10010039 2A.04.01.03.01 Action 증진 활동: 어떤 일을 초래하도록 돕는 것. H02191168 H02191168 Alcoholic life style prevention 알코올 중독 생활습관 예방 [3.0] 10002128 2C.02.04.04 Action 보호 활동 H02191171 H02191171 Social isolating life style prevention 사회적 고립생활 예방 [3.0] 10018370 2C.02.04.05 Action 보호 활동 H02191183 H02191183 Safety measure 안전조치 [3.0] 10017439 2C.02.08.01 Action "보호 활동: 손상이나 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사고나 위험을 피하거나 막기위해 활동을 하는 것. 환경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활동을 하는 것, 장갑이나 헬멧같은 보호장비를 사용하는 행위와 관련됨." H02191196 H02191183 Safety measure 안전기법 [3.0] 10017439 2C.02.08.01 Action "보호 활동: 손상이나 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사고나 위험을 피하거나 막기위해 활동을 하는 것. 환경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활동을 하는 것, 장갑이나 헬멧같은 보호장비를 사용하는 행위와 관련됨." H02191200 H02191200 Contamination prevention 오염예방 [3.0] 10005055 2C.02.04.02 Action 보호 활동: 오염 물질이나 감염을 막는 것. H02191212 H02191212 Initiating 시작하기 [3.0] 10010221 2A.02.01.02.01.01.01 Action 조절 활동: 어떤 것을 변화시키거나 혹은 다르게 만들기 위해 시작하는 것. H02191225 H02191225 Maintaining 유지하기 [3.0] 10011504 2A.02.01.02.01.02 Action "조절 활동: 어떤 것을 지속하는 것, 보유하는 것 또는 유지하는 것." H02191238 H02191238 Altering 변경하기 [3.0] 10002185 2A.02.01.02.01.01 Action 조절 활동: 어떤 것을 바꾸거나 어떤 것을 다르게 만드는 것 H02191241 H02191241 Presencing 함께하기 [3.0] 10015575 2A.04.04.02 Action 관계 활동: 필요할 때 옆에 있어 주는 것. H02191253 H02191241 Presencing 함께 있어주기 [3.0] 10015575 2A.04.04.02 Action 관계 활동: 필요할 때 옆에 있어 주는 것. H02191266 H02191266 Comforting 위로하기 C1310585 [3.0] 10004664 2A.04.04.06 Action 관계 활동: 필요할 때 어떤 사람을 위로 하는 것. H02191279 H02191266 Comforting 위로 C1310585 [3.0] 10004664 2A.04.04.06 Action 관계 활동: 필요할 때 어떤 사람을 위로 하는 것. H02191281 H02191281 Praising 칭찬하기 C0557963 [3.0] 10015409 2A.04.04.05 Action 관계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대해 인정하거나 찬미를 표현하는 것. H02191294 H02191294 Contacting 접촉하기 C0332158 [3.0] 10005038 1A.01.01.02.02.02.05.01.01 Action "관계 활동: 정보를 얻고, 관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할 목적으로 타인과 의사소통하는 것." H02191308 H02191294 Contacting 접촉 C0332158 [3.0] 10005038 1A.01.01.02.02.02.05.01.01 Action "관계 활동: 정보를 얻고, 관계와 네트워크를 구축할 목적으로 타인과 의사소통하는 것." H02191311 H02191311 Contracting 계약하기 C1704412 [3.0] 10005119 2A.04.04.04 Action 관계 활동: 어떤 사람과 협정을 맺는 것. H02191323 H02191323 Consulting 자문 C0009818 [3.0] 10005017 Action "관계 활동: 조언을 구하고, 정보를 얻고,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같이 고민하는 것." H02191336 H02191336 Touching 접촉하기 C2584295 [3.0] 10019905 2A.04.04.07 Action 관계 활동: 목적있는 촉각 접촉에 손을 사용하는 것. H02191349 H02191349 Collaborating 협력하기 [3.0] 10004542 2A.04.04.03 Action 관계 활동: 한 사람 혹은 더 많은 수의 사람과 같이 일하는 것. H02191351 H02191351 Drawing 배액하기 C0013113 [3.0] 10006230 2A.03.18.01 Action 제거 활동: 액체를 빼내는 것. H02191364 H02191351 Drawing 뽑아내기 C0013113 [3.0] 10006230 2A.03.18.01 Action 제거 활동: 액체를 빼내는 것. H02191377 H02191377 Disposing 처분하기 [3.0] 10006063 2A.03.18.02 Action 제거 활동: 어떤 것을 치우는 것. H02191380 H02191377 Disposing 폐기하기 [3.0] 10006063 2A.03.18.02 Action 제거 활동: 어떤 것을 치우는 것. H02191392 H02191392 Resuscitating 소생시키기 [3.0] 10017193 2A.04.02.03.01 Action 회복 활동: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을 되살아나게 하는 것. H02191406 H02191406 Rehabilitating 재활시키기 [3.0] 10016645 2A.04.02.03.02 Action "회복 활동: 특히 질병 후, 훈련으로 효과적인 기능이나 평상시 삶으로 회복시키는 것." H02191419 H02191419 Immobilizing 고정시키기 [3.0] 10009762 Action 제한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 H02191421 H02191419 Immobilising 고정시키기 [3.0] 10009762 Action 제한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 H02191434 H02191434 Isolating 격리하기 C1764827 [3.0] 10010906 2A.02.01.02.02.02 Action 제한 활동: 사람들간에 경계를 유지하거나 어떤 사람을 다른 사람들로부터 분리하는 것. H02191447 H02191447 Restraining 억제하기 [3.0] 10017155 2A.02.01.02.02 Action "제한 활동: 경계 내에서 어떤 사람이나, 물건을 유지하는 것." H02191450 H02191447 Restraining 제한하기 [3.0] 10017155 2A.02.01.02.02 Action "제한 활동: 경계 내에서 어떤 사람이나, 물건을 유지하는 것." H02191462 H02191462 Limit setting 제한설정 C0150269 [3.0] 10011354 2A.02.01.02.02.03 Action 제한 활동: 행동을 제한하거나 구속하는 것. H02191475 H02191475 Cancer screening 암 선별 C0199230 [3.0] 10041249|10038578 Action|IC 선별검사 활동 H02191488 H02191488 Tuberculosis screening 결핵검진 C0420004 [3.0] 10041231|10038584 Action|IC 선별검사 활동 H02191491 H02191491 Defibrillating 제세동 [3.0] 10005659 2A.03.09.01 Action 자극 활동: 심장 부정맥의 치료를 위해 흉벽을 통해 심근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하는 것. H02191504 H02191491 Defibrillating 세동제거하기 [3.0] 10005659 2A.03.09.01 Action 자극 활동: 심장 부정맥의 치료를 위해 흉벽을 통해 심근에 전기적 자극을 전달하는 것. H02191517 H02191517 Aspirating 흡인하기 C0370199 [3.0] 10002641 2A.03.01.05.01 Action 흡입 활동: 물질을 흡입 혹은 빨아내는 것. H02191520 H02191520 Reassuring 안심시키기 C0557055 [3.0] 10016480 Action 지지 활동: 불안을 완화하고 자신감을 돌려주는 것. H02191532 H02191532 Encouraging 격려하기 [3.0] 10006823 2A.04.01.02.01 Action 지지 활동: 어떤 사람에게 자신감이나 희망을 주는 것. H02191545 H02191545 Advocating 옹호하기 [3.0] 10001929 2A.04.01.02.03 Action 지지 활동: 논쟁으로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좋아하게 하는 것. H02191558 H02191558 Reinforcing 강화하기 [3.0] 10016650 2A.04.01.02.02 Action 지지 활동: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강하게 하는 것. H02191561 H02191561 Educating 교육하기 C0039401 [3.0] 10006564 2A.05.01.02 Action 가르치기 활동: 누군가에게 어떤 것의 지식을 주는 것. H02191573 H02191573 Instructing 지도하기 [3.0] 10010376 2A.05.01.01 Action 가르치기 활동: 어떤 것을 어떻게 하는지 어떤 사람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주는 것. H02191586 H02191586 Hand holding 손 잡아주기 [3.0] 10008642 Action "접촉 활동: 다른 사람의 손을 잡기, 개인적인 지지 그리고 안심 시키기." H02191599 H02191599 Hugging 안기 [3.0] 10009198 2A.04.04.07.02 Action 접촉 활동: 팔로 꼭 껴안기. H02191628 H02191628 Transporting of device 기구 이송 [3.0] 10033190 Action 훈련 활동 H02191631 H02191631 Termination of pregnancy 임신종료 C1704300 [3.0] 10019587 1A.01.02.01.01.02.04 Action "치료 활동: 계획되지 않거나, 원하지 않거나, 생명에 위험한 임신을 유산에 의해 종결시키는 것." H02191643 H02191643 Restoring 회복하기 [3.0] 10017140 2A.04.02.03 Action "치료 활동: 이전이나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정신적 그리고 육체적 원기를 되찾고 소생시키는 것." H02191656 H02191656 Relieving 경감하기 C1301676 [3.0] 10016716 2A.04.02.02 Action "치료 활동: 어떤 것을 줄이거나, 끝내거나 제거하는 것." H02191669 H02191669 Alleviating 완화하기 [3.0] 10002171 2A.04.02.01 Action 치료 활동: 어떤 것을 더 쉽게 견딜수 있도록 만드는 것. H02191671 H02191671 Flushing 씻어내기 C0016382 [3.0] 10008070 2A.03.01.01.03 Action 씻기 활동: 압력을 이용해 물로 씻겨 보내는 것. H02191684 H02191684 Laundering 세탁하기 C0023134 [3.0] 10011205 1A.01.01.02.02.01.02.03.03 Action "씻기 활동: 옷을 빨고, 말리고, 다림질하고, 정리하는 것." H02191697 H02191697 Rinsing 헹구기 C1882955 [3.0] 10017247 2A.03.01.01.01 Action 씻기 활동: 원치 않는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한 물 혹은 다른 액체로 가볍게 씻어 내는 것. H02191701 H02191701 Irrigating 세척하기 [3.0] 10010883 2A.03.01.01.02 Action 씻기 활동: 계속적인 액체의 흐름으로 어떤 것을 씻어내는 것 H02191713 H02191713 Autotransfusing 자가수혈하기 [3.0] 2A.9.0001 Action 환자자신의 순환에서 얻은 혈액이나 혈액산물을 다시 자체에 재주입하는것. H02191726 H02191726 Balancing 균형잡기 C0014653 [3.0] 2A.9.0002 Action 수행함 H02191739 H02191739 Building 세움 C1547706 [3.0] 10003744 2A.9.0003 Action 기반시설의 한 형태 : 인간이 사용하도록 고안되고 건설된 구조물 H02191741 H02191741 Clarifying 명백하게하기 [3.0] 2A.9.0005 Action 의심할 바 없이 아주 뚜렷하게 함[표준국어대사전] H02191754 H02191754 Delegating 위임하기 [3.0] 2A.9.0006 Action 어떤 일을 책임 지워 맡김[표준국어대사전] H02191767 H02191767 Exchanging 교환하기 C0678640 [3.0] 2A.9.0009 Action 어떤 한가지를 다른 것으로 바꾸는 것. H02191770 H02191770 Modifying 변형하기 [3.0] 2A.9.0010 Action 모양이나 형태가 달라지거나 달라지게 함[표준국어대사전] H02191782 H02191770 Modifying 변화를주기 [3.0] 2A.9.0010.S.001 Action 모양이나 형태가 달라지거나 달라지게 함[표준국어대사전] H02191795 H02191795 Prescribing 규정하기 C0278329 [3.0] 10015510 2A.9.0011 Action "내용이나 성격, 의미 따위를 밝혀 정함[표준국어대사전]" H02191809 H02191795 Prescribing 정하기 C0278329 [3.0] 10015510 2A.9.0011 Action "내용이나 성격, 의미 따위를 밝혀 정함[표준국어대사전]" H02191811 H02191811 Preserving 보존하기 C0728887 [3.0] 2A.9.0012 Action 잘 보호하고 간수하여 남김[표준국어대사전] H02191824 H02191811 Preserving 지키기 C0728887 [3.0] 2A.9.0012.S.001 Action "1) 재산, 이익, 안전 따위를 잃거나 침해당하지 아니하도록 보호하거나 감시하여 막다." 2) 길목이나 통과 지점 따위를 주의를 기울여 살피다. 3) 규정 약속 법 예의 따위를 어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실행하다. 4) 지조 절개 " 정조 따위를 굽히지 아니하고 굳게 지니다.[표준국어대사전]""" H02191837 H02191837 Sedating 진정시키기 C0235195 [3.0] 2A.9.0014 Action 격앙된 감정이나 아픔 따위를 가라앉힘[표준국어대사전] H02191840 H02191840 Case finding 환자발견 C0681690 [3.0] 2A.9.0017 Action 관리함 H02191852 H02191852 Cautioning 주의를주기 [3.0] 2A.9.0018 Action 조심하거나 삼가도록 미리 주의를 줌.[표준국어대사전] H02191865 H02191852 Cautioning 경고하기 [3.0] 2A.9.0018 Action 조심하거나 삼가도록 미리 주의를 줌.[표준국어대사전] H02191878 H02191878 Electrocardiogram monitoring 심전도 모니터하기 [3.0] 2A.9.0021.S.001 Action 모니터링함 H02191881 H02191878 Ekg monitoring 심전도 모니터링하기 C0553601 [3.0] 2A.9.0021 Action 모니터링함 H02191893 H02191893 Infection control 감염관리 C0085557 [3.0] 2A.9.0022 Action 관리함 H02191907 H02191907 Intensive care 집중관리 C0085559 [3.0] 2A.9.0023 Action 치료함 H02191910 H02191910 Mixed feeding 혼합수유 [3.0] 2A.9.0025 Action 영양 H02191922 H02191922 Mixed milk feeding 혼합영양 [3.0] 2A.9.0026 Action 영양 H02191935 H02191935 Personal hygiene management 개인위생관리 [3.0] 2A.9.0027 Action 위생 H02191948 H02191948 Birthing 분만하기 C1552420 [3.0] 2A.9.0028 Action "가족과정의 한 형태 : 임신에 적응하는데 초점을 맞춘 행동과 부모가 되기위해 준비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 가족, 친구, 사회에서 적당하거나 적당하지 않은 부모역할 행동으로 간주하는 내부화된 기대." H02191951 H02191951 Programme development 프로그램개발 C0033333 [3.0] 2A.9.0029 Action 수행함 H02191963 H02191963 Programme evaluation 프로그램평가 [3.0] 2A.9.0030 Action 평가함 H02191989 H02191989 Stoma care 장루 간호 C0150786 [3.0] 10032788 2A.9.0033 Action 장루 간호요법 H02191991 H02191991 Symptom management 증상관리 C1536570 [3.0] 2A.9.0036 Action 관리함 H02192009 H02192009 Tracheostomy management 기관지관 관리 C0184635 [3.0] 2A.9.0037 Action 치료함 H02192011 H02192011 Tracheostomy suction 기관지 흡인 [3.0] 2A.9.0038 Action 치료함 H02192024 H02192024 Tracheostomy tube management 기관절개관 관리 [3.0] 2A.9.0039 Action 치료함 H02192037 H02192024 T tube management 기관절개관 관리 [3.0] 2A.9.0039 Action 치료함 H02192040 H02192024 T tube management T tube관리 [3.0] 2A.9.0039 Action 치료함 H02192052 H02192052 Urinary catheter change 인공도뇨관교환 [3.0] 2A.9.0040 Action 치료함 H02192065 H02192065 Urinary catheter insertion 인공도뇨관삽입 C0042019 [3.0] 2A.9.0041 Action 치료함 H02192078 H02192078 Nursing round 간호순회 [3.0] Action 관찰함 H02192081 H02192081 Fixing 고정하기 [3.0] Action 사물을 단단히 위치 시키거나 묶음. H02192093 H02192093 Correcting 교정하기 [3.0] Action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 H02192107 H02192107 Distinguishing 구별하기 [3.0] Judgment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 H02192110 H02192110 Returning to hospital 귀원하기 [3.0] Action 병원으로 돌아옴. H02192122 H02192122 Falling down 낙상함 C0085639 [3.0] Action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침.[표준국어대사전] H02192135 H02192135 Laying 눕히기 C1622979 [3.0] Action 몸을 바닥에 대고 수평상태가 되도록 함. H02192148 H02192148 Friendly talking 담소하기 [3.0] Action 웃고 즐기면서 이야기함. H02192151 H02192151 Answering 대답하기 [3.0] Action 부르는 말에 응하여 어떤 말을 함. H02192163 H02192163 Arrived 도착하기 C1706079 [3.0] Action 목적한 곳에 다다름. H02192176 H02192176 Agreeing 동의하기 [3.0] Action 같은 의견에 도달함. H02192189 H02192189 Lifting 들어올리기 C0206244 [3.0] Action 위치정함 H02192191 H02192191 Speaking 말하기 C0234856 [3.0] Action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말로 나타냄.[표준국어대사전] H02192205 H02192205 Stopping 멈춤 C0723457 [3.0] Action 사물의 움직이나 동작이 그침. H02192218 H02192218 Meeting 만나기 C0556656 [3.0] Action 1) 누군가 가거나 와서 둘이 서로 마주 보다. 2) 어떤 사실이나 사물을 눈앞에 대하다. "3) 어떤 일을 당하다.[표준국어대사전]""" H02192221 H02192221 Visiting 방문하기 [3.0] Action 어떤 사람이나 장소를 찾아가서 만남. H02192233 H02192221 Visiting 면회하기 [3.0] Action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는 어떤 기관이나 집단 생활을 하는 곳에 찾아가서 사람을 만나봄. H02192246 H02192246 Taking medicine 복약하기 [3.0] Action 약을 먹음.[표준국어대사전] H02192259 H02192259 Obeying 복종 [3.0] Focus 남의 명령이나 의사를 그대로 따라서 좇음. H02192261 H02192261 Sticking 부착하기 C1883170 [3.0] Action 떨어지지 아니하게 붙음. 또는 그렇게 붙이거나 닮. H02192274 H02192274 Taking a walk 산책하기 [3.0] Action 휴식을 취하거나 건강을 위해서 천천히 걷는 일. H02192287 H02192287 Pronounce 선고하기 [3.0] Action 선언하여 널리 알림.[표준국어대사전] H02192290 H02192290 Persuaded 설득하기 [3.0] Action 상대편이 이쪽 편의 이야기를 따르도록 여러 가지로 깨우쳐 말함. H02192303 H02192303 Suckling 수유하기 [3.0] Action 젖을 먹임. H02192316 H02192316 Transfuse 수혈하기 [3.0] Action "빈혈이나 그 밖의 치료를 위하여, 건강한 사람의 혈액을 환자의 혈관 내에 주입함." H02192329 H02192329 Prone 엎드리기 C0033422 [3.0] 10015829 Action "배를 바닥에 붙이거나 팔다리를 짚고 몸 전체를 길게 뻗고, 상반신을 아래로 굽히거나 바닥에 댐." H02192331 H02192331 Connected 연계하기 [3.0] Action 어떤 일이나 사람과 관련하여 관계를 맺음.또는 그 관계. H02192344 H02192331 Connected 연결하기 [3.0] Action 어떤 일이나 사람과 관련하여 관계를 맺음.또는 그 관계. H02192357 H02192357 Stayed out 외박감 [3.0] Action 자기 집이나 일정한 숙소에서 자지 아니하고 딴 데 나가서 잠. H02192360 H02192360 Get out 외출감 [3.0] Action 집이나 근무지 따위에서 벗어나 잠시 밖으로 나감. H02192372 H02192372 Make a person cry 울리기 [3.0] Action 슬프거나 아프거나 너무 좋아서 견디다 못하여 소리를 내면서 눈물을 흘리게 만듦. H02192385 H02192385 Grasp 움켜쥐기 C0220843 [3.0] Action 손가락을 우그리어 손안에 꽉잡고 놓지 않음. H02192398 H02192398 Refixing 재고정하기 [3.0] Action 한곳에 꼭 붙어 있거나 또 박혀 있도록 함. H02192401 H02192401 Workup 정밀검사 [3.0] Action 정교하고 자세한 검사. H02192414 H02192414 Respected 존중하기 C0679133 [3.0] Action 소중하게 여김. 또는 소중히 여겨 받듦. H02192427 H02192427 Finished 종료하기 [3.0] Action 변경함의 한 형태: 어떤 것을 만들거나 다르게 만드는 것을 중단하는 것. H02192430 H02192430 End 끝내기 C0444930 [3.0] Action 일이 다 이룸. H02192442 H02192442 Infusing 주입하기 [3.0] Action 액체를 물체 안에 흘려 넣음. H02192455 H02192455 Stanching 지혈하기 [3.0] Action 나오던 피를 멈춤.[표준국어대사전] H02192468 H02192468 Progress 진행하기 C1280477 [3.0] 10015789 Action 앞으로 나아감. 일을 처리해 나감. H02192471 H02192471 Wearing 착용하기 [3.0] Action "의복, 모자, 신발 따위를 입거나, 쓰거나, 신거나 함. " H02192483 H02192483 Take a blood sample 채혈하기 [3.0] Action 병의 진단이나 수혈 따위를 위하여 피를 뽑음. H02192496 H02192483 Blood collection 채혈 [3.0] Action 병의 진단이나 수혈 따위를 위하여 피를 뽑는 일. H02192500 H02192500 Adding 추가하기 [3.0] Action 나중에 더하여 보탬. H02192512 H02192512 Walk out 탈원 [3.0] Action 환자 활동 H02192525 H02192525 Discharging 퇴원하기 [3.0] Action 입원 했던 환자가 병원에서 나옴. H02192538 H02192538 Medicate 투약하기 [3.0] Action 약을 지어 주거나 씀.[표준국어대사전] H02192541 H02192541 Assault 폭행하기 C0004063 [3.0] Action 남에게 불법으로 폭력을 행사함. H02192566 H02192566 Sovling 해결하기 [3.0] Action 제기된 문제를 해명하거나 얽힌 일을 잘 처리함. H02192579 H02192579 Releasing 해제하기 C1283071 [3.0] Action 설치하거나 장비한 것 따위를 풀어 없앰. H02192581 H02192581 Complained 호소하기 [3.0] Action "불만족, 불쾌함을 표현함." H02192594 H02192594 Mixing 혼합하기 C1720722 [3.0] Action 섞어서 한데 합함. H02192608 H02192608 Thoracic wall suction 흉벽흡인 [3.0] Action "흉강내 삼출물, 액체, 공기 등을 제거함으로써 폐의 재팽창을 도모하고 흉강내 정상 음압을 형성하여 폐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법." H02192611 H02192611 Ambu bagging 앰부주머니 짜기 [3.0] Action 치료함 H02192623 H02192623 Reviewing 검토하기 C1704362 [3.0] Action 어떤 사실이나 내용을 분석하여 따짐.[표준국어대사전] H02192636 H02192636 Including 포함하기 C0332257 [3.0] Action 어떤 사물이나 현상 가운데 함께 들어가게 하거나 함께 넣음.[표준국어대사전] H02192649 H02192649 Secluding 차단하기 [3.0] Action 1) 액체나 기체 따위의 흐름 또는 통로를 막거나 끊어서 통하지 못하게 함. "2) 다른 것과의 관계나 접촉을 막거나 끊음.[표준국어대사전]""" H02192651 H02192651 Locking 잠그기 [3.0] Action 여닫는 물건을 열지 못하도록 자물쇠를 채우거나 빗장을 걸거나 하다.[표준국어대사전] H02192680 H02192680 Individual 개인 C0237401 [3.0] 10010018 1A.01.01 Client 다음의 특징을 가진 동물: 한명의 인간 H02192692 H02192692 Family caregiver 가족 돌봄제공자 C0086279 [3.0] 10007565 Client 다음의 특징을 가진 돌봄제공자: 가족 구성원의 질병이나 불구의 예방과 치료에 책임이 있음. H02192706 H02192706 Street child 가출 아동(집단) C0877838 [3.0] 10025437 Client "다음의 특징을 가진 아동: 법률상 미성년; 가출소년(소녀); 고아이거나 버려진 아이들; 생존에 초점을 둠; 책임있는 어른들로부터 부적절하게 보호받고, 감독되거나 지도 받음; 종종 정규 교육의 부족, 환경적 위험, 폭력 그리고 약물 남용에 노출과 관련 됨; 가족 구성원과 접촉이 전혀 없거나 제한됨." H02192734 H02192734 Grandfather 할아버지 C0337475 [3.0] 10021624 2B.02.01.01.01.01.01.01.20 Client 가족구성원 H02192747 H02192747 Grandmother 할머니 C0337474 [3.0] 10021630 2B.02.01.01.01.01.01.01.19 Client 가족구성원 H02192750 H02192750 Parent 부모 C0030551 [3.0] 10014023 2B.02.01.01.01.01.01.01.14 Client 가족구성원 H02192762 H02192762 Sibling 형제자매 C0037047 [3.0] 10018097 2B.02.01.01.01.01.01.01.11 Client 가족구성원 H02192788 H02192788 Extended family 대가족 C0015341 [3.0] 10007410 Client 가족: 부모와 자식 외의 구성원들을 포함하는 가족. H02192791 H02192791 Single parent family 편부모가족 C0037178 [3.0] 10018176 Client 가족: 아버지나 어머니 혹은 대리인과 한명 이상의 자녀 또는 기타 부양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족. H02192804 H02192804 Street children 가출 아동 C0877838 [3.0] 10025416 Client 집단 H02192820 H02192820 Adolescent community 청소년 공동체 [3.0] 10001870 Client 집단: 집단 구성원들이 십대임. H02192873 H00047451 Teenager 청소년 C1521910 [3.0] 10001862 Client 개인 H02192886 H02192886 Adult 성인 C0001675 [3.0] 10001889 2B.02.01.01.01.01.01.01.08 Client 개인 H02192928 H02192928 Elder 노인 [3.0] 10006604 Client 개인 H02192931 H02192931 Family member 가족구성원 C0086282 [3.0] 10007596 Client 개인 H02192969 H02192969 Legal guardian 법적 보호자 C0023226 [3.0] 10027610 Client 개인 H02193004 H02193004 Caregiver 돌봄제공자 C0085537 [3.0] 10003958 2B.02.01.01.01.01.01.01.10 Client "다음의 특징을 가진 개인: 돌봄 요구 파악, 질병이나 불구를 규명, 예방 혹은 치료를 돕고, 부양자의 요구를 돌봄." H02193017 H02193004 Caregiver 간호제공자 C0085537 [3.0] 10003958 2B.02.01.01.01.01.01.01.10 Client "다음의 특징을 가진 개인: 돌봄 요구 파악, 질병이나 불구를 규명, 예방 혹은 치료를 돕고, 부양자의 요구를 돌봄." H02193020 H02193020 Father 아버지 C1546503 [3.0] 10027261 2B.02.01.01.01.01.01.01.16 Client 부모 H02193045 H02193045 Brother 형제 C1546493 [3.0] 10021648 2B.02.01.01.01.01.01.01.13 Client 형제자매 H02193061 H02193061 Female headed single parent family 편모가족 [3.0] 10007842 Client "편부모 가족: 어머니, 조모 혹은 다른 여성과 한명 이상의 자녀 및 부양가족으로 이루어진 자녀." H02193073 H02193073 Male headed single parent family 편부가족 [3.0] Client "편부모 가족: 아버지, 조부 혹은 다른 남성과 한명 이상의 자녀 및 부양가족으로 이루어진 자녀." H02193128 H02193128 Benign 양성 C0205183 [3.0] 1A.9.0056 Judgment "1) 악성이 아닌. 재발을 하지않는. 회복의 가능성이 있는. 2) 치유가 잘 되는, 종양의 경우에서는 다른 조직으로 퍼지지 않고 그부분에서 머물러 있는 종양을 말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193131 H02193131 Blood test room 채혈실 [3.0] 1A.9.0067 Location 진료부서 H02193143 H02193143 Early 조기 C1279919 [3.0] Time 이른 시기.[표준국어대사전] H02193156 H02193156 Unstableness 불안정 [3.0] 1B.49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예측가능하지 않은 것. H02193169 H02193169 Refusing 거절하기 [3.0] Action "To decline to do, accept, give, or allow something.[NCI]" H02193184 H02193184 Male child 남아 C0870221 [3.0] Client 남자 아이.[표준국어대사전] H02193197 H02193184 Boy 남아 C0870221 [3.0] Client 남자 아이.[표준국어대사전] H02193201 H02193201 Spouse 배우자 C0162409 [3.0] Client "부부의 한쪽에서 본 다른 쪽. 남편 쪽에서는 아내를, 아내 쪽에서는 남편을 이르는 말이다.[표준국어대사전]" H02193213 H02193213 Female child 여아 C0870604 [3.0] Client 여자아이.[표준국어대사전] H02193226 H02193184 Girl 여아 C0870604 [3.0] Client 여자아이.[표준국어대사전] H02193239 H02193239 Older brother 형 C0337537 [3.0] Client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이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손위 남자 형제를 여동생이 이르거나 부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193241 H02193184 Older brother 오빠 C0337537 [3.0] Client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난 사이이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항렬이 같은 남자들 사이에서 손윗사람을 이르거나 부르는 말. 주로 남자 형제 사이에 많이 쓴다.[표준국어대사전] H02193254 H02193254 Question 질문하기 C1522634 [3.0] Action 모르는 것이나 알고 싶은 것 따위를 물음. H02193267 H02193267 Cancelled 취소하기 C0205544 [3.0] Action 발표한 의사를 거두어들이거나 예정된 일을 없애 버림. H02193282 H02193282 High 높은 C0205250 [3.0] 10009007 1B.9.0082 Judgment "절대 수준: 평균이상의 양, 의도 또는 강도." H02193295 H02193295 Expected level 기대수준 [3.0] 10007343 Judgment "절대 수준: 평균, 있을법 한 양, 의도 또는 강도." H02193309 H02193309 Low 낮은 C0205251 [3.0] 10011438 1B.39 Judgment "절대 수준: 부족한; 결핍된; 평균보다 낮거나 정상보다 작은 양, 의도, 또는 강도." H02193324 H02193324 Complex 복잡한 C0439855 [3.0] 10023583 Judgment 복잡성 H02193337 H02193337 Simple 단순한 C0205352 [3.0] 10024061 Judgment 복잡성 H02193340 H02193340 Negative dependence 부정적인 의존 [3.0] 10026713 Judgment 의존 H02193381 H02193381 Total 전체 C0439810 [3.0] 10019876 1E.04.01 Judgment 범위 H02193393 H02193393 None 없음 C0549184 [3.0] 10013253 1B.01.02 Judgment "범위: 어느 것도 아닌, 일부도 아닌" H02193407 H02193393 No 없음 C0549184 [3.0] 10013253 1B.01.02 Judgment "범위: 어느 것도 아닌, 일부도 아닌" H02193410 H02193410 Abnormal 비정상 C0205161 [3.0] 10013269 Judgment 정상적인 상태 H02193422 H02193422 Normal 정상 C0205307 [3.0] 10013295 Judgment "정상상태: 표준, 기준, 전형적이거나 평범한 혹은 예견된 상태에 적합함." H02193435 H02193435 Potential for risk 위험 가능성 C0035647 [3.0] 10017252 Judgment "현상: 손실 혹은 문제의 가능성, 어떤 가능성을 가지고 발생이 예견되는 문제, 잠재적으로 부정적인 상태." H02193448 H02193448 Impaired 손상된 C0221099 [3.0] 10012938 1B.33.01 Judgment "긍정적 또는 부적정 판단: 부정적으로 판단된 상태, 변하거나, 손상되거나 비효과적임." H02193451 H02193448 Impaired 부전 C0221099 [3.0] 10012938 1B.33.01 Judgment "긍정적 또는 부적정 판단: 부정적으로 판단된 상태, 변하거나, 손상되거나 비효과적임." H02193463 H02193463 Effective 효과적인 C1704419 [3.0] 10014956 1B.26.01 Judgment 긍정적 또는 부정적 판단: 긍정적으로 판단된 상태. H02193476 H02193463 Effective 효과적 C1704419 [3.0] 10014956 1B.26.01 Judgment 긍정적 또는 부정적 판단: 긍정적으로 판단된 상태. H02193489 H02193489 Actual 실제 C0237400 [3.0] 10000420 Judgment 잠재성: 존재하는 사실 또는 현실. H02193505 H02193505 Prescribed state 처방된 상태 [3.0] 10015506 Judgment 처방 상태 H02193518 H02193518 Started 시작된 C1272689 [3.0] 10018764 Judgment 경과: 시작 또는 개시. H02193521 H02193521 Completed 완료된 C0205197 [3.0] 10004849 1B.9.0044 Judgment "경과: 완결된, 끝난." H02193533 H02193533 Interrupted 끊긴 C0443239 [3.0] 10010519 Judgment 경과: 임시적으로 진행이 중단됨. H02193546 H02193533 Interrupted 중단된 C0443239 [3.0] 10010519 Judgment 경과: 임시적으로 진행이 중단됨. H02193559 H02193559 Delayed 지연된 C0205421 [3.0] 10022089 1B.9.0030 Judgment 경과: 기대보다 느리게 일어남. H02193561 H02193561 Deteriorated 악화된 C1457868 [3.0] 10026685 Judgment 상대적인 판단 상태 H02193574 H02193574 Improved 호전된 C0184511 [3.0] 10026692 1B.34.01 Judgment 상대적인 판단 상태 H02193587 H02193574 Improved 개선됨 C0184511 [3.0] 10026692 1B.34.01 Judgment 상대적인 판단 상태 H02193590 H02193590 Mild 경한 C1513302 [3.0] 10025854 Judgment 중증도 H02193603 H02193603 Moderate 중간 C1513374 [3.0] 10025865 Judgment 중증도 H02193616 H02193616 Severe 중한 C0205082 [3.0] 10025877 Judgment 증증도 H02193629 H02193616 Severe 심각한 C0205082 [3.0] 10025877 Judgment 증증도 H02193631 H02193631 Average size 평균 크기 [3.0] 10003065 Judgment 크기 H02193644 H02193644 Large 큰 C0549177 [3.0] 10011116 Judgment 크기: 평균크기 위. H02193657 H02193657 Small 작은 C0700321 [3.0] 10018315 Judgment 크기: 평균 크기 이하. H02193660 H02193660 Absolute level 완벽한 상태 [3.0] 10000270 Judgment 상태 H02193672 H02193672 Complexity 복잡성 [3.0] 10023605 Judgment 상태 H02193685 H01449097 Extent 범위 C0439792 [3.0] 10007423 Judgment 상태 H02193701 H02193701 Potentiality 잠재력 [3.0] 10015151 Judgment 상태 H02193714 H02193701 Potentiality 가능성 [3.0] 10015151 Judgment 상태 H02193727 H02193727 Prescription state 처방 상태 [3.0] 10015534 Judgment 상태 H02193730 H02193730 Progress 과정 C1280477 [3.0] 10015789 Judgment 상태 H02193742 H02193742 Relative judged state 상대적 판단 상태 [3.0] 10026750 Judgment 상태 H02193768 H00990862 Size 크기 C1704240 [3.0] 10018218 1A.9.0521 Judgment 상태 H02193783 H02193783 Normality state 정상상태 [3.0] 10013305 Judgment 상태: 표준이나 기준에 적합. H02193796 H02193796 Positive or negative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3.0] 10010981 Judgment 상태: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판단되는 것. H02193800 H02193796 Positive or negative judge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3.0] 10010981 Judgment 상태: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판단되는 것. H02193838 H02193838 Presence or absence 존재 또는 부재 [3.0] Judgment 상태 H02193841 H02193841 To a lesser degree 보다 적은 정도로 [3.0] Judgment 수준 H02193853 H02193853 To some degree 적은 정도로 [3.0] Judgment 수준 H02193866 H02193866 To a high degree 높은 정도로 [3.0] Judgment 수준 H02193879 H02193879 To a very high degree 매우 높은 정도로 [3.0] Judgment 수준 H02193881 H02193881 Yes 있음 [3.0] 1B.01.01 Judgment 간호현상의 존재함(있음)이 확언된다. H02193894 H02193894 Achieved 성취하기 [3.0] 1B.02.01 Judgment 성취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임무(과제)의 성취나 완성이 확언된다. H02193908 H02193908 Not achieved 성취하지 못함 [3.0] 1B.02.02 Judgment 성취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임무의 성취나 완성이 없음이 확언된다. H02193911 H02193911 Acquirement 획득 [3.0] 1B.03 Judgment "간호현상 : 어떤 식견(통찰력)이나 기술을 획득하거나 얻는 것, 또는 정신적으로 달성하는 것." H02193923 H02193923 Not acquired 획득하지 못함 [3.0] 1B.03.02 Judgment "획득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식견이나 기술을 획득하고 얻고, 정신적으로 달성함의 부정(부인)." H02193936 H02193936 Adequacy 적절 [3.0] 1B.04 Judgment 간호현상 : 어떤 것이나 어떤 사람에 대한 만족이나 충족. H02193949 H02193949 Adequate 적절함 C0205411 [3.0] 1B.04.01 Judgment 적절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충족이나 만족이 확언된다. H02193951 H02193951 Not adequate 적절하지 못함 [3.0] 1B.04.02 Judgment 적절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충족이나 만족이 부인된다. H02193964 H00281323 Alteration 변화 C1515926 [3.0] 1B.05 Judgment "간호현상 : 어떤 것의 변화, 변경, 수정(조정)." H02193980 H02193980 Altered 변화하기 C0392747 [3.0] 1B.05.01 Judgment "변화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것이 변화, 변경, 수정되었음의 확언." H02193992 H02193992 Not altered 변화하지 않음 [3.0] 1B.05.02 Judgment "변화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것이 변화, 변경, 수정되었음의 부인." H02194000 H02194000 Attainment 달성 [3.0] 1B.06 Judgment 간호현상 : 어떤 것의 성취나 수행. H02194012 H02194012 Attained 달성하기 [3.0] 1B.06.01 Judgment 달성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것이 성취되고 수행되었음의 확언. H02194025 H02194025 Not attained 달성하지 못함 [3.0] 1B.06.02 Judgment "달성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것이 성취, 수행되었음의 부인." H02194038 H02194038 Compromise 위태롭게 하기 C2945640 [3.0] 1B.07 Judgment "간호현상 : 해로움에 드러내거나 노출시키는 것, 또는 위험을 초래하는 것." H02194041 H02194041 Compromised 위태롭게 함 [3.0] 1B.07.01 Judgment "위태롭게 하기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간호현상이 해로움에 드러나거나 노출되어지는 것, 혹은 위험으로 초래되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053 H02194053 Not compromised 위태롭게 하지 않음 [3.0] 1B.07.02 Judgment "위태롭게 하기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간호현상이 해로움에 드러나거나 노출되어지는 것, 혹은 위험으로 초래되는 것에 대한 부인." H02194079 H02194079 No conflict 갈등 없음 [3.0] 1B.08.02 Judgment 갈등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상반되거나 다른 정신적 힘들의 작용에 대한 부인. H02194081 H02194081 Contaminated 오염됨 C0205279 [3.0] 1B.09.01 Judgment 오염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더러운 것이나 유해한 물질이 간호현상과 섞임에 대한 확언. H02194094 H02194081 Polluted 오염됨 [3.0] 1B.09.01.S.001 Judgment 오염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간호현상이 불결하고 오염되었거나 생명에 해롭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108 H02194108 Not contaminated 오염되지 않음 [3.0] 1B.09.02 Judgment 오염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더러운 것이나 유해한 물질이 간호현상과 섞임에 대한 부인. H02194111 H02194108 Not polluted 오염되지 않음 [3.0] 1B.09.02.S.001 Judgment 오염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간호현상이 불결하고 오염되었거나 생명에 해롭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123 H02194123 Decrease 감소 C0547047 [3.0] 1B.10 Judgment "간호현상 : 크기, 양, 정도의 감소(줄어듬)." H02194136 H02194136 Decreased 감소됨 C0392756 [3.0] 1B.10.01 Judgment "감소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간호현상이 크기, 양, 정도에서 감소되었음에 대한 확언." H02194149 H02194149 Not decreased 감소되지 않음 [3.0] 1B.10.02 Judgment "감소와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간호현상이 크기, 양, 정도에서 감소되었음에 대한 부인." H02194151 H02194151 Difficulty 어려움 C1299586 [3.0] 1B.11 Judgment "간호현상 : 성가심(까다로움)이나 불편함, 문제, 방해." H02194164 H02194164 Difficult 어려움 있음 C0332218 [3.0] 1B.11.01 Judgment "어려움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것이 까다롭고 편하지 않으며, 문제나 장해가 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177 H02194177 Not difficult 어려움 없음 C3843355 [3.0] 1B.11.02 Judgment "어려움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것이 까다롭고 편하지 않으며, 문제나 장해가 있다는 것에 대한 부인." H02194192 H02194192 Deficient 결핍함 C0011155 [3.0] 1B.12.01 Judgment "부족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간호현상의 양, 질, 정도가 모자라고, 불충분하며 불완전하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206 H02194206 Not deficient 결핍하지 않음 [3.0] 1B.12.02 Judgment "부족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간호현상의 양, 질, 정도가 모자라고, 불충분하며 불완전하다는 것에 대한 부인." H02194221 H02194221 Not demonstrated 시범보이지 못함 [3.0] 1B.13.02 Judgment 시범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간호현상이 공공연하게 관찰가능한 행동으로 보여지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234 H02194234 Dependent 의존적 C3244310 [3.0] 1B.14.01 Judgment 의존이라는 간호현상: 어떤 사람이 도움과 지지를 위해서 어떤 사물이나 누군가에게 의지하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247 H02194247 Not dependent 의존적이지 않음 [3.0] 1B.14.02 Judgment 의존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사람이 도움과 지지를 위해서 어떤 사물이나 누군가에게 의지한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262 H02194262 Depleted 고갈됨 C0333668 [3.0] 1B.15.01 Judgment 고갈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소모되고 완전히 없어진 것에 대한 확언. H02194275 H02194275 Not depleted 고갈되지 않음 [3.0] 1B.15.02 Judgment 고갈과 관련되어 판단된 간호현상: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소모되고 완전히 없어진 것에 대한 부정. H02194291 H00451210 Deprived 박탈 [3.0] 1B.16.S.001 Judgment "박탈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가치있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떤 것이 없어진 것, 또는 그것의 접근이 불가능한 것에 대한 확언." H02194304 H02194304 Deprived 박탈됨 [3.0] 1B.16.01 Judgment "박탈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가치있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떤 것이 없어진 것, 또는 그것의 접근이 불가능한 것에 대한 확언." H02194317 H02194317 Not deprived 박탈되지 않음 [3.0] 1B.16.02 Judgment "박탈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가치있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어떤 것이 없어진 것, 또는 그것의 접근이 불가능한 것에 대한 부정." H02194320 H02194320 Desirability 바람직함 [3.0] 1B.17 Judgment 간호현상: 지니거나 행할 가치가 있는 어떤 것. H02194332 H02194332 Desirable 바람직함 [3.0] 1B.17.01 Judgment 바람직함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이 지니거나 행할 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345 H02194345 Not desirable 바람직하지 않음 [3.0] 1B.17.02 Judgment 바람직함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사람이나 어떤 것이 지니거나 행할 가치가 있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358 H02194358 Deviation 일탈 [3.0] 1B.18 Judgment 간호현상: 정상적이거나 정식이라고 생각하는 어떤 것으로부터의 일탈. H02194361 H02194361 Deviant 일탈됨 C0683307 [3.0] 1B.18.01 Judgment 이탈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정상적이거나 정식이라고 생각되는 어떤 것으로부터 일탈한 것에 대한 확언. H02194373 H02194373 Not deviant 일탈되지 않음 [3.0] 1B.18.02 Judgment 이탈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정상적이거나 정식이라고 생각되는 어떤 것으로부터 일탈한 것에 대한 부정. H02194386 H02194386 Disable 장애있음 [3.0] 1B.19.01 Judgment "장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정신적, 신체적 능력이 없거나 손상되거나 소멸된 것, 어떤 사람이 정신적, 신체적인 능력을 박탈당한 것에 대한 확언." H02194399 H02194399 Not disable 장애가 없음 [3.0] 1B.19.02 Judgment "장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정신적, 신체적 능력이 없거나 손상되거나 소멸된 것, 어떤 사람이 정신적, 신체적인 능력을 박탈당한 것에 대한 부정." H02194402 H02194402 Disorder 기능장애 C0012634 [3.0] 1B.20.S.001 Judgment "기능의 혼란 또는 비정상,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병적인 상태/" H02194415 H02194415 Disordered 기능장애가 있음 [3.0] 1B.20.01 Judgment 기능장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신체나 정신의 일부분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428 H02194428 Not disordered 기능장애가 없음 [3.0] 1B.20.02 Judgment 기능장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신체나 정신의 일부분이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431 H02194431 Disorganization 혼란 [3.0] 1B.21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정돈된 구조가 없음. H02194443 H02194443 Disorganized 혼란됨 [3.0] 1B.21.01 Judgment 혼란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정돈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456 H02194456 Not disorganized 혼란되지 않음 [3.0] 1B.21.02 Judgment 혼란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정돈된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471 H02194471 Disrupted 붕괴됨 C0332454 [3.0] 1B.22.01 Judgment 붕괴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의 흐름이나 연속성이 중단된 것에 대한 확언. H02194484 H02194484 Not disrupted 붕괴되지 않음 [3.0] 1B.22.02 Judgment 붕괴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의 흐름이나 연속성이 중단된 것에 대한 부정. H02194501 H02194501 Distorted 왜곡됨 C0700135 [3.0] 1B.23.01 Judgment "왜곡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모양이나 형태면에서 비뚤어지고, 불분명하고 잘못 표현되어진 어떤 것으로 바뀌어진 것에 대한 확언." H02194513 H02194513 Not distorted 왜곡되지 않음 [3.0] 1B.23.02 Judgment "왜곡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모양이나 형태면에서 비뚤어지고, 불분명하고 잘못 표현되어진 어떤 것으로 바뀌어진 것에 대한 부정." H02194539 H02194539 Disturbed 교란됨 [3.0] 1B.24.01 Judgment 방해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완전히 파괴되거나 교란되거나 순서없이 되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541 H02194541 Not disturbed 교란되지 않음 [3.0] 1B.24.02 Judgment 방해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완전히 파괴되거나 교란되거나 순서없이 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570 H02194570 Not dysfunctional 기능장애 없음 [3.0] 1B.25.02 Judgment 기능장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정상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582 H02194582 Effectiveness 효과적임 C1280519 [3.0] 1B.26 Judgment 간호현상: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강력하고 성공적임. H02194595 H02194595 Not effective 효과적이지 않음 [3.0] 1B.26.02 Judgment 효과적임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원하는 결과가 강력하게 성공적으로 성취된 것에 대한 부정. H02194609 H02194609 Endangerment 위험에 노출 [3.0] 1B.27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위험이나 해로움에 노출된 것. H02194611 H02194611 Endangered 위험에 노출됨 [3.0] 1B.27.01 Judgment 위험에 노출됨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위험이나 해로움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624 H02194624 Not endangered 위험에 노출되지 않음 [3.0] 1B.27.02 Judgment 위험에 노출됨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위험이나 해로움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637 H02194637 Enduring 인내하기 [3.0] 1B.28.01 Judgment 인내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지속되는 긴장상태를 견디거나 참는 것에 대한 확언(확신). H02194640 H02194640 Not enduring 인내하지 못함 [3.0] 1B.28.02 Judgment 인내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 지속되는 긴장상태를 견디거나 참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652 H02194652 Enhancement 향상 C2349975 [3.0] 1B.29 Judgment 간호현상: 기존의 좋은 질이 더 증진되거나 강화된 것. H02194665 H02194665 Enhanced 향상됨 C2349975 [3.0] 1B.29.01 Judgment 향상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기존의 양질의 간호현상이 더 강화되거나 증진된 것에 대한 확언. H02194678 H02194678 Not enhanced 향상되지 않음 [3.0] 1B.29.02 Judgment 향상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기존의 양질의 간호현상이 더 강화되거나 증진된 것에 대한 부정. H02194681 H02194681 Excessiveness 과다 [3.0] 1B.30 Judgment 간호현상: 양이나 질이 필요로 하거나 바람직하거나 실용적인 것보다 더 많은 것. H02194693 H02194681 Excessiveness 과잉 [3.0] 1B.30 Judgment 간호현상: 양이나 질이 필요로 하거나 바람직하거나 실용적인 것보다 더 많은 것. H02194707 H02194707 Excess 과다됨 C1979886 [3.0] 1B.30.01 Judgment 과잉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의 양이나 질이 필요로 하거나 바람직하거나 실용적인 것보다 더 많은 것에 대한 확언. H02194710 H02194707 Excess 과잉됨 C1979886 [3.0] 1B.30.01 Judgment 과잉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의 양이나 질이 필요로 하거나 바람직하거나 실용적인 것보다 더 많은 것에 대한 확언. H02194722 H02194722 Not excess 과다되지 않음 [3.0] 1B.30.02 Judgment 과잉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의 양이나 질이 필요로 하거나 바람직하거나 실용적인 것보다 더 많은 것에 대한 부정. H02194735 H02194722 Not excess 과잉되지 않음 [3.0] 1B.30.02 Judgment 과잉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의 양이나 질이 필요로 하거나 바람직하거나 실용적인 것보다 더 많은 것에 대한 부정. H02194748 H02194748 Healed 치유됨 C0205249 [3.0] 1B.31.01 Judgment 치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이 다시 건강해지거나 정상적으로 된 것에 대한 확언. H02194751 H02194751 Not healed 치유되지 않음 [3.0] 1B.31.02 Judgment 치유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이 다시 건강해지거나 정상적으로 된 것에 대한 부정. H02194763 H02194763 Highness 높음 [3.0] 1B.32 Judgment 수준 H02194776 H02194776 Not high 높지 않음 [3.0] 1B.32.02 Judgment "높음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평균이상으로, 혹은 정상 크기, 강도, 의도보다 더 많은 것으로 측정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789 H02194789 Impairment 손상 C0221099 [3.0] 1B.33 Judgment 일반적으로 외부에서 힘으로 신체에 손상을 주는 장애를 가리킨다. H02194791 H02194791 Not impaired 손상되지 않음 [3.0] 1B.33.02 Judgment 손상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약해지거나 훼손된 것에 대한 부정. H02194805 H02194805 Improvement 개선 C2986411 [3.0] 1B.34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더 좋아지거나 가치를 더함으로써 변화되는 것. H02194818 H02194818 Not improved 개선되지 않음 [3.0] 1B.34.02 Judgment 개선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더 좋아지거나 가치를 더함으로써 변화된 것에 대한 부정. H02194821 H02194821 Increase 증가 C0442805 [3.0] 1B.35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더 자라고 있거나, 확대되고 있거나, 크기에서 확장되고 있는 것." H02194833 H02194833 Increased 증가됨 C0205217 [3.0] 1B.35.01 Judgment "증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성장되고, 확대되고, 크기에서 확장된 것에 대한 확언." H02194846 H02194846 Not increased 증가되지 않음 [3.0] 1B.35.02 Judgment "증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성장되고, 확대되고, 크기에서 확장된 것에 대한 부정." H02194859 H02194859 Ineffectiveness 비효과적 [3.0] 1B.36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약해지고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것. H02194861 H02194861 Ineffective 비효과적임 C3242229 [3.0] 1B.36.01 Judgment 비효과적임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원하는 결과가 강력하게 성공적으로 성취되지 않은 것에 대한 확언. H02194874 H02194874 Not ineffective 비효과적이 아님 [3.0] 1B.36.02 Judgment 비효과적임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원하는 결과가 강력하게 성공적으로 성취되지 않은 것에 대한 부정. H02194887 H02194887 Insufficiency 불충분 C0231179 [3.0] 1B.37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충분치 않음. H02194890 H02194890 Insufficient 불충분함 C0231180 [3.0] 1B.37.01 Judgment 부족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903 H02194903 Not insufficient 불충분하지 않음 [3.0] 1B.37.02 Judgment 부족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931 H02194931 Limited 제한됨 C0439801 [3.0] 1B.38.01 Judgment 제한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어느 정도나 수준에서 제한된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944 H02194944 Not limited 제한되지 않음 [3.0] 1B.38.02 Judgment 제한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어느 정도나 수준에서 제한된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4957 H02194957 Lowness 낮음 [3.0] 1B.39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평균이나 정상 크기, 강도이하로 감소되는 것." H02194960 H02194960 Not low 낮지 않음 [3.0] 1B.39.02 Judgment "낮음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평균이나, 정상크기, 정상강도 이하인 것에 대한 부정." H02194972 H02194972 Maintenance 유지 C0024501 [3.0] 1B.40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의 지속이나 보존. H02194985 H02194985 Maintained 유지됨 C1314677 [3.0] 1B.40.01 Judgment 유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지속되거나 보존되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4998 H02194998 Not maintained 유지되지 않음 [3.0] 1B.40.02 Judgment 유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지속되거나 보존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005 H02195005 Neglected 방치하기 C0521874 [3.0] 1B.41.01 Judgment 방치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거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018 H02195018 Not neglected 방치하지 않음 [3.0] 1B.41.02 Judgment 방치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거의 관심을 받지 못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021 H02195021 Obstructed 폐쇄됨 C0549186 [3.0] 1B.42.01 Judgment 폐쇄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의 차단물이나 방해물이 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033 H02195033 Not obstructed 폐쇄되지 않음 [3.0] 1B.42.02 Judgment 폐쇄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의 봉쇄나 방해가 있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046 H02195046 Perceived 지각하기 C0030971 [3.0] 1B.43.01 Judgment 지각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환자나 대상자가 간호현상을 인지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059 H02195059 Not perceived 지각하지 못함 [3.0] 1B.43.02 Judgment 지각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환자나 대상자가 간호현상을 인지했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061 H02195061 Recovered 회복됨 C0521108 [3.0] 1B.45.01 Judgment "회복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의 소유, 이용, 통제능력을 다시 얻은 것에 대한 확언." H02195074 H02195074 Not recovered 회복되지 않음 [3.0] 1B.45.02 Judgment "회복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의 소유, 이용, 통제능력을 다시 얻은 것에 대한 부정." H02195090 H02195090 No resource 자원 없음 [3.0] 1B.46.02 Judgment "자원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안락이나 도움의 수단이며, 사람이 어려움에 처했을때 향하게 되는 것이라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103 H02195103 Security 안전 C1519222 [3.0] 1B.47 Judgment 안전 H02195116 H02195116 Secured 안전함 [3.0] 1B.47.01 Judgment 안전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불안이나 위험으로부터 자유와 안전을 제공한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129 H02195129 Not secured 안전하지 않음 [3.0] 1B.47.02 Judgment 안전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불안이나 위험으로부터 자유와 안전을 제공한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131 H02195131 Strength 강화 C0237897 [3.0] 1B.48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이 좀더 강해지고, 단단해지고, 더 지지적이 되는 것." H02195144 H02195144 Strengthened 강화됨 [3.0] 1B.48.01 Judgment "강화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더 강해지거나 단단해지고, 좀더 지지적으로 되는 것." H02195157 H02195157 Not strengthened 강화되지 않음 [3.0] 1B.48.02 Judgment "강화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더 강해지거나 단단해지고, 좀더 지지적으로 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160 H02195160 Unstable 불안정함 C0443343 [3.0] 1B.49.01 Judgment 불안정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예측가능하지 않은 것에 대한 확언. H02195172 H02195172 Not unstable 불안정하지 않음 [3.0] 1B.49.02 Judgment 불안정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간호현상이 예측가능하지 않은 것에 대한 부정. H02195198 H02195198 Malignant 악성임 C0205282 [3.0] 1B.9.0002 Judgment 악성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이 퇴형성 침윤 및 전이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201 H02195201 Not malignant 악성아님 [3.0] 1B.9.0007 Judgment 정상상태 H02195214 H02195214 Use 사용 C0457083 [3.0] 1B.9.0008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을 일정한 목적으로, 또는 본래의 기능에 맞게 쓰는 것." H02195227 H02195227 Used 사용하기 C1273517 [3.0] 1B.9.0009 Judgment "사용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을 일정한 목적으로, 또는 본래의 기능에 맞게 쓰고 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230 H02195230 Not used 사용하지 않음 C0445107 [3.0] 1B.9.0014 Judgment "사용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을 일정한 목적으로, 또는 본래의 기능에 맞게 쓰고 있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242 H02195242 Stop 중지 C2746065 [3.0] 1B.9.0015 Judgment 간호현상: 어떤 것을 멈추거나 중도에서 그만 두는 것. H02195255 H02195255 Stopping 중지됨 C0723457 [3.0] 1B.9.0016 Judgment 중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을 멈추거나 중도에서 그만 두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268 H02195268 Not stopping 중지되지 않음 [3.0] 1B.9.0021 Judgment 중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것을 멈추거나 중도에서 그만 두었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271 H02195271 Adverseness 반대 [3.0] 1B.9.0022 Judgment 간호현상: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행동에 따르지 않고 맞서서 거스르는 것. H02195283 H02195283 Adverse 반대하기 [3.0] 1B.9.0023 Judgment 반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환자나 대상자가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행동에 따르지 않고 맞서서 거스르고 있다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296 H02195296 Not adverse 반대되지 않음 [3.0] 1B.9.0028 Judgment 반대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환자나 대상자가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행동에 따르지 않고 맞서서 거스르고 있다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312 H00441486 Delay 연기 C0205421 [3.0] 1B.9.0029 Judgment 간호현상: 시간을 늦추거나 또는 시간이 늦추어지는 것 H02195325 H02195325 Not delayed 지연되지 않음 [3.0] 1B.9.0035 Judgment 지연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간호현상이 일어나는 시간을 늦추거나 또는 시간이 늦추어지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338 H02195338 Balanced 균형적임 C0205415 [3.0] 1B.9.0037 Judgment 균형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신체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확언. H02195341 H02195341 Not balanced 균형적이지 않음 [3.0] 1B.9.0042 Judgment 균형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신체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353 H02195353 Completion 완료 C0205197 [3.0] 1B.9.0043 Judgment 간호현상: 완전히 끝마쳐지는 것. H02195366 H02195353 Completion 종료 C0205197 [3.0] 1B.9.0043 Judgment 간호현상: 완전히 끝마쳐지는 것. H02195379 H02195379 Not completed 완료되지 못함 C1444661 [3.0] 1B.9.0049 Judgment 완료와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어떤 간호현상이 완전히 끝마쳐지는 것에 대한 부정. H02195381 H02195381 Acceptive 수용적임 [3.0] 1B.9.0051 Judgment 수용 H02195394 H02195394 Not acceptive 수용적이지 못함 [3.0] 1B.9.0056 Judgment 수용 H02195408 H02195408 Regularity 규칙 C0449581 [3.0] 1B.9.0057 Judgment 여러 사람이 다 같이 지키기로 작정한 법칙. 또는 제정된 질서.[표준국어대사전] H02195411 H02195411 Regular 규칙적임 C0205272 [3.0] 1B.9.0058 Judgment 규칙 H02195423 H02195411 Regular 규칙적인 C0205272 [3.0] 1B.9.0058.S.001 Judgment 규칙 H02195436 H02195436 Not regular 규칙적이지 못함 [3.0] 1B.9.0063 Judgment 규칙 H02195449 H02195449 Adapted 적응하기 C2937289 [3.0] 1B.9.0065 Judgment 일정한 조건이나 환경 따위에 맞추어 응하거나 알맞게 됨.[표준국어대사전] H02195451 H02195451 Not adapted 적응하지 못함 [3.0] 1B.9.0070 Judgment 대처 H02195464 H02195464 Above 이상 C1282910 [3.0] 1B.9.0073 Judgment 자가간호:신체활동의 한 형태 :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몸을 움직이거나 이동하는 것. H02195477 H02195477 Amount 양 C1265611 [3.0] 1B.9.0074 Judgment 적음 | 보통 | 많음 세거나 잴 수 있는 분량이나 수량.[표준국어대사전] H02195492 H02195492 Compliance 순응 C3714738 [3.0] 1B.9.0077 Judgment "치료요법 관리의 한 형태 : 치료적 건강관리 요구사항에 맞는 행동을 수행하는것, 건강 제공자의 처방된 치료과정에 따르는 것." H02195506 H02195506 Edema degree 부종정도 [3.0] 1B.9.0081 Judgment trace | +1 | +2 | +3 | +4 상대적 판단 상태 H02195519 H02428423 Inadequate 부적절한 C0205412 [3.0] F60.7 1B.9.0083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H02195521 H02195521 Inadequate disease control 부적절한 질병관리 [3.0] 1B.9.0084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H02195534 H02195534 Inadequate residential environment 부적절한 주거환경 [3.0] 1B.9.0085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H02195547 H02195547 Inadequate finance 부적절한 재정 [3.0] 1B.9.0086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H02195550 H02195550 Inadequate home hygienics 부적절한 가정위생관리 [3.0] 1B.9.0087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H02195562 H02195562 Incomplete 불완전한 C0205257 [3.0] 1B.9.0088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H02195575 H02195575 Infusion amount 주입량 [3.0] 1B.9.0089 Judgment 상대적 판단 상태 H02195588 H02195588 Infusion flow rate 주입속도 [3.0] 1B.9.0090 Judgment 상대적 판단 상태 H02195591 H02195591 Inhalation rate 흡입량 [3.0] 1B.9.0091 Judgment 기체나 액체 따위를 빨아들이는 양.[표준국어대사전] H02195604 H02195604 Inspiratory flow 흡기량 C2964138 [3.0] 1B.9.0096 Judgment 호흡 상태 H02195617 H02195617 Inspiratory positive airway pressure 흡기시 기도양압 [3.0] 1B.9.0097 Judgment that applied during the inspiratory phase of mechanically assisted ventilation.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95620 H02195617 IPAP 흡기시 기도양압 [3.0] 1B.9.0097.S.001 Judgment that applied during the inspiratory phase of mechanically assisted ventilation. "[Farlex Partner Medical Dictionary ⓒ Farlex 2012]""" H02195632 H02195632 Intact 완전한 C0205266 [3.0] 1B.9.0098 Judgment 어떤 손상도 입지 않고 자연 그대로인. H02195658 H02195658 Kind of anesthesia 마취 종류 [3.0] 1B.9.0101 Judgment 상대적 판단 상태 H02195661 H02195661 Length(text) 길이 [3.0] 1B.9.0102 Judgment 한끝에서 다른 한끝까지의 거리.[표준국어대사전] H02195673 H02195673 Negative 음성 C0205160 [3.0] 1B.9.0104 Judgment 크로마틴 음성 또는 wasserman반응음성과 같이 결핍 또는 결여를 나타낸다. H02195686 H02195686 Rank 순위 C0699794 [3.0] 1B.9.0105 Judgment 차례나 순서를 나타내는 위치나 지위.[표준국어대사전] H02195699 H02195699 Unsuitable 부적합한 [3.0] 1B.9.0108 Judgment 긍정적인 혹은 부정적인 판단 H02195702 H02195702 Full 가득 C0443225 [3.0] Judgment 분량이나 수효 따위가 어떤 범위나 한도에 꽉 찬 모양. H02195715 H02195715 Hopeless 가망없는 C0150041 [3.0] Judgment 상대적 판단 상태 H02195728 H02195728 Strong 강함 C0442821 [3.0] Judgment 물리적 힘이 세거나 수준이나 정도가 높음. H02195731 H02195731 Opening 개방 C0175566 [3.0] Judgment 문이나 어떠한 공간 따위를 열어 자유롭게 드나들고 이용하게 함. H02195743 H02195743 Opened 개방됨 C0175566 [3.0] Judgment 문이나 어떠한 공간 따위를 열어 자유롭게 드나들고 이용하게 함. H02195756 H02195756 Reduction 경감 C0392756 [3.0] Judgment 부담이나 고통 따위를 덜어서 가볍게 함. H02195769 H02195769 Relieved 경감됨 C1301771 [3.0] Judgment 부담이나 고통 따위를 덜어서 가볍게 됨. H02195784 H02195784 Aggressive 공격적 C0001807 [3.0] Judgment 공격하는 태도를 취하는것. H02195797 H02195797 Observed 관찰됨 C1441672 [3.0] Judgment 사물이나 현상을 주의하여 자세히 살펴봄. H02195801 H02195801 Appeared 나타남 [3.0] Judgment 보이지 않던 대상이 모습을 드러냄. H02195813 H02195813 Remaining 남아있음 C1527428 [3.0] Judgment 다 쓰지 않거나 정해진 수준에 이르지 않아 나머지가 있음. H02195826 H02195826 Missed 놓침 C1705492 [3.0] Judgment 잡거나 쥐고 있던 것을 떨어뜨리거나 빠뜨림. H02195839 H02195839 Massive 대량 C0522501 [3.0] Judgment 아주 많은 분량이나 수량.[표준국어대사전] H02195841 H00505322 Dull 둔함 C0443208 [3.0] Judgment 감각이나 느낌이 예리하지 못함. H02195854 H02195854 Happening 발생함 [3.0] Judgment 어떤 일이나 사물이 생겨나는 것. H02195867 H02195867 Developed 발전하기 [3.0] Judgment 더 낫고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감. H02195870 H02195870 Showed 보임 [3.0] Judgment 눈으로 대상의 존재나 형태적 특징을 알아냄. H02195882 H02195882 Whining 보챔 C0234877 [3.0] Judgment "아기가 아프거나 졸리거나 불만족스러울 때에 어떻게 해 달라는 뜻으로 울거나 칭얼거림, 어떤것을 요구하며 성가시게 조름." H02195895 H02195895 Absent 부재 C0332197 [3.0] Judgment 그곳에 있지 아니함.[표준국어대사전] H02195909 H02195909 Poor 부족한 C2700379 [3.0] Judgment 필요한 양이나 기준에 미치지 못함. H02195911 H02195911 Impossibility 불가능 [3.0] Judgment 가능하지 않음.[표준국어대사전] H02195924 H02195924 Irregular 불규칙적 C0205271 [3.0] Judgment 규칙에서 벗어나 있거나 규칙이 없는. 또는 그런 것. H02195937 H02195937 Breaching 불이행하기 [3.0] Judgment 약속이나 계약 따위를 실행하지 아니함. H02195940 H02195940 Unreal 비현실적 [3.0] Judgment 현실과는 동떨어진. 또는 그런 것.[표준국어대사전] H02195965 H02195965 Lose 상실하기 [3.0] Judgment "기억이나 자신,자격,권리,의미 등 주로 추상적인 것을 잃어버림." H02195978 H02195978 Disappearance 소실 [3.0] Judgment 사라져 없어짐. H02195981 H02195981 Disappeared 소실됨 [3.0] Judgment 사라져 없어짐. H02195993 H02195993 Short acting 속효성 [3.0] Judgment 빨리 나타나는 효과. H02196001 H02195993 Short acting 단기작용하는 [3.0] Judgment 빨리 나타나는 효과. H02196013 H02196013 Oneself 스스로 [3.0] Judgment 제 힘으로. 남이 시키지 아니하였는데도 자기의 결심에 따라서. H02196026 H02196026 Mistake 실수 C0743559 [3.0] Judgment 조심하지 아니하여 잘못함 또는 그런 행위. H02196039 H02196039 Fail 실패하기 C0231175 [3.0] Judgment 일을 잘못하여 뜻한 대로 되지 아니하거나 그르침. H02196041 H02196041 Aggravation 악화 [3.0] Judgment "어떤 상태, 성질, 관계 따위가 나쁘게 변하여 감." H02196054 H02196054 Aggravated 악화됨 C1444749 [3.0] Judgment "어떤 상태, 성질, 관계 따위가 나쁘게 변하여 감." H02196067 H02196067 Weakly positive 약양성 C0442730 [3.0] Judgment 약한 양성 반응. H02196070 H02196070 Weakening 약화 [3.0] Judgment 힘이 약해짐. 또는 그렇게 되게 함. H02196082 H02196082 Positive 양성 C1446409 [3.0] Judgment 양(陽)의 성질.적극적이고 활동적인 성질을 말함. H02196095 H02196095 Prolongation 연장 [3.0] Judgment 시간이나 거리 따위를 본래보다 길게 늘림. H02196111 H02196111 Mitigated 완화됨 [3.0] Judgment 긴장된 상태나 급박한 것을 느슨하게 한 상태. H02196124 H02196124 Induced 유발됨 C0205263 [3.0] Judgment 어떤 것에 이끌려 다른 일이 일어남. H02196152 H00621784 False positive 의양성 C0205557 [3.0] Judgment 의양성 반응. H02196165 H02196165 Below 이하 C1552829 [3.0] Judgment "수량이나 정도가 일정한 기준보다 더 적거나 모자람. 기준이 수량으로 제시될 경우에는, 그 수량이 범위에 포함되면서 그 아래인 경우.순서나 위치가 일정한 기준보다 뒤거나 아래." H02196178 H02196178 Understood 이해하기 C0162340 [3.0] Judgment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하고, 깨달아 앎." H02196181 H02196181 Naturally 저절로 [3.0] Judgment 다른 힘을 빌리지 아니하고 제 스스로. 또는 인공의 힘을 더하지 아니하고 자연적으로.[표준국어대사전] H02196207 H02196207 Diminished 적어짐 C0205216 [3.0] Judgment 분량이나 수효가 일정 기준에 이르지 못하고 줄어듬. H02196210 H02196210 Subsided 진정됨 [3.0] Judgment "가라앉음, 낮은 수준으로 하락함." H02196222 H02196222 Subside 진정하기 [3.0] Judgment "가라앉음, 낮은 수준으로 하락함." H02196235 H02196235 Agitate 초조해함 C0085631 [3.0] Judgment 불안하거나 애태우며 마음을 졸임. H02196263 H02196263 Enough 충분함 [3.0] Judgment 분량이나 요구 조건이 모자람이 없이 차거나 넉넉함. H02196289 H02196289 Breakdown 파손 C1265875 [3.0] Judgment 깨어져 못 쓰게 됨. 깨뜨려 못 쓰게 함. H02196305 H02196305 Descended 하강됨 C0205386 [3.0] Judgment 높은 데서 낮은 데로 내려옴. H02196318 H02196318 Can not 할수없음 [3.0] Judgment 상대적 판단 상태 H02196321 H02196321 Can 할수있음 [3.0] Judgment 상대적 판단 상태 H02196333 H02196333 Sensitive 민감 C0332324 [3.0] Judgment 자극에 빠르게 반응을 보이거나 쉽게 영향을 받음. 또는 그런 상태.[표준국어대사전] H02196346 H02196333 Surgical wound 외과적 상처 C0332324 [3.0] 10019265|10023148 1A.01.01.01.10.03.06.01 Location|DC "상처: 신체의 공간을 열거나 혈청이나, 혈액을 배액하기위해 장기에 날카로운 수술도구로 조직을 절개한 상처, 감염이나 화농의 증후가 없는 깨끗한 상처가 예상됨." H02196359 H02196359 Elderly day center 노인낮병동 [3.0] 10005541 Location 성인 낮병동 H02196361 H02196359 Elderly day centre 노인낮병동 [3.0] 10005541 Location 성인 낮병동 H02196374 H00093751 Anterior 앞 C0205094 [3.0] 10002365 1E.08.02 Location 앞 뒤 위치 H02196387 H00093751 Anterior 전방 C0205094 [3.0] 10002365 1E.08.02 Location 앞 뒤 위치 H02196390 H01376565 Posterior 뒤 C0205095 [3.0] 10014994 1E.08.01 Location 앞 뒤 위치 H02196403 H01376565 Posterior 후방 C0205095 [3.0] 10014994 1E.08.01 Location 앞 뒤 위치 H02196416 H02196416 Construction 건축물 C0079326 [3.0] 10005001 Location 인공물 H02196429 H02196429 Social structure 사회 구조 C0680343 [3.0] 10018423 Location 인공물 H02196457 H00115718 Artery 동맥혈관 C0003842 [3.0] 10002562 1F.01.08 Location 혈관 H02196485 H02196485 Dead body 시체 [3.0] 10005556 2B.02.01.01.01.01.01.02.02.14 Location 신체 H02196498 H02196485 Dead body 사체 [3.0] 10005556 2B.02.01.01.01.01.01.02.02.14 Location 신체 H02196542 H02196542 Laryngeal cavity 후두강 C0458520 [3.0] 10011128 1F.03.03.04 Location 체강 H02196625 H01634574 Subarachnoid space 지주막하강 C0038527 [3.0] 10018959 Location 체강 H02196666 H02196666 Stoma 장루 C1955856 [3.0] 10018857 1F.17.08 Location 신체 개구부 H02196679 H02196679 Lithotomic 쇄석위 [3.0] 10011401 Location 자세 H02196708 H01405363 Prone 복와위 C0033422 [3.0] 10015829 Location 자세 H02196723 H02196723 Supine 앙와위 C0038846 [3.0] 10019103 2C.9.0137 Location 자세 H02196736 H02196723 Supine position 배와위 C0038846 [3.0] 10019103 2C.9.0137 Location 자세 H02196749 H02196723 Flat position 앙와위 [3.0] 10019103 2C.9.0137.S.001 Location 자세 H02196751 H02196751 Trendelenburg position 트렌델렌버그 자세 C1827515 [3.0] 10020151 Location 자세 H02196764 H02196751 Trendelenburg positioning 트렌델렌버그 체위 C1827515 [3.0] 10020151 Location 자세 H02196777 H02196751 Trendelenburg positioning 트렌데렌부르크 자세 C1827515 [3.0] 10020151 Location 자세 H02196780 H02196751 Trendelenburg positioning 트렌데렌부르크 체위 C1827515 [3.0] 10020151 Location 자세 H02196819 H02196819 Amputation stump region 잘린끝 부분 [3.0] 10002251 1A.01.01.01.12.01.04.S.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196821 H02196819 Amputation stump region 절단부 [3.0] 10002251 1A.01.01.01.12.01.04.S.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196850 H00111605 Areole 유륜 [3.0] 10002493 Location 신체 부분 H02196862 H00111605 Areole 젖꽃판 [3.0] 10002493 Location 신체 부분 H02196932 H02196932 Axillary region 겨드랑이 부분 C0004454 [3.0] 10003096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006 H00223800 Buttock 둔부 C0006497 [3.0] 10003792 1F.02.09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050 H02197050 Chest wall 흉벽 C0205076 [3.0] 10004245 1F.03.05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075 H00286781 Chin 이부 C0008114 [3.0] 10004382 1F.03.06.S.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161 H00658325 Forearm 전박 C0016536 [3.0] 10008164 2F.01.01.07.01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199 H02197199 Foreskin 포피 C0227952 [3.0] 10008186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231 H00735855 Heel 발 뒤꿈치 C0018870 [3.0] 10008908 1F.07.05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243 H02197243 Invasive device site 침습장치 부위 [3.0] 10010854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301 H02197301 Lower body 하체 C1268088 [3.0] 10029303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382 H01310162 Perineum 회음부 C0031066 [3.0] 10014340 1F.15.03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395 H02197395 Pubic region 치골부분 C1279158 [3.0] 10016106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452 H02197452 Surgical site 수술 부위 C0332850 [3.0] 10019254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465 H02197452 Operation site 수술 부위 [3.0] 10019254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478 H02197452 Op site 수술 부위 [3.0] 10019254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493 H01691394 Thigh 대퇴 C0039866 [3.0] 10019659 1F.18.02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507 H01691394 Femoral 대퇴 C0015811 [3.0] 1F.18.02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510 H01691394 Femoral region 대퇴부 C0230417 [3.0] 1F.18.02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535 H01695203 Thorax 흉곽 C0817096 [3.0] 10019692 1F.18.03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591 H02197591 Upper body 상체 C1268087 [3.0] 10029293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605 H02197591 Upper part of the body 상체 [3.0] 10029293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618 H02197618 Vulvar region 외음부 [3.0] 10020872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621 H02197621 Wound site 상처부위 [3.0] 10021258 Location 신체 부분 H02197646 H02197646 Airway route 기도경로 [3.0] 10002100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659 H02197659 Auricular route 외이 경로 C1522191 [3.0] 10003008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661 H02197661 Colostomy route 결장루 경로 C0595852 [3.0] 10004617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674 H02197674 Cutaneous route 피부경로 [3.0] 10005489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687 H02197687 Endocervical route 자궁경부내 경로 C1524042 [3.0] 10006847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690 H02197690 Endosinusial route 부비동내 경로 C1298993 [3.0] 10006852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03 H02197703 Epidural route 경질막바깥 경로 C0592511 [3.0] 1000702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16 H02197703 Epidural route 경막외경로 C0592511 [3.0] 1000702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29 H02197729 Extraamnional route 양막외 경로 [3.0] 10007434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31 H02197731 Gastrointestinal route 위장관경로 [3.0] 1000832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44 H02197744 Gingival route 잇몸경로 C1298996 [3.0] 10008439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57 H02197757 Ileostomy route 회장루 경로 C0595823 [3.0] 10009743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60 H02197760 Inhalation route 흡입 경로 C0205535 [3.0] 10031585 2G.9.0002 Location oropharyngeal | nasopharygeal | T-tube | E-tube 신체 경로 H02197772 H02197772 Intraamnional route 양막내 경로 [3.0] 1001056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85 H02197785 Intraarterial route 동맥내 경로 C1561451 [3.0] 10010574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798 H02197798 Intraarticular route 관절내 경로 [3.0] 10010588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01 H02197801 Intrabuccal route 볼내 경로 [3.0] 10010590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14 H02197814 Intracardiac route 심장내 경로 C1522207 [3.0] 1001060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27 H02197827 Intracavitary route 강내 경로 C1704768 [3.0] 10010617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30 H02197830 Intracervical route 경관내 경로 C1524042 [3.0] 10010629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42 H02197842 Intracoronary route 관상동맥내 경로 C0595454 [3.0] 10010638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55 H02197855 Intracutaneous route 피부내 경로 C1522475 [3.0] 10010664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68 H02197868 Intraductal route 관내경로 C1512936 [3.0] 10010672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71 H02197871 Intralesional route 병변내 경로 C1512955 [3.0] 10010686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83 H02197883 Intraluminal route 관내 경로 C1522217 [3.0] 10010693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896 H02197896 Intramuscular route 근육내 경로 C1556154 [3.0] 10010705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00 H02197900 Intraocular route 안구내 경로 C1522223 [3.0] 10010714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12 H02197912 Intrasternal route 흉골내 경로 C1299002 [3.0] 1001075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25 H02197925 Intrathecal route 경막내 경로 C0677897 [3.0] 10010767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38 H02197938 Intrauterine route 자궁내 경로 C1522228 [3.0] 10010779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41 H02197941 Intravenous route 정맥내 경로 C1522726 [3.0] 10010798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53 H02197953 Intravesical route 방광내 경로 C1522448 [3.0] 10010812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66 H02197966 Nasal route 코경로 C1522019 [3.0] 10012430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79 H02197979 Ocular route 눈경로 C1522230 [3.0] 10013615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81 H02197981 Oral route 경구 경로 C1527415 [3.0] 10013749 Location 신체 경로 H02197994 H02197994 Parenteral route 비경구적 경로 C1518896 [3.0] 10014047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01 H02198001 Periarticular route 관절주위경로 C0595695 [3.0] 10014329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14 H02198014 Perineural route 신경주위경로 C1518982 [3.0] 10014355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27 H02198027 Rectal route 직장경로 C1527425 [3.0] 10016553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30 H02198030 Retrobulbar route 안구뒤경로 C0595826 [3.0] 10017206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42 H02198042 Subcutaneous route 피부밑 경로 C1522438 [3.0] 10018963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55 H02198042 Subcutaneous route 피하경로 C1522438 [3.0] 10018963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68 H02198068 Sublingual route 혀밑 경로 C0001565 [3.0] 10018985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71 H02198068 Sublingual route 설하경로 C0001565 [3.0] 10018985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83 H02198083 Topical route 국소 경로 C1522168 [3.0] 10033157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096 H02198096 Tracheostomy route 기관절개부위경로 [3.0] 10019946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100 H02198100 Transdermal route 경피내경로 C0040652 [3.0] 1002001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112 H02198112 Urethral route 요도 경로 C1522518 [3.0] 1002034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125 H02198125 Urostomy route 요루 경로 C0595807 [3.0] 10020510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138 H02198138 Vaginal route 질경로 C1522570 [3.0] 10020581 Location 신체 경로 H02198141 H02198141 Body 신체 C0460148 [3.0] 10003388 1F.02.03 Location 신체 구조 H02198166 H02198166 Body opening 신체 개구부 [3.0] 10003422 Location 신체 구조 H02198179 H02198179 Body region 신체 부분 C0005898 [3.0] 10003451 Location 신체 구조 H02198181 H02198181 Body route 신체경로 [3.0] 10003467 Location 신체 구조 H02198194 H02198194 Body system component 신체구성요소 [3.0] 10003498 Location 신체 구조 H02198208 H02198208 Impaired structural body part 손상된 신체 구조 부분 [3.0] 10012955 Location 신체 구조 H02198211 H02198211 Positive structural body part 긍정적인 신체 구조 부분 [3.0] 10029238 Location 신체 구조 H02198223 H02198223 Cardiovascular system component 심혈관계 구성요소 [3.0] 10003943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236 H02198236 Endocrine system component 내분비계 구성요소 [3.0] 10025060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249 H02198249 Gastrointestinal system component 위장관계 구성요소 [3.0] 10008345 1F.06.01.S.001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251 H02198251 Immune system component 면역계 구성요소 [3.0] 10025073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264 H02198264 Integumentary system component 피부계 구성요소 [3.0] 10010437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277 H02198277 Musculoskeletal system component 근골격계 구성요소 [3.0] 10012359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280 H02198280 Nervous system component 신경계 구성요소 [3.0] 10013092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292 H02198292 Reproductive system component 생식기계 구성요소 [3.0] 10016856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306 H02198306 Respiratory system component 호흡기계 구성요소 [3.0] 10016989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319 H02198319 Sensory system component 감각계 구성요소 [3.0] 10017879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321 H02198321 Urinary system component 비뇨기계 구성요소 [3.0] 10020432 Location 신체 구성요소 H02198350 H02198350 Pelvic bone 골반뼈 C3887652 [3.0] 10014227 Location 뼈 H02198445 H02198445 Commercial building 상업용 건물 [3.0] 10004672 1A.02.02.01.02.02 Location 건물: 상업용으로 설계된 구조물. H02198458 H02198458 Public building 공공건물 C0442677 [3.0] 10016110 1A.02.02.01.02.03 Location "건물: 정치, 교육, 보건, 공익시설, 교통, 통신, 및 치안과 같은 공공 부문의 하부구조 및 체계를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고 지어진 구조물." H02198461 H02198461 Residential building 주거용건물 [3.0] 10016887 1A.02.02.01.02.01 Location "건물: 사람들의 거주, 주거 및 가정, 보호 수용와 같은 사람들을 위한 공간을 위해 설계되고 지어진 구조물" H02198486 H00192467 Vascular 혈관의 C0005847 [3.0] 10003374 Location 심혈관계 구성요소 H02198515 H02198515 Central 중심 C0205099 [3.0] 10004104 1E.05.01 Location 중심 말초 위치 H02198528 H02198515 Central 중심적 C0205099 [3.0] 10004104 1E.05.01 Location 중심 말초 위치 H02198531 H01312287 Peripheral 말초 C0205100 [3.0] 10014386 1E.05.02 Location 중심 말초 위치 H02198543 H01312290 Peripheral 주변 C0205100 [3.0] 10014386 1E.05.02 Location 중심 말초 위치 H02198569 H02198569 Nursery 놀이방 C0028659 [3.0] 10013351 2F.02.14.01.01 Location 아동 낮 병동 H02198571 H02198571 Midwifery clinic 조산원 [3.0] 10012033 2F.02.10 Location 클리닉 H02198584 H02198571 Midwifery clinic 조산소 [3.0] 10012033 2F.02.10 Location 클리닉 H02198597 H02198597 Nursing clinic 간호 클리닉 [3.0] 10013367 2F.02.08 Location 클리닉 H02198601 H02198601 Physiotherapy clinic 물리치료 클리닉 C3839152 [3.0] 10014579 2F.02.09 Location 클리닉 H02198613 H02198613 Dental clinic 치과 C0011344 [3.0] 10005732 2F.02.12 Location 다음의 특징을 가진 클리닉: 치과의료가 제공되는 기관 H02198626 H02198613 Dental clinic 치과병원 C0011344 [3.0] 10005732 2F.02.12 Location 다음의 특징을 가진 클리닉: 치과의료가 제공되는 기관 H02198639 H02198639 Road 도로 C0442650 [3.0] 10017313 1A.02.02.01.01.01 Location 건축물: 자동차나 사람들이 이동하는 경로 혹은 길. H02198641 H02198641 Airport 공항 C0442629 [3.0] 10002074 1A.02.02.01.01.04 Location "건축물: 항공기, 탑승객을 위해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설." H02198654 H02198654 Harbour 항구 C0475311 [3.0] 10008674 Location 건축물: 배나 보트들이 정박할 수 있는 공간이나 대피처를 제공하는 편의시설. H02198670 H02198670 Building 건물 C1999269 [3.0] 10003744 1A.02.02.01.02 Location 건축물: 사람이 사용하기 위해 설계되고 지어진 구조물. H02198682 H02198682 Railway 철도 [3.0] 10016319 1A.02.02.01.01.03 Location 건축물: 선로와 기차역 시스템/조직망. H02198695 H02198695 Adult day center 성인낮병동 C0184591 [3.0] 10005525 Location 낮병동 H02198709 H02198695 Adult day centre 성인낮병동 [3.0] 10005525 Location 낮병동 H02198711 H02198711 Child day center 아동낮병동 [3.0] 10005539 Location 낮병동 H02198724 H02198711 Child day centre 아동낮병동 [3.0] 10005539 Location 낮병동 H02198851 H02198851 Diagnostic department 진단부서 [3.0] 10005882 2F.02.01 Location 진료부서 H02198863 H02198863 Emergency department 응급실 [3.0] 10006754 2F.02.02.02 Location 진료부서 H02198876 H02198863 Emergency department 응급부서 C0562508 [3.0] 10006754 2F.02.02.02 Location 진료부서 H02198889 H02198863 Emergency center 응급센터 [3.0] 10006754 2F.02.02.02 Location 진료부서 H02198891 H01819440 Hospital ward 병동 [3.0] 10009133 2F.02.02 Location 진료부서 H02198918 H00856145 Intensive therapy department 집중치료실 [3.0] 10010444 Location 진료부서 H02198946 H01182954 Operating theatre 수술실 C0029064 [3.0] 10013691 Location 진료부서 H02198959 H02198959 Outpatient department 외래 [3.0] 10013852 Location 진료부서 H02198961 H02198961 Radiology department 방사선과 C0587500 [3.0] 10016303 Location 진료부서 H02198987 H02198987 Clinic 클리닉 C0442592 [3.0] 10004459 1A.9.0106 Location 보건의료시설 H02199007 H00346773 Community health centre 보건소 [3.0] 10004779 Location 보건의료시설 H02199105 H02199105 Elbow joint 팔꿈치 관절 C0013770 [3.0] 10006593 Location 관절 H02199118 H00764036 Hip joint 엉덩이관절 C0019558 [3.0] 10009024 Location 관절 H02199159 H02199159 Laterality of surgery 수술의 편측성 [3.0] 10011171 Location 편측성 H02199187 H02199187 Lower 하부의 C1548802 [3.0] 10011440 1E.01.02 Location 하부 상부 위치 H02199190 H02199190 Middle 중앙 C0549183 [3.0] 10012022 Location 하부 상부 위치 H02199203 H02199203 Upper 상부 C1282910 [3.0] 10020325 1E.01.01 Location 하부 상부 위치 H02199216 H02199203 Upper 위쪽의 C1282910 [3.0] 10020325 1E.01.01 Location 하부 상부 위치 H02199272 H02199272 Oral mucous membrane 구강점막 C0026639 [3.0] 10013731 1F.12.03.03 Location 점막 H02199330 H02199330 Anterior posterior position 전방후위 위치 [3.0] 10002377 Location 위치 H02199342 H02199342 Central peripheral position 중심 말초 위치 [3.0] 10004127 Location 위치 H02199355 H02199355 Left right position 좌측 우측 위치 [3.0] 10011279 Location 위치 H02199368 H02199368 Lower upper position 하부 상부 위치 [3.0] 10011464 Location 위치 H02199371 H02199371 Proximal distal position 근위부 원위부 위치 [3.0] 10015957 Location 위치 H02199383 H02199383 Unilateral bilateral position 편측 양측 위치 [3.0] 10027584 Location 위치 H02199396 H00485221 Distal 원위부 C0205108 [3.0] 10006085 Location 근위부 원위부 위치 H02199400 H02199400 Proximal 근위부 C0205107 [3.0] 10015942 Location 근위부 원위부 위치 H02199412 H02199412 Home 가정 C1548530 [3.0] 10009030 2F.02.13 Location 심리사회적 구조 H02199425 H02199412 Home 집 C1548530 [3.0] 10009030 2F.02.13 Location 심리사회적 구조 H02199438 H02199438 Female reproductive body part 여성생식기계 [3.0] 10007857 Location 생식기계 구성요소 H02199441 H02199441 Male reproductive body part 남성생식기 부분 [3.0] 10011570 Location 생식기계 구성요소 H02199508 H01348813 Pleura 늑막 C0032225 [3.0] 10014695 2F.01.15.04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2199511 H01348813 Pleural 늑막 C0032225 [3.0] 10014695 2F.01.15.04 Location 호흡기계 구성요소 H02199536 H02199536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C0683859 [3.0] 10006689 Location 학교 H02199549 H02199536 Primary school 초등학교 C0033145 [3.0] 10006689 Location 학교 H02199551 H02199551 High school 고등학교 C0599395 [3.0] 10009011 2F.02.15.02 Location 학교 H02199634 H02199634 Day center 낮병동 [3.0] 10005518 Location 사회 구조 H02199647 H02199634 Day centre 낮병동 [3.0] 10005518 Location 사회 구조 H02199650 H02199650 Neighborhood 이웃 C0027569 [3.0] 10013044 1A.9.0367 Location 사회구조 H02199662 H02199650 Neighbourhood 이웃 [3.0] 10013044 1A.9.0367 Location 사회구조 H02199675 H02199675 Supported housing 지지주거지 [3.0] 10019126 Location 사회구조 H02199688 H02199688 University 대학교 C0041740 [3.0] 10020302 2F.02.16 Location 사회구조 H02199691 H02199691 Work place 직장 C0162579 [3.0] 10021145 2F.02.17/1A.9.0448 Location 사회구조 H02199704 H02199704 School 학교 C0036375 [3.0] 10017537 1A.02.02.01.02.03.01 Location 사회구조: 교육과 훈련을 위해 설계되고 건설된 구조. H02199717 H02199717 Prison 감옥 C0033168 [3.0] 10015743 1A.02.02.01.02.03.03 Location "사회구조: 죄수를 수용하고, 고소 혹은 고발된 사람을 구금하기위해 설계되고 건설된 구조" H02199720 H02199717 Prison 교도소 C0033168 [3.0] 10015743 1A.02.02.01.02.03.03 Location "사회구조: 죄수를 수용하고, 고소 혹은 고발된 사람을 구금하기위해 설계되고 건설된 구조" H02199732 H02199732 Health care facility 보건의료시설 C0018704 [3.0] 10008730 1A.02.02.01.02.03.02 Location "사회구조: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을 지원하기 위해 고안, 설계된 구조, 주로 병원, 클리닉과 관련됨." H02199758 H00194445 Body position 자세 C1262869 [3.0] 10003433 1A.01.01.01.12.02.02 Location 상태 H02199786 H00934454 Laterality 측면 [3.0] 10011163 1E.03 Location Rt. | Lt. | both 상태 H02199799 H02199799 Colostomy 결장루 C0009411 [3.0] 10004590 1F.17.08.01 Location 장루 H02199802 H00807351 Ileostomy 회장루 C0020883 [3.0] 10009727 1F.17.08.02 Location 장루 H02199815 H00807351 Ileostomy 돌창자창냄 C0020883 [3.0] 10009727 1F.17.08.02 Location 장루 H02199843 H01120176 Nephrostomy 신장루 C0278314 [3.0] 10032145 Location 장루 H02199856 H01120176 Nephrostomy 콩팥창냄 C0278314 [3.0] 10032145 Location 장루 H02199869 H01120176 Nephrostomy 신루술 C0278314 [3.0] 10032145 Location 장루 H02199897 H01725146 Tracheostomy 기관절개술 C0040590 [3.0] 10019933 1F.17.08.03 Location 장루 H02199901 H02199901 Urostomy 요루술 C0856443 [3.0] 10020506 1F.17.08.04 Location 장루 H02199913 H02199913 Health care department 진료부서 [3.0] 10008724 Location 구조 H02199926 H02199926 Body structure 신체 구조 C1268086 [3.0] 10018900 Location 구조 H02199939 H02199939 Nursing home 양로원 C0028688 [3.0] 10013379 2F.02.13.01 Location 지지 주거시설 H02199941 H02199939 Nursing home 널싱홈 C0028688 [3.0] 10013379 2F.02.13.01 Location 지지 주거시설 H02199954 H02199954 Sheltered housing 보호시설 C0587731 [3.0] 10018021 2F.02.13.02 Location 지지 주거시설 H02199967 H00175643 Bilateral 양측성 C0238767 [3.0] 10027597 1E.03.02 Location 편측 양측 위치 H02199970 H01767591 Unilateral 편측성 C0205092 [3.0] 10026732 1E.03.01 Location 편측 양측 위치 H02200040 H02200040 Urinary sphincter 요도괄약근 [3.0] 10020413 Location 요관계 구성요소 H02200052 H02200052 Sheltered work place 보호작업장 [3.0] 10018032 2F.02.17.01 Location 작업장소 H02200148 H02200148 Injection site 주사부위 C2700396 [3.0] 1F.9.0003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163 H00115296 Av fistular 동정맥루 [3.0] Q27.3 1F.9.0004 Location 동맥과 정맥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통로. 손상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선천적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H02200176 H00115296 AVF 동정맥루 C0449215 [3.0] Q27.3 1F.9.0004 Location 동맥과 정맥사이의 비정상적인 연결통로. 손상에 의하여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선천적 이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H02200189 H02200189 Pressure ulcer site 욕창부위 [3.0] 1F.9.0006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191 H02200191 Right lower extrimities 우측 하지 [3.0] 1F.9.0007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205 H02200191 RLE 우측 하지 [3.0] 1F.9.0007.S.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218 H02200218 Right upper extrimities 우측 상지 [3.0] 1F.9.0008 Location 우 상지. H02200221 H02200218 RUE 우측 상지 C0230329 [3.0] 1F.9.0008.S.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246 H01577010 Site 위치 C0205145 [3.0] 1F.9.0010 Location 1) 일정한 곳에 자리를 차지함. 또는 그 자리. "2) 사회적으로 담당하고 있는 지위나 역할.[표준국어대사전]""" H02200259 H02200259 Tapping site 천자부위 [3.0] 1F.9.0012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261 H02200261 Left lower extremities 좌측 하지 [3.0] 2E.9.0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274 H02200261 LLE 좌측 하지 [3.0] 2E.9.0001.S.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287 H02200287 Left upper extremities 좌측 상지 [3.0] 2E.9.0002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290 H02200287 LUE 좌측 상지 [3.0] 2E.9.0002.S.001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303 H02200303 Bed 침상 C1547114 [3.0] 10003168 2F.9.0001 Location 잠잘때 사용하는 가구의 일종. 서양식의 침상. H02200316 H02200303 Bedside 병상 [3.0] 2F.9.0001 Location 병든 사람이 눕는 침상.[표준국어대사전] H02200329 H02200329 Application bodysite 적용부위 [3.0] 2F.9.0002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331 H02200331 Application site for assistive device 보조기 적용부위 [3.0] 2F.9.0003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344 H02200344 Bleeding site 출혈부위 [3.0] 2F.9.0004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357 H02200357 Dialysis room 인공신실 [3.0] 2F.9.0006 Location 진료부서 H02200360 H02200357 Dialysis room 인공신장실 [3.0] 2F.9.0006 Location 진료부서 H02200372 H02200357 Dialysis room 투석실 [3.0] 2F.9.0006 Location 진료부서 H02200385 H02200385 Dosalis pedis artery 족배동맥 [3.0] 2F.9.0007 Location "전경골동맥(前頸骨動脈)이 하신근지대(下伸筋支帶)의 하층(下層)을 지나서 족배(足背)로 나타나면, 족배동맥으로 되어 제1및 제2중족골(中足骨)의 간격에 따라 뻗기 때문에 피하에서 촉지(觸知)할 수 있고, 그 후 외측족근동맥(外側足根動脈), 내측족근동맥(内側足根動脈), 궁상동맥(弓狀動脈), 배측중족동맥(背側中足動脈), 심족저지(深足저枝) 등을 나타낸다 심족저지(深足低枝)는 후경골동맥(後頸骨動脈)에서 나뉘는 외측족저동맥(外側足低動脈)이 만드는 족저동맥궁(足低動脈弓)과의 사이에 문합(吻合)을 형성한다.[간호학대사전]" H02200398 H02200385 Dorsal plantar artery 족배동맥 [3.0] 2F.9.0007 Location "전경골동맥(前頸骨動脈)이 하신근지대(下伸筋支帶)의 하층(下層)을 지나서 족배(足背)로 나타나면, 족배동맥으로 되어 제1및 제2중족골(中足骨)의 간격에 따라 뻗기 때문에 피하에서 촉지(觸知)할 수 있고, 그 후 외측족근동맥(外側足根動脈), 내측족근동맥(内側足根動脈), 궁상동맥(弓狀動脈), 배측중족동맥(背側中足動脈), 심족저지(深足저枝) 등을 나타낸다 심족저지(深足低枝)는 후경골동맥(後頸骨動脈)에서 나뉘는 외측족저동맥(外側足低動脈)이 만드는 족저동맥궁(足低動脈弓)과의 사이에 문합(吻合)을 형성한다.[간호학대사전]" H02200401 H02200401 Extensor proprius hallucis 발가락 폄근 [3.0] 2F.9.0008 Location 근육 H02200430 H02200430 Fracture site 골절부위 C0449676 [3.0] 2F.9.001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455 H00692169 Gastrointestine 위장관 C0809794 [3.0] 2F.9.0011 Location 위장관계통을 통틀어 일컫는 말 H02200496 H00727399 Great toe 족무지 [3.0] 2F.9.0012 Location 발가락 가운데 가장 크고 굵은 첫째 발가락 . H02200500 H02200500 Headache site 두통부위 C0423620 [3.0] 2F.9.0013 Location frontal | occipital | parietal | whole 신체 부분 H02200512 H02200512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C0020008 [3.0] 2F.9.0015 Location "의료법에 따라 100개 이상의 병상(病床)과 7개 또는 9개 이상의 진료과목, 각 진료과목에 전속하는 전문의를 갖춘 제2차 의료급여기관[두산백과]" H02200525 H02200525 Patient room 병실 C0030707 [3.0] 2F.9.0016 Location "병실의 설계와 구조는 (1) 환자의 종류와 병의 정도 (2) 변화하는 의료와 간호행위의 방법 (3) 환자간호를 위한 장비와 비품의 종류와 크기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대개 병실은 독방과 다인실로 나누고 부속실, 화장실, 목욕실, 옷장, 응급벨, 조명시설 등이 마련되어 있고 독방이던 다인실이던간에 침상주위로 3feet정도의 공간이 필요하다. [간호학대사전]" H02200538 H02200538 Inguinal 샅굴 C0018246 [3.0] 2F.9.0017 Location 복부와 대퇴부의 결합부분. H02200541 H02200538 Inguinal 서혜 C0018246 [3.0] 2F.9.0017 Location 복부와 대퇴부의 결합부분. H02200553 H02200553 Insertion site 삽입부위 C0449682 [3.0] 2F.9.0018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566 H02200566 Isolate room 격리실 [3.0] 2F.9.0019 Location "일반환자로부터 격리시킬 필요가 있는 환자를 수용하는 방이다. 방의 위치ㆍ규모ㆍ구조ㆍ설비등은 격리의 목적에 따라서 다르다. 전염방지용(전염성질환), 감염방지용(백혈병, 장기이식) 사고방지용(보호실로서 위치가 정해져 있는 것도 있다)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0581 H02200581 Location 장소 C0450429 [3.0] 2F.9.0021 Location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표준국어대사전] H02200594 H02200594 Vaginal mucous membrane 질 점막 C0227784 [3.0] 2F.9.0023 Location 점막 H02200608 H02200608 Intrathecal 경막내 C1370196 [3.0] 2G.02 Location 척수막을 통한 지주막하공간 H02200611 H02200611 Per os 경구 C1527415 [3.0] 2G.11 Location 약 따위가 입을 통하여 몸 안으로 들어감. H02200623 H02200611 PO 경구 C0442027 [3.0] 2G.11 Location 특이한 소화관의 전방 및 근위개구부로서 전방이 입술로 경계되고 혀와 치아를 함유한다. H02200651 H02200651 Width 가로 C0487742 [3.0] Location 좌우로 나 있는 방향 또는 그 길이. H02200677 H02200677 Hepatobiliary 간쓸개길 C1711359 [3.0] Location "pertaining to or emanating from the liver, bile ducts and gallbladder.[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00680 H02200677 Hepatobiliary 간담도 C1711359 [3.0] Location "pertaining to or emanating from the liver, bile ducts and gallbladder.[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00734 H00824871 Index finger 검지 C0230388 [3.0] Location 집게 손가락. H02200750 H02200750 Subconjunctival 결막밑 C0442183 [3.0] Location 안검의 안쪽과 안구의 노출된 외면을 앞는 얇은 막의 하부층. H02200762 H02200750 Subconjunctival 결막하 C0442183 [3.0] Location 안검의 안쪽과 안구의 노출된 외면을 앞는 얇은 막의 하부층. H02200845 H01636769 Subdural 경막하 C0038541 [3.0] Location 뇌의 경막과 지주막하(蜘蛛膜下) 사이. H02200899 H02200899 Fundus pelvis 골반저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0971 H02200971 Oronasal cavity 구비강 [3.0] Location 입의 뒷벽부위로 비강이 만나는 통로. H02200997 H01193675 Oropharynx 구인두 [3.0] Location 입의 뒷벽부위로 호흡경로와 소화경로가 만나는 곳. H02201004 H02201004 Local 국소적 C0205276 [3.0] Location 전체 가운데 어느 한 곳. H02201017 H02201017 Intratracheal 기관내 C1522653 [3.0] Location 후두에서 폐로 통하는 엄지손가락 정도 굵기의 관 모양의 기도. 후두 밑에서 시작되어 식도 앞을 내려가 흉강에 들어가 심장 뒤에서 좌우로 갈라짐. H02201058 H01787160 Oviduct 나팔관 C0015560 [3.0] Location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튜브 모양의 기관. H02201061 H01787160 Fallopian tube 나팔관 C0015560 [3.0] Location 난소와 자궁을 연결하는 튜브 모양의 기관. H02201128 H02201128 Visceral area 내장부위 [3.0] Location "척추동물의 몸 속에, 벽과 벽 사이 비어있는 곳에 있는 심장이나 간 등의 기관을 일컫는 말이다." H02201131 H02201131 Subarachnoid 거미막밑 C1515008 [3.0] Location 거미막밑.지주막과 뇌 연질막(pia matar)사이 공간으로 뇌와 척수로 공급되는 큰 혈관과 뇌척수액을 포함하고 있음. H02201143 H02201131 Subarachnoid 지주막하 C1515008 [3.0] Location 거미막밑.지주막과 뇌 연질막(pia matar)사이 공간으로 뇌와 척수로 공급되는 큰 혈관과 뇌척수액을 포함하고 있음. H02201156 H02201131 Subarachnoid 뇌지주막하 C1515008 [3.0] Location 거미막밑.지주막과 뇌 연질막(pia matar)사이 공간으로 뇌와 척수로 공급되는 큰 혈관과 뇌척수액을 포함하고 있음. H02201171 H02201171 Cerebrovascular 뇌혈관 C1880018 [3.0] Location 뇌 속을 흐르는 혈관.[표준국어대사전] H02201213 H00684107 Gallbladder 쓸개 C0016976 [3.0] Location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 농축하는 주머니. " H02201267 H02201267 Fonticulus anterior 대천문 C0224549 [3.0] Location 신생아 머리 위 전면에 두개골이 완전히 봉합되지 않은 지점. H02201270 H02201267 Anterior fontanel 대천문 C0224549 [3.0] Location 신생아 머리 위 전면에 두개골이 완전히 봉합되지 않은 지점. H02201393 H00274228 Cephalic vein 두정맥 C0226802 [3.0] Location 팔의 바깥쪽을 따라 올라와 겨드랑이 정맥에 들어가는 얕은 정맥. H02201410 H00975672 Lymph node 임파선 C0024204 [3.0] Location 림프의 군데군데에 있어서 림프를 만들어내는 림프샘. H02201435 H02201435 Peripheral vessel 말초혈관 C0947487 [3.0] Location 심장 주변에서 몸의 말단으로 혈액을 운반하는 관.[농업용어사전] H02201476 H02201476 Interview room 면담실 [3.0] Location 구강 연구개의 중앙 아래에 늘어진 둥그스름한 곳. H02201518 H00334501 Coccyx 미골 C0009194 [3.0] Location 여러 개의 미추(꽁무니뼈)개 골결합하여 이루어진 뼈. 꼬리가 없는 동물의 경우에는 이것은 보통 흔적기관으로 남아있음. H02201521 H02201521 Tiptoe 발끝 C0560414 [3.0] Location 발의 앞 끝. H02201533 H02201533 Dorsum of foot 발등 C0230462 [3.0] Location 발의 위쪽 부분. H02201546 H02201533 Dorsum pedis 발등 C0230462 [3.0] Location 발의 위쪽 부분. H02201574 H02201574 Cystostomy 방광루 C0010705 [3.0] Location "요도의 손상으로 인해 배뇨에 문제가 있을 때 방광의 전면부를 절개하여 요루를 형성, 카테터를 삽입하여 카테터를 통해 배뇨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 H02201587 H02201587 Accessory muscle 보조근 C0158784 [3.0] Location 효과적 관절 운동을 위해 주요 동력부위에 도움을 주는 근육. H02201660 H02201660 Intraperitoneal 복강내 C0442120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1672 H01314066 Intraperitoneal 배막안 C0442120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1701 H02201701 Whole abdomen 배전체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1714 H02201701 Whole abdomen 복부전체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1812 H02201812 Oronasal 입코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1825 H02201812 Oronasal 비구강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1894 H02201894 Obstetrical conjugate 출산앞뒤지름 [3.0] Location "골반입구의 경선 중 가장 짧은 경선,골반입구의 전후경선으로 아두의 골반진입시 가장 좁은 부위." H02201908 H02201894 Obstetrical conjugate 산과적결합선 [3.0] Location "골반입구의 경선 중 가장 짧은 경선,골반입구의 전후경선으로 아두의 골반진입시 가장 좁은 부위." H02201992 H01777124 Upper arm 상완 C0446516 [3.0] Location "위팔로, 어깨에서 팔꿈치까지의 부분을 뜻하는 용어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202079 H02202079 Vertical 수직 C0205128 [3.0] Location 위에서 아래로 나 있는 방향. 또는 그 길이. H02202081 H02202079 Vertical 세로 C0205128 [3.0] Location 위에서 아래로 나 있는 방향. 또는 그 길이. H02202111 H02202111 Fingertips 손끝 [3.0] Location 손가락의 끝. H02202149 H02202149 Injury site 손상부위 C2697752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2151 H02202151 Metacarpal vein 손허리정맥 [3.0] Location "dorsal and palmar veins of the hand[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2202219 H02202219 Mitral valve 승모판막 C0026264 [3.0] Location "좌심실과 좌심방사이에 존재하는 판막. 2개의 막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밑으로 심근과 연결되어 있음." H02202221 H02202221 Medical treatment site 시술부위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2234 H02202234 Optic nerve 시신경 C0029130 [3.0] Location "시각을 맡는 지각신경. 시신경이 맥락막과 공막을 뚫고 안구의 바깥으로 나가는 부위를 시신경유두라 하는데, 망막의 신경섬유는 시신경유두를 향해 모여서 공막을 뚫고 안구의 뒤로 나와 안와 내부를 지나 시신경관을 지나서 두개강(頭蓋腔)안으로 들어감." H02202247 H02202234 Optic nerve 시각신경 C0029130 [3.0] Location "시각을 맡는 지각신경. 시신경이 맥락막과 공막을 뚫고 안구의 바깥으로 나가는 부위를 시신경유두라 하는데, 망막의 신경섬유는 시신경유두를 향해 모여서 공막을 뚫고 안구의 뒤로 나와 안와 내부를 지나 시신경관을 지나서 두개강(頭蓋腔)안으로 들어감." H02202317 H00633124 Fetal head 아두 C0231117 [3.0] Location 태아의 머리. H02202345 H02202345 Maxillofacial 위턱얼굴 [3.0] Location "안면, 턱, 구강을 구성하는 상,하악골,치아 등의 경조직이나 구순, 잇몸, 혀 등의 연조직과 이들의 주변에 있는 구강기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련기관." H02202358 H02202345 Maxillofacial 상악안면 [3.0] Location "안면, 턱, 구강을 구성하는 상,하악골,치아 등의 경조직이나 구순, 잇몸, 혀 등의 연조직과 이들의 주변에 있는 구강기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련기관." H02202361 H02202345 Maxillofacial 악안면 [3.0] Location "안면, 턱, 구강을 구성하는 상,하악골,치아 등의 경조직이나 구순, 잇몸, 혀 등의 연조직과 이들의 주변에 있는 구강기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관련기관." H02202386 H01874395 Submandibular 하악하 C1550309 [3.0] Location "아래턱밑, 턱밑, 하악하." H02202399 H01874395 Submandibular 악하의 C1550309 [3.0] Location "아래턱밑, 턱밑, 하악하." H02202443 H02202443 Periorbital 눈확주위 C0230064 [3.0] Location "안구 ·안구부속근(동안근) ·맥관 ·신경 ·누선(淚腺)의 부속기, 안구주위의 안와 지방체 등을 수용하는 안면두개의 함요부 주변부위." H02202456 H02202443 Periorbital 안와주위 C0230064 [3.0] Location "안구 ·안구부속근(동안근) ·맥관 ·신경 ·누선(淚腺)의 부속기, 안구주위의 안와 지방체 등을 수용하는 안면두개의 함요부 주변부위." H02202469 H02202469 In side 안쪽 [3.0] Location 안으로 향한 부분이나 안에 있는 부분. H02202471 H02202471 Both hands 양손 C0230377 [3.0] Location 양쪽 손.[표준국어대사전] H02202484 H02202484 Both eyes 양안 C0229118 [3.0] Location 양쪽의 두 눈.[표준국어대사전] H02202554 H02202554 Right hand 오른손 C0230370 [3.0] Location 오른쪽에 있는 손.[표준국어대사전] H02202567 H02202567 Right arm 오른팔 C1268255 [3.0] Location 오른쪽에 달린 팔.[표준국어대사전] H02202595 H02202595 Left hand 왼손 C0230371 [3.0] Location 왼쪽 손.[표준국어대사전] H02202609 H02202609 Left arm 왼팔 C1268256 [3.0] Location 왼쪽 팔.[표준국어대사전] H02202681 H02202681 Right upper quadrant 우상복부 C0439734 [3.0] Location 우측상부 4분의 1. H02202693 H02202681 RUQ 우상복부 [3.0] Location 우측상부 4분의 1. H02202707 H02202707 Right upper lobe of lung 우상엽 C1261074 [3.0] Location 오른위엽. H02202710 H02202710 Right eye 우안 C0229089 [3.0] Location 오른쪽 눈.[표준국어대사전] H02202722 H02202722 Right middle lobe of lung 우중엽 C0225757 [3.0] Location 오른중간엽. H02202735 H02202735 Right lower quadrant 우하복부 C0439736 [3.0] Location 우측하부 4분의 1. H02202748 H02202735 RLQ 우하복부 [3.0] Location 우측하부 4분의 1. H02202751 H02202751 Right lower lobe of lung 우하엽 C1261075 [3.0] Location "오른아래엽, 우하엽(右下葉)." H02202763 H02202763 Gastric mucosa 위점막 C0017136 [3.0] Location 위내의 점막. H02202833 H01402551 Prolabium 인중부위 [3.0] Location "윗 입술의 융기한 중심부로, 충분히 비후하면 악간골의 위에 놓이게 됨." H02202861 H02202861 Laryngopharyngeus 인후근 [3.0] Location 구강의 맨 안쪽의 식도와 기도를 연결하는 근. H02202874 H02202874 Nursing care unit 간호단위 [3.0] 1A.9.0381 Location "어떤 일정한 장소ㆍ시설에서의 간호를 담당하는 간호조직의 요소로서 병원진료 조직상의 물리적인 한 구획을 가리키는 말(병동)과 거의 같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넓은 의미에서 간호단위는 입원실 단위뿐 아니라 수술실, 분만실, 외래진료소, 중앙공급실, 중환자실 등의 특수간호단위도 포함된다. 구조상은 하나(병동)인데, 거기에 독립된 2개의 간호집단이 있는 경우에는 1병동 2간호단위라고 한다.[간호학대사전]" H02202890 H02202874 Ward 간호단위 [3.0] 1A.9.0381.S.001 Location 진료부서 H02202903 H01313727 Peristoma 입주위 [3.0] Location 입언저리. H02202960 H02202960 Uterine fundus 자궁바닥 C0227817 [3.0] Location "임신 8-10주 사이에 치골 결합 약간 위에서 전굴된 자궁이 촉지 되며 16주에는 배꼽과 치골결합의 중간 지점에서, 20주-22주에는 배꼽에 자궁저부가 위치하며 9개월에는 자궁저부가 검상돌기 까지 올라옴." H02202972 H02202960 Uterine fundus 자궁저부 C0227817 [3.0] Location "임신 8-10주 사이에 치골 결합 약간 위에서 전굴된 자궁이 촉지 되며 16주에는 배꼽과 치골결합의 중간 지점에서, 20주-22주에는 배꼽에 자궁저부가 위치하며 9개월에는 자궁저부가 검상돌기 까지 올라옴." H02203021 H01015053 Masseter muscle 저작근 C0024876 [3.0] Location 음식물을 씹는 작용을 맡은 안면근의 한가지. H02203059 H02203059 Whole body 전신 C0444584 [3.0] Location 온몸.[표준국어대사전] H02203061 H02203061 Intravenous injection site 정맥주사 부위 [3.0] Location 정맥 속에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 약물을 직접 혈관 속에 주입한 부위를 말함. H02203074 H02203061 IV site 정맥주사 부위 C1319047 [3.0] Location 정맥 속에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 약물을 직접 혈관 속에 주입한 부위를 말함. H02203129 H01616339 Stem cell 조혈모세포 C0038250 [3.0] Location "적혈구,백혈구,혈소판을 만드는 미분화된 골수 조혈세포의 조상세포. 피를 만드는 어머니세포라는 뜻으로 온 몸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골수에서 대량으로 생산됨." H02203144 H00236154 Calf 종아리 C0230445 [3.0] Location 무릎과 발목 사이의 뒤쪽 근육 부분. H02203157 H02203157 Left upper quadrant 좌상복부 C0439735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160 H02203157 LUQ 좌상복부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172 H02203172 Left upper lobe of lung 좌상엽 C1261076 [3.0] Location "왼쪽, 위 폐부위." H02203185 H02203185 Left eye 좌안 C0229090 [3.0] Location 왼쪽 눈.[표준국어대사전] H02203198 H02203198 Left lower quadrant 좌하복부 C0439737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201 H02203198 LLQ 좌하복부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214 H02203214 Left lower lobe of lung 좌하엽 C1261077 [3.0] Location "왼쪽 ,아래 폐부위." H02203227 H02203227 Mauley 주먹 [3.0] Location 다섯 손가락을 다 오그려 모아 쥔 손. H02203230 H02203230 Arround 주위 [3.0] Location 어떤 사람이나 사물 등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 둘레. H02203255 H02203255 Junior high school 중학교 [3.0] Location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사이에 중등 보통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학교. 수업 연한은 3년으로, 의무 교육으로 실시한다.[표준국어대사전]" H02203296 H02203296 Vetebra 척추 [3.0] Location 척주를 형성하는 뼈를 말하는데 척추골 또는 추골(椎骨). H02203325 H00104981 Apex 첨부 C0687061 [3.0] Location 안건이나 문서 따위를 덧붙임. H02203341 H02203341 Interdental 치간 C0442104 [3.0] Location 이와 이의 사이. H02203353 H02203353 Suprapubic 두덩위 C1550314 [3.0] Location 치골궁의 상방에 위치한 또는 그곳에서 시행하는.   H02203366 H02203353 Suprapubic 치골상 C1550314 [3.0] Location 치골궁의 상방에 위치한 또는 그곳에서 시행하는.   H02203379 H02203353 Suprapubic 치골위 C1550314 [3.0] Location 치골궁의 상방에 위치한 또는 그곳에서 시행하는.   H02203464 H02203464 Pin site 핀 삽입부위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477 H02203477 Lower abdomen 아랫배 C0230166 [3.0] Location 배꼽 아래쪽의 배 부분.[표준국어대사전] H02203480 H02203477 Lower abdomen 하복부 C0230166 [3.0] Location 배꼽 아래쪽의 배 부분.[표준국어대사전] H02203534 H00969200 Inferior palpebra 아래눈꺼풀 [3.0] Location 아래 눈꺼풀. H02203547 H00969200 Inferior palpebra 하안검 [3.0] Location 아래 눈꺼풀. H02203550 H02203550 Depressed nipple 함몰유두 [3.0] Location 유두(젖꼭지)가 유륜 과 주위 조직보다 바깥으로 돌출되어 가슴의 가장 볼록한 부분보다 튀어나와 있어야 정상인데 오히려 유두가 평탄하게 되어 있거나 이보다 안으로 들어가 파묻혀져 숨어 있는 형태. H02203562 H02203562 Lumbar 허리 C0024090 [3.0] Location 갈비뼈 아래에서 골반까지의 잘록한 부분. H02203575 H02203562 Lumbar 요부 C0024090 [3.0] Location 갈비뼈 아래에서 골반까지의 잘록한 부분. H02203588 H02203588 Lumbar cord 허리척수 C3853029 [3.0] Location "척수(脊髓) 중 요신경이 나오고 있는 부분으로 5쌍의 요신경이 나오는데 각각 전근(前根)과 후근(後根)을 이루어서 연결되고, 이들 신경이 많은 가지로 나뉘어 동체의 하부와 하지에 분포함." H02203591 H02203591 Respiratory muscle 호흡근 C0035231 [3.0] Location 호흡할 때에 흉곽을 확대하고 수축시키는 근육. H02203604 H02203604 Icteric sclera 황달성 공막 C0240962 [3.0] Location "Physical exam Yellowing of the sclera, typical of liver disease, especially hepatitis.[McGraw-Hill Concise Dictionary of Modern Medicine. ⓒ 2002 by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H02203617 H02203617 Perineal muscle 회음근 C0224382 [3.0] Location 회음의 깊숙한 안쪽에 있는 회음근은 출산·배변·성교 등에 필요한 근육. H02203673 H02203673 Regio occipitalis 후두부 C0230005 [3.0] Location 뒤통수. H02203702 H02203702 Retroperitoneal 복막뒤 C0035359 [3.0] Location "Situated behind the peritoneum.[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copyright ⓒ2000 by Houghton Mifflin Company. Updated in 2009.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2203715 H02203702 Retroperitoneal 배막뒤 C0035359 [3.0] Location "Situated behind the peritoneum.[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copyright ⓒ2000 by Houghton Mifflin Company. Updated in 2009. Published by Houghton Miffli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H02203728 H02203702 Retroperitoneal 후복막 C0035359 [3.0] Location 복막의 뒤쪽. H02203771 H02203771 Tube insertion site 튜브 삽입부위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784 H02203784 Tube removal site 튜브 제거부위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797 H02203797 Biopsy site 생검부위 C1301128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801 H02203801 Catheter insertion site 도관 삽입부위 C1546583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813 H02203813 Edema site 부종부위 C1717800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826 H02203826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site 정맥도관 삽입부위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203839 H02203839 Epigastric region 명치 C0230185 [3.0] Location "흉골 하방의 움푹하게 들어간 곳. 의학용어에서는 심와부(心窩部), 상복부(上腹部)이다.[간호학대사전]" H02203854 H02203854 Intrapleural route 늑막내 경로 C0595451 [3.0] Location 신체 경로 H02203867 H02203867 Intraspinal route 척수내 경로 C1522227 [3.0] Location 신체 경로 H02203870 H02203870 Ventricular reservoir route 뇌실 저장소 경로 [3.0] Location 신체 경로 H02203924 H02203924 Bed pan 침상용변기 C0179263 [3.0] 10003199 2C.01.05.01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3937 H02203937 Chamber pot 침실용변기 [3.0] 10004158 2C.01.05.04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3940 H02203937 Chamber pot 소변통 [3.0] 10004158 2C.01.05.04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3952 H02203952 Colostomy bag 결장루 주머니 C0180026 [3.0] 10004601 2C.01.06.01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3965 H02203965 Commode 실내변기 C1140607 [3.0] 10004693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3981 H02203981 Draw sheet 병상 시트 [3.0] 10006248 2C.01.08.06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3993 H02203981 Draw sheet 반홑이불 [3.0] 10006248 2C.01.08.06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01 H02204001 Ileostomy bag 회장루 주머니 C1563151 [3.0] 10009736 2C.01.06.05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13 H02204013 Sanitary towel 위생타월 [3.0] 10017487 2C.01.06.10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41 H01672682 Tampon 매움봉 C0039288 [3.0] 10019443 2C.01.02.03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54 H02204054 Urine bag 소변주머니 [3.0] 10020484 2C.01.06.07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67 H02204054 Urine bag 소변백 [3.0] 10020484 2C.01.06.07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70 H02204070 Urine bottle 소변병 C1283057 [3.0] 10020497 2C.01.05.03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82 H02204070 Urine bottle 소변통 C1283057 [3.0] 10020497 2C.01.05.03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095 H02204095 Wound drainage bag 상처배액주머니 C1443391 [3.0] 10021215 Means 흡수 혹은 수집기구 H02204109 H02204109 Exit alarm 이탈 경보 장치 [3.0] 10041502 Means 경고 H02204111 H02204109 Exit alarm 이탈 경고 장치 [3.0] 10041502 Means 경고 H02204124 H02204109 Exit alarm 이탈 알람 장치 [3.0] 10041502 Means 경고 H02204137 H02204137 Fall safety alarm 낙상 안전 경고 [3.0] 10041518 Means 경고 H02204140 H02204137 Fall safety alarm 낙상 안전 경보 [3.0] 10041518 Means 경고 H02204152 H02204137 Fall safety alarm 낙상 안전 알람 [3.0] 10041518 Means 경고 H02204178 H00457931 Device 전문기구 C0699733 [3.0] 10005869 2C.01.11 Means 인공물 H02204207 H02204207 Assessment tool 사정도구 [3.0] 10002832 Means 평가 기구 H02204222 H02204222 Shower 샤워기 C0541748 [3.0] 10018084 Means 목욕 기구 H02204248 H02204248 Feather bed cover 깃털침대덮개 [3.0] 10007740 2C.01.08.08 Means 침상린넨 H02204251 H02204251 Pillow case 베갯잇 [3.0] 10014611 2C.01.08.15 Means 침상린넨 H02204263 H02204263 Electric blanket 전기담요 C0336614 [3.0] 10006658 2C.01.08.03 Means 담요 H02204276 H02204276 Quilt 이불 [3.0] 10016238 2C.01.08.16 Means 담요 H02204289 H02204289 Blood product 혈액제재 C0456388 [3.0] 10003357 2C.01.14.12 Means 신체 구성물질 H02204305 H02204305 Intraspinal cannula 척수내 삽입관 [3.0] 10010746 Means 캐뉼러 H02204318 H02204305 Intraspinal cannula 척수내 캐뉼러 [3.0] 10010746 Means 캐뉼러 H02204321 H02204321 Venous cannula 정맥 삽입관 C0179583 [3.0] 10020677 Means 캐뉼러 H02204333 H02204321 Venous cannula 정맥 캐뉼러 C0179583 [3.0] 10020677 Means 캐뉼러 H02204374 H02204374 Pain specialist 통증전문가 [3.0] 10039590 Means 의료인 H02204416 H01336931 Physiotherapist 물리치료사 C2362565 [3.0] 10024003 1A.9.0411 Means 의료인 H02204431 H02204431 Social worker 사회사업가 C0037444 [3.0] 10024088 Means 의료인 H02204444 H02204431 Social worker 사회복지사 C0037444 [3.0] 10024088 Means 의료인 H02204460 H02204460 Urinary catheter 도뇨관 C0179802 [3.0] 10020373 Means 카테터 H02204472 H02204460 Urinary catheter 요도 카테터 C0179802 [3.0] 10020373 Means 카테터 H02204485 H02204485 Glove 장갑 C0441051 [3.0] 10008487 Means 의복 H02204498 H02204498 Lead gown 납가운 [3.0] 10011222 2C.01.08.09 Means 의복 H02204527 H02204527 Alarm system 경보시스템 [3.0] 10002116 2C.01.11.21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530 H02204527 Alarm system 경고시스템 [3.0] 10002116 2C.01.11.21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542 H02204527 Alarm system 알람시스템 [3.0] 10002116 2C.01.11.21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555 H02204555 Call system device 호출시스템 기구 [3.0] 10003825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568 H02204568 Computer 컴퓨터 C0009622 [3.0] 10004906 2C.01.12.06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571 H02204571 Instruction material 교육자료 [3.0] 10010395 2C.01.12.01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583 H02204583 Learning material 학습자료 [3.0] 10011251 2C.01.12.02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596 H02204596 Patient record 환자 기록 C0025102 [3.0] 10014178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600 H02204600 Questionnaire 설문지 C0034394 [3.0] 10016229 2C.01.12.03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612 H02204612 Reading material 독서자료 [3.0] 10016433 2C.01.12.08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625 H02204625 Telephone 전화 C0039457 [3.0] 10019539 2C.01.12.04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638 H02204638 Television 텔레비전 C0039461 [3.0] 10019541 2C.01.12.05 Means 의사소통기구 H02204641 H02204641 Orthotic device 보조기구 C0029365 [3.0] 10013834 2C.9.0119 Means 교정기구 H02204653 H02204641 Orthotic device 지지대 C0029365 [3.0] 10013834 2C.9.0119 Means 교정기구 H02204679 H02204679 Clothing 의복 C0009072 [3.0] 10002589 Means 덮는 기구 H02204681 H02204679 Clothing 옷 C0009072 [3.0] 10002589 Means 덮는 기구 H02204694 H02204694 Bed linen 침상 린넨 [3.0] 10003175 Means 덮는 기구 H02204711 H00611355 Eye protector 안대 [3.0] 10007475 Means 덮는 기구 H02204723 H02204723 Heel protector 발 뒤꿈치 보호대 C0181161 [3.0] 10040997 Means 덮는 기구 H02204736 H02204736 Hip protector 엉덩이 보호대 C0183257 [3.0] 10041573 Means 덮는 기구 H02204751 H02204751 Surgical drape 수술용 방포 C0180511 [3.0] 10019231 Means 덮는 기구 H02204764 H00496781 Wound dressing 상처 드레싱 C0278286 [3.0] 10021227 2C.01.02.01 Means 덮는 기구 H02204780 H02204780 Dressing 붕대교환 C0085671 [3.0] 10021227 1A.9.0173 Means 덮는 기구 H02204792 H02204792 Dressing 창상처치 C0152053 [3.0] 10021227 1A.9.0173 Means 덮는 기구 H02204819 H02204819 Absorbing or collecting device 흡수 혹은 수집 기구 [3.0] 10000289 Means 기구 H02204821 H02204821 Assessment device 사정기구 [3.0] 10002734 Means 기구 H02204834 H02204834 Bathing device 목욕 기구 [3.0] 10003147 Means 기구 H02204847 H02204847 Communication device 의사소통 기구 [3.0] 10004714 Means 기구 H02204850 H02204850 External continence device 배뇨(변) 조절 기구 [3.0] 10042511 Means 기구 H02204862 H02204862 Corrective device 교정기구 [3.0] 10005231 Means 기구 H02204875 H02204875 Covering device 덮는 기구 [3.0] 10005306 Means 기구 H02204891 H02204891 Electric milk pump 전자동식 유축기 [3.0] 10006662 2C.01.11.14 Means 기구 H02204904 H02204891 Electric milk pump 전자동식 착유기 [3.0] 10006662 2C.01.11.14 Means 기구 H02204917 H02204917 Feeding device 영양공급 기구 [3.0] 10007803 Means 기구 H02204920 H02204920 Grooming device 몸단장기구 [3.0] 10008537 Means 기구 H02204932 H02204932 Heating cooling device 열냉 기구 [3.0] 10008867 Means 기구 H02204945 H02204945 Immobilising device 고정기구 [3.0] 10009770 Means 기구 H02204958 H02204958 Implantable device 이식 장치 [3.0] 10009838 Means 기구 H02204973 H00824174 Incubator 인큐베이터 C2079447 [3.0] 10009988 2C.01.11.08 Means 기구 H02204986 H02204986 Infusion device 주입 장치 [3.0] 10033352 Means 기구 H02204999 H02204999 Invasive device 침습장치 [3.0] 10034244 Means 기구 H02205006 H02205006 Mobilising device 이동 기구 [3.0] 10012131 Means 기구 H02205019 H01072001 Monitoring device 모니터링 장치 C0596972 [3.0] 10012177 1A.9.0350 Means 기구 H02205034 H01072001 Monitor 감시기 C0150369 [3.0] 10012177 1A.9.0350 Means 기구 H02205047 H01424871 Pulse oximeter 산소포화도측정기 C0182109 [3.0] 10032551 Means 기구 H02205062 H02205062 Recreational device 오락기구 [3.0] 10016530 Means 기구 H02205075 H02205075 Respiratory device 호흡 장치 [3.0] 10016958 Means 기구 H02205088 H02205088 Safety device 안전 장치 C0033612 [3.0] 10017425 Means 기구 H02205091 H02205091 Supporting device 지지장치 [3.0] 10019157 Means 기구 H02205104 H02205104 Surface neuro stimulating device 표면 신경 자극기 [3.0] 10019188 Means 기구 H02205117 H02205117 Surgical device 수술기구 [3.0] 10019220 Means 기구 H02205132 H01725704 Traction device 견인장치 C3872768 [3.0] 10019979 Means 기구 H02205145 H02205145 Transporting device 이송기구 [3.0] 10020082 Means 기구 H02205158 H02205158 Ultrasound device 초음파장비 C1875843 [3.0] 10033265 Means 기구 H02205161 H02205161 Vascular access device 혈관접근기기 C0184269 [3.0] 10034484 Means 기구 H02205173 H02205173 Vasopneumatic device 폐혈관장치 C1998937 [3.0] 10020649 2C.01.11.10 Means 기구 H02205199 H00741877 Haemodialysis 혈액투석 C0019004 [3.0] 10008949 Means 투석기법 H02205215 H01314079 PD 복막투석 C0031139 [3.0] 10014393 2C.02.03.02.S.001 Means 투석기법 H02205228 H02205228 Wound drain 상처배액관 C0180503 [3.0] 10021204 Means 배액 H02205271 H00747078 Haemostatic agent 지혈제 C0019120 [3.0] 10008983 Means 약품 H02205297 H01027728 Medication 약물 [3.0] 10011866 2B.9.0045 Means 약품 H02205339 H02205339 Material 물품 C0520510 [3.0] 10011775 2C.01.S.001 Means 개체 H02205341 H02205341 Bio feed back technique 바이오피드백기법 [3.0] 10003264 Means 피드백기법 H02205354 H02205354 Feeding bottle 젖병 [3.0] 10007793 2C.01.07.09 Means 영양 기구 H02205367 H02205354 Feeding bottle 수유병 [3.0] 10007793 2C.01.07.09 Means 영양 기구 H02205370 H02205370 Fork 포크 C0546910 [3.0] 10008193 2C.01.07.07 Means 영양 기구 H02205395 H02205395 Spoon 숟가락 C0581226 [3.0] 10018667 2C.01.07.06 Means 수유도구 H02205409 H02205409 Cold food 찬음식 C0453826 [3.0] 10004503 Means 음식 H02205411 H02205411 Rectal tube 직장튜브 C0150740 [3.0] 10016569 Means 위장관튜브 H02205437 H00215696 Brush 브러쉬 C0179445 [3.0] 10003728 2C.01.07.01 Means 몸치장 기구 H02205440 H02205440 Comb 머리빗 C3854046 [3.0] 10004638 2C.01.07.03 Means 몸치장 기구 H02205452 H02205452 Toothbrush 칫솔 C0183975 [3.0] 10019853 2C.01.07.02 Means 몸치장 기구 H02205465 H02205465 Interprofessional team 관련전문가 팀 [3.0] 10039400 Means 집단 H02205478 H02205478 Support group therapy 지지 집단 치료 C1883225 [3.0] 10019135 Means 집단 치료 H02205481 H02205481 Pain guideline 통증지침 [3.0] 10013978 Means 지침 H02205493 H02205493 Breastfeeding education 모유수유 교육 C0418914 [3.0] 10039463 Means 보건교육 서비스 H02205507 H02205507 Child health service 아동 의료서비스 C0008079 [3.0] 10022036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10 H02205510 Emergency service 응급 서비스 C0013961 [3.0] 10031206 1A.02.02.03.02.04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22 H02205510 Emergency service 응급의료 서비스 C0013961 [3.0] 10031206 1A.02.02.03.02.04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35 H02205535 Health education service 보건 교육 서비스 [3.0] 10039459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48 H02205548 Medical service 의료서비스 C0199168 [3.0] 10011850 2C.02.07.02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51 H02205548 Medical service 의학 서비스 C0199168 [3.0] 10011850 2C.02.07.02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63 H02205563 Nursing service 간호서비스 C0028697 [3.0] 10013380 2C.02.07.01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76 H02205576 Nutritionist service 영양서비스 [3.0] 10013435 2C.02.07.09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89 H02205589 Pain management service 통증관리서비스 C0587604 [3.0] 10024799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591 H02205591 Physiotherapist service 물리치료서비스 [3.0] 10014567 2B.02.03.02.07.03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605 H02205605 School health service 학교 건강서비스 C0036371 [3.0] 10038067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618 H02205618 Social worker service 사회복지사 서비스 C3251805 [3.0] 10018475 2C.02.07.04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H02205621 H02205621 Health promotion service 건강증진서비스 [3.0] 10008776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건강한 생활양식 증진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교육; 그리고 건강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질병을 예방; 가능한 자원 활용 및 상호협조; 우선순위 결정, 의사결정 및 전략계획에 있어 개인과 지역사회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킴." H02205633 H02205633 Occupational therapist service 작업요법서비스 C1318464 [3.0] 10013604 2C.02.07.10 Means "보건의료 서비스: 근로자의 건강 증진, 보호 및 회복과 함께 안전하고 건강한 작업환경에서의 질병 및 상해 예방에 중점을 둔 다학제간 전문 활동. 건강의 위험요소 및 위험성을 예방하기 위한 확인, 사정, 및 예방적 조처를 위한 환경적, 작업적 감시활동을 포함한다; 작업과 관련된 건강의 개별 모니터링;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 법률적 지침을 준수한 근무, 안전한 작업환경으로의 개선, 직업건강과 위생을 위한 고용인, 근로자 및 감독기관을 대상으로 한 정보제공, 훈련 및 교육에 협력함." H02205646 H02205646 Cold pack 찬물 주머니 C0180006 [3.0] 10004519 2C.01.01.01 Means 열냉 기구 H02205659 H02205646 Cold bag 찬물 주머니 [3.0] 10004519 2C.01.01.01.S.001 Means 열냉 기구 H02205661 H02205661 Fan 환풍기 C0441039 [3.0] 10007680 2C.01.11.03 Means 열냉 기구 H02205674 H02205674 Heating lamp 열램프 [3.0] 10008879 2C.01.11.04 Means 열냉 기구 H02205690 H00772585 Hot bag 더운물 주머니 [3.0] 10009167 2C.01.01.04.S.003 Means 열냉 기구 H02205716 H02205716 Bed rail 침대난간 C0179266 [3.0] 10003201 2C.01.08.22 Means 고정 기구 H02205731 H00255474 Cast plaster 석고붕대 C0032159 [3.0] 10004039 2C.01.02.06 Means 고정 기구 H02205744 H02205744 Restraint 억제대 C0337184 [3.0] 10017164 Means 고정 기구 H02205785 H01260762 Pacemaker 심박동기 C0030163 [3.0] 10013945 2C.01.11.13 Means 심장이식장치 H02205798 H01260762 Pacemaker 심박조율기 C0030163 [3.0] 10013945 2C.01.11.13 Means 심장이식장치 H02205801 H02205801 Implantable cardiac device 심장 이식 장치 [3.0] 10009829 Means 이식 장치 H02205814 H02205814 Care provider 의료인 [3.0] 10003989 2B.02.01.01.01.01.01.01.21 Means 개인 H02205827 H02205814 Care provider 돌봄 제공자 [3.0] 10003989 2B.02.01.01.01.01.01.01.21 Means 개인 H02205830 H02205830 Subcutaneous venous port 피하정맥관 [3.0] 10041436 Means 주입 기구 H02205842 H02205842 Subcutaneous injection technique 피하주사 기법 [3.0] 10024090 Means 주사 기법 H02205855 H02205855 Intravenous injection technique 정맥주사 기법 [3.0] Means "약액을 직접 정맥내에 주사하는 것. 주사액은 정맥-심장-동맥을 거쳐서 빠르게 온몸에 작용한다. 피하나 근육내에 주사할 수 없는 약액의 경우 또는 주사 할 수 있어도 약액량이 많은 경우, 약물의 빠른 효과를 기대하는 경우 등에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205868 H02205868 Intramuscular injection technique 근육주사 기법 [3.0] Means "약제를 근육에 주사하는 것. 피하주사에 비해서 흡수가 빠르고 2~5㎖을 적용할 수 있다. 자극, 통증이 강한 것이나 유성(油性)의 약제 등, 또 흡수가 나쁜 것이 근육주사에서 적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05900 H00051117 Aerosol 분무 C0001712 [3.0] 10001940 2C.01.14.13 Means 물질 H02205953 H02205953 Liniment 도포제 C0023742 [3.0] 10011365 2C.01.09.03 Means 물질 H02205966 H02205966 Make up 화장 [3.0] 10011543 Means 물질 H02205979 H02205979 Nail polish 매니큐어 C0304644 [3.0] 10012407 Means 물질 H02205981 H02205981 Nutrient 영양 C0678695 [3.0] 10013398 2C.01.13 Means 물질 H02205994 H02205981 Nutrient 영양물 C0678695 [3.0] 10013398 2C.01.13 Means 물질 H02206001 H02206001 Oil 윤활유 C0028908 [3.0] 10013662 2C.01.09.02 Means 물질 H02206071 H02206071 Feather mattress 깃털 매트리스 [3.0] 10007755 Means 매트리스 H02206083 H02206083 Pressure relieving mattress 압력완화 매트리스 [3.0] 10041560 Means 매트리스 H02206096 H02206096 Raised edge mattress 낙상방지용 보호용 [3.0] 10041541 Means 매트리스 H02206100 H02206100 Water mattress 물 매트리스 C0181776 [3.0] 10020974 2C.01.08.12 Means 매트리스 H02206112 H02206112 Dialysis technique 투석기법 [3.0] 10005905 Means 약물 투여 기법 H02206138 H02206138 Infusion technique 주입기법 C0574032 [3.0] 10010189 Means 약물 투여 기법 H02206141 H02206141 Injection technique 주사기법 C2960425 [3.0] 10010278 2C.02.06.08 Means 약물 투여 기법 H02206153 H02206141 Injection technique 주사법 C2960425 [3.0] 10010278 2C.02.06.08 Means 약물 투여 기법 H02206166 H02206166 Hand rail 난간 C1283238 [3.0] 10008657 2C.01.08.23 Means 이동기구 H02206179 H02206166 Hand rail 수동난간 C1283238 [3.0] 10008657 2C.01.08.23 Means 이동기구 H02206181 H02206181 Lifting apparatus 들것 [3.0] 10011349 2C.01.11.19 Means 이동기구 H02206194 H02206194 Vehicle 운송수단 C0348005 [3.0] 10020654 Means 이동기구 H02206208 H02206208 Walking stick 지팡이 C0006856 [3.0] 10020893 Means 이동기구 H02206211 H02206211 Alarm 경보 C0336648 [3.0] 10041491 Means 감시장치 H02206223 H02206211 Alarm 경고 C0336648 [3.0] 10041491 Means 감시장치 H02206236 H02206211 Alarm 알람 C0336648 [3.0] 10041491 Means 감시장치 H02206249 H02206249 Cardiac monitor 심장감시기 C0179608 [3.0] 10003873 2C.01.11.11 Means 감시장치 H02206251 H02206251 Contraction monitor 자궁수축 모니터 [3.0] 10005126 2C.01.11.12 Means 감시장치 H02206264 H02206264 Passive joint movement 수동적 관절운동 [3.0] 10014109 1A.01.01.01.12.01.02.02 Means 근관절 운동 기법: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는 관절 운동. H02206277 H02206277 Active joint movement 능동적 관절운동 [3.0] 10000393 1A.01.01.01.12.01.02.01 Means 근육 또는 관절 운동 기법: 도움을 받거나 혹은 도움없이 하는 관절 운동. H02206280 H02206280 Enterostomal therapy nurse 장루치료요법 간호사 [3.0] 10040403 Means 간호사 H02206292 H02206292 Drink 음료수 C0452428 [3.0] 10006269 Means 영양 H02206319 H00655801 Food 음식물 C0016452 [3.0] 10008089 2C.01.13.02 Means 영양 H02206334 H02206334 Nutritional supplement 영양 보충 C0242295 [3.0] 10037016 Means 영양 H02206350 H02206350 Vitamin B12 비타민 B12 C0042845 [3.0] 10020840 2C.01.14.06 Means 영양 H02206375 H02206375 Correction shoe 교정용 신발 [3.0] 10005220 2C.01.07.16 Means 보조기구 H02206404 H02206404 Tooth brace 치열교정기 [3.0] 10019848 2C.01.07.05 Means 보조기구 H02206417 H02206417 Care plan 간호계획 C0178916 [3.0] 10003970 Means 계획 H02206420 H02206420 Clinical pathway 임상진료지침 C0282654 [3.0] 10004463 2B.9.0013 Means 계획 H02206432 H02206420 Clinical pathway 임상경로 C0282654 [3.0] 10004463 2B.9.0013 Means 계획 H02206445 H02206420 Critical path 표준진료지침 C0282655 [3.0] 10004463 2B.9.0013 Means 계획 H02206461 H00721537 Guideline 안내지침 C0162791 [3.0] 10008585 2C.02.09.01.02 Means 계획 H02206486 H02206486 Artificial limb 의수족 C0347948 [3.0] 10002602 2C.01.07.15 Means 인공기구 H02206499 H02206486 Artificial limb 의지 C0347948 [3.0] 10002602 2C.01.07.15 Means 인공기구 H02206528 H02206528 Glass eye 의안 C0336552 [3.0] 10008473 2C.01.07.12 Means 인공기구 H02206531 H02206531 Wig 가발 C0336553 [3.0] 10021081 2C.01.07.13 Means 인공기구 H02206543 H02206543 Toy 장난감 C0040565 [3.0] 10019914 2C.01.12.09 Means 오락기구 H02206556 H02206556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점진적인 근육이완 C0150316 [3.0] 10040540 2B.9.0071 Means 이완술 H02206569 H02206569 Atomizer 수동분무기 C0004185 [3.0] 10002884 Means 호흡장치 H02206571 H02206569 Atomiser 수동분무기 C0004185 [3.0] 10002884 Means 호흡장치 H02206601 H01110629 Nebuliser 분무기 C0027524 [3.0] 10012469 Means 호흡장치 H02206654 H02206654 Community meals service 지역사회 급식서비스 [3.0] 10004808 Means 서비스 H02206670 H02206670 Home care service 가정간호서비스 C0019855 [3.0] 10009053 Means 서비스 H02206682 H02206682 Health service 의료서비스 C0018747 [3.0] 10008795 1A.02.02.03.02.03 Means "서비스: 질병을 예방, 치료하고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는 임무를 담당하는 자격있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클리닉, 병원들과 같은 기관의 설비." H02206695 H02206695 Breastfeeding support group 모유수유 지지집단 [3.0] 10039471 Means 지지 집단 치료 H02206709 H02206709 Air ring 공기원형방석 [3.0] 10002088 2C.01.08.20 Means 지지기구 H02206724 H02206724 Mattress 매트리스 C0024940 [3.0] 10011799 2C.01.08.11 Means 지지기구 H02206765 H00075306 Amputation 치료적 절단 C0002688 [3.0] 10002246 2C.02.03.04 Means 수술 H02206781 H00280481 CS 제왕절개술 C0007876 [3.0] 10004143 2C.02.03.05.S.001 Means 수술 H02206793 H02206793 Neurosurgical act 신경외과적 행동 [3.0] 10013156 Means 수술 H02206807 H02206807 Ostomy 장루술 C0029473 [3.0] 10013847 2C.02.03.06 Means 수술 H02206810 H02206810 Tracheotomy 기관절개술 C0040591 [3.0] 10019951 2C.02.03.07 Means 수술 H02206822 H01731539 Transplantation 이식술 C0040733 [3.0] 10020053 2B.02.01.01.01.01.01.02.02.13.S.001 Means 수술 H02206876 H01658201 Suture thread 봉합사 [3.0] 10019323 2C.9.0160 Means 수술기구 H02206889 H02206889 Umbilical clip 배꼽클립 [3.0] 10020244 Means 수술기구 H02206891 H02206891 Wound clip 상처클립 [3.0] 10021197 Means 수술기구 H02206905 H02206905 Ambulation technique 보행기법 [3.0] 10002222 2C.02.06.20 Means 기법: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사람의 몸을 변경하고 이동함. H02206918 H02206918 Aseptic technique 무균술 [3.0] 10002639 2C.9.0018 Means 기법 H02206921 H02206918 Aseptic tecanhnique 무균술 [3.0] 10002639 2C.9.0018 Means 기법 H02206933 H02206933 Bladder training technique 방광훈련기법 [3.0] 10003286 2C.02.06.11 Means 기법 H02206946 H02206946 Bowel training technique 배변훈련기법 [3.0] 10003609 2C.02.06.10 Means 기법 H02206959 H02206959 Breathing technique 호흡법 [3.0] 10003684 2C.02.06.01 Means 호흡 또는 기침기법 H02206961 H02206961 Breathing or coughing technique 호흡 또는 기침기법 [3.0] 10003666 Means 기법 H02206974 H02206974 Calming technique 진정기법 C0150157 [3.0] 10003839 2C.02.06.14 Means 기법 H02206987 H02206987 Deescalation technique 단계적 축소 기법 [3.0] 10036195 Means 기법 H02206990 H02206990 Distraction technique 전환 기법 [3.0] 10006102 2C.02.06.18 Means 기법 H02207007 H02207007 Feed back technique 피드백기법 [3.0] 10007772 Means 기법 H02207022 H00627777 Feeding technique 음식섭취법 C0184624 [3.0] 10007819 2C.02.06.22 Means 기법 H02207035 H02207035 Guided imagery technique 지시적 심상요법 C0454046 [3.0] 10008571 2C.02.06.24 Means 기법 H02207048 H02207035 Guided imagery technique 지시적 심상법 C0454046 [3.0] 10008571 2C.02.06.24 Means 기법 H02207051 H02207051 Haemostasis technique 지혈 기법 [3.0] 10008965 Means 기법 H02207063 H02207063 Incontinence training technique 실금훈련 기법 [3.0] 10009957 2C.9.0082 Means 기법 H02207076 H02207063 Incontinence training technique 실금훈련 [3.0] 10009957 2C.02.06.12 Means 기법 H02207089 H02207089 Inhalation technique 흡입기법 C1998547 [3.0] 10010209 2C.02.06.09 Means 기법 H02207091 H02207089 Inhalation technique 흡입술 C1998547 [3.0] 10010209 2C.02.06.09 Means 기법 H02207105 H02207105 Interaction technique 상호작용기법 [3.0] 10010471 2C.02.06.17 Means 기법 H02207118 H02207118 Invasive insertion technique 침습적 처치기법 [3.0] 10010865 2C.02.06.23 Means 기법 H02207121 H02207118 Invasive insertion technique 침습적 삽입기법 [3.0] 10010865 2C.02.06.23 Means 기법 H02207133 H02207118 Invasive insertion technique 침습적 처치기술 [3.0] 10010865 2C.02.06.23 Means 기법 H02207146 H02207146 Isolation technique 격리기법 C0204727 [3.0] 10037380 Means 기법 H02207159 H02207159 Medication administration technique 약투여기법 [3.0] 10006322 Means 기법 H02207161 H02207161 Memory training technique 기억훈련기법 [3.0] 10011911 2C.02.06.16 Means 기법 H02207174 H02207174 Motivational interviewing technique 동기 부여 인터뷰 기법 [3.0] 10038634 Means 기법 H02207187 H02207187 Muscle or joint exercise technique 근관절 운동기법 [3.0] 10012300 Means 기법 H02207190 H02207190 Positioning technique 체위 기법 [3.0] 10014774 2C.02.06.02 Means 기법 H02207203 H02207190 Positioning technique 체위변경기법 [3.0] 10014774 2C.02.06.02 Means 기법 H02207216 H02207190 Position change method 체위변경법 [3.0] 10014774 2C.9.0127 Means 기법 H02207229 H02207229 Relaxation technique 이완술 C0035029 [3.0] 10016700 2C.02.06.19 Means 기법 H02207231 H02207229 Relaxation technique 이완기법 C0035029 [3.0] 10016700 2C.02.06.19 Means 기법 H02207244 H02207244 Risk reduction technique 위험감소 기법 [3.0] 10038794 Means 기법 H02207257 H02207257 Self catheterisation technique 자가도뇨기법 [3.0] 10017674 Means 기법 H02207260 H02207260 Skin to skin technique 피부접촉 기법 [3.0] 10035357 2B.9.0039 Means 기법 H02207272 H02207260 Kangaroo care 캥거루 간호 C0262705 [3.0] 10035357 2B.9.0039 Means 기법 H02207285 H02207285 Speech training technique 언어훈련 기법 [3.0] 10018554 2C.02.06.15 Means 기법 H02207301 H02207301 Swallowing technique 연하 기법 [3.0] 10019352 2C.02.06.21 Means 기법 H02207314 H02207314 Transfer technique 이동기법 C1705822 [3.0] 10020048 2C.02.06.03 Means 기법 H02207327 H02207327 Trendelenburg positioning technique 트렌델렌버그 체위 기법 [3.0] 10020167 Means 기법 H02207330 H02207330 Autogenic training technique 자기훈련기법 [3.0] 10003031 Means 기법: 이완을 유도하기 위한 자기암시와 관련된 교육 H02207342 H02207342 Activity therapy 활동 요법 C2004436 [3.0] 10000412 2C.02.05.08 Means 요법 H02207355 H02207342 Activity therapy 활동 치료 C2004436 [3.0] 10000412 2C.02.05.08 Means 요법 H02207368 H02207342 Activity therapy 활동 치료요법 C2004436 [3.0] 10000412 2C.02.05.08 Means 요법 H02207371 H02207371 Anger management therapy 분노관리 요법 C0557992 [3.0] 10041750|10036260 Means|IC 요법 H02207383 H02207371 Anger management therapy 분노관리 치료 C3651010 [3.0] 10041750|10036260 Means|IC 요법 H02207396 H02207371 Anger management therapy 분노관리 치료요법 C3651010 [3.0] 10041750|10036260 Means|IC 요법 H02207400 H02207400 Animal assisted therapy 애완동물보조 요법 C0150133 [3.0] 10002349 2C.02.05.11 Means 요법 H02207412 H02207400 Animal assisted therapy 애완동물보조 치료 C0150133 [3.0] 10002349 2C.02.05.11 Means 요법 H02207425 H02207400 Animal assisted therapy 애완동물보조 치료요법 C0150133 [3.0] 10002349 2C.02.05.11 Means 요법 H02207438 H02207438 Anticoagulation therapy 항응고제 요법 C0003281 [3.0] 10030464|10039284 2C.9.0077 Means|IC 요법 H02207441 H02207438 Heparinization therapy 항응고제 요법 [3.0] 10030464 2C.9.0077 Means 요법 H02207453 H02207438 Anticoagulation therapy 항응고제 치료 C0003281 [3.0] 10030464|10039284 2C.9.0077 Means|IC 요법 H02207466 H02207438 Anticoagulation therapy 항응고제 치료요법 C0003281 [3.0] 10030464|10039284 2C.9.0077 Means|IC 요법 H02207479 H02207479 Aromatherapy 아로마 요법 C0376547 [3.0] 10002515 Means 요법 H02207481 H02207479 Aromatherapy 아로마 치료 C0376547 [3.0] 10002515 Means 요법 H02207494 H02207479 Aromatherapy 아로마 치료요법 C0376547 [3.0] 10002515 Means 요법 H02207508 H02207479 Aromatherapy 아로마테라피 C0376547 [3.0] 10002515 Means 요법 H02207511 H02207479 Aromatherapy 향기 요법 C0376547 [3.0] 10002515 Means 요법 H02207523 H02207479 Aromatherapy 향기 치료 C0376547 [3.0] 10002515 Means 요법 H02207536 H02207479 Aromatherapy 향기 치료요법 C0376547 [3.0] 10002515 Means 요법 H02207549 H02207549 Art therapy 미술 요법 C0003827 [3.0] 10002618|10039162 Means|IC 요법 H02207551 H02207549 Art therapy 미술 치료 C0003827 [3.0] 10002618|10039162 Means|IC 요법 H02207564 H02207549 Art therapy 미술 치료요법 C0003827 [3.0] 10002618|10039162 Means|IC 요법 H02207577 H02207577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구 요법 C0556538 [3.0] 10002878|10039158 2C.02.05.22 Means|IC 요법 H02207580 H02207577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구 치료 C0556538 [3.0] 10002878|10039158 2C.02.05.22 Means|IC 요법 H02207592 H02207577 Assistive device therapy 보조기구 치료요법 C0556538 [3.0] 10002878|10039158 2C.02.05.22 Means|IC 요법 H02207606 H02207606 Bibliotherapy 독서 요법 C0005365 [3.0] 10003240 2C.02.05.13 Means 요법 H02207619 H02207606 Bibliotherapy 독서 치료 C0005365 [3.0] 10003240 2C.02.05.13 Means 요법 H02207621 H02207606 Bibliotherapy 독서 치료요법 C0005365 [3.0] 10003240 2C.02.05.13 Means 요법 H02207634 H02207634 Blood therapy 수혈 요법 C3650835 [3.0] 10003361|10039311 2C.02.05.03 Means|IC 요법 H02207647 H02207634 Blood therapy 수혈 치료 C3650835 [3.0] 10003361|10039311 2C.02.05.03 Means|IC 요법 H02207650 H02207634 Blood therapy 수혈 치료요법 C3650835 [3.0] 10003361|10039311 2C.02.05.03 Means|IC 요법 H02207675 H00284139 Chemotherapy 화학 치료 C3665472 [3.0] 10004209|10044583 2C.02.05.02 Means|IC 요법 H02207688 H00284139 Chemotherapy 화학 치료요법 C3665472 [3.0] 10004209|10044583 2C.02.05.02 Means|IC 요법 H02207691 H02207691 Chest therapy 폐물리 요법 [3.0] 10004221 2C.02.05.09 Means 요법 H02207704 H02207691 Chest therapy 폐물리 치료 [3.0] 10004221 2C.02.05.09 Means 요법 H02207717 H02207691 Chest therapy 폐물리 치료요법 [3.0] 10004221 2C.02.05.09 Means 요법 H02207732 H00352957 Compression therapy 압박 치료 C0565514 [3.0] 10030982|10035147 Means|IC 요법 H02207745 H00352957 Compression therapy 압박 치료요법 C0565514 [3.0] 10030982|10035147 Means|IC 요법 H02207758 H02207758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지속적인 기도 양압 C0199451 [3.0] 10041208 Means 요법 H02207761 H02207758 CPAP 지속적인 기도 양압 C0199451 [3.0] 10041208 Means 요법 H02207773 H02207773 Crisis therapy 위기 요법 C0010332 [3.0] 10005399 2C.02.05.19 Means 요법 H02207786 H02207773 Crisis therapy 위기 치료 C0010332 [3.0] 10005399 2C.02.05.19 Means 요법 H02207799 H02207773 Crisis therapy 위기 치료요법 C0010332 [3.0] 10005399 2C.02.05.19 Means 요법 H02207802 H02207802 Delusion management 망상관리 C0262686 [3.0] 10039307|10035802 Means|IC 요법 H02207815 H02207815 Diversional therapy 전환 요법 C0204581 [3.0] 10026637|10039348 Means|IC 요법 H02207828 H02207815 Diversional therapy 전환 치료 C0204581 [3.0] 10026637|10039348 Means|IC 요법 H02207831 H02207815 Diversional therapy 전환 치료요법 C0204581 [3.0] 10026637|10039348 Means|IC 요법 H02207843 H02207843 Intimate partner violence therapy 가정폭력 요법 C4032545 [3.0] 10046197|10044963 Means|IC 요법 H02207856 H02207843 Intimate partner violence therapy 가정폭력 치료 C4032545 [3.0] 10046197|10044963 Means|IC 요법 H02207869 H02207843 Intimate partner violence therapy 가정폭력 치료요법 C4032545 [3.0] 10046197|10044963 Means|IC 요법 H02207884 H00526276 Electric convulsive therapy 전기경련요법 C0013806 [3.0] 10036111 Means 요법 H02207901 H00526276 Electroconvulsive therapy 전기경련 치료 C0013806 [3.0] 10036111 Means 요법 H02207913 H00526276 Electroconvulsive therapy 전기경련 치료요법 C0013806 [3.0] 10036111 Means 요법 H02207926 H02207926 Electrolyte therapy 전해질 요법 C3650834 [3.0] 10031193|10039324 Means|IC 요법 H02207939 H02207926 Electrolyte therapy 전해질 치료 C3650834 [3.0] 10031193|10039324 Means|IC 요법 H02207941 H02207926 Electrolyte therapy 전해질 치료요법 C3650834 [3.0] 10031193|10039324 Means|IC 요법 H02207954 H02207954 Fall prevention 낙상 예방 C0150223 [3.0] 10040187|10040211 2C.02.04.03 Means|IC 요법 H02207967 H00624166 Family therapy 가족 요법 C0015618 [3.0] 10007667 2C.02.05.16 Means 요법 H02207982 H00624166 Family therapy 가족 치료요법 C0015618 [3.0] 10007667 2C.02.05.16 Means 요법 H02207995 H02207995 First aid 구급처치 C0016143 [3.0] 10007944 2C.02.08.02 Means 요법 H02208015 H00648087 Fluid therapy 수액 치료 C0016286 [3.0] 10031321|10039330 2C.02.05.23 Means|IC 요법 H02208028 H00648087 Fluid therapy 수액 치료요법 C0016286 [3.0] 10031321|10039330 2C.02.05.23 Means|IC 요법 H02208031 H02208031 Group therapy 집단 요법 C1527374 [3.0] 10008559 2C.02.05.17 Means 요법 H02208043 H02208031 Group therapy 집단 치료 C1527374 [3.0] 10008559 2C.02.05.17 Means 요법 H02208056 H02208031 Group therapy 집단 치료요법 C1527374 [3.0] 10008559 2C.02.05.17 Means 요법 H02208069 H02208069 Hallucination management 환각 관리 C0150244 [3.0] 10039278|10035818 Means|IC 요법 H02208071 H02208071 Humour therapy 유머 요법 C0597811 [3.0] 10009244|10039353 Means|IC 요법 H02208084 H02208071 Humour therapy 유머 치료 C0597811 [3.0] 10009244|10039353 Means|IC 요법 H02208097 H02208071 Humour therapy 유머 치료요법 C0597811 [3.0] 10009244|10039353 Means|IC 요법 H02208101 H02208101 Hydrotherapy 수치료요법 C0020311 [3.0] 10039266|10039209 Means|IC 요법 H02208113 H02208113 Infusion therapy 수액주입요법 C1551259 [3.0] 10010191 2C.02.05.25 Means 요법 H02208126 H02208113 Infusion therapy 수액주입 치료 C1551259 [3.0] 10010191 2C.02.05.25 Means 요법 H02208139 H02208113 Infusion therapy 수액주입 치료요법 C1551259 [3.0] 10010191 2C.02.05.25 Means 요법 H02208167 H00837781 Inhalation therapy 흡입 치료요법 C0021459 [3.0] 10010213|10044819 2C.02.05.24 Means|IC 요법 H02208170 H02208170 Intravenous therapy 정맥요법 C0455142 [3.0] 10010808 2C.02.05.05 Means 요법 H02208182 H01335489 Light therapy 빛 요법 C0031765 [3.0] 10041778|10035152 2B.9.0062 Means|IC 요법 H02208195 H01335489 Light therapy 광선 요법 C0031765 [3.0] 10041778|10035152 2B.9.0062 Means|IC 요법 H02208211 H01335489 Light therapy 빛 치료 C0031765 [3.0] 10041778|10035152 Means|IC 요법 H02208224 H01335489 Light therapy 광선치료 C0031765 [3.0] 10041778|10035152 Means|IC 요법 H02208237 H01335489 Light therapy 빛 치료요법 C0031765 [3.0] 10041778|10035152 Means|IC 요법 H02208240 H01335489 Light therapy 광선치료요법 C0031765 [3.0] 10041778|10035152 Means|IC 요법 H02208252 H02208252 Massage therapy 마사지 요법 C3536731 [3.0] 10041766|10039189 Means|IC 요법 H02208265 H02208252 Massage therapy 마사지 치료 C3536731 [3.0] 10041766|10039189 Means|IC 요법 H02208278 H02208252 Massage therapy 마사지 치료요법 C3536731 [3.0] 10041766|10039189 Means|IC 요법 H02208281 H02208252 Massage technique 마사지 기법 [3.0] 10041766 2C.9.0107 Means 요법 H02208293 H02208293 Milieu therapy 환경요법 C0026118 [3.0] 10012067 2C.02.05.20 Means 요법 H02208307 H02208293 Milieu therapy 환경 치료 C0026118 [3.0] 10012067 2C.02.05.20 Means 요법 H02208310 H02208293 Milieu therapy 환경 치료요법 C0026118 [3.0] 10012067 2C.02.05.20 Means 요법 H02208335 H01091115 Music therapy 음악 치료 C0026868 [3.0] 10012371|10039170 2C.02.05.14 Means|IC 요법 H02208348 H01091115 Music therapy 음악 치료요법 C0026868 [3.0] 10012371|10039170 2C.02.05.14 Means|IC 요법 H02208351 H02208351 Nutrition therapy 영양요법 C2937349 [3.0] 10013442 2C.02.05.07 Means 요법 H02208363 H02208351 Nutrition therapy 영양 치료 C2937349 [3.0] 10013442 2C.02.05.07 Means 요법 H02208376 H02208351 Nutrition therapy 영양 치료요법 C2937349 [3.0] 10013442 2C.02.05.07 Means 요법 H02208389 H02208389 Osteoporosis prevention 골다공증 예방 C3650929 [3.0] 10040207|10037501 Means|IC 요법 H02208405 H01256869 Oxygen therapy 산소 치료 C0184633 [3.0] 10013921|10039369 2C.02.05.01 Means|IC 요법 H02208418 H01256869 Oxygen therapy 산소 치료요법 C0184633 [3.0] 10013921|10039369 2C.02.05.01 Means|IC 요법 H02208446 H01348268 Play therapy 놀이 치료 C0032216 [3.0] 10014676|10039629 2C.02.05.15 Means|IC 요법 H02208459 H01348268 Play therapy 놀이 치료요법 C0032216 [3.0] 10014676|10039629 2C.02.05.15 Means|IC 요법 H02208461 H02208461 Pressure ulcer prevention 욕창 예방 C0150315 [3.0] 10040194|10040224 Means|IC 요법 H02208490 H01448048 Radiation therapy 방사선 치료요법 C0034619 [3.0] 10016293 2C.02.05.04 Means 요법 H02208529 H01448048 Radiotherapy 방사선 치료요법 C0034619 [3.0] 10016293 2C.02.05.04 Means 요법 H02208531 H02208531 Reality orientation therapy 현실인지요법 C3650753 [3.0] 10016451|10041072 2C.02.05.18 Means|IC 요법 H02208544 H02208531 Reality orientation therapy 현실인지 치료 C3650753 [3.0] 10016451|10041072 2C.02.05.18 Means|IC 요법 H02208557 H02208531 Reality orientation therapy 현실인지 치료요법 C3650753 [3.0] 10016451|10041072 2C.02.05.18 Means|IC 요법 H02208560 H02208560 Relaxation therapy 이완 요법 C0282333 [3.0] 10039297|10039191 2C.9.0080 Means|IC "요법. 정신적 긴장이 근긴장을 가져오기 때문에 반대로 근긴장을 일정한 훈련에 의해 이완시킴으로써 정신적 긴장을 풀고자 하는 정신요법의 일종. 대표적인 것으로 슐츠 J.H.Schultz의 자율훈련법, 야곱슨 E.J.Jacobson의 점진적 이완법이 있다. 심신증의 치료, 일반인의 스트레스해소, 정신통일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8572 H02208560 Relaxation therapy 이완 치료 C0282333 [3.0] 10039297|10039191 2C.9.0080 Means|IC "요법. 정신적 긴장이 근긴장을 가져오기 때문에 반대로 근긴장을 일정한 훈련에 의해 이완시킴으로써 정신적 긴장을 풀고자 하는 정신요법의 일종. 대표적인 것으로 슐츠 J.H.Schultz의 자율훈련법, 야곱슨 E.J.Jacobson의 점진적 이완법이 있다. 심신증의 치료, 일반인의 스트레스해소, 정신통일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8585 H02208560 Relaxation therapy 이완 치료요법 C0282333 [3.0] 10039297|10039191 2C.9.0080 Means|IC "요법. 정신적 긴장이 근긴장을 가져오기 때문에 반대로 근긴장을 일정한 훈련에 의해 이완시킴으로써 정신적 긴장을 풀고자 하는 정신요법의 일종. 대표적인 것으로 슐츠 J.H.Schultz의 자율훈련법, 야곱슨 E.J.Jacobson의 점진적 이완법이 있다. 심신증의 치료, 일반인의 스트레스해소, 정신통일 등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8598 H02208598 Reminiscence therapy 회상요법 C0150321 [3.0] 10016759|10039376 2C.02.05.21 Means|IC 요법 H02208601 H02208598 Reminiscence therapy 회상 치료 C0150321 [3.0] 10016759|10039376 2C.02.05.21 Means|IC 요법 H02208614 H02208598 Reminiscence therapy 회상 치료요법 C0150321 [3.0] 10016759|10039376 2C.02.05.21 Means|IC 요법 H02208627 H02208627 Respiratory therapy 호흡기계 치료 C0035239 [3.0] 10037085 Means 요법 H02208630 H02208630 Smoking cessation therapy 금연 요법 C1095963 [3.0] 10032774|10041086 Means|IC 요법 H02208642 H02208630 Smoking cessation therapy 금연치료 C1095963 [3.0] 10032774|10041086 Means|IC 요법 H02208655 H02208630 Smoking cessation therapy 금연치료요법 C1095963 [3.0] 10032774|10041086 Means|IC 요법 H02208668 H02208668 Validation therapy 인정 치료요법 C0556529 [3.0] 10026644|10039382 Means|IC 요법 H02208671 H02208668 Validation therapy 타당성 치료법 C0556529 [3.0] 10026644|10039382 Means|IC 요법 H02208683 H02208683 Traditional therapy 민간치료요법 C3650840 [3.0] 10019998|10039143 Means|IC "요법: 전통, 종교, 조상의 안내와 영적인 지침을 기초로 한 보건 의료실무와 관련된 문화; 질병의 원인에 대한 다양한 믿음; 자연적, 영적, 심령 또는 초자연적인 접근으로 사정 및 치료방법의 다양한 고유방법을 이용; 자연적인 치유, 예방, 보호, 재활." H02208700 H02208700 Drainage 배액 C0013103 [3.0] 1A.9.0004 Means "자연배액,흡인배액" H02208712 H02208712 Drip 점적 [3.0] 10006295 Means 수송기구 H02208725 H02208725 Pill box 약 상자 [3.0] 10014598 2C.01.07.33 Means 수송기구 H02208741 H02208741 Suction apparatus 흡인장치 [3.0] 10019029 2C.01.11.02 Means 수송기구 H02208781 H02208781 Urinary condom 배뇨 콘돔 [3.0] 10020387 Means 수송기구 H02208794 H02208794 Surgery 외과적 수술 C0038895 [3.0] 10019212 2C.02.03.03 Means 치료함 H02208836 H00240718 Cannula 캐뉼러 C0520453 [3.0] 10003856 Means 튜브 H02208877 H00285372 Chest tube 흉관 C0008034 [3.0] 10004232 2C.01.03.01 Means 튜브 H02208880 H00285372 Chest tube 흉곽튜브 C0008034 [3.0] 10004232 2C.01.03.01 Means 튜브 H02208892 H02208892 Endotracheal tube 기관내 튜브 C0336630 [3.0] 10006868 Means 튜브 H02208906 H02208906 Gastrointestinal tube 위장관튜브 C0184122 [3.0] 10008350 2C.01.03.02 Means 튜브 H02208919 H02208919 Intraperitoneal tube 복강내 튜브 [3.0] 10010733 Means 튜브 H02208921 H02208919 Intraperitoneal tube 배막안 튜브 [3.0] 10010733 Means 튜브 H02208934 H02208934 Oxygen tube 산소튜브 [3.0] 10013932 Means 튜브 H02208947 H02208947 Ventricular tube 뇌실튜브 [3.0] 10020715 2C.01.03.06 Means 튜브 H02208962 H02208962 Bicycle 자전거 C0005375 [3.0] 10003255 2C.01.11.17 Means 탈것 H02208975 H02208975 Wheelchair 휠체어 C0043143 [3.0] 10021052 2C.01.11.16 Means 탈것 H02208988 H02208988 Central line 중심정맥라인 C1145640 [3.0] 10004115 Means 정맥 캐뉼러 H02208991 H00272920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도관 C1145640 [3.0] 10004115 2C.9.0033 Means 정맥 캐뉼러 H02209023 H02209023 Gauze dressing 거즈 드레싱 C1998495 [3.0] 10008378 Means 상처 드레싱 H02209036 H02209036 Navel clip 탯줄 집게 [3.0] 2C.01.07.30 Means "태아 분만 후 배대혈관(동, 정맥)으로부터의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아기의 탯줄을 고정하는 클립." H02209049 H02209049 Meditation therapy 명상 요법 C0814263 [3.0] Means "심신요법의 가장 중요하고 기본이 되는 대체 의학적 수행법이며, 깊은 정신과 영혼의 단계를 들어가서 신념과 확신으로 문제를 극복해 가는 방법으로 자기 스스로 수행을 통해 의식의 변화를 가져 오게 하여 평온한 상태를 경험하고 신체의 뇌파,심장 박동등 생리적 균형과 화합을 이끌어 내는 방법." H02209064 H02209064 Abduction splint 벌림덧대 [3.0] 2C.9.0002 Means 덧대 H02209077 H02209064 Abduction splint 외전부목 [3.0] 2C.9.0002 Means 덧대 H02209080 H02209080 Admission method 입원방법 [3.0] 2C.9.0003 Means 응급실 | 외래 | 분만장 | 전원 입원 H02209092 H02209092 Air mattress 공기 매트리스 C0972397 [3.0] 2C.9.0004 Means 공기를 넣어 부풀게 할 수 있는 침대. H02209106 H02209106 Gik therapy GIK요법 [3.0] 2C.9.0005 Means "고급 포도당+인슐린+칼륨의 수액(輸液)을 실시하는 요법. 단순한 당질의 보급뿐이 아니라 대사를 개선하고 세포내 K의 취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투여법은 10% 포도당 500㎖에 인슐린 5~10단위, KCl 40mEq를 더해서 20㎖시의 속도로 점적(點滴)한다. 적응으로서는 급성심근경색, 개심술(開心術)후의 저심박출량증후군(低心拍出量症候群), 세균성쇼크 등이 있다. 점적실시중에는 혈당, 혈청칼륨치를 자주 확인한다.[간호학대사전]" H02209119 H02209106 Glucose insulin potassium therapy 글루코스인슐린칼륨요법 [3.0] 2C.9.0005 Means "고급 포도당+인슐린+칼륨의 수액(輸液)을 실시하는 요법. 단순한 당질의 보급뿐이 아니라 대사를 개선하고 세포내 K의 취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투여법은 10% 포도당 500㎖에 인슐린 5~10단위, KCl 40mEq를 더해서 21㎖시의 속도로 점적(點滴)한다. 적응으로서는 급성심근경색, 개심술(開心術)후의 저심박출량증후군(低心拍出量症候群), 세균성쇼크 등이 있다. 점적실시중에는 혈당, 혈청칼륨치를 자주 확인한다.[간호학대사전]" H02209121 H02209106 Alberti regimen 알베르티요법 [3.0] 2C.9.0005 Means "고급 포도당+인슐린+칼륨의 수액(輸液)을 실시하는 요법. 단순한 당질의 보급뿐이 아니라 대사를 개선하고 세포내 K의 취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투여법은 10% 포도당 500㎖에 인슐린 5~10단위, KCl 40mEq를 더해서 22㎖시의 속도로 점적(點滴)한다. 적응으로서는 급성심근경색, 개심술(開心術)후의 저심박출량증후군(低心拍出量症候群), 세균성쇼크 등이 있다. 점적실시중에는 혈당, 혈청칼륨치를 자주 확인한다.[간호학대사전]" H02209150 H02209150 Ankle foot orthosis 발목 지지대 [3.0] 2C.9.0008 Means "여러가지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첨족(尖足), 내반족(内反足), 하수족(下垂足), 종족(踵足), 슬절(膝折) 등에 대하여, 선자세(立位)나 보행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족관절의 배굴(背屈)ㆍ저굴(底屈)의 보조, 제한, 고정, 그 위에 슬관절(膝關節)의 콘트롤, 하퇴(下腿)나 족부(足部)에의 체중면하(體重免荷), 관절의 변형방지를 행하기 위한 장구(裝具)이다. 기본적으로는 금속지주(2개 또는 1개), 하퇴반월(下腿半月), 족계수(足繼手) (후방제동, 전방제동, 크렌자크, 역크렌자크), 족부(足部) (구두 등)로 구성되어 있다. 특수한 것으로서, shoe horn brace(플라스틱제), 와이어나 스프링을 사용한 것, 후방지주(後方支柱)의 것, shoe clasp, 나선형장구(플라스틱제), 주저족(舟底足)과 쿠션힐을 짜맞춘 것 등이 있다. 플라스틱제품은 탄력성과 무게가 가벼워 많이 이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162 H02209150 AFO 발목 지지대 [3.0] 2C.9.0008 Means "여러가지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첨족(尖足), 내반족(内反足), 하수족(下垂足), 종족(踵足), 슬절(膝折) 등에 대하여, 선자세(立位)나 보행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족관절의 배굴(背屈)ㆍ저굴(底屈)의 보조, 제한, 고정, 그 위에 슬관절(膝關節)의 콘트롤, 하퇴(下腿)나 족부(足部)에의 체중면하(體重免荷), 관절의 변형방지를 행하기 위한 장구(裝具)이다. 기본적으로는 금속지주(2개 또는 1개), 하퇴반월(下腿半月), 족계수(足繼手) (후방제동, 전방제동, 크렌자크, 역크렌자크), 족부(足部) (구두 등)로 구성되어 있다. 특수한 것으로서, shoe horn brace(플라스틱제), 와이어나 스프링을 사용한 것, 후방지주(後方支柱)의 것, shoe clasp, 나선형장구(플라스틱제), 주저족(舟底足)과 쿠션힐을 짜맞춘 것 등이 있다. 플라스틱제품은 탄력성과 무게가 가벼워 많이 이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175 H02209150 Short leg brace 단하지보조기 [3.0] 2C.9.0008 Means "여러가지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첨족(尖足), 내반족(内反足), 하수족(下垂足), 종족(踵足), 슬절(膝折) 등에 대하여, 선자세(立位)나 보행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족관절의 배굴(背屈)ㆍ저굴(底屈)의 보조, 제한, 고정, 그 위에 슬관절(膝關節)의 콘트롤, 하퇴(下腿)나 족부(足部)에의 체중면하(體重免荷), 관절의 변형방지를 행하기 위한 장구(裝具)이다. 기본적으로는 금속지주(2개 또는 1개), 하퇴반월(下腿半月), 족계수(足繼手) (후방제동, 전방제동, 크렌자크, 역크렌자크), 족부(足部) (구두 등)로 구성되어 있다. 특수한 것으로서, shoe horn brace(플라스틱제), 와이어나 스프링을 사용한 것, 후방지주(後方支柱)의 것, shoe clasp, 나선형장구(플라스틱제), 주저족(舟底足)과 쿠션힐을 짜맞춘 것 등이 있다. 플라스틱제품은 탄력성과 무게가 가벼워 많이 이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188 H02209150 SLB 단하지보조기 [3.0] 2C.9.0008 Means "여러가지의 원인으로 일어나는 첨족(尖足), 내반족(内反足), 하수족(下垂足), 종족(踵足), 슬절(膝折) 등에 대하여, 선자세(立位)나 보행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족관절의 배굴(背屈)ㆍ저굴(底屈)의 보조, 제한, 고정, 그 위에 슬관절(膝關節)의 콘트롤, 하퇴(下腿)나 족부(足部)에의 체중면하(體重免荷), 관절의 변형방지를 행하기 위한 장구(裝具)이다. 기본적으로는 금속지주(2개 또는 1개), 하퇴반월(下腿半月), 족계수(足繼手) (후방제동, 전방제동, 크렌자크, 역크렌자크), 족부(足部) (구두 등)로 구성되어 있다. 특수한 것으로서, shoe horn brace(플라스틱제), 와이어나 스프링을 사용한 것, 후방지주(後方支柱)의 것, shoe clasp, 나선형장구(플라스틱제), 주저족(舟底足)과 쿠션힐을 짜맞춘 것 등이 있다. 플라스틱제품은 탄력성과 무게가 가벼워 많이 이용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217 H00098572 Antiemetics 제토제 C0003297 [3.0] 2C.9.0009 Means "중추성과 말초성의 두 개가 있다. 중추성제토약은 중추신경억제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많고, 바비튜산유도체, 브롬화합물 등의 최면약, 스코포라민 등의 항콜린작용약, 지멘히드리나트 등의 항히스타민제, 클로르프로마진 등의 정온제 등이 있다. 말초성제토제에는 물에 녹기 어려운 아미노안식향산에틸 등의 국소마취제에 의한 위점막마취(胃粘膜痲醉)로 반사성구토억제, 아트로핀 등의 콜린작용약에 의한 위의 운동억제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273 H00112589 Arm sling 팔걸이 붕대 C0183347 [3.0] 2C.9.0015 Means "An arm sling is a device intended for medical purposes to immobilize the arm, by means of a fabric band suspended from around the neck.[SPN/PT]" H02209286 H02209286 Arterial catheter 동맥도관 C0581447 [3.0] 2C.9.0016 Means 동맥에 삽입하여 혈액을 뽑거나 직접 혈압을 잴 수 있는 관 모양의 기구.[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09299 H00496943 Artificial milk 조제분유 [3.0] 2C.9.0017 Means "인공영양아를 위하여 조제된 분유로, 성분조성을 될 수 있으면 모유에 비슷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전분유에 당질, 비타민, 미네랄 기타를 첨가하고 있어, 통상 인공영양아에 주는 경우에는 약 15%로 되도록 녹이면 된다.[간호학대사전]" H02209315 H02209315 Baby protector 신생아 보호대 [3.0] 2C.9.0019 Means 안전 장치 H02209328 H02209328 Back brace 등 지지대 C0179188 [3.0] 2C.9.0020 Means "a brace worn to support the back[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2209343 H02209343 Biliary t tube 담즘배액용 T 튜브 C0444239 [3.0] 2C.9.0022 Means 튜브 H02209369 H00187806 Bladder irrigation 방광세척 C0194423 [3.0] 2C.9.0025 Means "방광을 액체(증류수, 생리식염액, 약액)로 세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방광출혈 등으로 방광 탐포나이드가 일어났을 때에 이것을 제거할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경우와, 방광질환을 위해 약액을 주입해서 세정하고 치료하려는 경우가 있다. 약액으로서는 0.1% 바놀액, 3000배의 질산은 액 등이 있다. 이 방법은 경요도적으로 도관를 삽입해서 액체를 주입하는데 이 경우 챠네방광세정기가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09371 H00187806 Bladder lavage 방광세정 C3522834 [3.0] 2C.9.0025 Means "방광을 액체(증류수, 생리식염액, 약액)로 세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방광출혈 등으로 방광 탐포나이드가 일어났을 때에 이것을 제거할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경우와, 방광질환을 위해 약액을 주입해서 세정하고 치료하려는 경우가 있다. 약액으로서는 0.1% 바놀액, 3000배의 질산은 액 등이 있다. 이 방법은 경요도적으로 도관를 삽입해서 액체를 주입하는데 이 경우 챠네방광세정기가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09384 H02209384 Breast binder 유방띠 C0179305 [3.0] 2C.9.0028 Means "A therapeutic medical binder is a device, usually made of cloth, that is intended for medical purposes and that can be secured by ties so that it supports the underlying part of the body or holds a dressing in place. This generic type of device includes the abdominal binder, breast binder, and perineal binder.[SPN/PT]" H02209397 H02209397 Breast pump 유축기 C0182541 [3.0] 2C.9.0029 Means "Aspirators designed to obtain milk from the breast of breastfeeding mothers by means of vacuum suction. They generally consist of an electric (battery- or line-powered) vacuum pump with a low flow rate, a cone-shaped cup (i.e., breast-shield), and a milk collection container. Manual breast aspirators with a pump that includes a handle, lever, or uses a rubber ball are also available.[UMD/PT]" H02209401 H00257502 Cathartic 하제 C0007422 [3.0] 2C.9.0031 Means 연동운동의 자극 또는 장 내용물의 부피증가 등에 의하여 설사를 일으키게 하는 약물. H02209467 H00097742 Carcinostatis substance 항암제 [3.0] 2C.9.0034 Means "암뿐만 아니라, 악성종양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화학적 성질에 의하여 세포독으로서 작용하는 것에 알킬화제(나이트로젠마스타드, 트리에티렌메라닝 등), 대사길항제(퓨린대사길항제, 필리미진대사길항제, 엽산대사길항제, 글타민대사길항제), 식물알칼로이드(빈알칼로이드, 코르히틴 등), 항생물질(잘코마이신, 마이트마이신C, 아크티노마이신D, 다우노마이신, 블레오마이신, 다그티노마이신, 네오칼티노스타틴 등), 기타(아스파라기나제, OK-432, 레티닌 등)이 있고, 대부분은 종양세포의 핵산(核酸), 누크레오티도대사에 영향을 주는 물질이다. 기타, 종양세포의 증식인자를 억제하는 것(성호르몬, 부신피질호르몬)이나 항종양면역촉진제가 있다. 후자는 뚜렷한 효과가 있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고 현재 악성종양의 예방요법과 함께 연구중인 약물이다.[간호학대사전]" H02209470 H02209470 Chemoport 케모포트 [3.0] 2C.9.0035 Means "중심정맥에 삽입되는 관의 일종. 항암제와 항생제·혈액성분과 같은 정맥주사가 계속적으로 필요한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다. 종합비경구영양법·혈액채취 등에도 이용된다. 케모포트는 쇄골하정맥을 통하여 삽입하며, 카테터의 입구를 피하조직에 설치한 것으로, 밖에 노출된 부분이 없어 관리가 쉽다. 포털(Portal)과 카테터로 구성되어 있어 카테터의 한쪽 끝은 혈관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피하에 설치된 포털에 연결된다.[두산백과]" H02209482 H02209482 Chemoprophylaxis 화학예방법 C0282515 [3.0] 2C.9.0036 Means "1) 특정 질환의 발현(發現)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화학요법제를 사용하는것. 2) 화학요법제를 사용해서 전염병의 감염 또는 발병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말라리아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실시되고 있었고 결핵, 두창(豆瘡), 인플루엔자 등에 관해서도 유효하다고 한다. 화학적 예방의 문제점은 현실적으로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사람이 장기에 걸쳐서 복약을 필요로 하는 점이고 유효한지 여부의 판정에 상당히 오랜 세월을 요한다." H02209495 H02209482 Chemoprophylaxis 예방적 화학치료 C0282515 [3.0] 2C.9.0036 Means "1) 특정 질환의 발현(發現)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화학요법제를 사용하는것. 3) 화학요법제를 사용해서 전염병의 감염 또는 발병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말라리아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실시되고 있었고 결핵, 두창(豆瘡), 인플루엔자 등에 관해서도 유효하다고 한다. 화학적 예방의 문제점은 현실적으로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사람이 장기에 걸쳐서 복약을 필요로 하는 점이고 유효한지 여부의 판정에 상당히 오랜 세월을 요한다." H02209509 H02209482 Chemoprophylaxis 화학적예방 C0282515 [3.0] 2C.9.0036 Means "1) 특정 질환의 발현(發現)을 예방하는 방법으로서 화학요법제를 사용하는것. 2) 화학요법제를 사용해서 전염병의 감염 또는 발병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말라리아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실시되고 있었고 결핵, 두창(豆瘡), 인플루엔자 등에 관해서도 유효하다고 한다. 화학적 예방의 문제점은 현실적으로 증상을 나타내지 않은 사람이 장기에 걸쳐서 복약을 필요로 하는 점이고 유효한지 여부의 판정에 상당히 오랜 세월을 요한다." H02209511 H02209511 Chest percussion 흉부타진법 C1285807 [3.0] 2C.9.0037 Means 타진함 H02209524 H02209524 Cold and warm application 냉온요법 [3.0] 2C.9.0038 Means 요법 H02209537 H02209537 Cold therapy 냉요법 C0010412 [3.0] 2C.9.0039 Means "피부에 찬 것을 대주어 피부와 근육을 냉각시키는 것.얼음 마사지,얼음주머니, 화학물질팩,냉수욕,분무제 사용등이 있음. " H02209540 H02209540 Heat therapy 온요법 C0020548 [3.0] 2C.9.0039 Means "감염부위의 화농을 촉진, 동통과 근경련을 감소, 혈액순환 촉진, 울혈이나 부종을 완화시키고, 저체온을 정상체온으로 올리기위해, 또는 신체를 따뜻하게 하여 편안하게 해 주기 위해 아픈 부위에 손상이 가지 않을 정도록 따뜻한 물주머니를 대주는 요법." H02209552 H02209552 Contraceptive method 피임방법 C0700589 [3.0] 2C.9.0040 Means "Prevention of CONCEPTION by blocking fertility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ERILIZATION, REPRODUCTIVE). Common means of reversible contraception include NATURAL FAMILY PLANNING METHODS; CONTRACEPTIVE AGENTS; or CONTRACEPTIVE DEVICES.[MSH/MH]" H02209565 H02209565 Cooking therapy 요리요법 [3.0] 2C.9.0041 Means 요법 H02209578 H00403476 Cradle 이피가 [3.0] 2C.9.0042 Means "1.이피가(離被架).환자를 따뜻하게 하거나 냉각하기 위하여, 또는 상처가 침대의 이불과 접촉되지 않게 보호하기 위하여 침대에 누운 환자의 신체위에 얹는 틀 혹은 장치.2. 요람(搖籃)" H02209593 H00403476 Cradle 크래들 [3.0] 2C.9.0042 Means "1.이피가(離被架).환자를 따뜻하게 하거나 냉각하기 위하여, 또는 상처가 침대의 이불과 접촉되지 않게 보호하기 위하여 침대에 누운 환자의 신체위에 얹는 틀 혹은 장치.2. 요람(搖籃)" H02209607 H02209607 Cricothyroidotomy 윤상갑상연골절개 C0396429 [3.0] 2C.9.0043 Means 상부기도폐색의 응급치료로서 공기구멍을 확보하기 위해 피부와 윤상갑상막(輪狀甲狀膜)을 통하여 하는 절개 H02209610 H02209607 Cricothyroidotomy 윤상갑상연골절개술 C0396429 [3.0] 2C.9.0043 Means 상부기도폐색의 응급치료로서 공기구멍을 확보하기 위해 피부와 윤상갑상막(輪狀甲狀膜)을 통하여 하는 절개 H02209622 H02209607 Cricothyrotomy 반지방패연골절개 C3826502 [3.0] 2C.9.0043 Means 상부기도폐색의 응급치료로서 공기구멍을 확보하기 위해 피부와 윤상갑상막(輪狀甲狀膜)을 통하여 하는 절개 H02209635 H02209607 Cricothyrotomy 반지방패연골절개술 C3826502 [3.0] 2C.9.0043 Means 상부기도폐색의 응급치료로서 공기구멍을 확보하기 위해 피부와 윤상갑상막(輪狀甲狀膜)을 통하여 하는 절개 H02209648 H02209607 Cricothyrotomy 윤상갑상막절개술 C3826502 [3.0] 2C.9.0043 Means 상부기도폐색의 응급치료로서 공기구멍을 확보하기 위해 피부와 윤상갑상막(輪狀甲狀膜)을 통하여 하는 절개 H02209663 H02209663 Cystostomy tube 방광루관 C0564683 [3.0] 2C.9.0047 Means 튜브 H02209676 H02209663 Cystostomy tube 방광루 튜브 C0564683 [3.0] 2C.9.0047 Means 튜브 H02209689 H02209689 Data analysis 자료분석 C0010992 [3.0] 2C.9.0048 Means 조사나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정보의 연구와 처리[사회학사전] H02209705 H02209705 Delivery mode 분만형태 C1555567 [3.0] 2C.9.0050 Means 기법 H02209721 H02209721 Diet method 식사방법 [3.0] 2C.9.0052 Means 소량씩 나누어 천천히 섭취 | 수분섭취 제한 | 수분섭취 격려 식사요법 H02209746 H02209746 Drinking water 음용수 C0599638 [3.0] 2C.9.0056 Means "음용으로 제공되는 물을 말하고 음료수라고도 한다. 사람이 생활기능을 영유하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은 빼놓을 수 없는 것이고 음식은 3~5주일 정도 섭취하지 않아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데 물은 5~7일이상 마시지 않으면 사망한다고 한다. 이와같이 물은 인간의 생활환경과 불가결의 관계에 있으며, 물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크다. 따라서 음용으로 제공하는 물은 그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질좋은 음용수로서는 다음의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1) 무미, 무취, 무색 투명할 것, (2)중성이고 경도가 낮은 것, (3) 병원미생물, 유독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것. 그러나 미처리의 음용수에서는 이들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이 적으므로 음용수는 일정한 처리를 한 뒤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759 H02209746 Drinking water 음료수 C0599638 [3.0] 2C.9.0056 Means "음용으로 제공되는 물을 말하고 음료수라고도 한다. 사람이 생활기능을 영유하고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은 빼놓을 수 없는 것이고 음식은 3~5주일 정도 섭취하지 않아도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데 물은 5~7일이상 마시지 않으면 사망한다고 한다. 이와같이 물은 인간의 생활환경과 불가결의 관계에 있으며, 물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극히 크다. 따라서 음용으로 제공하는 물은 그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질좋은 음용수로서는 다음의 조건을 갖추고 있지 않으면 안된다. (1) 무미, 무취, 무색 투명할 것, (2)중성이고 경도가 낮은 것, (3) 병원미생물, 유독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것. 그러나 미처리의 음용수에서는 이들 조건을 갖추고 있는 것이 적으므로 음용수는 일정한 처리를 한 뒤에 사용할 필요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761 H02209761 Hydrocolloid dressing 수성콜로이드 드레싱 C0122734 [3.0] 2C.9.0059 Means "겔을 형성하여 상처표면을 촉촉하게 하고, 괴사조직을 자연분해하며 외부의 박테리아로부터 보호하는 폐쇄성 드레싱으로 방수가 되므로 목욕이 가능함.[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02209774 H02209774 Dry heat therapy 건열요법 [3.0] 2C.9.0058 Means "온열을 몸에 적용해서 의료효과를 구하는 온열요법가운데, 건조한 공기, 그밖의 것을 가열해서 적용하는 것이고 증기 등을 이용하는 습열에 대비하는 말이다. 열기욕(熱氣浴)은 그 대표적인 것이고, 그밖에 모래찜질, 로마탕, 사우나탕 등도 이 범주에 든다. 또 더운 물주머니 가운데 건조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 일종의 건열요법이라고 할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09787 H02209787 Duoderm 듀오덤 C0058802 [3.0] 2C.9.0059 Means 수성콜로이드 드레싱 H02209816 H02209816 Elastic brassiere 탄력 브래지어 [3.0] 2C.9.0062 Means 지지기구 H02209829 H02209829 Epidural catheter 경막외 도관 C0179751 [3.0] 2C.9.0063 Means "Spinal catheters used in the space (epidural space) outside the outermost membrane (dura mater) covering the spinal cord; the epidural space separates the spinal dura mater from the enclosing vertebrae. These catheters are introduced using special needles, and their distal tip is advanced into the epidural space to the desired spinal segment (e.g., lumbar). Epidural spinal catheters may be tunneled, using either an external injection hub or a subcutaneous port for bolus administration or infusion via an external pump; these systems are used for temporary procedures (e.g., surgery, delivery) or in patients whose life expectancy is very short. Otherwise, the epidural catheters are attached to a subcutaneous implanted infusion pump for continuous infusion in relatively long-term procedures, such as steroid treatment of inflammatory irritation of the nerve roots or opioid (e.g., morphine) administration to cancer patients with long life expectancy.[UMD/PT]" H02209831 H02209829 Epidural catheter 경막외 카테터 C0179751 [3.0] 2C.9.0063 Means "Spinal catheters used in the space (epidural space) outside the outermost membrane (dura mater) covering the spinal cord; the epidural space separates the spinal dura mater from the enclosing vertebrae. These catheters are introduced using special needles, and their distal tip is advanced into the epidural space to the desired spinal segment (e.g., lumbar). Epidural spinal catheters may be tunneled, using either an external injection hub or a subcutaneous port for bolus administration or infusion via an external pump; these systems are used for temporary procedures (e.g., surgery, delivery) or in patients whose life expectancy is very short. Otherwise, the epidural catheters are attached to a subcutaneous implanted infusion pump for continuous infusion in relatively long-term procedures, such as steroid treatment of inflammatory irritation of the nerve roots or opioid (e.g., morphine) administration to cancer patients with long life expectancy.[UMD/PT]" H02209844 H02209844 Abduction pillow 외전용 베개 [3.0] 2C.9.0065 Means 고관절 탈구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리를 벌려놓는 장치. H02209857 H02209857 External ventricular drain 체외뇌실배액관 [3.0] 2C.9.0066 Means "a ventricular catheter connected to a drainage system and a closed collection bag. It allows the clinician to control fluid flow and, to some extent, pressure in the cranial vault.[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09860 H02209857 EVD 뇌실외배액관 [3.0] 2C.9.0066 Means "a ventricular catheter connected to a drainage system and a closed collection bag. It allows the clinician to control fluid flow and, to some extent, pressure in the cranial vault.[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09872 H02209872 Fetal acoustic stimulation test 태아청각자극검사 C0431023 [3.0] 2C.9.0067 Means "a test used to assess fetal health in compromised pregnancies; a vibroacoustic stimulus such as an electronic artificial larynx is applied either externally or directly to the fetus and resultant fetal movements, cardioacceleration, and alterations in respiration are compared to those of normal fetuses.[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09885 H02209872 FAST 태아음향자극검사 [3.0] 2C.9.0067.S.001 Means "a test used to assess fetal health in compromised pregnancies; a vibroacoustic stimulus such as an electronic artificial larynx is applied either externally or directly to the fetus and resultant fetal movements, cardioacceleration, and alterations in respiration are compared to those of normal fetuses.[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09914 H02209914 Gastrostomy tube 위루관 C0150595 [3.0] 2C.9.0070 Means "위로 영양분을 주거나, 액체나 독물을 삼켰을 때 제거해 주거나 또는 위의 압력을 제거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튜브.[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09927 H02209914 Gastrostomy tube 위루 튜브 C0150595 [3.0] 2C.9.0070 Means "위로 영양분을 주거나, 액체나 독물을 삼켰을 때 제거해 주거나 또는 위의 압력을 제거해 주기 위해 사용되는 튜브.[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09968 H00702606 GCS 글래스고혼수척도 C0017594 [3.0] 2C.9.0072.S.001 Means "1) 자발적인 눈뜨기 반응, 언어반응, 운동반응의 세부분으로 측정되는 임상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객관적인 측정도구이다. 2) GCS는 두부외상환자의 신경학적 평가를 정확하고도 간편하게 행하기 위해 Jannett 등이 발표한 기준이다. 개안, 통증자극으로 인한 사지의 반응 및 언어기능의 3대항목이 각각 4(4 : 자발적 개안, 3 : 부르는 소리에 개안, 2 : 통증자극시 개안 1 : 개안하지 않음, 6(6 : 자발적, 5 : 동통부위 인식가능, 5 : 도피굴곡가능, 3 : 이상굴곡반응, 2 : 사지진전반응, 1 : 전혀 움직이지 않음) 및 5(5 : 대화가 가능 4 : 회화혼란, 3 : 언어혼란, 2 : 이해할 수 없는 신음소리, 1 : 없음) 단계로 수치화되고 합계점수(만점 : 15)로 환자의 상태를 평가할 수가 있다. GCS는 환자의 예후판정에 유용하고 7이하는 예후불량이라는 보고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209971 H02209971 Halo vest 할로베스트 [3.0] 2C.9.0073 Means "목과 머리를 고정하는 데 이용하는 정형외과 장치. 어깨의 끈과 두개골 주위에 밴드를 사용, 핀으로 두개골에 고정해 체간과 연결되도록 한다. 경추의 손상과 탈구 치료 및 경부수술 후 고정 자세의 유지에 이용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09983 H02209983 Head flat position 평위 [3.0] 2C.9.0074 Location 자세 H02209996 H02209983 Supine without pillow 베개없는 앙와위 [3.0] 2C.9.0074 Means 자세 H02210003 H02210003 Hemovac 헤모박 [3.0] 2C.9.0075 Means "trademark for a portable wound suction device that is compressed to provide gentle suction; an internal spring slowly expands to create a negative suction pressure of approximately 45 mg Hg.[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0016 H02210016 Heparin lock 헤파린 잠금장치 C1608324 [3.0] 2C.9.0076 Means An indwelling venous catheter used when intravenous infusions or withdrawal of venous blood for testing must be performed repeatedly over an extended period; between uses it is filled with the anticoagulant heparin.[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210029 H02210016 Heparin lock 헤파린 도관 C1608324 [3.0] 2C.9.0076 Means An indwelling venous catheter used when intravenous infusions or withdrawal of venous blood for testing must be performed repeatedly over an extended period; between uses it is filled with the anticoagulant heparin.[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210057 H00761105 Hickman catheter 히크만도관 C0179762 [3.0] 2C.9.0078 Means "약물 주입 및 채혈을 위해 정맥에 삽입하는 관. 정맥을 통하여 중심정맥에 삽입하는 중심정맥카테터(central venous catheter)의 일종이다. 혈관을 별도로 확보할 필요가 없으므로 항암치료 등 반복해서 정맥주사가 필요한 환자에게 유용하다. 항암제는 물론 항생제와 혈액성분 주사, 종합비경구 영양법, 혈액채취 등에도 쓸 수 있어 의료시술 행위 전반에 큰 역할을 하는 의료기기이다. 쇄골하정맥을 통하여 삽입하는데, 대개 국소마취 상태에서 외과의사에 의해 시술된다. 인체와 외부를 연결시키므로 삽입 부위를 항상 소독해야 하고, 헤파린용액을 주입하여 통로가 막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삽입 부위가 빨개지거나 부으면서 아프고 냄새가 나며 분비물이 있을 때, 38도 이상의 열이 날 때, 카테터가 새거나 액체가 흘러나올 때 또는 막혔을 때, 데이크론 커프스(dacron cuffs)가 피부 밖으로 나왔을 때는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교체해야 한다.[두산백과]" H02210072 H02210072 Ice chip 얼음조각 [3.0] 2C.9.0079 Means "Ice chips are small pieces of ice, usually smaller than ice cubes. They are often recommended before surgery or an invasive medical procedure. They may help to prevent oral mucositis or mouth sores associated with high-dose chemotherapy.[Wikipedia]" H02210101 H00818220 Incentive spirometer 보상성 폐활량계 C0454512 [3.0] 2C.9.0081 Means "흡식량에 대한 시각적인 되먹임을 제공함으로써 자발적인 심호흡을 격려하도록 하는 방법. 특별하게 만든 폐활량계를 사용하여, 환자는 설정한 양에 도달할 때까지 흡입하며, 그런 다음 3~5초 동안 숨을 참아 흡기량을 유지한다. 유발성 폐활량 측정은 무기폐와 폐경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10114 H00818220 Incentive spirometry 유발성 폐활량측정 C0454512 [3.0] 2C.9.0081 Means "흡식량에 대한 시각적인 되먹임을 제공함으로써 자발적인 심호흡을 격려하도록 하는 방법. 특별하게 만든 폐활량계를 사용하여, 환자는 설정한 양에 도달할 때까지 흡입하며, 그런 다음 3~5초 동안 숨을 참아 흡기량을 유지한다. 유발성 폐활량 측정은 무기폐와 폐경화의 위험을 감소시킨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10127 H00827124 Indwelling catheter 유치도관 C0007439 [3.0] 2C.9.0083 Means "1) 요도의 적당한 위치에 머물게 하는 카테터. 3) 요로에 삽입된 카테터를 그대로의 위치로 고정하고 탈락하지 않도록 한 상태를 말한다. 비뇨기과에서는 방광유치카테터가 가장 빈도가 높게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전립선, 방광경부질환, 요도협착, 외상 등에서 이용되며 방광에서 요류를 확보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넬라톤카테터, 발룬카테터가 이용되는데 세정용으로는 쓰리웨이카테터가 이용된다. 방광 이외에도 요관, 신우에 유치하는 경우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0142 H00827124 Indwelling catheter 유치도뇨관 C0007439 [3.0] 2C.9.0083 Means "1) 요도의 적당한 위치에 머물게 하는 카테터. 2) 요로에 삽입된 카테터를 그대로의 위치로 고정하고 탈락하지 않도록 한 상태를 말한다. 비뇨기과에서는 방광유치카테터가 가장 빈도가 높게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전립선, 방광경부질환, 요도협착, 외상 등에서 이용되며 방광에서 요류를 확보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넬라톤카테터, 발룬카테터가 이용되는데 세정용으로는 쓰리웨이카테터가 이용된다. 방광 이외에도 요관, 신우에 유치하는 경우도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0168 H02210168 Inspirometer 흡기측정계 [3.0] 2C.9.0085 Means 흡식된 공기의 양을 계측하는 기계. H02210183 H02210183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aining 인간관계훈련 [3.0] 2C.9.0087 Means 훈련시킴 H02210196 H02210196 Intracranial catheter 두개내 도관 C0441133 [3.0] 2C.9.0088 Means 도관 H02210200 H02210196 Intracranial catheter 두개내 카테터 C0441133 [3.0] 2C.9.0088 Means 도관 H02210212 H02210212 Intravenous catheter insertion 정맥도관 삽입술 [3.0] 2C.9.0089 Means 시술 H02210241 H02210241 Iron supplement 철분제제 C0721124 [3.0] 2C.9.0091 Means 약물 H02210253 H02210253 Irrigation solution 세척액 C0593225 [3.0] 2C.9.0092 Means A solution or suspension used to bathe or flush open wounds or body cavities.[NCI/PT] H02210266 H02210266 Jackson pratt drain JP 배액관 C1272738 [3.0] 2C.9.0094 Means "a closed wound drainage system comprising a drainage tube and collection vessel.[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0279 H02210266 Jp drain JP 배액관 [3.0] 2C.9.0094 Means "a closed wound drainage system comprising a drainage tube and collection vessel.[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0281 H02210281 Kidney pan 곡반 [3.0] 2C.9.0095 Means A body waste receptacle is a device intended for medical purposes tht is not attached to the body and that is used to collect the body wastes of a bed patient.[SPN/PT] H02210294 H02210294 Knee chest position 무릎가슴자세 C0277810 [3.0] 2C.9.0097 Location "항문검진, 내성기검진, 자궁전위 교정, 태아위치교정 등을 위해 환자에게 취하게 하는 체위이다. 복와(腹臥)의 자세로 무릎을 직각으로 구부려 대퇴를 배에 수직으로 하게해 둔부를 높이 들어 올린 체위이다. 이때 중심은 가슴과 무릎에 두도록 한다. 또 두팔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부려 손을 깎지 끼고 얼굴을 옆으로 향하게 하거나 또는 이마를 두손등에 올려놓는다.[간호학대사전]" H02210308 H02210294 Knee chest position 슬흉위 C0277810 [3.0] 2C.9.0097 Location "항문검진, 내성기검진, 자궁전위 교정, 태아위치교정 등을 위해 환자에게 취하게 하는 체위이다. 복와(腹臥)의 자세로 무릎을 직각으로 구부려 대퇴를 배에 수직으로 하게해 둔부를 높이 들어 올린 체위이다. 이때 중심은 가슴과 무릎에 두도록 한다. 또 두팔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구부려 손을 깎지 끼고 얼굴을 옆으로 향하게 하거나 또는 이마를 두손등에 올려놓는다.[간호학대사전]" H02210311 H02210311 Lamaze breathing 라마즈호흡법 [3.0] 2C.9.0098 Means "A technique of psychoprophylactic preparation for childbirth, designed to minimize the pain of labor.[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210323 H02210323 Lateral position 측위 C0444379 [3.0] 2C.9.0099 Location "인간이 취하는 기본적인 체위의 하나로 횡와위(橫臥位)라고도 한다. 환자의 체측(體側)을 아래로 하여 옆으로 향하게 하여 상측(上側)의 하지(下肢)를 앞으로 가법게 구부려 하측의 하지(下肢)를 가볍게 끌어 당긴다. 상지(上肢)는 얼굴의 근처로 가볍게 구부린 체위이다. 좌우 어느쪽의 체측을 아래로 하는가에 의하여 좌측와위와 우측와위의 둘로 나누어진다. 배부(背部)의 진찰이나 간호, 관장이나 장세착등의 경우에는 이 체위를 취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0336 H02210323 Lateral position 측와위 C0444379 [3.0] 2C.9.0099 Location "인간이 취하는 기본적인 체위의 하나로 횡와위(橫臥位)라고도 한다. 환자의 체측(體側)을 아래로 하여 옆으로 향하게 하여 상측(上側)의 하지(下肢)를 앞으로 가법게 구부려 하측의 하지(下肢)를 가볍게 끌어 당긴다. 상지(上肢)는 얼굴의 근처로 가볍게 구부린 체위이다. 좌우 어느쪽의 체측을 아래로 하는가에 의하여 좌측와위와 우측와위의 둘로 나누어진다. 배부(背部)의 진찰이나 간호, 관장이나 장세착등의 경우에는 이 체위를 취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0349 H02210323 Lateral position 횡와위 C0444379 [3.0] 2C.9.0099 Location "인간이 취하는 기본적인 체위의 하나로 횡와위(橫臥位)라고도 한다. 환자의 체측(體側)을 아래로 하여 옆으로 향하게 하여 상측(上側)의 하지(下肢)를 앞으로 가법게 구부려 하측의 하지(下肢)를 가볍게 끌어 당긴다. 상지(上肢)는 얼굴의 근처로 가볍게 구부린 체위이다. 좌우 어느쪽의 체측을 아래로 하는가에 의하여 좌측와위와 우측와위의 둘로 나누어진다. 배부(背部)의 진찰이나 간호, 관장이나 장세착등의 경우에는 이 체위를 취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0351 H02210351 Levin tube 레빈관 [3.0] 2C.9.0100 Means 위내압 감소 또는 영양공급을 위한 위장관 삽입에 사용되거나 코를 통하는 플라스틱 카테터.[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10364 H02210351 L tube 비위관 [3.0] 2C.9.0100.S.001 Means 위내압 감소 또는 영양공급을 위한 위장관 삽입에 사용되거나 코를 통하는 플라스틱 카테터.[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10392 H02210392 Log rolling technique 통나무굴리기법 [3.0] 2C.9.0103 Means 자세변경기법 H02210406 H02210406 L tube feeding 비위관영양 [3.0] 2C.9.0105 Means 영양 H02210421 H02210421 Mobility training 이동훈련 [3.0] 2C.9.0108 Means 훈련시킴 H02210434 H02210434 Musle relaxation method 근육이완요법 [3.0] 2C.9.0109 Means 긴장과 이완의 차이를 알게 하면서 큰 근육조직을 긴장하고 이완시키는 체계적인 기술. H02210447 H02210447 Neck brace 목 지지대 [3.0] 2C.9.0112 Means "a brace worn to steady the neck[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2210450 H02210450 Nelaton catheter 단순도뇨카테터 C0179775 [3.0] 2C.9.0113 Means 연성 인도고무제의 카테터. H02210462 H02210462 Nitrazine test 니트라진검사 [3.0] 2C.9.0114 Means "나이트라진 검사는 알칼리성 양수의 존재를 나이트라진 종이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노란색의 검사 종이가 질분비물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수가 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0488 H01147551 NST 비자극검사 C1831742 [3.0] 2C.9.0115 Means Hammacher 등에 의해 권장된 방법이고 태아에 스트레스가 없는 상태에서 태아심박동수를 조사함으로써 태아의 상태(태아기능부전이나 태아예비능저하의 유무 등)를 판정하는 방법이다. 심장율동의 신경계제어기구의 흐트러짐을 인식함으로써 태아의 상태를 아는 검사법이기 때문에 신경계제어기구가 거의 완성하는 임신 28~30주 이후에 행하는 검사이다. 태아에게 일치해서 일과성 빈맥이 20분간에 2회이상 나타나고 그 파고가 15beats/분 이상(반응형 : reactive pattern) 있으면 태아는 건강하다. 이에 대해서 일과성빈맥이 산발적이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무반응형 : non-reactive pattern) 경우 태아는 잠재성태아가사이거나 수면상태이다.[간호학대사전] H02210491 H02210491 Nonverbal communication 비언어적 의사소통 C0028325 [3.0] 2C.9.0116 Means "얼굴의 표정, 눈의 움직임, 몸짓, 자세, 동작을 비롯해 비언어적 음성인 한숨 흐느낌 등의 언어기호 이외의 수단에 의한 의사소통션.[간호학대사전]" H02210504 H02210491 Nonverbal communication 비구두 의사소통 C0028325 [3.0] 2C.9.0116 Means "얼굴의 표정, 눈의 움직임, 몸짓, 자세, 동작을 비롯해 비언어적 음성인 한숨 흐느낌 등의 언어기호 이외의 수단에 의한 의사소통.[간호학대사전]" H02210517 H02210517 Normal saline lock 생리식염수 도관 [3.0] 2C.9.0117 Means 기구 H02210545 H02210545 Gargle 함수 [3.0] 2C.9.0118.S.001 Means "인후나 구강내를 청정하게 하거나, 소독하거나, 매끄럽게 할 목적으로 물이나 약액을 입안에 품고 잘 행구어서 내뱉는 것을 말한다. 스스로 이 행위를 할 수 있는 경우에만 한다. 함소증 액체를 삼키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간호학대사전]" H02210586 H01288264 Patch 패치 [3.0] 2C.9.0122.S.001 Means 특정 성분을 담은 부착제. 해당 성분을 몸속에 서서히 침투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부위에 붙여서 사용한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0599 H02210599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조절 C0078944 [3.0] 10032227 2C.9.0123 Means 통증이 있을 때마다 환자 스스로 소량의 진통제를 투여하는 방법[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0602 H02210599 PCA 자가통증조절 C0078944 [3.0] 2C.9.0123.S.001 Means 통증이 있을 때마다 환자 스스로 소량의 진통제를 투여하는 방법[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0615 H02210599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통증자가조절법 C0078944 [3.0] 10032227 2C.9.0123 Means 통증이 있을 때마다 환자 스스로 소량의 진통제를 투여하는 방법[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0628 H02210628 Percutaneous nephrostomy 경피적 신루술 C0564457 [3.0] 2C.9.0124 Means 요로 폐색 환자에서 요독증 예방을 위해 피부를 통해 신배 및 신우에 가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이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시술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0631 H02210628 Percutaneous nephrostomy 경피적 신루설치술 C0564457 [3.0] 2C.9.0124 Means 요로 폐색 환자에서 요독증 예방을 위해 피부를 통해 신배 및 신우에 가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이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시술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0643 H02210628 PCN 경피적 신루술 C0564457 [3.0] 2C.9.0124 Means 요로 폐색 환자에서 요독증 예방을 위해 피부를 통해 신배 및 신우에 가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이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시술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0656 H02210656 Permission paper 동의서 [3.0] 2C.9.0125 Means 1) 어떤 문제에 대하여 동의를 표시하는 문건. "2) 어떤 문제에 대하여 동의를 구하는 문건.[표준국어대사전]""" H02210739 H01384810 Powder 파우더 C1382110 [3.0] 2C.9.0129 Means 고형의 약제를 갈거나 부숴 얻은 소립자의 집합체. H02210741 H02210741 Prescription 처방전 C1521941 [3.0] Means "1) 약제, 용법 등의 준비와 실시법 등을 지시하는 문서로서, ""섭취"" 또는 ""취하라"" 의 뜻을 가진 Recipe 또는 그 기호인 R을 쓰고 이어서 약물명분량 항에 약제 이름과 양을 기재한다. 다음에 약제 사용법의 지시를 쓰고, 마지막으로 서명의 뜻으로 signa의 약자인 S가 있는 곳에 서명하여 끝맺는다. 처방전은 환자에게 지시를 하는 것이며, 적절한 장소에서 통용하게 된다. " 2) 의사가 치료를 위해 필요한 의약품에 대해서 기재한 문서를 말한다. 법제상으로는 약국 처방이 원칙이고「처방전」이란 약국에서 조제해주는 의약품을 기재한 문서이다. 진단의 필요상 원래처방에 따르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고 의사법 치과 의사법에 열거되어 있다. 그 주요한 것은 환자가 원내처방을 원할 경우 " 환자에게 의 약품의 내용을 알라는 것이 부적당한 경우. 의약품의 효과를 단시간마다 볼 필요가 있는 경우 등이다.[간호학대사전]""" H02210767 H02210767 Semi fowler position 세미파울러자세 [3.0] 2C.9.0134 Location A semi-sitting or semi-reclined body position whereby the head is elevated on an angle of approximately 30 degrees.[NCI/PT] H02210770 H02210767 Semi fowler position 세미파울러체위 [3.0] 2C.9.0134 Location A semi-sitting or semi-reclined body position whereby the head is elevated on an angle of approximately 30 degrees.[NCI/PT] H02210782 H01550345 Semisitting position 반좌위 [3.0] 2C.9.0134 Means A semi-sitting or semi-reclined body position whereby the head is elevated on an angle of approximately 30 degrees.[NCI/PT] H02210809 H02210809 Shock position 쇼크자세 [3.0] 2C.9.0135 Location "환자가 쇼크를 일으켰을 때 그 구급체위로서 취해지는 체위이고 두부를 낮게 하고 발을 높게 한다. 쇼크는 출혈, 불감증(不感蒸)ㆍ통증, 정신적 쇼크 등이 따라서 생기고 맥박이 빠르고 미약, 호흡은 얕고 빠르고, 혈압저하, 안면이나 피부가 창백, 식은땀, 무기력 등의 호소나 불안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같은 상태가 생겼을 때 재빠르게 쇼크체위를 취함으로써 뇌나 심장과 같은 가장 중요한 장기로의 혈류를 조금이라도 많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체위는 상태의 악화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0811 H02210809 Shock position 쇼크체위 [3.0] 2C.9.0135 Location "환자가 쇼크를 일으켰을 때 그 구급체위로서 취해지는 체위이고 두부를 낮게 하고 발을 높게 한다. 쇼크는 출혈, 불감증(不感蒸)ㆍ통증, 정신적 쇼크 등이 따라서 생기고 맥박이 빠르고 미약, 호흡은 얕고 빠르고, 혈압저하, 안면이나 피부가 창백, 식은땀, 무기력 등의 호소나 불안상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와같은 상태가 생겼을 때 재빠르게 쇼크체위를 취함으로써 뇌나 심장과 같은 가장 중요한 장기로의 혈류를 조금이라도 많게 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이 체위는 상태의 악화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0840 H02210840 Reinforcement therapy 강화요법 [3.0] 2C.9.0138 Means 요법 H02210852 H02210852 Respiratory index 호흡기계 지표 C0451423 [3.0] 2C.9.0139 Means 평가 도구 H02210865 H02210865 Sandbag 모래주머니 [3.0] 2C.9.0140 Means 모래를 넣은 주머니.[표준국어대사전] H02210881 H02210881 Protector 보호기 C1709739 [3.0] 2C.9.0142 Means 1) any protecting structure. 2) in radiology a protective device often made of lead through which particualr types of rays cannot pass; used to avoid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0893 H01564979 Shield 차폐물 C0183251 [3.0] 2C.9.0142 Means 1) any protecting structure. 2) in radiology a protective device often made of lead through which particualr types of rays cannot pass; used to avoid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0907 H02210881 Protector 보호대 C1709739 [3.0] 2C.9.0142 Means 1) any protecting structure. 2) in radiology a protective device often made of lead through which particualr types of rays cannot pass; used to avoid the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Miller-Keane Encyclopedia and Dictionary of Medicine Nursing and Allied Health Seventh Edition. ⓒ 2003 by Saunders an imprint of Elsevier "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0922 H02210922 Sitz bath 좌욕 C1145639 [3.0] 2C.9.0143 Means "항문 및 그 주위에 이상이 있을 경우, 상처의 청결, 통증, 충혈, 항문괄약근의 긴장 완화의 목적으로 대야에 넣은 온탕에 둔부를 담그는 것을 말한다. 온탕(필요시 0.1~1% 크레졸액)은 38~40°C로 준비하고 15~20분간, 또는 지시된 시간동안 한다. 허리주위와 족부를 면모포로 덮는다. 적당히 온탕을 추가한다. 통증이 심한때는 대야속에 고무방석(둥근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0935 H02210935 Sleeping pill 수면제 C0599396 [3.0] 1A.01.01.01.11.01.06 Focus "수면 이상: 수면이 최고점에 달했을 때 수면이 지속되는 상태에서 몇분에서 30분정도 잠자리를 떠나 돌아다니는 움직임, 깨어났을 때 기억을 하지 못하며, 피로와 스트레스, 불안을 느낌." H02210991 H02210991 Speech cannula 발성삽입관 [3.0] 2C.9.0146 Means 삽입관 H02211009 H02210991 Speech cannula 발성캐뉼러 [3.0] 2C.9.0146 Means 삽입관 H02211024 H02211024 Tegaderm 테가덤 [3.0] 2C.9.0149 Means Tegaderm is a transparent medical dressing manufactured by 3M. Tegaderm transparent dressings can be used to cover and protect wounds and catheter sites. "Advantages of Tegaderm include its breathability and conformation to the skin such that it adheres in places such as the fingers and toes.[Wikipedia]""" H02211037 H02211037 Tepid bath 미온수목욕 [3.0] 2C.9.0150 Means "A bath in which the individual is immersed up to the neck in water that is slightly cooler than the body’s normal temperature; tepid baths are believed to be useful for anxiety, insomnia and menstrual disorders.[Segen's Medical Dictionary. ⓒ 2012 Farlex,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1040 H02211040 Thoracolumbosacral orthosis 흉추요추천골 지지대 [3.0] 2C.9.0151 Means An external device applied to the trunk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oracic spine to the pelvis; designed to provide immobilization of the thoracic spine.[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211052 H02211040 Thoracolumbosacral orthosis 흉요천추 보조기 [3.0] 2C.9.0151 Means An external device applied to the trunk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oracic spine to the pelvis; designed to provide immobilization of the thoracic spine.[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211065 H02211040 TLSO 흉추요추천골 지지대 [3.0] 2C.9.0151 Means An external device applied to the trunk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oracic spine to the pelvis; designed to provide immobilization of the thoracic spine.[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211078 H02211040 TLSO 흉요천추 보조기 [3.0] 2C.9.0151 Means An external device applied to the trunk and exten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thoracic spine to the pelvis; designed to provide immobilization of the thoracic spine.[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 Farlex 2012] H02211093 H02211093 Tracheostomy cannula 기관절개 삽입관 [3.0] 2C.9.0153 Means 삽입관 H02211107 H02211093 Tracheostomy cannula 기관절개 캐뉼러 [3.0] 2C.9.0153 Means 삽입관 H02211110 H02211093 Tracheostomy cannula 기관절개 튜브 [3.0] 2C.9.0153 Means 삽입관 H02211122 H02211093 Tracheostomy cannula T 캐뉼러 [3.0] 2C.9.0153 Means 삽입관 H02211151 H00602593 USG 초음파촬영 [3.0] W42 2C.9.0154.S.001 Means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보다 주파수가 큰 음파를 인체 내부로 전파시켰을 때 체내 연조직에서 반사된 음파로 얻어진 반사 영상을 이용한 검사[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163 H00602593 USG 초음파검사 [3.0] W42 2C.9.0154.S.001 Means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보다 주파수가 큰 음파를 인체 내부로 전파시켰을 때 체내 연조직에서 반사된 음파로 얻어진 반사 영상을 이용한 검사[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176 H02211176 Urination encouragement 배뇨촉진법 [3.0] 2C.9.0155 Means 기법 H02211189 H02211189 Urine albumin test 요중알부민 검사 C0042038 [3.0] 2C.9.0156 Means 진단검사 H02211205 H02211205 Warmer 가온기 C0184348 [3.0] 2C.9.0159 Means "providing a sensation of approximately body heat.[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211221 H02211221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C0003015 [3.0] Means "심장이나 혈관에 직접 작용하지는 않고, 레닌 - 안지오텐신 - 알도스테론 (renin - angiotensin - aldosterone) 이라는 인체에서 혈압을 올리고 염분과 수분을 축적시키는 시스템을 억제하여 혈압을 낮추는 약제. 고혈압에서 심장과 신장에 대하여 보호작용이 있으며 또한 심부전 치료에 사용함." H02211233 H02211221 Ace inhibitor ACE억제제 C0003015 [3.0] Means "Angiotensin I을 Angiotensin II로 바뀌지 않게 함으로써 혈압이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고, 그 이후에 새로 나온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는 Angiotensin II가 혈압을 높히는 여러기관들의 신경에 작용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여 혈압을 조절함." H02211246 H02211221 Ace inhibitor 안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 C0003015 [3.0] Means "Angiotensin I을 Angiotensin II로 바뀌지 않게 함으로써 혈압이 올라가는 것을 막아주고, 그 이후에 새로 나온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는 Angiotensin II가 혈압을 높히는 여러기관들의 신경에 작용하는 것을 막아주는 기능을 하여 혈압을 조절함." H02211259 H02211259 Bohler braun splint 비비부목 [3.0] Means 덧대 H02211261 H02211259 Bb splint 비비부목 [3.0] Means 덧대 H02211274 H02211274 Blowing 불기 C0413399 [3.0] Action "입을 오므리고 날숨을 내어보내어, 입김을 내거나 바람을 일으키는 것.[표준국어대사전]" H02211287 H02211287 Double j catheter 더블제이도관 [3.0] Means 도관 H02211290 H02211287 Double j catheter 더블제이카테터 [3.0] Means 도관 H02211316 H00606112 External pacemaker 체외심박조율기 C0810585 [3.0] Means 1) 심장벽을 통한 흥분 발사에 의해 전기적으로 심박동을 자극하는 데 쓰이는 장치. 심각한 심부정맥의 응급처치에 이용된다. 2) 흥분 발사 장치는 가슴 밖에 있고 " 전선에 의해 심장과 연결되어 있는 심박동조정기.[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211329 H02211329 Finger enema 손가락관장 [3.0] Means 직장 내 변괴가 너무 크거나 굳어서 직장 튜브의 삽입을 방해할 때 소독장갑을 낀 채 윤활제를 바른 뒤 검지손가락을 직접 항문으로 넣어서 변괴를 작게 부수어 꺼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331 H02211329 Finger enema 수지관장 [3.0] Means 직장 내 변괴가 너무 크거나 굳어서 직장 튜브의 삽입을 방해할 때 소독장갑을 낀 채 윤활제를 바른 뒤 검지손가락을 직접 항문으로 넣어서 변괴를 작게 부수어 꺼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344 H02211329 Finger enema 용수관장 [3.0] Means 직장 내 변괴가 너무 크거나 굳어서 직장 튜브의 삽입을 방해할 때 소독장갑을 낀 채 윤활제를 바른 뒤 검지손가락을 직접 항문으로 넣어서 변괴를 작게 부수어 꺼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357 H02211329 Manual disimpaction 수기대변메막힘제거 [3.0] Means 직장 내 변괴가 너무 크거나 굳어서 직장 튜브의 삽입을 방해할 때 소독장갑을 낀 채 윤활제를 바른 뒤 검지손가락을 직접 항문으로 넣어서 변괴를 작게 부수어 꺼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360 H02211329 Manual disimpaction 수기대변매복제거 [3.0] Means 직장 내 변괴가 너무 크거나 굳어서 직장 튜브의 삽입을 방해할 때 소독장갑을 낀 채 윤활제를 바른 뒤 검지손가락을 직접 항문으로 넣어서 변괴를 작게 부수어 꺼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398 H00252221 Carminative enema 구풍관장 [3.0] Means "장이 가스로 팽만했을 때에 가스의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행하는 관장이다. 51% 글리세린액이나 온탕을 사용해서 굳어진 변을 연화시키거나 온도나 화학적 물질에 의한 자극으로 결장의 수축을 일으키게 하거나 해서 가스를 촉진한다. 일반적으로 소화기계의 수술뒤나 복막염의 환자에게 실시된다. 관장후에는 가스의 유무, 복부팽만완화의 정도 등을 관찰하고 그 효과를 확인한다. 시행상의 주의는 최하관장(催下灌腸)에 준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1414 H02211414 Gavage 위관영양 C0041281 [3.0] Means 영양소나 기타 물질을 튜브를 이용하여 주입하는 것. 강제 급식의 한 방법.[농업용어사전] H02211427 H02211427 Head down 머리낮춤 [3.0] Location 자세 H02211430 H02211430 Head down position 머리낮춤 자세 [3.0] Location 자세 H02211442 H02211442 Head up 15degree 15도 머리높임 [3.0] Location 자세 H02211455 H02211455 Head up 30degree 30도 머리높임 [3.0] Location 자세 H02211468 H02211468 Head up 머리높임 C1293898 [3.0] Location 자세 H02211471 H02211471 Head up position 머리높임 자세 [3.0] Location 자세 H02211483 H02211483 Intra aortic balloon pump 대동맥내풍선펌프 C0021860 [3.0] Means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특수한 풍선을 대동맥 내로 삽입한 후 심장박동에 따라 확장과 수축을 계속하여 심장에서 보내는 혈류량을 도와주는 장치이다. 풍선은 정밀검사 때와 마찬가지로 대퇴동맥을 통해 삽입하게 되는데 심장의 수축기에는 풍선이 수축되어 심장에서 몸으로 혈류가 가는 것을 돕게 되고 심장의 확장기에는 풍선이 확장되어 대동맥 내에 남아 있는 혈액을 모두 몸으로 보내게 된다. 이럴 경우 심장에는 두 가지 점에서 도움을 주는데 하나는 풍선이 늘어났다가 수축됨으로써 혈류 저항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심장의 수축기에 힘이 덜 든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심장확장기에 풍선이 확장되므로 대동맥에 남아 있는 혈류를 추가로 보내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10~40%의 심박출량 증가를 가져온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확장기에 대동맥의 판막부전이 심한 환자는 이 풍선펌프술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두산백과]" H02211496 H02211483 IABP 대동맥내풍선펌프 C0702122 [3.0] Means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특수한 풍선을 대동맥 내로 삽입한 후 심장박동에 따라 확장과 수축을 계속하여 심장에서 보내는 혈류량을 도와주는 장치이다. 풍선은 정밀검사 때와 마찬가지로 대퇴동맥을 통해 삽입하게 되는데 심장의 수축기에는 풍선이 수축되어 심장에서 몸으로 혈류가 가는 것을 돕게 되고 심장의 확장기에는 풍선이 확장되어 대동맥 내에 남아 있는 혈액을 모두 몸으로 보내게 된다. 이럴 경우 심장에는 두 가지 점에서 도움을 주는데 하나는 풍선이 늘어났다가 수축됨으로써 혈류 저항이 크게 줄어들기 때문에 심장의 수축기에 힘이 덜 든다는 점이고, 또 하나는 심장확장기에 풍선이 확장되므로 대동맥에 남아 있는 혈류를 추가로 보내는 효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10~40%의 심박출량 증가를 가져온다고 되어 있다. 따라서 확장기에 대동맥의 판막부전이 심한 환자는 이 풍선펌프술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두산백과]" H02211512 H02211512 Leg elevation position 다리올림 자세 [3.0] Means 자세 H02211525 H02211512 Leg elevation position 하지거상 자세 [3.0] Means 자세 H02211538 H02211538 Penrose 펜로즈 [3.0] Means 배액관 H02211541 H02211541 Sims position 심스자세 [3.0] Location "복와위(腹臥位)와 측와위의 중간 체위이고 측두와 흉부로 상체를 지지하고 아래쪽의 상지는 등으로 돌려 상체의 압박을 피한다. 고관절, 슬관절을 가볍게 굴곡시키고 위쪽의 하지는 굴곡을 세게해 상측의 대퇴를 복벽에 접근시킨 체위이다. 토물의 흡인 예방, 탈출제대(脫出臍帶)의 환납술(還納術), 직장진 등에 응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1553 H02211541 Sims position 심스체위 [3.0] Location "복와위(腹臥位)와 측와위의 중간 체위이고 측두와 흉부로 상체를 지지하고 아래쪽의 상지는 등으로 돌려 상체의 압박을 피한다. 고관절, 슬관절을 가볍게 굴곡시키고 위쪽의 하지는 굴곡을 세게해 상측의 대퇴를 복벽에 접근시킨 체위이다. 토물의 흡인 예방, 탈출제대(脫出臍帶)의 환납술(還納術), 직장진 등에 응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1566 H02211566 Semi prone position 반엎드린 자세 [3.0] Location 자세 H02211579 H02211566 Semi prone position 반복위 [3.0] Location 자세 H02211581 H02211581 Sips of water 물 홀짝마시기 [3.0] Means 기법 H02211594 H02211581 Sips of water 점진적 음용 [3.0] Means 기법 H02211608 H02211608 Gargle solution 가글액 [3.0] Means Nistatin | 1% betadin|normal saline | chlorhexidine(0.1%) | tantum | 기타 용액 H02211611 H02211611 Gas analysis 가스분석 [3.0] Means "PaO2(혈액 중 산소의 분압 정도)를 측정하여 폐의 환기, 확산, 산화, 동맥혈의 pH에 의한 산-염기평형 상태를 알아보는 검사 방법." H02211649 H00312079 Clamp 꺽쇠 C0175721 [3.0] Means 물건을 압박하거나 죌 수 있는 도구의 하나. H02211651 H00312079 Clamp 조임쇠 C0175721 [3.0] Means 물건을 압박하거나 죌 수 있는 도구의 하나. H02211692 H00312079 Clamp 겸자 C0175721 [3.0] Means 물건을 압박하거나 죌 수 있는 도구의 하나. H02211706 H02211706 Hypoglycemic agent 혈당강하제 C0020616 [3.0] Means 당뇨병으로 인한 혈당을 내리기 위해 먹는 약.[두산백과] H02211721 H02211721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경피경간담도배액술 C1504490 [3.0] Means "방사선의 투시 영상을 이용하여 배액관을 체외에서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시술을 말한다. 담도가 좁아져 정상적인 배출이 어려울 때 시술한다. 담도가 좁아지면 담즙 정체성 황달의 증상, 즉 가려움증, 고빌리루 빈혈증, 짙은 소변색, 우상복부 통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734 H02211721 PTBD 경피경간담배액술 C0657162 [3.0] Means "방사선의 투시 영상을 이용하여 배액관을 체외에서 삽입하여 간 내의 담도에 위치시킴으로써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못하는 담즙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시술을 말한다. 담도가 좁아져 정상적인 배출이 어려울 때 시술한다. 담도가 좁아지면 담즙 정체성 황달의 증상, 즉 가려움증, 고빌리루 빈혈증, 짙은 소변색, 우상복부 통증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1747 H02211747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경피적도관배액술 [3.0] Means 시술 H02211750 H02211747 PCD 경피적도관배액술 [3.0] Means 시술 H02211762 H02211762 Go up and down stair 계단오르내리기 [3.0] Means 기법 H02211804 H02211804 Consolidation chemotherapy 공고요법 C3179017 [3.0] Means Drug treatment designed to further diminish the disease toward complete remission following INDUCTION CHEMOTHERAPY. It helps to consolidate the gains during induction chemotherapy and may be followed by MAINTENANCE CHEMOTHERAPY.[MSH/MH] H02211820 H00908896 Kegel exercise 괄약근 운동 C0262718 [3.0] Means 소변 참을 때처럼 질 근육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 H02211832 H02211832 Pelvic floor exercise 골반저 운동 C0262718 [3.0] Means 소변 참을 때처럼 질 근육을 조였다 풀었다 하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 H02211845 H02211845 Debridement 죽은조직제거술 C0011079 [3.0] Means "이물, 괴사조직, 오염조직을 상처 또는 감염병터나 그 인접부분에서 제거하고 주위의 건강한 조직을 노출시키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211858 H02211845 Debridement 데브리드망 C0011079 [3.0] Means "이물, 괴사조직, 오염조직을 상처 또는 감염병터나 그 인접부분에서 제거하고 주위의 건강한 조직을 노출시키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211861 H02211845 Debridement 괴사조직제거술 C0011079 [3.0] Means "이물, 괴사조직, 오염조직을 상처 또는 감염병터나 그 인접부분에서 제거하고 주위의 건강한 조직을 노출시키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211873 H02211845 Debridement 변연절제술 C0011079 [3.0] Means "이물, 괴사조직, 오염조직을 상처 또는 감염병터나 그 인접부분에서 제거하고 주위의 건강한 조직을 노출시키는 것.[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211899 H02211899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근위지간관절 C0932508 [3.0] Means 손가락 중간 마디. H02211902 H02211899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근위지절관절 C0932508 [3.0] Means 손가락 중간 마디. H02211928 H01089558 Muscle relaxant 근육풀림제 C0358430 [3.0] Means 골격근을 이완시키는 약. 신경과 근육의 접합부에 작용하여 근육의 종판(終板)에 있는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방해하여 근이완을 일으킴. H02211943 H02211943 Memory quotient 기억지수 [3.0] Means 평가 도구 H02211956 H02211943 Memory quotient 기억계수 [3.0] Means 평가 도구 H02211969 H02211943 MQ 기억지수 C0024853 [3.0] Means 평가 도구 H02211971 H02211971 Therapy by floral arrangement 꽃꽂이 요법 [3.0] Means 원예요법 H02211984 H02211984 Horticultural therapy 원예요법 C0454057 [3.0] Means "식물이나 식물을 통한 원예활동에 의해서 사회적, 교육적, 심리적 혹은 신체적 적응력을 기르고 이로 말미암아 육체적 재활과 정신적 회복을 추구하는 전반적인 활동을 의미한다.[농업용어사전]" H02212017 H01347402 Platelet concentrate 농축혈소판 C2362067 [3.0] Means "농축혈소판이라고도 한다. 혈액성분 제제의 일종. 200㎖의 전혈을 가볍게 원심분리해서 다혈소판혈장을 분리하고, 이것을 더욱 원심해서 혈소판을 용기밑에 가라앉히고 상청(上清)의 혈장 약 10~16㎖을 남기고 제거해 혈소판을 농축한 것이다. 혈소판 감소증 때문에 출혈경향이 생긴경우의 치료에 사용 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2020 H01347402 PC 혈소판농축액 C2362067 [3.0] Means "농축혈소판이라고도 한다. 혈액성분 제제의 일종. 200㎖의 전혈을 가볍게 원심분리해서 다혈소판혈장을 분리하고, 이것을 더욱 원심해서 혈소판을 용기밑에 가라앉히고 상청(上清)의 혈장 약 10~17㎖을 남기고 제거해 혈소판을 농축한 것이다. 혈소판 감소증 때문에 출혈경향이 생긴경우의 치료에 사용 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2032 H02212032 Nicotine gum 니코틴껌 C0599654 [3.0] Means 콧구멍을 통하여 위에 삽입하는 유연한 고무 혹은 플라스틱 관으로서 액체음식물 혹은 기타 물질을 주입하는데 또는 위 내용물을 채취하는데 사용된다. H02212061 H00674566 Fresh frozen plasma 신선동결혈장 C0016709 [3.0] Means "플라스틱의 2중백 등에 채혈한 혈액을 6시간 이내에 고속원침하고 상청의 혈장을 분리백에 옮겨 -40℃ 냉동고에 넣어서 동결시킨 것으로 1년간 사용할 수 있다. 4℃ 보존에서는 곧 소모하는 혈장응고 제Ⅴ, 제Ⅷ인자 등이 반정도 보존되는 것에 특색이 있다. 사용시에는 38℃ 실온에서 해동수주(輸注)한다. 원래는 출혈경향이 있는 쇼크, 응고장애 등에 적응이 되는데 혈장단백질, 특히 알부민의 공급에 대해서 사용되고 그 사용량이 두드러지게 증가하는 경향으로 공급증가가 요망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2086 H02212086 Back care 등간호 C0204750 [3.0] Means 요법 H02212102 H00469560 Digitalis 디지탈리스 C0012252 [3.0] Means "현삼(玄参)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으로 잎성분에서 얻어지는 배당체(配糖體)에는 예로부터 강심작용이 발견되어, 강심배당체라 한다. 원식물에는 2종류가 있으나, 배당체로서는 디지톡신, 기톡신을 공통으로 기타린, 디곡신을 별도로 함유한다. 디지탈리스의 약리작용은 주로 다음 3가지다.①심근의 수축성을 높인다. 이 작용은 정상시에는 나타나기 어렵고 울혈성심부전에 빠진 심장에서 현저하게 나타난다. 이때, 2차적으로 이뇨작용이 나타나고 심부전에 의한 부종이 제거된다. ② 주로 미주신경(迷走神經)반사를 중개로 하는 간접작용과 직접작용에 따라, 심박수를 감소시킨다. ③ 자극전달계에 작용해서 전도를 억제한다. 소화관에서의 흡수는 빠르나 분해가 늦고 만성심부전의 치료 때 행해지는 유지량의 추가투여로 축적효과가 나타나, 심실성세동(心室性細動)을 일으켜 죽음에 이르는 일이 있다. 이처럼 안전역이 상당히 좁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이 밖에 식욕부진, 오심(惡心), 구토와 많은 신경증상이 부작용으로서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212115 H02212115 Warm saline 따뜻한 식염수 [3.0] Means 더운 공기를 이용해 체온을 올리는 기계. H02212128 H02212128 Roll pillow 롤 베개 [3.0] Means 베개 H02212131 H02212131 Lidocain jelly 리도카인젤리 [3.0] Means 리도카인 H02212143 H02212143 Magnesium agent 마그네슘제 [3.0] Means 약물 H02212169 H02212169 Narcotics 마약제제 C0027415 [3.0] Means "강한 중독증상과, 금단증상, 내성작용을 가지는 약제. morphin, heroin, codein, opiates 등이 속함." H02212171 H02212171 Merocel 메로셀 C0127601 [3.0] Means 물품 H02212201 H02212201 Cotton pad 면패드 [3.0] Means 패드 H02212213 H02212213 Hat 모자 C0444765 [3.0] Means "머리에 쓰는 물건의 하나. 예의를 차리거나 추위, 더위, 먼지 따위를 막기 위한 것이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2226 H02212226 Premature infant formula 미숙아분유 C3853277 [3.0] Means "모유를 공급하기 어려운 2.5kg 이하의 저체중 출생아나 태중 38주 미만에 태어난 미숙아를 위해 만들어진 특수 분유. 열량이 높으며,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함량은 높고, 유당 함량은 적음." H02212241 H02212241 Foot massage 발마사지 [3.0] Means 발을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방법. H02212267 H01791926 Valsalva maneuver 발살바법 C0042293 [3.0] Means "심호흡뒤에 입과 콧구멍을 막고 숨을 내뱉으려고 배에 힘을 주는 조작(操作)을 말한다. 부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효과, 흉강내압(胸腔内压)을 높여서 정맥환류(靜脈还流)를 일시적으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자율신경기능검사법(自律神經機能檢査法)으로서, 또 순환동태(循环動態)의 부하시험(負荷試驗)으로서 사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2270 H02212270 Foot board 발지지대 C0180932 [3.0] Means 지지기구 H02212309 H02212309 Radiation treatment 방사선치료 [3.0] Means "전리방사선을 이용해서 치료를 하는 것으로, 크게 나누어서 양성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악성종양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로 나뉜다. 피부염, 관절염, 근육통 등의 염증성 질환이나 결핵등의 감염증에도 방사선 치료는 실시되고 있으나, 현재에는 방사선 장애 연구의 발달과 화학요법의 진보로 방사선은 별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혈관종 등의 양성종양에 대한 조사도 별로 행해지지 않으나, 자연치유를 촉진하는 의미에서 소량의 방사선 조사가 해지는 경우도 있다. 외상이나 수술후의 케로이드형성을 억제하는 데는 약물도 이용되나, 현재에도 방사선이 가장 효과적인것으로 고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양성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방사선 치료는 후손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어 별로 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악성종양에 대한 방사선 치료는 한층 진보되었다. 현재에는 심부의 종양에 보다 많은 방사선을 미치게 하기 위해 초고압 방사선요법이 행해는데, 또한 심부의 장기를 지키기 위한 조사에는 전자선 요법, 방사선 감수성이 낮은 것을 조사하기 위해서 중성자요법 등이 행하여지며, 이들은 모두 최근 발달한 방사선 치료이다.[간호학대사전]" H02212311 H02212311 Radiation treatment simulation 방사선 모의치료 [3.0] Means 방사선치료 H02212324 H02212311 Rt simulation 방사선 모의치료 [3.0] Means 방사선치료 H02212337 H02212337 Voiding diary 배뇨일지 [3.0] Means 소변을 본 시간과 그 때의 소변량을 측정하여 스스로 기록한 일지. H02212340 H02212340 Dorsal recumbent position 배횡와위 [3.0] Location 정상적인 앙와위와 약간 다른점은 무릎을 세우고 누운 자세. H02212352 H02212340 Dorsal recumbent position 배둔위 [3.0] Location 정상적인 앙와위와 약간 다른점은 무릎을 세우고 누운 자세. H02212378 H00945418 WBC 백혈구 C0023516 [3.0] Means "1) 혈액내에 골수구계세포와 림프계세포, 단핵구계세포를 모두 통틀어 말한다. 백혈구의 증가가 있으면 대개 감염이 있거나, 혹은 탈수현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지나친 백혈구수의 감소는 인체내 면역기능이 떨어져 있음을 의미하며, 다른 질병에 의해 나타나는 이차적인 현상이 아닌지 꼭 진단을 받아보아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적혈구에 비해 큰 세포. 외부로부터 침범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이물질을 탐식, 제거하고 암에 저항하며 우리 몸을 방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인체 내에 혈액 1mm [경북대 치과대학 구강내과 교실]" H02212435 H00380765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지속복막투석법 C0031140 [3.0] Means 새롭게 개발된 복막투석법이고 종래의 방법과 달리 1일 4회 2ℓ의 투석액을 교환해서 24시간 연속해 복막을 이용해 투석하는 방법이다. 특별한 기기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정에서 액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사회복귀에도 편리하다. 또 혈액 투석에 비해서 중분자량의 요독증성물질이 잘 제거되는 이점도 있다. CAPD 실시에 있어서 복막염의 합병에 주의를 요하는 것은 종래의 복막투석과 같다.[간호학대사전] H02212451 H02212451 Antiarrhythmics 부정맥치료제 C0003195 [3.0] Means "넓은 뜻의 부정맥에 사용하는 약물로는 디기탈리스, 파파베린, 콜린작동약, 아드레날린약, 항콜린작동약, 항아드레날린작동약, 항히스타민약 등이 포함되는데, 키니딘, 프로카인 아마이드, 아디마린, 브레틸륨, 프로프라놀, 리도카인, 디소피라마이드 등의 심근억제 작용을 아울러 지닌 것을 항부정맥약이라 하고 대표는 키니딘, 프로카인 아마이드이다. 디기탈리스부정맥에는 디페닐히단토인이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다.[간호학대사전]" H02212463 H02212451 Antiarrhythmics 항부정맥약 C0003195 [3.0] Means "넓은 뜻의 부정맥에 사용하는 약물로는 디기탈리스, 파파베린, 콜린작동약, 아드레날린약, 항콜린작동약, 항아드레날린작동약, 항히스타민약 등이 포함되는데, 키니딘, 프로카인 아마이드, 아디마린, 브레틸륨, 프로프라놀, 리도카인, 디소피라마이드 등의 심근억제 작용을 아울러 지닌 것을 항부정맥약이라 하고 대표는 키니딘, 프로카인 아마이드이다. 디기탈리스부정맥에는 디페닐히단토인이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다.[간호학대사전]" H02212476 H02212451 Antiarrhythmics 항부정맥제 C0003195 [3.0] Means "넓은 뜻의 부정맥에 사용하는 약물로는 디기탈리스, 파파베린, 콜린작동약, 아드레날린약, 항콜린작동약, 항아드레날린작동약, 항히스타민약 등이 포함되는데, 키니딘, 프로카인 아마이드, 아디마린, 브레틸륨, 프로프라놀, 리도카인, 디소피라마이드 등의 심근억제 작용을 아울러 지닌 것을 항부정맥약이라 하고 대표는 키니딘, 프로카인 아마이드이다. 디기탈리스부정맥에는 디페닐히단토인이 뚜렷한 효과를 나타낸다.[간호학대사전]" H02212491 H01107691 Nasal prong 비강캐뉼러 C0445087 [3.0] Means "산소흡입방법의 하나인데 콧구멍에 캐뉼라를 놓고、안경모양으로 귀로 지탱하는 것이다. 간편하고 경제적(經費的)으로 도관을 넣기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고, 입으로 호흡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야간에 부적당하다. 산소흡입량은 환자의 분당환기량의 1/4정도 즉 1~2ℓ/분 정도에서 시작하고 긴급을 요하는 경우를 제하고 동맥혈가스분석치를 참조하면서 시간을 걸려서 필요량까지 도달해 6ℓ/분 정도까지 증가한다. 6ℓ/분 산소의 투여에 의해 흡입산소농도는 30~40%에 이른다.[간호학대사전]" H02212505 H02212505 Oxygen cannular 산소캐뉼러 [3.0] Means "산소흡입방법의 하나인데 콧구멍에 캐뉼라를 놓고、안경모양으로 귀로 지탱하는 것이다. 간편하고 경제적(經費的)으로 도관을 넣기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고, 입으로 호흡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야간에 부적당하다. 산소흡입량은 환자의 분당환기량의 1/4정도 즉 1~2ℓ/분 정도에서 시작하고 긴급을 요하는 경우를 제하고 동맥혈가스분석치를 참조하면서 시간을 걸려서 필요량까지 도달해 6ℓ/분 정도까지 증가한다. 6ℓ/분 산소의 투여에 의해 흡입산소농도는 30~40%에 이른다.[간호학대사전]" H02212518 H02212505 O2 cannular 산소캐뉼러 [3.0] Means "산소흡입방법의 하나인데 콧구멍에 캐뉼라를 놓고、안경모양으로 귀로 지탱하는 것이다. 간편하고 경제적(經費的)으로 도관을 넣기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고, 입으로 호흡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야간에 부적당하다. 산소흡입량은 환자의 분당환기량의 1/4정도 즉 1~2ℓ/분 정도에서 시작하고 긴급을 요하는 경우를 제하고 동맥혈가스분석치를 참조하면서 시간을 걸려서 필요량까지 도달해 6ℓ/분 정도까지 증가한다. 6ℓ/분 산소의 투여에 의해 흡입산소농도는 30~40%에 이른다.[간호학대사전]" H02212521 H02212521 Bidet 비데 C0221815 [3.0] Means 위생 도기의 일종으로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척하는 데 쓰이는 기구. H02212533 H02212533 Nasal decongestant 비충혈제거제 C0042398 [3.0] Means 코 점막 염증반응에 의한 부종 때문에 나타나는 코막힘 증상을 호전시키는 약제. H02212546 H02212533 Nasal decongestant 항비색제 C0042398 [3.0] Means 코 점막 염증반응에 의한 부종 때문에 나타나는 코막힘 증상을 호전시키는 약제. H02212559 H02212559 Vitamin preparation 비타민제 C0042890 [3.0] Means "비타민을 순수하게 추출하거나, 합성하여 제조한 약제. 비타민 결핍증의 치료와 예방을 위하여 쓰며, 신체 기능에 자극을 주어 활발하게 하는 작용이 있음." H02212574 H02212574 Usage 사용법 C0457083 [3.0] Means 쓰는 방법.[표준국어대사전] H02212587 H02212587 Instruction 교육 C1442085 [3.0] Means 지식과 기술 따위를 가르치며 인격을 길러 줌.[표준국어대사전] H02212603 H02212603 Oxygen hood 산소머리덮개 [3.0] Means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기 위해 환자의 두부에 놓는 장치.[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2616 H02212603 Oxygen hood 산소후드 [3.0] Means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기 위해 환자의 두부에 놓는 장치.[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2657 H02212657 Calligraphy therapy 서예요법 [3.0] Means 요법 H02212660 H02212660 Windowing 개창술 [3.0] Action "Cutting a hole in anything, such as a plaster cast, to relieve pressure on the skin or a bony area." H02212698 H01783599 Urine analysis 소변검사 C0042014 [3.0] Means "1) 소변의 성분을 검사함으로써 전신의 상태, 병변(病變)을 알아내는 진단법.[두산백과] 2) 소변을 이용한 물리적, 생화학적 검사의 통칭[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2742 H00470395 Dilatation and curettage 경관확장자궁소파술 C0012358 [3.0] Means "자궁이란 태아가 수태되어서 분만전까지 발육하고 성장하는 공간이다. 자궁속에 병변이 있어 임신이 계속될 수 없거나 아니면 다른 이유로 임신되어 있는 태아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긁어내기 위하여는 우선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목을 확장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급속히 확장을 시도하는 법과 서서히 확장을 시도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자궁목을 급속히 확장할 때는 헤가르 목관확장기(Hegar's dilatator)를 사용한다. 이것은 작은 금속막대로 작은 크기부터 큰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가 있어서 우선 작은 막대로 시작하여 점점 큰 크기의 막대를 자궁목에 넣어서 자궁목을 확장시킨다. 서서히 확장시킬 때는 Laminaria tent를 목관에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Laminaria tent란 해초로 만든 작은 막대로 수분을 흡수하면 점점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자궁의 목에 넣으면 이것이 수분을 흡수하여 늘어나므로 천천히 자궁의 목이 늘어난다. 자궁목이 충분히 늘어나면 그 속으로 끝이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넣어서 자궁속의 병변이나 임신된 태아를 긁어내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큐렛이라고 한다. 초기 임신중절 즉 유산과 같은 임신과 관련된 경우뿐만 아니라, 비임신 자궁의 자궁내막조직의 채취 및 제거를 위해서도 행해지는 수기이다. 이는 원칙적으로 마취하에 실시되는 것으로 자궁목관을 확장하고 기구로 자궁 내용물을 제거하고 큐렛으로 자궁내벽을 깨끗이 한다. 자궁천공이나 자궁목의 파열 등의 위험이 따르며, 수술후 감염 또는 출혈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알기쉬운 의하용어풀이집]" H02212755 H00470395 Dilatation&curettage 자궁목확장긁어냄술 [3.0] Means "자궁이란 태아가 수태되어서 분만전까지 발육하고 성장하는 공간이다. 자궁속에 병변이 있어 임신이 계속될 수 없거나 아니면 다른 이유로 임신되어 있는 태아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긁어내기 위하여는 우선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목을 확장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급속히 확장을 시도하는 법과 서서히 확장을 시도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자궁목을 급속히 확장할 때는 헤가르 목관확장기(Hegar's dilatator)를 사용한다. 이것은 작은 금속막대로 작은 크기부터 큰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가 있어서 우선 작은 막대로 시작하여 점점 큰 크기의 막대를 자궁목에 넣어서 자궁목을 확장시킨다. 서서히 확장시킬 때는 Laminaria tent를 목관에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Laminaria tent란 해초로 만든 작은 막대로 수분을 흡수하면 점점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자궁의 목에 넣으면 이것이 수분을 흡수하여 늘어나므로 천천히 자궁의 목이 늘어난다. 자궁목이 충분히 늘어나면 그 속으로 끝이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넣어서 자궁속의 병변이나 임신된 태아를 긁어내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큐렛이라고 한다. 초기 임신중절 즉 유산과 같은 임신과 관련된 경우뿐만 아니라, 비임신 자궁의 자궁내막조직의 채취 및 제거를 위해서도 행해지는 수기이다. 이는 원칙적으로 마취하에 실시되는 것으로 자궁목관을 확장하고 기구로 자궁 내용물을 제거하고 큐렛으로 자궁내벽을 깨끗이 한다. 자궁천공이나 자궁목의 파열 등의 위험이 따르며, 수술후 감염 또는 출혈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알기쉬운 의하용어풀이집]" H02212768 H00470395 D&C 자궁긁어냄술 C0012358 [3.0] Means "자궁이란 태아가 수태되어서 분만전까지 발육하고 성장하는 공간이다. 자궁속에 병변이 있어 임신이 계속될 수 없거나 아니면 다른 이유로 임신되어 있는 태아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긁어내기 위하여는 우선 자궁의 입구에 해당하는 자궁목을 확장시켜야 한다. 여기에는 급속히 확장을 시도하는 법과 서서히 확장을 시도하는 2가지 방법이 있다. 자궁목을 급속히 확장할 때는 헤가르 목관확장기(Hegar's dilatator)를 사용한다. 이것은 작은 금속막대로 작은 크기부터 큰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가 있어서 우선 작은 막대로 시작하여 점점 큰 크기의 막대를 자궁목에 넣어서 자궁목을 확장시킨다. 서서히 확장시킬 때는 Laminaria tent를 목관에 삽입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Laminaria tent란 해초로 만든 작은 막대로 수분을 흡수하면 점점 늘어나는 성질이 있다. 이것을 자궁의 목에 넣으면 이것이 수분을 흡수하여 늘어나므로 천천히 자궁의 목이 늘어난다. 자궁목이 충분히 늘어나면 그 속으로 끝이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넣어서 자궁속의 병변이나 임신된 태아를 긁어내는데 여기에 사용되는 숟가락처럼 생긴 기구를 큐렛이라고 한다. 초기 임신중절 즉 유산과 같은 임신과 관련된 경우뿐만 아니라, 비임신 자궁의 자궁내막조직의 채취 및 제거를 위해서도 행해지는 수기이다. 이는 원칙적으로 마취하에 실시되는 것으로 자궁목관을 확장하고 기구로 자궁 내용물을 제거하고 큐렛으로 자궁내벽을 깨끗이 한다. 자궁천공이나 자궁목의 파열 등의 위험이 따르며, 수술후 감염 또는 출혈 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알기쉬운 의하용어풀이집]" H02212783 H02212783 Soft collar 소프트칼라보조기 [3.0] Means 재질이 약간 굳은 상태를 나타내는 경부 보조기.측면으로 개폐를 하며 목의 앞부분과 칼라(collar)사이가 손가락 2개 정도가 들어갈 정도의 공간을 허락함. H02212841 H01813085 Visual analogue scale 시각상사척도 C3536884 [3.0] Means 시각척도는 일정한 직선위에 통증의 정도를 표시하게 하는 방법. H02212866 H01813085 VAS 시각통증등급 C3536884 [3.0] Means 시각척도는 일정한 직선위에 통증의 정도를 표시하게 하는 방법. H02212879 H01667616 Syrup 시럽 C0458173 [3.0] Means "약품 용액에 설탕을 넣거나, 설탕물이나 과즙에 생약을 우린 액을 넣어 만든 내복약. 감미제를 섞기도 하는데 비교적 걸쭉한 액체." H02212894 H02212894 Dietary diary 식사일지 [3.0] Means "다이어트를 실천해 나가면서 자신의 식습관을 파악함으로써 문제점을 확인하고, 적합한 식사요법을 하도록 도와주는 일기." H02212923 H02212923 Appetizer 식욕촉진약 [3.0] Means "미각, 취각을 자극해서 식욕을 높이고 반사적으로 타액이나 위액의 분비를 촉진해 소화기능을 높이는 약물이고 고미제, 방향제가 이에 속한다. 전자에는 소태나무, 쓴풀, 등피(橙皮)등의 생약류가 있다. 쓴풀가루, 등피가루, 산초가루 등의 고미체를 70%에타놀에 녹인것을 것을 고미팅크라고 한다. 후자에는 계피, 회향, 박하유 등이 있는데 이들 방향제에는 위점막을 직접 자극해서 위액분비를 항진시키는 작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2936 H02212923 Aperitive 식욕촉진제 [3.0] Means "미각, 취각을 자극해서 식욕을 높이고 반사적으로 타액이나 위액의 분비를 촉진해 소화기능을 높이는 약물이고 고미제, 방향제가 이에 속한다. 전자에는 소태나무, 쓴풀, 등피(橙皮)등의 생약류가 있다. 쓴풀가루, 등피가루, 산초가루 등의 고미체를 71%에타놀에 녹인것을 것을 고미팅크라고 한다. 후자에는 계피, 회향, 박하유 등이 있는데 이들 방향제에는 위점막을 직접 자극해서 위액분비를 항진시키는 작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2949 H02212949 Footwear 신발 C0336894 [3.0] Means 땅을 딛고 서거나 걸을 때 발에 신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212964 H00251523 Cardioversion 심율동전환 C0013778 [3.0] Means "심장의 박동이 불규칙하고 정상에서 벗어날 경우(이를 부정맥이라 한다)에 전기적 충격을 가해서 심장을 정상적인 박동을 하게 만드는 것을 심율동전환이라고 한다. 이것은 부정맥의 가장 확실한 치료법으로 외부심장율동전환(external cardioversion)과 내부심장율동전환(internal cardioversion)으로 나눈다. 외부심율동전환의 경우는 13cm의 지름을 가진 두 개의 판으로 가슴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여 부정맥을 치료하는 것이고, 내부심율동전환은 심장의 내부에 전극을 심고 그 전극을 통해서 전기적 자극을 가해서 부정맥을 치료하는 것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 H02212980 H00250792 CPR 심폐소생법 C0007203 [3.0] Means "심장이 정지했을 경우나, 물에 빠졌을 때와 같이 심장과 폐의 기능이 중지되었을 경우에 인공적으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대신하여 주는방법." H02212992 H00340455 Eye drops 점안약 C0015399 [3.0] Means "눈병의 진단, 예방.치료에 쓰이는 약제. 누에 떨어뜨리는 액체인 점안액과, 안연고가 있음.." H02213012 H02213012 Safety control method 안전관리방법 [3.0] Means "정해진 법에 의하여 재해나 사고의 방지를 위하여 재해가 예상되는 과정을 분석, 검토하여 예방조치를 강구하여 취하는 조치나 활동하는방법." H02213038 H01670568 Tablet 정제 C0039225 [3.0] Means "의약품 또는 의약품의 혼합물을 그대로 일정한 형상으로 압축 형성한 것 또는 부형제(賦形劑), 결합제, 붕괴제 등을 가해 균등하게 혼합한 혼합물을 일정한 형상으로 압축 형성한 것으로 전자를 압축성제 후자를 습제정제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압축정제가 사용된다. 정제에는 내용정(내복정, 비등정, 조제정, 트로치(구중정), 구강정), 바칼정(설하정 등), 외용정(용해정, 질정 등), 주사정(주사정, 펠릿제(식입정) 등) 시약정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3079 H02213079 Heating pad 전기방석 C0181154 [3.0] Means 열냉 기구 H02213081 H02213081 Spiritual resource 영적자원 [3.0] Means 자원 H02213108 H01454722 Recreational therapy 오락치료 C0034873 [3.0] 2B.9.0075 Means 1) Purposeful use of recreation to promote relaxation and enhancement of social skills[NIC] 2) 정신과에서 재활의 일환으로서 정신활동의 향상과 행동면의 개선을 목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정신병원에서는 병원단위의 활동(운동회 크리스마스 신년회 불꽃놀이 등) 병동단위의 것(체조 각종 실내ㆍ실외게임 등) 증상이 같은 자를 모아서 행하는 것(만성분열환자와 알콜중독자는 활동성의 차가 너무 많다). 나아가서 클럽활동적으로 취미내용에 따른 그룹(서예 수예 " 원예 등)을 만들거나 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3111 H01454722 Recreation therapy 레크리에이션요법 C0034873 [3.0] 2B.9.0075 Means 1) Purposeful use of recreation to promote relaxation and enhancement of social skills[NIC] 2) 정신과에서 재활의 일환으로서 정신활동의 향상과 행동면의 개선을 목적으로 행하는 것이다. 정신병원에서는 병원단위의 활동(운동회 크리스마스 신년회 불꽃놀이 등) 병동단위의 것(체조 각종 실내ㆍ실외게임 등) 증상이 같은 자를 모아서 행하는 것(만성분열환자와 알콜중독자는 활동성의 차가 너무 많다). 나아가서 클럽활동적으로 취미내용에 따른 그룹(서예 수예 " 원예 등)을 만들거나 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3123 H02213123 Warm blanket 온포 담요 [3.0] 1A.02.02.05.05 Focus 공격적 행동: 집단 혹은 국가 간에 일어나는 공개적인 무력 충돌; 또 다른 수단의 정치 행위임. H02213149 H01265173 Palliative therapy 고식요법 C0030231 [3.0] Means 요법 H02213164 H02213164 Right lateral position 우측위 C0559228 [3.0] Location 오른쪽 측면위. H02213177 H02213177 Sporting equipment 운동기구 [3.0] Means 운동하는 데 쓰는 여러 가지 도구 및 장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H02213180 H02213180 Ambulation bandage 운동끈 [3.0] Means 운동하는 데 쓰는 여러 가지 도구 및 장치를 말함. H02213206 H01818708 Walker 보행보조기 C0043016 [3.0] Means "보행을 보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대형으로 환자를 둘러싼 것같은 금속제 플레임에 캐스터가 부착, 액와(腋窩)에 댐으로서 양쪽액와, 또는 양쪽상완 전체로 체중을 지지해서 걷는 액와지지보행기와, 캐스터가 없이 소형으로 방형의 플레임 위를 쥐고 교대로 움직여서 보행하는 교대보행기의 두가지형이 주된 것이다. 보통은 후자를 훈련목적으로 사용하며 사각에는 각각 막대기앞에 고무가 붙어있다. 교대로는 움직이지 않고 휠체어식 보행기나 막대기에 주한 walker cane등 보행기의 종류는 많다.[간호학대사전]" H02213219 H01818708 Walker 워커 C0043016 [3.0] Means "보행을 보조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대형으로 환자를 둘러싼 것같은 금속제 플레임에 캐스터가 부착, 액와(腋窩)에 댐으로서 양쪽액와, 또는 양쪽상완 전체로 체중을 지지해서 걷는 액와지지보행기와, 캐스터가 없이 소형으로 방형의 플레임 위를 쥐고 교대로 움직여서 보행하는 교대보행기의 두가지형이 주된 것이다. 보통은 후자를 훈련목적으로 사용하며 사각에는 각각 막대기앞에 고무가 붙어있다. 교대로는 움직이지 않고 휠체어식 보행기나 막대기에 주한 walker cane등 보행기의 종류는 많다.[간호학대사전]" H02213221 H02213221 Breast massage 유방 마사지 C3468253 [3.0] Means "뜨거운 수건으로 유방을 따뜻하게 한 뒤, 손가락으로 유방의 바깥 둘레에서 젖꼭지를 향하여 문질러서 젖샘의 응어리를 풀어준다. 분만 후 유즙분비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실시하는 마사지." H02213247 H00098930 Antigalactic 유즙분비억제제 [3.0] Means 유즙의 분비를 감소 또는 멈추게 하는 약제. H02213288 H00124058 Artificial arm 의수 C0182432 [3.0] Means "상지(上肢)의 절단지에 장착하는 것이고 장식의수, 능동의수, 작업의수의 3종류가 있다. 장식의수는 외관을 본래의 손의 모양과 흡사하게 한 것으로 움직임은 없다. 능동의수는 손의 관절부위에서의 내전ㆍ외전운동이나 엄지와 다른 4손가락의 대립운동을, 어깨의 움직임을 이용해서 끈으로 전달하는 방식으로 행하는 것이다. 작업의수는 외관보다는 능률을 위주로 한 것이고 후크(갈고리모양)형의 손끝으로 물건을 집고 유지 및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전동의수나 가스의수 등 동력에 의한 의수의 개발도 진전되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3304 H01408762 Artificial leg 인공하지 C0524491 [3.0] Means "외상, 종양, 중증 감염증, 기형등으로 사지를 절단하는 경우가 생기는데, 절단한 다리의 결손부에 장착해서 그 기능을 보충하는 것[간호학대사전]" H02213320 H02213320 Portable oxygen 이동식산소 [3.0] Means "휴대하여 사용하는 산소이고 오프(내용적 11, 총전량 601, 중량 730g)와 화학적으로 산소를 발생시켜서 사용하는 고형식 산소공급기 (solid oxygen system, 카니스타 3개로 산소 1801, 중량약 2kg)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3332 H02213320 Portable O2 휴대용산소 [3.0] Means "휴대하여 사용하는 산소이고 오프(내용적 11, 총전량 601, 중량 730g)와 화학적으로 산소를 발생시켜서 사용하는 고형식 산소공급기 (solid oxygen system, 카니스타 3개로 산소 1801, 중량약 2kg)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3345 H02213345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삽입형제세동기 C0810515 [3.0] Means "소형의 제세동기를 환자의 체내에 이식하고 심실세동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해, 그 10~20초 뒤에 전기쇼크를 자동적으로 걸어 제세동을 하는 장치이다. 약제나 심박조정기의 조율로 치유할 수 없는 심실세동이 자주 생기는 환자나 염주상(念珠狀) 예파(銳波) torsades de pointes, QT연장증후군, 중증의 심실빈맥증 등에 사용된다. 임상적으로 이식제세동기는, 1극을 상대정맥내에 삽입하고 다른 1극을 심첨부에 봉착하며, 제세동기의 본체는 흉벽피하 또는 복벽피하에 매몰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3358 H02213345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이식형제세동기 C0810515 [3.0] Means "소형의 제세동기를 환자의 체내에 이식하고 심실세동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해, 그 10~20초 뒤에 전기쇼크를 자동적으로 걸어 제세동을 하는 장치이다. 약제나 심박조정기의 조율로 치유할 수 없는 심실세동이 자주 생기는 환자나 염주상(念珠狀) 예파(銳波) torsades de pointes, QT연장증후군, 중증의 심실빈맥증 등에 사용된다. 임상적으로 이식제세동기는, 1극을 상대정맥내에 삽입하고 다른 1극을 심첨부에 봉착하며, 제세동기의 본체는 흉벽피하 또는 복벽피하에 매몰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3361 H02213345 ICD 이식형제세동기 C0810515 [3.0] Means "소형의 제세동기를 환자의 체내에 이식하고 심실세동발생을 자동적으로 감지해, 그 10~20초 뒤에 전기쇼크를 자동적으로 걸어 제세동을 하는 장치이다. 약제나 심박조정기의 조율로 치유할 수 없는 심실세동이 자주 생기는 환자나 염주상(念珠狀) 예파(銳波) torsades de pointes, QT연장증후군, 중증의 심실빈맥증 등에 사용된다. 임상적으로 이식제세동기는, 1극을 상대정맥내에 삽입하고 다른 1극을 심첨부에 봉착하며, 제세동기의 본체는 흉벽피하 또는 복벽피하에 매몰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3399 H00124786 Artificial tears 인공누액 C3853661 [3.0] Means "자연눈물을 대체하기 위한 액체화합물의 혼합물. 즉, 건조한 눈이나 각막염. 결막염 환자의 눈에 떨어뜨려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중합체로 된 약물. " H02213402 H02213402 Artificial saliva 인공타액 C0036088 [3.0] Means 자연눈물을 대체하기 위한 액체화합물의 혼합물. 만성적이든 일시적이든 구강건조증 환자는 증세를 완화시키는 치료를 시행해야 하는데 타액대용제. H02213428 H02213428 Identification tag 인식표 [3.0] Means "이름, 군번, 혈액형 따위를 새긴 타원형의 얇은 쇠붙이. 군인마다 군번줄에 매어 목에 건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3431 H02213431 Schedule 일정 C0086960 [3.0] Means 일정한 기간 동안 해야 할 일의 계획을 날짜별로 짜 놓은 것. 또는 그 계획. H02213469 H01787451 Oxytocics 자궁수축제 C0030094 [3.0] Means "자궁평활근에 직접 작용해서 긴장, 수축운동을 높이는 약물이며, 분만유발, 분만 후의 이완출혈의 방지, 불완전 유산의 잔류물 배출 등의 목적으로 쓰인다. 맥각(麥角) 알칼로이드류(에르고메트린, 메르고타민, 메틸에르고 메트린, 스파르테인 등), 뇌하수체 후엽호르몬의 옥시토신, 프로스타글랜딘 F2α가 사용되고 있다. 자주 사용되는 것은 나중의 3종류이다.[간호학대사전]" H02213484 H02213484 Auto positive end expiratory pressure 자동호기말양압 [3.0] Means 요법 H02213497 H02213484 Auto PEEP 자동호기말양압 C0242676 [3.0] Means 요법 H02213501 H02213501 Creative writing therapy 작문요법 [3.0] Means 요법 H02213526 H01164110 Occupational therapy 작업치료 C1318464 [3.0] Means "신체나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적당한 육체적 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운동 기능이나 정신 심리 기능의 개선을 꾀하는 치료법,예를 들면 , 정신장애인, 결핵 회복기의 환자에게 농사, 축산, 원예, 수예, 목공 따위의 작업을 시켜 다시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H02213554 H02213554 Reinduction chemotherapy 재유도 항암화학요법 [3.0] Means 암 세포수를 제거하기 위하여 재관해를 유도하고자 사용되는 항암요법. H02213567 H02213567 Induction chemotherapy 유도 항암화학요법 C3179010 [3.0] Means "chemotherapy as the initial treatment for cancer, especially as part of combined modality therapy.[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3582 H00899775 Jackknife position 잭나이프 체위 [3.0] Location 엎드린 자세에서 머리와 다리를 낮추고 둔부를 좁게 조절하여 항문 부위가 노출되도록 하여 항문 수술 시에 쓰이는 체위. H02213624 H02213624 Electric blanket 전기장판 C0336614 [3.0] 10006658 Means 전기를 이용해 방열하는 담요. H02213637 H02213637 Electrolyte replenisher 전해질보충제 C0304459 [3.0] Means 약물 H02213748 H00745623 Hematic 조혈제 [3.0] Means "조혈장기에 작용하여 혈액형성, 특히 적혈구성분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철제, 엽산(葉酸), 비타민 B16 등의 빈혈치료체를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3751 H00745623 Hematinic 조혈제 C0018928 [3.0] Means "조혈장기에 작용하여 혈액형성, 특히 적혈구성분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철제, 엽산(葉酸), 비타민 B17 등의 빈혈치료체를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3763 H02213763 Paper folding therapy 종이접기요법 [3.0] Means 종이를 자르거나 풀로 붙이거나 장식하지 않고 그대로 접어서 어떤 형태를 만드는 방법을 통해 치료하는 방법. H02213789 H02213789 Left lateral position 좌측위 C0559227 [3.0] Location 왼쪽 옆으로 누운 자세. H02213791 H02213791 Mediolateral episiotomy 중측방회음절개 C2222837 [3.0] Means "항문을 피해서 좌,우측으로 5시와 7시 방향으로 바깥 쪽 회음 절개하는 방법. " H02213805 H02213791 Mediolateral episiotomy 중측방회음절개술 C2222837 [3.0] Means "항문을 피해서 좌,우측으로 5시와 7시 방향으로 바깥 쪽 회음 절개하는 방법. " H02213818 H02213791 Mediolateral episiotomy 중측방외음부절개 C2222837 [3.0] Means "항문을 피해서 좌,우측으로 5시와 7시 방향으로 바깥 쪽 회음 절개하는 방법. " H02213821 H02213791 Mediolateral episiotomy 중측방외음부절개술 C2222837 [3.0] Means "항문을 피해서 좌,우측으로 5시와 7시 방향으로 바깥 쪽 회음 절개하는 방법. " H02213833 H02213791 Mediolateral episiotomy 중측방외음절개술 C2222837 [3.0] Means "항문을 피해서 좌,우측으로 5시와 7시 방향으로 바깥 쪽 회음 절개하는 방법. " H02213861 H02213861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지속적 신대체요법 C3649547 [3.0] Means 간헐적 혈액투석요법과 대응되는 용어로 혈액을 이용한 투석요법의 적용사유가 소멸될 때까지 24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투석치료를 시행하는 방법을 말한다.생체적합성과 투과성이 우수한 혈액여과막을 통한 대류에 의한 용질 이동현상을 이용한 치료법. H02213874 H02213861 CRRT 지속적 신대체요법 [3.0] Means 간헐적 혈액투석요법과 대응되는 용어로 혈액을 이용한 투석요법의 적용사유가 소멸될 때까지 24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투석치료를 시행하는 방법을 말한다.생체적합성과 투과성이 우수한 혈액여과막을 통한 대류에 의한 용질 이동현상을 이용한 치료법. H02213944 H02213944 Cold saline 찬 식염수 [3.0] Means 생리식염수 H02213960 H00096951 Antiasthmatic 항천식약 C0282556 [3.0] Means "기관지천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이고 세포막의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스를 부활화(賦活化)하는 교감신경자극제(β2-자극제), 항포스모디에스터 레이스 작용이 있는 크산틴계약제 등의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α-차단제, 비만세포의 막을 안정화시켜 발작을 예방하는 크로모글리케이트나트름(인탈), 금제제, 히스타글로빈, 감감작용법에 사용하는 약제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3985 H01066220 Miotics 축동약 C0026207 [3.0] Means "동공 괄약근(括藥筋)의 수축(부교감 신경흥분)과 동공산대근의 이완(교감신경 억제)에 의해 축동을 일으키는 약물을 말한다. 축동과 동시에 조절이 잘 안되게 된다. 전방수(前房水)의 순환을 좋게하고 안내압을 낮춘다. 주로 부교감자극약의 항콜린 에스터레이스제(피조스티그민, 네오스티그민 등)가 사용된다. 그밖에 무스카린, 필로카르핀 등이 있다. 녹내장이나 홍채염 등에 사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4005 H02214005 Potassium supplement 칼륨보충제 C0304475 [3.0] Means 혈액내 칼륨을 보충하기 위한 약제. H02214018 H02214018 Kaliuretic 칼륨배설촉진제 [3.0] Means 약물 H02214021 H02214021 Calcium supplement 칼슘보충제 C3661604 [3.0] Means 약물 H02214033 H02214033 Fowlers position 파울러자세 [3.0] Means "앙와위(仰臥位)에서 상반신을 45도로 일으킨 체위이다. 신체의 회복과정에서 와위(臥位)에서 좌위(坐位)를 취하게 할 때, 식사시, 체위를 바꾸어 휴식을 취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 심장병환자가 즐겨 취하는 자세이다. 그외에 복강천자나 흉강 천자등의 처치의 경우에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4046 H02214033 Fowlers position 파울러체위 [3.0] Means "앙와위(仰臥位)에서 상반신을 45도로 일으킨 체위이다. 신체의 회복과정에서 와위(臥位)에서 좌위(坐位)를 취하게 할 때, 식사시, 체위를 바꾸어 휴식을 취할 때에 이용된다. 또한 호흡곤란이 있는 환자, 심장병환자가 즐겨 취하는 자세이다. 그외에 복강천자나 흉강 천자등의 처치의 경우에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4074 H00112513 Arm board 상지판 C0179137 [3.0] Means "상지판, 상지부목 ,팔받침대, 팔부목." H02214087 H00112513 Arm board 상지부목 C0179137 [3.0] Means "상지판, 상지부목 ,팔받침대, 팔부목." H02214090 H00112513 Arm board 팔부목 C0179137 [3.0] Means "상지판, 상지부목 ,팔받침대, 팔부목." H02214103 H00112513 Arm board 팔받침대 C0179137 [3.0] Means "상지판, 상지부목 ,팔받침대, 팔부목." H02214116 H02214116 Skin preparation 피부준비 C0455085 [3.0] Means "수술전 세균의 제거를 통해 감염원을 제거, 합병증을 예방함, 수술전날 베타딘 비누로 목욕, 면도보다는 탈모제 크림이 안전." H02214144 H00381401 Contraceptive pill 피임약 [3.0] Means 피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제. H02214157 H00381401 Oral contraceptives 경구피임약 C0009905 [3.0] Means "경구적으로 효과적인 합성황체호르몬과 합성난포호르몬을 배합한 제제이고 뇌하수체의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임을 목적으로 한다. 난포호르몬으로 난포자극호르몬(FSH)의 분비억제, 황체호르몬으로 황체형성호르몬(LH)의 분비를 억제한다. 용법은 월경주기 5일째부터 25일째까지 복용해서 중지하고 다음의 주기 5일째 부터 이것을 되풀이 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요컨대 언제나 자궁을 가성 임신상태로 두는 것이다.[간호학대사전]" H02214198 H02214198 Lower abdomen massage 아랫배 마사지 [3.0] Means 말 그대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하복부 부분을 가볍게 두드려 주는 것. H02214201 H02214198 Lower abdomen massage 하복부 마사지 [3.0] Means 말 그대로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면서 하복부 부분을 가볍게 두드려 주는 것. H02214214 H02214214 Herbal medicine 한약 C0025125 [3.0] Means "동물·식물 또는 광물에서 채취한 것으로, 말리거나 썰거나 정제한 생약. 한방약." H02214227 H02214214 Oriental medicine 한약 C0025125 [3.0] Means "동물·식물 또는 광물에서 채취한 것으로, 말리거나 썰거나 정제한 생약. 한방약." H02214268 H02214268 Antimicrobial eye drop 항균안약 [3.0] Means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성장을 저지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항 화합물과 물리적 수단. H02214296 H02214296 Skin test 피부반응검사 C0037296 [3.0] Means 알레르기 질환의 원인 항원을 찾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이다. 피부 반응 검사는 예민도가 높고 간편하며 짧은 시간에 결과를 판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널리 이용된다. 특정 알레르겐에 대한 검사에서 보이는 양성 반응은 우리 몸 속에 그 알레르겐에 대한 특이 IgE 항체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피부 반응 검사는 원인 알레르겐에 노출 후 짧은 시간에 생기는 급성 알레르기 반응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214338 H00098891 Antimycotic 항진균약 [3.0] Means "진균의 기생부위에 따라서 표재성과 심재성 진균증으로 나뉘어진다. 전자에 대해서 국소와 전신작용이 후자에 대해서 전신작용이 이루어지는 약물이고 국소에는 일반소비약이, 전신작용에는 항진균성화학요법약이 사용된다. 소독약에는 요드, 수은, 황, 은, 지방족, 방향조, 운데실린산, 나프톨, 톨나프테이트, 키노린, 색소등의 각종제제가 있다. 항생물질엔 니스타틴, 암포테리신, 글리세오플빈, 트리코마이신, 볼레오스라이신, 피마리신, 나라마이신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4366 H00097853 Anticholinergic agent 항콜린작용약물 C0242896 [3.0] Means "부교감신경절후섬유종말에서 아세틸 콜린과 경합적으로 길항하는 이른바 항 무스카린 작용을 지닌 약물이다. 아트로핀, 스코 폴라민이 산동, 진경, 파킨슨병치료에 사용되는데, 이같은 광범위한 작용이 부작용으로서 나타나기 때문에 아트로핀 대용약으로서 호마트로핀, 트로피카마이드가 산동약, 메산테린, 플로판테린이 진경약, 트리핵시페니딜이 파킨슨병 치료약으로 사용되듯이 보다 장기 특이성이 있는 것을 사용하게 되었다.[간호학대사전]" H02214379 H02214379 Antiparkinsonism drugs 항파킨슨제 C0003405 [3.0] Means "파킨슨병의 치료에 사용되는 악제의 총칭이고 대표적인 것은 L도파인데, 그밖에 항콜린약, 염산아민타딘 항히스타민약의 일부, 브로모크립틴, CDP콜린등이 있다. 직접적인 항파킨슨약은 아닌데 L도파와 함께 짜맞추어서 사용하고 그 말초에서의 대사를 저해하는 것으로서 말초성도파 탈탄산효소저해약(벤세라자이드 및 카르비도파)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4381 H02214381 Antiplatelet agent 항혈소판제 C0085826 [3.0] Means 혈액 중의 혈소판의 기능 항진을 억제하는 약제의 총칭. 혈소판의 중요 기능은 혈액 응고를 촉진시키는 데 있으므로 항 혈소판제는 각종 질환과 외과적 치료에 있어 그 이용이 주목되고 있다. 혈액 응고를 저해하는 항 응혈제와는 구별하여 사용된다.[화학용어사전] H02214411 H00101921 Antithrombotic 약리항혈전약 [3.0] Means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 주로 동맥 혈전성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디피리다몰ㆍ아스피린ㆍ티클로피딘(ticlopidine) 따위가 있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4423 H00101921 Antithrombotic 혈전치료제 [3.0] Means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 주로 동맥 혈전성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디피리다몰ㆍ아스피린ㆍ티클로피딘(ticlopidine) 따위가 있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4464 H01722653 Detoxicant 해독제 [3.0] Means 독약중화용 치료약물 H02214477 H02214477 Hamilton depression scale 해밀턴우울척도 [3.0] Means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의 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진단도구임. H02214480 H02214477 HDS 해밀턴우울척도 C1427027 [3.0] Means 우울장애(depressive disorder)의 심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진단도구임. H02214506 H01796714 Vasopressor 혈관수축제 C0042397 [3.0] Means "혈관수축제ㆍ쇼크, 저혈압일 때에 혈압을 상승시키는 약제를 가리킨다. 이른바 카테콜아민으로 일컬어지는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약물이 대부분이고 주로 말초혈관을 수축해서 혈압을 상승시키는 것인데 그중에는 심근에 직접 작용해서 심장수축력을 증강하는 작용이 있는 것도 있다. 노르에편네프린(네오시네프린), 메톡 사민, 메타라미놀, 도파민, 도부타민, 에틸페니레프린, 아이소프로테레놀, 에페르린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4519 H01796714 Vasopressor 승압제 C0042397 [3.0] Means "혈관수축제ㆍ쇼크, 저혈압일 때에 혈압을 상승시키는 약제를 가리킨다. 이른바 카테콜아민으로 일컬어지는 교감신경을 자극하는 약물이 대부분이고 주로 말초혈관을 수축해서 혈압을 상승시키는 것인데 그중에는 심근에 직접 작용해서 심장수축력을 증강하는 작용이 있는 것도 있다. 노르에편네프린(네오시네프린), 메톡 사민, 메타라미놀, 도파민, 도부타민, 에틸페니레프린, 아이소프로테레놀, 에페르린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4562 H01344421 Plasma expander 혈장대용액 C1268852 [3.0] Means "혈장대용액이라고도 한다. 고분자 화합물인 콜로이드 용액으로출혈에 의한 혈장단백질의 손실에 따른 콜로이드 삼투압을 회복시키고 염류만을 포함한 용액에서 순환 혈액량의 회복, 유지에 편리한다. 약물로서는 텍스트란40, 70(10%), 젤라틴(4.5%), 폴리비닐피롤리돈(3.5%) 등이고 이러한 것은 콜로이드삼투압이 혈장과 같고 약리학적으로 불활성이며 혈중농도의 유지가 높다. 혈장 증량제는 축적성과 항원성이 없어야 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4575 H02214575 Thrombolytic agent 혈전용해제 C3536865 [3.0] Means 혈전을 녹이거나 분리시키는 약물. H02214588 H02214575 Thrombolytic agent 혈전용해약 C3536865 [3.0] Means 혈전을 녹이거나 분리시키는 약물. H02214617 H02214617 Call bell 호출벨 [3.0] Means "초인종.버저(buzzer)와 함께 널리 사용되며, 방범·방재 등 긴급할 때에 통보용으로도 사용됨." H02214620 H02214620 Ventilator mode 벤틸레이터 양식 [3.0] Means 기법 H02214632 H02214620 Ventilator mode 벤틸레이터 모드 [3.0] Means 기법 H02214645 H02214645 Cardiac massage 심장마사지 C0018807 [3.0] Means "심정지(心停止)가 일어나서 혈액순환이 정지하면 중추신경계는 3~5분내에 불가역적 변화를 받는다. 따라서 심정지가 일어나면 즉시 인공호흡 및 심장마사지를 행하여 순환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1) 비개흉심장(非開胸心除)마사지 : 환자를 똑바로 눕히고, 배부(背部)에 널판을 삽입하여 가하여진 외력이 유효하게 심장에 작용하도록 하고, 양손의 손바닥을 겹처서 검상돌기(劒狀突起)의 약간 상방(上方)을 흉골이 3~4cm정도 내려가도록 누르고, 다음에 늦추는 동작을 되풀이 한다. 1분간에 60~80회의 빈도로 행하고 인공호흡은 12~15회를 행한다. 유효하게 마사지되어 있으면, 말초동맥의 박동(拍動)을 느낄 수가 있다. (2) 개흉심장(開胸心臓) 마사지 : 개흉되어 있으며, 심막을 열어서 직접으로 심장을 손으로 강하게 율동적으로 압박, 해제하여 혈액을 내보내는 조작을 행한다(개복의 경우에는 횡격막을 통하여 이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4658 H02214645 Heart massage 심마사지 C0018807 [3.0] Means "심정지(心停止)가 일어나서 혈액순환이 정지하면 중추신경계는 3~5분내에 불가역적 변화를 받는다. 따라서 심정지가 일어나면 즉시 인공호흡 및 심장마사지를 행하여 순환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1) 비개흉심장(非開胸心除)마사지 : 환자를 똑바로 눕히고, 배부(背部)에 널판을 삽입하여 가하여진 외력이 유효하게 심장에 작용하도록 하고, 양손의 손바닥을 겹처서 검상돌기(劒狀突起)의 약간 상방(上方)을 흉골이 3~4cm정도 내려가도록 누르고, 다음에 늦추는 동작을 되풀이 한다. 1분간에 60~80회의 빈도로 행하고 인공호흡은 12~15회를 행한다. 유효하게 마사지되어 있으면, 말초동맥의 박동(拍動)을 느낄 수가 있다. (2) 개흉심장(開胸心臓) 마사지 : 개흉되어 있으며, 심막을 열어서 직접으로 심장을 손으로 강하게 율동적으로 압박, 해제하여 혈액을 내보내는 조작을 행한다(개복의 경우에는 횡격막을 통하여 이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214661 H02214661 Chest bandage 흉부붕대법 [3.0] Means "any of several types of fabric dressings for chest injuries, including a three-cornered open chest wrapping, a figure-eight roller bandage spica, or a scultetus pattern of narrow strips that can be overlapped and pinned.[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4686 H00850698 I/E ratio 들숨날숨비율 [3.0] Means "the ratio of the duration of inspiration to the duration of expiration. A range of 1:1.5 to 1:2 for an adult is considered acceptable for mechanical ventilation. Ratios of 1:1 or higher may cause hemodynamic complications, whereas ratios lower than 1:2 indicate lower mean airway pressure and fewer associated hazards.[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4699 H00850698 I:E ratio 흡호기대비 [3.0] Means "the ratio of the duration of inspiration to the duration of expiration. A range of 1:1.5 to 1:2 for an adult is considered acceptable for mechanical ventilation. Ratios of 1:1 or higher may cause hemodynamic complications, whereas ratios lower than 1:2 indicate lower mean airway pressure and fewer associated hazards.[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4715 H01292419 PFM 최고유량계 C0180915 [3.0] Means "1) 흡식된 공기의 양을 계측하는 기계. 2) 호흡기능검사시에 호기량의 측정만이 가능한 간이기계로 노력 호흡시의 최대유량peak flow rate만이 지시침으로 표시되며 그것을 직접 읽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반의 주민건강진단 또는 경과관찰을 요하는 천식환자, 수술후의 회복기환자 등에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214731 H00837214 Inhalation 흡입법 C0004048 [3.0] Means 공기나 어떤 물질을 폐속으로 빨아들이는 것. 약 또는 약의 용액을 분무기를 이용하거나 연무질의 형태로 코나 입의 호흡통로를 통해서 투여하는 방법.[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214743 H02214743 Inhalator 흡입기 C0021461 [3.0] Means "흡입을 목적으로 액체나 가스를 안개모양으로 하는 기구이다. 종류로서는 온탕이나 약액을 흡입하는 증기 흡입기, 분무기, 초음파 분무기, 산소흡입을 위한 퓨리탄 분무기 puritan nebulizer, 산소텐트, 산소와 동시에 약액도 흡입할 수 있는 간헐적 양압호흡기(IPPB), 전신마취기 등이 있다. 흡입하는 것에 따라서 전신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목적과 주의사항을 염두에 두고 올바르게 취급을 한다.[간호학대사전]" H02214771 H02214771 Orthopneic position 기좌호흡자세 [3.0] Location "a body position that enables a patient to breathe comfortably. Usually it is one in which the patient is sitting up and bent forward with the arms supported on a table or chair arms. Also called orthopnea posture.[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4784 H02214771 Orthopnea posture 기좌호흡체위 [3.0] Location "a body position that enables a patient to breathe comfortably. Usually it is one in which the patient is sitting up and bent forward with the arms supported on a table or chair arms. Also called orthopnea posture.[Mosby's Medical Dictionary, 8th edition. ⓒ 2009, Elsevier.]" H02214813 H02214813 Older adult 노인 C0001792 [3.0] 10006627 Time 성인기 H02214826 H02214826 Follow up appointment 추후 예약 [3.0] 10038739 Time 예약 H02214839 H02214839 Pre school childhood 학령전기 [3.0] 10015497 Time 아동기 H02214841 H02214841 School childhood 학령기 [3.0] 10017544 Time 아동기 H02214854 H02214854 Toddler period 유아기 [3.0] 10019784 Time 아동기 H02214867 H02214867 Family conference 가족 회의 C1658573 [3.0] 10040978 Time 집단회 H02214882 H00047428 Adolescence 사춘기 C0001578 [3.0] 10001858 2B.02.01.01.01.01.01.01.07 Time 발달 시기 H02214911 H02214911 Infanthood 영아기 [3.0] 10010087 Time 발달 시기 H02214952 H02214952 Duration of operation 수술 시간 [3.0] 10006380 Time 기간 H02214965 H02214965 Health care episode 보건의료 에피소드 [3.0] 10041265 Time 만남 H02214981 H02214981 Appointment 예약 C0003629 [3.0] 10002486 2C.02.01.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4993 H02214993 Conference 회의 C0086047 [3.0] 10040966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013 H00475337 Discharge 귀가 C0030685 [3.0] 10006000 1A.9.001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026 H02215026 Encounter 만남 C1947978 [3.0] 10006810 2C.02.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039 H02215026 Encounter 의료진과의 만남 C1947978 [3.0] 10006810 2C.02.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041 H00576743 Examination 검진 C0031809 [3.0] 10007241 2C.02.02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067 H00576743 Checkup 검진 C0598836 [3.0] 10007241 2C.02.02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082 H00772294 Hospitalisation 입원 C0019993 [3.0] 10009122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095 H02215095 Intraoperative period 수술 중 기간 C0021891 [3.0] 1002762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111 H02215111 Perinatal period 주산기 C0178795 [3.0] 10026038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124 H02215124 Perioperative period 수술주기 C2712230 [3.0] 10025896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140 H02215140 Postpartum period 산후기 C0086839 [3.0] 10025906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152 H01389344 Prenatal period 태아기 [3.0] 1002591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178 H01389344 Prenatal period 분만전기 [3.0] 1002591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181 H02215181 Preoperative period 수술전 기간 C2712277 [3.0] 1002592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193 H02215193 Smoking cessation date 금연 날짜 [3.0] 10038815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207 H02215207 Visit 방문 C0545082 [3.0] 10020817 1A.9.0596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210 H02215207 Visit 면회 C0545082 [3.0] 10020817 1A.9.0596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222 H02215222 Rite of passage 통과의례 C0680359 [3.0] 10017299 1A.02.02.04.03.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인생의 한 시기에서 다음으로 이동하는 것을 인정하기 위해 관습적으로 이루어지는 의례적 행위. H02215248 H00442766 Child delivery 분만 [3.0] O80-O84 10004311 1A.01.01.01.15.03.02.S.0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자궁경부가 확장되기 시작하면서부터 태반 분만까지 분만 동안 발생하는 주산기 신체 과정 H02215289 H02215289 Always 항상 C2003902 [3.0] 10002192 Time 빈도 H02215291 H02215291 Never 한번도 없음 C2003901 [3.0] 10013173 1C.02.06 Time 빈도: 일정한 간격 동안 반복 비율이 0 인것. H02215318 H02215318 New born period 신생아기 [3.0] 10013194 Time 영아기 H02215321 H02215321 Acute 급성 C0205178 [3.0] 10001739 1D.01 Time "시작: 갑자기, 짧은 시간 간격으로 발생함" H02215333 H02215333 Chronic 만성 C0205191 [3.0] 10004395 1D.02 Time 시작: 오랜 기간에 걸쳐 발생함. H02215346 H02215346 Time point or time interval 시점 또는 시간 간격 [3.0] 10019721 Time 현상 H02215361 H02215361 Situation 상황 [3.0] 10018202 Time 경과 H02215374 H02215374 Event or episode 사건 또는 에피소드 [3.0] 10007239 Time "상황: 사건, 발생한 어떤 것." H02215387 H02215387 Developmental period 발달기 [3.0] 10005853 Time 상황: 발달과 관련된 시기. H02215416 H02215416 Time sequence 시간순서 [3.0] 10014204 Time "시간: 한 가지 이후에 다른 것이 따라옴, 연속의 상태." H02215431 H02215431 Duration 기간 C2926735 [3.0] 10006379 1D.9.0001 Time 상태: 어떤 것이 발생하는 기간. H02215457 H02215457 Afternoon 오후 C0439550 [3.0] 10001955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460 H02215460 Day 일 C0439228 [3.0] 10005502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472 H02215472 Evening 저녁 C0587117 [3.0] 10007225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485 H02215485 Future 미래 C0016884 [3.0] 10008299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01 H00699771 Gestational age 재태기간 C0017504 [3.0] 10037063 1A.9.0248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30 H02215530 Month 월 C0439231 [3.0] 10012219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42 H02215542 Morning 아침 C0332170 [3.0] 10012226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55 H02215555 Night 밤 C0240526 [3.0] 10013207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68 H02215568 Noon 정오 C0585020 [3.0] 10013282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71 H02215571 Past 과거 C1444637 [3.0] 10014113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83 H02215583 Present 현재 C0150312 [3.0] 10015581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596 H02215596 Today 오늘 C0310367 [3.0] 10019778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600 H02215600 Tomorrow 내일 C0310370 [3.0] 10019811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612 H02215612 Week 주 C0439230 [3.0] 10021010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625 H02215625 Year 년 C0439234 [3.0] 10021270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638 H02215638 Yesterday 어제 [3.0] 10021289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215641 H02215641 Continuous 지속적인 C0549178 [3.0] 10005086 1C.01 Time 시간 순서: 멈추거나 중단되지 않고 발생함. H02215653 H02215641 Continuous 계속적 C0549178 [3.0] 10005086 1C.01 Time 시간 순서: 멈추거나 중단되지 않고 발생함. H02215666 H00870610 Intermittent 간헐적인 C0205267 [3.0] 10010485 1C.02 Time "시간순서: 일정한 간격으로 멈추거나 중단됨, 일정한 간격으로 멈추고 시작함." H02215679 H00870610 Intermittent 간헐적 C0205267 [3.0] 10010485 1C.02 Time "시간순서: 일정한 간격으로 멈추거나 중단됨, 일정한 간격으로 멈추고 시작함." H02215681 H02215681 Home visit 가정방문 C0020043 [3.0] 10009082 2C.02.01.02 Time 방문 H02215694 H02215694 Subacute 아급성 C0205365 [3.0] Time 급성과 만성의 중간 성질.[표준국어대사전] H02215708 H02215708 Over night 밤새 [3.0] 1D.04.05 Time ‘밤사이’의 준말.[표준국어대사전] H02215711 H02215711 Antepartum 분만전 C0456336 [3.0] 1D.9.0003.S.001 Time 산과학에서는 모체에 관련하여 분만개시 전의. H02215723 H02215711 Antepartum 산전 C0456336 [3.0] 2D.9.0005 Time 산과학에서는 모체에 관련하여 분만개시 전의. H02215736 H02215711 Prepartum 분만전 [3.0] 1D.9.0003.S.001 Time 임부가 출산하기 전 H02215749 H02215711 Prepartum 산전 [3.0] 1D.9.0003 Time 임부가 출산하기 전 H02215751 H01380985 Postpartum 분만후 C0086839 [3.0] 1D.9.0022 Time "산모에서, 아기의 출산 또는 만출 후에 일어나는. 만출 후의 기간." H02215792 H02215792 Post treatment 처치 후 C2709088 [3.0] 1D.9.001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806 H02215792 Post treatment 치료 후 C2709088 [3.0] 1D.9.001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819 H02215819 Postprandial 식후 C0376674 [3.0] 1D.9.0012 Time 음식 섭취 후 H02215821 H02215819 Postcibal 식후 [3.0] 1D.9.0012.S.001 Time 음식 섭취 후 H02215834 H02215834 Post spinal anesthesia 척수마취 후 [3.0] 1D.9.0013 Time 마취 후 H02215847 H02215834 Post spinal anesthesia 척추마취 후 [3.0] 1D.9.0013 Time 마취 후 H02215850 H02215850 Post general anesthesia 전신마취 후 [3.0] 1D.9.0014 Time 마취 후 H02215862 H02215862 Post anesthesia 마취 후 [3.0] 1D.9.0015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875 H02215875 Intrapartum 분만중 C0456337 [3.0] 1D.9.0016 Time 주산기 H02215888 H02215875 Parturient 분만중 [3.0] 1D.9.0016 Time 주산기 H02215891 H02215875 Sub partum 분만중 [3.0] 1D.9.0016 Time 아기가 출생하는 과정 중의 H02215904 H02215875 During delivery 분만중 [3.0] 1D.9.0016 Time 아기가 출생하는 과정 중의 H02215917 H02215875 During labour 분만중 [3.0] 1D.9.0016 Time 아기가 출생하는 과정 중의 H02215920 H02215920 During pregnancy 임신중 [3.0] 1D.9.0018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932 H02215920 In pregnancy 임신중 [3.0] 1D.9.0018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945 H02215945 Long term 장기 C0443252 [3.0] 1D.9.0019 Time 장기간.[표준국어대사전] H02215958 H02215958 Short term 단기 C0443303 [3.0] Time 단기간.[표준국어대사전] H02215961 H02215961 Post change 변경후 [3.0] 1D.9.002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973 H02215961 Post alteration 변경후 [3.0] 1D.9.002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986 H02215986 At transfusion 수혈시 [3.0] 2D.9.0001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5999 H02215999 During mealtime 식사중 [3.0] 2D.9.0002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006 H02216006 During treatment 처치동안 C2709058 [3.0] 2D.9.000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019 H02216006 During treatment 치료동안 C2709058 [3.0] 2D.9.0003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021 H02216021 Before 전 C0332152 [3.0] 2D.9.0004 Time "어떤 시간에 이뤄지는 행동이나 일을 나타내는 명사 등의 다음에 놓여, 그 말이 나타내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그보다 앞서 있는 시간적 위치임을 나타내는 말." H02216034 H02216021 Pre 전 C0332152 [3.0] 2D.9.0004 Time "어떤 시간에 이뤄지는 행동이나 일을 나타내는 명사 등의 다음에 놓여, 그 말이 나타내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그보다 앞서 있는 시간적 위치임을 나타내는 말." H02216047 H02216047 After 후 C0687676 [3.0] 2D.9.0004 Time "어떤 시간에 이뤄지는 행동이나 일을 나타내는 명사 등의 다음에 놓여, 그 말이 나타내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그보다 뒤에 오는 시간적 위치임을 나타내는 말." H02216050 H02216050 At oral intake 구강섭취시 [3.0] 2D.9.0006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062 H02216062 Before change 변경전 [3.0] 2D.9.0007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075 H02216062 Before alteration 변경전 [3.0] 2D.9.0007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088 H02216088 Before test 검사전 [3.0] 2D.9.0008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091 H02216091 Midnight 자정 C0332172 [3.0] 2D.9.0009 Time 자시(子時)의 한가운데. 밤 열두 시를 이른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6104 H02216091 MN 자정 C0332172 [3.0] 2D.9.0009 Time 자시(子時)의 한가운데. 밤 열두 시를 이른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6117 H02216117 Preoperative 수술전 C0445204 [3.0] 2D.9.0010 Time 수술하기 전 H02216120 H02216117 Pre OP 수술전 [3.0] 2D.9.0010.S.001 Time 수술하기 전 H02216145 H02216145 Hour 시간 C0439227 [3.0] 2D.9.0014 Time 어떤 시각에서 어떤 시각까지의 사이.[표준국어대사전] H02216173 H02216173 Sudden 돌발 C1276802 [3.0] Time 뜻밖의 일이 갑자기 일어남.[표준국어대사전] H02216186 H02216173 Sudden 돌발성 C1276802 [3.0] Time 뜻밖의 일이 갑자기 일어남.[표준국어대사전] H02216199 H02216173 Sudden 돌연 C1276802 [3.0] Time 뜻밖의 일이 갑자기 일어남.[표준국어대사전] H02216202 H02216173 Sudden 급성 C1276802 [3.0] Time 뜻밖의 일이 갑자기 일어남.[표준국어대사전] H02216215 H02216173 Sudden 갑작 C1276802 [3.0] Time 뜻밖의 일이 갑자기 일어남.[표준국어대사전] H02216228 H02216228 After examination 검사후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231 H02216231 Daily 매일 C0332173 [3.0] Time 1) 각각의 개별적인 나날. "2) 하루하루마다.[표준국어대사전]""" H02216243 H02216243 Sleep time 수면시간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256 H02216256 After lactation 수유후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271 H02216271 Preprandial 식전 C1550738 [3.0] Time 식사하기 전.[표준국어대사전] H02216284 H02216271 Before meals 식전 C1550738 [3.0] Time 식사하기 전.[표준국어대사전] H02216297 H02216271 Ante cibum 식전 C1550738 [3.0] Time 식사하기 전.[표준국어대사전] H02216301 H02216301 Immediate 즉시 C0205253 [3.0] Time 어떤 일이 행하여지는 바로 그때.[표준국어대사전] H02216313 H02216301 Stat 즉시 C0205253 [3.0] Time 어떤 일이 행하여지는 바로 그때.[표준국어대사전] H02216326 H02216326 Before sleeping 취침전 C0587115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339 H02216326 Hora sommi 취침전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341 H02216341 At dialysis 투석시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354 H02216354 At hemodialysis 혈액투석시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367 H02216367 At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시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370 H02216370 After medication 투약후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216382 H02216382 Number of bowel elimination 배변횟수 [3.0] Focus 배변 H02216395 H02216395 Number of children 자녀수 C2229974 [3.0] Focus 자녀 H02216409 H02216409 Self esteem scores 자존감점수 [3.0] Focus 자긍심 H02216411 H02216411 Scale for depression 우울점수 [3.0] Focus 우울 H02216424 H02216424 Fatigue scale 피로정도 [3.0] Focus 피로 H02216437 H02216437 Degree of discomfort 불편정도 [3.0] Focus 경 | 중간정도 | 심한 불편감 H02216440 H02216440 Anxiety level 불안정도 C0564474 [3.0] Focus 가벼운 | 중간정도 | 심한 | 공황 불안 H02216452 H02216452 Chest part 가슴부위 [3.0] Location Rt.upper | Rt.lower | Lt.upper | Lt.lower | sternal | Upper | Lower | whole 가슴 H02216478 H02216478 Color of sputum 가래색 C0475809 [3.0] Focus whitish | yellowish | blood tinged | pinkish | hemoptysis | greenish | brownish | purulent | thick | 가래 H02216481 H02216481 Amount of sputum 가래양 [3.0] Focus 많음 | 보통 | 적음 가래 H02216493 H02216493 Characteristics of sputum 가래양상 [3.0] Focus 묽음 | 진함 | 거품섞임 가래 H02216507 H02216507 Degree of sputum 가래정도 [3.0] Focus severe | tolerable | moderate | mild 가래 H02216510 H02216510 Education target 교육대상 [3.0] Client 보호자 | 부 | 모 | 간병인 | 환자 | 자녀 개인 H02216522 H02216522 Gargling solution 구강세척액 [3.0] Focus Nistatin | 1% betadin|normal saline | chlorhexidine(0.1%) | tantum | 기타 가글액 H02216535 H02216535 Characteristics of muscle movement 근육움직임 양상 [3.0] Focus intact | not intact 신체 움직임 H02216548 H02216548 Mood state 기분상태 [3.0] Focus appropriate | labile | flat | blunt | depression | pleasant | angry | euphoric | elated | anxious | 기분 H02216551 H02216551 Color of stool 대변색 C0578538 [3.0] Focus melena | hematochezia | 녹색변 | 회색변 | 기타 대변 H02216563 H02216563 Amount of stool 대변양 [3.0] Focus large | moderate | small 대변 H02216576 H02216576 Characteristics of stool 대변양상 [3.0] Focus 정상변 | loose | 변비 | 설사 | 점액변 대변 H02216589 H02216589 Insertion site for arterial catheter 동맥도관 삽입부위 [3.0] Location radial artery | dosalis pedis artery | femoral artery | 기타 삽입부위 H02216591 H02216591 Type of dressing 드레싱 종류 [3.0] Means gauze | hydrocholloid(duoderm) | hydrocholloid(comfeel) | foam | tegaderm | calcium alginate | hydro 상처 드레싱 H02216605 H02216605 Type of delusion 망상 종류 [3.0] Focus persecutory | grandiose | reference | control | poverty | 기타 망상 H02216618 H02216618 Measuring body site for pulse 맥박 측정부위 [3.0] Location femoral | carotid | dosalis pedis pulse | posterior tibial puls 측정부위 H02216621 H02216621 Type of suture out 발사 종류 [3.0] Focus partial | total 봉합사제거 H02216633 H02216633 Type of drain 배액관 종류 C0449484 [3.0] Means J-P | Hemovac | chest bottle | PTBD | PCD | penrose | 기타 배액관 H02216646 H02216646 Patency of drainage tube 배액관 개방성 [3.0] Means 양호 | 불량 배액관 H02216659 H02216659 Drainage method 배액방법 [3.0] Means 배액 H02216661 H02216661 Color of drainage 배액색 [3.0] Means bloody | serosanguineous | serous | greenish | brownish | 기타 배액 H02216674 H02216674 Type of portable wound suction device 배액주머니 종류 [3.0] Means C-bottle | J-P | Hemo-vac | PTBD | 기타 상처배액주머니 H02216687 H02216687 Quarter of abdomen 배 위치 [3.0] Location RLQ | LLQ | RUQ | LUQ | Lower | Upper 배 H02216690 H02216687 Quarter of abdomen 복부 위치 [3.0] Location RLQ | LLQ | RUQ | LUQ | Lower | Upper 배 H02216703 H02216703 Type of arrhythmia 부정맥 양상 [3.0] Focus sinus tachycardia | sinus bradycardia | Premature Artrial Complex |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 | 부정맥 H02216716 H02216716 Characteristics of edema 부종양상 [3.0] Focus 의존성 | 요흔성 부종 H02216729 H02216729 Color of discharge 분비물 색 [3.0] Focus whitish | yellowish | blood tinged | pinkish | hemoptysis | greenish | brownish | purulent | thick | 신체 구성물질 H02216731 H02216731 Color of drainage from t-tube T튜브 분비물 색깔 [3.0] Focus green | yellow | brown | serous | bloody | 기타 배액 H02216744 H02216744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분비물 양상 [3.0] Focus 묽음 | 진함 | 거품 신체 구성물질 H02216757 H02216757 Reason of anxiety 불안사유 [3.0] Focus 환경변화 | 죽음 | 예정된 시술 | 검사결과 | 정신질환 | 기타 불안 H02216760 H02216760 Degree of perineal laceration 산도 열상정도 [3.0] Focus 1° | 2° | 3° | 4° 열상 H02216772 H02216772 Inhalation rate of oxygen 산소량 [3.0] Focus 10ℓ/min | 8ℓ/min | 6ℓ/min | 5ℓ/min | 4ℓ/min | 3ℓ/min | 2ℓ/min | 1L/min | Full 흡입량 H02216785 H02216785 Inhalation route by oxygen therapy 산소요법 산소 흡입경로 [3.0] Means Nasal Prong | Facial Mask with partial rebreathing reservior | simple facial mask | T | E | hood | J 흡입 경로 H02216798 H02216798 Inhalation rate by oxygen therapy 산소요법 산소량 [3.0] Focus 10ℓ/min | 8ℓ/min | 6ℓ/min | 5ℓ/min | 4ℓ/min | 3ℓ/min | 2ℓ/min | 1L/min | Full 흡입량 H02216801 H02216801 Color of exudate 삼출물 색 C2585174 [3.0] Focus bloody | yellowish | brownish | 기타 삼출물 H02216814 H02216814 Characteristics of exudate 삼출물 양상 [3.0] Focus watery | mucoid | with clot | 기타 삼출물 H02216827 H02216827 Color of diarrhea 설사 색 [3.0] Focus melena | hematochezia | 녹색변 | 회색변 | 기타 설사 H02216830 H02216830 Characteristics of diarrhea 설사 양상 [3.0] Focus loose | watery | mucous | 기타 설사 H02216842 H02216842 Severity of diarrhea 설사 정도 [3.0] Focus severe | tolerable | moderate | mild 설사 H02216855 H02216855 Type of diarrhea 설사 종류 [3.0] Focus melena | hematochezia | 녹색변 | 회색변 | 기타 설사 H02216868 H02216868 Characteristics of water at irrigating 세척 양상 [3.0] Focus clear | turbid 세척 H02216871 H02216871 Color of urine 소변색 C0278030 [3.0] Focus amber | yellowish | brownish | blood tinged | hematuria | concentrated 소변 H02216883 H02216883 Characteristics of urine 소변 양상 [3.0] Focus clear | turbid | 기타 소변 H02216896 H02216896 Amount of infusion solution 수액량 [3.0] Focus 1L | 500cc | 100cc | 50cc | 16cc | remainder 수액 H02216900 H02216900 Name of infusion solution 수액명 [3.0] Focus D5W | D10W 수액 H02216912 H02216912 Patterns of electrocardiogram 심전도 양상 [3.0] Focus sinus tachycardia | sinus bradycardia | Premature artrial complex | Premature Ventricular Complex | 심전도 H02216925 H02216925 Inhalation route by ambumask 앰부마스크 흡입경로 [3.0] Means fitting mask | E-tube | T-cannula 흡입 경로 H02216938 H02216938 Color of amniotic fluid leakage 양수누출 색깔 [3.0] Focus clear | yellowish | meconium stained | pinkish | bloody | 기타 양수누출 H02216941 H02216941 Characteristics of amniotic fluid leakage 양수누출 양상 [3.0] Focus watery | mucous | with show | with vaginal discharge | 기타 양수누출 H02216953 H02216953 Type of feeding 영양공급 종류 [3.0] Means SFD | DM SFD | HPSFD | Water | 기타 영양 H02216966 H02216966 Route of feeding 영양공급 경로 [3.0] Means L-tube | G-tube | J-tube 영양 H02216979 H02216979 Method of feeding 영양공급 방법 [3.0] Means dripping | bolus 영양 H02216981 H02216981 Amount of lochia 산후질분비물 양 [3.0] Focus profuse | moderate | slight | scanty 산후질분비물 H02216994 H02216994 Type of lochia 산후질분비물 양상 [3.0] Focus rubra | serosa | alba | with clot 산후질분비물 H02217001 H02217001 Pressure ulcer stages 욕창 단계 C1718233 [3.0] Focus I | II | III | IV 욕창 H02217014 H02217014 Characteristics of pressure ulcer 욕창 양상 [3.0] Focus redness | discharge | pus | foul odor | dead space | undermining | sinus track | reepithelization | 욕창 H02217027 H02217027 Type of gastrostomy tube 위루관 종류 C0488866 [3.0] Means Foley cath. | 기타 위루관 H02217030 H02217027 Type of gastrostomy tube 위루 튜브 종류 C0488866 [3.0] Means Foley cath. | 기타 위루관 H02217042 H02217042 Characteristics of indigestion thing in stomach 위잔량 양상 [3.0] Focus SFD | 모유 | 분유 | SFD와 위액 섞여서 | 위액 | 담즙섞인색깔 | 깨끗함 | 지저분함 | blood clot 섞임 위잔여량 H02217055 H02217055 Size of indwelling catheter 유치도뇨관 사이즈 [3.0] Means 12Fr. | 14Fr. | 16Fr. | 18Fr. | 20Fr. | 22Fr. | 24Fr. | 기타 유치도관 H02217068 H02217068 Level of consciousness 의식수준 C0234425 [3.0] 1A.9.0118 Focus alert | drowsy | confused | semicomatous | comatous "1) 신경학적 손상을 받은 대상자를 사정시에 지남력의 정도, 각정수준, 문제해결능력이나 지시사항을 따르는가 등의 여러가지 방법으로 판단된다. 의식수준은 명료(alertness), 혼돈(confusion), 방향감각상실(disorientation), 기면(lethargy), 혼미(stupor), 혼수(coma)의 단계로 변할 수 있다. 2) 의식의 수준은 주변의 일을 어느정도 알고 있느냐에 따라서 표시된다. 그것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데, 수의적 운동, 반사, 자율신경기능을 관찰하고 통증이나 접촉 자극, 시각자극 등에 대한 반응에 의해 판단하며 뇌파소견 등을 참고한다. 의식수준은 대뇌피질과 뇌간망상체(腦幹網樣體) 부활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Magoun, Gellhorn).[간호학대사전]" H02217071 H02217068 LOC 의식수준 C0234425 [3.0] 1A.9.0118 Focus alert | drowsy | confused | semicomatous | comatous "1) 신경학적 손상을 받은 대상자를 사정시에 지남력의 정도, 각정수준, 문제해결능력이나 지시사항을 따르는가 등의 여러가지 방법으로 판단된다. 의식수준은 명료(alertness), 혼돈(confusion), 방향감각상실(disorientation), 기면(lethargy), 혼미(stupor), 혼수(coma)의 단계로 변할 수 있다. 2) 의식의 수준은 주변의 일을 어느정도 알고 있느냐에 따라서 표시된다. 그것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데, 수의적 운동, 반사, 자율신경기능을 관찰하고 통증이나 접촉 자극, 시각자극 등에 대한 반응에 의해 판단하며 뇌파소견 등을 참고한다. 의식수준은 대뇌피질과 뇌간망상체(腦幹網樣體) 부활계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된다(Magoun, Gellhorn).[간호학대사전]" H02217083 H02217083 Method of ambulation 이상 방법 [3.0] Means wheelchair | walker | 도보 보행기법 H02217096 H02217096 Mode of biphasic positive airway pressure 이중 양압환기 모드 [3.0] Means S | ST | T 이중 양압환기 H02217100 H02217100 Method of ambulation at admission 입원수단 [3.0] Means 눕는차 | 휠체어 | 도보 입원방법 H02217112 H02217112 Characteristics of uterus involution 자궁퇴축 양상 [3.0] Focus firm | relative firm | soft 자궁퇴축 H02217125 H02217125 Characteristics of bowel sound 장음 양상 [3.0] Focus hyperactive | active | normoactive | moderate | hypoactive | weak | abscent 장음 H02217138 H02217138 Reason of removing 제거 사유 [3.0] Focus order | self | obstruction | refuse | 기타 제거함 H02217141 H02217141 Type of artificial milk 조제분유 종류 [3.0] Means whole milk | half milk | 설사분유 | 특수분유 조제분유 H02217153 H02217153 Insertion site for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도관 삽입부위 [3.0] Location subclavian | internal jugula | femoral | 기타 중심정맥관 H02217166 H02217166 Type of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도관 종류 [3.0] Means double lumen cath. | tripple lumen cath. | leader cath. | 항생제 coating tripple lumen cath 중심정맥관 H02217179 H02217179 Characteristics of delirium 섬망 양상 [3.0] Focus flapping | resting | acting | intension 섬망 H02217181 H02217181 Name of analgesics 진통제명 [3.0] Means demerol | nubain | talwin | fentanyl patch | morphin | tarasyn | piroxicam | 기타 진통제 H02217194 H02217194 Amount of vaginal discharge 질분비물 양 [3.0] Focus scanty | small | moderate | large 질분비물 H02217208 H02217208 Characteristics of vaginal discharge 질분비물 양상 [3.0] Focus show like | leukorrhea | watery | bloody | serous | rubra | with clot 질분비물 H02217211 H02217211 Color of vaginal bleeding 질출혈 색깔 [3.0] Focus pinkish | old blood | fresh blood 질출혈 H02217223 H02217223 Amount of vaginal bleeding 질출혈 양 [3.0] Focus profuse | moderate | slight | scanty 질출혈 H02217236 H02217236 Puncture type 천자 종류 [3.0] Focus ascites | pleural | BM | CSF | spinal | 동맥 | 정맥 | 기타 천자함 H02217249 H02217249 Measuring body site for body temperature 체온 측정부위 [3.0] Location Axilla | tympanic | oral | anal 측정부위 H02217251 H02217251 Normality of weight 체중 정상도 [3.0] Focus 저체중 | 정상체중 | 과체중 몸의 무게. H02217264 H02217264 Bleeding type 출혈종류 [3.0] Focus Epistaxis | hematemesis | hematochezia | melena | anal bleeding | vaginal bleeding | gum 출혈 H02217277 H02217277 Purpose of elastic bandage apply 탄력붕대 적용 목적 [3.0] Means compression | securing for dressing | anti embolism 탄력붕대 H02217280 H02217280 Characteristics of fetal hypoxia 태아 저산소증 양상 [3.0] Focus early | late | variable | prolonged | sinosoidal | ambiguous 태아 저산소증 H02217292 H02217292 Variability patterns of fetal heart sound 태아심음 변동성 양상 [3.0] Focus good | moderate | monotonous 태아심음 H02217306 H02217306 Patterns of fetal heart sound 태아심음 양상 [3.0] Focus regular | arrhythmia 태아심음 H02217319 H02217319 Measuring body site for fetal heart sound 태아심음 측정부위 [3.0] Location RLQ | LLQ | RUQ | LUQ | umbilicus | upper pubis 측정부위 H02217321 H02217321 Type of dialysis 투석 종류 [3.0] Means 혈액투석 | 복막투석 | 혈액투석여과 투석기법 H02217334 H02217334 Reason of tube remove 튜브 제거 사유 [3.0] Focus order | self | obstruction | refuse | 기타 제거함 H02217347 H02217347 Type of tube 튜브 종류 [3.0] Means Chest tube | PTBD | Levin | SB | MA | Sump-tube | J-P drain | rectal | PCD | 기타 튜브 H02217350 H02217350 Lung site 폐부위 [3.0] Location RUL | RML | RLL | LUL | LML | LLL | BUL | BML | BLL | Rt. Lung | Lt. Lung | 기타 폐 H02217362 H02217362 Characteristics of skin 피부 상태 [3.0] Focus intact | redness | swelling | 기타 피부 H02217375 H02217375 Result of intradermal skin test 피내피부반응 검사결과 [3.0] Focus 음성 | 양성-발적 | 팽진 피부반응검사 H02217388 H02217388 Type of skin lesion 피부병변 종류 [3.0] Focus redness | erythema | eruption | vesicle | bullae | petechia | ecchymosis | pustule | abscess | ultic 피부병터 H02217391 H02217391 Color of skin 피부색 C0599910 [3.0] Focus pinkish | yellowish | cyanotic | dark | dusky 피부 H02217404 H02217404 Route of administration for anticoagulant 항응고제 투약경로 [3.0] Focus IV | IVS | A-line | SC | 기타 투약경로 H02217417 H02217417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by hemovac 헤모박 분비물 양상 [3.0] Focus turbid | serous | CSF양상 | 기타 분비물 양상 H02217420 H02217420 Measuring body site for blood pressure 혈압 측정부위 [3.0] Location Rt.arm | Lt.arm | Rt.leg | Lt. Leg 측정부위 H02217432 H02217432 Respiratory pattern 호흡 양상 C0517967 [3.0] Focus rough | hyperventilation | hypoventilation | shallow | hyperpnea | hypopnea | bradypnea | tachypnea 호흡기계 과정 H02217445 H02217445 Characteristics of dyspnea 호흡곤란 양상 [3.0] Focus chest retraction | labored respiration | flaring nose 호흡곤란 H02217458 H02217458 Mode of respirator 인공호흡기 모드 [3.0] Means VCV | VCV+AC | VCV+SIMV | PCV | PCV+AC | PCV +SIMV | PSV | CPAP | CMV 호흡기 H02217461 H02217461 Measuring body site for breathing sound 호흡음 측정부위 [3.0] Location Rt. | Lt. | both | RUL | RML | RLL | LUL | LML | LLL 측정부위 H02217473 H02217473 Method for moving a patient 환자이송 방법 [3.0] Means 눕는차 | 휠체어 | 도보 이송기법 H02217486 H02217486 Size of chest tube 가슴관 사이즈 [3.0] Means 28 Fr. | 32Fr. | 기타 흉곽튜브 H02217499 H02217486 Size of chest tube 흉관 사이즈 [3.0] Means 28 Fr. | 32Fr. | 기타 흉곽튜브 H02217502 H02217486 Size of chest tube 흉곽 튜브 사이즈 [3.0] Means 28 Fr. | 32Fr. | 기타 흉곽튜브 H02217515 H02217515 Type of chest physiotherapy 흉부 물리요법 종류 [3.0] Means percussion | vibration | postural drainage 폐 물리요법 H02217528 H02217528 Eye response of glasgow coma scale 글래스고 혼수 척도 눈뜨기 반응 [3.0] Focus grade1 | grade2 | grade3 | grade4 글래스고혼수척도 H02217531 H02217531 Motor response of glasgow coma scale 글래스고 혼수 척도 운동반응 [3.0] Focus grade1 | grade2 | grade3 | grade4 | grade5 | grade6 글래스고혼수척도 H02217543 H02217543 Verbal response of glasgow coma scale 글래스고 혼수 척도 언어반응 [3.0] Focus grade1 | grade2 | grade3 | grade4 | grade5 | VE | VT 글래스고혼수척도 H02217556 H02217556 Purpose of non per os 금식 목적 [3.0] Focus 검사 | 시술 | 수술 | 치료 금식 H02217569 H02217569 Type of non per os 금식 종류 [3.0] Focus MN NPO | 조식후 NPO | 제한적 NPO 금식 H02217571 H02217571 Size of tracheostomy cannula 기관절개 삽입관 사이즈 [3.0] Means 6.0 | 6.5 | 7.0 | 7.5 | 8.0 | 기타 기관절개 삽입관 H02330685 H02152862 Self disclosure 자아 노출 C0036596 [3.0] 10037670 Focus 행위: 구두 또는 서면으로 정보를 드러내는 것. H02330698 H02152862 Self disclosure 자기 표출 C0036596 [3.0] 10037670 Focus 행위: 구두 또는 서면으로 정보를 드러내는 것. H02330701 H00308178 Cicatrix 아문 상처 C2004491 [3.0] L90.5 10017500 1A.9.0449 Focus "신체조직: 피부가 파괴되고 치유되는 과정과 관련된 수축되고, 단단한 무혈관성의 창백한 신체 표면의 조직." H02330714 H00535217 Encopresis 분변실금 C0014089 [3.0] 10027725 1A.01.01.01.09.01.02 Focus "변실금: 수의적 부적절한 변의 이동과 배출, 기질적 결함이나 질병에 기인하지 않은 변실금." H02330727 H02154961 Effective defecation 효과적인 배변 C2712257 [3.0] 10028398|10028403 Focus|DC 배변 H02330730 H02157857 Muscle twisting process 근육비틀림과정 [3.0] 10012328 Focus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격렬한 신체 활동, 떨어지지 않기 위한 자세에서 한 개 이상의 근육이 과잉운동하는 것과 관련된 근육 혹은 근육군의 고통스럽고 불수의적인 수축." H02330742 H02160381 Weeping edema 누출부종 C2938876 [3.0] 10033310 Focus 림프성 부종 H02330755 H02160841 Mood equilibrium 기분 안정 C0558224 [3.0] 10035785|10035792 Focus|DC 기분 H02330771 H02161637 Barriers to adherence 이행 방해요인 [3.0] 10024768 Focus 방해 H02330783 H02161637 Barriers to adherence 이행 장애요인 [3.0] 10024768 Focus 방해 H02330796 H02162116 Positive perception 긍정적 인지 [3.0] 10028442 Focus 지각 H02330800 H02162300 Homemaking 가사관리 C0237074 [3.0] 10009076 1A.01.01.02.02.01.02.02 Focus 활동: 환경이나 거주지를 편안하고 아늑하게 조성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 자신과 타인을 집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함; 안전하고 잘 관리된 가정을 제공하는 것. H02330812 H02162300 Homemaking 가사 C0237074 [3.0] 10009076 1A.01.01.02.02.01.02.02 Focus 활동: 환경이나 거주지를 편안하고 아늑하게 조성하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관리하는 것; 자신과 타인을 집에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함; 안전하고 잘 관리된 가정을 제공하는 것. H02330825 H02163361 Privacy for spiritual behavior 영적행위에 대한 사생할 보호 [3.0] 10024845 Focus 사생활 H02330838 H02163361 Privacy for spiritual behaviour 영적행위에 대한 사생할 보호 [3.0] 10024845 Focus 사생활 H02330841 H02164231 Literacy rate 읽고쓰기 능력 비율 [3.0] 10011396 Focus 비율: 지역사회나 주민 중에서 읽거나 쓸 수 있는 사람들의 상대적 비율. H02330853 H02166508 Worship 예배 C0518645 [3.0] 10021166 Focus 영적 행위 H02330866 H00052598 Afterpains 산후통 [3.0] 1A.9.0032 Focus "1) 출산후 자궁이 임신전 상태로 되돌아 가기위해 수축할 때 느껴지는 동통으로 산후 2일정도 지속된다. 2) 태반 만출뒤에도 계속해서 나타나게 되는 자궁수축. 자궁으로 부터의 출혈방지, 자궁퇴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330879 H01027131 Medical examination 의학검진 C0582103 [3.0] 1A.9.0340 Focus "a thorough physical examination; includes a variety of tests depending on the age and sex and health of the person[Based on WordNet 3.0, Farlex clipart collection. ⓒ 2003-2012 Princeton University, Farlex Inc.]" H02330894 H02176153 Orthostatic blood pressure 기립상태 측정 혈압 C1095971 [3.0] Focus "기립시 혈압조절기구에 장애가 있기 때문에 기립시에 혈압이 낮아지고 어지럽고 때로는 실신하게 되는 상태이다. 원인으로서는 약제(특히 자율신경계에 작용하는 강압제), 신경질환(척수손상, 그밖의 척수내지 자율신경을 침범하는 질환), 당뇨병성 신경증, 부신부전, 갈색세포종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330908 H02176502 Postpartum care 산후간호 [3.0] 1A.9.0421 Focus 산후관리. H02330911 H02179610 Interpersonal dynamics analysis 대인관계 역동분석 C2937198 [3.0] 2B.9.0037 Focus Analysis of the driving forces in a relationship between people[CCC] H02330923 H02209092 Air mattress 에어 매트리스 C0972397 [3.0] 2C.9.0004 Means 공기를 넣어 부풀게 할 수 있는 침대. H02330936 H02209540 Warm therapy 온요법 [3.0] Means 생리식염수 H02330949 H02210351 Levin tube 레빈튜브 [3.0] 2C.9.0100 Means 위내압 감소 또는 영양공급을 위한 위장관 삽입에 사용되거나 코를 통하는 플라스틱 카테터.[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330964 H01130739 Nicotine patch 니코틴 패치 [3.0] Means 부착포 H02330977 H01107691 Nasal cannula 비강캐뉼러 C0179574 [3.0] Means "산소흡입방법의 하나인데 콧구멍에 캐뉼라를 놓고、안경모양으로 귀로 지탱하는 것이다. 간편하고 경제적(經費的)으로 도관을 넣기를 싫어하는 사람에게 편리하고, 입으로 호흡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에게는 특히 야간에 부적당하다. 산소흡입량은 환자의 분당환기량의 1/4정도 즉 1~2ℓ/분 정도에서 시작하고 긴급을 요하는 경우를 제하고 동맥혈가스분석치를 참조하면서 시간을 걸려서 필요량까지 도달해 6ℓ/분 정도까지 증가한다. 6ℓ/분 산소의 투여에 의해 흡입산소농도는 30~40%에 이른다.[간호학대사전]" H02331000 H01336859 Physical restraint 신체억제 C0035260 [3.0] Means 치료 및 검사를 목적으로 불필요한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신체의 일부를 억제하는데 사용. H02331012 H00096951 Antiasthmatic 천식치료제 C0282556 [3.0] Means "기관지천식의 치료에 사용되는 약제이고 세포막의 아데닐레이트 사이클레이스를 부활화(賦活化)하는 교감신경자극제(β2-자극제), 항포스모디에스터 레이스 작용이 있는 크산틴계약제 등의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α-차단제, 비만세포의 막을 안정화시켜 발작을 예방하는 크로모글리케이트나트름(인탈), 금제제, 히스타글로빈, 감감작용법에 사용하는 약제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331025 H00101921 Antithrombotic 항혈전약 [3.0] Means "혈액 응고에 관여하는 혈소판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 주로 동맥 혈전성 질환 치료에 사용하는 것으로, 디피리다몰ㆍ아스피린ㆍ티클로피딘(ticlopidine) 따위가 있다.[표준국어대사전]" H02331038 H02214826 Follow up appointment 재진 예약 [3.0] 10038739 Time 예약 H02331041 H02216535 Characteristics of muscle movement 근육움직임 특성 [3.0] Focus intact | not intact 신체 움직임 H02331053 H02216687 Quarter of abdomen 복부 사분위 [3.0] Location RLQ | LLQ | RUQ | LUQ | Lower | Upper 배 H02331066 H02216953 Type of feeding 식이 종류 [3.0] Means SFD | DM SFD | HPSFD | Water | 기타 영양 H02331079 H02216966 Route of feeding 식이제공 경로 [3.0] Means L-tube | G-tube | J-tube 영양 H02331081 H02216979 Method of feeding 식이제공 방법 [3.0] Means dripping | bolus 영양 H02331094 H02217042 Characteristics of indigestion thing in stomach 위내 잔여량 양상 [3.0] Focus SFD | 모유 | 분유 | SFD와 위액 섞여서 | 위액 | 담즙섞인색깔 | 깨끗함 | 지저분함 | blood clot 섞임 위잔여량 H02331108 H02217055 Size of indwelling catheter 유치도뇨관 크기 [3.0] Means 12Fr. | 14Fr. | 16Fr. | 18Fr. | 20Fr. | 22Fr. | 24Fr. | 기타 유치도관 H02331111 H02217083 Method of ambulation 보행 방법 [3.0] Means wheelchair | walker | 도보 보행기법 H02331123 H02217100 Method of ambulation at admission 입원방법 [3.0] Means 눕는차 | 휠체어 | 도보 입원방법 H02331136 H02217153 Insertion site for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 삽입부위 [3.0] Location subclavian | internal jugula | femoral | 기타 중심정맥관 H02331149 H02217166 Type of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 종류 [3.0] Means double lumen cath. | tripple lumen cath. | leader cath. | 항생제 coating tripple lumen cath 중심정맥관 H02331151 H02217571 Size of tracheostomy cannula 기관절개관 사이즈 [3.0] Means 6.0 | 6.5 | 7.0 | 7.5 | 8.0 | 기타 기관절개 삽입관 H02331164 H00645657 Flatulence 위장내 공기참 C0016204 [3.0] 10007985 1A.01.01.01.09.01.05.01 Focus "위장관계 과정: 위와 장관 내에 과도한 공기나 가스의 존재, 증가된 가스, 장기들의 팽만과 경증에서 중증도의 통증을 동반하는 복부팽만." H02331177 H00380765 CAPD 지속복막투석 [3.0] Means 새롭게 개발된 복막투석법이고 종래의 방법과 달리 1일 4회 2ℓ의 투석액을 교환해서 25시간 연속해 복막을 이용해 투석하는 방법이다. 특별한 기기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가정에서 액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사회복귀에도 편리하다. 또 혈액 투석에 비해서 중분자량의 요독증성물질이 잘 제거되는 이점도 있다. CAPD 실시에 있어서 복막염의 합병에 주의를 요하는 것은 종래의 복막투석과 같다.[간호학대사전] H02331180 H02164297 Readiness for smoking cessation 금연 준비도 [3.0] 10038610 Focus 준비 H02331192 H02209106 Alberti regimen 알버티 요법 [3.0] 2C.9.0005 Means "고급 포도당+인슐린+칼륨의 수액(輸液)을 실시하는 요법. 단순한 당질의 보급뿐이 아니라 대사를 개선하고 세포내 K의 취득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행한다. 투여법은 10% 포도당 500㎖에 인슐린 5~10단위, KCl 40mEq를 더해서 22㎖시의 속도로 점적(點滴)한다. 적응으로서는 급성심근경색, 개심술(開心術)후의 저심박출량증후군(低心拍出量症候群), 세균성쇼크 등이 있다. 점적실시중에는 혈당, 혈청칼륨치를 자주 확인한다.[간호학대사전]" H02725270 H02725270 Vaginal discharge 대하 [3.0] N89.8 1A.9.0592 Focus 膣分泌物 "투명하거나 진줏빛의 분비물은 정상. 분비물의 양과 특성은 월경 주기나 생식기계 활성화 기간에 따라 여성마다 다르며 초경 전이나 폐경 후 분비물의 양은 가임기 떄보다 적다. 분비물은 내경부샘(endocervical gland)의 분비물이 대부분이다. 질이나 경부의 염증 상태는 분비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악취나 회음, 외음부의 소양감을 초래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947857 H02947857 Ability to manage stress 스트레스 관리 능력 C0150788 [3.0] 10044124 Focus H02947860 H02947860 Ability to perform fine motor function 미세운동기능 수행 능력 C0562023 [3.0] 10043035 Focus H02947872 H02947872 Ability to procure medication 약물조달 능력 C4032646 [3.0] 10043061 Focus H02947885 H02947885 Able to adjust 적응 가능 C2364069 [3.0] 10021828 DC H02947898 H02947898 Able to bath 목욕 가능 C2712072 [3.0] 10028224 DC H02947901 H02947901 Able to communicate 의사소통 가능 C2364293 [3.0] 10025025 DC H02947914 H02947914 Able to communicate verbally 언어적 의사소통 가능 C2712064 [3.0] 10028230 DC H02947927 H02947927 Able to dress 의복착용 가능 C2712075 [3.0] 10028211 DC H02947930 H02947930 Able to dress and groom 의복착용과 몸단장하기 가능 C2712076 [3.0] 10028207 DC H02947942 H02947942 Able to feed self 혼자 먹기 가능 C2712077 [3.0] 10028253 DC H02947955 H02947955 Able to groom self 혼자 몸단장하기 가능 C2712078 [3.0] 10028269 DC H02947968 H02947968 Able to manage finances 재정관리 가능 C0582683 [3.0] 10034547 DC H02947971 H02947971 Able to manage medication regime 약물요법 관리 가능 C0562941 [3.0] 10029272 DC H02947983 H02947983 Able to manage medication regime using memory technique 기억기법을 사용한 약물요법 관리 가능 C4032604 [3.0] 10043866 DC H02947996 H02947996 Able to manage regime 약물요법 가능 C2363406 [3.0] 10001407 DC H02948003 H02948003 Able to mobilise 기동 가능 C2712067 [3.0] 10028461 DC H02948016 H02948016 Able to move in bed 침상내 이동 가능 C2712063 [3.0] 10029240 DC H02948029 H02948029 Able to participate in care planning 간호계획 참여 가능 C3651066 [3.0] 10035123 DC H02948031 H02948031 Able to perform caretaking 돌봄 수행 가능 C2712068 [3.0] 10025655 DC H02948044 H02948044 Able to perform health maintenance 건강유지 수행 가능 C2364169 [3.0] 10023452 DC H02948057 H02948057 Able to perform homemaking 가사일 수행 가능 C3651071 [3.0] 10028248 DC H02948060 H02948060 Able to perform hygiene 위생 수행 가능 C2712079 [3.0] 10028708 DC H02948072 H02948072 Able to perform leisure activity 여가 활동 수행 가능 C2712074 [3.0] 10040367 DC H02948085 H02948085 Able to perform oral hygiene 구강위생 수행 가능 C2712080 [3.0] 10028749 DC H02948098 H02948098 Able to perform self care 자가관리 수행 가능 C2712073 [3.0] 10025714 DC H02948101 H02948101 Able to prepare food 식사 준비 가능 C0564293 [3.0] 10030137 DC H02948114 H02948114 Able to procure medication 약물조달 가능 C4032646 [3.0] 10043088 DC H02948127 H02948127 Able to shop 쇼핑 가능 C0577435 [3.0] 10034575 DC H02948130 H02948130 Able to socialise 사회화 가능 C2712085 [3.0] 10028282 DC H02948142 H02948142 Able to swallow 연하 가능 C2712086 [3.0] 10028295 DC H02948155 H02948155 Able to thrive 성장 가능 C2712088 [3.0] 10028305 DC H02948168 H02948168 Able to toilet self 혼자 대소변보기 가능 C2712081 [3.0] 10028314 DC H02948171 H02948171 Able to transfer 이동 가능 C2712082 [3.0] 10028322 DC H02948183 H02948183 Able to walk 보행 가능 C2712089 [3.0] 10028333 DC H02948196 H02948196 Absence of adverse medication interaction 약물 유해작용 없음 C4032649 [3.0] 10042759 Focus H02948200 H02948200 Accompanying 동행하기 [3.0] 10042609 Action H02948212 H02948212 Accompanying patient 환자 동행하기 C2079578 [3.0] 10042613 IC H02948225 H02948225 Active range of motion within normal limits 정상한계 내 능동적 관절가동범위 C0575008 [3.0] 10040305 DC H02948238 H02179232 Acupressure therapy 지압 요법 C0282614 [3.0] 10042621 Means|IC H02948253 H02948253 Acute health crisis 급성 건강 위기 C3165247 [3.0] 10029684 DC H02948266 H02948266 Adequate food supply 적절한 식량 공급 C4032493 [3.0] 10045725 DC H02948279 H02188577 Adherence to fluid regime 체액요법 이행 C3165270 [3.0] 10030171 DC H02948281 H02948281 Adherence to therapeutic regime 치료요법 이행 C0337617 [3.0] 10030205 DC H02948294 H02948294 Administering antibiotic 항생제 투여하기 C0508215 [3.0] 10030383 IC H02948308 H02948308 Administering antipyretic 해열제 투여하기 C3650946 [3.0] 10037248 IC H02948311 H02948311 Administering inhalent medication 흡입 약물 투여하기 C4032448 [3.0] 10046579 IC H02948323 H02948323 Administering insulin 인슐린 투여하기 C3165280 [3.0] 10030417 IC H02948336 H02948336 Administering intracutaneous medication 피부내 약물 투여하기 C4032488 [3.0] 10045815 IC H02948349 H02948349 Administering intramuscular medication 근육내 약물 투여하기 C4032487 [3.0] 10045827 IC H02948351 H02948351 Administering intravenous medication 정맥내 약물 투여하기 C4032486 [3.0] 10045836 IC H02948364 H02948364 Administering medication 약물 투여하기 C0806914 [3.0] 10025444 IC H02948377 H02948377 Administering medication after interpreting arterial blood gas result 동맥혈가스 결과에 따른 약물 투여하기 C3165229 [3.0] 10001794 IC H02948380 H02948380 Administering medication and solution 약물과 수액 투여하기 C3165230 [3.0] 10001804 IC H02948392 H02948392 Administering nutritional supplement 영양 보충제 투여하기 C3650956 [3.0] 10037037 IC H02948406 H02948406 Administering pain medication 진통제 투여하기 C2364136 [3.0] 10023084 IC H02948419 H02948419 Administering prophylactic treatment 예방적 치료제 투여하기 C1999024 [3.0] 10001827 IC H02948421 H02948421 Administering subcutaneous medication 피하 약물 투여하기 C4032485 [3.0] 10045843 IC H02948434 H02948434 Administering vaccine 백신 투여하기 C1116447 [3.0] 10030429 IC H02948447 H02948447 Administering vaginal medication 질내 약물 투여하기 C4032484 [3.0] 10045858 IC H02948450 H02948450 Administering vitamin 비타민 투여하기 C3650955 [3.0] 10037044 IC H02948462 H02948462 Administering vitamin b12 비타민 B12 투여하기 C3165281 [3.0] 10030438 IC H02948475 H02948475 Admission assessment 입원사정 C1320369 [3.0] 10030687 IC H02948488 H02948488 Adult failure to thrive 성인 성장장애 C1998978 [3.0] 10000465 DC H02948491 H02948491 Advancing dietary regime 식이요법 향상 C3650999 [3.0] 10036447 IC H02948504 H02948504 Advancing mobility 기동력 향상 C3650998 [3.0] 10036452 IC H02948517 H02948517 Adverse medication interaction 약물 유해작용 C4032662 [3.0] 10042716 Focus|DC H02948520 H02948520 Advising about employment 취업에 대한 조언 C3165282 [3.0] 10030440 IC H02948532 H02948532 Advising about housing 주거에 대한 조언 C3165283 [3.0] 10030455 IC H02948545 H02948545 Advocating for breastfeeding 모유수유 옹호하기 C3650824 [3.0] 10039542 IC H02948558 H02948558 Advocating for patient 환자 옹호하기 C0030674 [3.0] 10001938 IC H02948561 H02948561 Alert 명료함 C3665546 [3.0] 10028346 DC H02948586 H00191871 Altered blood pressure 혈압변화 C1268766 [3.0] 10022954 DC H02948599 H02948599 Altered perception 지각변화 C0150075 [3.0] 10001242 DC H02948602 H02948602 Altered uterine contractions 자궁수축 변화 C4032496 [3.0] 10045675 DC H02948615 H02948615 Applying cold pack 냉찜질 적용하기 C3650997 [3.0] 10036468 IC H02948628 H02948628 Applying compression bandage 압박붕대 적용하기 C3165284 [3.0] 10030472 IC H02948631 H02948631 Applying elastic stockings 탄력 스타킹 적용하기 C3165285 [3.0] 10030486 IC H02948643 H02948643 Applying hot pack 온찜질 적용하기 C3650820 [3.0] 10039617 IC H02948656 H02948656 Applying physical restraint 신체억제 적용하기 C0204738 [3.0] 10036182 IC H02948669 H02948669 Applying safety device 안전기구 적용하기 C1269661 [3.0] 10002472 IC H02948671 H02948671 Appropriate self disclosure 적절한 자기노출 C3650732 [3.0] 10041659 DC H02948684 H02948684 Arranging transport of device 기구 이송 조정하기 C3165286 [3.0] 10030493 IC H02948697 H02948697 Arranging transportation service 교통 서비스 조정하기 C2364218 [3.0] 10024171 IC H02948701 H02948701 Arterial blood specimen 동맥 혈액검체 [3.0] 10045870 Focus H02948713 H02948713 Assessing ability to communicate by talking 언어적 의사소통 능력 사정하기 C3165287 [3.0] 10030515 IC H02948726 H02948726 Assessing ability to manage stress 스트레스 관리 능력 사정하기 C4032594 [3.0] 10044130 IC H02948739 H02948739 Assessing ability to perform caretaking 돌봄수행 능력 사정하기 C3650904 [3.0] 10037966 IC H02948741 H02948741 Assessing ability to prepare food 식사준비 능력 사정하기 C3165289 [3.0] 10030536 IC H02948754 H02948754 Assessing ability to walk 보행 능력 사정하기 C3650852 [3.0] 10038917 IC H02948767 H02948767 Assessing acceptance of health status 건강상태 수용성 사정하기 C2712187 [3.0] 10026249 IC H02948770 H02948770 Assessing active range of motion 능동적 운동범위 사정하기 C3650798 [3.0] 10040044 IC H02948782 H02948782 Assessing activity tolerance 활동 지속성 사정하기 C3650906 [3.0] 10037945 IC H02948795 H02948795 Assessing adherence 이행 사정하기 C2364219 [3.0] 10024185 IC H02948809 H02948809 Assessing adherence to diet 식사이행 사정하기 C4032579 [3.0] 10044481 IC H02948811 H02948811 Assessing adherence to fluid regime 수액요법 이행 사정하기 C4032578 [3.0] 10044499 IC H02948824 H02948824 Assessing adherence to immunisation regime 면역요법 이행 사정하기 C3650693 [3.0] 10037868 IC H02948837 H02948837 Assessing adherence to medication regime 약물요법 이행 사정하기 C3650913 [3.0] 10037852 IC H02948840 H02948840 Assessing adherence to safety regime 안전요법 이행 사정하기 C4032577 [3.0] 10044508 IC H02948852 H02948852 Assessing adherence to therapeutic regime 치료요법 이행 사정하기 C4032437 [3.0] 10045889 IC H02948865 H02948865 Assessing aggressive behaviour 공격적 행동 사정하기 C3650707 [3.0] 10035684 IC H02948878 H02948878 Assessing alcohol abuse 알코올 남용 사정하기 C4032595 [3.0] 10044107 IC H02948881 H02948881 Assessing allodynia 이질통증 사정하기 C3650854 [3.0] 10038891 IC H02948893 H02948893 Assessing anxiety 불안 사정하기 C3650726 [3.0] 10041745 IC H02948907 H02948907 Assessing appetite 식욕 사정하기 C3650853 [3.0] 10038901 IC H02948910 H02948910 Assessing arterial blood flow using ultrasound 초음파를 이용한 동맥혈류 사정하기 C3165290 [3.0] 10030543 IC H02948922 H02948922 Assessing attitude toward disease 질병에 대한 태도 사정하기 C2364220 [3.0] 10024192 IC H02948935 H02948935 Assessing attitude toward health status 건강상태에 대한 태도 사정하기 C3650773 [3.0] 10040636 IC H02948948 H02948948 Assessing attitude toward medication management 약물관리에 대한 태도 사정하기 C3165231 [3.0] 10002687 IC H02948951 H02948951 Assessing attitude toward nutritional status 영양상태에 대한 태도 사정하기 C1999046 [3.0] 10002694 IC H02948963 H02948963 Assessing attitude toward operation 수술에 대한 태도 사정하기 C4032673 [3.0] 10042479 IC H02948976 H02948976 Assessing attitude toward treatment regime 치료요법에 대한 태도 사정하기 C2364221 [3.0] 10024205 IC H02948989 H02948989 Assessing balance 균형상태 사정하기 C3650933 [3.0] 10037457 IC H02948991 H02948991 Assessing barriers to adherence 이행의 장애요인 사정하기 C2364222 [3.0] 10024214 IC H02949009 H02949009 Assessing body image 신체상 사정하기 C4032483 [3.0] 10045891 IC H02949011 H02949011 Assessing bowel continence 배변조절능력 사정하기 C3165291 [3.0] 10030558 IC H02949024 H02949024 Assessing bowel status 장관 상태 사정하기 C3650996 [3.0] 10036475 IC H02949037 H02949037 Assessing breastfeeding 모유수유 사정하기 C3650975 [3.0] 10036755 IC H02949040 H02949040 Assessing capabilities 능력 사정하기 C2712186 [3.0] 10026040 IC H02949052 H02949052 Assessing cardiac status 심장상태 사정하기 C3650721 [3.0] 10036738 IC H02949065 H02949065 Assessing cardiac status using monitoring device 모니터 기구를 이용한 심장 상태 사정하기 C1999047 [3.0] 10002706 IC H02949078 H02949078 Assessing caregiver 돌봄제공자 사정하기 C3165292 [3.0] 10030562 IC H02949081 H02949081 Assessing caregiver knowledge 돌봄제공자의 지식 사정하기 C3165468 [3.0] 10033876 IC H02949093 H02949093 Assessing caregiver stress 돌봄제공자의 스트레스 사정하기 C2364223 [3.0] 10024222 IC H02949107 H02949107 Assessing chemical injury 화학적 손상 사정하기 C1269670 [3.0] 10044021 IC H02949110 H02949110 Assessing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 사정하기 C3165293 [3.0] 10030570 IC H02949122 H02949122 Assessing cognition 인지상태 사정하기 C2712188 [3.0] 10025883 IC H02949135 H02949135 Assessing contraceptive use 피임법 사용 사정하기 C4032482 [3.0] 10045901 IC H02949148 H00134473 Assessing control of pain 통증조절 사정하기 C1161170 [3.0] 10002710 IC H02949151 H02949151 Assessing coping 대처능력 사정하기 C1999048 [3.0] 10002723 IC H02949163 H02949163 Assessing cultural beliefs 문화적 신념 사정하기 C2364224 [3.0] 10024233 IC H02949176 H02949176 Assessing death tradition 죽음에 대한 관습 사정하기 C3650901 [3.0] 10038014 IC H02949189 H02949189 Assessing decision making 의사결정 사정하기 C3650771 [3.0] 10040689 IC H02949191 H02949191 Assessing decisional conflict 의사결정 갈등 사정하기 C3650770 [3.0] 10040691 IC H02949205 H02949205 Assessing denial 부정 사정하기 C2364225 [3.0] 10024246 IC H02949218 H02949218 Assessing depressed mood 우울기분 사정하기 C2712190 [3.0] 10026055 IC H02949221 H02949221 Assessing diabetic foot ulcer 당뇨성 족부궤양 사정하기 C4032659 [3.0] 10042802 IC H02949233 H02949233 Assessing diarrhoea 설사 사정하기 C4032420 [3.0] 10043656 IC H02949246 H02949246 Assessing dietary need 식이 요구 사정하기 C3650912 [3.0] 10037875 IC H02949259 H02949259 Assessing dizziness 현기증 사정하기 C4032481 [3.0] 10045917 IC H02949261 H02949261 Assessing drug abuse 약물 남용 사정하기 C4032480 [3.0] 10045929 IC H02949274 H02949274 Assessing during encounter 마주친 기간동안 사정하기 C3165301 [3.0] 10030673 IC H02949287 H02949287 Assessing eating or drinking behaviour 먹기 혹은 마시기 행위 사정하기 C1998955 [3.0] 10002747 IC H02949290 H02949290 Assessing electrical injury 전기적 손상 사정하기 C1269671 [3.0] 10044032 IC H02949303 H02949303 Assessing environment 환경 사정하기 C2712191 [3.0] 10026064 IC H02949316 H02949316 Assessing exercise behaviour 운동 행위 사정하기 C3650699 [3.0] 10024251 IC H02949329 H02949329 Assessing expectations 기대 사정하기 C2712192 [3.0] 10026072 IC H02949331 H02949331 Assessing exposure to contagion 전염 노출 사정하기 C4032599 [3.0] 10044013 IC H02949344 H02949344 Assessing family coping 가족 대처 사정하기 C2712193 [3.0] 10026600 IC H02949357 H02949357 Assessing family knowledge of disease 가족의 질병 지식 사정하기 C3165294 [3.0] 10030591 IC H02949360 H02949360 Assessing family process 가족 과정 사정하기 C3165295 [3.0] 10030602 IC H02949372 H02949372 Assessing fatigue 피로 사정하기 C0547096 [3.0] 10026086 IC H02949385 H02949385 Assessing fear 두려움 사정하기 C2364227 [3.0] 10024267 IC H02949398 H02949398 Assessing fear about being a burden to others 타인에게 부담이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사정하기 C2712194 [3.0] 10026254 IC H02949401 H02949401 Assessing fear about death 죽음에 대한 두려움 사정하기 C2712195 [3.0] 10026093 IC H02949414 H02949414 Assessing financial status 재정상태 사정하기 C3650905 [3.0] 10037950 IC H02949427 H02949427 Assessing fluid balance 체액균형 사정하기 C3650711 [3.0] 10037881 IC H02949430 H02949430 Assessing fluid intake 수분섭취 사정하기 C4032591 [3.0] 10044176 IC H02949442 H02949442 Assessing food supply 음식공급 사정하기 C3650911 [3.0] 10037899 IC H02949455 H02949455 Assessing foot pressure 족압 사정하기 C4032652 [3.0] 10042927 IC H02949468 H02949468 Assessing for sign of discomfort 불편감 징후 사정하기 C3650943 [3.0] 10037295 IC H02949471 H02949471 Assessing gestational age 재태기간 사정하기 C3650953 [3.0] 10037071 IC H02949483 H02949483 Assessing grief 슬픔 사정하기 C2712196 [3.0] 10026103 IC H02949496 H02949496 Assessing health and social care needs 건강과 사회적 돌봄 요구 사정하기 C3165296 [3.0] 10030618 IC H02949500 H02949500 Assessing housing condition 주거상태 사정하기 C3165297 [3.0] 10030625 IC H02949512 H02949512 Assessing hygiene pattern 위생 양상 사정하기 C3650910 [3.0] 10037909 IC H02949525 H02949525 Assessing hyperalgesia 통각과민증 사정하기 C3650855 [3.0] 10038889 IC H02949538 H02949538 Assessing injury 손상 사정하기 C0558029 [3.0] 10042943 IC H02949541 H02949541 Assessing knowledge 지식 사정하기 C3165469 [3.0] 10033882 IC H02949553 H02949553 Assessing knowledge about pain 통증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43 [3.0] 10039104 IC H02949566 H02949566 Assessing knowledge of cross infection 교차 감염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903 [3.0] 10037984 IC H02949579 H02949579 Assessing knowledge of disease 질병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165298 [3.0] 10030639 IC H02949581 H02949581 Assessing knowledge of environmental safety 환경적 안전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15 [3.0] 10039767 IC H02949594 H02949594 Assessing knowledge of fall prevention 낙상 예방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14 [3.0] 10039780 IC H02949608 H02949608 Assessing knowledge of medication regime 약물 요법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47 [3.0] 10039039 IC H02949611 H02949611 Assessing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통증 관리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46 [3.0] 10039041 IC H02949623 H02949623 Assessing knowledge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조절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45 [3.0] 10039060 IC H02949636 H02949636 Assessing knowledge of physical therapy 신체적 치료요법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16 [3.0] 10039733 IC H02949649 H02949649 Assessing knowledge of traditional therapy 민간치료요법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841 [3.0] 10039136 IC H02949651 H02949651 Assessing knowledge of treatment regime 치료 요법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3650995 [3.0] 10036481 IC H02949664 H02949664 Assessing knowledge of wound care 상처치료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4032447 [3.0] 10046598 IC H02949677 H02949677 Assessing knowledge of wound healing 상처치유에 대한 지식 사정하기 C4032436 [3.0] 10046607 IC H02949680 H02949680 Assessing laser injury 레이저 손상 사정하기 C1269674 [3.0] 10044169 IC H02949692 H02949692 Assessing medication supply 약물 공급 사정하기 C2364121 [3.0] 10022912 IC H02949706 H02949706 Assessing memory 기억 사정하기 C4032612 [3.0] 10043775 IC H02949719 H02949719 Assessing mobility 기동성 사정하기 C3165288 [3.0] 10030527 IC H02949721 H02949721 Assessing mood 기분 사정하기 C3650851 [3.0] 10038938 IC H02949734 H02949734 Assessing nausea 오심 사정하기 C4032619 [3.0] 10043694 IC H02949747 H02949747 Assessing needs 요구 사정하기 C0558005 [3.0] 10033368 IC H02949750 H02949750 Assessing neurological status 신경학적 상태 사정하기 C0027853 [3.0] 10036772 IC H02949762 H02949762 Assessing neurological status before operation 수술 전 신경학적 상태 사정하기 C1999051 [3.0] 10002768 IC H02949775 H02949775 Assessing neurovascular function 뇌혈관 기능 사정하기 C4032657 [3.0] 10042839 IC H02949788 H02949788 Assessing nutritional status 영양 상태 사정하기 C0028708 [3.0] 10030660 IC H02949791 H02949791 Assessing oedema 부종 사정하기 C0548299 [3.0] 10045177 IC H02949804 H02949804 Assessing oral hygiene pattern 구강 위생 양상 사정하기 C3650909 [3.0] 10037913 IC H02949817 H02949817 Assessing oral status 구강 상태 사정하기 C4032589 [3.0] 10044202 IC H02949820 H02949820 Assessing orientation 지남력 사정하기 C4032614 [3.0] 10043752 IC H02949832 H02949832 Assessing pacemaker 박동조율기 사정하기 C4032616 [3.0] 10043734 IC H02949845 H02949845 Assessing pain 통증 사정하기 C2367759 [3.0] 10026119 IC H02949858 H02949858 Assessing peripheral neurovascular function 말초뇌혈관 기능 사정하기 C4032655 [3.0] 10042873 IC H02949861 H02949861 Assessing peripheral tissue perfusion 말초조직관류 사정하기 C4032656 [3.0] 10042856 IC H02949873 H02949873 Assessing peristomal skin 장루 주변 피부 사정하기 C3650779 [3.0] 10040538 IC H02949886 H02949886 Assessing physiological status 생리학적 상태 사정하기 C3165303 [3.0] 10030694 IC H02949899 H02949899 Assessing preferences 선호도 사정하기 C3650776 [3.0] 10040586 IC H02949902 H02949902 Assessing pressure ulcer 욕창 사정하기 C3650765 [3.0] 10040847 IC H02949915 H02949915 Assessing psychological response to ostomy 장루술에 대한 심리적 반응 사정하기 C3650788 [3.0] 10040398 IC H02949928 H02949928 Assessing psychological response to pain 통증에 대한 심리적 반응 사정하기 C3650850 [3.0] 10038964 IC H02949931 H02949931 Assessing psychological status 심리적 상태 사정하기 C3165307 [3.0] 10030734 IC H02949943 H02949943 Assessing quality of life 삶의 질 사정하기 C3650772 [3.0] 10040658 IC H02949956 H02949956 Assessing radiation exposure 방사선 노출 사정하기 C1999052 [3.0] 10002775 IC H02949969 H02949969 Assessing radiation injury 방사선 손상 사정하기 C4032598 [3.0] 10044045 IC H02949971 H02949971 Assessing readiness for discharge 퇴원 준비정도 사정하기 C3651041 [3.0] 10035678 IC H02949984 H02949984 Assessing readiness for disclosure of health status 건강상태에 대한 정보제공 준비정도 사정하기 C3650714 [3.0] 10038165 IC H02949997 H02949997 Assessing readiness for smoking cessation 금연 준비정도 사정하기 C3650869 [3.0] 10038623 IC H02950004 H02950004 Assessing readiness to learn 학습 준비정도 사정하기 C1272648 [3.0] 10002781 IC H02950017 H02950017 Assessing respiratory status 호흡 상태 사정하기 C3650973 [3.0] 10036786 IC H02950020 H02950020 Assessing respiratory status using monitoring device 감시 기구를 이용한 호흡상태 사정하기 C1999053 [3.0] 10002799 IC H02950032 H02950032 Assessing response to teaching 교육에 대한 반응 사정하기 C2364228 [3.0] 10024279 IC H02950045 H02950045 Assessing risk for adverse medication interaction 약물 유해작용 위험 사정하기 C4032478 [3.0] 10045940 IC H02950058 H02950058 Assessing risk for apnoea 무호흡증 위험 사정하기 C3650695 [3.0] 10036740 IC H02950061 H02950061 Assessing risk for dehydration 탈수 위험 사정하기 C3650759 [3.0] 10040932 IC H02950073 H02950073 Assessing risk for depressed mood during post partum period 산후기 동안의 우울기분 위험 사정하기 C3165304 [3.0] 10030706 IC H02950086 H02950086 Assessing risk for diabetic foot ulcer 당뇨성 족부궤양 위험 사정하기 C4032664 [3.0] 10042678 IC H02950099 H02950099 Assessing risk for disease 질병 위험 사정하기 C3650728 [3.0] 10041713 IC H02950102 H02950102 Assessing risk for falls 낙상 위험 사정하기 C2364173 [3.0] 10023520 IC H02950115 H02950115 Assessing risk for falls on admission 입원시 낙상 위험 사정하기 C3650935 [3.0] 10037435 IC H02950128 H02950128 Assessing risk for hospital acquired complication 병원 관련 합병증 위험 사정하기 C3165470 [3.0] 10033895 IC H02950131 H02950131 Assessing risk for hyperthermia 고체온증 위험 사정하기 C3165471 [3.0] 10033905 IC H02950143 H02950143 Assessing risk for hypothermia 저체온증 위험 사정하기 C1999054 [3.0] 10002809 IC H02950156 H02950156 Assessing risk for impaired nutritional status 손상된 영양상태 위험 사정하기 C3650760 [3.0] 10040921 IC H02950169 H02950169 Assessing risk for ineffective tissue perfusion 비효율적인 조직 관류 위험 사정하기 C1999055 [3.0] 10002813 IC H02950171 H02950171 Assessing risk for negative thermoregulation 부정적 체온조절 위험 사정 C3165472 [3.0] 10033914 IC H02950184 H02950184 Assessing risk for pressure ulcer 욕창 위험 사정하기 C3165305 [3.0] 10030710 IC H02950197 H02950197 Assessing risk for stoma complication 장루 합병증 위험 사정하기 C3650785 [3.0] 10040461 IC H02950201 H02950201 Assessing risk for transfer injury 이송시 손상 위험 사정하기 C3165306 [3.0] 10030723 IC H02950213 H02950213 Assessing risk for violence 폭력 위험 사정하기 C4032477 [3.0] 10045955 IC H02950226 H02950226 Assessing roles 역할 사정하기 C2712199 [3.0] 10026142 IC H02950239 H02950239 Assessing sadness 슬픔 사정하기 C3650717 [3.0] 10038940 IC H02950241 H02950241 Assessing sanitation 위생 사정하기 C3650900 [3.0] 10038046 IC H02950254 H02950254 Assessing school health service 학교 보건 서비스 사정하기 C3650898 [3.0] 10038079 IC H02950267 H02950267 Assessing school performance 학업 수행 사정하기 C3650890 [3.0] 10038177 IC H02950270 H02950270 Assessing self care 자가관리 사정하기 C2364356 [3.0] 10021844 IC H02950282 H02950282 Assessing self care of skin 피부 자가관리 사정하기 C3165308 [3.0] 10030747 IC H02950295 H02950295 Assessing self efficacy 자기효능 사정하기 C2364229 [3.0] 10024280 IC H02950309 H02950309 Assessing self esteem 자존감 사정하기 C2712200 [3.0] 10027079 IC H02950311 H02950311 Assessing self image 자아상 사정하기 C2712201 [3.0] 10027080 IC H02950324 H02950324 Assessing sexual behaviour 성행위 사정하기 C3650694 [3.0] 10038022 IC H02950337 H02950337 Assessing signs and symptoms of infection 감염 증상과 증후 사정하기 C4032590 [3.0] 10044182 IC H02950340 H02950340 Assessing skin integrity 피부 통합성 사정하기 C3165473 [3.0] 10033922 IC H02950352 H02950352 Assessing skin integrity before operation 수술 전 피부 통합성 사정하기 C3165474 [3.0] 10033933 IC H02950365 H02950365 Assessing sleep 수면 사정하기 C3650974 [3.0] 10036764 IC H02950378 H02950378 Assessing social status 사회적 지위 사정하기 C3165309 [3.0] 10030752 IC H02950381 H02950381 Assessing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지 사정하기 C2364230 [3.0] 10024298 IC H02950393 H02950393 Assessing spiritual beliefs 영적 믿음 사정하기 C2364231 [3.0] 10024308 IC H02950407 H02950407 Assessing spiritual beliefs of family 가족의 영적 믿음 사정하기 C2364232 [3.0] 10024312 IC H02950410 H02950410 Assessing spiritual status 영적 상태 사정하기 C3165310 [3.0] 10030768 IC H02950422 H02950422 Assessing stoma 장루 사정하기 C3650780 [3.0] 10040529 IC H02950435 H02950435 Assessing stress level 스트레스 수준 사정하기 C4032609 [3.0] 10043809 IC H02950448 H02950448 Assessing substance abuse 물질남용 사정하기 C4032479 [3.0] 10045938 IC H02950451 H02950451 Assessing susceptibility to infection 감염 감수성 사정하기 C1269665 [3.0] 10002821 IC H02950463 H02950463 Assessing symptom control 증상 조절 사정하기 C2712189 [3.0] 10026161 IC H02950476 H02950476 Assessing tendency to wander 배회 경향 사정하기 C4032611 [3.0] 10043781 IC H02950489 H02950489 Assessing the ears 귀 사정하기 C4032532 [3.0] 10045120 IC H02950491 H02950491 Assessing the eyes 눈 사정하기 C0200149 [3.0] 10037059 IC H02950505 H02950505 Assessing tissue perfusion 조직 관류 사정하기 C3165311 [3.0] 10030775 IC H02950518 H02950518 Assessing tobacco use 흡연정도 사정하기 C1314131 [3.0] 10038606 IC H02950521 H02950521 Assessing transfer injury 이동 손상 사정하기 C4032597 [3.0] 10044050 IC H02950533 H02950533 Assessing urinary continence 배뇨 조절 능력 사정하기 C3165312 [3.0] 10030781 IC H02950546 H02950546 Assessing urinary retention using ultrasound 초음파를 이용한 요정체 사정하기 C3165300 [3.0] 10030656 IC H02950559 H02950559 Assessing urinary status 배뇨상태 사정하기 C3650994 [3.0] 10036499 IC H02950561 H02950561 Assessing use of traditional therapy 민간치료요법 사용 사정하기 C2364233 [3.0] 10024320 IC H02950574 H02950574 Assessing waste service 쓰레기처리 능력 사정하기 C3650902 [3.0] 10037997 IC H02950587 H02950587 Assessing water supply 물 공급 사정하기 C3650907 [3.0] 10037932 IC H02950590 H02950590 Assessing withdrawal 금단 사정하기 C3651052 [3.0] 10035433 IC H02950603 H02950603 Assessing wound 상처 사정하기 C3165313 [3.0] 10030799 IC H02950616 H02950616 Assisting child with toileting 아동 대소변 돕기 C4032476 [3.0] 10045964 IC H02950629 H02950629 Assisting health care provider 의료인 돕기 C3165314 [3.0] 10030809 IC H02950631 H02950631 Assisting surgeon during operation 수술 시 외과전문의 돕기 C1999058 [3.0] 10002866 IC H02950644 H02950644 Assisting with anger control 분노 조절 돕기 C3165315 [3.0] 10030813 IC H02950657 H02950657 Assisting with eating or drinking 먹기 혹은 마시기 돕기 C1279813 [3.0] 10037269 IC H02950660 H02950660 Assisting with hygiene 위생 돕기 C0509094 [3.0] 10030821 IC H02950672 H02950672 Assisting with mobility 기동 돕기 C3650993 [3.0] 10036508 IC H02950685 H02950685 Assisting with mobility in bed 침상에서 움직임 돕기 C4032475 [3.0] 10045972 IC H02950698 H02950698 Assisting with self care 자가 간호 돕기 C3651037 [3.0] 10035763 IC H02950701 H02950701 Assisting with toileting 대소변 돕기 C0150335 [3.0] 10023531 IC H02950714 H02950714 Assisting with walking 보행 돕기 C0204666 [3.0] 10038986 IC H02950727 H02950727 Assisting with walking using device 기구를 이용한 보행 돕기 C3650992 [3.0] 10036520 IC H02950730 H02950730 Awareness of symptoms 증상 인식 C2712311 [3.0] 10029467 DC H02950742 H02950742 Bathing the patient 환자목욕시키기 C0541747 [3.0] 10045986 IC H02950755 H02950755 Behaviour problem 행동 문제 C0233514 [3.0] 10029716 DC H02950768 H02950768 Blood levels 혈액수치 [3.0] 10045993 Focus H02950771 H02950771 Blood pressure within normal limits 정상 한계 내 혈압 C2712122 [3.0] 10027647 DC H02950783 H02950783 Body temperature within normal limits 정상 한계 내 체온 C2712124 [3.0] 10027652 DC H02950796 H02950796 Body weight problem 몸무게 문제 C0578026 [3.0] 10027290 DC H02950800 H02950800 Branded medication 브랜드 약물 [3.0] 10043137 Means H02950838 H02950838 Capillary blood specimen 모세혈관 혈액검체 [3.0] 10046006 Focus H02950841 H02950841 Cardiac rehabilitation regime 심장재활요법 [3.0] 10043706 Focus H02950866 H02950866 Care of closed wound 폐쇄성 상처 간호 C4032474 [3.0] 10046034 IC H02950879 H02950879 Care of open wound 개방성 상처 간호 C4032440 [3.0] 10046412 IC H02950881 H02950881 Care planning 간호계획 C0178916 [3.0] 10035915 IC H02950894 H02950894 Caregiver able to perform caretaking 돌봄 수행 가능한 돌봄제공자 C3651054 [3.0] 10035405 DC H02950908 H02950908 Categorising surgical wound 수술상처 분류하기 C1999097 [3.0] 10004073 IC H02950911 H02950911 Catheterising bladder 도뇨관 삽입하기 C1970989 [3.0] 10030884 IC H02950923 H02950923 Checking device safety 기구 안전성 확인하기 C3165318 [3.0] 10030924 IC H02950936 H02950936 Checking inhalation technique 흡입요법 확인하기 C3165316 [3.0] 10030907 IC H02950949 H02950949 Checking patient identity 환자 확인하기 C3165317 [3.0] 10030911 IC H02950951 H02950951 Chest compressions 가슴 압박 C4032596 [3.0] 10044078 IC H02950964 H02950964 Childbirth care regime 출산간호요법 [3.0] 10042744 Focus H02950977 H02950977 Chronic confusion 만성 혼돈 C0221560 [3.0] 10000522 DC H02950980 H02950980 Chronic fever 만성 발열 C0743971 [3.0] 10037593 DC H02950992 H02950992 Chronic sadness 만성 슬픔 C0812364 [3.0] 10000551 DC H02951000 H02951000 Circumcision care 포경수술 간호 C1266834 [3.0] 10035181 IC H02951012 H02951012 Closed wound 폐쇄성 상처 [3.0] 10044928 Focus H02951025 H02951025 Cognition within normal limits 정상 한계 내 인지 C2712133 [3.0] 10028367 DC H02951038 H02951038 Collaborating in electrolyte therapy 전해질 요법에 협력하기 C3165319 [3.0] 10030930 IC H02951041 H02951041 Collaborating in fluid therapy 수액요법에 협력하기 C3165320 [3.0] 10030948 IC H02951053 H02951053 Collaborating in initiating nurse controlled analgesia 간호사 통증조절 요법 시작시 협력하기 C3650811 [3.0] 10039812 IC H02951066 H02951066 Collaborating in initiat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 조절 요법 시작시 협력하기 C1546297 [3.0] 10004561 IC H02951079 H02951079 Collaborating on dietary regime 식이요법에 협력하기 C2712206 [3.0] 10026190 IC H02951081 H02951081 Collaborating on pain management plan 통증관리 계획에 협력하기 C3650810 [3.0] 10039831 IC H02951094 H02951094 Collaborating with caregiver on managing medication regime 돌봄제공자와 약물요법 관리 협력하기 C4032642 [3.0] 10043163 IC H02951108 H02951108 Collaborating with education service 교육받을 수 있도록 협력하기 C3650883 [3.0] 10038274 IC H02951111 H02951111 Collaborating with family 가족과 협력하기 C3651033 [3.0] 10035887 IC H02951123 H02951123 Collaborating with family on medication procurement 약물 조달위해 가족과 협력하기 C4032443 [3.0] 10043100 IC H02951136 H02951136 Collaborating with health care provider 의료인과 협력하기 C4032473 [3.0] 10046047 IC H02951149 H02951149 Collaborating with health care provider on medication procurement 약물 조달위해 의료인과 협력하기 C4032644 [3.0] 10043116 IC H02951151 H02951151 Collaborating with health care provider on medication reconciliation 약물 조정위해 의료인과 협력하기 C4032627 [3.0] 10043562 IC H02951164 H02951164 Collaborating with health care provider on medication regime 약물요법 이행하도록 의료인과 협력하기 C4032650 [3.0] 10042970 IC H02951177 H02951177 Collaborating with interprofessional team 전문직 팀간 협력하기 C3650832 [3.0] 10039416 IC H02951180 H02951180 Collaborating with interprofessional team on wound care 전문직 팀간 상처간호 협력하기 C4032600 [3.0] 10043995 IC H02951192 H02951192 Collaborating with legal service 법률 서비스 제공에 협력하기 C3165321 [3.0] 10030953 IC H02951206 H02951206 Collaborating with nutritionist 영양사와 협력하기 C3650787 [3.0] 10040435 IC H02951219 H02951219 Collaborating with pain specialist 통증 전문가와 협력하기 C3543866 [3.0] 10039601 IC H02951221 H02951221 Collaborating with patient 환자와 협력하기 C3651034 [3.0] 10035873 IC H02951234 H02951234 Collaborating with patient on breastfeeding plan 환자와 모유수유 계획 협력하기 C3650821 [3.0] 10039574 IC H02951247 H02951247 Collaborating with pharmacist 약사와 협력하기 C2364175 [3.0] 10023554 IC H02951250 H02951250 Collaborating with pharmacist on medication procurement 약사와 약물조달 협력하기 C4032645 [3.0] 10043090 IC H02951262 H02951262 Collaborating with physician 의사와 협력하기 C2364176 [3.0] 10023565 IC H02951275 H02951275 Collaborating with religious service 종교서비스 제공에 협력하기 C3650884 [3.0] 10038261 IC H02951288 H02951288 Collaborating with social worker 사회사업가와 협력하기 C2364177 [3.0] 10023577 IC H02951291 H02951291 Collecting arterial blood specimen 동맥혈액검체 수집하기 C4032472 [3.0] 10046052 IC H02951304 H02951304 Collecting capillary blood specimen 말초혈관 혈액검체 수집하기 C4032471 [3.0] 10046068 IC H02951317 H02951317 Collecting cervical cells 자궁경부 세포 수집하기 C3165322 [3.0] 10030969 IC H02951320 H02951320 Collecting specimen 검사물 수집하기 C1999110 [3.0] 10004588 IC H02951332 H02951332 Collecting venous blood specimen 정맥혈액검체 수집하기 C4032569 [3.0] 10044633 IC H02951345 H02951345 Colostomy care 결장루 간호 C1655933 [3.0] 10046075 IC H02951358 H02951358 Conflicting attitude toward care 간호에 대한 상충되는 태도 C2364061 [3.0] 10022281 DC H02951361 H02951361 Conflicting attitude toward dietary regime 식이요법에 대한 상충되는 태도 C2364288 [3.0] 10024969 DC H02951373 H02951373 Conflicting attitude toward exercise 운동에 대한 상충되는 태도 C2364180 [3.0] 10023614 DC H02951386 H02951386 Conflicting attitude toward medication management 약물관리에 대한 상충되는 태도 C2364062 [3.0] 10022299 DC H02951399 H02951399 Conflicting attitude toward treatment 치료에 대한 상충되는 태도 C3875126 [3.0] 10023622 DC H02951402 H02951402 Conflicting caregiver attitude 상충되는 돌봄제공자 태도 C3874437 [3.0] 10025629 DC H02951415 H02951415 Conflicting cultural belief 상충되는 문화적 신념 C3875153 [3.0] 10022397 DC H02951428 H02951428 Conflicting family attitude 상충되는 가족 태도 C2364076 [3.0] 10022456 DC H02951431 H02951431 Conflicting health belief 상충되는 건강 신념 C2364081 [3.0] 10022516 DC H02951443 H02951443 Conflicting religious belief 상충되는 종교적 신념 C2364348 [3.0] 10021757 DC H02951456 H02951456 Conflicting spiritual belief 상충되는 영적 신념 C2364106 [3.0] 10022769 DC H02951469 H02951469 Consulting for pain management 통증관리에 대하여 자문하기 C1719974 [3.0] 10024331 IC H02951471 H02951471 Consulting health care provider 의료인에게 자문하기 C1999121 [3.0] 10005029 IC H02951484 H02951484 Consulting health care provider about medication side effects 약물부작용에 대하여 의료인에게 자문하기 C4032638 [3.0] 10043233 IC H02951497 H02951497 Consulting home care service 가정간호 서비스 자문하기 C2364354 [3.0] 10021816 IC H02951501 H02951501 Consulting pharmacist about generic medication 일반의약품에 대해 약사에게 자문하기 C4032643 [3.0] 10043159 IC H02951513 H02951513 Contagion exposure 접촉감염 노출 [3.0] 10044009 Focus H02951539 H02951539 Continuity of care problem 간호 문제의 연속성 C3165249 [3.0] 10029759 DC H02951541 H02951541 Continuous surveillance 지속적인 감시 C1999123 [3.0] 10005093 IC H02951554 H02951554 Contraceptive use 피임약 사용 C1999124 [3.0] 10005103 IC H02951567 H02951567 Contracting for adherence 이행을 위해 계약하기 C2364235 [3.0] 10024349 IC H02951570 H02951570 Contracting for positive behaviour 긍정적 행동을 위해 계약하기 C3650690 [3.0] 10035771 IC H02951582 H02951582 Coordinating care plan 간호계획 조정하기 C3165323 [3.0] 10031027 IC H02951595 H02951595 Coordinating conference 회의 조정하기 C4032470 [3.0] 10046081 IC H02951609 H02951609 Coordinating family conference 가족회의 조정하기 C3650756 [3.0] 10040984 IC H02951611 H02951611 Counselling about alcohol use 음주에 대해 상담하기 C3165324 [3.0] 10031036 IC H02951624 H02951624 Counselling about breastfeeding 모유수유에 대해 상담하기 C3650689 [3.0] 10035229 IC H02951637 H02951637 Counselling about drug abuse 약물남용에 대해 상담하기 C0199403 [3.0] 10031043 IC H02951640 H02951640 Counselling about fears 두려움에 대해 상담하기 C2712207 [3.0] 10026208 IC H02951652 H02951652 Counselling about hopes 희망에 대해 상담하기 C2712208 [3.0] 10026212 IC H02951665 H02951665 Counselling about spiritual distress 영적 고뇌에 대해 상담하기 C2712209 [3.0] 10026231 IC H02951678 H02951678 Counselling about tobacco use 흡연에 대해 상담하기 C3165326 [3.0] 10031058 IC H02951681 H02951681 Counselling patient 환자 상담 C0600047 [3.0] 10031062 IC H02951693 H02951693 Counting surgical device and wound dressing 수술 기구와 상처 드레싱 계수하기 C3165498 [3.0] 10034506 IC H02951707 H02951707 Counting surgical device and wound dressing during operation 수술 중 수술 기구와 상처드레싱 계수하기 C3165475 [3.0] 10033951 IC H02951710 H02951710 Crisis management 위기관리 C0262762 [3.0] 10035825 IC H02951722 H02951722 Debriefing patient after restraint 억제대 적용 환자 디브리핑 C3651012 [3.0] 10036239 IC H02951735 H02951735 Decreased confusion 혼란 감소됨 C2712008 [3.0] 10027098 DC H02951748 H02951748 Decreased depressed mood 우울기분 감소됨 C2712011 [3.0] 10027901 DC H02951751 H02951751 Decreased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뇌내 순응용량 감소됨 C0221543 [3.0] 10000828 DC H02951763 H02951763 Decreased powerlessness 무력감 감소됨 C2712017 [3.0] 10027120 DC H02951776 H02951776 Decreased relocation stress 재배치 스트레스 감소됨 C2712019 [3.0] 10027756 DC H02951789 H02951789 Decreased spiritual distress 영적 고뇌 감소됨 C2712021 [3.0] 10027149 DC H02951791 H02951791 Decreased stress 스트레스 감소됨 C0231299 [3.0] 10027929 DC H02951805 H02951805 Decreased suicide risk 자살위험 감소됨 C2712270 [3.0] 10027938 DC H02951818 H02951818 Decreased unilateral neglect 편측성지각장애 감소됨 C3165439 [3.0] 10033525 DC H02951821 H02951821 Deficient food intake 부족한 음식섭취 C0231353 [3.0] 10000607 DC H02951833 H02951833 Demonstrating falls prevention 낙상예방 시범보이기 C3650793 [3.0] 10040248 IC H02951846 H02951846 Demonstrating medication administration 투약 시범보이기 C2364236 [3.0] 10024354 IC H02951859 H02951859 Demonstrating relaxation technique 이완기법 시범보이기 C2364237 [3.0] 10024365 IC H02951861 H02951861 Demonstrating subcutaneous injection technique 피하주사 기법 시범보이기 C2364342 [3.0] 10021695 IC H02951874 H02951874 Denial about illness severity 질병심각성에 대한 부정 C4032605 [3.0] 10043845|10043850 Focus|DC H02951887 H02951887 Depressed mood 우울기분 C0344315 [3.0] 10022402 DC H02951890 H02951890 Depressed mood during post partum period 산후기 동안의 우울기분 C3874774 [3.0] 10029771 DC H02951903 H02951903 Diabetic foot ulcer 당뇨성 족부궤양 [3.0] 10042650 Focus H02951916 H02951916 Diabetic foot ulcer prevention 당뇨성 족부궤양 예방 C4032653 [3.0] 10042894 Means|IC H02951929 H02951929 Diabetic ulcer care 당뇨성 궤양 간호 C3165327 [3.0] 10031117 IC H02951931 H02951931 Diagnostic testing 진단 검사하기 C2364357 [3.0] 10031140 IC H02951944 H02951944 Difficulty coping 대처 어려움 C0582154 [3.0] 10001120 DC H02951957 H02951957 Difficulty coping with pain 통증대처 어려움 C0582153 [3.0] 10040731 DC H02951960 H02951960 Difficulty performing breastfeeding 모유수유 수행 어려움 C1998999 [3.0] 10001098 DC H02951972 H02951972 Discharge planning 퇴원계획 C0012622 [3.0] 10006016 IC H02951985 H02951985 Discharge planning by family caregiver 가족 돌봄제공자에 의한 퇴원계획 C1999153 [3.0] 10006028 IC H02951998 H02951998 Discontinuing intravenous therapy 정맥주입요법 중단하기 C3650981 [3.0] 10036667 IC H02952005 H02952005 Discontinuing urinary catheter 도뇨관 제거하기 C3650979 [3.0] 10036680 IC H02952018 H02952018 Discontinuing wound drain 상처 배액 중단하기 C3650980 [3.0] 10036679 IC H02952021 H02952021 Disimpaction technique 매복변제거 기법 [3.0] 10043591 Means H02952033 H02952033 Disorganised infant behaviour 와해된 영아 행동 C0221557 [3.0] 10000653 DC H02952046 H02952046 Disrupted energy field 분열된 에너지장 C1268619 [3.0] 10001149 DC H02952059 H02952059 Distorted thinking process 왜곡된 사고과정 C0150084 [3.0] 10000669 DC H02952061 H02952061 Distraction 전환 C1369038 [3.0] 10039232 IC H02952074 H00193926 Disturbed body image 왜곡된 신체상 C0558116 [3.0] 10001079 DC H02952087 H01319383 Disturbed personal identity 왜곡된 자아 정체성 C0231408 [3.0] 10001257 DC H02952090 H02952090 Drainage tube 배액튜브 [3.0] 10046109 Means H02952103 H02952103 Dressing patient 환자 옷 입히기 C0152053 [3.0] 10031164 IC H02952116 H02952116 Dysfunctional family process with alcohol abuse 알코올 남용으로 인한 역기능적 가족과정 C1268755 [3.0] 10001165 DC H02952129 H00509368 Dysfunctional grief 역기능적 비통 C0150036 [3.0] 10001183 DC H02952144 H02952144 Earwax problem 귀지 문제 C1263878 [3.0] 10029818 DC H02952157 H02952157 Effective acid base balance 효과적인 산 염기 균형 C3165449 [3.0] 10033663 DC H02952160 H02952160 Effective activity tolerance 효과적인 활동 지속 C2712118 [3.0] 10027634 DC H02952172 H02952172 Effective airway clearance 효과적인 기도 청결 C2712119 [3.0] 10027964 DC H02952185 H02952185 Effective breastfeeding 효과적인 모유수유 C1999013 [3.0] 10001411 DC H02952198 H02952198 Effective breathing 효과적인 호흡 C3650742 [3.0] 10041334 DC H02952201 H02952201 Effective cardiac function 효과적인 심장기능 C3651068 [3.0] 10035077 DC H02952214 H02952214 Effective cardiac output 효과적인 심박출량 C2712128 [3.0] 10028689 DC H02952227 H02952227 Effective cardiovascular status 효과적인 심혈관계 상태 C3165452 [3.0] 10033692 DC H02952230 H02952230 Effective caregiver child attachment 효과적인 돌봄제공자와 아동 애착 C2712130 [3.0] 10028658 DC H02952242 H02952242 Effective child development 효과적인 아동 발달 C3165273 [3.0] 10030222 DC H02952255 H02952255 Effective circulatory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순환기계 기능 C2712132 [3.0] 10028380 DC H02952268 H02952268 Effective community coping 효과적인 지역사회 대처 C1998721 [3.0] 10034801 DC H02952271 H02952271 Effective continuity of care 효과적인 간호의 연속성 C3651049 [3.0] 10035507 DC H02952283 H02952283 Effective electrolyte balance 효과적인 전해질 균형 C0438240 [3.0] 10033709 DC H02952296 H02952296 Effective endocrine status 효과적인 내분비계 상태 C3165454 [3.0] 10033713 DC H02952300 H02952300 Effective endocrine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내분비계 기능 C2712139 [3.0] 10028037 DC H02952312 H02952312 Effective environmental safety 효과적인 환경 안전 C3165274 [3.0] 10030233 DC H02952325 H02952325 Effective fluid volume 효과적인 체액량 [3.0] 10042054 Focus H02952338 H02952338 Effective foetal development 효과적인 태아발달 C4032430 [3.0] 10045718 DC H02952341 H02952341 Effective gas exchange 효과적인 가스교환 C2712140 [3.0] 10027993 DC H02952353 H02952353 Effective gastrointestinal status 효과적인 위장관계 상태 C3165456 [3.0] 10033732 DC H02952366 H02952366 Effective gastrointestinal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위장관계 기능 C2712141 [3.0] 10028016 DC H02952379 H02952379 Effective genitourinary status 효과적인 비뇨생식기계 상태 C3165457 [3.0] 10033745 DC H02952381 H02952381 Effective human development 효과적인 인간 발달 C2712145 [3.0] 10028572 DC H02952394 H02952394 Effective immune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면역체계 기능 C2712146 [3.0] 10028044 DC H02952408 H02952408 Effective infant feeding behaviour 효과적인 영아 섭취 행동 C2712147 [3.0] 10028059 DC H02952411 H02952411 Effective information processing 효과적인 정보 처리 C0584952 [3.0] 10035524 DC H02952423 H02952423 Effective interactive behaviour 효과적인 상호작용 행동 C2712148 [3.0] 10028063 DC H02952436 H02952436 Effective intracranial adaptive capacity 효과적인 뇌내 순응용량 C2712149 [3.0] 10028071 DC H02952449 H02952449 Effective kidney function 효과적인 신장 기능 C2712150 [3.0] 10028490 DC H02952451 H02952451 Effective kinaesthesia 효과적인 운동감각 C3165513 [3.0] 10034893 DC H02952464 H02952464 Effective musculoskeletal status 효과적인 근골격계 상태 C3165462 [3.0] 10033807 DC H02952477 H02952477 Effective musculoskeletal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근골격계 기능 C2712159 [3.0] 10028092 DC H02952480 H02952480 Effective nervous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신경계 기능 C2712160 [3.0] 10027675 DC H02952492 H02952492 Effective older adult development 효과적인 노인 발달 C3651050 [3.0] 10035498 DC H02952506 H02952506 Effective peripheral neurovascular function 효과적인 말초 뇌혈관계 기능 C2712161 [3.0] 10028125 DC H02952519 H02952519 Effective peripheral vascular function 효과적인 말초 혈관계 기능 C2712162 [3.0] 10028139 DC H02952521 H02952521 Effective physiological status 효과적인 생리학적 상태 C3651002 [3.0] 10036389 DC H02952534 H02952534 Effective protective ability 효과적인 보호 능력 C2712083 [3.0] 10028276 DC H02952547 H02952547 Effective recovery from abuse 남용으로부터의 효과적인 회복 C3651051 [3.0] 10035479 DC H02952550 H02952550 Effective recovery from sexual assault 성폭행으로부터의 효과적인 회복 C4032490 [3.0] 10045787 DC H02952562 H02952562 Effective reproductive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생식기계 기능 C2712169 [3.0] 10027827 DC H02952575 H02952575 Effective respiratory status 효과적인 호흡기계 상태 C3165465 [3.0] 10033830 DC H02952588 H02952588 Effective respiratory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호흡기계 기능 C2712170 [3.0] 10028160 DC H02952591 H02952591 Effective response to enteral nutrition 효과적인 경장 영양에 대한 반응 C3165433 [3.0] 10033427 DC H02952604 H02952604 Effective response to medication 효과적인 약물반응 C2712171 [3.0] 10028670 DC H02952617 H02952617 Effective response to therapy 효과적인 치료요법에 대한 반응 C3651000 [3.0] 10036423 DC H02952620 H02952620 Effective role performance 효과적인 역할수행 C2712071 [3.0] 10027940 DC H02952632 H02952632 Effective sanitation 효과적인 위생 C3650881 [3.0] 10038328 DC H02952645 H02952645 Effective sense of smell 효과적인 후각 C2712084 [3.0] 10027344 DC H02952658 H02952658 Effective sense of taste 효과적인 미각 C2712087 [3.0] 10028538 DC H02952661 H02952661 Effective sensory perception 효과적인 감각 지각 C2712176 [3.0] 10028173 DC H02952673 H02952673 Effective sexual behaviour 효과적인 성행위 C2712177 [3.0] 10028187 DC H02952686 H02952686 Effective sexual functioning 효과적인 성기능 C2712178 [3.0] 10028194 DC H02952699 H02952699 Effective skin integrity 효과적인 피부 통합성 C2712179 [3.0] 10028501 DC H02952702 H02952702 Effective social support 효과적인 사회적지지 C4032489 [3.0] 10045794 DC H02952715 H02952715 Effective spiritual status 효과적인 영적 상태 C2712181 [3.0] 10028529 DC H02952728 H02952728 Effective surgical recovery 효과적인 수술 회복 C2712182 [3.0] 10028691 DC H02952731 H02952731 Effective tactile perception 효과적인 촉각인지 C2712065 [3.0] 10028540 DC H02952743 H02952743 Effective thermoregulation 효과적인 체온조절 C3165466 [3.0] 10033848 DC H02952756 H02952756 Effective tissue perfusion 효과적인 조직관류 C2712183 [3.0] 10028593 DC H02952769 H02952769 Effective urinary system function 효과적인 비뇨기계 기능 C2712184 [3.0] 10028615 DC H02952771 H02952771 Effective ventilatory weaning 효과적인 인공호흡기 제거 C2712172 [3.0] 10028141 DC H02952784 H02952784 Effective wound healing 효과적인 상처치유 C0436681 [3.0] 10035096 DC H02952797 H02952797 Effective wound perfusion 효과적인 상처관류 C3165467 [3.0] 10033853 DC H02952801 H02952801 Electroconvulsive therapy care 전기충격 치료요법 간호 C1318957 [3.0] 10036124 IC H02952813 H02952813 Emotional problem 정서적 문제 C0677660 [3.0] 10029839 DC H02952826 H02952826 Employment problem 고용 문제 C2919140 [3.0] 10029841 DC H02952839 H02952839 Encouraging breathing or coughing technique 호흡법 또는 기침법 격려하기 C1999174 [3.0] 10006834 IC H02952841 H02952841 Encouraging positive affirmations 긍정적 지지로 격려하기 C2364238 [3.0] 10024377 IC H02952854 H02952854 Encouraging rest 휴식 격려하기 C0510849 [3.0] 10041415 IC H02952867 H02952867 Ensuring continuity of care 간호의 연속성 보장하기 C1546299 [3.0] 10006966 IC H02952870 H02952870 Enteral tube 장 관 [3.0] 10046121 Means H02952882 H01007440 Environmental safety management 환경 안전 관리 C0150214 [3.0] 10042507 IC H02952895 H02952895 Environmental safety problem 환경 안전 문제 C3165252 [3.0] 10029856 DC H02952909 H02952909 Establishing rapport 라포 형성하기 C0150735 [3.0] 10023738 IC H02952911 H02952911 Establishing smoking cessation date 금연예정일 정하기 C3650858 [3.0] 10038827 IC H02952924 H02952924 Establishing trust 신뢰 형성하기 C2364239 [3.0] 10024396 IC H02952937 H02952937 Evaluating adherence to treatment regime 치료요법 이행 평가하기 C4032592 [3.0] 10044153 IC H02952940 H02952940 Evaluating breastfeeding 모유수유 평가하기 C3650822 [3.0] 10039561 IC H02952952 H02952952 Evaluating breastfeeding plan 모유수유 계획 평가하기 C3650823 [3.0] 10039557 IC H02952965 H02952965 Evaluating cardiac status after operation 수술 후 심장 상태 평가하기 C1999179 [3.0] 10007078 IC H02952978 H02952978 Evaluating care plan 간호계획 평가하기 C3165328 [3.0] 10031252 IC H02952981 H02952981 Evaluating count of surgical device and gauze dressing 수술기구와 거즈드레싱 셈(에 대해) 평가하기 C3165476 [3.0] 10033980 IC H02952993 H02952993 Evaluating endocrine status 내분비기계 상태 평가하기 C2945796 [3.0] 10033998 IC H02953001 H02953001 Evaluating gastrointestinal status 위장관계 상태 평가하기 C2945797 [3.0] 10034007 IC H02953013 H02953013 Evaluating genitourinary status 비뇨생식기계 상태 평가하기 C2945794 [3.0] 10034011 IC H02953026 H02953026 Evaluating home before home care 가정 간호 시행 전 가정 평가하기 C3650755 [3.0] 10041038 IC H02953039 H02953039 Evaluating immunisation status 예방접종 상태 평가하기 C3650702 [3.0] 10035217 IC H02953041 H02953041 Evaluating management of specimen 검체 관리 평가하기 C3165477 [3.0] 10034024 IC H02953054 H02953054 Evaluating musculoskeletal status 근골격계 상태 평가하기 C2945795 [3.0] 10034030 IC H02953067 H02953067 Evaluating neurological status after operation 수술 후 신경학적 상태 평가하기 C1999181 [3.0] 10007097 IC H02953070 H02953070 Evaluating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평가하기 C1999182 [3.0] 10007107 IC H02953082 H02953082 Evaluating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exercise 운동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평가하기 C2364098 [3.0] 10022688 IC H02953095 H02953095 Evaluating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medication 약물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평가하기 C1999185 [3.0] 10007130 IC H02953109 H02953109 Evaluating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nutrition 영양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평가하기 C1999183 [3.0] 10007111 IC H02953111 H02953111 Evaluating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pain 통증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평가하기 C1999186 [3.0] 10007148 IC H02953124 H02953124 Evaluating psychosocial response to instruction about wound 상처 교육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평가하기 C1999184 [3.0] 10007124 IC H02953137 H02953137 Evaluating psychosocial response to plan of care 간호 계획에 대한 심리사회적 반응 평가하기 C1546263 [3.0] 10007153 IC H02953140 H02953140 Evaluating respiratory status after operation 수술 후 호흡상태 평가하기 C1999187 [3.0] 10007169 IC H02953152 H02953152 Evaluating response to anaesthesia after operation 수술 후 마취 반응 평가하기 C0198827 [3.0] 10036554 IC H02953165 H02953165 Evaluating response to fluid therapy 수액 요법에 대한 반응 평가하기 C1999188 [3.0] 10007176 IC H02953178 H02953178 Evaluating response to medication 약물 반응 평가하기 C1269701 [3.0] 10007182 IC H02953181 H02953181 Evaluating response to pain management 통증관리에 대한 반응 평가하기 C3165479 [3.0] 10034053 IC H02953193 H02953193 Evaluating response to thermoregulation 체온조절에 대한 반응 평가하기 C1999189 [3.0] 10007195 IC H02953207 H02953207 Evaluating response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하기 C0184781 [3.0] 10044195 IC H02953210 H02953210 Evaluating risk for infection after operation 수술 후 감염 위험성 평가하기 C3165478 [3.0] 10034048 IC H02953222 H02953222 Evaluating satisfaction with health care 의료서비스 만족도 평가하기 C3650782 [3.0] 10040490 IC H02953235 H02953235 Evaluating signs and symptoms of infection after operation 수술 후 감염의 징후와 증상 평가하기 C3165480 [3.0] 10034069 IC H02953248 H02953248 Evaluating tissue perfusion after operation 수술 후 조직관류 평가하기 C1999190 [3.0] 10007202 IC H02953251 H02953251 Evaluating treatment regime 치료 요법 평가하기 C3165329 [3.0] 10031268 IC H02953263 H02953263 Evaluating tubes and drains 튜브와 배액관 평가하기 C3165481 [3.0] 10034076 IC H02953276 H02953276 Evaluating wound healing 상처 치유 평가하기 C1999191 [3.0] 10007218 IC H02953289 H02953289 Excess food intake 과다한 음식섭취 C2364333 [3.0] 10000682 DC H02953291 H02953291 Excess vaginal discharge 과다 질분비물 C4032637 [3.0] 10043331 DC H02953305 H02953305 Explaining patient right 환자 권리 설명하기 C1999199 [3.0] 10007391 IC H02953318 H02953318 Facilitating ability to communicate feelings 감정 전달 능력 촉진하기 C2712214 [3.0] 10026616 IC H02953321 H02953321 Facilitating ability to communicate needs 욕구 전달 능력 촉진하기 C3650889 [3.0] 10038196 IC H02953333 H02953333 Facilitating ability to participate in care planning 간호 계획 참여 능력 촉진하기 C1279799 [3.0] 10040501 IC H02953346 H02953346 Facilitating ability to perform role 역할수행 능력 촉진하기 C2712215 [3.0] 10026277 IC H02953359 H02953359 Facilitating ability to talk about dying process 임종 과정에 대한 대화 능력 촉진하기 C2712213 [3.0] 10026265 IC H02953361 H02953361 Facilitating acceptance of aging 노화에 대한 수용 촉진하기 C3651008 [3.0] 10036304 IC H02953374 H02953374 Facilitating access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접근 촉진하기 C2364240 [3.0] 10024401 IC H02953387 H02953387 Facilitating adherence to regime 요법 이행 촉진하기 C3651009 [3.0] 10036273 IC H02953390 H02953390 Facilitating alcohol abuse recovery 알코올 남용 회복 촉진하기 C3651036 [3.0] 10035856 IC H02953403 H02953403 Facilitating drug abuse recovery 약물 남용 회복 촉진하기 C3651035 [3.0] 10035860 IC H02953416 H02953416 Facilitating family ability to participate in care plan 가족의 간호계획 참여 능력 촉진하기 C3651031 [3.0] 10035927 IC H02953429 H02953429 Facilitating financial recovery 재정회복 촉진하기 C2364241 [3.0] 10024417 IC H02953431 H02953431 Facilitating grief 비통 촉진하기 C3651030 [3.0] 10035958 IC H02953444 H02953444 Facilitating impulse control 충동 조절 촉진하기 C3651039 [3.0] 10035716 IC H02953457 H02494826 Faecal impaction 매복변 C0015734 [3.0] 10021885 DC H02953460 H02953460 Family able to participate in care planning 간호 계획 시 가족참여 가능 C3651032 [3.0] 10035904 DC H02953472 H02953472 Fear about medication side effects 약물 부작용에 대한 두려움 C4032639 [3.0] 10043214|10043222 Focus|DC H02953485 H02953485 Feeding infant with a bottle 젖병 수유 C3651064 [3.0] 10035168 IC H02953498 H02953498 Feeding patient 환자 영양공급 C0204695 [3.0] 10046150 IC H02953501 H02953501 Financial problem 재정적 문제 C0549106 [3.0] 10029860 DC H02953514 H02953514 Fine motor function 미세운동기능 [3.0] 10043026 Focus H02953527 H02953527 Fluid balance within normal limits 정상 한계 내 체액 균형 C0457210 [3.0] 10033721 DC H02953530 H02953530 Flushing earwax 귀지 씻어내기 C3165330 [3.0] 10031332 IC H02953542 H00633155 Foetal heart rate 태아심박수 [3.0] 10043396 Focus H02953555 H00633401 Foetal movement 태아운동 [3.0] 10043417 Focus H02953568 H02953568 Foot pressure 족압 [3.0] 10042915 Focus H02953571 H02155229 Functional dyspnoea 기능적 호흡곤란 C0231807 [3.0] 10029414 DC H02953583 H02168175 Functional incontinence of urine 기능적 요실금 C0150042 [3.0] 10026778 DC H02953596 H02953596 Gastric tube 위관영양 [3.0] 10046132 Means H02953600 H02953600 Gastric tube care 위관관리 C4032441 [3.0] 10046145 IC H02953612 H02953612 Generic medication 일반의약품 [3.0] 10043144 Means H02953625 H02953625 Genetic counselling 유전 상담 C0017382 [3.0] 10034523 IC H02953638 H02953638 Good mood 좋은 기분 C0018592 [3.0] 10040670 DC H02953641 H02953641 Growth within normal limits 정상범위 내 성장 C0578019 [3.0] 10028419 DC H02953653 H02953653 Haemodialysis regime 혈액투석요법 [3.0] 10042374 Focus H02953666 H01339006 Haemorrhoid 치질 C0019112 [3.0] 10043267|10043279 Focus|DC H02953679 H02953679 Healthcare satisfaction 의료서비스 만족도 C3650764 [3.0] 10040881 DC H02953694 H02953694 Heart rate within normal limits 정상범위 내 심박수 C2712143 [3.0] 10029229 DC H02953708 H02953708 Housing problem 주거 문제 C0337630 [3.0] 10029904 DC H02953723 H02953723 Hypervolaemia 혈량과다증 C0546817 [3.0] 10042012 DC H02953736 H02415644 Hypovolaemia 혈량저하증 C0546884 [3.0] 10042020 DC H02953749 H02953749 Identifying altered perceptions 지각변화 확인하기 C3651040 [3.0] 10035697 IC H02953751 H02953751 Identifying attitude toward care 간호에 대한 태도 확인하기 C1998519 [3.0] 10009649 IC H02953764 H02953764 Identifying attitude toward pain 통증에 대한 태도 확인하기 C1998520 [3.0] 10009654 IC H02953777 H02953777 Identifying cardiac status before operation 수술 전 심장 상태 확인하기 C1998521 [3.0] 10009665 IC H02953780 H02953780 Identifying endocrine status before operation 수술 전 내분비계 상태 확인하기 C3165484 [3.0] 10034146 IC H02953792 H02953792 Identifying expectation about home care 가정간호에 대한 기대 확인하기 C3165485 [3.0] 10034151 IC H02953806 H02953806 Identifying gastrointestinal status before operation 수술 전 위장관계 상태 확인하기 C3165486 [3.0] 10034167 IC H02953819 H02953819 Identifying genitourinary status before operation 수술 전 비뇨생식기계 상태 확인하기 C3165487 [3.0] 10034179 IC H02953821 H02953821 Identifying musculoskeletal status before operation 수술 전 근골격계 상태 확인하기 C3165488 [3.0] 10034180 IC H02953834 H02953834 Identifying non normal body part before perioperative positioning 수술 전 비정상적인 신체부분 확인하기 C1998522 [3.0] 10027154 IC H02953847 H02953847 Identifying obstruction to communication 의사소통장애 확인하기 C1998523 [3.0] 10009683 IC H02953850 H02953850 Identifying physiological status 생리적 상태 확인하기 C1546269 [3.0] 10009612 IC H02953862 H02953862 Identifying psychological status 심리적 상태 확인하기 C4032586 [3.0] 10044241 IC H02953875 H02953875 Identifying respiratory status before operation 수술 전 호흡기계 상태 확인하기 C3165489 [3.0] 10034198 IC H02953888 H02953888 Identifying risk for haemorrhaging 출혈위험 확인하기 C1998524 [3.0] 10009696 IC H02953891 H02953891 Identifying tissue perfusion before operation 수술 전 조직 관류 확인하기 C1998525 [3.0] 10009704 IC H02953904 H00813792 Immunologic impairment 면역 장애 C0184547 [3.0] 10041103 DC H02953917 H02953917 Impaired ability of caregiver to perform caretaking 돌봄제공자의 손상된 돌봄 수행 능력 C3874433 [3.0] 10035414 DC H02953920 H02953920 Impaired ability to bath 손상된 목욕 능력 C1998992 [3.0] 10000956 DC H02953932 H02953932 Impaired ability to dress 손상된 의복착용 능력 C2712025 [3.0] 10027578 DC H02953945 H02953945 Impaired ability to groom 손상된 몸단장하기 능력 C0562804 [3.0] 10029632 DC H02953958 H02953958 Impaired ability to manage dietary regime 손상된 식이요법 관리 능력 C3874427 [3.0] 10022592 DC H02953961 H02953961 Impaired ability to manage exercise regime 손상된 운동요법 관리 능력 C3165233 [3.0] 10022603 DC H02953973 H02953973 Impaired ability to manage external continence device 손상된 외부조절장치 관리 능력 C4032670 [3.0] 10042548 DC H02953986 H02953986 Impaired ability to manage finances 손상된 재정 관리 능력 C0577404 [3.0] 10034552 DC H02953999 H02953999 Impaired ability to manage medication regime 손상된 약물요법 관리 능력 C0562944 [3.0] 10022635 DC H02954006 H02954006 Impaired ability to manage nephrostomy care 손상된 신루설치술 관리 능력 C3165237 [3.0] 10029576 DC H02954019 H02954019 Impaired ability to manage peritoneal dialysis 손상된 복막 투석 관리 능력 C3165238 [3.0] 10029582 DC H02954021 H02954021 Impaired ability to manage regime 손상된 요법 관리 능력 C1998987 [3.0] 10000885 DC H02954034 H02954034 Impaired ability to manage stoma care 손상된 장루 관리 능력 C3165239 [3.0] 10029595 DC H02954047 H02954047 Impaired ability to manage urinary catheter 손상된 도뇨관 관리 능력 C3165240 [3.0] 10029609 DC H02954050 H02954050 Impaired ability to monitor disease 손상된 질병 감시 능력 C3165241 [3.0] 10029613 DC H02954062 H02954062 Impaired ability to participate in care planning 손상된 간호 계획 참여 능력 C3874432 [3.0] 10035134 DC H02954075 H02954075 Impaired ability to perform caretaking 손상된 돌봄 수행 능력 C1827251 [3.0] 10029621 DC H02954088 H02954088 Impaired ability to perform hygiene 손상된 위생 수행 능력 C3651081 [3.0] 10000987 DC H02954091 H02954091 Impaired ability to perform leisure activity 손상된 여가활동 수행 능력 C0150025 [3.0] 10040351 DC H02954104 H02954104 Impaired ability to perform oral hygiene 손상된 구강위생 수행 능력 C0566536 [3.0] 10029645 DC H02954117 H02954117 Impaired ability to prepare food 손상된 식사 준비 능력 C0564297 [3.0] 10029650 DC H02954120 H02954120 Impaired ability to shop 손상된 쇼핑 능력 C0577439 [3.0] 10034581 DC H02954132 H02954132 Impaired ability to transfer 손상된 이동 능력 C0812356 [3.0] 10001005 DC H02954145 H02954145 Impaired acceptance of health status 손상된 건강상태 수용 C2712026 [3.0] 10029480 DC H02954158 H02954158 Impaired active range of motion 손상된 관절범위 운동 C0575002 [3.0] 10040173 DC H02954161 H02954161 Impaired adaptation 손상된 적응 C3651077 [3.0] 10022027 DC H02954173 H02954173 Impaired adjustment 손상된 조절 C0582154 [3.0] 10000863 DC H02954186 H02954186 Impaired adolescent development 손상된 청소년 발달 C2364156 [3.0] 10023304 DC H02954199 H02954199 Impaired adult development 손상된 성인 발달 C2364157 [3.0] 10023315 DC H02954202 H00055451 Impaired airway clearance 손상된 기도 청결 C0150011 [3.0] 10001051 DC H02954215 H02954215 Impaired alertness 손상된 명료함 C2712027 [3.0] 10027165 DC H02954228 H02954228 Impaired attitude to nutritional status 손상된 영양상태에 대한 태도 C2364330 [3.0] 10025492 DC H02954231 H02954231 Impaired breathing 손상된 호흡 C1999010 [3.0] 10001316 DC H02954243 H02954243 Impaired cardiac function 손상된 심장기능 C0232166 [3.0] 10037305 DC H02954256 H02954256 Impaired cardiac output 손상된 심박출량 C2364334 [3.0] 10025557 DC H02954269 H00251121 Impaired cardiovascular system 손상된 심혈관계 C0184522 [3.0] 10022949 DC H02954271 H02954271 Impaired caregiver child attachment 손상된 돌봄제공자와 아동 애착 C2712031 [3.0] 10027219 DC H02954284 H02954284 Impaired child development 손상된 아동 발달 C2364155 [3.0] 10023294 DC H02954297 H00346340 Impaired communication 손상된 의사소통 C0009460 [3.0] 10023370 DC H02954301 H02954301 Impaired community ability to manage regime 손상된 지역사회 요법 관리 능력 C1998988 [3.0] 10000892 DC H02954313 H00346465 Impaired community coping 손상된 지역사회 대처 C0221550 [3.0] 10034817 DC H02954326 H02954326 Impaired dentition 손상된 치열 C1268768 [3.0] 10001131 DC H02954339 H02954339 Impaired dressing and grooming 손상된 의복착용과 몸단장하기 능력 C1998993 [3.0] 10000960 DC H02954341 H02954341 Impaired endocrine system function 손상된 내분비계 기능 C2364126 [3.0] 10022965 DC H02954354 H02954354 Impaired exercise behaviour 손상된 운동 행위 C3650703 [3.0] 10022043 DC H02954367 H02954367 Impaired family ability to manage regime 손상된 가족 요법 관리 능력 C1998989 [3.0] 10000902 DC H02954370 H00624251 Impaired family coping 손상된 가족 대처 C0150027 [3.0] 10034789 DC H02954382 H02954382 Impaired fluid intake 손상된 수분 섭취 C0426598 [3.0] 10029873 DC H02954395 H02954395 Impaired foetal development 손상된 태아발달 C4032427 [3.0] 10045597 DC H02954409 H00687928 Impaired gas exchange 손상된 가스교환 C0150034 [3.0] 10001177 DC H02954411 H02954411 Impaired gastrointestinal system function 손상된 위장관계 기능 C0232459 [3.0] 10022931 DC H02954424 H00732423 Impaired health maintenance 손상된 건강 유지 C0150038 [3.0] 10000918 DC H02954437 H02954437 Impaired health seeking behaviour 손상된 건강추구행위 C2364122 [3.0] 10022920 DC H02954440 H02954440 Impaired hearing 손상된 청력 C0260662 [3.0] 10022544 DC H02954452 H02954452 Impaired high nutritional intake 손상된 질높은 영양섭취상태 C2364333 [3.0] 10025535 DC H02954465 H02954465 Impaired homemaking 손상된 가사관리 C1998991 [3.0] 10000925 DC H02954478 H02954478 Impaired human development 손상된 인간발달 C2364152 [3.0] 10023260 DC H02954481 H02954481 Impaired infant development 손상된 영아발달 C2364154 [3.0] 10023287 DC H02954493 H00827463 Impaired infant feeding behaviour 손상된 영아의 섭취 행동 C1999006 [3.0] 10001196 DC H02954507 H02954507 Impaired interactive behaviour 손상된 상호작용 행동 C2712036 [3.0] 10027430 DC H02954510 H02954510 Impaired kidney function 손상된 신장기능 C0184571 [3.0] 10023169 DC H02954522 H00913822 Impaired kinaesthesia 손상된 근감각 C0184562 [3.0] 10034886 DC H02954535 H02954535 Impaired low nutritional intake 손상된 질낮은 영양섭취상태 C0231353 [3.0] 10025519 DC H02954548 H02954548 Impaired mobility in bed 손상된 침상 기동성 C0812357 [3.0] 10001067 DC H02954551 H01090832 Impaired musculoskeletal system function 손상된 근골격계 기능 C0184518 [3.0] 10022642 DC H02954563 H02954563 Impaired nervous system function 손상된 신경계 기능 C0221571 [3.0] 10037322 DC H02954576 H02954576 Impaired newborn development 손상된 신생아 발달 C2364153 [3.0] 10023273 DC H02954589 H02954589 Impaired nutritional intake 손상된 영양섭취상태 C2364130 [3.0] 10023009 DC H02954591 H02954591 Impaired older adult development 손상된 노인 발달 C2364158 [3.0] 10023327 DC H02954605 H01188192 Impaired oral mucous membrane 손상된 구강 점막 C0231355 [3.0] 10026967 DC H02954618 H02954618 Impaired parenting 손상된 양육 C2922984 [3.0] 10000939 DC H02954621 H02954621 Impaired peripheral neurovascular function 손상된 말초뇌혈관계 기능 C2364141 [3.0] 10023153 DC H02954633 H02954633 Impaired peripheral tissue perfusion 손상된 말초 조직 관류 C4032587 [3.0] 10044239 DC H02954646 H02954646 Impaired physiological status 손상된 생리학적 상태 C3165263 [3.0] 10030035 DC H02954659 H02954659 Impaired protective ability 손상된 보호 능력 C1998997 [3.0] 10001014 DC H02954661 H02954661 Impaired psychological status 손상된 심리적 상태 C3650877 [3.0] 10038411 DC H02954674 H02954674 Impaired regulatory system function 손상된 조절계 기능 C2364160 [3.0] 10023358 DC H02954687 H02954687 Impaired respiratory system function 손상된 호흡기계 기능 C1268764 [3.0] 10023362 DC H02954690 H02954690 Impaired role performance 손상된 역할 수행 능력 C0231410 [3.0] 10000941 DC H02954703 H02954703 Impaired self feeding 손상된 혼자 먹기 능력 C1998994 [3.0] 10000973 DC H02954716 H02954716 Impaired self toileting 손상된 혼자 대소변보기 C1998996 [3.0] 10000994 DC H02954729 H02954729 Impaired sense of smell 손상된 후각 C2364082 [3.0] 10022528 DC H02954731 H00722316 Impaired sense of taste 손상된 미각 C0013378 [3.0] 10022814 DC H02954744 H02954744 Impaired sexual functioning 손상된 성적 기능 C0549622 [3.0] 10001288 DC H02954757 H02954757 Impaired skin integrity 손상된 피부통합성 C4048181 [3.0] 10001290 DC H02954760 H02954760 Impaired socialisation 손상된 사회화 C1998998 [3.0] 10001022 DC H02954772 H02954772 Impaired spiritual status 손상된 영적 상태 C2364159 [3.0] 10023336 DC H02954785 H01659612 Impaired swallowing 손상된 연하 C0392678 [3.0] 10001033 DC H02954798 H01671050 Impaired tactile perception 손상된 촉각인지 C0184564 [3.0] 10022619 DC H02954801 H02954801 Impaired tissue integrity 손상된 조직 통합성 C0150085 [3.0] 10001080 DC H02954814 H02954814 Impaired urinary system function 손상된 비뇨기계 기능 C0231365 [3.0] 10001359 DC H02954827 H01799568 Impaired ventilatory weaning 손상된 인공호흡기 제거 C1999008 [3.0] 10001261 DC H02954830 H02954830 Impaired verbal communication 손상된 언어적 의사소통 C0566027 [3.0] 10025104 DC H02954842 H02954842 Impaired vision 손상된 시력 C3665347 [3.0] 10022748 DC H02954855 H02954855 Impaired walking 손상된 보행 C0311394 [3.0] 10001046 DC H02954868 H02954868 Impaired wheelchair mobility 손상된 휠체어 기동성 C0812355 [3.0] 10001363 DC H02954871 H02954871 Implementing childbirth care 출산 간호 수행하기 C4032661 [3.0] 10042763 IC H02954883 H02954883 Implementing cluster care 집단 간호 수행하기 C3650819 [3.0] 10039693 IC H02954896 H02954896 Implementing comfort care 안위 간호 수행하기 C3650818 [3.0] 10039705 IC H02954900 H02954900 Implementing enteral feeding 위장관영양 수행하기 C4032468 [3.0] 10046178 IC H02954912 H02954912 Implementing haemodialysis regime 혈액투석요법 수행하기 C4032432 [3.0] 10042361 IC H02954925 H02954925 Implementing immobilisation regime 외고정 요법 수행하기 C3650706 [3.0] 10038972 IC H02954938 H02954938 Implementing immunisation regime 면역 요법 수행하기 C3165332 [3.0] 10031559 IC H02954941 H02954941 Implementing nothing by mouth regime 금식요법 수행하기 C4032556 [3.0] 10044793 IC H02954953 H02954953 Implementing pain guideline 통증 지침 수행하기 C1269713 [3.0] 10009872 IC H02954966 H02954966 Implementing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영양 수행하기 C4032467 [3.0] 10046184 IC H02954979 H02954979 Implementing physical restraint regime 신체억제요법 수행하기 C3651006 [3.0] 10036327 IC H02954981 H02954981 Implementing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 수행하기 C4032515 [3.0] 10045371 IC H02954994 H02954994 Implementing prenatal care 산전간호 수행하기 C4032516 [3.0] 10045363 IC H02955001 H02955001 Implementing safety regime 안전 요법 수행하기 C3650990 [3.0] 10036565 IC H02955014 H02955014 Implementing seclusion regime 격리 요법 수행하기 C3651007 [3.0] 10036315 IC H02955027 H02955027 Implementing seizure management regime 간질 관리 요법 수행하기 C3650944 [3.0] 10037276 IC H02955030 H02955030 Implementing suicide precautions 자살 예방책 수행하기 C3651005 [3.0] 10036336 IC H02955042 H02955042 Implementing ventilator care 인공호흡기간호 수행하기 C4032552 [3.0] 10044861 IC H02955055 H02955055 Improved acid base balance 산-염기 균형 개선 C3165437 [3.0] 10033502 DC H02955068 H02955068 Improved diagnosis and outcome 진단과 결과 개선 [3.0] 10029388 OC H02955071 H02955071 Improved electrolyte balance 호전된 전해질 균형 C3165438 [3.0] 10033518 DC H02955083 H02955083 Improved nutritional status 호전된 영양상태 [3.0] 10035569 DC H02955096 H02955096 Improved orientation 호전된 지남력 C2712014 [3.0] 10028586 DC H02955100 H02955100 Improved response to rape trauma 호전된 강간상해에 대한 반응 C2712018 [3.0] 10027668 DC H02955112 H02955112 Improved response to trauma 호전된 외상에 대한 반응 C2712023 [3.0] 10027760 DC H02955125 H02955125 Improved self control 호전된 자아 조절 C3651045 [3.0] 10035576 DC H02955138 H02955138 Improved skin integrity 호전된 피부 통합성 C2712020 [3.0] 10028517 DC H02955141 H02955141 Inadequate income 불충분한 소득 C1331016 [3.0] 10022563 DC H02955153 H02955153 Inadequate pain control 부적절한 통증 조절 C3650806 [3.0] 10039910 DC H02955166 H02955166 Inappropriate self disclosure 부적절한 자기 노출 C3650731 [3.0] 10041663 DC H02955179 H02955179 Ineffective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인 조직 관류 C1328773 [3.0] 10001344 DC H02955181 H02955181 Infant care 영아 돌봄 C0021272 [3.0] 10037102 IC H02955194 H02955194 Initiating breastfeeding 모유수유 시작하기 C3650831 [3.0] 10039428 IC H02955208 H02955208 Initiating nurse controlled analgesia 간호사 통증조절 시작하기 C3650812 [3.0] 10039808 IC H02955211 H02955211 Initiat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 통증조절 시작하기 C1998550 [3.0] 10010245 IC H02955223 H02955223 Inserting vascular access device 혈관접근장치 삽입하기 C3165490 [3.0] 10034200 IC H02955236 H02955236 Interpreting arterial blood gas result 동맥혈 가스 결과 해석하기 C1998561 [3.0] 10010503 IC H02955249 H02955249 Interrupted breastfeeding 중단된 모유수유 C0686777 [3.0] 10000774 DC H02955251 H02955251 Interrupted family process 중단된 가족과정 C0231414 [3.0] 10000788 DC H02955264 H02955264 Invasive device site care 침습장치 부위 관리 C3165333 [3.0] 10031592 IC H02955277 H02955277 Involving in decision making process 의사결정 과정 참여하기 C2712225 [3.0] 10026323 IC H02955280 H02955280 Irrigating bladder 방광 세척하기 C3650748 [3.0] 10041188 IC H02955292 H02955292 Irrigating colostomy 결장루 세척하기 C3650784 [3.0] 10040474 IC H02955306 H02955306 Irrigating urostomy 요루 세척하기 C4032520 [3.0] 10045290 IC H02955319 H02955319 Knowledge of alcohol abuse 알코올 남용에 대한 지식 C4032669 [3.0] 10042569 DC H02955321 H02955321 Knowledge of childbirth 출산에 대한 지식 C4032492 [3.0] 10046204|10045739 Focus|DC H02955334 H02955334 Knowledge of contraception 피임에 대한 지식 C4032602 [3.0] 10043897|10043910 Focus|DC H02955347 H02955347 Knowledge of disease 질병에 대한 지식 C3651074 [3.0] 10023826 DC H02955350 H02955350 Knowledge of drug abuse 약물남용에 대한 지식 C4032668 [3.0] 10042582 DC H02955362 H02955362 Knowledge of exercise 운동에 대한 지식 C2364191 [3.0] 10023786 DC H02955375 H02955375 Knowledge of fluid regime 수액요법에 대한 지식 C4032683 [3.0] 10042110 DC H02955388 H02955388 Knowledge of foetal development 태아발달에 대한 지식 C4032414 [3.0] 10046215|10045760 Focus|DC H02955391 H02955391 Knowledge of infant care 영아간호에 대한 지식 C1319146 [3.0] 10046227|10045741 Focus|DC H02955404 H02955404 Knowledge of infant feeding 영아수유에 대한 지식 C4032491 [3.0] 10046236|10045756 Focus|DC H02955417 H02955417 Knowledge of parenting 양육에 대한 지식 C1319152 [3.0] 10043365|10043383 Focus|DC H02955420 H02955420 Knowledge of pregnancy 임신에 대한 지식 C1319142 [3.0] 10046243|10045773 Focus|DC H02955432 H02955432 Knowledge of travel health 여행 건강에 대한 지식 [3.0] 10043349 Focus H02955445 H02955445 Knowledge of treatment regime 치료요법에 대한 지식 C2712155 [3.0] 10025733 DC H02955458 H02955458 Labile moods 불안정 기분 C0085633 [3.0] 10045652 DC H02955461 H02955461 Lack of access to transportation 교통수단에 접근 어려움 C4048775 [3.0] 10041323 DC H02955473 H02955473 Lack of appetite 식욕 부족 C1971624 [3.0] 10033399 DC H02955486 H02955486 Lack of awareness of symptoms 증상에 대한 인식 부족 C2712057 [3.0] 10029479 DC H02955499 H02955499 Lack of community services 지역사회 서비스 부족 C4032445 [3.0] 10046774 DC H02955502 H02955502 Lack of family support 가족지지 부족 C2364078 [3.0] 10022473 DC H02955515 H02955515 Lack of food supply 식량공급 부족 C3873648 [3.0] 10022494 DC H02955528 H00916669 Lack of knowledge 지식 부족 C1998986 [3.0] 10000837 DC H02955531 H02955531 Lack of knowledge about exercise 운동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00 [3.0] 10022585 DC H02955543 H02955543 Lack of knowledge of behaviour change process 행동변화과정에 대한 지식 부족 C3874909 [3.0] 10024734 DC H02955556 H02955556 Lack of knowledge of breast feeding 모유수유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97 [3.0] 10029958 DC H02955569 H02955569 Lack of knowledge of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에 대한 지식 부족 C3165257 [3.0] 10029962 DC H02955571 H02955571 Lack of knowledge of childbirth 출산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500 [3.0] 10045610 DC H02955584 H02955584 Lack of knowledge of community service 지역사회 서비스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41 [3.0] 10027371 DC H02955597 H02955597 Lack of knowledge of contraception 피임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603 [3.0] 10043907 DC H02955601 H02955601 Lack of knowledge of diagnostic test 진단검사에 대한 지식 부족 C2364369 [3.0] 10021987 DC H02955613 H02955613 Lack of knowledge of dietary regime 식이요법에 대한 지식 부족 C2364364 [3.0] 10021939 DC H02955626 H02955626 Lack of knowledge of disease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 C2364370 [3.0] 10021994 DC H02955639 H02955639 Lack of knowledge of fall prevention 낙상예방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68 [3.0] 10040230 DC H02955641 H02955641 Lack of knowledge of fluid regime 수액요법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682 [3.0] 10042123 DC H02955654 H02955654 Lack of knowledge of foetal development 태아발달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416 [3.0] 10045606 DC H02955667 H02955667 Lack of knowledge of infant care 영아간호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499 [3.0] 10045623 DC H02955670 H02955670 Lack of knowledge of infant feeding 영아수유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498 [3.0] 10045634 DC H02955682 H02955682 Lack of knowledge of medication 약물에 대한 지식 부족 C2712039 [3.0] 10025975 DC H02955695 H02955695 Lack of knowledge of medication regime 약물요법에 대한 지식 부족 C2364365 [3.0] 10021941 DC H02955709 H02955709 Lack of knowledge of oral hygiene 구강위생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99 [3.0] 10029970 DC H02955711 H02955711 Lack of knowledge of pain management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29 [3.0] 10040016 DC H02955724 H02955724 Lack of knowledge of parenting 양육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635 [3.0] 10043377 DC H02955737 H02955737 Lack of knowledge of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조절에 대한 지식 부족 C3874332 [3.0] 10040028 DC H02955740 H02955740 Lack of knowledge of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101 [3.0] 10029989 DC H02955752 H02955752 Lack of knowledge of physical therapy 물리치료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59 [3.0] 10039975 DC H02955765 H02955765 Lack of knowledge of pregnancy 임신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497 [3.0] 10045647 DC H02955778 H02955778 Lack of knowledge of safety measure 안전측정에 대한 지식 부족 C2364372 [3.0] 10022015 DC H02955781 H02955781 Lack of knowledge of sexual behaviour 성행위에 대한 지식 부족 C3875098 [3.0] 10029991 DC H02955793 H02955793 Lack of knowledge of traditional therapy 민간치료요법에 대한 지식 부족 C3874948 [3.0] 10039999 DC H02955807 H02955807 Lack of knowledge of travel health 여행 건강에 대한 지식 부족 C4032636 [3.0] 10043354 DC H02955810 H02955810 Lack of knowledge of treatment regime 치료요법에 대한 지식 부족 C2364363 [3.0] 10021925 DC H02955822 H02955822 Lack of meaning 의미의 부족 C2364167 [3.0] 10023423 DC H02955835 H02955835 Lack of play activity 놀이활동의 부족 C3650767 [3.0] 10040783 DC H02955848 H02955848 Lack of pride 자존심 부족 C2712040 [3.0] 10025693 DC H02955851 H02955851 Lack of privacy 사생활 침해 C2712041 [3.0] 10025601 DC H02955863 H02955863 Lack of response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반응 부족 C1320680 [3.0] 10033556 DC H02955876 H02955876 Lack of self awareness 자가인식 부족 C3165235 [3.0] 10029451 DC H02955889 H02955889 Lack of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지 부족 C2364105 [3.0] 10022753 DC H02955891 H02955891 Lack of symptom control 증상 조절 부족 C2712003 [3.0] 10029286 DC H02955905 H02955905 Lack of trust 신뢰 부족 C3875092 [3.0] 10025947 DC H02955918 H02955918 Lack of trust in health care provider 의료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신뢰 부족 C2712046 [3.0] 10025952 DC H02955921 H02955921 Lactation problem 수유 문제 C0554400 [3.0] 10029943 DC H02955933 H02955933 Leg cramps 다리 근육경련 C0023218 [3.0] 10046719 DC H02955946 H02955946 Literacy problem 읽고쓰기 능력에 문제 C0424928 [3.0] 10022559 DC H02955959 H02955959 Low initiative 솔선력 저조 C2364087 [3.0] 10022571 DC H02955961 H02955961 Low school attendance 학교 출석율 저조 C0424943 [3.0] 10037777 DC H02955974 H02955974 Low self control 자아 조절력 저조 C2712042 [3.0] 10027469 DC H02955987 H02955987 Low self efficacy 자기 효능감 저조 C2712043 [3.0] 10027131 DC H02955990 H02955990 Low volition 의욕 저조 C2364116 [3.0] 10022867 DC H02956007 H02956007 Maintaining airway 기도 유지하기 C0512774 [3.0] 10031674 IC H02956010 H02956010 Maintaining airway clearance 기도 청결 유지하기 C3650939 [3.0] 10037351 IC H02956022 H02956022 Maintaining dignity and privacy 위엄과 사생활 유지하기 C1998589 [3.0] 10011527 IC H02956035 H02956035 Maintaining fall safety alarm 낙상안전경보 유지하기 C3650737 [3.0] 10041525 IC H02956048 H02956048 Maintaining health 건강 유지하기 [3.0] 10046580 Focus H02956051 H02956051 Maintaining intravenous access 정맥 내 접근로 유지하기 C3650989 [3.0] 10036577 IC H02956063 H02956063 Maintaining intravenous therapy 정맥요법 유지하기 C3650988 [3.0] 10036583 IC H02956076 H02956076 Maintaining isolation technique 격리기법 유지하기 C3650936 [3.0] 10037398 IC H02956089 H02956089 Maintaining prosthetic device 인공보형물 유지하기 C4032667 [3.0] 10042595 IC H02956091 H02956091 Maintaining raised edge mattress 낙상방지용 매트리스 유지하기 C3650736 [3.0] 10041556 IC H02956105 H02956105 Maintaining skin integrity 피부통합성 유지하기 C3651060 [3.0] 10035293 IC H02956118 H02956118 Maintaining ventilation 환기 유지하기 C3650982 [3.0] 10036646 IC H02956121 H02956121 Maintaining ventilation with a mechanical ventilator 기계적 인공호흡기가 동반된 환기 유지하기 C4032466 [3.0] 10046258 IC H02956133 H02956133 Maintaining wound drain 상처배액 유지하기 C3650987 [3.0] 10036596 IC H02956146 H02956146 Malignant wound care 악성 상처 간호 C3165334 [3.0] 10031690 IC H02956159 H02956159 Managing aggressive behaviour 공격적 행동 관리하기 C3650708 [3.0] 10035970 IC H02956161 H02956161 Managing anxiety 불안 관리하기 C3165336 [3.0] 10031711 IC H02956174 H02956174 Managing blood glucose 혈당 관리하기 C4032465 [3.0] 10046262 IC H02956187 H02956187 Managing blood levels 혈액수치 관리하기 C4032464 [3.0] 10046270 IC H02956190 H02956190 Managing bowel incontinence 변실금 관리하기 C4032462 [3.0] 10046301 IC H02956203 H02956203 Managing cardiac rehabilitation regime 심장재활요법 관리하기 C4032617 [3.0] 10043723 IC H02956216 H02956216 Managing central line 중심정맥라인 관리하기 C3165337 [3.0] 10031724 IC H02956229 H02956229 Managing defaecation 배변 관리하기 C3650709 [3.0] 10041427 IC H02956231 H02956231 Managing dehydration 탈수 관리하기 C4032607 [3.0] 10043821 IC H02956244 H02956244 Managing delirium 섬망 관리하기 C3651028 [3.0] 10035989 IC H02956257 H02956257 Managing device 기구 관리하기 C3165342 [3.0] 10031776 IC H02956260 H02956260 Managing diarrhoea 설사 관리하기 C4032429 [3.0] 10043641 IC H02956272 H02956272 Managing dietary regime 식이요법 관리하기 C2364197 [3.0] 10023861 IC H02956285 H02956285 Managing disease 질환 관리하기 C3165354 [3.0] 10031912 IC H02956298 H02956298 Managing encopresis 대변실금 관리 C3165343 [3.0] 10031782 IC H02956301 H01007395 Managing energy conservation 에너지 절약 관리하기 C1272469 [3.0] 10035991 IC H02956314 H01007409 Managing enteral feeding 경장영양 관리하기 C1443436 [3.0] 10031795 IC H02956327 H02956327 Managing enuresis 야뇨증 관리하기 C3165344 [3.0] 10031805 IC H02956330 H02956330 Managing exercise regime 운동요법 관리하기 C2364199 [3.0] 10023890 IC H02956342 H02956342 Managing external continence device regime 외부조절장치요법 관리하기 C4032671 [3.0] 10042530 IC H02956355 H02956355 Managing fatigue 피로 관리하기 C4032463 [3.0] 10046289 IC H02956368 H02956368 Managing fever 열 관리하기 C3650727 [3.0] 10041721 IC H02956371 H02956371 Managing financial status 재정상태 관리하기 C3165504 [3.0] 10034608 IC H02956383 H02956383 Managing fluid therapy 수액요법 관리하기 C4032684 [3.0] 10042096 IC H02956396 H02956396 Managing haemodialysis 혈액투석 관리하기 C4032421 [3.0] 10046291 IC H02956400 H02956400 Managing health status after hospitalisation 입원 후 건강상태 관리하기 C3165346 [3.0] 10031822 IC H02956412 H02956412 Managing hydration 수분공급 관리하기 C4032461 [3.0] 10046317 IC H02956425 H02956425 Managing hyperglycaemia 고혈당증 관리하기 C3650687 [3.0] 10035286 IC H02956438 H02956438 Managing hypoglycaemia 저혈당증 관리하기 C3650704 [3.0] 10035272 IC H02956441 H02956441 Managing impaired coping process 손상된 대처과정 관리하기 C3165348 [3.0] 10031846 IC H02956453 H02956453 Managing inappropriate sexual behaviour 부적절한 성행위 관리하기 C3650698 [3.0] 10036021 IC H02956466 H02956466 Managing management of specimen 검체물 유지 관리하기 C1998596 [3.0] 10011656 IC H02956479 H02956479 Managing medication 약물 관리하기 C0518532 [3.0] 10011641 IC H02956481 H02956481 Managing medication regime 약물요법 관리하기 C2364198 [3.0] 10023888 IC H02956494 H01007830 Managing medication side effect 약물 부작용 관리하기 C1275528 [3.0] 10021837 IC H02956508 H02956508 Managing mood 감정 관리하기 C3651011 [3.0] 10036256 IC H02956511 H02956511 Managing nausea 오심 관리하기 C4032621 [3.0] 10043673 IC H02956523 H02956523 Managing negative behaviour 부정적 행위 관리하기 C3165347 [3.0] 10031833 IC H02956536 H02956536 Managing negative emotion 부정적 감정 관리하기 C3165349 [3.0] 10031851 IC H02956549 H02956549 Managing negative response to situation 상황에 대한 부정적 반응 관리하기 C3165350 [3.0] 10031867 IC H02956551 H02956551 Managing negative response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부정적 반응 관리하기 C2364242 [3.0] 10024429 IC H02956564 H02956564 Managing nephrostomy care 신루술 간호 관리하기 C3165352 [3.0] 10031880 IC H02956577 H02956577 Managing nutritional status 영양상태 관리하기 C3651026 [3.0] 10036013 IC H02956580 H02956580 Managing oedema 부종 관리하기 C3650700 [3.0] 10036793 IC H02956592 H02956592 Managing pain 통증 관리하기 C0002766 [3.0] 10011660 IC H02956606 H01008068 Managing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적 영양 관리하기 C1443441 [3.0] 10031908 IC H02956619 H02956619 Managing patient activity 환자활동 관리하기 C4032544 [3.0] 10044971 IC H02956621 H02956621 Managing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 관리하기 C3165355 [3.0] 10031920 IC H02956634 H02956634 Managing post partum depressed mood 산후 우울기분 관리하기 C3165341 [3.0] 10031769 IC H02956647 H01008181 Managing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 관리하기 C1443528 [3.0] 10031931 IC H02956650 H02956650 Managing prenatal care 산전 관리하기 C3165356 [3.0] 10031949 IC H02956662 H02956662 Managing regime 요법 관리하기 C1998597 [3.0] 10011673 IC H02956675 H02956675 Managing screening follow up 스크리닝 추적관찰 관리하기 C3650948 [3.0] 10037187 IC H02956688 H02956688 Managing sedation 진정 관리하기 C4032576 [3.0] 10044512 IC H02956691 H02956691 Managing specimen 검체물 관리하기 C1998598 [3.0] 10011687 IC H02956704 H02956704 Managing specimen collection 검체물 수집 관리하기 C1998595 [3.0] 10011639 IC H02956717 H02956717 Managing stoma care regime 장루간호요법 관리하기 C3165357 [3.0] 10031954 IC H02956720 H02956720 Managing stress 스트레스 관리하기 [3.0] 10044111 Focus H02956732 H02956732 Managing symptom 증상 관리하기 C3165358 [3.0] 10031965 IC H02956745 H02956745 Managing transporting 이송 관리하기 C1998599 [3.0] 10011694 IC H02956758 H02956758 Managing urinary catheter 도뇨관 관리하기 C3165359 [3.0] 10031977 IC H02956761 H02956761 Managing urinary incontinence 요실금 관리하기 C3165351 [3.0] 10031879 IC H02956773 H02956773 Managing urination 배뇨 관리하기 C3651062 [3.0] 10035238 IC H02956786 H02956786 Managing vaginal bleeding 질출혈 관리하기 C4032509 [3.0] 10045430 IC H02956799 H02956799 Managing vasopneumatic device 폐혈관기구 관리하기 C3650986 [3.0] 10036605 IC H02956802 H02956802 Managing vomiting 구토 관리하기 C4032460 [3.0] 10046329 IC H02956815 H02956815 Managing wandering 배회 관리하기 C4032610 [3.0] 10043799 IC H02956828 H02956828 Managing withdrawal symptom 금단 증상 관리하기 C3650864 [3.0] 10038718 IC H02956831 H02956831 Massaging infant 영아 마사지 C0695595 [3.0] 10031983 IC H02956843 H02956843 Measuring blood glucose 혈당 측정하기 C3650747 [3.0] 10041212 IC H02956856 H02956856 Measuring blood pressure 혈압 측정하기 C0005824 [3.0] 10031996 IC H02956869 H02956869 Measuring body temperature 체온 측정하기 C0886414 [3.0] 10032006 IC H02956871 H02956871 Measuring chest circumference 가슴 둘레 측정하기 C3650972 [3.0] 10036819 IC H02956884 H02956884 Measuring fluid intake 수분섭취 측정하기 C3650837 [3.0] 10039245 IC H02956897 H02956897 Measuring fluid output 수분배설 측정하기 C3650836 [3.0] 10039250 IC H02956901 H02956901 Measuring foetal heart rate 태아 심박수 관리하기 C4032422 [3.0] 10043440 IC H02956913 H02956913 Measuring foetal movement 태아운동 관리하기 C4032417 [3.0] 10043455 IC H02956926 H02956926 Measuring head circumference 머리둘레 측정하기 C0547796 [3.0] 10035451 IC H02956939 H02956939 Measuring heart rate 심박수 측정하기 C3650971 [3.0] 10036826 IC H02956941 H02956941 Measuring height 키 측정하기 C0547795 [3.0] 10037000 IC H02956954 H02956954 Measuring radial pulse 요골맥박 측정하기 C4032560 [3.0] 10044740 IC H02956967 H02956967 Measuring respirations 호흡 측정하기 C4032459 [3.0] 10046338 IC H02956970 H02956970 Mechanical heart support device 기계적 심장지지장치 [3.0] 10044959 Means H02956982 H02956982 Medication handling 약물 처리 C3650769 [3.0] 10040708 IC H02956995 H02956995 Medication interaction role 약물 상호작용 역할 [3.0] 10042700 Focus H02957002 H02957002 Medication procurement 약물 조달 [3.0] 10043057 Action H02957015 H02957015 Medication reconciliation 약물 조정 C2317067 [3.0] 10036549 IC H02957028 H02957028 Medication schedule 약물 스케쥴 [3.0] 10043171 Means H02957031 H02957031 Medication supply deficit 약물 공급 부족 C2364202 [3.0] 10023937 DC H02957043 H02957043 Memory device 기억 장치 [3.0] 10043192 Means H02957056 H02957056 Minimising stimulation 자극 최소화하기 C3650838 [3.0] 10039221 IC H02957069 H02957069 Monitoring activity tolerance 활동지속성 모니터링하기 C3650984 [3.0] 10036622 IC H02957071 H02957071 Monitoring bilirubin level 빌리루빈 수치 모니터링하기 C3650957 [3.0] 10036992 IC H02957084 H02957084 Monitoring blood glucose 혈당 모니터링하기 C1820407 [3.0] 10032034 IC H02957097 H02957097 Monitoring blood oxygen saturation using pulse oximeter 맥박산소측정기를 이용한 혈중 산소포화도 모니터링하기 C3165360 [3.0] 10032047 IC H02957101 H02957101 Monitoring blood pressure 혈압 모니터링하기 C0026426 [3.0] 10032052 IC H02957113 H02957113 Monitoring body temperature 체온 모니터링하기 C0278387 [3.0] 10012165 IC H02957126 H02957126 Monitoring bowel motility 장운동 모니터링하기 C3650947 [3.0] 10037211 IC H02957139 H02957139 Monitoring cardiac status 심기능 모니터링하기 C3165493 [3.0] 10034285 IC H02957141 H02957141 Monitoring confusion 혼돈 모니터링하기 C4032510 [3.0] 10045424 IC H02957154 H02957154 Monitoring fall risk 낙상위험 모니터링하기 C3650934 [3.0] 10037442 IC H02957167 H02957167 Monitoring fluid balance 체액균형 모니터링하기 C2316334 [3.0] 10040852 IC H02957170 H02957170 Monitoring fluid intake 수분섭취 모니터링하기 C0513125 [3.0] 10035303 IC H02957182 H02957182 Monitoring fluid output 수분배설 모니터링하기 C3651059 [3.0] 10035319 IC H02957195 H02957195 Monitoring foetal development 태아발달 모니터링하기 C4032425 [3.0] 10046340 IC H02957209 H02957209 Monitoring food intake 음식섭취 모니터링하기 C3650985 [3.0] 10036614 IC H02957211 H02957211 Monitoring for child abuse 아동학대 모니터링하기 C3165362 [3.0] 10032075 IC H02957224 H02957224 Monitoring for impaired family coping 손상된 가족대처 모니터링하기 C3165361 [3.0] 10032068 IC H02957237 H02957237 Monitoring height 신장 모니터링하기 C3165363 [3.0] 10032081 IC H02957240 H02957240 Monitoring intracranial pressure 뇌내압 모니터링하기 C0150260 [3.0] 10046355 IC H02957252 H02957252 Monitoring laboratory result 임상검사 결과 모니터링하기 C3165364 [3.0] 10032099 IC H02957265 H02957265 Monitoring mechanical heart support device 기계적 심장지지장치 모니터링하기 C4032458 [3.0] 10046364 IC H02957278 H02957278 Monitoring medication adherence 투약 이행 모니터링하기 C4032444 [3.0] 10043878 IC H02957281 H02957281 Monitoring medication side effect 약물 부작용 모니터링하기 C1821644 [3.0] 10043884 IC H02957293 H02957293 Monitoring neurological status 신경학적 상태 모니터링하기 C0513538 [3.0] 10035326 IC H02957307 H02957307 Monitoring nutrition 영양 모니터링하기 C3651025 [3.0] 10036032 IC H02957310 H02957310 Monitoring pain 통증 모니터링하기 C0513566 [3.0] 10038929 IC H02957322 H02957322 Monitoring pedal pulse 족부 맥박 모니터링하기 C3650983 [3.0] 10036633 IC H02957335 H02957335 Monitoring physiological status 생리학적 상태 모니터링하기 C1998614 [3.0] 10012183 IC H02957348 H02957348 Monitoring respiratory status 호흡상태 모니터링하기 C0513709 [3.0] 10012196 IC H02957351 H02957351 Monitoring respiratory therapy 호흡기 치료 모니터링하기 C3650952 [3.0] 10037092 IC H02957363 H02957363 Monitoring response to treatment 치료에 대한 반응 모니터링하기 C1822578 [3.0] 10032109 IC H02957376 H02957376 Monitoring risk for negative response to nurse-controlled analgesia 간호사 통증 조절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 위험성 모니터링하기 C3650807 [3.0] 10039896 IC H02957389 H02957389 Monitoring risk for negative response to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자가 통증 조절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 위험성 모니터링하기 C3650808 [3.0] 10039883 IC H02957391 H02957391 Monitoring signs and symptoms of infection 감염 징후와 증상 모니터링하기 C0811641 [3.0] 10012203 IC H02957405 H02957405 Monitoring tissue perfusion 조직관류 모니터링하기 C3651058 [3.0] 10035335 IC H02957418 H02957418 Monitoring using an exit alarm 이탈 경보 장치 사용 모니터링하기 C2364203 [3.0] 10023944 IC H02957421 H02957421 Monitoring uterine contractions 질수축 모니터링하기 C1301849 [3.0] 10044667 IC H02957433 H02957433 Monitoring vaginal discharge 질분비물 모니터링하기 C4032457 [3.0] 10046372 IC H02957446 H02957446 Monitoring vital signs 활력징후 모니터링하기 C2739811 [3.0] 10032113 IC H02957459 H02957459 Monitoring weight 체중 모니터링하기 C0513836 [3.0] 10032121 IC H02957461 H02957461 Monitoring withdrawal 금단 모니터링하기 C3651004 [3.0] 10036343 IC H02957474 H02957474 Monitoring wound healing 상처 치유 모니터링하기 C4032651 [3.0] 10042936 IC H02957487 H01089349 Muscle cramp 근육경련 [3.0] 10046703 Focus H02957490 H02957490 Negative diagnosis and outcome 부정적인 진단과 결과 C1998805 [3.0] 10016467 OC H02957503 H02957503 Negative environmental process 부정적 환경 과정 C2364204 [3.0] 10023959 DC H02957516 H02957516 Negative response to enteral nutrition 경장영양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 C3873645 [3.0] 10033415 DC H02957529 H02957529 Nephrostomy care 신루술 간호 C1404852 [3.0] 10032150 IC H02957531 H02957531 No adverse medication interaction 약물 유해작용 없음 C4032649 [3.0] 10042989 Focus|DC H02957544 H02957544 No complication during child delivery 분만동안 합병증 없음 C4032676 [3.0] 10042433 DC H02957557 H02957557 No complication during childbirth 출산 합병증 없음 C4032677 [3.0] 10042422 DC H02957560 H02957560 No complication during pregnancy 임신 합병증 없음 C4032675 [3.0] 10042446 DC H02957572 H02957572 No denial 부정 없음 C4032585 [3.0] 10044256|10044260 Focus|DC H02957585 H02957585 No dizziness 어지럼 없음 C4032495 [3.0] 10045359|10045681 Focus|DC H02957598 H02163165 No dyspnoea 호흡곤란 없음 C2712101 [3.0] 10029255|10029264 Focus|DC H02957601 H02162965 No fall-related injury 낙상과 관련된 손상 없음 C3650872 [3.0] 10038545 DC H02957614 H02957614 No hospital acquired complication 병원에서 발생한 합병증 없음 C4032674 [3.0] 10042451 DC H02957627 H02957627 No perinatal complication 주산기 부작용 없음 C4032678 [3.0] 10042414 DC H02957630 H02957630 No postpartum complication 산후 합병증 없음 C4032434 [3.0] 10042467 DC H02957642 H02957642 No stoma complication 장루 합병증 없음 C4032679 [3.0] 10042390 DC H02957655 H01145227 Non adherence to therapeutic regime 치료요법 불이행 C0184543 [3.0] 10022155 DC H02957668 H02957668 Nothing by mouth regime 금식요법 [3.0] 10046386 Focus H02957671 H02957671 Nurse controlled analgesia 간호사 통증조절 C3650813 [3.0] 10039798 IC H02957683 H02957683 Nursing care coordination service 간호관리 조정 서비스 [3.0] 10046393 Means H02957696 H02957696 Nutritional intake within normal limits 정상범위 내 영양섭취 C3650924 [3.0] 10037572 DC H02957700 H02957700 Observing altered perception 지각변화 관찰하기 C1998678 [3.0] 10013517 IC H02957725 H02957725 Oral status 경구 상태 [3.0] 10044225 Focus H02957738 H02161707 Organized infant behaviour 조직화된 유아 행위 C3650688 [3.0] 10035106 DC H02957741 H01253749 Overflow incontinence of urine 일출성 요실금 C0312413 [3.0] 10026914 DC H02957766 H02957766 Parental stress 양육 스트레스 C1999012 [3.0] 10001385 DC H02957779 H02957779 Performing disimpaction 매복변제거 수행하기 C4032625 [3.0] 10043602 IC H02957781 H02957781 Performing enema 관장 수행하기 C4032624 [3.0] 10043618 IC H02957794 H02957794 Performing passive range of motion 수동적 관절운동 수행하기 C4032631 [3.0] 10043527 IC H02957808 H02957808 Performing role 역할수행하기 [3.0] 10014317 Focus H02957811 H02957811 Peripheral neurovascular process 말초 뇌혈관 과정 [3.0] 10042860 Focus H02957823 H02957823 Peripheral tissue perfusion 말초 조직관류 [3.0] 10042841 Focus H02957836 H02957836 Physical injury from abuse 학대로 인한 신체적 손상 C3873639 [3.0] 10029678 DC H02957851 H02957851 Podiatrist role 발전문가 역할 [3.0] 10042771 Focus H02957864 H02957864 Poor manual dexterity 부족한 손재주 C0556283 [3.0] 10043042 DC H02957877 H02957877 Positioning patient 환자 체위 잡아주기 C1561964 [3.0] 10014761 IC H02957880 H02957880 Positive appetite 양호한 식욕 C0426578 [3.0] 10040333 DC H02957892 H02957892 Positive attitude to care 돌봄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C2364060 [3.0] 10022275 DC H02957906 H02957906 Positive body image 긍정적인 신체상 C2712123 [3.0] 10044520|10028564 Focus|DC H02957919 H02957919 Positive caregiver attitude 긍정적인 돌봄제공자 태도 C2712129 [3.0] 10025638 DC H02957921 H02957921 Positive diagnosis and outcome 긍정적인 진단과 결과 C1998806 [3.0] 10016479 OC H02957934 H02957934 Positive family support 긍정적인 가족지지 C4032494 [3.0] 10045702 DC H02957947 H02957947 Positive hope 긍정적 희망 [3.0] 10025353 Focus H02957950 H02957950 Positive personal identity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 C2712163 [3.0] 10025664 DC H02957962 H02957962 Positive pride 긍정적인 자존심 C2712164 [3.0] 10025779 DC H02957975 H02957975 Positive self esteem 긍정적인 자존감 C2712312 [3.0] 10025751 DC H02957988 H02957988 Post mortem care 사후간호 C3650930 [3.0] 10037490 IC H02957991 H02957991 Post-fall evaluation 낙상 후 평가 C3650926 [3.0] 10037540 IC H02958008 H02958008 Postpartum breastfeeding assessment 산후 모유수유 사정 C3650833 [3.0] 10039395 IC H02958011 H02958011 Pre menstrual tension 월경전 긴장 [3.0] 10015450 Focus H02958023 H02958023 Pregnancy prevention 임신 예방 C1998750 [3.0] 10025213 IC H02958036 H02958036 Pregnancy promotion 임신촉진 C1998751 [3.0] 10025221 IC H02958049 H02958049 Prenatal breastfeeding assessment 산전 모유수유 사정 C3650825 [3.0] 10039526 IC H02958051 H02958051 Preparing child for sibling role 형제역할을 위한 아동 준비 C4032505 [3.0] 10045495 IC H02958064 H02958064 Preparing skin before operation 수술 전 피부준비 C1998753 [3.0] 10015484 IC H02958077 H02958077 Prescribing medication 약물 처방하기 C2239117 [3.0] 10015523 IC H02958080 H02958080 Presence 있음 [3.0] 10046624 Judgment H02958092 H02958092 Presence of corrective device 교정기구 있음 [3.0] 10046630 Focus H02958106 H02958106 Presence of implantable cardiac device 이식성 심장장치의 존재 [3.0] 10046648 Focus H02958119 H02958119 Preventing chemical injury 화학적 손상 예방하기 C1998762 [3.0] 10015631 IC H02958121 H02958121 Preventing constipation 변비 예방하기 C4032454 [3.0] 10046454 IC H02958134 H02958134 Preventing cross infection 교차감염 예방하기 C1998763 [3.0] 10015649 IC H02958147 H02958147 Preventing electrical injury 전기적 손상 예방하기 C1998764 [3.0] 10015654 IC H02958150 H02958150 Preventing infection 감염 예방하기 C3650962 [3.0] 10036916 IC H02958162 H02958162 Preventing laser injury 레이저 손상 예방하기 C1998765 [3.0] 10015665 IC H02958175 H02958175 Preventing latex allergy 라텍스 알러지 예방하기 C1998766 [3.0] 10015677 IC H02958188 H02958188 Preventing mechanical injury 기계적 손상 예방하기 C1998767 [3.0] 10015683 IC H02958191 H02958191 Preventing radiation injury 방사능 손상 예방하기 C1998768 [3.0] 10015696 IC H02958204 H02958204 Preventing thermal injury 온열 손상 예방하기 C1998769 [3.0] 10015704 IC H02958217 H02958217 Previous tobacco use 과거 흡연력 C0337671 [3.0] 10038858 DC H02958220 H02958220 Prioritising (treatment) regime (치료)요법 우선순위 정하기 C2364243 [3.0] 10024438 IC H02958232 H02958232 Problem with high complexity of treatment regime 치료요법의 고도복잡성과 관련된 문제 C3873646 [3.0] 10042319 DC H02958245 H02958245 Problem with medication procurement 약물 조달과 관련된 문제 C4032647 [3.0] 10043074 DC H02958258 H02958258 Problematic sexual behaviour 이상 성 행동 C1999009 [3.0] 10001274 DC H02958261 H02958261 Promoting ability to self transfer 자가이동능력 촉진하기 C3650750 [3.0] 10041157 IC H02958273 H02958273 Promoting acceptance of health status 건강상태 수용도 증진시키기 C3650915 [3.0] 10037783 IC H02958286 H02958286 Promoting adherence to exercise regime 운동요법 이행 증진하기 C3650733 [3.0] 10041628 IC H02958299 H02958299 Promoting adherence to regime 요법 이행 증진하기 C3165378 [3.0] 10032449 IC H02958302 H02958302 Promoting bladder routine 규칙적 배뇨습관 증진하기 C3650917 [3.0] 10037691 IC H02958315 H02958315 Promoting bowel routine 규칙적 배변습관 증진하기 C3650918 [3.0] 10037689 IC H02958328 H02958328 Promoting breastfeeding education in the community 지역사회 내에 모유수유 교육 증진하기 C3650826 [3.0] 10039519 IC H02958331 H02958331 Promoting caregiver child attachment 돌봄제공자와 아동 애착 증진하기 C3651057 [3.0] 10035342 IC H02958343 H02958343 Promoting caregiver role 돌봄제공제 역할 증진하기 C3651013 [3.0] 10036218 IC H02958356 H02958356 Promoting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 증진하기 C3165379 [3.0] 10032454 IC H02958369 H02958369 Promoting diversional therapy 전환치료 증진하기 C3651024 [3.0] 10036045 IC H02958371 H02958371 Promoting effective bowel elimination 효과적인 배변 증진하기 C3650977 [3.0] 10036717 IC H02958384 H02958384 Promoting effective coping 효과적인 대처능력 증진하기 C3650719 [3.0] 10035936 IC H02958397 H02958397 Promoting effective family communication 효과적인 가족의사소통 증진하기 C3651023 [3.0] 10036066 IC H02958401 H02958401 Promoting effective family process 효과적인 가족과정 증진하기 C3651021 [3.0] 10036084 IC H02958413 H02958413 Promoting effective parenting 효과적인 양육 증진하기 C3165383 [3.0] 10032496 IC H02958426 H02958426 Promoting effective urinary elimination 효과적인 배뇨 증진하기 C3650976 [3.0] 10036729 IC H02958439 H02958439 Promoting exclusive breastfeeding 완전 모유수유 증진하기 C3650830 [3.0] 10039437 IC H02958441 H02958441 Promoting exercise 운동 증진하기 C3650725 [3.0] 10040834 IC H02958454 H02958454 Promoting family support 가족 지지 증진하기 C3651022 [3.0] 10036078 IC H02958467 H02958467 Promoting health seeking behaviour 건강 추구행위 증진하기 C3165380 [3.0] 10032465 IC H02958470 H02958470 Promoting hope 희망 증진하기 C2364244 [3.0] 10024440 IC H02958482 H02958482 Promoting hygiene 위생 증진하기 C3165381 [3.0] 10032477 IC H02958495 H02958495 Promoting infant development 영아 발달 증진하기 C3651055 [3.0] 10035374 IC H02958509 H02958509 Promoting limit setting 한계설정 증진하기 C2712278 [3.0] 10026334 IC H02958511 H02958511 Promoting medication adherence 약물 이행 증진하기 C3650899 [3.0] 10038051 IC H02958524 H02958524 Promoting medication adherence using pillbox 약상자를 이용한 약물 이행 증진하기 C2364343 [3.0] 10021703 IC H02958537 H02958537 Promoting oral hygiene 구강 위생 증진하기 C3165382 [3.0] 10032483 IC H02958540 H02958540 Promoting physical mobility 신체 기동성 증진하기 C3650937 [3.0] 10037379 IC H02958552 H02958552 Promoting positive psychological status 긍정적인 심리적 상태 증진하기 C3651070 [3.0] 10032505 IC H02958565 H02958565 Promoting positive relationships 긍정적인 관계 증진하기 C3651038 [3.0] 10035759 IC H02958578 H02958578 Promoting positive thermoregulation 긍정적인 체온조절 증진하기 C1998772 [3.0] 10015817 IC H02958581 H02958581 Promoting self awareness 자기인식 증진하기 C3651020 [3.0] 10036097 IC H02958593 H02958593 Promoting self care 자가간호 촉진하기 C2712279 [3.0] 10026347 IC H02958607 H02958607 Promoting self efficacy 자기효능감 증진하기 C3651029 [3.0] 10035962 IC H02958610 H02958610 Promoting self esteem 자존감 증진하기 C0150336 [3.0] 10024455 IC H02958622 H02958622 Promoting self management of symptom 증상에 대한 자가관리 증진하기 C3650875 [3.0] 10038469 IC H02958635 H02958635 Promoting skin to skin technique 피부접촉 기법 증진하기 C3651056 [3.0] 10035361 IC H02958648 H02958648 Promoting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지증진하기 C2364246 [3.0] 10024464 IC H02958651 H02958651 Promoting spiritual support 영적 지지 증진하기 C3650882 [3.0] 10038300 IC H02958663 H02958663 Promoting use of glasses 안경 사용증진하기 C3650920 [3.0] 10037643 IC H02958676 H02958676 Promoting use of hip protectors 고관절 보호기구사용 증진하기 C3650734 [3.0] 10041594 IC H02958689 H02958689 Promoting use of memory technique 기억기법 사용 증진하기 C2364247 [3.0] 10024472 IC H02958691 H02958691 Promoting use of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echnique 점진적인 근육이완기법 증진하기 C3650777 [3.0] 10040564 IC H02958705 H02958705 Promoting walking using device 기구를 이용한 도보 증진하기 C3650921 [3.0] 10037636 IC H02958718 H02958718 Protecting cultural beliefs 문화적 신념 보호하기 C2712281 [3.0] 10026368 IC H02958721 H02958721 Protecting patient before operation 수술전 환자 보호하기 C1998776 [3.0] 10015886 IC H02958733 H02958733 Protecting patient during neurosurgical act 신경외과적 발작동안 환자 보호하기 C1998777 [3.0] 10015893 IC H02958746 H02958746 Protecting patient record and belonging 환자 기록과 소지품 보호하기 C1998778 [3.0] 10015903 IC H02958759 H02958759 Protecting patient right 환자권리 보호하기 C1998779 [3.0] 10015919 IC H02958761 H02958761 Protecting religious beliefs 종교적 신념 보호하기 C2712282 [3.0] 10026381 IC H02958774 H02958774 Providing adequate water supply 적절한 물공급 제공하기 C3650873 [3.0] 10038509 IC H02958787 H02958787 Providing bedtime routine 규칙적인 취침시간 제공하기 C3650848 [3.0] 10039025 IC H02958790 H02958790 Providing emotional support 정서적 지지 제공하기 C1822108 [3.0] 10027051 IC H02958803 H02958803 Providing family anticipatory guidance 가족에게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이드 제공하기 C2712283 [3.0] 10026375 IC H02958816 H02958816 Providing food 음식 제공하기 C3650749 [3.0] 10041161 IC H02958829 H02958829 Providing health promotion service 건강증진 서비스 제공하기 C3165386 [3.0] 10032522 IC H02958831 H02958831 Providing health promotion service for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을 위한 건강서비스 제공하기 C3165387 [3.0] 10032533 IC H02958844 H02958844 Providing instructional material 교육자료 제공하기 C2364249 [3.0] 10024493 IC H02958857 H02958857 Providing medication list 약물목록 제공하기 C4032663 [3.0] 10042697 IC H02958860 H02958860 Providing medication schedule 약물스케줄 제공하기 C4032641 [3.0] 10043185 IC H02958872 H02958872 Providing memory device 기억장치 제공하기 C4032640 [3.0] 10043205 IC H02958885 H02958885 Providing nursing care coordination 간호관리 조정 제공하기 C4032453 [3.0] 10046465 IC H02958898 H02958898 Providing pillbox 약물 상자 제공하기 C4032648 [3.0] 10043003 IC H02958901 H02958901 Providing privacy 사생활 제공하기 C0514822 [3.0] 10026399 IC H02958914 H02958914 Providing privacy for spiritual behaviour 영성 행위를 치르기 위한 사생활 제공하기 C2364250 [3.0] 10024504 IC H02958927 H02958927 Providing safety devices 안전 장치 제공하기 C2364252 [3.0] 10024527 IC H02958930 H02958930 Providing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지 제공하기 C2712284 [3.0] 10027046 IC H02958942 H02958942 Providing spiritual support 영적 지지 제공하기 C2712285 [3.0] 10027067 IC H02958955 H02958955 Providing supporting device 지지 기구 제공하기 C3650938 [3.0] 10037367 IC H02958968 H02958968 Providing surface neuro stimulating device 표면 신경 자극기 제공하기 C3650817 [3.0] 10039714 IC H02958971 H02958971 Providing talking pillbox 말로 알려주는 약상자 제공 C4032626 [3.0] 10043589 IC H02958983 H02958983 Pulmonary resuscitating 폐 소생시키기 [3.0] 10044084 Action H02958996 H02958996 Pulmonary resuscitation 폐소생술 C0199468 [3.0] 10044097 IC H02959003 H02959003 Putting on or in haemostatic agent 지혈용품 장착하기 C1998796 [3.0] 10016217 IC H02959016 H02959016 Readiness for effective community coping 효과적인 지역사회 대처 준비정도 C1268760 [3.0] 10001453 DC H02959029 H02959029 Readiness for effective coping 효과적인 대처 준비정도 C1328756 [3.0] 10001469 DC H02959031 H02959031 Readiness for effective decision making 효과적인 의사결정 준비정도 C1828224 [3.0] 10025278 DC H02959044 H02959044 Readiness for effective parenting 효과적인 양육 준비정도 C1999017 [3.0] 10001521 DC H02959057 H02959057 Readiness for effective spiritual status 효과적인 영적 상태 준비정도 C1268762 [3.0] 10033824 DC H02959060 H02959060 Readiness for positive family process 긍정적인 가족 과정 준비정도 C1273108 [3.0] 10001482 DC H02959072 H02959072 Ready to learn 학습준비 C4032672 [3.0] 10042498 DC H02959085 H02959085 Reduced agitation 초조함 감소 C2712004 [3.0] 10027843 DC H02959098 H02959098 Reduced anxiety 감소된 불안 C2712005 [3.0] 10027858 DC H02959101 H02959101 Reduced caregiver stress 감소된 돌봄제공자 스트레스 C2712006 [3.0] 10027794 DC H02959114 H02959114 Reduced chronic sadness 감소된 만성 슬픔 C2712007 [3.0] 10027862 DC H02959127 H02959127 Reduced decisional conflict 감소된 의사결정갈등 C2712009 [3.0] 10027804 DC H02959130 H02959130 Reduced distortion in thinking 감소된 사고왜곡 C3651042 [3.0] 10035621 DC H02959142 H02959142 Reduced fatigue 감소된 피로 C2712012 [3.0] 10029390 DC H02959155 H02959155 Reduced fear 감소된 두려움 C2712013 [3.0] 10027889 DC H02959168 H02959168 Reduced pain 감소된 통증 C2712015 [3.0] 10027917 DC H02959171 H02959171 Referring to breastfeeding education class during prenatal period 산전모유수유 교육수업 의뢰하기 C3650829 [3.0] 10039485 IC H02959183 H02959183 Referring to breastfeeding support group 모유수유 지지집단 의뢰하기 C3650828 [3.0] 10039492 IC H02959196 H02959196 Referring to community meals service 지역사회 식사서비스 의뢰하기 C4032452 [3.0] 10046483 IC H02959200 H02959200 Referring to community service 지역사회 서비스 의뢰하기 C3650878 [3.0] 10038385 IC H02959212 H02959212 Referring to education service 교육 서비스 의뢰하기 C3650886 [3.0] 10038242 IC H02959225 H02959225 Referring to emergency service 응급 서비스 의뢰하기 C3165390 [3.0] 10032579 IC H02959238 H02959238 Referring to enterostomal therapy nurse 장루전문간호사 의뢰하기 C3650710 [3.0] 10040419 IC H02959241 H02959241 Referring to family planning service 가족계획 서비스 의뢰하기 C3165391 [3.0] 10032580 IC H02959253 H02959253 Referring to family therapy 가족 치료 의뢰하기 C2364253 [3.0] 10024536 IC H02959266 H02959266 Referring to financial service 재정 서비스 의뢰하기 C3650885 [3.0] 10038257 IC H02959279 H02959279 Referring to funeral service 장례 서비스 의뢰하기 C2712288 [3.0] 10026174 IC H02959281 H02959281 Referring to health aide service 건강 보조 서비스 의뢰하기 C4032573 [3.0] 10044554 IC H02959294 H02959294 Referring to health care provider 의료인 의뢰하기 C0420340 [3.0] 10032567 IC H02959308 H02959308 Referring to home care 가정간호 의뢰하기 C3650879 [3.0] 10038371 IC H02959311 H02959311 Referring to housing service 주택서비스 의뢰하기 C3165392 [3.0] 10032598 IC H02959323 H02959323 Referring to legal service 법률서비스 의뢰하기 C2712289 [3.0] 10026404 IC H02959336 H02959336 Referring to occupational therapy 작업치료 의뢰하기 C2712290 [3.0] 10026415 IC H02959349 H02959349 Referring to physical therapy 물리치료 의뢰하기 C2364208 [3.0] 10024019 IC H02959351 H02959351 Referring to podiatrist 발전문가 의뢰하기 C4032660 [3.0] 10042792 IC H02959364 H02959364 Referring to religious service 종교 서비스 의뢰하기 C2364254 [3.0] 10024543 IC H02959377 H02959377 Referring to self help service 자조서비스 의뢰하기 C3650860 [3.0] 10038787 IC H02959380 H02959380 Referring to social worker 사회복지사 의뢰하기 C0420346 [3.0] 10043128 IC H02959392 H02959392 Referring to speech therapy service 언어치료 서비스 의뢰하기 C4032572 [3.0] 10044577 IC H02959406 H02959406 Referring to support group therapy 지지그룹요법 의뢰하기 C2364255 [3.0] 10024558 IC H02959419 H01461261 Reflex incontinence of urine 반사성 요실금 C0150043 [3.0] 10026784 DC H02959421 H02959421 Reinforcing achievements 성취 강화하기 C2712292 [3.0] 10026427 IC H02959434 H02959434 Reinforcing adherence 이행 강화하기 C2364256 [3.0] 10024562 IC H02959447 H02959447 Reinforcing behavioural regime 행동요법 강화하기 C3650691 [3.0] 10039002 IC H02959450 H02959450 Reinforcing capabilities 역량 강화하기 C2712291 [3.0] 10026436 IC H02959462 H02959462 Reinforcing impulse control 충동조절능력 강화하기 C3651019 [3.0] 10036107 IC H02959475 H02959475 Reinforcing muscle or joint exercise technique 근육이나 관절 운동기술강화하기 C3650722 [3.0] 10036512 IC H02959488 H02959488 Reinforcing personal identity 개인 정체성 강화하기 C2712293 [3.0] 10026443 IC H02959491 H02959491 Reinforcing physical therapy regime 물리치료 요법 강화하기 C3650978 [3.0] 10036701 IC H02959504 H02959504 Reinforcing positive behaviour 긍정적 행동 강화하기 C3650685 [3.0] 10036176 IC H02959517 H02959517 Reinforcing priority setting 우선순위 선정 능력 강화하기 C2712294 [3.0] 10026188 IC H02959520 H02959520 Reinforcing self efficacy 자기 효능감 강화하기 C2364083 [3.0] 10022537 IC H02959532 H02959532 Relapse prevention 재발방지 C0679867 [3.0] 10038652 IC H02959545 H02959545 Removing suture 봉합 제거하기 C3165393 [3.0] 10032630 IC H02959558 H02959558 Removing wound clip 상처클립 제거하기 C3165394 [3.0] 10032648 IC H02959561 H02959561 Reporting arterial blood gas result 동맥혈가스 검사결과 보고하기 C1998817 [3.0] 10016785 IC H02959573 H02959573 Reporting implantable device 이식장치 보고하기 C1998819 [3.0] 10016802 IC H02959586 H02959586 Reporting presence of implantable cardiac device 이식성 심장장치 있음을 보고하기 C1299709 [3.0] 10046653 IC H02959599 H02959599 Reporting status to family member 가족 구성원에게 상태 보고하기 C1998821 [3.0] 10016825 IC H02959602 H02959602 Reporting status to interprofessional team 관련전문가 팀에게 상태 보고하기 C4032666 [3.0] 10042645 IC H02959615 H02959615 Reporting test result 검사결과보고하기 C1998822 [3.0] 10016839 IC H02959628 H02959628 Resting dyspnoea 휴식시 호흡곤란 C2712054 [3.0] 10029422 DC H02959631 H00035721 Risk for activity intolerance 활동지속성 장애 위험 C0150009 [3.0] 10015011 DC H02959643 H02959643 Risk for acute confusion 급성혼돈 위험 C1827425 [3.0] 10023874 DC H02959656 H02959656 Risk for adverse medication interaction 유해약물 상호작용 위험 C4032433 [3.0] 10042737 DC H02959669 H02959669 Risk for anaphylaxis 과민반응 위험 C3875110 [3.0] 10032291 DC H02959671 H02959671 Risk for apnoea 수면무호흡증 위험 C3875020 [3.0] 10035031 DC H02959684 H00128760 Risk for aspiration 흡인 위험 C0150012 [3.0] 10015024 DC H02959697 H02959697 Risk for autonomic dysreflexia 자율신경계반사부전 위험 C1295588 [3.0] 10015030 DC H02959701 H00193991 Risk for being underweight 체중미달 위험 C0184549 [3.0] 10037586 DC H02959713 H02959713 Risk for bradycardia 서맥 위험 C3875145 [3.0] 10035008 DC H02959726 H02959726 Risk for caregiver stress 돌봄제공자 스트레스 위험 C1268630 [3.0] 10027787 DC H02959739 H02959739 Risk for complication with contraception use 피임으로 인한 부작용 위험 C1171157 [3.0] 10023202 DC H02959741 H02959741 Risk for complications during child delivery 분만 합병증 위험 C1171158 [3.0] 10023241 DC H02959754 H02959754 Risk for complications during labour 분만합병증 위험 C1171164 [3.0] 10023239 DC H02959767 H02959767 Risk for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임신합병증 위험 C0404588 [3.0] 10023225 DC H02959770 H02959770 Risk for complications postpartum 산후합병증 위험 C1171170 [3.0] 10023256 DC H02959782 H02959782 Risk for complications related to childbirth 출산합병증 위험 C1171167 [3.0] 10023218 DC H02959795 H02959795 Risk for compromised dignity 존엄성 손상 위험 C1827602 [3.0] 10023803 DC H02959809 H02959809 Risk for conflicting religious belief 상충되는 종교적 신념 위험 C3875102 [3.0] 10021774 DC H02959811 H02959811 Risk for confusion 혼돈 위험 C2364134 [3.0] 10023050 DC H02959824 H02959824 Risk for constipation 변비위험 C1268622 [3.0] 10015053 DC H02959837 H02959837 Risk for contamination exposure 오염에 노출될 위험 C2364310 [3.0] 10025245 DC H02959840 H02959840 Risk for cross infection 교차감염 위험 C0582470 [3.0] 10041807 DC H02959852 H02959852 Risk for deep vein thrombosis 심부정맥혈전 위험 C1279805 [3.0] 10027509 DC H02959865 H02959865 Risk for deficient food intake 식이섭취 부족 위험 C2364132 [3.0] 10023021 DC H02959878 H02959878 Risk for dehydration 탈수 위험 C3875019 [3.0] 10041895 DC H02959881 H02959881 Risk for delayed growth 성장지연 위험 C3165514 [3.0] 10034935 DC H02959893 H02959893 Risk for delirium 섬망 위험 C2317593 [3.0] 10022070 DC H02959907 H02959907 Risk for depressed mood 우울기분 위험 C3875158 [3.0] 10032329 DC H02959910 H02959910 Risk for depressed mood during post partum period 산후기 동안의 우울기분 위험 C3875190 [3.0] 10032338 DC H02959922 H02959922 Risk for diabetic foot ulcer 당뇨성 족부궤양 위험 C4032665 [3.0] 10042666 DC H02959935 H02959935 Risk for diarrhoea 설사 위험 C3875016 [3.0] 10037564 DC H02959948 H02959948 Risk for difficulty with coping 대처기전장애 위험 C3875025 [3.0] 10037230 DC H02959951 H02959951 Risk for disease 질병 위험 C1281905 [3.0] 10032386 DC H02959963 H02959963 Risk for disorganised infant behaviour 비조직적 유아행동 위험 C1268636 [3.0] 10015082 DC H02959976 H02959976 Risk for disproportionate growth 불균형 성장 위험 C1268635 [3.0] 10034957 DC H02959989 H02959989 Risk for dissatisfaction with healthcare 의료서비스 불만족 위험 C3875123 [3.0] 10040899 DC H02959991 H02959991 Risk for disuse 불용 위험 C1268625 [3.0] 10015105 DC H02960009 H02960009 Risk for dysfunctional family grief 역기능적 가족 비통 위험 C3874925 [3.0] 10038495 DC H02960011 H02960011 Risk for dysfunctional grief 역기능적 비통 위험 C2364346 [3.0] 10021735 DC H02960024 H02960024 Risk for elopement 가출 위험 C2712273 [3.0] 10027411 DC H02960037 H02960037 Risk for environmental injury 환경적 손상 위험 C3875108 [3.0] 10032355 DC H02960040 H02960040 Risk for excess food intake 과잉섭취 위험 C1998739 [3.0] 10015114 DC H02960052 H02960052 Risk for exposure to second hand smoke 간접흡연 노출 위험 C4032504 [3.0] 10045521 DC H02960065 H02960065 Risk for eye infection 눈감염 위험 C3875129 [3.0] 10032372 DC H02960078 H00615969 Risk for fall 낙상 위험 C1268740 [3.0] 10015122 DC H02960081 H02960081 Risk for fall-related injury 낙상과 관련된 손상 위험 C2315433 [3.0] 10038521 DC H02960093 H02960093 Risk for haemorrhaging 출혈 위험 C3651078 [3.0] 10017268 DC H02960107 H02960107 Risk for health care associated complication 의료관련 합병증 위험 C3650744 [3.0] 10041296 DC H02960110 H02960110 Risk for hyperthermia 고체온 위험 C3875132 [3.0] 10027328 DC H02960122 H02960122 Risk for hypervolaemia 혈량과다증 위험 C4032426 [3.0] 10042031 DC H02960135 H02960135 Risk for hypothermia 저체온 위험 C0424978 [3.0] 10017275 DC H02960148 H02960148 Risk for hypovolaemia 혈량저하증 위험 C4032428 [3.0] 10042049 DC H02960151 H02960151 Risk for impaired ability to perform caretaking 돌봄수행 능력 장애 위험 C3165365 [3.0] 10032270 DC H02960163 H02960163 Risk for impaired cardiac function 심장기능 장애 위험 C3875159 [3.0] 10037314 DC H02960176 H02960176 Risk for impaired caregiver child attachment 돌봄제공자와 아동 애착 손상 위험 C3875131 [3.0] 10027235 DC H02960189 H02960189 Risk for impaired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 장애 위험 C3165368 [3.0] 10032317 DC H02960191 H02960191 Risk for impaired family coping 가족 대처능력 손상 위험 C3875122 [3.0] 10032364 DC H02960205 H02960205 Risk for impaired foetal development 태아발달 장애 위험 C4032419 [3.0] 10046420 DC H02960218 H02960218 Risk for impaired gastrointestinal system function 위장관계 기능 장애 위험 C4032456 [3.0] 10046431 DC H02960221 H02960221 Risk for impaired infant development 유아발달 장애 위험 C3875121 [3.0] 10033375 DC H02960233 H02960233 Risk for impaired nervous system function 신경계 기능 손상 위험 C3875185 [3.0] 10037333 DC H02960246 H00193991 Risk for impaired nutritional intake 영양섭취 장애 위험 C0184549 [3.0] 10023013 DC H02960259 H02960259 Risk for impaired nutritional status 영양상태 손상 위험 C1268620 [3.0] 10037224 DC H02960261 H02960261 Risk for impaired parent child attachment 부모자녀 애착 손상 위험 C1268629 [3.0] 10027203 DC H02960274 H02960274 Risk for impaired parenting 불충분한 양육에 대한 위험 C0231416 [3.0] 10015198 DC H02960287 H02960287 Risk for impaired peripheral neurovascular function 말초 뇌혈관기능 장애 위험 C1268632 [3.0] 10015228 DC H02960290 H02960290 Risk for impaired psychological status 심리상태 손상 위험 C3650876 [3.0] 10038424 DC H02960303 H02960303 Risk for impaired reproductive function 생식기능 장애 위험 C1171172 [3.0] 10023176 DC H02960316 H02960316 Risk for impaired respiratory system function 호흡기계 기능 장애 위험 C3875183 [3.0] 10037346 DC H02960329 H02960329 Risk for impaired school performance 학업수행능력 손상 위험 C3875027 [3.0] 10041685 DC H02960331 H01578601 Risk for impaired skin integrity 피부통합성 손상 위험 C0231357 [3.0] 10015237 DC H02960344 H02960344 Risk for impaired sleep 수면 장애 위험 C3875015 [3.0] 10037615 DC H02960357 H02960357 Risk for impaired thermoregulation 체온조절 장애 위험 C0231359 [3.0] 10015244 DC H02960360 H02960360 Risk for impaired urinary system function 비뇨기계 기능 장애 위험 C4032507 [3.0] 10045453 DC H02960372 H02960372 Risk for ineffective tissue perfusion 비효과적인 조직관류 위험 C1998841 [3.0] 10017281 DC H02960385 H00828743 Risk for infection 감염 위험 C0582147 [3.0] 10015133 DC H02960398 H02960398 Risk for infection of oral mucous membrane 구강점막 감염 위험 C3875026 [3.0] 10037627 DC H02960401 H00831963 Risk for infertility 불임 위험 C1171162 [3.0] 10045328 DC H02960414 H00840885 Risk for injury 손상 위험 C0582456 [3.0] 10015146 DC H02960427 H02960427 Risk for latex allergy 라텍스 알러지 위험 C1268626 [3.0] 10015167 DC H02960430 H02960430 Risk for loneliness 고독 위험 C1268628 [3.0] 10015179 DC H02960442 H02960442 Risk for medication side effect 약물 부작용 위험 C3875023 [3.0] 10037604 DC H02960455 H02960455 Risk for negative quality of life 부정적 삶의 질 위험 C3874813 [3.0] 10040945 DC H02960468 H02960468 Risk for negative response to nurse-controlled analgesia 간호사통증조절요법에 대한 부정적 반응 위험 C3874823 [3.0] 10039877 DC H02960471 H02960471 Risk for negative response to patient-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조절요법에 대한 부정적 반응 위험 C3875024 [3.0] 10039865 DC H02960483 H02960483 Risk for nutritional deficit 영양 결핍 위험 C2364335 [3.0] 10025561 DC H02960496 H02960496 Risk for nutritional excess 영양 과다 위험 C1998739 [3.0] 10025471 DC H02960500 H01311101 Risk for perioperative injury 수술전후 손상으로 인한 위험 C1171168 [3.0] 10023107 DC H02960512 H02960512 Risk for perioperative positioning injury 수술전후 체위로 인한 손상 위험 C1268633 [3.0] 10015263 DC H02960525 H01354036 Risk for poisoning 중독 위험 C0150061 [3.0] 10015271 DC H02960538 H02960538 Risk for polypharmacy 다제투약 위험 C3875139 [3.0] 10027453 DC H02960541 H02960541 Risk for post trauma response 외상후반응 위험 C1268639 [3.0] 10015259 DC H02960553 H02960553 Risk for powerlessness 무력감 위험 C1268641 [3.0] 10015285 DC H02960566 H02960566 Risk for pressure ulcer 욕창 위험 C0563204 [3.0] 10027337 DC H02960579 H02960579 Risk for radiation exposure 방사선 노출 위험 C4032503 [3.0] 10045532 DC H02960581 H02960581 Risk for radiation injury 방사선 손상 위험 C4032455 [3.0] 10046449 DC H02960594 H02960594 Risk for relocation stress 재배치로 인한 스트레스 위험 C1268640 [3.0] 10015292 DC H02960608 H02960608 Risk for self destructive behaviour 자기파괴적 행위 위험 C1998747 [3.0] 10015302 DC H02960611 H01548804 Risk for self mutilation 자해 위험 C1268637 [3.0] 10015318 DC H02960623 H02960623 Risk for situational low self esteem 상황적 자존감 저하 위험 C1268739 [3.0] 10015180 DC H02960636 H02960636 Risk for spiritual distress 영적 고뇌 위험 C1268631 [3.0] 10015325 DC H02960649 H02960649 Risk for stoma complications 장루 합병증 위험 C3875148 [3.0] 10040457 DC H02960651 H02960651 Risk for sudden infant death 영아 돌연사 위험 C1271101 [3.0] 10015339 DC H02960664 H01645073 Risk for suffocation 질식 위험 C0150082 [3.0] 10015341 DC H02960677 H01646180 Risk for suicide 자살 위험 C0563664 [3.0] 10015356 DC H02960680 H02960680 Risk for transfer injury 이동 손상 위험 C3874800 [3.0] 10032408 DC H02960692 H01734871 Risk for trauma 외상 위험 C0582456 [3.0] 10015360 DC H02960706 H02960706 Risk for unintended pregnancy 비계획적 임신 위험 C2364144 [3.0] 10023182 DC H02960719 H02960719 Risk for urge incontinence of urine 긴박성 요실금 위험 C1268623 [3.0] 10026848 DC H02960721 H01810105 Risk for violence 폭력 위험 C0231418 [3.0] 10022487 DC H02960734 H02960734 Risk for vomiting 구토 위험 C3875017 [3.0] 10041587 DC H02960747 H02960747 Risk to be victim of child abuse 아동학대 피해 위험 C3872847 [3.0] 10042201 DC H02960750 H02960750 Risk to be victim of child neglect 아동방치 피해 위험 C4032584 [3.0] 10044406 DC H02960762 H02960762 Risk to be victim of elder abuse 노인학대 피해 위험 C3875104 [3.0] 10042238 DC H02960775 H02960775 Risk to be victim of elder neglect 노인방치 피해 위험 C4032583 [3.0] 10044434 DC H02960788 H02960788 Risk to be victim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가정폭력 피해 위험 C3873630 [3.0] 10042303 DC H02960791 H02960791 Risk to be victim of neglect 방치 피해 위험 C4032582 [3.0] 10044452 DC H02960804 H02960804 Safety role 안전역할 [3.0] 10017441 Focus H02960817 H02960817 Sanitation problem 위생문제 C0857567 [3.0] 10038316 DC H02960820 H02960820 Scheduling follow up appointment 추후 약속 일정 관리 C3650862 [3.0] 10038741 IC H02960832 H02960832 Screening abuse 남용 선별검사 C1998852 [3.0] 10017571 IC H02960845 H02960845 Screening child development 아동발달 선별검사 C3165395 [3.0] 10032695 IC H02960858 H02960858 Screening for alcohol abuse 알코올남용 검진 C4032438 [3.0] 10045476 IC H02960861 H02960861 Screening for depressed mood 우울기분 검진 C4032539 [3.0] 10045022 IC H02960873 H02960873 Screening for drug abuse 약물남용 검진 C0038577 [3.0] 10046496 IC H02960886 H02960886 Screening for tobacco use 흡연에 대한 검진 C3650857 [3.0] 10038836 IC H02960899 H02960899 Screening hearing 청력검진 C0500425 [3.0] 10032703 IC H02960902 H02960902 Screening infant before discharge 퇴원전 영유아 검진 C3651063 [3.0] 10035199 IC H02960915 H02960915 Screening infant development 영유아 발달 검진 C0199233 [3.0] 10032719 IC H02960928 H02960928 Screening patient 환자 검진 C2922125 [3.0] 10032726 IC H02960931 H02960931 Screening substance abuse 물질 남용 선별 C0038577 [3.0] 10017592 IC H02960943 H02960943 Screening vision 시력 검사 C0042792 [3.0] 10032735 IC H02960956 H02960956 Second hand smoke 간접흡연 [3.0] 10045509 Focus H02960969 H02960969 Second hand smoke exposure 간접흡연 노출 [3.0] 10045513 Focus H02960971 H02960971 Sedated 진정 C0235195 [3.0] 10040160 DC H02960984 H02960984 Self care of skin 피부 자가 간호 [3.0] 10032742 Focus H02960997 H02960997 Sensory deficit 감각결손 C2364103 [3.0] 10022730 DC H02961004 H02961004 Serum bilirubin within normal limits 정상범위 내 혈중 빌리루빈 C0428443 [3.0] 10035054 DC H02961017 H02961017 Situational low self esteem 상황에 따른 낮은 자존감 C0150073 [3.0] 10000844 DC H02961020 H02961020 Skin assessment 피부사정 C0558035 [3.0] 10041126 IC H02961032 H02961032 Social support act 사회적 지지 활동 [3.0] 10018434 Focus H02961045 H02961045 Speech therapy service 언어요법 서비스 [3.0] 10044565 Means H02961058 H01628807 Stress incontinence of urine 긴장성 요실금 C0042025 [3.0] 10026797 DC H02961061 H02961061 Stress overload 스트레스 과부하 C1827667 [3.0] 10021742 DC H02961073 H02961073 Suctioning the airway 기도로 흡인하기 C0459504 [3.0] 10044890 IC H02961086 H02961086 Supporting ability to manage regime 치료요법 관리능력 지지하기 C3165398 [3.0] 10032800 IC H02961099 H02961099 Supporting beliefs 신념지지하기 C2712298 [3.0] 10026458 IC H02961102 H02961102 Supporting bowel continence 배변조절 지지하기 C4032564 [3.0] 10044701 IC H02961115 H00208654 Supporting breastfeeding 수유지지하기 C1171181 [3.0] 10032816 IC H02961128 H02961128 Supporting caregiver 돌봄제공자 지지하기 C0150162 [3.0] 10024570 IC H02961131 H02961131 Supporting caregiver during toilet training 배변훈련동안 돌봄제공자 지지 C3165399 [3.0] 10032828 IC H02961143 H02961143 Supporting caregiver during weaning 이탈기 동안의 돌봄제공자 지지하기 C3165400 [3.0] 10032837 IC H02961156 H02961156 Supporting decision making process 의사결정과정 지지하기 C2364257 [3.0] 10024589 IC H02961169 H02961169 Supporting dignified dying 존엄한 죽음 지지하기 C3650746 [3.0] 10041254 IC H02961171 H02961171 Supporting family 가족 지지하기 C0150232 [3.0] 10032844 IC H02961184 H02961184 Supporting family coping process 가족대처 과정 지지하기 C3165401 [3.0] 10032859 IC H02961197 H02961197 Supporting family decision making process 가족의사결정 과정 지지하기 C2712299 [3.0] 10026462 IC H02961201 H02961201 Supporting family mourning process 가족 애도 과정 지원하기 C2712300 [3.0] 10026470 IC H02961213 H02961213 Supporting mourning process 애도과정 지지하기 C2712301 [3.0] 10026489 IC H02961226 H02961226 Supporting positive body image 긍정적 신체상 지지하기 C4032575 [3.0] 10044531 IC H02961239 H02961239 Supporting psychological status 정신적상태 지지하기 C2364338 [3.0] 10019161 IC H02961241 H02961241 Supporting spiritual rituals 영적의식 지지하기 C2364258 [3.0] 10024591 IC H02961254 H02961254 Supporting urinary continence 배뇨조절 지지하기 C4032565 [3.0] 10044698 IC H02961267 H02961267 Supporting use of traditional therapy 민간치료요법 적용 지지 하기 C2712302 [3.0] 10026491 IC H02961270 H02961270 Surgical wound care 외과적 상처간호 C1718376 [3.0] 10032863 IC H02961282 H02961282 Suturing wound 상처 봉합 C0857225 [3.0] 10032871 IC H02961309 H02961309 Systemic vein problem 전신정맥 문제 [3.0] 10043251 Location H02961311 H02961311 Talking pill box 말로 알려주는 약상자 [3.0] 10043570 Means H02961324 H02961324 Teaching about abuse 남용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41 [3.0] 10045005 IC H02961337 H02961337 Teaching about alcohol abuse 알코올 남용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49 [3.0] 10044900 IC H02961340 H02961340 Teaching about allergic reaction 알레르기반응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51 [3.0] 10046514 IC H02961352 H02961352 Teaching about ambulation technique 보행기법에 대해 교육하기 C3650932 [3.0] 10037461 IC H02961365 H02961365 Teaching about anticoagulation therapy 항응고요법에 대해 교육하기 C2711597 [3.0] 10036531 IC H02961378 H02961378 Teaching about bladder training 방광훈련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26 [3.0] 10045226 IC H02961381 H02961381 Teaching about bowel training 배변훈련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28 [3.0] 10043558 IC H02961393 H02961393 Teaching about breast care during postpartum period 산욕기 유방 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2 [3.0] 10032885 IC H02961407 H02961407 Teaching about breast care during prenatal period 산전 유방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3 [3.0] 10032892 IC H02961410 H02961410 Teaching about breastfeeding 모유 수유에 대해 교육하기 C0418914 [3.0] 10036835 IC H02961422 H02961422 Teaching about cardiac rehabilitation regime 심장재활요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18 [3.0] 10043710 IC H02961435 H02961435 Teaching about caregiver child attachment 돌봄제공자의 아동 애착에 대해 교육하기 C3650969 [3.0] 10036842 IC H02961448 H02961448 Teaching about cast care 석고붕대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33 [3.0] 10043493 IC H02961451 H02961451 Teaching about cataract care 백내장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34 [3.0] 10045080 IC H02961463 H02961463 Teaching about chemotherapy 항암요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50 [3.0] 10046522 IC H02961476 H02961476 Teaching about chest physiotherapy 흉부물리요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54 [3.0] 10044826 IC H02961489 H02961489 Teaching about child safety 어린이안전에 대해 교육하기 C3650949 [3.0] 10037160 IC H02961491 H02961491 Teaching about childbirth 출산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12 [3.0] 10045407 IC H02961505 H02961505 Teaching about colostomy irrigation 장루 세척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83 [3.0] 10040488 IC H02961518 H02961518 Teaching about contraceptive use 피임약 사용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17 [3.0] 10045344 IC H02961521 H02961521 Teaching about dehydration 탈수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06 [3.0] 10043832 IC H02961533 H02961533 Teaching about denture care 치아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33 [3.0] 10045112 IC H02961546 H02961546 Teaching about device 기구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4 [3.0] 10032902 IC H02961559 H02961559 Teaching about device safety 기구안전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46 [3.0] 10044944 IC H02961561 H02961561 Teaching about diabetic ulcer care 당뇨성 궤양 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54 [3.0] 10042887 IC H02961574 H02961574 Teaching about diet 식사에 대해 교육하기 C1444312 [3.0] 10046533 IC H02961587 H02961587 Teaching about disease 질병에 대해 교육하기 C2364212 [3.0] 10024116 IC H02961590 H02961590 Teaching about disimpaction technique 매복변제거 기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23 [3.0] 10043625 IC H02961603 H02961603 Teaching about diversional therapy 전환치료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30 [3.0] 10043536 IC H02961616 H02961616 Teaching about drainagel tube care 배액튜브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08 [3.0] 10045448 IC H02961629 H02961629 Teaching about drug abuse 약물남용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48 [3.0] 10044916 IC H02961631 H02961631 Teaching about dying process 임종 과정에 대해 교육하기 C2712303 [3.0] 10026502 IC H02961644 H02961644 Teaching about ear care 귀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38 [3.0] 10045046 IC H02961657 H02961657 Teaching about eating pattern 식습관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5 [3.0] 10032918 IC H02961660 H02961660 Teaching about effective communication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해 교육하기 C3651016 [3.0] 10036169 IC H02961672 H02961672 Teaching about effective parenting 효과적인 양육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3 [3.0] 10032994 IC H02961685 H02961685 Teaching about effective weight 효과적인 체중 조절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4 [3.0] 10033001 IC H02961698 H02961698 Teaching about elimination 배출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06 [3.0] 10045482 IC H02961701 H02961701 Teaching about energy conservation 에너지보존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32 [3.0] 10043515 IC H02961714 H02961714 Teaching about enteral feeding 장관영양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49 [3.0] 10046546 IC H02961727 H02961727 Teaching about enteral tube care 장관튜브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66 [3.0] 10044680 IC H02961730 H02961730 Teaching about environmental safety 환경안전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47 [3.0] 10044937 IC H02961742 H02961742 Teaching about exercise 운동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95 [3.0] 10040125 IC H02961755 H02961755 Teaching about eye care 눈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37 [3.0] 10045051 IC H02961768 H02961768 Teaching about fall prevention 낙상예방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92 [3.0] 10040253 IC H02961771 H02961771 Teaching about family planning 가족계획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6 [3.0] 10032925 IC H02961783 H02961783 Teaching about family process 가족과정에 대해 교육하기 C3651017 [3.0] 10036153 IC H02961796 H02961796 Teaching about feeding technique 영양공급기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11 [3.0] 10045411 IC H02961800 H02961800 Teaching about fluid intake 수분섭취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7 [3.0] 10032939 IC H02961812 H02961812 Teaching about fluid therapy 수액 치료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08 [3.0] 10043813 IC H02961825 H02961825 Teaching about foetal development 태아발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24 [3.0] 10045469 IC H02961838 H02961838 Teaching about foot care 발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58 [3.0] 10042825 IC H02961841 H02961841 Teaching about fracture care 골절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42 [3.0] 10043486 IC H02961853 H02961853 Teaching about giving an enema 관장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22 [3.0] 10043639 IC H02961866 H02961866 Teaching about haemodialysis 혈액투석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31 [3.0] 10045235 IC H02961879 H02961879 Teaching about head lice infestation 머릿니 감염증(이 감염증)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8 [3.0] 10032941 IC H02961881 H02961881 Teaching about health seeking behaviour 건강 추구행위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09 [3.0] 10032956 IC H02961894 H02961894 Teaching about hearing aid 보청기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36 [3.0] 10045067 IC H02961908 H02961908 Teaching about hospice 호스피스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80 [3.0] 10044475 IC H02961911 H02961911 Teaching about hospitalisation 입원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23 [3.0] 10042480 IC H02961923 H02961923 Teaching about house safety 안전한 집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0 [3.0] 10032960 IC H02961936 H02961936 Teaching about hygiene 위생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74 [3.0] 10044549 IC H02961949 H02961949 Teaching about immobilisation 고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13 [3.0] 10043504 IC H02961951 H02961951 Teaching about impulse control 충동 조절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18 [3.0] 10036148 IC H02961964 H02961964 Teaching about infant care 영아 양육에 대해 교육하기 C3650951 [3.0] 10037118 IC H02961977 H02961977 Teaching about infant feeding 영아 수유에 대해 교육하기 C3650950 [3.0] 10037139 IC H02961980 H02961980 Teaching about infertility 불임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18 [3.0] 10045337 IC H02961992 H02961992 Teaching about inhalation therapy 흡입치료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53 [3.0] 10044835 IC H02962000 H02962000 Teaching about managing diarrhoea 설사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15 [3.0] 10043660 IC H02962012 H02962012 Teaching about managing fever 열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96 [3.0] 10038098 IC H02962025 H02962025 Teaching about managing nausea 오심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20 [3.0] 10043687 IC H02962038 H02962038 Teaching about managing pain 통증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1998908 [3.0] 10019489 IC H02962041 H02962041 Teaching about managing urinary incontinence 요실금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23 [3.0] 10045261 IC H02962053 H02962053 Teaching about managing withdrawal symptoms 금단증상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63 [3.0] 10038725 IC H02962066 H02962066 Teaching about measuring blood pressure 혈압 측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93 [3.0] 10044148 IC H02962079 H02962079 Teaching about measuring body temperature 체온 측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61 [3.0] 10044738 IC H02962081 H02962081 Teaching about measuring radial pulse 요골맥박 측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01 [3.0] 10045550 IC H02962094 H02962094 Teaching about measuring respirations 호흡 측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58 [3.0] 10044772 IC H02962108 H02962108 Teaching about medication 약물에 대해 교육하기 C1998907 [3.0] 10019470 IC H02962111 H02962111 Teaching about medication handling 약물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68 [3.0] 10040712 IC H02962123 H02962123 Teaching about medication side effects 투약부작용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39 [3.0] 10044614 IC H02962136 H02962136 Teaching about mobilising device 이동용 기구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01 [3.0] 10037474 IC H02962149 H02962149 Teaching about nephrostomy care 신장루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2 [3.0] 10032987 IC H02962151 H02962151 Teaching about nutrition 영양에 대해 교육하기 C2364260 [3.0] 10024618 IC H02962164 H02962164 Teaching about oedema 부종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18 [3.0] 10045183 IC H02962177 H02962177 Teaching about oral care 구강 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95 [3.0] 10038108 IC H02962180 H02962180 Teaching about osteoporosis prevention 골다공증 예방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39 [3.0] 10041470 IC H02962192 H02962192 Teaching about oxygen therapy 산소요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57 [3.0] 10044786 IC H02962206 H02962206 Teaching about pacemaker 박동조율기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15 [3.0] 10043747 IC H02962219 H02962219 Teaching about pain 통증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42 [3.0] 10039115 IC H02962221 H02962221 Teaching about parenteral feeding 비경구영양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63 [3.0] 10044717 IC H02962234 H02962234 Teaching about perineal care 회음부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29 [3.0] 10045165 IC H02962247 H02962247 Teaching about peristomal skin complications 장루주변 피부합병증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74 [3.0] 10040615 IC H02962250 H02962250 Teaching about peritoneal dialysis 복막투석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25 [3.0] 10045242 IC H02962262 H02962262 Teaching about postpartum care 산욕기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14 [3.0] 10045385 IC H02962275 H02962275 Teaching about pregnancy 임신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35 [3.0] 10045079 IC H02962288 H02962288 Teaching about prenatal care 산전 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13 [3.0] 10045392 IC H02962291 H02962291 Teaching about pressure ulcer care 욕창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88 [3.0] 10044218 IC H02962304 H02962304 Teaching about pressure ulcer prevention 욕창 예방에 대해 교육하기 C3650967 [3.0] 10036861 IC H02962317 H02962317 Teaching about preventing cross infection 교차 감염 예방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94 [3.0] 10038112 IC H02962320 H02962320 Teaching about procedure 절차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67 [3.0] 10044651 IC H02962332 H02962332 Teaching about radiation therapy 방사선치료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70 [3.0] 10044622 IC H02962345 H02962345 Teaching about reality orientation therapy 현실인지요법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13 [3.0] 10043768 IC H02962358 H02962358 Teaching about rehabilitation 재활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5 [3.0] 10033017 IC H02962361 H02962361 Teaching about relapse prevention 재발 예방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67 [3.0] 10038668 IC H02962373 H02962373 Teaching about risk reduction technique 위험성 감소법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59 [3.0] 10038804 IC H02962386 H01676852 Teaching about safety measures 안전 조치에 대해 교육하기 C1161143 [3.0] 10024687 IC H02962399 H02962399 Teaching about second hand smoke exposure 간접흡연 노출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02 [3.0] 10045545 IC H02962402 H02962402 Teaching about self care 자가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40 [3.0] 10045014 IC H02962415 H02962415 Teaching about self care of skin 피부 자가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6 [3.0] 10033029 IC H02962428 H02962428 Teaching about self help service 자조 서비스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61 [3.0] 10038773 IC H02962431 H02962431 Teaching about sexual behaviour 성행위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7 [3.0] 10033038 IC H02962443 H02962443 Teaching about sleep 수면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89 [3.0] 10040380 IC H02962456 H02962456 Teaching about smoking cessation 금연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68 [3.0] 10038647 IC H02962469 H02962469 Teaching about stoma care 장루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19 [3.0] 10033055 IC H02962471 H02962471 Teaching about stoma complications 장루 합병증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75 [3.0] 10040604 IC H02962484 H02962484 Teaching about stress management 스트레스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66 [3.0] 10038681 IC H02962497 H02962497 Teaching about substance abuse 약물 남용에 대해 교육하기 C2364262 [3.0] 10024639 IC H02962501 H02962501 Teaching about symptom control 증상 조절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97 [3.0] 10038080 IC H02962513 H02962513 Teaching about tobacco use 흡연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56 [3.0] 10038843 IC H02962526 H02962526 Teaching about tracheostomy care 기관절개술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50 [3.0] 10044888 IC H02962539 H01677040 Teaching about transfer technique 이송 기법에 대해 교육하기 C1444220 [3.0] 10041489 IC H02962541 H02962541 Teaching about travel health 여행 건강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20 [3.0] 10033064 IC H02962554 H02962554 Teaching about treatment regime 치료법에 대해 교육하기 C2364261 [3.0] 10024625 IC H02962567 H02962567 Teaching about urinary bladder irrigation 방광세척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28 [3.0] 10045203 IC H02962570 H02962570 Teaching about urinary catheter care 도뇨관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24 [3.0] 10045257 IC H02962582 H02962582 Teaching about urinary system function 비뇨기계 기능에 대해 교육하기 C4032435 [3.0] 10045196 IC H02962595 H02962595 Teaching about urostomy care 요루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21 [3.0] 10045288 IC H02962609 H02962609 Teaching about urostomy irrigation 요루세척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19 [3.0] 10045300 IC H02962611 H02962611 Teaching about use of pill box 약 상자 사용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71 [3.0] 10044605 IC H02962624 H02962624 Teaching about use of supporting device 지지장치 사용에 대해 교육하기 C3650762 [3.0] 10040909 IC H02962637 H02962637 Teaching about use of covering device 덮는 기구 사용에 대해 교육하기 [3.0] 10040913 IC H02962640 H02962640 Teaching about vaccine 예방 접종에 대해 교육하기 C3165421 [3.0] 10033072 IC H02962652 H02962652 Teaching about vaginal hygiene 질위생에 대해 교육하기 C4032634 [3.0] 10043438 IC H02962665 H02962665 Teaching about ventilator care 인공호흡기간호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51 [3.0] 10044874 IC H02962678 H02962678 Teaching about vitamin 비타민에 대해 교육하기 C3650931 [3.0] 10037488 IC H02962681 H02962681 Teaching about water supply 물공급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93 [3.0] 10038120 IC H02962693 H02962693 Teaching about wound care 상처 관리에 대해 교육하기 C3165515 [3.0] 10034961 IC H02962707 H02962707 Teaching about wound dressing change 상처드레싱 교환에 대해 교육하기 C4032530 [3.0] 10045149 IC H02962710 H02962710 Teaching about wound healing 상처회복에 대해 교육하기 C3165516 [3.0] 10034974 IC H02962722 H02962722 Teaching adaptation techniques 적응요법에 대해 교육하기 C2364186 [3.0] 10023717 IC H02962735 H02962735 Teaching adaptation techniques for sensory deficit 감각장애에 대한 적응기법에 대해 교육하기 C2364263 [3.0] 10024641 IC H02962748 H02962748 Teaching breathing technique 호흡 기법에 대해 교육하기 C3650839 [3.0] 10039213 IC H02962751 H02962751 Teaching caregiver 돌봄제공자 교육하기 C3165422 [3.0] 10033086 IC H02962763 H02962763 Teaching caregiver about toilet training 배변 훈련에 대해 돌봄제공자 교육하기 C3165423 [3.0] 10033093 IC H02962776 H02962776 Teaching caregiver about weaning 이유에 대해 돌봄제공자 교육하기 C3165424 [3.0] 10033103 IC H02962789 H02962789 Teaching community about disease 질환에 대해 지역시회 교육하기 C3650888 [3.0] 10038203 IC H02962791 H02962791 Teaching family about blood therapy 수혈치료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958 [3.0] 10036985 IC H02962805 H02962805 Teaching family about community services 지역사회 서비스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1018 [3.0] 10036130 IC H02962818 H02962818 Teaching family about delirium 망상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2712304 [3.0] 10026518 IC H02962821 H02962821 Teaching family about device 기구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968 [3.0] 10036857 IC H02962833 H02962833 Teaching family about diagnostic test 진단적 검사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966 [3.0] 10036874 IC H02962846 H02962846 Teaching family about dietary regime 식이요법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2712305 [3.0] 10026525 IC H02962859 H02962859 Teaching family about disease 질병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2364344 [3.0] 10021719 IC H02962861 H02962861 Teaching family about electrolyte therapy 전해질 치료에 대한 가족 교육 C3650964 [3.0] 10036890 IC H02962874 H02962874 Teaching family about fall prevention 낙상예방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2364213 [3.0] 10040269 IC H02962887 H02962887 Teaching family about fluid balance 체액균형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960 [3.0] 10036944 IC H02962890 H02962890 Teaching family about fluid therapy 수액 치료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965 [3.0] 10036888 IC H02962903 H02962903 Teaching family about health seeking behaviour 건강 추구행위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165425 [3.0] 10033119 IC H02962916 H02962916 Teaching family about hygiene pattern 위생 습관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892 [3.0] 10038131 IC H02962929 H02962929 Teaching family about infant development 영아발달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963 [3.0] 10036900 IC H02962931 H02962931 Teaching family about light therapy 광선치료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716 [3.0] 10036959 IC H02962944 H02962944 Teaching family about managing pain 통증 관리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880 [3.0] 10038337 IC H02962957 H02962957 Teaching family about monitoring respiratory status 호흡상태 감시에 대해 기족 교육하기 C3650959 [3.0] 10036971 IC H02962960 H02962960 Teaching family about preventing cross infection 교차감염 예방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723 [3.0] 10041732 IC H02962972 H02962972 Teaching family about preventing infection 감염 예방에 대한 가족 교육 C3650961 [3.0] 10036928 IC H02962985 H02962985 Teaching family about susceptibility to infection 감염 민감성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891 [3.0] 10038149 IC H02962998 H02962998 Teaching family about thermoregulation 체온 조절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740 [3.0] 10041462 IC H02963005 H02963005 Teaching family about transfer technique 이송기법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3650871 [3.0] 10038550 IC H02963018 H02963018 Teaching family about treatment regime 치료 요법에 대해 가족 교육하기 C2364264 [3.0] 10024656 IC H02963021 H02963021 Teaching family caregiver about operation before operation 수술전 수술에 대해 가족 돌봄제공자 교육하기 C1998910 [3.0] 10019518 IC H02963033 H02963033 Teaching how to increase activity tolerance 활동지속성 방법에 대해 교육하기 C2364265 [3.0] 10024660 IC H02963046 H02963046 Teaching how to use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자가통증조절 사용법에 대해 교육하기 C3697061 [3.0] 10039073 IC H02963059 H02963059 Teaching infant massage 영아 마사지 교육하기 C3165411 [3.0] 10032973 IC H02963061 H02963061 Teaching memory technique 기억기법 교육하기 C0729377 [3.0] 10024673 IC H02963074 H02963074 Teaching patient 환자 교육하기 C3165426 [3.0] 10033126 IC H02963087 H02963087 Teaching progressive muscle relaxation technique 점진적 근육이완 기법 교육하기 C3650778 [3.0] 10040555 IC H02963090 H02963090 Teaching relaxation technique 이완기법 교육하기 C3650865 [3.0] 10038699 IC H02963103 H02963103 Teaching school service about disease 질병에 대한 학교서비스 교육하기 C3650887 [3.0] 10038226 IC H02963116 H02963116 Teaching self catheterisation 자가 도뇨에 대해 교육하기 C0474213 [3.0] 10033135 IC H02963129 H02963129 Tissue integrity of oral mucous membrane 구강점막의 조직통합성 C2712126 [3.0] 10028488 DC H02963131 H02963131 Traction therapy 견인치료 C4032559 [3.0] 10044755 Means|IC H02963144 H02963144 Transfer technique using lifting apparatus 리프트를 이용한 이송기법 C3650751 [3.0] 10041142 IC H02963157 H02963157 Transferring patient 환자이동 C0030704 [3.0] 10033188 IC H02963160 H02963160 Transporting patient 환자이송 C0150390 [3.0] 10020095 IC H02963172 H02963172 Traumatic wound care 외상성 상처 치료 C3165427 [3.0] 10033208 IC H02963185 H02963185 Treating allergic reaction 알레르기반응 치료하기 C4032568 [3.0] 10044646 IC H02963198 H02963198 Treating constipation 변비 치료하기 C4032562 [3.0] 10044729 IC H02963201 H02963201 Treating injury 손상 치료하기 C2077218 [3.0] 10033220 IC H02963214 H02963214 Treating skin condition 피부상태 치료하기 C3165428 [3.0] 10033231 IC H02963227 H02963227 Ulcer care 궤양 치료 C1719159 [3.0] 10033254 IC H02963230 H02963230 Unrealistic expectation about treatment 치료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 C4032681 [3.0] 10042357 DC H02963242 H01783212 Urge incontinence of urine 절박성 요실금 C0150045 [3.0] 10026811 DC H02963268 H02963268 Urinary tract infection 요로 감염 C0042029 [3.0] 10029915 DC H02963271 H02963271 Urostomy care 요루 간호 C4032522 [3.0] 10045274 IC H02963283 H02963283 Use aseptic technique 무균술 사용 C0516382 [3.0] 10041784 IC H02963296 H02963296 Use bladder training technique 방광훈련기법 사용 C4032527 [3.0] 10045219 IC H02963300 H02963300 Use bowel training technique 장훈련기법 사용 C4032629 [3.0] 10043543 IC H02963312 H02963312 Use de-escalation technique 단계적하강요법 사용 C3651014 [3.0] 10036202 IC H02963325 H02963325 Use motivational interviewing technique 동기 부여 인터뷰 기법 사용 C4032680 [3.0] 10042388 IC H02963338 H02963338 Use relaxation technique 이완요법 사용 C4032542 [3.0] 10044992 IC H02963341 H02963341 Use risk reduction technique 위험성 감소법 사용 C4032543 [3.0] 10044985 IC H02963353 H02963353 Use supportive positioning 지지체위 사용 C3650724 [3.0] 10035467 IC H02963366 H02963366 Use transfer technique 이동기법 사용 C3650752 [3.0] 10041135 IC H02963379 H02963379 Uterine contractions within normal limits 정상범위 내 자궁수축 C4032601 [3.0] 10043969 DC H02963381 H02963381 Vaginal hygiene pattern 질 위생양상 [3.0] 10043401 Focus H02963394 H02963394 Venipuncture 정맥천자 C0600406 [3.0] 10016168 IC H02963408 H02963408 Venous blood specimen 정맥혈검체 [3.0] 10044596 Focus H02963411 H02963411 Ventilated patient care regime 인공호흡환자 간호요법 [3.0] 10044857 Focus H02963423 H02963423 Verifying allergy 알러지 확인하기 C1269735 [3.0] 10020736 IC H02963436 H02963436 Verifying consent before operation 수술전 동의서 확인하기 C1998939 [3.0] 10020743 IC H02963449 H02963449 Verifying death 사망 확인하기 C3165429 [3.0] 10033296 IC H02963451 H02963451 Verifying patient before operation 수술전 환자 확인하기 C1998940 [3.0] 10020758 IC H02963464 H02963464 Verifying presence of corrective device 교정기구 있음을 확인하기 C4032446 [3.0] 10046669 IC H02963477 H02963477 Verifying surgical act site and laterality 수술부위와 좌우 확인하기 C1998942 [3.0] 10020770 IC H02963480 H02963480 Victim 피해자 [3.0] 10042168 Focus H02963492 H02963492 Victim of child abuse 아동학대 피해자 C0562389 [3.0] 10042175|10042199 Focus|DC H02963506 H02963506 Victim of child neglect 아동방치 피해자 C0553726 [3.0] 10044391|10044410 Focus|DC H02963519 H02963519 Victim of elder abuse 노인학대 피해자 C0854474 [3.0] 10042217|10042229 Focus|DC H02963521 H02963521 Victim of elder neglect 노인방치 피해자 C4032581 [3.0] 10044423|10044468 Focus|DC H02963534 H02963534 Victim of incest 근친상간 피해자 [3.0] 10042272 Focus H02963547 H02963547 Victim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가정폭력 피해자 C3873628 [3.0] 10042286|10042293 Focus|DC H02963550 H02963550 Victim of neglect 방치 피해자 [3.0] 10044389 Focus H02963562 H02963562 Victim of sexual assault 성폭행 피해자 C0277730 [3.0] 10042240|10042255 Focus|DC H02963575 H02963575 Violence prevention 폭력예방 C0150215 [3.0] 10024953 IC H02963588 H02963588 Violent behaviour 폭력적 행동 C0424323 [3.0] 10035480 DC H02963591 H02963591 Wart treatment 사마귀 치료 C0555965 [3.0] 10033249 IC H02963604 H02963604 Washing the patient 환자 씻기 C4032555 [3.0] 10044803 IC H02963617 H02963617 Weighing patient 환자 체중재기 C1305866 [3.0] 10033323 IC H02963620 H02168761 Weight within normal limits 정상범위 내 체중 C2712185 [3.0] 10027392 DC H02963632 H02963632 Wound dressing change 상처 드레싱 교환 C4032531 [3.0] 10045131 IC H02963645 H02963645 Adequate nutrition 적절한 영양 [3.0] Focus 영양 H02963658 H02963658 Alternative method 대체방법 [3.0] Means 요법 H02963661 H00082701 Anesthetic 마취 C0002932 [3.0] Means 약물 따위를 이용하여 얼마 동안 의식이나 감각을 잃게 함.[표준국어대사전] H02963673 H00107847 Appearance 외모 C0700364 [3.0] Focus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모양.[표준국어대사전] H02963686 H00102695 Apprehension 걱정 C0233485 [3.0] Focus 안심이 되지 않아 속을 태움.[표준국어대사전] H02963699 H02963699 Bedding 침구 C0004914 [3.0] Means "잠을 자는 데 쓰는 이부자리, 베개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963702 H02963702 Bedtime 취침시간 C0521112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963715 H02963715 Behavior pattern 행동 양상 [3.0] Focus "동작(단위행동)의 유의적인 짜맞춤의 형을 의미한다. 행동이라고 했을 경우 목소리를 내거나 걸거나 하는 것만이 아니고 뇌파나 근전(筋電)등으로 나타나는 변화도 행동으로서 파악되고 생체상태 변화의 모든 것이 포함되는데 행동양식이라고 할 경우, 통상 사회적 행동의 양식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963728 H00181164 Biopsy 조직검사 [3.0] Means 살아 있는 생물의 조직을 진단이나 병의 변화를 알기위해서 체취하는 것. H02963731 H02198179 Body part 신체부분 C0229965 [3.0] Location 신체부분 H02963743 H02963743 Bowel irrigation 장세척 C0150154 [3.0] Means "소화관수술의 전조치로서, 장내청정화가 도모된다. 장에 남아있는 내용물을 제거하기 위해 하제의 사용에 더하여, 관장기를 사용하여 고압관장법에 의하여 장세척을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963756 H00213429 Bronchospasm 기관지경련 C0006266 [3.0] Focus "부교감신경 긴장 등에 따른 기관지 윤상근의 경련, 전형적인 예로서 천식발작을 들수 있는데 부교감신경긴장을 유발하는 마취약을 사용하는 흡입마취의 경과중에도 볼 수 있다. 점막의 부종을 수반하기 때문에 기관지관강의 강한 협착을 일으키고 호흡곤란, 천명(喘鳴)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3769 H00247619 Cardiac 심장 C0018787 [3.0] 10008822 Location 심혈관계 구성요소 H02963771 H00312017 Clammy skin 축축한 피부 C0392162 [3.0] Focus 축축한 피부 H02963784 H02963784 Cohensiveness 응집력 [3.0] Focus 어떤 단체나 조직에 속하는 구성원들을 통합하는 힘.[표준국어대사전] H02963797 H02963797 Complicated grieving 복합적 슬픔 C1960756 [3.0] Focus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으로 인한 고통으로 정상수준에서 벗어난 기능손상을 보이는 장애 H02963801 H00380721 Continuity 지속성 C0595960 [3.0] Focus 어떤 상태를 오래 계속하는 성질. [표준국어대사전] H02963813 H00419576 Cutaneous 피부 C0221912 [3.0] Location "피부계 구성요소: 각질화된 외피를 손상없이 촉촉하고, 부드럽게, 너무 차갑거나 따뜻하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 탄력성, 두께 및 결을 가진 유연하고 질긴 가장 바깥의 자연스런 체표면." H02963826 H02963826 Delayed growth and development 성장발달지연 C1268730 [3.0] Focus 해당 연령집단의 성장발달기준에서 벗어난 상태 H02963839 H02963839 Diet plan 식사계획 [3.0] Means 계획 H02963841 H02963841 Disappointment 실망 C0870427 [3.0] Focus "너무 놀라 간이 떨어지는 듯하다는 뜻으로, 바라던 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마음이 몹시 상함.[표준국어대사전]" H02963854 H00477878 Disproportionate 불균형 C0205350 [3.0] Judgment 균형과 연관되어 판단된 간호현상의 하나이다 : 극단으로 치우치지 않고 신체적으로 평형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부정. H02963867 H00485783 Distant vision 원시 C0020490 [3.0] Focus 멀리 있는 것이 잘 보이고 가까이 있는 것이 잘 보이지 않는 것 H02963870 H02963870 Distrust 불신 C0680244 [3.0] Focus 믿지아니함. 또는 믿지못함.[표준국어대사전] H02963882 H02963882 Dressing care 드레싱 간호 [3.0] Means 요법 H02963895 H02963895 Dysfunctional gastrointestinal motility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 [3.0] Focus "위장계 내의 연동운동이 증가, 감소, 무력하거나 약한 상태" H02963909 H02156195 Effective family process 효과적 가족과정 C2364309 [3.0] 10014863 Focus 가족과정 H02963911 H00522911 Egocentrism 자기중심성 C0678983 [3.0] Focus "자타(自他)의 미분화(未分化) 상태에 있는 아동의 외계인지의 방법이 자기자신의 보는 방법(단일의 보는 방법)밖에 알지 못하고, 그 밖에 갖가지 보는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는 상태를 가리키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3924 H00546084 Endotracheal 기관내 C0599554 [3.0] Location 후두에서 폐로 통하는 엄지손가락 정도 굵기의 관 모양의 기도. 후두 밑에서 시작되어 식도 앞을 내려가 흉강에 들어가 심장 뒤에서 좌우로 갈라짐. H02963937 H02963937 Environmental management 환경관리 C0150213 [3.0] Action 관리하기 H02963940 H01813029 Examination of visual acuity 시력검사 [3.0] Means 중심시력 즉 가장 명료하게 보이는 시선의 방향에 있는 물체의 존재나 형상을 인식하는 눈의 능력검사이고 안과검사의 기본적인 것이이다.[간호학대사전] H02963952 H00691748 Gastrointestinal 위장관 C0521362 [3.0] Location 위장관계통을 통틀어 일컫는 말 H02963965 H02963965 Gesture 몸짓 C0017510 [3.0] Focus 몸을 놀리는 모양.[표준국어대사전] H02963978 H02963978 Grimace 찡그린 얼굴 C0239779 [3.0] Focus 상태 H02963981 H02963981 Group education 집단교육 C0150375 [3.0] Focus 교육서비스 H02963993 H00734608 Heart sound 심음 C0018820 [3.0] Focus "심장이 수축, 확장할때 발생하는 소리. " H02964001 H00771761 Horror 혐오 C0015726 [3.0] Focus "부정적 감정: 알려진 혹은 알려지지 않은 원인으로 인해 위협 받거나, 위험해 처하거나 또는 괴로운 느낌, 때때로 생리적인 투쟁 혹은 도망 반응을 동반함." H02964013 H00773042 Household 집안 C0020052 [3.0] Location 심리사회적 구조 H02964026 H00803797 Ice pack 얼음주머니 C0180006 [3.0] Means 열냉 기구 H02964039 H02964039 Imagery therapy 심상요법 C0589219 [3.0] Means 요법 H02964041 H02964041 Impaired individual resilience 회복력 손상 [3.0] Focus 불리한 상황이나 위기에 대한 긍적적 반응양상을 유지하는 능력의 감소. H02964054 H02964054 Impaired physical mobility 운동장애 [3.0] Focus "신체 움직임에 제한이 있거나, 제한위험이 있지만 부동은 아닌 상태" H02964067 H02964067 Impaired spontaneous ventilation 호흡기능 장애 C1999010 [3.0] Focus 생명을 지탱하는데 필요한 호흡을 독립적으로 유지하는 에너지가 부족한 상태 H02964070 H02964070 Impaired transfer ability 이동능력 장애 C0812356 [3.0] Focus "독립적으로 이동에 어려움이 있거나, 어려울 위험이 있는 상태" H02964082 H02964082 Individual education 개별교육 [3.0] Focus 교육서비스 H02964095 H02964095 Ineffective activity planning 비효율적 행동계획 [3.0] Focus 특정시간이나 상황에 알맞은 행동을 준비할 능력이 없음 H02964109 H02964109 Ineffective breastfeeding 비효율적 모유수유 [3.0] Focus 어머니와 영유아가 모유수유과정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경험하는 상태. H02964111 H02964111 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비효율적 출산과정 [3.0] Focus "임시과 출산과정, 그리고 신생아 돌봄이 환경적으로 잘 준비되고 정상이며 기대했던 대로 진행 되지 않음." H02964124 H02964124 Ineffective coping 비효율적 대응 [3.0] Focus "스트레스원의 타당한 평가, 실행적 반응의 적절한 선택, 유용한 자원의 활용에 대한 능력이 없는 상태" H02964137 H02964137 Ineffective denial 비정상적 부정 반응 C0150023 [3.0] Focus 건강에 손상이 있어도 불안이나 두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건에 대한 지식이나 의미를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부인하는 상태 H02964140 H02964140 Ineffective family therapeutic regimen management 가족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C1998989 [3.0] Action 질병과 그 후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가족프로그램을 적용하는 양상이 특정한 건강목표 도달에 미치지 못함. H02964152 H02964152 Ineffective health maintenance 비효율적 건강유지능력 C0150038 [3.0] Focus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도움을 확인, 관리, 확보하지 못하는 상태" H02964165 H02964165 Ineffective impulse control 비효율적 충동 조절 [3.0] Focus 자신의 충동적인 반응이 다른 사람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한다는 고려없이 내외적인 자극에 대해서 빠르고 무계획적인 반응을 나타내는 현상. H02964178 H02964178 Ineffective infant feeding pattern 비효율적 수유 C0178405 [3.0] Focus 영아가 젖을 빨거나 삼키는 능력결손이나 조정장애가 있어 구강을 통한 영양섭취가 부적절한 상태 H02964181 H02964181 Ineffective protection 비효율적 방어능력 C1998997 [3.0] Focus "질병이나 손상 등의 내, 외적인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능력이 감소된 상태" H02964193 H02964193 Ineffective relationship 비효율적 관계 [3.0] Focus 각자의 욕구에 따라 제공되는 상호적인 동반관계가 불충분한 양상. H02964207 H02964207 Ineffective self health management 비효율적 자가건강관리 [3.0] Focus 질병과 그 후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적 섭생을 일상 생활에 적용하는 양상이 건강목표 도달을 만족시키지 못함 H02964210 H00838591 Initial 초기 C0205265 [3.0]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964222 H02964222 Inpection lead time 검사소요 시간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964235 H02964235 Insufficient breast milk 모유부족 [3.0] Focus 모유 생산 부족 H02964248 H02964248 Leisure 여가 C0086542 [3.0] Time 일이 없어 남는 시간.[표준국어대사전] H02964251 H02964251 Management of dementia 치매관리 C0262687 [3.0] Action 관리하기 H02964263 H02964263 Meal preparation 식사준비 C3468944 [3.0] Focus "활동: 음식과 식사를 제공하는 일을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필 요한 음식의 양과 질을 고려하여 가공, 저장, 차리고 배식하는 일을 돌보는것." H02964276 H02964276 Meal time 식사시간 C0587119 [3.0] Time 사건 또는 에피소드 H02964289 H02964289 Moodiness 침울함 C0241999 [3.0] Focus 손상된 상태 H02964291 H01110561 Near vision 근시 C0027092 [3.0] Focus 가까운 것은 잘 보이지만 멀리 있는 것은 잘 보이지 않는 것 H02964305 H02964305 Neonatal care 신생아간호 [3.0] Focus "신생아 간호로 크게 대두되는 문제는 균감염예방과 안전유지이다. 첫 24시간 동안에 주의깊은 관찰이 필요하며, 신생아의 안정을 위하여 관찰해야 되는 내용은 신생아 피부가 푸르거나 황색인 점, 체온이 38.4℃이상이거나 36.1℃ 이하인 점, 2회이상의 구토, 두번이상 수유를 거부하는 점, 15초 이상의 무호흡, 갑작스럽게 심하게 울거나 불안정하거나 달랠 수 없는 등의 행동변화, 2회이상의 녹색의 물같은 변이나 단단한 변을 보는 것, 소변 횟수가 하루에 5회이하인 것, 눈이 붓거나 충혈된 것, 배꼽부위의 부종, 발적, 분비물, 출혈여부, 포경수술 부위의 부종, 발적, 분비물, 출혈 등이다.[간호학대사전]" H02964318 H01541070 Night vision 야간 시력 C2350309 [3.0] Focus 저조도 상태 또는 야간에 전방을 볼 수 있는 기능. H02964321 H01149551 Normality 정상 [3.0] 10013295 Judgment "정상상태: 표준, 기준, 전형적이거나 평범한 혹은 예견된 상태에 적합함." H02964333 H02964333 Nursing action 간호행위 [3.0] Action 간호의 목적을 위해 행하는 행동. 실제로는 간호사가 간호의 원칙에 따라서 간호를 필요로하는 대상자에게 취하는 행위를 말한다.[간호학대사전] H02964346 H02964346 Nursing order 간호지시 C2921979 [3.0] Focus 지시함 H02964359 H00466771 Nutrition counseling 영양상담 C3714365 [3.0] Action 상담함 H02964361 H02216979 Nutrition supply method 영양 공급 방법 [3.0] Means 영양 H02964374 H02206334 Nutritional supplement 영양 공급 C0242295 [3.0] 10037016 Means 영양소 H02964387 H02174723 Occupation 직업 C0028811 [3.0] Focus 생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자신의 적성과 능력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계속하여 종사하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2964390 H02964390 Opportunity 기회 [3.0] Focus 어떠한 일을 하는 데 적절한 시기나 경우.[표준국어대사전] H02964403 H01289022 Pathogen 병소 [3.0] Focus "병의 원인이 되는 본체. 세균, 리케차, 바이러스, 원생동물, 기생충 따위의 병원 미생물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H02964416 H01289022 Pathogen 병원균 [3.0] Focus "병의 원인이 되는 본체. 세균, 리케차, 바이러스, 원생동물, 기생충 따위의 병원 미생물이 있다.[표준국어대사전]" H02964429 H01296087 Pelvic 골반 C0030797 [3.0] Location 신체 부분 H02964431 H02964431 Perceptual field 지각영역 [3.0] Focus 상태 H02964444 H01300488 Percussion sound 타진음 [3.0] Focus "손가락이나 타진기로 신체 표면을 두들겼을 때 내부 장기나 흉강,복강 등에서 울림으로 나는 소리" H02964457 H01310384 Periodic 주기적 C0332182 [3.0]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964460 H02964460 Personal relationship 대인관계 C1552027 [3.0] Focus 집단생활 속의 성원 상호간의 심리적 관계.[두산백과] H02964472 H01324587 Phantom limb 환상지 C0031315 [3.0] Focus "이미 절단, 소실된 사지를 아직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환지의 통증은 절단 후 수일 지남에 따라서 차츰 소실되는데 그 과정에서 사지의 끝에서 차례로 소실하는 것과 도중의 부분에서 소실해 절단한 끝부분에 직접 붙어있는 느낌이 되어 소실되어 가는 것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4485 H01324587 Phantom limb 환각지 C0031315 [3.0] Focus "이미 절단, 소실된 사지를 아직 있는 것처럼 느끼는 것이다. 환지의 통증은 절단 후 수일 지남에 따라서 차츰 소실되는데 그 과정에서 사지의 끝에서 차례로 소실하는 것과 도중의 부분에서 소실해 절단한 끝부분에 직접 붙어있는 느낌이 되어 소실되어 가는 것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4501 H02964501 Phobia 공포증 C0236801 [3.0] Focus 대수롭지 않은 일을 늘 크게 생각하여 두려워하고 고민하며 불안을 느끼고 자기 통제를 하지 못하는 병적 증상.[표준국어대사전] H02964514 H01336361 Physical 신체 C0205485 [3.0] Location 신체구조 H02964527 H02964527 Post 후 [3.0] Time "어떤 시간에 이뤄지는 행동이나 일을 나타내는 명사 등의 다음에 놓여, 그 말이 나타내는 것을 기준으로 하여 그보다 뒤에 오는 시간적 위치임을 나타내는 말." H02964530 H02964530 Premature 조기 C1279919 [3.0] Time 이른 시기.[표준국어대사전] H02964542 H02964542 Readiness for enhanced breastfeeding 향상된 모유수유 준비도 [3.0] Focus 모아 상호간에 모유수유 과정을 충분히 지지해주고 강화시키는 능숙하고 만족스러운 상태. H02964555 H02964555 Readiness for enhanced childbearing process 향상된 출산과정 준비도 [3.0] Focus 임신과 분만이 순조로우며 신생아를 잘 돌볼 수 있게 건강상태가 유지되고 증진될 수 있게 준비된 상태. H02964568 H02964568 Readiness for enhanced comfort 향상된 안위 준비도 C1827066 [3.0] Focus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평안하고 안락한 상태가 유지되고 강화 될 수 있는 상태." H02964571 H02964571 Readiness for enhanced fluid balance 향샹된 체액균형 준비도 C1999015 [3.0] Focus 신체적 요구를 충족시키거나 강화시킬 수 있는 체액의 양과 화학적 구성성분간의 균형 상태. H02964583 H02964583 Readiness for enhanced immunization status 향상된 면역상태 준비도 C1827869 [3.0] Focus "감염성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지역적, 국가적, 국제적인 면역 기준에 합당하게 양상이 개인, 가족, 지역사회를 보호하고 강화하기에 충분한 상태." H02964596 H02964596 Readiness for enhanced knowledge 향상된 지식 준비도 C1328761 [3.0] Focus 건강목표를 충족시키고 강호시킬 수 있는 특정 주제에 대한 인지적 정보를 갖고 있거나 습득한 상태 H02964600 H02964600 Readiness for enhanced nutrition 향상된 영양 준비도 C1999016 [3.0] Focus 영양섭취 양상이 신진대사 요구에 충분한 상태. H02964612 H02964612 Readiness for enhanced resilience 향상된 회복력 준비도 [3.0] Focus 불리한 상황이나 위기에 대한 긍정적 반응양상이 인간의 잠재력을 최적 활용할 수 있는 상태. H02964625 H02964625 Readiness for enhanced self health management 향상된 자가건강관리 준비도 [3.0] Focus 질병과 그 후유증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적 섭생을 일상 생활에 적용하는 양상이 건강관련 목표 도달에 충분함. H02964638 H02964638 Readiness for enhanced urinary elimination 향상된 요배설 준비도 C1999019 [3.0] Focus 배뇨요구를 충족시키고 강화시킬 수 있는 배뇨기능 상태 H02964641 H01454931 Rectal 직장 C0205052 [3.0] Location 체강 H02964653 H01451098 Response time 반응시간 C0034746 [3.0]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964666 H02964666 Retraction 퇴축 C0332523 [3.0] Focus "근육수축과 관련하여 단축과 긴장이 생긴 것을 뜻함. 즉, 생체구조나 생활물질이 특정한 방향으로 능동적인 단축을 보이는 현상 또는 작용." H02964679 H02964679 Retraining 재훈련 [3.0] Action 다시 훈련함.[표준국어대사전] H02964681 H02964681 Risk for allergy response 알러지 반응 위험성 [3.0] Focus 물질에 과다 면역 반응을 일으킬 위험성 H02964694 H02964694 Risk for chronic low self-esteem 만성적 자긍심저하 위험성 [3.0] Focus 자신이나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자아 평가/느낌이 오랜기간 동안 지속될 위험성 H02964708 H02964708 Risk for complicated grieving 복합적 슬픔 위험성 [3.0] Focus 의미있는 사람의 죽음으로 인한 고통으로 정상수준에서 벗어난 기능손상을 보이는 장애의 위험성 H02964711 H02964711 Risk for compromised human dignity 인간존엄성 손상 위험성 C1827602 [3.0] Focus 개인의 위엄과 명예가 실제적 또는 인식적으로 손상 받을 위험이 있는 상태 H02964723 H02964723 Risk for compromised resilience 회복력 손상위험성 [3.0] Focus 불리한 상황이나 위기에 대한 긍적적 반응양상을 유지하는 능력의 감소 위험성 H02964736 H02964736 Risk for decreased cardiac tissue perfusion 심장 조직관류 감소위험성 [3.0] Focus 건강을 손상시키는 심장(관상동맥)순환 감소 위험 H02964749 H02964749 Risk for delayed development 발달 지연 위험성 C1268634 [3.0] Focus "자가 조절 행위, 인지, 언어, 운동기술, 사회 영역 중 한 가지 이상에서 25%이상 지체될 위험이 있는 상태" H02964751 H02964751 Risk for disturbed maternal-fetal dyad 모아관계 위험성 [3.0] Focus 임신과 관련된 문제로 모아공생이 위험한 상태. H02964764 H02964764 Risk for disturbed personal identity 자아정체성장애 위험성 [3.0] Focus 자신에 대한 통합적이고 완전한 인식이 불가능할 위험성 H02964777 H02964777 Risk for dry eye 안구건조위험 [3.0] Focus 안구보습에 필요한 눈물의 양과 질이 감소해서 각막과 결막에 불편감과 손상을 줄 위험성 H02964780 H02964780 Risk for dysfunctional gastrointestinal motility 위장관 운동기능 장애 위험성 [3.0] Focus "위장계 내의 연동운동이 증가, 감소, 무력하거나 약하게 될 위험성이 있는 상태" H02964792 H02964792 Risk for electrolyte imbalance 전해질불균형 위험성 [3.0] Focus 혈청전해질 수준의 변화가 건강을 위협할 가능성 H02964806 H02964806 Risk for imbalanced body temperature 체온 불균형의 위험성 C0231359 [3.0] Focus 정상범위의 체온을 유지하지 못할 위험이 있는 상태 H02964819 H02964819 Risk for impaired attachment 애착 장애 위험성 C1268629 [3.0] Focus 부모가 자녀와 상호작용 하는데 장애가 있어 보호적이고 양육적인 호혜관계를 발달시키지 못하는 상태 H02964821 H02964821 Risk for impaired liver function 간기능장애 위험성 C1827288 [3.0] Focus 간기능저하로 인한 건강문제에 처할 위험성 H02964834 H02964834 Risk for ineffective activity planning 비효율적 활동계획 위험성 [3.0] Focus 일정한 행동을 정해진 시간과 특정한 상황 하에서 준비할 능력이 없을 위험성 H02964847 H02964847 Risk for ineffective cerebral tissue perfusion 비효율적 뇌 조직 관류 위험성 [3.0] Focus 건강을 손상시키는 뇌조직 순환의 감소 위험 H02964850 H02964850 Risk for ineffective childbearing process 비효율적 출산과정 위험성 [3.0] Focus "임신과 출산과정, 그리고 신생아 돌봄이 환경적ㅇ로 잘 준비되고 정상이며 기대 했던대로 진행 되지 않을 위험성." H02964862 H02964862 Risk for ineffective gastrointestinal perfusion 위장관류 감소위험성 [3.0] Focus 건강을 손상시키는 위장관 순환 감소의 위험 H02964875 H02964875 Risk for ineffective peripheral tissue perfusion 비효율적 말초 조직 관류 위험성 [3.0] Focus 건강을 위협하는 말초의 혈액순환저하 위험성 H02964888 H02964888 Risk for ineffective relationship 비효율적 관계 위험성 [3.0] Focus 각자의 욕구에 따라 제공되는 상호적인 동반관계가 불충분할 위험성. H02964891 H02964891 Risk for ineffective renal perfusion 비효율적 신 관류 위험성 [3.0] Focus 건강을 손상시키는 신장 혈액순환 감소 위험 H02964904 H02964904 Risk for neonatal jaundice 신생아황달 위험성 [3.0] Focus 순환에서 포화되지 않은 빌리루빈의 결과로 생후 24시간 이내에 피부와 점막에 노랗게 착색이 되는 위험성 H02964917 H02964917 Risk for self-directed violence 자신에 대한 폭력 위험성 C1268638 [3.0] Focus "신체적, 정서적, 혹은 성적으로 자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는 행동" H02964920 H02964920 Risk for shock 쇼크위험 [3.0] Focus 몸 조직 세포의 기능장애가 생명을 위협할 만큼의 부적당한 혈액흐름 위험성 H02964932 H02964932 Risk for thermal injury 체온손상위험 [3.0] Focus 극한의 온도로 피부와 점막에 손상이 올 위험성 H02964945 H02964945 Risk for unstable blood glucose level 불안정한 혈당치 위험성 C1828208 [3.0] Focus 정상범위를 벗어나는 혈당수준의 변화 위험성 H02964958 H02964958 Risk for vascular trauma 혈관손상 위험 [3.0] Focus 유치도뇨관이나 위장갑관과 관련하여 정맥이나 주위의 조직이 손상될 위험성이 있는 상태 H02964961 H02964961 Role playing 역할극 C0035822 [3.0] Focus 참여자가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 역할을 담당하여 연기하는 극.[표준국어대사전] H02964973 H02964973 Satisfaction 만족감 C0242428 [3.0] Focus 만족한 느낌.[표준국어대사전] H02964986 H02964986 Sedentary lifestyle 비활동적 생활양식 C1532253 [3.0] Focus 개인 또는 그룹이 신체활동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생활습관을 보고하는 상태 H02964999 H01548845 Self condemnation 자책 [3.0] Focus 자신의 결함이나 잘못에 대하여 스스로 깊이 뉘우치고 자신을 책망함.[표준국어대사전] H02965006 H01550985 Senile dementia 노인성 치매 C0011268 [3.0] Focus "뇌신경세포의 위축과 소실에 의해서 뇌가 미만성으로 위축한 결과 생긴 치매상태로 65세 이상에 나타난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노년치매라고 하며, 뇌내에는 노인반,아르츠하이머원섬유변화, 과립공포변성 등의 소위 노인성 변화가 조직학적으로 나타난다. 기억력장애나 일상생활에 무관심한 것 등의 치매를 주요증상으로 하는 외에 언어장애, 정동장애, 망상이나 환시ㆍ환청도 출현하며 야간섬망도 동반하기 쉽다. 다일치매형, 망상형, 억울형, 흥분형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5019 H01552178 Sensitivity 민감성 [3.0] Means 감별검사에서 진짜 병이 있는 사람 중에서의 검사양성자의 할합을 가리킨다. 그 검사가 어느 정도 유병자를 골라내는 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회의 감별검사를 하는 경우에는 최근의 검사에서 민감도가 높은 것이 적당하다.[간호학대사전] H02965021 H01555720 Sequelae 후유증 C0543419 [3.0] Focus 어떤 병을 앓고 난 뒤에도 남아 있는 병적인 증상.[표준국어대사전] H02965034 H01565639 Shivering 오한 C0036973 [3.0] 10018045 Focus 체온조절: 마취의 부작용이나 발열중 오한 시기에 항온조절점 아래로 체온이 하강하면서 느끼는 차가운 감각으로 인한 근육수축과 연축의 불수의적 떨림. H02965047 H01420451 Sialorrhea 타액분비과다 C0037036 [3.0] Focus "타액선분비가 항진한 상태이며, 통상 1일의 타액의 분비량은 1~1.51인데 반해서 1일에 3~4ℓ, 많을 때는 10ℓ의 타액분비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5050 H01571533 Silence 침묵 C0858952 [3.0] Focus 아무 말도 없이 잠잠히 있음. 또는 그런상태.[표준국어대사전] H02965062 H02965062 Sleep pattern 수면양상 [3.0] Focus 수면 H02965075 H02965075 Sleeping tendency 수면 경향 [3.0] Focus "강한 자극이 없으면 눈을 뜨거나 반응을 보이지 않고, 곧 잠들어 버리는 의식 명확도의 장애" H02965088 H02965088 Strategy 전략 C0679199 [3.0] Focus "어떤 행위나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 처치 또는 수기." H02965091 H01662187 Sympathy 공감 C0683287 [3.0] Focus "남의 감정, 의견, 주장 따위에 대하여 자기도 그렇다고 느낌. 또는 그렇게 느끼는 기분.[표준국어대사전]" H02965104 H01684105 Terminal 말기 C0205088 [3.0] Time 시점 또는 시간간격. H02965117 H01766999 Unhappiness 불행 C0476477 [3.0] Focus 손상된 상태 H02965120 H01822919 Weight control program 체중조절 프로그램 [3.0] Focus 계획 H02965132 H00025873 Accumulation 적 [3.0] Focus 積 적취(積聚)에 속하는 병증으로 배속에 병적으로 생긴 덩어리 H02965145 H00029643 San syndrome 산증 C0001122 [3.0] Focus 疝症 "고환, 부고환, 음낭 등의 질환으로 일어나는 신경통과 요통 및 아랫배와 음낭이 붓고 아픈 병의 총칭. 이는 한습사(寒濕邪)가 침범하거나 內傷으로 기혈이 제대로 순환하지 못하여 발생" H02965158 H00029961 Acne 좌창 C0702166 [3.0] 1A.01.01.01.10.01.06 Focus 痤瘡 여드름 H02965161 H00035885 Meridian point 경혈 C0001302 [3.0] Location 經穴 "경락을 따라서 일정한 원리에 의해 분포되어 있는 작은 구멍에 해당하는 곳으로, 몸 밖의 기운과 열락 및 각 장부의 기운이 서로 통하는 자리이며 침구치료의 시술점인 동시에 질병이 발생했을 때, 압통, 과민반응, 경혈부위의 피부색의 변화, 전기저항의 감소 등의 변화 등을 통해 질병의 존재를 알려주는 반응점인 것이다." H02965173 H00035905 Acupuncture 침 C0394664 [3.0] Means 鍼 "금속제의 침으로 인체의 일정한 혈자리를 찔러, 각종의 수기법을 침을 통해 운용하여 영위기혈(營衛氣血)을 조정하는 것" H02965186 H00035905 Acupuncture 침법 C0394664 [3.0] Means 鍼法 "금속제의 침으로 인체의 일정한 혈자리를 찔러, 각종의 수기법을 침을 통해 운용하여 영위기혈(營衛氣血)을 조정하는 것" H02965199 H00059800 Alimentation 자양 C0012155 [3.0] Means 滋養 영양을 좋게 기르는 것 H02965202 H00093114 Antagonism 상반 C0680242 [3.0] Focus 相反 "1) 한약을 사용할 때 두 가지 이상의 약물을 배합하면 약 상호간에 영향을 주게 되며 약리작용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어떤 약물은 그 약성과 특성이 약해지는 경우를 말한다." "2) 상반되는 2가지 요인이 동시에 작용하여 그 효과를 서로 상쇄시키는 작용[두산백과]""" H02965215 H00102552 Anuria 요폐 C0003460 [3.0] 1A.9.0038 Focus 尿閉 "1) 신장에 의한 오줌의 분비, 배설이 완전히 억제된 것. 2) 신장으로부터 소변생성이 하루에 200cc 미만인 상태로 이 증상이 지속되면 노폐물질이 체내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사망하게 된다. 신장내의 정상 소변생성은 매 시간 60~120cc이다. 소변내의 이물질은 검사에 의하여 발견되는데, 소변에 혈액이 섞이면 소변이 암갈색으로 변하고, 탁한 흰색의 소변은 농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소변내에 알부민이 있는 경우에도 탁한 색이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965228 H00102552 Anuria 소변폐 C0003460 [3.0] 1A.9.0038 Focus 小便閉 "1) 신장에 의한 오줌의 분비, 배설이 완전히 억제된 것. 2) 신장으로부터 소변생성이 하루에 200cc 미만인 상태로 이 증상이 지속되면 노폐물질이 체내에 축적되어 결과적으로 사망하게 된다. 신장내의 정상 소변생성은 매 시간 60~120cc이다. 소변내의 이물질은 검사에 의하여 발견되는데, 소변에 혈액이 섞이면 소변이 암갈색으로 변하고, 탁한 흰색의 소변은 농이 있는 것을 나타내며, 소변내에 알부민이 있는 경우에도 탁한 색이 나타난다.[간호학대사전]" H02965231 H00114908 Arteriosclerosis 동맥경화 C0003850 [3.0] Focus 動脈硬化 "동맥벽이 복잡한 과정을 거쳐 변형, 경화된 상태를 말한다. 동맥은 부위, 장기에 따라 다양하며 이에 따라 발생 하는 동맥경화도 꽤 다르다. 일반적으로는 (1) 죽상경화(粥狀硬化), 아테롬경화 atherosclerosis(대동맥에서 중등도의 동맥에 일어난다) (2) 세동맥경화arteriolasclerosis(신(賢) 등의 세동맥에 일어나며 고혈압과 밀접하게 관련한다) (3) 멘케벨 그형중막경화 medial sclerosis Monckeberg(사지에 일어나며 석회화가 강하다)로 나누어진다. 그러나 보통 동맥경화라고 하면 죽상경화만을 가리키는 일이 많다. 죽상경화에 의한 질환으로는 동맥의 폐색성변화에 의하는 것이 많다. 병인으로서는 역학적 연구에서 연령외에 고혈압, 고지혈증, 끽연, 비만, 당뇨병 등으로 보고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5243 H00127977 Aspermatism 정액없음 C1704202 [3.0] Focus 精液~ 성교를 하여도 사정이 되지 않는 것 H02965256 H00127977 Aspermatism 정액없음증 C1704202 [3.0] Focus 精液~ 성교를 하여도 사정이 되지 않는 것 H02965269 H00127977 Aspermia 무정액 C1704202 [3.0] Focus 無精液 성교를 하여도 사정이 되지 않는 것 H02965271 H00127977 Aspermia 무정액증 C1704202 [3.0] Focus 無精液症 성교를 하여도 사정이 되지 않는 것 H02965284 H00165116 Bedwetting 야뇨 C0270327 [3.0] 1A.01.01.01.09.02.01.05 Focus 夜尿 요실금: 자는 동안 일어나는 불수적인 배뇨. H02965297 H00165763 Deviated eye and mouth 구안와사 C0376175 [3.0] Focus 口眼臥斜 "안면신경마비중 반수이상은 원인이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이것을 일반적으로 벨 마비라고 한다. 정확하게는 다음과 같은 정의가 있다. (1) 돌연 발증하는 편측성 마비. (2) 다른 뇌신경증상이나 중이염 등의 원인이되는 질환이 인정되지 않는다. (3) 귓바퀴, 외이도에 수포형성이 없을 것. 증례의 80~90%는 특별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고 완전히 회복한다. 현재 행하여지고 있는 치료법은 부신피질 호르몬제의 복용이 주이나,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안면신경 감하수술(減荷手術)이 행하여진다.[간호학대사전]" H02965301 H00190770 Blood 혈 C0005767 [3.0] 2C.01.14.11 Focus 血 피 H02965313 H00192713 Bloodletting 사혈법 C0005857 [3.0] Means 瀉血法 삼릉침 또는 피부침 등을 이용하여 신체상의 얕은 부위의 혈관을 찔러 소량의 혈액을 방출시키는 방법 H02965326 H00204863 Brachium 상박 C0446516 [3.0] Location 上膊 "위팔로, 어깨에서 팔꿈치까지의 부분을 뜻하는 용어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339 H00250521 Cardiopathy 심계 병증 C0018799 [3.0] Focus 心系病證 "심계(心悸; 두근거림), 흉비(胸痺; 가슴저림), 불면 등의 변증이다. 양방에서는 심장 혈관 계통 질병으로, 예를 들면 기능성 또는 기질성 심장병 • 고지혈증 • 동맥경화 • 협심증 등이다. " H02965341 H00275282 Cereal 곡류 C0007757 [3.0] Means 穀類 "쌀, 보리, 밀 따위의 곡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표준국어대사전]" H02965354 H00276402 Cerebral embolism 뇌색전증 C0007780 [3.0] Focus 腦塞栓症 뇌경색(腦硬塞)의 하나로 뇌혈관 이외의 혈관으로부터 색전이 뇌혈관 안으로 들어와 막히는 것 H02965367 H00277162 Wind stroke 중풍 C0038454 [3.0] Focus 中風 "뇌혈류 이상에 의해, 뇌에 혈류 공급이 부족하여 유발되는 갑작스런 이상으로 뇌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허혈뇌혈관병과 뇌혈관이 파열되어 발생하는 출혈성뇌혈관병으로 크게 구분된다. 허혈뇌혈관병은 뇌혈관질환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대표적인 원인으로서는 뇌혈관동맥경화증(cerebral arteriosclerosis: 혈관에 지방질이 많이 쌓여서 발생. 대개 혈중콜레스테롤 농도와 연관이 깊다)과 뇌색전증(cerebral embolism: 혈액내에 이물질이 떠돌아 다니다 혈관을 막아서 발생)이 있으며 특히 뇌색전증의 경우는 심장병동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965370 H00277209 Cerebral thrombosis 뇌혈전증 C0079102 [3.0] Focus 腦血栓症 동맥경화로 좁아지거나 내벽에 문제가 생긴 뇌혈관을 혈전이 막아 뇌의 혈액공급을 차단시켜 나타나는 증상.[두산백과] H02965382 H00332701 Tongue coating 설태 C0009144 [3.0] Focus 舌苔 혀 표면에 생기는 이끼 모양의 이물질 H02965395 H00332701 Tongue fur 설태 C0009144 [3.0] Focus 舌苔 혀 표면에 생기는 이끼 모양의 이물질 H02965409 H00336814 Cold 한 C0812387 [3.0] Focus 寒 한은 찬기운을 뜻하며 움추러드는 기상을 의미한다. H02965411 H00337025 Cold bath 냉수욕 C0204019 [3.0] Focus 冷水浴 "약 50° F (10° C) ~ 65° F (18° C) 정도의 물에서 하는 목욕으로, 1차적으로 체온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965424 H00337056 Cold limbs 수족궐랭 C0277925 [3.0] Focus 手足厥冷 "양기(陽氣)가 쇠약해지고 음한(陰寒)이 속에 있거나, 열사(熱邪)가 속에 몰려서 양기(陽氣)가 팔다리로 퍼지지 못해서 손발이 차가워지는 병증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437 H00337056 Reversal cold of the extremities 수족궐랭 C0277925 [3.0] Focus 手足厥冷 "양기(陽氣)가 쇠약해지고 음한(陰寒)이 속에 있거나, 열사(熱邪)가 속에 몰려서 양기(陽氣)가 팔다리로 퍼지지 못해서 손발이 차가워지는 병증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440 H00343937 Coma 인사불성 C0009421 [3.0] 1A.01.01.01.13.18.04 Focus 人事不省 손상된 의식: 통증반응이 없는 것을 포함한 신체적 반응이 없는 깊은 무의식 상태. H02965452 H00362806 Pigeon breast 구흉 C2939416 [3.0] Focus 龜胸 가슴 부위가 전방으로 팽만한 기형(새가슴) H02965465 H00362806 Pigeon chest 계흉 C2939416 [3.0] Focus 鷄胸 가슴 부위가 전방으로 팽만한 기형(새가슴) H02965478 H00367066 Constipation 대변불통 C0009806 [3.0] Focus 大便不通 1)변비(便秘).[표준한의학용어집] 2) 변이 통하지 않는 것 .[한의시맨틱] H02965481 H00398391 Cough 해수 C0010200 [3.0] 1A.01.01.01.01.04.02 Focus 咳嗽 손상된 호흡기계 과정: 기도를 청결하게 하기 위한 폐로부터의 갑작스런 공기의 배출. H02965493 H00414071 Cryotherapy 한랭요법 C0010412 [3.0] Means 寒冷療法 환부를 차게 하는 것 H02965507 H00417438 Cupping 부항 C0394663 [3.0] Means 附缸 여러 가지 재질로 제조한 관(단지)을 경혈상에 붙이고 환기나 음압펌프질(suction)에 의해 그 속의 공기를 빼냄으로써 피부표면에 흡착시켜 울혈을 조성하는 방법이다. H02965510 H00435898 Decoction 탕제 [3.0] Means 湯劑 약탕관이나 기타 용기에 물을 넣고 약재를 달여서 먹는 것으로 임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하는 제형이다. 탕제는 약의 유효한 성분이 물에 녹아 흡수가 잘 되어 치료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 환자의 병증 변화에 따라 약재의 가감 등 처방변경이 쉬우며 급성 질환과 만성 질환에 모두 쓰인다. 그러나 약의 휴대와 복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탕제는 보통 온복(溫服)을 많이 하여 구토시에는 냉복(冷服)을 하기도 한다. H02965522 H00464021 Diarrhea 하리 C0011991 [3.0] Focus 下痢 "손상된 배변: 묽고 액체의 형태가 없는 변의 배출; 장음증가와 함께 배변 횟수 증가, 배변시 복통과 긴박성을 동반함" H02965535 H00467001 Dietetics 식치 C0012180 [3.0] 2C.9.0053 Focus 食治 "식이요법 또는 식치(食治)라고도 하며, 식품의 성미와 효능을 바탕으로 식품섭취 방법을 활용한 치료법이나 몸조리법이다. 옛날부터 약식동원(藥食同源), 즉 한약과 식품이 같은 뿌리라 하여, 식품의 성미를 잘 활용하면 한약에 준하는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식품을 이용한 치료법에 대해 많은 연구와 기록이 있으며 식료법은 한방간호를 발전시킬 중요한 영역이다." H02965548 H00467256 Diet therapy 식이요법 C0012159 [3.0] 2C.9.0053 Focus 食餌療法 "식이요법 또는 식치(食治)라고도 하며, 식품의 성미와 효능을 바탕으로 식품섭취 방법을 활용한 치료법이나 몸조리법이다. 옛날부터 약식동원(藥食同源), 즉 한약과 식품이 같은 뿌리라 하여, 식품의 성미를 잘 활용하면 한약에 준하는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식품을 이용한 치료법에 대해 많은 연구와 기록이 있으며 식료법은 한방간호를 발전시킬 중요한 영역이다." H02965551 H00467256 Dietetic therapy 식료법 C0012159 [3.0] 2C.9.0053 Focus 食療法 "식이요법 또는 식치(食治)라고도 하며, 식품의 성미와 효능을 바탕으로 식품섭취 방법을 활용한 치료법이나 몸조리법이다. 옛날부터 약식동원(藥食同源), 즉 한약과 식품이 같은 뿌리라 하여, 식품의 성미를 잘 활용하면 한약에 준하는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이 때문에 식품을 이용한 치료법에 대해 많은 연구와 기록이 있으며 식료법은 한방간호를 발전시킬 중요한 영역이다." H02965563 H02718871 Renalpathy 신계 병증 C0022658 [3.0] Focus 腎系病證 "부종, 소변 임탁(淋濁 ; 오줌 소태와 뿌연 소변), 소갈(消喝 ; 당뇨), 양위(陽痿 ; 발기불능), 유정(遺精 ; 조루), 위증(痿證 ; 근 위축 무력) 등의 병증이 있다. 양방에서는 급 • 만성 신장염, 신우신염, 요로 결석, 유미뇨(乳穈尿), 성 신경 쇠약 등을 말한다." H02965576 H00507037 Dust 산약 C0032861 [3.0] Means 散藥 1) 가루약으로 마른 약재를 세말로 하여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한 약이다. 휴대하거나 복용하기 편리하며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흡수력도 비교적 좋다. 2) 1종 또는 2종이상의 의약품을 균등하게 혼합한 분말의 제제이며 한가지 맛의 것이라도 조제한 때는 산제이다. 내용과 외용이 있고 내용은 물 또는 온수로 복용하며 외용은 피부점막의 미란(糜爛) 습진(濕疹) 궤양 궤양면 등에 쓰이는 산포용과 비강(鼻腔) 인후(咽喉)에 분무하는 흡입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3) 가루로 된 약.[표준국어대사전] 4) 고형의 약제를 갈거나 부숴 얻은 소립자의 집합체.[두산백과] 5) 한약 제형의 하나.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한약재를 갈아서 고운 가루로 만든 것을 말한다. 산제는 복용 후 흡수가 탕제보다는 느리나 환제보다는 약효가 빨리 나타나며 " 또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쓰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만들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 주로 내복약을 산제로 만들며 일부 외용약도 산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589 H00507037 Powder preparation 산제 C0032861 [3.0] Means 散劑 1) 가루약으로 마른 약재를 세말로 하여 체로 쳐서 고르게 혼합한 약이다. 휴대하거나 복용하기 편리하며 쉽게 변질되지 않는다. 흡수력도 비교적 좋다. 2) 1종 또는 2종이상의 의약품을 균등하게 혼합한 분말의 제제이며 한가지 맛의 것이라도 조제한 때는 산제이다. 내용과 외용이 있고 내용은 물 또는 온수로 복용하며 외용은 피부점막의 미란(糜爛) 습진(濕疹) 궤양 궤양면 등에 쓰이는 산포용과 비강(鼻腔) 인후(咽喉)에 분무하는 흡입용이 있다.[간호학대사전] 3) 가루로 된 약.[표준국어대사전] 4) 고형의 약제를 갈거나 부숴 얻은 소립자의 집합체.[두산백과] 5) 한약 제형의 하나.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이상의 한약재를 갈아서 고운 가루로 만든 것을 말한다. 산제는 복용 후 흡수가 탕제보다는 느리나 환제보다는 약효가 빨리 나타나며 " 또 가지고 다니기 편리하고 필요에 따라 쓰는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만들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 주로 내복약을 산제로 만들며 일부 외용약도 산제로 만들어 사용하기도 한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591 H00508642 Dysarthria 어삽 C0013362 [3.0] Focus 語澁 2) 눌어(訥語).[표준한의학용어집] 2) 병적으로 말을 더듬는 병증. [한의시맨틱] H02965618 H00510145 Painful menstruation 통경 C0013390 [3.0] 1A.01.01.01.13.01.04.02 Focus 痛經 "월경 중에 또는 월경 전후에 아랫배나 허리가 아픈 병증. 경전복통(經前腹痛), 경행복통(經行腹痛), 월수내복통(月水來腹痛), 경후복통(經後腹痛)이라고도 함. 심하면 통증이 심하여 참기 어려울 정도이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621 H00510145 Period pain 생리통 C0013390 [3.0] 1A.01.01.01.13.01.04.02 Focus 生理痛 "월경 중에 또는 월경 전후에 아랫배나 허리가 아픈 병증. 경전복통(經前腹痛), 경행복통(經行腹痛), 월수내복통(月水來腹痛), 경후복통(經後腹痛)이라고도 함. 심하면 통증이 심하여 참기 어려울 정도이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633 H00525841 Electro-acupuncture 전침 C0013794 [3.0] Means 電鍼 저주파 침법으로 호침의 침자법에 따라 지압한 다음 전기와 침을 결합하여 직류 전기를 통전시키거나 저주파 전기를 통전시켜 혈위의 자극을 강하게 하는 치료방법이다. H02965646 H00564675 Red-thread boil 홍반 C0015230 [3.0] 1A.01.01.01.10.01.03.S.001 Focus 紅斑 "피부면에 생기는 원형, 타원형, 불규칙한 홍색 무늬" H02965659 H00574491 Cause of disease 병인 C1314792 [3.0] Focus 病因 "병의 원인인 것. 어떤 질환에는 어떤 병원이 대응하는가 때로는 단일이며 때로는 복합이다. 많은 경우, 여러종의 원인이 중복되 병의 성립에 관여한다. 이것을 주요인main cause과 부요인accessory cause로 구별하고, 발병의 계기가 되는 것을 특히 수인이라 말한다. 병의 원인이 체외에서부터 작용하는 경우에는 외인 external cause, 체내에 있는 원인인 것을 내인 internal cause라 한다.[간호학대사전]" H02965661 H00613561 Facial pain 안면통 C0015468 [3.0] Focus 顔面痛 얼굴이 아픈 것 H02965674 H00613669 Red face 홍안 C0857245 [3.0] Focus 紅顔 얼굴색이 정상인보다 붉은 상태 H02965687 H00613740 Facial spasm 안면경련 C0278151 [3.0] Focus 顔面痙攣 "1) 제7뇌신경인 얼굴신경의 지배근육에 국한된 한쪽성의 불수의 수축이며, 눈꺼풀로부터 점차 눈확 하부, 볼부분 입 모서리부분으로 퍼진다. 경련은 간대성으로 발작성 발현을 하며 피로나 정신적 긴장에 따라 증강된다. 50대 이후에 여성에게 많다. 중증인 경우에는 눈을 뜨기가 곤란하다. 원인은 명백하지 않은 것이 많지만 말초성 얼굴신경 손상의 치유 후, 또는 얼굴신경 기시부의 혈관(앞소뇌동맥, 뒤밑소뇌동맥, 척추동맥 등)에 의한 압박 등이 있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안면의 근이 순간적인 간대성(間代性)의 연축을 일으키는 것으로 뇌질환 귀질환 치성질환 히스테리 간질 oral dyskinesia 등의 원인외에 비통 극도로 놀랐을 때 등에서도 볼 수 있다. 대부분 편측성으로 발현한다. 처치는 원인제거와 대증적인 진정제 " 진경제 등의 투여외에 신경절제수술도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H02965690 H00615391 Swoon 졸도 C0039070 [3.0] Focus 卒倒 갑자기 정신이 흐릿해지거나 팔다리가 차가워지면서 쓰러지는 것 H02965703 H00625382 Fasting 단식 C0015663 [3.0] Focus 斷食 일정 기간 동안 특정 목적을 위해 음식과 음료의 섭취를 자발적으로 제한하는 행위[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965716 H00627083 Feverishness of the body 신열 C0015967 [3.0] 1A.01.01.01.03.02 Focus 身熱 "전신에서 열이 나는 증상. [소문(素問)] <자지론(刺志論)>에서는 ""기(氣)가 허(虛)하여 몸에 열이 나는 것을 반(反)이라고 한다.(氣虛身熱, 此謂反也.)""라고 하였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5729 H00635151 Aversion to cold with fever 오한발열 C0085594 [3.0] Focus 惡寒發熱 외감에 발열과 오한이 있음 H02965731 H00635151 Chill fever 오한발열 C0085594 [3.0] Focus 惡寒發熱 외감에 발열과 오한이 있음 H02965744 H00635151 Cold and heat 한열 C0085594 [3.0] Focus 寒熱 오한과 발열 H02965757 H00641673 Fire 화 [3.0] Focus 火 "생리적으로 장부에 속하는 火를 말하며 心에 있는 화를 心火 또는 君火, 신, 간, 담, 삼초 등에 있는 화를 相火라 함. 자연의 六氣(풍한서습조화)의 하나" H02965760 H00658325 Forearm 전완 C0016536 [3.0] 2F.01.01.07.01 Focus 前腕 신체부분 H02965772 H00674552 Urinary frequency 소변빈삭 C0042023 [3.0] Focus 小便頻數 "배뇨횟수가 비정상적으로 증가되는 증상. 빈뇨는 주로 배뇨통과 함께 하부 요로계의 감염으로 발생한다. 요로계의 감염은 방광을 자극함으로서 잦은 배뇨를 유발한다. 방광감염이 없더라도 빈뇨가 발생할 수 있다. 남자에서 요도의 상부를 둘러싸고 있는 전립선이 비대되면 요도를 압박하여 요도가 폐쇄됨으로서 배뇨에 장애를 유발한다. 전립선 비대에 의한 초기 증상은 빈뇨이다. 정상적인 사람은 배뇨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배뇨가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요실금이라 한다. 성인이 잠을 자는 동안에 대개 1회 이하의 배뇨를 한다. 그러나 울혈성 심부전이 있는 환자에서는 밤에도 자주 배뇨를 하는 야뇨가 있는 경우가 많다. 빈뇨와 야뇨가 있는 사람의 증상 자체만으로는 상황이 크게 나빠지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전립선 비대가 있는 환자에서 빈뇨가 있다가 완전히 요도가 폐쇄되어 소변을 배출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면 심한 통증과 함께 고혈압이 유발될 수 있다.[두산백과]" H02965785 H00677452 Fumigation method 훈증법 C0016804 [3.0] Means 熏蒸法 약을 찌면서 그 증기 속에 몸의 전체나 일부를 넣는 것 H02965798 H00688352 Gastralgia 위통 C0221512 [3.0] Focus 胃痛 "여러가지 위질환에서 생기는 위의 통증을 말하고, 통상위염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 가장 많다. 폭음ㆍ포식이 종종 원인이 된다. 위염외에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위무력증, 위하수, 위천공, 이물, 회충 등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통상 위통으로 느끼는 경우, 위에서 시작되는 통증만이 아니고 주위의 장기에 의해서 일어나는 위부, 즉 심와부의 통증인 경우도 많다. 위 이외에서 일어나는 심와부통으로서 많은 것은 담석, 췌염, 심근경색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5801 H00688352 Stomach pain 위완통 C0221512 [3.0] Focus 胃脘痛 "여러가지 위질환에서 생기는 위의 통증을 말하고, 통상위염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 가장 많다. 폭음ㆍ포식이 종종 원인이 된다. 위염외에 위십이지장궤양, 위암, 위무력증, 위하수, 위천공, 이물, 회충 등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통상 위통으로 느끼는 경우, 위에서 시작되는 통증만이 아니고 주위의 장기에 의해서 일어나는 위부, 즉 심와부의 통증인 경우도 많다. 위 이외에서 일어나는 심와부통으로서 많은 것은 담석, 췌염, 심근경색 등이 있다.[간호학대사전]" H02965814 H00732911 Health food 보양식 C0282679 [3.0] Means 補養食 보양류를 중심으로 한 식단 H02965827 H00732911 Invigorating food 보양식 C0282679 [3.0] Means 補養食 보양류를 중심으로 한 식단 H02965830 H00732911 Stamina food 보양식 C0282679 [3.0] Means 補養食 보양류를 중심으로 한 식단 H02965842 H00740907 Hemiplegia 반신불수 C0018991 [3.0] Focus 半身不隨 몸의 어느 한쪽이 마비된 상태. 얼굴의 반쪽과 같은 쪽 팔 ·다리 모두에 운동마비가 일어난 상태를 말함. H02965855 H00740907 Hemiplegia 편측마비 C0018991 [3.0] Focus 片側痲痺 몸의 어느 한쪽이 마비된 상태. 얼굴의 반쪽과 같은 쪽 팔 ·다리 모두에 운동마비가 일어난 상태를 말함. H02965868 H00753203 Ephedra sinica 마황 C0696758 [3.0] Means 麻黃 원줄기는 한약재로서 발한·해열·진해·이뇨제의 효능이 있고 열병과 천식치료에 사용한다. H02965871 H00762271 High protein diet 고단백식사 C0425403 [3.0] Focus 高蛋白食事 "일반식단을 기준으로 하고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일반적으로 체중 1Kg 당 1.5~2g, 매일 100~150g의 단백질을 추가한다. 빈혈이 있거나 각종 소모성 질환, 혈장 단백 저하(간, 신 기능이 떨어지지 않은 자), 수술 후 회복기 환자에게 적용한다. " H02965883 H00766841 Listening and smelling examination 문진 [3.0] Focus 聞診 "사진(四診)의 하나로 환자의 목소리, 숨소리, 기침 소리를 듣거나, 몸이나 배설물의 냄새를 맡고 병을 판별하는 방법이다. " H02965896 H00766841 Listening diagnosis 문진 [3.0] Focus 聞診 "사진(四診)의 하나로 환자의 목소리, 숨소리, 기침 소리를 듣거나, 몸이나 배설물의 냄새를 맡고 병을 판별하는 방법이다. " H02965900 H00772506 Hot bath 고온욕 C0454528 [3.0] Means 高溫浴 약 41.11° C로 점차 수온이 상승하는 물에서의 목욕.[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965912 H00785190 Hydrotherapy 수치료법 C0020311 [3.0] Means 水治療法 "여러가지 형태, 방법으로 물을 사용하여 행하는 치료를 총칭하며, 물리요법의 일종이다. 수 치료법이 갖는 생리학적 작용으로서는 온열작용, 부력에 의한 작용, 수압에 의한 역학적 작용등의 비특이적 작용외에 온천욕에 있어서는 함유 성분에 의한 생물학적효과 등 특이적 작용도 있다. 실제적치료에서는 이들 작용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수중 훈련, 하버드욕, 와류욕(渦流浴), 각종의 압주법(壓注法) 등이 있고, 더욱 광의로는 온천요법도 포함된다.[간호학대사전]" H02965925 H00816871 Impotence 양위 C0242350 [3.0] 1A.01.01.01.15.01.02.01.01 Focus 陽痿 "손상된 생식기계 과정: 음경의 발기 불능 혹은 드물게 발기 후 사정불능; 나이, 피로, 나쁜 건강, 약물복용, 질병과 같은 정신적 또는 생리적 요인과 관련됨." H02965938 H00825339 Indigestion 식체 C0013395 [3.0] 1A.01.01.01.13.06 Focus 食滯 식상(食傷)이나 평소 비위의 허약으로 비위가 음식을 운화하지 못해 장위에 쌓여 나타나는 병증이다. H02965941 H00835608 Infra red 적열등 C1532326 [3.0] Means 赤熱燈 근적외선등으로 열의 침투가 깊으며 넓은 부위를 치료할 수 있다. H02965953 H00850461 Insomnia 실면 C0917801 [3.0] 1A.01.01.01.11.01.04 Focus 失眠 "수면 이상: 적절한 환경에서 편안한 자세를 취함에도 불구하고 밤동안 또는 계획된 수면시간에 잠을 자거나 수면을 유지하는 데 있어서 만성적인 불능, 깨어 있음, 잠못듦; 종종 감정적인 스트레스, 불안, 통증, 불편감, 긴장, 뇌기능 장애 및 약물남용 같은 신체적, 정신적 요인과 관련됨." H02965966 H00851205 Instillation 점안법 C0184959 [3.0] Means 點眼法 눈에 약액을 방울방울 떨어뜨리는 법 H02965979 H00889749 Iontophoresis 약물이온도입법 C0022024 [3.0] Means 藥物~導入法 직류전류의 성질을 이용하여 이온화된 약물(ionic drugs)을 피부 또는 점막을 통해 신체 안으로 침투시키는 전기치료 방법.[한국전통지식포털] H02965981 H00891921 Irregular menstruation 생리불순 C0156404 [3.0] Focus 生理不順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생리를 일컫는 용어. 무배란 및, 희소배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965994 H00891921 Menstruation at irregular intervals 월경문란 C0156404 [3.0] Focus 不規則月經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생리를 일컫는 용어. 무배란 및, 희소배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966001 H00891921 Menstruation at irregular intervals 경란 C0156404 [3.0] Focus 經亂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생리를 일컫는 용어. 무배란 및, 희소배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966014 H00891921 Menstruation at irregular intervals 월경선후무정기 C0156404 [3.0] Focus 月經先後無定期 "일반적으로 불규칙한 생리를 일컫는 용어. 무배란 및, 희소배란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본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966027 H00899324 Pruritus cutaneus 피부소양 C0033774 [3.0] Focus 皮膚瘙痒 피부의 가려움증 H02966030 H00912641 Kidney 신 C0022646 [3.0] 1A.9.0310 Location 腎 비뇨기계 구성요소 H02966042 H01814931 Leukoplakia 백판증 C0023531 [3.0] Focus 白板症 "이것은 피부의 병적상태나 혹은 정상적인 노화상태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전악성병터(premalignant lesion)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쉽게 말해 이것은 곧 손쉽게 악성병변으로 이행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주로 구강의 안쪽점막이나, 여성의 외음부 점막에 위치하게 하는 데 나중에 암으로 발전하여 생명에 위협을 가져오게 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966055 H01814931 Leukoplakia 백색판증 C0023531 [3.0] Focus 白色板症 "이것은 피부의 병적상태나 혹은 정상적인 노화상태에서 생겨나는 것으로 전악성병터(premalignant lesion)으로써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쉽게 말해 이것은 곧 손쉽게 악성병변으로 이행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주로 구강의 안쪽점막이나, 여성의 외음부 점막에 위치하게 하는 데 나중에 암으로 발전하여 생명에 위협을 가져오게 된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H02966068 H00971119 Lumbar region 요 C0024090 [3.0] Location 腰 갈비뼈 아래에서 골반까지의 잘록한 부분. H02966071 H00971203 Lumbar sprain 요부염좌 C0160108 [3.0] Focus 腰部捻挫 "요부에 급격한 굴신, 염좌가 가해져서 골절은 없으나 요통이 야기되는 것을 말한다. 인대, 근막, 근등이 손상되어서 일어난다. 극간 이대가 단열한 경우를 특히 sprungback라고 한다. 치료는 2~3주간의 안정과 진통제의 사용이 유효하다. 추간판(椎間板) 헤르니아와 같은 신경학적 변화가 있는 경우는 적다.[간호학대사전]" H02966083 H01022607 Measles 마진 C0025007 [3.0] Focus 痲疹 "홍역(紅疫). 홍역 바이러스가 비말(飛沫) 감염에 의하여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 법정 신고전염병,발열과 발진이 주증세로 3~4일간 발열한데 이어 온몸에 붉은 발진이 생기는 질환" H02966096 H01037751 Meridian 경락 C0085282 [3.0] Location 經絡 "인체에서 생명의 기본물질인 기혈(氣血) 및 진액의 운행통로로, 경맥(經脈)과 낙맥(絡脈)의 총칭" H02966100 H01037751 Meridian vessel 경맥 C0085282 [3.0] Location 經脈 "체내의 氣血이 돌아가는 주요한 통로이며, 經絡계통의 원줄기로서 12경맥과 奇經 8맥으로 나눔" H02966112 H01037751 Meridians 경맥 C0085282 [3.0] Location 經脈 "체내의 氣血이 돌아가는 주요한 통로이며, 經絡계통의 원줄기로서 12경맥과 奇經 8맥으로 나눔" H02966125 H01049547 Metroptosis 자궁하수증 C0042140 [3.0] Focus 子宮下垂症 자궁을 지탱하고 있는 근육이나 인대가 늘어나 자궁이 아래로 내려가는 질환.[두산백과] H02966138 H01081320 Moxibustion 구법 C0026652 [3.0] Means 灸法 쑥 등을 태워서 그 열로 화상을 입게 하거나 자극을 주는 방법 H02966141 H01089200 Calcaneal region 근 C0026845 [3.0] 1F.07.05 Location 根 신체 부분 H02966153 H01107384 Nares 비규 [3.0] Location 鼻竅 "콧구멍, 겉콧구멍과 뒤콧구멍이 있는데 비공은 주로 겉콧구멍을 말한다." H02966166 H01110660 Neck 항 C0027530 [3.0] Location 項 목 H02966179 H01111247 Stiffness of the neck 항강 C0151315 [3.0] Focus 項强 경항부(頸項部)의 기육(肌肉)․근맥(筋脈)이 강하게 땅겨서 뻣뻣한 것.[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6181 H01131093 Nyctalopia 밤소경 C0028077 [3.0] Focus 鷄盲 낮 동안은 정상이지만 야간이나 어두운 공간에서는 물체가 보이지 않든가 시력저하가 발생하는 것 H02966194 H01131496 Nothing by mouth 절식 C0419179 [3.0] Means 節食 "재활 치료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먹어서는 안 되기 때문에, 혹은 먹을수 가 없어서 음식을 먹지 않는 것. " H02966208 H01150823 Nose 비 C0028429 [3.0] 1F.13.06 Location 鼻 감각계 구성요소 H02966211 H01160187 Occipital headache 후두통 C0231613 [3.0] Focus 後頭痛 "머리 후반부에 느끼는 통증이다. 통증의 성질에는 찌르는 듯한 아픔. 압박성 또는 둔통 등, 여러가지의 것이 있다. 두통의 원인으로서 빈도가 높은 것은 어깨결림을 수반하는 근긴장성 두통일 것이다. 그러나 후두통은 여러가지 기초 질환의 표현일 경우가 많아 신중히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수막염, 뇌종양, 고혈압, 두개내압 항진, 측면 동맥염이나 골기형 등 이다. 신경통(대후두 신경이나 이개신경)일 경우도 있다. 치료는 원인에 대응한 치료가 필요하고 전문의에게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간호학대사전]" H02966223 H01164110 Occupational therapy 작업치료법 C0812853 [3.0] Means 作業治療法 "신체나 정신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적당한 육체적 작업을 하도록 함으로써 신체 운동 기능이나 정신 심리 기능의 개선을 꾀하는 치료법,예를 들면 , 정신장애인, 결핵 회복기의 환자에게 농사, 축산, 원예, 수예, 목공 따위의 작업을 시켜 다시 사회에 복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H02966236 H01262361 Cardiac pain 심장통 C0423636 [3.0] Focus 心臟痛 "심질환시 나타나는 통증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심근염, 심외막염, 심장신경증 등에서 보인다. 심장은 부교감신경의 심장지(心臟枝)와 교감신경의 경부(頸部), 흉부심장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통증의 전달은 교감신경에 의한 것이고 심근의 허혈, 염증, 급격한 확장 등에 의해 자극을 받아 통증이 생긴다. 심장통은 전흉부 뿐만 아니라 이른바 관련통으로서 어깨, 목, 상지, 하악, 치아 등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협심증에서는 통증이라기 보다 죄어 짜는 듯한 느낌, 압박되는 느낌의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966249 H01262361 Heart pain 심통 C0423636 [3.0] Focus 心痛 "심질환시 나타나는 통증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심근염, 심외막염, 심장신경증 등에서 보인다. 심장은 부교감신경의 심장지(心臟枝)와 교감신경의 경부(頸部), 흉부심장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통증의 전달은 교감신경에 의한 것이고 심근의 허혈, 염증, 급격한 확장 등에 의해 자극을 받아 통증이 생긴다. 심장통은 전흉부 뿐만 아니라 이른바 관련통으로서 어깨, 목, 상지, 하악, 치아 등에 통증을 느끼는 경우도 있다. 협심증에서는 통증이라기 보다 죄어 짜는 듯한 느낌, 압박되는 느낌의 경우가 많다.[간호학대사전]" H02966251 H01262929 Sore throat 인후종통 C0242429 [3.0] 1A.9.0530 Focus 咽喉腫痛 "인두통, 인후통이란 침이나 음식을 삼킬 때 목에 통증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도염(급성 비인두염, 감기 등)과 함께 올 수 있고 전신 질환의 일부로 나타나기도 한다.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흡연이나 매연, 음주 및 알레르기 반응으로 유발될 수도 있다. 발열, 두통, 식욕 부진, 권태감, 기침, 음성 변화 등이 동반될 수 있으며 입을 벌렸을 때 목구멍 주위가 충혈되거나 하얀 막이 형성 될 수도 있고 편도선이 부어 입 안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이 관찰되기도 한다.[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966264 H01263198 Pain relief 통증완화 C0451615 [3.0] Action 痛症緩和 경락의 기혈운행을 강화하여 신체 일부의 통증에 대한 감각을 다른 부위로 전이시킴으로써 통증을 완화한다. H02966277 H01265938 Palpation 절진 C0030247 [3.0] 2A.01.02.01.02 Action 切診 "손과 손가락으로 환자의 체표를 짚어 보거나 눌러 보면서, 맥의 변화, 가슴이나 배의 이상, 피부의 종창, 손발의 온도, 통증 부위를 검사하는 것이다. 절진은 맥진(脈診)과 촉진(觸診)으로 나누는데, 현재 사용되는 맥진은 손목의 요골동맥을 촌(寸), 관(關), 척(尺)으로 나누어 짚는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다." H02966280 H01266194 Palpitation 심계 C0030252 [3.0] 1A.9.0395 Focus 心悸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과도한 심박동으로 규칙적일 수 있고 불규칙적일 수 있다. H02966292 H01266211 Paralysis 탄탄 C0522224 [3.0] 1A.01.01.01.12.01.01.08.S.001 Focus 癱瘓 "손상된 근골격계 과정: 근육기능이나 감각의 손실, 배변과 배뇨 조절의 손실, 호흡곤란을 동반하는 신체나 그 일부를 움직이는 능력의 손실로 특징 지어지는 비정상적인 상태, 신체 기관의 부분적 결여. 상해, 신경근육계의 병변 또는 척수손상, 질병 또는 중독과 같은 외상과 관련됨." H02966306 H01824907 Panting 효천 C0425488 [3.0] Focus 哮喘 효증(哮症)이 발작할 때 늘 숨찬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좁은 의미에서 효증(哮症)을 말하는 것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6321 H01290265 Pattern 증 C0449774 [3.0] Focus 證 증후 H02966334 H01330580 Phlegm 담 C0225378 [3.0] Focus 痰 "속발성 병인의 하나. 진액이 정상적으로 운화되지 못해 체내에 머물러 쌓여 있는 병리 산물. 이것은 2차적으로 다른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체질과 질병의 성질에 따라 열화하거나 한화하게 되고, 형태상 점조(粘稠)와 청희(淸稀)의 구분이 있으며, 병증과 발병 부위도 각기 편중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병의 범위가 비교적 넓다. 음(飮)은 대부분 흉강, 복강과 위장 중에 정체되어 있으며, 담(痰)은 기를 따라 다니면서 도달하지 못하는 곳이 없기 때문에 온 몸에 퍼질 수 있다.[표준한의학용어집] " H02966347 H01339091 Pill 환 C0994475 [3.0] Means 丸 "1) 가루나 결정성 약을 뭉쳐서 눌러 둥글넓적한 원판이나 원추 모양으로 만든 약제. 젖당, 초콜릿, 아라비아고무 따위를 섞어 만든다. 예전부터 가정약품으로서 많이 사용되어온 약제형태이다. 정제는 압축 형성한 것이지만 환제는 압축형성하지 않은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 알의 중량은 약 0.1g이다. 나쁜 맛이나 나쁜 냄새의 약품을 복용하기 쉽게 하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결점은 일반적으로 붕괴속도가 늦기 때문에 즉효성은 기대할 수 없으며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나거나 변질되기 쉬운 점등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한약 제형의 하나. 보드랍게 가루 낸 한약 또는 한약 전탕농축액에 결합제. 부형제들을 섞어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 먹는 알약. 환제(丸劑)에는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 수환 호환 약즙환 납환 엑스환 " 혈환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환제는 먹기 편리하고 흡수가 비교적 완만하며 약효력이 비교적 오래 간다. 한약재 중 높은 온도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쉽게 휘발되고 독성이 비교적 센 약들은 환제를 만들어 쓰는 것이 좋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6350 H01339091 Pill preparation 환제 C0994475 [3.0] Means 丸劑 "1) 가루나 결정성 약을 뭉쳐서 눌러 둥글넓적한 원판이나 원추 모양으로 만든 약제. 젖당, 초콜릿, 아라비아고무 따위를 섞어 만든다. 예전부터 가정약품으로서 많이 사용되어온 약제형태이다. 정제는 압축 형성한 것이지만 환제는 압축형성하지 않은 것이다. 통상적으로 한 알의 중량은 약 0.1g이다. 나쁜 맛이나 나쁜 냄새의 약품을 복용하기 쉽게 하고 휴대하기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결점은 일반적으로 붕괴속도가 늦기 때문에 즉효성은 기대할 수 없으며 수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나거나 변질되기 쉬운 점등이다.[알기쉬운 의학용어풀이집]" 2) 한약 제형의 하나. 보드랍게 가루 낸 한약 또는 한약 전탕농축액에 결합제. 부형제들을 섞어서 둥근 모양으로 만든 먹는 알약. 환제(丸劑)에는 결합제의 종류에 따라 밀환 수환 호환 약즙환 납환 엑스환 " 혈환 등 여러 가지가 있다. 환제는 먹기 편리하고 흡수가 비교적 완만하며 약효력이 비교적 오래 간다. 한약재 중 높은 온도에 견디는 힘이 약하고 물에 잘 녹지 않으며 쉽게 휘발되고 독성이 비교적 센 약들은 환제를 만들어 쓰는 것이 좋다. [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6362 H01345915 Plaster 고제 C0460977 [3.0] Means 膏藥 약재를 오랫동안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농축하여 반유동의 상태로 만든 약재 H02966375 H01422090 Puerperal period 산욕기 C0086839 [3.0] Time 産褥期 "분만후(分娩後) 모체가 임신전의 상태로 회복하기까지의 기간. 태반만출후 2시간은 분만 제4기이며, 이 시기가 지난후 부터를 산욕기의 개시로 한다. 분만으로 인해서 생긴 모체의 성기 및 전신의 해부학적 기능변화의 복귀현상의 완료를 말한다. 기간은 6~8주이다.[간호학대사전]" H02966388 H01422227 Puerperalism 산후풍 [3.0] Focus 産後風 산후(産後)에 관절통(關節痛)이 있거나 몸에 찬 기운이 도는 증상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6391 H01424687 Pulse 맥 [3.0] Focus 脈 "기혈이 순환하는 통로로 혈맥(血脈), 맥상(脈象)" H02966404 H01425030 Pulse wave velocity 혈맥어혈검사 C3494431 [3.0] Means 血脈瘀血檢査 동맥경화의 정도 혈관의 탄력성과 혈관 내막의 침전정도를 측정하여 동맥 관련질환의 진단 및 치료방향을 찾는 검사이다.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비생리적인 혈액을 어혈이라고 하고 이러한 어혈이 많으면 뇌혈관질환이나 심혈관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 H02966417 H01427503 Purulent sputum 농담 C0241235 [3.0] Focus 痰膿 화농성 객담 H02966420 H01427503 Purulent sputum 농성담 C0241235 [3.0] Focus 膿性痰 화농성 객담 H02966432 H01462558 Regimen 양생법 [3.0] Means 養生法 "건강증진법으로 맑은 공기, 깨끗한 물, 욕심없는 마음" H02966445 H01497270 Retention of urine 소변불통 C0080274 [3.0] 1A.01.01.01.09.02.02 Focus 小便不通 소변 배출이 곤란한 것 H02966458 H01497270 Retention of urine 소변불리 C0080274 [3.0] Focus 小便不利 소변양이 적으면서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고 배출(排出)되면서도 쾌통순리(快通順利)하지 못한 증상. [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6461 H01497270 Retention of urine 요삽 C0080274 [3.0] Focus 尿澁 소변의 배출이 시원치 않고 잔뇨감을 갖는 증상이다.[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6473 H01567348 Shoulder pain 어깨통증 C0037011 [3.0] Focus ~痛症 견관절 및 그 주변의 근육의 동통 H02966486 H01567348 Shoulder pain 견갑통 C0037011 [3.0] Focus 肩胛痛 견관절 및 그 주변의 근육의 동통 H02966499 H01567348 Shoulder pain 견통 C0037011 [3.0] Focus 肩痛 견관절 및 그 주변의 근육의 동통 H02966502 H01586855 Sole 척 C0230463 [3.0] Location 蹠 "발 아래쪽의, 땅을 밟는 평평한 부분.[표준국어대사전]" H02966515 H01586855 Sole 족장 C0230463 [3.0] Location 足掌 "발 아래쪽의, 땅을 밟는 평평한 부분.[표준국어대사전]" H02966528 H01596165 Impaired speech 발음장애 C0233712 [3.0] 1A.01.01.01.12.04.02 Focus 發音障碍 정확한 발음을 하지 못하는 증상 H02966531 H01653705 Suppository 좌제 C0038854 [3.0] Means 坐劑 좌약으로 한약제를 환(丸)이나 정제(錠劑) 형태로 만들어 항문(肛門)이나 질내(膣內)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만든 제재이다. 내복약에 비해 사용이 간편하고 환부 깊숙한 곳까지 약성분이 도달하므로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H02966543 H01662453 Syndorome 증 C0039082 [3.0] Focus 證 증후 H02966556 H01679861 Temple 태양 C3472474 [3.0] Location 太陽 얼굴의 귀와 눈썹 사이에 살짝 패인 부분(안경 다리의 중간 부분) H02966569 H01679861 Temple 태양혈 C3472474 [3.0] Location 太陽穴 얼굴의 귀와 눈썹 사이에 살짝 패인 부분(안경 다리의 중간 부분) H02966571 H01686191 Tetanus 금창경 C0039614 [3.0] Focus 金瘡痙 "파상풍균이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 상처를 통하여 감염하며, 몸속에서 증식한 파상풍균의 독소가 중추 신경, 특히 척수를 침범함으로써 일어난다. 입이 굳어져서 벌리기 어렵게 되고, 이어서 온몸에 경직성 경련을 일으킨다. 사망률이 높으며, 예방 접종이 유효하다" H02966584 H01690402 Thermography 경피온열검사 C0039810 [3.0] Means 經皮溫熱檢査 인체 피부표면에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화함으로써 피부 온도를 변별하는 검사이다. H02966597 H01692999 Thirst 구갈 C0039971 [3.0] 1A.01.01.01.13.02 Focus 口渴 "지각: 입이나 목, 건조한 점막에서 물이나 다른 음료에 대해 갈구하는 느낌." H02966601 H01713375 Toe 지 C0040357 [3.0] 1F.18.05 Location 趾 신체 부분 H02966613 H01714619 Spontaneous bleeding of the tongue 설뉵 C0877337 [3.0] Focus 舌衄 혀에서 피가 나는 것 H02966626 H01714619 Tongue bleeding 설출혈 C0877337 [3.0] Focus 舌出血 혀에서 피가 나는 것 H02966639 H01714619 Tongue hemorrhage 설상출혈 C0877337 [3.0] Focus 舌上出血 혀에서 피가 나는 것 H02966641 H01725438 Traction technique 견인법 C0040597 [3.0] Means 牽引法 안마법의 일종으로 치료하려는 부위를 잡고 지속적으로 당기는 방법 H02966654 H01727331 Tens 경피신경자극물리치료 C0040654 [3.0] Means 經皮神經刺戟法 관문조절설에 의해 감각신경 중 large fiber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물리치료 H02966667 H01727331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경피신경자극물리치료 C0040654 [3.0] Means 經皮神經刺戟法 관문조절설에 의해 감각신경 중 large fiber를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물리치료 H02966670 H01738286 Hand tremor 수전증 C0239842 [3.0] Focus 手顫症 손이 규칙적인 리듬을 가지고 떨리는 증세.[두산백과] H02966682 H01738286 Hand tremor 수전 C0239842 [3.0] Focus 手顫 손이 규칙적인 리듬을 가지고 떨리는 증세.[두산백과] H02966695 H01748351 Trunk 체간 C1280632 [3.0] 1F.18.08 Location 體幹 신체 부분 H02966709 H01764192 Ultrared 적외선법 [3.0] Means 赤外線法 혈자리 주위에 Ultra-Red등을 조사하는 법 H02966711 H01784401 Urinary urgency 요급 C0085606 [3.0] Focus 尿急 강하고 갑작스런 요의를 느끼면서 소변이 마려우면 참을 수 없는 증상[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02966724 H01786234 Urticaria 담마진 C0042109 [3.0] 1A.9.0589 Focus 蕁麻疹 "평탄하거나 다소 팽융(膨隆)된 발진(發疹)을 일시적으로 나타내는 피부의 혈관성반응, 주위조직보다 붉은 듯하거나 창백함을 띠며, 때때로 심한 가려움을 가져오고, 발진은 2일이상 길게 계속되는 일은 드물지만 만성적으로 지속되기도 한다. 어떤 종류의 식물(굴,조개 등), 약물(페니실린 등), 감염, 감정적 stress가 원인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H02966737 H01812648 Visible light 종합가시광선 C0242377 [3.0] Means 綜合可視光線 탄소가 탈 때 나오는 빛을 활용 H02966740 H01819883 Wasting-thirst 소갈병 C0011849 [3.0] 2B.02.02.01.05.08.01 Focus 消渴病 손상된 조절기계과정 H02966752 H01824881 Wheezing dyspnea 천명 C0043144 [3.0] Focus 喘鳴 숨이 가쁘고 급하면서 가래 끓는 소리가 나는 병증. [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6765 H01825414 White fur 백태 [3.0] Focus 白苔 흰색 설태 H02966778 H01876368 Warm bath 온수욕 [3.0] Means 溫水浴 "one in water 90 to 104°F (32 to 40°C).[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966781 H01876368 Warm bath 온욕 [3.0] Means 溫浴 "one in water 90 to 104°F (32 to 40°C).[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966793 H01876368 Warm bath 온욕법 [3.0] Means 溫浴法 "one in water 90 to 104°F (32 to 40°C).[Saunders Comprehensive Veterinary Dictionary, 3 ed., 2007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 H02966807 H02155941 Wind 풍 C0043187 [3.0] 1A.02.01.01.02.01 Focus 風 풍'은 바람을 상징화한 것으로 움직인다는 면과 바람이 불 때는 밑에서 위로 분다는 것 그리고 약간은 찬 성격을 띤다는 것이다. H02966810 H02156601 Impaired gastrointestinal system process 비위계 병증 C1998640 [3.0] Focus 脾胃系 病證 위장관계 과정 H02966822 H02175019 Low salt diet 저염식단 C0012169 [3.0] 1A.9.0329 Means 低鹽食單 "음식물 중에 염분 함량이 3g 이하인 것을 말하며, 부종이 없는 사람에게는 저염 식단을 쓴다." H02966835 H02182448 Partial bath 부분욕 C3469266 [3.0] Focus 部分浴 "상지나 하지등의 열욕(수온 41°C이상의 것)으로 전신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42~43°C가 적온으로 욕침시간은 15~20분이 좋다. 골절, 연좌, 신경마비등의 치료에 이용된다.[간호학대사전]" H02966848 H02196305 Descend 강 C0205386 [3.0] Judgment 降 아래로 내려오는 작용 H02966851 H02201533 Dorsum of foot 족배부 C0230462 [3.0] Location 足背部 발의 위쪽 부분. H02966863 H02201533 Dorsum of foot 부 C0230462 [3.0] Location 跗 발의 위쪽 부분. H02966876 H02210450 Nelaton catheterization 단순도뇨 C0179775 [3.0] Focus 單純導尿 소변을 보지 못할때 관을 삽입하여 억지로 빼내주는 것으로 1회성이다. H02966889 H02725270 Vaginal discharge 냉 C0227791 [3.0] 1A.9.0592 Focus 膣分泌物 "투명하거나 진줏빛의 분비물은 정상. 분비물의 양과 특성은 월경 주기나 생식기계 활성화 기간에 따라 여성마다 다르며 초경 전이나 폐경 후 분비물의 양은 가임기 떄보다 적다. 분비물은 내경부샘(endocervical gland)의 분비물이 대부분이다. 질이나 경부의 염증 상태는 분비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악취나 회음, 외음부의 소양감을 초래한다.[Mosby 의학간호학대사전]" H02966891 H02725685 Scant menstruation 월경과소 C0020624 [3.0] Focus 月經過少 "월경혈량이 이상하게 적은 것을 말한다. 자궁내막에 염증 또는 위축등의 기질적 변화가 있는 것(기질성 과소월경)과 없는 것(기능성 과소월경)이 있다. 진단은 내막의 조직, 세균배양, 호르몬 정량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치료에는 카우프만 요법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H02966905 H02725685 Scanty period 월경부족 C0020624 [3.0] Focus 月經不足 "월경혈량이 이상하게 적은 것을 말한다. 자궁내막에 염증 또는 위축등의 기질적 변화가 있는 것(기질성 과소월경)과 없는 것(기능성 과소월경)이 있다. 진단은 내막의 조직, 세균배양, 호르몬 정량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치료에는 카우프만 요법이 이루어진다.[간호학대사전]" H02966918 H02767447 Skin rash 반진 C0015230 [3.0] 1A.01.01.01.10.01.03 Focus 斑疹 "반(斑)은 점모양. 볼 수는 있으나 만질 수는 없는것.진(疹)은 과립처럼 도드라져나와 볼 수도 있고, 만질수도 있다.마진(痲疹)ㆍ성홍열(猩紅熱) 같은 병에서 몸 전체(全體)에 붉고 좁쌀만하게 돋는 것을 통틀어 이르는 말 " H02966921 H02768611 Hematuria 요혈 C0018965 [3.0] 1A.9.0274 Focus 尿血 "요중에 혈액이 섞여 있는 것이다. 육안적으로 알 수 있는 것을 육안적 혈뇨, 현미경검사로 알수 있는 것을 현미경적 혈뇨라 하고 배뇨의 초기만의 혈뇨는 요도로부터의 출혈이고, 배뇨종말시의 혈뇨는 방광경부(膀胱頸部), 방광삼각부로부터의 출혈이다. 원인이 되는 질환은 대단히 많고 사구체 신염, 혈액질환, 요로의 종양, 결석, 외상, 염증 등이 있는데 전혀 원인을 알수 없는 것도 있다. 심한 질환의 초기 증상인 경우가 많으므로 X-선 방광경검사 등으로 검사해야 한다.[간호학대사전]" H02966933 H02771591 Night sweat 도한 C0028081 [3.0] Focus 盜汗 잠잘 때 흘리는 땀(식은 땀) H02966946 H02771591 Night sweating 야간땀 C0028081 [3.0] Focus 夜間汗 잠잘 때 흘리는 땀(식은 땀) H02966959 H02823562 Scapular region 견갑 C0446464 [3.0] Location 肩胛 "팔이 어깨에 붙은 부분, 어깨뼈" H02966961 H02906020 Hwa-byung 화병 C0520690 [3.0] Focus 火病 "울화란 억눌린 감정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신경적인 화(火)를 의미하는데, 이런 울화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모든 병증을 울화병(鬱火病) 또는 화병(火病)이라고 한다." H02966974 H02906020 Wool-hwa-byung 울화병 C0520690 [3.0] Focus 鬱火病 "울화란 억눌린 감정을 제대로 발산하지 못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신경적인 화(火)를 의미하는데, 이런 울화가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모든 병증을 울화병(鬱火病) 또는 화병(火病)이라고 한다." H02966987 H02906365 Greater yang disease syndrome 태양병 [3.0] Focus 太陽病 "육경병(六經病)의 하나로 풍한(風寒)이 기표(肌表)에 침습한 병증 감수(感受)된 사기(邪氣)의 종류나 병정(病程)의 장단(長短)을 불문하고 맥부(脈浮), 두항강통(頭項强痛), 오한(惡寒)이 나타나면 태양병(太陽病)" H02966990 H02906657 Greater yin disease 태음병 [3.0] Focus 太陰病 육경경치(六經痙痓) 중 하나로 태음(太陰)에 해당하며 복내구급(腹內拘急) 인토리후이사지련급(因吐利後而四肢攣急)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치(痙痓) H02967007 H02906698 Lesser yin disease 소음병 [3.0] Focus 少陰病 육경병(六經病)의 하나로 맥(脈)이 아주 약하고 잠을 자려고 하며 추워하고 먹은 음식을 그대로 설사하며 손발이 매우 차가운 등의 증상을 나타냄 H02967010 H02907234 Yin deficiency 음허 [3.0] Focus 陰虛 "인체의 음(陰)에 속하는 기능이 감퇴된 병리 상태 주로 진액(津液), 정(精), 혈(血) 등의 음액(陰液)이 부족하여 자윤(滋潤),유양(濡養) 기능이 저하된 병리상태" H02967022 H02907428 Liver excess syndrome 간실 [3.0] Focus 肝實 간(肝)이 실(實)한 병증으로 간경(肝經)에 한사(寒邪)나 열사(熱邪)가 침입하거나 간기(肝氣)가 몰려서 생긴다. H02967035 H02907665 Qi deficiency of the spleen 비기허 [3.0] Focus 脾氣虛 주로 몸이 나른하고 입맛이 없으며 얼굴이 누렇고 소화가 잘 안되는 상태 H02967048 H02907665 Spleen qi deficiency 비기허 [3.0] Focus 脾氣虛 주로 몸이 나른하고 입맛이 없으며 얼굴이 누렇고 소화가 잘 안되는 상태 H02967051 H02967051 Acceleration pulse wave 가속도맥파 [3.0] Means 加速度脈波 용적맥파나 압맥파를 시간으로 2차 미분하여 얻어지는 파형.[한국전통지식포탈] H02967063 H02967063 Accumulation and stagnation 적체 [3.0] Focus 積滯 젖이 소아의 위에서 오래도록 소화되지 않고 쌓이는 것 H02967076 H02967076 Acid food 산성식품 [3.0] Means 酸性食品 "1) 소화흡수, 신진대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산성 물질을 형성하는 식품을 가리키는 것으로 쌀, 밀가루, 메밀, 쌀보리, 옥수수, 수수, 통조림, 완두콩, 땅콩, 호두, 돼지수육, 돼지기름, 햄 ,소금에 절인 고기, 쇠고기, 양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오리, 거위, 돼지피, 소피, 토끼피, 말린 창자, 잉어, 청어, 고등어, 연어, 장어, 정어리, 상어, 게, 새우, 계란, 개암 등이며 생선, 육류에 많다." 2) 연소했을 경우에 회분(灰分)에 음이온성성분이 많기 때문에 산성을 보이는 식품 곡류 육류 등은 Cl. S P 등의 원소를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연소분해되면 산성으로 기운다. 식품100g을 연소시켜서 생성된 회분을 중화하는데 요하는 1규정(規定)의 알칼리의 용량(㎖)으로 그 정도를 표시한다. 이를테면 어육=16.0 달걀=11.0 쌀=9.0 " 우유=2.4이다.[간호학대사전]""" H02967089 H02967076 Acidic foods 산성식품 [3.0] Means 酸性食品 "1) 소화흡수, 신진대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산성 물질을 형성하는 식품을 가리키는 것으로 쌀, 밀가루, 메밀, 쌀보리, 옥수수, 수수, 통조림, 완두콩, 땅콩, 호두, 돼지수육, 돼지기름, 햄 ,소금에 절인 고기, 쇠고기, 양고기, 염소고기, 닭고기, 오리, 거위, 돼지피, 소피, 토끼피, 말린 창자, 잉어, 청어, 고등어, 연어, 장어, 정어리, 상어, 게, 새우, 계란, 개암 등이며 생선, 육류에 많다." 2) 연소했을 경우에 회분(灰分)에 음이온성성분이 많기 때문에 산성을 보이는 식품 곡류 육류 등은 Cl. S P 등의 원소를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체내에서 연소분해되면 산성으로 기운다. 식품100g을 연소시켜서 생성된 회분을 중화하는데 요하는 1규정(規定)의 알칼리의 용량(㎖)으로 그 정도를 표시한다. 이를테면 어육=16.0 달걀=11.0 쌀=9.0 " 우유=2.4이다.[간호학대사전]""" H02967091 H02967091 Aconitum preparation 부자 C1095893 [3.0] Means 附子 "성분으로는 아코니틴 등을 함유하고 있다. 한방에서는 온성(溫性)의 흥분 ·강심 ·진통 ·이뇨제로서 계지(桂枝) ·복령(茯苓) ·감초(甘草) 등과 공용하며, 절대로 단방으로는 쓰지 않는다. 신진대사 기능이 극도로 쇠퇴한 것을 회복시키는 이외에, 냉 ·오한 ·마비 ·동통 ·신경통 ·류머티즘관절염에 쓰는데 극약의 일종이다. " H02967105 H02967105 Acupuncture and moxibustion 침구법 [3.0] Means 鍼灸法 "자극목표는 경혈경락이며, 도구방법은 침, 뜸, 부항(이화학법에 의한 복합시술) 등으로 혈자리를 자극하는 치료법" H02967118 H02967118 Acupuncture cupping 침관 [3.0] Means 鍼罐 "유침(留鍼)과 부항(附缸)을 놓는 방법을 결합하여 응용한 방법으로 먼저 혈 자리에 침을 놓고, 득기(得氣)한 후 침을 꽂아 둔 상태에서 다시 그 위에 부항을 놓는 행위이다." H02967121 H02967121 Alkaline food 알칼리성식품 [3.0] Means ~性食品 "소화흡수, 신진대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알칼리성 물질을 형성하는 식품을 가리키는 것으로 미나리, 시금치, 컬리플라워, 생완두콩, 가지, 토마토, 오이, 양상추, 무, 홍당무, 감자, 죽순, 호박, 파, 콩나물, 양파, 버섯, 딸기, 살구, 바나나, 배, 레몬, 사과, 앵두, 밤, 자두, 포도, 분유, 파인애플, 식초, 차잎, 복숭아, 옥수수가루, 콩, 양배추 등이며 채소류에 많다." H02967133 H02967133 Antler velvet 녹용 C0222040 [3.0] Means 鹿茸 새로 돋은 사슴의 연한 뿔. 양기(陽氣)를 보하며 근골(筋骨)을 강하게 하는 보약으로 쓰인다.[표준국어대사전] H02967146 H02967146 Aqua-acupuncture 수침 [3.0] Means 水鍼 약침(藥鍼)으로 질병과 유사한 혈자리 압통점 또는 촉진으로 얻어진 체표의 양성반응 혈자리에 약물을 주사하여 침자함으로써 약물 삼투효과와 약리작용이 결합하여 종합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H02967159 H02967159 Aqua-acupuncture therapy 수침료법 [3.0] Means 水鍼療法 "정제한 약액(藥液)을 주사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경혈(經穴)뿐 아니라 피하(皮下), 기육(肌肉) 또는 정맥(靜脈) 등에 주사하여 질병을 다스리는 치료법이다." H02967161 H02967161 Ascending 승 C0205385 [3.0] Judgment 昇 위로 올라가는 작용 H02967174 H02967174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이압요법 [3.0] Means 耳壓療法 귀의 혈자리에 과립모양의 약물이나 자석을 붙여 놓고 눌러주는 방법 H02967187 H02967187 Aversion to heat 오열 [3.0] Focus 惡熱 몸에 열이 나지만 오한은 없는데 저절로 땀이 나며 더운 것을 싫어하는 증상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190 H02967190 Baihui 백회 [3.0] Location 百會 독맥경(督脈經)에 속하고 앞 이마 위 발제(髮際)에서 위쪽으로 5치(약 15cm)에 있는 두정(頭頂) 정중선 중앙에 있는 경혈(經穴). H02967203 H02967203 Bathing method of warming foot and cooling head 족수냉온욕법 [3.0] Means 足首冷溫浴法 족(足)은 따뜻하게 하고 수(首)는 냉하게 하기 위하여 발은 따뜻한 물로 머리는 차가운 물로 침수하여 치료에 이용하는 목욕법이다. H02967216 H02967216 Bee venom acupuncture 봉침 [3.0] Means 蜂鍼 벌의 독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침법 H02967229 H02967216 Bee sting therapy 봉침요법 [3.0] Means 蜂鍼療法 벌의 독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침법 H02967231 H02967216 Bee venom pharmacopuncture 봉독약침요법 [3.0] Means 蜂毒療法 벌의 독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침법 H02967244 H02967244 Black fur 흑태 [3.0] Focus 黑苔 검은 색 설태 H02967257 H02967257 Bladder meridian 족태양방광경 [3.0] Location 足太陽膀胱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임. 눈내자에서 시작하여 이마로 올라가 정수리에 가서 한 가지가 갈라져 백회(百會)혈에서 엇바뀌고 귀로 간다.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 병이 생기면 안통(眼痛)·두통·요통·대퇴관절, 슬관절 및 장딴지 통증·치질·학질(瘧疾)·전광증(癲狂證)·콧물·코피·새끼발가락을 쓰지 못하는 등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경맥(經脈)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 H02967260 H02967257 Bladder meridian 방광경 [3.0] Location 膀胱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임. 눈내자에서 시작하여 이마로 올라가 정수리에 가서 한 가지가 갈라져 백회(百會)혈에서 엇바뀌고 귀로 간다.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에 병이 생기면 안통(眼痛)·두통·요통·대퇴관절, 슬관절 및 장딴지 통증·치질·학질(瘧疾)·전광증(癲狂證)·콧물·코피·새끼발가락을 쓰지 못하는 등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경맥(經脈)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 H02967272 H02967272 Bobath 보바스치료 C4049332 [3.0] Means "중추신경계, 즉 뇌와 척수 장애로 인해 운동장애에 대한 체계적인 운동재활치료로서 성인, 소아 그리고 영유아 등 모든 연령층의 신경학적 손상 환자 치료와 재활에 이용되는 치료 방법이다" H02967285 H02967285 Breaking blood 파혈 [3.0] Means 破穴 어혈을 없애는 작용이 비교적 센 약으로 어혈을 없애는 방법 H02967298 H02967298 Carbon lamp 탄소등 [3.0] Means 炭素燈 종합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광선 에너지가 인체에 투입되어 체력을 보강하며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어 자연치유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여 주는 방법 H02967301 H02967301 Chuna 추나 [3.0] Means 推拿 "안마법과 같은 뜻으로 수기법(手技法)과 보조기기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특정부위(경혈, 압통점, 관절 등)를 조작하여 치료효과를 거두는 치료법으로 인체의 상지나 손가락, 손바닥을 이용하여 몸의 일정한 부위나 침혈부위에 대고 힘을 주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밀어주거나 쓰다듬는 것을 거듭하는 방법으로 한의학의 전통적인 물리요법의 하나임" H02967314 H02967314 Cold dosing 냉복 [3.0] Means 冷服 탕제(湯劑)의 복용법에 대한 지시어로 차게 마시는 것 H02967327 H02967327 Cold syncope 한궐 [3.0] Focus 寒厥 오한이 나고 손발이 싸늘해지는 열병 H02967330 H02967330 Cold syndrome 한증 [3.0] Focus 寒證 "몸이 차가운 상태이며, 조리법은 보온이 주가 되어야 하므로 주거상황은 항상 따뜻한 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따뜻한 음식을 섭취한다." H02967342 H02967342 Cold-heat syndrome 한열변증 [3.0] Focus 寒熱辨證 "냉증:기름기가 많은 유지(油脂),경고(硬固),점체류(粘滯類) 음식물 및 생냉(生冷)한 과일은 피함, 열증:양성식품(凉性食品)을 선책 맑고 시원한 음료를 마심" H02967355 H02967355 Color therapy 색채요법 [3.0] Means 色彩療法 "인체는 경락을 통해 내외가 하나의 통일체로 형성이 되어 있는데 ""有諸內者, 必形于外""라는 원리에 따라 인체의 외부에 나타나는 모든 현상을 망문문절의 사진(四診)을 통하여 체내의 생리 및 병리적 상태를 알아내려고 하였는데 인체의 피부에 드러나는 색체와 윤택 등이 색체요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오색을 각 장부의 치료에 응용하여 약물의 치료 등에 적용했다. 예를 들어 황토방의 효능도 색체를 이용하여 후천지기를 기르려는 면도 있다. 후천지기를 키워 인체의 기혈의 순환을 도와 인체에 면역력을 키웠다.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H02967368 H02967368 Conduction exercise 도인요법 [3.0] Means 導引療法 지체운동을 위주로 하면서 호흡운동이나 자아추나(自我推拿)를 배합하여 진행하는 일종의 신체를 단련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고대의 양생법이기도 하며 후에 도가에 계승되었다.[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7371 H02967371 Constitutional acuputure method 체질침법 [3.0] Means 體質鍼法 체질에 따라 혈자리를 배정하여 침을 놓는 침법 H02967383 H02967383 Counseling and persuading therapy 지언고론요법 [3.0] Means 至言高論療法 "상담을 통해서 환자를 보증, 설득 및 재교육 등으로 안정시켜 자신을 되찾도록 용기를 주는 정신요법이다.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 또는 한방신경정신과 전공의가 실시한다.[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7396 H02967396 Daeseunggitang 대승기탕 [3.0] Means 大承氣湯 "대황(大黃) 16 g, 후박(厚朴) ·지실(枳實) ·망초(芒硝) 각 8 g을 구성으로 한 감기 ·유행성감기 ·몸살 등에 대한 한의학상의 처방." H02967400 H02967400 Deficiency and excess 허실 [3.0] Focus 虛實 "허증은 질병이 오래 되었을 때 나타나기 쉬우며, 조리법은 강한 열보다는 부드러우며 따뜻한 열을 사용한다. 실증은 병의 기간이 오래되지 않고 통증이 있을 때 나타나며, 조리법은 차게 하거나 서늘하게 한다." H02967412 H02967412 Deficiency heat 허열 [3.0] Focus 虛熱 "음, 기, 혈, 진액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열증." H02967425 H02967425 Deintoxication 해독작용 [3.0] Focus 解毒作用 "음식을 끓이면 이화 배설작용이 항진되어 체내의 노폐물이나 독소배설이 잘되고, 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지방이나 단백질이 소모되어 에너지로 전화되기 때문에 이때 조직 속의 노폐물이 배설된다." H02967438 H02967438 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system 적외선체열검사 [3.0] Means 赤外線體熱檢査 인체 피부표면에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화함으로써 피부 온도를 변별하는 검사이다. H02967441 H02967441 Direct moxibustion 직접구 [3.0] Means 直接灸 애주를 피부에 직접 닿게 하는 뜸 H02967453 H02967441 Direct moxibustion 직접애주구 [3.0] Means 直接艾炷灸 애주를 피부에 직접 닿게 하는 뜸 H02967466 H02967466 Diti 적외선체열검사 [3.0] Means 赤外線體熱檢査 인체 피부표면에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영상화함으로써 피부 온도를 변별하는 검사이다. H02967479 H02967479 Dongeuibogam 동의보감 [3.0] Focus 東醫寶鑑 "조선 선조 때 허준에 의해 1611년에 완성된 책으로 당시까지의 중국의서와 우리나라의 향약서(鄕藥書) 등을 참고하여 정리한 의학백과전서인데, 내용은 전체 5편으로 내과 질병을 다룬 내경편(內景篇), 신체부위별로 질병을 다룬 외형편(外形篇), 부인과 소아과 등 특정 질환을 분류해서 다룬 잡병편(雜病篇), 약물과 식품의 재료를 설명한 탕액편(湯液篇), 경혈과 침구법을 소개한 침구편(鍼灸篇)이다." H02967481 H02967481 Dongeuisoosebowon 동의수세보원 [3.0] Focus 東醫壽世保元 "1894년 동무(東武) 이제마가 편찬한 사상의학(四象醫學)에 관한 이론과 치료법을 엮은 책이다. 사상의학은 이제마 자신이 오랜 기간의 임상치료경험과 체질에 관한 문헌적 연구에 기초하여 내놓은 학설로서, 사람들의 체격 • 얼굴생김새 • 성격 • 정서 • 약물에 대한 반응성 등을 종합하여 태양인(太陽人) • 태음인(太陰人) • 소양인(少陽人) • 소음인(少陰人) 형으로 구분하고, 질병시 이러한 체질에 따른 치료법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H02967494 H02967494 Drowsiness after a meal 식곤증 [3.0] Focus 食困症 식후에 졸음이 오는 현상 H02967508 H02967508 Dry cupping 건식부항 [3.0] Means 乾式附缸 음압장치를 이용하여 시술하는 진공정혈요법으로써 사혈을 하지 않는 부항요법 H02967511 H02967511 Ear acupuncture 이침 C0752217 [3.0] Means 耳鍼 1) 귓바퀴에 있는 특정 혈자리에 침을 놓는 것 "2) 특수 제작한 피내침을 귀의 혈자리에 비교적 장시간 유침시키는 치료방법""" H02967523 H02967523 Eight principle pattern 팔강변증 [3.0] Judgment 八綱辨證 "음양, 표리, 한열, 허실 등 8강을 가지고 여러 가지 질병에 따라 각각 다르게 또한 복잡하게 나타나는 증상들을 분석하고 귀납해서 질병의 속성, 질병부위, 질병의 경중, 질병에 대한 개체의 반응, 질병의 세고 약함을 8 가지 病症으로 진단하는 것" H02967536 H02967536 Eight principles 팔강 [3.0] Means 八綱 "병증을 분석하고 진단하는데 사용되는 8 가지(陰, 陽, 虛, 實, 寒, 熱, 表, 裏) 병증 판별법으로 東醫辨證의 기본이 됨" H02967549 H02967549 Emetic technique 토법 C0455040 [3.0] Means 吐法 최토약(催吐藥)이나 기타 구토(嘔吐)를 야기하는 물리적인 자극(예컨대 깃털을 인후 깊숙이 넣어 구토를 야기하는 것)을 사용하여 정체한 담(痰)이나 숙식(宿食) 혹은 독물(毒物)을 토출(吐出)시키는 방법.[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551 H02967551 Energy gihyeol 보양기혈 [3.0] Focus 補陽氣血 "양(陽), 기(氣), 혈(血)을 보함" H02967564 H02967564 Exterior and interior 표리 [3.0] Means 表裏 팔강(八綱) 중에서 병위(病位)의 얕고 깊음으로서 원인과 경중(輕重)을 변별하는 두 가지 강령. H02967577 H02967577 Exterior heat 표열 [3.0] Focus 表熱 ①표에 열이 있다는 말. ②(동의어)표열증 H02967580 H02967580 Exterior syndrome 표증 [3.0] Focus 表證 "증상이 몸의 바깥쪽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 조리법:몸의 체표에 직접 닿는 방법을 중심으로 시행" H02967592 H02967592 External cause 외인 C1407879 [3.0] Focus 外因 "풍(風) 한(寒) 서(暑) 습(濕) 조(燥) 화(火)라는 육기(六氣)가 대표적인 것이며, 전염병을 말하는 역려가 포함된다. 육기(六氣)는 자연적인 기상변화의 정상적인 현상인데, 이것이 비정상적이 되어 우리 몸에 사기(邪氣)로 작용될 때 육음(六淫)이라고 한다." H02967606 H02967606 External contraction 외감 [3.0] Focus 外感 외부의 병원체가 체내에 침입하여 발병되는 여러 질환으로 외사(外邪)에 의해 생기는 병 H02967621 H02967621 Extract powder 엑기스산약 [3.0] Means Extract散藥 녹말가루 등의 부형제에 탕약 증기가 붙게 한 가루약 H02967634 H02967634 Extreme thirst 대갈 [3.0] 1A.9.0414 Focus 大渴 몸 안에 수분이 많이 부족해 수분을 섭취하고 싶어하는 상태. H02967647 H02967647 Far infrared radiation 원적외선 [3.0] Means 遠赤外線 "파장 1,5000~15,0000 Å의 저체온에서 방출되는 열선" H02967650 H02967650 Fatigue injury overexertion syndrome 노권상 [3.0] Focus 勞倦傷 ① 내상병증으로 늘 노곤해 하는 증. 흔히 정신적 또는 육체적 피로로 비기(脾氣)가 상하거나 기혈이 허해서 생긴다. 피곤해서 말하는 것조차 싫어하고 움직이면 숨이 차며 땀이 나고 가슴이 답답하면서 불안해하는 등 증상이 나타난다. ② 허손증을 일으키는 병의 원인(정신적 피로나 육체적 피로). [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7662 H02967662 Filiform needle 호침 [3.0] Means 毫鍼 "임상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침법으로써, 호침은 머리카락 정도의 가는 침으로 굵기와 길이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 길이 40mm, 굵기 0.30mm의 호침이 주로 쓰인다." H02967675 H02967675 Five flavors 오미 [3.0] Focus 五味 "5가지 맛.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을 말한다.[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688 H02967688 Five phases 오행 [3.0] Focus 五行 "자연계에 존재하는 5가지의 각기 다른 성질을 상징화한 것으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뜻한다." H02967691 H02967688 Five elements 오행 [3.0] Focus 五行 "자연계에 존재하는 5가지의 각기 다른 성질을 상징화한 것으로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뜻한다." H02967704 H02967704 Five sense organs 오관 [3.0] Location 五官 "오장에 배속되어 있는 코, 눈, 입, 혀, 귀 등의 다섯 기관.[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717 H02967704 Five sense organs 오규 [3.0] Location 五竅 "오장에 배속되어 있는 코, 눈, 입, 혀, 귀 등의 다섯 기관.[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720 H02967720 Five viscera 오장 [3.0] Location 五臟 "생명 활동의 주요 기관으로서 정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생리적 기능을 하는 곳으로, 간장(肝臟)ㆍ심장(心臟)ㆍ비장(脾臟)ㆍ폐장(肺臟)ㆍ신장(腎臟)을 의미함" H02967732 H02967732 Five viscera and six entrails 오장육부 [3.0] Location 五臟六腑 "오장(五臟)은 간(肝) • 심(心) • 비(脾) • 폐(肺) • 신(腎)을 말하는데, 내부조직이 충실한 장기로 저장분비와 정(精)과 기(氣)를 제조하는 기능을 가진 정신기능의 근원인 동시에 감정 발현의 근본이 되는 장기를 말한다. 육부(六腑)는 담(膽) • 소장(小腸) • 위(胃) • 대장(大腸) • 방광(膀胱) • 삼초(三焦)이며 이것은 내부가 비어 있는 장기로, 외부로부터 받아들이는 음식을 변화시켜 정(精)과 기(氣)를 제조하기도 하고, 대변과 소변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H02967745 H02967745 Fluid and humor 진액 [3.0] Focus 津液 "몸 안의 체액을 통틀어서 이르는 말이며 진액에는 몸 안의 일정한 계통을 따라 순환하거나 오장육부를 비롯하여 전신에 영양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해당 조직들과 기관들을 윤활하게 하여 생리적 기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지님" H02967758 H02967758 Foot acupuncture therapy 족침요법 [3.0] Means 足鍼療法 발바닥과 발등의 특정 혈자리에 침을 놓는 법 H02967761 H02967761 Forest bathing 삼림욕 [3.0] Means 森林浴 호흡법 중 숲속의 피톤치드 등 목기(木氣)를 피부와 폐의 호흡을 통해서 흡수하는 것 H02967773 H02967773 Forward leaning sitting position 복좌위 C2112850 [3.0] Location 伏坐位 (상용되는 침자세로 치료 부위가 몸의 옆 부분의 경우)앉아서 상체를 앞으로 기대는 자세. H02967786 H02967786 Four constitution types 사상인 [3.0] Focus 四象人 "四象醫學에서 인간을 체질적 특성에 따라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눈 것" H02967799 H02967799 Four kinds of constitutional 사상체질 [3.0] Means 四象體質 "사상의학(四象醫學)으로서 사람의 체질을 넷으로 구분하고, 각 체질에 따르는 생리 • 병리 • 약리를 설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의학으로, 조선말기에 이제마[李濟馬; 호는 동무(東武), 1836~1900]가 창안한 새로운 관점의 의학이다." H02967802 H02967802 Four qi 사기 [3.0] Focus 四氣 "사시(四時)의 기운(氣運). 곧, 춘온(春溫)ㆍ하열(夏熱)ㆍ추량(秋涼)ㆍ동한(冬寒)의 총칭(總稱) 또는 생(生)ㆍ장(長)ㆍ수(收)ㆍ장(藏)의 총칭(總稱)" H02967815 H02967802 Four qi 사성 [3.0] Focus 四性 "사시(四時)의 기운(氣運). 곧, 춘온(春溫)ㆍ하열(夏熱)ㆍ추량(秋涼)ㆍ동한(冬寒)의 총칭(總稱) 또는 생(生)ㆍ장(長)ㆍ수(收)ㆍ장(藏)의 총칭(總稱)" H02967828 H02967828 Fresh edibleness 생식 [3.0] Focus 生食 음식을 조리하지 않고 날것으로 먹는 것임. H02967831 H02967831 Gallbladder meridian 족소양담경 [3.0] Location 足少陽膽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로 44쌍의 혈이 있으며, 눈외자에서 시작하여 옆머리, 귀 뒤, 목 등을 지나 쇄골상와(鎖骨上窩)로 가고, 한 가지는 귀 뒤에서 나와 눈외자로 간다. 눈외자에서 다시 한 가지가 나와 뺨을 거쳐 먼저 것과 합친 다음 가슴속과 횡격막을 지나 간(肝)에 낙하고 담(膽)에 속하며 옆구리를 지나 대퇴관절 부위로 가서 넓적다리 바깥쪽, 바깥 복사뼈의 앞, 지나 넷째발가락으로 가는 경락(經絡)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843 H02967831 Gallbladder meridian 담경 [3.0] Location 膽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로 44쌍의 혈이 있으며, 눈외자에서 시작하여 옆머리, 귀 뒤, 목 등을 지나 쇄골상와(鎖骨上窩)로 가고, 한 가지는 귀 뒤에서 나와 눈외자로 간다. 눈외자에서 다시 한 가지가 나와 뺨을 거쳐 먼저 것과 합친 다음 가슴속과 횡격막을 지나 간(肝)에 낙하고 담(膽)에 속하며 옆구리를 지나 대퇴관절 부위로 가서 넓적다리 바깥쪽, 바깥 복사뼈의 앞, 지나 넷째발가락으로 가는 경락(經絡)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856 H02967856 Gamisoyosan 가미소요산 [3.0] Means 加味消遙散 "갱년기장애, 신경증, 불면증에 소간청열(疏肝淸熱)한다" H02967869 H02967869 Ge gen 갈근 C0696916 [3.0] Means 葛根 "신량해표약(辛凉解表藥)으로써 해기청열(解肌淸熱), 지갈생진(止渴生津)한다." H02967871 H02967871 Gorei-san 오령산 C0672468 [3.0] Means 五苓散 1) 수역(水逆)과 소갈(消渴)을 치료하는 처방임 2) 태양증(太陽證)이 리(裏)에 들어가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신기(腎氣)가 속으로 허하여 열熱이 신경(腎經)으로 흘러 들어가 척맥(尺脈)이 홍대(洪大)하고 소변이 잦으면서 잘 나오지 않고 " 또한 붉고 탁하며 소변을 볼 때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884 H02967871 Oryeongsan 오령산 C0672468 [3.0] Means 五苓散 1) 수역(水逆)과 소갈(消渴)을 치료하는 처방임 2) 태양증(太陽證)이 리(裏)에 들어가서 가슴이 답답하고 갈증이 나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고 신기(腎氣)가 속으로 허하여 열熱이 신경(腎經)으로 흘러 들어가 척맥(尺脈)이 홍대(洪大)하고 소변이 잦으면서 잘 나오지 않고 " 또한 붉고 탁하며 소변을 볼 때 아픈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897 H02967897 Gou qi zi 구기자 C0696837 [3.0] Means 枸杞子 "보혈약(補血藥)으로써 보간신(補肝腎), 익정혈(益精血) 작용을 하는 본초이다." H02967901 H02967901 Gray fur 회태 [3.0] Focus 灰苔 회색 설태 H02967913 H02967913 Greater yang person 태양인 [3.0] Focus 太陽人 외모는 대개 상체가 발달되고 허리부위가 빈약하다. 머리가 크고 얼굴은 둥근편이고 근육은 비교적 적으며 광대뼈가 나온 사람이 많다. 이마가 넓고 눈은 빛난다. 허리가 약하여 오래 앉거나 서있지를 못하며 기대거나 눕기를 좋아하며 오랫동안 걷지를 못한다. 성품은 사고력이 뛰어나고 누구와도 잘 사귀며 판단력과 진취적인 기상이 있다. 영웅심과 자존심이 강하고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에는 크게 분노를 일으켜서 건강을 해치게 된다. 두뇌가 명석하여 창의력이 있고 생각하지 못하는 기발한 착상을 해내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수적으로 많지 않기 때문에 감별이 용이하지는 않다. 사상의학을 창안한 이제마가 이 체질에 속한다. H02967926 H02967926 Greater yin 태음 [3.0] Focus 太陰 ①음(陰)이가장왕성하게드러나는단계. ②태음경(太陰經). ③ 족태음비경(足太陰脾經). 태음경(太陰經) H02967939 H02967939 Greater yin person 태음인 [3.0] Focus 太陰人 "외관상 골격이 굵고 비대한 사람이 많다. 손발이 크고 피부가 거칠어 겨울에는 손발이 잘 트는 경향이 있다.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땀을 많이 흘리고 힘든 일을 할 때는 더욱 심하다. 호흡기가 약해서 다른 체질에 비하여 숨이 차는 일이 많다. 이목구비의 윤곽이 뚜렷하고 걸음걸이는 무게 있고 안정감 있게 보이나 상체를 다소 구부리고 걷는 경향이 있다. 허리가 굵고 배가 나와 다소 거만해 보이는 경우도 있다. 성품은 말이 적어 조용한 편이고 이해타산을 따지는 데 뛰어나다. 한번 시작한 일은 평소처럼 꾸준히 노력하여 성취하는 지구력이 있어 크게 성공하는 일이 많다. 자기의 주장은 남이 듣거나 말거나 끝까지 소신껏 피력하며 말하는 게 조리가 없는 듯하나 골자가 있고, 유머감각이 뛰어난 경우도 있다. 겉으로는 점잖은 듯하면서도 속으로 음흉하여 좀체로 속 마음을 드러내지 않고 잘못된 것을 알면서도 미련스럽게 고집을 부리며 밀고 나가려는 우둔한 면도 있다. 여성의 경우 체격이 크고 이목구비가 시원스러워 품위가 있어보이고, 남성의 경우 다소 무서운 인상 또는 성난 듯한 인상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 이 체질은 심장이 약하고 겁이 많아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를 느끼는 경우가 많다." H02967941 H02967941 Gui pi tang 귀비탕 [3.0] Means 歸脾湯 생각이 많거나 신경을 지나치게 써서 생기는 여러 증상에 쓰이는 한의학 상의 처방으로 여성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처방이기도 하다. 동의보감에서는 대표적으로 건망증과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세를 언급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불면이나 소화와 관련된 증상 및 월경과 관련된 증상 등에도 널리 응용되고 있다.[두산백과] 기혈쌍보(氣血雙補)하는 약으로 익기보혈(益氣補血) " 건비양심(健脾養心)한다.""" H02967954 H02967954 Hand-finger acupuncture 수지침 [3.0] Means 手指鍼 인체의 축소판을 손으로 보고 손의 특정 혈자리를 침자하는 침법. 다섯 손가락을 사지와 머리로 배분한 고려수지(高麗手指)침과 다섯 손가락을 오장으로 배분한 중국식 수침(手鍼)이 있다. H02967967 H02967967 Harmonizing method 화법 [3.0] Means 和法 화해 또는 조화 작용으로 병사를 제거하는 법 H02967970 H02967970 Healthy qi 정기 [3.0] Focus 正氣 일반적으로 眞氣와 같은 뜻으로 쓰이며 생명 활동에 기본이 되는 힘인 인체의 저항력 H02967982 H02967982 Heart meridian 수소음심경 [3.0] Location 手少陰心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로, 심계(心系)에서 시작하여 심장에 속하고 한 가지는 횡격막을 지나 소장에 가서 락하며 기본 가지는 심계로부터 폐로 올라갔다가 가로 내려와 겨드랑을 지나 팔 안쪽 뒷기슭과 손바닥의 제4, 제5 손목뼈 사이를 지나 새끼손가락끝으로 가서 소장경(小腸經)에 연계되는 경락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7995 H02967995 Heart rate variablity 수양명경경락기능검사 [3.0] Means 手陽明經經絡機能檢査 오른쪽 식지에서 용적맥파를 측정하고 용적맥파의 충격파를 바탕으로 심박변이도를 분석하는 검사이다. H02968002 H02967995 Hrv 심박변이도 [3.0] Means 心搏變異度 오른쪽 식지에서 용적맥파를 측정하고 용적맥파의 충격파를 바타으로 심박변이도를 분석하는 검사이다. H02968015 H02968015 Heat insulation 보온 C0412811 [3.0] Focus 保溫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것. 보온은 병을 예방하거나 병의 악화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보온은 환자를 쾌적하게 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는 보온하면 전신의 혈액 순환이 좋아지며,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결과이다. 보온은 청결하며 건조한 의류나 침구, 전기 담요를 이용해서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968028 H02968015 Heat reserving 보온 C0412811 [3.0] Focus 保溫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것. 보온은 병을 예방하거나 병의 악화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보온은 환자를 쾌적하게 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는 보온하면 전신의 혈액 순환이 좋아지며,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결과이다. 보온은 청결하며 건조한 의류나 침구, 전기 담요를 이용해서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968031 H02968015 Thermal insulation 보온 C0412811 [3.0] Focus 保溫 "신체를 따뜻하게 하는 것. 보온은 병을 예방하거나 병의 악화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보온은 환자를 쾌적하게 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는 보온하면 전신의 혈액 순환이 좋아지며,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결과이다. 보온은 청결하며 건조한 의류나 침구, 전기 담요를 이용해서 행한다.[간호학대사전]" H02968043 H02968043 Heat pattern 열증 [3.0] Focus 熱證 "1) 팔강(八綱)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음기(陰氣)보다 항성(亢盛)하거나 열사(熱邪)가 성행하여 발생하는 병증. 신열(身熱), 오열(惡熱), 번조(煩躁), 구갈희랭음(口渴喜冷飮), 소변단적(小便短赤), 대변비결(大便秘結), 면색적(面色赤), 설질홍(舌質紅), 태건황(苔乾黃), 혹 건흑(乾黑), 맥삭(脈數)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표열증(表熱證), 이열증(裏熱證), 허열증(虛熱證), 실열증(實熱證)의 구분이 있다." "2) 열사(熱邪)에 의하여 양기(陽氣)가 왕성하여 열증(熱證) 증상이 나타나는 팔강병증(八綱病證)의 하나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056 H02968043 Heat syndrome 열증 [3.0] Focus 熱證 "1) 팔강(八綱)의 하나로 양기(陽氣)가 음기(陰氣)보다 항성(亢盛)하거나 열사(熱邪)가 성행하여 발생하는 병증. 신열(身熱), 오열(惡熱), 번조(煩躁), 구갈희랭음(口渴喜冷飮), 소변단적(小便短赤), 대변비결(大便秘結), 면색적(面色赤), 설질홍(舌質紅), 태건황(苔乾黃), 혹 건흑(乾黑), 맥삭(脈數) 등의 증세가 나타난다. 표열증(表熱證), 이열증(裏熱證), 허열증(虛熱證), 실열증(實熱證)의 구분이 있다." "2) 열사(熱邪)에 의하여 양기(陽氣)가 왕성하여 열증(熱證) 증상이 나타나는 팔강병증(八綱病證)의 하나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069 H02968069 Herbal acupuncture 약침 [3.0] Means 藥鍼 약액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침법 H02968071 H02968071 Herbal tonics 보약 [3.0] Means 補藥 "신체 여러 기능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특히 부진한 기능을 보충 보강함으로써 질병의 예방, 건강 유지, 치료를 하는 한약을 말한다. 같은 신체 조건이나 증상이라 할지라도 변증(辨證)과 체질, 약재의 산지나 수치 정도에 따라 처방이 달라지므로 의료진의 진찰과 처방에 따라야 한다." H02968084 H02968071 Herb tea 탕약 [3.0] Means 湯藥 달이는 약 H02968097 H02968097 High frequency acupuncture 고주파침 [3.0] Means 高周波鍼 침병에 전기도자를 연결해 고주파 전류를 흘려 자극하는 법 H02968101 H02968101 How tuchim 투침법 [3.0] Means 透鍼法 한 개의 침으로 두 개 이상의 혈자리를 동시에 관통하여 침자하는 법 H02968113 H02968113 Hypochondriac pain 협통 [3.0] Focus 脇痛 1) 일측(一側) 혹은 양측(兩側)의 협륵동통(脇肋疼痛).[표준한의학용어집] 2) 옆구리가 아픈것.[한의시맨틱] H02968126 H02968126 Iliac correction 장골교정 [3.0] Means 腸骨矯正 선골 양쪽에 있는 엉치뼈의 교정법 H02968139 H02968139 Indirect moxibustion 간접구 [3.0] Means 間接灸 구(灸)치료 종류로 애주와 피부 사이에 약재 등을 깔아서 뜸을 한다. H02968141 H02968139 Indirect moxibustion 간접애주구 [3.0] Means 間接艾炷灸 구(灸)치료 종류로 애주와 피부 사이에 약재 등을 깔아서 뜸을 한다. H02968154 H02968139 Indirect moxibustion 기기구술 [3.0] Means 器機灸術 구(灸)치료 종류로 애주와 피부 사이에 약재 등을 깔아서 뜸을 한다. H02968167 H02968167 Infusum 침제 [3.0] Means 浸劑 약을 잠시 달인 후 냉각시켜서 그 즙을 사용한다. 방향성 약재의 추출에 맞는다. H02968170 H02968170 Insertion of needle 자침 [3.0] Means 刺鍼 각종 침구(鍼具)를 이용한 기계적 자극이다. [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8182 H02968182 Inside of thigh 허벅지 C1269033 [3.0] Location 허벅다리 안쪽의 연한 부분 H02968195 H02968195 Internal symptoms 이증 [3.0] Focus 裏證 "증상이 몸의 내부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고열이 나고 오한이 없으나 입이 마르고 얼굴이 화끈거린다. 정신이 어지럽고 헛소리를 하며 혹은 오한이 있으면 사지가 차갑고, 구토, 복통, 설사 혹은 변비 등이 있다. 범위는 비교적 광범위하여 한열허실(寒熱虛實)과 정부의 구별이 있으며, 이러한 구별에 따라 간호를 진행해야 한다. 조리법은 음식이나 주변기후, 실내온도 등을 중심으로 장기간 시행한다." H02968209 H02968195 Lizeung 리증 [3.0] Focus 裏證 "증상이 몸의 내부에서 주로 나타나는 것으로, 고열이 나고 오한이 없으나 입이 마르고 얼굴이 화끈거린다. 정신이 어지럽고 헛소리를 하며 혹은 오한이 있으면 사지가 차갑고, 구토, 복통, 설사 혹은 변비 등이 있다. 범위는 비교적 광범위하여 한열허실(寒熱虛實)과 정부의 구별이 있으며, 이러한 구별에 따라 간호를 진행해야 한다. 조리법은 음식이나 주변기후, 실내온도 등을 중심으로 장기간 시행한다." H02968211 H02968211 Intradermal needle 피내침 C1322775 [3.0] Means 皮內鍼 "1치[寸] 가량의 소독한 단호침(短毫鍼) 또는 압침(押鍼)을 써서 사자(斜刺:橫刺)로 피하에 자입하는 방법. 피하매침(皮下埋鍼)이라고도 한다. 이때 침병(鍼柄)은 노출시키며, 반창고로 고정시켜, 그 자리가 아프지 않고 환자의 지체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조건 하에서는 1~7일간 피하에 유침(留鍼)한다. 이 방법은 만성 또는 동통성 환자의 치료에 흔히 쓰인다.[두산백과]" H02968224 H02968211 Intradermal acupuncture 피내침 C1322775 [3.0] Means 皮內鍼 "1치[寸] 가량의 소독한 단호침(短毫鍼) 또는 압침(押鍼)을 써서 사자(斜刺:橫刺)로 피하에 자입하는 방법. 피하매침(皮下埋鍼)이라고도 한다. 이때 침병(鍼柄)은 노출시키며, 반창고로 고정시켜, 그 자리가 아프지 않고 환자의 지체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 조건 하에서는 1~7일간 피하에 유침(留鍼)한다. 이 방법은 만성 또는 동통성 환자의 치료에 흔히 쓰인다.[두산백과]" H02968237 H02968237 Joined puncture 투자법 [3.0] Means 投刺法 서로 다른 두 경혈(經穴)에 대한 침자술(鍼刺術)로 한 경혈(經穴)에 자입(刺入)하여 다른 경혈(經穴)에까지 침끝(鍼尖)이 이르도록 하는 행위(透刺法)이다. [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8240 H02968240 Kidney deficiency 신허 [3.0] Focus 腎虛 "신정부족증(腎精不足證), 신기허증(腎氣虛證), 신기불고증(腎氣不固證), 신음허증(腎陰虛證), 신양허증(腎陽虛證), 신음양양허증(腎陰陽兩虛證)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일반적으로는 신기허증(腎氣虛證)을 말함. → 신기허증(腎氣虛證).[표준한의학용어집] " H02968252 H02968252 Large intestine meridian 수양명대장경 [3.0] Location 手陽明大腸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로, 둘째손가락 노뼈쪽 끝에서 시작하여 콧날개 옆에 가서 끝나고 폐에 락하고 대장에 속하는 경락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265 H02968265 Large liver system and small lung system 간대폐소 [3.0] Focus 肝大肺小 사상장부론에 의한 태음인의 장부의 생리적 불균형상태 H02968278 H02968278 Laser acupuncture 레이저침 C0394654 [3.0] Means laser鍼 금속침 대신 레이저로 혈자리를 자극하는 법 H02968281 H02968281 Lesser yang person 소양인 [3.0] Focus 少陽人 "이 체질의 분포는 약 20%로 이제마가 주장하였으나 학자에 따라서는 한국인에 가장 많은 체질로 주장하기도 한다. 외형상으로는 상하의 균형이 잘 잡혀 있고 보편적으로 체구가 적은 편이다. 용모가 오밀조밀하고 잘 짜여져 있어 여자는 예쁘고 애교가 많다. 이마가 약간 나오고 이목구비가 크지 않고 다소곳한 인상이다. 피부가 부드럽고 땀이 적으며 걸음걸이가 자연스럽고 얌전하다. 말을 할때 눈웃음을 짓는 경우가 많다. 성품은 내성적이며 소극적이고 사교적인 데가 있어 겉으로는 부드럽고 겸손한 듯하나 마음 속으로는 강인하고, 조직적이고 치밀한 편이다. 또 자기본위로 매사를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실리를 얻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면도 있다. 머리가 총명하고 판단력이 빠르며 조직적이고 사무적이어서 윗사람에가 잘보이나 때로는 지나치게 아첨하기도 한다. 자기가 하는 일을 남이 손대는 것을 싫어하며, 남이 잘하는 일에 질투심이 강하여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은 소음인에게 어울리는 속담이다. 마음이 다소 편협한 면이 있어 한번 꽁하면 여간해서 풀어지지 않고 남에게 인색한 면이 있다.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지조를 버리는 기회주의자의 경향이 많다." H02968293 H02968293 Lesser yin person 소음인 [3.0] Focus 少陰人 "이 체질의 분포는 약 20%로 이제마가 주장하였으나 학자에 따라서는 한국인에 가장 많은 체질로 주장하기도 한다. 외형상으로는 상하의 균형이 잘 잡혀 있고 보편적으로 체구가 적은 편이다. 용모가 오밀조밀하고 잘 짜여져 있어 여자는 예쁘고 애교가 많다. 이마가 약간 나오고 이목구비가 크지 않고 다소곳한 인상이다. 피부가 부드럽고 땀이 적으며 걸음걸이가 자연스럽고 얌전하다. 말을 할때 눈웃음을 짓는 경우가 많다. 성품은 내성적이며 소극적이고 사교적인 데가 있어 겉으로는 부드럽고 겸손한 듯하나 마음 속으로는 강인하고, 조직적이고 치밀한 편이다. 또 자기본위로 매사를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실리를 얻기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면도 있다. 머리가 총명하고 판단력이 빠르며 조직적이고 사무적이어서 윗사람에가 잘보이나 때로는 지나치게 아첨하기도 한다. 자기가 하는 일을 남이 손대는 것을 싫어하며, 남이 잘하는 일에 질투심이 강하여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라는 말은 소음인에게 어울리는 속담이다. 마음이 다소 편협한 면이 있어 한번 꽁하면 여간해서 풀어지지 않고 남에게 인색한 면이 있다. 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지조를 버리는 기회주의자의 경향이 많다." H02968307 H02968307 Life nurturing 양생 [3.0] Means 養生 의사의 진료가 필요없는 몸 상태에서 건강과 장수를 목적으로 질병 발생의 신체적 요인의 유발을 방지하거나 퇴치하는 일체의 행위 H02968310 H02968310 Long needle 장침 [3.0] Means 長鍼 구침(九鍼)의 하나로 길이가 7치이며 호침(毫鍼)처럼 생긴 치료기구. [표준한의학용저비] H02968322 H02968322 Low protein diet 저단백식단 C0420185 [3.0] Means 低蛋白 食單 "매일 단백질 총량이 체중 kg당 0.5g 이하로 하루에 20~40g을 말한다. 요독증이나 간성혼수, 심장병에 적용된다." H02968335 H02968335 Lower energizer 하초 [3.0] Location 下焦 배꼽아래의 간신(肝腎)이 위치하는 부위. H02968348 H02968348 Maternal impressions 태교법 [3.0] Means 胎敎法 모자(母子)의 양생 조리 중의 하나 H02968351 H02968351 Medical herbs in pakage 첩약 [3.0] Means 貼藥 종이 봉지약 H02968363 H02968363 Medicated wine 약주 [3.0] Means 藥酒 한약재로 술을 담궜다가 내복이나 외용으로 이용하는 법 H02968376 H02968376 Medication act 복약법 [3.0] Means 服藥法 입을 통해 한약을 복용하는 치료방법 H02968389 H02968389 Meridian and collateral 경락약침 [3.0] Means 經絡藥鍼 약액을 혈자리에 주입하는 침법 H02968391 H02968391 Meridian skin cold heat examination 경피한열검사 [3.0] Means 經皮寒熱檢査 "인체 피부표면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극미량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인체의 통증부위 및 기타 질병부위의 미세한 체열변화를 컴퓨터가 컬러영상화하여 표시함으로써 경락학설에 의거하여 신체의 이상유무, 호전, 악화 유무를 검사하는 방법.[한국전통지식포탈]" H02968405 H02968405 Meridian syndrome differentiation 경락변증 [3.0] Means 經絡辯證 변증방법의 하나. 경락 및 관련 장부의 생리•병리를 바탕으로 경락 및 그 관련 장부에서 나타나는 병증을 분석하는 것. 증후의 성질이 명확하고 응용이 광범위한 변증. H02968418 H02968418 Middle energizer 중초 [3.0] Location 中焦 횡격막에서 배꼽까지의 비위(脾胃)가 위치하는 부위. H02968421 H02968421 Moving essence and changing qi 이정변기요법 [3.0] Means 移精變氣療法 "신(神)의 치료를 위해 정(精)과 기(氣)를 바꾸어 고치는 방법으로, 곧 모든 사기(邪氣)로써 정기(正氣)를 상하지 않고 환자의 기분을 전환시킨다거나 신전(神殿)에서 병의 원인을 풀어헤치는 기도를 올림으로서 정신을 치료하는 구체적인 한방정신요법이다.[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8433 H02968433 Needle embedding therapy 매선요법 [3.0] Means 埋線療法 "매선이란 특별히 고안된 바늘에 자연스럽게 녹는 매선실을 넣어서 치료를 원하는 부위에 자입하는 것으로, 그 실이 자극을 지속적으로 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요법.[경희대학교 한방병원]" H02968446 H02968446 Needle insertion method 진침법 [3.0] Means 進鍼法 침을 찌르는 방법 H02968459 H02968459 Ocular inspection 망진 [3.0] Focus 望診 눈으로 보고 진찰하는 방법 H02968461 H02968461 Ogapi 오가피 C1082904 [3.0] Means 五加皮 "Acanthopanax (sessiliflorus, gracilistylus, chiisanensis, koreanum, rufinerve, seoulense, sieboldianum)의 뿌리껍질로 풍사(風邪)를 몰아내고 습사(濕邪)를 없애고 근골(筋骨)을 강하게 하며 혈(血)을 잘 순환하게 하고 어혈(瘀血)을 없애는 효능을 가진 약재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474 H02968474 Oppression in the chest 흉민 [3.0] Focus 胸悶 가슴이 답답한 증. [표준한의학용어집] H02968487 H02968487 Padur 파두 [3.0] Means 巴豆 "본초 대극과(大戟科 :Euphor- biaceae)에 속한 상록 교목인 파두(巴豆) Croton tiglium L.의 성숙한 종자로, 가을 에 완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거각(祛殼)하고 종자만 채취하여 쇄건(曬乾)하고 종피(種皮)를 벗겨서 씀" H02968490 H02968490 Pasted pill 호환 [3.0] Means 糊丸 환약의 배합재료에 의한 분류로 밀가루 풀로 반죽해서 만든 환약 H02968503 H02968503 Pattern identification 변증 [3.0] Focus 辨證 사진(四診)을 통한 진단 방법으로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복잡한 증상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어떤 성질의 病症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것 H02968516 H02968503 Syndrome differentiation 변증 [3.0] Focus 辨證 사진(四診)을 통한 진단 방법으로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복잡한 증상을 분석하고 종합하여 어떤 성질의 病症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것 H02968529 H02968529 Period of dietary cure 식이요법기 [3.0] Means 食餌療法期 "단식의 단계로서 단식 6배 일수이며 식이요법을 중심으로 한 약물, 물리요법을 병용하는 질병 치료단계" H02968531 H02968531 Poor memory 건망 C0233794 [3.0] Focus 健忘 기억력이 감퇴하여 겪은일을 쉽게 잊어버리는 병증 H02968544 H02968544 Postauricular infection 이근독 [3.0] Focus 耳根毒 귀뿌리에 생기는 종양(腫瘍). 족소양담경(足少陽膽經)의 풍열(風熱)로 인하여 일어난다. H02968557 H02968557 Pricking bloodletting method 자락법 [3.0] Means 刺絡法 1) 사혈(瀉血). [표준한의학용어집]. 2) 침 치료법의 하나로 침혈 또는 살갗의 세소동맥이나 정맥에 침을 놓아 피를 뽑는 방법.[인터넷동양의학대사전] H02968560 H02968560 Promoting sweating 한법 [3.0] Means 汗法 땀을 흘리게 하는 법 H02968572 H02968572 Pulse condition 맥상 [3.0] Focus 脈象 "맥이 뛰는 상태. 맥의 수, 긴장도, 진폭, 충실도, 조육, 세기 등을 본다. 한의학에서 28맥이 있다." H02968585 H02968572 Pulse pattern 맥상 [3.0] Focus 脈象 "맥이 뛰는 상태. 맥의 수, 긴장도, 진폭, 충실도, 조육, 세기 등을 본다. 한의학에서 28맥이 있다." H02968598 H02968572 Pulse shape 맥상 [3.0] Focus 脈象 "맥이 뛰는 상태. 맥의 수, 긴장도, 진폭, 충실도, 조육, 세기 등을 본다. 한의학에서 28맥이 있다." H02968601 H02968601 Pulse diagnosis 맥진 [3.0] Focus 脈診 동맥을 손가락 끝으로 짚어 진찰하는 법 H02968614 H02968614 Pulse diagnosis examination 맥진검사 [3.0] Means 脈診檢査 "한의학의 맥진을 현대화하여 맥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동통성 질환의 예측, 심장 순환기 장애의 의한 마비성 예측, 장부의 허와 실, 스트레스 등을 판별하여 인체의 균형여부를 알려준다.[상지대학교 부속한방병원]" H02968627 H02968627 Pulsimeter 맥진기 [3.0] Means 脈診機 요골동맥 맥파를 미분한 파동으로 기록 분석하는 기기법 H02968630 H02968630 Pungyok 풍욕 [3.0] Means 風浴 "피부의 호흡 • 감각 • 보호 • 배설기능을 촉진시키고, 체온조절 기능의 강화와 피부경혈 주변(邊)의 자극으로 인해 내장기능을 조정하며, 피부를 통해 산소 • 질소를 흡수하여 혈액과 임파액을 깨끗이 하고 CO2를 배출시켜 감기예방과 건강체로 유지시킨다." H02968642 H02968642 Purgation 하법 [3.0] Means 下法 설사하게 하는 법 H02968655 H02968655 Qi 기 C0376586 [3.0] Focus 氣 "생명과 생체의 활동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부 조직의 활동 능력을 가리키며, 발생에 따라 선천의 기와 후천의 기로 나뉨. 기는 부위와 역할에 따라서 여러 종류로 분류됨" H02968668 H02968655 Vital energy 기 C0376586 [3.0] Focus 氣 "생명과 생체의 활동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장부 조직의 활동 능력을 가리키며, 발생에 따라 선천의 기와 후천의 기로 나뉨. 기는 부위와 역할에 따라서 여러 종류로 분류됨" H02968671 H02968671 Qi and blood 기혈 [3.0] Focus 氣血 장부(臟腑)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원(源)을 지칭하는 한의학 용어.[두산백과] "기(氣)는 정(精)이 화생하여 혈(血)을 생성하고 움직이며 혈(血)은 기(氣)를 자양한다.""" H02968683 H02968683 Qi deficiency 기허 [3.0] Focus 氣虛 원기(元氣)가 허약(虛弱)하거나 부족(不足)한 것 H02968696 H02968696 Qi gong 기공 C0282077 [3.0] Means 氣功 신체의 움직임과 호흡을 이용하고 의식을 집중시키면서 행하는 동작 H02968700 H02968700 Qigong exercise 기공운동 [3.0] Means 氣功運動 "신체의 움직임과 호흡을 이용하고 의식을 집중시키면서 행하는 동작으로 운동, 호흡, 명상법 등을 이용한 치료 방법" H02968712 H02968712 Recover type 회복식 [3.0] Means 恢復食 "단식의 단계의 하나로 본 단식일수의 2배수이고, 아침은 금식하며 소량의 미음에서 시작하여 현율 미음, 현율죽, 현율밥으로 증가한다. 대사기능의 정상 회복단계이므로 중요하며 잘못되면 단식 부작용이 초래된다." H02968725 H02968725 Reinforcing and reducing method 보사법 [3.0] Means 補瀉法 "기(氣)를 더하거나 빼는 한방치료법으로 보(補)하고 사(瀉)하는 방법. 허증을 치료할 때는 보법, 실증을 치료할 때는 사법을 쓴다. " H02968738 H02968738 Removal of acupuncture needle 발침 C0394670 [3.0] Focus 拔鍼 꽂았던 침을 뽑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2968741 H02968738 Needle withdrawal 출침 C0394670 [3.0] Focus 出鍼 꽂았던 침을 뽑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2968753 H02968738 Removal of acupuncture needle 출침 C0394670 [3.0] Focus 出鍼 꽂았던 침을 뽑는 일.[표준국어대사전] H02968766 H02968766 Rhubarb 대황 C0304561 [3.0] Means 大黃 "소염성의 하제(下劑)로 쓰고 있으며, 여러 가지 처방에 배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H02968779 H02968779 Sagunja-tang 사군자탕 [3.0] Means 四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苓), 감초(甘草) 등의 약재로 이루어진 보양익기제(補陽益氣劑)로 주로 원기(元氣)와 비위장(脾胃腸)의 기능이 허약할 때 사용하는 기본 처방이다." H02968781 H02968779 Sagoonja-tang 사군자탕 [3.0] Means 四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苓), 감초(甘草) 등의 약재로 이루어진 보양익기제(補陽益氣劑)로 주로 원기(元氣)와 비위장(脾胃腸)의 기능이 허약할 때 사용하는 기본 처방이다." H02968794 H02968779 Sakunja-tang 사군자탕 [3.0] Means 四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苓), 감초(甘草) 등의 약재로 이루어진 보양익기제(補陽益氣劑)로 주로 원기(元氣)와 비위장(脾胃腸)의 기능이 허약할 때 사용하는 기본 처방이다." H02968808 H02968779 Sijunzi-tang 사군자탕 [3.0] Means 四君子湯 "인삼(人蔘), 백출(白朮), 백복령(白茯苓), 감초(甘草) 등의 약재로 이루어진 보양익기제(補陽益氣劑)로 주로 원기(元氣)와 비위장(脾胃腸)의 기능이 허약할 때 사용하는 기본 처방이다." H02968811 H02968811 Sahyangsohapwon 사향소합원 [3.0] Means 麝香蘇合元 사향과 그 밖의 여러 가지 약재를 배합하여 만든 환약. 기(氣)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생긴 병에 사용하여 기의 흐름을 순조롭게 해 준다. H02968823 H02968823 Samul-tang 사물탕 [3.0] Means 四物湯 "숙지황(熟地黃),백작약(白芍藥),천궁(川芎),당귀(當歸) 등 4가지의 약재로 되어있고, 혈병(血病)을 치료하는 기본 처방" H02968836 H02968836 Sasang medicine 사상의학 [3.0] Means 四象醫學 "사람의 체질을 넷으로 구분하고, 각 체질에 따르는 생리 • 병리 • 약리를 설명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의학으로, 조선말기에 이제마[李濟馬; 호는 동무(東武), 1836~1900]가 창안한 새로운 관점의 의학이다." H02968849 H02968849 Scalp acupuncture 두침 [3.0] Means 頭鍼 1) 대뇌피질구(大腦皮質區)의 기능과 연관시켜 머리피부에 침자(鍼刺)하는 법 2) 두부에 분포한 경혈 " 두피의 상응 부위에 자침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851 H02968849 Scalp acupuncture 두피침 [3.0] Means 頭皮鍼 1) 대뇌피질구(大腦皮質區)의 기능과 연관시켜 머리피부에 침자(鍼刺)하는 법 2) 두부에 분포한 경혈 " 두피의 상응 부위에 자침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864 H02968864 Scarring moxibustion 화농구 [3.0] Means 化膿灸 구(灸)치료의 종류인 직접구의 방법의 하나로 수일 후 뜸뜰자리에 무균성 화농반응이 나타나 농액이 나오면 dressing한다. 30~40일 지나면 뜸 상처의 딱지가 떨어지고 흔적이 남는다. H02968877 H02968877 Seupdam 습담 [3.0] Focus 濕痰 비의 운화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체내에 비정상적으로 생긴 수액대사 산물 H02968880 H02968880 Shaft of the needle 침체 [3.0] Means 鍼體 "침첨과 침병의 사이. 호침(毫鍼)의 장단(長短), 굵기는 주로 침체를 말함" H02968892 H02968892 Sipjeondaebotang 십전대보탕 [3.0] Means 十全大補湯 허로(虛勞)로 기혈(氣血)이 다 허(虛)한 것을 치료하여 음양(陰陽)을 조화시켜주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906 H02968906 Six bowels 육부 [3.0] Location 六腑 담(膽)ㆍ위(胃)ㆍ소장(小腸)ㆍ대장(大腸)ㆍ방광(膀胱)ㆍ삼초(三焦) H02968919 H02968919 Six excess 육음 [3.0] Focus 六淫 "風, 寒, 暑, 濕, 燥, 火 등 6가지 氣가 지나쳐서 병의 원인이 될 때를 의미하며, 밖으로부터 침입한 병의 요인이라는 의미에서 외인이라고도 함" H02968921 H02968921 Small intestine meridian 수태양소장경 [3.0] Location 手太陽小腸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로, 새끼손가락에서 시작하여 심에 락하고 횡격막을 지나 소장에 속하며 쇄골상와에서 갈라진 다른 가지는 목과 뺨을 지나 눈외자에 갔다가 귓속으로 들어가는 경락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934 H02968934 Snake's beard 맥문동 C1008257 [3.0] Means 麥門冬 소염·강장 ·진해·거담제 및 강심제로 사용한다 H02968947 H02968947 Sohaphwangwon 소합향원 [3.0] Means 蘇合香元 갑자기 나쁜 사기(邪氣)의 침입을 받아 의식이 없거나 헛소리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950 H02968947 Yongnoesohapwon 용뇌소합원 [3.0] Means 龍腦蘇合元 갑자기 나쁜 사기(邪氣)의 침입을 받아 의식이 없거나 헛소리를 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8962 H02968962 Sour regurgitation 신트림 [3.0] Focus 트림 H02968975 H02968975 Source qi 원기 [3.0] Focus 原氣 선천적으로 받은 기운으로 경락기능의 기초가 된다. H02968988 H02968988 Spleen & stomach 서 [3.0] Location 暑 음식물을 소화하고 영양물질을 흡수하여 오장육부를 비롯한 신체 각 부위에 공급하여 유기체의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보장하는 근원을 말하며 주로 脾胃를 말함 H02968991 H02968991 Spleen-stomach weakness 비위허약 [3.0] Focus 脾胃虛弱 ① 비허(脾虛)의 하나. 비기(脾氣)가 부족한 증을 말한다. 흔히 음식 조절을 잘못하거나 지나치게 생각하거나 피로한 것으로 인하여 비기를 상해서 생긴다. 온 몸이 나른하고 힘이 없으며 식욕이 부진하고 소화가 잘 안 되고 배가 끓으며 배가 더부룩하게 불러오르고 얼굴이 윤기가 없고 누르스름해지며 혀의 빛깔이 연해지는 등 기허(氣虛) 증상이 나타난다. 비기를 북돋우는 방법으로 육군자탕(六君子湯)과 삼령백출산(參苓白朮散)을 가감하여 쓴다. "② 비기가 허하다는 뜻으로도 쓰인다..[한의학대사전]""" H02969008 H02969008 Spoon needle 시침 [3.0] Means 鍉鍼 침첨(鍼尖; 침체의 끝)이 뭉퉁하고 둥글게 생긴 침 H02969011 H02969011 Ssanggeumtang 쌍금탕 [3.0] Means 雙金湯 1) 쌍화탕(雙和湯)에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을 합한 약이다. 쌍금탕은 소화불량증에 피로가 겹쳤을 때 사용되는 통용방이다. "2) 방로(房勞) 후나 과로 후에 머리가 아프고 바람을 싫어하며 열(熱)이 조금 나고 전신에 권태감(倦怠感)이 있으며 밥맛이 없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023 H02969023 Ssanghwatang 쌍화탕 [3.0] Means 雙和湯 1) 사물탕(四物湯)과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을 합한 약으로 9가지 약재로 구성 2) 백작약 숙지황 황기 당귀 천궁 감초 계피 등을 물에 넣고 달인 것[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3) 정신과 육체가 다 피로하고 기혈(氣血)이 다 상(傷)한 것 혹은 방사(房事)를 치룬 뒤에 힘든 일을 하였거나 몹시 힘든 일을 하고 나서 방사(房事)를 행한 것 중병을 앎은 뒤에 허로로 기력이 떨어져서 저절로 땀이 나는 것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4) 피로한 것과 빈혈 도한(盜汗) 복통(腹痛) 유정(遺精) " 음위(陰痿)를 치료하는 처방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036 H02969036 Static blood 어혈 [3.0] Focus 瘀血 "국소적으로 혈액순환이 정체되거나 성분이 변화된 것으로, 혈액이 정체되거나 피가 흐르는 속도가 떨어진 죽은 피, 더러워진 피라고 할 수 있다. 서양의학적으로 어혈은 아직 분명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으며, 한의학만의 독특한 용어이다." H02969049 H02969049 Sunken pulse 침맥 [3.0] Focus 沈脈 맥상의 하나로 음맥에 속함. 맥을 가볍게 짚으면 맥이 나타나지 않고 세게 눌러야 맥이 뛰는 것을 알 수 있는 맥 H02969051 H02969051 Taken between meals 식간복 [3.0] Means 食間服 탕제(湯劑)의 복용법에 대한 지시어로 식사와 식사 사이에 마신다. H02969064 H02969064 The spleen and the stomach 비위 [3.0] Location 脾胃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는 장부에 대한 통칭.[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077 H02969077 Three devided doses 삼분복 [3.0] Means 三分服 탕제(湯劑)의 복용법에 대한 지시어로 한 첩을 세 번에 나누어 마신다. H02969080 H02969080 Three-edged needle 삼릉침 [3.0] Means 三稜鍼 날이 세모꼴로 된 침으로 피를 뽑는데에 쓰이는 침을 가리키는 용어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092 H02969092 Tip of the needle 침첨 [3.0] Means 鍼尖 침끝의 뾰족한 부분 H02969106 H02969106 Tongue diagnosis 설진 [3.0] Focus 舌診 "설태(舌苔)와 설질(舌質)의 형태, 색, 건조상태 등을 진찰하는 법" H02969119 H02969119 Tonifying method 보법 [3.0] Means 補法 정기의 보충을 위주로 허(虛)한 것을 보충하는 치료법 H02969121 H02969121 Trembling method 진전법 [3.0] Means 震顫法 침병을 잡고 손을 떨듯이 침을 뺏다 찔렀다 하는 기법 H02969134 H02969134 Triple energizer 삼초변증 [3.0] Focus 三焦辨證 "병이 있는 인체의 위치에 따른 변증이다. 병변부위가 가슴이상은 상초(上焦), 배꼽 이상은 중초(中焦), 배꼽 이하는 하초(下焦)이다." H02969147 H02969147 Triple energizer meridian 수소양삼초경 [3.0] Location 手少陽三焦經 "십이정경(十二正經)의 하나로, 넷째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심포(心包)에 락하고 삼초(三焦)에 속하며 눈외자에 가서 끝나는 경락을 말하는 것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150 H02969150 Triple energizers 삼초 [3.0] Location 三焦 "육부의 하나. 상, 중, 하로 나눠 가슴 이상을 상초(上焦), 배꼽 위를 중초(中焦), 배꼽 아래를 하초(下焦)라 한다." H02969162 H02969162 Twelve meridians 십이경맥 [3.0] Location 十二經脈 "모든 경맥(經脈)들 가운데서 기본으로 되는 십이개의 경맥(經脈)으로, 십이경맥은 기본경맥이며 다른 경맥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십이정경(十二正經)이라고 하며, 십이경맥은 분포된 부위, 연계된 장부(臟腑)에 따라 음경(陰經)·양경(陽經)·수경(手經)·족경(足經)으로 나뉘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175 H02969162 Twelve meridians 십이정경 [3.0] Location 十二正經 "모든 경맥(經脈)들 가운데서 기본으로 되는 십이개의 경맥(經脈)으로, 십이경맥은 기본경맥이며 다른 경맥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십이정경(十二正經)이라고 하며, 십이경맥은 분포된 부위, 연계된 장부(臟腑)에 따라 음경(陰經)·양경(陽經)·수경(手經)·족경(足經)으로 나뉘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188 H02969162 Twelve meridians 십이경 [3.0] Location 十二經 "모든 경맥(經脈)들 가운데서 기본으로 되는 십이개의 경맥(經脈)으로, 십이경맥은 기본경맥이며 다른 경맥들과 구분하기 위하여 십이정경(十二正經)이라고 하며, 십이경맥은 분포된 부위, 연계된 장부(臟腑)에 따라 음경(陰經)·양경(陽經)·수경(手經)·족경(足經)으로 나뉘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한국전통지식포탈 용어사전]" H02969191 H02969191 Uhwangcheongsimhwan 우황청심환 [3.0] Means 牛黃淸心丸 동의보감의 처방에 따르고 30가지의 약재로 구성되며 원방(元方)이라는 용어를 붙임 H02969204 H02969204 Uhwangcheongsimwon 우황청심원 [3.0] Means 牛黃淸心元 "심기(心氣)가 부족하고 신지(神志)가 안정되지 못하여 감정이 일정하지 않거나, 전광으로 정신(精神)이 혼란한 것 등을 치료한다." H02969217 H02969217 Upper energizer 상초 [3.0] Location 上焦 "삼초(三焦) 중에서, 위쪽, 즉 인후(咽喉)에서 흉격(胸膈)까지의 부위를 이르는 특정 부위임." H02969220 H02969220 Upper heat pattern 상열감 [3.0] Focus 上熱感 상체에 열이 있거나 열증(熱證)이 있는 듯한 느낌이 있는 증상임.[한국전통지식포탈] H02969232 H02969232 Warming acupuncture 온침 [3.0] Means 溫鍼 침병(鍼柄)에 애주(艾炷) 등의 연소열(燃燒熱)을 가하는 침법 H02969245 H02969245 Warming method 온법 C0150611 [3.0] 2C.9.0039 Means 溫法 "감염부위의 화농을 촉진, 동통과 근경련을 감소, 혈액순환 촉진, 울혈이나 부종을 완화시키고, 저체온을 정상체온으로 올리기위해, 또는 신체를 따뜻하게 하여 편안하게 해 주기 위해 아픈 부위에 손상이 가지 않을 정도로 따뜻한 물주머니를 대주는 요법." H02969258 H02969258 Wet cupping 습식부항 [3.0] Means 濕式附缸 사혈(瀉血)을 목적으로 자락(刺絡) 후 부항을 하는 방법 H02969261 H02969261 Wheat-grain size cone moxibustion 맥립구 [3.0] Means 麥粒灸 애주의 크기가 보리쌀만한 것 H02969273 H02969261 Maekripgu 맥립구 [3.0] Means 麥粒灸 애주의 크기가 보리쌀만한 것 H02969286 H02969286 Wind-warmth 풍온 [3.0] Focus 風溫 봄철에 풍한사(風熱邪)에 감촉되어 나타나는 온병 H02969299 H02969299 Yang qi 양기 [3.0] Focus 陽氣 몸안의 기(氣)를 기르는 것 H02969302 H02969302 Yangdorak 양도락법 [3.0] Means 良導絡法 기준점과 경혈간의 전기저항을 분석 비교하는 기기법 H02969315 H02969315 Yellow fur 황태 [3.0] Focus 黃苔 누런색 설태 H02969328 H02969328 Yin and yang 음양 C0085256 [3.0] Focus 陰陽 "자연계의 사물, 현상 속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상대적인 속성으로서 음(陰)과 양(陽)의 합칭.[한국전통지식포탈]" H02969331 H02969331 Yin humor 음액 [3.0] Focus 陰液 "정(精), 혈(血), 진(津), 액(液) 등이며, 여러 가지 체액 성분을 총칭하는 말" H02969343 H02969343 Yin qi 음기 [3.0] Focus 陰氣 정기(正氣) 혹은 사기(邪氣)가 침습하거나 흘러들어간 것을 말한다. H02969356 H02969356 Yin-yang disharmony 음양실조 [3.0] Focus 陰陽失調 "음양의 상대적 관계와, 균형과 협조의 관계가 장애된 것. 음이 편승(偏勝)하면 양이 모상(耗傷), 약화되어 한증(寒證) 증세가 나타나고, 양이 편승하면 음기가 모상, 약화되어 열증(熱證) 증상이 나타남. " H02969369 H02969369 Numbness of hands and feet 수족비증 C0743670 [3.0] Focus 手足痺證 손발이 저린 증상